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다음 그림은 밀링에서 더브테일 가공도면이다. X의 치수로 맞는 것은?

  1. 23.608
  2. 25.608
  3. 22.712
  4. 18.712
(정답률: 53%)
  • 주어진 도면에서 X 치수는 더브테일의 가장 넓은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림에서 더브테일의 가장 넓은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면 약 23.608mm 이므로 정답은 "23.6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밀링작업에 있어서 직접 분할법(direct indexing method) 중 불가능한 분할수는?

  1. 2
  2. 3
  3. 5
  4. 24
(정답률: 61%)
  • 직접 분할법은 주어진 작업을 여러 번 나누어 수행하는 방법으로, 분할할 수 있는 수가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분할할 수 있는 수가 많을수록 좋은데, 주어진 보기에서 "5"를 제외한 모든 수는 소수가 아니므로, 분할할 수 있는 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5"는 직접 분할법으로 분할할 수 있는 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밀링머신의 부속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슬로팅 장치 : 밀링머신의 컬럼에 장치하여 주축의 회전운동을 공구대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2. 분할 장치 : 일감을 필요한 등분이나 각도로 분할할수 있는 장치로서, 분할대라 한다.
  3. 래크 절삭 장치 : 밀링머신의 컬럼에 부착하여사용하며, 래크 기어를 절삭할 때 사용한다.
  4. 회전 테이블 : 수평방향의 스핀들 회전을 기어에 의해 수직박향으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회전 테이블 : 수평방향의 스핀들 회전을 기어에 의해 수직박향으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가 아니다. 회전 테이블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장치이며, 기어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기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비교 측정기에 속하는 것은?

  1. 강철자
  2. 다이얼 게이지
  3. 마이크로미터
  4. 버니어캘리퍼스
(정답률: 80%)
  • 다이얼 게이지는 물체의 크기나 간격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비교 측정기 중 하나입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물체의 표면에 닿아서 측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이얼에 표시된 숫자를 읽어서 측정값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는 비교 측정기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숫돌바퀴를 다루는데 유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연삭 숫돌을 보관할 때는 목재로 된 보관함에 보관한다.
  2. 숫돌바퀴를 굴리거나 쓰러뜨리지 않는다.
  3. 쇠 해머를 두드려 음향 검사를 한다.
  4. 제조 후 사용 회전수의 1.5 ~ 2배의 속도로 회전시켜 안전성 검사를 한다.
(정답률: 75%)
  • "쇠 해머를 두드려 음향 검사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숫돌바퀴를 검사할 때는 쇠 해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려 소리를 듣거나, 눈으로 시각적인 결함을 확인합니다. 쇠 해머를 사용하면 숫돌바퀴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CNC의 서보시스템 제어방법에서 피드백 장치의 유무와 검출 위치에 따라 4가지 방식이 있다. 다음 중 4가지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개방회로 방식
  2. 복합서보 방식
  3. 폐쇄회로 방식
  4. 단일회로 방식
(정답률: 65%)
  • 단일회로 방식은 CNC의 서보시스템 제어방법 중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단일회로 방식은 피드백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전류나 전압 등을 직접 검출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피드백 장치의 유무나 검출 위치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CNC의 서보시스템 제어방법 중에서는 개방회로 방식, 폐쇄회로 방식, 복합서보 방식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반작업에서 구성인선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윤활성이 좋은 절삭유제를 사용한다.
  2. 공구의 경사각을 작게 한다.
  3. 절삭속도를 작게 한다.
  4. 절삭깊이를 크게 한다.
(정답률: 64%)
  • 선반작업에서 구성인선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윤활성이 좋은 절삭유제를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절삭유제는 절삭면과 공구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켜 구성인선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윤활성이 좋은 절삭유제를 사용하면 구성인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삭가공 중에 발생하는 떨림의 원인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숫돌의 결합도가 너무 클 때
  2. 숫돌축이 편심져 있을 때
  3. 숫돌의 평행상태가 불량할 때
  4. 습식 연삭을 할 때
(정답률: 69%)
  • 습식 연삭을 할 때는 물이 사용되기 때문에 연삭과정에서 물이 흐르면서 떨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습식 연삭을 할 때 떨림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링 머신에서 구멍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절삭 공구는?

  1. 밀링커터
  2. 다이스
  3. 엔드밀
  4. 보링 바이트
(정답률: 66%)
  • 보링 머신은 회전하는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원형 구멍을 가공하는 기계이다. 이때 사용되는 절삭 공구가 바로 보링 바이트이다. 보링 바이트는 회전하는 칼날이 달린 원통형 공구로, 보링 머신의 주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원형 구멍을 가공한다. 따라서 보링 바이트가 보링 머신에서 구멍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절삭 공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구를 안전하게 취급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모든 공구는 작업에 적합한 공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2. 공구는 사용 후 공구함에 보관한다.
  3. 공구는 기계나 재료 위에 놓고 사용한다.
  4. 불량 공구는 반납하고, 함부로 수리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88%)
  • "공구는 기계나 재료 위에 놓고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공구는 안정적인 표면 위에 놓고 사용해야 하며, 작업 중에는 공구를 들고 다니거나 고정시켜 사용해야 합니다. 기계나 재료 위에 놓으면 공구가 떨어져 다칠 수 있고, 작업 중에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스프링이나 기어와 같이 반복 하중을 받는 기계부품에 소형 강구 등을 표면에 고속으로 분사시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가공법은?

