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16)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03-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배럴가공(barrel finishing)을 하면 여러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삭의 효과
  2. 스케일 제거
  3. 버니싱(burnishing) 작용
  4. 도금의 효과
(정답률: 68%)
  • 배럴가공은 연삭의 효과, 스케일 제거, 버니싱 작용 등을 통해 표면을 매끄럽고 광택 있게 만들어주는데, 도금의 효과는 해당되지 않는다. 배럴가공은 표면처리 기술 중 하나로, 도금은 다른 방식의 표면처리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작물의 직경이 ø 50㎜인 경강을 세라믹 공구로 절삭속도 300m/min의 조건으로 선삭가공하려고 할 때, 주축 회전수는?

  1. 약 480rpm
  2. 약 1350rpm
  3. 약 1910rpm
  4. 약 2540rpm
(정답률: 71%)
  • 주축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주축 회전수 = 절삭속도 ÷ (π × 직경)

    여기서 π는 3.14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축 회전수 = 300 ÷ (3.14 × 50) = 약 1910rpm

    이유는 선삭가공에서는 공작물의 직경과 절삭속도가 주축 회전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직경이 클수록 주축 회전수는 낮아지고, 절삭속도가 높을수록 주축 회전수는 높아진다. 따라서, 공작물의 직경이 50㎜이고 절삭속도가 300m/min인 경우, 주축 회전수는 약 1910r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줄 눈금의 크기 표시가 맞는 것은?

  1. 1[㎜]2내에 있는 눈금의 수
  2. 1[㎜]에 대한 눈금의 수
  3. 1[inch]에 대한 눈금의 수
  4. 1[inch]2내에 있는 눈금의 수
(정답률: 34%)
  • 정답은 "1[inch]에 대한 눈금의 수"입니다. 이유는 인치(inch)는 미국과 일부 영국에서 사용하는 길이 단위이며, 1인치는 2.54cm입니다. 따라서 1인치에 대한 눈금의 수를 알면 해당 눈금의 크기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1[㎜]2내에 있는 눈금의 수나 1[inch]2내에 있는 눈금의 수는 해당 영역 내에 몇 개의 눈금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크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만네스만식 제관법은 다음의 어느 제관법에 속하는가?

  1. 단접관법
  2. 용접관법
  3. 천공법(piercing process)
  4. 오무리기법(cupping process)
(정답률: 52%)
  • 만네스만식 제관법은 천공법(piercing process)에 속한다. 이는 원료 금속 시트를 구멍을 뚫어 형태를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다른 제관법들과는 달리 용접이나 접합이 필요하지 않아 높은 정확도와 경제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삭(turning)작업에서 일반적으로 하지 않는 것은?

  1. 기어가공작업
  2. 나사깎기
  3. 테이퍼작업
  4. 널링
(정답률: 52%)
  • 선삭(turning)작업은 회전하는 원통형 물체를 가공하는 작업으로, 주로 원통형 부품을 만들 때 사용된다. 그러나 기어가공작업은 원통형이 아닌 기어를 가공하는 작업으로, 선삭 작업과는 다른 전용 기계와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어가공작업은 일반적으로 선삭 작업에서 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삭 숫돌의 파손 원인이 아닌 것은?

  1. 숫돌과 공작물, 숫돌과 지지대간에 불순물이 끼었을 경우
  2. 숫돌이 과도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3. 숫돌의 측면을 공작물로 심하게 삽입됐을 경우
  4. 숫돌이 진원이 아닐 경우
(정답률: 58%)
  • 연삭 숫돌은 회전하면서 공작물을 연마하는데, 이때 숫돌과 공작물, 숫돌과 지지대간에 불순물이 끼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숫돌이 과도한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숫돌의 측면을 공작물로 심하게 삽입될 경우에도 파손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숫돌이 진원이 아닐 경우에는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진원은 숫돌의 회전축으로, 숫돌이 회전할 때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미자의 최소눈금이 0.5㎜이고 아들자 24.5㎜를 25등분한 버니어캘리퍼스의 최소측정값은?

  1. 0.05㎜
  2. 0.01㎜
  3. 0.025㎜
  4. 0.02㎜
(정답률: 44%)
  • 아들자를 25등분하면 각 등분은 24.5 ÷ 25 = 0.98㎜이 된다. 하지만 어미자의 최소눈금이 0.5㎜이므로, 버니어캘리퍼스의 최소측정값은 어미자의 최소눈금인 0.5㎜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02㎜"이다. 이유는 0.02㎜가 어미자의 최소눈금인 0.5㎜보다 작으면서도, 아들자를 25등분한 값인 0.98㎜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작물 고정 장치가 없는 지그는?

  1. 템플릿 지그(template jig)
  2. 플레이트 지그(plate jig)
  3. 앵글플레이트 지그(angle plate jig)
  4. 테이블 지그(table jig)
(정답률: 40%)
  • 템플릿 지그는 고정 장치가 없는 지그로, 작업 대상물의 형태에 맞게 만들어진 템플릿을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의 형태가 다양하거나 복잡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프링 백(spring back)이란?

  1. 스프링에서 장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2. 스프링의 피치를 나타낸다.
  3. 판재를 구부릴 때 하중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약간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4. 판재를 구부렸을 때 구부린 모양이 활 모양으로 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64%)
  • 스프링 백은 판재를 구부릴 때 하중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약간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호닝(honing)작업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가공시간이 짧다.
  2. 진원도 및 직선도를 바로 잡을 수 있다.
  3. 크기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4.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한다.
(정답률: 58%)
  • 호닝 작업은 진원도, 직선도, 크기 조절 등을 통해 부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이지만,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호닝 작업은 부품의 표면을 깨끗하게 연마하여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성가공에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온도는?

  1. 금속이 녹는 온도
  2. 변태점 온도
  3. 발광 온도
  4. 재결정 온도
(정답률: 77%)
  • 재결정 온도는 금속의 결정 구조가 재배열되는 온도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열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며, 냉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결정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ø 40의 연강봉에 리드(lead)240㎜의 비틀림 홈을 밀링에서 깎고자 한다. 이 때 테이블은 몇도 몇분 회전시켜야 하는가?

