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컬러리스트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1. 병원 수술실의 의사 복장이 청록색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위급한 경우 눈에 잘 띄게 하기 위하여
  2. 잔상 현상을 없애기 위해
  3.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보이기 위해
  4. 의사의 개인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정답률: 96%)
  • 수술 중에 사용되는 현미경 등의 기기에서 발생하는 잔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청록색 복장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수술 중 정확한 시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형용사의 반대어를 스케일로써 측정하여 색채에 대한 심리적인 측면을 다면적으로 다루는 색채분석 방법은?

  1. 연상법
  2. SD법
  3. 순위법
  4. 선호도 추출법
(정답률: 89%)
  • SD법은 형용사의 반대어를 스케일로써 측정하여 색채에 대한 심리적인 측면을 다면적으로 다루는 색채분석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색채분석 방법이 아니거나, 형용사의 반대어를 측정하지 않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색채와 문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940년대 초반에는 군복의 영향으로 검정, 카키, 올리브 등이 유행하였다.
  2. 각 문화권의 특색은 색채의 연상과 상징을 통해 나타난다.
  3. 문화 속에서 가장 오래된 색이름은 파랑(blue)이다.
  4. 색이름의 종류는 문화가 발달할수록 세분화되고 풍부해진다.
(정답률: 77%)
  • 문화 속에서 가장 오래된 색이름은 파랑(blue)이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파랑은 인류가 가장 먼저 발견한 색 중 하나이며, 다양한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 속에서 가장 오래된 색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색채의 상징적 의미가 사용되는 분야가 아닌 것은?

  1. 관료의 복장
  2. 기업의 C.I.P
  3. 안내 픽토그램
  4. 오방색의 방위
(정답률: 69%)
  • 안내 픽토그램은 색채의 상징적 의미보다는 그림과 아이콘 등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주요한 역할이기 때문에 색채의 상징적 의미가 사용되는 분야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채의 연상형태 및 색채문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버 비렌은 보라색의 연상형태를 타원으로 생각했다.
  2. 노란색은 배신, 비겁함이라는 부정의 연상언어를 가지고 있다.
  3. 초록은 부정적인 연상언어가 없는 안정적이고 편안함의 색이다.
  4. 주황은 서양에서 할로윈을 상징하는 색채이기도 하다.
(정답률: 65%)
  • "주황은 서양에서 할로윈을 상징하는 색채이기도 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초록은 대개 자연과 관련된 이미지와 연관되며, 신선함, 안정감, 안락함 등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적인 연상언어가 없는 안정적이고 편안함의 색"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색채의 연상을 자유 연상법으로 조사한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빨간색을 보면 사과, 태양 등의 구체적인 연상을 한다.
  2. 검은색과 분홍색은 추상적인 연상의 경향이 강하다.
  3. 색채에는 어떤 개념을 끌어내는 힘이 있어 많은 연상이 가능하다.
  4. 성인은 추상적인 연상에서 이어지는 구체적인 연상이 많아진다.
(정답률: 33%)
  • 정답: "검은색과 분홍색은 추상적인 연상의 경향이 강하다."

    이유: 검은색과 분홍색은 각각 어두운 색과 연한 색으로, 색 자체로는 구체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기 어렵기 때문에 추상적인 연상이 더 많이 일어납니다. 반면 빨간색은 사과나 태양과 같은 구체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기 쉬워서 구체적인 연상이 더 많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경향은 성인이 되면서 더욱 강해지는데,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다루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상적인 연상에서 이어지는 구체적인 연상이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색채조절을 위한 고려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시간, 장소, 경우를 고려한 색채조절
  2. 사물의 용도를 고려한 색채조절
  3.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한 색채조절
  4. 보편적 색채 연상을 벗어난 사용자의 개성을 고려한 색채조절
(정답률: 83%)
  • 잘못된 것은 "보편적 색채 연상을 벗어난 사용자의 개성을 고려한 색채조절"입니다. 이는 오히려 사용자의 개성을 고려하는 것이므로 올바른 고려사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간, 장소, 경우, 사물의 용도, 사용자의 성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색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채 감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색채 감정은 국가마다 다르다.
  2. 한국인과 일본인의 색채감성은 동일하다.
  3. 한국인의 색채감성은 논리적, 수학적, 기하학적이다.
  4. 규칙적으로 선정된 명도, 채도, 색상은 색채의 요소가 일정하더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정답률: 85%)
  • "색채 감정은 국가마다 다르다."라는 이유는 각 국가의 문화, 역사, 지리적 환경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색채에 대한 인식과 감정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는 흰색이 순수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가지지만, 동양에서는 사막과 같은 건조한 이미지를 가지기 때문에 흰색에 대한 감정이 다르게 형성됩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은 문화적으로 유사하지만 색채 감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민트(박하) 사탕을 위한 포장지를 선택하려고 할 때 내용물의 이미지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의 조화는?

  1. 노랑과 은색
  2. 브라운과 녹색
  3. 노랑과 검정
  4. 녹색과 은색
(정답률: 92%)
  • 민트(박하) 사탕의 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은 녹색입니다. 따라서 녹색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은색은 민트(박하) 사탕의 시원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색상이므로 녹색과 함께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녹색과 은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비자가 개인적인 제품을 구매하고 결정하는데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대상은?

  1. 한 가지 목적을 가지고 모이는 희구집단
  2. 개인의 취향과 의견에 영향을 주는 대면집단
  3. 가정의 경제력을 가진 결정권자
  4. 사회계급이 같은 계층의 집단
(정답률: 83%)
  • 개인의 취향과 의견에 영향을 주는 대면집단이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대상인 이유는 개인의 취향과 의견은 개인의 성향과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공유하고 비교할 수 있는 대면집단이 개인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대면집단은 친구, 가족, 동료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과의 소통을 통해 제품에 대한 정보나 평가를 얻어 개인의 구매 결정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계획, 조직, 지후, 조정, 통제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은?

