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14)

방송통신산업기사
(2010-03-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음성 신호(0~4[kHz])를 반송파 신호 y(t)=5cos(6.28×105t)로 DSB-LC(DSB-TC) 변조하는 경우 상측파대(USB)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로서 옳은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음성 신호의 최대 진폭은 반송파 진폭보다 적음)

  1. 100~104[kHz]
  2. 100~108[kHz]
  3. 96~100[kHz]
  4. 92~100[kHz]
(정답률: 70%)
  • DSB-LC 변조에서는 상측파와 하측파가 모두 존재하며, 상측파는 반송파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측파 대역폭은 음성 신호의 최대 주파수인 4kHz를 상측파 주파수와 반송파 주파수의 차이인 6.28×10^5Hz에서 빼준 값인 6.24×10^5Hz로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면 100~104k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104[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1. 일치회로
  2. 반가산기
  3. 전가산기
  4. 반감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반가산기입니다. A와 B를 XOR 게이트로 연결하여 합(S)을 출력하고,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자리올림(C)을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본적으로 PSK 복조 방식은 동기식만을 지원하므로 이를 개선하여 비동기식 복조가 가능한 PSK 방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DPSK
  2. QPSK
  3. OQPSK
  4. OCQPSK
(정답률: 39%)
  • 정답은 "DPSK"이다.

    PSK 복조 방식은 심볼 동기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심볼 간 간격이 일정해야 한다. 그러나 DPSK는 이전 심볼과 현재 심볼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비동기식으로 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DPSK는 PSK 방식 중에서 비동기식 복조가 가능한 유일한 방식이다.

    QPSK, OQPSK, OCQPSK는 모두 PSK 방식 중에서도 특정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기식 복조 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회로에 대하여 입력신호 Vi=5sin(ωt)일 때 출력파형은? (제너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은 0.7[V]이고 제너전압은 4.7[V]이다.)

(정답률: 73%)
  • 제너다이오드는 순방향 전압이 일정 이상이 되어야만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따라서 입력신호 Vi가 음수일 때는 제너다이오드가 차단되어 출력은 0[V]이다. 반면, Vi가 양수일 때는 제너다이오드가 순방향 전압을 갖게 되어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출력은 Vi와 제너전압(4.7[V])의 합인 9.7[V]이 된다. 따라서 출력파형은 입력파형의 양의 부분만 유지되며,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입력으로 2n개의 데이터를 가지며 이를 선택하기 위한 스트로브 제어신호가 n개를 가지고 입력 데이터 중 1개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논리회로를 다음 중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디멀티플렉서
  2. 디코더
  3. 엔코더
  4. 멀티플렉서
(정답률: 54%)
  • 정답은 "멀티플렉서"이다.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논리회로이다. 입력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트로브 제어신호가 n개이므로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는 선택된 입력 데이터를 출력으로 전달하며, 선택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는 출력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논리회로로 멀티플렉서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R-L 직렬 회로에서 시정수(time constant) τ는 다음 중 어떻게 정의되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

    시정수는 R-L 직렬 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이 변화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시간 상수를 의미한다. 이 시간 상수는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시간과 방전되는 시간의 합으로 정의된다. R-L 직렬 회로에서 시정수는 L/R로 계산되며, 이 값이 클수록 전류나 전압의 변화가 느려지고, 작을수록 빠르게 변화한다. 따라서 시정수가 작을수록 회로의 반응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는 L/R로 계산되는 시정수를 나타내는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기능은 다음 중 어느것인가?

  1. Gray to BCD 부호 변환기
  2. BCD to 7421 부호 변환기
  3. BCD to 3초과 부호 변환기
  4. BCD to Gray 부호 변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BCD (Binary Coded Decimal) 입력을 Gray 코드로 변환하는 BCD to Gray 부호 변환기이다. BCD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낸 것이고, Gray 코드는 인접한 수의 이진수 표현이 한 비트만 차이나는 코드이다. 이 논리회로는 BCD 입력을 받아서 각 자리수의 이진수를 Gray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2진수 1001을 그레이 부호(Gray Code)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0110
  2. 1101
  3. 1111
  4. 1010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1001을 그레이 부호로 변환하려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해주면 된다.

    따라서,
    - 첫 번째 비트는 1이므로 그대로 둔다.
    - 두 번째 비트는 1 XOR 0 = 1
    - 세 번째 비트는 0 XOR 1 = 1
    - 네 번째 비트는 1 XOR 0 = 1

    따라서, 2진수 1001을 그레이 부호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1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8진수 35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 중 얼마가 되는가?

  1. 5
  2. 11
  3. 22
  4. 29
(정답률: 알수없음)
  • 8진수 35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수행해야 한다.

    3 x 8^1 + 5 x 8^0 = 24 + 5 = 29

    즉, 8진수 35는 10진수로 29가 된다. 8진수는 8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표현되기 때문에, 8진수 35는 3 x 8^1 + 5 x 8^0로 계산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29가 되므로, 정답은 "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지털 IC의 정상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게이트 출력부에 연결할 수 있는 표준 부하의 숫자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팬 아웃
  2. 틸트
  3. 잡음 허용치
  4. 전달지연 시간
(정답률: 58%)
  • 팬 아웃은 디지털 IC의 출력부에 연결할 수 있는 표준 부하의 숫자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전류의 한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팬 아웃이 높을수록 출력부에서 더 많은 부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의 궤환회로에서 D=1+βGm는? (여기서 Gm은 회로에서 궤환이 없을 때 전달 컨덕턴스 이다.)

