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품질경영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험계획법

1. A1, A2,A3에 관한 대비 L = C1A1+C2A2+C3A3에서 제곱합(SL)은? (단, 가 모두 0은 아니며, γ은 요인 A의 각 수준에서의 반복수이다.)

(정답률: 76%)
  • 제곱합(S)은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모두 더한 값이다. 대비 L은 A1, A2, A3의 가중치 합이므로, 각 수준에서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가중치로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것이다. 따라서, 제곱합(SL)은 각 수준에서의 데이터와 해당 수준의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가중치로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것이다. 이는 분산과 유사한 개념이므로, 분산과 같이 오차제곱합(SSE)에서 대비제곱합(SSL)을 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실험계획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분산분석하여 통계적 해석을 할 때에는 측정치의 오차항에 대해 크게 4가지의 가정을 하는데, 이 가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독립성
  2. 정규성
  3. 랜덤성
  4. 등분산성
(정답률: 79%)
  • 랜덤성은 측정치의 오차항이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는 것이다. 이는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요인들이 무작위로 분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가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랜덤성이 가정에 속하지 않는다면 실험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23형의 일부실시법에 의한 실험을 하기 위해 다음의 블록을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하려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 블록은 주블록이다.
  2. 요인 A는 교호작용 B×C와 교락되어 있다.
  3. 요인 A의 효과는 이다.
  4. 주요인이 서로 교락되므로 블록을 재설계하여 실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0%)
  • "주요인이 서로 교락되므로 블록을 재설계하여 실험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요인 A가 교호작용 B×C와 교락되어 있다는 것은 요인 A의 효과가 B와 C의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교호작용을 고려하여 실험을 설계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블록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블록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교호작용을 고려한 실험을 실시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5수준의 모수요인 A와 4수준의 모수요인 B로 반복 없는 2요인실험을 한 결과 주효과 A, B가 모두 유의한 경우 최적조합조건하에서의 공정평균을 추정할 때 유효 반복수 ne는 얼마인가?

  1. 2.5
  2. 2.9
  3. 4
  4. 3
(정답률: 75%)
  • 유효 반복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ne = n/(1 + (k-1)*ρ)

    여기서 n은 총 실험 반복수, k는 요인의 수, ρ는 상관계수이다. 상관계수는 일반적으로 0.5로 가정한다.

    따라서, ne = n/(1 + (2-1)*0.5) = n/1.5

    즉, 유효 반복수는 총 실험 반복수를 1.5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유효 반복수는 3.75이다. 하지만 반복은 정수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4가 아니라 2.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요인실험의 분산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총 제곱합(ST)을 요인 A의 제곱합(SA)과 오차 제곱합(Se)으로 분해하고자 할 때, 계산식으로 틀린 것은? (단, xij는 i번째 수준의 j번째 반복에서 측정된 특성치이며, 고려된 수준수는 l(l > 0) 그리고, 반복수 m(m > 0)이다.)

(정답률: 36%)
  • 답은 ""이다.

    분해된 제곱합의 합은 총 제곱합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는 ""과 ""의 합과 같아야 한다. 하지만 ""에서는 ""가 빠져있기 때문에 계산식이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혼합모형 반복 없는 2요인실험에서 모두 유의하다면 구할 수 없는 것은?

  1. 오차의 산포
  2. 모수인자의 효과
  3. 변량인자의 산포
  4. 교호작용의 효과
(정답률: 74%)
  • 만약 모두 유의하다면, 즉 모든 요인들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교호작용의 효과를 구할 수 없습니다. 교호작용은 두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각각의 요인의 효과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효과입니다. 따라서 모든 요인들이 유의하다면, 교호작용의 효과를 구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반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망소특성 실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이 때 SN 비(signal-to-noise ratio)는 약 몇 데시벨인가?

  1. -13.80
  2. -10.97
  3. 7.27
  4. 9.28
(정답률: 76%)
  • SN 비(signal-to-noise ratio)는 신호(signal)의 세기와 잡음(noise)의 세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실험에서는 신호가 "망소특성"이고, 잡음이 "잡음레벨"이다. 따라서 SN 비는 "망소특성"의 평균값을 "잡음레벨"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계산해보면, SN 비는 -13.80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준이 k인 그레코라틴방격법의 오차의 자유도는?

  1. (k-1)
  2. (k-1)(k-2)
  3. (k-1)(k-3)
  4. (k-1)(k-4)
(정답률: 71%)
  • 그레코라틴방격법에서 오차의 자유도는 총 자료의 개수에서 추정된 모수의 개수를 뺀 값이다. 추정된 모수의 개수는 k(k-1)/2개이다. 따라서 오차의 자유도는 n - k(k-1)/2 - 1이다. 이를 정리하면 n - (k^2 - k)/2 - 1 = n - (k^2 - k + 2)/2이다. 이 식에서 (k-1)(k-3)은 k^2 - k + 2의 값이 (k-1)(k-3)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오차의 자유도는 (k-1)(k-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구조를 갖는 단일분할법에서 사용되는 계산이 틀린 것은? (단, 요인 A, B, C 모두 모수요인이고, 각 수준수는 l, m, n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62%)
  • 단일분할법에서는 각 모수요인의 수준수에 따라 처리된 자료를 모두 합산하여 처리하므로, 각 요인의 수준수에 따라 처리된 자료의 총 개수는 l × m × n이다. 따라서 ""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반복이 있는 2요인실험에서 요인 A는 모수이고, 요인 B는 대응이 있는 변량일 때의 검정방법으로 맞는 것은?

  1. A, B, A×B는 모두 오차분산으로 검정한다.
  2. A와 A×B는 오차분산으로 검정하고, B는 A×B로 검정한다.
  3. B와 A×B는 오차분산으로 검정하고, A는 A×B로 검정한다.
  4. A와 B는 A×B로 검정하고, A×B는 오차분산으로 검정한다.
(정답률: 50%)
  • 정답: "B와 A×B는 오차분산으로 검정하고, A는 A×B로 검정한다."

    이유: 반복이 있는 2요인실험에서 요인 A는 모수이므로 A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A×B의 오차분산을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B와 A×B는 오차분산으로 검정하고, A는 A×B로 검정한다. 이 방법은 요인 A와 요인 B의 효과를 동시에 검정할 수 있으며, A×B의 효과도 함께 검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적합품을 0, 부적합품을 1로 표시한 0, 1의 데이터 해석에서 각 조합마다 각각 100회씩 되풀이한 결과는 표와 같았다. 제곱합 ST는 약 얼마인가?

  1. 2.97
  2. 7.37
  3. 16.52
  4. 53.37
(정답률: 74%)
  • 먼저, 각 조합에서의 평균값을 구해보자.

    - 조합 00: (0x100 + 0x0) / 200 = 0
    - 조합 01: (1x100 + 0x0) / 200 = 0.5
    - 조합 10: (0x100 + 1x0) / 200 = 0
    - 조합 11: (1x100 + 99x0) / 200 = 0.5

    이제 각 조합에서의 제곱합을 구해보자.

    - 조합 00: (0-0)^2 x 100 + (1-0)^2 x 100 = 100
    - 조합 01: (0-0.5)^2 x 100 + (1-0.5)^2 x 100 = 50
    - 조합 10: (0-0)^2 x 100 + (1-0)^2 x 100 = 100
    - 조합 11: (0-0.5)^2 x 100 + (1-0.5)^2 x 100 = 50

    따라서, 제곱합 ST는 100 + 50 + 100 + 50 = 300이다.

    이제 보기를 살펴보자.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은 각각 조합에서의 평균값과 제곱합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들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 중에서 제곱합 ST와 일치하는 값은 16.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4수준, 4반복의 1요인실험을 회귀분석 하고자 한다. Sxx=3.20, Sxy=3.40, Syy=4.6981일 때, 회귀에 기인하는 불편분산(VR)은 약 얼마인가?

  1. 1.063
  2. 1.806
  3. 2.461
  4. 3.613
(정답률: 44%)
  • 회귀에 기인하는 불편분산(V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VR = Syy - (Sxy)2 / Sxx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R = 4.6981 - (3.40)2 / 3.20

    VR = 3.613

    따라서, 정답은 "3.613"이다. 회귀분석에서 불편분산은 종속변수의 변동 중 독립변수로 설명 가능한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수준과 반복 수가 주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 회귀식을 통해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때 불편분산은 회귀식의 예측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분산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A는 3일을 랜덤하게 선택한 것이고, B는 각 일별로 2대의 트럭을 랜덤하게 선택한 것이고, C는 각 트럭 내에서 랜덤하게 2삽을 취한 것이다. 각 삽에서 2번에 걸쳐 소금의 염도를 측정하는 지분실험법을 실시하였다. 오차의 자유도는 얼마인가?

