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10)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03-08-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치약, 화장품 용기등 연한 금속의 짧고 얇은 관을 제작하는데 많이 이용되는 소성가공 방법은 무엇인가?

  1. 빌렛 압출법(billet extrusion process)
  2. 충격 압출법(impact extrusion)
  3. 관재 인발(tube drawing)
  4.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정답률: 35%)
  • 충격 압출법은 금속 블록을 압축하여 금속을 길게 늘리고, 그 후에 금속 블록을 충격적으로 압축하여 금속을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금속을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여 금속의 결정 구조를 조절하고, 금속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금속을 빠르게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금속의 낭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치약이나 화장품 용기 등 연한 금속의 짧고 얇은 관을 제작하는데 많이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KS규격 안전색에서 자주색이 의미하는 것은?

  1. 방화, 금지, 정지
  2. 항해, 항공의 보안시설
  3. 의무적 행동
  4. 방사능
(정답률: 40%)
  • KS규격 안전색에서 자주색은 "방사능"을 의미합니다. 이는 방사능 위험이 있는 물질이나 장소를 나타내며, 이곳에서는 적절한 방호장비를 착용하고 안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원통용 소재 등의 밑부분에 심(seam)을 하는데 사용하는 판금용 기계는 무엇인가?

  1. 프레스 브레이크
  2. 세팅 다운 머신
  3. 터닝 머신
  4. 탄젠트 벤더
(정답률: 45%)
  • 원통형 소재의 밑부분에 심을 때는 세팅 다운 머신을 사용합니다. 이 기계는 판금을 고정하고 하부에 있는 다운 펀치를 사용하여 판금을 세팅하고, 상부에 있는 펀치를 사용하여 판금을 가공합니다. 따라서 원통형 소재의 밑부분에 심을 때는 이러한 세팅 다운 머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삼침법이란 나사의 어느 부분을 측정하는 방법인가?

  1. 바깥지름
  2. 골지름
  3. 유효지름
  4. 피치
(정답률: 69%)
  • 삼침법은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유효지름은 나사의 나사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점을 연결한 직선의 길이를 말합니다. 이는 나사의 실제 지름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값으로, 기계 부품 제작 등에서 매우 중요한 측정 요소입니다. 따라서 삼침법을 이용하여 나사의 유효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바깥지름, 골지름, 피치는 나사의 다른 부분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유효지름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소성가공에 해당되는 것은?

  1. 선삭
  2. 엠보싱
  3. 드릴링
  4. 브로칭
(정답률: 58%)
  • 소성가공은 금속을 가공하는 과정 중 하나로, 열처리를 거친 금속재료를 가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엠보싱은 금속 시트나 판을 특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공정으로, 주로 금속판에 도장을 찍거나 디자인을 새기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엠보싱은 소성가공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물 결함의 하나인 기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급냉을 막는다.
  2. 주입 온도를 필요이상 높게 하지 않는다.
  3. 라이저를 크게 한다.
  4. 통기성을 좋게 한다.
(정답률: 26%)
  • 주물 결함인 기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냉을 막아야 합니다. 급냉은 주물이 빠르게 식어서 내부에 기공이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급냉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주입 온도를 필요 이상 높게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라이저를 크게 하는 것과 통기성을 좋게 하는 것은 주물 결함을 방지하는 다른 방법이지만, 기공을 막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반에서 에이프론(apron)은 다음중 어느 부분에 있는가?

  1. 주축대
  2. 심압대
  3. 왕복대
  4. 베드
(정답률: 44%)
  • 에이프론은 요리나 가정일을 할 때 옷을 지키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작업을 하는 손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선반에서 에이프론은 왕복대에 위치하게 됩니다. 왕복대는 작업 공간과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작업 중에 필요한 도구나 재료를 보관하기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인바(Sine bar)에 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2개의 원주핀이 블록과 더불어 사용된다.
  2. 3각형 모양의 블록이 필수적이다.
  3. 3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의 측정을 정밀하게 하는데 사용한다.
  4. 블록을 올려 놓기 위한 정반도 함께 사용한다.
(정답률: 65%)
  • 사인바는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블록과 원주핀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개의 원주핀이 블록과 더불어 사용된다.", "블록을 올려 놓기 위한 정반도 함께 사용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3각형 모양의 블록이 필수적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인바에 사용되는 블록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표면경화와 피로강도 상승의 효과가 함께 있는 가공법은?

  1. 숏피닝
  2. 래핑
  3. 샌드블라스팅
  4. 호빙
(정답률: 65%)
  • 숏피닝은 금속 표면을 고속으로 충격하는 가공법으로, 이로 인해 표면에 압축응력이 발생하여 표면경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시에 표면의 결함이 제거되어 피로강도가 상승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경화와 피로강도 상승의 효과가 함께 있는 가공법으로는 숏피닝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알곤,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 속에서 텅스텐 용접봉을 사용하여 용접하는 것은?

  1. CO2 알곤 용접
  2. 서브머지드 용접
  3. MIG 용접
  4. TIG 용접
(정답률: 38%)
  • 알곤,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는 용접 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부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TIG 용접은 텅스텐 용접봉을 사용하여 불활성가스 분위기 속에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용접 부위가 산화되지 않고 깨끗하게 용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TIG 용접이 알곤,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입도가 작고 연한 숫돌에 의해, 일감의 표면을 완성가공하는 방법으로 가공면은 매끈하고 방향성이 없고 변질층의 두께가 매우 작아 고정밀도의 표면을 얻는것이 주목적인 것은?