(정답률: 50%)
  • 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 = Vout/Vin = -gm(RD || ro)/(1+gm(RD || ro))

    여기서 RD || ro는 RD와 ro의 병렬 연결이다.

    RD || ro = RDro/(RD+ro)

    따라서,

    D = -gmRDro/(1+gm(RD+ro))

    D = 1+βGm (β = -gmRD, Gm = 1/(ro+(1/gm)))

    따라서, D는 1+βGm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급 전력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트랜지스터는 입력 교류신호의 짧은 기간 동안만 도통되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차단상태에 있게 된다.
  2. 베이스-에미터 전압으로 크로스오버(Crossover) 왜곡이 나타난다.
  3. 출력파형이 심하게 왜곡되므로 고조파 동조 증폭기에 응용된다.
  4. A급이나 푸쉬풀 B급 전력증폭기보다 전력효율이 더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C급 전력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에 대한 답은 "A급이나 푸쉬풀 B급 전력증폭기보다 전력효율이 더 높다." 이다. C급 전력증폭기는 베이스-에미터 전압으로 크로스오버(Crossover) 왜곡이 나타나기 때문에 출력파형이 심하게 왜곡되지만, 이러한 왜곡을 이용하여 고조파 동조 증폭기에 응용될 수 있다. 베이스-에미터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트랜지스터가 도통되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데, 이 때 크로스오버 왜곡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입력되는 신호 파형에서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강조하거나 구형파에서 spike 파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적분 회로
  2. 미분 회로
  3. 클램핑 회로
  4. 리미터 회로
(정답률: 42%)
  • 미분 회로는 입력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여 출력 신호로 강조하는 회로이다. 이를 통해 spike 파를 얻거나, 입력 신호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미분 회로는 입력 신호를 RC 회로를 통해 미분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발진기에서 구현할 수 있는 파가 아닌 것은?

  1. 사인파(sine wave)
  2. 구형파(rectangular wave)
  3. 충격파(impulse wave)
  4. 삼각파(triangle wave)
(정답률: 74%)
  • 발진기는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므로, 파는 주기적인 진동을 나타내는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와 같은 주기적인 파만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충격파는 주기적이지 않으며,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파입니다. 따라서 발진기에서는 충격파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반파정류기의 직류출력 전압이 20[V]일 때 맥동전압의 rms 값은?

  1. 24.2[V]
  2. 20.0[V]
  3. 9.6[V]
  4. 7.7[V]
(정답률: 28%)
  • 반파정류기는 입력 신호의 절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맥동이 발생합니다. 맥동은 직류 출력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반파정류기의 경우 최대값은 입력 신호의 최대값인 20[V]이고 최소값은 0[V]입니다. 따라서 맥동전압의 rms 값은 (20-0)/2 = 10[V]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직류 출력 전압의 효과적인 값이 아니므로, 이 값을 다시 2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맥동전압의 rms 값은 10/2 = 5[V]가 됩니다. 이 값을 직류 출력 전압인 20[V]에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24.2[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너 다이오드에서 불순물의 도핑 레벨을 높게 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역방향 제너전압이 감소한다.
  2. 매우 좁은 공핍층이 형성된다.
  3. 강한 전계가 공핍층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4. 역방향 제너저항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역방향 제너저항이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불순물의 도핑 레벨을 높이면 공핍층의 너비가 좁아지고, 이로 인해 역방향 제너전압이 감소합니다. 이는 역방향 제너저항이 감소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불순물의 도핑 레벨을 높이면 매우 좁은 공핍층이 형성되고, 강한 전계가 공핍층 내부에 존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과 같은 논리 함수를 구현할 때, 최소의 게이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시킨 것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원공급기를 처음 켰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서지전류에 의한 다이오드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들 각 다이오드와 직렬로 낮은 값의 저항을 연결한다.
  2. 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곳이면 병렬로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연결한다.
  3.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들 각 다이오드와 직렬로 낮은 값의 커패시터를 연결한다.
  4. 변압기의 1차측에 퓨즈를 직렬로 연결한다.
(정답률: 67%)
  • 전원공급기를 처음 켰을 때 발생하는 서지전류는 갑작스런 전압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다이오드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들 각 다이오드와 직렬로 낮은 값의 저항을 연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다이오드들 간에 전압을 분산시켜주고, 저항을 통해 서지전류를 흡수하여 다이오드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은 윈 브리지 발진기의 블록도이다. 발진하기 위한 저항 R2의 값은?

  1. 5[kΩ]
  2. 10[kΩ]
  3. 20[kΩ]
  4. 30[kΩ]
(정답률: 75%)
  • 윈 브리지 발진기는 양수 피드백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진 조건은 양수 피드백 회로에서 전압 이득이 1이 되는 경우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 = -R1/R2 = 1이 된다. 따라서 R1 = R2 이므로, R2의 값은 5[kΩ]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의 회로를 트랜지스터의 근사 소신호 등가회로로 해석했을 때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여기서 Ri는 RS를 포함한 입력저항이다.)

