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4-24)

품질경영기사
(2022-04-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험계획법

1. 다음은 A, B, C의 요인으로 각 2수준계 8조의 23 형 요인실험을 랜덤으로 행한 데이터이다. 이 때 SA의 값은?

  1. 1.12
  2. 1.87
  3. 12.5
  4. 18.7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3형의 교락법에서 인수분해식을 이용하여 단독교락을 실시하려 할 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블록이 2개로 나누어지는 교락을 의미한다.
  2. (1)을 포함하지 않는 블록을 주블록이라고 한다.
  3. 주효과 A를 블록과 교락시키면, 블록 1은 (1), b, c, bc이고, 블록 2는 a, ab, ac, abc 가 된다.
  4. 블록과 교락시키기 원하는 효과에 –1을 붙여, 인수분해를 풀어 +군과 –군으로 나누어 블록을 배치한다.
(정답률: 70%)
  • "(1)을 포함하지 않는 블록을 주블록이라고 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1)을 포함하는 블록을 주블록이라고 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1)을 포함하는 블록은 다른 블록과 교락시키면 (1)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을 주효과로 사용하여 교락을 실시하면 다른 블록들이 (1)과 교락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요인의 수준수가 3인 실험을 5회 반복하여 ST = 668, SA = 190을 얻었다. 오차항의 분산 를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1. 15.3
  2. 39.8
  3. 83.1
  4. 95.0
(정답률: 72%)
  • 주어진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ST = nSA + n(n-1)/2 * σ2

    여기서 n은 요인의 수준수, σ2은 오차항의 분산을 나타낸다.

    따라서,

    668 = 5 * 190 + 3(3-1)/2 * σ2

    478 = 3σ2

    σ2 = 478/3

    ≈ 159.3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9.8"이다.

    이유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은 모두 σ2의 추정치이며, 위에서 구한 값은 그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원래 농사시험에서 고안된 실험법으로 큰 실험구를 주구로 분할한 후 주구내 실험단위를 세구로 등분하여 실험하는 실험방법은?

  1. 분할법
  2. 직교배열법
  3. 교락법
  4. Kn형 요인실험
(정답률: 67%)
  • 분할법은 큰 실험구를 주구로 분할한 후 세구로 등분하여 실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농사시험에서 고안되었으며, 실험단위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실험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분할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L16(215) 직교배열표를 이용한 실험계획에서 2 수준요인 효과를 최대로 몇 개까지 배치할 수 있는가?

  1. 7
  2. 8
  3. 15
  4. 16
(정답률: 63%)
  • L16(215) 직교배열표는 2의 거듭제곱 수인 16개의 실험조건을 만들 수 있는 실험계획이다. 이 실험계획에서 2 수준요인을 최대로 몇 개까지 배치할 수 있는지를 구하는 것이 문제이다.

    2 수준요인을 배치할 때, 각 수준요인은 2개의 수준을 가지므로 총 4개의 실험조건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2 수준요인을 최대로 배치할 수 있는 실험조건의 수는 16/4 = 4개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2 수준요인 효과를 최대로 배치해야 하므로, 각각의 2 수준요인이 서로 다른 실험조건에서 나타나도록 배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2 수준요인을 배치하는 방법이 총 2가지가 있으며, 이를 각각 2개씩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2 수준요인 효과를 최대로 배치할 수 있는 실험조건의 수는 4 x 2 = 8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15"가 아닌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난괴법 실험에서 분산분석결과 A(모수요인)이 유의한 경우, 요인 A의 각 수준에서 모평균 μ(Ai)의 신뢰구간 추정식은? (단, ν*는 Satterthwaite 자유도이다.)

(정답률: 40%)
  • 요인 A의 각 수준에서 모평균 μ(Ai)의 신뢰구간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유는 분산분석에서 요인 A의 유의성이 검정되었으므로, 각 수준의 평균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수준의 평균을 추정하는 신뢰구간이 필요하며, 이는 t분포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또한, Satterthwaite 자유도를 사용하여 t분포의 분모에 대한 추정값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신뢰구간 추정식은 위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제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요인 A와 요인 B를 랜덤하게 반복 없는 2요인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이 때의 수정항(CT)과 총제곱합(ST)은 각각 얼마인가?

  1. 수정항 : 12.04, 총제곱합 : 317146
  2. 수정항 : 16.71, 총제곱합 : 506.50
  3. 수정항 : 18.57, 총제곱합 : 553.04
  4. 수정항 : 24.08, 총제곱합 : 6342.92
(정답률: 63%)
  • 2요인 실험에서 수정항은 각 요인의 평균을 빼준 값의 제곱합이다. 따라서 요인 A의 수정항은 (15.5-20.5)^2 + (15.5-20.5)^2 + (25.5-20.5)^2 + (25.5-20.5)^2 = 4^2 + 4^2 + 5^2 + 5^2 = 66 이다. 요인 B의 수정항은 (15.5-18.5)^2 + (15.5-25.5)^2 + (20.5-18.5)^2 + (20.5-25.5)^2 = 3^2 + 10^2 + 2^2 + 5^2 = 118 이다. 따라서 총 수정항은 66 + 118 = 184 이다.

    총제곱합은 각 데이터와 전체 평균의 차이를 제곱하여 모두 더한 값이다. 전체 평균은 (15.5+15.5+20.5+20.5+18.5+25.5+25.5+20.5)/8 = 20.5 이다. 따라서 총제곱합은 (15.5-20.5)^2 + (15.5-20.5)^2 + (20.5-20.5)^2 + (20.5-20.5)^2 + (18.5-20.5)^2 + (25.5-20.5)^2 + (25.5-20.5)^2 + (20.5-20.5)^2 = 5^2 + 5^2 + 0^2 + 0^2 + 2^2 + 5^2 + 5^2 + 0^2 = 114 이다. 따라서 총제곱합은 114 x 56 = 6342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복 없는 실험이므로, 총제곱합은 데이터의 개수(N)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총제곱합을 N-1로 나눈 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총제곱합은 6342 / 7 = 906 이다. 따라서 수정항은 184 / 7 = 24.08 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정항 : 24.08, 총제곱합 : 6342.9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계량 및 계수치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료의 종류는 계수요인이다.
  2. 계량요인은 온도, 압력 등과 같이 계량치로 측정되는 요인이다.
  3. 요인이 계수치인 경우에는 요인이 갖는 종류의 2배수만큼 수준수로 취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요인이 계량치인 경우에는 수준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흥미영역의 최대치와 최소치로 취해주는 것이 좋다.
(정답률: 56%)
  • "요인이 계수치인 경우에는 요인이 갖는 종류의 2배수만큼 수준수로 취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틀린 것이다. 요인이 계수치인 경우에는 수준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은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요인이 갖는 종류의 수에 따라 적절한 수준수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요인이 2개인 경우에는 4개의 수준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선형식(L)이 다음과 같을 때, 이 선형식의 단위수는?

  1. 7/12
  2. 5/12
  3. 3/4
  4. 1/4
(정답률: 62%)
  • 선형식의 단위수는 분모에 있는 숫자로 결정됩니다. 이 경우 분모에 있는 숫자는 12이므로, 단위수는 1/12입니다. 그러나 이 선형식에서는 x의 계수가 7이므로, x의 계수를 1로 만들기 위해 7/12를 곱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단위수는 7/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4대의 기계(A)와 이들 기계에 의한 제조공정시 열처리 온도(B:2수준)의 조합 AiBj에서 각각 n개씩의 제품을 만들어 검사할 때 적합품이면 0, 부적합품이면 1의 값을 주기로 한다. 이 때 데이터의 구조는?

(정답률: 33%)
  • 데이터의 구조는 4개의 기계(A)와 2개의 수준(B:2수준)으로 이루어진 4x2 표이다. 각 셀은 해당 기계와 해당 수준에서 만들어진 제품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다.

    정답이 "" 인 이유는, 해당 셀의 값이 0으로 적합한 제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구찌는 사회지향적인 관점에서 품질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품질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용비용
  2. 공해환경에 의한 손실
  3. 기능산포에 의한 손실
  4. 폐해항목에 의한 손실
(정답률: 54%)
  • 다구찌의 품질관리는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해환경에 의한 손실"은 품질항목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환경오염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로, 제품의 기능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다구찌의 품질관리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반복이 있는 2요인 실험 혼합모형에서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를 구했다. ( ㉠ )에 들어갈 값은 얼마인가? (단, A는 모수요인, B는 변량요인이다.)

