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10)

방송통신산업기사
(2010-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그림과 같은 펄스 신호의 기본(반복) 주파수가 1[MHz]인 경우 충격계수(duty cycle)을 정한 경우 45[%]였다. 그림에서 τ의 값은 얼마인가?

  1. 1[μs]
  2. 0.55[μs]
  3. 0.45[μs]
  4. 0.65[μs]
(정답률: 100%)
  • 주어진 펄스 신호의 주기는 1/1[MHz] = 1[μs] 이다. 충격계수(duty cycle)가 45[%]이므로, 펄스 신호의 High 상태의 시간은 0.45[μs] 이다. 이때 τ는 High 상태의 시간이므로, τ = 0.45[μs] 이다. 따라서 정답은 "0.45[μ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궤환회로에서 무궤환시에 OP-AMP의 전압이득 2200, 입력저항은 2[MΩ], 출력저항이 40[Ω]일 때 궤환회로의 입력저항과 출력저항의 근사치는?

  1. 입력저항 400[MΩ], 출력저항 8[kΩ]
  2. 입력저항 400[MΩ], 출력저항 0.2[Ω]
  3. 입력저항 10[kΩ], 출력저항 8[kΩ]
  4. 입력저항 10[kΩ], 출력저항 0.2[Ω]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궤환회로는 OP-AMP의 전압이득이 크기 때문에 입력저항은 R1과 R2의 병렬저항인 1[MΩ]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저항은 대략 R1과 R2의 직렬저항인 2[MΩ]이다. 출력저항은 OP-AMP의 출력저항인 40[Ω]과 R3의 병렬저항인 대략 40[Ω]이므로 대략 0.2[Ω]이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저항 400[MΩ], 출력저항 0.2[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지는 논리식을 불대수를 적용하여 간략화한 것은?

  1. Z=D+EF
  2. Z=A+D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NPN bipolar 트랜지스터 증폭기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미터와 컬렉터 영역은 베이스 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대단히 낮게 도핑되어 있다.
  2. 베이스 영역은 에미터와 컬렉터 영역에 비해서 폭이 매우 얇다.
  3.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를 걸고 베이스-컬렉터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를 건다.
  4. 바이어스를 걸어주면 에미터 영역에 있는 자유전자가 베이스 영역으로 확산하여 베이스의 정공과 재결합하고 나머지는 컬렉터 단자의 강한 전계로 인해서 컬렉터 단자로 흘러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에미터와 컬렉터 영역은 베이스 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대단히 낮게 도핑되어 있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NPN bipolar 트랜지스터에서, 에미터와 컬렉터 영역은 n-type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고, 베이스 영역은 p-type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에미터와 컬렉터 영역은 베이스 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대단히 낮게 도핑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RC 평활회로에서 시정수 RC=1이고 5[V]의 구형펄스를 입력했을 때, 커패시턴스의 방전시 파형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RC 평활회로에서 입력 신호가 구형펄스일 때, 출력 신호는 RC 시간상수에 따라 지연되어 나타납니다. 이때 RC=1 이므로 시간상수는 1초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5[V]의 구형펄스일 때, 출력 신호는 5[V]에서 출발하여 1초 후에 약 0[V]까지 감소하는 지수함수적인 형태를 띄게 됩니다. 이러한 형태의 파형을 가진 것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은 A의 정현파 파형을 기준 레벨을 중심으로 B와 같은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로는 무엇인가?

  1. 다이오드 펌핑 회로
  2. 슈미트 트리거 회로
  3. 디지털 펄스 발생 회로
  4. 블록킹 발진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정현파 파형은 양극성이 계속 바뀌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기준 레벨을 중심으로 신호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만 1 또는 0의 값을 가지도록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회로가 슈미트 트리거 회로이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면 출력 신호가 전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입력 신호의 교차 지점에서만 출력 신호가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하여 A의 정현파 파형을 B와 같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회로 구성도로 동작하는 변복조 방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2-PSK
  2. QPSK
  3. 8-PSK
  4. OQPSK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 구성은 QPSK 변복조 방식으로 동작한다. QPSK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2개의 이진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회로에서는 I 채널과 Q 채널을 이용하여 2개의 이진 비트를 변조하고, 이를 병합하여 1개의 심볼을 생성한다. 따라서 QPSK가 정답이다. 2-PSK는 단일 위상 변조 방식, 8-PSK는 3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조하는 방식, OQPSK는 Offset QPSK로, QPSK와 유사하지만 위상 차이를 보정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 자리수의 2진수 A, B를 입력받아서 2개의 출력 를 얻어내는 회로는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감산기
  2. 반감산기
  3. 반가산기
  4. 전가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반가산기"이다.

    반가산기는 두 개의 1비트 숫자를 더하는 간단한 회로이다.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 A와 B를 받아서 합(Sum)과 자리올림(Carry) 출력을 생성한다.