  1. 액체 호닝
  2. 쇼트 피닝
  3. 버니싱
  4. 전해연삭
(정답률: 57%)
  • 쇼트 피닝은 고속으로 소형 강구를 표면에 분사하여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으로, 반복 하중을 받는 기계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스프링이나 기어와 같은 기계부품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절삭유로서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화학적 변화가 클 것
  2. 마찰계수가 작을 것
  3. 유막의 내압력이 높을 것
  4. 산화나 열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을 것
(정답률: 88%)
  • 절삭유는 금속 가공 시에 사용되는 윤활유로, 금속과의 마찰을 줄여서 가공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절삭유로서 구비해야 할 조건은 마찰계수가 작을 것, 유막의 내압력이 높을 것, 산화나 열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을 것 등이 있다. 그러나 "화학적 변화가 클 것"은 절삭유로서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절삭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호빙머신에서 제작되는 기어 피치의 정밀도는 특히 어느 것에 의해 좌우되는가?

  1. 컬럼의 정밀도
  2. 웜 및 웜기어의 정밀도
  3. 호브 헤드의 정밀도
  4. 베드 및 안내면의 정밀도
(정답률: 39%)
  • 호빙머신에서 제작되는 기어 피치의 정밀도는 웜 및 웜기어의 정밀도에 의해 좌우된다. 이는 웜 및 웜기어가 기어의 회전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과 변형 등의 영향으로 인해 기어 피치의 정밀도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웜 및 웜기어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기어 제작의 정확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C, TiC, TaC 등의 탄화물 분말을 Co 나 Ni 분말과 혼합하여 14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서 프레스로 소결 성형한 공구재료는?

  1. 주조합금
  2. 초경합금
  3. 시효경화합금
  4. 합금공구강
(정답률: 80%)
  • WC, TiC, TaC 등의 탄화물 분말은 고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공구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탄화물 분말을 Co 나 Ni 분말과 혼합하여 고온에서 소결 성형하면, 초경합금이라는 고강도 합금이 만들어집니다. 이 합금은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며 내마모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공구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경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트랜스퍼 머신(Transfer machine)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범용 공작기계
  2. 전용 공작기계
  3. 만능 공작기계
  4. 단능 공작기계
(정답률: 42%)
  • 전용 공작기계에 속한다.

    트랜스퍼 머신은 여러 개의 작업 단계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고도로 자동화된 공작기계로, 특정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전용 공작기계에 해당한다. 범용 공작기계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다목적 기계이며, 만능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기계 중 가장 고급스러운 것을 의미한다. 단능 공작기계는 특정한 가공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마이크로미터(micrometer)의 측정면에 대해 평면도 검사가 가능한 기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반
  2. 게이지 블록
  3. 옵티컬 플랫
  4. 다이얼 게이지
(정답률: 62%)
  • 옵티컬 플랫은 평면도 검사에 가장 적합한 기기 중 하나입니다. 이는 빛을 이용하여 평면도의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미터의 측정면에 대해 평면도 검사가 필요한 경우 옵티컬 플랫이 가장 적합한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름 4 cm인 탄소강을 밀링가공 시 절삭속도 v=62.8 m/min 이다. 커터 지름이 2 cm일 때 적당한 회전수는 약 몇 rpm 인가?

  1. 1000
  2. 1500
  3. 1750
  4. 2000
(정답률: 47%)
  •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 = (v × 1000) / (π × D)

    여기서, v는 절삭속도, D는 커터 지름이다. π는 3.14로 가정한다.

    따라서, n = (62.8 × 1000) / (3.14 × 2 × 4) = 1000 rpm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을 사용하는 가공에 있어서 해머 사용시 주의사항 중 잘못 된 것은??

  1. 따내기 가공시 보호 안경을 착용토록 한다.
  2. 작업 전 주위 상황을 확인하고 눈은 해머를 보며 작업한다.
  3. 자루가 불안정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4. 처음에는 가볍게 때리고, 점차 힘을 가하도록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처음에는 가볍게 때리고, 점차 힘을 가하도록 한다." 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가공시에는 처음부터 적절한 힘을 가해야 하며, 점차적으로 힘을 더해가는 것은 위험하다. 작업 전 주위 상황을 확인하고 눈은 해머를 보며 작업하는 이유는 안전을 위해서이다. 작업 중에 해머가 떨어져 눈에 맞을 수 있기 때문에 눈을 보호해야 하며, 주위 상황을 확인하여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루가 불안정한 것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며, 따내기 가공시 보호 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안전을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숫돌의 규격표시에서 “L"이 의미하는 것은?

  1. 입도
  2. 조직
  3. 결합제
  4. 결합도
(정답률: 45%)
  • "L"은 길이를 나타냅니다.

    정답이 "결합도"인 이유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결합도"는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공작기계 중에서 직립 셰이퍼라고도 하며, 공구는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테이블은 수평면에서 직선 또는 원운동을 하면서 주로 키홈 또는 스플라인 등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는?

  1. 선반(lathe)
  2. 밀링 머신(milling machine)
  3. 슬로터(slotter)
  4. 원통 연삭기(cylindrical grinding machine)
(정답률: 74%)
  • 슬로터는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공구와 수평면에서 직선 또는 원운동을 하는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 주로 키홈 또는 스플라인 등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따라서 슬로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아연을 소량 첨가한 황동으로 빛깔이 금색에 가까워 모조금으로 사용되는 것은?

  1. delta metal
  2. hard brass
  3. muntz metal
  4. tombac
(정답률: 64%)
  • 아연을 소량 첨가한 황동으로 빛깔이 금색에 가까워 모조금으로 사용되는 것은 "tombac"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delta metal", "hard brass", "muntz metal"과는 구성 성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tombac"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구리와 아연의 비율에 따라 색상이 달라집니다. 반면, "delta metal"은 구리와 마그네슘의 합금, "hard brass"는 구리와 아연, 납, 비소 등의 합금, "muntz metal"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0.8% C 이하의 아공석강에서 탄소함유량 증가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감소하는 것은?

  1. 경도
  2. 항복점
  3. 인장강도
  4. 연신율
(정답률: 72%)
  • 탄소는 강도를 증가시키지만, 동시에 연신율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탄소함유량이 증가하면 아공석강의 기계적 성질 중에서 연신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금속 중 가장 무거운 것은?

