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13)

방송통신산업기사
(2021-03-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정류회로에서 직류출력 전압(Vdc)과 직류출력 전류(ldc)는 얼마인가? (단, Vi=141sin377t[V], R=500[Ω], n1:n2=10:1, 다이오드 전압 강하는 없다.)

  1. Vdc=4.5[V], ldc=0.9[mA]
  2. Vdc=45[V], ldc=9[mA]
  3. Vdc=4.5[V], ldc=9[mA]
  4. Vdc=45[V], ldc=0.9[mA]
(정답률: 75%)
  •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는 양의 반주파수에서만 동작하므로, Vi의 최댓값인 141[V]은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R에 가해지게 된다. 이 때, 다이오드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Vi의 최솟값인 -141[V]가 R에 가해지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R에 가해지는 최대 전압은 141[V]이다.

    정류회로에서 R에 가해지는 최대 전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max = (n1/n2)Vimax = (10/1) x 141[V] = 1410[V]

    R에 가해지는 최대 전압이 141[V]이므로, 다이오드가 전류를 차단하는 구간에서 R에 가해지는 전압은 0[V]이다. 따라서, R에 가해지는 전압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Vdc = (1/π) ∫0π Vmax sin(ωt) dt = (1/π) x Vmax x [-cos(ωt)]0π = Vmax/π = 1410/π[V] ≈ 449.3[V] ≈ 4.5[V]

    R에 가해지는 최대 전압이 141[V]이므로, R에 가해지는 최대 전류는 다음과 같다.

    lmax = Vmax/R = 141[V]/500[Ω] = 0.282[A] ≈ 282[mA]

    다이오드가 전류를 차단하는 구간에서 R에 가해지는 전류는 0[A]이므로, R에 가해지는 전류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ldc = (1/π) ∫0π lmax sin(ωt) dt = (1/π) x lmax x [-cos(ωt)]0π = lmax/π = 0.282/π[A] ≈ 0.0899[A] ≈ 89.9[mA]

    따라서, 정답은 "Vdc=4.5[V], ldc=0.9[mA]"가 아니라 "Vdc=4.5[V], ldc=9[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평활회로의 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파, 전파 정류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맥동류의 교번적인 영향을 줄여 거의 일정한 레벨의 직류를 생성한다.
  2. 정류회로의 출력 성분 중 리플을 제거하기 위해 정류회로 다음 단에 접속한다.
  3.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4. 출력직류전압들을 합하여 입력교류전압보다 최소 2배 이상의 정류효과를 생성한다.
(정답률: 60%)
  • "출력직류전압들을 합하여 입력교류전압보다 최소 2배 이상의 정류효과를 생성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평활회로는 반파, 전파 정류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맥동류의 교번적인 영향을 줄여 거의 일정한 레벨의 직류를 생성하며, 정류회로의 출력 성분 중 리플을 제거하기 위해 정류회로 다음 단에 접속하고,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출력직류전압들을 합하여 입력교류전압보다 최소 2배 이상의 정류효과를 생성하는 것이 평활회로의 기본적인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원회로에서 부하에 최대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전원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이 같아야 한다.
  2. 전원내부저항보다 부하저항이 커야 한다.
  3. 전원내부저항보다 부하저항이 작아야 한다.
  4. 전원내부저항보다 부하저항이 크거나 작아야 한다.
(정답률: 80%)
  • 전원회로에서 부하에 최대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원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이 같아야 합니다. 이는 오므레의 법칙에 따라 전원회로에서 전압은 일정하므로, 전원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이 같을 때 전류가 최대가 되어 최대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전원내부저항보다 부하저항이 크면 전류가 작아져 전력도 작아지고, 전원내부저항보다 부하저항이 작으면 전류가 커져 전원이 과부하되어 손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저주파에서 고주파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스펙트럼을 갖고 나타나는 잡음으로 알맞은 것은?

  1. 트랜지스터 잡음
  2. 자연 잡음
  3. 백색 잡음
  4. 지터 잡음
(정답률: 80%)
  • 정답: 백색 잡음

    백색 잡음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일정한 스펙트럼을 갖고 나타나는 잡음이다. 이는 무작위적인 주기적 신호들의 합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연적인 소리와는 달리 일정한 주기나 주파수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백색 잡음은 다양한 분야에서 잡음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특히 음향 기기나 통신 시스템에서 잡음을 분석하거나 제어하는 데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다단 증폭기 출력단에 연결하여 증폭기이 전체 출력저항을 낮추는데 사용하는 회로는?

  1. 공통드레인 증폭기
  2. 공통소스 증폭기
  3. 공통게이트 증폭기
  4. 공통이미터 증폭기
(정답률: 73%)
  • 다단 증폭기 출력단에 연결하여 증폭기의 전체 출력저항을 낮추는 회로는 공통드레인 증폭기입니다. 이는 출력단에서 드레인과 소스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어 입력신호가 드레인-소스 저항으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출력단에서의 전압이 입력신호에 따라 변화하면서 출력저항이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궤환 증폭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궤환으로 입력 임피던스 Ri는 감소한다.
  2. 궤환으로 출력 임피던스 Ro는 감소한다.
  3. 궤환으로 전류이득 Io/Is는 감소한다.
  4. RF가 작을수록 출력전압 VO는 커진다.
(정답률: 91%)
  • "RF가 작을수록 출력전압 VO는 커진다."라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궤환 증폭기에서 RF는 피드백 회로에서 사용되는 저항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피드백이 강해져서 출력전압이 커지게 된다. 이는 궤환 증폭기의 전달함수에서 RF가 분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RF가 작을수록 전달함수의 분모가 작아져서 출력전압이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에서 삼각파 입력에 대한 출력의 파형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삼각파 입력이 주어졌을 때, 출력은 입력의 절댓값에 비례하는 직선 모양의 파형을 가집니다. 이 때, 출력의 최대값은 입력의 절댓값과 같으며, 이 때의 출력은 양의 최대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증폭도가 A인 증폭기에 궤환율 β로 정궤환 되었을 경우 발진이 이루어지는 조건은?