    반가산기는 전가산기와 달리 자리올림 입력(Carry-in)이 없다. 따라서, 반가산기는 두 개의 1비트 숫자를 더할 때 자리올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반가산기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 A | B | Sum | Carry |
    |---|---|-----|-------|
    | 0 | 0 | 0 | 0 |
    | 0 | 1 | 1 | 0 |
    | 1 | 0 | 1 | 0 |
    | 1 | 1 | 0 | 1 |

    따라서, 입력 A와 B가 각각 1비트의 2진수이고, 출력이 합(Sum)과 자리올림(Carry)인 경우, 반가산기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불대수(Boolean Algebra) 정리에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여기서, *는 and, +는 or를 나타냄)

  1. A*1 = A
  2. A+1 = 1
  3. A+A*B = B
  4. A+0 = A
(정답률: 75%)
  • 정답은 "A+A*B = B"이다.

    이 식은 분배 법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A+A*B = A*(1+B) = A*1 = A

    하지만 이는 A+B와 같은 형태이므로, A+A*B는 항상 참(True)이다. 따라서 이 식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발진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정 진동자는 유도성으로 발진한다.
  2. Pierce-BC형 발진회로이다.
  3. 동조회로 LC의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보다 조금 높게 한다.
  4. 콜피츠 발진회로를 변형한 회로로 컬렉터와 베이스 사이에 수정진동자를 넣어 발진회로를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조회로 LC의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보다 조금 높게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동조회로 LC의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와 같거나 조금 낮게 설정됩니다. 이는 발진회로에서 발진신호가 LC 회로를 통과하면서 일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보다 조금 낮은 공진주파수를 설정하여 발진회로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발진기의 발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궤환회로가 있으며 정궤환으로 동작한다.
  2. 궤환회로에 의한 위상천이는 0도이다.
  3. 궤환회로를 포함한 폐루프 이득이 1이다.
  4. 초기 시동시에는 폐루프 이득이 1보다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기는 궤환회로를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이 궤환회로는 정궤환으로 동작하며 위상천이 0도이다. 이 때, 초기 시동시에는 궤환회로가 충분한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여 폐루프 이득이 1보다 작아 발진이 어렵다. 따라서 "초기 시동시에는 폐루프 이득이 1보다 작다."가 틀린 발진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차동증폭 회로에서 1번 입력에 정현파 신호 VS1를 인가했을 때 출력 VO1과 VO2의 파형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1번 입력에 정현파 신호를 인가하면 2번 입력에는 반전된 정현파 신호가 인가됩니다. 이 때, 1번 입력과 2번 입력의 차이 전압이 증폭되어 출력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출력 파형은 1번 입력의 정현파 신호와 반전된 정현파 신호의 차이 전압이 증폭된 형태가 됩니다. 이에 따라,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R 플립플롭에서 S, R의 입력과 과거 출력 Q(t)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 Q(t+1)을 결정하는 식으로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S-R 플립플롭은 S와 R의 입력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 회로이다. S와 R이 모두 0일 때는 이전 출력 상태를 유지하고, S가 1이면 출력이 1이 되고 R이 1이면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S와 R의 입력과 이전 출력 상태 Q(t)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 Q(t+1)을 결정하는 식은 ""이다.

    이 식은 S가 1이면 Q(t+1)은 1이 되고, R이 1이면 Q(t+1)은 0이 된다. 만약 S와 R이 모두 0이면 Q(t+1)은 이전 출력 상태 Q(t)를 유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위상 선행회로와 위상 지연회로를 궤환 회로로 사용한 발진기는?

  1. 콜피츠 발진기
  2. 윈브리지 발진기(Wien Bridge Oscillator)
  3. 위상천이 발진기(Phase Shift Oscillator)
  4. 클랩 발진기
(정답률: 34%)
  • 윈브리지 발진기는 위상 선행회로와 위상 지연회로를 궤환 회로로 사용하여 발진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RC 회로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RC 회로의 저항과 커패시턴스 값이 서로 같을 때 최적의 발진 조건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윈브리지 발진기는 안정적인 발진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회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레이 부호 1100을 10진수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6
  2. 7
  3. 8
  4. 9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 부호 1100을 10진수로 바르게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첫 번째 비트인 1을 그대로 복사한다. (첫 번째 비트는 부호 비트이므로 변환하지 않는다.)
    2. 두 번째 비트인 1과 첫 번째 비트인 1을 XOR 연산한다. 1 XOR 1 = 0 이므로 결과는 0이 된다.
    3. 세 번째 비트인 0과 두 번째 비트인 1을 XOR 연산한다. 0 XOR 1 = 1 이므로 결과는 1이 된다.
    4. 네 번째 비트인 0과 세 번째 비트인 0을 XOR 연산한다. 0 XOR 0 = 0 이므로 결과는 0이 된다.

    따라서 그레이 부호 1100은 10진수로 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h-파라미터를 사용한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공통(CE) AC 등가회로에서 입력단 종속전원과 출력단 종속전원으로 맞는 것은? (여기서, b: Base, e: Emitter, c: Collector)

  1. hrevce, hfeib
  2. hievb, hfeib
  3. hrevce, hoevce
  4. hievb, hoevce
(정답률: 알수없음)
  • h-파라미터는 트랜지스터의 AC 등가회로에서 사용되는 매개변수로,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과 전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CE 구성에서 입력단 종속전원은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이고, 출력단 종속전원은 콜렉터-에미터 전압(VCE)입니다.

    따라서, hrevce는 출력단 종속전원에 해당하며, 콜렉터-에미터 전압(VCE)와 출력전류(IC)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hfeib는 입력단 종속전원에 해당하며, 베이스 전류(IB)와 출력전류(IC)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hrevce와 hfeib가 입력단과 출력단 종속전원에 각각 맞는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5개의 플립프롭으로 구성되는 Up-counter에서 modulus는 몇 개인가?

  1. 8
  2. 16
  3. 32
  4. 64
(정답률: 알수없음)
  • 5개의 플립프롭으로 구성된 Up-counter에서 각 플립프롭은 2진수 0 또는 1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총 2^5 = 32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modulus는 3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은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이다. 동작점에서 VCE 전압은? (단, 베이스에미터 전압 VBE = 0.7[V]이다.)