  1. Al
  2. Mg
  3. Ti
  4. Pb
(정답률: 58%)
  • 가장 무거운 금속은 Pb(납)입니다. 이는 원자량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Pb의 원자량은 207.2이며, 다른 보기들의 원자량은 각각 26.98(Al), 24.31(Mg), 47.87(Ti)입니다. 따라서 Pb가 가장 무거운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경합금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내마모성과 압축강도가 낮다.
  2. 고온경도 및 강도가 양호하다.
  3. 경도가 높다.
  4. 고온에서 변형이 적다.
(정답률: 72%)
  • 초경합금은 경도가 높고 고온에서 변형이 적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마모성과 압축강도가 낮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인 주철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주조성이 우수하다.
  2. 복잡한 형상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3. 가격이 싸고 널리 사용된다.
  4. 소성변형이 쉽다.
(정답률: 62%)
  • 주철은 소성변형이 어렵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주철이 고탄소강과 달리 열처리 과정에서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소성변형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철은 주로 주조용으로 사용되며, 복잡한 형상도 쉽게 제작할 수 있고 가격이 싸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황동에 납(Pb)을 첨가하여 절삭성을 향상시킨 것은?

  1. 쾌삭황동
  2. 강력황동
  3. 문츠메탈
  4. 톰백
(정답률: 73%)
  • 황동은 연성이 높지만 절단성이 낮은 반면, 납은 절단성이 높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황동에 납을 첨가하면 황동의 연성은 유지하면서도 절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황동에 납을 첨가한 합금은 "쾌삭황동"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황동에 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황동이란 Cu-Pb계 합금으로 공기 중에서 산화가 안되고 황금색이며, 고급재료로 사용된다.
  2. 황동이란 Cu-Zn계 합금으로서 7:3 황동, 6:4 황동이 널리 알려져 있다.
  3. 황동이란 Cu-Si계 합금으로서 내식성, 내마모성이 좋고 가격이 싸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4. 황동이란 Cu-Sn계 합금으로서 강력하므로 기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77%)
  • 정답은 "황동이란 Cu-Zn계 합금으로서 7:3 황동, 6:4 황동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다. 이유는 황동이란 구리와 아연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7:3 황동은 구리 70%, 아연 30%로 이루어져 있고, 6:4 황동은 구리 60%, 아연 4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황동은 고강도, 내식성, 내마모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서 기계 부품, 동전, 의류 장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구리의 성질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화학적 저항력이 적어 부식이 잘 된다.
  2. 아름다운 광택과 귀금속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3. 전연성이 좋아 가공하기 쉽다.
  4. 전기 및 열 전도도가 높다.
(정답률: 63%)
  • 정답은 "화학적 저항력이 적어 부식이 잘 된다." 이다. 구리는 대부분의 화학물질과 반응하여 부식되기 쉽기 때문에 화학적 저항력이 적다. 이는 구리가 녹슬거나 검게 변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구리는 부식 방지를 위해 적절한 코팅이나 도금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탄소강에 함유되어 있는 원소 중 강도와 고온 가공성을 증가시키고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며, 적열메짐을 방지하는 것은?

  1. 규소
  2. 망간
(정답률: 57%)
  • 망간은 탄소강에 함유되어 강도와 고온 가공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고 적열메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망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공질 재료에 윤활유를 흡수시켜 계속해서 급유하지 않아도 되는 베어링 합금은?

  1. 켈밋
  2. 배빗메탈
  3. 오일라이트
  4. 루기메탈
(정답률: 60%)
  • 오일라이트는 다공질 구조를 가진 재료에 윤활유를 흡수시켜 사용하는 베어링 합금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급유가 필요하지 않아 윤활유의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일라이트는 경제적이고 유지보수가 쉬운 베어링 합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회전수 200 rpm인 연강축 플랜지 커플링에서 40PS의 동력을 전달시키려면 축의 지름은 최소 몇 mm 이상이 좋은가? (단, 축의 허용비틀림 응력 τa = 2 kgf/mm2 이며, 축은 비틀림 모멘트만을 고려한다.)

  1. 72
  2. 77
  3. 82
  4. 87
(정답률: 23%)
  • 비틀림 모멘트는 M = Td/2π로 주어지며, 여기서 T는 전달하려는 동력에 비례하는 토크이다. 따라서 T를 구하기 위해 먼저 40PS를 와트로 변환하면 29.83 kW가 된다. 이를 rpm으로 변환하면 200/60 = 3.33 rps가 된다.

    전달하려는 동력과 회전수를 이용하여 토크를 구하면 T = 29.83 kW / 3.33 rps = 8.95 kNm이 된다.

    비틀림 응력 τa와 축의 지름 d를 이용하여 토크를 구하는 공식인 T = (π/16)τad3을 이용하여 d를 구하면 d = (16T/πτa)1/3 = (16 × 8.95 × 103 / π × 2) 1/3 = 71.9 mm가 된다.

    따라서, 축의 지름은 최소 72m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연강의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후크의 법칙(Hook's law)이 성립하는 구간으로 알맞은 것은?

  1. 항복점
  2. 극한강도
  3. 비례한도
  4. 소성변형
(정답률: 48%)
  • 연강의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후크의 법칙이 성립하는 구간은 "비례한도"입니다. 이는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는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는 연성 변형이 일어나며, 응력이 제거되면 구조물이 처음 상태로 돌아갑니다. 이 구간을 넘어서면 항복점 이후에는 플라스틱 변형이 일어나며, 극한강도까지 응력이 증가하다가 구조물이 파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원통커플링에서 원통을 조이는 힘을 P라 하면 이 마찰커플링의 전달 토크는? (단, 마찰계수는 μ, 축의 지름을 d, 축과 원통의 접촉길이(커플링의 길이)를 L로 한다.)

