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방송통신산업기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그림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전압(Vi)을 -6[V]에서 6[V]까지 변화시킬 때 출력전압 (Vo)의 변화는? (단, 다이오드의 Cutin 전압은 0.6[V]이다.)

  1. 0.6[V] ~ 6[V]
  2. -6[V] ~ 6[V]
  3. -6[V] ~ 0[V]
  4. -6[V] ~ 0.6[V]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전압이 -6[V]일 때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 전압은 0[V]이 된다. 하지만 입력 전압이 0.6[V]보다 커지면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과 거의 동일한 값이 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6[V]에서 0.6[V]까지 변화할 때는 출력 전압이 0[V]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0.6[V] 이상으로 증가할 때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과 거의 동일한 값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6[V] ~ 0.6[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연산 증폭기에서 V1 = 0.1[V], V2=0.2[V], V3 = 0.3[V]일 때 출력전압 Vo[V]는?

  1. -2
  2. -6
  3. -12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연산 증폭기는 인버팅 증폭기이므로 입력전압이 음수이면 출력전압은 양수가 된다. 따라서 V1, V2, V3이 모두 음수이므로 출력전압은 양수가 된다.

    입력전압 V1은 -0.1[V]이므로, 이에 대한 출력전압은 -Rf/R1 × V1 = -10 × (-0.1) = 1[V]이 된다.

    마찬가지로 V2에 대한 출력전압은 -Rf/R1 × V2 = -10 × (-0.2) = 2[V], V3에 대한 출력전압은 -Rf/R1 × V3 = -10 × (-0.3) = 3[V]가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 Vo는 V1, V2, V3에 대한 출력전압을 모두 더한 값인 1+2+3=6[V]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 아니라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회로가 수행할 수 있는 논리 동작은? (단, 부논리이며 A, B는 입력단자이다.)

  1. Y=AB
  2. Y=A+B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OR 게이트를 구성하는 회로이다.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Q1과 Q2가 모두 1이 되어 Q3이 1이 된다. 따라서 Y=A+B와 같은 논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것이 OR 게이트의 진리표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OR 게이트의 진리표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파정류기의 DC 출력 전력[W]은 반파정류기 전력의 몇 배 가 되는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정류기는 반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의 2배가 된다. 이는 전파정류기가 전압을 두 배로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이 1이라면, 전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은 2가 된다. 따라서, 전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이 반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의 4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D는?

  1. ABC
  2. AB+BC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와 B가 OR 게이트를 통해 연결되어 C에 입력되고, C와 B가 AND 게이트를 통해 연결되어 D에 입력된다. 따라서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C는 1이 되고, C와 B가 모두 1이어야 D가 1이 된다. 따라서 D는 AB+B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이미터 접지일 때 전류증폭율이 각각 hFE1, hFE2 인 두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을 때의 컬렉터 전류 IC는?

  1. IC = hFE1ㆍhFE2ㆍIB
  2. IC = (hFE1 / hFE2)ㆍIB
  3. IC = hFE2(hFE2+1)IB
  4. IC = hFE1ㆍIB + hFE2(hFE2+1)ㆍIB
(정답률: 알수없음)
  • 두 트랜지스터는 에미터 접지 구성이므로, Q1의 베이스 전압이 VBE1일 때 Q1의 콜렉터 전류는 hFE1ㆍIB이고, Q2의 베이스 전압이 VBE2일 때 Q2의 콜렉터 전류는 hFE2(VBE2/VT)ㆍIB이다. 이때 Q2의 베이스 전압은 Q1의 콜렉터 전압에 의해 결정되므로, Q2의 베이스 전압은 VBE2 = VCE1이다. 이를 이용하여 Q2의 콜렉터 전류를 다시 표현하면 hFE2(hFE2+1)ㆍIB이 된다. 따라서, 전체 콜렉터 전류 IC는 Q1과 Q2의 콜렉터 전류를 합한 값인 IC = hFE1ㆍIB + hFE2(hFE2+1)ㆍIB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에서 저항 rE 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전압이득과 왜율을 모두 감소시킨다.
  2. 전압이득을 증가시킨다.
  3. 전압이득은 증가시키고 왜율은 감소시킨다.
  4. 전압이득은 감소시키고 왜율은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rE은 에미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컬렉터 전류의 변화에 따라 베이스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전압이득은 감소하게 되고, 왜율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이득과 왜율을 모두 감소시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이 NAND 게이트가 연결되어 있다. 이 회로 와 등가인 게이트는?