  1. 2.25[V]
  2. 6.35[V]
  3. 11.3[V]
  4. 12.0[V]
(정답률: 100%)
  •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에서 VCE 전압은 VCC - VCE = 12[V] - 2.65[V] = 9.35[V] 이다. 하지만 이전에 주어진 VBE 전압이 0.7[V]이므로,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0.7[V]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VCE 전압은 9.35[V] - 0.7[V] = 6.35[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3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e 다이오드와 Si 다이오드를 비교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진성재료로서 Ge이 Si보다 1[cm2 ]당 자유전자의 개수가 적다.
  2. Si 다이오드에 대한 정격전압은 약 1000[V]이고 Ge 다이오드에 대한 정격전압은 약 400[V]이다.
  3. Si 다이오드는 온도정격은 약 200[℃]이고, Ge 다이오드의 온도정격은 약 100[℃]이다.
  4. Si 다이오드의 문턱전압은 0.7[V]이고, Ge 다이오드인 경우는 0.3[V]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성재료로서 Ge이 Si보다 1[cm2 ]당 자유전자의 개수가 적다." 가 틀린 내용이다. 실제로는 Ge가 Si보다 1[cm2 ]당 자유전자의 개수가 많다. 이는 Ge의 원자 반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Ge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들이 더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아날로그 진폭 변조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SB-LC(DSB-TC)
  2. DSB-SC
  3. FM
  4. SSB
(정답률: 알수없음)
  •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이며, 아날로그 진폭 변조 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저궤도위성을 사용하는 이리듐, 글로벌스타와 같은 위성의 지구상 고도 범위로 적합한 것은?

  1. 300~1,500[km]
  2. 1,500~3,000[km]
  3. 3,000~5,000[km]
  4. 5,000~10,000[km]
(정답률: 알수없음)
  • 저궤도위성은 지구를 낮은 고도에서 돌아다니는 위성으로, 지구 중심으로부터 300~1,500km 정도의 고도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고도 범위는 이리듐, 글로벌스타와 같은 위성들이 지구 전역을 커버하면서도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입니다. 또한, 이러한 고도에서는 대기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위성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아날로그 NTSC TV 전송방식으로 옳은 것은?

  1. LSB
  2. SSB
  3. DSB
  4. VSB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NTSC TV 전송방식에서 사용되는 것은 VSB(Vestigial Sideband)이다. VSB는 주파수 대역폭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DSB(Double Sideband)와 유사하지만, 일부 주파수 대역폭을 남겨두어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LSB(Least Significant Bit)와 SSB(Single Sideband)는 음성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이고, NTSC TV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송중계 케이블의 신호전압 및 잡음전압이 각각 100[V]와 0.1[V]이다. 신호대잡음비는 몇 [dB] 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60[dB]
(정답률: 70%)
  •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는 신호전압과 잡음전압의 비율을 로그 스케일로 표현한 값이다.

    SNR = 20log10(신호전압/잡음전압)

    여기서 신호전압은 100[V], 잡음전압은 0.1[V]이므로,

    SNR = 20log10(100/0.1) = 20log10(1000) = 60[dB]

    따라서, 정답은 "6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하는 경우 사용하는 안테나는?

  1. 다이폴 안테나
  2. 루프 안테나
  3. 헤릴컬 안테나
  4. 무지향성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무지향성 안테나

    설명: 무지향성 안테나는 방향성이 없어서 주변의 모든 방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다이폴 안테나는 수직 방향으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데 적합하며, 루프 안테나는 주로 AM 라디오 수신에 사용됩니다. 헤릴컬 안테나는 방향성이 있어서 특정 방향에서 강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국내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송용 Up Link의 주파수 대역은?

  1. 14.5~14.8[GHz]
  2. 12.25~12.75[GHz]
  3. 11.7~12.0[GHz]
  4. 10.5~10.8[GHz]
(정답률: 알수없음)
  • 국내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송용 Up Link의 주파수 대역은 "14.5~14.8[GHz]"이다. 이는 Ka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이 대역은 대역폭이 넓어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지상과 위성 간의 통신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국내의 FM 송신 안테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88[MHz]~108[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2. 서비스 지역의 지형이나 대상에 따라 원편파나 직선편파를 사용한다.
  3. 소전력용으로는 야기 안테나를 사용한다.
  4. 주로 무지향성의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한다.
(정답률: 90%)
  • "주로 무지향성의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FM 송신 안테나는 주로 직선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며, 다이폴 안테나는 주로 AM 송신 안테나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진폭변조 회로에서 반송파 전력이 100[W]일 때 변조율이 60[%]일 경우 상측파대의 전력은 몇 [W] 인가?

  1. 6[W]
  2. 7[W]
  3. 8[W]
  4. 9[W]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율은 (상측파전력-반송파전력)/(상측파전력+반송파전력)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파전력을 x라고 하면,

    0.6 = (x-100)/(x+100)

    0.6(x+100) = x-100

    0.6x + 60 = x-100

    0.4x = 160

    x = 400

    따라서 상측파대의 전력은 400-100 = 300[W]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9[W]가 없으므로, 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비디오 조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플리커(flicker)가 있어야 한다.
  2. 밝기가 첪분하고 일정해야 한다.
  3. 색 표현성이 좋아야 한다.
  4. 수명이 길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리커(flicker)가 있어야 한다."는 비디오 조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플리커가 있으면 화면이 깜빡거리거나 번쩍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디오 조명은 플리커가 없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웨이브폼 모니터로 측정이 가능한 것은?