  1. T=μπPd
  2. T=2μPd
(정답률: 31%)
  • 마찰커플링에서 전달 토크는 마찰력에 의해 발생한다. 원통을 조이는 힘 P가 작용하면, 마찰력은 μP이고, 이는 원통과 축 사이의 마찰력과 같다. 따라서, 전달 토크는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므로 T=μPd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축과 원통의 접촉길이(커플링의 길이)를 L로 주어졌으므로, 실제로는 원통과 축 사이의 마찰력이 L에 걸쳐 분포되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전달 토크는 T=2μP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면적이 600mm2인 봉에 600 kgf의 추를 달았더니 이 봉에 생긴 인장응력이 재료의 허용인장응력에 도달하였다.이 봉재의 극한강도가 500 kgf/cm2이면 안전율은 얼마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34%)
  • 우선, 봉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구해보자.

    인장력 = 600 kgf

    봉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인장응력을 구할 수 있다.

    인장응력 = 인장력 / 단면적 = 600 kgf / 600 mm^2 = 1 kgf/mm^2

    이 값이 재료의 허용인장응력인 500 kgf/cm^2보다 크므로, 봉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안전율은 극한강도를 허용인장응력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안전율 = 극한강도 / 허용인장응력 = 500 kgf/cm^2 / 1 kgf/mm^2 = 500

    따라서, 안전율은 500이 된다. 이 중에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역류를 방지하며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러가 게 하는 밸브(valve)로 적합한 것은?

  1. 체크 밸브
  2. 감압 밸브
  3. 시퀀스 밸브
  4. 언로드 밸브
(정답률: 85%)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역류를 방지하며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러가게 하는 밸브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스프링의 변형에 대한 강성을 나타내는 것에 스프링 상수가 있다. 하중이 W[kgf]일 때 변위량을 δ[mm]라 하면 스프링 상수 k [kgf/mm]는?

  1. T=δW
  2. T=W-δ
(정답률: 73%)
  • 스프링 상수 k는 하중 W에 대한 변위량 δ의 비례상수이다. 즉, k = W/δ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름 20mm, 길이 500mm인 탄소강재에 인장하중이 작용하여 길이가 502mm가 되었다면 변형률은?

  1. 0.01
  2. 1.004
  3. 0.02
  4. 0.004
(정답률: 50%)
  • 변형률은 (변형된 길이-원래 길이)/원래 길이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2-500)/500 = 0.004 이므로 정답은 "0.0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벨트의 긴장측 장력이 500 N, 허용인장응력이 2.5 N/mm2일 때, 벨트의 너비(폭)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벨트의 두께는 2 mm, 이음 효율은 80% 이다.)

  1. 75
  2. 100
  3. 125
  4. 150
(정답률: 28%)
  • 장력과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장력 = 인장응력 × 단면적

    단면적 = 장력 ÷ 인장응력

    여기서 벨트의 단면적은 너비(폭) × 두께이다. 따라서,

    너비(폭) = 단면적 ÷ 두께

    너비(폭) = (장력 ÷ 인장응력) ÷ 두께

    너비(폭) = (500 N ÷ 2.5 N/mm2) ÷ 2 mm

    너비(폭) = 100 mm

    하지만, 이음 효율이 80%이므로 실제로는 벨트가 전달하는 힘이 80%만큼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장력이 500 N × 0.8 = 400 N이다. 이를 이용하여 다시 계산하면,

    너비(폭) = (400 N ÷ 2.5 N/mm2) ÷ 2 mm

    너비(폭) = 80 mm

    따라서, 벨트의 너비는 최소 125 m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름 50 mm의 연강축을 사용하여 350rpm으로 40kW을 전달할 묻힘 키의 길이는 최소 몇 mm 이상인가? (단, 키 재료의 허용전단응력은 5 kgf/mm2, 키의 폭과 높이는 bxh = 15mm×10 mm 이며 전단저항만 고려한다.)

  1. 38
  2. 46
  3. 60
  4. 78
(정답률: 43%)
  • 먼저, 연강축의 최대전단응력은 τ = Tc/J 이다. 여기서 T는 전달하려는 토크, c는 축의 반지름, J는 극관성이다. 따라서 J = πc^4/2 이다.

    전달하려는 토크 T는 P/ω 이므로, 여기서 P는 전달하려는 출력, ω는 회전속도이다. 따라서 T = 9550P/ω 이다.

    따라서 최대전단응력은 τ = 16T/πc^3 이므로, τ = 16(9550P/ω)/πc^3 이다.

    키의 전단저항은 τ = F/A 이므로, 여기서 F는 전달하려는 토크에 대한 키의 반력, A는 키의 단면적이다. 따라서 F = T/b, A = bxh 이다.

    따라서 전달하려는 토크에 대한 키의 반력은 F = T/b = (9550P/ω)/b 이다.

    따라서 전달하려는 토크에 대한 키의 전단응력은 τ = (9550P/ω)/(bxbxh/2) 이다.

    이제 이 식을 전달하려는 출력과 회전속도에 대해 정리하면, τ = 9550P/(ωxbxbh) 이다.

    허용전단응력은 5 kgf/mm^2 이므로, 5 = 9550P/(ωxbxbh) 이다.

    따라서 키의 길이 h는 h ≥ 2T/(πc^2xτ) = 2(9550P/ω)/(πc^2x5) 이다.

    여기에 P = 40 kW, ω = 350 rpm, c = 25 mm, b = 15 mm를 대입하면, h ≥ 60 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크레인용 후크에서 2 ton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 적합한 나사의 최소 크기는?