  1. OR 게이트
  2. AND 게이트
  3. NOR 게이트
  4. NAND 게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NAND 게이트는 입력값이 모두 1일 때 출력값이 0이 되는 게이트이다. 따라서, NAND 게이트의 출력값을 NOT으로 인버팅하면 입력값이 모두 1일 때 출력값이 1이 되는 게이트가 된다. 이는 OR 게이트와 같은 기능을 하므로, 이 회로는 OR 게이트와 등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JK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D형 플립플롭을 만들려면 외부 결선은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가?

(정답률: 알수없음)
  • D형 플립플롭은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J가 1이고 K가 0일 때는 출력이 1이 되고, J가 0이고 K가 1일 때는 출력이 0이 됩니다. 이때, D형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을 D 입력과 NOT(D) 입력으로 대체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D형 플립플롭을 만들기 위해서는 JK 플립플롭의 J 입력에 D를 연결하고, K 입력에는 NOT(D)를 연결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수정편의 리액턴스 특성이다. 발진에 이용되는 주파수 범위는?

  1. ωs<ω<ωP
  2. ωP<ω
  3. ωS>ω
  4. ωS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래프에서 수정편의 리액턴스는 ωs에서 시작하여 ωP에서 최대치를 갖고, 그 이후로는 감소하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발진에 이용되는 주파수 범위는 최대치인 ωP 이후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ωs에서 시작하여 ωP 이전인 범위인 "ωs<ω<ωP"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기전력 E를 가하고 SW를 ON 하였을 때 저항 양단의 전압 VR은 t초 후에 어떻게 되는가?

  1. E/e
(정답률: 알수없음)
  • SW가 ON 되면 스위치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저항 R을 통해 전압강하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저항 양단의 전압 VR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보기에서 ""는 저항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며, ""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E/e"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저항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저항의 크기가 이미 주어져 있으므로 "E/e"는 정답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 신호파로 710[㎑] 반송파를 진폭 변조했을 때 피변조파에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는?

  1. 700
  2. 709
  3. 710
  4. 711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 변조란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켜 신호에 정보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710[㎑] 반송파에 진폭 변조를 가하면, 주파수 대역이 넓어져서 700[㎑] ~ 720[㎑] 사이의 주파수가 포함된다. 하지만 피변조파에는 반송파와 같은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피변조파에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는 7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랜지스터를 증폭작용에 이용할 경우의 동작 상태는?

  1. 포화상태
  2. 활성상태
  3. 차단상태
  4. 역할성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를 증폭작용에 이용할 경우, 입력 신호가 기저전압을 넘어서면 증폭을 위해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는 활성상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활성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RC 결합 저주파 증폭회로에서 낮은 주파수의 이득이 감소되는 주 원인은?

  1. 병렬 커패시턴스 때문에
  2. 이미터의 저항 때문에
  3. 컬렉터의 저항 때문에
  4. 결합 커패시턴스의 영향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RC 결합 저주파 증폭회로에서 낮은 주파수의 이득이 감소되는 주 원인은 "결합 커패시턴스의 영향 때문에"입니다. 이는 결합 커패시턴스가 저주파에서는 큰 임피던스를 가지기 때문에, 이로 인해 신호가 회로를 통과할 때 감쇠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기 위해 결합 커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콜피츠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를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FM 방식에서 변조를 깊게 하여 최대 주파수 편이가 △f 라고 했을 때 주파수 대역폭 B는?

  1. B=△f
  2. B=2ㆍ△f
  3. B=3ㆍ△f
  4. B=4ㆍ△f
(정답률: 알수없음)
  • FM 방식에서 변조를 깊게 하면 주파수 편이가 커지게 됩니다. 주파수 편이가 △f 만큼 되면, 이는 변조된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때, 주파수 대역폭 B는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평균값을 구한 후, 2배를 한 값입니다. 따라서 B=2ㆍ△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DC 결합과 AC 결합이 함께 사용되는 발진기는?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블로킹 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DC 결합과 AC 결합이 함께 사용되는 발진기입니다. DC 결합은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AC 결합은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결합을 함께 사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두 입력을 비교하여 A>B 이면 출력이 1이고, A≤B 이면 출력이 0 이 되는 논리회로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논리식은?

  1. AB
  2. A+B
(정답률: 알수없음)
  • A>B 이면 A-B는 양수이므로, A-B의 MSB(Most Significant Bit)가 1이면 A>B이다. 따라서, A-B의 MSB를 출력하면 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가 된다. 이 식은 A와 B의 차이를 구한 후, MSB를 출력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에서 합(s)에 대한 논리식이 옳은 것은?