  1. 전류이득은 (1+hfe)Re 이다.
  2. 입력저항은 RS+hie+(1+hfe)Re 이다.
  3. 전압이득은 이다.
  4. 공통 에미터 증폭회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저항은 RS+hie+(1+hfe)Re 이다. 이유는 입력신호가 RS를 통해 hie를 거쳐 베이스로 들어가고, 이를 통해 증폭된 신호가 Re를 거쳐 컬렉터로 나가기 때문이다.
    전압이득은 이다. 이유는 베이스-에미터 전압이 hie에 의해 증폭되어 베이스-컬렉터 전압이 (1+hfe)hie로 증폭되기 때문이다.
    전류이득은 (1+hfe)Re 이다. 이유는 컬렉터 전류가 hfe만큼 증폭되어 Re를 통해 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틀린 설명은 없다.
    그림의 회로는 공통 에미터 증폭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NTSC 방송 방식 휘도신호 Y는 0.3R과 0.59G 그리고 얼마의 B가 필요한가?

  1. 0.11
  2. 0.22
  3. 0.33
  4. 0.44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방식에서는 Y 신호에 R과 G 신호가 각각 0.3과 0.59의 가중치를 가지고 합쳐진다. 따라서 B 신호의 가중치는 Y 신호의 가중치의 합이 1이 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0.3R + 0.59G + B = Y

    B = Y - 0.3R - 0.59G

    Y의 가중치의 합은 0.3 + 0.59 = 0.89이므로, B의 가중치는 1 - 0.89 = 0.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TV 동기신호 발생기의 신호 종류가 아닌 것은?

  1. 수평 구동신호
  2. 수직 구동신호
  3. 휘도 구동신호
  4. 부반송파 신호
(정답률: 85%)
  • TV 동기신호 발생기의 신호 종류 중 "휘도 구동신호"는 없습니다. 이는 광도(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신호로, TV 동기신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CATV 구성 부분 중 Head-End계에서 송출된 신호를 가입자 단말기기까지 전송해주는 통로로서 트렁크라인, 분배기 등으로 구성된 계통은?

  1. Head-End 계
  2. 전송로계
  3. 단말계
  4. 방송국 운영체제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로계는 Head-End 계에서 송출된 신호를 가입자 단말기기까지 전송해주는 통로로서 트렁크라인, 분배기 등으로 구성된 계통입니다. 이는 Head-End 계에서 생성된 신호를 가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분배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전송로계는 CATV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안정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철저한 관리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단파(VHF)의 주요 용도가 아닌 것은?

  1. 선박, 항공기 통신
  2. TV 방송
  3. FM 라디오 방송
  4. 육상 이동 통신
(정답률: 알수없음)
  • 초단파(VHF)는 고주파 대역으로 주로 짧은 거리의 통신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선박, 항공기 통신은 장거리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중단파(MF)나 단파(HF) 대역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TV 방송, FM 라디오 방송, 육상 이동 통신은 모두 짧은 거리의 통신에 적합한 초단파(VHF)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지털 영상신호 중 HDTV 스튜디오 규격으로 색차 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무엇인가?

  1. 6.75[MHz]
  2. 13.5[MHz]
  3. 37.125[MHz]
  4. 74.25[MHz]
(정답률: 알수없음)
  • HDTV 스튜디오 규격에서 색차 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74.25[MHz]의 1/2인 37.125[MHz]이다. 이는 색차 신호가 YUV 색공간에서 4:2:2 샘플링 방식으로 표본화되기 때문이다. YUV 색공간에서 색차 신호는 밝기 신호(Y)에 비해 더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가지므로, 더 높은 표본화 주파수가 필요하다. 4:2:2 샘플링 방식은 색차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만 반으로 줄이기 때문에, 수평 방향의 표본화 주파수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HDTV 스튜디오 규격에서 색차 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37.125[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TV 동기 신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평동기 신호와 수직동기 신호가 있다.
  2. 수평동기 신호 주파수는 15.75[kHz]이다.
  3. 수평동기 신호는 각 수평 주사 라인의 수평귀선 소거 기간 내에 삽입된다.
  4. 수직동기 신호는 수직귀선 소거기간(VBI)에 삽입되며 1H 간격 펄스로 3H 기간동안 지속된다.
(정답률: 80%)
  • 틀린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맞다.

    수직동기 신호는 수직귀선 소거기간(VBI)에 삽입되며 1H 간격 펄스로 3H 기간동안 지속된다. 이는 TV 수신기에서 수직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로 사용된다. 수평동기 신호는 각 수평 주사 라인의 수평귀선 소거 기간 내에 삽입되며, 수평동기 신호 주파수는 15.75[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FM 방송 송ㆍ수신기 구성 요소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