  1. M30
  2. M38
  3. M45
  4. M50
(정답률: 51%)
  • 크레인용 후크에서 작용하는 하중은 매우 크기 때문에, 나사의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적합한 나사의 크기는 하중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2 ton의 하중이 작용하므로, 적합한 나사의 최소 크기는 M30이다. 이는 다른 보기보다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서피스 모델(surface model)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2. 단면도를 작성할 수 없다.
  3. 복잡한 형상 표현이 가능하다.
  4. 물리적 성질을 구하기 어렵다.
(정답률: 55%)
  • 서피스 모델은 3차원 모델링 기법 중 하나로, 복잡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면도를 작성할 수 없는 이유는 서피스 모델이 표면을 기반으로 모델링하기 때문입니다. 즉, 내부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표면만을 표현하기 때문에 단면도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또한 물리적 성질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은 서피스 모델이 실제 물리적인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델링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모델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솔리드 모델링은 3차원의 형상정보를 완전하게 표현하는 방식이다.
  2. 솔리드 모델의 표현방식에는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방식과 B-rep(Boundary Representation)방식 등이 있다.
  3. B-rep방식은 경계가 잘 정의되는 단위형상(primitive)의 조합으로 솔리드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4. 기하학적 모델링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차원 모델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41%)
  • "기하학적 모델링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차원 모델링 등으로 나눌 수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기하학적 모델링은 나타내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2D 모델링, 3D 모델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B-rep 방식은 경계가 잘 정의되는 단위형상(primitive)의 조합으로 솔리드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는 솔리드 모델링의 표현 방식 중 하나이며, 3차원의 형상정보를 완전하게 표현하는 방식이다. CSG 방식은 불연속적인 공간을 포함하는 솔리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B-rep 방식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2차원 변환행렬에서 m,n은 어떤 변환과 관계되는가?

  1. 전단(shearing)
  2. 이동(translation)
  3. 투사(projection)
  4. 전체적인 스케일링(overall scaling)
(정답률: 70%)
  • 이 행렬은 이동(translation) 변환을 나타낸다. 이유는 행렬의 마지막 열이 (m, n)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x축 방향으로 m만큼, y축 방향으로 n만큼 이동하는 변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DNC 운전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1. RTS
  2. DSR
  3. BPS
  4. CTS
(정답률: 78%)
  • BPS는 비트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DNC 운전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를 나타내기에 적합한 단위이다. RTS, DSR, CTS는 모두 데이터 흐름 제어와 관련된 신호이지만,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형상은 같으나 치수가 다른 도형 등을 생성할 때 가변되는 기본 도형을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치수를 변경하여 비례되는 도형을 생성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매크로화 기능
  2. 디스플레이 변형 기능
  3. 도면화 기능
  4.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
(정답률: 78%)
  • 정답: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은 가변되는 기본 도형을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치수를 변경하여 비례되는 도형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도면을 생성할 때 도형의 크기나 모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매크로화 기능, 디스플레이 변형 기능, 도면화 기능은 파라메트릭 도형 기능과는 다른 기능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미리 정해진 연속된 단면을 덮은 표면 곡면을 생성시켜 닫혀진 부피 영역 혹은 솔리드 모델을 만드는 모델링 방법은?

  1. 스위핑(sweeping)
  2. 스키닝(skinning)
  3. 트위킹(tweaking)
  4. 리프팅(lifting)
(정답률: 46%)
  • 스키닝은 미리 정해진 연속된 단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 단면을 연결하여 곡면을 생성하는 모델링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곡면을 만들기 위해 복잡한 수학적 계산이 필요하지 않으며, 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의 솔리드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모델링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NC 밀링 머신이나 머시닝 센터에서 3차원 자유 곡면가공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구는?

  1. 볼 엔드밀(Ball endmill)
  2. 평 엔드밀(Flat endmill)
  3. 테이퍼 엔드밀(Taper endmill)
  4. 호브(Hob)
(정답률: 80%)
  • 볼 엔드밀은 끝 부분이 둥근 구형으로 되어 있어 3차원 곡면을 가공할 때 둥근 곡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평 엔드밀은 끝 부분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2차원 평면을 가공할 때 주로 사용되며, 테이퍼 엔드밀은 끝 부분이 점점 뾰족해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호브는 기어 가공에 사용되는 공구로, 3차원 곡면 가공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AD/CAM 시스템에서 B-rep(boundary representation)방식에 의해서 형상을 구성할 때 물체에 구멍이 없는 다면체인 경우에는 오일러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다음 중 오일러의 관계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꼭지점의 개수 + 면의 개수 - 모서리 개수 = 2
  2. 꼭지점의 개수 - 면의 개수 - 모시리 개수 = 2
  3. 모서리 개수 + 꼭지점의 개수 - 면의 개수 = 2
  4. 모서리 개수 +면의 개수 -꼭지점의 개수 = 2
(정답률: 39%)
  • 정답은 "꼭지점의 개수 + 면의 개수 - 모서리 개수 = 2" 이다.

    이 식은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로, 3차원 공간에서 다면체의 꼭지점, 면, 모서리의 개수와 관련된 식이다. 이 식은 모든 다면체에 대해 성립하며, 다면체의 형태와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2가 나온다.

    이 식은 다면체의 형태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꼭지점과 모서리의 개수가 주어졌을 때, 면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또는 면의 개수와 모서리의 개수가 주어졌을 때, 꼭지점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를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NC 가공을 위한 프로그램의 작성 과정 중 가공 공정계획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가공 순서
  2. 절삭공구의 선정
  3. 소재 구입 방법 결정
  4. CNC 공작기계 선정
(정답률: 70%)
  • CNC 가공을 위한 프로그램의 작성 과정에서 가공 공정계획은 가공 순서, 절삭공구의 선정, CNC 공작기계 선정 등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소재 구입 방법 결정은 가공 공정계획의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이미 소재가 구입되어 있거나, 구입 방법이 이미 결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가공 공정계획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국 국가표준협회(ANSI)에서 제정한 표준 규격으로 제품정의 데이터의 수치적 표현 및 교환을 위한 중립 데이터 형식의 제공을 목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교환방식은?