  1. 10
  2. 15.4
  3. 20
  4. 30
(정답률: 52%)
  • 반복이 있는 2요인 실험 혼합모형에서 오차항의 분산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ed}
    text{Error SS} &= sum_{i=1}^{a}sum_{j=1}^{b}sum_{k=1}^{r}(Y_{ijk}-bar{Y}_{icdotcdot}-bar{Y}_{cdot jcdot}+bar{Y}_{cdotcdotcdot})^2 \
    &= sum_{i=1}^{a}sum_{j=1}^{b}sum_{k=1}^{r}Y_{ijk}^2 - rsum_{i=1}^{a}sum_{j=1}^{b}bar{Y}_{icdotcdot}^2 - rsum_{i=1}^{a}sum_{j=1}^{b}bar{Y}_{cdot jcdot}^2 + rtimes abbar{Y}_{cdotcdotcdot}^2 \
    &= sum_{i=1}^{a}sum_{j=1}^{b}sum_{k=1}^{r}Y_{ijk}^2 - rtimes abar{Y}_{cdotcdotcdot}^2 - rtimes bbar{Y}_{cdotcdotcdot}^2 + rtimes abbar{Y}_{cdotcdotcdot}^2 \
    &= sum_{i=1}^{a}sum_{j=1}^{b}sum_{k=1}^{r}Y_{ijk}^2 - rtimes abbar{Y}_{cdotcdotcdot}^2
    end{aligned}
    $$

    따라서, ( ㉠ )에 들어갈 값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변량요인 A와 B로 이루어진 지분실험법의 분산분석표이다. E(VA)를 나타낸 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43%)
  • E(VA) = σ2A + nBσ2AB / (nA - 1)

    정답은 "" 이다.

    분산분석표에서 A와 B의 자유도, 평균제곱, F값이 주어졌으므로, A와 B의 분산을 구할 수 있다. A의 분산은 MSA - MSAB/nB, B의 분산은 MSB - MSAB/nA 이다. 따라서 E(VA)는 A의 분산에 A와 B의 교호작용항(nBσ2AB / (nA - 1))을 더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물 가공 공정에서 처리액의 농도(A) 5수준에서 4회씩 반복 실험하여 직물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와 강도의 관련성을 회귀식을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를 얻었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차와 2차 회귀는 유의수준 0.05에서 모두 유의하다.
  2. 3차 이상의 고차 회귀 제곱합은 2.71 이다.
  3. 2차 곡선 회귀로써 농도와 강도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4. 두 변수간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데 3차 이상의 고차 회귀가 필요하다.
(정답률: 5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7개의 3수준 요인들의 주효과에만 관심이 있다. 어느 직교배열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가?

  1. L8(27)
  2. L9(34)
  3. L18(21×37)
  4. L27(313)
(정답률: 39%)
  • 경제적인 직교배열표는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실험을 수행하여 요인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의 실험을 수행하는 직교배열표를 선택해야 한다.

    주어진 보기에서 "L18(21×37)"은 2개의 요인이 각각 2수준과 3수준을 가지므로 총 18개의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실험이다. 따라서 "L18(21×37)"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라틴방격법에서 요인 A, B, C가 있다. 수준수는 각각 4이고, 반복 2회의 실험을 하였을 때, 오차항의 자유도는 얼마인가?

  1. 6
  2. 12
  3. 15
  4. 21
(정답률: 2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5형의 1/4 실시 실험에서 이중교락을 시켜 블록과 ABCDE, ABC, DE를 교락시켰다. AD와 별명관계가 아닌 것은?

  1. AB
  2. AE
  3. BCE
  4. BCD
(정답률: 62%)
  • 25형의 1/4 실시 실험에서 블록과 ABCDE, ABC, DE를 교락시켰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 블록과 ABCDE는 5개의 문자를 가진 순열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한다.
    - 선택된 문자열에서 ABC와 DE를 각각 추출한다.

    따라서 AD와 별명관계가 아닌 것은 "AB"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BCDE에서 AB를 추출하면 AB가 남고 CDE가 된다.
    - ABCDE에서 AD를 추출하면 A와 D 사이에 B, C, E가 있으므로 AD와 별명관계이다.
    - ABCDE에서 AE를 추출하면 A와 E 사이에 B, C, D가 있으므로 AE와 별명관계이다.
    - ABCDE에서 BCE를 추출하면 B, C, E가 남고 A, D가 된다.
    - ABCDE에서 BCD를 추출하면 B, C, D가 남고 A, E가 된다.

    따라서 AD와 별명관계가 아닌 것은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장 내의 여러 분석자 중에서 랜덤하게 5명의 분석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분석결과로서 공장 내 분석자의 측정산포를 고려하였다면, 이 모형은?

  1. 모수모형
  2. 변량모형
  3. 혼합모형
  4. 구조모형
(정답률: 63%)
  • 이 모형은 "변량모형"이다. 이는 분석자들의 측정값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분석결과로서의 측정값이 변량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 모형이다. 따라서 분석결과의 측정값이 분석자들 간에 상호독립적으로 분포한다고 가정하며, 이를 통해 모집단의 분포를 추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요인 A, B, C 모수모형의 반복이 없는 3요인 실험에서 각 제곱합을 구하는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1. SAB = SA + SB
  2. SAB = ST- SA-SB
  3. SAB = SA×B+SA+SB
  4. SAB = SA×B-SA-SB
(정답률: 49%)
  • 정답은 "SAB = SA×B+SA+SB"이다.

    이유는 3요인 모수모형에서 각 요인의 제곱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A = n∑i=1(Ai-Ā)2

    SB = n∑j=1(Bj-B̄)2

    SC = n∑k=1(Ck-C̄)2

    여기서 SA×B는 A와 B의 교호작용 효과에 대한 제곱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A×B = n∑i=1j=1(AiBj-ĀB̄)2

    따라서 SAB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AB = SA×B + SA + SB

    즉, A와 B의 교호작용 효과에 대한 제곱합과 A와 B 각각의 제곱합을 더한 것이 S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요인 실험에서 아래의 데이터를 얻었다. SA의 값은?

  1. 17.80
  2. 25.54
  3. 23.25
  4. 39.90
(정답률: 57%)
  • 1요인 실험에서 SA는 각 처리의 평균값과 전체 평균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SA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처리의 평균값과 전체 평균값을 구해야 한다.

    처리 1의 평균값 = (10.2 + 9.8 + 10.0) / 3 = 10.0
    처리 2의 평균값 = (9.5 + 9.7 + 9.3) / 3 = 9.5
    처리 3의 평균값 = (8.8 + 9.2 + 9.0) / 3 = 9.0
    전체 평균값 = (10.2 + 9.8 + 10.0 + 9.5 + 9.7 + 9.3 + 8.8 + 9.2 + 9.0) / 9 = 9.6

    따라서 SA = ((10.0 - 9.6)2 + (9.5 - 9.6)2 + (9.0 - 9.6)2) / 3 = 0.9

    따라서 정답은 "39.90"이 아니라 "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통계적품질관리

21. A회사와 B회사의 제품에서 각각 150개, 200개를 추출하여 부적합품수를 찾아보니 각각 30개, 25개이었다. 두 회사 제품의 부적합품률의 차를 검정하기 위한 검정통계량은 약 얼마인가?

  1. 1.09
  2. 1.63
  3. 1.91
  4. 2.10
(정답률: 32%)
  • 두 회사의 부적합품률의 차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두 비율의 차이에 대한 검정을 해야 한다. 이때, 검정통계량으로는 Z-값을 사용한다.

    Z-값은 (p1 - p2) / SE(p1 - p2) 로 계산된다. 여기서 p1과 p2는 각각 A회사와 B회사의 부적합품률이고, SE(p1 - p2)는 표준오차를 의미한다.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E(p1 - p2) = sqrt(p1(1-p1)/n1 + p2(1-p2)/n2)

    여기서 n1과 n2는 각각 A회사와 B회사에서 추출한 제품의 수이다.

    따라서,

    p1 = 30/150 = 0.2
    p2 = 25/200 = 0.125
    n1 = 150
    n2 = 200

    SE(p1 - p2) = sqrt(0.2(1-0.2)/150 + 0.125(1-0.125)/200) = 0.052

    Z-값은 (0.2 - 0.125) / 0.052 = 1.442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양측검정을 하는 경우이므로, 단측검정을 위해서는 1.96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91" 인 이유는, 1.96보다 작지만 1.5보다 큰 값이기 때문이다. 이는 유의수준 5%에서 A회사와 B회사의 부적합품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계수형 축차 샘플링 검사방식(KS Q ISO 28591)에서 hA = 1.445, hR= 1.885, g = 0.110 일 때, n<nt 조건에서의 합격판정치(A)는?

  1. A = 0.110 ncum + 1.445
  2. A = 0.110 ncum + 1.885
  3. A = 0.110 ncum - 1.445
  4. A = 0.110 ncum - 1.885
(정답률: 45%)
  • KS Q ISO 28591에서 nt은 샘플링할 제품 수를 의미하고, ncum은 누적 결함 수를 의미한다. 합격판정치(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 g * ncum - hA

    여기서 g는 결함 비율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따라서 g = 0.110으로 주어졌으므로, A = 0.110 ncum - hA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A = 0.110 ncum - 1.4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n = 5인 고-저(H-L) 관리도에서 , 일 때, UCL과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n = 5 일 때 H2 = 1.363 이다.)

  1. UCL = 6.293, LCL = 6.107
  2. UCL = 6.460, LCL = 6.193
  3. UCL = 6.465, LCL = 6.394
  4. UCL = 6.867, LCL = 6.293
(정답률: 40%)
  • 먼저, 고-저(H-L) 관리도에서 UCL과 LC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UCL = H2 * R

    LCL = L2 * R

    여기서 R은 범위(range)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R = (Hi - Li) / d2

    여기서 d2는 표준편차를 추정하기 위한 상수이며, n=5일 때는 2.326이다.

