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07)

임상심리사 2급
(2021-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심리학개론

1.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조건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배열할 때 조건형성효과가 가장 오래 지속되는 배열은?

  1. 후진 배열
  2. 흔적 배열
  3. 지연 배열
  4. 동시적 배열
(정답률: 64%)
  • 지연 배열은 조건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동시에 제시하고, 조건자극이 먼저 나타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무조건 자극이 나타나는 배열입니다. 이러한 배열은 조건형성 효과가 가장 오래 지속되며, 조건자극과 무조건 자극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조건형성의 원리와 그에 해당하는 예를 잘못 연결시킨 것은?

  1. 조작적 조건형성의 응용 - 행동수정
  2. 소거에 대한 저항 – 부분강화 효과
  3. 강화보다 처벌 강조 - 행동조성
  4. 고전적 조건형성의 응용 – 유명연예인 광고모델
(정답률: 77%)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행동조성은 학습하기를 원하는 행동이나 기술을 습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이 나타날 때 이를 ‘강화’함으로써 학습하기 원하는 행동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나간다.
  • 행동조성은 학습하기를 원하는 행동이나 기술을 습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이 나타날 때 이를 ‘강화’함으로써 학습하기 원하는 행동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나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성격의 5요인 이론 중 다른 사람들의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사람들을 신뢰하고, 다른 사람에 대해 편견을 덜 갖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은?

  1. 개방성(Openness)
  2. 외향성(Extraversion)
  3. 우호성(Agreeableness)
  4. 성실성(Conscientiousness)
(정답률: 77%)
  • 우호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적극적이며,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게 대처하며,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격 특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원만한 대화와 협력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며,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의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사람들을 신뢰하고, 다른 사람에 대해 편견을 덜 갖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은 우호성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부인
  2. 투사
  3. 전위
  4. 주지화
(정답률: 84%)
  • 이 그림은 광선이 물체에 닿아 그림자가 생기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때 그림자가 생기는 물체를 투사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투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설명으로 해당하는 것은?

  1. 사회학습 이론
  2. 인지발달 이론
  3. 성 도식 이론
  4. 정신분석학 이론
(정답률: 88%)
  • 위 그림은 성 도식 이론에서 사용되는 "성 도식 피라미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 도식 이론은 인간의 성적 욕구가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이론입니다. 이에 따라 성적 욕구는 사회적인 영향을 받아 발생하며, 이를 "성 도식"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성 도식 피라미드는 이러한 성 도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성 도식 이론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심리검사의 오차유형 중 측정 결과에 변화를 주는 것은?

  1. 해석적 오차
  2. 항상적 오차
  3. 외인적 오차
  4. 검사자 오차
(정답률: 49%)
  • 외인적 오차는 측정 대상자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오차로, 예를 들어 검사자의 태도나 행동,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나 환경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이 오차는 측정 결과에 변화를 주는 오차 유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로이트(S. Freud)의 성격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아는 현실원리를 따르며 개인이 현실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2. 자아는 일차적 사고과정을 따른다.
  3. 자아는 자아이상과 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초자아는 성적욕구와 관련된 것으로 쾌락의 원리를 따른다.
(정답률: 86%)
  • 프로이트의 성격 구조에서 자아는 현실원리를 따르며 개인이 현실에 적응하도록 돕는다는 것은, 자아가 현실적인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아가 일차적 사고과정을 따르며, 현실적인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아는 현실원리를 따르며 개인이 현실에 적응하도록 돕는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검사에 포함된 각 질문 또는 문항들이 동일한 것을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내적일치도
  2. 경험타당도
  3. 구성타당도
  4. 준거타당도
(정답률: 70%)
  • "내적일치도"는 검사에 포함된 각 질문 또는 문항들이 서로 동일한 것을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검사의 각 문항들이 서로 일관성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검사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성격과 환경간의 상호작용 중 개인의 성격은 타인으로부터 독특한 반응을 이끌어낸다는 것은?

  1. 유도적 상호작용
  2. 반응적 상호작용
  3. 주도적 상호작용
  4. 조건적 상호작용
(정답률: 49%)
  • 개인의 성격이 타인으로부터 독특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은 유도적 상호작용이다. 이는 개인의 성격이 타인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자극하여 그에 대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서 유도적 상호작용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유도적 상호작용

    개인의 성격, 즉 기질적 차이는 타인으로부터 서로 다른 독특한 반응을 이끌어낸다.
    예) 신경질적인 영아는 유순한 영아보다 부모의 보살핌을 덜 이끌어낸다.

    - 반응적 상호작용

    동일한 환경을 접하더라도 개인은 환경을 다르게 해석하고 경험하며 반응한다.
    예) 외향적인 성격의 형과 내향적인 성격의 동생은 부모의 처벌을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 주도적 상호작용

    개인이 자신의 환경을 선택하고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강조한다.
    예) 사교적인 아동은 집에 혼자 있기보다는 친구들과 어울려 놀러 다니는 경험을 많이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캘리(Kelly)의 개인적 구성개념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격 연구의 목적은 개인이 자신과 자신의 사회적 세상을 해석하는데 사용하는 차원을 찾는 것이어야 한다.
  2. 개개인을 직관적으로 과학자로 보아야 한다.
  3. 특질검사는 개인의 구성개념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4. 구성개념의 대조 쌍은 논리적으로 반대일 필요가 없다.
(정답률: 43%)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켈리는 한 개인이 세계를 어떻게 해석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역할구성개념 목록검사'를 개발하였다. 역할구성개념 목록검사는 한 개인의 구성개념 체계의 복합성과 일생에 걸친 구성개념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사용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성격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성격에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하고 독특한 성질이 포함된다.
  2. 개인의 독특성은 시간이 지나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변함없이 일관성을 지닌다.
  3. 성격은 다른 사람이나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관계에서 행동양식을 통해 드러난다.
  4. 성격은 타고난 것으로 개인이 속한 가정과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92%)
  • "성격은 타고난 것으로 개인이 속한 가정과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성격은 개인이 타고난 성격적 특성과 함께 가정, 교육, 문화, 사회적 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기기억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정보의 용량이 매우 제한적이다.
  2.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 불린다.
  3. 현재 의식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4. 거대한 도서관에 비유할 수 있다.
(정답률: 89%)
  • 단기기억의 특성이 아닌 것은 "거대한 도서관에 비유할 수 있다." 입니다. 이유는 단기기억은 정보의 용량이 매우 제한적이며, 현재 의식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 불린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대한 도서관에 비유할 수 있다는 것은 단기기억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 현저한 상황적 원인들은 지나치게 강조하고 사적인 원인들은 미흡하게 강조하는 것은?

