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8-04)

임상심리사 2급
(2019-08-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심리학개론

1.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인출단서효과
  2. 맥락효과
  3. 기분효과
  4. 도식효과
(정답률: 72%)
  • 위 그림은 맥락효과를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맥락효과란 어떤 정보가 주어졌을 때 그 정보가 속한 맥락에 따라 인식되는 의미가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같은 정보라도 주변 상황에 따라 인식되는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BANK"라는 단어가 주어졌을 때, 주변에 있는 단어들에 따라 "BANK"의 의미가 은행이나 강둑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맥락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리적 접근성
  2. 유사성
  3. 상보성
  4. 내향성
(정답률: 85%)
  • 내향성은 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다른 요인들이 대개 상대방과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반면, 내향성은 상대방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오히려 거리를 두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내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개 사람들과의 교류를 피하거나, 소수의 친밀한 인간관계를 선호하며, 대화나 활동을 즐기는 것보다는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한다. 따라서 내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호감을 느끼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다른 요인들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뉴런이 휴식기에 있을 때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칼륨 이온이 뉴런 밖으로 나간다.
  2. 나트륨 이온이 뉴런 안으로 밀려온다.
  3. 뉴런이 발화한다.
  4. 뉴런 내부는 외부와 비교하여 음성(-)을 띠고 있다.
(정답률: 72%)
  • 뉴런이 휴식기에 있을 때는 칼륨 이온이 뉴런 밖으로 나가고, 나트륨 이온이 뉴런 안으로 밀려오는데, 이 과정으로 뉴런 내부는 외부와 비교하여 음성(-)을 띠고 있다. 이러한 상태를 "안정막 전위"라고도 부른다. 뉴런이 발화하면 이러한 균형이 깨지고 전위가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reud의 발달이론에서 오이디푸스 갈등을 경험하는 시기는?

  1. 구강기
  2. 항문기
  3. 남근기
  4. 잠복기
(정답률: 87%)
  • 오이디푸스 갈등은 Freud의 발달이론에서 남근기에 경험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이 시기는 약 3~6세 사이에 해당하며, 아이들은 부모의 성적 차별을 인식하고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를 오이디푸스 갈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Ainsworth의 낮선 상황 실험에서 낮선 장소에서 어머니가 사라졌을 때 걱정하는 모습을 약간 보이다가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 어머니를 피하는 아이의 애착 유형은?

  1. 안정 애착
  2. 불안정 혼란 애착
  3. 불안정 회피 애착
  4. 불안정 양가 애착
(정답률: 84%)
  • Ainsworth의 낮선 상황 실험에서 어머니가 사라졌을 때 걱정하는 모습을 약간 보이다가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 어머니를 피하는 아이의 애착 유형은 "불안정 회피 애착"입니다. 이는 아이가 어머니의 돌아옴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를 피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아이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정한 경험을 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경험은 아이의 자아 개발과 인간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Freud의 세 가지 성격 구성요소 중 현실원리를 따르는 것은?

  1. 원초아(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ego)
  4. 원초아(id)와 자아(rgo)
(정답률: 85%)
  • Freud의 세 가지 성격 구성요소 중 현실원리를 따르는 것은 자아(ego)입니다. 이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 판단, 추론, 결정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원초아(id)의 본능적 욕구와 초자아(superego)의 이상적인 규범과 현실적인 요구 사이에서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아(ego)는 현실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혼자 있을 때 보다 옆에 누가 있을 때 과제의 수행이 더 우수한 것을 일컫는 현상은?

  1. 몰개성화
  2. 군중 행동
  3. 사회적 촉진
  4. 동조 행동
(정답률: 84%)
  • 사회적 촉진은 다른 사람들의 존재나 영향으로 인해 개인의 성과나 행동이 개선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거나 공부할 때 자극을 받아 더욱 노력하게 되고, 그 결과로 성과가 더욱 좋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혼자 있을 때보다 옆에 누가 있을 때 과제의 수행이 더 우수한 것은 사회적 촉진으로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잔인한 아버지가 자식을 무자비하게 때리면서 매질이 자식을 위한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하는 것처럼, 자기 자신의 감정이나 행위를 보다 허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하는 방어기제는?

  1. 투사
  2. 반동형성
  3. 동일시
  4. 합리화
(정답률: 85%)
  • 자기 자신의 감정이나 행위를 보다 허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하는 방어기제는 "합리화"이다. 이는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이 부적절하다고 인식될 때, 그것을 더 합리적인 것으로 변환하여 자신을 정당화하려는 방어적인 전략이다. 예를 들어, 자신이 다른 사람을 상처주는 말을 한 경우, 그것을 상대방이 자신을 화나게 한 것이라고 해석하여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놀이방에서 몇 명의 아동에게 몇 가지 인형을 주어 노는 방법의 변화를 1주일에 1시간씩 관찰하는 연구방법은?

  1. 실험법
  2. 자연 관찰법
  3. 실험 관찰법
  4. 설문조사법
(정답률: 79%)
  • 실험 관찰법은 실험 조건을 제어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놀이방에서 아동들에게 인형을 주는 방법을 조작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놀이방에서 아동들이 노는 방법의 변화가 인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 방법은 실험 관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결망을 통해 원하는 만큼 많은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1.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2. 유의 표집(purposive sampling)
  3. 임의 표집(convenient sampling)
  4. 할당 표집(quota sampling)
(정답률: 77%)
  • 눈덩이 표집은 초기 표본을 선정한 후 그 표본으로부터 추가적인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연결망 상에서 원하는 만큼 많은 수의 표본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의 구성원을 모두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초기 표본을 선정한 후 그 표본이 속한 연결망을 따라가면서 추가적인 표본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정 집단의 구성원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동으로 하여금 매일 아침 자신의 침대를 정리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처벌
  2. 처벌, 긍정적 강화
  3. 처벌, 긍정적 강화, 부정적 강화
  4. 처벌, 긍정적 강화, 부정적 강화, 모방
(정답률: 84%)
  • 정답은 "처벌, 긍정적 강화, 부정적 강화, 모방" 입니다.

    - 처벌: 아동이 침대를 정리하지 않았을 때,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아동이 침대를 정리하는 것을 꺼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 긍정적 강화: 아동이 침대를 정리했을 때, 긍정적인 결과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아동이 침대를 정리하는 것을 선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부정적 강화: 아동이 침대를 정리하지 않았을 때,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아동이 침대를 정리하는 것을 꺼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모방: 아동이 다른 사람이 침대를 정리하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을 따라하는 것으로서, 이는 아동이 침대를 정리하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Maslow의 5단계 욕구 중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속담의 의미와 일치하는 욕구는?

  1. 생리적 욕구
  2. 안전의 욕구
  3. 자기실현의 욕구
  4. 소속 및 애정의 욕구
(정답률: 86%)
  •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속담은 식사 후에는 어떤 환경이라도 만족스러울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생리적 욕구인 배고픔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리적 욕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무작위적 반응 중에서 긍정적 결과가 뒤따르는 반응들을 통해서 행동이 증가하는 학습법칙은?