  1. 색도신호의 위상
  2. 색도신호의 지연왜곡
  3. 수평동기펄스
  4. TV 신호의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웨이브폼 모니터는 시간축과 전압축으로 구성된 그래프를 통해 신호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수평동기펄스는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는 펄스 신호로, 웨이브폼 모니터로 측정이 가능합니다. 색도신호의 위상과 지연왜곡, 그리고 TV 신호의 주파수는 모두 웨이브폼 모니터로 측정할 수 없는 다른 종류의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M 송신기에서 S/N 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신호의 고역 주파수 부분을 강조하는 것은?

  1. AFC
  2. Pre-emphasis
  3. De-emphasis
  4. Limiter
(정답률: 92%)
  • Pre-emphasis는 고역 주파수 부분을 강조하여 S/N 비를 개선하는 기술이다. 이는 FM 송신기에서 사용되며, 송신 전에 고역 주파수 부분을 강조하여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De-emphasis 기술을 사용하여 다시 원래의 주파수 특성으로 복원한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NTSC 방식에서 컬러 TV의 색부반송파 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1. 4.58[MHz]
  2. 3.58[MHz]
  3. 2.58[MHz]
  4. 1.58[MHz]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방식에서 컬러 TV의 색부반송파 주파수는 3.58MHz이다. 이는 색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부가적인 주파수이며, 이 주파수를 이용하여 색상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한다. 이 주파수는 NTSC 방식에서 고정된 값으로 사용되며, PAL 방식에서는 4.43MHz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디지털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FSK
  3. QAM
  4. AM
(정답률: 알수없음)
  • AM은 아날로그 변조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변조 방식이 아니다. 디지털 변조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며, AM은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물상 등을 다른 화상에 끼어 넣는 화면 합성기술과 가장 관련 깊은 것은?

  1. 크로마 키
  2. 이펙트 키
  3. 출력 키
  4. 새도우 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마 키는 특정 색상을 배경으로 사용하여 그 색상을 제거하고 다른 화상을 끼어 넣는 기술이다. 인물상 등을 다른 화상에 합성할 때, 인물을 촬영할 때 배경으로 특정 색상을 사용하고, 그 색상을 크로마 키로 설정하여 배경을 제거하고 다른 화상과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크로마 키는 인물상 등을 다른 화상에 끼어 넣는 화면 합성기술과 가장 관련이 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TV 색신호의 위상을 측정하는 장비는?

  1. 벡터스코프(vector scope)
  2. 웨이브폼 모니터(waveform monitor)
  3.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
  4. TV 신호 측정기(TV signal 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TV 색신호는 주파수와 위상이 중요한데, 벡터스코프는 주파수와 위상을 동시에 표시하여 색상의 정확도와 균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웨이브폼 모니터는 밝기 신호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스펙트럼 분석기는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TV 신호 측정기는 다양한 TV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색상의 위상을 측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ATV의 광섬유 케이블 중계 전송 방식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송방식은?

  1. 아날로그 광 전송방식
  2. 디지털 광 전송방식
  3. 파장분할 다중 방식
  4. LOW-CH 방식
(정답률: 73%)
  • CATV의 광섬유 케이블 중계 전송 방식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송방식은 "LOW-CH 방식"입니다. 이는 CATV에서 사용되는 전송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CATV에서는 주로 아날로그 광 전송방식, 디지털 광 전송방식, 파장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NTSC TV 방송시스템에서 영상신호의 크기는?

  1. 1[Vp-p]
  2. 2[Vp-p]
  3. 3[Vp-p]
  4. 4[Vp-p]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TV 방송시스템에서 영상신호의 크기는 "1[Vp-p]"이다. 이는 NTSC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색상 부호화 방식인 "YUV"에서 "Y" 채널의 크기가 1Vp-p이기 때문이다. "U"와 "V" 채널은 "Y" 채널의 크기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색상 정보를 담당하기 때문에 "Y" 채널의 크기를 기준으로 영상신호의 크기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TV NTSC 방송 신호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잘 설명한 것은?

  1.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모두 진폭변조를 한다.
  2.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모두 주파수변조를 한다.
  3. 영상신호는 주파수변조를 하고, 음성신호는 진폭변조를 한다.
  4. 영상신호는 진폭변조를 하고, 음성신호는 주파수변조를 한다.
(정답률: 90%)
  • TV NTSC 방송 신호에서 영상신호는 밝기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진폭변조를 하고, 음성신호는 소리의 높낮이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주파수변조를 한다. 따라서 "영상신호는 진폭변조를 하고, 음성신호는 주파수변조를 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현재 NTSC 텔레비전 방송 방식에서 사용하는 음성과 영상을 포함한 방송 주파수 대역폭은 몇 [MHz]인가?

  1. 3[MHz]
  2. 4[MHz]
  3. 5[MHz]
  4. 6[MHz]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텔레비전 방송 방식에서 사용하는 음성과 영상을 포함한 방송 주파수 대역폭은 6[MHz]이다. 이는 NTSC 방식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대역폭이 4.2[MHz]이고 음성 신호 대역폭이 0.3[MHz]이며, 이를 합한 값인 4.5[MHz]에 가드 밴드(Guard Band)를 추가한 0.75[MHz]를 더한 값이 6[MHz]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위성방송에서 송수신을 위한 지구국의 안테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루프 안테나
  2. 야기 안테나
  3. 카세그레인 아테나
  4. 롬빅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방송에서는 장거리 송수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신감도가 높은 안테나가 필요하다. 또한, 위성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안테나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카세그레인 아테나이다. 카세그레인 아테나는 수신감도가 높고, 안테나 크기 대비 수신면적이 크며, 방향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M 송신기의 출력이 10[W]인 경우 이것을 [dBm]으로 표시하면?