  1. 사회억제 효과
  2. 과잉정당화 효과
  3. 인지부조화 효과
  4. 책임감 분산 효과
(정답률: 73%)
  • 과잉정당화 효과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 상황적 원인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사적인 원인을 미흡하게 강조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회피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적인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 상황적 원인을 과장하고, 사적인 원인을 부정적으로 표현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구방법의 주요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 : 한 변인의 여러 값들에 숫자를 할당하는 체계
  2. 실험 : 원인과 결과에 대한 가설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것
  3. 실험집단 : 가설의 원인이 제공되지 않는 집단
  4. 독립변인 : 실험자에 의해 정밀하게 통제되는 가설의 원인으로서 참가자의 과제와 무관한 변인
(정답률: 72%)
  • "실험집단 : 가설의 원인이 제공되지 않는 집단"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험집단은 가설의 원인을 제공하는 집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사랑의 3가지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관심(Attention)
  2. 친밀감(Intimacy)
  3. 열정(Passion)
  4. 투신(Commitment)
(정답률: 43%)
  •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관심(Attention)"은 사랑의 3가지 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관심은 사랑의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단순히 상대방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은 사랑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는 친밀감, 열정, 헌신이 사랑의 요소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람들은 혼자 있을 때보다 자신과 같은 일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사람들이 있을 때 수행이 향상된다는 것을 지칭하는 것은?

  1. 동조효과
  2. 방관자효과
  3. 사회촉진
  4. 사회태만
(정답률: 77%)
  • 사회촉진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할 때, 서로의 존재와 활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어 일의 수행이 개선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상호작용과 협력을 통해 일의 효율성을 높이고, 동기부여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빈도분포값
  2. 추리통계값
  3. 집중경향값
  4. 변산측정값
(정답률: 76%)
  • 이 그래프는 주어진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값이 바로 "집중경향값"이다. 즉, 데이터의 대표값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값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억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환경의 물리적 정보의 속성을 기억에 저장할 수 있는 속성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은?

  1. 주의과정
  2. 각성과정
  3. 부호화과정
  4. 인출과정
(정답률: 88%)
  • 부호화과정은 환경의 물리적 정보를 기억에 저장하기 위해 그 정보를 일정한 부호나 기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부호화과정은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나 숫자 등도 모두 부호화된 형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부호화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통계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개의 모평균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한다.
  2. 3개 또는 그 이상의 평균치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 분선분석을 사용한다.
  3. 빈도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χ2검정을 사용한다.
  4. 피어슨 상관계수 r은 근본적으로 관련성을 보여주는 지표이지 어떠한 인과적 요인을 밝혀주지는 않는다.
(정답률: 51%)
  • 2개의 모평균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한다. - 옳지 않음

    2개의 모평균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t-검정을 사용한다. 중다회귀분석은 독립변수가 여러 개인 경우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소거(extinction)가 영구적인 망각이 아니라는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은?

  1. 변별
  2. 조형
  3. 자극 일반화
  4. 자발적 회복
(정답률: 81%)
  • 소거가 영구적인 망각이 아니라는 증거는 자발적 회복이다. 자발적 회복은 일시적으로 소거된 반응이 시간이 지나면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소거된 반응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소거는 영구적인 망각이 아니라는 증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이상심리학

21.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범주적 분류는 이상행동이 정상행동과는 질적으로 구분되며 흔히 독특한 원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정상행동과는 명료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2. 차원적 분류는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의 구분이 부적응성 정도의 문제일 뿐 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3. 타당도는 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환자들의 증상이나 장애를 평가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4. 같은 장애로 진단된 사람들에게서 동일한 원인적 요인들이 발전되는 정도는 원인론적 타당도이다.
(정답률: 54%)
  • 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환자의 증상이나 장애를 평가했을 때 각각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는 정도는 '신뢰도'에 해당된다.

    타당도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얼마나 실제에 가깝게 측정하고 있는가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조현병의 양성증상에 해당하는 것은?

  1. 무의욕증
  2. 무사회증
  3. 와해된 행동
  4. 감퇴된 정서 표현
(정답률: 78%)
  • 조현병의 양성증상은 대개 현실과의 접촉을 강화시키는 증상으로, "무의욕증"과 "무사회증"은 현실과의 접촉이 약화되는 증상이므로 양성증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와해된 행동"은 현실과의 접촉이 과도하게 강화되어 일어나는 증상으로, 양성증상에 해당합니다. 이는 현실과의 관계에서 벗어나거나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물질관련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질에 대한 생리적 의존은 내성과 금단증상으로 나타난다.
  2. 임신 중의 과도한 음주는 태아알코올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3. 모르핀과 헤로인은 자극제(흥분제)의 대표적 종류이다.
  4. 헤로인의 과다 복용은 뇌의 호흡 중추를 막아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정답률: 73%)
  • "모르핀과 헤로인은 자극제(흥분제)의 대표적 종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르핀과 헤로인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진통제 및 마약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자극제(흥분제)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망상장애
  2. 순환성장애
  3. 조현양상장애
  4. 단기 정신병적 장애
(정답률: 77%)
  • 순환성장애는 기분장애의 일종으로, 주로 우울증과 조울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조현병 스펙트럼이나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는 다른 별개의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망상장애는 실체적인 증상이 없는 상상의 세계에 빠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조현양상장애는 망상, 환각, 사고 및 감정의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단기 정신병적 장애는 급격한 스트레스나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인 정신적 장애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품행장애의 과거력
  2. 역기능적 양육환경
  3. 붕괴된 자아와 강한 도덕성 발달
  4.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SErotonin)의 부족
(정답률: 64%)
  •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사회적 규범과 도덕적 기준을 무시하고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붕괴된 자아와 강한 도덕성 발달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붕괴된 자아는 자아개념이 약화되어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어렵고, 강한 도덕성 발달은 오히려 사회적 규범과 도덕적 기준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둘은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DSM-5에 의한 성격장애의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A군 성격장애 : 조현성 성격장애
  2. C군 성격장애 : 편집성 성격장애
  3. B군 성격장애 : 연극성 성격장애
  4. C군 성격장애 : 회피성 성격장애
(정답률: 83%)
  • 가답안: D군 성격장애 : 회피성 성격장애

    정답: A군 성격장애 : 조현성 성격장애

    DSM-5에서는 성격장애를 3군데로 분류합니다. A군은 이상적인 자아와 현실적인 자아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나타나는 이상적인 자아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성격장애, B군은 감정적으로 과잉반응을 보이거나 무감정한 상태가 지속되는 성격장애, C군은 불안, 두려움, 회피 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성격장애입니다. 따라서, C군 성격장애 : 편집성 성격장애는 DSM-5에서 분류되는 성격장애 유형이 아닙니다.

    A군 성격장애 : 조현성 성격장애는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이 특징이며, 환각, 망상, 이상적인 자아의 지배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성격장애입니다. 따라서, A군 성격장애는 DSM-5에서 분류되는 성격장애 유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노출장애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성도착적 초점은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2. 성기를 노출시켰다는 상상을 하면서 자위행위를 하기도 한다.
  3.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노출 대상은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게 국한된다.
(정답률: 85%)
  • 노출장애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성기나 노출 부위를 고의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는 대개 성적인 충동이나 욕구에 의해 일어난다. 이러한 행동은 대개 사춘기 이전의 아동들에게서 나타나며, 이는 성도착적 초점이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노출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출 대상은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게 국한된다. 이러한 행동은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이는 자위행위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DSM-5의 신경발달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적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자폐스펙트럼장애
  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답률: 75%)
  • 분리불안장애는 DSM-5에서 신경발달장애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는 주로 강한 불안과 불안감을 경험하며, 가족이나 친밀한 사람들과의 이별이나 분리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이나 걱정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서장애입니다.
  • 분리불안 장애는 불안장애의 하위유형에 해당한다.