  1. 시행착오 법칙
  2. 효과의 법칙
  3. 연습의 법칙
  4. 연합의 법칙
(정답률: 63%)
  • 효과의 법칙은 무작위적인 행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때, 해당 행동이 증가하는 학습법칙입니다. 즉, 어떤 행동을 하면 그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강화학습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동물 행동학에서도 관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두 변인 간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산포도의 형태는?

  1. 좌상단에서 우하단으로 가면서 흩어진 정도가 매우 큰 산포도
  2. 좌상단에서 우하단으로 가면서 흩어진 정도가 매우 작은 산포도
  3.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 가면서 흩어진 정도가 매우 큰 산포도
  4.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 가면서 흩어진 정도가 매우 작은 산포도
(정답률: 71%)
  • 두 변수 간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경우, 한 변수의 값이 증가하면 다른 변수의 값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산포도에서는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 가면서 흩어진 정도가 매우 작은 형태를 보입니다. 이는 두 변수 간의 관계가 강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한 변수의 값이 변화하면 다른 변수의 값도 비슷한 정도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통계적 검증력이 증가하는 경우는?

  1.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2. 각 전집 표준편차의 크기가 다른 경우
  3. 양방검증 대신 일반검증을 채택한 경우
  4. 제 2종 오류인 β를 늘리는 경우
(정답률: 50%)
  • 양방검증은 검증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그만큼 유의수준을 낮춰야 하므로 제 2종 오류인 β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방검증 대신 일반검증을 채택하면 유의수준을 높일 수 있어 제 2종 오류를 줄이고 검증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통계적 검증력: 귀무가설이 거짓인데도 이를 채택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을 확률을 의미함.
  • 검증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유의수준(a)이 높을수록 검증력은 증가한다.
    - 표준편차가 커지면 검증력은 낮아진다.
    - 두 모집단 간 차이가 작을수록 검증력은 낮아진다.
    -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검증력은 증가한다.
    - 대립가설의 실제 평균이 일방검증의 기각역과 동일한 방향이라면 양방검증의 경우보다 검증력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화계획 중 소거에 대한 저항이 가장 큰 것은?

  1. 고정간격 강화계획
  2. 변동간격 강화계획
  3. 고정비율 강화계획
  4. 변동비율 강화계획
(정답률: 71%)
  • 변동비율 강화계획은 기존의 비율을 유지하면서도 일정한 비율로 강화를 시키기 때문에, 기존에 비례하여 발생하던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저항이 가장 크다. 즉, 이 계획은 기존에 비례하여 발생하던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어기제와 그 예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대치-방문을 세게 쾅 닫으며 화를 내게 만든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소리 지르는 경우
  2. 합리화-자기 자신이 부정직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도 역시 부정직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3. 동일시-괴롭힘을 당한 아이가 다른 아이들을 괴롭히는 사람이 되는 경우
  4. 승화-분노를 축구나 럭비 또는 신체접촉이 이루어지는 스포츠를 함으로써 해소하는 경우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겉맞추기(matching) 현상과 관련된 매력의 결정요인은?

  1. 근접성
  2. 친숙성
  3. 유사성
  4. 상보성
(정답률: 74%)
  • 겉맞추기 현상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사람에게 더 매력을 느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유사성이라는 결정요인 때문입니다. 유사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 이해하기 쉽고, 공감하기 쉽기 때문에 더욱 친밀감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겉맞추기 현상은 유사성이라는 결정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억 정보의 인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출 시의 맥락과 부호화 시의 맥락이 유사할 때 인출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주장을 부호화 명세성(특수성) 원리라고 한다.
  2. 설단현상은 특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3. 회상과 같은 명시적 인출방법과 대조되는 방법으로 재인과 같은 암묵적 방법이 있다.
  4. 기억탐색 과정은 일반적으로 외부적 자극정보를 부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답률: 56%)
  • 인출 시의 맥락과 부호화 시의 맥락이 유사할 때 인출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주장을 부호화 명세성(특수성) 원리라고 하는 이유는, 기억 정보가 부호화될 때 해당 정보가 저장될 때의 맥락과 관련된 부호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출 시에도 해당 정보와 관련된 맥락과 부호화된 정보를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설단현상은 특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증거로 볼 수 있으며, 회상과 같은 명시적 인출방법과 대조되는 방법으로 재인과 같은 암묵적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기억탐색 과정은 일반적으로 외부적 자극정보를 부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특질을 기본적인 특질과 부수적인 특질로 구분하는 경우, 기본적인 특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Allport의 중심 성향
  2. Eysenck의 외향성
  3. Cattell의 원천 특질
  4. Allport의 2차적 성향
(정답률: 73%)
  • Allport의 2차적 성향은 부수적인 특질에 해당하며,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특징들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특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이상심리학

21.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신경인지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성호르몬 estrogen과 상관이 있다.
  2. Apo-E 유전자 형태와 관련이 있다.
  3. 허혈성 혈관 문제 혹은 뇌경색과 관련이 있다.
  4. 노인성 반점(senile plaques)과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43%)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3번이 답입니다. DSM-5 기준상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신경인지장애의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외혈관질환, 다른 신경퇴행서질환, 물질의 효과, 또는 다른 정신, 신경학적, 전신질환이나 상태 등이 없어야 한다. 정리 =>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뇌혈관질환이 없어야 한다.
  • DSM-5 기준상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신경인지장애의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외혈관질환, 다른 신경퇴행서질환, 물질의 효과, 또는 다른 정신, 신경학적, 전신질환이나 상태 등이 없어야 한다.

    정리 =>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뇌혈관질환이 없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알코올 금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도하게 장기적으로 사용하다가 중단(혹은 감량)후에 나타난다.
  2. 수시간에서 수일 이내에 진전, 오심 및 구토 등이 나타난다.
  3. 알코올 금단을 경험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전섬망을 경험한다.
  4. 알코올이나 벤조디아제핀을 투여하면 금단중상이 경감된다.
(정답률: 55%)
  • 알코올 금단을 경험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전섬망을 경험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 알코올 금단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며, 일부 사람들은 진전섬망을 경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이상행동의 설명모형 중 통합적 입장에 해당하는 것은?

  1. 대상관계이론
  2. 사회적 학습이론
  3. 소인-스트레스 모델
  4. 세로토닌-도파민 가성
(정답률: 64%)
  • 소인-스트레스 모델은 이상행동의 설명모형 중에서 통합적 입장에 해당합니다. 이 모델은 개인의 성격, 사회적 환경, 스트레스 요인 등 다양한 영향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이상행동을 유발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이 모델은 다양한 이론들을 종합하여 이상행동을 설명하는 통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 1번. 정신역동적 입장
    2번. 행동주의적 입장
    4번. 생물학적 입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에 알맞은 증상은?

  1. 우울기분-무가치감
  2. 불면-무가치감
  3. 우울기분-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4. 불면-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정답률: 71%)
  • 위 그림은 우울증의 대표적인 증상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우울기분은 특히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울증 환자들은 일상적으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관심이나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일상생활에서의 무기력감, 무관심함, 무기력함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울기분-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DSM-5 사회공포증 진단 기준이 틀린 것은?

