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방송통신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중 JK플립플롭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단, Qn 은 시간(t)에서의 출력 상태이고 Qn+1 은 시간 (t+1)에서의 출력 상태임)

  1. JQn + KQ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JK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논리회로이다. J와 K는 각각 Set과 Reset의 역할을 한다.

    ""는 J와 K가 모두 1일 때, 이전 출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토글(toggle) 기능을 수행하며, 이전 출력 상태와 반대되는 출력을 내보낸다. 따라서 JK플립플롭의 동작을 제어하는 논리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불 대수식을 간략화 하면?

  1. RSV
  2. RST
  3. RS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OR 게이트의 입력 중 하나가 1이면 출력이 1이 되므로, (A+B+C)' = A'B'C' 이다.
    그리고, AND 게이트의 입력 중 하나가 0이면 출력이 0이 되므로, (A'+B+C)(A+B'+C)(A+B+C') = (AB'C'+A'B'C+ABC')' 이다.
    따라서, 간략화한 결과는 A'B'C' + (AB'C'+A'B'C+ABC')' 이다.
    이를 더 간단하게 표현하면 RS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트랜지스터 h 파라미터의 물리적 의미가 틀린 것은?

  1. hi : 출력단락 입력 임피던스
  2. hr : 입력개방 전류 증폭율
  3. hf : 출력단락 전류 증폭율
  4. ho : 입력개방 출력 어드미턴스
(정답률: 알수없음)
  • hf는 출력단락 전류 증폭율이 아니라, 입력단락 전류 증폭율을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hf의 물리적 의미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FET 회로의 전압이득은 약 얼마인가? ( 단, gm = 10[m℧], rd = 50[kΩ])

  1. -15.5
  2. -23.8
  3. -33.3
  4. -45.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이득은 -gm × rd 이므로, (-10[m℧]) × (50[kΩ]) = -0.5 이다. 따라서 전압이득은 -0.5이며,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정답은 "-45.5" 이다. 이유는 보기에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반올림하여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궤환발진기의 바크하우젠(Barkhausen)의 발진 조건에서 βA 의 크기는?

  1. 0
  2. 1
  3. 1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바크하우젠의 발진 조건은 궤환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 이상이 되어야 발진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이 때, βA는 궤환발진기의 자기장 증폭 계수를 나타내며, 발진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βA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 값은 궤환발진기의 설계에 따라 다르며, 보통 100 이상의 값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달링텅(Darlington) 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압 이득이 1보다 작다.
  2. 전류 이득이 크다.
  3. 입력 저항이 적다.
  4. 출력 저항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압 이득이 1보다 작다."이다.

    달링텅 회로는 입력 신호의 전압을 증폭시키는데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지만, 입력 신호의 전류를 증폭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전류 이득이 크다는 것이 달링텅 회로의 특징 중 하나이다.

    입력 저항은 크고 출력 저항은 작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달링텅 회로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증폭기 회로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그림과 등가인 Gate 회로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를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 입력 A와 B가 AND 게이트를 통해 C로 연결되고, 입력 A와 B가 OR 게이트를 통해 D로 연결되며, C와 D가 AND 게이트를 통해 출력 Y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조합으로 인해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되는 등가 회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이 옳은 것은?

  1. 시미트 트리거 회로
  2. 차동 증폭회로
  3. 푸시풀 증폭회로
  4. 부트스트랩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푸시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이기 때문에 "푸시풀 증폭회로"라고 부릅니다.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플립플롭을 구성하는 회로이며, 차동 증폭회로는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회로입니다. 부트스트랩 회로는 고주파 증폭기에서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반가산기(Half Adder)의 블록도이다. 출력단자 S(sum) 및 C(carry)에 나타나는 논리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S는 A와 B의 합을 나타내므로 XOR 게이트로 표현할 수 있고, C는 A와 B의 곱을 나타내므로 AND 게이트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S = A XOR B

    C = A AND B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신호파의 최고 주파수가 15[kHz]이다. PCM 검파에서 원래의 신호파로 복원하기 위한 표본화 펄스의 최소 주파수로 옳은 것은?

  1. 45[kHz]
  2. 30[kHz]
  3. 20[kHz]
  4. 15[kHz]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화 정리에 따르면, 표본화 주파수는 원래 신호파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고 주파수가 15[kHz]인 경우, 표본화 펄스의 최소 주파수는 30[kHz] 이상이어야 한다. 이유는 이보다 낮은 주파수로 표본화를 하면, 낮은 주파수 성분이 잘리게 되어 원래의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연산 증폭기에서 입출력 전압 관계식은?

  1. VO = V2 - V1
  2. VO = V1 + V2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전압 V1과 V2가 각각 다른 증폭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출력 전압은 V1과 V2의 차이인 V2-V1이다. 따라서 정답은 "VO = V2 - V1"이다. ""은 "VO = V2 - V1"을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변조파 I = IC(1+msinWSt)sinWCt 로 표시되는 전류가 부하저항 R에 흐르면 이 때 상측파대의 전력은?