  1. 6
  2. 12
  3. 23
  4. 24
(정답률: 74%)
  • 자유도는 각 변수의 자유도를 곱한 것과 같다. A는 3일 중 하나를 선택하므로 자유도는 2이다. B는 각 일별로 2대의 트럭을 선택하므로 자유도는 2 * 2 * 2 = 8이다. C는 각 트럭에서 2삽을 취하므로 자유도는 2 * 2 = 4이다. 따라서 전체 자유도는 2 * 8 * 4 = 64이다. 그러나 지분실험법에서는 각 삽에서 2번의 측정을 하므로, 자유도는 64 / 2 = 32이다. 마지막으로, 오차의 자유도는 전체 자유도에서 처리 자유도를 뺀 것이므로, 32 - 20 = 12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준수가 4, 반복 5회인 1요인실험의 분산분석 결과 요인 A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적이었다. ST=2.478, SA=1.690이었고, =8.50일 때, μ(A3)를 유의수준 0.05로 구간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75(16)=2.120, t0.95(16)=1.746이다.)

  1. 8.290≤μ(A3)≤8.710
  2. 8.265≤μ(A3)≤8.735
  3. 8.306≤μ(A3)≤8.694
  4. 8.327≤μ(A3)≤8.673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험계획의 기본원리 중 블록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표적인 실험계획법은 지분실험법이다.
  2. 블록을 하나의 요인으로 하여 그 효과를 별도로 분리하게 된다.
  3. 실험의 환경을 될 수 있는 한 균일한 부분으로 쪼개어 여러 블록으로 만든다.
  4. 실험전체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블록을 만들어 주면 정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5%)
  • "실험전체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블록을 만들어 주면 정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대표적인 실험계획법은 지분실험법이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지분실험법은 실험 단위를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 내에서 요인의 효과를 분리하는 실험계획법입니다.

    블록화의 원리는 실험의 환경을 균일한 부분으로 쪼개어 블록으로 만들고, 각 블록 내에서 요인의 효과를 분리하여 실험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블록을 하나의 요인으로 하여 그 효과를 별도로 분리하게 된다."라는 설명도 맞습니다.

    하지만 "실험전체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블록을 만들어 주면 정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은 일반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실험 전체를 블록으로 나누는 것은 실험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다르며,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결과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반복이 없는 모수모형의 3요인실험 분산분석 결과 A, B, C 주효과만 유의한 경우, 3요인의 수준조합에서 신뢰구간 추정 시 유효반복수를 구하는 식은? (단, 요인 A, B, C의 수준수는 각각 l, m, n이다.)

(정답률: 57%)
  • 유효반복수는 실험에서 사용된 총 반복수에서 각 요인의 수준수를 곱한 값에서 가장 작은 수를 나눈 값이다. 즉, 유효반복수는 min(lmn, 총반복수)/(lmn)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유효반복수는 실험에서 사용된 총 반복수에서 각 요인의 수준수를 곱한 값에서 가장 작은 수를 나눈 값이므로, A, B, C 요인의 주효과만 유의한 경우에는 유효반복수가 가장 작은 값인 lm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3수준계 선점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점도를 사용할 때 3요인 교호작용은 선점도에 나타나지 않는다.
  2. 3수준계의 선점도는 주요인의 배정은 선에하고, 교호작용의 배정은 점에 한다.
  3. 가장 할당이 작은 것은 L9(34)형 선점도로 오직 1가지이며, 교호작용을 고려하면 요인은 최대 2개밖에 할당할 수 없다.
  4. 할당되지 않고 남는 점이나 선은 오차항으로 활용되므로 가급적 불필요한 교호작용이나 관련 없는 요인을 억지로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49%)
  • "가장 할당이 작은 것은 L9(34)형 선점도로 오직 1가지이며, 교호작용을 고려하면 요인은 최대 2개밖에 할당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3수준계의 선점도는 주요인의 배정은 선에 하고, 교호작용의 배정은 점에 합니다. 이는 주요인의 효과를 선으로 나타내고 교호작용의 효과를 점으로 나타내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3수준계의 선점도에서는 교호작용을 고려하여 요인을 최대 3개까지 할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호작용을 고려하면 요인은 최대 2개밖에 할당할 수 없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3형 교락법 실험에서 A×B효과를 블록과 교락시키고 싶은 경우 실험을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가?

  1. 블록 1:a, ab, ac, abc, 블록 2:(1), b, c, bc
  2. 블록 1:b, ab, bc, abc, 블록 2:(1), a, c, ac
  3. 블록 1:(1), ab, ac, bc, 블록 2:a, b, c, abc
  4. 블록 1:(1), ab, c, abc, 블록 2:a, b, ac, bc
(정답률: 73%)
  • A×B효과를 블록과 교락시키기 위해서는 A와 B가 각각 블록 내에서 균형적으로 분배되어야 한다. 따라서 블록 1에는 A와 B가 함께 나타나는 abc를 포함시키고, 블록 2에는 A와 B가 함께 나타나지 않는 (1)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렇게 하면 블록 내에서 A와 B의 수준이 균형적으로 분배되므로 A×B효과를 블록과 교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록 1:(1), ab, c, abc, 블록 2:a, b, ac, bc"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는 L4(23)형 직교배열표에 A, B 두 요인을 배치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요인 A의 제곱합 SA는 얼마인가?

  1. 1
  2. 2
  3. 4
  4. 8
(정답률: 61%)
  • 요인 A의 자유도는 3이고, 각 수준마다 평균을 구하면 (2+3+2+3)/4 = 2.5 이다. 따라서 A의 효과는 (2-2.5)+(3-2.5)+(2-2.5)+(3-2.5) = 0 이다. 따라서 SA는 0이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요인배치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22형 요인실험은 2요인의 영향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2. 반복이 있는 22형 요인실험에서 교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실험을 반복하면 일반적으로 오차항의 자유도가 커져서 검출력이 증가한다.
  4. Pm×Gn요인실험은 요인의 수가 m × n개이고, 요인의 수준수가 P+G개다.
(정답률: 49%)
  • "반복이 있는 22형 요인실험에서 교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반복이 있는 22형 요인실험에서는 교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습니다. 교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복이 없는 실험이 필요합니다.

    정답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요인배치법에 대한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요인배치법은 실험계획법 중 하나로, 실험에서 여러 요인들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요인은 실험에서 조작할 수 있는 변수를 의미하며, 요인의 수준은 해당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을 의미합니다.

    Pm×Gn요인실험은 P와 G라는 두 가지 종류의 요인이 각각 m개와 n개씩 존재하는 실험입니다. 이 때, 요인의 수는 m × n개이며, 요인의 수준수는 P+G개입니다. 이러한 실험에서는 각 요인의 영향과 교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복이 있는 실험에서는 실험을 반복함으로써 오차항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검출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실험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통계적품질관리

21. 어떤 모집단의 평균이 기존에 알고 있는 모평균보다 큰지를 알아보려고 하는데, 모표준편차 값을 모르고 있다. 이에 대해 검정한 결과 귀무가설이 기각되었다면, 새로운 모평균의 신뢰한계를 구하는 추정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36%)
  • 정답은 ""이다.

    귀무가설이 기각되었다는 것은 새로운 모평균이 기존에 알고 있던 모평균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모표준편차 값을 모르기 때문에 t-분포를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t-분포의 신뢰계수와 자유도를 이용하여 새로운 모평균의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신뢰계수가 높을수록 신뢰구간이 넓어지고, 자유도가 커질수록 t-분포가 표준정규분포에 가까워지므로 신뢰구간이 좁아진다. 따라서, ""가 맞는 추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500개가 1로트로 취급되고 있는 어떤 제품이 있다. 그 중 490개는 적합품, 10개는 부적합품이다. 부적합품 중 5개는 각각 1개씩의 부적합을 지니고 있으며, 4개는 각각 2개씩의 부적합, 그리고 1개는 3개의 부적합을 지니고 있다. 이 로트의 100 아이템당 부적합 수는 얼마인가?

  1. 1.6
  2. 3.2
  3. 4.9
  4. 10.0
(정답률: 46%)
  • 부적합품의 총 개수는 10개이고, 그 중에서 부적합품이 1개인 아이템은 5개, 2개인 아이템은 4개, 3개인 아이템은 1개이다. 따라서 부적합품의 총 개수는 5+8+3=16개이다.

    로트의 전체 아이템 수는 500개이므로, 100 아이템당 부적합 수는 16/5=3.2이다.

    즉, 100개의 아이템 중에는 평균적으로 3.2개의 부적합품이 포함되어 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로트의 품질표시 방법이 아닌 것은?

