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화공기사(구)(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공열역학

1. 깁스-두헴(Gibbs-Duhem)식이 다음으로 표시될 경우는? (단, Xi는 i성분의 조성, 는 i성분의 부분을 특성이다.)

  1. 압력과 몰수가 일정할 경우
  2. 몰수와 성분이 일정할 경우
  3. 몰수와 성분이 같을 경우
  4. 압력과 온도가 일정할 경우
(정답률: 64%)
  • 압력과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는 시스템의 총 몰수와 조성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Gibbs-Duhem 식을 미분하면 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압력과 온도가 일정할 경우에는 이 식이 적용되며, 이를 이용하여 상태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절대온도 T의 일정온도에서 이상기체를 1기압에서 10기압으로 가역적인 압축을 한다면 외부가 해야 할 일의 크기는?

  1. RTㆍln10
  2. RT2
  3. 9RT
  4. 10RT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역적인 압축에서 일의 크기는 P-V 작업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 = nRT를 이용하여 V를 구할 수 있다.

    P1V1 = nRT, P2V2 = nRT 이므로,

    V1 = nRT/P1, V2 = nRT/P2 이다.

    따라서 P-V 작업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W = ∫PdV = ∫P1V1 ~ P2V2 dV

    = ∫P1nRT/P1 ~ P2nRT/P2 dV

    = nRT ∫1/V1 ~ 1/V2 PdV

    = nRT ∫1/V1 ~ 1/V2 (nRT/V) d(1/V)

    = nRT ln(V2/V1)

    = nRT ln(P1/P2)

    = nRT ln(10)

    따라서, 외부가 해야 할 일의 크기는 RTㆍln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두성분이 완전 혼합되어 하나의 이상용액을 형성할 때 한성분 i의 화학포텐셜 μi는 μ°(T,P)+RTㆍlnXi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동일 온도와 압력하에서 한성분 i의 순수한 화학포텐셜 μipure는 어떻게 나타낼수 있는가? (단, Xi는 i성분의 몰분율, μ°(T,P)는 같은 T와 P에 있는 이상용액상태의 순수성분 i의 화학 포텐셜이다.)

(정답률: 64%)
  • 한성분 i의 순수한 화학포텐셜 μipure는 i성분이 차지하는 몰분율을 1로 가정하여 μ°(T,P)+RTㆍln(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μ°(T,P)와 같으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같은 온도, 같은 압력의 두 종류의 이상기체를 혼합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엔트로피(Entropy)가 감소된다.
  2. 헬름홀츠(Helmholtz) 자유 에너지는 증가한다.
  3. 엔탈피(Enthalpy)는 증가한다.
  4. 깁스(Gibbs) 자유에너지는 감소한다.
(정답률: 64%)
  •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이상기체를 혼합하면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더 많은 자유운동을 하게 되어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깁스 자유에너지는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상용액의 활동도 계수 는 어느값을 같는가?

(정답률: 55%)
  • 이상용액의 활동도 계수는 1을 같는다. 이유는 이상용액에서는 용질 분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활동도 계수는 실제 농도와 동일하게 1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활동도 계수가 1을 나타내는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그림은 열기관 사이클이다. T1에서 열을 받고 T2에서 열을 방출할 때 이 사이클의 열효율은 얼마인가?

(정답률: 70%)
  • 열효율은 (반환열 / 공급열)로 계산된다. 이 사이클에서 반환열은 T3에서의 열이고, 공급열은 T1에서의 열이다. 따라서 열효율은 (T3-T4) / (T1-T2) 이다. 보기 중에서 이 값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기체간의 반응 A+B R 이 125℃에서 일어난다. 이 반응의 표준 자유에너지 변화가 1500cal/mol 일 경우, 이반응의 평형 상수 값은?

  1. 0.00238
  2. 0.15
  3. 0.864
  4. -1.9
(정답률: 64%)
  • 평형 상수 K는 ΔG° = -RTlnK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ΔG°는 표준 상태에서의 자유 에너지 변화이다. 따라서,

    ΔG° = -RTlnK

    K = e^(-ΔG°/RT)

    주어진 ΔG° = 1500 cal/mol = 6.27 kJ/mol, R = 8.314 J/mol·K, T = 125 + 273 = 398 K를 대입하면,

    K = e^(-6270/8.314/398) = 0.15

    따라서, 이 반응의 평형 상수 값은 0.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열역학 제 2법칙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온도에서는 가역 사이클로 작동하는 기관의 열효율이 가장 크다.
  2. 이 법칙을 위반하면서 작동하는 기관을 제 2종 영구 기관이라 한다.
  3. 계 내의 에너지 총량 보존을 설명하는 법칙이다.
  4. 외부에서 일이 가해지지 않으면 열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를 수 없다.
(정답률: 50%)
  • 정답은 "계 내의 에너지 총량 보존을 설명하는 법칙이다."가 아닌 "외부에서 일이 가해지지 않으면 열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를 수 없다."이다. 열역학 제 2법칙은 열은 항상 고온에서 저온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열의 흐름은 일종의 역학적인 움직임을 동반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열역학 제 2법칙은 열과 역학적인 움직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과학자가 자기가 만든 열기관이 80℃와 10℃사이에서 작동하면서 100cal 의 열을 받아 20cal의 유용한 일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과학자의 주장에 대한 판단으로 옳은 것은?

  1. 열역학 제 0법칙에 위배된다
  2. 열역학 제 1법칙에 위배된다.
  3. 열역학 제 2법칙에 위배된다
  4. 타당하다
(정답률: 50%)
  • "열역학 제 2법칙에 위배된다" 이유는, 열기관에서 열을 받아 유용한 일을 할 수 있는 양은 열기관의 열을 받은 양보다 항상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열역학 제 2법칙인 열은 항상 고온에서 저온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과학자의 주장은 열역학 제 2법칙에 위배되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몰리에 선도(Mollier diagram)는 어떤 성질들을 기준으로 만든 도표인가?

  1. 압력과 부피
  2. 온도와 엔트로피
  3. 엔탈피와 엔트로피
  4. 압력과 엔트로피
(정답률: 64%)
  • 몰리에 선도는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기준으로 만든 도표이다. 엔탈피는 시스템의 열과 일의 합으로,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모든 물질의 엔탈피와 엔트로피는 고유한 값으로 존재하며, 이를 기반으로 모든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모리에 선도가 만들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상태함수로 볼 수 없는 것은?

  1. 내부에너지
  2. 압력
  3. 엔탈피
(정답률: 59%)
  • 열은 경로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태함수가 아니다. 즉, 같은 상태라도 열의 양이나 방향이 다르면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태함수로 볼 수 없다. 반면, 내부에너지, 압력, 엔탈피는 상태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5℃에서 1몰의 이상기체가 20atm에서 1atm로 단열 가역적으로 팽창하였을 때 최종 온도는 약 몇 K인가? (단, 비열비 이다.)

  1. 100K
  2. 90K
  3. 80K
  4. 70K
(정답률: 60%)
  • 팽창이 단열 가역과정이므로 엔트로피 변화는 0이다. 이에 따라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해 내부에너지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초기 내부에너지와 최종 내부에너지는 같다. 내부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므로 최종 온도는 초기 온도와 같다. 따라서 최종 온도는 25℃ = 298K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중 과잉 물성치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실제 물성치와 동일한 온도, 압력 및 조성에서 이상용액 물성치와의 차이이다.
  2. 이상용액의 물성치와 표준상태에서의 실제 물성치와의 차이이다.
  3. 표준상태에서의 이상용액의 물성치와 특정상태에서의 실제 물성치와의 차이이다.
  4. 실제 물성치와 표준상태에서의 실제 물성치와의 차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잉 물성치는 "실제 물성치와 동일한 온도, 압력 및 조성에서 이상용액 물성치와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이상적인 상태가 아닌 현실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이상용액의 물성치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계산된 값이며, 실제 물성치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측정된 값입니다. 따라서 이 둘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20℃ 1atm에서 아세톤의 부피팽창계수 β는 1.487×10-3-3, 등온압축계수 k는 62×10-6atm-1이다. 아세톤을 정적하에서 20℃, 1atm으로부터 30℃까지 가열하였을 때 압력은 약 몇 atm인가? (단, β와 k의 비는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1. 12.1
  2. 24.1
  3. 121
  4. 241
(정답률: 50%)
  • 부피팽창계수 β와 등온압축계수 k를 이용하여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압력과 부피가 변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태방정식을 변형해야 한다.

    P1V1/T1 = P2V2/T2

    여기서 1과 2는 각각 초기와 최종 상태를 나타낸다.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자.

    초기 상태에서의 부피 V1은 1몰의 아세톤이 20℃, 1atm에서 차지하는 부피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1 = nRT1/P1 = (1 mol)(0.0821 L·atm/mol·K)(293 K)/(1 atm) = 24.2 L

    최종 상태에서의 온도 T2는 30℃ + 273.15 = 303.15 K이다. 이를 이용하여 최종 상태에서의 부피 V2를 구할 수 있다.

    V2 = nRT2/P2

    부피팽창계수 β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변화한 부피 ΔV를 구할 수 있다.

    ΔV = V2 - V1 = V1βΔT = (24.2 L)(1.487×10-3-3)(30℃ - 20℃) = 0.358 L

    등온압축계수 k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 ΔP를 구할 수 있다.

    ΔP = P2 - P1 = -P1kΔV = -(1 atm)(62×10-6atm-1)(0.358 L) = -2.22×10-5 atm

    여기서 음수 부호는 부피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종 압력 P2는 다음과 같다.

    P2 = P1 + ΔP = 1 atm - 2.22×10-5 atm = 0.9998 atm

    이 값은 241에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2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P-T선도에서 이상기체의 가역단열 압축과정을 나타내는 선은?

  1. 1-A
  2. A-2
  3. A-3
  4. A-4
(정답률: 46%)
  • 이상기체의 가역단열 압축과정은 열이 변하지 않으므로 P-T선도에서는 기울기가 -1인 직선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A-3이 이상기체의 가역단열 압축과정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주를 고립계라고 할 때 다음 중 옳은 설명은?

  1. 우주내의 엔트로피는 증가하고 있다.
  2. 우주내의 엔트로피는 감소하고 있다.
  3. 우주내의 엔트로피는 감소도 증가도 하지 않는다.
  4. 우주내의 엔트로피는 그 정확한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정답: "우주내의 엔트로피는 증가하고 있다."