  1. FM 방송 송신기 - 프리엠퍼시스 회로 - HPF - 미분기
  2. FM 방송 송신기 - 디엠퍼시스 회로 - LPF - 적분기
  3. FM 방송 송신기 - 주파수체배기 - C급 증폭기
  4. FM 방송 송신기 - FM 변조기 - 평형변조기
(정답률: 42%)
  • "FM 방송 송신기 - FM 변조기 - 평형변조기"가 잘못된 것이다. 평형변조기는 AM 방식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FM 방식에서는 선형 변조기가 사용된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 요소는 "FM 방송 송신기 - FM 변조기 - 선형 변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TV 방송프로그램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EPG
  2. CAS
  3. PPV
  4. NVOD
(정답률: 알수없음)
  • EPG는 Electronic Program Guide의 약자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의미합니다. TV 방송프로그램의 일정과 정보를 제공하며,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아 시청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TV 방송프로그램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디지털 위성수신기에 사용되는 방식은 유럽의 DVB 방식으로서 디지털 변조는 QPSK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QPSK 방식의 이론적 대역폭 효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1[bit/s/Hz]
  2. 2[bit/s/Hz]
  3. 3[bit/s/Hz]
  4. 4[bit/s/Hz]
(정답률: 알수없음)
  • QPSK 방식의 이론적 대역폭 효율은 2[bit/s/Hz]이다. 이는 QPSK 방식이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1개의 심볼당 2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우리나라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중 HDTV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사선수가 525라인에서 1125라인으로 늘어났다.
  2. 화면의 비율이 4:3에서 16:9로 가로로 넓어졌다.
  3. 대역폭이 6[MHz]에서 8[MHz]로 넓어졌다.
  4. 5.1채널의 고품질 음향이 제공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HDTV의 특징 중 대역폭이 6[MHz]에서 8[MHz]로 넓어졌다는 것은, 이전의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6MHz의 대역폭으로 전송되었던 신호가,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면서 8MHz의 대역폭으로 전송되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더욱 고화질의 영상과 음향을 전송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더욱 선명하고 생생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SD급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후도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1. 2.25[MHz]
  2. 5[MHz]
  3. 6.75[MHz]
  4. 13.5[MHz]
(정답률: 75%)
  • SD급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후도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13.5[MHz]이다. 이는 SD급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표준 샘플링 주파수이며, 이 주파수로 샘플링된 후도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이 주파수는 높은 해상도와 좋은 화질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현장의 중계차와 연주소간을 연결하는 회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위성회선
  2. FPU
  3. STL
  4. M/W
(정답률: 67%)
  • 현장의 중계차와 연주소간을 연결하는 회선을 FPU(Fiber Patch Unit)라고 한다. FPU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로,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외부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FPU는 오디오 신호의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프레임 주파수가 30[Hz]인 NTSC TV 방식에서 수평주파수는?

  1. 15,750[Hz]
  2. 12,250[Hz]
  3. 725[Hz]
  4. 525[Hz]
(정답률: 93%)
  • NTSC TV 방식에서는 수평 주기가 1/15750초이며, 이는 수평 주파수가 15750Hz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750[Hz]"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NTSC TV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M 방송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변조파의 대역폭이 좁다.
  2. 피변조파 전력이 적다.
  3. 변복조 회로가 비교적 간단하다.
  4. 전송로의 진폭 잡음에 강하다.
(정답률: 82%)
  • "전송로의 진폭 잡음에 강하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AM 방송이 진폭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로의 진폭 잡음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M 방송은 진폭 잡음에 취약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웨이브폼 모니터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색도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이다.
  2.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브라운관에 벡터도로 표시한다.
  3. 각종 신호의 주파수성분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4. TV 신호와 파형을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이다.
(정답률: 40%)
  • TV 신호와 파형을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이다. - 웨이브폼 모니터는 주로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의 파형을 측정하고 모니터에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TV 신호의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손실을 작게하기 위하여 저주파수로 변환하는 장치는?

  1. LNB
  2. LNA
  3. BPF
  4. OSC
(정답률: 70%)
  • LNB는 Low Noise Block의 약자로, 위성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저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잡파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저잡파 증폭기(LNA)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LNB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시스템에서 손실을 작게하기 위해 저주파수로 변환하는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아날로그 TV 방송을 하는 방송국에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장비가 아닌 것은?

  1. TV 신호 발생기
  2. 파형 분석기
  3. 벡터스코프
  4. 비트에러 측정기
(정답률: 80%)
  • 비트에러 측정기는 디지털 신호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측정하는 장비이므로 아날로그 TV 방송을 하는 방송국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트에러 측정기"입니다. 필수적인 장비로는 TV 신호 발생기, 파형 분석기, 벡터스코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위성방송에서 Ku-Band에서의 주파수가 맞는 것은?

  1. Up-Link: 12[GHz], Down-Link: 14[GHz]
  2. Up-Link: 15[GHz], Down-Link: 12[GHz]
  3. Up-Link: 14[GHz], Down-Link: 12[GHz]
  4. Up-Link: 12[GHz], Down-Link: 15[GHz]
(정답률: 77%)
  • 위성방송에서는 지상국에서 위성으로 전송하는 Up-Link와 위성에서 지상국으로 전송하는 Down-Link가 있습니다. Ku-Band에서의 Up-Link 주파수는 14GHz이며, Down-Link 주파수는 12GHz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Up-Link: 14[GHz], Down-Link: 12[G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영상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고자 한다. 필요한 계측기는?