  1. (x+y)⊕z
  2. (x⊕y)⊕z
  3. xz+y
  4. xz⊕yz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합(s)은 x, y, z 중에 2개 이상이 참일 때 참이므로, (x∧y)∨(y∧z)∨(x∧z)와 같은 논리식이 성립한다. 이를 간단화하면 (x⊕y)⊕z가 된다. 이유는 x⊕y는 x와 y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므로, (x⊕y)와 z 중에 하나만 참일 때 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x⊕y)⊕z는 x, y, z 중에 2개 이상이 참일 때 참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x⊕y)⊕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소비전력이 가장 적은 소자는?

  1. TTL
  2. ECL
  3. RTL
  4. CMOS
(정답률: 알수없음)
  • CMOS가 소비전력이 가장 적은 이유는, 다른 소자들은 전류가 항상 흐르고 있어서 소비전력이 높지만, CMOS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도 정보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MOS는 저전력 소자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방송국의 방송신호 편집설비와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문자발생기
  2. 기준시간교정기(TBC)
  3. 비디오녹화기(VCR)
  4. 변조기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기는 방송국에서 방송신호를 변조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송국의 방송신호 편집설비와는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송신호를 생성하거나 편집하는 역할을 하지만, 변조기는 이미 생성된 신호를 변조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리가 더 멀 수밖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위성방송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시설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이동형 송신국
  2. 관제 제어국
  3. 파라볼라 안테나 및 저잡음 컨버터
  4. 송신국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방송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시설은 "관제 제어국", "파라볼라 안테나 및 저잡음 컨버터", "송신국"이다. 이동형 송신국은 이동 가능한 송신국으로, 필수적인 시설은 아니며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국내 위성(무궁화위성) 방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파의 편파는?

  1. 수직편파
  2. 수평편파
  3. 우선원편파
  4. 좌선원편파
(정답률: 알수없음)
  • 국내 위성 방송에서 사용하는 전파의 편파는 좌선원편파입니다. 이는 위성에서 지구로 전파를 보낼 때, 전파의 진행 방향이 위성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편파를 설정한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파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더욱 안정적인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위성방송시스템의 특징을 지상파 방송시스템과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다 선명한 영상 서시스 실현이 가능하다.
  2. 강우 감쇠의 영향이 줄어든다.
  3. 전국에 단일 방송파로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4. HDTV 문자다중방송 등 뉴미디어 방송의 실현에 보다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국에 단일 방송파로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위성방송시스템의 특징이 아니라 지상파 방송시스템의 특징이므로 틀린 것이다.

    강우 감쇠의 영향이 줄어드는 이유는 위성방송시스템이 지상파 방송시스템과 달리 대기권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지상파 방송은 지표면과 대기권 사이를 직접 전파가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강우, 안개, 눈 등의 기상 조건에 따라 전파가 감쇠되어 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위성방송은 대기권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상 조건에 영향을 덜 받아 강우 감쇠의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위성 방송용 수신장치는 수신 안테나, 컨버터, 튜너 및 TV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범위로 적합한 것은?

  1. 약 1.8 ~ 3.2GHz
  2. 약 1.0 ~ 1.3GHz
  3. 약 800 ~ 950MHz
  4. 약 380 ~ 530MHz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 방송은 Ku 밴드(12GHz 이상) 또는 C 밴드(4GHz 이상)를 사용하며, 이 중 Ku 밴드에서는 대부분 10.7 ~ 12.75G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이 범위 내에 있으며, 이를 컨버터에서는 일반적으로 950 ~ 2150MHz의 IF 주파수로 변환한다. 따라서 이에 맞게 튜너에서는 약 1.0 ~ 1.3GHz의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여 TV로 출력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임의의 증폭회로에서 입력단과 출력단에서의 전력값을 측정했더니 각각 0.1mW, 20mW 였다. 이 회로의 증폭도는 약 몇 dB인가?

  1. 13
  2. 15
  3. 23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dB = 10log(P2/P1)

    입력단의 전력값(P1)은 0.1mW, 출력단의 전력값(P2)은 20mW 이므로,

    dB = 10log(20/0.1) = 10log(200) = 10 x 2.301 = 23.01 ≈ 23

    따라서, 이 회로의 증폭도는 약 23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지털 방송에서는 수신 전계강도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화면이 전혀 나오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것을 무슨 효과라고 하는가?