  1. 약 27° 38′
  2. 약 35° 48′
  3. 약 42° 51′
  4. 약 50° 06′
(정답률: 30%)
  • 비틀림 홈은 원통형태이므로 밀링 작업 시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 간격은 비틀림 홈의 피치(pitch)에 따라 결정된다.

    리드 240㎜의 비틀림 홈의 피치는 다음과 같다.

    피치 = (π × Ø) ÷ 리드 = (π × 40) ÷ 240 ≈ 0.5236㎜

    따라서, 비틀림 홈을 밀링하기 위해서는 테이블을 0.5236㎜ 간격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 간격은 너무 작기 때문에 보통 각도로 변환하여 회전시킨다.

    각도 = (0.5236 ÷ (π × Ø)) × 360

    = (0.5236 ÷ (π × 40)) × 360

    ≈ 0.427°

    따라서, 테이블을 약 27° 38′ 회전시켜야 비틀림 홈을 밀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류 아크용접에서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할 때의 극성은?

  1. 역극성
  2. 정극성
  3. 용극성
  4. 모극성
(정답률: 47%)
  • 직류 아크용접에서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할 때의 극성은 "정극성"이다. 이는 모재가 양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모재에 양극성을 부여하면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용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삭작업에서 눈메꿈(loading)을 일으킨 칩을 제거하여 깎임새를 회복시키는 작업은?

  1. 드레싱(dressing)
  2. 보딩(boarding)
  3. 크러싱(crushing)
  4. 셰이핑(shaping)
(정답률: 72%)
  • 드레싱(dressing)은 연삭작업에서 발생한 눈메꿈(loading)을 일으킨 칩을 제거하여 연삭면을 깨끗하게 만들고, 깎임새를 회복시키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드레싱(dressing)"입니다. 보딩(boarding)은 나무재료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드는 작업, 크러싱(crushing)은 분쇄작업, 셰이핑(shaping)은 형태를 만들어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매치 플레이트(match plate)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주형에서 소형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때 사용된다.
  2. 목형의 평면을 깎을 때 사용된다.
  3. 주형을 다져 목형을 만들 때 사용된다.
  4. 주물사의 입도를 분류할 때 사용된다.
(정답률: 45%)
  • 매치 플레이트는 주형과 소형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매치 플레이트가 주형과 소형 제품을 함께 고정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치 플레이트는 대량 생산에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파이프끼리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하는데 가장 좋은 용접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1. 가스 압접
  2. 플래시버트 용접(flash butt welding)
  3. 고주파 유도 용접
  4. 초음파 용접
(정답률: 36%)
  • 고주파 유도 용접은 파이프끼리 맞대기 용접을 할 때,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표면을 가열시키는 방식으로 용접을 수행합니다. 이 방식은 용접 부위에 직접적인 열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파이프의 형태가 유지되며, 용접 부위의 왜곡이 적어 용접 결과물의 품질이 높아집니다. 또한, 고주파 유도 용접은 용접 시간이 짧고, 용접 부위의 오염이 적어서 청결한 용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파이프끼리 맞대기 용접을 할 때 가장 좋은 용접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고주파 유도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나사의 측정 대상이 아닌 것은?

  1. 유효지름
  2. 리드각
  3. 산의 각도
  4. 피치
(정답률: 46%)
  • 리드각은 나사의 측정 대상이 아닙니다. 나사의 리드각은 나사의 나선 모양을 결정하는 값으로, 나사의 피치와 관련이 있지만 측정 대상은 아닙니다. 유효지름은 나사의 지름을 측정하는 값이며, 산의 각도는 나사의 나선 모양을 결정하는 값 중 하나입니다. 피치는 나사의 나선 모양을 결정하는 값 중 하나이며, 나사의 나선이 한 바퀴 돌아가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압연가공에서 강판을 압연할 때, 사용하는 롤러(roller)는?

  1. 원통형 roller
  2. 홈형 roller
  3. 개방형 roller
  4. 밀폐형 roller
(정답률: 57%)
  • 압연가공에서 강판을 압연할 때 사용하는 롤러는 원통형 roller입니다. 이는 강판의 두께와 너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강판이 롤러를 통과할 때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원활한 압연이 가능합니다. 또한, 원통형 roller는 강판의 표면을 부드럽게 처리하여 표면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경도가 가장 큰 열처리 조직은?

  1. 오스테나이트(austenite)
  2.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3. 솔바이트(sorbite)
  4. 펄라이트(pearlite)
(정답률: 74%)
  • 마르텐사이트는 경도가 가장 높은 열처리 조직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마르텐사이트가 강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르텐사이트는 강한 냉각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의 구조가 변화하여 경도가 높은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됩니다. 따라서 마르텐사이트는 경도가 가장 큰 열처리 조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레스가공 방식에서 상하형이 서로 무관계한 요철(凹凸)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를 압축함으로써 상하면상에는 다른 모양의 각인(刻印)이 되는 가공법은?

  1. 코이닝 가공(coining work)
  2. 굽힘가공(bending work)
  3. 엠보싱가공(embossing work)
  4. 드로잉가공(drawing work)
(정답률: 34%)
  • 코이닝 가공은 상하형이 서로 무관계한 요철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를 압축하여 상하면상에 다른 모양의 각인이 되는 가공법입니다. 이는 동전을 만드는 방식과 비슷하며,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코이닝 가공(coining wor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마찰차의 응용범위와 거리가 가장 먼 항목은?

  1. 전달력이 크지 않고 속도비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2. 회전속도가 커서 보통기어를 쓰기 어려울 경우
  3. 양 축간을 자주 단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
  4.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할 경우
(정답률: 49%)
  • 마찰차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속도비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찰차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마찰차의 응용범위에 따라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2톤의 하중을 들어 올리는 나사 잭에서 나사 축의 바깥지름을 구한 것으로 맞는 것은? (단, 허용인장응력 = 6㎏f/mm2이고, 비틀림 응력은 수직응력의 1/3 정도로 본다.)

  1. 24㎜
  2. 26㎜
  3. 28㎜
  4. 30㎜
(정답률: 19%)
  • 나사 잭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은 인장응력과 비틀림 응력의 합이 허용인장응력을 넘지 않을 때이다. 따라서, 나사 축의 바깥지름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최대 하중 = (π/4) x σallow x d2 - (π/16) x τallow x d3

    여기서, σallow는 허용인장응력, τallow는 허용비틀림응력, d는 나사 축의 바깥지름이다.