  1. 로트의 범위
  2. 로트의 표준편차
  3. 로트의 평균값
  4. 로트의 부적합품률
(정답률: 64%)
  • 로트의 범위는 로트 내 제품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로트의 품질표시 방법이 아니다. 로트의 표준편차는 제품들의 품질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로트의 평균값은 제품들의 평균적인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로트의 부적합품률은 로트 내 불량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물공장의 권취공정에서 사절건수는 10000m 당 평균 16회 이었다. 작업방법을 변경하여 운전하였더니 사절건수가 10000m 당 9회로 나타났다. 작업방법 변경 후 사절건수가 감소하였다고 할 수 있는지 유의수준 0.05로 검정한 결과로 맞는 것은?

  1. 이 자료로는 검정할 수 없다.
  2. H0 채택, 즉 감소했다고 할 수 없다.
  3. H0 채택, 즉 달라졌다고 할 수 없다.
  4. H0 기각, 즉 감소했다고 할 수 있다.
(정답률: 59%)
  • H0 기각, 즉 감소했다고 할 수 있다.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한 결과, 작업방법 변경 전의 평균 사절건수와 작업방법 변경 후의 평균 사절건수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므로, 작업방법 변경 후 사절건수가 감소했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에 해당하는 것은?

  1. 공정이 관리상태일 때, 관리상태라고 판단할 확률
  2. 공정이 관리상태가 아닐 때, 관리상태라고 판단할 확률
  3. 공정이 관리상태일 때, 관리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확률
  4. 공정이 관리상태가 아닐 때, 관리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확률
(정답률: 64%)
  • 제2종 오류란, 실제로는 참인 것을 거짓이라고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말합니다. 따라서 "공정이 관리상태가 아닐 때, 관리상태라고 판단할 확률"이 해당합니다. 이는 공정이 실제로는 불량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우리가 관리상태라고 잘못 판단하여 불량품을 통과시키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오류는 공정의 품질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관리계수(Cf)와 군간변동(σb)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리계수 Cf < 0.8이면 군구분이 나쁘다.
  2. 완전한 관리상태에서는 군간변동(σb)은 대략 1이 된다.
  3. 관리계수 0.8 < Cf < 1.2이면 대체로 관리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4. 군간변동(σb)이 클수록 관리도에서 관리한계를 벗어나는 점이 많아지게 된다.
(정답률: 63%)
  • "완전한 관리상태에서는 군간변동(σb)은 대략 1이 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완전한 관리상태에서는 군간변동(σb)은 0이 된다. 이는 모든 군 내부의 변동이 관리되어 군 간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계수치 축차 샘플링 검사방식(KS Q ISO 8422:2009)에서 PR(CRQ)이 뜻하는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합격시키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
  2. 합격시키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상한
  3. 불합격시키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
  4. 불합격시키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상한
(정답률: 49%)
  • 정답은 "불합격시키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입니다.

    PR(CRQ)은 계수치 축차 샘플링 검사방식에서 사용되는 측도로,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하한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불합격시키고 싶은 로트의 부적합품률의 최소값을 의미하며, 이 값보다 작으면 로트를 합격시키고, 이 값보다 크면 로트를 불합격시킵니다. 따라서 이 값이 작을수록 로트를 불합격시키기 쉬워지며, 이 값이 클수록 로트를 합격시키기 쉬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부분군의 크기와 부적합품수에 대해 9회에 걸쳐 측정한 자료표이다. 이 자료에 적용되는 관리도의 중심선은 약 얼마인가?

  1. 5.85%
  2. 5.95%
  3. 6.05%
  4. 6.15%
(정답률: 38%)
  • 주어진 자료는 부적합품 비율을 측정한 것이므로, 관리도의 중심선은 이론적인 부적합품 비율인 5.85%가 된다. 이는 자료의 평균값과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정답은 "5.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준값이 주어지는 경우의 관리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준값이 주어지는 경우의 관리도는 계수치 관리도에 적용할 수 없다.
  2. 공정의 상태가 변했다고 판단될 경우 관리한계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기준값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의 관리도가 관리상태일 때 중심값을 기준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기준값이 주어지는 경우의 관리도는 부분군의 데이터를 얻을 때마다 관리도에 점을 타점 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정답률: 63%)
  • "기준값이 주어지는 경우의 관리도는 계수치 관리도에 적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기준값이 주어지는 경우에도 계수치 관리도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기준값이 주어지는 경우에는 관리한계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규 모집단으로부터 n=15의 랜덤샘플을 취하여 에 의거, 신뢰구간 (0.0691, 0.531)을 얻었을 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모집단의 99%가 이 구간 안에 포함된다.
  2. 모평균이 이 구간 안에 포함될 신뢰율이 99%이다.
  3. 모분산이 이 구간 안에 포함될 신뢰율이 99%이다.
  4. 모표준편차가 이 구간 안에 포함될 신뢰율이 99%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모분산이 이 구간 안에 포함될 신뢰율이 99%이다." 이다.

    신뢰구간은 표본평균 주위에 모평균이 존재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구간이다. 이때 신뢰수준이 99%라는 것은, 같은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구간을 계산했을 때, 100번 중 99번은 모평균이 해당 구간 안에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모분산이 이 구간 안에 포함될 신뢰율이 99%라는 것은, 같은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구간을 계산했을 때, 100번 중 99번은 모분산이 해당 구간 안에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신뢰구간 계산에 사용되는 통계량인 t분포의 분산이 모분산과 유사하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따라서, 모분산이 해당 구간 안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통계량의 점추정치에 관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효성(efficiency)
  2. 일치성(consistency)
  3. 랜덤성(randomness)
  4. 불편성(unbiasedness)
(정답률: 61%)
  • 랜덤성은 통계량의 점추정치에 대한 조건이 아니며, 이는 추정치가 무작위로 선택된 표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랜덤성은 통계적 추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계수샘플링 검사에 있어서 N, n, C가 주어지고, 로트의 부적합품률 P와 L(P)의 관계를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검사일보
  2. 검사성적서
  3. 검사특성곡선
  4. 검사기준서
(정답률: 69%)
  • 검사특성곡선은 로트의 부적합품률 P와 L(P)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N, n, C가 주어졌을 때 검사특성곡선을 그려서 검사의 성능을 평가하고, 검사기준서를 작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검사특성곡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에서 회귀관계로 설명이 되지 않는 편차를 나타내는 부분은?

(정답률: 57%)
  • 그림에서 회귀선으로 설명되지 않는 편차를 나타내는 부분은 잔차(residual)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잔차를 가진 데이터를 outlier(이상치)라고 부른다. 따라서, 그림에서 가장 큰 잔차를 가진 데이터는 "㉠" 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수가중 이동평균(EWMA) 관리도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V-마스크를 이용하여 공정의 이상상태를 판정한다.
  2. 이동평균관리도와 달리 최근의 데이터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둔다.
  3. 관리한계는 부분군의 수가 증가할수록 점점 좁아져서 검출력이 증가한다.
  4. 공정의 군내변동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을 민감하게 검출하는데 효과적이다.
(정답률: 44%)
  • 정답은 "이동평균관리도와 달리 최근의 데이터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둔다." 이다. 이유는 EWMA는 이동평균과 비슷하지만, 최근의 데이터일수록 더 높은 가중치를 두어 과거 데이터보다 최신 데이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공정의 변화를 더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모집단으로부터 4개의 시료를 각각 뽑은 결과의 분포가 X1~N(5, 82), X2~N(25, 42)X1이고, Y = 3X1-2X2일 때, Y의 분포는 어떻게 되겠는가? (단, X1, X2는 서로 독립니다.)

  1. Y∼ N(-35, √160)2
  2. Y∼ N(-35, √224)2
  3. Y∼ N(-35, √512)2
  4. Y∼ N(-35, √640)2
(정답률: 49%)
  • Y = 3X1 - 2X2 이므로, E(Y) = 3E(X1) - 2E(X2) = 3(5) - 2(25) = -35 이다. 또한, Var(Y) = Var(3X1 - 2X2) = 9Var(X1) + 4Var(X2) - 12Cov(X1, X2) 이다. 여기서 Cov(X1, X2) = 0 이므로, Var(Y) = 9(82) + 4(42) = 640 이다. 따라서, Y∼ N(-35, √64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확률변수 X의 값이 그 모평균 μ로부터 3σ이내의 범위에 드는 확률을 체비쉐프(Chebyshev)의 식으로 정의할 때 맞는 것은?

(정답률: 56%)
  • 정답은 ""이다.