  1. 사회적 상황에서 수치스럽거나 당혹스런 방식으로 행동할까봐 두려워한다.
  2. 공포가 너무 지나치거나 비합리적임을 인식하지 못한다.
  3. 공포, 불안, 회피는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4. 공포가 대중 앞에서 말하거나 수행하는 것에 국한될 때 수행형 단독으로 명시한다.
(정답률: 54%)
  • DSM-5 사회공포증 진단 기준에서 "공포가 너무 지나치거나 비합리적임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올바른 진단 기준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일반적인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과 구분되는 특징이며, 사회공포증의 핵심적인 특징은 사회적 상황에서 수치스럽거나 당혹스런 방식으로 행동할까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 사회공포증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공포가 과도하고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상심리학의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ippocrates는 정신병자에게 인도주의적 대우를 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사람이다.
  2. Kraepelin은 치료와 입원이 필요한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 체계를 제시하였다.
  3. 1939년에는 최초의 집단용 지능 검사인 Wechsler 검사가 제작되었다.
  4. 1948년 세계 보건 기구는 정신장애 분류 체계인 DSM-Ⅰ을 발표하였다.
(정답률: 48%)
  • Kraepelin은 치료와 입원이 필요한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 체계를 제시하였습니다.
  • 1번은 피넬 (Pinel)
    3번 최초용 집단용 지능검사는 군대알파검사(1917) Wechsler검사는 1946년
    4번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1952년 발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70세가 넘은 할아버지가 기억력 저하를 호소한다. 가장 가능성이 적은 문제는?

  1. 뇌경색
  2. 알츠하이머병
  3. 주요우울장애
  4. 정신병질
(정답률: 57%)
  • 정신병질은 7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뇌경색, 알츠하이머병, 주요우울장애와 같은 노인성 질환들이 더 일반적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70세가 넘은 할아버지가 기억력 저하를 호소한다면, 정신병질은 가장 가능성이 적은 문제입니다.
  • 정신병질(사이코패시, psychopathy)이라는 개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박장애는 DSM-5의 어느 진단 범주에 속하는가?

  1. 성격장애
  2.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 장애
  3.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4. 적응장애
(정답률: 79%)
  • 도박장애는 DSM-5에서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범주에 속합니다. 이는 도박에 대한 강한 욕구와 중독적인 행동 패턴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뇌의 보상 체계와 관련이 있으며, 도박을 중독과 유사한 상태로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을 가지고 적대적인 태도를 나타내어 사회적 부적응을 나타내는 성격특성을 지닌 것은?

  1. 편집성 성격장애
  2. 조현성 성격장애
  3. 반사회성 성격장애
  4. 연극성 성격장애
(정답률: 59%)
  • 편집성 성격장애는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을 가지고 적대적인 태도를 나타내어 사회적 부적응을 나타내는 성격특성을 지닌 것으로, 주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문제가 발생하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를 바꾸기 어려워서 치료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문화적 치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커플치료
  2. 집단치료
  3. 가족치료
  4. 게슈탈트
(정답률: 64%)
  • 게슈탈트는 인간의 인식과 인지에 대한 이론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문화적 치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커플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는 모두 정신장애 환자와 그 가족, 지인들이 함께 참여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전성이 높다.
  2. 학령전기에는 과잉행동이, 초등학생 시기에는 부주의 증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3. 페닐알리닌 수산화 효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4. 몇 가지의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을 12세 이전에 나타나야 한다.
(정답률: 52%)
  • "페닐알리닌 수산화 효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ADHD의 원인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ADHD는 유전적인 요인과 뇌 구조 및 기능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ADHD 증상은 학령전기에는 과잉행동이, 초등학생 시기에는 부주의 증상이 더욱 두드러집니다. 일부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은 12세 이전에 나타나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강간, 폭행, 교통사고, 자연재해.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등 충격적 사건에 뒤따라 침습증상, 지속적 회피,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ㅡ 각성과 반응성의 뚜렷한 변화 등이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는?

  1. 주요 우울증
  2. 공황장애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4. 강박장애
(정답률: 78%)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강간, 폭행, 교통사고, 자연재해,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등 충격적인 사건으로 인해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입니다. 이에 따라 침습적인 생각이나 기억, 지속적인 회피,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 각성과 반응성의 뚜렷한 변화 등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경계성 성격장애의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상관계적 이론가들은 초기에 부모로부터 수용받지 못해 자존감 상실, 의존성 증가, 분리에 대한 대처 능력 부족 등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2. 변증법적 행동치료에서는 내담자 중심 치료의 공감이나 무조건적인 수용을 비판하고 지시적인 방법으로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행동을 수정하는 데 집중한다.
  3. 정신역동적 치료자들은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아동기에 겪은 갈등을 치유하는 데 집중한다.
  4. 인지치료에서는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려고 한다.
(정답률: 6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현병의 증상 중 의지결여, 정서의 메마름, 언어빈곤, 사회적 철회 등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1. 양성 증상
  2. 음성 증상
  3. 혼란 증상
  4. 만성 증상
(정답률: 70%)
  • 음성 증상에 해당한다. 이는 현실과의 접촉이 떨어지고, 대화와 소통이 어려워지는 증상으로, 언어 빈곤, 사회적 철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양성 증상은 환청, 망상 등과 같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는 증상이며, 혼란 증상은 혼란, 혼돈, 불안 등을 경험하는 증상이다. 만성 증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우울증의 원인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리학적으로 세로토닌 수준이 높아지면 우울증에 걸리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2.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서 상징적 상실 또는 상상의 상실로 설명하고 있다.
  3. Beck의 인지이론에서 인지적 왜곡으로 우울증을 설명하고 있다.
  4.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없다는 느낌과 개인의 수동적 태도가 학습되어 무기력감을 가지게 된 결과가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주장이 있다.
(정답률: 65%)
  • 생리학적으로 세로토닌 수준이 높아지면 우울증에 걸리게 된다고 설명하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세로토닌 수준이 낮아지면 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로토닌은 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조절하는 약물이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신경발달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발달성 협응장애
  2.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3. 상동증적 운동장애
  4. 투렛장애
(정답률: 71%)
  •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는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이 아니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발달성 협응장애, 상동증적 운동장애, 투렛장애는 모두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으로서, 각각 의사소통, 운동, 행동 제어 등의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급식 및 섭식장애에서 부적절한 보상행동에 포함되는 것은?

  1. 폭식
  2. 과식
  3. 되새김
  4. 하제 사용
(정답률: 62%)
  • 하제 사용은 급식 및 섭식장애에서 부적절한 보상행동에 포함됩니다. 이는 음식 섭취를 제한하거나 감량시키기 위해 약물을 남용하는 것으로,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부적절한 보상행동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조현병의 좋은 예후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5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성별 불쾌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신의 1차 및 2차 성징을 제거하고자 하는 강한 갈망이 있다.
  2. 반대 성이 되고 있은 강한 갈망이 있다.
  3. 반대 성의 전형적인 느낌과 반응을 가지고 있다는 강한 확신이 있다.
  4. 강력한 성적 흥분을 느끼기 위해 반대 성의 옷을 입는다.
(정답률: 75%)
  • 강력한 성적 흥분을 느끼기 위해 반대 성의 옷을 입는다는 것은 성별 불쾌감과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해당 개인이 성적 흥분을 느끼기 위해 자극을 받는 방법 중 하나로서, 반대 성의 옷을 입는 것이 그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에 제시된 장애유형 중 같은 유형으로 모두 묶은 것은?