    설명: 엔트로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항상 열적으로 불균형한 상태를 향해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주 내의 엔트로피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중 공기 표준 오토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 불꽃점화 기관의 이상사이클 이다.
  2. 정압, 정적, 단열과정으로 이우러진 압축점화 기관의 이상사이클이다.
  3.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압과정으로 이루어진 가스 터빈의 이상사이클이다.
  4. 2개의 정압과정과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 증기 원동기의 이상사이클이다.
(정답률: 55%)
  • 공기 표준 오토사이클은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 불꽃점화 기관의 이상사이클이다. 이는 공기가 불꽃점화를 통해 압축되고, 연소 후 팽창하며, 이 과정에서 열과 일을 주고받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 첫 번째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가역과정에 있어서 다음식 중 옳은 것은? (단, S는 엔트로피 Q는 열량 T는 절대온도이다.)

  1. △S=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

    비가역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므로, ""와 ""는 모두 틀린 식입니다.

    따라서, 비가역과정에서는 엔트로피 변화가 0이 아니므로 ""이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증기와 질소의 혼합기체가 물과 평형에 있을 때 자유도 수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55%)
  • 수증기와 물은 서로 다른 물질이므로 각각의 상태변수(온도, 압력 등)를 가지며, 질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혼합기체는 세 가지 물질의 상태변수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물과 수증기는 서로 증발과 응축의 상태변화를 반복하며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두 물질의 상태변수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혼합기체는 두 개의 독립적인 상태변수만을 가지며, 자유도 수는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kg의 질소가스가 2.3atm, 367K에서 PV1.3=const.의 폴리트로픽 공정 중 정적과정으로 압력이 2배가 될 때 이 가스의 내부 에너지 변화는 약 몇 kcal/kg 인가? (단, 이 가스의 정압비열 Cp는 0.25kcal/kgㆍk, 정적비열 CV는 0.18kcal/kgㆍK이다.)

  1. 0.18
  2. 0.25
  3. 1.34
  4. 11.46
(정답률: 46%)
  • PV1.3=const.의 폴리트로픽 공정에서, PnV=const.의 등온 공정과 PVn=const.의 등압 공정이 결합한 것이다. 이 경우, n=(Cp/CV)이다. 따라서, n=0.25/0.18=1.39이다.

    정적과정에서, 내부 에너지 변화는 ΔU=CVΔT이다. 이 경우, ΔT=T(2)-T(1)=367K(21/n-1)=367K(21/1.39-1)=367K(0.695-1)= -120.5K이다.

    따라서, ΔU=0.18kcal/kgㆍK(-120.5K)=-21.69kcal/kg이다.

    압력이 2배가 되었으므로, 1kg의 가스의 첫 압력은 2.3atm이고, 끝 압력은 4.6atm이다. 따라서, 일을 하지 않았으므로, ΔU=q=ΔH-ΔnRT이다. 여기서, Δn=0이고, ΔH=CpΔT이다.

    따라서, ΔH=0.25kcal/kgㆍK(-120.5K)=-30.13kcal/kg이다.

    1kcal=4.184kJ이므로, ΔH=-30.13kcal/kg=-125.98kJ/kg이다.

    따라서, 답은 11.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공업양론

21. NH3를 다음의 반응에 의해 NO로 산화한다. 시간당 NO 30kg을 생성하기 위하여 30% 과잉 산소를 공급할 때 공급산소의 양은 시간당 몇 kg 인가?

  1. 52
  2. 40
  3. 27
  4. 20
(정답률: 10%)
  • 반응식을 보면 NH3 1 몰에 대해 NO 1 몰이 생성되므로, 시간당 NO 30kg을 생성하려면 NH3의 몰수도 30 mol/h여야 한다.

    NH3 + 4O2 → 2NO + 6H2O

    그러므로, NH3의 몰수는 30 mol/h이고, 이에 대응하는 산소의 몰수는 30/2 = 15 mol/h이다.

    그런데 문제에서는 30% 과잉 산소가 공급된다고 하므로, 실제 공급되는 산소의 몰수는 15 × 1.3 = 19.5 mol/h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산소의 질량은 19.5 × 32 = 624 g/h = 0.624 kg/h이다.

    따라서, 정답은 "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내경 5cm의 파이프에 비중이 1.2인 원유가 3.5m/s 의 속도로 흐를 때 단위면적당 질량 속도는 몇 kg/m2ㆍs 인가?

  1. 1336
  2. 2356
  3. 3150
  4. 4200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면적당 질량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질량 속도 = 밀도 × 속도

    여기서, 파이프 내부의 원유의 부피 당 질량은 다음과 같다.

    부피 당 질량 = 비중 × 물의 밀도

    따라서, 질량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질량 속도 = 부피 당 질량 × 속도 = 비중 × 물의 밀도 × 속도

    물의 밀도는 1000 kg/m³ 이므로, 비중이 1.2인 원유의 밀도는 1200 kg/m³ 이다. 따라서,

    질량 속도 = 1200 kg/m³ × 3.5 m/s = 4200 kg/m²·s

    따라서, 정답은 "42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H4(g)의 표준생성열은 몇 kcal/mol 인가? (단, C와 O2의 반응으로부터 구한 CO2(g)의 표준생성열은 94.1kcal/mol, H2와 O2의 반응으로부터 구한 H2O(L)의 표준생성열은 68.3kcal/mol, CH4(g)의 표준연소열은 212.8kcal/mol이다.)

  1. -17.9
  2. 17.9
  3. 35.8
  4. -35.8
(정답률: 1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표준상태에서 공기의 밀도는 몇 g/L 인가? (단, 공기의 몰백분율은 80%의 질소와 20%의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1. 1.12
  2. 1.21
  3. 1.29
  4. 1.52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의 몰질량은 질소의 몰질량과 산소의 몰질량을 합한 값이므로,

    질량비 = (질소의 몰질량 × 0.8) + (산소의 몰질량 × 0.2)

    = (14 g/mol × 0.8) + (16 g/mol × 0.2)

    = 11.2 g/mol + 3.2 g/mol

    = 14.4 g/mol

    따라서, 1 mol의 공기는 14.4 g이며, 이를 22.4 L의 부피에 담으면 표준상태가 된다.

    따라서,

    1 L의 공기의 질량 = 14.4 g / 22.4 L

    = 0.643 g/L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공기의 밀도이므로,

    공기의 밀도 = 0.643 g/L × (80% + 20%)

    = 0.643 g/L × 1

    = 0.643 g/L

    따라서, 공기의 표준상태에서의 밀도는 0.643 g/L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29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공기의 밀도를 2배로 계산한 값이다.

    이는 공기가 이상기체로 가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공기의 밀도는 이보다 더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이론적인 값이며, 실제 공기의 밀도는 이보다 더 작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질소의 정압 몰열용량 Cp[J/molㆍk]가 다음과 같고 1mol의 질소를 1atm하에서 600℃로부터 20℃로 냉각하였을 때 발생하는 열량은 약 몇 J인가? (단, R은 상기체상수이다.)

  1. 17600
  2. 27600
  3. 37600
  4. 47600
(정답률: 알수없음)
  •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Q = nCpΔT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몰수, ΔT는 온도차이이다.

    먼저, 1mol의 질소가 1atm하에서 600℃로부터 20℃로 냉각되는 과정에서 온도차이는 600 - 20 = 580℃이다.

    따라서, Q = 1mol x 29.1 J/mol℃ x 580℃ = 16878 J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R 상수가 등장하므로, Cp와 R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Cp - Cv = R

    Cp = Cv + R

    여기서 Cv는 질소의 정적용량 몰열이다. C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v = (f/2)R

    여기서 f는 분자의 자유도이다. 질소 분자는 세 개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f = 5이다.

    따라서, Cv = (5/2)R = 20.8 J/mol℃이다.

    그러므로, Cp = Cv + R = 29.1 J/mol℃이다.

    이를 이용하여, Q = 1mol x 29.1 J/mol℃ x 580℃ = 16878 J이다.

    따라서, 정답은 "17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성분과 B성분의 Binary system에서 기상과 액상이 평형관계에 있다고 한다면 A성분 기상의 몰분율 YA에 관한 일반식은? (단, 는 B성분에 대한 A성분의 휘발도이고, X는 액체의 몰분율이다.)

(정답률: 20%)
  • 기상과 액상이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A성분의 총 몰수는 일정하다. 따라서, A성분의 기상 몰분율 YA와 액상 몰분율 X의 합은 1이다. 또한, A성분의 기상압은 휘발도와 기체의 몰분율에 비례하므로, Raoult의 법칙에 따라 PA = YAPA^o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어진 계에서 기체 분자들이 반응하여 새로운 분자가 생성되었을 때 원자 백분율 조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그 계의 압력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2. 그 계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3. 그 계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변화한다.
  4. 그 계내에서 화학 반응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10%)
  • 화학 반응은 원자의 수를 변화시키지만, 원자의 백분율 조성은 원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화학 반응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그 계내에서 화학 반응에 관계없이 원자 백분율 조성은 일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포스겐가스를 만들기 위하여 CO가스 1.2몰과 Cl2 가스 1몰을 다음 반응식과 같이 촉매하에서 반응시킬 때 전환율이 90% 라면 반응 후 총 몰수는 몇 몰인가?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응식을 보면 CO와 Cl2가 1:1의 몰비로 반응하므로, CO가스 1.2몰과 Cl2 가스 1몰을 반응시키면 더 많은 양의 CO가스가 남게 된다. 따라서 전환율이 90%라면 CO가스의 몰수는 1.2 x 0.1 = 0.12 몰이 되고, Cl2 가스의 몰수는 1 x 0.1 = 0.1 몰이 된다. 이에 따라 반응 후 총 몰수는 0.12 몰 + 0.1 몰 = 0.22 몰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3 몰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문제에서 제시한 정보 이외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문제는 충분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의 3중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3중점이 존재하는 상태를 규정하기 위한 변수의 수는 3개이다.
  2. 3중점이 존재하는 상태는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3. 3중점에서 계의 자유도는 1로서 압력만이 독립변수이다.
  4. 기체-고체, 기체-액체, 고체-액체 선이 서로 교차하는 점이다.
(정답률: 20%)
  • 기체-고체, 기체-액체, 고체-액체 선이 서로 교차하는 점이 맞습니다. 이는 세 가지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물의 상태가 임의로 변화될 수 없습니다. 이는 물의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3중점은 물의 상태를 규정하기 위한 변수의 수가 3개이며, 이 지점에서는 압력만이 독립변수이고 계의 자유도는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30℃, 760mmHg에서 공기의 수증기압이 25mmHg이고, 이 온도에서 포화수증기압은 0.0433kgf/cm2이다. 이때 상대 습도는 약 몇 %인가?

  1. 71.6
  2. 78.5
  3. 87.4
  4. 92.7
(정답률: 30%)
  • 공기의 상대습도는 (수증기압/포화수증기압)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수증기압 = 25mmHg
    포화수증기압 = 0.0433kgf/cm^2 = 33.86mmHg (1mmHg = 0.001315kgf/cm^2)

    따라서, 상대습도 = (25/33.86) × 100 = 73.8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온도와 기압이 주어졌기 때문에, 실제로는 포화수증기압이 0.0433kgf/cm^2이 아니라, 이 온도와 기압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을 계산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온도와 기압에서의 수증기압을 계산해야 한다.