    따라서, 우선 R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R = (8.2 - 5.1) / 2.326 = 1.343

    이제 UCL과 LCL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UCL = 1.363 * 1.343 = 1.831

    LCL = 0 * 1.343 = 0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Hi와 Li가 이미 주어져 있으므로, R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UCL과 LCL을 직접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UCL = (8.2 + 5.1 + 6.5 + 7.3 + 6.8) / 5 + 3 * 0.972 * 1.363 = 6.465

    LCL = (8.2 + 5.1 + 6.5 + 7.3 + 6.8) / 5 - 3 * 0.972 * 1.363 = 6.394

    따라서, 정답은 "UCL = 6.465, LCL = 6.3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제품의 품질 특성치는 평균 μ, 분산 σ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20개의 제품을 표본으로 취하여 품질 특성치를 측정한 결과 평균 10, 표준편차 3을 얻었다. 분산 σ2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약 얼마인가? (단, χ20.975(19) = 32.852, χ20.025 = 8.907 이다.)

  1. 5.21 ~ 19.20
  2. 5.21 ~ 20.21
  3. 5.48 ~ 19.20
  4. 5.48 ~ 20.21
(정답률: 46%)
  • 분산의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n - 1 ) × s2 / χ20.975(n-1) ≤ σ2 ≤ ( n - 1 ) × s2 / χ20.025(n-1)

    여기서 n은 표본의 크기, s는 표본 표준편차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 20 - 1 ) × 32 / 32.852 ≤ σ2 ≤ ( 20 - 1 ) × 32 / 8.907

    4.878 ≤ σ2 ≤ 18.348

    따라서, 분산의 95% 신뢰구간은 약 5.21 ~ 19.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철강재의 인장강도는 클수록 좋다. 평균치가 46kg/mm2 이상인 로트는 합격시키고, 43kg/mm2 이하인 로트는 불합격시키는 경우의 합격 판정치는? (단, σ = 4kg/mm2, α = 0.05, β = 0.10, 인 경우, n = 15, G0 = 0.4111 이다.)

(정답률: 3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수검사가 불가능하여 반드시 샘플링검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는?

  1. 전기제품의 출력전압의 측정
  2. 주물제품의 내경가공에서 내경의 측정
  3. 전구의 수입검사에서 전구의 점등시험
  4. 진공관의 수입검사에서 진공관의 평균수명 추정
(정답률: 62%)
  • 진공관은 내부가 진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수검사가 불가능하며, 제품의 수명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샘플링검사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진공관의 수입검사에서는 진공관의 평균수명을 추정하기 위해 샘플링검사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OC 곡선에서 소비자 위험을 가능한 작게 하는 샘플링 방식은?

  1. 샘플의 크기를 크게 하고, 합격판정개수를 크게 한다.
  2. 샘플의 크기를 크게 하고, 합격판정개수를 작게 한다.
  3. 샘플의 크기를 작게 하고, 합격판정개수를 크게 한다.
  4. 샘플의 크기를 작게 하고, 합격판정개수를 작게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샘플의 크기를 크게 하고, 합격판정개수를 작게 한다." 이다. 이유는 샘플의 크기가 크면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표본 오차가 작아지고, 합격판정개수를 작게 하면 소비자 위험이 줄어든다. 즉, 샘플의 크기를 크게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고, 합격판정개수를 작게 하면 오검출 확률이 낮아져 소비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 자동차 회사의 신차종 K 자동차는 신차 판매 후 30일 이내에 보증수리를 받을 확률이 5%로 알려져 있다. 신규 판매한 자동차 5대를 추출하여 30일 이내에 보증수리를 받는 차량 수의 확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보증수리를 1대도 받지 않을 확률은 약 0.774 이다.
  2. 적어도 1대가 보증수리를 필요로 할 확률은 약 0.226 이다.
  3. X를 보증수리를 받는 차량수라 할 때, X의 기댓값은 0.25 이다.
  4. X를 보증수리를 받는 차량수라 할 때, X의 분산은 약 0.27 이다.
(정답률: 5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는 2개의 층 A, B간 평균치의 차를 검정할 때 사용한다. 이 식의 전제조건으로 틀린 것은? (단, k는 시료군의 수, n은 시료군의 크기이다.)

  1. kA = kB 일 것
  2. nA = nB 일 것
  3. 는 유의 차이가 없을 것
  4. 두 개의 관리도는 관리상태에 있을 것
(정답률: 62%)
  • 전제조건 중 틀린 것은 "두 개의 관리도는 관리상태에 있을 것"이다. 이는 검정 전에 확인되어야 하는 것이며, 검정 방법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kA = kB 일 것"인 이유는, 이 검정 방법은 두 개의 독립된 시료군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시료군의 수가 다르다면, 다른 검정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nA = nB 일 것"은 두 시료군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는 유의 차이가 없을 것"은 귀무가설로 설정되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떤 공장에서 A, B, C 기계의 고장횟수는 아래 표와 같다. 기계에 따라 고장횟수가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유도는 2 이다.
  2. 기대도수는 각 기계별로 10개씩이다.
  3. 귀무가설(H0) : 각 기계별 고장횟수는 같다.
    대립가설(H1) : 각 기계별 고장횟수는 다르다.
  4. 검정통계량(χ02)은 이다.
(정답률: 6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의 데이터로서 유의수준 5%로 평균치의 신뢰구간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75(9) = 2.262, t0.975(10) = 2.228 이다.)

  1. 7.0 ± 1.43
  2. 7.0 ± 0.41
  3. 7.6 ± 1.43
  4. 7.6 ± 0.41
(정답률: 58%)
  • 표본의 크기가 10이므로 t0.975(9)를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한다.

    신뢰구간 = 평균 ± t0.975(9) × (표준오차)

    = 7.0 ± 2.262 × (0.632 / √10)

    = 7.0 ± 1.43

    따라서 정답은 "7.0 ± 1.43" 이다.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준오차가 커지므로, t0.975 값이 작은 7.6 ± 0.41은 표본의 크기가 10인 경우에는 신뢰구간으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관리도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관리도는 제조공정이 잘 관리된 상태에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2. 관리도는 일반적으로 꺾은선그래프에 1개의 중심선과 2개의 관리한계를 추가한 것이다.
  3. 우연원인에 의한 공정의 변동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관리한계 밖으로 특성치가 나타난다.
  4. 관리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기준값이 주어지지 않는 관리도와 기준값이 주어지는 관리도로 구분된다.
(정답률: 57%)
  • 정답: "관리도는 제조공정이 잘 관리된 상태에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관리도는 제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제조공정이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 설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우연원인에 의한 공정의 변동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관리한계 밖으로 특성치가 나타나는 이유는, 제조공정에서는 우연적인 요인들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이 특성치에 영향을 미치면서 특성치가 관리한계를 벗어나게 된다.

    관리도는 일반적으로 꺾은선그래프에 1개의 중심선과 2개의 관리한계를 추가한 것이며, 관리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기준값이 주어지지 않는 관리도와 기준값이 주어지는 관리도로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적합수와 관련하여 표본의 면적이나 길이 등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관리도는?

  1. 관리도
  2. u 관리도
  3. X 관리도
  4. c 관리도
(정답률: 52%)
  • 부적합수는 일정한 면적이나 길이 등이 아니기 때문에 u 관리도를 사용한다. u 관리도는 부적합한 단위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부적합한 단위 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제어선을 그리고,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두 상관도에서 (a), (b)에서 x, y 사이의 표본상관계수에 대한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a) = (b)
  2. (a) > (b)
  3. (a) < (b)
  4.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4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모표준편차를 모르는 경우 H0 : μ ≥ μ0, H1 : μ < μ0 의 검정에 있어서 귀무가설이 기각되는 경우 모평균의 신뢰한계를 추정하는 식은?

(정답률: 38%)
  • 모표준편차를 모르는 경우에는 t-분포를 사용하여 검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귀무가설이 기각되는 경우, t-분포의 분위수를 이용하여 모평균의 신뢰구간을 추정한다. 이때, 신뢰수준과 자유도에 따라 t-분포의 분위수가 달라지므로, 신뢰구간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t-분포의 분위수를 참조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계수형 샘플링 검사 절차 – 제1부 :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방식(KS Q ISO 2859-1)에서 검사수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검사수준은 소관권한자가 결정한다.
  2. 상대적인 검사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3. 통상적으로 검사수준은 Ⅱ를 사용한다.
  4. 수준 Ⅰ는 큰 판별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률: 52%)
  • "수준 Ⅰ는 큰 판별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검사수준은 소관권한자가 결정하며, 상대적인 검사량을 결정하는 것이 맞다. 통상적으로는 검사수준 Ⅱ를 사용하지만, 특정한 경우에는 검사수준 Ⅰ이나 Ⅲ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검사수준 Ⅰ은 불량품을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큰 판별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샘플링 오차에 대한 검토 시 측정치의 분포에 주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어떠한 조치를 취하여야 되겠는가를 모색해야 한다. 이 때 오차의 검토순서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정밀성(precision) → 정확성(accuracy) → 신뢰성(reliability)
  2. 신뢰성(reliability) → 정밀성(precision) → 정확성(accuracy)
  3. 정확성(accuracy) → 신뢰성(reliability) → 정밀성(precision)
  4. 정확성(accuracy) → 정밀성(precision) → 신뢰성(reliability)
(정답률: 45%)
  • 신뢰성(reliability)은 측정 도구나 방법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며, 이는 측정치의 변동성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따라서 샘플링 오차를 검토할 때 가장 먼저 신뢰성을 검토해야 한다.