  1. ㄱ, ㄴ
  2. ㄴ,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률: 6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 ㄱ, ㄴ, ㄷ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의 하위 범주
    - ㄹ : 불안장애의 하위범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심리검사

41. 스탠포드-비네 지능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Q는 대부분의 점수가 100 근처에 모인다.
  2.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3. 언어 추리, 추상적/시각적 추리, 양, 추리, 단기기억 영역을 포함한다.
  4. IQ 분포는 종 모양의 정상분포 곡선을 그린다.
(정답률: 5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심리검사는 웩슬러(Wechsler)지능검사이다.
    1986년에 발행된 스탠포드-비네 지능검사 개정 4판의 경우 네 가지의 인지영역, 즉 언어추리ㅡ 수량추리, 추상적/시각적 추리, 단기기억을 포함하는 15개의 소검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MMPI-2내용척도 CYN의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근거 없는 염세적 신념을 보인다.
  2. 자신의 위선, 속임수를 정당화한다.
  3. 어려움에 쉽게 포기하거나 타인에게 복종한다.
  4. 쉽게 비난받는다고 여기며 타인을 경계한다.
(정답률: 58%)
  • MMPI-2의 CYN 척도는 비관적이고 불신적인 태도를 나타내며,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불신과 불신임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려움에 쉽게 포기하거나 타인에게 복종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CYN 척도와는 반대되는 특성으로, 쉽게 굴복하거나 타인의 의견에 따르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뇌손상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뇌손상 이후 일반적인 지적능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원래의 지적 능력 수준이 떨어진다.
  2.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모든 뇌손상환자들이 실어증을 수반한다.
  3. 뇌손상이 있는 환자는 복잡한 자극보다는 단순한 자극에 더 시지각장애를 보인다.
  4. 뇌손상이 있는 환자는 대부분 일차 기억보다 최신 기억을 더 상세하게 기억한다.
(정답률: 60%)
  • 뇌손상은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원래의 지적 능력 수준이 떨어지는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K-WAIS 검사 결과가 나타내는 정신장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강박장애
  2. 기질적 뇌손상
  3. 불안장애
  4. 반사회성 성격장애
(정답률: 6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강박장애: 전체 지능지수 110 이상
    언어성 지능 > 동작성 지능 : 강박적인 주지화 경향을 반영

    불안장애: 숫자외우기, 산수, 바꿔쓰기, 차례맞추기 점수가 낮음

    반사회성성격장애: 언어성 지능 < 동작성 지능
    소검사 간 분산이 심한 편
    바꿔쓰기, 차례맞추기 점수가 낮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준화된 검사가 다른 검사에 비하여 객관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타당도가 높기 때문이다.
  2. 규준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신뢰도가 높이 때문이다.
  4. 실시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65%)
  • 표준화된 검사는 규준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는 검사를 실시하는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기준으로 결과를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아지며, 실시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Rorschach 검사의 질문단계에서 검사자의 질문 또는 반응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말씀하신 것은 주로 형태인가요?”, “색깔인가요?”
  2. “당신이 어디를 그렇게 보았는지를 잘 모르겠네요,”
  3. “그냥 그렇게 보인다고 하셨는데 어떤 것을 말씀하지는 것인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4. “그것처럼 보이게 만든 것은 무엇인가요?”
(정답률: 57%)
  • “말씀하신 것은 주로 형태인가요?”, “색깔인가요?”는 이미지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질문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미지를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도와주는 질문이기 때문에 적절합니다.
  • 로샤검사의 질문단계
    - 로샤검사의 질문단계에서 얻어야 할 정보는 반응위치, 반응결정요인, 반응내용이다.
    - 검사자의 생각에 피검자가 그렇게 보았을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되어도 피검자가 자발적으로 말한 것이 아니라면 채점단계에서 디호화해서는 안 된다.
    - 기본적인 질문의 예
    ~당신이 본 것처럼 볼 수가 없군요.
    ~나도 그렇게 볼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세요.
    ~당신이 무엇 때문에 거기서 그렇게 보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 부분에서 그렇게 보도록 만든 것이 무엇이었는지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세요 등

    - 부적절한 질문의 예
    ~여기서 색채가 느껴졌나요?
    ~거기에 대해서 좀 더 다른 것을 말해 줄 수 있나요?
    ~모양이 그런가요, 아니면 색깔 때문인가요?
    ~남자인가요?, 여자인가요?
    ~이게 좀 더 컸다면 그렇게 보였을까요? 등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MMPI-2에서 4-6코드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기묘한 성적 강박관념과 반응을 가질 수 있다.
  2. 외향적이고 수다스러우며 사교적이면서도 긴장하고 안절부절못한다.
  3. 연극적이고 증상과 관련된 수단을 통해 사람을 통제한다.
  4. 자신의 잘못에 대해 타인을 비난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신의 통찰이 약하다.
(정답률: 59%)
  • 정답은 "자신의 잘못에 대해 타인을 비난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신의 통찰이 약하다." 이다. 이는 4-6코드의 대표적인 특성 중 하나인 "방어적인 태도"를 나타내며, 자신의 문제나 잘못을 인식하지 못하고 타인을 비난하거나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도는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한 자기성찰과 통찰력을 방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조직에서 직원을 선발할 때 적성검사를 사용하는 경우, 적성검사의 준거관련타당도는 어떻게 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적성검사의 요인을 분석한다.
  2. 적성검사와 다른 선발용 검사와의 상관을 구한다.
  3. 적성검사의 내용을 전문가들이 판단하도록 한다.
  4. 적성검사와 직원이 입사 후 이들이 직무수행점수와의 상관을 구한다.
(정답률: 67%)
  • 적성검사의 준거관련타당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적성검사와 직원이 입사 후 이들이 직무수행점수와의 상관을 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적성검사가 실제 직무수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적성검사의 내용이나 다른 검사와의 상관성 등을 확인하는 것이지만, 직무수행점수와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MMPI-2에서 임상척도의 중요성을 평가할 때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체프로파일 해석에서 타당도척도보다 임상척도를 먼제 해석해야 한다.
  2. 정신병리에 대해 임상척도와 소척도를 함께 살펴봐야 한다.
  3. 정신병리를 측정하는 내용 척도 및 내용 소척도와도 비교해야 한다.
  4. 연령이나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임상척도들 사이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72%)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전체 프로파일 해석에서 임상척도보다 타당도척도를 먼저 해석해야 한다.
  • 전체 프로파일 해석에서 임상척도보다 타당도척도를 먼저 해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실행적 기능(executive function)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손상된 환자에 대한 평가결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BGT에서 도형의 배치 순서를 평가하는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다.
  2. Trail Making Test에서 반응시간이 평균보다 2표준편차이상 높았다.
  3. Stoop test의 간섭시행 단계에서 특히 점수가 낮았다.
  4.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상식 소검사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정답률: 6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WAIS-IV의 연속적인 수준 해석 절차의 2단계는?