  1. m2IC2R/8
  2. m2IC2R/4
  3. m2IC2R/2
  4. m2IC2R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변조파의 전류 I는 IC(1+msinWSt)sinWCt로 주어졌다. 이 때 상측파대의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부하저항 R을 곱한 값의 평균값이다.

    전류의 제곱은 I2 = IC2(1+msinWSt)2sin2WCt 이다.

    이를 전개하면 I2 = IC2(1+2msinWSt+m2sin2WSt)sin2WCt 이다.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부하저항을 곱한 값의 평균값이므로,

    상측파대의 전력 = (1/2)I2R

    = (1/2)IC2R(1+2msinWSt+m2sin2WSt)sin2WC

    = (1/2)IC2R(1+m2/2+mmsinWSt)sin2WC

    = m2IC2R/8

    따라서, 정답은 "m2IC2R/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C급 증폭기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효율이 높다
  2. 출력단에 공진회로가 필요하다.
  3. 직진성이 좋다
  4. 고출력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출력단에 공진회로가 필요하다."

    C급 증폭기는 고출력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효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직진성이 좋다는 것은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상관관계가 높아서 왜곡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신호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출력단에 공진회로가 필요하다는 것은 일반적인 C급 증폭기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0.1이고 주기가30[μs]인 펄스의 폭은 얼마인가?

  1. 10[μs]
  2. 6[μs]
  3. 3[μs]
  4. 1[μs]
(정답률: 알수없음)
  •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0.1이라는 것은 펄스의 전체 주기 중에서 신호가 켜져 있는 시간이 전체 주기의 10%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전체 주기가 30[μs]이라면, 펄스의 신호가 켜져 있는 시간은 30[μs] x 0.1 = 3[μs]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펄스의 폭이므로, 펄스의 신호가 켜져 있는 시간인 3[μs]를 2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나누면 펄스의 폭은 3[μs] / 2 = 1.5[μs]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μs] 단위로만 답이 주어져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μs]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0[μs]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논리식 중 서로 관계가 틀린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 이 정답이 아닌 이유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모든 경우에 참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참이거나 거짓입니다.

    - "" : A와 B가 모두 참이면 결과는 참입니다.
    - "" : A와 B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는 참입니다.
    - "" : A와 B가 모두 거짓이면 결과는 참입니다.

    하지만 ""는 A와 B가 모두 거짓일 때만 결과가 참이므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모든 경우에 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RC 회로의 스텝전압 입력시 발생파형의 상승시간(rise time) tr 와 관계 없는 것은? (단, fH : 상측 3dB 주파수, B: 대역폭, τ : 시정수 )

  1. tr = 2.2RC
  2. tr = 0.35/fH
  3. tr = 1/B
  4. tr = 1.1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r = 0.35/fH" 입니다.

    이유는 RC 회로의 스텝전압 입력시 발생하는 상승시간(rise time) tr은 RC 회로의 시정수(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r은 2.2RC로 계산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tr과 관계 없는 것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은 모두 tr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인 "tr = 0.35/fH"은 RC 회로의 스텝전압 입력시 발생하는 상승시간(rise time) tr과 관계 없는 것입니다. 이유는 fH은 RC 회로의 대역폭(B)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tr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하나의 논리 케이트 출력이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할 수 있는 표준 부하의 수를 의미하는 것은?

  1. 팬 아웃(fan-out)
  2. 전력소모(power dissipation)
  3. 전파지연시간(propagation delay time)
  4. 잡음 여유도(nosie margin)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지연시간은 하나의 논리 게이트 출력이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파지연시간이 작을수록 더 많은 수의 표준 부하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팬 아웃은 입력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의 한계를 의미하며, 전력소모는 게이트가 소비하는 전력의 양을 나타냅니다. 잡음 여유도는 입력 신호가 약간의 잡음을 포함하더라도 올바른 출력 신호를 내보낼 수 있는 여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진폭변조시 피변조파의 최대진폭이 A, 최소진폭이 B일 경우 변주율(m)은?

(정답률: 알수없음)
  • 변주율(m)은 (최대진폭-최소진폭)/(최대진폭+최소진폭)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주율은 (A-B)/(A+B)이다. 보기 중에서 ""은 이 공식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2진 비교기의 구성요소를 맞게 설명한 것은?

  1. 인버터 2개, NOR 게이트 2개, NOR 게이트 1개
  2. 인버터 2개, AND 게이트 1개, NOR 게이트 2개
  3. 인버터 2개, AND 게이트 2개, EX-NOR 게이트 1개
  4. 인버터 2개, NAND 게이트 2개, EX-OR 게이트 1개
(정답률: 알수없음)
  • 2진 비교기는 두 개의 2진수를 비교하여 크기를 판단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 A와 B를 받아서, A가 B보다 크면 출력 Y가 1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0이 됩니다. 이를 위해 인버터 2개를 사용하여 A와 B의 보수를 구하고, AND 게이트 2개를 사용하여 A와 B의 각 자리수를 비교합니다. 마지막으로 EX-NOR 게이트 1개를 사용하여 A와 B가 같은지를 판단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버터 2개, AND 게이트 2개, EX-NOR 게이트 1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B급 푸시풀 전력 증폭기는 어느 것이 제거 되는가?