  1. 10[dBm]
  2. 30[dBm]
  3. 40[dBm]
  4. 50[dBm]
(정답률: 알수없음)
  • dBm은 전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1mW의 출력을 가진 신호를 0dBm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10W의 출력을 dBm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0W = 10,000mW
    10log(10,000mW/1mW) = 40dBm

    따라서 정답은 "40[dB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VOD 서비스 방식에서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서버에서 시청하기를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자가 사전에 자신의 셋톱박스에 저장 후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방식은?

  1. 스트리밍 방식
  2. 멀티캐스팅 방식
  3. 다운로드 플러그 방식
  4. 유니캐스팅 방식
(정답률: 70%)
  • 다운로드 플러그 방식은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사전에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셋톱박스에 저장한 후,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방식입니다. 이는 콘텐츠를 서버에서 스트리밍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 대역폭이나 서버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넷상의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뉴스나 증권정보와 같이 원하는 데이터를 일정한 주기나 특정한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의 컴퓨터로 자동으로 전달해주는 기술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1. 푸시(push) 기술
  2. 스트리밍(streaming) 기술
  3. 캐스팅(casting) 기술
  4. 서버(server)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푸시(push) 기술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버에서 자동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를 요청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MPEG은 영상신호 압축방식으로서 국제표준화되어 영상전송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다음 중 HDTV 방송이나 디지털지상파 TV, DVD 등에 적용되는 것은?

  1. MPEG 1
  2. MPEG 2
  3. MPEG 3
  4. MPEG 4
(정답률: 알수없음)
  • HDTV 방송이나 디지털지상파 TV, DVD 등에 적용되는 것은 MPEG 2이다. 이는 MPEG 2가 고화질 영상을 처리할 수 있고,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MPEG 1은 저화질 영상에 적합하며, MPEG 3은 개발 중단되었고 MPEG 4는 인터넷 등의 멀티미디어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HDTV 신호 즉, SMPTE-292M의 양자화 비트수가 10비트일 때, 총 전송 비트 레이트는 몇 [Mbps]인가?

  1. 1,185[Mbps]
  2. 1,285[Mbps]
  3. 1,385[Mbps]
  4. 1,485[Mbps]
(정답률: 알수없음)
  • SMPTE-292M은 1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으로, 10비트 양자화를 사용한다. 이 때, 비트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비트 레이트 = 샘플링 주파수 x 양자화 비트수 x 채널 수

    SMPTE-292M에서는 샘플링 주파수가 1.485Gbps이며, 양자화 비트수가 10비트이며, 채널 수는 1이다. 따라서,

    비트 레이트 = 1.485Gbps x 10 x 1 = 14.85Gbps

    하지만, 이는 1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이므로, 실제 전송 비트 레이트는 1.485G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85[M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미디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신문 - 인쇄미디어
  2. 전화 - 음향미디어
  3. TV - 멀티미디어
  4. Telegram - 영상미디어
(정답률: 알수없음)
  • Telegram은 텍스트 기반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므로 영상미디어가 아닌 텍스트 미디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Telegram - 영상미디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주로 협대역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것은?

  1. 화상전화
  2. 대형화 텔레비전
  3. 원격의료
  4. 가상 박물관
(정답률: 알수없음)
  • 화상전화는 실시간으로 얼굴을 보며 대화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대역폭이 크게 요구되며, 따라서 협대역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에 대형화 텔레비전, 원격의료, 가상 박물관 등은 비디오 스트리밍이나 이미지 전송 등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대역폭 요구가 상대적으로 낮아 광대역 통신망으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파수 범위 300[MHz]~3,000[MHz]인 전파의 주파수대의 약칭은?