  1. 소검사 반응내용 분석
  2. 전체척도 IQ해석
  3. 소검사 변산성 해석
  4. 지수점수 및 CHC 군집 해석
(정답률: 41%)
  • WAIS-IV의 연속적인 수준 해석 절차의 2단계는 "지수점수 및 CHC 군집 해석"이다. 이는 WAIS-IV에서 측정된 다양한 지수점수를 기반으로 CHC 이론에 따라 군집화하여 해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지능 프로파일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개인화된 평가와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신경인지장애가 의심되는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검사는?

  1. NEO-PI-R
  2. MMSE
  3. COWA Test
  4. CERAD
(정답률: 51%)
  • 정답: "NEO-PI-R"

    이유: "NEO-PI-R"은 성격 검사로, 신경인지장애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검사이기 때문에 신경인지장애가 의심되는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MMSE", "COWA Test", "CERAD"는 모두 신경인지기능 검사로, 신경인지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 적합한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동용 시지각-운동통합의 발달검사로, 24개의 기하학적 형태의 도형으로 이루어진 지필검사는?

  1. VMI
  2. BGT
  3. CPT
  4. CBCL
(정답률: 46%)
  • VMI는 "Visual-Motor Integration"의 약자로, 시지각-운동통합 능력을 검사하는 도구입니다. 24개의 기하학적 형태의 도형을 그리는 지필검사를 통해 아동의 시지각 능력과 운동능력이 얼마나 조화롭게 작동하는지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VMI가 정답입니다. BGT는 "Bender Gestalt Test", CPT는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BCL은 "Child Behavior Checklist"의 약자로, 모두 다른 종류의 발달검사나 행동평가 도구입니다.
  • BGT검사는 기하학적 도형 그려진 카드가 9개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능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Thurstone은 지능이 g요인과 s요인으로 구분하여 지능의 개념을 가정하였다.
  2. Cattell은 지능을 선천적이며 개인의 경험과 무관한 결정성 지능과, 후천적이며 학습된 지식과 관련된 유동성 지능으로 구분하였다.
  3. Gardner는 다중지능을 기술하여 언어적, 음악적, 공간적 등 여러 가지 지능이 있다고 하였다.
  4. Spearman은 지능을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다요인설을 주장하고, 이를 인간의 기본정신능력이라고 하였다.
(정답률: 42%)
  • Gardner는 다중지능을 기술하여 언어적, 음악적, 공간적 등 여러 가지 지능이 있다고 하였다.
  • 1번-> 스피어만
    2번-> 카텔과 혼: 지능을 유동성지능과 결정성지능으로 구분
    4번 ->서스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노인을 대상으로 HTP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노인의 보호자가 옆에서 지켜보면서 격려하도록 한다.
  2. HTP 실시할 때 각 대상은 별도의 용지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3. 그림을 그린 다음에는 수정하지 못하게 한다.
  4. 그림이 완성된 후 보호자에게 사후 질문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률: 69%)
  • HTP 검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이므로, 각 대상은 별도의 용지를 사용하여 실시해야 합니다. 이는 다른 대상의 그림을 보고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HTP를 실시할 때 집, 나무, 사람 각각에 대한 별지를 제공하여 대상자에게 그리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발달검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동을 직접 검사하지 않고 보호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발달검사도구도 있다.
  2. 발달검사의 목적은 유아의 지적능력 파악이 주목적이다.
  3. 영유아 기준 발달상 미숙한 단계이므로 다양한 영역을 측정하기 어렵다.
  4. 발달검사는 주로 언어이해 및 표현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5%)
  • "아동을 직접 검사하지 않고 보호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발달검사도구도 있다."라는 설명이 옳은 이유는, 일부 발달검사는 아동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나 아동의 건강상의 이유로 직접 검사할 수 없는 경우에 보호자의 보고를 통해 아동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MPI의 타당도 척도 중 평가하는 내용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F
  2. K
  3. L
  4. S
(정답률: 41%)
  • MMPI의 타당도 척도 중 "F"는 "fake bad"를 평가하는 내용으로, 다른 척도들은 보통의 심리적 상태를 평가하는 반면 "F"는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답변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F"는 나머지 척도들과는 목적과 대상이 다르다.
  • 1번 : 비전형성
    2, 3, 4번 : 방어성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Guilford의 지능구조(Structure of Intellect, SOI) 3요소가 아닌 것은?

  1. 조작(operations)
  2. 내용(contents)
  3. 과정(processes)
  4. 결과물(products)
(정답률: 34%)
  • Guilford의 지능구조에서는 조작, 내용, 결과물이 지능의 세 가지 요소로 간주되며, 과정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Guilford는 지능을 다양한 조작(operations)으로 구성되는 내용(contents)을 처리하여 결과물(products)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따라서 과정은 Guilford의 지능구조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MMPI-2에서 타당성을 고려할 때 “?” 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척도별 “?” 반응의 비율을 확인해 보는 것은 유용할 수 있다.
  2. “?” 반응이 300번 이내의 문항에서만 발견되었다면 L, F, K 척도는 표준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3. “?” 반응이 3개 미만인 경우에도 해당 문항에 대한 재반응을 요청하는 등의 사전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4. “?” 반응은 수검자가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을 경우뿐만 아니라 ‘그렇다’와 ‘아니다’에 모두 응답했을 경우에도 해당된다.
(정답률: 5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K-WISC-IV를 통해 일반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소검사끼리 바르게 묶인 것은?

  1. 공통그림찾기, 단어추리, 순차연결
  2. 상식, 숫자, 동형찾기
  3. 공통성, 토막짜기, 이해
  4. 행렬추리, 기호쓰기, 어휘
(정답률: 53%)
  • 공통그림찾기, 단어추리, 순차연결은 모두 각각 다른 능력을 측정하는 소검사이기 때문에 바르게 묶인 것이 아니다. 상식, 숫자, 동형찾기는 각각 다른 유형의 능력을 측정하지만, 이들은 일부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서 바르게 묶인 것이 아니다. 반면에 공통성, 토막짜기, 이해는 모두 추론과 관련된 능력을 측정하며, 이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바르게 묶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상심리학

61. 건강심리학 분야의 초점 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혈압
  2. 과민성 대장증후군
  3. 결핵
  4. 통증
(정답률: 63%)
  • 건강심리학은 심리적인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결핵"은 신체적인 질병으로, 건강심리학 분야의 초점 영역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결핵은 주로 의학 분야에서 다루어지며, 감염병 예방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아동을 상담할 때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동에게 치료 중 일어난 일은 성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모 등에게는 반드시 비밀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2. 아동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에 놀이의 기능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3. 아동은 발달과정에 있기 때문에 생활조건을 변화시키는데 있어 거의 무력하다.
  4. 이동은 부모에게 의존적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담자는 가족의 역동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아동에게 치료 중 일어난 일은 성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모 등에게는 반드시 비밀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다. 이는 아동의 개인정보와 개인적인 경험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아동은 성인과 달리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부모나 다른 성인에게 노출시키는 것은 아동의 심리적 안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는 아동의 개인정보와 경험을 보호하면서도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역사회 심리학에서 지향하는 바가 아닌 것은?