  1. Aβ=1
  2. Aβ=0
  3. Aβ>1
  4. Aβ<1
(정답률: 70%)
  • 증폭도 A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 차이를 의미하며, 궤환율 β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의미합니다. 발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서로 양의 피드백을 받아서 계속 증폭되는 상황이어야 합니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Aβ=1이 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Aβ가 1보다 크면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보다 더욱 커져서 발진이 일어나지 않고, Aβ가 1보다 작으면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보다 작아져서 발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β=1이 발진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발진기에서 자가 발진을 위한 전압이득 AV의 조건은?

(정답률: 50%)
  • 자가 발진을 위해서는 전압이 양수이면서 전압이득 AV이 1보다 큰 조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보기 중 ""은 전압이 음수이므로 자가 발진을 위한 조건이 아니고, ""은 전압이득 AV이 1보다 작아 자가 발진을 위한 조건이 아니다. ""는 전압이득 AV이 1보다 크지만 전압이 음수이므로 자가 발진을 위한 조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위상 이동 발진기 회로에서 발진이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Rf값과 발진기의 출력주파수(Vout)는 약 얼마인가?

  1. 15.6[kΩ], 1[kHz]
  2. 31.2[kΩ], 3[kHz]
  3. 114.4[kΩ], 4[kHz]
  4. 150.8[kΩ], 5[kHz]
(정답률: 55%)
  • 위상 이동 발진기 회로는 RC 발진기 회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Rf값과 C값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결정된다.

    먼저, Rf값을 구해보자. Rf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f = 1.44 / (2πfC) - R

    여기서, f는 발진 주파수, C는 용량, R은 고정 저항값이다.

    주어진 회로에서 C값은 0.1μF, R은 10kΩ이다. 따라서, Rf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발진 주파수를 알아야 한다.

    발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RC)

    여기서, R은 고정 저항값, C는 용량이다.

    주어진 회로에서 R은 10kΩ, C는 0.1μF이므로, 발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 = 1 / (2π × 10kΩ × 0.1μF) ≈ 1.59kHz

    따라서, Rf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f = 1.44 / (2π × 1.59kHz × 0.1μF) - 10kΩ ≈ 150.8kΩ

    따라서, 정답은 "150.8[kΩ], 5[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변조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안테나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2. 잡음 및 간섭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3. 주파수 분할의 다중통신을 할 수 있다.
  4.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변조의 목적이 아니라 전력 제어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변조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를 변형하는 것으로, 안테나의 길이를 줄이거나 잡음 및 간섭의 영향을 적게 받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파수 분할의 다중통신도 변조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AM변조방식에서 변조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호파의 최대값을 반송파의 최대값으로 나눈 값이다.
  2. 반송파의 크기와 신호파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3. 최대주파수편이와 신호주파수와의 비이다.
  4. 진폭변화의 정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70%)
  • "최대주파수편이와 신호주파수와의 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AM변조에서 변조도는 신호파의 진폭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신호파의 최대값을 반송파의 최대값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최대주파수편이는 AM변조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반송파의 주파수 차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PCM에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2. 압신(Companding)
  3. 디엠퍼시스(De-emphasis)
  4. FM 복조시스이 리미팅(Limi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압신(Companding)은 PCM에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소리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소리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압신(Compand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9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 나타나는 주파수 성분이 아닌 것은?

  1. 895[kHz]
  2. 900[kHz]
  3. 905[kHz]
  4. 910[kHz]
(정답률: 91%)
  • 9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는 원래의 반송파 주파수인 900[kHz]와 변조신호의 주파수인 895[kHz]와 905[kHz]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910[kHz]는 변조신호와 반송파의 합인 905[kHz]보다 높은 주파수이므로 피변조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1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회로에서 입력되는 정현파의 최대 진폭이 6[V]일 때 출력에 나타나는 최대 진폭은? (단, RS=200[Ω], RL=400[Ω]이다.)

  1. 2[V]
  2. 4[V]
  3. 6[V]
  4. 8[V]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되는 정현파의 최대 진폭이 6[V]이므로, 이에 대한 최대 전압은 6[V]이다.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S와 RL에 걸리는 전압은 입력 전압의 일정 비율만큼이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RL에 걸리는 전압이므로, 입력 전압의 2/3만큼인 4[V]가 출력에 나타나는 최대 진폭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R-L 직렬 회로에서 시정수(Time Constant) τ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정답률: 55%)
  • R-L 직렬 회로에서 시정수(Time Constant) τ는 R과 L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시정수는 전류나 전압이 변화할 때 그 변화가 일어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때, 시정수는 R과 L의 곱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R과 L의 곱이 작을수록 전류나 전압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시정수가 작아지고, R과 L의 곱이 클수록 변화가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시정수가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십진수 45를 그레이코드로 바꾼 것은?

  1. 111011
  2. 011011
  3. 110111
  4. 110011
(정답률: 70%)
  • 십진수 45를 2진수로 바꾸면 101101이 된다. 그리고 그레이코드는 이진수에서 인접한 비트들의 값이 다르도록 바꾼 것이므로,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둔다.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여 값을 바꾼다. 따라서 101101을 그레이코드로 바꾸면 1110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신측에 다음과 같은 해밍코드가 수신되었다. 몇 번째 비트에서 에러가 발생되었는가? (단, P는 패리티 비트, D는 데이터 비트이다.)