    2톤은 2000kg이므로, 최대 하중은 다음과 같다.

    최대 하중 = (π/4) x 6 x 103 x d2 - (π/16) x (6/3) x 103 x d3
    2000 = (π/4) x 6 x 103 x d2 - (π/16) x 2 x 103 x d3
    d3 - 64/3d2 + 100/π = 0

    이 식을 풀면, d = 30mm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조, 단조, 리벳이음 등에 비해 용접 이음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재료의 두께 제한이 없다.
  2. 기밀 유지에 용이하다.
  3. 작업 소음이 많다.
  4. 사용기계가 간단하고, 작업 공정수가 적어 생산성이 높다.
(정답률: 38%)
  • 용접 이음은 사용재료의 두께 제한이 없고, 기밀 유지에 용이하며, 사용기계가 간단하고 작업 공정수가 적어 생산성이 높다. 그러나 작업 소음이 많은 것은 단점이다. 이는 용접 작업 시 발생하는 불꽃, 가스, 소음 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귀를 보호하는 등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양은(洋銀, Nickel-silver)의 구성 성분은?

  1. Cu-Ni-Fe
  2. Cu-Ni-Zn
  3. Cu-Ni-Mg
  4. Cu-Ni-Pb
(정답률: 47%)
  • 양은은 구리(Cu), 니켈(Ni), 아연(Zn)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Cu-Ni-Zn"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양은의 구성 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폭(b) × 높이(h) = 10 X 8인 묻힘키이가 전동축에 고정되어 25,000 ㎏f.㎜의 토크를 전달할 때, 축지름 d는 몇 ㎜정도가 적당한가? (단, 키이의 허용 전단응력은 3.7 ㎏f/mm2 이며, 키이의 길이는 46㎜ 이다.)

  1. d = 29.4
  2. d = 35.3
  3. d = 41.7
  4. d = 50.2
(정답률: 31%)
  • 토크(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F × r

    여기서 F는 힘, r은 반지름이다. 이를 변형하면,

    r = T / F

    이 된다. 이 문제에서는 토크 T와 폭 b, 높이 h가 주어졌으므로, 힘 F를 구할 수 있다.

    키이의 면적 A는 다음과 같다.

    A = b × h = 10 × 8 = 80 (㎟)

    키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τ는 다음과 같다.

    τ = T / A

    여기서 허용 전단응력은 3.7 ㎏f/mm2 이므로,

    T / A ≤ 3.7

    T ≤ 3.7A

    위 식에 T = 25,000 ㎏f.㎜, A = 80 ㎟을 대입하면,

    25,000 ≤ 3.7 × 80

    25,000 ≤ 296

    따라서, 키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은 허용 전단응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축지름 d를 구하기 위해 굽힘 응력을 구해야 한다. 굽힘 응력 σ는 다음과 같다.

    σ = M × y / I

    여기서 M은 굽힘 모멘트, y는 중립면에서의 거리,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이다. 이 문제에서는 키이의 길이 L과 묻힘키이의 중심에서의 거리 x가 주어졌으므로, M과 y를 구할 수 있다.

    M = T × x

    y = h / 2 = 4 (㎜)

    I는 직사각형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이므로,

    I = bh^3 / 12 = 10 × 8^3 / 12 = 426.7 (㎟)

    위 식에 T = 25,000 ㎏f.㎜, x = 23 ㎜, y = 4 ㎜, I = 426.7 ㎟을 대입하면,

    σ = 25,000 × 23 × 4 / 426.7 = 639.5 (㎏f/㎟)

    따라서, 축지름 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 = k × σ

    여기서 k는 상수이며, 일반적으로 0.5 ~ 0.7 사이의 값을 가진다. 이 문제에서는 k = 0.6으로 가정하자.

    τ = T / A = 25,000 / 80 = 312.5 (㎏f/㎟)

    d = (16τ / πk)^(1/3)

    위 식에 τ = 312.5 (㎏f/㎟), k = 0.6을 대입하면,

    d = (16 × 312.5 / π × 0.6)^(1/3) = 29.4 (㎜)

    따라서, 적당한 축지름은 29.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담금질된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시효변형을 방지하기위한 목적으로 0℃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방법은?

  1. 저온 담금 용해처리
  2. 시효 담금처리
  3. 냉각 뜨임처리
  4. 심냉처리
(정답률: 71%)
  • 심냉처리는 0℃ 이하의 온도에서 강을 냉각하여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시효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강재 내부의 구조를 안정화시켜 강의 내부 응력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담금질된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시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심냉처리가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축간거리 55 ㎝인 평행한 두축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한쌍의 평기어에서 피니언이 124 회전할 때 기어를 96회전 시키려면 피니언의 피치원지름을 얼마로 하면 되겠는가?

  1. 124㎝
  2. 96㎝
  3. 48㎝
  4. 62㎝
(정답률: 36%)
  • 피치원지름은 회전수와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두 기어의 회전수와 회전방향이 주어졌으므로, 피치원지름을 구할 수 있다.

    먼저, 두 기어의 회전비율을 구해야 한다. 회전비율은 피니언의 회전수를 기어의 회전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회전비율은 124/96 = 1.2917이다.

    다음으로, 두 기어의 피치원지름의 비율을 구해야 한다. 피치원지름의 비율은 두 기어의 회전비율의 역수와 같다. 따라서, 피치원지름의 비율은 1/1.2917 = 0.7744이다.

    마지막으로, 두 기어의 축간거리와 피치원지름의 비율을 이용하여 피니언의 피치원지름을 구할 수 있다. 축간거리와 피치원지름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축간거리 / (피치원지름1 + 피치원지름2) = 1

    여기서, 피치원지름1은 피니언의 피치원지름이고, 피치원지름2는 다른 기어의 피치원지름이다. 따라서, 피치원지름1 + 피치원지름2 = 축간거리 / 1 = 55이다.

    또한, 피치원지름의 비율은 0.7744이므로, 피치원지름2 = 0.7744 * 피치원지름1이다. 따라서, 피치원지름1 + 0.7744 * 피치원지름1 = 55이다.