  1. 기본파
  2. 우수 고조파
  3. 기수 고조파
  4. 모든 고조파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푸시풀 전력 증폭기에서는 "우수 고조파", "기수 고조파", "모든 고조파"가 제거됩니다. 이는 B급 푸시풀 전력 증폭기가 기본적으로 기본파만을 증폭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고조파들은 필요하지 않으며, 제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영상 편집방법에 있어서 이미 기록된 영상의 중간에 Control 신호의 변환 없이 별도의 영상이나 음성을 삽입할 수 있는 편집 모드는?

  1. Assemble 편집 모드
  2. Insert 편집 모드
  3. Full copy mode
  4. Preview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Insert 편집 모드는 이미 기록된 영상의 중간에 Control 신호의 변환 없이 별도의 영상이나 음성을 삽입할 수 있는 편집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삽입하고자 하는 영상이나 음성을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으며, 기존의 영상은 자동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삽입물과 함께 편집된다. 따라서 Control 신호의 변환이 필요하지 않으며, 편집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1단의 잡음지수 F1 =10, 이득 G1 = 10, 제 2단의 잡음지수 F2 = 11, 이득 G2 = 2, 제3단의 잡음지수 F3 = 21, 이득 G3 = 1인 3단으로 구성된 증폭기의 종합잡음지수는?

  1. 11
  2. 12
  3. 21
  4. 22
(정답률: 알수없음)
  • 종합잡음지수는 각 단의 잡음지수와 이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종합잡음지수 = 10 + (11-1)/10 + (21-1)/100
    = 10 + 1 + 0.2
    = 11.2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12"인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종합잡음지수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종합잡음지수 ≈ 11.2 ≈ 12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DCT 부호화 방식에서 입력 화상의 기본 블록화 화소수는?

  1. 100
  2. 64
  3. 16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DCT 부호화 방식에서 입력 화상은 8x8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됩니다. 각 블록은 64개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력 화상의 기본 블록화 화소수는 64입니다. 이는 DCT 알고리즘이 8x8 크기의 블록을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측정장비 중 신호를 시간축으로 표시하여 신호와 파형을 측정하는 것은?

  1. 벡터스코프
  2. 오실로스코프
  3. 스펙트럼 분석기
  4. 패턴 발생기
(정답률: 알수없음)
  • 오실로스코프는 시간축으로 신호를 표시하여 파형을 측정하는 측정장비입니다. 다른 측정장비들은 주파수, 진폭, 위상 등을 측정하는데 비해, 오실로스코프는 시간적인 변화를 측정하여 파형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실로스코프가 신호와 파형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측정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우리나라 TV 음성다중 방송방식은?

  1. 2 Carrier
  2. FM-FM 방식
  3. AM-FM 방식
  4. AM-AM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TV 음성다중 방송방식은 "2 Carrier" 방식이다. 이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음성 신호를 두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음질이 좋고 잡음이 적으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TV 방송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NTSC TV 방송에서 영상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은?

  1. 1.2
  2. 3.5
  3. 4.2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TV 방송에서 영상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은 4.2MHz이다. 이는 NTSC 방식에서 사용되는 색상 부호화 방식인 "컬러 서브캐리어"의 주파수가 3.58MHz이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 등의 추가적인 정보도 포함되어 대역폭이 더 넓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영상 입력 전압에 대하여 반송파의 진폭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이상적인데, 실제로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나 일그러짐이 생긴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DG, DP
  2. 고스트
  3. 비트방해
  4. 혼변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고스트

    고스트는 영상 입력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오면서 원래 신호와 겹쳐져서 생기는 현상으로, 이는 전송선로나 케이블의 잡음, 반사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DG와 DP는 디스플레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혼변조와 비트방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우리나라 아날로그 컬러 TV의 어느 송신 채널의 음성 반송파 주파수가 88[㎒]일 때 영상반송파 주파수[㎒]는 얼마인가?

  1. 83.5
  2. 86.7
  3. 89.2
  4. 92.5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아날로그 컬러 TV의 음성 반송파 주파수는 4.5[㎒]씩 떨어져 있으며, 이는 5번째 채널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88[㎒]의 음성 반송파 주파수는 5번째 채널이다. 영상 반송파 주파수는 음성 반송파 주파수보다 4.5[㎒]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88[㎒]의 음성 반송파 주파수에 4.5[㎒]을 더한 92.5[㎒]가 아닌, 83.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FM 송신기에서 S/N 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신호의 고역주파수 부분을 강조하는 것은?