  1. 클리프효과
  2. 고스트효과
  3. 에코효과
  4. 다중경로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방송에서 수신 전계강도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화면이 전혀 나오지 않는 현상을 "클리프효과"라고 한다. 이는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신호가 약해져도 일부 화면이나 소리가 나오던 것과는 달리, 디지털 방송에서는 일정 수준 이하로 신호가 약해지면 전혀 나오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와는 달리 이진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진수에서는 0과 1의 구분이 명확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하로 신호가 약해지면 0 또는 1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에서는 수신 전계강도가 일정값 이상이어야만 정상적인 화면과 소리를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넓은 대역폭이 요구된다. 만일 30[kHz]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전송시 PCM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최소의 표본화 주파수[kHz]는?

  1. 30
  2. 40
  3. 6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PCM 시스템에서는 표본화 주파수가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소 표본화 주파수는 60[k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FM 방송의 기본적인 방송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FM Transmitter
  2. Modulation Monitor
  3. Master Audio Control Console
  4. Video Switcher
(정답률: 알수없음)
  • "Video Switcher"는 FM 방송에 필요한 오디오 신호 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비디오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FM 방송장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디오 특성 측정에 사용되는 시험 패턴 중 멀티버스트 신호는 다음 중 어느 용도에 가장 적합한가?

  1. 주파수대 위상 측정
  2. 주파수대 진폭 특성 측정
  3. 과도 잡음 특성 측정
  4. 비직선 왜곡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버스트 신호는 여러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대 진폭 특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즉, 멀티버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대에서 각 주파수의 진폭을 측정하여 주파수대 진폭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버스트 신호는 주파수대 진폭 특성 측정에 가장 적합한 시험 패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전송케이블 중 가장 큰 대역폭을 갖는 것은?

  1. 평형대케이블
  2. 동축케이블
  3. 광케이블
  4. UTP케이블
(정답률: 알수없음)
  •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고 대역폭이 큽니다. 따라서 다른 전송케이블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채널용량을 증대하기 위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역폭을 크게 한다.
  2.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킨다.
  3. 잡음의 크기를 줄인다.
  4. 신호대 잡음비(S/N)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신호대 잡음비(S/N)를 감소시킨다."이다.

    신호대 잡음비(S/N)란 전송되는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잡음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비율이 작아지면 채널의 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채널용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신호대 잡음비(S/N)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신호대 잡음비(S/N)를 감소시킨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대역폭을 크게 하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채널용량이 증가한다.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신호대 잡음비(S/N)가 증가하므로 채널의 품질이 좋아져 채널용량이 증가한다. 잡음의 크기를 줄이면 신호대 잡음비(S/N)가 증가하므로 채널의 품질이 좋아져 채널용량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디지털 변ㆍ복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SK는 디지털 신호에 각각 다른 진폭을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2. ASK는 신호대 잡음비는 PSK보다 나쁘다.
  3. FSK는 디지털신호에 각각 다른 위상을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4. QAM방식은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SK는 디지털신호에 각각 다른 위상을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이다. FSK는 디지털 신호에 각각 다른 주파수를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M 및 FM 수신기의 특성 측정 중 수신기에 일정한 입력 신호를 인가할 때 재조정 없이 얼마나 오래 동안 일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1. 감도
  2. 선택도
  3. 충실도
  4. 안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도는 수신기에 일정한 입력 신호를 인가할 때 재조정 없이 얼마나 오래 동안 일정한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안정도가 정답입니다. 감도는 입력 신호의 강도에 대한 수신기의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선택도는 수신기가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고 다른 신호를 거부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충실도는 수신기가 입력 신호를 얼마나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아날로그 NTSC TV 전파방식으로 옳은 것은?

  1. LSB
  2. SSB
  3. DSB
  4. VSB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NTSC TV 전파 방식에서는 VSB (Vestigial Sideband)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DSB (Double Sideband) 방식과 유사하지만, 주파수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일부분의 측면 대역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전송 대역폭을 줄이면서도 영상과 음성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방송용 카메라에 많이 사용되는 CC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촬상관에 비해 S/N비가 높다.
  2. 강한 광선에 의해 소자가 손상되는 burn-in 현상이 없다.
  3. 물결무늬 현상이 잘 생기지 않는다.
  4. 소형, 경량 및 저소비 전력화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결무늬 현상이 잘 생기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CD는 이미지를 촬영할 때 라인 단위로 읽어들이는데, 이 때 라인 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면 물결무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CD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라인 간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술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NTSC 방송방식의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MHz]로 적합한 것은?