    이를 정리하면, 1.7744 * 피치원지름1 = 55이므로, 피치원지름1 = 55 / 1.7744 = 31.01이다.

    따라서, 피니언의 피치원지름은 약 31.01c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8cm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켈밋(kelmet)은 베어링용 합금으로 많이 사용된다. 성분은 구리(Cu)에 무엇을 첨가한 합금인가?

  1. 아연(Zn)
  2. 주석(Sn)
  3. 납(Pb)
  4. 안티몬(Sb)
(정답률: 42%)
  • 켈밋은 주로 납(Pb)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베어링용 합금이다. 납은 높은 점도와 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베어링의 내마모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또한, 납은 저온에서도 높은 인장강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켈밋은 납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으로 베어링 제조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회전속도가 200rpm으로 10㎰을 전달하는 연강 실체원축의 지름이 얼마 정도인가? (단, 허용응력 τ = 210㎏f/cm2이고, 축은 비틀림 모멘트만을 받는다.)

  1. d = 44.3㎜
  2. d = 49.1㎜
  3. d = 54.7㎜
  4. d = 59.8㎜
(정답률: 20%)
  • 비틀림 모멘트 M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π/16 * τ * d^3

    여기서, τ는 허용응력, d는 원축의 지름이다.

    이를 d에 대해 정리하면,

    d = (16*M / π*τ)^1/3

    주어진 조건에서, M은 다음과 같다.

    M = P * π/2 * (d/2)^2 * t

    여기서, P는 전달하는 힘, t는 전달하는 시간이다.

    따라서, d에 대해 정리하면,

    d = (8*P*t / π*τ*200)^1/2

    여기서, P는 구하지 않았으므로, 일단 d에 대한 식을 구해보자.

    d = (8*10^-3 / π*210*200)^1/2 = 0.0443m = 44.3mm

    따라서, 정답은 "d = 4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4금이란 순금(Au) 몇 %가 함유된 것인가?

  1. 18
  2. 24
  3. 75
  4. 100
(정답률: 55%)
  • 24금은 순금(Au)이 100% 함유된 것입니다. 순금은 다른 금속과 합쳐져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순금의 함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24K(24 karat)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24금은 순금이 100% 함유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경화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첨가량이 1% 이상이면 결정입자를 조대화하여 취성을 크게 하는 성분은?

  1. Ni
  2. Cr
  3. Mn
  4. Mo
(정답률: 23%)
  • Mn은 첨가량이 1% 이상일 때 경화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결정입자를 조대화하여 취성을 크게하는 성분입니다. 이는 Mn이 첨가되면 Fe-C계열 합금에서 카르바이드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경화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반면 Ni, Cr, Mo은 경화능 향상에 효과적이지만 결정입자를 조대화하여 취성을 크게하는 효과는 Mn보다 미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담금질시 냉각의 3단계를 거쳐 상온에 도달하는데 냉각되는 순서로 맞는 것은?

  1. 증기막단계 → 대류단계 → 비등단계
  2. 대류단계 → 비등단계 → 증기막단계
  3. 대류단계 → 증기막단계 → 비등단계
  4. 증기막단계 → 비등단계 → 대류단계
(정답률: 27%)
  • 정답은 "증기막단계 → 비등단계 → 대류단계"입니다.

    냉각의 첫 번째 단계는 증기막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물 분자들이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수면 위에 증기막이 형성됩니다. 이 증기막은 물 분자들이 냉각되면서 점차적으로 더 밀집해지고, 냉각의 두 번째 단계인 비등단계로 이어집니다.

    비등단계에서는 물 분자들이 냉각되면서 수면 아래에서부터 끓어오르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단계에서는 물 분자들이 냉각되면서 수면 위에 있는 증기막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냉각의 세 번째 단계는 대류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냉각된 물 분자들이 수면 아래에서부터 끓어오르면서 대류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단계에서는 물 분자들이 냉각되면서 수면 위에 있는 증기막이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에 함유되어 있는 황(S)의 편석이나 분포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사법은?

  1. 감마선(γ)검사법
  2. 설퍼 프린트법
  3. X-선 검사법
  4. 초음파 검사법
(정답률: 14%)
  • 설퍼 프린트법은 강에 함유된 황의 편석이나 분포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사법으로, 강의 표면에 특수한 종이를 놓고 황을 함유한 부분에 전기를 가해주면 황이 종이에 반응하여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 방법은 비파괴적이며, 간단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볼베어링에서 베어링 하중을 2배로 하면 수명은 몇 배로 되는가?

  1. 4배
  2. 1/4배
  3. 8배
  4. 1/8배
(정답률: 33%)
  • 볼베어링의 수명은 하중과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하중이 2배가 되면 베어링의 수명은 1/8배가 된다. 이는 베어링의 수명과 하중 간에 역비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하중이 증가하면 베어링의 수명은 감소하고, 하중이 감소하면 베어링의 수명은 증가한다. 따라서, 베어링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하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비금속 재료는?

  1. Al2O3
  2. Au
  3. Ni
  4. Co
(정답률: 50%)
  • 알루미늄과 산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인 알루미나(Al2O3)은 비금속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중 기능성 재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형상기억 합금
  2. 초소성 합금
  3. 제진 합금
  4. 특수강
(정답률: 41%)
  • 기능성 재료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재료로, 예를 들어 형상기억 합금은 온도나 압력 등의 외부 조건에 따라 형태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소성 합금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진 합금은 경도가 높아서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내식성도 좋습니다. 하지만 특수강은 기능성 재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특수강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강철입니다. 예를 들어 내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강이나 내열성이 뛰어난 열처리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50kgf의 하중을 받고 처짐이 16mm생기는 코일스프링에서 코일의 평균직경 D=16mm, 소선직경 d=3mm, G=0.84× 104kgf/mm2 이라 할 때 유효권수 n은 얼마인가?

  1. 3
  2. 5
  3. 7
  4. 9
(정답률: 20%)
  • 코일스프링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delta = frac{F cdot L^3}{3EI}
    $$

    여기서, $F$는 하중, $L$은 스프링의 자유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코일스프링의 경우 단면이 원형이므로, $I = frac{pi}{64}(D^4-d^4)$이다.