  1. DWG
  2. DXF
  3. IGES
  4. STL
(정답률: 72%)
  • IGES는 제품정의 데이터의 수치적 표현 및 교환을 위한 중립 데이터 형식의 제공을 목적으로 ANSI에서 제정한 표준 규격이다. 다른 보기들은 CAD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지만, IGES는 다양한 CAD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중립 형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직육면체, 원통, 구 등의 프리미티브(primitive)에 대한 집합(Booloan) 연산을 통하여 형상 모델을 구축해 나가는 방식은?

  1. 스윕(sweep) 방식
  2.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 방식
  3. B-rep(Boundary representation) 방식
  4. 서피스 모델(surface model) 방식
(정답률: 70%)
  • CSG 방식은 프리미티브들을 논리적인 연산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직육면체, 원통, 구 등의 프리미티브를 조합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스윕 방식은 프로파일 곡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형상을 만들어가는 방식이고, B-rep 방식은 형상의 경계면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방식이다. 서피스 모델 방식은 형상의 표면을 모델링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AD 시스템의 주요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운영 시스템 체크 기능
  2. 문자 작성 기능
  3. 형상 치수 점검 기능
  4. 다른 CAD 시스템의 자료와 호환하는 기능
(정답률: 62%)
  • 운영 시스템 체크 기능은 CAD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 아니며, CAD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기능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도구를 사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인 CAD 시스템에서 직선(line)을 정의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세 개의 점 중 가장 가까운 두 점을 이용하여 정의한다.
  2. 두 원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이용하여 정의한다.
  3. 한 점과 수평선과의 각도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4. 한 개의 점과 호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정의한다.
(정답률: 34%)
  • "세 개의 점 중 가장 가까운 두 점을 이용하여 정의한다."는 일반적인 CAD 시스템에서 직선을 정의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 방법은 세 점이 일직선 상에 있을 때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세 점이 일직선 상에 있지 않다면, 이 방법으로 정의된 직선은 실제 직선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두 원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이용하여 정의한다." 또는 "한 점과 수평선과의 각도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B-spline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곡선 전체의 연속성이 좋다.
  2. 일부 조정점(control point)의 이동에 의하여 곡선 전체의 모양을 변경하는 광범위 변형 성질을 갖는다.
  3. 곡선함수의 차수가 1개의 조정점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곡선 세그먼트의 개수를 결정한다.
  4. B-spline 곡선 세그먼트는 그 근방의 조정점의 위치 벡터에 의하여 형상이 결정된다.
(정답률: 35%)
  • B-spline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부 조정점(control point)의 이동에 의하여 곡선 전체의 모양을 변경하는 광범위 변형 성질을 갖는다." 이다. B-spline 곡선은 일부 조정점의 이동에 의해 국소적인 영향만을 받으며, 전체 곡선의 모양을 변경하는 광범위한 변형 성질을 갖지 않는다. 이는 B-spline 곡선의 국소적인 특성 때문인데, 각 세그먼트는 그 근방의 조정점의 위치 벡터에 의해 형상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조정점의 이동이 전체 곡선에 미치는 영향은 국소적이며, 이는 곡선 전체의 연속성이 좋다는 특징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B-spline 곡선의 차수는 조정점이 영향을 미치는 세그먼트의 개수를 결정하며, 이는 곡선함수의 차수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중심점이 (0, 0)이고 반지름이 r인 원을 매개변수식으로 나타낸 것은? (단, 0 ≦ θ ≦ 2π)

  1. x= r cosθ, y= r sinθ
  2. x= r sinθ, y= r tanθ
  3. x= r cosθ, y= r2 sinθ
  4. x= r sinθ, y= r2 sinθ
(정답률: 44%)
  • 정답: "x= r cosθ, y= r sinθ"

    이유:
    - 원의 중심점이 (0, 0)이므로 x와 y는 각각 반지름 r과 각도 θ에 비례한다.
    - 삼각함수의 정의에 따라 cosθ는 x/r, sinθ는 y/r이다.
    - 따라서 x=r cosθ, y=r sinθ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베지어(Bezier) 곡면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곡면은 조정점의 일반적인 형상을 따른다.
  2. 곡면은 조정점들의 볼록포(convex hull) 외부에 위치한다.
  3. 곡면의 코너와 코너 조정점이 일치한다.
  4. 곡면은 블렌딩 함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답률: 49%)
  • 베지어 곡면은 조정점들의 볼록포(convex hull)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곡면은 조정점들의 볼록포(convex hull) 외부에 위치한다."는 베지어 곡면의 특성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이미 정의된 두 곡면을 필렛(fillet) 처리하여 매끄럽게 연결하는 기능은?

  1. Lifting
  2. Blending
  3. Remeshing
  4. Levelling
(정답률: 72%)
  • Blending은 이미 정의된 두 곡면을 필렛 처리하여 매끄럽게 연결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Lifting은 모델을 높이는 기능, Remeshing은 메쉬를 재구성하는 기능, Levelling은 표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곡선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g)곡선인데 이는 다양한 절점(knot) 벡터와 조정점(control point)에 대한 가중치(weight)벡터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 절점 벡터와 가중치 벡터 중 오더가 3인 non-periodic NURBS로만 표현되는 것은?