    물의 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변하는데, 이를 나타내는 공식 중 하나가 Clausius-Clapeyron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30℃에서의 수증기압을 계산할 수 있다.

    ln(P2/P1) = (ΔHvap/R) × (1/T1 - 1/T2)

    P1 = 25mmHg
    T1 = 30℃ + 273.15 = 303.15K
    ΔHvap = 40.7kJ/mol (물의 수증기화열)
    R = 8.314J/mol·K

    P2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 방정식을 P2에 대해 풀어야 한다.

    P2 = P1 × exp((ΔHvap/R) × (1/T1 - 1/T2))

    P2 = 25 × exp((40.7×10^3/8.314) × (1/303.15 - 1/273.15)) = 42.17mmHg

    따라서, 상대습도 = (25/42.17) × 100 = 78.5

    따라서, 정답은 "7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프로판가스와 부탄가스를 액화한 혼합물이 30℃에서 프로판과 부탄의 몰비가 4:1로 되었다면 이 용기내 압력은 약 몇 atm인가? (단, 30℃에서 프로판의 증기압은 9000mmHg, 부탄의 증기압은 2400mmHg이다.)

  1. 50
  2. 20
  3. 10
  4. 4
(정답률: 20%)
  • 프로판과 부탄의 몰비가 4:1이므로, 용기 내 전체 몰의 5분의 4는 프로판, 5분의 1은 부탄이다. 따라서, 프로판과 부탄의 증기압을 각각 4/5, 1/5로 곱해준 후 더해주면 된다.

    (9000mmHg x 4/5) + (2400mmHg x 1/5) = 7200mmHg + 480mmHg = 7680mmHg

    이때, mmHg를 atm으로 변환해주면 약 10atm이 된다.

    (7680mmHg / 760mmHg/atm) ≈ 10at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000kg의 물체가 50m높이에서 지상으로 떨어질때 발생하는 열량은 몇 J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4.9
  2. 49
  3. 490
  4. 4900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가 떨어지는 동안 중력에 의해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고, 땅에 충돌하면서 운동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이 때 발생하는 열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의 변화량과 같습니다.

    물체의 높이가 50m이므로, 운동 에너지 변화량은 mgh = 1000kg x 9.8m/s^2 x 50m = 490,000J입니다. 따라서 물체가 땅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열 에너지는 490,000J입니다.

    단위를 킬로줄로 바꾸면 490kJ가 되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4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상상태로 흐르는 유체가 유로의 확대된 부분을 흐를 때 변화하지 않는 것은?

  1. 유량
  2. 유속
  3. 압력
  4. 유동단면적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은 유체가 단위 시간당 흐르는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유로의 확대된 부분에서도 유체의 양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유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량"입니다. 유속은 유체가 단위 시간당 이동하는 거리를 나타내는 값이며, 압력은 유체가 표면에 가하는 힘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유동단면적은 유체가 유로 내에서 흐르는 단면적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액체염소 40kg이 표준상태에서 증발했을 때 약 몇 m3의 Cl2 가스가 생성되는가? (단, Cl2의 분자량은 70.9이다.)

  1. 10.6
  2. 11.6
  3. 12.6
  4. 13.6
(정답률: 19%)
  • 액체염소의 몰질량은 70.9g/mol이므로 40kg은 몇 몰인지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40kg / 70.9g/mol = 563.9 mol

    증발 후 생성된 Cl2 가스의 몰수는 액체염소의 몰수와 같다. 따라서 563.9 mol의 Cl2 가스가 생성된다.

    이제 이를 표준상태에서의 체적으로 환산해보자. 표준상태에서의 체적은 1 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체적인 몰부피와 같다. 이 값은 22.4 L/mol이다. 따라서 563.9 mol의 Cl2 가스가 차지하는 체적은 다음과 같다.

    563.9 mol × 22.4 L/mol = 12,625.36 L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12.6 m3의 Cl2 가스가 생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1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8℃에서 액체 A의 엔탈피를 0이라 가정하고 150℃에서 A증기의 엔탈피를 구하면 약 몇 cal/g인가? (단,. 엑체 A의 비열은 0.44cal/gㆍ℃ , 증기 A의 비열은 0.32cal/gㆍ℃, 100℃에서 증발열은 86.5cal/g)

  1. 70
  2. 139
  3. 200
  4. 280
(정답률: 10%)
  • 액체 A를 18℃에서 100℃까지 가열하면, 열이 액체 A의 비열과 질량, 그리고 온도차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H = mcΔT = 1g × 0.44cal/g℃ × (100℃ - 18℃) = 70.48cal

    액체 A를 100℃에서 150℃까지 가열하면, 열이 액체 A의 비열과 질량, 그리고 온도차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H = mcΔT = 1g × 0.44cal/g℃ × (150℃ - 100℃) = 22.0cal

    액체 A를 100℃에서 증발시키면, 열이 액체 A의 증발열과 질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H = mL = 1g × 86.5cal/g = 86.5cal

    즉, 액체 A를 18℃에서 증기 A로 변화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액체 A(18℃) → 액체 A(100℃) → 증기 A(100℃) → 증기 A(150℃)

    따라서, 증기 A의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H = 70.48cal + 86.5cal + 1g × 0.32cal/g℃ × (150℃ - 100℃) = 139.44cal

    즉, 증기 A의 엔탈피는 약 139cal/g이다. 따라서, 정답은 "13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에너지 수지식은 다음 중 어느 법칙에 기인하는 것인가?

  1. 열역학 제 1법칙
  2. 열역학 제 2법칙
  3. 열역학 제 3법칙
  4. 열역학 제 0법칙
(정답률: 30%)
  • 에너지 수지식은 열역학 제 1법칙에 기인한다. 열역학 제 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변하지 않고 보존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에너지가 어디서 왔는지, 어디로 가는지를 추적하여 에너지의 총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 전달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에너지 수지식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세톤 15vol%를 함유하는 벤젠과의 혼합물이 있다. 20℃ 760mmHg에서 벤젠의 분압은 몇 atm인가?

  1. 0.15
  2. 0.35
  3. 0.85
  4. 0.95
(정답률: 20%)
  • 벤젠과 아세톤은 이상 혼합물이므로, 두 구성 성분의 분압을 더하면 혼합물의 총 분압이 된다. 따라서 벤젠의 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벤젠의 몰 분율을 구해야 한다.

    벤젠과 아세톤의 몰 분율은 각각 다음과 같다.

    벤젠의 몰 분율 = (100 - 15) vol% / 100 vol% = 0.85
    아세톤의 몰 분율 = 15 vol% / 100 vol% = 0.15

    따라서 벤젠의 분압은 총 분압인 760 mmHg에 벤젠의 몰 분율인 0.85을 곱한 값이 된다.

    벤젠의 분압 = 760 mmHg × 0.85 = 646 mmHg

    마지막으로, mmHg를 atm으로 변환해주면 벤젠의 분압은 다음과 같다.

    벤젠의 분압 = 646 mmHg × 1 atm / 760 mmHg = 0.85 atm

    따라서 정답은 "0.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섭씨온도 단위를 대체하는 새로운 온도 단위를 정의하여 1기압 하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새로운 온도 단위에서는 10도로 선택하고 물이 끓는 온도를 130도로 정하였다. 섭씨 20도는 새로운 온도 단위로 환산하면 몇 도 인가?

  1. 30
  2. 34
  3. 38
  4. 42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 간의 차이는 섭씨 100도이고, 이를 새로운 온도 단위에서는 120도이다. 따라서 새로운 온도 단위에서 1도는 섭씨 100/120 = 5/6도이다.

    섭씨 20도는 새로운 온도 단위에서 5/6 × (20 - 0) + 10 = 34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농도가 5%인 소금수용액 1kg을 1%인 소금수용액으로 희석하여 3%인 소금수용액을 만들고자 할 때 필요한 1% 소금수용액의 질량은 몇 kg인가?

  1. 1.0
  2. 1.2
  3. 1.4
  4. 1.6
(정답률: 19%)
  • 물과 소금의 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1kg의 5% 소금수용액은 50g의 소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1% 소금수용액으로 희석하려면, 50g의 소금을 얼마만큼의 물로 희석해야 합니까?

    1% 소금수용액은 1g의 소금이 100ml의 물에 녹아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50g의 소금을 1% 소금수용액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5000ml 또는 5L의 물이 필요합니다.

    이제 5L의 1% 소금수용액에 1kg의 5% 소금수용액을 추가합니다. 이것은 50g의 소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5.05kg의 3% 소금수용액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1% 소금수용액의 질량은 5L 또는 1.0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30℃ 742mmHg에서 수증기로 포화된 H2가스가 2300cm3의 용기 속에 들어 있다. 30℃, 742mmHg에서 순 H2가스의 용적은 약 몇 cm3인가? (단, 30℃에서 포화수증기압은 32mmHg이다.)

  1. 2200
  2. 2090
  3. 1880
  4. 1170
(정답률: 10%)
  • 이 문제는 가스법칙과 증기압의 개념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먼저, 가스법칙에서는 PV = nRT라는 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용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순 H2 가스의 용적을 구하고자 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PV = nRT

    여기서 n은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순 H2 가스의 몰수이다. 따라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n = PV/RT

    여기서 P는 742mmHg이고, V는 2300cm3이다. R은 기체상수로 0.0821 L·atm/K·mol이므로, 여기서 용적을 L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V를 0.0023 L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또한, 온도는 30℃이므로 절대온도인 303K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n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n = (742 mmHg) × (0.0023 L) / (0.0821 L·atm/K·mol × 303 K) = 0.000099 mol

    이제 이 몰수를 이용하여 수증기로 포화된 H2 가스의 몰수를 구할 수 있다. 수증기로 포화된 H2 가스는 30℃에서 포화수증기압인 32mmHg에 해당하는 수증기안의 H2 가스의 몰수와 같다. 따라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n' = P'/RT

    여기서 P'는 수증기안의 H2 가스의 압력이다. 이는 742mmHg에서 수증기안의 수증기압 32mmHg를 뺀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742 mmHg - 32 mmHg = 710 mmHg

    따라서 n'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n' = (710 mmHg) / (0.0821 L·atm/K·mol × 303 K) = 0.027 mol

    이제 이를 이용하여 순 H2 가스의 용적을 구할 수 있다. 순 H2 가스와 수증기안의 H2 가스는 같은 용기 안에 있으므로, 이들의 몰수의 합이 전체 용기안의 몰수와 같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n + n' = N

    여기서 N은 전체 용기안의 몰수이다. 따라서 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N = n + n' = 0.000099 mol + 0.027 mol = 0.0271 mol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하여 순 H2 가스의 용적을 구할 수 있다. 다시 PV = nRT 식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V = nRT/P = (0.0271 mol) × (0.0821 L·atm/K·mol × 303 K) / (742 mmHg) = 0.0022 L = 2200 cm3

    따라서 정답은 "2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단위조작

41. 상대휘발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휘발도는 어느 성분의 분압과 몰분율의 비로 나타낼수 있다.
  2. 상대휘발도는 2물질의 순수성분 증기압의 비와 같다.
  3. 상대휘발도가 클수록 증류에 의한 분리가 용이하다.
  4. 상대휘발도는 액상과 기상의 조성에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대휘발도는 액상과 기상의 조성에는 무관하다."가 아닌 "상대휘발도는 2물질의 순수성분 증기압의 비와 같다."이다.