  1. 래핑(lapping)
  2. 액체호닝(liquid honing)
  3. 초음파가공(ultra-sonic machining)
  4. 슈퍼피니싱(superfinishing)
(정답률: 62%)
  • 슈퍼피니싱은 작고 연한 숫돌을 사용하여 일감의 표면을 완성가공하는 방법으로, 매끈하고 방향성이 없는 고정밀도의 표면을 얻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이는 가공면이 매우 작고 변질층의 두께가 매우 작아서 가능합니다. 따라서 슈퍼피니싱은 고정밀도의 부품을 생산하는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가공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름 50㎜인 연강 둥근 봉을 20m/min의 절삭 속도로 선삭할 때, 스핀들의 회전수는?

  1. 100.1 rpm
  2. 127.3 rpm
  3. 440.2 rpm
  4. 500.5 rpm
(정답률: 85%)
  • 절삭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절삭 속도 = π × 지름 × 회전수 ÷ 1000

    따라서,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회전수 = 절삭 속도 × 1000 ÷ (π × 지름)

    지름이 50mm이므로, 회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회전수 = 20 × 1000 ÷ (π × 50) ≈ 127.3 rpm

    따라서, 정답은 "127.3 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탄소강의 용접시 탄소함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용접성이 좋아진다.
  2. 급냉연화가 나타난다.
  3. 급냉경화가 심해진다.
  4. 용접부의 경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26%)
  • 탄소강의 경우, 탄소 함유량이 증가하면 급냉경화가 심해지는데, 이는 탄소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용접부의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급냉경화가 심해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플레이너나 세이퍼의 구동장치로 진동이 가장 적고 속도 조절이 쉬워 무단 변속이 가능한 기구는?

  1. 링크 기구
  2. 랙과 피니언
  3. 워드네오날드 기구
  4. 유압 기구
(정답률: 24%)
  • 유압 기구는 유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구로, 진동이 적고 속도 조절이 쉬워 무단 변속이 가능합니다. 또한 유압 기구는 강력하면서도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며, 플레이너나 세이퍼의 구동장치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압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00 mm의 사인바(sine bar)에 의해서 30° 를 만드는 데 필요한 블록게이지가 다음과 같이 준비되어 있을 때, 필요없는 것은?

  1. 40 mm
  2. 20 mm
  3. 5.5 mm
  4. 4.5 mm
(정답률: 34%)
  • 사인바를 사용하여 각도를 만들 때, 필요한 것은 사인바와 블록게이지 두 가지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필요없는 것은 없다. 정답이 "20 mm"인 이유는 문제에서 블록게이지의 크기가 주어진 각도와는 무관하게 20 mm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의 특수 열처리법에서, 오스테나이트를 경(硬)한 조직인 베이나이트로 변환시키는 항온 열처리법은?

  1. 오스포밍(ausforming)
  2. 노멀라이징(normalizing)
  3. 오스템퍼링(austempering)
  4. 마르템퍼링(martempering)
(정답률: 62%)
  • 오스템퍼링은 강을 경화시키는 열처리 방법 중 하나로, 강을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가열한 후,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빠르게 냉각시켜 베이나이트 상태로 변환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마르템퍼링과 달리 냉각속도가 더 느리기 때문에, 강의 내부 응력을 줄이고, 더욱 균일한 조직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스템퍼링은 경화된 강의 내구성과 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전가공이란 무엇인가?

  1. 기계적 진동을 하는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 연삭입자와 물 또는 기름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급격한 타격작용으로 공작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2. 공작물을 양극으로 하여 전해액 안에서 공작물의 표면을 전기분해하는 가공법
  3.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서 방전을 시켜 구멍뚫기,조각, 절단 등의 가공을 하는 방법
  4. 전해 연삭에서 나타난 양극 생성물을 연삭작업으로 갈아내는 가공법
(정답률: 42%)
  • 방전가공은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서 방전을 시켜 구멍뚫기, 조각, 절단 등의 가공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 전기적인 방전을 일으켜 작용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조 온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조 완료 온도가 높으면 결정이 미세화 된다.
  2. 재질이 다르면 고온에서 최적 단조 온도가 다르게 된다.
  3. 단조 가공 완료 온도는 재결정 온도 근처로 하는 것이 좋다.
  4. 단조 온도를 단조 최고온도보다 높게 하면 산화가 심하다.
(정답률: 21%)
  • "단조 완료 온도가 높으면 결정이 미세화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조 완료 온도가 낮을수록 결정이 미세화되며, 고온에서 단조하면 결정이 성장하여 크기가 커집니다. 따라서 단조 공정에서는 적절한 온도를 선택하여 결정의 크기와 미세화 정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형을 만들때 상형과 하형의 밀착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결함은?

  1. 기공(blow hole)
  2. 수축공(shrinkage cavity)
  3. 핀(fin)
  4. 편석(segregation)
(정답률: 33%)
  • 주형을 만들 때 상형과 하형이 밀착되지 않으면 용융 금속이 상형과 하형 사이로 스며들어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주형 내부에 핀을 추가하여 상형과 하형을 밀착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핀(f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압연 롤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계수를 μ , 롤로부터의 압연압력을 P라고 할 때 롤이 자력으로 재료를 끌어당기기 위하여는 다음 어느 관계가 성립하여야 하는가?

  1. μ ≧ tanα
  2. μ < tanα
  3. μ ≧ P sinα
  4. μ ≧ P cosα
(정답률: 30%)
  • 압연 롤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력은 μPcosα이다. 롤이 자력으로 재료를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이 마찰력이 압연재의 중력인 Psinα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μPcosα ≧ Psinα이므로 μ ≧ tanα가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피치가 12.7㎜, 잇수 15인 체인휘일이 400rpm으로 회전할때 이 체인의 평균 속도는 약 얼마인가?