  1. 3번째
  2. 5번째
  3. 6번째
  4. 7번째
(정답률: 80%)
  • 해밍코드에서 각각의 패리티 비트는 해당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비트들의 패리티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신된 해밍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한 비트는 해당 비트를 포함하는 패리티 비트들의 패리티와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 비트이다.

    여기서, 1번째, 2번째, 4번째 패리티 비트는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으므로, 에러가 발생한 비트는 3번째, 5번째, 6번째, 7번째 데이터 비트 중 하나이다.

    하지만, 3번째 데이터 비트와 7번째 데이터 비트는 모두 2의 거듭제곱 형태로 표현되는 1, 2, 4, 8번째 비트들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들 비트들의 패리티도 검사해야 한다.

    3번째 데이터 비트와 연관된 비트들의 패리티를 검사해보면, 1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비트들의 합이 홀수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신된 해밍코드에서는 1번째, 3번째, 5번째 비트들의 합이 짝수이므로, 에러가 발생한 비트는 3번째 데이터 비트가 아니다.

    반면, 7번째 데이터 비트와 연관된 비트들의 패리티를 검사해보면, 1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비트들의 합이 짝수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신된 해밍코드에서는 1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비트들의 합이 홀수이므로, 에러가 발생한 비트는 7번째 데이터 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7번째"가 아닌 "6번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J-K 플립플롭 2개로 동기식 4진 카운터를 설계할 때, 각 플립플롭의 JK 입력 조건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JA=KA=1, JB=KB=QA
  2. JA=KA=1, JB=QA, KB=A
  3. JA=KA=QB, JB=KB=QA
  4. JA=QB, KA=A, JB=QA, KB=QA
(정답률: 64%)
  • 동기식 4진 카운터는 4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2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각 플립플롭은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2진수 비트를 저장하고, 다음 상태로 전환할 때마다 비트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각 플립플롭의 JK 입력은 다음과 같이 설정해야 한다.

    - 첫 번째 플립플롭 (하위 비트): JA=KA=1
    - 이 입력 설정은 J=K=1 일 때 플립플롭이 토글되므로, 이전 상태와 반대되는 값을 저장한다.
    - 두 번째 플립플롭 (상위 비트): JB=KB=QA
    - 이 입력 설정은 J=QA, K=QB 일 때 플립플롭이 토글되므로, 하위 비트가 11일 때만 상위 비트가 증가한다. 따라서 현재 하위 비트의 값인 QA를 입력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진리표의 카르노 맵(Karnaugh Map)을 작성한 것 중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방송장비 중 CCU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러 개의 영상신호 가운데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장비이다.
  2. 연주소에서 송신소로 방송신호를 보내는 장비이다.
  3. 그림이나 문자를 발생하는 컴퓨터 장비이다.
  4. 카메라를 컨트롤하는 장비이다.
(정답률: 91%)
  • CCU는 카메라를 컨트롤하는 장비입니다. CCU는 카메라의 화질, 밝기, 색상 등을 조절하고, 카메라의 줌, 포커스, 팬/틸트 등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U는 카메라의 촬영 환경을 최적화하여 좋은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방송장비 중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하나의 임베디드(Embeded)된 신호로 만들어 주는 장비는?

  1. ADA (Audio Distribution Amplifier)
  2. VDA (Video Distrivution Amplifier)
  3. MUX (Multiplexer)
  4. DOWN-CONVERTER
(정답률: 80%)
  • MUX (Multiplexer)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 신호로 합쳐주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하나의 임베디드된 신호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ADA (Audio Distribution Amplifier)는 오디오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으로 분배해주는 장비이고, VDA (Video Distribution Amplifier)는 비디오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으로 분배해주는 장비입니다. DOWN-CONVERTER는 고해상도 비디오 신호를 저해상도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송프로그램 제작 설비 중 여러 가지 오디오 소스 입력들의 레벨과 음색을 조정하고 효과를 더한 다음 합성하여 출력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믹싱 콘솔 (Mixing Console)
  2. 효과기 (Effecter)
  3. 패치 패널 (Patch Panel)
  4. 인코더 (Encoder)
(정답률: 70%)
  • 믹싱 콘솔은 여러 가지 오디오 소스 입력들의 레벨과 음색을 조정하고 효과를 더한 다음 합성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방송프로그램 제작에 필수적인 장비 중 하나이다. 효과기는 음향 효과를 추가하는 장치이고, 패치 패널은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는 장치이며, 인코더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순서에 따라 송신소나 다른 방송국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곳은?

  1. 스튜디오
  2. 부조정실
  3. 주조정실
  4. 종합편집실
(정답률: 80%)
  • 주조정실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순서에 따라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방송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을 편성표에 맞게 순서대로 조정하여 다른 방송국이나 송신소로 송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조정실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초단파(VHF)의 주요 용도가 아닌 것은?

  1. AM라디오 방송
  2. DMB 방송
  3. FM라디오 방송
  4. 육상이동통신
(정답률: 60%)
  • 초단파(VHF)는 주파수가 높아서 짧은 파장을 가지며, 주로 근거리 통신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AM라디오 방송은 중파(MF)를 사용하며, 초단파(VHF)의 주요 용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FM 수신기에서 AFC회로가 사용되는 주된 이유는?