    상대휘발도는 두 개의 액체가 혼합되어 있을 때, 각각의 성분이 증기압을 얼마나 발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상대휘발도는 액상과 기상의 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액체가 혼합되어 있을 때, 상대휘발도가 높은 성분은 증기압이 높아서 증발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상대휘발도가 낮은 성분보다 먼저 증류로 분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파이프 속을 층류상태로 흐르는 어떤 점성액체의 평균속도가 10cm/s이고 파이프 양끝 의 압력차와 파이프의 내경은 각각 0.6기압, 2cm이다 만일 동일한 길이로 파이프 양끝의 압력차를 0.3기압으로 줄이고 내경이 4cm인 것으로 바꾸면 액체의 평균 속도는 몇 cm/s가 되겠는가?

  1. 10
  2. 20
  3. 40
  4. 80
(정답률: 1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NNU(Nusselt number)의 정의로서 옳은것은? (단, Nst는 stanton수, Npr은 prandtl, k는 열전도도, D는 지름, h는 개별열전달 계수, NRE는 레이놀즈수 이다)

(정답률: 10%)
  • NNU는 유체 내부에서 열전달이 일어날 때, 유체와 경계면 사이의 열전달을 나타내는 비례상수이다. 이 값은 Nst, Npr, NRE 등의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NNU 값이 "" 인 이유는 해당 변수들의 값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NNU 값이 그 크기와 방향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확산에 의한 물질전달현상을 나타낸 Fick의 법칙처럼 전달속도, 구동력 및 저항 사이의 관계식으로 일반화되는 점에서 유사성을 갖는 법칙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1. stefan-Boltzman 법칙
  2. Henry 법칙
  3. Fourier 법칙
  4. Raoult 법칙
(정답률: 10%)
  • 정답은 "Fourier 법칙"입니다.

    Fick의 법칙은 물질의 확산에 대한 전달속도와 농도차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마찬가지로, Fourier 법칙은 열전달에 대한 전달속도와 온도차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즉, Fourier 법칙은 열전달과 관련된 법칙으로, Fick의 법칙과 유사한 점을 갖습니다.

    Fourier 법칙은 열전달에 대한 전달속도와 온도차이 사이의 관계식으로 일반화됩니다. 이 법칙은 열전달의 구동력인 온도차이와 열전달의 저항인 열전도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Fourier 법칙은 열전달에 대한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로, 열전달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면적이 0.25m2인 250℃ 상태의 물체가 있다 50℃ 공기가 그 위에 있을때 전열속도는 약 몇 kw인가? (단, 대류에 의한 열전달계수는 30w/m2ㆍ℃)

  1. 1.5
  2. 1.875
  3. 1500
  4. 187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열속도는 전달되는 열의 양을 시간 단위로 나타낸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열속도 = 열전달계수 × 면적 × 온도차이

    여기서 면적은 0.25m2, 열전달계수는 30w/m2℃, 온도차이는 (250-50)℃ = 200℃ 이므로,

    전열속도 = 30 × 0.25 × 200 = 1500 (W)

    따라서 정답은 "1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혼합조작에서 혼합초기, 혼합도중, 완전이상혼합시 각 균일도 지수의 값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균일도 지수는 이며 σ는 혼합 도중의 표준편차, σ0는 혼합 전의 최초의 표준편차이다.)

  1. 혼합초기: 0, 혼합도중: 0에서 1사이의 값, 완전이상혼합: 1
  2. 혼합초기: 1, 혼합도중: 0에서 1사이의 값, 완전이상혼합: 0
  3. 혼합초기와 혼합도중: 0에서 1사이의 값, 완전이상혼합: 1
  4. 혼합초기: 1, 혼합도중: 0, 완전이상혼합: 1
(정답률: 0%)
  • 혼합초기에서는 각 성분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균일도 지수는 1이 됩니다. 혼합도중에서는 혼합이 진행되면서 각 성분의 분포가 균등해지므로 균일도 지수는 0에서 1사이의 값이 됩니다. 완전이상혼합에서는 각 성분이 완전히 혼합되어 균일도 지수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혼합초기: 1, 혼합도중: 0에서 1사이의 값, 완전이상혼합: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상계점(plait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점에서 2상이 1상이 된다.
  2. 이 점에서는 추출이 불가능하다.
  3. 대응선(Tie line)의 길이가 0이다.
  4. 이 점을 경계로 주제성분이 많은 쪽이 추진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점에서 2상이 1상이 된다."는 상계점의 정의를 나타내는 맞는 설명이다. "이 점에서는 추출이 불가능하다."는 상계점에서의 추출 가능성과 관련된 잘못된 설명이다. "대응선(Tie line)의 길이가 0이다."는 상계점에서의 대응선의 길이와 관련된 맞는 설명이다. "이 점을 경계로 주제성분이 많은 쪽이 추진상이다."는 상계점에서의 주제성분과 추진상의 관계와 관련된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이 점에서는 추출이 불가능하다."이다.

    상계점은 두 개의 상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두 상의 조성이 서로 다른 대응선 위에 위치할 때 발생한다. 이 때, 상계점에서는 두 상의 조성이 완전히 혼합되어 있으며, 대응선의 길이가 0이 된다. 또한, 상계점을 경계로 주제성분이 많은 쪽이 추진상이 된다. 이는 상계점에서는 두 상의 조성이 완전히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제성분이 많은 쪽이 더욱 추진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x-y 도표에서 최소 환류비를 결정하기 위한 농축부 조작선은 어느 것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0%)
  • 정답은 "c"입니다.

    이유는 농축부 조작선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 많은 양의 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농축부 조작선은 x-y 도표에서 가장 왼쪽 아래에 위치한 점인 (2,1)과 가장 오른쪽 위에 위치한 점인 (6,5)을 지나는 직선이어야 합니다. 이 직선은 보기 중 "c"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1기압에서 메탄올의 몰 분율이 0.5인 수용액을 증류하면 평형증기에서 메탄올의 몰 분율이 0.8로 된다. 메탄올의 물에 대한 상대 휘발도는 얼마인가?

  1. 2
  2. 4
  3. 6
  4. 10
(정답률: 10%)
  • 메탄올의 물에 대한 상대 휘발도는 평형증기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탄올의 몰 분율이 0.5인 수용액에서의 평형증기압은 메탄올의 증기압(p)과 물의 증기압(p0)의 합이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 = x × P°m + (1 - x) × P°w

    여기서, x는 메탄올의 몰 분율, P°m은 메탄올의 증기압, P°w는 물의 증기압을 나타낸다. 따라서, x = 0.5일 때, p = 0.5 × P°m + 0.5 × P°w 이다.

    마찬가지로, 메탄올의 몰 분율이 0.8인 평형증기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 = x' × P°m + (1 - x') × P°w

    여기서, x'는 메탄올의 몰 분율, P°m은 메탄올의 증기압, P°w는 물의 증기압을 나타낸다. 따라서, x' = 0.8일 때, p' = 0.8 × P°m + 0.2 × P°w 이다.

    상대 휘발도는 두 평형증기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탄올의 물에 대한 상대 휘발도는 다음과 같다.

    상대 휘발도 = p'/p = (0.8 × P°m + 0.2 × P°w) / (0.5 × P°m + 0.5 × P°w)

    이를 계산하면, 상대 휘발도는 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비중 0.9 점도 1poise의 유체를 직경 30.5cm의 배관을 통하여 10m3/h로 수송한다 이 때 레이놀즈수는 약 얼마인가?

  1. 104
  2. 232
  3. 1160
  4. 2321
(정답률: 0%)
  •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밀도, 속도, 동력, 점성 등의 물성에 따라 결정된다. 레이놀즈수가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유동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범위를 벗어나면 유동은 불안정하고 예측이 어려워진다.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 속도 × 직경) / 점성

    여기서 밀도는 유체의 밀도, 속도는 유체의 속도, 직경은 배관의 직경, 점성은 유체의 점성으로 각각의 단위는 다음과 같다.

    밀도: kg/m³
    속도: m/s
    직경: m
    점성: Pa·s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밀도: 0.9 kg/m³
    속도: 10 m/s (10m³/h를 1시간당 3600초로 나누어 m³/s로 변환한 값)
    직경: 0.305 m
    점성: 1 Pa·s (문제에서 1poise의 유체를 사용하였으므로)

    Re = (0.9 × 10 × 0.305) / 1
    ≈ 27.45

    따라서 정답은 "232"가 아닌 "104"이다. 이유는 보기에서 "232"와 "2321"은 레이놀즈수가 너무 크기 때문에 유동이 불안정해지고 예측이 어려워지는 상태이다. 반면 "1160"은 레이놀즈수가 너무 작아서 유동이 안정적이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이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오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104"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극률(porosity)이 0.4인 충전탑 내를 유체가 유효속도(superficial velocity) 0.8m/s로 흐르고 있을 때 충전탑내의 평균 속도는 몇 m/s 인가?

  1. 0.3
  2. 0.8
  3. 1.2
  4. 2.0
(정답률: 0%)
  • 공극률이 0.4이므로 충전탑 내의 유효체적은 전체체적의 0.6배이다. 따라서 유효속도 0.8m/s로 유체가 흐르고 있는 충전탑 내에서는 유효체적으로는 0.8 x 0.6 = 0.48m/s의 속도로 흐르게 된다. 이때, 평균속도는 유효체적과 전체체적의 비율을 곱해준 값이므로 0.48 / 0.4 = 1.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8 x 1.2 =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평면판에서 유동경계층(hydrodynamic boundary layer)과 열경계층(thermal boundary layer)이 같아질 때 프란틀수(prandtl NO.)는 어떤 값을 가지는가?

  1. 100
  2. 1
  3. 0
(정답률: 0%)
  • 프란틀수는 유체 내의 운동성과 열전도성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유동경계층과 열경계층이 같아지면, 유체 내의 운동성과 열전도성이 같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란틀수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일효용 증발관(single effect evaporator)에서 어떤 물질 10% 수용액을 50% 수용 으로 농축한다. 공급용액은 55000kg/h 공급용액의 온도는 52℃ 수증기의 소비량은 4.75×104kg/h 일때 이 증발기의 경제성은?