    유효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n = frac{L}{d}
    $$

    따라서, 유효권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자유길이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자유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단 유효권수를 구할 수 있는 식을 만들어 보자.

    $$
    delta = frac{F cdot L^3}{3EI} = frac{F cdot L^3}{3 cdot frac{G}{2} cdot frac{pi}{64}(D^4-d^4) cdot frac{1}{4}D} = frac{256F cdot L^3}{3pi GD^4 - 3pi Gd^4}
    $$

    여기서, $F=50text{kgf}$, $delta=16text{mm}$, $D=16text{mm}$, $d=3text{mm}$, $G=0.84times10^4text{kgf/mm}^2$이므로,

    $$
    16 = frac{256times50L^3}{3pitimes0.84times10^4times16^4 - 3pitimes0.84times10^4times3^4}
    $$

    이를 계산하면, $L=98.7text{mm}$이다. 따라서,

    $$
    n = frac{L}{d} = frac{98.7}{3} approx 32.9
    $$

    하지만, 유효권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33으로 반올림한다. 따라서, 정답은 "9"가 아니라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마찰차의 접촉면에 종이, 가죽 및 고무 등의 비금속 재료를 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1. 마찰각을 작게 하기 위하여
  2. 마찰차의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3. 마찰계수를 크게 하기 위하여
  4. 회전수를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46%)
  • 마찰계수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접촉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비금속 재료인 종이, 가죽 및 고무는 표면이 거칠어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를 마찰차의 접촉면에 붙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저널의 지름이 25 mm, 길이가 50 mm, 베어링하중이 3000kgf인 저어널 베어링에서 베어링 압력(kgf/mm2)은?

  1. 2.4
  2. 3.0
  3. 3.6
  4. 4.2
(정답률: 32%)
  • 저어널 베어링의 베어링 면적은 원의 면적인 πr2이다. 따라서 저널의 반지름인 12.5 mm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면 π(12.5)2 = 490.87 mm2 이다.

    베어링 압력은 베어링하중을 베어링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3000kgf를 490.87 mm2로 나누면 6.11 kgf/mm2 이다.

    하지만, 베어링 압력은 일반적으로 MPa 단위로 표시하기 때문에 kgf/mm2를 MPa로 변환해야 한다. 1 MPa는 10 kgf/mm2이므로, 6.11 kgf/mm2를 10으로 나누면 0.611 MPa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4"인 이유는 0.611 MPa를 0.25로 나누면 2.44가 되기 때문이다. 이 값은 반올림하여 2.4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순철에는 없으며, 강의 특유한 변태는?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46%)
  • 문제에서 "순철에는 없으며" 라는 말은 순철이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이나 방식에는 변태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강의 특유한 변태는 순철과는 관련이 없으며, "A1"이 정답인 이유는 그냥 랜덤으로 지정된 보기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이차 곡면(quadric surface)의 일반적 표현 방식은F(x,y,z)=ax2+by2+cz2+dxy+eyz+fzx+gx+hy+kz+i=0 로 나타내며 이를 VCV'=0 의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행렬식 C의 특성에 따라 4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해당하지 않는 내용은?

  1. 일체형 쌍곡면
  2. 원 타원, 분리형 쌍곡면
  3. C가 2행인 원통
  4. C가 3행인 원통
(정답률: 29%)
  • 이차 곡면의 일반적 표현 방식인 F(x,y,z)=ax^2+by^2+cz^2+dxy+eyz+fzx+gx+hy+kz+i=0 을 VCV'=0의 행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 = [a d/2 f/2]
    [d/2 b e/2]
    [f/2 e/2 c]

    이때, C의 특성에 따라 4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C가 모두 양수인 경우: 일체형 타원곡면
    2. C가 모두 음수인 경우: 일체형 쌍곡면
    3. C의 행렬식이 0인 경우: C가 2행인 원통
    4. C의 행렬식이 양수와 음수를 가지는 경우: 원 타원, 분리형 쌍곡면

    따라서, 해당하지 않는 내용은 "원 타원, 분리형 쌍곡면"이다. 이유는 이미 4번 그룹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직사각형의 밑변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를 찌그러트려 평행사변형으로 만들려고 할 때 사용되는 변환은?

  1. 전단 변환 (shearing)
  2. 반사 변환 (reflection)
  3. 회전 변환 (rotation)
  4. 크기 변환 (scaling)
(정답률: 68%)
  • 전단 변환은 직사각형의 한쪽 변을 일정한 비율로 이동시켜서 평행사변형으로 만드는 변환입니다. 따라서 밑변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변을 이동시켜 평행사변형으로 만들기에 적합한 변환입니다. 반사 변환은 대칭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회전 변환은 회전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크기 변환은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떨어져서 구성된 두 곡면의 접선, 법선벡터를 일치시켜 곡면을 구성시키는 방법은?

  1. Smoothing
  2. Blending
  3. Filleting
  4. Stretching
(정답률: 53%)
  • Blending은 두 개의 곡면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하나의 곡면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두 곡면의 접선과 법선벡터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부드러운 곡면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자동차나 비행기 등의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Blend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정면도의 정의로 맞는 것은?

  1. 물체의 각면 중 가장 그리기 쉬운면을 그린 그림
  2. 물체의 뒷면을 그린 그림
  3. 물체를 위에서 보고 그린 그림
  4. 물체 형태의 특징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그림
(정답률: 62%)
  • 정면도는 물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그림으로, 물체의 형태와 특징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따라서 "물체 형태의 특징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그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어를 그릴 때 사용되는 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잇봉우리원(이끝원)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2.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그린다.
  3. 이골원(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4. 잇줄 방향은 통상 3개의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54%)
  • 잇줄 방향을 3개의 굵은 실선으로 그리는 이유는 기어의 구성 요소인 기어바퀴와 톱니바퀴의 치형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그리면 기어의 동작 원리와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40H7은 , 40G6은 라고 할 때 40G7의 공차 범위는 얼마인가?

(정답률: 39%)
  • 40G7은 40H7에서 7번째, 40G6에서 8번째이므로, 40G7의 값은 40H7 + 공차, 40G6 - 공차 중 하나가 된다. 따라서, 공차 범위는 40G6 - 40H7의 절댓값의 반 이하이다.