  1. AFC
  2. Pre-emphasis
  3. De-emphasis
  4. Limiter
(정답률: 알수없음)
  • Pre-emphasis는 고역주파수 부분을 강조하여 S/N 비를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FM 송신기에서 사용되며, 송출 전에 고역주파수 부분을 강조하여 송출하고, 수신기에서는 De-emphasis 기술을 사용하여 다시 원래의 주파수 특성으로 복원합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M 수신기에서 AFC 회로가 사용되는 주 목적은?

  1. 수신감도 향상
  2. 선택도 향상
  3. 감도 조정
  4. 주파수 안정도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AFC 회로는 주파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수신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른 신호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합니다. 이를 통해 수신감도와 선택도를 향상시키며, 감도 조정에도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직 컬러바에 대해 정밀하고 반복된 신호를 만드는 장비이며 시험과 조정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웨이브폼
  2. 컬러바 발생기
  3. 벡터스코프
  4. 정현파 발생기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컬러바는 비디오 시스템에서 색상과 밝기를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정밀하고 반복된 신호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가 바로 컬러바 발생기입니다. 이 장비는 시험과 조정절차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웨이브폼, 벡터스코프, 정현파 발생기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SNG 지구국을 설계하고자 한다. 지구국에서 송신, 위성체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UP-LINK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영상 및 음성 제작 기술기준
  2. 자유공간손실
  3. 위성성능지수
  4. 잡음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 및 음성 제작 기술기준"은 송신과 수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UP-LINK 설계시에는 자유공간손실, 위성성능지수, 잡음대역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방송신호의 제작설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튜디오설비
  2. 조명설비
  3. 편집설비
  4. 송출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송출설비는 방송신호를 전파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스튜디오, 조명, 편집 등의 제작설비와는 거리가 먼 역할입니다. 다른 제작설비들은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하지만, 송출설비는 이를 전파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제작설비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컬러 TV 송신기에서 영상증폭기를 통한 영상신호와 음성증폭기를 통한 음성신호를 상호간섭 없이 합해 송신 안테나에 공급하는 장치는?

  1. 집중회로
  2. 다이플렉서
  3. 매트릭스회로
  4. 휘도신호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플렉서는 컬러 TV 송신기에서 영상증폭기와 음성증폭기에서 나온 신호를 상호간섭 없이 합쳐 송신 안테나에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다이플렉서가 고주파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이플렉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송신설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영상 송신기
  2. VTR 설비
  3. 송신공중선
  4. 송신 급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설비는 영상이나 음성 등을 전송하기 위한 장비들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 VTR 설비는 영상을 녹화하거나 재생하는 장비로, 송신을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송신설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원접속 방식 중 지구국이 증가해도 회선 효율이 양호하고 프레임 내의 특정위치 (Time Slot)를 각 지구국에 할당함으로써 지구국 상호간에 혼신없이 통신이 가능한 방식은?

  1. TDMA
  2. SDMA
  3. FDMA
  4. CDMA
(정답률: 알수없음)
  • TDMA 방식은 시간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프레임 내의 특정 위치를 각 지구국에 할당하여 지구국 상호간에 혼신없이 통신이 가능합니다. 이 방식은 지구국이 증가해도 회선 효율이 양호하므로 위성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TDM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마이크로웨이브 중계방식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2. 간접 중계방식
  3. 검파 중계방식
  4. 무급전 중계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 중계방식은 마이크로웨이브 중계방식 중 하나가 아닙니다. 간접 중계방식은 신호를 중계하는 동안 신호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계기와 수신기 사이에 강화기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검파 중계방식, 무급전 중계방식과 함께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에서 사용되는 중계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위성방송에서 송·수신을 위한 지구국의 안테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루프안테나
  2. 야기 안테나
  3. 카세그레인 안테나
  4. 롬빅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방송에서는 대규모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하므로, 대역폭이 넓고 강력한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대역폭이 넓고 강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 특화되어 있어, 위성방송에서 송·수신을 위한 지구국의 안테나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위성방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C-Band의 주파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3~50[㎓]
  2. 12~16[㎓]
  3. 4~6[㎓]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C-Band는 4~8[㎓]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4~6[㎓]의 주파수가 가장 적합한 것은 대기의 흡수가 적고, 지표면과의 반사가 적어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주파수 대역은 지구와 위성 간의 통신에도 적합하며, 전파의 파장이 길어서 지구의 곡률을 따라 통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위성방송에서는 C-Band 중에서도 4~6[㎓]의 주파수를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무궁화 위성방송에서 채택하고 있는 변조방식은?

  1. QPSK
  2. 8-VSB
  3. FM
  4. SSB
(정답률: 알수없음)
  • 무궁화 위성방송에서 채택하고 있는 변조방식은 QPSK입니다. 이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4개의 상태를 가지는 변조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2진수 데이터를 2개씩 묶어서 4개의 상태로 변조하여 전송하므로,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QPSK 방식은 다른 변조 방식에 비해 노이즈에 강하고,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다음 중 국내 FM 방송의 사용 주파수 대역은?