  1. 1.58
  2. 2.58
  3. 3.58
  4. 4.58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방송방식에서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는 3.58MHz이다. 이는 색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로, 수평 동기 신호와 함께 사용되어 화면에 정확한 색상을 표현하는 데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야기 안테나의 주 용도는?

  1. TV신호 수신시
  2. 위성신호 수신시
  3. 위선신호 송신시
  4. 위성 중계시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는 주로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TV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TV화면에 표시됩니다. 따라서 야기 안테나의 주 용도는 TV신호 수신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방송의 디지털 신호를 측정기로 측정을 하였더니 1초에 9600개의 비트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이 수신기의 비트레이트[bps]는 얼마인가?

  1. 2400
  2. 4800
  3. 9600
  4. 12400
(정답률: 알수없음)
  • 비트레이트는 1초에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초에 9600개의 비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트레이트는 9600bp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아날로그 TV방송을 하는 방송국에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장비가 아닌 것은?

  1. TV신호 발생기
  2. 파형 분석기
  3. 벡터스코프
  4. 비트에러 측정기
(정답률: 알수없음)
  • 비트에러 측정기는 디지털 신호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측정하는 장비이므로 아날로그 TV방송을 하는 방송국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트에러 측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전파의 속도는 매질의 어느 것에 의하여 변화되는가?

  1. 유전율과 밀도
  2. 밀도와 투자율
  3. 도전율과 유전율
  4. 유전율과 투자율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의 속도는 매질의 유전율과 투자율에 의하여 변화된다. 유전율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매질 내에서 전달되는 속도를 결정하며, 투자율은 전자기파가 매질 내에서 흡수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가 전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뉴미디어의 바람직한 기술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상호작용의 쌍방향성
  2. 탈대중적 다양성
  3. 고도의 상업성
  4. 속보성
(정답률: 알수없음)
  • 뉴미디어의 바람직한 기술적 특성은 상호작용의 쌍방향성, 탈대중적 다양성, 속보성이다. 이 중에서 고도의 상업성은 뉴미디어가 상업적인 목적으로만 이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뉴미디어의 본래적인 가치와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고도의 상업성은 뉴미디어의 바람직한 기술적 특성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멀티미디어의 시청자 요구에 의한 영상 서비스를 의미하는 약어는?

  1. VOA
  2. VOB
  3. VOC
  4. VOD
(정답률: 알수없음)
  • VOD는 Video On Demand의 약어로,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영상을 선택해 시청할 수 있는 영상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VOA는 Voice of America, VOB는 Video Object, VOC는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약어로, 영상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영상의 주사방식에는 비월주사와 순차주사의 2가지 방식이 있다. 순차주사에 비해 비월주사의 주된 이점은?

  1. 화면의 해상도가 좋다.
  2. 주사 기간이 작아진다.
  3. 화면의 깜박거림이 적다.
  4. 주사선의 동요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월주사는 한 번에 모든 화소를 동시에 주사하기 때문에 화면의 깜박거림이 적습니다. 반면 순차주사는 한 번에 한 줄씩 주사하기 때문에 화면의 깜박거림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비월주사는 화면의 깜박거림이 적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색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혼합도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의 3요소는 색상, 명도, 채도입니다. 혼합도는 색의 혼합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3요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혼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고품질의 방송이 가능하다.
  2.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주파수 활용 효율성이 더욱 높아진다.
  4.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이다. 이는 디지털 방식으로 주파수를 분할하여 다수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터넷 방송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 세계를 대상
  2. VOD 개념의 도입
  3. 제작과정의 복잡성
  4. 이용자 위주의 방송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 방송의 특징 중에서 "제작과정의 복잡성"은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인터넷 방송이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제작 및 방송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작과정이 복잡하다면 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인터넷 방송은 간단하고 빠른 제작과 방송이 가능한 것이 중요한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가상현실기술의 3요소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인간동작의 감지기술
  2. 감각정보의 합성기술
  3. 가상에서의 표출
  4. 영상의 보존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가상현실기술의 3요소는 인간동작의 감지기술, 감각정보의 합성기술, 그리고 가상에서의 표출입니다. 이 중에서 영상의 보존기술은 가상현실기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영상의 보존기술은 영상을 보존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가상현실기술과는 다른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객체(영상)기반 동영상 압축방식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7
(정답률: 알수없음)
  • MPEG-4은 객체(영상)기반 동영상 압축방식으로, 영상을 객체 단위로 분할하여 압축하고,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압축합니다. 이를 통해 높은 화질의 영상을 작은 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특수 postscript 프린터로 인쇄되는 텍스트나 그래픽용에 이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로 맞는 것은?