    DSM-5에 의한 신경발달장애의 주요 하위유형
    - 지적장애
    - 의사소통장애
    - 자폐스펙트럼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특정학습장애
    - 운동장애 (틱장애 등)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코티솔(cortisol)이 분비되는 곳은?

  1. 부신
  2. 변연계
  3. 해마
  4. 대뇌피질
(정답률: 68%)
  • 코티솔은 부신에서 분비됩니다. 부신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호르몬을 분비하여 신체의 대처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코티솔은 이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어 혈당을 높이고 면역 체계를 억제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박장애를 가진 내담자의 심리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행동조형
  2. 자유연상법
  3. 노출 및 반응 방지법
  4. 혐오조건화
(정답률: 74%)
  • 강박장애는 불필요한 반복적인 생각이나 행동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심리질환입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노출 및 반응 방지법입니다. 이 방법은 내담자가 불안하게 느끼는 상황에 직면하면서도 그에 대한 반응을 제한하고, 점차적으로 노출시켜 내담자가 불안감을 극복하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불안감을 극복하고, 불필요한 반복적인 생각이나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울장애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대인관계치료(interpersonal psychotherapy)
  2. 기억회복치료(memory recovery therapy)
  3.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4. 단기정신역동치료(brief psychodynamic therapy)
(정답률: 71%)
  • 기억회복치료는 주로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데, 우울장애 치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우울장애의 원인이 과거의 트라우마나 외상이 아니라 현재의 스트레스나 인지적 왜곡 등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인관계치료, 인지행동치료, 단기정신역동치료 등이 우울장애 치료에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알코올 사용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족력이나 유전과는 관련성이 거의 없다.
  2. 성인 여자가 성인 남자보다 유병률이 높다.
  3. 자살, 사고, 폭력과의 관련성이 거의 없다.
  4. 금단 증상의 불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해 음주를 지속하게 된다.
(정답률: 79%)
  • 알코올 사용장애는 금단 증상이 나타나면 불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음주를 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금단 증상의 불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해 음주를 지속하게 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적 방화의 필수 증상은 고의적이고 목적이 있는, 수차례의 방화 삽화가 존재하는 것이다.
  2. 품행장애의 유병률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갈수록 증가한다.
  3. 병적 도벽은 보통 도둑질을 미리 계획하지 않고 행한다.
  4.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언어적 공격과 신체적 공격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정답률: 53%)
  •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언어적 공격과 신체적 공격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주로 신체적 공격에 대한 충동성이 있으며, 언어적 공격은 포함되지 않는다.

    - "병적 방화의 필수 증상은 고의적이고 목적이 있는, 수차례의 방화 삽화가 존재하는 것이다." : 방화 삽화가 수차례 존재하는 것이 필수 증상이다.
    - "품행장애의 유병률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갈수록 증가한다." : 품행장애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한다.
    - "병적 도벽은 보통 도둑질을 미리 계획하지 않고 행한다." : 병적 도벽은 일반적으로 계획하지 않은 도둑질을 포함한다.
  • 간헐성 폭발성 장애

    공격적인 충동이 조절되지 않아 간헐적으로 심각한 파괴적 행동을 나타내는 장애
    A. 공격적 충동을 통제하지 못해 보이는 반복적인 행동폭발로 1가지 특징적
    1) 언어적 공격성, 재산,동물,타인에게 가하는 신체적 공격성이 3개월 이상 평균적으로 일주일 2회 이상 발생. (신체적 공격성은 재산 피래, 상해는 초래하지 않는 정도)
    2) 재산 피해나 파괴, 동물이나 사람에게 상해 입힐 수 있는 신체적 폭행 포함 폭발적 행동을 1년이내 3회.
    3) 반복적인 공격적 행동폭발은 계획된 것이 아니고 특정 유형 대상에 한정된 것이 아님
    4) 증상이 개인 현저 심리고통, 여러기능영역손상, 경제법적문제관련
    5) 6세이상
    6) 다른거아님
  • 4번 : 간헐적 폭발성장애는 언어적 공격성 또는 신체적 공격성이 3개월 동안 평균적으로 2회 이상 발생할 때 진단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양극성장애(Bipolar disorder) 조증시기에 있는 환자의 방어적 대응양상을 판단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닌 것은?

  1. 화장을 진하게 하고 다닌다.
  2. 자신이 신의 사자라고 이야기 한다.
  3. 증거도 없는 행동을 두고 남을 탓한다.
  4. 활동 의욕은 줄어들어 과다 수면을 취한다.
(정답률: 78%)
  • 활동 의욕이 줄어들고 과다 수면을 취하는 것은 조증시기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며, 이는 우울증상의 일부로서, 환자가 기운이 없고 피로하며,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이나 취미 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동 의욕은 줄어들어 과다 수면을 취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은 조증시기에 있는 환자의 방어적 대응양상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DSM-5에 제시된 신경인지장애의 병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알츠하이머병
  2. 레트
  3. 루이소체
  4. 파킨슨병
(정답률: 57%)
  • 레트는 DSM-5에서 제시된 신경인지장애의 병인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 파킨슨병은 DSM-5에서 제시된 신경인지장애의 병인으로 인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동 A에게 진단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장애는?

  1. 자폐 스펙트럼장애
  2. 의사소통장애
  3. 틱 장애
  4. 특정학습장애
(정답률: 84%)
  • 주어진 그림에서 아동 A는 다른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지 않고,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가리키며,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자폐 스펙트럼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아동 A에게 진단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장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치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억손실이 없다.
  2. 약물남용의 가능성이 많다.
  3. 증상은 오전에 가장 심해진다.
  4. 자신의 무능을 최소화하거나 자각하지 못한다.
(정답률: 75%)
  • 치매는 뇌 기능의 저하로 인해 기억력, 판단력, 사고력 등이 점차 약해지는 질병입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자신의 무능을 최소화하거나 자각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족이나 주변인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황장애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ㄷ, ㄹ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78%)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 "ㄱ"은 갑작스러운 공포나 불안감, 심장의 뛰는 소리, 숨이 차는 느낌 등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 "ㄴ"은 공황 발작이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하며, 발작이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불안감이 남는 것을 의미합니다.
    - "ㄷ"은 공황 발작이 자주 발생하거나, 발작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 "ㄹ"은 공황 발작이 일어날 때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혼자서 처리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네 가지 특징이 모두 해당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해리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해리 현상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 학대받은 개인경험, 고통스러운 상태로부터의 도피 등이 있다.
  2. 해리 현상을 유발하는 가장 주된 방어기제는 투사로 알려져 있다.
  3. 해리성 둔주는 정체감과 과거를 망각할 뿐만 아니라 완전히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
  4.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중요한 자서전적 정보를 회상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리성 둔주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률: 76%)
  • "해리 현상을 유발하는 가장 주된 방어기제는 투사로 알려져 있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해리 현상을 방어하는 방법이라는 의미이다. 해리 현상은 주로 학대나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방어 메커니즘이며, 이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은 학대나 고통스러운 상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요우울장애 환자가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특징적 증상이 아닌 것은?