  1. MF
  2. HF
  3. VHF
  4. UHF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HF"입니다. 이는 Ultra High Frequency의 약자로, 주파수 범위가 300[MHz]~3,000[MHz]인 전파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인 "MF"는 Medium Frequency, "HF"는 High Frequency, "VHF"는 Very High Frequency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주파수 범위가 각각 300[kHz]~3[MHz], 3[MHz]~30[MHz], 30[MHz]~300[MHz]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주파수 범위에 가장 적합한 약어는 "UH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뉴미디어 중에서 가장 고전적인 형태이다.
  2. 한 개의 미디어가 여러 개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뜻한다.
  3. 기존 미디어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분화하여 사용한다.
  4. 지금까지 개발된 기존 미디어를 복합사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지금까지 개발된 기존 미디어를 복합사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다. 이는 기존의 미디어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조합하여 인터랙티브한 교육 콘텐츠나 게임 등을 만들어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TV 영상신호의 분석에 사용되는 waveform monito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영상신호를 140단계(IRE)로 나누어 표시하는 측정기
  2. 영상신호의 색상정보를 볼 수 있는 측정기
  3. 영상신호의 휘도 채도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측정기
  4. 영상화면이 너무 밝은지 어두운지를 알 수 있는 측정기
(정답률: 알수없음)
  • Waveform monitor는 TV 영상신호의 휘도와 채도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측정기이며, 영상화면이 너무 밝은지 어두운지를 알 수 있는 측정기이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색상정보를 볼 수 있는 측정기는 waveform monitor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의 방송송출 및 중계시스템 중에서 위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M/W
  2. STL
  3. TSL
  4. SNG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 통신을 이용하여 방송 송출 및 중계를 하는 시스템은 SNG(Satellite News Gathering)입니다. M/W는 마이크로파 무선 통신, STL은 스튜디오 투 트랜스미터 라인, TSL은 트랜스미터 투 스튜디오 라인으로, 모두 유선 통신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규격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ISDB-T는 일본규격으로 13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밴드 세그먼트 방식이다.
  2. DVB-T는 유럽규격으로 COFDM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3. ATSC는 미국규격으로 DVB-T에 비해 이동수신이 용이한 방식이다.
  4. ATSC는 단일방송파 전송방식이며 DVB-T는 다중반송파 전송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ATSC는 미국규격으로 DVB-T에 비해 이동수신이 용이한 방식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DVB-T가 이동수신이 더 용이한 방식이다. 이는 DVB-T가 OFDM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OFDM 방식은 다중 경로 간섭에 강하고, 이동성이 높은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하다. 반면 ATSC는 8VSB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다중 경로 간섭에 취약하고 이동성이 낮은 환경에서 수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양자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원신호의 증폭
  2. 샘플링 주파수의 선정
  3.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
  4.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
(정답률: 알수없음)
  • 양자화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하나로,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서 디지털 값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이렇게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는 이후에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 과정을 거쳐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 HDTV 등과 같은 차세대 뉴미디어 TV 기술을 가능하게 한 핵심기술 요소가 아닌 것은?

  1. 조명 기술
  2. 고집적 반도체
  3. 영상 압축 기술
  4.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조명 기술은 TV 기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오히려 TV 시청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적인 기술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디지털 HDTV 등과 같은 차세대 뉴미디어 TV 기술을 가능하게 한 핵심기술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다중방송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현행의 주파수대역 또는 신호 전송시간의 여유분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현행의 방송과 동시에 행한다.
  2. TV 신호의 빈틈을 이용하여 기존 TV 방송의 음성신호에 음성을 하나 더 부가하는 방식을 TV 음성다중이라 한다.
  3. 다중방송의 종류는 TV 음성다중방송, AM 스테레오방송, FM 다중방송 등이 있다.
  4. 중파방송의 전파에 중첩하여 종래의 FM 방송과 별도로 음성신호나 문자신호 등을 방송하는 것을 FM 다중방송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파방송의 전파에 중첩하여 종래의 FM 방송과 별도로 음성신호나 문자신호 등을 방송하는 것을 FM 다중방송이라 한다." 이다. 이유는 FM 다중방송은 중파방송이 아닌 FM 방송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FM 다중방송은 현행의 주파수대역 또는 신호 전송시간의 여유분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현행의 방송과 동시에 행한다. TV 음성다중방송은 TV 신호의 빈틈을 이용하여 기존 TV 방송의 음성신호에 음성을 하나 더 부가하는 방식이며, AM 스테레오방송은 AM 방송에서 스테레오 음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최고 주파수 20,000[Hz] 오디오를 10초간 저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량(바이트)은? (샘플링 주파수는 나이퀴스트 이론에 의한 최소주파수를 사용하며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16비트이다.)

  1. 200[KB]
  2. 400[KB]
  3. 800[KB]
  4. 2[MB]
(정답률: 알수없음)
  • 나이퀴스트 이론에 따라 샘플링 주파수는 최소 2배의 주파수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샘플링 주파수는 40,000[Hz]가 된다. 10초간의 오디오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10초 x 40,000[Hz] x 16[bit] = 6,400,000[bit]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를 바이트로 변환하면 6,400,000[bit] / 8 = 800,000[byte] = 800[K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0[K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방송(DTV) 방식에서 1라인 유효 화소수와 유효 라인은?

  1. 1440×1080i
  2. 1920×1080i
  3. 1280×1080i
  4. 720×480i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지상파 DTV 방식에서 1라인 유효 화소수는 1920이고, 유효 라인은 1080이다. 이는 Full HD 해상도인 1920×1080i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해상도를 사용하거나, 유효 화소수나 라인 수가 적거나 많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TV 부조정실의 임무와 거리가 먼 것은?

  1. 각종 드라마, 교양, 스포츠, 뉴스 등의 TV 프로그램들을 제작하여 녹화하거나 생방송을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2.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함에 있어 정확한 시간관리, 최상의 품질상태 유지라는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3. 부조정실의 통상적인 기술 스탭에는 기술감독, 비디오 엔지니어 등이 있으며 각자 프로그램 제작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4. 방송 프로그램 신호에 부가되어 송출되는 부가정보에 대한 제어 및 조정, 관리 및 감시업무를 수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종 드라마, 교양, 스포츠, 뉴스 등의 TV 프로그램들을 제작하여 녹화하거나 생방송을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 임무는 TV 부조정실의 업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보다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TV 부조정실은 방송 프로그램의 신호와 부가정보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영상압축 시스템 MPEG-2의 프레임별 특성에서 I 픽쳐(Intra Picture)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예측 부호화 영상
  2. 프레임간 순방향 영상
  3. 쌍방향 예측부호화 영상
  4. 프레임 내에서의 부호화 영상
(정답률: 60%)
  • 정답은 "프레임 내에서의 부호화 영상"입니다.