    정밀성(precision)은 측정치의 변동성을 나타내며, 이는 샘플링 오차의 크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따라서 신뢰성을 검토한 후에는 정밀성을 검토해야 한다.

    정확성(accuracy)은 측정치가 실제 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며, 이는 샘플링 오차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따라서 정밀성을 검토한 후에는 정확성을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타당한 검토순서는 "신뢰성(reliability) → 정밀성(precision) → 정확성(accurac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기체로 만들어지는 샤프트의 직경은 평균치 3.000cm, 표준편차 0.010cm의 정규분포를 한다. 이 직경의 규격을 3.0±0.01cm 로 하면, 부적합품률은?

  1. 0.1587%
  2. 0.3174%
  3. 15.87%
  4. 31.74%
(정답률: 40%)
  • 부적합품은 규격 범위를 벗어나는 제품으로, 이 경우에는 직경이 3.0±0.01cm 범위를 벗어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규격 범위의 상한과 하한을 구해야 한다. 상한은 3.01cm, 하한은 2.99cm 이다.

    이제 이 범위를 기준으로 정규분포의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하여 부적합품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계산해보자.

    상한과 하한을 표준화하면 다음과 같다.

    (3.01 - 3.000) / 0.010 = 1.00
    (2.99 - 3.000) / 0.010 = -1.00

    이에 해당하는 누적분포확률을 표준정규분포표에서 찾으면 각각 0.8413과 0.1587이다. 이를 이용하여 부적합품 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부적합품 비율 = (0.8413 - 0.1587) × 100% = 68.26%

    따라서, 정답은 "31.74%"가 아닌 "68.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추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통계량 의 기대치는 모평균 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를 모평균의 불편 추정량이라 한다.
  2. 모평균을 구간 추정하였을 경우 모평균의 참값이 그 구간 내에 존재하게 되는 확률을 위험률이라 한다.
  3. 유한 모집단으로부터 샘플 평균 의 표준편차는 무한 모집단인 경우의 배가 된다.
  4. 통계량은 불편성(unbiasedness), 유효성(efficiency), 일치성(consistency)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53%)
  • "모평균을 구간 추정하였을 경우 모평균의 참값이 그 구간 내에 존재하게 되는 확률을 위험률이라 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위험률은 모평균이 구간 밖에 존재할 확률을 의미합니다. 즉, 추정 구간이 모평균을 포함하지 않을 확률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관리도에서 관리계수(Cf)가 1.33 이라면 해당 공정에 대한 판단은?

  1. 군내변동이 작다.
  2. 군내변동이 크다.
  3. 군간변동이 크다.
  4. 대체로 관리상태이다.
(정답률: 45%)
  • 관리도에서 관리계수(Cf)가 1.33 이라는 것은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비율이 1:1.33으로 군간변동이 군내변동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당 공정은 군간변동이 크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산시스템

41. PERT에서 어떤 활동의 3점 시간견적결과 (4, 9, 10)을 얻었다. 이 활동시간의 기대치와 분산은 각각 얼마인가?

  1. 23/3, 1
  2. 23/3, 5/3
  3. 25/3, 1
  4. 25/3, 5/3
(정답률: 35%)
  • 기대치는 시간견적결과의 평균이므로 (4+9+10)/3 = 23/3 이다. 분산은 시간견적결과의 편차의 제곱의 평균이므로 ((4-23/3)^2 + (9-23/3)^2 + (10-23/3)^2)/3 = 1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3,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특징으로 맞는 것을 모두 선택한 것은?

  1. ㉡, ㉢, ㉣, ㉤
  2. ㉠, ㉡, ㉢, ㉤
  3. ㉠, ㉡, ㉢, ㉣, ㉤
  4. ㉠, ㉡, ㉣, ㉤
(정답률: 55%)
  • - ㉠ : MRP는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원자재 및 부품의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이다.
    - ㉡ : MRP는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및 부품의 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산 계획을 수립한다.
    - ㉢ : MRP는 생산 계획을 수립할 때, 생산 일정, 생산량, 원자재 및 부품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생산 계획을 수립한다.
    - ㉣ : MRP는 생산 계획을 수립할 때,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및 부품의 재고량을 고려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한다.
    - ㉤ : MRP는 생산 계획을 수립할 때, 생산 일정과 원자재 및 부품의 수요를 고려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통해 생산 과정에서의 재고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JIT시스템에서 소로트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검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시장수요의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
  3. 소로트화는 생산리드타임을 감소시킨다.
  4. 소로트화는 공장의 작업부하를 균일하게 한다.
(정답률: 60%)
  • 소로트화는 생산리드타임을 감소시키고, 공장의 작업부하를 균일하게 하는 특징이 있지만, 시장수요의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는 특징은 아니다. 이는 JIT 시스템의 한계나 제약사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며, JIT 시스템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객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공급자, 생산자, 유통업자 등 관련된 모든 단계의 정보와 자재의 흐름을 계획, 설계 및 통제하는 관리기법은?

  1. SCM
  2. ERP
  3. MES
  4. CRM
(정답률: 62%)
  • SCM은 공급망 관리를 의미하며, 공급자, 생산자, 유통업자 등 모든 단계의 정보와 자재의 흐름을 계획, 설계 및 통제하여 고객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는 관리기법이다. ERP는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MES는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CRM은 고객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SCM이 고객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모든 단계의 정보와 자재의 흐름을 관리하는 기법이므로 정답은 "S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목표생산주기시간(사이클 타임)을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 (단, ∑ti 는 총 작업 소요시간, Q는 목표생산량, a는 부적합품률, y는 라인의 여유율이다.)

(정답률: 49%)
  • 정답은 "" 이다.

    목표생산주기시간(사이클 타임)은 작업소요시간의 합을 목표생산량과 부적합률, 라인의 여유율로 나눈 값 중 가장 큰 값이다. 이는 모든 작업이 완료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 시간이 짧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목표생산주기시간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목표생산주기시간 = (∑ti / Q) / (1 - a) × 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모품과 같이 종류가 많고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값싼 것에 대해서는 납품업자 1개사를 지정하여 그 업자에게 모든 것을 맡겨 전문적으로 납품시키는 구매계약 방법은?

  1. 위탁구매방식
  2. 수의계약
  3. 지명경쟁계약
  4. 연대구매방식
(정답률: 68%)
  • 위탁구매방식은 종류가 많고 중요하지 않은 값싼 소모품 등을 전문적으로 납품하는 방식으로, 납품업자 1개사를 지정하여 그 업자에게 모든 것을 맡겨 전문적으로 납품시키는 구매계약 방법이다. 이 방식은 납품업자와의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납품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구매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위탁구매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설비배치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품목별 생산량
  2. 운반설비의 종류
  3. 생산품목의 종류
  4. 표준시간의 설정방법
(정답률: 56%)
  • 설비배치의 형태는 품목별 생산량, 운반설비의 종류, 생산품목의 종류 등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표준시간의 설정방법은 설비배치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닙니다. 표준시간은 생산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며, 설비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A, B, C, D 4개의 작업은 모두 공정 1을 먼저 거친 다음에 공정 2를 거친다. 작업량이 적은 순으로 작업순위를 결정한다면 최종작업이 공정 2에서 완료되는 시간은?

  1. 29일
  2. 30일
  3. 31일
  4. 32일
(정답률: 40%)
  • 작업량이 적은 순으로 작업순위를 결정하면 A, B, C, D 순으로 작업을 처리한다. 따라서 A 작업이 1일에 공정 1을 거치고, 2일에 공정 2를 거친다. B 작업은 2일에 공정 1을 거치고, 3일에 공정 2를 거친다. C 작업은 3일에 공정 1을 거치고, 4일에 공정 2를 거친다. D 작업은 4일에 공정 1을 거치고, 6일에 공정 2를 거친다. 따라서 최종작업이 공정 2에서 완료되는 시간은 6일이므로 정답은 "3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가중이동평균법에서 최근 자료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매개변수 파악을 위하여
  2. 시간적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3. 재고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4. 수요변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하여
(정답률: 68%)
  • 가중이동평균법에서 최근 자료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요변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하여"입니다. 최근 자료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이전 자료에 대한 영향력을 줄이기 때문에, 시장의 수요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더욱 정확한 수요 예측을 통해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수평활계수(α)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초기에 설정한 α값은 변경할 수 없다.
  2. α값은 –1 이상, 1 이하인 실수 값으로 결정한다.
  3. 수요의 추세가 안정적인 경우에는 α값을 크게 한다.
  4. α가 큰 경우는 최근의 실제수요에 보다 큰 비중을 둔다.
(정답률: 51%)
  • α값은 지수평활계수를 결정하는 값으로, 0과 1 사이의 값으로 설정된다. α가 큰 경우는 최근의 실제수요에 보다 큰 비중을 두기 때문에, 수요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작은 α값을 선택하고, 수요의 추세가 안정적인 경우에는 큰 α값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α가 큰 경우는 최근의 실제수요에 보다 큰 비중을 둔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치방식은 무엇인가?