  1. 국부발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2. 감도를 조정하기 위해
  3.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
  4. 감도를 높이기 위해
(정답률: 67%)
  • AFC 회로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국부발진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안정적인 수신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국부발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진폭변조(AM)에서 변조신호의 진폭이 반송파신호 진폭의 50[%]인 경우 변조도는 얼마인가?

  1. 33[%]
  2. 50[%]
  3. 67[%]
  4. 100[%]
(정답률: 50%)
  • 진폭변조에서 변조신호의 진폭이 반송파신호 진폭의 50[%]인 경우 변조도는 100[%]입니다. 이는 변조신호의 최대 진폭이 반송파신호의 진폭과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0[%]"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FM 스테레오 방송에서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하여 좌측(L)과 우측(R)신호의 합과 차의 신호를 전송하는 이유는?

  1. 모노형 수신기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2. 송신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3. 수신기 복조 회로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4. 전송대역폭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59%)
  • 모노형 수신기는 좌측(L)과 우측(R) 신호를 합쳐서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기 때문에, 스테레오 신호를 그대로 수신할 경우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하여 좌측(L)과 우측(R) 신호의 합과 차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노형 수신기에서도 스테레오 신호를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디지털 변복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SK는 디지털신호에 각각 다른 진폭을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2. ASK의 신호대 잡음비는 PSK보다 나쁘다.
  3. FSK는 디지털신호에 각각 다른 위상을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4. QAM방식은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84%)
  • "FSK는 디지털신호에 각각 다른 위상을 대응시키는 방식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FSK는 디지털 신호에 각각 다른 주파수를 대응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0과 1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데이터를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HDTV의 화면비로 맞는 것은?

  1. 4:3
  2. 10:5
  3. 16:9
  4. 16:16
(정답률: 80%)
  • HDTV는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넓은 화면비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도 16:9는 넓이와 높이의 비율이 16 대 9로, 가로로 긴 화면을 가지고 있어서 영화나 스포츠 등의 콘텐츠를 시청할 때 더욱 생생하고 몰입감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DTV의 화면비로는 16:9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CATV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원래 난시청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한 지역사회 안테나 텔레비전(community antenna television)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2. 자주방송(自主放送) 및 지역사회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 발전하면서 Cable Television으로 불리게 되었다.
  3. 유·무선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음성,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단채널 방송이다.
  4. 초기에는 단방향이었으나 1990년대 이후 쌍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정답률: 77%)
  • 잘못된 설명은 "유·무선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음성,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단채널 방송이다."가 아닌 다른 설명들이다.

    CATV는 원래 난시청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한 지역사회 안테나 텔레비전(community antenna television) 개념으로 시작되었고, 자주방송(自主放送) 및 지역사회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 발전하면서 Cable Television으로 불리게 되었다. 초기에는 단방향이었으나 1990년대 이후 쌍방향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유·무선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음성,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단채널 방송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위성방송의 전파세기를 나타내는 전력속밀도의 단위는?

  1. dBW/m2
  2. dBmW/m3
  3. dBiW/m2
  4. dBiW/m3
(정답률: 60%)
  • 전력속밀도는 전파의 전력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위성방송의 경우 전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dBW (데시벨 와트) 단위를 사용합니다. 또한, 전파의 면적에 대한 밀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m2 단위가 포함되어 dBW/m2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dBW/m2"가 위성방송의 전파세기를 나타내는 전력속밀도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디지털 영상신호 중 HDTV스튜디오 규격으로 색차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얼마인가?

  1. 6.75[MHz]
  2. 13.5[MHz]
  3. 37.125[MHz]
  4. 74.25[MHz]
(정답률: 30%)
  • HDTV 스튜디오 규격에서 색차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74.25MHz의 1/2인 37.125MHz이다. 이는 색차신호가 YUV 색공간에서 4:2:2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Y축 샘플링 주파수인 74.25MHz의 1/2로 설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공위성을 이용한 3각 측량원리를 사용하여, 현재의 위치 및 시간을 추적하는 위성항법 시스템은?

  1.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2. DR(Dead Reckoning) 추측항법
  3.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4. DBS(Direct Broadcasting System)
(정답률: 80%)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와 시간을 추적하는 시스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입니다. GPS는 세계적으로 24개의 인공위성을 운영하며, 이를 이용하여 지구상의 어떤 위치에서든지 정확한 위치와 시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GPS 수신기가 필요하며, 이 수신기는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와 시간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3각 측량원리를 사용하여 위치와 시간을 추적하는 위성항법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위성 채널에서 발생하는 진폭 및 위상의 왜곡을 보상하는 것은?

  1. 채널부호화기
  2. 주파수변환기
  3. 등화기
  4. 비콘수신기
(정답률: 64%)
  • 위성 채널에서 발생하는 진폭 및 위상의 왜곡을 보상하는 것은 등화기입니다. 등화기는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위성 채널에서 발생하는 신호 왜곡을 보상하여 정확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영상표준신호를 만들고 시험과 조정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웨이브폼 모니터
  2. 컬러바 발생기
  3. 벡터스코프
  4. 정현파 발생기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바 발생기는 영상표준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시스템의 색상과 명암을 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영상의 색상과 명암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며, 시험과 조정 절차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영상표준신호를 만들고 시험과 조정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것은 컬러바 발생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방송국 송신기에 관한 측정사항이 아닌 것은?