    40H7 = 40 + 7d
    40G6 = 40 + 6d

    40G6 - 40H7 = d

    따라서, 공차 범위는 d/2 이하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컴퓨터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1. 인터페이스(interface)
  2. 보조 기억 장치(auxiliary memory)
  3. 부호기(encoder)
  4.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정답률: 72%)
  • 컴퓨터의 기본 구성에는 중앙 처리 장치(CPU), 주 기억 장치(RAM), 입출력 장치(I/O devic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만으로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보조 기억 장치(auxiliary memory)가 필요합니다. 보조 기억 장치는 주로 하드 디스크, CD-ROM, USB 등의 외부 저장 장치를 말하며,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조 기억 장치는 컴퓨터의 기본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XY평면 위의 점(10, 20)을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킬 때의 좌표값은?

  1. (21.2, 7.1)
  2. (20, 40)
  3. (7.1, 21.2)
  4. (10.2, 20.1)
(정답률: 28%)
  •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키면, 새로운 좌표값은 (x', y') = (x*cos45° - y*sin45°, x*sin45° + y*cos45°) 이다. 따라서 (10, 20)을 회전시킨 결과는 (10*cos45° - 20*sin45°, 10*sin45° + 20*cos45°) = (10*(√2/2) - 20*(√2/2), 10*(√2/2) + 20*(√2/2)) = (21.2, 7.1)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2, 7.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음영기법(shading)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다음 중 가장 현실감이 뛰어난 음영기법은?

  1. 퐁(Phong) 음영기법
  2. 구로드(Gouraud) 음영기법
  3. 평활(smooth) 음영기법
  4. 단면별(faceted) 음영기법
(정답률: 43%)
  • 퐁(Phong) 음영기법은 광원과 물체의 표면 법선 벡터, 시점 벡터를 이용하여 현실적인 광택과 반사를 표현하는 음영기법입니다. 이에 비해 구로드(Gouraud) 음영기법은 광원과 물체의 표면 법선 벡터를 이용하여 근사적인 음영을 표현하므로 현실감이 떨어집니다. 또한 평활(smooth) 음영기법은 광원과 물체의 표면 법선 벡터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음영을 표현하지만, 단면별(faceted) 음영기법은 각 면마다 독립적으로 색상을 지정하여 입체감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퐁(Phong) 음영기법이 가장 현실감이 뛰어난 음영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AD의 표준 형상기술 소프트웨어로써 서로 다른 CAD SYSTEM의 데이터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GKS
  2. CORE
  3. MAP
  4. IGES
(정답률: 74%)
  • IGES는 서로 다른 CAD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형상 기술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IGES는 CAD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 축의 최소 허용치수"가 나타내는 것은?

  1. 최소 틈새
  2. 최대 틈새
  3. 최소 죔새
  4. 최대 죔새
(정답률: 67%)
  •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 축의 최소 허용치수"는 구멍과 축 사이의 최대 틈새를 나타냅니다. 이는 구멍과 축이 최대한 밀착되어 있을 때의 간격을 의미하며, 이 간격이 클수록 최대한 느슨한 상태가 되어 부품의 정확한 위치와 움직임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이 작을수록 부품의 정확도와 안정성이 높아지며, 최대한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소 틈새"나 "최소 죔새"가 아닌 "최대 틈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프로킷 제도시 바깥지름은 어떤 선으로 도시하는가?

  1. 굵은 실선
  2. 가는 실선
  3. 굵은 파선
  4. 가는 1점 쇄선
(정답률: 47%)
  • 스프로킷 제도시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됩니다. 이는 스프로킷이 회전할 때 연결되는 체인이 바깥쪽 지름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깥쪽 지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강조하기 위해 굵은 실선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면에 사용하는 가는 1점쇄선의 용도에 의한 명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중심선
  2. 기준선
  3. 피치선
  4. 파단선
(정답률: 47%)
  • 파단선은 도면상에서 부품이나 제품의 파단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가는 1점쇄선의 용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에서 ⓐ와 같은 투상도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1. 부분 확대도
  2. 국부 투상도
  3. 보조 투상도
  4. 부분 투상도
(정답률: 48%)
  • ⓐ와 같은 투상도를 "국부 투상도"라고 부른다. 이는 전체적인 지도나 그림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지도상에서 특정 지역이나 건물 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SM10C로 표시된 재료기호의 10C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재질번호
  2. 재질등급
  3. 최저 인장강도
  4. 탄소 함유량
(정답률: 65%)
  • SM10C에서 10C는 탄소 함유량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재료의 탄소 함량이 0.10%인 것을 의미합니다. 재질번호는 해당 재료를 식별하는 번호이며, 재질등급은 해당 재료의 품질 등급을 나타냅니다. 최저 인장강도는 해당 재료의 인장 강도 중 최소값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형상은 같으나 치수가 다른 도형등을 작성할 때 가변되는 기본도형을 작성하여 놓고 필요에 따라 치수를 입력하여 비례되는 도형을 작성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매크로화 기능
  2. 디스플레이 변형 기능
  3. 도면화 기능
  4.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
(정답률: 60%)
  •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은 가변되는 기본도형을 작성하여 놓고 필요에 따라 치수를 입력하여 비례되는 도형을 작성하는 기능이다. 이는 도면 작성 시 일관성 있는 치수와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답은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그래픽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5대 중요 모듈이 아닌 것은?

  1. 그래픽 모듈(graphic module)
  2. 서류화 모듈(documentation module)
  3. 서페이스 모듈(surface module)
  4. 입· 출력 모듈(input & output module)
(정답률: 28%)
  • 입· 출력 모듈은 CAD그래픽 소프트웨어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그래픽 모듈, 서류화 모듈, 서페이스 모듈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입· 출력 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그래픽 모듈, 서류화 모듈, 서페이스 모듈과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5대 중요 모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면의 크기와 대상물의 크기 사이에는 정확한 비례 관계를 가져야 하나 예외로 할 수 있는 도면은?

  1. 부품도
  2. 제작도
  3. 설명도
  4. 확대도
(정답률: 29%)
  • 설명도는 대상물의 크기와 도면의 크기 사이에 정확한 비례 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도면으로, 대상물의 구조나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대상물의 크기와 도면의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듈 6, 잇수 Z1 = 45, Z2 =85, 압력각 14.5°의 한쌍의 표준기어를 그리려고 할 때, 기어의 바깥지름 D1, D2를 얼마로 그리면 되는가?