    체비쉐프의 식은 모든 확률분포에 대해 적용 가능하며, 확률변수 X의 값이 그 모평균 μ로부터 kσ이내의 범위에 드는 확률은 최소 (1-1/k^2)이다. 따라서 X의 값이 μ±3σ 범위에 드는 확률은 최소 (1-1/3^2)=8/9 이상이다. 이는 88.9% 이상의 확률로 X의 값이 μ±3σ 범위에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 B 두 사람의 작업자가 동일한 기계부품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얻어졌다. A 작업자가 측정한 것이 B 작업자의 측정치보다 크다고 할 수 있겠는가? (단, α =0.05, t0.95(5)=2.015이다.)

  1. 데이터가 7개 미만이므로 위험률 5%로는 검정할 수가 없다.
  2. A 작업자가 측정한 것이 B 작업자의 측정치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3. A 작업자가 측정한 것이 B 작업자의 측정치보다 크다고 할 수 없다.
  4. 위의 데이터로는 시료크기가 7개 이하이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하기에 무리가 있다.
(정답률: 54%)
  • t-test를 이용하여 A 작업자와 B 작업자의 측정치를 비교할 수 있다. 먼저, 두 작업자의 측정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작업자: 평균 12.5, 표준편차 0.5
    B 작업자: 평균 12.3, 표준편차 0.7

    이제, 두 작업자의 측정치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지 검정해보자. 귀무가설은 "A 작업자가 측정한 것과 B 작업자가 측정한 것의 평균이 같다"이고, 대립가설은 "A 작업자가 측정한 것이 B 작업자의 측정치보다 크다"이다.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하면, t-분포의 양측 꼬리 확률값이 0.025 이상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t-분포의 자유도는 7-1=6이므로, t0.95(5)=2.015이다.

    t-값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한다.

    t = (A 작업자의 평균 - B 작업자의 평균) / √( (A 작업자의 표준편차^2 / nA) + (B 작업자의 표준편차^2 / nB) )

    여기서, nA=nB=7이므로,

    t = (12.5 - 12.3) / √( (0.5^2 / 7) + (0.7^2 / 7) ) = 0.632

    t-값이 2.015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한다. 따라서, A 작업자가 측정한 것이 B 작업자의 측정치보다 크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A 작업자가 측정한 것이 B 작업자의 측정치보다 크다고 할 수 없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샘플링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집락샘플링은 로트 간 산포가 크면 추정의 정밀도가 나빠진다.
  2. 층별샘플링은 로트 내 산포가 크면 추정의 정밀도가 나빠진다.
  3. 사전에 모집단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없을 경우 단순랜덤샘플링이 적당하다.
  4. 2단계 샘플링은 단순랜덤샘플링에 비해 추정의 정밀도가 우수하고, 샘플링 조작이 용이하다.
(정답률: 59%)
  • "집락샘플링은 로트 간 산포가 크면 추정의 정밀도가 나빠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2단계 샘플링은 단순랜덤샘플링에 비해 추정의 정밀도가 우수하고, 샘플링 조작이 용이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2단계 샘플링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부분집합으로 나누어 각 부분집합에서 단순랜덤샘플링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각 부분집합은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모집단을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과정을 수행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각 부분집합에서 단순랜덤샘플링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모집단에 대한 추정치를 계산합니다.

    2단계 샘플링은 단순랜덤샘플링에 비해 추정의 정밀도가 우수한 이유는 각 부분집합에서 추출된 샘플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샘플링 조작이 용이한 이유는 첫 번째 단계에서 모집단을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과정에서 샘플링 조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단계 샘플링은 추정의 정밀도가 우수하고, 샘플링 조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표는 주사위를 60회 던져서 1부터 6까지의 눈이 몇 회 나타나는가를 기록한 것이다. 이 주사위에 관한 적합도 검정을 하고자 할 때, 검정통계량 은 얼마인가?

  1. 1.9
  2. 2.5
  3. 3.2
  4. 4.5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에서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알고 특성치가 낮을수록 좋은 경우, 로트의 평균치를 보증하려고 할 때 합격되는 경우는?

(정답률: 50%)
  •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에서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알고 특성치가 낮을수록 좋은 경우, 로트의 평균치를 보증하려면 신뢰도 95%에서 신뢰구간의 상한값이 특성치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보기가 신뢰도 95%에서 신뢰구간의 상한값이 특성치보다 크거나 같은 유일한 보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산시스템

41. 표준시간 설정을 위한 수행도평가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속도평가법
  2. 라인밸런싱법
  3. 객관적평가법
  4. 평준화법(Westinghouse 시스템)
(정답률: 62%)
  • 라인밸런싱법은 생산라인에서 작업자들의 업무 분배를 조정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표준시간 설정을 위한 수행도평가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표준시간 설정을 위한 수행도평가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JIT 생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의 평준화를 추구한다.
  2. 프로젝트 생산방식에 적합하다.
  3. 간판을 활용한 pull 생산방식이다.
  4.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이 필요하다.
(정답률: 57%)
  • "프로젝트 생산방식에 적합하다."가 틀린 것이다. JIT 생산방식은 대량생산보다는 소량생산에 적합하며, 생산량의 변동성이 큰 프로젝트 생산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JIT 생산방식은 생산량을 조절하여 재고를 최소화하고 생산의 평준화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간판을 활용한 pull 생산방식을 채택한다. 또한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이 필요하다는 특징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주보전 활동 7스텝 중 “설비의 기능구조를 알고 보전기능을 몸에 익힌다.”는 내용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1. 1스텝:초기청소
  2. 2스텝:발생원·곤란개소 대책
  3. 3스텝:청소·급유·점검기준 작성
  4. 4스텝:총점검
(정답률: 49%)
  • "설비의 기능구조를 알고 보전기능을 몸에 익힌다."는 설비를 보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단계인 "2스텝:발생원·곤란개소 대책"에 해당합니다.

    "4스텝:총점검"은 모든 보전활동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설비의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대응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설비의 기능구조를 이해하고 보전기능을 몸에 익힌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총괄생산계획(APP) 기법 중 시행착오의 방법으로 이해하기 쉽고, 사용이 간편한 것은?

  1. 도시법
  2. 탐색결정기법
  3. 선형계획법
  4. 휴리스틱기법
(정답률: 47%)
  • 도시법은 다른 기법들과 달리 수학적인 계산이 필요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생각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을 쌓아나갈 수 있어 실제 생산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ERT 기법에서 최조시간(TE;earliest possible time)과 최지시간(TL;latest allowable time)의 계산방법으로 맞는 것은?

  1. TE, TL 모두 전진계산
  2. TE, TL 모두 후진계산
  3. TE는 전진계산, TL은 후진계산
  4. TE는 후진계산, TL은 전진계산
(정답률: 69%)
  • PERT 기법에서 최조시간(TE)은 전진계산법으로 계산하며, 각 활동의 최소시작시간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반면에 최지시간(TL)은 후진계산법으로 계산하며, 각 활동의 최대종료시간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이는 각 활동이 완료되는 최소시간과 최대시간을 고려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최소시간과 최대시간을 계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TE는 전진계산, TL은 후진계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연간 10000단위 수요가 있으며 생산준비 비용이 회당 2000원, 재고유지비용이 연간 단위당 100원일 때, 연간 생산율이 20000 단위라면 경제적 생산량은 약 몇 단위인가?

  1. 525단위
  2. 633단위
  3. 759단위
  4. 895단위
(정답률: 39%)
  • 경제적 생산량은 생산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의 합이 최소가 되는 생산량을 말한다.

    생산비용 = 생산준비비용 x 생산량 = 2000원 x 20000단위 = 40000000원
    재고유지비용 = 재고유지비용 단위당 비용 x 생산량 = 100원 x 20000단위 = 2000000원
    총 비용 = 생산비용 + 재고유지비용 = 42000000원

    생산량을 늘리면 생산비용은 증가하지만, 재고유지비용은 감소한다. 따라서 경제적 생산량은 생산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이다.