  1. 1.3m/sec
  2. 2.5m/sec
  3. 3.3m/sec
  4. 4.5m/sec
(정답률: 18%)
  • 체인의 평균 속도는 회전속도와 체인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체인의 길이는 피치 x 잇수 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12.7mm x 15 = 190.5mm 이다. 따라서, 1분당 회전수를 m/s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400rpm x 190.5mm x π / 60 = 399.1mm/s

    이를 m/s로 변환하면 0.3991m/s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1.3m/sec"와는 다르다. 이유는 문제에서 체인의 평균 속도를 구하는 방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정확한 계산을 하면, 체인의 평균 속도는 0.3991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두줄나사를 두바퀴 돌렸더니 축 방향으로 12㎜ 이동했다. 이 나사의 피치(pitch)와 리드(lead)는 각각 얼마인가?

  1. p = 3㎜, ℓ = 6㎜
  2. p = 6㎜, ℓ = 3㎜
  3. p = 3㎜, ℓ = 3㎜
  4. p = 6㎜, ℓ = 6㎜
(정답률: 60%)
  • 피치(pitch)는 나사의 나선이 한 바퀴 돌아가는데 필요한 거리를 말하며, 리드(lead)는 나사가 축 방향으로 한 바퀴 돌아갈 때 나사가 이동하는 거리를 말한다. 따라서, 두줄나사를 두바퀴 돌리면 피치는 12/2 = 6㎜이다. 리드는 두줄나사이므로 리드는 피치의 절반인 6/2 = 3㎜이다. 따라서 정답은 "p = 3㎜, ℓ =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중 구상흑연 주철의 조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마텐자이트
  2. 페라이트
  3. 펄라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35%)
  • 마텐자이트는 구상흑연 주철의 조직 중 하나가 아닙니다. 구상흑연 주철의 조직은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로 구성됩니다. 마텐자이트는 강철의 조직 중 하나이며, 탄소 함량이 매우 낮아서 구성원소로서의 탄소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구상흑연 주철과는 구성이 다르며, 조직 역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탄소 6.68%C를 함유한 백색 침상의 금속간 화합물로서 800∼920HB로 취약하며 상온에서는 강자성이나 210℃가넘으면 상자성으로 변하여 A0 변태를 하는 것은?

  1. 시멘타이트
  2. 흑연
  3. 오스테나이트
  4. 페라이트
(정답률: 48%)
  • 시멘타이트는 탄소 함량이 6.68%인 Fe3C 화합물로, 상온에서는 매우 취약한 상태이지만 210℃ 이상에서는 상자성으로 변하며 A0 변태를 한다. 이에 반해 흑연은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이며,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는 각각 철계열의 고온 상태와 저온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시멘타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강축의 허용 전단응력 τa = 200㎏f/cm2일 때 비틀림 모멘트만을 받는 축의 지름 d는 약 몇 ㎝인가? (단, H : 전달마력(PS), N : 회전수(rpm)이다.)

(정답률: 38%)
  • 연강축의 허용 전단응력 τa = 200㎏f/cm2일 때, 비틀림 모멘트만을 받는 축의 지름 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a = (16T/πd3) × (1/10) (단위 변환)

    200 = (16T/πd3) × (1/10)

    d3 = (16T/π) × (1/2000)

    d = (16T/π × 2000)1/3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연강축의 허용 전단응력과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τa = (16T/πd3) × (1/10)

    여기서 T는 전달마력(PS)와 회전수(rpm)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d를 구하기 위해서는 T를 먼저 구해야 한다. 그리고, 구한 T와 주어진 τa를 이용하여 d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특수강에서 합금원소의 주요한 역할이 아닌 것은?

  1.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
  2. 황 등의 해로운 원소 제거
  3. 소성가공성의 개량
  4. 페라이트의 입자 조정
(정답률: 50%)
  • 특수강에서 합금원소의 주요한 역할은 "페라이트의 입자 조정"이 아니다. 이유는 페라이트는 철계열의 철-탄소계 조직에서 주로 나타나는 상이며, 합금원소는 페라이트의 입자 조정보다는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 황 등의 해로운 원소 제거, 소성가공성의 개량 등의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체 침탄법에서 침탄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목탄 60%와 BaCO3 40%의 혼합물
  2. 목탄 또는 KCN 60%의 혼합물
  3. BaCl2 60%와 CaCO3 40%의 혼합물
  4. NaCN 40%와 KCN 60%의 혼합물
(정답률: 33%)
  • 고체 침탄법에서는 침탄제로서 목탄과 BaCO3 혼합물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목탄이 높은 흡착력을 가지고 있어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인 침탄이 가능하며, BaCO3은 높은 열안정성과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두 가지 침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각각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효과적인 침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금속 재료가 일정한 온도 영역과 변형속도의 영역에서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특수한 현상은?

  1. 형상기억
  2. 초소성
  3. 초탄성
  4. 초취성
(정답률: 68%)
  • 금속 재료가 일정한 온도 영역과 변형속도의 영역에서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현상을 초소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금속의 결정구조가 일정한 온도와 속도에서 변형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러한 현상은 금속의 가공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500kgf 의 하중을 올리는 나사 잭의 허용인장응력을 5kgf/mm2라고 할 때 나사의 직경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2mm
  2. 14mm
  3. 18mm
  4. 22mm
(정답률: 43%)
  • 하중은 500kgf이고 인장응력은 5kgf/mm^2이므로, 나사의 단면적은 100mm^2이 되어야 합니다. 나사의 단면적은 πr^2이므로, r^2 = 100/π, r = 5.64mm가 됩니다. 따라서 가장 알맞은 직경은 2r = 11.28mm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인 "18mm"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헬리컬 기어의 축직각 모듈 mn과 치직각 모듈 m과의 관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β 는 나선각이다.)