  1. 880[㎐]~8800[㎐]
  2. 88[㎑]~108[㎑]
  3. 88[㎒]~108[㎒]
  4. 8.8[㎓]~10.8[㎓]
(정답률: 알수없음)
  • 국내 FM 방송의 사용 주파수 대역은 "88[㎑]~108[㎑]"이다. 이는 국제 전기통신 연합(ITU)에서 정한 국제 표준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VHF 대역에서 FM 방식으로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 대역이다. 이 대역은 라디오 수신기의 대중화와 함께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FM 라디오 방송국에서 이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비디오텍스에서 도형이나 숫자 등을 구성하는 방식이 아닌것은?

  1.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
  2. 알파 포토그래픽 방식
  3. 알파 오브젝트 방식
  4. 알파 모자이크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알파 오브젝트 방식은 도형이나 숫자 등을 구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미지의 투명도를 이용하여 객체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즉, 이미지의 일부분을 투명하게 만들어서 객체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로고나 아이콘 등의 작은 크기의 이미지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멀티미디어의 화상 압축기술이 아닌 것은?

  1. 예측 부호화 기법
  2. DCT 기법
  3. HMD 기법
  4. 가변길이 부화화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HMD 기법은 멀티미디어의 화상 압축기술이 아닙니다. HMD 기법은 Head-Mounted Display의 약자로, 가상현실(VR) 기술에서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예측 부호화 기법, DCT 기법, 가변길이 부화화 기법은 모두 멀티미디어의 화상 압축기술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표적인 것으로 Eureka-147이 있으며 CD 수준의 고품위 음성은 물론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까지 전송 가능한 방송을 의미하는 것은?

  1. DRM
  2. RDS
  3. DAB
  4. DARC
(정답률: 알수없음)
  • DAB는 Digital Audio Broadcasting의 약자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의미합니다. CD 수준의 고품질 음성뿐만 아니라 문자, 그래픽, 동화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DAB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케이블 TV방송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인터페이스 하는 것은?

  1. TBC
  2. ONU 혹은 OTR
  3. TBA
  4. VO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NU 혹은 OTR"입니다.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ONU(광대역 네트워크 단말장치) 혹은 OTR(광대역 전송기)입니다. ONU나 OTR은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변환하여 서로 호환 가능한 신호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문자 폰트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른 하나는?

  1. 비트맵 방식
  2. 트루타입 방식
  3. 포스트스크립트 방식
  4. 벡터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비트맵 방식"

    비트맵 방식은 문자를 표현할 때, 각 픽셀마다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트루타입 방식, 포스트스크립트 방식, 벡터 방식은 벡터 그래픽을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한다. 이 방식들은 문자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도 깨지지 않고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의 정의, 부호화 원칙, 시스템 요구사항, 오브젝트 클래스이용한 부호화 표현 등을 목적으로 하는 표준화 그룹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
(정답률: 알수없음)
  • MPEG은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동영상 및 음성 등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의 부호화와 전송에 대한 표준화 그룹입니다. MPEG-1은 CD-ROM 등의 저장매체에 적합한 비디오 압축 표준, MPEG-2는 디지털 방송 및 DVD 등에 적합한 비디오 압축 표준, MPEG-4는 인터넷 등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압축 표준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도 MPEG은 전반적인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 부호화와 전송에 대한 표준화를 담당하는 그룹으로, 다른 MPEG 표준들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규격의 ATSC 표준 요구사항이 아닌것은?

  1. 채널대역폭 6㎒ 유지
  2. SFN(Signal Frequency Network) 구성
  3. 고음질 추구
  4. 고화질 추구
(정답률: 알수없음)
  • SFN(Signal Frequency Network) 구성은 ATSC 표준 요구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SFN은 여러 개의 송신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에서는 사용되지만 ATSC 표준 요구사항은 아닙니다. 채널대역폭 6㎒ 유지, 고음질 추구, 고화질 추구는 모두 ATSC 표준 요구사항 중 일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무궁화 위성에서 중계기의 통신 및 방송용 채널대역 폭으로 적합한 것은?

  1. 통신 36[㎒], 방송 36[㎒]
  2. 통신 27[㎒], 방송 36[㎒]
  3. 통신 36[㎒], 방송 27[㎒]
  4. 통신 27[㎒], 방송 27[㎒]
(정답률: 알수없음)
  • 무궁화 위성은 C-밴드와 Ku-밴드를 이용하여 통신과 방송을 수행한다. C-밴드는 4~8GHz, Ku-밴드는 12~18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도 중계기의 통신용 채널은 C-밴드의 6GHz 대역인 36[㎒]이 적합하며, 방송용 채널은 Ku-밴드의 14GHz 대역인 27[㎒]이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통신 36[㎒], 방송 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방송 미디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ATV
  2. TV
  3. VRS
  4. FM
(정답률: 알수없음)
  • VRS는 방송 미디어가 아닌,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System)을 의미하는 기술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통신계 미디어가 아닌 것은?