  1. AVI
  2. EPS
  3. PCD
  4. PCX
(정답률: 알수없음)
  • EPS는 Encapsulated PostScript의 약자로, 특수 postscript 프린터로 인쇄되는 텍스트나 그래픽용에 이용되는 파일의 확장자입니다. EPS 파일은 이미지나 그래픽을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여 확대나 축소해도 깨지지 않는 고화질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수 프린터에서 인쇄할 때도 고화질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아닌것은?

  1. 저장매체 기술
  2. 디지털 비디오 기술
  3. 하이퍼 미디어 기술
  4. 매스미디어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매스미디어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는 "저장매체 기술", "디지털 비디오 기술", "하이퍼 미디어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NTSC TV 방식에서 TV 화면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1초에 몇 개의 주사선이 필요한가?

  1. 525
  2. 5250
  3. 10500
  4. 15750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TV 방식에서는 1초에 60번의 화면 갱신이 이루어지며, 각 화면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됩니다. 각 필드는 262.5개의 수평선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240개의 수평선만이 화면에 보이게 됩니다. 이에 따라 1초에 필요한 주사선의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60 (화면 갱신 횟수) x 2 (필드 수) x 262.5 (수평선 수) x 240 (화면에 보이는 수평선 수) = 1575000

    하지만, 이 중에는 수직 동기 신호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일부 주사선이 사용되므로, 실제로는 15750개의 주사선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사운드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은?

  1. MP3
  2. WAV
  3. MIDI
  4. JPG
(정답률: 알수없음)
  • JPG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므로 멀티미디어의 사운드 파일 형식이 아니다. MP3, WAV, MIDI는 모두 사운드 파일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동영상정보의 압축방법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화면내 상관관계를 이용한다.
  2. 화면간 상관관계를 이용한다.
  3. 주사선의 시간을 이용한다.
  4. 부호의 발생확률이 서로 다름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사선의 시간을 이용하는 것은 동영상 정보의 압축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주사선은 영상 촬영에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며, 동영상 정보의 압축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사선의 시간을 이용하는 것은 압축 방법으로 알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아날로그 컬러텔레비전 방식이 아닌 것은?

  1. TBC
  2. SECAM
  3. PAL
  4. NTS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BC"입니다. TBC는 비디오 신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아날로그 컬러텔레비전 방식이 아닙니다. SECAM, PAL, NTSC는 모두 아날로그 컬러텔레비전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TV 방송에서 문자다중 방송을 위해 사용하는 부분은?

  1. 음성신호에 중철
  2. 영상신호 발생기간
  3. 수평귀선기간
  4. 수직귀선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TV 방송에서 문자다중 방송을 위해 사용하는 부분은 "수직귀선기간"이다. 이는 화면의 위쪽과 아래쪽을 구분하는 선을 말하며, 문자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기간 동안에만 문자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문자다중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양자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원신호의 증폭화
  2. 샘플링 주파수의 선정
  3. 샘플링 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
  4.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
(정답률: 알수없음)
  • 양자화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하나로, 샘플링 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때 샘플링 된 값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양자화하여 디지털 양으로 표시합니다. 이렇게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는 이후에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 과정을 거쳐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TV 송신 안테나를 지상고가 높은 곳에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1. 수신지역을 넓게 하기 위해서
  2. 위험하여 사람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송신기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
  4. 환경적으로 업무에 집중하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TV 송신 안테나를 지상고가 높은 곳에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수신지역을 넓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안테나가 높이 설치될수록 전파의 수신 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더 넓은 지역에서 TV 신호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건 현장에서 방송사로 실황을 중계하려 한다. 다음 중 가장 현장감이 있고 빠른 중계 방식은?

  1. 마이크로웨이브나 SNG를 사용한 직접 중계방식
  2. 중계차 녹화 중계방식
  3. ENG 카메라 녹화 중계방식
  4. STIL 사진 중계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웨이브나 SNG를 사용한 직접 중계방식은 이동식 위성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중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며, 현장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건 현장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중계를 해야 할 때 가장 적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비디오텍스의 전송 기술 방식이 아닌 것은?