  1. 282mm, 522mm
  2. 270mm, 510mm
  3. 382mm, 622mm
  4. 280mm, 610mm
(정답률: 10%)
  • 먼저, 잇수가 홀수이므로 압력각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보정된 압력각은 다음과 같다.

    θc = θf + (180°/Z)

    여기서, θf는 원래 압력각이고, Z는 잇수이다. 따라서,

    θc = 14.5° + (180°/45) = 18.222°

    다음으로, 표준기어의 모듈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 = (Z1 + Z2) / (2 × Dp)

    여기서, Dp는 표준접합경이다. 따라서,

    Dp = (Z1 + Z2) / (2 × m)

    주어진 Z1, Z2, θc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Dp = 65.5mm

    마지막으로, 바깥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1 = m × (Z1 + 2)

    D2 = m × (Z2 + 2)

    주어진 m, Z1, Z2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D1 = 282mm

    D2 = 522mm

    따라서, 정답은 "282mm, 522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2차원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θ각 만큼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 변환 행렬은?

(정답률: 3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머시닝센터에서 지름 50㎜의 페이스커터로 25m/min의 절삭속도로 절삭하려고 하는 경우 주축의 회전수와 커터의 매분 이송속도를 결정하면? (단, 커터의 날수 12개, 날 1개당 이송 0.2㎜)

  1. 125rpm, 300㎜/min
  2. 127rpm, 31.8㎜/min
  3. 159rpm, 31.8㎜/min
  4. 159rpm, 382㎜/min
(정답률: 37%)
  • 절삭속도 = 주축회전수 × π × 지름
    25 = 주축회전수 × π × 50
    주축회전수 = 25 / (π × 50) ≈ 0.159회전/초

    커터의 매분 이송속도 = 날수 × 날 1개당 이송속도
    = 12 × 0.2 = 2.4㎜/분

    주축회전수 × 커터의 매분 이송속도 = 0.159 × 2.4 = 0.3824 ≈ 382㎜/분

    따라서, 주축의 회전수는 159rpm이고 커터의 매분 이송속도는 382㎜/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솔리드 모델링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이동, 회전등을 이용한 형상의 파악이 불가능하다.
  2. 데이터의 처리시간이 길다
  3. 불 대수(boolean)연산이 적용된다.
  4.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정답률: 58%)
  • 이동, 회전 등을 이용한 형상의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솔리드 모델링이 3차원 모델링 방식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1.5초 동안 일시정지하는 프로그램 지령이 잘못된 것은?

  1. G04 X1.5;
  2. G04 U1.5;
  3. G04 P1.5;
  4. G04 P1500;
(정답률: 69%)
  • 잘못된 지령은 "G04 X1.5;"입니다. 이는 X축을 1.5초 동안 이동시키는 지령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지령들은 모두 1.5초 동안 일시정지하는 지령입니다. "G04 U1.5;"는 U축을 1.5초 동안 일시정지시키는 지령이며, "G04 P1.5;"와 "G04 P1500;"은 모두 프로그램을 1.5초 동안 일시정지시키는 지령입니다. P는 시간을 지정하는 매개변수이며, 단위는 초입니다. "G04 P1500;"은 1500초 동안 일시정지하는 지령이므로, 1.5초 동안 일시정지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직경지령으로 설정된 최소지령 단위가 0.001mm인 CNC선반에서 U30.으로 지령한 경우 공구의 실제 이동량은?

  1. 10mm
  2. 15mm
  3. 20mm
  4. 30mm
(정답률: 28%)
  • U30.은 30mm를 의미한다. 하지만 직경지령으로 설정된 최소지령 단위가 0.001mm이므로, 이동량은 30mm × 0.001mm = 0.03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mm"이 아닌 "0.0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CNC 서보기구 제어시스템 특성 중 Closed loop 제어 방식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모터축으로 부터 위치검출을 행하여 볼나사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방식
  2. 기계의 테이블에 부착된 직선 scale이 위치 검출을 행하여 피드백하는 방식
  3. 모터축으로 부터 위치검출을 리졸버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
  4. 모터축으로 부터 위치검출을 직선 scale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
(정답률: 36%)
  • Closed loop 제어 방식은 피드백을 통해 제어하는 방식으로, 기계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합니다. 따라서, "기계의 테이블에 부착된 직선 scale이 위치 검출을 행하여 피드백하는 방식"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모델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구조가 간단하고 처리가 용이하다.
  2. 서피스 모델은 단면도 작성, 숨은선 소거, NC 툴패스등이 가능하다.
  3. 서피스 모델은 질량 특성 계산이 용이하다.
  4.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단면도 작도, 숨은선 소거, 상관선 작도 등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3%)
  •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단면도 작도, 숨은선 소거, 상관선 작도 등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서피스 모델은 질량 특성 계산이 용이한 이유는 모델링이 실제 물체의 표면을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면적과 물체의 무게 등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DN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C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CNC가공을 행할 수 있다.
  2. 하드 와이어드(hard wired) CNC라도고 한다.
  3. 여러 대의 CNC 공작기계를 한 대의 컴퓨터로 제어할수 있다.
  4. 복잡한 항공기 부품의 가공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21%)
  • "하드 와이어드(hard wired) CNC라도고 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DNC는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의 약자로, 여러 대의 CNC 공작기계를 한 대의 컴퓨터로 제어하여 NC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CNC가공을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DNC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하드 와이어드와는 구분된다. DNC는 주로 복잡한 항공기 부품의 가공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알루미늄 소재를 머시닝센터에서 ø6의 HSS드릴로 드릴링하고자 할때, 절삭조건표에 의하면 드릴 절삭속도는 V=32m/min이다. CNC 프로그램에서 드릴 회전수 N(rpm)는?

  1. 1698
  2. 1598
  3. 1498
  4. 1398
(정답률: 54%)
  • 드릴 절삭속도 V와 드릴 직경 D(mm)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V = πDN/1000

    여기서 π는 3.14, N은 드릴 회전수(rpm)이다.

    따라서 N = (V × 1000) / (πD) = (32 × 1000) / (3.14 × 6) = 1698 (rpm)

    따라서 정답은 "169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3차원 공간 곡선으로써 알맞지 않은 것은?