  1. 거절에 대한 두려움
  2. 불면 혹은 과다수면
  3. 정신운동성 초조
  4. 일상활동에서의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정답률: 63%)
  • "거절에 대한 두려움"은 일반적으로 주요우울장애 환자가 나타내는 특징적 증상이 아닙니다. 이는 사회불안장애나 인격장애 등 다른 정신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주요우울장애 환자는 일상활동에서의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불면 혹은 과다수면, 그리고 정신운동성 초조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심리검사

41. 신경심리학적 능력 중 BGT 및 DAP, 시계 그리기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1. 주의 능력
  2. 기억 능력
  3. 실행 능력
  4. 시공간 구성 능력
(정답률: 64%)
  • BGT는 추론 능력을, DAP는 감각적 지각 능력을, 시계 그리기는 실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공간 구성 능력은 이들 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시공간 구성 능력은 공간적 관계를 이해하고 시간적 순서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입니다. 이를 평가하는 것은 인지적 기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신경심리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Broca와 Wernicke는 실허증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Benton은 임상신경 심리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다.
  2. X레이, MRI 등 의료적 검사결과가 정상으로 나온 경우에는 신경심리검사보다는 의료적 검사결과를 신뢰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신경심리검사는 고정식(fixed) battery와 융통식(flexible) battery 접근이 있는데, 두 가지 접근 모두 하위검사들이 독립적인 검사들은 아니다.
  4. 신경심리검사는 환자에 대한 진단 환자의 강점과 약점, 향후 직업능력의 판단, 치료계획, 법의학적 판단, 연구 등에 널리 활용된다.
(정답률: 73%)
  • 신경심리검사는 환자의 강점과 약점, 직업능력, 치료계획, 법의학적 판단, 연구 등에 널리 활용되며, 고정식과 융통식 두 가지 접근이 있지만 하위검사들이 독립적인 검사들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심리검사자가 준수해야 할 윤리적 의무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81%)
  • "ㄱ"은 심리검사자가 테스트 결과를 비밀로 유지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한다는 윤리적 의무를 나타냅니다. "ㄴ"은 심리검사자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는 윤리적 의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ㄱ, ㄴ"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표집 시 남녀 비율을 정해놓고 표집해야 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2. 유층표집(stratified sampling)
  3.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
  4. 구체적 표집(specific sampling)
(정답률: 54%)
  • 유층표집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남녀 비율을 정해놓고 표집해야 하는 경우에는 남성과 여성을 각각의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면 된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얻을 수 있으며, 표본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MMPI-2의 각 척도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6번 척도가 60T 내외로 약간 상승한 것은 대인관계 민감성에 대한 경험을 나타낸다.
  2. 2번 척도는 반응성 우울증보다는 내인성 우울증과 관련이 높다.
  3. 4번 척도의 상승 시 심리치료 동기가 높고 치료의 예휴가 좋음을 나타낸다.
  4. 7번 척도는 불안 가운데 상태불안 증상과 연관성이 높다.
(정답률: 42%)
  • MMPI-2는 심리검사 중 하나로, 다양한 척도를 통해 개인의 성격, 정서, 인지 등을 평가한다. 이 중에서 "6번 척도가 60T 내외로 약간 상승한 것은 대인관계 민감성에 대한 경험을 나타낸다."라는 해석은 매우 간단명료하다. 이는 6번 척도가 대인관계에 대한 민감성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6번 척도가 상승하면 대인관계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웩슬러 지능검사의 하위지수 중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진 소검사자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언어이해
  2. 지각추론
  3. 작업기억
  4. 처리속도
(정답률: 43%)
  • 언어이해는 언어적인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하위지수이며, 이는 언어적인 지식과 문맥적 이해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웩슬러 지능검사의 하위지수 중에서는 언어이해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uilford의 지능구조 입체모형에서 조작(operation)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표정, 동작 등의 행동적 정보
  2. 사고결과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평가
  3. 의미 있는 단어나 개념의 의미적 정보
  4. 어떤 정보에서 생기는 예상이나 기대들의 합
(정답률: 38%)
  • Guilford의 지능구조 입체모형에서 조작(operation) 요인은 인지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이 중 "사고결과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평가"는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능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나 행동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요인은 인지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 중 하나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능검사를 해석할 때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기억과 처리속도는 상황적 요인에 민감한 지수임을 감안한다.
  2. 지수점수를 해석할 때 여러 지수들 간에 점수 차이가 유의한지를 살펴봐야 한다.
  3. 지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전체척도 IQ는 해석하기가 용이하다.
  4. 지수 점수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 약점이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0%)
  • "지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전체척도 IQ는 해석하기가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것은, 지수 간의 차이가 유의한지 여부와 전체척도 IQ의 해석 가능성은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지수 간의 차이가 유의한 경우에도 전체척도 IQ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수들이 전체척도 IQ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MMPI-2 프로파일과 가장 관련이 있는 진단은?

  1. 품행장애
  2. 우울증
  3. 전환장애
  4. 조현병
(정답률: 70%)
  • 이 MMPI-2 프로파일은 조현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프로파일은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증상을 보이며,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프로파일은 현실감각의 왜곡, 사고의 불일치, 환청, 망상 등의 조현병적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프로파일을 보인 사람은 조현병의 가능성이 있으며, 전문가의 평가와 진단이 필요합니다. "품행장애", "우울증", "전환장애"와는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이 프로파일에서는 조현병과의 관련성이 더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BSID-Ⅱ(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검사의 심리측정학적 질이 개선되었다.
  2. 유아의 기억, 습관화, 시각선호도, 문제해결 등과 관련된 문항들이 추가되었다.
  3. BSID-Ⅱ에서는 대상 연령범위가 16일에서 42개월까지로 확대되었다.
  4. 지능척도, 운동척도의 2가지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58%)
  • "지능척도, 운동척도의 2가지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BSID-Ⅱ는 지능척도, 운동척도, 그리고 행동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베일리 발달척도(Bayley Scale of lnfant Development-11, BSID-!I)

    베일리가 1969년 생후 2개월에서 30개월까지의 영유아 대상으로 한 발달척도(BSID)를 고안한함.

    1993년 개정판(BSID-/)을 통해 생후 1개월에서 42개월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표준화가 이루어짐.

    1969년 초판((BSID-)은 **' 정신척도(Mental Scale)'와 '운동척도(Motor Scale)'**로만 구성되었음

    1993년 개정판(BSID-I)은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Scale)'**가 포함되었음

    검사과정은 검사자와 아이가 1:1로 마주앉은 상태로 진행됨.

    아이의 연령이나 기질 등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전개됨.

    하위척도

    **①정신척도(Mental Scale)**

    인지발달 :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분류 및 변별능력 등

    언어발달 : 어휘 및 발,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등개인/사회성발달 : 언어적 의사소통 등

    **②운동척도(Motor Scale)**

    소근육 발달 : 쓰기 및 잡기, 손 운동 따라 하기, 도구 사용하기 등

    대근육 발달 : 앉기 및 서기, 걷기 및 뛰기, 균형잡기 등

    **③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Scale)**

    주의 및 각성상태과제 및 검사에 대한 참여정도, 정서조절, 운동의 질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성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인의 심층적인 내면을 탐색하는데 흔히 사용된다.
  2. 응답결과는 개인의 반응경향성과 무관하다.
  3. 강제선택형 문항은 개인의 묵종 경향성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4.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응답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기 쉽다.
(정답률: 70%)
  • 자기보고 검사는 개인이 자신의 성격, 태도, 행동 등을 스스로 평가하고 보고하는 검사이다. 이러한 검사는 개인의 심층적인 내면을 탐색하는 데 사용되지만, 응답결과는 개인의 반응경향성과 무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강제선택형 문항은 개인의 묵종 경향성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에서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응답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즉, 개인이 자신의 실제 성격보다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성격을 보고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80세 이상의 노인집단용 규준이 마련되어 있는 심리검사는?