  1. 대역통과 필터
  2. 주파수 카운터
  3. 오실로스코프
  4. 스펙트럼 아날라이져
(정답률: 82%)
  • 스펙트럼 아날라이져는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계측기입니다. 이는 입력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대역폭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역통과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폭을 통과시키는데 사용되며, 주파수 카운터는 주파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시간 영역에서 신호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며, 주파수 대역폭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스펙트럼 아날라이져가 주파수 대역폭 측정에 가장 적합한 계측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벡터스코프에서 컬러버스트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20도 이동하면 무슨 색상이 되는가?

  1. 적색
  2. 마젠타
  3. 청색
  4. 시안
(정답률: 82%)
  • 벡터스코프에서 컬러버스트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20도 이동하면 "마젠타" 색상이 된다. 이는 RGB 색공간에서 빨강과 파랑의 비율이 같은 색상으로, 컬러버스트에서는 빨강과 파랑의 신호가 동시에 최대치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120도 이동하면 빨강과 파랑의 비율이 같아져서 마젠타 색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다음 중 집적 회로에 의해서 구성된 촬상 소자는?

  1. 플럼비콘
  2. CCD
  3. 세티콘
  4. 아이코너 스코프
(정답률: 80%)
  • 정답은 "CCD"입니다.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집적 회로에 의해 구성된 촬상 소자입니다. CCD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캡처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촬상 소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ATV 방송망에서 비디오, 데이터 및 음성 등과 같은 광대역 콘텐츠를 운송하기 위해 네트웍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은?

  1. LAN
  2. HFC
  3. FTTH
  4. WLL
(정답률: 알수없음)
  • HFC는 Hybrid Fiber Coaxial의 약자로,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방식은 CATV 방송망에서 광대역 콘텐츠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광섬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동축케이블로 TV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HF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통계적인 부호화 방법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데이터 코드일수록 적은 수의 비트로 표현하여 전체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방식은?

  1. Run Length 부호화
  2. Huffman 부호화
  3. Trellis 부호화
  4. Lempel-Ziv 부호화
(정답률: 알수없음)
  • Huffman 부호화는 데이터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자나 기호를 적은 비트로 표현하고, 드물게 나타나는 문자나 기호는 더 많은 비트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빈번히 발생하는 데이터 코드일수록 적은 수의 비트로 표현하여 전체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영상압축의 주요 적용 기술 중 화면과 화면 사이의 움직임도 장면전환을 제외하면 같은 장면에서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아 많은 상관성이 존재한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가변 부호화
  2. 양자화성
  3. 시간적 중복성
  4. 공간적 중복성
(정답률: 80%)
  • 시간적 중복성은 영상에서 연속된 프레임들 사이에 많은 유사성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 프레임에서 다음 프레임으로 넘어갈 때 대부분의 화소들이 이동하거나 변화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면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어서 영상 압축 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영문 코드를 표현하는 ASCII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 코드의 수는?

  1. 32
  2. 64
  3. 128
  4. 256
(정답률: 90%)
  • ASCII 코드는 7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2의 7승인 128개의 서로 다른 코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SCII 방식으로 표현 가능한 코드의 수는 12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송방식에서 한쪽에서 송신할 때는 상대방은 수신만 해야 하고, 한쪽에서 수신 상태로 해야 상대쪽에서 송신할 수 있는 방식은?

  1. Simplex
  2. Full Duplex
  3. Half Duplex
  4. Multiplex
(정답률: 85%)
  • Half Duplex 방식은 양쪽 모두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할 수 없으며, 한쪽에서 송신할 때는 상대방은 수신만 가능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한쪽에서 수신 상태로 있어야 상대방이 송신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입니다. Simplex 방식은 단방향 통신으로 송신과 수신이 각각 따로 이루어지며, Full Duplex 방식은 양방향 통신으로 양쪽 모두 동시에 송신과 수신이 가능합니다. Multiplex 방식은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우리나라 DTV 전송표준의 오디오 압축 방식과 샘플링 주파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MPEG-2 AAC, 44.1[kHz]
  2. AC-3, 44.1[kHz]
  3. MPEG-2 AAC, 48[kHz]
  4. AC-3, 48[kHz]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DTV 전송표준에서는 오디오 압축 방식으로 AC-3을 사용하고, 샘플링 주파수로는 48[kHz]를 사용한다. 이는 우리나라 DTV 방송 시스템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선택이다. MPEG-2 AAC는 오디오 압축 방식 중 하나이지만, 우리나라 DTV 전송표준에서는 AC-3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44.1[kHz]는 CD 표준 샘플링 주파수이지만, 우리나라 DTV 전송표준에서는 48[kHz]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AC-3, 48[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방송ㆍ통신망으로 사용되는 광케이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자기적 잡음의 영향이 적다.
  2. 임피던스는 75[Ω]을 사용한다.
  3. 네트워크의 보안성이 크다.
  4. 전송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82%)
  • 네트워크의 보안성이 크다는 것은 광케이블의 특징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있다.

    임피던스는 75[Ω]을 사용하는 이유는 광케이블의 전기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지만,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신호도 함께 전송되어야 한다. 이때, 광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광케이블은 일반적으로 75[Ω]의 임피던스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영상 압축 기법 중 화상의 픽셀 정보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기법으로 적절한 것은?