  1. Bezier곡선
  2. Archimedes곡선
  3. NURBS곡선
  4. B-spline곡선
(정답률: 62%)
  • Archimedes 곡선은 2차원 평면상에서 그려지는 곡선으로, 3차원 공간에서는 알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Archimedes 곡선이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Bezier 곡선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첫 정점과 마지막 정점을 통과한다.
  2. 볼록포(convex hull) 성질이 있다.
  3. 다항식 곡선의 차수는 (polygon의 정점의 개수 - 1)이다.
  4. 곡선의 양 끝점과 접선 벡터를 사용하므로 상호 대화적인 설계작업에 가장 적합하다.
(정답률: 34%)
  • 다항식 곡선의 차수는 (polygon의 정점의 개수 - 1)이다. 이는 Bezier 곡선이 아닌 B-spline 곡선의 특징이다.

    "곡선의 양 끝점과 접선 벡터를 사용하므로 상호 대화적인 설계작업에 가장 적합하다."라는 이유는 Bezier 곡선이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며, 디자이너와 클라이언트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3차원 형상모델을 분해모델로 저장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복셀(Voxel) 모델
  2. 옥트리(Octree )표현
  3. 세포분해(Cell Decomposition) 모델
  4. Facet 모델
(정답률: 51%)
  • Facet 모델은 3차원 형상을 삼각형, 사각형 등의 면으로 분해하여 저장하는 방법이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3차원 공간을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Facet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AD/CAM 시스템간에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호환성을 가질수 있도록 모델의 입출력데이터를 표준형식으로 작성하는 기능은?

  1. ISO
  2. IGES
  3. LISP
  4. ANSI
(정답률: 83%)
  • IGES는 CAD/CAM 시스템 간에 모델의 입출력 데이터를 표준 형식으로 작성하여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표준이다. 따라서 IGES는 CAD/CAM 시스템 간에 데이터베이스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NC 공작기계에서 백래시(BACK LASH)를 감소시키며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는?

  1. 리졸버
  2. 컨트롤러
  3. 리드스크루
  4. 볼스크루
(정답률: 52%)
  • 볼스크루는 CNC 공작기계에서 백래시를 감소시키며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입니다. 이는 공작물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리드스크루보다 정밀한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볼스크루가 정답입니다. 리졸버는 위치나 속도 등을 측정하는 센서, 컨트롤러는 CNC 기계를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NC 선반의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보조기능 중 보조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기능은?

  1. M78
  2. M79
  3. M98
  4. M99
(정답률: 75%)
  • M98은 서브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CNC 선반의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보조기능 중 보조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M78과 M79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며, M99는 서브프로그램 종료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의 작업 전 점검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상하 노즐(nozzle) 선단의 팁(tip)에 상처나 깨짐이 없는가 점검한다.
  2. 가공 탱크내의 와이어 칩(wire chip) 및 가공 칩을 제거한다.
  3. 가공액 공급 장치의 액면 레벨(level)을 점검하여 적을 때는 보충한다.
  4. 조작반 후부의 에어 필터(air filter)를 매일 교환하여 준다.
(정답률: 72%)
  • 조작반 후부의 에어 필터(air filter)를 매일 교환하여 준다. -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 작업 전 점검 사항으로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 에어 필터는 기계 내부의 먼지나 오염물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매일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필터 상태에 따라 교환 주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 후 필요에 따라 교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NC선반에서 다음 도면의 구석 R6의 가공 프로그램으로 N002에 가장 적당한 것은?

  1. G01 X40. F0.2;
  2. G01 Z30. R6. F0.18;
  3. G01 X100. C-3. F0.2;
  4. G01 Z0. R6. F0.18;
(정답률: 57%)
  • R6은 구석의 반지름을 의미하며, G01은 직선 보간 명령어로, Z축 방향으로 30mm 이동하면서 R6의 구석을 형성하는 명령어입니다. F0.18은 이동 속도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0.18mm/s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N002에 가장 적합한 가공 프로그램은 "G01 Z30. R6. F0.1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과 같은 CNC선반 프로그램이 있다. 전개번호 N30에서 의 주축 회전수는 몇 rpm 인가?(단, 직경지령 사용)

  1. 300
  2. 80
  3. 637
  4. 96
(정답률: 32%)
  • 주어진 프로그램에서 N30 전개번호에서 S1000 명령어가 있으므로 주축 회전속도는 1000rpm이다. 하지만 직경보정을 사용하므로 직경보정 계수를 곱해줘야 한다. 직경보정 계수는 0.3으로 주어졌으므로 1000rpm x 0.3 = 300rp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방전가공에서 가공액의 작용이 아닌것은?

  1. 전극에 대한 냉각작용을 한다.
  2. 가공 칩에 대한 융착작용을 한다.
  3. 전극에 대한 소모방지 작용을 한다.
  4. 가공칩의 운송,배출작용을 한다.
(정답률: 48%)
  • 방전가공에서 가공액은 전극과 가공 칩 사이에서 전기적인 방전을 일으키면서 가공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공액은 전극에 대한 냉각작용과 소모방지 작용을 하며, 가공 칩에 대한 융착작용을 한다. 그러나 가공액은 가공 칩의 운송, 배출 작용을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솔리드 모델링(solid modelling)방법의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

  1.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불가능하다.
  2.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에서는 모델→ 면→ 모서리선 → 꼭지점식으로 데이터 구조를 계층구조로 표현한다.
  3. 경계 표현 방법(Boundary Representation)에서는 기본적인 프리미티브의 합, 차, 곱 등의 연산으로 솔리드 모델을 구성한다.
  4.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여 연산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
(정답률: 36%)
  • 솔리드 모델링은 물체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경계 표현 방법과 CSG 방법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불가능하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여 연산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B-spline 곡선을 보다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는 곡선은?

  1. Bezier 곡선
  2. Spline 곡선
  3. NURBS 곡선
  4. Ferguson 곡선
(정답률: 50%)
  • NURBS 곡선은 B-spline 곡선과 유사하지만, 가중치를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곡선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가중치는 곡선의 각 점에 대해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곡선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URBS 곡선은 B-spline 곡선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곡선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