  1. MMPI-A
  2. K-WISC-Ⅳ
  3. K-Vineland-Ⅱ
  4. SMS(Social Maturity Scale)
(정답률: 64%)
  • K-Vineland-Ⅱ는 일상생활 기능평가 도구로, 80세 이상의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마련된 심리검사입니다. 이 도구는 인지, 사회성, 일상생활 기능 등 다양한 영역을 평가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K-Vineland-Ⅱ가 정답인 이유는 80세 이상의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한 심리검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Rorschach 검사에서 반응의 결정인 중 인간운동반응(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 반응이 많은 사람은 행동이 안정되어 있고 능력이 뛰어남을 나타낸다.
  2. M 반응이 많을수록 그 사람은 그의 세계의 지각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상상력을 지니고 있다.
  3. 상쾌한 기분은 M 반응의 수를 증가시킨다.
  4. 좋은 형태의 수준을 가진 M의 출현은 높은 지능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며 가능한 M이 많이 나타난다는 사실은 낮은 지능을 의미한다.
(정답률: 72%)
  • "좋은 형태의 수준을 가진 M의 출현은 높은 지능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며 가능한 M이 많이 나타난다는 사실은 낮은 지능을 의미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M 반응은 지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M 반응의 수가 많다고 해서 낮은 지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M 반응은 개인의 성격, 경험,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MMPI-2의 자아강도 척도(ego strength sca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신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2.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수준과 상관이 있다.
  3. 효율적인 기능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을 반영한다.
  4. F 척도가 높을수록 자아 강도 척도의 점수는 높아진다.
(정답률: 76%)
  • F 척도가 높을수록 자아 강도 척도의 점수는 높아지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MMPI-2의 자아강도 척도는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수준과 상관이 있으며, 효율적인 기능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을 반영합니다. 정신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MMPI-2 검사를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의 목적과 결과의 비밀보장에 대해 설명한다.
  2. 검사 결과는 환자와 치료자에게 중요한 자료가 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3. 수검자들이 피로해있지 않는 시간대를 선택한다.
  4. 수검자의 독해력은 중요하지 않다.
(정답률: 85%)
  • 수검자의 독해력은 중요한 이유는 MMPI-2 검사는 수많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검자가 문항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 이해할 경우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사를 실시할 때는 수검자의 독해력을 고려하여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신경심리검사의 실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두부 외상이나 뇌졸중 환자의 경우에는 급성기에 바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2. 어려운 검사는 피로가 적은 상태에서 실시하고 어려운 검사와 쉬운 검사를 교대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3. 운동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는 과제제시와 검사 사이에 간섭과제를 사용한다.
  4. 진행성 뇌질환의 경우 6개월 정도가 지난 후에 정신상태와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9%)
  • 어려운 검사는 피로가 적은 상태에서 실시하고 어려운 검사와 쉬운 검사를 교대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 어려운 검사는 집중력과 인내심을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피로가 적은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어려운 검사와 쉬운 검사를 교대로 실시하면 피로도를 분산시키고, 검사 참가자의 흥미를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준거타당도는 검사점수와 외부 측정에서 얻은 일련의 수행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2. 준거타당도는 경험타당도 또는 예언타당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3. 구성타당도는 측정될 구성개념에 대한 평가도구의 대표성과 적합성을 말한다.
  4. 구성타당도는 내용 및 준거타당도 접근법에서 직면하게 될 부적합성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정답률: 27%)
  • "구성타당도는 측정될 구성개념에 대한 평가도구의 대표성과 적합성을 말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구성타당도는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대표성과 적합성 뿐만 아니라 개념적 타당도도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능을 구성하는 요인에 관한 Cattell과 Horn의 이론 중 결정화된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언어적 요인과 관련된 능력을 말한다.
  2. 후천적이기 보다는 선천적으로 이미 결정화된 지능의 측면을 말한다.
  3. 나이가 늘어감에 따라 낮아진다.
  4. 문화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55%)
  • 결정화된 지능은 이미 습득한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비언어적 요인과 관련된 능력보다는 언어적 요인과 관련된 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이는 후천적인 요소보다는 선천적으로 이미 결정화된 지능의 측면을 말하며, 나이가 늘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문화적 요인에 따라 결정화된 지능의 발달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언어, 교육, 문화적 배경 등은 결정화된 지능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요인들은 다양한 문화 사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적 요인은 결정화된 지능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적성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특수한 영역에서의 능력을 측정한다.
  2. 적성검사는 능력검사로 불리기도 한다.
  3. 적성검사는 개인의 미래수행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4. 학업적성은 실제 학업성취도와 일치한다.
(정답률: 70%)
  • "학업적성은 실제 학업성취도와 일치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적성검사는 개인의 특수한 영역에서의 능력을 측정하고, 능력검사로도 불린다. 또한 적성검사는 개인의 미래수행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학업적성과 실제 학업성취도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학업적성은 학업에 대한 관심, 적성, 성취 가능성 등을 측정하는 것이며, 이는 학업성취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K-WISC-Ⅳ에서 인지효능지표에 포함되는 소검사가 아닌 것은?

  1. 숫자
  2. 행렬 추리
  3. 기호쓰기
  4. 순차연결
(정답률: 33%)
  • K-WISC-Ⅳ에서 인지효능지표에 포함되는 소검사는 "숫자", "기호쓰기", "순차연결"이다. "행렬 추리"는 인지효능지표에 포함되지 않는 소검사이다. 이는 행렬 추리가 추론 능력과 관련된 검사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상심리학

61. 강제입원, 아동 양육권, 여성에 대한 폭력, 배심원 선정 등의 문제에 특히 관심을 가지는 심리학 영역은?

  1. 아동임상심리학
  2. 임상건강심리학
  3. 법정심리학
  4. 행동의학
(정답률: 79%)
  • 법정심리학은 법과 심리학의 교차 분야로, 법적 문제와 관련된 심리학적 이슈를 다룹니다. 따라서 강제입원, 아동 양육권, 여성에 대한 폭력, 배심원 선정 등과 같은 법적 문제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와 조사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MMPI-2의 타당도 척도 중 부정 왜곡을 통해 극단적인 수준으로 정신병적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려는 경우에 상승되는 것은?

  1. S scale
  2. F(P) scale
  3. TRIN scale
  4. VRIN scale
(정답률: 67%)
  • F(P) scale은 MMPI-2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정 왜곡 척도 중 하나입니다. 이 척도는 응답자가 질문에 대해 일관성 없는 답변을 제공하거나 극단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승합니다. 따라서 F(P) scale은 응답자가 정상적인 수준보다 더 많은 정신병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역할-연기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장 훈련과 관련이 있다.
  2. 사회적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3. 행동시연을 해야 한다.
  4. 이완 훈련을 해야 한다.
(정답률: 75%)
  • 연기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이완 훈련을 해야 한다." 이유는 이완 훈련은 연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심리학적인 기술이기 때문이다. 주장 훈련은 연기에서 캐릭터의 목소리와 태도를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사회적 기술은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행동시연은 캐릭터의 동작을 연기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국에서 임상심리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된 것은?