  1. 비디오텍스
  2. 화상회의
  3. 팩시밀리방송
  4. 전화
(정답률: 알수없음)
  • 팩시밀리방송은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녹화된 방송을 일정한 시간에 일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계 미디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집적 회로에 의해서 구성된 활상 소자는?

  1. 플럼비콘
  2. CCD
  3. 세티콘
  4. 아이코너 스코프
(정답률: 알수없음)
  •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전하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활상 소자입니다. CCD는 집적 회로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 이미지를 캡처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멀티미디어의 사운드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은?

  1. RA
  2. WAV
  3. MP3
  4. GIF
(정답률: 알수없음)
  • GIF는 그래픽 파일 형식으로,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이며 사운드를 나타내는 파일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의 사운드 파일 형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영상신호에서 컬러 버스트(color burst)가 컴포지트(composite) 신호에 실리는 기간은?

  1. 수직귀선시간
  2. 수평귀선기간
  3. 수평주사시간
  4. 수직주사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버스트는 NTSC 방식에서 사용되는 컬러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로, 수평 귀선 기간에 실리게 됩니다. 이는 수평 동기 신호와 함께 수평 주기를 이루며, 수직 귀선 시간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평귀선기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무궁화 위성의 정지궤도 위치는?

  1. 적도 상공 약 36000[㎞] 정도
  2. 방송하는 국가의 상공 약 30000[㎞] 정도
  3. 북극점 상공 약 40000[㎞] 정도
  4. 남극점 상공 약 50000[㎞]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무궁화 위성은 지구를 돌아가는 인공위성 중에서도 대기권 밖에서 운용되는 위성으로, 지구 중심을 중심으로 고도 약 36,000㎞의 위치에 머무릅니다. 이 위치는 지구의 적도 상공과 거의 일치하며, 이 위치에서는 지구의 자전 속도와 일치하는 속도로 운동하면서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게 됩니다. 이러한 위치를 '정지궤도'라고 부르며, 무궁화 위성은 이 위치에서 대한민국과 인접한 지역을 위성 통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위성 방송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의 전달에 동보성을 갖는다.
  2. 전파의 수신이 산악이나 지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3. 각 지역별 로컬 방송이 용이하다.
  4. 재해시 방송망을 확보하거나 중계 회선을 대체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지역별 로컬 방송이 용이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위성 방송망은 지역에 상관없이 전 세계 어디서든 동일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별 로컬 방송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샘플링 신호배율은 영상신호 중 휘도신호와 색차성분을 디지털화 할 때 사용한다. 다음 중 영상의 압축 및 전송등에서 샘플링 규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4 : 1 : 1
  2. 4 : 2 : 2
  3. 4 : 3 : 2
  4. 4 : 4 : 4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4 : 3 : 2"

    이유: 샘플링 규격은 영상의 색상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데, "4 : 3 : 2"는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 아니다. "4 : 1 : 1", "4 : 2 : 2", "4 : 4 : 4"는 모두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각각 크로마 샘플링 비율을 나타낸다. "4 : 1 : 1"은 가로 방향으로 4개의 픽셀 중에 1개만 샘플링하여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고, "4 : 2 : 2"는 가로 방향으로 4개의 픽셀 중에 2개만 샘플링하여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다. "4 : 4 : 4"는 모든 픽셀에서 샘플링하여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4 : 3 : 2"는 영상의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샘플링 규격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NTSC 방송에서 색도신호인 I 신호의 대역폭[㎒]은?

  1. 4.5
  2. 2.5
  3. 1.5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방송에서 I 신호의 대역폭은 1.5MHz이다. 이는 NTSC 방식에서 색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차 신호 중 하나인 I 신호의 대역폭이 1.5MHz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 대역폭은 색상 정보를 충분히 전송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며, 이를 넘어서면 색상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NTSC 컬러 TV 방식에서 R, G, B 삼원색으로부터 휘도 신호 Y와 색차신호 T-Y, B-Y, G-Y로 변환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관계가 틀린 것은?

  1. EY =0.3ER + 0.59EG + 0.11EB
  2. EY =0.7ER - 0.59EG - 0.11EB
  3. EY =0.7ER - 0.59EG - 0.89EB
  4. EY =-0.3ER + 0.41EG - 0.11EB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관계가 틀린 것은 "EY =-0.3ER + 0.41EG - 0.11EB"이다.

    NTSC 컬러 TV 방식에서 Y 신호는 RGB 삼원색의 가중치를 곱하여 계산된다. 이 때, R, G, B의 가중치는 다음과 같다.

    - Y = 0.3R + 0.59G + 0.11B

    하지만, 이 식은 파장이 긴 빨간색이 눈에 더 잘 보이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빨간색 가중치를 더 크게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NTSC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중치를 사용한다.