  1. 절점 벡터 : [0 1 2 3 4 5 6 7 8], 가중치 벡터 : [1 1 1 1 1 1]
  2. 절점 벡터 : [0 0 0 3 4 6 8 8 8], 가중치 벡터 : [2 1 2 1 2 2]
  3. 절점 벡터 : [0 1 1 3 5 6 6 6 9], 가중치 벡터 : [1 1 2 2 2 2]
  4. 절점 벡터 : [0 1 1 2 2 5 6 6 8], 가중치 벡터 : [1 2 3 4 5 6]
(정답률: 41%)
  • NURBS 곡선은 절점 벡터와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표현되며, 오더가 3인 non-periodic NURBS는 최소한 4개의 절점과 4개의 가중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첫 번째와 세 번째 보기는 절점이 9개이므로 오더가 3인 NURBS로는 표현할 수 없다. 또한, 네 번째 보기는 가중치 벡터의 길이가 6이므로 절점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절점 벡터 : [0 0 0 3 4 6 8 8 8], 가중치 벡터 : [2 1 2 1 2 2]" 이다. 이는 9개의 절점과 9개의 가중치를 가지며, 오더가 3인 non-periodic NURBS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플로터(plotter)
  2. 조이스틱(joystick)
  3. 디지타이저(digitizer)
  4. 키보드(keyboard)
(정답률: 72%)
  • 플로터(plotter)는 출력장치이며,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가 아닙니다. 입력장치는 조이스틱(joystick), 디지타이저(digitizer), 키보드(keyboard)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면의 CAD 모델 표면을 현실감 있게 채색, 원근감, 음영 처리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Animation
  2. Simulation
  3. Modeling
  4. Rendering
(정답률: 70%)
  • Rendering은 CAD 모델의 표면을 현실감 있게 채색하고 원근감, 음영 처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다른 보기인 Animation은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 Simulation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의 동작을 예측하는 작업, Modeling은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델을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경사면에 평행한 투상면을 설치하고 이것에 필요한 부분을 투상하여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투상법은?

  1. 경투상도
  2. 등각투상도
  3. 사투상도
  4. 보조투상도
(정답률: 54%)
  • 경사면에 평행한 투상면을 설치하고 이것에 필요한 부분을 투상하여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투상법은 경투상도이다. 따라서 보조투상도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도면에서 L에 들어갈 치수는?

  1. 7
  2. 13
  3. 17
  4. 12
(정답률: 78%)
  • 주어진 도면에서 L은 직각삼각형의 빗변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빗변의 길이 = √(밑변의 길이² + 높이의 길이²)

    여기서 밑변의 길이는 5, 높이의 길이는 12이므로,

    L = √(5² + 12²) = √(25 + 144) = √169 = 13

    따라서, 정답은 "13"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12"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가능한 오기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호칭번호가 NA4916 V 인 니들 로울러 베어링의 안지름 치수는 몇 mm인가?

  1. 16
  2. 49
  3. 80
  4. 96
(정답률: 60%)
  • NA4916 V는 니들 로울러 베어링의 모델 번호이며, 안지름 치수는 "80"mm입니다. 이는 모델 번호 NA4916 V에서 "16"이 총 롤러 베어링의 개수를 나타내고, "49"가 베어링의 외경을 나타내는데, 이 값은 49mm입니다. 따라서, 안지름 치수는 외경에서 롤러 베어링의 개수를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49mm에서 16개의 롤러 베어링을 빼면 80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 선은?

  1. 숨은선
  2. 기어의 피치선
  3. 기준선
  4. 중심선
(정답률: 51%)
  • 숨은선은 그림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존재하는 선으로, 부품의 내부 구조나 조립 방법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금속재료 기호 중 탄소강 단강품의 KS 기호는?

  1. SF
  2. FC
  3. SC
  4. HBsC
(정답률: 37%)
  • 정답은 "SF"입니다.

    탄소강 단강품은 KS 기호로 "SF"를 사용합니다. 이는 KS D3501 표준에서 정의된 것으로, "S"는 Steel(강철)을 의미하고, "F"는 Flat(평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탄소강 단강품의 KS 기호는 "SF"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FC", "SC", "HBsC"는 각각 다른 금속재료의 KS 기호입니다. "FC"는 주철, "SC"는 탄소강 구조용강, "HBsC"는 고장력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KS 재료 표시기호 SS330에서 330은 무엇을 뜻하는가?

  1. 최저 인장 강도
  2. 탄소 함유량
  3. 경도
  4. 종별 번호
(정답률: 60%)
  • SS330에서 330은 최저 인장 강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강재의 최소한의 인장 강도가 330N/mm²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숫자는 강재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탄소 함유량"은 강재의 화학적 성분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경도"는 강재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종별 번호"는 강재의 종류를 구분하는 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광명단을 발라 실형을 뜨는 스케치 방법은?

  1. 프린트법
  2. 본뜨기법
  3. 사진촬영법
  4. 프리핸드법
(정답률: 20%)
  • 광명단을 발라 실형을 뜨는 스케치 방법 중 "프린트법"은 이미지를 인쇄한 종이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이미지를 정확하게 복사할 수 있어서 실수를 줄일 수 있고, 빠르게 그림을 완성할 수 있어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기와 같은 기계제도 도면의 가공 방법의 지시에서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 방향의 기호 X가 의미하는 것은?

  1. 기호가 사용되는 투상면에 수직
  2. 기호가 사용되는 투상면에 평행
  3. 기호가 적용되는 표면의 중심에 대해 대략적으로 원
  4. 기호가 사용되는 투상면에 경사지고 두방향으로 교차
(정답률: 76%)
  • 기호 X는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기호가 사용되는 투상면에 경사지고 두 방향으로 교차하는 이유는 가공 시에 커터가 두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물체의 표면을 절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지고 교차하는 기호를 사용하여 가공 방향을 명확하게 지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도면에 기입된 치수의 배치방법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직렬 치수기입방법
  2. 병렬 치수기입방법
  3. 누진 치수기입방법
  4. 좌표 치수기입방법
(정답률: 45%)
  • 이 도면에서 치수는 수평선과 수직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치수 배치 방법을 "병렬 치수기입방법"이라고 합니다. 직렬 치수기입방법은 치수선이 서로 교차하는 방법, 누진 치수기입방법은 치수선이 서로 교차하지만 일정한 간격으로 누진되어 있는 방법, 좌표 치수기입방법은 좌표축을 기준으로 치수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기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의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1%)
  • 정답인 ""는 화살표 방향으로 보면 가장 앞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투상도는 입체도에서 어떤 면을 바라볼 때 그 면에 수직인 직선을 그려서 그린 도면이므로, 화살표 방향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한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CNC선반에서 ø100mm의 환봉을 절삭하고자 한다. 절삭동력이 2kw이고 주축의 회전수가 600rpm일 때 절삭 주분력은 약 몇 N 인가?