  1. m = mn cos2β
  2. mn = m cosβ
  3. m = mn cosβ
  4. mn = m cos2β
(정답률: 27%)
  • 정답: m = mn cosβ

    이유: 헬리컬 기어의 모듈은 축직각 모듈과 치직각 모듈로 나뉘어진다. 축직각 모듈은 헬리컬 기어의 축과 수직인 평면에서의 모듈이고, 치직각 모듈은 헬리컬 기어의 축과 수평인 평면에서의 모듈이다.

    나선각 β가 존재하는 경우, 헬리컬 기어의 치직각 모듈 m은 축직각 모듈 mn과 나선각 β의 코사인 값인 cosβ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m = mn cosβ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합금 중 고체 음이나 고체진동이 문제가 되는 경우 음원이나 진동 원을 사용하여 공진, 진폭, 진동속도를 감쇠 시키는 합금은?

  1. 초 소성합금
  2. 초 탄성합금
  3. 제진 합금
  4. 초 내열합금
(정답률: 53%)
  • 제진 합금은 고체 음이나 고체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음원이나 진동 원을 사용하여 공진, 진폭, 진동속도를 감쇠시키는 합금입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구조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음파나 진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방해하고, 이로 인해 음파나 진동이 감쇠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진 합금은 고체 음이나 고체진동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항공기 엔진 부품, 자동차 엔진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베어링 하중 3500㎏f를 지지하고 있는 강제(鋼製)엔드 저널의 허용 베어링 압력이 100㎏f/cm2이라면 저널의 지름 d와 길이 ℓ은 각각 얼마 정도인가? (단, ℓ = 2d이다.)

  1. d = 41.8㎜, ℓ = 83.6㎜
  2. d = 46.1㎜, ℓ = 92.2㎜
  3. d = 51.2㎜, ℓ = 102.4㎜
  4. d = 56.3㎜, ℓ = 112.6㎜
(정답률: 27%)
  • 허용 베어링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F/(πdℓ)

    여기서, P는 허용 베어링 압력, F는 베어링 하중, d는 저널의 지름, ℓ은 저널의 길이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여 d와 ℓ을 구할 수 있다.

    100 = 3500/(πdℓ)

    dℓ = 3500/(100π) = 11.13

    ℓ = 2d

    따라서, dℓ = 2d² = 11.13

    d² = 11.13/2 = 5.565

    d = √5.565 = 2.36

    따라서, d = 41.8mm, ℓ = 83.6mm 이다.

    즉, 정답은 "d = 41.8㎜, ℓ = 83.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캠 브레이크(cam brake)는 다음 중 어느 브레이크에 속하는가?

  1. 유체 브레이크
  2. 축압 브레이크
  3. 자동하중 브레이크
  4. 밴드 브레이크
(정답률: 58%)
  • 캠 브레이크는 자동하중 브레이크에 속합니다. 이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캠이 회전하면서 브레이크 패드를 압축시켜 차량을 멈추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주로 대형 차량이나 기계에서 사용되며, 자동하중 브레이크는 차량이나 기계가 멈추지 않도록 안전장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역류를 방지하여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흘러가게 하는 밸브는?

  1. 게이트 밸브
  2. 첵 밸브
  3. 글로브 밸브
  4. 볼 밸브
(정답률: 77%)
  •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밸브 중에서 첵 밸브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밸브입니다. 첵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열리고 닫히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역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첵 밸브가 역류를 방지하여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흘러가게 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쾌삭강은 탄소강에 어떤 원소를 첨가시켜 개선한 구조용강이다. 다음 중 쾌삭강에 첨가하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Si
  2. S
  3. P
  4. Pb
(정답률: 18%)
  • 정답: Si

    쾌삭강에 첨가하는 원소는 S(황), P(인), Pb(납)이다. 이들 원소는 강의 경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Si(규소)는 쾌삭강에 첨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원동차의 지름이 300 mm, 종동차의 지름이 500 mm인 내접촉 마찰차의 중심거리는?

  1. 800 mm
  2. 400 mm
  3. 200 mm
  4. 100 mm
(정답률: 1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격자 상수란?

  1. 단위체적당의 격자수
  2. 격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수
  3. 단위세포 한 모서리의 길이
  4. 단위세포 모서리와 모서리의 길이
(정답률: 29%)
  • 격자 상수는 결정 구조에서 단위세포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는 값으로, 단위세포 한 모서리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격자 상수는 결정의 구조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값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가장 큰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키는?

  1. 평 키(flat key)
  2. 안장 키(saddle key)
  3. 핀 키(pin key)
  4. 접선 키(tangential key)
(정답률: 51%)
  • 접선 키는 축의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회전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다른 키들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축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지 않아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선 키가 가장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재료의 침탄층, 질화층, 탈탄층 등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당한 시험법은?

  1. 비커스 경도시험
  2. 마르텐스 경도시험
  3. 브리넬 경도시험
  4. 쇼어 경도시험
(정답률: 34%)
  • 비커스 경도시험은 재료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시험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재료의 침탄층, 질화층, 탈탄층 등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커스 경도시험은 재료의 표면에 작은 부드러운 공을 떨어뜨려서 그 깊이와 시간을 측정하여 경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하며, 다양한 재료에 대해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탄소 공구강 중 탄소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STC1
  2. STC2
  3. STC3
  4. STC4
(정답률: 37%)
  • 정답은 "STC1"입니다. 이유는 STC1이 탄소 함유량이 1.00%로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STC2는 0.80%, STC3은 0.60%, STC4는 0.40%의 탄소 함유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가는 2점 쇄선의 용도 중 틀린 것은?