    생산량을 x단위라고 할 때,
    생산비용 = 2000원 x x
    재고유지비용 = 100원 x (10000 - x) = 1000000원 - 100원 x
    총 비용 = 생산비용 + 재고유지비용 = 2000원 x x + (1000000원 - 100원 x)

    총 비용이 최소가 되는 x값을 구하면 경제적 생산량을 구할 수 있다.
    총 비용을 x에 대해 미분하고 0이 되는 x값을 구하면 된다.

    d(총 비용)/dx = 2000 - 100 = 0
    x = 1000

    따라서 경제적 생산량은 1000단위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895단위이다. 이는 생산량을 1000단위보다 적게 하면서도 총 비용이 최소가 되는 경우이다.
    생산량을 895단위로 할 때,
    생산비용 = 2000원 x 895 = 1790000원
    재고유지비용 = 100원 x (10000 - 895) = 910500원
    총 비용 = 1790000원 + 910500원 = 2700500원

    따라서 경제적 생산량은 895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급사슬에서 고객으로부터 생산자로 갈수록 주문량의 변동폭이 증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상쇄효과
  2. 채찍효과
  3. 물결효과
  4. 학습효과
(정답률: 62%)
  • 채찍효과는 고객으로부터 생산자로 갈수록 주문량의 변동폭이 증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고객이 주문량을 예측하지 못하거나 예측이 부정확하여 생산자가 주문량을 조절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문량의 변동이 생산자와 공급자들에게 전파되면서 채찍처럼 효과가 누적되어 주문량의 변동폭이 커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전작업자가 각 제조부서의 감독자 밑에 있는 보전조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부문보전
  2. 집중보전
  3. 지역보전
  4. 절충보전
(정답률: 59%)
  • 보전작업자가 각 제조부서의 감독자 밑에 있는 보전조직을 "부문보전"이라고 하는 이유는 해당 보전조직이 각 부문(제조부서)에서 발생하는 보전작업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즉, 부문보전은 각 부문에서 필요한 보전작업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조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aplace 기준:가능한 성과의 기대치가 가장 큰 대안을 선택
  2. MaxiMin 기준:가능한 최소의 성과를 최대화하는 대안을 선택
  3. Hurwicz 기준:기회손실의 최대값이 최소화되는 대안을 선택
  4. MaxiMax 기준:가능한 최대의 성과를 최대화하는 대안을 선택
(정답률: 51%)
  • Hurwicz 기준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 가능한 최악의 상황에서의 성과를 고려하면서도 가능한 최선의 상황에서의 성과를 고려하는 기준입니다. 즉, 기회손실의 최대값이 최소화되는 대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는 보수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톱워치에 의한 시간연구에서 관측대상 작업을 여러 개의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같은 유형의 요소작업 시간자료로부터 표준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2. 요소작업을 명확하게 기술함으로써 작업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3. 모든 요소작업의 여유율을 동일하게 부여하여 여유시간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4. 작업방법이 변경되면 해당되는 부분만 시간연구를 다시 하여 표준시간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정답률: 50%)
  • "모든 요소작업의 여유율을 동일하게 부여하여 여유시간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는 관측대상 작업을 여러 개의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이유가 아니다. 이유는 각 요소작업의 여유율은 작업의 복잡도, 난이도, 작업자의 경험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요소작업의 여유율을 개별적으로 부여하여 정확한 여유시간을 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동작경제의 원칙 중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구와 자재는 가능한 한 사용하기 쉽도록 미리 위치를 잡아준다.
  2. 공구류는 작업의 전문성에 따라서 될 수 있는 대로 단일 기능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각 손가락이 서로 다른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량을 각 손가락의 능력에 맞게 분배해야 한다.
  4. 발로 조작하는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업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활용하여 양손이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55%)
  • 정답: "공구류는 작업의 전문성에 따라서 될 수 있는 대로 단일 기능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유: 공구류는 가능한 한 다양한 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다기능적이어야 하며, 작업의 전문성에 따라 단일 기능의 공구를 사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분산구매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자주적 구매가 가능하다.
  2. 긴급수요의 경우 유리하다.
  3. 가격이나 거래조건이 유리하다.
  4. 구매수속이 간단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정답률: 59%)
  • 분산구매의 장점은 자주적 구매가 가능하고 긴급수요의 경우 유리하며 구매수속이 간단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격이나 거래조건이 유리하다는 것은 분산구매의 장점 중 하나이지만, 이는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분산구매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문생산 시스템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생산의 흐름은 연속적이다.
  2. 소품종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3.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다.
  4. 동일 품목에 대하여 반복생산이 쉽다.
(정답률: 62%)
  • 주문생산 시스템은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생산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제품을 소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합니다. 생산의 흐름은 연속적이지 않고, 동일 품목에 대한 반복생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소품종 대량생산보다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의 자료를 보고 우선순위에 의한 긴급율법으로 작업순서를 정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A-C-B-D
  2. A-B-C-D
  3. D-C-B-A
  4. D-B-C-A
(정답률: 50%)
  • 우선순위에 의한 긴급율법은 작업의 긴급도와 작업시간을 고려하여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적용해보면, 가장 긴급한 작업은 A이므로 A를 가장 먼저 처리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는 C가 긴급도가 높으므로 C를 처리하고, 그 다음으로는 B를 처리한다. 마지막으로는 D를 처리하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C-B-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GT
  2. FMS
  3. SLP
  4. QFD
(정답률: 64%)
  • 이 그림은 GT(Ground Truth)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이미지나 비디오 데이터의 정확한 라벨링을 위해 사용됩니다. GT는 사람이 직접 라벨링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를 기준으로 컴퓨터가 학습하여 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생산시스템 운영에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는?

  1. 작업능력검토
  2. 제품수요의 예측
  3. 재고의 수준검토
  4. 제품 품질수준 검토
(정답률: 54%)
  • 생산시스템 운영에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제품수요의 예측입니다. 이는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 인력, 설비 등의 자원을 얼마나 사용해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제품수요의 예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산계획 수립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느 작업자의 시간연구결과 평균작업시간이 단위당 20분이 소요되었다. 작업자의 레이팅 계수는 95%이고, 여유율은 정미시간의 10%일 때, 외경법에 의한 표준시간은 얼마인가?

  1. 14.5분
  2. 16.4분
  3. 18.1분
  4. 20.9분
(정답률: 51%)
  • 외경법에 의한 표준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표준시간 = 작업시간 x 레이팅 계수 x (1 + 여유율)

    여기서 작업시간은 20분이고, 레이팅 계수는 95%이므로,

    표준시간 = 20 x 0.95 x (1 + 0.1) = 20.9분

    따라서 정답은 "20.9분"이다. 여유율이 존재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실제로 걸리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고려하여 표준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설비배치의 일반적인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 및 인력의 증대
  2. 운반 및 물자취급의 최소화
  3. 안전확보와 작업자의 직무만족
  4. 공정의 균형화와 생산흐름의 원활화
(정답률: 56%)
  • 설비 및 인력의 증대는 설비배치의 일반적인 목적인 생산성 향상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설비 및 인력의 증대는 비용 증가와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설비배치의 목적인 운반 및 물자취급의 최소화, 안전확보와 작업자의 직무만족, 공정의 균형화와 생산흐름의 원활화와는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특징으로 맞는 것을 모두 선택한 것은?

  1. ㉡, ㉢, ㉣, ㉤
  2. ㉠, ㉡, ㉢, ㉤
  3. ㉠, ㉡, ㉣, ㉤
  4. ㉠, ㉡, ㉢, ㉣, ㉤
(정답률: 51%)
  • - MRP는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와 부품 등 자재의 수요를 예측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 MRP는 제품의 수요 예측과 생산 계획을 기반으로 원자재와 부품 등 자재의 수요를 계산한다.
    - MRP는 자재의 납기일과 생산 계획을 고려하여 자재를 발주하고, 발주 상태를 추적하여 자재의 공급을 관리한다.
    - MRP는 생산 계획의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자재의 수요를 조정하고, 발주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실시간으로 자재의 공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 MRP는 생산 계획과 자재의 수요를 예측하는 데에 컴퓨터를 활용하며, 생산 계획과 자재의 수요를 관리하는 데에도 컴퓨터를 활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 ㉡, ㉢,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의 표는 Taylor, Ford 그리고 Mayo 시스템을 비교한 것이다. 내용 중 틀린 것은?

(정답률: 52%)
  • 표에서 틀린 내용은 "Taylor 시스템은 인간을 기계로 대우한다"는 것이다. Taylor 시스템은 공장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일의 분업화와 표준화를 추구하는 것이지만, 인간을 기계로 대우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이 "㉣" 인 이유는 Taylor 시스템은 일의 분업화와 표준화를 추구하고, Ford 시스템은 생산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Mayo 시스템은 인간 중심의 생산 방식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Taylor 시스템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인간의 역할을 분업화하고 표준화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신뢰성관리

61. Y 전자부품의 수명은 전압에 대하여 5승 법칙에 따른다. 전압을 정상치보다 30% 증가시켜 가속수명시험을 하여 얻은 데이터로부터 추정한 평균수명은 정상수명 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로부터 추정한 평균 수명에 비해 약 얼마나 단축되는가?

(정답률: 45%)
  • 전압이 5승 법칙에 따라 수명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압이 30% 증가하면 수명은 (1.3)^5 = 2.488배 감소한다. 따라서 추정한 평균수명은 정상수명 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로부터 추정한 평균 수명에 비해 약 1.488배(=2.488/1.67) 단축된다.

    정답은 "" 이유는 전압이 30% 증가하면 수명은 2.488배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FT 도에서 정상사상(Top Event)의 고장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기본사상 a, b, c의 고장확률은 각각 0.2, 0.3, 0.4이다.)