  1.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2. 루스벨트 대통령의 후원
  3. 제2차 세계대전
  4. 매카시즘의 등장
(정답률: 82%)
  • 제2차 세계대전 때 발생한 심리적 문제들이 임상심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어 발전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군인들의 전투 후 PTSD 증상 등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임상심리사로서 전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바람직한 지침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른 전문직에 종사하는 동료들의 욕구, 특수한 능력, 그리고 의무에 대하여 적절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2. 동료 전문가와 관련된 단체나 조직의 특권 및 의무를 존중하여 행동하여야 한다.
  3. 소비자의 최대이익에 기여하는 모든 자원들을 활용해야 한다.
  4. 동료 전문가의 윤리적 위반가능성을 인지하면 즉시 해당 전문가 단체에 고지해야 한다.
(정답률: 50%)
  • "동료 전문가의 윤리적 위반가능성을 인지하면 즉시 해당 전문가 단체에 고지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동료 전문가의 개인정보를 노출시키거나 비난하는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이러한 상황에서는 동료 전문가와 직접 대화하거나, 윤리위원회나 상담센터와 같은 제3자 기관을 통해 조언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시각적 처리와 시각적으로 중재된 기억의 일부 측면에 관여하는 뇌의 위치는?

  1. 두정엽
  2. 후두엽
  3. 전두엽
  4. 측두엽
(정답률: 55%)
  • 후두엽은 시각적 처리와 시각적으로 중재된 기억의 일부 측면에 관여하는 뇌의 위치입니다. 후두엽은 시각 정보를 처리하고, 시각적으로 중재된 기억을 저장하고 검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후두엽은 시각적 정보 처리와 관련된 매우 중요한 뇌 영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불안에 관한 노출치료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노출은 불안을 더 일으키는 자극에서 낮은 불안을 일으키는 자극 순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2. 노출은 공포, 불안이 제거될 때까지 반복되어야 한다.
  3. 노출은 불안을 유발해야 한다.
  4. 환자는 될 수 있는 한 공포스러운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자극과 관계를 맺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답률: 74%)
  • "노출은 불안을 유발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노출치료에서는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덜 불안한 자극으로 이동하면서 치료를 진행한다. 따라서 "노출은 불안을 더 일으키는 자극에서 낮은 불안을 일으키는 자극 순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합리화
  2. 전이
  3. 저항
  4. 투사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 전류가 흐르는 길이 좁아지는 부분에서 전자의 이동이 어려워져 전류의 흐름이 방해받게 되는데, 이를 저항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행동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자연적인 상황에서 실제 발생한 것만을 대상으로 평가한다.
  2. 행동표본은 내면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3. 특정 표적행동의 조작적 정의가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4. 관찰 결과는 요구특성이나 피험자의 반응성 요인과는 무관하다.
(정답률: 54%)
  • 행동평가에서는 특정 행동을 정의하고 이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 정의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친절한 행동"이라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가자는 이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 3번 정답
    1번 자연관찰법
    2번 행동표본은 면담이나 심리검사 장면에서 내담자가 드러내 보이는 행동으로 내담자의 일상적인 생활 상황에서의 행동을 반영한다.
    4번 관찰의 결과는 관찰자의 요구특성, 피험자의 반응편향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문장완성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검자의 자기개념, 가족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수검자가 검사자극의 내용을 감지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3. 수검자에 따라 각 문항의 모호함을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4. 개인과 집단 모두에게 실시될 수 있다.
(정답률: 72%)
  • "수검자가 검사자극의 내용을 감지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Rorschach 검사에서는 수검자가 검사자극의 내용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반응을 보이도록 유도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심리치료 이론 중 전이와 역전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치료에 활용하는 접근은?

  1. 정신분석적 접근
  2. 행동주의적 접근
  3. 인본주의적 접근
  4. 게슈탈트적 접근
(정답률: 75%)
  • 정신분석적 접근은 개인의 무의식적인 경험과 감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이론으로, 전이와 역전이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다룹니다. 전이는 환자가 치료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이전시키는 현상을 의미하며, 역전은 치료자가 환자의 감정을 자신에게 이전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치료자는 환자의 내면적인 갈등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접근은 전이와 역전을 중요한 개념으로 삼아 치료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인간중심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인간중심접근은 개인의 독립과 통합을 목표로 삼는다.
  2. 인간 중심적 상담(치료)은 치료과정과 결과에 대한 연구관심사를 포괄하면서 개발되었다.
  3. 치료자는 주로 내담자의 자기와 세계에 대한 인식에 주로 관심을 가진다.
  4. 내담자가 정상인인가, 신경증 환자인가, 정신병 환자인가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원리가 적용된다.
(정답률: 75%)
  • "내담자가 정상인인가, 신경증 환자인가, 정신병 환자인가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원리가 적용된다."는 인간중심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인간중심치료는 개인의 독립과 통합을 목표로 삼으며, 내담자의 자기와 세계에 대한 인식에 주로 관심을 가지며, 치료과정과 결과에 대한 연구관심사를 포괄하면서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내담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치료원리를 적용하는 것은 인간중심치료의 원칙과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임상심리사가 수행하는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심리치료상담
  2. 심리검사
  3. 언어치료
  4. 심리재활
(정답률: 72%)
  • 임상심리사는 주로 심리치료상담, 심리검사, 심리재활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은 모두 심리적인 측면에서 개입하는 것이다. 반면에 언어치료는 언어적인 측면에서 개입하는 것으로, 심리치료와는 다른 전문성을 가진 분야이다. 따라서 언어치료는 임상심리사가 수행하는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에 해당하는 관찰법은?

  1. 자연 관찰법
  2. 통제된 관찰법
  3. 자기 관찰법
  4. 연합 관찰법
(정답률: 61%)
  • 이 관찰법은 자연 환경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실험실이나 인위적으로 조작된 환경이 아닌 실제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 관찰법은 자연 관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에 해당하는 자문의 유형은?