  1. subsampling
  2. DCT
  3. delta frame
  4. motion estim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DCT

    DCT는 화상의 픽셀 정보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기법으로, 이를 이용해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옵션인 subsampling은 화질을 저하시키는 방식으로 압축을 수행하며, delta frame과 motion estimation은 이미지 간의 차이를 이용해 압축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휴대전화단말기에서 글자 위주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사진, 소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만들어 보내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1. MMS
  2. SMS
  3. RTF
  4. EMS
(정답률: 82%)
  • MMS는 "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약자로, 글자뿐만 아니라 사진, 소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만들어 보내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SMS는 단순한 글자 메시지 서비스이고, RTF는 "Rich Text Format"의 약자로, 글자에 서식을 추가할 수 있는 문서 형식이며, EMS는 "Enhanced Messaging Service"의 약자로, SMS에 이모티콘, 그림 등의 간단한 그래픽 요소를 추가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리의 세기를 표시하는 단위로 데시벨(decibel, dB)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다음 중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로서 최소 가청값은 몇 [dB] 인가?

  1. 0[dB]
  2. 3[dB]
  3. 10[dB]
  4. 74[dB]
(정답률: 59%)
  • 정답은 "0[dB]"이다.

    데시벨은 소리의 크기를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는 단위이다. 따라서 0[dB]는 소리가 없음을 의미한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최소한의 소리는 0[dB]이며, 이를 청각 임계값이라고 한다.

    즉, 0[dB]는 소리가 없는 상태이므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로서 최소 가청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터넷에서 영상이나 음성 등의 파일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기법은?

  1. pushing
  2. caching
  3. logging
  4. streaming
(정답률: 75%)
  • 정답은 "streaming"입니다. 이유는 이 기법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파일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서 전송하고, 이를 동시에 재생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일 전체를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바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우리나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데이터방송 표준규격은?

  1. DVB-MHP(Multimedia Home Platform)
  2.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3.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4. MHW(Media High Way)
(정답률: 알수없음)
  • OCAP은 미국 케이블 산업에서 개발된 표준규격으로, 다양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OCAP은 개방성과 상호운용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데이터방송 표준규격으로 OCAP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우리나라 NTSC TV 방식에 사용되는 음성다중 방식은?

  1. 2캐리어 방식
  2. 칸 방식
  3. 마그나복스 방식
  4. 벨러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TV 방식에서 사용되는 음성다중 방식은 "2캐리어 방식"입니다. 이는 음성 신호를 두 개의 캐리어 주파수에 나누어 실어 보내는 방식으로, 하나는 왼쪽 채널, 다른 하나는 오른쪽 채널을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이며, 음질 손실이 적어 인기 있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통신위성(Communication Satellite)이 사용하는 주파수 범위는?

  1. 30-300[MHz]
  2. 3-30[GHz]
  3. 3-30[MHz]
  4. 30-300[MHz]
(정답률: 55%)
  • 통신위성은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높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는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신위성이 사용하는 주파수 범위는 3-30GHz입니다. 다른 주파수 범위인 30-300MHz나 3-30MHz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통신위성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사건 현장에서 방송사로 실황을 중계하려 한다. 다음 중 가장 현장감이 있고 빠른 중계 방식은?

  1. 마이크로웨이브나 SNG를 사용한 직접 중계방식
  2. 중계차 녹화 중계방식
  3. ENG 카메라 녹화 중계방식
  4. STIL 사진 중계방식
(정답률: 70%)
  • 마이크로웨이브나 SNG를 사용한 직접 중계방식은 이동식 위성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중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며, 현장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건 현장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중계를 해야 할 때 가장 적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PTV에 사용되는 동영상 압축기술은 매크로 블록 예측방법이 평탄한 영상에서는 16×16의 큰 단위 매크로 블록 예측부호화로 처리하나 복잡한 영상에서는 ( )로 처리한다. ( )안에 맞는 것은?

  1. 8×16
  2. 8×8
  3. 4×8
  4. 4×4
(정답률: 알수없음)
  • 복잡한 영상에서는 4×4의 작은 단위 매크로 블록 예측부호화로 처리한다. 이는 복잡한 영상에서 더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면 더 세밀한 예측이 가능해지며, 이는 화질을 더욱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2차원의 화상을 1차원의 전기적인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2차원 화상을 1차원적인 화상으로 재배열하는 것은?

  1. 변조
  2. 주사
  3. 복조
  4. 편이
(정답률: 67%)
  • 주사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2차원의 화상을 1차원의 전기적인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2차원 화상을 1차원적인 화상으로 재배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지털 CATV 운영업체와 개인 또는 회사의 컴퓨터나 TV 셋탑(Set-Top)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하는 장치인 케이블 모뎀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용어는?

  1. PSIP
  2. EPG
  3. SCSI
  4. DOCSIS
(정답률: 알수없음)
  • DOCSIS는 CableLabs에서 개발한 케이블 모뎀과 CATV 운영업체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PSIP는 디지털 TV 방송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EPG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SCSI는 컴퓨터와 주변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ATV 방송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서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이나 위성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채널 등을 변환하여 동축케이블 또는 광케이블로 송출하거나 CATV 방송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공급업자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을 케이블로 송출하는 설비는?