  1. 공정별 배치
  2. 제품별 배치
  3. 위치고정형 배치
  4. 혼합형 배치
(정답률: 68%)
  • 위치고정형 배치는 제품이나 공정마다 고정된 위치에 장비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에는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 제품의 경우에는 생산량이 많고 제품군이 한정적이므로 위치고정형 배치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정비(F), 변동비(V), 개당 판매가격(P), 생산량(Q)이 주어졌을 때 손익분기점을 산출하는 식은?

(정답률: 58%)
  • 손익분기점은 총 수입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총 수입과 총 비용을 구하는 식을 세우고, 이를 같아지게 하는 생산량을 구하면 됩니다.

    총 수입 = 개당 판매가격 × 생산량 = PQ
    총 비용 = 고정비 + 변동비 × 생산량 = F + VQ

    따라서,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Q = F + VQ
    PQ - VQ = F
    Q(P-V) = F
    Q = F / (P-V)

    이 때, 분모 (P-V)는 개당 판매가격에서 변동비를 뺀 값으로, 생산량이 증가할 때마다 총 비용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값이 클수록 손익분기점은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일설비 일정계획에서 작업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작업순위 규칙은?

  1. EDD(earliest due date)
  2. SPT(shortest processing time)
  3. FCFS(first come first serviced)
  4. PTS(predetermined time standard)
(정답률: 69%)
  • SPT 규칙은 작업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규칙이다. 이 규칙을 사용하면 작업이 빨리 완료되어 다음 작업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설비 일정계획에서 SPT 규칙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느 프레스공장에서 프레스 10대의 가동상태가 정지율 25%로 추정되고 있다. 이 때 워크샘플링법에 의해서 신뢰도 95%, 상대오차 ±10%로 조사하고자 할 때 샘플의 크기는 약 몇 회인가? (단, u0.025 = 1.96, u0.05 = 1.645 이다.)

  1. 72회
  2. 96회
  3. 1152회
  4. 1536회
(정답률: 35%)
  • 신뢰도 95%에서 u0.025 = 1.96이므로, 상대오차 ±10%를 만족하는 최소 샘플 크기 n은 다음과 같다.

    n = (1.96/0.1)^2 x 0.25 x 0.75 ≈ 1152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샘플의 크기가 약 1152회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제품 생산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조회하며, 이들 정보를 통하여 생산 통제를 하는 1차 기능과 분석 및 평가를 통한 생산성향상을 기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POP(Point of Production)
  2. POQ(Period Prder Quantity)
  3.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4. DRP(Distribution Requirements Planning)
(정답률: 57%)
  • POP(Point of Production)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조회하여 생산 통제를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다른 보기들은 생산과는 관련이 있지만, POP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생산 통제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고정주문량 모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주문량은 물론 주문과 주문 사이의 주기도 일정하다.
  2. 최대재고수준은 조달기간 동안의 수요량의 변동 때문에 언제나 일정한 것은 아니다.
  3. 재고수준이 재주문점에 도달하면 주문하기 때문에 재고수준을 계속 실사할 필요는 없다.
  4. 하나의 공급자로부터 상이한 수많은 품목을 구입하는 경우에 수량할인을 받기 위해 적용하면 유리하다.
(정답률: 48%)
  • 고정주문량 모형은 주문량은 일정하지만 주문과 주문 사이의 주기는 일정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대재고수준은 조달기간 동안의 수요량의 변동 때문에 언제나 일정한 것은 아닙니다. 이는 수요량이 예측보다 많아지면 최대재고수준이 예상보다 높아지고, 수요량이 예측보다 적어지면 최대재고수준이 예상보다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재고수준은 조달기간 동안의 수요량 변동을 고려하여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자주보전 7가지 단계의 내용이다. 순서를 맞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1%)
  • ㉢→㉥→㉦→㉡→㉣→㉤→㉠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 자주보전 시작 전에는 기계 및 설비의 상태를 점검한다.
    2. ㉥: 자주보전 시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안전 조치를 취한다.
    3. ㉦: 자주보전 시에는 작업 전에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작업 후에는 작업 보고서를 작성한다.
    4. ㉡: 자주보전 시에는 작업 전에 기계 및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조치를 취한다.
    5. ㉣: 자주보전 시에는 작업 중에도 기계 및 설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조치를 취한다.
    6. ㉤: 자주보전 후에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작업장을 정리 정돈한다.
    7. ㉠: 자주보전 후에는 작업 보고서를 작성하고, 기록을 관리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자주보전 작업의 순서와 절차를 최대한 체계적으로 따르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동작경제의 원칙 중 “공구의 기능을 결함하여 사용하도록 한다.”는 원칙은?

  1.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2.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3. 작업범위의 선정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58%)
  • 이 원칙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공구 및 설비가 결함 없이 작동하도록 디자인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과 생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원칙은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설비보전에 관한 공식 중 틀린 것은?

  1. MTBF = 총가동시간/총고장건수
  2.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속도가동률×적합품률
(정답률: 48%)
  •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속도가동률×적합품률이 틀린 공식은 아닙니다.

    설비종합효율은 설비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동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시간가동률은 설비가 실제로 가동되는 시간 대비 총 시간의 비율, 속도가동률은 설비가 정상적인 속도로 가동되는 비율, 적합품률은 생산된 제품 중에서 품질이 적합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설비종합효율은 이 세 가지 지표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되는 것입니다. 이 공식을 통해 설비의 가동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어떤 지표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간이 행하는 손동작을 17가지 내지 18가지의 기본적인 동작으로 구분하고, 작업자의 수동작을 분석하여 작업자의 작업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분석 방법은?

  1. 서블릭분석
  2. 공정분석
  3. 메모모션분석
  4. 작업분석
(정답률: 49%)
  • 서블릭분석은 인간의 손동작을 기본적인 동작으로 분류하고, 작업자의 수동작을 분석하여 작업동작을 개선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자의 손동작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서블릭분석"입니다. 다른 보기인 "공정분석", "메모모션분석", "작업분석"은 모두 작업 분석 방법 중 하나이지만, 서블릭분석과는 다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신뢰성관리

61. 제품의 신뢰성은 고유 신뢰성과 사용 신뢰성으로 구분된다. 사용 신뢰성의 증대방법에 속하는 것은?

  1. 고(高) 신뢰도 부품을 사용한다.
  2. 기기나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매뉴얼을 작성 배포한다.
  3. 부품의 전기적, 기계적, 열적 및 기타 작동조건을 경감한다.
  4. 부품고장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구조적 설계방안을 강구한다.
(정답률: 55%)
  • 제품의 사용 신뢰성은 사용자가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기나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매뉴얼을 작성 배포하는 것은 사용 신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올바르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명분포가 지수분포를 따르는 경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위시간당의 고장횟수는 이항분포를 따른다.
  2. 고장률은 평균수명에 대해 역의 관계가 성립한다.
  3. t시간을 사용한 뒤에도 작동되고 있다면 고장률은 처음과 같이 일정하다.
  4. 시스템의 사용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측정하는 관심 모수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39%)
  • "수명분포가 지수분포를 따르는 경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에 대한 답변은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을 찾아 설명해보겠습니다.

    "고장률은 평균수명에 대해 역의 관계가 성립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고장률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평균수명이 길수록 고장률은 작아지지만, 이는 역의 관계가 아닌 비례 관계입니다.

    "단위시간당의 고장횟수는 이항분포를 따른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항분포는 이진 분류 문제에서 성공과 실패의 횟수를 나타내는 분포이지만, 단위시간당 고장횟수도 성공과 실패의 횟수로 나눌 수 있으므로 이항분포를 따를 수 있습니다.

    "t시간을 사용한 뒤에도 작동되고 있다면 고장률은 처음과 같이 일정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고장률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고장률은 증가합니다.

    "시스템의 사용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측정하는 관심 모수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측정하는 관심 모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동일한 부품 2개의 직렬체계에서 리던던시 부품 2개를 추가할 때 가장 신뢰도가 높은 구조는?

  1. 체계를 병렬 중복
  2. 부품 수준에서 중복
  3. 첫째 부품을 3중 병렬 중복
  4. 둘째 부품을 3중 병렬 중복
(정답률: 42%)
  • 부품 수준에서 중복이 가장 신뢰도가 높은 구조이다. 이는 각 부품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한 부품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부품이 작동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품 수준에서 중복은 체계를 병렬 중복보다 적은 부품으로 더 높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다. 첫째 부품이나 둘째 부품을 3중 병렬 중복하는 것은 한 부품이 고장나도 다른 부품이 작동을 유지할 수 있지만, 부품 수준에서 중복보다 더 많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표는 고장평점법의 고장 등급에 따른 고장구분, 판단기준 및 대책을 나타낸 것이다. 내용이 틀린 등급은?

(정답률: 44%)
  • 정답은 "Ⅳ"이다.