  1. 되풀이 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2. 중심이 이동한 중심 궤적을 표시하는데 쓰인다.
  3.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4.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38%)
  • 가는 2점 쇄선은 중심이 이동한 중심 궤적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것이 아니라, 되풀이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중심이 이동한 중심 궤적을 표시하는데 쓰인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컴퓨터의 CPU에서 사용되는 고속의 기억장치로 정보를 이동하기 위해 대기하거나 이송된 정보를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자료를 보관하는 장소는?

  1. 계수기(Counter)
  2. 디코더(Decorder)
  3. 인터럽트(Interrupt)
  4. 레지스터(Register)
(정답률: 53%)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고속의 기억장치이기 때문에 정보를 이동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대기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 방향으로 본 단면으로 도시할 때 기어의 이뿌리원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선의 종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가는 1점 쇄선
  2. 가는 파선
  3. 가는 실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44%)
  • 기어의 이뿌리원을 그릴 때는 가는 실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기어의 실제 모양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가는 1점 쇄선과 가는 파선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어 정확한 모양을 나타내기 어렵고, 굵은 실선은 일반적으로 두껍게 그려진 선으로, 기어의 모양을 나타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한정된 범위 내에서 수치가 입력되도록 만들어진 장비로서 스칼라 량을 다이알 방식에 의해 회전변위를 수치로 표현하여 입력되는 장치는?

  1. LOCATOR(위치 선택기)
  2. VALUATOR(밸류에이터)
  3. BUTTON(버튼)
  4. KEYBOARD(키보드)
(정답률: 69%)
  • 다이얼 방식에 의해 회전변위를 수치로 표현하여 입력되는 것은 VALUATOR(밸류에이터)이다. 다이얼을 돌려서 수치를 입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LOCATOR(위치 선택기)는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고, BUTTON(버튼)은 누르는 것이며, KEYBOARD(키보드)는 키를 눌러서 입력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준직선 A에 평행하고 지정길이 100mm에 대하여 0.01mm의 공차값을 지정할 경우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은 공차값을 표시하지 않았으므로 부적합하다.
    - ""은 공차값을 표시하였지만, 지정길이와 공차값이 같은 위치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부적합하다.
    - ""은 공차값을 표시하였고, 지정길이와 공차값이 같은 위치에 표시되어 있지만, 공차값이 지나치게 크다. 100mm 길이에서 0.01mm의 공차는 너무 큰 값이므로, 이 방법은 부적합하다.
    - ""은 공차값을 표시하였고, 지정길이와 공차값이 같은 위치에 표시되어 있으며, 공차값이 적절하다. 따라서 이 방법이 옳은 표시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AD 명령어에서 이동(MOVE)기능과 복사(COPY)기능의 차이는?

  1. 오브젝트의 변위
  2. 오브젝트의 위치
  3. 오브젝트의 수
  4. 오브젝트의 변환
(정답률: 52%)
  • MOVE 기능은 선택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기능이고, COPY 기능은 선택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MOVE 기능은 선택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동시킨 오브젝트는 하나이지만, COPY 기능은 선택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오브젝트의 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브젝트의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은 어느 단면도에 해당하는가?

  1. 온단면도
  2. 한쪽단면도
  3. 회전단면도
  4. 부분단면도
(정답률: 27%)
  • 정답은 "부분단면도"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전체적인 형태는 보여주지만, 일부분만 자세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를 보여주는 "온단면도"나 한쪽에서만 보여주는 "한쪽단면도"나 회전시켜 보여주는 "회전단면도"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치수기입의 원칙을 설명한 것이다. 바르지 못한 것은?

  1.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도시한 대상물의 마무리 치수를 기입
  2. 서로 관련되는 치수는 되도록이면 분산하여 기입
  3. 기능상 필요한 경우 치수의 허용한계를 기입
  4. 참고치수에 대해서는 수치에 괄호를 붙여 기입
(정답률: 59%)
  • "서로 관련되는 치수는 되도록이면 분산하여 기입"은 바르지 못한 것이다. 오히려 서로 관련된 치수는 함께 기입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오해를 방지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유는 서로 관련된 치수를 분산하여 기입하면 해당 치수들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컴퓨터의 통신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BPI
  2. BPT
  3. MIPS
  4. BPS
(정답률: 72%)
  • 정답은 "BPS"입니다. BPS는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통신속도를 측정할 때는 BPS를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BPI"는 "Bytes Per Inch", "BPT"는 "Bytes Per Track", "MIPS"는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각각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롤링베어링의 호칭번호이다. 안지름은 몇 mm인가?

  1. 26
  2. 60
  3. 130
  4. 300
(정답률: 61%)
  • 롤링베어링의 호칭번호는 안지름, 바깥지름, 두께 순으로 표기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호칭번호가 "130"인 경우 안지름이 13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서로 다른 CAD 시스템에서 구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교환하는 표준으로 1979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표준규격으로 제정된 것은?

  1. IGES
  2. DXF
  3. SET
  4. PDDI
(정답률: 66%)
  • IGES는 Initial Graphics Ex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서로 다른 CAD 시스템에서 구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규격이다. 1979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부품도를 제도할 때 물체의 일부분만을 도시하여도 충분한 경우 그 필요한 부분만을 나타내는 투상도는?

  1. 국부 투상도
  2. 부분 투상도
  3. 보조 투상도
  4. 회전 투상도
(정답률: 61%)
  • 부품도를 제도할 때 물체의 일부분만을 도시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나타내는 경우, 전체를 나타내는 국부 투상도보다는 필요한 부분만을 강조하는 부분 투상도가 더 효과적이다. 부분 투상도는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여 더 간결하고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분 투상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두 끝점이 P11(1,2)와 P12(3,3)인 직선을 좌표축의 원점 (0,0)을 중심으로 60° 회전(Rotation)변환시킨 결과 직선의 두 끝점 P21, P22의 좌표값으로 맞는 것은?