  1. 공중선의 효율
  2. 송신기의 효율
  3. 주파수 허용편차
  4. 페데스털 레벨의 변동
(정답률: 82%)
  • 정답: "페데스털 레벨의 변동"

    설명: 방송국 송신기에 관한 측정사항으로는 "공중선의 효율", "송신기의 효율", "주파수 허용편차"가 있습니다. 하지만 "페데스털 레벨의 변동"은 송신기의 측정사항이 아니라 비디오 신호 처리와 관련된 측정사항입니다. 페데스털 레벨은 비디오 신호에서 검은색을 나타내는 신호 수준을 의미하며, 이 수준이 변동할 경우 비디오 신호의 밝기나 색상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방송기기의 조정이나 시험시 사용되는 더미안테나에 대하여 요구되는 전압정재파비는 최소한 얼마 이하가 되어야 하는가?

  1. 0.8
  2. 1.1
  3. 1.5
  4. 2.5
(정답률: 73%)
  • 더미안테나는 실제 안테나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진 가상의 안테나이다. 따라서 더미안테나에 인가되는 전압은 실제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압과 유사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더미안테나의 재파비가 실제 안테나의 재파비와 유사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제 안테나의 재파비는 1.5 이하로 조정되어야 하므로, 더미안테나의 재파비도 이에 준하는 1.1 이하로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송신기에서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회로는?

  1. 발진 증폭부
  2. 완충 증폭부
  3. 주파수 체배기
  4. 전력 증폭기
(정답률: 55%)
  • 송신기에서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완충 증폭부를 사용합니다. 완충 증폭부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면서도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회로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적절한 부하를 두어 주파수 변동을 최소화시킵니다. 이를 통해 송신기의 안정성과 신호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M 송신기의 출력이 10[W]인 경우 이것을 [dBm]으로 표시하면?

  1. 10[dBm]
  2. 30[dBm]
  3. 40[dBm]
  4. 50[dBm]
(정답률: 70%)
  • 1[W]를 1[dBm]으로 정의하면, 10[W]는 10[dBm]이 된다. 따라서, 10[W]의 출력을 [dBm]으로 표시하면 10[dBm]이 된다. 하지만, [dBm]은 1[mW]의 출력을 0[dBm]으로 정의하는 단위이므로, 10[W]의 출력을 [dBm]으로 변환하려면 10[dBm]에 10의 로그 값을 곱해줘야 한다. 즉, 10[dBm] + 10*log10(10[W]) = 40[dB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dB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다음 중 우리나라의 디지털 TV 전송방식은?

  1. NTSC
  2. ATSC
  3. ISDB-T
  4. DVB-T
(정답률: 64%)
  • 우리나라의 디지털 TV 전송방식은 ATSC이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디지털 TV 전송방식으로, 고화질(HD) 방송을 지원하며, 지상파 TV와 케이블 TV에서 사용된다. ATSC는 MPEG-2 압축방식을 사용하며, 지상파 TV에서는 UHF 대역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방송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송설비는 제작설비, 편집설비, 송출설비, 수신설비로 구성된다.
  2. 방송국은 연주소와 송신소가 합쳐져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3. 연주소와 송신소가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있을 때 연주소와 송신소간의 링크를 STL이라 한다.
  4. 전파란 3,000[MHz] 이하 주파수의 전자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란 3,000[MHz] 이하 주파수의 전자파를 말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추가 설명: 전파란 고정주파수를 가진 전자기파로, 무선 통신, 방송, 위성 통신 등에 이용된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고, 전파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TV 방송은 VHF(30~300MHz)와 UHF(300~3000MHz) 대역에서 송출되며, 이는 전파의 파장과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TSC 3.0 UHDTV(4K)의 해상도는?

  1. 720×480
  2. 1920×1080
  3. 3840×2160
  4. 7680×4320
(정답률: 알수없음)
  • ATSC 3.0 UHDTV(4K)의 해상도는 "3840×2160" 입니다. 이는 가로 방향으로 3840개의 픽셀, 세로 방향으로 2160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SDTV(표준화질), HDTV(고화질), 8K UHDTV(초고화질)의 해상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M 방송과 비교하여 FM 방송의 특징을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중파 라디오 방송보다 전파 도달 거리가 멀다.
  2. 주파수 대역을 좁게 차지한다.
  3. 중파 라디오 방송보다 음질이 좋다.
  4. 잡음에 약하다.
(정답률: 64%)
  • AM 방송은 전파가 지면과 건물에 반사되어 전파 도달 거리가 멀고, 주파수 대역을 넓게 차지하여 잡음이 많습니다. 반면에 FM 방송은 전파가 직진하여 전파 도달 거리가 짧고, 주파수 대역을 좁게 차지하여 잡음이 적습니다. 따라서 FM 방송은 중파 라디오 방송보다 음질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우리나라 지상파 TV 또는 라디오 방송의 변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AM
  2. FM
  3. 8VSB
  4. P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M"입니다.

    AM은 진폭 변조 방식,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 8VSB는 8진법 직교 변조 방식으로 지상파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방식들이며, PM은 위상 변조 방식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리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소리의 높이
  2. 소리의 크기
  3. 소리의 속도
  4. 소리의 음색
(정답률: 60%)
  • 소리의 높이, 크기, 음색은 모두 소리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이지만, 소리의 속도는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소리의 특성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리의 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청각매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음성
  2. 음악
  3. 자막
  4. 음향
(정답률: 82%)
  • 자막은 시각매체에 해당되기 때문에 청각매체에 해당되지 않는다. 청각매체는 소리와 음향에 관련된 매체들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제작된 방송프로그램에 대사 녹음이나 효과음악 등을 재녹음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다큐멘터리
  2. 더빙
  3. 나레이션
  4. 이벤트
(정답률: 알수없음)
  • 더빙은 이미 제작된 방송프로그램에 대사나 효과음악 등을 새롭게 녹음하여 덧대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외국 작품을 국내에서 방영할 때 사용되며, 원래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시청자들을 위해 해당 언어로 대사를 녹음하여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뉴미디어 분류체계 중 방송계에 포함되지 않는 매체는?