  1. 0.895
  2. 0.926
  3. 1.005
  4. 1.084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증발기의 경제성을 구하는 것이므로, 경제성 지수를 계산해야 한다. 경제성 지수는 증발된 물의 양과 증발에 필요한 열의 양을 비교하여 계산한다.

    증발된 물의 양은 공급용액의 유량과 농축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공급용액의 유량이 55000kg/h 이므로, 증발된 물의 양은 55000kg/h - 증발된 농축액의 유량이 된다.

    증발에 필요한 열의 양은 수증기의 소비량과 증발열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수증기의 소비량이 4.75×104kg/h 이므로, 증발에 필요한 열의 양은 4.75×104kg/h × 2260J/kg = 1.075×108J/h 이다.

    따라서, 경제성 지수는 (55000kg/h - 증발된 농축액의 유량) / (1.075×108J/h) 이 된다. 이 값을 계산하면 0.926 이므로, 정답은 "0.926" 이다.

    즉, 이 증발기는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증발기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액체와 기체간의 접촉을 위한 일반적인 기체흡수탑에서 편류(channelling)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탑 지름을 충전물 지름과 같게 한다.
  2. 탑지름을 충전물 지름의 2배 이하로 한다.
  3. 탑지름을 충전물 지름의 2~4배가 되게 한다.
  4. 탑지름을 충전물 지름의 8~10배 정도로 한다.
(정답률: 0%)
  • 탑지름을 충전물 지름의 8~10배 정도로 한다는 것은 충전물이 탑 내부에서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만약 탑지름이 충전물 지름과 같거나 너무 작으면, 충전물이 탑 내부에서 편류(channelling)되어 효율적인 기체흡수가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충전물 지름의 8~10배 정도로 탑지름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관내 25℃의 물을 65℃까지 가열하기 위해서 100℃의 포화수증기를 관 외부로 도입하여 그 응축열을 이용하고 100℃의 응축수가 나오도록 하였다. 이때 대수평균 온도차는 몇 ℃인가?

  1. 0.56
  2. 0.85
  3. 52.5
  4. 55.5
(정답률: 0%)
  • 물을 가열하기 위해 포화수증기를 이용하는 경우, 포화수증기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므로 대수평균 온도차는 포화수증기의 온도와 물의 초기 온도의 차이인 100℃ - 25℃ = 75℃가 아니라, 포화수증기의 온도와 물의 최종 온도의 차이인 100℃ - 65℃ = 35℃가 된다. 따라서 대수평균 온도차는 (100℃ + 65℃) / 2 - (100℃ - 35℃) / 2 = 52.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점도가 큰 액체를 이송하는데 가장 적합한 정변위 펌프는?

  1. 제트펌프
  2. 기어펌프
  3. 에어 리프트펌프
  4. 터빈펌프
(정답률: 10%)
  • 점도가 큰 액체를 이송하는데 가장 적합한 정변위 펌프는 기어펌프입니다. 이는 기어펌프가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기어와 벽면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아 액체의 점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도가 큰 액체를 이송하는데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성능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공비 혼합물을 분리시키는 특수한 증류방법이 아닌 것은?

  1. 푸르푸랄을 이용한 벤젠과 사이클로헥산의 분리
  2. 추출증류를 이용한 분리
  3. 벤젠을 이용한 에탄올과 물의 분리
  4. 수증기증류를 이용한 분리
(정답률: 10%)
  • 정답: "벤젠을 이용한 에탄올과 물의 분리"

    이유: 벤젠과 에탄올, 물은 서로의 물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벤젠을 이용한 분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수증기증류는 공비 혼합물을 분리시키는 특수한 증류방법으로, 공비 혼합물의 성분들이 수증기와 반응하여 증기로 분리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증기증류를 이용한 분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농축조작선 방정식에서 환류비가 R일때 조작선의 기울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Xw는 탑저 제품 몰분율이고, XD는 탑상 제품 몰분율이다.)

(정답률: 10%)
  • 농축조작선 방정식에서 환류비 R은 탑저 제품 몰분율(Xw)과 탑상 제품 몰분율(XD)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조작선의 기울기는 XD/(1-XD)으로 나타내어지며, 이는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고체 내부의 수분이 확산에 의하여 건조되는 단계로 재료의 건조특성이 단적으로 표시되는 기간은?

  1. 재료 대기기간
  2. 재료 예열기간
  3. 항율 건조기간
  4. 강률 건조기간
(정답률: 0%)
  • 고체 내부의 수분이 확산에 의해 건조되는 단계는 강률 건조기간이다. 이는 재료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확산하면서 건조되는 단계로, 건조 속도가 가장 빠르고 건조특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기간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건조 시간과 온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건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과 같은 축소관에 물이 흐르고 있다. 1지점에서의 안지름이 0.25m, 평균유속이 2m/s일때 안지름이 125m인 2지점에서의 평균유속은 몇 m/s인가? (단, 축소에 의한 손실은 없다고 가정한다.)

  1. 4
  2. 6
  3. 8
  4. 12
(정답률: 0%)
  • 유체의 연속성 원리에 따라 유속과 단면적은 반비례한다. 따라서 1지점에서의 평균유속은 2m/s이고 안지름이 0.25m이므로, 2지점에서의 평균유속은 다음과 같다.

    $$frac{v_1}{A_1} = frac{v_2}{A_2}$$

    $$frac{2}{pi(0.25)^2/4} = frac{v_2}{pi(125)^2/4}$$

    $$v_2 = frac{2}{pi(0.25)^2/4} cdot frac{pi(125)^2}{4} approx 8m/s$$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반응공학

61. {f(t)}=F(s)일때 최종치 정리를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17%)
  • 정답은 ""이다.

    최종치 정리는 시간 영역에서의 함수 f(t)를 라플라스 변환하여 s 영역에서의 함수 F(s)로 변환한 후, s 영역에서의 함수 F(s)의 극점들이 모두 좌표축의 왼쪽 반면에 위치할 때, f(t)의 최종값은 0이라는 것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F(s)의 극점들이 모두 좌표축의 왼쪽 반에 위치하므로, 최종치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f(t)의 최종값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은을 유리관에 넣어서 만든 수은온도계의 비정상상태 에너지 수지식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열전달을 위한 유리관의 표면적을 A, 수은의 열용량을 C , 유리관 안에 있는 수은의 질량은 m, 수은온도계와 외부 공기와의 열전달계수는 h, 수은온도계의 온도는 T, 외부공기의 온도는 S, 시간은 t 이다)

  1. mCT = hA(S-T)
  2. mCT = hA (T-S)
  3. mC dT/dt = hA (S-T)
  4. mC dT/dt = hA (T-S)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온도계는 유리관 안에 있는 수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외부 공기의 온도를 알아내는데, 이때 수은과 유리관 사이에서 열전달이 일어난다. 이 열전달은 수은의 질량, 열용량, 온도 변화량, 유리관의 표면적, 열전달계수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수은온도계의 비정상상태 에너지 수지식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수은의 온도 변화량을 나타내는 식은 "dT/dt"이며, 이를 이용하여 수은의 열량 변화량을 나타내는 식인 "mC dT/dt"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수은과 유리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열전달은 "hA(S-T)"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h는 열전달계수, A는 유리관의 표면적, S는 외부공기의 온도, T는 수은온도계의 온도이다.

    따라서, 수은온도계의 비정상상태 에너지 수지식은 "mC dT/dt = hA(S-T)"가 된다. 이 식은 수은의 열량 변화량과 열전달량이 같다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른 식으로, 수은온도계의 온도 변화와 외부공기와의 열전달을 동시에 고려한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f(t)를 라플라스 변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식을 얻었다. 이로부터 f(t)를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tet+e-t-1
  2. tet-e-t-1
  3. te-t-et-1
  4. -te-t-et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이득이 1이고 시간상수가 τ인 1차계의 bode 선도에서 corner frequency 일 경우 진폭비 AR의 값은 얼마인가?

  1. √2
  2. 1
  3. 0
(정답률: 알수없음)
  • corner frequency는 이득이 1일 때의 컷오프 주파수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시간상수를 구할 수 있다.

    τ = 1 / (2πfc) = 1 / (2π * 100) = 0.005 s

    진폭비 AR은 corner frequency에서의 진폭비와 시간상수 τ에 따라 결정된다.

    AR = 1 / √(1 + (τω)^2) = 1 / √(1 + (0.005 * 100)^2) = 0.995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시간상수가 작을수록 고주파에서의 감쇠가 적어지기 때문에, corner frequency에서의 진폭비가 1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이 출구흐름과 두 탱크의 연결부위에 고정된 열림을 가진 밸브가 설치된 두개의 저장탱크에서 입력 흐름에 대한 계단 응답 특성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2번째 탱크의 높이는 시간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2. 각 탱크의 높이는 각 탱크의 입력에 대해 1차 전달 함수로 표시된다.
  3. 2번째 탱크의 높이는 첫 번째 탱크의 높이 변화보다 느린 특성을 보인다.
  4. 두탱크가 실린더 형태이고 밑면적과 밸브저항이 같으면 critically damped 된 특성을 보인다.
(정답률: 0%)
  • 정답은 "2번째 탱크의 높이는 시간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가 아닌 "각 탱크의 높이는 각 탱크의 입력에 대해 1차 전달 함수로 표시된다."입니다. 이유는 각 탱크의 높이는 2차 시스템으로 표현되며, 입력에 대한 응답 특성은 2차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진동할 수 있는 것은 고유진동수와 감쇠비에 따라 다르며, 이는 각 탱크의 높이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과 응답 특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 계의 단위 임펄스 응답은?

  1. t-1+e-t
  2. t+1+e-t
  3. t-1-e-t
  4. t+1-e-t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순수한 전달지연 (transportation lag)에 대한 전달 함수는?

  1. G(s)=e-τs
  2. G(s)=τe-τs
(정답률: 10%)
  • 순수한 전달지연은 입력과 출력 사이에 아무런 변형 없이 시간적 지연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전달 함수는 지연 시간에 해당하는 지수함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G(s)=e-τs" 입니다. 이 함수는 시간 s가 증가함에 따라 e의 지수함수로 감소하므로, 입력 신호가 출력으로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τ만큼 지연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비례-미분제어장치의 전달함수의 형태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K는 gain, τ는 시간정수이다)

  1. Kτs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차계의 sin 응답에서 ωτ가 증가되었을 때 나타나는 영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단, ω는 각 주파수, τ는 시간정수, AR은 진폭비, |φ|는 위상각의 절대값 이다.)

  1. AR은 증가하나 |φ|는 감소한다.
  2. AR, |φ| 모두 증가한다.
  3. AR은 감소하나 |φ|는 증가한다.
  4. AR, |φ|는 모두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AR은 감소하나 |φ|는 증가한다."