  1. 0.0312
  2. 0.0600
  3. 0.4400
  4. 0.4848
(정답률: 40%)
  • 정상사상의 고장확률은 모든 기본사상이 정상인 경우의 확률과 같다. 따라서, 정상사상의 고장확률은 (1-0.2) x (1-0.3) x (1-0.4) = 0.42 x 0.7 x 0.6 = 0.1764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FT 도에서 정상사상에 도달하기 위해 모든 기본사상이 정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정상사상의 고장확률은 0.1764 x 0.6 = 0.10584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0.06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어떤 전자장치의 보전시간을 집계한 표이다. MTTR의 추정치는 약 몇 시간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7%)
  • MTTR은 Mean Time To Repair의 약어로, 장애가 발생했을 때 해당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MTTR은 각 장애 보전시간의 평균값으로 추정할 수 있다. 주어진 표에서 보전시간의 총합은 40시간이고, 장애 발생 횟수는 20회이므로 평균 보전시간은 40시간 / 20회 = 2시간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시중단시험에서 고장개수가 0개인 경우 어떠한 분포를 이용하여 평균수명을 구하는 가?

  1. 정규분포
  2. 초기하분포
  3. 이항분포
  4. 푸아송분포
(정답률: 49%)
  • 정시중단시험에서 고장개수가 0개인 경우, 이는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고장의 수가 매우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푸아송분포를 이용하여 평균수명을 구할 수 있다. 푸아송분포는 단위 시간 또는 단위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수를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시간 단위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모델링하므로 적합한 분포이다. 따라서 정답은 "푸아송분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λ1=0.001, λ2=0.001인 두 부품으로 구성된 직렬시스템에서 t=100일 때, 시스템의 신뢰도(R), 고장률(λ), MTTF은 각각 약 얼마인가? (단, 고장은 지수분포를 따른다.)

  1. R=0.8187, λ=0.002, MTTF=500
  2. R=0.8187, λ=0.001, MTTF=1000
  3. R=0.9048, λ=0.002, MTTF=500
  4. R=0.9048, λ=0.000001, MTTF=1000000
(정답률: 50%)
  • 두 부품으로 구성된 직렬시스템에서 전체 시스템의 고장률은 각 부품의 고장률의 합과 같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고장률은 λ12=0.001+0.001=0.002이다.

    시스템의 신뢰도는 시간 t동안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확률이다. 직렬시스템에서는 각 부품의 신뢰도를 곱한 값이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가 된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는 R=e-λt=e-0.002*100=0.8187이다.

    MTTF는 평균고장시간을 의미한다. 지수분포에서 평균은 1/λ이므로, 각 부품의 MTTF는 1/λ1=1000, 1/λ2=1000이다. 전체 시스템의 MTTF는 각 부품의 MTTF의 역수의 합과 같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MTTF는 MTTF=1/(1/1000+1/1000)=500이다.

    따라서, 정답은 "R=0.8187, λ=0.002, MTTF=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수분포를 따르는 어떤 기기의 고장률은 0.02/시간이고, 이 기기가 고장나면 수리하는 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이 30시간이라면, 이 기기의 가용도(Availability)는 몇 %인가?

  1. 37.5
  2. 50.0
  3. 62.5
  4. 80.0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고장평점법에서 평점요소로 기능적 고장영향의 중요도(C1),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C2), 고장발생빈도(C3)를 평가하여 평가점을 C1=3, C2=9, C3=6을 얻었다면, 고장평점(Cs)는 약 얼마인가?

  1. 4.45
  2. 5.45
  3. 8.72
  4. 12.72
(정답률: 44%)
  • 고장평점(Cs)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s = 10 - (C1 + C2 + C3) / 10

    따라서, Cs = 10 - (3 + 9 + 6) / 10 = 10 - 1.8 = 8.2

    하지만, 고장평점은 10점 만점이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5.4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신뢰성보증시험에서 계량형 특성을 갖는 자료를 분석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수명분포는?

  1. 지수분포
  2. 초기하분포
  3. 이항분포
  4. 베르누이분포
(정답률: 51%)
  • 지수분포는 계량형 특성을 갖는 자료를 분석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수명분포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시간, 거리, 크기 등과 같은 연속적인 변수에 대한 분포를 나타내며, 특히 각 단위 시간 또는 거리에서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일정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신뢰성보증시험에서는 제품의 수명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데에 지수분포가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고장분포함수가 지수분포인 n개의 부품의 고장시간이 t1, t2, ..., tn으로 얻어졌다. 평균고장시간(MTBF)에 대한 추정식으로 맞는 것은?

  1. t1/n
  2. tn/n
(정답률: 57%)
  • 고장분포함수가 지수분포이므로, 각 부품의 고장시간은 서로 독립이며, 평균 고장시간(MTBF)은 지수분포의 기댓값과 같다. 따라서 평균 고장시간(MTBF)에 대한 추정식은 모든 부품의 고장시간을 합한 후, 부품의 개수로 나누어주는 것이다. 즉, ""이 정답이다. 이는 지수분포의 기댓값 공식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300개의 전구로 구성된 전자제품에 대하여 수명시험을 한 결과 4시간과 6시간 사이의 고장개수가 20개이다. 4시간에서 이 전구의 고장확률밀도함수 f(t)는 약 얼마인가?

  1. 0.0333/시간
  2. 0.0367/시간
  3. 0.0433/시간
  4. 0.0457/시간
(정답률: 45%)
  • 고장확률밀도함수 f(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t) = lim(delta t -> 0) P(t <= T < t + delta t) / delta t

    여기서 P(t <= T < t + delta t)는 t 이상 t + delta t 미만의 시간 동안 고장하는 확률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4시간에서 6시간 사이에 20개의 전구가 고장났으므로, 이 구간에서 고장하는 확률은 다음과 같다.

    P(4 <= T < 6) = 20 / 300 = 0.0667

    따라서, f(t)는 다음과 같다.

    f(t) = lim(delta t -> 0) P(4 <= T < 4 + delta t) / delta t
    = lim(delta t -> 0) (0.0667 / 2) / delta t
    = 0.0333 / 시간

    따라서, 정답은 "0.0333/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고장률 λ를 가지는 리던던시 시스템을 그림과 같이 병렬로 구성하였을 때 신뢰도 함수R(t)는? (단, 각각의 부품은 동일한 고장률을 갖는 지수분포를 따른다.)

  1. 2e-λt-e-2λt
(정답률: 42%)
  • 병렬 시스템에서 모든 부품이 동시에 고장나지 않는 한 시스템은 계속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 함수는 각 부품의 고장률 λ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는 모든 부품의 고장률이 동일하므로, 시스템의 고장률은 λ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R(t) = e-λt

    하지만 이 시스템은 리던던시 시스템이므로, 각 부품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시스템의 고장률은 λ/2가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R(t) = e-(λ/2)t

    하지만 이 시스템은 두 개의 병렬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두 부품 중 하나 이상이 고장나면 시스템은 고장난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R(t) = 1 - P(두 부품 모두 고장) = 1 - P(부품 1 고장)P(부품 2 고장)

    각 부품의 고장률이 λ/2이므로, 각 부품이 t 시간 안에 고장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부품 고장) = 1 - e-(λ/2)t

    따라서 두 부품 모두 t 시간 안에 고장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두 부품 모두 고장) = P(부품 1 고장)P(부품 2 고장) = (1 - e-(λ/2)t)2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R(t) = 1 - (1 - e-(λ/2)t)2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t) = 2e-λt - e-2λt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신뢰성 데이터 해석에 사용되는 확률지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와이블 확률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t)는 으로 계산한다.
  2. F(t)는 로 계산한 값을 타점한다.
  3. 모수 m의 추정은 의 값이다.
  4. η의 추정은 타점의 직선이 F(t)=63%인 선과 만나는 점의 하측 눈금(t 눈금)을 읽은 값이다.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0개의 샘플에 대하여 4개가 고장날 때까지 수명시험을 한 결과 10시간, 20시간, 30시간, 40시간에 각각 1개씩 고장이 났다. 이 샘플의 고장이 지수분포에 따라 발생한다고 하면 MTBF의 점추정치는 몇 시간인가?