  1. 분배망
  2. 헤드엔드
  3. 서비스 전송로
  4. 가입자 단말장치
(정답률: 70%)
  • 헤드엔드는 CATV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나 위성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채널 등을 변환하여 케이블로 송출하는 중요한 설비입니다. 이는 CATV 방송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공급업자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을 케이블로 송출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헤드엔드는 CATV 방송 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공사의 사용전 검사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사가 아닌 것은?

  1. 구내통신 선로공사
  2. 이동통신 구내선로공사
  3. 종합유선방송 전송선로공사
  4. 무선가입자 망설비공사
(정답률: 80%)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사는 "무선가입자 망설비공사"가 아닙니다. 이유는 무선가입자 망설비공사는 이미 대통령령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선가입자 망설비공사"가 아닌 나머지 보기인 "구내통신 선로공사", "이동통신 구내선로공사", "종합유선방송 전송선로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프트웨어의 SDLC(소프트웨어 개발생명주기)로 맞는 것은?

  1. 요구분석 - 구현 - 설계 - 테스트 - 유지보수
  2. 유지보수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요구분석
  3. 요구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4. 테스트 - 설계 - 구현 - 요구분석 - 유지보수
(정답률: 알수없음)
  • SDLC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을 일련의 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요구분석입니다. 요구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요구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가 올바른 SDLC의 단계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하고 있는 스펙트럼 규제가 아닌 것은?

  1. 할당(allocation)
  2. 분배(allotment)
  3. 배정(assignment)
  4. 간섭(interference)
(정답률: 알수없음)
  • 간섭은 스펙트럼 규제의 일부가 아니라 스펙트럼 관리의 결과물입니다. 스펙트럼 할당, 분배 및 배정은 스펙트럼 사용을 조정하고 조정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규제입니다. 그러나 간섭은 스펙트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신호와 충돌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따라서 간섭은 스펙트럼 규제가 아니라 스펙트럼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국내 방송의 허가 및 기술규격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은?

  1. 문화체육관광부
  2. 교육과학기술부
  3. 지식경제부
  4. 방송통신위원회
(정답률: 90%)
  • 방송통신위원회는 국내 방송의 허가 및 기술규격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다른 보기인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는 각각 문화, 교육, 경제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며, 방송통신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업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방송법에서 정하는 업무정지 기간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2개월
  2. 3개월
  3. 6개월
  4. 9개월
(정답률: 67%)
  • 방송법에서는 업무정지 기간을 2개월, 3개월, 6개월로 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9개월은 방송법에서 정하는 업무정지 기간으로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필요한 하드웨어 레지스터를 설정함으로써 프로세서에게 CPU를 할당하고 문맥교환을 하는 프로세서의 기능은?

  1. 트래픽 제어기(Traffic Controller)
  2. 입출력 스케줄러(I/O Scheduler)
  3. 프로세서 스케줄러(Processor Scheduler)
  4. 디스패처(Dispatcher)
(정답률: 37%)
  • 디스패처는 필요한 하드웨어 레지스터를 설정하여 프로세서에게 CPU를 할당하고, 문맥교환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해당 프로세스의 문맥을 저장하고 복원하여 실행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디스패처는 CPU 스케줄링과 문맥교환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정보통신 공사업법의 방송설비공사에서 방송국설비공사가 아닌 것은?

  1. 영상ㆍ음향설비
  2. 송출설비
  3. 송수신설비
  4. 방송관리시스템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 공사업법에서 방송설비공사는 방송국설비공사와 구분되어 있으며, 방송국설비공사는 방송국 내부의 설비를 담당하는 반면, 방송설비공사는 방송국 외부에서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설비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송수신설비"는 방송국 외부에서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설비이므로, 방송설비공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0진수 23을 2진수로 변환하라?

  1. 11101
  2. 10111
  3. 10101
  4. 11011
(정답률: 알수없음)
  • 23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3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11입니다.
    2. 11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5입니다.
    3. 5를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2입니다.
    4. 2를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0, 몫은 1입니다.
    5. 1을 2로 나눕니다. 나머지는 1, 몫은 0입니다.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적어주면 23의 2진수는 "10111"입니다.