  1. 알파 모자이크 방식
  2. 알파 포토그래픽 방식
  3.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
  4. MH 부호화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MH 부호화 방식은 비디오텍스의 전송 기술 방식이 아닙니다. MH 부호화 방식은 이미지 압축 기술 중 하나로, 비트맵 이미지를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비디오텍스는 알파 모자이크, 알파 포토그래픽,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을 사용하여 영상을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다음 중 자외선을 이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ROM은?

  1. 마스크 ROM
  2. EEROM
  3. PROM
  4. EPROM
(정답률: 알수없음)
  • 자외선을 이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ROM은 EPROM입니다. EPROM은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자외선을 이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습니다. PROM은 일회성으로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마스크 ROM은 제조 과정에서 이미 내용이 결정되어 있어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합니다. EEROM은 EEPROM의 옛 이름으로, 전기적으로 내용을 지울 수 있지만, EPROM보다는 지우기가 어렵고, 비용이 더 비싸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UNIX 의 운영체제(OS)에 주로 사용된 언어는?

  1. 어셈블리 언어
  2. BASIC 언어
  3. C 언어
  4. LISP 언어
(정답률: 알수없음)
  • C 언어는 UNIX 운영체제의 개발에 가장 많이 사용된 언어 중 하나입니다. 이는 C 언어가 저수준의 시스템 프로그래밍과 고수준의 응용 프로그래밍 모두에 적합하며, 높은 이식성과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C 언어는 UNIX 운영체제의 개발자인 Dennis Ritchie가 개발한 언어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컴퓨터의 내부나 외부에서 응급상태가 발생하여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응급사태를 처리하는 기법은?

  1. DMA
  2. Time sharing
  3. Subroutine
  4. Interrupt
(정답률: 알수없음)
  • Interrupt는 컴퓨터가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외부나 내부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기법이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Interrupt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DMA는 입출력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법이고, Time sharing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며, Subroutine은 하나의 큰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마이크로컴퓨터의 직렬 입ㆍ출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SIO
  2. USART
  3. USB
  4. PPI
(정답률: 알수없음)
  • PPI는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며,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인 SIO, USART, USB와는 다른 종류의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이항 연산이 아닌 것은?

  1. OR
  2. AND
  3. Complement
  4. 산술 연산
(정답률: 알수없음)
  • Complement는 이항 연산이 아닌 단항 연산이다. 이항 연산은 두 개의 항을 대상으로 하는 연산이지만, 단항 연산은 한 개의 항을 대상으로 하는 연산이다. Complement는 어떤 값의 보수를 구하는 연산으로, 한 개의 항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항 연산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데이터 접근방법이 순차적으로 접근되는 기억장치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FIFO 메모리
  2. LIFO 메모리
  3. 자기 테이프
  4. HDD
(정답률: 알수없음)
  • HDD는 데이터 접근 시 디스크 헤드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접근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접근되는 기억장치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디스크 헤드가 이동하는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기 때문에 접근 속도가 느리고, 랜덤 액세스에 비해 성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HDD는 랜덤 액세스에 적합한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명령 사이클 중에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카운터(PC) 값이 증가되는 사이클은?

  1. fetch cycle
  2. indirect cycle
  3. execute cycle
  4. direct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fetch cycle"은 명령어를 가져오는 사이클로, PC 값이 다음 명령어의 주소로 증가되기 때문에 PC 값이 증가되는 사이클이다. 따라서 정답은 "fetch cycl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1. MAR(Memory Address Register)
  2. IR(Instruction Register)
  3. PC(Program Counter)
  4. Accumulator
(정답률: 알수없음)
  • IR(Instruction Register)은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CPU는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 IR에 저장하고, 이를 해독하여 해당 명령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IR은 CPU가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16진수 73C.4E 를 10진수로 변환한 것 중 가장 근사치는?

  1. 185.23
  2. 1852.305
  3. 18523.05
  4. 123.25
(정답률: 알수없음)
  • 16진수 73C.4E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7 × 16² + 3 × 16¹ + 12 × 16⁰ + 4 × 16⁻¹ + 14 × 16⁻²
    = 1792 + 48 + 12 + 0.25 + 0.00390625
    ≈ 1852.305

    따라서, 가장 근사치는 "1852.3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주소 지정 방식(Addressing Mode) 중에서 프로그램 카운터에 명령어의 주소부분을 더해서 실제 주소를 구하는 방식은?