  1. 자원 봉사자 등 비전문 인력의 활용
  2. 정신 장애의 예방
  3. 정신 장애인의 사회 복귀
  4. 정신병원시설의 확장
(정답률: 64%)
  • 지역사회 심리학에서는 정신병원시설의 확장을 지향하지 않습니다. 이는 지역사회 심리학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정신건강의 지역사회적 접근성"을 실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지역사회 심리학은 정신건강 서비스를 지역사회에서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정신병원시설의 확장보다는 지역사회에서의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과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심리치료 장면에서 치료자의 3가지 기본 특성 혹은 태도가 강조된다. 이는 인간중심심리치료의 기본적 치료 기제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치료자의 기본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무조건적인 존중
  2. 정확한 공감
  3. 적극적 경청
  4. 진솔성
(정답률: 4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임상심리학자의 윤리에 관한 일반원칙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

  1. 공정성
  2. 유능성
  3. 성실성
  4. 권리와 존엄성의 존중
(정답률: 42%)
  • 임상심리학자는 환자의 건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공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공정성은 모든 환자에게 동등한 대우를 하고, 어떤 환자도 차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임상심리학자는 환자의 인종, 성별, 종교, 경제적 지위 등과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공정하게 대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Dougherty가 정의한 임상심리학자들의 6가지 공통적인 자문 역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협력자
  2. 진상 조사자
  3. 옹호자
  4. 조직 관리자
(정답률: 42%)
  • 조직 관리자는 일반적으로 임상심리학자가 아니며, 조직의 운영과 관리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Dougherty가 정의한 임상심리학자들의 6가지 공통적인 자문 역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직 관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심리치료기법에서 해석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핵심적인 주제가 더 잘 드러나도록 사용한다.
  2. 저항에 대한 해석보다는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해석을 우선시 한다.
  3. 내담자가 상담자의 해석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부터 해석한다.
  4. 내담자의 생각 중 명확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담자가 추리하여 설명해준다.
(정답률: 46%)
  • "핵심적인 주제가 더 잘 드러나도록 사용한다."는 적절한 설명이다. 이유는 심리치료에서 해석은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갈등을 드러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주제를 더 잘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저항에 대한 해석보다는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해석을 우선시 한다."가 적절한 설명이다. 이유는 저항은 내담자가 심리치료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지만, 무의식적 갈등은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부분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내담자가 상담자의 해석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부터 해석한다."와 "내담자의 생각 중 명확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담자가 추리하여 설명해준다."는 해석의 순서와 관련된 설명이므로 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 중 단체생활의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환자들의 행동문제들을 개선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은?

  1. 자기주장훈련(self-assertiveness training)
  2.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3. 유관성 관리(contingency management)
  4. 내재적 예민화(covert sensitization)
(정답률: 65%)
  • 유관성 관리는 행동을 보상하거나 벌을 주어 원하는 행동을 강화하고 원하지 않는 행동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단체생활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환자들에게는 원하는 행동을 보상하고 원하지 않는 행동에 대해서는 벌을 주어 규칙을 지키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자기주장훈련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으로, 행동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체계적 둔감법은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행동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내재적 예민화는 원하지 않는 행동에 대한 불쾌감을 유발하여 억제하는 방법으로, 유관성 관리와는 다른 접근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950년대 이후 정신역동적 접근에 대한 대안적 접근들이 임상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형태주의적 접근
  2. 행동주의적 접근
  3. 가족체계적 접근
  4. 생물심리사회적 접근
(정답률: 34%)
  • 형태주의적 접근은 개인의 내면적인 경험보다는 행동이나 언어와 같은 외부적인 형태에 집중하는 접근이다. 따라서 정신역동적인 측면보다는 행동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개인의 내면적인 경험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1950년대 이후 정신역동적 접근이 대두되면서 대안적으로 제시된 접근 중에서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이다.
  • 게슈탈트치료는 Perls가 1940년대에 실존철학에 입각해서 정신분석치료를 현대화시킨 치료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자해 행동을 보이는 아동에 대한 심리평가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모면접
  2.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3. 투사법 검사
  4. 행동평가
(정답률: 50%)
  • 자해 행동은 주로 행동적인 측면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행동평가가 가장 적합합니다. 행동평가는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문제가 되는 행동의 원인과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처 전략을 제시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따라서 자해 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경우, 행동평가를 통해 문제를 파악하고 대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인 부모면접,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투사법 검사는 각각 부모나 아동의 주관적인 의견이나 성격적인 측면을 파악하는 평가 방법이므로, 자해 행동을 평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혐오치료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애는?

  1. 광장공포증
  2. 소아기호증
  3. 우울증
  4. 공황장애
(정답률: 60%)
  • 소아기호증은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겪는 강박증 중 하나로, 혐오적인 생각이나 행동에 대한 강박적인 욕구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강박적인 욕구는 혐오치료를 통해 완화될 수 있으며, 또한 어린이들의 경우 조기에 치료를 받으면 장기적인 영향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아기호증은 혐오치료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에 제시된 방어기재 중 Vaillant의 성숙한 방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승화
  2. 유머
  3. 이타주의
  4. 합리화
(정답률: 71%)
  • 성숙한 방어기제: 이타주의, 금욕주의, 유머, 승화 등
    미성숙 방어기제: 행동화, 동일화, 신체화, 퇴행 등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어떤 치료에 대한 설명인가?

  1. ACT(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2. DBT(Dialectical Behavior Therapy)
  3.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4.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정답률: 56%)
  • DBT(Dialectical Behavior Therapy)는 감정조절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치료로, 인지행동치료와 명상, 마인드풀니스 기법 등을 활용하여 감정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원판 MMPI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T점수로 변환되어 모든 척도 점수의 분포가 동일한 정규 분포가 되도록 했다.
  2. 적어도 중학생 이상의 독해능력 혹은 IQ 80이상 등의 조건에서 실시한다.
  3.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맹목 해석(blind interpretation)을 하지 말아야 한다.
  4. 개별 척도의 의미 뿐만 아니라 척도의 연관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4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투과검사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환자의 성격구조가 드러나며, 욕구, 소망, 또는 갈등을 표출시킨다.
  2. 자극재료의 모호성이 풍부하다.
  3. 반응범위가 거의 무한하게 허용된다.
  4. 환자의 욕구나 근심이 드러나도록 구조화하여 질문한다.
(정답률: 66%)
  • 투과검사는 환자의 내면을 파악하기 위한 심리검사 방법으로, 환자의 성격, 감정, 욕구 등을 드러내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다. 하지만 "환자의 욕구나 근심이 드러나도록 구조화하여 질문한다."는 일반적인 특성이 아니라 특정한 방법론 중 하나인 프리애소시에이션 방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환자가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내용을 드러내기 위해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투사검사는 비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환자의 욕구나 근심이 무의식 중에 발현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DSM-5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DSM-IV에 있던 GAF 점수 사용을 중단하였다.
  2. DSM-IV에 있던 다축진단체계를 유지한다.
  3. 모든 진단은 정신병리의 차원모형에 근거하고 있다.
  4. DSM-IV에 있던 모든 진단이 유지되었다.
(정답률: 42%)
  • 정답: DSM-5에 있던 GAF 점수 사용을 중단하였다. 이유는 GAF 점수가 신뢰성과 타당성이 떨어지며, 다양한 문제점이 있어 대안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적으로 의미적 인출(semantic retrieval)및 일화적 부호화(episodic encoding)를 담당하는 곳은?