    - Y = 0.7R - 0.59G - 0.11B

    이 식은 파장이 긴 빨간색을 더 강조하여 Y 신호를 계산하므로,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색차 신호 T-Y와 B-Y, G-Y는 Y와 R, G, B의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Y와 R, G, B의 가중치가 올바르게 설정되어야 올바른 색차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정지화상의 부호화 압축표준으로 사용되는 것은?

  1. MPEG-2
  2. MPEG-4
  3. JPEG
  4. H.261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화상의 부호화 압축표준으로는 JPEG이 사용된다. 이는 JPEG가 정지화상을 압축하는 데 효과적이며,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MPEG-2, MPEG-4, H.261은 동영상 부호화 압축표준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다음 중 어떤 현상의 복잡한 과정을 유사한 모델을 사용하여 실험하고 이로부터 최적해를 구하는 모의실험을 의미하는 것은?

  1. 제어프로그램
  2. 시뮬레이션
  3. 컴파일러
  4. 에뮬레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시뮬레이션은 어떤 현상의 복잡한 과정을 모델링하여 실험하고 최적해를 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시뮬레이션이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제어프로그램, 컴파일러, 에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진화 10진 코드(BCD)는 최대 몇 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가?

  1. 4자
  2. 8자
  3. 64자
  4. 128자
(정답률: 알수없음)
  • 2진화 10진 코드(BCD)는 4비트로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1자리 숫자당 4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16진수로 표현하면 1자리 숫자당 1자리의 16진수가 필요하며, 64자의 16진수로 모든 1자리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2진화 10진 코드(BCD)는 최대 64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CPU가 다음에 처리해야 할 명령이나 데이터의 메모리상의 번지를 지시하는 것은?

  1. IR
  2. PC
  3. SP
  4. MAR
(정답률: 알수없음)
  • PC는 Program Counter의 약자로, CPU가 다음에 처리해야 할 명령이나 데이터의 메모리상의 번지를 지시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PC가 다음에 처리해야 할 명령이나 데이터의 메모리상의 번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입출력 레지스터들을 액세스 할 때는 반드시 별도의 명령어들을 사용해야 하며, 입출력 주소 공간이 기억장치 주소공간과는 별도로 지정 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방식은?

  1. Memory-mapped I/O
  2. Isolated I/O
  3. Interrupt I/O
  4. Programmed I/O
(정답률: 알수없음)
  • Isolated I/O는 입출력 주소 공간이 기억장치 주소공간과는 별도로 지정될 수 있기 때문에, 입출력 레지스터들을 액세스 할 때 별도의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장점을 갖습니다. 따라서, Isolated I/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택 구조를 갖고 있는 주소 방식은?

  1. 0-주소 방식
  2. 1-주소 방식
  3. 2-주소 방식
  4. 3-주소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택 구조는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는 구조이다. 이때 스택의 맨 위에 있는 데이터를 가리키는 주소를 스택 포인터(SP)라고 한다. 0-주소 방식은 SP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를 직접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택에 저장된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가 없다. 따라서 스택에 저장된 데이터를 꺼내기 위해서는 SP를 이용하여 스택의 맨 위에 있는 데이터를 직접 참조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스택 구조를 갖고 있는 주소 방식은 0-주소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 언어에서 입출력 함수에서 사용하는 정수형으로 16진수로 변환하는 령식인자는?

  1. %d
  2. %x
  3. %o
  4. %f
(정답률: 알수없음)
  • "%x"는 16진수로 출력하기 위한 서식 지정자이다. 이는 정수형 변수를 16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10진수 15는 16진수로 F로 표현되며, "%x"를 사용하여 출력하면 "f"가 출력된다. 따라서 입출력 함수에서 16진수로 출력하고자 할 때는 "%x"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CPU가 명령어를 갖고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CPU 검색 타임
  2. CPU 액세스 타임
  3. CPU 실행 타임
  4. CPU 사이클 타임
(정답률: 알수없음)
  • CPU 사이클 타임은 CPU가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 단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PU 검색 타임은 메모리나 캐시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하며, CPU 액세스 타임은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CPU 실행 타임은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앙처리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럽트(interrupt)
  2. 버퍼링(buffering)
  3. 스풀링(spooling)
  4. 채널(channel)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처리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입·출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거나 스풀링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앙처리 장치는 입·출력 장치의 속도에 맞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인터럽트는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중앙처리 장치에게 신호를 보내어 처리를 중단하고, 입·출력 장치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인터럽트는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 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를 해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버퍼링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뜻하며, 스풀링은 입·출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뜻한다. 채널은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 장치 사이에 위치한 제어장치를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2진수 0111을 그레이 코드(Gray code)로 변환하면?