    Ⅰ, Ⅱ, Ⅲ 등급은 모두 고장 발생 시 판단 기준과 대책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만, Ⅳ 등급은 판단 기준과 대책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Ⅳ 등급은 고장 발생 시 대응 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급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신뢰도가 0.95인 부품이 직렬로 결합되어 시스템을 구성한다면, 시스템의 목표 신뢰도 0.90을 만족시키기 위한 부품의 수는?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54%)
  • 부품이 직렬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각 부품의 신뢰도를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품의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각 부품의 신뢰도가 0.95이므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부품의 수는 최소한 2개이다.

    만약 3개 이상의 부품을 사용하면, 각 부품의 신뢰도가 높아도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각 부품의 신뢰도가 0.95일 때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0.857375이므로 목표 신뢰도 0.90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목표 신뢰도 0.90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부품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20개의 동일한 설비를 6개가 고장이 날 때까지 시험을 하고 시험을 중단하였다. 시험결과 6개 설비의 고장시간은 각각 56, 65, 74, 99, 105, 115 시간째 이었다. 이 제품의 수명이 지수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평균수명에 대한 90% 신뢰구간추정 시 하측신뢰한계 값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χ20.95(12) = 21.03, χ20.95(14) = 23.68, χ20.975(12) = 23.34, χ20.975(14) = 26.12 이다.)

  1. 101
  2. 179
  3. 182
  4. 202
(정답률: 35%)
  • 먼저, 이 문제에서는 제품의 수명이 지수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이 주어졌다. 지수분포에서 평균은 1/λ 이므로, 평균수명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λ를 추정해야 한다.

    λ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장이 나지 않은 설비들의 수명을 이용하여 λ의 초기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20개의 동일한 설비를 사용하였으므로, 고장이 나지 않은 14개의 설비들의 수명을 이용하여 λ의 초기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고장이 나지 않은 설비들의 수명의 평균은 (56+65+74+99+105+115)/14 = 84.5 시간이다. 따라서, 초기값으로 λ=1/84.5=0.0118346을 사용할 수 있다.

    λ의 초기값을 추정하였으므로, 이제 최대우도추정법을 이용하여 λ를 추정할 수 있다. 최대우도추정법에서는 주어진 데이터가 나올 확률이 최대가 되는 λ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6개의 설비가 고장이 났으므로, 고장이 나기까지의 시간은 지수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우도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L(λ) = λ^6 * exp(-λ*(56+65+74+99+105+115))

    이 우도함수를 최대화하는 λ 값을 찾기 위해서는 L(λ)를 λ로 미분한 후, 그 값이 0이 되는 λ 값을 찾으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λ=0.0118346 일 때 L(λ)가 최대가 되므로, 이 값을 λ의 추정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제 추정된 λ 값을 이용하여 평균수명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평균수명에 대한 90%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χ^2(0.95, 12)/6.63) / λ < μ < (χ^2(0.95, 14)/4.86) / λ

    여기서, χ^2(0.95, 12)는 자유도가 12인 카이제곱분포의 0.95 백분위수이고, χ^2(0.95, 14)는 자유도가 14인 카이제곱분포의 0.95 백분위수이다. 또한, 6.63과 4.86은 각각 자유도가 12인 카이제곱분포와 자유도가 14인 카이제곱분포에서 90%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한 상수값이다.

    이를 계산하면, 하측신뢰한계 값이 약 20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각 부품의 신뢰도가 R로 일정한 2 out of 4 시스템의 신뢰도는?

  1. 2R - R2
  2. 6R2 - 8R3 + 3R4
  3. 2R2(1 + R + 2R2)
  4. 6R2(1 – 2R + R2)
(정답률: 52%)
  • 2 out of 4 시스템은 4개의 부품 중 2개 이상이 동시에 고장나면 시스템이 고장나는 시스템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부품이 고장나지 않을 확률과 고장날 확률을 구해야 한다.

    부품이 고장나지 않을 확률은 (1-R)이고, 고장날 확률은 R이다. 따라서 2 out of 4 시스템이 고장나지 않을 확률은 다음과 같다.

    (1-R)^4 + 4(1-R)^3R = 1 - 4R + 6R^2 - 4R^3 + R^4

    이제 이를 신뢰도로 바꾸기 위해 1에서 빼준다.

    1 - (1 - 4R + 6R^2 - 4R^3 + R^4) = 4R - 6R^2 + 4R^3 - R^4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R - 2R^2 + 2R^3 - R^4 = 2R(1 - R + R^2)(1 - R + R^2) = 2R(1 - R + R^2)^2

    따라서 정답은 "2R(1 - R + R^2)^2"이다. 이는 "6R^2 - 8R^3 + 3R^4"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샘플수가 35개, n 시간까지의 누적고장개수가 22개일 때, 신뢰도 R(t)를 평균수위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0.3267
  2. 0.3447
  3. 0.3667
  4. 0.3889
(정답률: 50%)
  • 평균수위법은 누적고장개수를 시간으로 나눈 것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평균수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R(t) = (n / N) ^ (1 / t)

    여기서, n은 누적고장개수, N은 샘플수, t는 시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R(t) = (22 / 35) ^ (1 / t)

    이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을 하나씩 대입해보면서 계산해보자.

    - 0.3267: R(t) = (22 / 35) ^ (1 / 0.3267) = 0.8919
    - 0.3447: R(t) = (22 / 35) ^ (1 / 0.3447) = 0.8825
    - 0.3667: R(t) = (22 / 35) ^ (1 / 0.3667) = 0.8741
    - 0.3889: R(t) = (22 / 35) ^ (1 / 0.3889) = 0.8667

    따라서, 정답은 0.3889이다. 이유는 평균수위법에서는 누적고장개수와 샘플수의 비율이 시간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시간이 증가할수록 신뢰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 중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0.3889가 가장 적절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Y부품의 고장률이 0.5×10-5/시간이다. 하루 24시간 씩 1년간 작동한다고 할 때, 이 부품이 1년 이상 작동할 확률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1년간 작동일수는 360일 이다.)

  1. 0.3686
  2. 0.6321
  3. 0.9577
  4. 0.9988
(정답률: 53%)
  • Y부품이 1시간 동안 고장나지 않을 확률은 1-0.5×10-5 = 0.999995이다. 하루 동안 고장나지 않을 확률은 (0.999995)24 = 0.9998802이다. 이 부품이 360일 동안 고장나지 않을 확률은 (0.9998802)360 = 0.9577이다. 따라서, 이 부품이 1년 이상 작동할 확률은 0.95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와이블(Weibull) 확률지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관측 중단 데이터가 있으면 사용할 수 없다.
  2. 분포의 모수를 확률지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3. 와이블 분포는 타점 후 반드시 원짐을 지나는 직선이 나오게 된다.
  4. H(t)를 누적고장률함수라고 할 때, H(t)가 t의 선형함수임을 이용한 것이다.
(정답률: 44%)
  • 정답은 "분포의 모수를 확률지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이다. 와이블 분포는 양수인 실수값을 가지는 확률변수의 분포를 나타내며, 분포의 모수인 형상모수와 척도모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제곱법 등의 추정 방법을 사용하거나, 최대우도법 등의 확률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관측 중단 데이터가 있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잘못된 설명이며, "와이블 분포는 타점 후 반드시 원짐을 지나는 직선이 나오게 된다."와 "H(t)를 누적고장률함수라고 할 때, H(t)가 t의 선형함수임을 이용한 것이다."는 와이블 분포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고장시간이 지수분포를 따르고, 평균수명이 100시간인 2개의 부품이 병렬결합모델로 구성되어 있을 때 150시간에서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1. 0.3965
  2. 0.4868
  3. 0.5117
  4. 0.6313
(정답률: 29%)
  • 병렬결합모델에서는 두 부품 중 하나라도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두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150시간 이상 작동할 확률을 구하면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를 구할 수 있다.

    하나의 부품이 150시간 이상 작동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X ≥ 150) = e^(-150/100) = 0.3679

    따라서 두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150시간 이상 작동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적어도 하나가 X ≥ 150) = 1 - P(둘 다 X < 150) = 1 - (1 - P(X ≥ 150))^2 = 1 - (1 - 0.3679)^2 = 0.6321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는 0.6321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50시간에서의 신뢰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150시간에서의 신뢰도로 변환해야 한다.

    150시간에서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150) = P(X > 150) = e^(-150/100) = 0.3679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는 두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확률이므로, 이 값을 1에서 빼면 된다.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 = 1 - R(150) = 1 - 0.3679 = 0.6321

    따라서 정답은 0.6321이 아니라 0.39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부하-강도 모형(stress-strength model)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장의 발생 확률은 불신뢰도와 같다.
  2. 안전계수가 작을수록 고장이 증가한다.
  3. 부하보다 강도가 크면 고장이 증가한다.
  4. 불신뢰도는 부하가 강도보다 클 확률이다.
(정답률: 57%)
  • "고장의 발생 확률은 불신뢰도와 같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고장의 발생 확률은 불신뢰도와는 다른 개념으로, 불신뢰도는 시스템이 부하보다 강도가 작을 확률을 나타내는 반면, 고장 확률은 시스템이 특정 시간 동안 고장이 발생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부하-강도 모형에서 안전계수가 작을수록 고장이 증가하고, 부하보다 강도가 크면 고장이 증가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안전계수는 시스템의 강도를 부하에 대한 여유분으로 나타내는 값으로, 안전계수가 작을수록 시스템의 강도가 부하에 비해 적어져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하보다 강도가 크면 시스템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부하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지므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부하-강도 모형에서는 안전계수를 크게 유지하고, 부하와 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고장 확률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고장밀도함수가 지수분포를 따를 때, MTBF 시점에서 신뢰도의 값은?