  1. 브로카의 영역
  2. 우전전두 피질 영역
  3. 베르니케 영역
  4. 좌전전두 피질 영역
(정답률: 31%)
  • 좌전전두 피질 영역은 언어 이해와 기억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의미적 인출과 일화적 부호화를 담당합니다. 이 영역은 언어 이해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언어적인 손상이 있는 환자들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 영역은 언어 이해와 기억에 필수적인 영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어떤 조건형성에 해당하는가?

  1. 지연 조건형성
  2. 흔적 조건형성
  3. 동시 조건형성
  4. 후향 조건형성
(정답률: 40%)
  • 이 그림은 흔적 조건형성에 해당한다. 흔적 조건형성은 이전에 일어난 자극이 뒤따라오는 자극에 영향을 미치는 형성 방식으로, 이 그림에서는 먼저 나타난 자극인 "A"가 뒤따라오는 자극인 "B"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행동평가 방법 중 참여관찰법에 비교할 때 비참여 관찰법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담자의 외현적 행동을 기록하는데 유리하다.
  2. 관찰자 훈련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3. 관찰자가 다른 활동 때문에 관찰에 지장을 받아 기록에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4. 행동에 관한 정밀한 측정이 요구되고, 연구자가 충분한 인적 자원을 갖고 있는 경우 유용하다.
(정답률: 51%)
  • 비참여 관찰법은 관찰 대상이 특정 활동을 수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외현적 행동을 기록하는 데는 유리하지만, 관찰자가 다른 활동 때문에 관찰에 지장을 받아 기록에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는 특성이 있다. 이는 참여관찰법과는 달리 관찰 대상이 특정 활동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관찰자가 다른 활동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찰자의 역량과 전문성이 요구되며,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훈련과 준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평가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Pearson's Γ
  2. 계층 간 상관계수
  3. Kappa 계수
  4. Cronbach's alpha
(정답률: 43%)
  • Cronbach's alpha는 평가 대상의 내부 일관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평가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지표들은 평가자간 신뢰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 4번 크론바흐 알파 : 내적 일관성에 의한 신뢰도를 평가하는 데 많이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심리상담

81. 청소년 상담에서 특히 고려해야 할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인 청소년의 발달과정에 대한 규준적 정보
  2. 한 개인의 발달단계와 과업수행 정도
  3. 내담자 개인의 영역별 발달수준
  4. 내담자의 이전 상담경력과 관련된 사항
(정답률: 57%)
  • 청소년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이전 상담경력과 관련된 사항을 특히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이전에 받았던 상담이나 치료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결과 등이 현재 상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전 상담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가 현재 상담에서 다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청소년 상담에서도 중요하지만, 이전 상담경력과 관련된 사항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 내담자 이전 상담경력과 관련된 사항은 성인상담이나 청소년상담에서 똑같이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청소년상담을 진행함에 있어 무엇보다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청소년 내담자의 발달수준과 발달과업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AA(Alcoholic Anonymous)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대표적인 특징은?

  1. 알코올 중독 치료 후에 사교적인 음주를 허용한다.
  2. 술이나 중독물의 부작용을 생생하게 상상하고 논의한다.
  3. 알코올 중독을 병으로 인정하고 단주를 목표로 한다.
  4. 술과 함께 심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혐오적 약물치료를 한다.
(정답률: 58%)
  • AA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대표적인 특징은 "알코올 중독을 병으로 인정하고 단주를 목표로 한다." 이다. 이는 AA의 핵심 원칙 중 하나로, 알코올 중독을 병으로 인식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단주를 목표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회원들은 술을 완전히 포기하고, 대신 건강한 삶을 추구하게 된다.
  • Alcoholic Anonymous: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사이버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이버상담은 전화상담처럼 자살을 비롯한 위기 상담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갖고 시작되었다.
  2. 사이버상담자들의 전문성과 윤리성 등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체제가 필요하다.
  3. 사이버상담의 전문화를 위해 기존 면대면상담과는 다른 새로운 상담기법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4. 사이버상담은 기존의 면대면상담과 전화상담에 참여하지 않았던 새로운 내담자군의 출현을 가져왔다.
(정답률: 65%)
  • "사이버상담은 전화상담처럼 자살을 비롯한 위기 상담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갖고 시작되었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사이버상담은 위기 상담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담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이버상담의 목적은 위기 상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학습문제 상담의 시간관리전략에서 강조하는 것은?

  1. 기억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도록 노력한다.
  2. 학습의 목표를 중요도와 긴급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3. 시험이 끝난 후 오답을 점검한다.
  4. 처음부터 장시간 공부하기 보다는 조금씩 자주 하면서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정답률: 56%)
  • 학습의 목표를 중요도와 긴급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입니다. 목표를 구체적으로 수립하면 어떤 것을 언제까지 해야하는지 명확해지고, 그에 따라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중요하고 긴급한 일에 우선순위를 두어 더 많은 것을 단기간 내에 완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상담의 초기단계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움을 청하는 직접적인 이유의 확인
  2. 과정적 목표의 설정과 달성
  3. 상담 진행방식의 합의
  4. 촉진적 상담관계의 형성
(정답률: 70%)
  • 상담의 초기단계에서는 도움을 청하는 직접적인 이유의 확인, 상담 진행방식의 합의, 촉진적 상담관계의 형성 등이 중요한데,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과정적 목표의 설정과 달성이다. 이는 보다 나은 결과를 위해 상담의 중간 혹은 후반부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으로, 초기단계에서는 이에 대한 고민보다는 상담의 기본적인 방향성과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Rogers의 인간중심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담자는 불일치 상태에 있고 상처받기 쉬우며 초조하다.
  2.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일치성을 보이며 통합적이다.
  3.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적 참조 틀을 바탕으로 한 공감적 이해를 경험하고 내담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전달하려고 시도한다.
  4. 내담자는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상담자의 선택적인 긍정적 존중 및 공감적 이해를 지각하고 경험한다.
(정답률: 3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상담자가 내담자를 직면시키기에 바람직한 시기가 아닌 것은?