    I 픽쳐는 Intra Picture의 약자로, 독립적인 이미지 프레임을 의미합니다. 즉, 이전 프레임이나 이후 프레임과 관련 없이 현재 프레임만으로도 전체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I 픽쳐는 예측 부호화나 순방향/역방향 예측 부호화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 내에서의 부호화 영상만으로 압축을 수행합니다. 이는 다른 픽쳐들과의 차이점이며, I 픽쳐는 전체 영상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우리나라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표준 프로토콜의 하나로,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1. RDS
  2. DARC
  3. TPEG
  4. telematics
(정답률: 알수없음)
  • TPEG는 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의 약자로, 교통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DMB에서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TPEG를 사용합니다. RDS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DARC는 디지털 오디오 라디오 서비스, telematics는 차량용 정보통신 기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텔레비전(ATSC) 전송 규격으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은?

  1. 8VSB 방식
  2. OFDM 방식
  3. AM 방식
  4. FM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텔레비전(ATSC) 전송 규격으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은 "8VSB 방식"입니다. 이는 8진 변조 방식으로, 하나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8개의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신호의 안정성이 높아서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다중경로 간섭에도 강한 성능을 보입니다. 또한, 수신기의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어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에서 프로그램 채널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채널은 방송 서비스 채널과 데이터 서비스 채널이 있다.
  2. 방송 서비스 채널은 영상, 음성,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다.
  3. 데이터 서비스 채널은 단일 스트림으로 구성된다.
  4. 프로그램 채널은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만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프로그램 채널은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만 구성된다." 이다. 이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에서 프로그램 채널도 디지털 신호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며,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변조된 신호의 채널당 주파수 대역폭은?

  1. 1[MHz]
  2. 4[MHz]
  3. 6[MHz]
  4. 12[MHz]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에서 사용되는 변조 방식은 COFDM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입니다. 이 방식은 여러 개의 서로 직교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각 채널마다 주파수 대역폭이 6MHz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변조된 신호의 채널당 주파수 대역폭은 6[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8bit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한번에 처리하는 정보의 크기가 8bit임을 의미함
  2. 8bit로 CPU 내에 전송된 데이터는 8bit 크기의 레지스터에 저장함
  3. CPU 내의 여러 연산을 이용할 때 8bit의 크기로 이용함
  4. 대부분 데이터버스 크기는 8bit, 주소 버스 크기도 8bit를 가짐
(정답률: 알수없음)
  • "CPU 내의 여러 연산을 이용할 때 8bit의 크기로 이용함"은 8bit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특징 중 하나가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부분 데이터버스 크기는 8bit, 주소 버스 크기도 8bit를 가짐"입니다. 이는 8bit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한번에 처리하는 정보의 크기가 8bit이며, 8bit로 CPU 내에 전송된 데이터는 8bit 크기의 레지스터에 저장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중앙처리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처리기에 둘 이상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시뮬레이션하는 기법은 무엇인가?

  1. 멀티프로그래밍 방식
  2. 일괄처리 방식
  3. 분산처리 방식
  4. 온라인 처리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여 중앙처리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하나의 프로그램이 입출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은 중앙처리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건축법에서 정하는 건축설비설치의 원칙에서 방송수신이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는 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동시청 안테나
  2. 유선방송 수신시설
  3. 위성방송 수신시설
  4. 중파방송 수신신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법에서 정하는 건축설비설치의 원칙에서 방송수신이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는 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중파방송 수신신설"입니다. 이는 건축법에서 정하는 건축설비설치의 원칙에서는 방송수신이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는 설비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병렬처리 방식 중에 pipeline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8088은 파이프라인 방식임
  2. 고도 병렬 처리를 통한 수행시간 단축
  3. CPU 처리 효율 증가, 자원 사용 극대화
  4. 동시수행가능 명령어를 컴파일 수준에서 하나로 압축
(정답률: 알수없음)
  • "동시수행가능 명령어를 컴파일 수준에서 하나로 압축"은 pipeline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이다. 이는 pipeline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며, 오히려 pipeline은 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분리하여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하는 대신 플래시에서 직접 수행하는 기술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제한된 메모리 자원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기술이 등장하였다. 이 기술은 무엇인가?

  1. 부팅지원 기술
  2. XIP(eXecution-In-Place) 기술
  3. 저전력 지원 기술
  4. 자원관리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XIP(eXecution-In-Place) 기술은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플래시 메모리에서 직접 실행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제한된 메모리 자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부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XIP 기술이 정답인 이유는 "제한된 메모리 자원을 극복하기 위해"라는 문장과 "플래시에서 직접 수행하는 기술"이라는 설명이 XIP 기술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계유선방송의 기술적 조건 중 타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신공중선의 출력레벨은 VHF대에서 54[dBμV] 이상 이어야 한다.
  2. 영상신호 주파수대역 특성은 -0.5~4[MHz]에서 ±3[dB] 이내 이어야 한다.
  3. 영상반송파와 음성반송파간의 간격은 4.5[MHz]에서 ±2[kHz] 이내 이어야 한다.
  4. 채널간 영상반송파의 레벨차는 인접채널의 경우 10[dB] 이내 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널간 영상반송파의 레벨차는 인접채널의 경우 10[dB] 이내 이어야 한다는 것은 중계하는 채널과 인접한 채널의 영상반송파의 레벨 차이가 10[dB] 이내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인접한 채널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다른 보기들과 마찬가지로 중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호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상파 방송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전파관리소
  2. 방송사업위원회
  3. 방송통신위원회
  4. 방송문화원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법에서는 지상파 방송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정답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산업의 발전과 보호를 위해 설립된 국가기관으로, 방송통신법에 따라 방송통신사업의 허가, 감독, 규제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부동소수점 표현 방식 중 틀린 것은?