  1. 내담자 중심 사례 자문
  2. 프로그램 중심 행정 자문
  3. 피자문자 중심 사례 자문
  4. 자문자 중심 행정 자문
(정답률: 58%)
  • 이 유형은 "피자문자 중심 사례 자문"이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피자문자를 중심으로 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 유형의 자문은 일상적인 문제나 갈등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3번: 피자문자(자문의뢰인)가 경험부족이나 정보부족 등의 이유로 자신이 계획한 방법에 대해 확신을 하지 못하는 경우 피자문자중심 사례자문이 적절하다.
    피자문자중심 사례자문에서는 내담자나 환자의 임상적인 문제보다는 피자문자의 관심사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합동가족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행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위한 개입법으로 개발되었다.
  2. 한 치료자가 가족전체를 동시에 본다.
  3. 치료자는 상황에 따라 비지시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4. 치료자는 가족 구성원에게 과제를 준다.
(정답률: 37%)
  • "비행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위한 개입법으로 개발되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합동가족치료는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에게 적용 가능한 치료 방법으로,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닙니다.
  • 비행 청소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위한 개입법은
    다중체계치료(MST)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Rogers가 제안한 내담자의 긍정적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치료자의 3자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무조건적 존중
  2. 정확한 공감
  3. 창의성
  4. 솔직성
(정답률: 83%)
  • "창의성"은 치료자의 자질이나 능력이 아니라, 치료 과정에서 내담자가 발휘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3자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창의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접수면접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환자의 심리적 기능 수준과 망상, 섬망 또는 치매와 같은 이상 정신현상의 유무를 선별하기 위해 실시한다.
  2. 가장 적절한 치료나 중재 계획을 권고하고 환자의 증상이나 관심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실시한다.
  3. 환자가 중대하고 외상적이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위기에 있을 때 그 상황에서 구해내기 위해서 실시한다.
  4. 환자가 보고하는 증상들과 문제들을 진단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정답률: 59%)
  • 접수면접은 환자의 증상과 관심사를 이해하고, 가장 적절한 치료나 중재 계획을 권고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치료나 중재 계획을 권고하고 환자의 증상이나 관심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실시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불안장애를 지닌 내담자에게 적용한 체계적 둔갑법의 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ㄷ → ㄱ → ㄴ → ㄹ
  3. ㄷ → ㄹ → ㄱ → ㄴ
  4. ㄹ → ㄱ → ㄴ → ㄷ
(정답률: 71%)
  • 정답은 "ㄷ → ㄹ → ㄱ → ㄴ" 입니다. 이유는 체계적 둔갑법의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보 수집 및 평가 (ㄱ)
    2. 둔갑 계획 수립 (ㄴ)
    3. 둔갑 계획 실행 (ㄷ)
    4. 둔갑 계획 평가 (ㄹ)

    따라서, 불안장애를 지닌 내담자에게 적용한 체계적 둔갑법의 단계는 정보 수집 및 평가(ㄱ) → 둔갑 계획 수립(ㄴ) → 둔갑 계획 실행(ㄷ) → 둔갑 계획 평가(ㄹ) 순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평가면접에서 면접자의 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용 : 내담자의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과 관련되어 있다.
  2. 해석 : 면접자가 자신의 내면과 부합하는 심상을 수용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3. 이해 : 내담자의 관점에서 세계를 보기 위한 노력과 관련되어 있다.
  4. 진실성 : 면접자의 내면과 부합하는 것을 전달하는 정도와 관련되어 있다.
(정답률: 61%)
  • "해석 : 면접자가 자신의 내면과 부합하는 심상을 수용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면접자의 태도는 그들의 내면과 부합하는 심상을 수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면접자가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존중하고 이를 표현하는 진실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담자의 관점에서 세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들은 모두 면접자의 태도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심리상담

81. 다음 사례에서 사용된 행동주의 상담기법은?

  1. 자기교수훈련, 정적강화
  2. 프리맥의 원리, 정적강화
  3. 체계적 둔감법, 자기교수훈련
  4. 자극통제, 부적강화
(정답률: 57%)
  • 이 사례에서 사용된 행동주의 상담기법은 "프리맥의 원리, 정적강화"입니다.

    프리맥의 원리는 행동을 유발하는 조건이 되는 자극과 그에 따른 반응 사이의 관계를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고 강화하는 것이 행동주의 상담의 핵심입니다.

    정적강화는 행동이 일어난 후 즉각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강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행동이 지속되도록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사례에서는 고객이 자신의 금융상황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유도하고, 그 행동이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되도록 정적강화를 이용하여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보딘(Bordin)이 제시한 작업동맹(working alliance)의 3가지 측면이 옳은 것은?

  1. 작업의 동의, 진솔한 관계, 유대관계
  2. 진솔한 관계, 유대관계, 서로에 대한 호감
  3. 유대관계, 작업의 동의, 목표에 대한 동의
  4. 서로에 대한 호감, 동맹, 작업의 동의
(정답률: 57%)
  • 보딘이 제시한 작업동맹의 3가지 측면은 유대관계, 작업의 동의, 목표에 대한 동의입니다. 이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호작용, 협력, 목표달성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진솔한 관계나 서로에 대한 호감은 중요하지만, 작업을 위한 협력과 목표달성을 위한 공동의 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측면입니다.
  • ☆ 유대 작업 목표 ☆

    * 작업동맹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존중과 신뢰의 분위기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에 대해 합의하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관계를 말한다.

    보딘의 작업동맹의 3가지 측면
    -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유대
    - 작업과제에 대한 동의
    - 목표에 대한 동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인간중심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인간에게 실현경향성이 있다고 보는 긍정적 인간관을 지닌다.
  2. 이상적 자기와 현실적 자기 간의 괴리가 큰 경우 심리적 부적응이 발생한다고 본다.
  3.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지니는 것을 강조한다.
  4. 아동은 부모의 기대와 가치를 내면화하여 현실적인 자기를 형성한다.
(정답률: 68%)
  • "아동은 부모의 기대와 가치를 내면화하여 현실적인 자기를 형성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인간중심상담에서는 내담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가치를 존중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인식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기대와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은 내담자의 개인성을 무시하는 것이며, 인간중심상담의 원칙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정신분석적 상담기법 중 상담진행을 방해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의식적, 무의식적 생각, 태도, 감정, 행동을 의미하는 것은?

  1. 전이
  2. 저항
  3. 해석
  4. 훈습
(정답률: 78%)
  • 저항은 상담진행을 방해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의식적, 무의식적 생각, 태도, 감정, 행동을 의미합니다. 상담자가 이를 인식하고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상담진행이 막히게 되어 상담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담자는 저항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Krumboltz가 제시한 상담의 목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담자가 요구하는 목표이어야 한다.
  2. 상담자의 도움을 통해 내담자가 달성할 수 있는 목표이어야 한다.
  3. 내담자가 상담목표 성취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4. 모든 내담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목표이어야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모든 내담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목표이어야 한다." 이다. Krumboltz는 상담의 목표가 내담자가 요구하는 목표이거나 상담자의 도움을 통해 내담자가 달성할 수 있는 목표이며, 내담자가 상담목표 성취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모든 내담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목표가 아니어도 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상담 진행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 : 비자발적 내담자의 경우 상담목표를 설정하지 않음
  2. 중기 :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반복적인 학습이 일어남
  3. 중기 : 문제 해결 과정에서 저항이 나타날 수 있음
  4. 종결기 : 상담 목표를 기준으로 상담성과를 평가함
(정답률: 70%)
  • "초기 : 비자발적 내담자의 경우 상담목표를 설정하지 않음"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비자발적 내담자의 경우에도 상담목표를 설정하고, 상담진행과정을 계획하며 진행합니다. 다만, 내담자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상담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이나 접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을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글래서(Glasser)의 현실치료 이론에서 가정하는 기본적인 욕구가 아닌 것은?

  1. 생존의 욕구
  2. 권력의 욕구
  3. 자존감의 욕구
  4. 재미에 대한 욕구
(정답률: 45%)
  • 글래서의 현실치료 이론에서는 자존감의 욕구를 기본적인 욕구로 가정하지 않습니다. 이 이유는 글래서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생존의 욕구", "권력의 욕구", "사랑의 욕구", "자유의 욕구"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욕구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자존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존감은 욕구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글래서의 기본적인 욕구(**소힘즐자생**)

    - 사랑과 **소**속의 욕구
    - **힘**(권력)의 욕구
    - 재미의 욕구(**즐**거움)
    - **자**유의 욕구
    - **생**존의 욕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내담자의 현재 상황에서의 욕구와 체험하는 감정의 자각을 중요시하는 상담이론은?