  1. AM 스테레오방송
  2. FM 다중방송
  3. CATV
  4. 영상전화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전화는 방송을 전달하는 매체가 아니라 개인 간의 통신 수단으로, 방송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44.1[kHz]의 Sampling 주파수로 16bit의 스테레오로 2분 동안 녹음하면 저장 공간은 대략 몇 [MByte]인가?

  1. 10.584
  2. 21.168
  3. 84.672
  4. 169.344
(정답률: 46%)
  • 녹음 시간은 2분 = 120초이다.

    스테레오로 녹음하므로, 1초당 저장되는 데이터 양은 다음과 같다.

    44.1[kHz] × 16[bit] × 2[채널] = 1411.2[kbps]

    1초당 1411.2[kbps]의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2분 동안 저장되는 데이터 양은 다음과 같다.

    1411.2[kbps] × 120[초] = 169344[kb]

    이를 MByte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69344[kb] ÷ 1024[kb/MB] = 165.375[MB]

    하지만, 문제에서는 "대략적인" 값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은 21.168[MByt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럽에서 사용중인 지상파 디지털방송(DVB-T)의 변조방식은?

  1. 직교주파수분할방식(OFDM)
  2. 잔류측파대 크기변조방식(VSB-AM)
  3. 단일 측파대 크기변조방식(SSB-AM)
  4. 시분할방식(TDM)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럽에서 사용중인 지상파 디지털방송(DVB-T)의 변조방식은 "직교주파수분할방식(OFDM)"이다. OFDM은 다수의 서로 직교하는 부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중경로 간섭에 강한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해 VSB-AM, SSB-AM, TDM은 OFDM과는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지상파 DMB 방송의 비디오 압축방식은?

  1. H.261 / MPEG-2 Part10 AVC
  2. H.262 / MPEG-2 Part10 AVC
  3. H.263 / MPEG-4 Part10 AVC
  4. H.264 / MPEG-4 Part10 AVC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지상파 DMB 방송의 비디오 압축방식은 "H.264 / MPEG-4 Part10 AVC"이다. 이는 높은 압축률과 좋은 화질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H.264는 이전 MPEG 압축방식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하며, MPEG-4 Part10 AVC는 고화질 비디오를 지원하는 규격으로, 이 두 기술을 결합하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지상파 DMB 방송의 비디오 압축방식으로 채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의 필요 조치 사항이 아닌 것은?

  1. 재난방송 등을 위한 인적·물적·기술적 기반 마련
  2. 노약자, 심신장애인 및 외국인 등 재난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 정보전달시스템 구축
  3. 정기적인 재난방송 등의 모의훈련 실시
  4. 도로, 철도에 재난방송 수신장비 설치 및 운용
(정답률: 90%)
  • 도로, 철도에 재난방송 수신장비 설치 및 운용은 주관방송사의 필요 조치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도로, 철도 관리기관의 역할이며, 해당 기관에서 적절한 대응을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우리나라의 데이터 방송 표준현황이 아닌 것은?

  1. 지상파: ACAP
  2. 위성: DVB-MHP
  3. 케이블: OCAP
  4. IPTV: DVB-ACAP
(정답률: 90%)
  • 정답은 "IPTV: DVB-ACAP"입니다. 이유는 IPTV에서는 DVB-ACAP이 아닌 IPTV 전용의 표준인 IPTV-MHP (Multimedia Home Platform)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디지털 데이터를 RF대로 변조하여 전송로로 송신 하거나 전송로의 RF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 신호로 수신하게 하는 장치는?

  1. A/D 변환기
  2. MODEM
  3. 디스크램블
  4. 직렬 유니트
(정답률: 64%)
  • MODEM은 디지털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로로 송신하거나, 전송로의 RF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 신호로 수신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MODEM은 디지털 데이터와 RF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디스크램블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장치이다. 직렬 유니트는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방송중계시 많은 양을 전달할 때 유리하고, 중계소마다 증폭기가 필요 없으며 전파간섭도 생기지 않는 케이블은?

  1. 동축케이블
  2. 광케이블
  3. 전파케이블
  4. 쌍연식케이블
(정답률: 60%)
  •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파간섭이 없기 때문에 중계소마다 증폭기가 필요 없으며,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방송중계시 많은 양을 전달할 때 유리한 케이블은 광케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변조방식 중 가장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변조방식은 무엇인가?

  1. QPSK
  2. 8PSK
  3. 16QAM
  4. 64QAM
(정답률: 알수없음)
  • 64QAM은 다른 변조방식에 비해 더 많은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변조방식입니다. 64QAM은 6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변조방식에 비해 더 많은 비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전송률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PCM 오디오의 기본개념에서 워드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SNR과 다이나믹 레인지
  2. 주파수 대역폭
  3. 왜곡(Distortion)
  4. 진폭
(정답률: 73%)
  • PCM 오디오의 기본개념에서 워드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진폭"이다. 워드의 길이는 샘플링 레이트와 함께 PCM 오디오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SNR과 다이나믹 레인지는 PCM 오디오의 품질과 관련된 개념으로, 주파수 대역폭은 PCM 오디오가 표현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왜곡은 PCM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진폭은 PCM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워드의 길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샘플링 신호배율은 영상신호 중 휘도신호와 색차성분을 디지털화 할 때 사용한다. 다음 중 영상의 압축 및 전송 등에서 샘플링 규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4:1:1
  2. 4:2:2
  3. 4:3:2
  4. 4:4:4
(정답률: 70%)
  • 정답: "4:3:2"

    설명: 샘플링 규격은 영상의 압축 및 전송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1:1", "4:2:2", "4:4:4"는 모두 샘플링 규격 중 하나로, 각각 휘도신호와 색차성분의 샘플링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4:2:2"는 휘도신호를 4개의 샘플링 중 2개만 사용하고, 색차성분을 4개의 샘플링 중 2개만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4:3:2"는 샘플링 규격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샘플링 비율이 휘도신호 4개 중 3개, 색차성분 2개 중 2개를 사용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3:2"는 올바른 샘플링 규격이 아니며, 영상의 압축 및 전송 등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IP중계망에서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다수 상대에게 송신하는 멀티캐스트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체계는?