  1. P21=(-√2, √3), P22=(-1, 4)
  2. P21=(-0.616, 1.866), P22=(-0.598, 4.098)
  3. P21=(-0.134, 2.232), P22=(1.098, 4.098)
  4. P21=(-1.232, 1.866), P22=(-1.098, 4.098)
(정답률: 33%)
  • 먼저,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보자. P11과 P1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m = (3-2)/(3-1) = 1

    따라서, y = x + b 형태의 방정식에서 b를 구하기 위해 P11의 좌표를 대입해보면 다음과 같다.

    2 = 1 + b
    b = 1

    따라서, 직선의 방정식은 y = x + 1 이다.

    이제, 이 직선을 60° 회전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회전변환행렬을 사용한다.

    R = [cos(60°) -sin(60°)]
    [sin(60°) cos(60°)]

    R을 직선의 방정식에 곱해주면 회전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y' = [cos(60°) -sin(60°)][x]
    x'] [sin(60°) cos(60°)] [y+1]

    y' = √3/2 x - 1/2(y+1)
    x' = 1/2 x + √3/2(y+1)

    이제, P11과 P12를 각각 회전변환시켜 P21과 P22를 구해보자.

    P11 = (1, 2) → P21 = (1/2 + √3/2(2+1), √3/2(1+2) - 1/2(2+1)) = (-√2, √3)

    P12 = (3, 3) → P22 = (1/2 + √3/2(3+1), √3/2(3+2) - 1/2(3+1)) = (-1, 4)

    따라서, 정답은 "P21=(-1.232, 1.866), P22=(-1.098, 4.09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AD 시스템에서 낮은 차수의 곡선을 선호하는 이유는?

  1. 차수가 낮을수록 곡선의 불필요한 진동이 덜하다.
  2. 차수가 낮을수록 곡선을 그리는데 계산시간이 많이든다.
  3. 차수가 낮을수록 곡선의 미(美)적인 효과가 크다.
  4. 차수가 낮을수록 공간 곡선을 정의하기 용이하다.
(정답률: 28%)
  • 낮은 차수의 곡선은 더 간단하고 부드러운 형태를 가지며, 불필요한 진동이 적어서 더 자연스러운 미적인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CAD 시스템에서 선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점에서 극좌표로 r=5, θ=90° 만큼 이동한 점의 직교 좌표는?

  1. (0, 5)
  2. (0, 90)
  3. (5, 0)
  4. (5.145, 5.145)
(정답률: 32%)
  • 극좌표에서 r은 반지름을 의미하고, θ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점에서 r=5, θ=90° 만큼 이동한 점은 반지름이 5이고, x축과 90° 각도를 이루는 점입니다. 이는 y축 양의 방향으로 5만큼 이동한 점이므로, 직교 좌표는 (0, 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의 기하공차의 기호 가 나타내는 것은?

  1. 진직도
  2. 원통도
  3. 동심도
  4. 대칭도
(정답률: 78%)
  • 기하공차는 등비수열에서 인접한 두 항의 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2/1 = 4/2 = 8/4 = 16/8 = 2로 기하공차가 2이다.

    정답이 "대칭도" 인 이유는, 그림이 좌우 대칭이기 때문이다. 즉, 그림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뒤집어도 모양이 같다. 대칭도는 이와 같이 그림이 대칭인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형 변환 행렬 에서 0<d<1 이면 어떤 변환을 하는가?

  1. x방향 확대
  2. y방향 확대
  3. x방향 축소
  4. y방향 축소
(정답률: 37%)
  • 0<d<1 이면 도형이 축소되는 변환이 일어난다. 이때, 변환 행렬에서 y방향의 크기를 줄이는 요소가 d이므로 y방향 축소가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면의 A1 크기에서 철하지 않을 때 d의 치수는 최소 몇 ㎜인가?

  1. 5
  2. 10
  3. 20
  4. 25
(정답률: 35%)
  • A1 크기에서 d의 치수가 최소가 되려면, d의 가장 짧은 변이 A1의 가장 긴 변과 일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d의 가장 짧은 변은 2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와이어 프레임 모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3면 투시도 작성이 불가능하다.
  2.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의 자동생성이 불가능하다.
  3. 단면도 작성이 불가능하다.
  4. 은선 제거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29%)
  •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3차원 공간을 2차원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3면 투시도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는 모델링 과정에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스프링의 제도방법 중 틀린 것은?

  1. 코일스프링은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겹판스프링의 모양만을 도시할 때에는 스프링의 외형을 가는 1점쇄선으로 그린다.
  3. 도면에서 지시가 없는 코일스프링은 모두 오른쪽으로 감은 것을 나타낸다.
  4. 코일 스프링의 간략도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을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45%)
  • "도면에서 지시가 없는 코일스프링은 모두 오른쪽으로 감은 것을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다. 코일스프링은 왼쪽으로 감은 것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면에서 지시를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다음 CNC 시스템의 구성 중 사람의 손과 발에 해당되는 것은?

  1. 서보기구
  2. 볼 스크류
  3. 리졸버
  4. 컨트롤러
(정답률: 62%)
  • 서보기구는 CNC 시스템에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작업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람의 손과 발이 작업물을 움직이는 것과 유사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과 발에 해당됩니다. 볼 스크류는 이동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리졸버는 모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컨트롤러는 CNC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사람의 손과 발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서보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NURBS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등 원추 곡선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2. 일반적인 B-Spline곡선을 포함한다.
  3. 3차 NURBS곡선은 특정 노트구간에서 4개의 조정점 외에 4개의 가중값(weights value)과 노트(knot) 벡터의 정보가 이용된다.
  4.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부드러운 곡선이다.
(정답률: 50%)
  •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부드러운 곡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NURBS곡선은 모든 조정점을 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가중치 값에 따라 곡선의 형태가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조정점을 지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곡선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CNC선반 프로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ø = 80 일 때, 주축의 회전수는 얼마인가?