  1. 인간중심 상담
  2. 게슈탈트 상담
  3. 교류분석 상담
  4. 현실치료 상담
(정답률: 53%)
  • 게슈탈트 상담은 내담자의 현재 상황에서의 욕구와 체험하는 감정의 자각을 중요시하는 상담이론입니다. 이론은 내담자가 현재 상황에서 경험하는 것을 인식하고, 그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이론은 내담자의 경험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경험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더욱 풍부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형태주의 상담
    1940년대 펄스에 의해 창안된 형태주의 상담(게슈탈트 상담)은, 변화는 자각(알아차림)과 접촉을 통해서 저절로 일어난다고 보면서,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정확히 알아차리고, 이를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해소하도록 돕는 상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위기개입전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담자의 즉각적인 욕구에 주목한다.
  2. 내담자와 진실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위기개입 시 현재 상황과 관련된 과거에 초점을 맞춘다.
  4. 각각의 내담자와 위기를 독특한 것으로 보고 반응한다.
(정답률: 67%)
  • 위기개입 시 현재 상황과 관련된 과거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위기개입 전력은 현재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내담자의 즉각적인 욕구에 주목하고, 진실한 관계를 형성하여 각각의 내담자와 위기를 독특한 것으로 보고 반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과거치유 전문가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도박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박 중독자들은 대체로 도박에만 집착할 뿐 다른 개인적인 문제를 가지지 않는다.
  2. 도박 중독자들은 직장에서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남보다 더 열심히 노력한다.
  3. 심리적 특징으로 단기적인 만족을 추구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한다.
  4. 도박행동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하려 든다.
(정답률: 75%)
  • 도박 중독자들은 도박에만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개인적인 문제를 가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도박 중독자들은 직장에서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도박에 빠져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합니다. 또한 도박 중독자들은 단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박행동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하려 든다는 것은 도박 중독자들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학업상담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자발적 내담자가 많다.
  2. 부모의 관여가 적절한 수준과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3. 학습의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으므로 문제의 원인은 인지적인 것이다.
  4. 학습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여 유능한 학습자가 되도록 조력하는 과정이다.
(정답률: 78%)
  • "학습의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으므로 문제의 원인은 인지적인 것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학습의 문제는 인지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감정적, 행동적, 환경적 측면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업상담에서는 학습의 문제를 ganzheitlich하게 접근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상담자의 윤리의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밀보장은 상담진행 과정 중 가장 근복적인 윤리기준이다.
  2. 내담자의 윤리는 개인 상담뿐만 아니라 집단상담이나 가족상담에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3. 상담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내담자이며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4. 상담이론과 기법은 반복적으로 검증된 것이므로 시대 및 사회여건과 무관하게 적용해야 한다.
(정답률: 81%)
  • "상담이론과 기법은 반복적으로 검증된 것이므로 시대 및 사회여건과 무관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상담이론과 기법은 시대와 사회여건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담자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이론과 기법을 선택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성희롱 피해 경험으로 인해 분노, 불안, 수치심을 느끼고 대인관계를 기피하는 내담자에 대한 초기 상담 개입 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노상황을 탐색하고 호소 문제를 구체화한다.
  2. 불안감소를 위해 이완 기법을 실시한다.
  3. 수치심과 관련된 감정을 반영해 준다.
  4. 대인관계 문제 해결을 위해 가해자에 대한 공감 훈련을 한다.
(정답률: 69%)
  • 대인관계 문제 해결을 위해 가해자에 대한 공감 훈련을 하는 것은 옳지 않은 전략이다. 이는 가해자의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무시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내담자의 분노, 불안, 수치심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호소 문제를 구체화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함께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이론이 아닌 것은?

  1. 아노미이론
  2. 사회통제이론
  3. 욕구실현이론
  4. 하위문화이론
(정답률: 61%)
  • 욕구실현이론은 청소년 비행을 사회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방법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으로 설명합니다. 이론은 청소년들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행동을 선택하는 이유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이론은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교류분석에서 치료의 바람직한 목표인 치유의 4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계약의 설정
  2. 증상의 경감
  3. 전이의 치유
  4. 각본의 치유
(정답률: 41%)
  • 교류분석에서 치료의 바람직한 목표는 증상의 경감, 전이의 치유, 각본의 치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계약의 설정"은 치료의 목표로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계약의 설정"은 치료 시작 전에 환자와 치료자가 서로의 역할과 기대를 명확히 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중요하지만, 치료의 목표로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교류분석치료 치유의 4단계
    - 사회의 통제
    - 증상의 경감 혹은 완화
    - 전이의 치유
    - 각본의 치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진로상담에서 진로 미결정 내담자를 위한 개입방법과 비교하여 우유부단한 내담자에 대한 개입방법이 갖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장기적인 계획 하에 상담해야 한다.
  2. 대인관계나 가족 문제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3. 정보제공이나 진로선택에 관한 문제를 명료화하는 개입이 효과적이다.
  4. 문제의 기저에 있는 역동을 이해하고 감정을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45%)
  • 정보제공이나 진로선택에 관한 문제를 명료화하는 개입이 효과적이다는 것은, 우유부단한 내담자가 진로에 대해 불확실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 구체적인 정보와 명확한 선택지를 제시하여 내담자가 진로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내담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자신의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해주어 진로 선택에 대한 자신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우유부단형

    -우유부단형은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 능력뿐만 아니라 성격상의 문제에 기인하는 측면이 크므로, 정보제공이나 의사결정연습보다는 심층적인 심리상담 및 관련된 목표의 설정이 필요하다.
    - 장기적인 상담을 계획하여야 하며, 대인관계나 가족문제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특히 문제의 기저에 있는 역동을 이해하고 감정을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강화
  2. 남용
  3. 교차내성
  4. 공동의존
(정답률: 7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도로는 교차로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차량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교차로 내에서 차량의 운행 방향을 교차하지 않도록 설계된 것이 "교차내성"입니다. 다른 용어들은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심리학 지식을 상담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최초의 심리클리닉을 펜실베니아 대학교에 설립한 사람은?

  1. 위트머(Witmer)
  2. 볼프(Wolpe)
  3. 스키너(Skinner)
  4. 로저스(Rogers)
(정답률: 59%)
  • 위트머는 심리학 지식을 상담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최초의 심리클리닉을 펜실베니아 대학교에 설립한 사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트머(Witm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Ellis의 ABCDE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 : 문제 장면에 대한 내담자의 신념
  2. B : 선행사건
  3. C : 정서적·행동적 결과
  4. D : 새로운 감정과 행동
(정답률: 70%)
  • Ellis의 ABCDE 모형은 인간의 심리적 문제 해결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으로, A는 문제 장면에 대한 내담자의 신념, B는 선행사건, C는 정서적·행동적 결과, D는 새로운 감정과 행동, E는 효과적인 신념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BCDE 모형에서 C는 내담자의 정서적·행동적 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내담자의 신념과 선행사건에 따라 나타나는 감정과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법은?

  1. 해석하기
  2. 연결하기
  3. 반영하기
  4. 명료화하기
(정답률: 77%)
  • 이 기법은 "연결하기" 기법입니다. 이유는 주어진 그림에서 여러 개의 도형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큰 도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연결은 문제 해결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요소들을 하나로 묶어서 전체적인 이해를 돕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