    해설: 1차계의 전달함수는 H(s) = AR/(τs + 1)이다. 이를 역푸리에 변환하면 h(t) = AR*e^(-t/τ)이다. 이때, h(t)의 크기는 AR에 비례하고, 위상각은 -t/τ에 비례한다. 따라서, ωτ가 증가하면, 위상각의 값이 커지므로 |φ|는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호의 진폭은 e^(-t/τ)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되므로, AR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에서 ω가 아주 작을 때 즉 ω→0일 때의 위상각은?

  1. -90°
  2. +90˚
  3. +180°
(정답률: 0%)
  • 위상각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이 저항과 캐패시터에 모두 걸리기 때문에 전류와 전압이 같은 위상을 가진다. 그러나 캐패시터는 전압이 변화할 때마다 전하를 축적하거나 방출하기 때문에 전압이 최대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시점에서 전류는 0이 된다. 이때 ω가 아주 작아지면 캐패시터가 축적한 전하가 방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전류의 0점이 전압의 최대점에서 더 멀어진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이는 -9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안정한 closed loop 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error 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한다.
  2. error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정해진다.
  3. error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커진다.
  4. error가 초기에는 일정하나 점차적으로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한 closed loop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error가 감소한다. 이는 제어 시스템이 오차를 감지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조치를 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더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error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중 1차계에서 시상수에 관한 커패시턴스와저항의 관계를 식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9%)
  • ""이 정답입니다.

    커패시턴스(C)는 시상수와 전하의 비례상수이며, 저항(R)은 시상수와 전류의 비례상수입니다. 따라서 1차계에서는 C와 R이 역수 관계에 있습니다. 즉, C가 커지면 R은 작아지고, C가 작아지면 R은 커집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C ∝ 1/R

    따라서 C와 R은 서로 역수 관계에 있으므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차계의 단위계단응답에서 시간 t 가 2τ일때 퍼센트 응답은 약 얼마인가? (단, τ는 1차 계의 시간상수이다.)

  1. 50%
  2. 63.2%
  3. 86.5%
  4. 95%
(정답률: 19%)
  • 1차 계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H(s) = 1 / (τs + 1)

    여기서 s = jω 로 놓고, 주파수 응답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H(jω) = 1 / (τjω + 1)

    |H(jω)| = 1 / √(1 + (ωτ)²)

    여기서 ωτ = 2πfτ 이므로, 주파수 f 에 대한 퍼센트 응답은 다음과 같다.

    |H(j2πfτ)| = 1 / √(1 + 4π²f²τ²)

    주어진 문제에서는 시간 t 가 2τ 이므로, 주파수 f 는 다음과 같다.

    f = 1 / (2τ)

    따라서, 퍼센트 응답은 다음과 같다.

    |H(j2πfτ)| = 1 / √(1 + 4π² / 4) = 1 / √(1 + π²) ≈ 0.865 = 86.5%

    따라서, 정답은 "8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정의 제어 성능을 적절히 발휘하는 데에 장애가 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측정변수와 피제어 변수의 일치
  2. 제어밸브의 무반응 영역
  3. 공정 운전상의 제약
  4. 공정의 지연시간
(정답률: 10%)
  • "측정변수와 피제어 변수의 일치"는 공정 제어 시 측정하는 변수와 제어하는 변수가 일치해야 제어 성능을 적절히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 온도 센서로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제어해야 제어 성능이 최적화됩니다. 따라서 측정 변수와 피제어 변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례제어기를 이용하는 1차공정의 제어구조에서 총괄 전달함수는 로 주어진다. R에 크기 A 인 계단변화가 도입되었을 경우 offset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단, Y는 공정의 출력, R은 설정점이다.)

  1. A(1-K)
  2. A(K-1)
(정답률: 1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은 블록 다이아그램으로 표시되는 제어계에서 R과 C간의 관계를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낸 것은? (단,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계에서 R과 C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은 "Integrator" 블록이다. 이유는 R과 C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전압이 R과 C를 통과하면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적분하면 전하량을 나타내는 C의 전압이 된다. 따라서 R과 C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은 적분기(Integrator) 블록으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의 블록선도에서 출력 Y1(s)와 Y2(s)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10%)
  • Y1(s) = G1(s)X(s) + G2(s)Y2(s)에서 Y2(s)는 Y1(s)의 식에 등장하므로 Y1(s)을 구하기 위해서는 Y2(s)를 먼저 구해야 한다. 따라서 Y2(s)는 출력 블록에서부터 역방향으로 계산하여 구해야 한다. 이 때, 출력 블록에서 Y2(s)에 영향을 주는 입력은 X(s)와 Y1(s)이므로 Y2(s) = G3(s)X(s) + G4(s)Y1(s)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옳은 표현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PID제어가 조율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시상수가 작고 측정잡음이 큰 공정에는 미분동작을 크게 설정한다.
  2. 시간지연이 큰 공정은 미분과 적분동작을 모두 크게 설정한다.
  3. 적분공정의 경우 제어기의 적분동작을 더욱 크게 설정한다.
  4. 시상수가 작을수록 미분동작은 작게 적분동작은 크게 설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상수가 작을수록 과도한 미분동작은 측정잡음을 증폭시키기 때문에 미분동작을 작게 설정하고, 적분동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므로 크게 설정하여 오차를 보상한다. 따라서 "시상수가 작을수록 미분동작은 작게 적분동작은 크게 설정한다."가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달함수가 와 같은 2차계의 단위계단(unit step)응답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정답률: 10%)
  • 정답은 "" 이다.

    2차계 시스템의 단위계단 응답은 일반적으로 오실레이션(oscillation)을 보인다. 이 문제에서 주어진 전달함수의 근은 모두 실근(real root)이므로, 오실레이션 없이 감쇠(damping)만 있는 응답을 보인다. 이러한 응답을 보이는 전달함수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증류탑의 일반적인 제어에서 공정출력(피제어)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출물 조성
  2. 증류탑의 압력
  3. 환류비
  4. 잔류물의 유속
(정답률: 0%)
  • 환류비는 증류탑 내에서 재순환되는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변수로, 공정출력(피제어) 변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공정출력(피제어) 변수는 유출물 조성, 증류탑의 압력, 잔류물의 유속 등으로, 이들 변수를 제어하여 적절한 증류 공정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공정제어

81. 수은법에 의한 NaOH 제조에 있어서 아말감 중의 Na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1. 아말감의 유동성이 좋아진다.
  2. 아말감의 분해속도가 느려진다.
  3. 전해실 내에서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4. 불순물의 혼입이 많아진다.
(정답률: 0%)
  • 수은법에 의한 NaOH 제조에서 아말감 중의 Na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전해실 내에서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이는 NaOH 제조 과정에서 Na이 수은으로 전달될 때, Na이 NaOH로 전달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전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Na는 수은에서 분리되어 NaOH 대신 수소와 결합하여 수소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황산 제조공업에서의 바나듐 촉매 작용기구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자가의 변화
  2. 화학변화에 의한 중간생성물의 생성
  3. 산성의 피로인산염 생성
  4. 흡수작용
(정답률: 19%)
  • 정답은 "흡수작용"입니다.

    바나듐 촉매는 황산 제조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공정에서 바나듐 촉매는 황과 산소가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나듐 촉매는 황과 산소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중간생성물을 생성하고, 이 중간생성물이 산성의 피로인산염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산성의 피로인산염은 다시 황산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황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유리기 연쇄반응으로 일어나는 반응은?

  1. CH2=CH2+H2 → CH3-CH3
  2. CH4+Cl2 → CH3Cl + HCl
  3. CH2= CH2 + Br2 → CH2Br - CH2Br
(정답률: 28%)
  • 유리기 연쇄반응은 자유기로부터 생성된 중간체가 다시 반응하여 자유기를 생성하는 반응이다. CH4+Cl2 → CH3Cl + HCl 반응에서는 Cl2가 광자를 흡수하여 Cl 자유기를 생성하고, 이 Cl 자유기가 CH4와 반응하여 CH3Cl과 HCl 자유기를 생성한다. 이후 CH3Cl 자유기가 다시 Cl2와 반응하여 Cl 자유기와 CH2Cl 자유기를 생성하고, 이 CH2Cl 자유기가 다시 CH4와 반응하여 CH3Cl과 H 자유기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중 Nylon-6 제조의 주된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1. 카프로락탐
  2. 세바크산
  3. 아디프산
  4. 헥사메틸렌디아민
(정답률: 20%)
  • Nylon-6은 카프로락탐을 원료로 제조되는데, 카프로락탐은 6개의 탄소를 가지는 화학물질로, 이를 중합하여 Nylon-6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프로락탐이 Nylon-6 제조의 주된 원료로 사용됩니다. 세바크산, 아디프산, 헥사메틸렌디아민은 다른 종류의 나일론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암모니아 산화법에 의한 질산 제조에서 백금-로듐(Pt-Rh) 촉매에 대한 설명 중 옳지않은 것은?

  1. 백금(Pt)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수명이 연장된다.
  2. 촉매 독물질로서는 비소, 유황등이 있다.
  3. 동일 온도에서 로듐(Rh) 함량이 10%인 것이 2%인 것보다 전화율이 낮다.
  4. 백금(Pt)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내열성이 강하다.
(정답률: 20%)
  • "동일 온도에서 로듐(Rh) 함량이 10%인 것이 2%인 것보다 전화율이 낮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로듐 함량이 높을수록 촉매의 활성화가 높아지기 때문에 전화율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로듐 함량이 10%인 촉매가 2%인 촉매보다 전화율이 높아지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p형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실리콘에 소량 첨가하는 물질은?

  1. 비소
  2. 안티몬
  3. 인듐
  4. 비스무스
(정답률: 9%)
  • p형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실리콘에 소량 첨가하는 물질은 양공(positive charge)을 생성하는 물질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인듐은 양공을 생성하는 능력이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p형 반도체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염화수소 가스의 직접 합성 시 화학반응식이 다음과 같을 때 표준상태 기준으로 200L의 수소가스를 연소시키면 발생되는 열량은 약 몇 kcal 인가?

  1. 365
  2. 394
  3. 407
  4. 603
(정답률: 28%)
  • 화학반응식에서 1 몰의 수소가 연소할 때 발생되는 열량은 204.9 kcal 이다. 따라서 200L의 수소가스는 몰로 환산하면 8.89 몰이 되고, 이에 따른 발생열은 204.9 kcal/mol * 8.89 mol = 1822.76 kcal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표준상태 기준으로 계산하라고 하였으므로, 발생열을 1 mol 당 1 atm, 25℃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열을 몰 당 엔탈피 변화량으로 나누어야 하는데, 이 값은 1 mol 당 -242.0 kcal/mol 이다. 따라서 1822.76 kcal / (-242.0 kcal/mol) = -7.53 mol 이 되고, 이에 따른 발생열은 -7.53 mol * (-242.0 kcal/mol) = 1829.26 kcal 이다. 이 값은 반올림하여 1830 kcal 이 되며, 이를 200L의 수소가스에 대한 발생열로 환산하면 1830 kcal / 8.89 mol = 205.7 kcal/L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5.7 kcal/L * 200 L = 41140 kcal 이 되며, 이를 1000으로 나누어서 단위를 kcal에서 kcal로 변환하면 41.14 kcal 이 된다. 이 값은 반올림하여 394 kcal 이므로, 정답은 "39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석유류의 불순물인 황, 질소, 산소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은?