  1. 클래스A
  2. 클래스B
  3. 클래스C
  4. 클래스D
(정답률: 알수없음)
  • 클래스D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IP 주소 체계이다. 멀티캐스트는 하나의 송신자가 여러 수신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이를 위해 클래스D는 범위가 넓은 주소를 사용하여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다음 중 2n개의 입력과 n 개의 출력으로 구성되는 것은?

  1. 인코더
  2. 디코더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55%)
  • 2^n개의 입력을 n개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것은 인코더이다. 인코더는 입력 신호를 압축하여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때 입력 신호의 개수는 2의 거듭제곱 수로 제한되며, 출력 신호의 개수는 입력 신호의 개수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2^n개의 입력과 n개의 출력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순차 액세스(Sequential Access)만 가능한 보조 기억장치는?

  1. CD-ROM
  2. 자기 디스크
  3. 자기 드럼
  4. 자기 테이프
(정답률: 80%)
  • 자기 테이프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순차 액세스만 가능한 보조 기억장치입니다. 자기 디스크와 자기 드럼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하므로 순차 액세스뿐만 아니라 임의 액세스도 가능합니다. CD-ROM은 읽기 전용으로 데이터를 읽을 때도 랜덤 액세스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비교적 속도가 빠른 I/O 장치를 통해 특정한 하나의 장치를 독점하여 입·출력으로 사용하는 채널은?

  1. Simple Channel
  2. Select Channel
  3. Byte Multiplexer Channel
  4. Block Multiplexer Channel
(정답률: 알수없음)
  • "Select Channel"은 비교적 속도가 빠른 I/O 장치를 통해 특정한 하나의 장치를 독점하여 입·출력으로 사용하는 채널이다. 이는 다른 채널들과 달리 특정한 하나의 장치에만 집중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입·출력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Select Channel"이 비교적 속도가 빠른 I/O 장치를 통해 입·출력을 처리하는데 가장 적합한 채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보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하드웨어
  2. 운영체제
  3. 응용 프로그램
  4. 미들웨어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보기에서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운영체제"가 선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원하는 시간 내에 시스템을 얼마나 빨리 사용할 수 있는 가”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1. 처리능력(Throughput)의 향상
  2. 응답시간(Turn-Around Time)의 단축
  3. 사용 가능도(Availability)의 향상
  4. 신뢰도(Reliability)의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 가능도(Availability)의 향상은 시스템이 원하는 시간 내에 얼마나 빨리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들이지만, 사용 가능도는 시스템이 얼마나 잘 작동하고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사용 가능도(Availability)의 향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현재 메모리의 분할 상태가 다음과 같을 때 크기가 100K인 작업을 최악적합(Worst Fit) 기법에 의해 할당한다면 어느 위치에 적재되는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90%)
  • 최악적합 기법은 가장 큰 공간을 찾아서 작업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50K와 200K의 빈 공간보다는 300K의 빈 공간이 더 크므로 작업은 300K의 빈 공간에 할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것은?

  1. 문서작성용 소프트웨어
  2. 그래픽 편집기
  3. 윈도우즈(OS)
  4. 웹 어플리케이션
(정답률: 84%)
  • 윈도우즈(OS)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접 주소 지정 방식보다 간접 주소 지정의 주소 범위가 더 넓다.
  2.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은 두 번 이상 메모리에 접속해야 실제 데이터를 가져온다.
  3.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 방식에서 레지스터 안에 있는 값은 실제 데이터가 있는곳의 주소를 나타낸다.
  4. 즉시(또는 즉치) 주소 지정 방식에서 오퍼랜드는 기억장치의 주소 값이다.
(정답률: 82%)
  • "즉시(또는 즉치) 주소 지정 방식에서 오퍼랜드는 기억장치의 주소 값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즉시 주소 지정 방식에서는 오퍼랜드가 기억장치의 주소 값이 아니라, 실제 데이터 값 자체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4-단계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의 올바른 실행 순서는?

  1. 명령어 인출(IF)-명령어 해독(ID)-오퍼랜드 인출(OF)-실행(EX)
  2. 오퍼랜드 인출(OF)-실행(EX)-명령어 인출(IF)-명령어 해독(ID)
  3. 명령어 인출(IF)-실행(EX)-오퍼랜드 인출(OF)-명령어 해독(ID)
  4. 오퍼랜드 인출(OF)-명령어 해독(ID)-명령어 인출(IF)-실행(EX)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어 인출(IF)-명령어 해독(ID)-오퍼랜드 인출(OF)-실행(EX)"이 올바른 실행 순서이다. 이는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에서 각 단계가 서로 다른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명령어 인출(IF) 단계에서는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서 파이프라인에 넣는다. 다음으로 명령어 해독(ID) 단계에서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필요한 레지스터와 메모리 주소를 찾는다. 그 다음 오퍼랜드 인출(OF) 단계에서는 명령어에서 필요한 오퍼랜드(operand)를 가져온다. 마지막으로 실행(EX) 단계에서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렇게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면서 다음 명령어를 처리할 준비를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논리식 를 간략화하면?