    이 중에서 정답은 "10111"입니다. 이유는 위에서 계산한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적어주는 방식에서 가장 마지막에 계산한 나머지가 가장 왼쪽 자리수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3을 2진수로 변환할 때 가장 마지막에 계산한 나머지가 1이므로, 정답은 "1011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는 여러 가지 부속 시스템들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와 프로세서, 또 프로세서와 입출력장치들이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주기억 장치
  2. 입출력 버스
  3. 제어기
  4. 보조기억 장치
(정답률: 70%)
  •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연결되는 부속 시스템들 중에서도 입출력장치들은 다른 시스템들과의 연결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입출력 버스가 사용된다. 입출력 버스는 입출력장치들과 다른 시스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버스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필요한 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연결되는 부속 시스템들 중에서도 입출력장치들과의 연결을 담당하는 것이 입출력 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병렬처리 시스템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병렬처리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이 여러 개의 프로그램들 또는 한 프로그램의 분할된 부분들을 분담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이다.
  2. 컴퓨터 시스템의 계산속도 향상이 목적이다.
  3. 시스템의 비용 증가가 없고 별도로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는다.
  4. 분할된 부분들을 병렬로 처리한 결과가 전체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75%)
  • 시스템의 비용 증가가 없고 별도로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병렬처리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네트워크 등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며, 이는 시스템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Unix에서 두 프로세스를 연결하여 프로세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한 프로세스의 출력이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사용됨으로써 프로세스간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1. 파이프(Pipe)
  2. 시그널(Signal)
  3. 포크(Fork)
  4. 선점(Preemption)
(정답률: 93%)
  • 파이프는 두 프로세스를 연결하여 한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전달함으로써 프로세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파이프를 사용하면 프로세스 간 정보 교환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PU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Output Unit
  2. Register
  3. ALU(Arithmetic Logic Unit)
  4. Control Unit
(정답률: 59%)
  • CPU의 3요소는 Register, ALU, Control Unit이다. Output Unit은 CPU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출력 장치와 관련이 있다. CPU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중앙 처리 장치이며, 출력 장치는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Output Unit은 CPU의 3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방송사업자의 재허가, 재승인시 심사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평가
  2. 지역사회발전에 이바지한 정도
  3. 시청자위원회의 방송프로그램 평가
  4. 방송중지명령에 대한 이행 사례
(정답률: 19%)
  • 방송사업자의 재허가, 재승인시 심사사항은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평가, 지역사회발전에 이바지한 정도, 시청자위원회의 방송프로그램 평가이다. 이는 방송사업자가 방송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에 심사 대상이 된다. 반면, 방송중지명령에 대한 이행 사례는 이미 발생한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이기 때문에 재허가, 재승인시 심사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송중지명령에 대한 이행 사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신호처리기에서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가 알맞은 것은?

  1. 입력 55[Ω], 출력 75[Ω]
  2. 입력 75[Ω], 출력 55[Ω]
  3. 입력 55[Ω], 출력 55[Ω]
  4. 입력 75[Ω], 출력 75[Ω]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신호는 75[Ω]의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가 모두 75[Ω]인 것이 알맞습니다. 이는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신호 전달을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 75[Ω], 출력 75[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수신안테나의 설치방법이다. ( )의 정답은?

  1. 1미터 이상
  2. 2미터 이상
  3. 3미터 이상
  4. 4미터 이상
(정답률: 50%)
  • 수신 안테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전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테나를 설치할 때는 다른 전자기기나 건물 등과 충분한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러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테나 설치 시 최소한 1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미터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수치 데이터의 표현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치 데이터를 표현할 때는 부호, 크기, 소수점 등으로 표시하는데 소수점은 고정소수점 표현방식과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이 있다.
  2. 고정소수점 방식에서 정수는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3. 소수점의 위치가 어느 한곳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고정소수점 방식이라 한다.
  4. 고정소수점 방식은 주로 정수로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정수표현은 2진수 고정소수점 방식과 10진수 고정소수점 방식의 2가지로 구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소수점 방식에서 정수는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고정소수점 방식에서는 정수와 소수부분이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는 가정은 부동소수점 방식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인터럽트 방식 중에 소프트웨어에 의해 주변장치들을 하나씩 조사하여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를 찾아내어 그 장치에 해당하는 인터럽트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무엇이하 하는가?

  1. priority encoder 방식
  2. Polling 방식
  3. daisy chain 방식
  4. encoder device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Polling 방식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주변장치들을 하나씩 조사하여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를 찾아내어 그 장치에 해당하는 인터럽트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Polling 방식이 정답이다. Priority encoder 방식은 인터럽트 요청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처리하는 방식이고, daisy chain 방식은 여러 개의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연결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Encoder device 방식은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인코더 장치를 통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마이크로프로세서 병렬 처리에서 단계로써 맞는 것은 무엇인가?

  1. Fetch - Execute - decode - Write
  2. Execute - decode - Fetch - Write
  3. Fetch - decode - Execute - Write
  4. Fetch - decode - Write - Execute
(정답률: 62%)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작업 순서는 Fetch(명령어를 가져오기) - decode(명령어 해석) - Execute(명령어 실행) - Write(결과 저장)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 순서는 명령어를 가져오고 해석한 후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것으로,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Fetch - decode - Execute - Write"가 올바른 단계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의 BCD 가산 456+111을 행하면?

  1. 0111 0110 0101
  2. 0001 0001 0111
  3. 0101 0111 0110
  4. 0101 0110 0111
(정답률: 60%)
  • BCD(Binary Coded Decimal)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456과 111을 BCD로 변환하면 각각 "0100 0101 0110"과 "0001 0001 0001"이 됩니다. 이 두 수를 더하면 "0101 0110 0111"이 됩니다. 이는 10진수로 변환하면 567이 되는데, 이는 456+111의 결과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01 0110 01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감리원의 업무범위에서 검토ㆍ확인 사항이 아닌것은?

  1.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검토ㆍ확인
  2.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검토ㆍ확인
  3. 공사업자가 작성한 시공상세도면의 검토ㆍ확인
  4. 사용자재의 규격 및 적합성에 관한검토ㆍ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감리원의 업무범위에서 검토ㆍ확인 사항이 아닌 것은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검토ㆍ확인"이다. 이는 사전에 계획된 공사의 진행과정을 검토하고 확인하는 것으로, 이미 결정된 사항이기 때문에 감리원의 역할과 범위를 벗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