  1. 소수점의 위치가 한곳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소수점 표현방식에 비해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은 소수점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2. 부동소수점 데이터 표현은 일반적으로 BCD 코드가 널리 이용된다.
  3. 부동소수점 방식은 수의 표현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부동소수점에 의한 표현은 부호 비트(sign bit), 지수 부분(exponent part), 가수 부분(mantissa part)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동소수점 데이터 표현은 일반적으로 BCD 코드가 널리 이용된다." 이다.

    BCD 코드는 십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부동소수점 표현 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부동소수점 표현 방식에서는 소수점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수의 표현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부호 비트, 지수 부분, 가수 부분으로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종합유선방송국의 채널 및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음악방송의 대역은?

  1. 54[MHz] ~ 72[MHz]
  2. 72[MHz] ~ 88[MHz]
  3. 88[MHz] ~ 108[MHz]
  4. 88[MHz] ~ 168[MHz]
(정답률: 100%)
  • 정답은 "88[MHz] ~ 108[MHz]"이다. 이는 FM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 대역이기 때문이다. FM은 Frequency Modulation의 약자로,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이다. FM은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보다 더 좋은 음질을 제공하며, 더 넓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 방송을 위한 대역으로는 FM 방식이 가장 적합하며, 이를 위해 종합유선방송국은 88[MHz] ~ 108[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떤 메모리 워드 또는 어떤 레지스터가 피연산자가 아닌, 피연산자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것을 지정해 주는 방식의 주소지정 방식은?

  1. 직접 어드레스 지정방식
  2. 인덱싱 어드레스 지정방식
  3. 간접 어드레스 지정방식
  4. 스텍 어드레스 지정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 어드레스 지정방식은 피연산자의 값이 아닌, 피연산자의 어드레스를 지정해주는 방식입니다. 즉, 메모리 워드나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이 아닌, 해당 값이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포인터(Pointer)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종합유선방송사업의 정의에서 ( )에 알맞은 것은?

  1. 전송ㆍ통신설비
  2. 방송ㆍ선로설비
  3. 전송ㆍ선로설비
  4. 종합ㆍ방송설비
(정답률: 80%)
  • 종합유선방송사업은 다양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합니다. 이때 전송과 선로를 담당하는 설비가 필요하므로 "전송ㆍ선로설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억장치의 계층구조 상에서 액세스 타임(속도)이 가장 빠른 것은 어느 것인가?

  1. 캐시의 기억장치
  2. CPU의 레지스터
  3. 주기억 장치
  4. 보조기억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CPU의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액세스 타임이 가장 빠릅니다. 즉, 데이터를 처리할 때 CPU는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가장 먼저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억장치의 계층구조 상에서 액세스 타임이 가장 빠른 것은 CPU의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컴퓨터 기본구조 중에서 해당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제어장치
  2. 중앙처리장치
  3. 입출력장치
  4.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컴퓨터의 기본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중앙처리장치는 제어장치와 산술논리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산술논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종합유선방송에서 방해신호에 대한 영상반송파의 비율을 데시벨로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N
  2. C/N
  3. CTB
  4. D/U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U"이다.

    D/U는 Desired signal (원하는 신호)과 Undesired signal (원하지 않는 신호)의 비율을 뜻한다. 즉, 방해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영상반송파의 강도를 원하는 신호의 강도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 값이 높을수록 원하는 신호가 강하게 전달되고, 낮을수록 방해신호가 강하게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실제 CPU에서 처리되는 작업에서 수행하는 메모리 장치 접근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한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커지는 현상은?

  1. 워킹 셋(Working set)
  2. 세마포어(Semaphore)
  3. 교환(Swapping)
  4. 스레싱(Thrashing)
(정답률: 55%)
  • 스레싱은 페이지 폴트가 지나치게 발생하여 CPU가 페이지 교환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스레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출력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광학문자 판독기(OCR)
  2. 종이테이프 천공기(paper tape punch)
  3. 카드 천공기(card punch)
  4. 프리트 장치(line printer)
(정답률: 알수없음)
  • 광학문자 판독기(OCR)는 입력장치에 해당한다. OCR은 인쇄된 문서나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종이테이프 천공기, 카드 천공기, 프린터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명령어가 적으며 칩 설계가 쉽고 작음
  2. 필요한 모든 명령어 셋을 갖추도록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
  3. 적은 수의 명령 형식을 가짐
  4. 모든 명령어는 한 사이클에 수행되도록 설계됨
(정답률: 알수없음)
  • "필요한 모든 명령어 셋을 갖추도록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필요한 명령어 셋을 갖추도록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 셋을 간소화하여 명령어 수를 줄이고 실행 속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위해 적은 수의 명령 형식을 가지고 모든 명령어는 한 사이클에 수행되도록 설계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칩 설계가 쉽고 작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텔레비전 공동시청안테나 시설에서 수신안테나 설치방법이다. 해당되지 않는 항은?

  1.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위상 방송 및 FM 라디오 방송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를 조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2. 2이상의 건축물이 하나의 단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1조의 수신안테나를 설치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수신안테나는 낙뢰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설치하되, 30[c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4. 수신안테나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풍(風)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이상의 건축물이 하나의 단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1조의 수신안테나를 설치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오히려 설치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각 건물마다 수신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당 보기는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