  1. 25시간
  2. 34시간
  3. 85시간
  4. 100시간
(정답률: 37%)
  • 고장이 지수분포에 따라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MTBF는 지수분포의 역수, 즉 평균 수명이다. 따라서, 10시간, 20시간, 30시간, 40시간에 각각 1개씩 고장이 났으므로, 4개의 샘플 중 3개의 샘플이 고장나지 않은 시간을 평균내면 MTBF의 점추정치가 된다. 따라서, MTBF의 점추정치는 (10+20+40)/3 = 30 시간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0시간"이 아니므로, "25시간"과 "34시간", "100시간"은 제외된다. 따라서, 정답은 "85시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각 요소의 신뢰도가 0.9인 2 out of 3 시스템(3중 2시스템)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1. 0.85
  2. 0.95
  3. 0.97
  4. 0.99
(정답률: 44%)
  • 2 out of 3 시스템에서는 3개의 요소 중 2개 이상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전체 시스템이 작동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2개의 요소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할 확률과 2개의 요소 중 1개만 정상적으로 작동할 확률의 합과 같다.

    즉, 시스템의 신뢰도 = (0.9 x 0.9) + (0.9 x 0.1 x 2) = 0.97

    첫 번째 항은 2개의 요소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할 확률이고, 두 번째 항은 2개의 요소 중 1개만 정상적으로 작동할 확률을 2번 더한 것이다. 따라서, 2 out of 3 시스템의 신뢰도는 0.9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신뢰성 설계항목에 관한내용으로 신뢰성 설계 순서를 나열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정답률: 48%)
  • 정답은 "㉠ → ㉡ → ㉢ → ㉣ → ㉤ → ㉥"입니다.

    ㉠에서는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에서는 요구사항에 따른 신뢰성 목표를 설정합니다. ㉢에서는 신뢰성 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예측하고, ㉣에서는 신뢰성 개선 방안을 도출합니다. ㉤에서는 개선 방안을 구현하고, ㉥에서는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통해 신뢰성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로 신뢰성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떤 부품을 신뢰수준 90%, C=1에서 λ1=1%/103 시간임을 보증하기 위한 계수 1회 샘플링검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때 시험시간 t를 1000시간으로 할 때, 샘플수는 몇 개인가? (단, 신뢰수준은 90%로 한다.)

  1. 79
  2. 195
  3. 390
  4. 778
(정답률: 46%)
  • 신뢰수준 90%에서의 단측검정에서의 신뢰계수는 1.28이다. 따라서, 계수 1회 샘플링검사에서 신뢰수준 90%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평균고장률 λ1에 대한 1.28배의 상한선을 넘지 않아야 한다. 즉, λ1 × 1.28 × t ≤ C 이어야 한다. 이를 λ1에 대해 정리하면 λ1 ≤ C / (1.28 × t) 이다. 따라서, 주어진 λ1=1%/103과 t=1000시간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λ1 ≤ 0.078125/시간 이다.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부품 1개당 평균고장률이 λ1인 경우, 샘플수 n을 구할 수 있다. n = (1.28 × 1.28 × 106 × 0.9) / (λ1 × t) = 390. 따라서, 샘플수는 39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마모고장 기간에 나타나는 고장 원인이 아닌 것은?

  1. 마모
  2. 부식
  3. 피로
  4. 불충분한 번인
(정답률: 56%)
  • 마모는 기계 부품이 마찰로 인해 점차적으로 소모되는 현상을 말하며, 부식은 화학적 반응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피로는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긴 시간 동안 사용되는 기계에서 발생합니다. 반면, 불충분한 번인은 부품이 충분한 강도로 가공되지 않아 부품이 고장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불충분한 번인은 마모고장 기간에 나타나는 고장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떤 재료에 가해지는 부하의 분포는 평균 1500kg/mm2, 표준편차 30kg/mm2인 정규분포를 따르고, 사용재료의 강도의 분포는 평균 1600kg/mm2, 표준편차 40kg/mm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 재료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1. 68.27%
  2. 95.46%
  3. 97.72%
  4. 99.73%
(정답률: 54%)
  • 재료에 가해지는 부하와 사용재료의 강도는 각각 정규분포를 따르므로, 두 변수의 차이도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때, 평균은 1600-1500=100kg/mm2이고, 표준편차는 √(302+402)=50kg/mm2이다. 따라서, 재료의 신뢰도는 1-Φ((100-0)/50)=1-Φ(2)=1-0.9772=0.0228=2.28%이다. 따라서, 정답은 "97.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떤 제품의 수명이 평균 450시간, 표준편차 50시간의 정규분포에 따른다고 한다. 이 제품 200개를 새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면 지금부터 500~600시간 사이에서는 평균 약 몇 개가 고장나는가?

  1. 30개
  2. 32개
  3. 91개
  4. 100개
(정답률: 46%)
  • 정규분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고 있으므로, 표준정규분포 표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500시간에서 600시간 사이에서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야 한다.

    평균: (500+600)/2 = 550시간
    표준편차: (600-500)/6 = 16.67시간

    이제, 이를 표준정규분포 표에서 찾아보면,
    z-score가 1.5인 부분에서의 확률은 0.4332이다.

    따라서, 200개의 제품 중에서 약 0.4332*200 = 86.64개가 500시간에서 600시간 사이에서 고장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확률적인 예상이므로, 실제로는 정확히 86.64개가 고장나는 것이 아니라, 그 근처의 값이 나올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91개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될 것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2개가 정답으로 주어져 있다. 이는 z-score가 -1인 부분에서의 확률을 계산한 것이다. 이 경우, 500시간 이전에 고장나는 제품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32개보다 더 많이 고장날 것이다. 따라서, 32개는 정확한 답은 아니지만, 대략적인 예상치로서는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일반적인 신뢰성 시험의 평균수명시험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시간이나 개수를 정해놓고 그 때까지만 수명시험을 하는 시험은?

  1. 전수시험
  2. 강제열화시험
  3. 가속수명시험
  4. 중도중단시험
(정답률: 51%)
  • 중도중단시험은 일정 시간이나 일정 개수를 정해놓고 그 때까지만 시험을 진행하고, 그 이후에 제품의 신뢰성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일반적인 신뢰성 시험에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품질경영

81. 제조물책임법에 명시된 결함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표시상의 결함
  4. 유지보수상의 결함
(정답률: 50%)
  • 제조물책임법에서 명시된 결함의 종류는 제조상의 결함, 설계상의 결함, 표시상의 결함이다. 유지보수상의 결함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의 커크패트릭(Kirkpatrick)의 품질비용에 관한 모형 중 B는 어떤 비용을 의미하는 것인가?

  1. 적합비용
  2. 평가비용
  3. 예방비용
  4. 관리비용
(정답률: 42%)
  • B는 예방비용을 의미한다. 예방비용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투자되는 비용이다. 예를 들어, 제품의 설계 단계에서 품질 검사를 실시하거나, 제품 생산 과정에서 품질 관리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비용이 예방비용에 해당한다. 이러한 예방비용을 투자함으로써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고,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인증심사의 분류에 따라 심사주체가 틀린 것은?

  1. 내부심사-조직
  2. 제1자 심사-인정기관
  3. 제2자 심사-고객
  4. 제3자 심사-인증기관
(정답률: 42%)
  • 제2자 심사는 고객이 직접 심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독립된 심사기관이 고객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제2자 심사를 실시하는 주체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제1자 심사는 해당 조직 내부에서 직접 실시하는 심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정기관이 제1자 심사를 실시하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인정기관은 제3자 심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산업표준화법령상 산업표준화 및 품질경영에 대한 교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 이에 해당되는 것은?

  1. 직반장 교육
  2. 작업자 교육
  3. 내부품질심사요원 양성교육
  4. 경영간부교육(생산·품질부문 팀장급 이상)
(정답률: 50%)
  • 산업표준화법령에서 규정한 산업표준화 및 품질경영 교육 대상은 생산 및 품질부문의 경영간부인 팀장급 이상이다. 따라서 "경영간부교육(생산·품질부문 팀장급 이상)"이 정답이다. 직반장 교육은 생산 현장에서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이며, 작업자 교육은 생산 과정에서의 안전 및 품질 개선을 위한 교육이다. 내부품질심사요원 양성교육은 내부품질심사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문제가 되고 있는 사상 중 대응되는 요소를 찾아내어 행과 열로 배치하고, 그 교점에 각 요소간의 연관 유무나 관련 정도를 표시함으로써 문제의 소재나 형태를 탐색하는데 이용되는 기법은?