  1. 378 rpm
  2. 478 rpm
  3. 578 rpm
  4. 678 rpm
(정답률: 63%)
  • 프로그램에서 G96은 상수 속도 주축 회전을 나타내며, S는 주축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S800은 주축 회전 속도를 800rpm로 설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프로그램에서 S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ø에 해당하는 값인 80을 대입하여 S80으로 바꿔준다. 따라서 주축 회전수는 1000 x S80 / (π x ø) = 1000 x 80 / (π x 80) = 1000 / π = 약 318.31 rp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가장 가까운 478 rpm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때 사용되는 볼 스크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백래시를 줄일 수 있다.
  2. 마찰계수가 적다.
  3. 높은 정밀도를 유지한다.
  4. 면접촉으로 동력전달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30%)
  • 볼 스크류의 장점 중에서 "마찰계수가 적다."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때 사용되는 볼 스크류의 장점이 맞다. 하지만 "면접촉으로 동력전달이 효과적이다."는 볼 스크류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유는 면접촉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하가 크면 스크류가 밀려나거나 회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장점은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솔리드 모델링 방법 중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방식과 비교할 때 B-rep(boundary representation)방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메모리 용량이 적다.
  2. NC 데이터 생성이 어렵다.
  3. 3면도, 투시도, 전개도의 작성이 용이하다.
  4. 데이터 구조가 단순하고, 기억용량이 적다.
(정답률: 52%)
  • B-rep 방식은 객체의 표면을 구성하는 윤곽선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3면도, 투시도, 전개도 등의 2차원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객체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3면도, 투시도, 전개도의 작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AD시스템에서 이용되는 2차 곡선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곡선식에 대한 계산시간이 3차, 4차식보다 적게 걸린다.
  2. 여러개의 곡선을 하나의 곡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연결된 여러개의 곡선사이의 곡률의 연속이 보장된다.
  4. 매개변수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다.
(정답률: 33%)
  • "곡선식에 대한 계산시간이 3차, 4차식보다 적게 걸린다."가 올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2차 곡선방정식은 일반적으로 3차, 4차식보다 계산시간이 더 걸립니다. 그러나 2차 곡선방정식은 여러개의 곡선을 하나의 곡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된 여러개의 곡선사이의 곡률의 연속이 보장되며, 매개변수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N10블록의 G49의 의미는?

  1. 공구경 보정
  2. 공구길이 보정
  3. 공구길이 보정 해제
  4. 공구경 보정 해제
(정답률: 78%)
  • N10 블록의 G49는 공구길이 보정을 해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는 이전에 설정된 공구길이 보정 값을 초기화하여 현재 사용하는 공구의 실제 길이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공구길이 보정 해제"가 정답입니다. "공구경 보정"과 "공구경 보정 해제"는 공구의 지름을 보정하는 명령어이며, 이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포스트 프로세서의 작업 내용은?

  1. 도면 작성시 도형 정의 프로그램
  2. 3차원 프로그램
  3. 작업의 표준화에 필요한 프로그램
  4. CNC 공작기계에 맞추어 NC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
(정답률: 73%)
  • 포스트 프로세서는 CNC 공작기계에 맞추어 NC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는 CNC 공작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포스트 프로세서는 CNC 공작기계와 함께 사용되며, CNC 공작기계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모델링할 경우에 부울 연산법에 의해서 가장 원활하게 모델을 구성할 수 있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와이어프레임(WIREFRAME)모델
  2. 서피스(SURFACE) 모델
  3. 시스템(SYSTEM) 모델
  4. 솔리드(SOLID) 모델
(정답률: 60%)
  • 부울 연산법에 의해서 가장 원활하게 모델을 구성할 수 있는 방식은 "솔리드(SOLID) 모델"이다. 이는 객체를 3차원 공간에서 실제 물체와 같이 모델링하는 방식으로, 객체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어 부울 연산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반면, 와이어프레임 모델이나 서피스 모델은 객체의 내부를 모델링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울 연산법을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시스템 모델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객체 모델링과는 다른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엔드밀로 그림과 같은 위치에서 360도 원을 가공할 때 맞는 프로그램은?

  1. G17 G03 I-2. F100;
  2. G17 G03 J-2. F100;
  3. G18 G02 J2. F100;
  4. G18 G03 I2. F100;
(정답률: 59%)
  • 엔드밀로 360도 원을 가공할 때는 G17 평면에서 가공해야 하므로 G17이 포함된 보기들 중 선택해야 한다. 또한, 엔드밀로 외부에서 내부로 원을 가공할 때는 G02, 내부에서 외부로 원을 가공할 때는 G03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G17 G03 또는 G17 G02 중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원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I, J 값은 원의 반지름과 관련이 있다. 이 문제에서는 엔드밀이 원의 외부에서 가공하므로 J 값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I, J 값은 각도가 아니라 거리를 나타내므로, 원의 반지름과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값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G17 G03 J-2. F10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컴퓨터 그래픽의 기본요소(PRIMITIVE)중 3차원 프리미티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구(sphere)
  2. 관(tube)
  3. 원통(cylinder)
  4. 선(line)
(정답률: 71%)
  • 선은 2차원적인 요소로, 길이와 방향만을 가지고 있으며 굵기나 굴곡 등의 3차원적인 속성이 없기 때문에 3차원 프리미티브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선(lin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일반적인 CNC공작기계에서 제품가공 흐름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프로그램작성 → 도면 → 가공계획 → 기계가공 → 제품
  2. 도면 → 가공계획 → 프로그램작성 → 기계가공 → 제품
  3. 제품 → 도면 → 기계가공 → 가공계획 → 프로그램작성
  4. 도면 → 프로그램작성 → 가공계획 → 기계가공 → 제품
(정답률: 55%)
  • CNC공작기계에서 제품가공 흐름은 일반적으로 도면을 기반으로 가공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한 후 기계가공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제품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도면 → 가공계획 → 프로그램작성 → 기계가공 → 제품"이 가장 적합한 흐름입니다. 도면을 먼저 확인하고 가공계획을 수립하면 제품의 가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후 프로그램 작성을 통해 기계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기계가공을 통해 실제로 제품을 가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제품을 검수하여 최종적으로 출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CNC공작기계를 도입함에 따른 장점이 아닌 것은?