  1. 직접 번지 방식
  2. 즉시 번지 방식
  3. 상대 번지 방식
  4. 레지스터 번지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 번지 방식은 현재 명령어의 주소에서 상대적인 주소를 더하여 실제 주소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카운터에 명령어의 주소부분을 더해서 실제 주소를 구하는 것이 상대 번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방송편성에 관한 의견제시 또는 시정요구를 할 수 있는 기구는?

  1. 방송위원회
  2. 시청자위원회
  3. 방송심의위원회
  4. 방송윤리위원회
(정답률: 알수없음)
  • 시청자위원회는 방송편성에 관한 의견제시 또는 시정요구를 할 수 있는 기구입니다. 이는 시청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방송편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방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기구입니다. 따라서 시청자들이 방송편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거나 시정을 요구할 때는 시청자위원회에 문의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공중선전력의 표시방법이 틀린 것은?

  1. 평균전력(PY)
  2. 첨두포락선전력(PX)
  3. 반송파전력(PZ)
  4. 직류전력(DP)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전력은 고정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주기적인 변화가 없어 주파수 개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중선전력의 표시방법 중에서는 유효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상파방송사업을 하고자 할 때 어느 기구의 추천을 받아야 하는가?

  1. 정보통신부
  2. 문화관광부
  3. 방송위원회
  4. 통신위원회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파방송사업은 방송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방송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방송사업을 하고자 할 때는 방송위원회의 추천을 받아야 합니다. 다른 기구들은 정보통신, 문화관광, 통신 등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방송사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변조의 결과로 생기는 주파수대폭의 하한주파수 미만의 부분과 상한주파수를 초과하는 부분에서 각각 발사되는 평균전력이 따로 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각각 0.5퍼센트와 같은 주파수대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필요주파수대폭
  2. 점유주파수대폭
  3. 주파수허용편차
  4. 스퓨리어스발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점유주파수대폭은 변조된 신호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차지하는 대역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변조의 결과로 생기는 주파수대폭의 하한주파수 미만의 부분과 상한주파수를 초과하는 부분에서 각각 발사되는 평균전력이 따로 정해지는데, 이때 주파수대폭이 0.5퍼센트와 같은 값을 가지므로 이를 점유주파수대폭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파수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대폭을 묻는 것이므로 점유주파수대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당해 무선통신업무를 실용에 옮길 목적으로 시험적으로 개설하는 무선국은?

  1. 실험국
  2. 실용국
  3. 실용화시험국
  4. 시험용실용국
(정답률: 알수없음)
  • 실용화시험국은 무선통신업무를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시험적으로 개설하는 무선국으로, 이를 통해 무선통신업무의 실용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용화시험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방송법에 의한 방송사업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유선방송사업자
  2. 위성방송사업자
  3. 지상파방송사업자
  4.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입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방송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다른 방송사의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을 전달하는 사업자입니다. 유선방송사업자는 유선망을 통해 방송을 전달하는 사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전송망사업의 신청 형태는?

  1. 허가제
  2. 신고제
  3. 인가제
  4. 등록제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망사업은 등록제로 신청합니다. 이는 사업자가 사전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등록을 받아야만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등록제는 사업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규제를 통해 공정한 경쟁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청자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무엇으로 정하는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선로증폭기
  4. 송신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시청자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유는 시청자위원회가 국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대통령령은 대통령이 발하는 법령으로, 국가의 중요한 사안에 대한 규정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시청자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대한 규정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입니다. 국무총리령은 국무총리가 발하는 법령으로, 대통령령과 마찬가지로 국가의 중요한 사안에 대한 규정을 담당하지만, 시청자위원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어 대통령령이 적합합니다. "선로증폭기"와 "송신증폭기"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용어로, 시청자위원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공동시청 안테나 시설에 사용되는 설비가 아닌 것은?

  1. 수신안테나
  2. 레벨조정기
  3. 선호증폭기
  4. 송신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공동시청 안테나 시설에서 사용되는 설비는 주로 TV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송신증폭기는 TV 신호를 발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동시청 안테나 시설에 사용되는 설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방송법에서 방송의 공적 책임에 관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범죄 및 부도덕한 행위나 사행심을 조장해서는 안된다.
  2.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관리를 침해해서는 안된다.
  3. 지역간ㆍ세대간ㆍ계층간ㆍ성별간의 갈등을 조장해서는 안된다.
  4. 민주적 기본질서를 존중할 필요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민주적 기본질서를 존중할 필요는 없다."는 방송의 공적 책임에 관한 사항이 아니라 오히려 방송의 공적 책임을 위반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