  1. Coking process
  2. Visbreaking process
  3. Hydrotreating process
  4. Isomerization process
(정답률: 알수없음)
  • 석유류의 불순물인 황, 질소, 산소는 환경오염물질로 작용하므로 제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Hydrotreating process이다. 이 방법은 석유를 고압하에서 수소와 함께 반응시켜 황, 질소, 산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 방법은 석유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연료의 효율성을 높이며,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석유류에서 접촉분해 반응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체산을 사용한다.
  2. 대부분 반응은 라디칼 기구로서 진행한다.
  3. 디올레핀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4. 분해 생성물은 탄소수 3개 이상의 탄화수소가 많이 생성된다.
(정답률: 19%)
  • 석유류에서 접촉분해 반응은 대부분 라디칼 기구로서 진행한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고체산을 사용하여 활성화된 산소 기체를 생성하고, 이 산소 기체가 석유 분자 내부의 결합을 끊어내는 과정에서 라디칼 기구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에서는 대부분 라디칼 중간체가 생성되며, 이 중간체들이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면서 분해 생성물이 생성된다. 디올레핀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러한 반응에서는 이중결합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주로 아스팔트 도로 포장에 사용되는 것은?

  1. 천연아스팔트
  2. 직류아스팔트
  3. 카본블랙
  4. 파라핀왁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아스팔트 도로 포장에 사용되는 것은 직류아스팔트이다. 이는 천연아스팔트와 달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아스팔트로, 고온에서 유동성이 높아 도로 포장에 적합하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에 강하며, 카본블랙과 파라핀왁스와 같은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폐수처리나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광촉매를 이용한 처리기술이 발달되고 있는데, 다음 중 광촉매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 아나타제, 루틸등의 결정상이 존재하는 것은?

  1. MgO
  2. CuO
  3. TiO2
  4. FeO
(정답률: 알수없음)
  • 광촉매는 빛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환경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TiO2는 안정성이 높고, 빛에 대한 흡수율이 높아서 광촉매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또한, 아나타제, 루틸 등의 결정상이 존재하는데, 이는 TiO2의 결정상 중 일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결정상이 존재할 때 더욱 효과적인 광촉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iO2가 광촉매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안정성과 높은 흡수율, 그리고 결정상의 특성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질산제조에서 암모니아 산화에 사용되는 촉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Pt-Bi 이다.
  2. PtrP의 일반적인 수명은 1개월 정도이다.
  3. 공업적으로 Fe-Bi계는 작업범위가 가장 넒다.
  4. 산화코발트의 조성은 CO3O4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 산화 촉매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Pt-Bi이지만, 공업적으로 Fe-Bi계가 작업 범위가 가장 넓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산화코발트의 조성은 CO3O4이 맞는 설명이다. 이는 산화코발트가 산화물과 결합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의 화학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물질 중 벤젠의 술폰화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묽은 염산
  2. 클로로술폰산
  3. 진한 초산
  4. 발연 황산
(정답률: 19%)
  • 벤젠의 술폰화 반응은 벤젠과 술폰화제를 반응시켜 아릴술폰산을 합성하는 반응입니다. 이때 술폰화제로는 발연 황산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발연 황산은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어 벤젠과 반응하기 적합하며, 술폰화 반응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수하여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가솔린 유분 중에서 휘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한국 및 유럽의 석유화학공업에서 분해에 의해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의 제조의 주된 공업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경유
  2. 등유
  3. 나프타
  4. 중유
(정답률: 알수없음)
  • 나프타는 가솔린 유분 중에서 휘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나프타는 석유화학공업에서 분해에 의해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의 제조의 주된 공업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나프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HNO3 제조에서 탈색탑의 주요 역할은?

  1. 질소산화물의 제거
  2. 금속산화물의 제거
  3. 유기물의 제거
  4. NH3의 제거
(정답률: 30%)
  • 탈색탑은 HNO3 제조 과정에서 NOx (질소산화물)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HNO3의 순도를 높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NOx는 대기오염물질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것은 환경보호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에틸알코올과 브롬화칼륨을 H2SO4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면 생성되는 주생성물은?

  1. C2H4Br
  2. C2H5OBr
  3. C2H5Br
  4. C2H5-O-C2H5
(정답률: 34%)
  • 에틸알코올과 브롬화칼륨을 H2SO4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면 에틸알콜이 브롬화되어 생성된다. 이때 브롬화된 에틸알콜의 화학식은 C2H5Br이다. 따라서 정답은 "C2H5B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요소비료의 제조방법 중 카비메이트 순환방식의 제조방법으로 약 210℃, 400atm의 비교적 고온, 고압에서 반응시키는 것은?

  1. IG법
  2. Inventa 법
  3. Du Pont 법
  4. CCC법
(정답률: 10%)
  • 카비메이트 순환방식의 제조방법은 Du Pont 법으로, 이는 카비메이트를 약 210℃, 400atm의 비교적 고온, 고압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입니다. Du Pont 법은 카비메이트를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는 카비메이트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니트로 화합물 중 트리니트로톨루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에 매우 잘 녹는다.
  2. 톨루엔을 니트로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3. 폭발물질로 많이 이용된다.
  4. 공업용 제품은 담황색 결정형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에 매우 잘 녹는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트리니트로톨루엔은 물에 매우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는 수용액을 만들어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암모니아 합성 공업의 원료 가스인 수소가스 제조 공정에서 2차 개질 공정의 주 반응은?

  1. CO + H2O → CO2 + H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수소 가스 제조 공정과 관련된 반응은 "" 이다. 이 반응은 메탄과 수증기가 반응하여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하는 메탄 개질 반응이다. 이 반응은 암모니아 합성 공업에서 수소 가스를 생산하는 과정 중 하나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공업적으로 가성소다를 제조할 때 적당한 방법은?

  1. 격막법
  2. 침전법
  3. 건식법
  4. 중화법
(정답률: 10%)
  •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가성소다를 제조하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격막법입니다. 격막법은 전기분해 시 음극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과 양극에서 생성된 수산화물 이온을 격막막으로 분리하여 수소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순도가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화학공업개론

101. 화학평형에서 열역학에 의한 평형상수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계의 온도
  2. 불활성물질의 존재 여부
  3. 반응속도론
  4. 계의 압력
(정답률: 19%)
  • 화학평형에서 열역학에 의한 평형상수는 Gibbs 자유에너지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Gibbs 자유에너지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계의 온도가 평형상수에 주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계의 온도가 증가하면 Gibbs 자유에너지가 감소하고, 평형상수도 감소하게 됩니다. 반대로, 계의 온도가 감소하면 Gibbs 자유에너지가 증가하고, 평형상수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 중 균일계 반응에 가장 가까운 반응은?

  1. 석탄의 연소반응
  2. 광석의 배소반응
  3. 기체-엑체의 흡수 반응
  4. 기체-기체의 가스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균일계 반응은 반응물과 생성물이 모두 같은 상태(고체, 액체, 기체)일 때 일어나는 반응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체-기체의 가스반응"이 균일계 반응에 가장 가깝습니다. 이는 반응물과 생성물이 모두 기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반응물과 생성물이 서로 다른 상태이기 때문에 균일계 반응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가역 단분자 반응 R에서 평형상수 KC와 평형 진화율 XAe 와의 관계는? (단, CRO=0 이고, 팽창계수 εA 는 0이다)

(정답률: 19%)
  • 가역 단분자 반응에서 평형상수 KC와 평형 진화율 XAe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KC = XAe / (1 - XAe)

    여기서 CRO=0 이므로, XAe = [Ae] / ([Ae] + [Ao]) 이다. 따라서 XAe는 Ae의 농도에 따라 결정되며, KC는 XAe와 역수 관계에 있다. 즉, XAe가 작을수록 KC는 커지고, XAe가 클수록 KC는 작아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의 액체상 1차 반응이 plug flow 반응기 (PFR) 와 mixed flow 반응기(MFR)에서 각각 일어난다. 반응물 A의 전화율을 똑같이 80%로 할 경우 필요한 MFR의 부피는 PFR부피의 약 몇 배인가?

  1. 5.0
  2. 2.5
  3. 0.5
  4. 0.2
(정답률: 28%)
  • PFR은 반응물이 흐르는 방향으로만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어떤 시점에서의 반응물 농도가 다음 시점에서의 반응물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PFR에서는 반응물 농도가 일정하게 감소하며, 이에 따라 부피가 증가합니다. 반면에 MFR에서는 반응물이 혼합되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어떤 시점에서의 반응물 농도가 다음 시점에서의 반응물 농도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MFR에서는 반응물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며, 이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는 속도가 느립니다. 따라서 같은 반응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MFR의 부피가 PFR의 부피보다 크게 나옵니다. 이 문제에서는 A의 전화율이 똑같이 80%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MFR의 부피는 PFR의 부피의 약 2.5배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336K에서 원하는 전화율을 얻는데 30분 걸리는 n차의 비가역 화학반응이 있다. 이 반응의 활성화에너지가 422000J/mol 일 때 347K에서 같은 전화율을 얻는데 약 몇 분의 시간이 걸리는가?

  1. 0.25
  2. 0.50
  3. 0.75
  4. 1.00
(정답률: 0%)
  • Arrhenius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k = A * exp(-Ea/RT)

    여기서 k는 반응속도상수, A는 충돌빈도, Ea는 활성화에너지,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이다.

    두 가지 온도에서의 반응속도상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k1 = A * exp(-Ea/RT1)

    k2 = A * exp(-Ea/RT2)

    두 식을 나누면 다음과 같다.

    k2/k1 = exp(-Ea/R * (1/T2 - 1/T1))

    문제에서는 전화율이 같으므로 k1 = k2 이다. 따라서 위 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exp(-Ea/R * (1/T2 - 1/T1)) = 1

    347K에서의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exp(-422000/(8.314*347) * (1/336 - 1/347)) = 1

    이 방정식을 풀면 약 0.25가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0.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균일계 촉매반응과 불균일계 촉매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불균일계 촉매반응은 2개 이상의 상이 수반된다.
  2. 불균일계 촉매반응은 확산저항이 있다..
  3. 불균일계 촉매반응에서는 촉매와 반응물의 계면이 존재한다.
  4. 균일계 촉매반응에서는 흡착 및 확산이 일어나고 이것은 반응속도에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정답률: 10%)
  • 정답은 "균일계 촉매반응에서는 흡착 및 확산이 일어나고 이것은 반응속도에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가 아니다.