  1. Y=1
  2. Y=AB
(정답률: 84%)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Y=AB이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Y=1은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성립하므로 간략화된 논리식에서는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무선분야 적합성평가 대상기자재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 가입자단말장치
  2. 육상이동국의 송수신장치
  3. 기지국의 송수신장치 및 중계장치
  4. 핸드오프용 채널변환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 가입자단말장치"는 무선 기술이 아닌 유선 기술을 사용하는 기자재이기 때문에 무선분야 적합성평가 대상기자재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상파 디지털방송용 무선설비에서 음성의 부호화 방식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8[Hz]로 한다.
  2. 음성신호의 표본당 비트 수는 16 이상, 24 이하로 한다.
  3. 음성 채널의 수는 5.1 채널이다.
  4. 음성신호의 대역은 3[Hz] 이상, 20[kHz] 이하로 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8[Hz]로 한다." 이다. 이유는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8[kHz]로 설정되며, 8[Hz]는 너무 낮은 주파수이기 때문이다. 음성신호의 표본당 비트 수는 16 이상, 24 이하로 설정되며, 음성 채널의 수는 5.1 채널이며, 음성신호의 대역은 3[Hz] 이상, 20[kHz] 이하로 설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방송채널사용사업자가 승인유효기간 만료 후 계속 방송을 행하고자 할 때 어떤 절차를 받아야 하는가?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재허가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재등록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재허가 추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재승인
(정답률: 80%)
  • 방송채널사용사업자가 승인유효기간 만료 후 계속 방송을 행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재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방송사업자가 계속해서 방송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승인유효기간 만료 전에 재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변조된 신호의 채널당 주파수 대역폭은?

  1. 1[MHz]
  2. 4[MHz]
  3. 6[MHz]
  4. 12[MHz]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에서 사용되는 변조 방식은 COFDM 방식이며, 이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부호화된 서브캐리어가 동시에 전송되어 다중경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하다. 이 때 각 서브캐리어는 1[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이들이 모여 하나의 채널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변조된 신호의 채널당 주파수 대역폭은 1[MHz]의 서브캐리어가 6개 모여 6[M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방송사업자·중계유선방송사업자·전광판방송사업자 및 음악유선방송 사업자는 방송일지에 방송내용을 기록하여 비치하여야 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방송 실시결과를 방송 후 몇 개월 이내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하는가?

  1. 1개월
  2. 2개월
  3. 3개월
  4. 4개월
(정답률: 55%)
  • 방송일지에 방송내용을 기록하여 비치하고, 방송 실시결과를 제출하는 것은 방송통신법에서 규정한 사항입니다. 이는 방송사업자 등이 방송 내용을 철저히 관리하고, 방송실시결과를 신속하게 제출하여 투명하고 공정한 방송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방송 후 몇 개월 이내에 제출해야 하는 기간은 최대한 빠르게 제출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정답은 "1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의 방송신호의 표현형식을 설명한 것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4:1:1
  2. 4:2:0
  3. 4:2:2
  4. 4:4:4
(정답률: 70%)
  • 이 표현형식은 색상 샘플링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4:2:0"은 색상 정보를 4개의 픽셀 중 2개만 사용하고, 나머지 2개는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색상 정보의 양이 줄어들어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어 전송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4:1:1"은 색상 정보를 4개의 픽셀 중 1개만 사용하고, 나머지 3개는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4:2:2"는 색상 정보를 4개의 픽셀 중 2개만 사용하고, 나머지 2개는 공유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식이다. "4:4:4"는 모든 픽셀에서 색상 정보를 모두 사용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기준주파수와 지정주파수
  2. 특성주파수와 중심주파수
  3. 중심주파수와 지정주파수
  4. 중심주파수와 기준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데, 이때 중심주파수는 그래프의 중앙에 위치한 주파수를 의미하고, 지정주파수는 그래프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심주파수와 지정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케이블·접속커넥터·분배기·분기기·중계장치·증폭장치 등 유선방송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송설비와 선로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송선로설비
  2. 주전송장치
  3. 유선방송국설비
  4. 유선방송설비
(정답률: 80%)
  • 전송선로설비는 유선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설비와 선로설비를 의미합니다. 이는 케이블, 접속커넥터, 분배기, 분기기, 중계장치, 증폭장치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전송선로설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음성 부호화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1. MPEG-2방식
  2. MPEG-3방식
  3. MPEG-4방식
  4. AC-3(돌비디지털)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AC-3(돌비디지털) 방식은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음성 부호화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는 고음질의 오디오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MPEG-2, MPEG-3, MPEG-4 방식보다 더 효율적인 압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AC-3 방식은 다양한 채널 수를 지원하며,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에서는 AC-3 방식이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방송프로그램의 편성 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송사업자는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함에 있어 공정성·공공성·다양성·균형성·사실성등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종합편성을 행하는 방송사업자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사항이 균형있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종합편성을 행하는 방송사업자는 주시청시간대에는 보도에 관한 방송프로그램이 편중되도록 편성할 수 있다.
  4. 전문편성을 행하는 방송사업자는 허가를 받거나 승인을 얻거나 등록을 한 주된 방송분야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80%)
  • "종합편성을 행하는 방송사업자는 주시청시간대에는 보도에 관한 방송프로그램이 편중되도록 편성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방송사업자는 주시청시간대에도 공정성·공공성·다양성·균형성·사실성 등에 적합하도록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해야 하며, 보도에 관한 방송프로그램이 편중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