  1. 문제가 드러날 때 즉각적으로 내담자의 잘못을 직면시켜서 뉘우치게 한다.
  2. 내담자와 적당한 신뢰관계가 형성되었을 때 시도한다.
  3. 내담자의 말과 행동의 불일치가 보일 때 시도한다.
  4.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진 내담자가 처음 긍정적인 진술을 할 때 시도한다.
(정답률: 57%)
  • "문제가 드러날 때 즉각적으로 내담자의 잘못을 직면시켜서 뉘우치게 한다."가 바람직한 시기가 아닌 이유는 내담자가 더욱 방어적이 되어 상담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와 적당한 신뢰관계가 형성되었을 때나 내담자의 말과 행동의 불일치가 보일 때 시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진 내담자가 처음 긍정적인 진술을 할 때 시도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사례에서 사용된 상담기법은?

  1. 조건자극 줄이기(narrowing)
  2. 행동 감소법(action-reducing)
  3. 연결 끊기(link-cutting)
  4. 중독 둔감법(de-sensing)
(정답률: 40%)
  • 이 사례에서 사용된 상담기법은 "조건자극 줄이기(narrowing)"이다. 이는 고객이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불안을 유발하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고객의 불안을 줄이는 기법이다. 이 사례에서는 고객이 자신의 계좌를 확인하고 싶어하는데, 이를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뱅킹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고객이 은행에 방문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객이 은행에 방문할 때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편리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Adler 상담이론의 주요 개념이 아닌 것은?

  1. 우월성 추구
  2. 자기 초월
  3. 생활양식
  4. 사회적 관심
(정답률: 4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상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윤리적 갈등의 해결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ㄷ→ㄴ→ㄹ
  2. ㄴ→ㄷ→ㄱ→ㄹ
  3. ㄷ→ㄱ→ㄴ→ㄹ
  4. ㄷ→ㄱ→ㄹ→ㄴ
(정답률: 67%)
  • 정답은 "ㄷ→ㄱ→ㄴ→ㄹ" 입니다.

    1. 윤리적 갈등이 발생하면 먼저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정의합니다. (ㄷ)
    2. 문제를 정의한 후, 윤리적 원칙과 규범을 검토하고 적용 가능한 대안을 모색합니다. (ㄱ)
    3. 대안을 모색한 후, 이를 평가하고 선택합니다. (ㄴ)
    4. 선택한 대안을 실행하고 결과를 평가합니다. (ㄹ)

    따라서, "ㄷ→ㄱ→ㄴ→ㄹ"이 올바른 답입니다.

    이유는, 윤리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정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윤리적 원칙과 규범을 검토하고 적용 가능한 대안을 모색한 후, 이를 평가하고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선택한 대안을 실행하고 결과를 평가합니다.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윤리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집단상담의 후기 단계에서 주어지는 피드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성원들에게 친밀감, 독립적인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2. 긍정적인 피드백은 적절한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3. 지도자는 효과적인 피드백 모델이 될 수 있다.
  4. 교정적인 피드백이 긍정적인 피드백보다 중요하다.
(정답률: 70%)
  • "교정적인 피드백이 긍정적인 피드백보다 중요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긍정적인 피드백은 적절한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이다. 이유는 긍정적인 피드백은 구성원들에게 자신감을 높이고 성과를 인정받는 기분을 느끼게 하여 적극적인 참여와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정적인 피드백은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제공되어야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종류의 피드백은 모두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성피해자에 대한 심리치료 과정 중 초기 단계에서 상담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치료의 관계형성을 위해 수치스럽고 창피한 감정이 정상적인 감정임을 공감한다.
  2. 피해상황에 대한 진술은 상담자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성피해 사실에 대한 내담자의 부정을 허락한다.
  4. 내담자에게 치료자에 대한 감정을 묻고 치료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정답률: 70%)
  • 정답: "피해상황에 대한 진술은 상담자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유: 초기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피해를 입은 상황에 대해 말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담자가 주도하여 진술을 이끌어내야 한다. 이는 내담자의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치료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후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자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진로상담의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담자가 이미 결정한 직업적인 선택과 계획을 확인하도록 돕는다.
  2. 내담자가 자신의 직업적 목표를 명확하게 해 준다.
  3.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와 직업세계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도록 한다.
  4. 직업선택과 직업생활에서 순응적인 태도를 함양하도록 돕는다.
(정답률: 67%)
  • 다른 보기들은 진로상담의 목표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직업선택과 직업생활에서 순응적인 태도를 함양하도록 돕는다."는 내담자의 직업적인 선택과 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선택한 직업이나 직장에서 일하는 동안 필요한 태도와 습관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설명에서 해당하는 Golan의 위기단계는?

  1. 취약상태
  2. 촉진적요인
  3. 위기상태
  4. 재통합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상담의 바람직한 목표설정 방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한다.
  2. 목표는 실현가능해야 한다.
  3. 목표는 상담자의 의도에 맞추어야 한다.
  4. 목표는 내담자가 원하고 바라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70%)
  • "목표는 내담자가 원하고 바라는 것이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내담자의 바람과 목표가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내담자가 원하는 것과 상황에 맞지 않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효과적인 상담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설정하고, 상담자는 내담자의 의도와 상황을 고려하여 목표를 조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게슈탈트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조자아(auxiliary ego) 활용은 집단 상담에 많이 사용하는 기법으로 한 구성원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2. 알아차림(awareness)과 접촉(contact)을 방해하는 한 요인인 융합(confluence)은 자신과 타인의 경계가 불분명한 지점에서 타인의 의견에 동의하는 것이다.
  3. Zinker는 알아차림-접촉 주기를 배경, 감각, 알아차림, 에너지/흥분, 행동, 접촉 등 여섯 단계로 설명한다.
  4. 알아차림은 개체가 자신의 유기체적 욕구나 감정을 지각한 다음 게슈탈트를 형성하여 명료한 전경으로 떠올리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0%)
  • "보조자아(auxiliary ego) 활용은 집단 상담에 많이 사용하는 기법으로 한 구성원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 보조자아는 사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의 삶 속에 등장하는 인물 혹은 그의 내면 세계가 지니는 다양한 측면을 최대한 정확하게 재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 제시된 집단상담 경험에 해당하는 치료적 요인은?

  1. 자기이해
  2. 대리학습
  3. 정화
  4. 대인간 행동학습
(정답률: 55%)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집단상담은 갈등 상황에서 참여자들이 서로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하며,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험은 "정화" 치료적 요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처벌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강도
  2. 융통성
  3. 일관성
  4. 즉시성
(정답률: 72%)
  • 처벌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강도, 일관성, 즉시성이다. 이는 처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다. 하지만 융통성은 처벌의 적용 범위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처벌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니다. 융통성은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지만, 처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강도, 일관성, 즉시성이 더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기본적 오류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단기상담에 적합한 내담자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반사회적 성격장애가 있다.
  2. 구체적이거나 발달과정상의 문제가 있다.
  3. 지지적인 대화상대자가 전혀 없다.
  4.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
(정답률: 53%)
  • 단기상담은 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내담자의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문제나 발달과정상의 문제가 있는 내담자일수록 상담자는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라는 문제를 제기했다면, 상담자는 이 문제가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등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달과정상의 문제가 있는 내담자라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발달단계에 맞는 방법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