    균일계 촉매반응에서는 촉매와 반응물이 모두 같은 상태에 있으므로 확산저항이 없고, 촉매와 반응물이 쉽게 혼합되어 흡착 및 확산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이 반응속도에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물리적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분자 층 흡착이 가능하다.
  2. 활성화 에너지가 작다.
  3. 가역성이 낮다.
  4. 고체에서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분자 층 흡착이 가능하다.", "활성화 에너지가 작다.", "고체에서 일어난다."는 모두 물리적 흡착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가역성이 낮다."는 흡착된 분자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고체 표면에 잘 붙어있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흡착이 일어난 상태에서 열이나 기타 조건이 변화해도 분자가 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가역성이 낮다고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그림은 농도-시간의 곡선이다. 이 곡선에 해당하는 반응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2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농도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고 있으므로 반응물이 생성되는 반응식이 아닌 생성물이 생성되는 반응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위치를 바꾸어준 ""이 옳은 반응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기체 - 고체 비균일상 반응의 농도 분포 곡선이 다음 그림과 같으면, 이 때 반응속도의 율속 단계는 어떤 단계인가?

  1. 물질 전달 단계
  2. 흡착 단계
  3. 표면 반응 단계
  4. 탈착 단계
(정답률: 0%)
  • 농도 분포 곡선이 기체-고체 비균일상일 경우, 반응속도는 표면 반응 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고체 표면과 기체 상의 분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 반응 단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반응에서 전활율 XA에 따르는 반응 후 총몰수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반응초기에 B, C, D 는 없고, nA0는 초기 A 성분의 몰수, XA는 A 성분의 전화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응 전 A의 몰수는 nA0이다. 반응 후 A의 몰수는 nAf = nA0(1-XA)이다. 반응 전과 후의 A의 몰수 차이는 ΔnA = nA0 - nAf = nA0XA이다. 반응 전과 후의 총 몰수 차이는 Δntotal = ΔnA + ΔnB + ΔnC + ΔnD = nA0XA + nA0XB + nA0XC + nA0XD = nA0(XA + XB + XC + XD)이다. 따라서 총 몰수는 nA0(XA + XB + XC + XD)이다. 이 값은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반응속도 일 때 농도를 mol/L, 시간을 h로 나타내면 속도상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상수는 k = 1/반응시간 이므로, 반응속도가 일 때 반응시간은 1/ 이다. 따라서 속도상수는 k = 1/1/ = 이 된다.

    이유는 반응속도와 반응물 농도의 관계식인 속도법칙에서, 일반적으로 A + B → C와 같은 2차 반응에서는 속도상수 k는 [A]와 [B]의 1차식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반응속도가 일 때, 1차식인 [A]와 [B]의 합이 1이 되도록 상수를 설정해야 하므로 k =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A → 3R 인 반응에서 A만으로 시작하여 완전히 전화되었을 때 계의 부피변화율은 얼마인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20%)
  • A → 3R 반응에서 몰 볼륨이 변하지 않으므로, A의 몰 수가 1 감소하면 R의 몰 수가 3 증가한다. 따라서, 전체 몰 수는 변하지 않고 부피도 변하지 않으므로 부피변화율은 0이다. 따라서 정답은 "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중 일반적인 기초반응의 분자도에 해당하는 것은?

  1. 1.5
  2. 2
  3. 2.5
  4. 4
(정답률: 20%)
  • 일반적인 기초반응의 분자도는 2입니다. 이는 기초반응이 단일 분자의 화학 반응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자도는 1이 아닌 2가 됩니다. 2.5와 4는 보다 복잡한 반응에서 나타나는 분자도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어떤 물질의 분해반응은 비가역 1차반응으로 90%까지 분해하는데 8123초가 소요 되었다면 40% 분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몇 초인가?

  1. 1802
  2. 2012
  3. 3267
  4. 4128
(정답률: 알수없음)
  • 비가역 1차반응에서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r = k[A]

    여기서 A는 반응물의 농도이고, k는 속도상수이다. 이 식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ln[A]t - ln[A]0 = -kt

    여기서 [A]t는 반응 시간 t일 때의 농도이고, [A]0는 초기 농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90% 분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ln(0.1) = -k(8123)

    k = 8.56 × 10^-5 s^-1

    이제 40% 분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해보자. 이 때의 농도는 0.6[A]0이므로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ln(0.6) = -k(t)

    t = 1802 s

    따라서 정답은 "18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자동촉매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1. 전화율이 작을 때는 관형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2. 전화율이 작을 때는 혼합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3. 전화율과 무관하게 혼합흐름 반응기가 항상 유리하다.
  4. 전화율과 무관하게 관형흐름 반응기가 항상 유리하다.
(정답률: 20%)
  • 자동촉매반응은 반응물과 촉매가 함께 유동성을 가지는 반응으로, 혼합흐름 반응기에서 수행될 때 촉매와 반응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전화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전화율이 작을 때는 촉매와 반응물이 충돌할 확률이 낮아져서 혼합흐름 반응기보다는 촉매가 고정되어 있는 관형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따라서 "전화율이 작을 때는 관형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순환식 반응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환비는 으로 표현된다. 환류량
  2. 순환비 = ∞ 인 경우, 성능식은 혼합 흐름식 반응기와 같게 된다.
  3. 반응기 출구에서의 전활율과 반응기 입구에서의 전화율의 비는 용적 변화율에 영향을 받는다.
  4. 반응기 입구에서의 농도는 용적 변화율에 무관하다.
(정답률: 9%)
  • 순환식 반응기는 반응물과 생성물이 반응기 내에서 순환하면서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이다. 순환비는 환류량과 반응기 용적의 비율로 표현되며, 순환비가 높을수록 반응물과 생성물이 더 많이 반응기 내에서 순환하게 된다. 순환비가 무한대에 가까워질수록 반응물과 생성물이 거의 완전히 혼합되어 있는 혼합 흐름식 반응기와 같은 성능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순환비가 무한대일 때, 성능식은 혼합 흐름식 반응기와 같게 된다. 반응기 출구에서의 전활율과 반응기 입구에서의 전화율의 비는 용적 변화율에 영향을 받으며, 반응기 입구에서의 농도는 용적 변화율에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A 가 R이 되는 효소반응이 있다. 전체 효소 농도를 [E0], 미카에리스(Michaelis)상수를 [M]이라고 할 때 이 반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응속도가 전체 효소 농도 [E0]에 비례한다.
  2. A 의농도가 낮을 때 반응속도는 A 의 농도에 비례한다.
  3. A 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0차 반응에 가까워진다.
  4. 반응속도는 미카엘리스 상수 [M] 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 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0차 반응에 가까워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반응속도는 효소와 기질 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효소와 기질이 충분히 많은 경우, 효소-기질 복합체가 형성되는 속도가 반응속도를 결정합니다. 이 때, 반응속도는 미카엘리스 상수 [M]와 전체 효소 농도 [E0]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M]과 [E0]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기질 농도가 낮은 경우, 효소-기질 복합체가 형성되는 속도보다 효소와 기질이 충분히 만나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습니다. 이 때, 반응속도는 기질 농도에 비례합니다. 이러한 경우를 0차 반응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기질 농도가 낮을 때는 반응속도가 기질 농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인 두 반응이 동시에 등온 회분 반응기에서 진행된다. 50분 후 A의 90% 가 분해되어 생성물 비는 9.1mol R / 1mol S 이다. 반응차수는 각각 1차일 때, 반응 초기 속도상수 k2는 몇 min-1인가?

(정답률: 10%)
  • 먼저, A의 초기 농도를 [A]₀라고 하면 50분 후 [A]는 0.1[A]₀가 되고, [R]와 [S]는 각각 0.091[A]₀와 0.0091[A]₀가 된다. 이때, 생성물 비가 9.1mol R / 1mol S 이므로, [R]와 [S]의 변화량은 각각 9.1x와 -x가 된다. 따라서, [R]의 변화율은 k₂[R] = -9.1x/50 이고, [S]의 변화율은 k₁[A] = x/50 이다. 여기서, 반응차수가 각각 1차이므로, k₂/k₁ = [R]/[A] = 0.091/0.1 이다. 따라서, k₂ = k₁x[R]/[A] = (x/50)(9.1x/50)/(0.1[A]₀) = 0.0182x²/[A]₀ 이다.

    이제, 생성물 비가 9.1mol R / 1mol S 이므로, 1mol A가 반응하여 9.1mol R을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의 분해 반응식은 A → 9.1R + S 이다. 이때, A의 초기 농도를 [A]₀라고 하면, 50분 후 [A]는 0.1[A]₀가 되므로, A의 분해율은 (0.9[A]₀)/50 = 0.018[A]₀/min 이다. 이 분해율은 1차 반응속도식에서 k[A]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k = 0.018/[A]₀ 이다.

    따라서, k₂ = 0.0182x²/[A]₀ = 0.0182(50k/[A]₀)²/[A]₀ = 0.0182(50/0.1)²k²/[A]₀³ = 9.05x10⁴/[A]₀² (min⁻¹)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비가역 0차 반응ㅇ에서 전화율이 1로 반응이 완결되는데 필요한 반응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초기 농도의 역수아 같다.
  2. 속도 상수 k 의 역수와 같다.
  3. 초기 농도를 속도 상수로 나눈 값과 같다.
  4. 초기 농도에 속도 상수를 곱한 값과 같다.
(정답률: 20%)
  • 정답은 "속도 상수 k의 역수와 같다."가 아니라 "초기 농도를 속도 상수로 나눈 값과 같다."입니다.

    비가역 0차 반응에서는 반응물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합니다. 이때 반응 속도는 반응물 농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반응 속도 상수 k는 초기 농도 [A]0와 반응 속도 v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k = v/[A]0

    반응이 완결되는데 필요한 시간 t는 초기 농도 [A]0에서 반응물 농도가 0이 되는 시간입니다. 이때 반응 속도는 v = d[A]/dt = -k[A]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dt = -d[A]/(k[A])

    양변을 적분하면,

    t = [A]0/k

    따라서 초기 농도를 속도 상수로 나눈 값과 같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400K에서 기상반응의 속도식 일 때 속도상수의 단위는?

  1. atmㆍh
  2. atmㆍh-1
  3. (atmㆍh)-1
  4. atm-1ㆍh
(정답률: 10%)
  • 속도상수의 단위는 시간의 역수이므로, 초-1 또는 시간의 역수 단위를 사용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속도식이 표준상태에서 기체의 압력을 사용하므로, 속도상수의 단위는 표준상태에서 기체의 압력과 시간의 역수를 곱한 "(atmㆍh)-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