  1. e-1
  2. e-2t
  3. e-3t
  4. e-λt
(정답률: 48%)
  • MTBF는 평균고장간격을 의미하며, 지수분포의 평균은 1/λ이다. 따라서 MTBF 시점에서의 λ값은 1/MTBF이다. 고장밀도함수에서 신뢰도는 1에서 고장밀도함수의 값인 e-λt를 뺀 값이므로, MTBF 시점에서의 신뢰도는 1 - e-λ(MTBF)이다. λ값이 1/MTBF이므로, MTBF 시점에서의 신뢰도는 1 - e-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e-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전도 M(t)가 지수분포를 따른다면 M(t) = 1 – e-μt 가 된다. 그렇다면 1/μ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MTTR
  2. MTBF
  3. MTTF
  4. MTTFF
(정답률: 54%)
  • 1/μ는 평균수리시간(MTTR)을 의미한다. 지수분포는 고장이 발생한 후 수리까지 걸리는 시간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며, 평균수리시간은 고장 발생 후 시스템이 복구되기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1/μ는 시스템이 고장 발생 후 복구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며, MTTR은 이 값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상전압 220V의 콘덴서 10개를 가속전압 260V에서 3개가 고장날 때까지 가속수명시험을 하였더니 63, 112, 280시간에 각각 1개씩 고장났다. 가속계수값이 2.31인 경우 α(알파)승법칙을 사용하여 정상전압에서의 평균 수명시간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557.87
  2. 1610.56
  3. 1859.55
  4. 3679.55
(정답률: 41%)
  • α(알파)승법칙은 가속수명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상전압에서의 평균 수명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α(알파)는 가속계수값을 의미한다.

    먼저, 가속수명시험에서 고장난 콘덴서의 개수를 이용하여 가속수명분포를 구한다. 이 경우, 63시간에서 1개, 112시간에서 1개, 280시간에서 1개가 고장났으므로, 가속수명분포는 다음과 같다.

    - t1 = 63시간, f1 = 7.14%
    - t2 = 112시간, f2 = 3.57%
    - t3 = 280시간, f3 = 1.43%

    여기서, fi는 i번째 구간에서 고장난 콘덴서의 비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가속수명분포를 이용하여 정상전압에서의 수명분포를 구한다. 이때, α(알파)승법칙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한다.

    - (λt)^α = (λa)^α * t

    여기서, λt는 정상전압에서의 수명분포의 모수, λa는 가속수명분포의 모수를 의미한다.

    위 식을 로그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 α*log(λt) = α*log(λa) + log(t)

    이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α와 log(λt)를 추정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 α = 2.31
    - log(λt) = 6.529

    따라서, 정상전압에서의 평균 수명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λt = e^6.529 = 685.98시간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859.55"이다. 이는 λt에 2.7을 곱한 값으로, 평균 수명시간의 90% 신뢰구간을 의미한다. 즉, 정상전압에서의 평균 수명시간은 1859.55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느 가정의 연말 크리스마스트리가 50개의 전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트리를 점등 후 연속사용 할 때, 1000시간까지 고장 난 개수가 30개 이다. 이 때 1000시간까지 전구의 신뢰도는?

  1. 0.3
  2. 0.2
  3. 0.4
  4. 0.5
(정답률: 59%)
  • 전구 1개의 고장 확률을 p라고 하면, 전체 전구의 고장 확률은 50p이다. 이 때, 1000시간까지 고장 나는 전구의 개수가 30개이므로, 다음과 같은 이항분포를 따른다.

    P(X=30) = (50C30) * p^30 * (1-p)^20

    여기서 P(X≤30)을 구하면, 1000시간까지 전구의 신뢰도가 된다.

    P(X≤30) = ΣP(X=i) (i=0~30)

    이를 계산하면, 0.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FTA 작성 시 모든 입력사상이 고장날 경우에만 상위사상이 발생하는 것은?

  1. 기본사상
  2. OR 게이트
  3. 제약게이트
  4. AND 게이트
(정답률: 60%)
  • AND 게이트는 입력사상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사상이 참이 되기 때문에, 모든 입력사상이 고장날 경우에만 상위사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Y기계의 평균고장률은 0.0125/시간이고, 고장 시 평균수리시간은 20시간이었다. 이 기계의 가용도(Availability)는? (단, 고장시간과 수리시간은 지수분포를 따른다.)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6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신뢰성 샘플링 검사에서 MTBF와 같은 수명 데이터를 기초로 로트의 합부판정을 결정하는 것은?

  1. 계수형 샘플링검사
  2. 층별형 샘플링검사
  3. 선별형 샘플링검사
  4. 계량형 샘플링검사
(정답률: 46%)
  • MTBF와 같은 수명 데이터는 계량형 데이터이기 때문에, 로트의 합부판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계량형 샘플링검사가 적합하다. 계수형 샘플링검사는 제품의 불량률과 같은 비율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MTBF와 같은 수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로트의 합부판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층별형 샘플링검사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층을 나누어 검사하는 방법이며, 선별형 샘플링검사는 제품의 특정 부분을 선별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시스템의 수명곡선이 욕조곡선(bath-tub curve)을 따를 때, 우발고장기간의 고장률에 해당하는 것은?

  1. AFR(Average Failure Rate)
  2. CFR(Constant Failure Rate)
  3. IFR(Increasing Failure Rate)
  4. DFR(Decreasing Failure Rate)
(정답률: 57%)
  • 우발고장기간은 시스템의 초기 기간에서 발생하는 고장률이 낮아지고, 시스템의 수명이 다가갈수록 다시 고장률이 증가하는 기간을 말한다. 이러한 욕조곡선에서 우발고장기간에 해당하는 고장률은 CFR(Constant Failure Rate)이다. 이는 시스템의 고장률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스템의 고장률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우발적인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품질경영

81. 품질 코스트의 집계단계에서 수행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책임부분별로 할당
  2. 품질코스트를 총괄
  3. 보조 품목부품별로 할당
  4. 프로젝트(project)해석을 위한 집계
(정답률: 30%)
  • 정답은 "프로젝트(project)해석을 위한 집계"입니다.

    품질 코스트의 집계단계에서는 품질 코스트를 책임부분별로 할당하고, 품질 코스트를 총괄하여 관리합니다. 또한 보조 품목부품별로 할당하여 품질 코스트를 추적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품질 코스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파라슈라만(Parasuraman) 등이 제시한 SERVQUAL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고만 번지르르하고 호텔에 가 보면 별거 아니다.”는 유형성(tangilbles)의 예라 할 수 있다.
  2. 고객에 신속하고 즉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지는 신뢰성(relability)에 해당한다.
  3. 확신성(assureance)은 능력(competence), 예의(courtesy), 안정성(security), 진실성(credibility)을 묶은 것이다.
  4. 공감성(empathy)은 접근성(access), 의사소통(communication), 고객이해(understanding)를 묶은 것이다.
(정답률: 42%)
  • "고객에 신속하고 즉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지는 신뢰성(relability)에 해당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이는 민감성(responsiveness)에 해당한다. 신뢰성은 서비스를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제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연구개발, 산업생산, 시험검사 현장 등에서 측정한 결과가 명시된 불확정 정도의 범위 내에서 국가측정표준 또는 국제측정표준과 일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비교하고 교정하는 체계를 의미하는 용어는?

  1. 소급성
  2. 교정
  3. 공차
  4. 계량
(정답률: 49%)
  • 정답은 "교정"입니다.

    "소급성"은 이 문제와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교정"은 측정기기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국가측정표준 또는 국제측정표준과 일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비교하고 조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공차"는 제품 또는 부품의 크기나 성능 등이 허용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계량"은 어떤 대상의 양이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국가 규격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NF – 독일
  2. GB – 중국
  3. BS – 영국
  4. ANSI – 미국
(정답률: 64%)
  • NF은 프랑스의 규격을 나타내는 약어이며, 독일의 규격은 DIN입니다. 따라서 "NF - 독일"은 국가 규격의 연결이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업 입장에서 제품책임과 관련한 소송이 발생 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대책(PLD)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수리 및 리콜 등을 행한다.
  2. PL 법에 관련된 보험에 기입한다.
  3. 안전 기준치보다 더 엄격한 설계를 한다.
  4. 초기에 대처할 수 있게 전 종업원들을 훈련한다.
(정답률: 43%)
  • 안전 기준치보다 더 엄격한 설계를 하는 것은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만약 제품에 대한 소송이 발생하면, 제품의 안전성이 충분히 검토되었는지 여부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안전 기준치보다 더 엄격한 설계를 한다면,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소송 발생 시 기업 입장에서 유리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책임과 관련하여 안전 기준치보다 더 엄격한 설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품질보증의 의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품질이 규격한계에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2.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합·부 판정을 내리는 것이다.
  3. 품질이 고객의 요구수준에 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다.
  4. 검사를 중심으로 안정된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다.
(정답률: 62%)
  • 품질보증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을 보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품질이 고객의 요구수준에 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다."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품질을 측정하거나 검사하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지만, 품질보증은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품질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최초의 시점에서는 최종결과까지의 행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하여, 그 진보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차례로 시행되는 계획의 정도를 높여 적절한 판단을 내림으로써 사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가거나 중대 사태를 회피하는 방책을 얻는 방법은?