  1. 745
  2. 637
  3. 561
  4. 460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피치 에러(Pitch error) 보정이란?

  1. 볼 스크루 피치의 정밀도를 검사하는 기능
  2. 축의 이동이 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편차값을 보정하는 기능
  3. 나사가공의 피치를 정밀하게 보정하는 기능
  4. 볼 스크루의 부분적인 마모 현상으로 발생된 피치간의 편차값을 보정하는 기능
(정답률: 48%)
  • 볼 스크루의 부분적인 마모 현상으로 발생된 피치간의 편차값을 보정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NC 공작기계에서 전원을 투입한 후 기계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첫 번째 조작은?

  1. 프로그램 편집
  2. 공작물 좌표계 설정
  3. 기계 원점복귀
  4. 수동 Mode로 주축 회전
(정답률: 76%)
  • 기계 원점복귀는 CNC 공작기계에서 전원을 투입한 후 기계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첫 번째 조작이다. 이는 기계의 축들이 정확한 위치에 있고, 프로그램 실행 전에 축들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정확히 설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기계 원점복귀는 기계운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머시닝센터에서 원호 보간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시계방향의 원호 보간은 G02로 명령한다.
  2. 90°이상의 원호를 명령할 때 반지름은 “-”의 값으로 명령한다.
  3. 원호의 I, J, K의 부호와 값은 원호의 시작점에서 본 원호 중심점의 벡터성분이다.
  4. G17 평면에서 운호를 가공할 때 벡터는 I와 J를 쓴다.
(정답률: 62%)
  • 정답은 "90°이상의 원호를 명령할 때 반지름은 “-”의 값으로 명령한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90° 이상의 원호를 명령할 때, G02 또는 G03 명령어와 함께 양수의 반지름 값을 사용하여 명령한다. 음수 값을 사용하면 원호가 반대 방향으로 그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NC 공작기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위치 결정 제어
  2. 직선 절삭 제어
  3. 평면 절삭 제어
  4. 윤곽 절삭 제어(연속절삭)
(정답률: 61%)
  • CNC 공작기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식 중에서 "평면 절삭 제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CNC 공작기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식 중 하나입니다. "위치 결정 제어"는 X, Y, Z 축의 위치를 결정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직선 절삭 제어"는 직선적인 경로를 따라 작업을 수행합니다. "윤곽 절삭 제어(연속절삭)"는 곡선적인 경로를 따라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NC선반의 공구기능 T0603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6번 공구로 보정값 3을 수행
  2. 3번 공구로 보정값 6을 수행
  3. 6번 공구로 보정번호 3번의 보정값 수행
  4. 6번 공구로 보정번호 3번의 보정값 취소
(정답률: 64%)
  • CNC선반의 공구기능 T0603은 6번 공구를 이용하여 보정번호 3번의 보정값을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6번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해당 공구의 위치나 크기 등이 정확하게 보정되어 작업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6번 공구로 보정번호 3번의 보정값 수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머시닝센터에서 센터드릴 작업을 하는 블록들이다. 각 블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①:지름보정 최소, 길이보정 취소, 고정 사이클 취소
  2. ②:가공 깊이 10mm, 이송속도, 80rpm으로 센터 드릴링
  3. ③:증분값 X15.0씩 이동하여 센터 드릴링 4회 반복
  4. ④:공구 교환점(제2 원점)으로 Z축 복귀
(정답률: 43%)
  • ②번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송속도와 rpm은 센터 드릴링과는 관련이 없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센터 드릴링에서는 가공 깊이와 드릴 비드 속도가 중요한 값입니다. 따라서, ②번은 "가공 깊이 10mm, 드릴 비드 속도 80mm/min으로 센터 드릴링"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①번은 지름보정과 길이보정, 고정 사이클 취소 등의 작업을 의미합니다.

    ③번은 증분값을 이용하여 센터 드릴링을 4회 반복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④번은 공구 교환 후 제2 원점으로 Z축을 복귀시키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CNC선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NC선반의 이송은 공작물 회전당 공구의 이송량을 주로 사용한다.
  2. 제 2원점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작업자가 설정할 수 없다.
  3. 절대 명령은 X와 Z로, 증분 명령은 U와 W로 명령한다.
  4. 동일 지령절에 절대 명령과 증분 명령을 동시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42%)
  • "제 2원점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작업자가 설정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CNC선반에서 제 2원점은 기계의 원점을 나타내며, 기계의 구조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세컨드 컷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차 가공 후 다듬질 여유분을 가공하는 것이다.
  2. 다이 형상에서 돌기 부분을 제거한다.
  3. 가공면의 연화층을 제거한다.
  4. 진직도는 향상되지만 표면 거칠기는 나빠진다.
(정답률: 64%)
  • 진직도는 향상되지만 표면 거칠기는 나빠진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세컨드 컷 가공은 1차 가공 후 다듬질 여유분을 가공하거나 다이 형상에서 돌기 부분을 제거하거나 가공면의 연화층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말한다. 이 때, 진직도는 향상되면서 표면 거칠기도 개선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CNC선반에서 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G코드가 아닌 것은?

  1. G32
  2. G70
  3. G76
  4. G92
(정답률: 42%)
  • G70은 CNC선반에서 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G코드가 아닙니다. G70은 CNC선반에서 주어진 작업 영역을 초기화하는 G코드입니다. G32는 선형 보간을 위한 G코드, G76은 나사 가공을 위한 G코드, G92는 원점 설정을 위한 G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