  1. 품질의 균일성
  2. 공구수명의 연장
  3. 준비시간의 절감
  4. 리드 타임의 연장
(정답률: 67%)
  • CNC공작기계를 도입함으로써 품질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공구수명이 연장되며, 준비시간이 절감됩니다. 그러나 리드 타임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으로 인해 생산 기간이 연장됩니다. 따라서 리드 타임의 연장은 CNC공작기계를 도입함에 따른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CNC선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NC선반의 이송은 공작물 회전당 공구의 이송량을 주로 사용한다.
  2. 제 2원점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작업자가 설정 할 수 없다.
  3. 절대 명령은 X와 Z로, 증분 명령은 U와 W로 명령한다.
  4. 동일 지령절에 절대 명령과 증분 명령을 동시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5%)
  • "동일 지령절에 절대 명령과 증분 명령을 동시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NC선반에서는 절대 명령과 증분 명령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원점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작업자가 설정 할 수 없는 이유는, 제 2원점은 CNC선반의 원점 중 하나로, 공작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CNC선반을 사용할 때, 제 2원점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AD/CAM에서 사용되는 모델 구성방식에 대한 내용 중 잘못 설명한 것은?

  1. wire frame model-실루엣(silhouette)이 잘 나타난다.
  2. surface model-NC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3. solid model-정의된 형상의 무게를 구할 수 있다.
  4. surface model-tool path를 구할 수 있다.
(정답률: 48%)
  • "wire frame model-실루엣(silhouette)이 잘 나타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wire frame model은 실루엣을 나타내지 않는다. wire frame model은 선분으로만 모델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모델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실제적인 제조 과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보조기능 중에서 기계부의 ON/OFF기능이 아닌 것은?

  1. M02
  2. M03
  3. M05
  4. M09
(정답률: 28%)
  • 정답은 "M05"이다. "M02"는 스피들 회전 방향을 설정하는 기능이며, "M03"은 시계 방향으로 스피들을 회전시키는 기능, "M09"는 쿨런트(냉각유)를 정지시키는 기능이다. "M05"는 회전 중인 스피들을 정지시키는 기능이므로, ON/OFF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머시닝센타에서 2날 엔드밀를 사용하여 이송속도 (G94F100)으로 가공할 때 엔드밀의 날 하나당 이송속도는 몇 mm/tooth 인가? (단, 주축의 회전수는 500rpm 이다.)

  1. 0.05
  2. 0.1
  3. 0.2
  4. 0.25
(정답률: 46%)
  • 이송속도 (G94F100)는 1분당 이동거리를 나타내는데, 주축의 회전수가 500rpm 이므로 1초당 회전수는 500/60 = 8.33 회전이다. 따라서, 1회전당 이동거리는 엔드밀의 주효지름(10mm) x 파이 = 31.4mm 이다.

    엔드밀의 이송속도는 이동거리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나타내는데, 이는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동속도는 이동거리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나타내는데, 이는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속도 (G94F100)에서 엔드밀의 이동속도는 100mm/min 이다.

    날 하나당 이동거리는 이동거리를 날의 수로 나누면 된다. 엔드밀은 4날이므로, 날 하나당 이동거리는 31.4mm / 4 = 7.85mm 이다.

    따라서, 엔드밀의 날 하나당 이송속도는 7.85mm / 100mm/min = 0.0785mm/tooth 이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인 "0.1"과 가장 일치하므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머시닝센터에서 리머 가공시 바르지 못한 것은?

  1. 기계 리머를 사용한다.
  2. 리머를 뺄 때 정회전 상태에서 절입시와 같은 이송 속도로 한다.
  3. 좋은 가공면을 얻기 위하여 높은 절삭속도로 이송을 빠르게 한다.
  4. 리머 가공시 충분한 절삭유를 주입하여 칩(chip)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률: 64%)
  • 높은 절삭속도로 이송을 빠르게 함으로써 리머 가공시에는 좋은 가공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절삭력이 증가하고 칩 배출이 원활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자동공구 교환장치(ATC)에서 공구교환 명령은?

  1. M06
  2. M30
  3. M50
  4. M40
(정답률: 71%)
  • "M06"은 ATC에서 공구교환 명령을 나타내는 G-code 중 하나이다. 이 명령은 현재 사용 중인 공구를 해제하고 새로운 공구를 교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ATC에서 공구를 교환할 때는 "M06" 명령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임의의 4개의 점이 공간상에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점으로 한 개의 베지어(Bezier)곡선을 구성한다면 베지어 곡선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계산식의 차수는 몇 차식인가?

  1. 1차식
  2. 2차식
  3. 3차식
  4. 4차식
(정답률: 59%)
  • 베지어 곡선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계산식은 3차식이다. 이는 베지어 곡선이 4개의 점을 지나기 때문에 4개의 제어점이 필요하며, 이 4개의 점을 이용하여 3차 베지어 곡선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