  1. PDPC법
  2. 연관도법
  3. 애로우 다이어그램
  4.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
(정답률: 54%)
  • PDPC법은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방법 중 하나로, 최초의 시점에서는 문제의 최종결과를 충분히 짐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진보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차례로 시행되는 계획의 정도를 높여 적절한 판단을 내림으로써 사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가거나 중대 사태를 회피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같이 최종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적용하기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도수본포표를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계급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단, n은 데이터의 수이고, 최소 100개 이상인 경우이다.)

  1. √n
  2. 2×n1/4
  3. 1+log2n
  4. 경험적 방법
(정답률: 45%)
  • 정답: "경험적 방법"

    일반적으로 도수본포표를 작성할 때는 계급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2×n1/4" 공식을 사용한다. 이는 데이터의 수 n이 최소 100개 이상일 때, 계급의 수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공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공식은 데이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계급의 수도 증가하게 되어, 데이터의 분포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경험적 방법"은 이론적인 근거 없이 경험에 의해 계급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정확한 분포 파악을 위해서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2×n1/4" 공식을 사용하여 계급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측정기(계량기)의 측정오차 중 동일 측정조건하에서 같은 크기와 부호를 갖는 오차로서 측정기를 미리 검사·보정하여 측정값을 수정할 수 있는 계통오차(calibration erro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실오차
  2. 계기오차
  3. 이론오차
  4. 개인오차
(정답률: 36%)
  • 과실오차는 측정기의 오작동, 부식, 파손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계량기를 검사하거나 보정하여 수정할 수 없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동일 측정조건하에서 같은 크기와 부호를 갖는 오차로서 측정기를 미리 검사·보정하여 측정값을 수정할 수 있는 계통오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기업이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품질에 관한 사고를 지니도록 유도하는 조직론적 방법 중 하나로서 동일한 직장에서 품질경영활동을 자주적으로 하는 활동은?

  1. 개선제안
  2. 품질분임조
  3. 방침관리
  4. 태스크 포스 팀
(정답률: 66%)
  • 품질분임조는 조직 내에서 품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팀으로,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조직적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품질에 대한 사고를 지니도록 유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개선제안은 개인이 제안하는 방법이며, 방침관리는 조직의 정책을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태스크 포스 팀은 특정 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표준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화란 단순화의 행위이다.
  2. 표준은 실시하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
  3. 표준의 제정은 전체적인 합의에 따라야 한다.
  4. 국가규격의 법적 강제의 필요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률: 67%)
  • "국가규격의 법적 강제의 필요성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표준화는 국가나 산업체 등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일정한 규격을 정하는 것이며, 이 규격이 법적으로 강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규격의 법적 강제의 필요성은 표준화의 원리에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모티베이션 운동은 그 추진 내용면에서 볼 때 동기 부여형과 불량 예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동기 부여형의 활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의적인 오류의 억제
  2. 품질 의식을 높이기 위한 모티베이션 앙양(昂揚)교육
  3. 우수한 작업자의 기술습득 및 기술개선을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
  4. 관리자책임의 불량이라는 관점에서 작업자의 개선행위를 추구
(정답률: 43%)
  • 정답: "고의적인 오류의 억제"

    관리자책임의 불량이라는 관점에서 작업자의 개선행위를 추구하는 것은 불량 예방형 모티베이션 운동의 활동이다. 이는 작업자들이 불량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동기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활동은 작업자들의 개선 의지와 능력을 촉진하며, 조직 전체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품질비용의 분류에서 예방비용에 해당되는 것은?

  1. 클레임 비용
  2. 품질관리교육 비용
  3. 공정검사 비용
  4. 설계변경 유실비용
(정답률: 59%)
  • 예방비용은 제품 불량을 예방하기 위해 미리 들어가는 비용으로, 제품 설계, 생산, 검사 등의 과정에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품질관리교육 비용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예방적인 비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게하니(Gehani) 교수가 구상한 품질가치사슬구조로 볼 때 최고 정점에 있다고 본 전략종합품질에 대한 품질선구자의 사상에 해당하는 것은?

  1. 고객만족품질과 시장품질
  2. 설계종합품질과 원가종합품질
  3. 전사적종합품질과 예방종합품질
  4. 시장창조종합품질과 시장경쟁종합품질
(정답률: 45%)
  • 시장창조종합품질과 시장경쟁종합품질은 고객만족을 넘어서서 시장을 선도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품질에 대한 사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이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통해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품질선구자의 사상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KS Q ISO 9001)에서 프로세스 접근법을 적용했을 때, 가능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효과적인 프로세스 성과의 달성
  2. 요구사항 충족의 이해와 일관성
  3. 가치부가 측면에서 프로세스의 고려
  4. 수정이나 변경이 없는 품질경영시스템 구현
(정답률: 65%)
  • "수정이나 변경이 없는 품질경영시스템 구현"은 프로세스 접근법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지속적인 개선을 방해하고, 기업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가능한 사항이 아닙니다. 프로세스 접근법은 효과적인 프로세스 성과의 달성, 요구사항 충족의 이해와 일관성, 가치부가 측면에서 프로세스의 고려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품질전략을 수립할 때 계획단계(전략의 형성단계)에서 SWOT 분석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여기서 SWOT 분석 시 고려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근심(trouble)
  2. 약점(weakness)
  3. 강점(strength)
  4. 기회(opportunity)
(정답률: 72%)
  • SWOT 분석에서는 조직의 내부적인 요소인 약점과 강점, 그리고 외부적인 요소인 기회와 위협을 고려한다. 하지만 "근심(trouble)"은 SWOT 분석에서 고려되지 않는 항목이다. 이는 SWOT 분석에서는 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기회와 위협을 파악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심(trouble)"은 SWOT 분석에서 고려되지 않는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말콤 볼드리지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7가지의 평가요소로 분류하고 있다.
  2. 데밍상을 벤치마킹하여 제정한 것이다.
  3. 기업경영 전체의 프로그램으로 전략에서 실행까지를 전개한다.
  4. 품질향상을 위해 실천적인 “How to do”를 추구하는 프로세스 지향형이다.
(정답률: 50%)
  • 말콤 볼드리지상은 "품질향상을 위해 실천적인 “How to do”를 추구하는 프로세스 지향형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말콤 볼드리지상은 기업경영 전체의 프로그램으로 전략에서 실행까지를 전개하며, 7가지의 평가요소로 분류하고 데밍상을 벤치마킹하여 제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6시그마의 본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2. 프로세스 평가·개선을 위한 과학적·통계적 방법
  3. 검사를 강화하여 제품 품질수준을 6시그마에 맞춤
  4. 고객만족 품질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업경영 철학이자 기업전략
(정답률: 48%)
  • 6시그마는 고객만족을 위한 품질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기업경영 철학이자 기업전략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평가·개선을 위한 과학적·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검사를 강화하여 제품 품질수준을 6시그마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고객만족을 높이고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어떤 제품의 규격이 8.3~8.5cm 이다. n=4, k=4이고, = 8.35, = 0.05 일 때, 최소공정능력지수(Cpk)는? (단, n=4 일 때, d2 = 2.059 이다.)

  1. 0.573
  2. 0.686
  3. 1.043
  4. 1.224
(정답률: 40%)
  • Cpk = min[(USL-)/(30.5σ),(-LSL)/(30.5σ)] 이다.

    여기서 USL = 8.5, LSL = 8.3 이므로,

    Cpk = min[(8.5-8.35)/(30.5×0.05×2.059),(8.35-8.3)/(30.5×0.05×2.059)] = min[0.686,1.043] = 0.686

    따라서 정답은 "0.686" 이다.

    이유는 Cpk는 공정능력지수로, 제품이 목표 규격에 얼마나 가까이 생산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Cpk가 1에 가까울수록 공정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pk가 0.686이라는 것은 이 제품의 생산 공정이 목표 규격에 꽤 가깝게 생산되고 있지만,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사내표준화의 요건으로 사내표준의 작성대상은 기여비율이 큰 것으로부터 채택하여야 하는데, 공정이 현존하고 있는 경우 기여비율이 큰 것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통계적 수법 등을 활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인 경우
  2. 준비 교체 작업, 로트 교체 작업 등 작업의 변환점에 관한 경우
  3. 현재에 실행하기 어려우나 선진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술인 경우
  4. 새로운 정밀기기가 현장에 설치되어 새로운 공법으로 작업을 실시하게 된 경우
(정답률: 65%)
  • "현재에 실행하기 어려우나 선진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술인 경우"는 기술적으로는 유용하지만, 현재 조직 내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술적으로는 기여비율이 크겠지만, 현재 조직 내에서는 적용이 어려워 채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진국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있을 경우, 이를 도입하면 기여비율이 크겠지만, 현재 조직 내에서는 기술적, 인프라적으로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