  1. 1010
  2. 0100
  3. 0000
  4. 1111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비트 차이가 1인 코드이다. 따라서 2진수 0111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다른 값을 취하면 된다. 따라서 2진수 0111의 그레이 코드는 0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각 파일이 만들어질 때, 운영체제에 의해 부여되는 고유 번호를 의미하는 것은?

  1. PCB
  2. I-node
  3. kernel
  4. file descriptor
(정답률: 알수없음)
  • I-node은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각 파일이 만들어질 때, 운영체제에 의해 부여되는 고유 번호를 의미합니다. 이 번호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파일의 소유자, 권한, 생성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파일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공중선계의 충족 조건이 아닌 것은?

  1. 공중선은 이득이 높을 것
  2. 정합은 신호의 반사손실이 최소화 되도록 할 것
  3. 지향성은 복사되는 전력이 목표하는 방향을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안정적일 것
  4. 감도는 낮은 신호입력에서도 양호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감도는 낮은 신호입력에서도 양호할 것"은 공중선계의 충족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공중선은 주로 높은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낮은 신호 입력에서는 감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공중선계의 충족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방송의 공적 책임에 관한 내용에 속하는 것은?

  1. 방송은 국민의 알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여야 한다.
  2. 방송은 지역사회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3. 방송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권리를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4. 방송은 표준말의 보급에 이바지 하고 언어 순화에 힘써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송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권리를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이유는 방송이 타인의 인격과 권리를 침해하면 그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게 되고, 이는 국민의 알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방송은 타인의 권리와 명예를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방송국설비공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영상·음향설비 공사
  2. 송출설비 공사
  3. 방송관리시스템설비 등의 공사
  4. CCTV설비 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CCTV설비 공사는 방송국과는 관련이 없는 CCTV 시스템 설치 및 유지보수 공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송국에서 사용되는 설비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방송국”에 대한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중에게 전파함을 목적으로 행하는 통신국
  2. 특정한 방송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국
  3. 공중이 방송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개설한 무선국
  4. 방송설비와 방송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중이 방송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개설한 무선국"입니다. 방송국은 공중에 방송신호를 전파하기 위해 개설된 무선국으로, 방송설비와 방송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가 아닙니다. 또한, 특정한 방송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국이라는 정의도 방송국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방송국 전파의 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 허용편차
  2. 기생발사강도의 세기
  3. 주파수대폭의 허용치
  4. 스퓨리어스영역 불요발사의 허용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생발사강도의 세기"입니다.

    기생발사강도는 방송국에서 방송을 하면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파로, 다른 주파수를 방해하거나 전파 오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국은 기생발사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기생발사강도의 세기는 방송국 전파의 질을 나타내는 요소가 아닙니다. 방송국 전파의 질은 주파수 허용편차, 주파수대폭의 허용치, 스퓨리어스영역 불요발사의 허용치 등과 같은 요소들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주전송장치에 입력하여야 하는 영상신호의 동기레벨은?

  1. 0±1 IRE 이내
  2. 10±1 IRE 이내
  3. 20±1 IRE 이내
  4. 40±1 IRE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주전송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레벨은 40±1 IRE 이내인 이유는, 이 레벨이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에서 수평 동기 신호의 레벨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NTSC 방식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가 40 IRE 레벨에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신호들의 레벨이 결정된다. 따라서 주전송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레벨은 40±1 IRE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방송 공동수신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신안테나
  2. 레벨조정기
  3. 신호처리기
  4. 송신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안테나는 방송 신호를 발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송 공동수신설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송 공동수신설비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방송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허가신청서에 첨부하여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신청에 관한 사항을 기재한 서류
  2. 사업계획서
  3. 등기부등본
  4. 시설설치계획서
(정답률: 알수없음)
  • 등기부등본은 방송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허가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가 아닙니다. 등기부등본은 법인 등 기업체의 법적 지위와 대표자 등을 확인하기 위한 서류이지만,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방송사업 허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기부등본은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특정 방송 분야의 방송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편성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송편성
  2. 종합편성
  3. 특수편성
  4. 전문편성
(정답률: 60%)
  • 전문편성은 특정 분야의 방송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편성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방송편성, 종합편성, 특수편성은 이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전문편성만이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개설하고자 하는 중파방송국의 블랭킷 에어리어내의 가구수는 그 방송국의 방송구역내 가구수의 몇[%]이하여야 하는 가?

  1. 0.35[%]
  2. 0.50[%]
  3. 1.00[%]
  4. 1.35[%]
(정답률: 알수없음)
  • 중파방송국의 블랭킷 에어리어는 방송국의 방송구역내 모든 가구에 대해 수신 가능한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중파방송국의 블랭킷 에어리어내의 가구수는 방송구역내 모든 가구수의 일부분이어야 한다.

    이때, 중파방송국의 블랭킷 에어리어내의 가구수가 방송구역내 가구수의 35%라고 가정하면, 방송구역내 100가구 중 35가구가 중파방송국의 블랭킷 에어리어내에서 수신 가능한 영역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