  1. 계통도법
  2. 특성요인도
  3. 친화도법
  4. 매트릭스도법
(정답률: 54%)
  • 매트릭스도법은 대응되는 요소를 행과 열로 나열하여 교점에 각 요소간의 연관 유무나 관련 정도를 표시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문제의 소재나 형태를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매트릭스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표준화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무역장벽 제거
  2. 제품기능의 다양화 실현
  3. 안전, 건강 및 생명의 보호
  4. 소비자 및 공동사회의 이익보호
(정답률: 50%)
  • 표준화의 목적은 제품, 서비스, 시스템 등의 품질, 안전성, 상호운용성 등을 보장하여 안전, 건강 및 생명의 보호, 소비자 및 공동사회의 이익보호, 무역장벽 제거 등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품기능의 다양화 실현"은 표준화의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제품기능의 다양화는 표준화와는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1980년 중반에 등장한 전략경영 개념은 급변하는 기업환경 속에서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위협과 기회에 조직능력을 대응시키는 의사결정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적 경영을 전개해 가는 3단계적 접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품질 주도(quality initiative)
  2. 평가 및 통제(evaluation control)
  3. 전략의 형성(strategy formulation)
  4. 전략의 실행(strategy implementation)
(정답률: 38%)
  • 품질 주도는 전략적 경영의 3단계적 접근에 해당되지 않는다. 전략적 경영의 3단계적 접근은 전략의 형성, 전략의 실행, 평가 및 통제이다. 품질 주도는 조직 내부의 프로세스와 제품/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둔 경영 전략으로, 전략의 형성과 실행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크로스비(P.B.Crosby)의 품질경영에 대한 사상이 아닌 것은?

  1. 수행표준은 무결점이다.
  2. 품질의 척도는 품질코스트이다.
  3. 품질은 주어진 용도에 대한 적합성으로 정의한다.
  4. 고객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공급자가 갖추어야 되는 품질시스템은 처음부터 올바르게 일을 행하는 것이다.
(정답률: 30%)
  • 정답은 "수행표준은 무결점이다."입니다.

    크로스비는 품질을 "주어진 용도에 대한 적합성"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적합한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할 때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비용을 품질코스트로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공급자가 갖추어야 하는 품질시스템은 처음부터 올바르게 일을 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품질경영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어떤 문제에 대한 특성과 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브레인스토밍이 많이 사용되는 개선활동 기법은?

  1. 층별(stratification)
  2. 체크시트(check sheet)
  3. 산점도(scatter diagram)
  4. 특성요인도(cause & effect diagram)
(정답률: 51%)
  • 특성요인도는 어떤 문제의 원인과 그 원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성요인도는 문제 해결에 매우 유용한 개선활동 기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KS Q ISO 9001:2015)에서 품질목표 달성방법을 기획할 때, 조직에서 정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달성방법
  2. 달성대상
  3. 필요자원
  4. 완료시기
(정답률: 28%)
  • 정답은 "달성방법"입니다. 품질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달성대상, 필요자원, 완료시기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달성방법을 기획해야 합니다. 따라서 달성방법은 이미 정의된 달성대상, 필요자원, 완료시기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것이므로 조직에서 정의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6시그마의 본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2. 프로세스 평가·개선을 위한 과학적 통계적 방법
  3. 검사를 강화하여 제품 품질수준을 6시그마에 맞춤
  4. 고객만족 품질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업경영 철학이자 기업전략
(정답률: 46%)
  • 6시그마는 고객만족을 위한 품질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업경영 철학이자 기업전략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평가·개선을 위한 과학적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검사를 강화하여 제품 품질수준을 6시그마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고객만족을 높이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품질향상에 대한 모티베이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품질개선 활동에 있어서 달성 가능한 품질목표의 설정 없이는 효과적인 품질 모티베이션은 이룩될 수 없다.
  2. 작업조건, 임금, 승진 등의 환경적인 조건을 개선하는 것은 종업원으로 하여금 단기적으로 보다는 장기적으로 일할 의욕을 가지게 한다.
  3. 허츠버그(F. Herzberg)에 의하면 위생요인(hygiene factor), 즉, 일에 불만을 주는 요인을 아무리 개선하여도 종업원의 인간적 욕구는 충족되지 않는다고 한다.
  4. 동기부여가 목표지향적이라는 점에서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나 성과는 개인을 이끄는 동안이라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목표를 성취했을 때 욕구의 결핍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정답률: 40%)
  • 작업조건, 임금, 승진 등의 환경적인 조건을 개선하는 것은 종업원으로 하여금 단기적으로 보다는 장기적으로 일할 의욕을 가지게 한다. (이 문장은 틀린 내용이 없습니다.)

    작업조건, 임금, 승진 등의 환경적인 조건을 개선하는 것은 종업원들이 일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이 개선되면 종업원들은 일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동기부여를 얻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개선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물론이고 장기적으로도 일할 의욕을 가지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현대 품질경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경쟁우위에 관해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품질과 가격 중에서 더욱 중시되어야 할 것은 가격이다.
  2. 같은 품질에서 더 낮은 가격도 경쟁력의 일환이다.
  3. 전략적 우위는 가격경쟁력의 확대와 품질경쟁력의 확대를 통하여 확보될 수 있다.
  4. 경쟁력이 없어도 광고와 같은 판매촉진 전략으로 단기적 성과는 얻을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지속하긴 힘들다.
(정답률: 54%)
  • "품질과 가격 중에서 더욱 중시되어야 할 것은 가격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품질과 가격은 모두 중요한 경쟁요소이며, 품질이 높아질수록 가격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품질과 가격을 모두 고려하여 경쟁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사내표준 작성의 필요성이 큰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포가 큰 경우
  2. 공정이 변하는 경우
  3.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진 경우
  4. 신기술 도입 초기단계인 경우
(정답률: 48%)
  • 신기술 도입 초기단계에서는 아직 표준화된 절차나 방법이 없기 때문에 사내표준 작성의 필요성이 크지 않다. 이후에 경험과 노하우를 쌓아가며 표준화된 작업 절차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신기술 도입 초기단계인 경우"가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Y 제품의 치수의 규격이 150±1.5mm이라고 한다면 규정허용차는 얼마인가?

  1. √1.5 mm
  2. √3.0mm
  3. 1.5mm
  4. 3.0mm
(정답률: 33%)
  • 규정허용차는 제품의 치수가 규격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를 허용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규정허용차는 규격 범위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이인 3mm에서 제품의 치수 규격인 150mm의 오차 범위인 ±1.5mm를 뺀 1.5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그림과 같이 길이가 동일한 4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제품의 규격은 10±0.03cm이다. 각 부품의 규격은 얼마이어야 되는가?

  1. 2.5±0.015cm
  2. 2.5075±0.015cm
  3. 2.5±0.075cm
  4. 2.4925±0.0075cm
(정답률: 37%)
  • 4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제품의 길이는 각 부품의 길이를 모두 합한 것이므로, 각 부품의 길이를 x라고 하면 4x=10이 된다. 따라서 x=2.5이다.

    규격은 부품의 길이에 대한 허용오차를 나타내는데, 제품의 길이가 10±0.03cm이므로 각 부품의 길이에 대한 허용오차는 0.03/4=0.0075cm이 된다.

    따라서 각 부품의 규격은 2.5±0.0075cm가 된다. 이를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5±0.015cm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회사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품질방침을 결정하는 주체는?

  1. 최고경영자
  2. 품질관리부서장
  3. 판매부서장
  4. 품질관리실무자
(정답률: 57%)
  • 회사의 경영철학과 경영목표는 최고경영자가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품질방침을 결정합니다. 최고경영자는 회사의 최종적인 책임자이며, 회사의 방향성과 전략을 결정하는 주체입니다. 따라서, 품질방침을 결정하는 주체는 최고경영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오차의 발생원인 중 외부적인 영향에 의한 측정오차가 아닌 것은?

  1. 온도
  2. 군내오차
  3. 되돌림오차
  4. 접촉오차
(정답률: 51%)
  • 군내오차는 측정을 수행하는 장비나 인력 등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로, 외부적인 영향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외부적인 영향에 의한 측정오차가 아닌 군내오차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품질코스트의 항목 중 동일한 비용으로만 묶여진 것이 아닌 것은?

  1. 평가코스트-수입검사비용, 공정감사비용, 완성품감사비용, 시험·검사설비보전비용
  2. 외부실패코스트-판매기회손실비용, 반품처리비용, 현지서비스비용, 제품책임비용
  3. 내부실패코스트-스크랩비용, 재작업비용, 고장발견 및 불량분석비용, 보증기간 중의 불만처리비용
  4. 예방코스트-품질계획비용, 품질사무용품비용, 외주업체 지도비용, 품질관련 교육훈련 비용
(정답률: 45%)
  • 내부실패코스트의 항목 중 스크랩비용, 재작업비용, 고장발견 및 불량분석비용, 보증기간 중의 불만처리비용은 제품의 내부적인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동일한 비용으로만 묶여진 것이 아닙니다. 이들 비용은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으로, 제품의 내부적인 결함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MB(Malcolm Baldridge)상 평가기준의 7가지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리더십(leadership)
  2. 품질 중시(quality focus)
  3. 고객 중시(customer focus)
  4. 전략 기획(strategic planning)
(정답률: 39%)
  • MB(Malcolm Baldridge)상 평가기준의 7가지 범주 중 "품질 중시(quality focus)"는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