  1. 색채관리
  2. 색채정책
  3. 색채개발
  4. 색채조사
(정답률: 79%)
  • 색채관리는 색채를 일관되게 사용하고 유지하기 위해 계획, 조직, 지후, 조정, 통제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채를 관리하는 방법이나 과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식욕을 자극하는 색은?

  1. 주황색
  2. 파란색
  3. 보라색
  4. 자주색
(정답률: 95%)
  • 주황색은 식욕을 자극하는 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주황색이 식욕을 자극하는 화려하고 따뜻한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황색은 음식과 관련된 이미지나 광고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에 쓰이는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채는?

  1. 7.5R 4/14
  2. 5Y 8.5/12
  3. 2.5PB 4/10
  4. 2.5G 4/10
(정답률: 90%)
  • 정답은 "2.5G 4/10"이다. 이는 녹색(Green)의 색상 중 밝기(Brightness)가 4, 채도(Saturation)가 10인 색상을 의미한다.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에는 녹색이 사용되며, 밝기와 채도는 시각적으로 더욱 눈에 띄게 하기 위해 조절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색채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에 대한 인간의 의식적 무의식적 반응을 이용하여 색채의 기능적 측면을 활용할 수 있다.
  2. 안전색은 안전의 의미를 지닌 특별한 성질의 색이다.
  3. 색채치료는 색채를 이용하여 건강을 회복시키고 유지하도록 돕는 심리기법 중의 하나이다.
  4. 안전색채는 안전표지의 모양에 맞추어서 사용하며, 다른 물체의 색과 유사하게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82%)
  • "안전색채는 안전표지의 모양에 맞추어서 사용하며, 다른 물체의 색과 유사하게 사용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안전색채는 안전을 상징하는 색으로, 다른 물체의 색과 유사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노란색과 검은색 조합은 안전표지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물체의 색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색채에 의한 정서적 반응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색의 온도감은 색의 속성 중 색상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2.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3. 한색계열의 저채도 색이 심리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
  4. 중량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채도로, 채도의 차이가 무게감을 좌우한다.
(정답률: 75%)
  • "색의 온도감은 색의 속성 중 색상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한색계열의 저채도 색이 심리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는 모두 색채에 의한 정서적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중량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채도로, 채도의 차이가 무게감을 좌우한다."는 물리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색채에 의한 정서적 반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색채와 소리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뉴턴은 일곱가지 색을 칠 음계에 연계시켜 색채와 소리의 조화론을 설명하였다.
  2. 카스텔은 C는 청색, D는 녹색, E는 주황, G는 노랑 등으로 음계와 색을 연결시켰다.
  3. 색채와 음계의 관계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므로 공통된 이론으로 발전되지는 못하였다.
  4. 몬드리안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작품은 다양한 소리와 역동적인 움직임을 표현한 것이다.
(정답률: 68%)
  • "색채와 음계의 관계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므로 공통된 이론으로 발전되지는 못하였다."가 틀린 것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는 것은 있지만,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색채와 음계를 연결시키는 이론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뉴턴의 일곱가지 색을 일곱음계에 연결시키는 이론이 있고, 카스텔은 일부 음계와 일부 색채를 연결시켰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공통된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색채와 소리의 조화론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카스텔은 C는 청색, D는 녹색, E는 주황, G는 노랑 등으로 음계와 색을 연결시켰는데, 이는 일부 음계와 색채를 연결시키는 것이며, 이론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색채조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업용으로 쓰이는 색은 부드럽고 약간 회색빛을 띤 색이 좋다.
  2. 비교적 고온의 작업환경 속에서 일하는 경우에 초록이나 파란색이 좋다.
  3. 우중충한 회색빛의 기계류는 중요부분과 작동부분을 담황색으로 강조하는 것이 좋다.
  4. 색은 보기에 알맞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참고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정답률: 88%)
  • "색은 보기에 알맞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참고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색채조절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반면, 이 보기는 색채조절의 목적과 방향성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 보기는 색채조절의 기본적인 철학을 강조하고 있으며,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색채마케팅 전략은 (A) → (B) → (C) → (D)의 순으로 발전되어 왔다. 다음 중 각 ( )에 들어갈 내용이 틀린 것은?

  1. A:매스마케팅
  2. B:표적 마케팅
  3. C:윈윈마케팅
  4. D:맞춤마케팅
(정답률: 70%)
  • 정답: C:윈윈마케팅

    윈윈마케팅은 잘못된 내용이 아니며, 색채마케팅 전략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윈윈마케팅은 맞춤마케팅과 유사한 개념으로, 고객과 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상호 협력적인 마케팅 전략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매스마케팅은 대규모의 고객 대상으로 일반적인 광고와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적 마케팅은 특정 고객층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에 맞게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마케팅하는 전략이다.

    맞춤마케팅은 개별 고객의 요구와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게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요하네스 이텐의 계절과 연상되는 배색이 아닌 것은?

  1. 봄은 밝은 톤으로 구성한다.
  2. 여름은 원색과 선명한 톤으로 구성한다.
  3. 가을은 여름의 색조와 강한 대비를 이루고 탁한 톤으로 구성한다.
  4. 겨울은 차고, 후퇴를 나타내는 회색톤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겨울은 차고, 후퇴를 나타내는 회색톤으로 구성한다." 이다. 이유는 요하네스 이텐의 계절 색채 이론에서 겨울은 차가운 색조와 회색톤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어떤 물체를 보고 연상되어 떠오르는 '기억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붉은색 사과는 실제 측색되는 색보다 더 붉은 빨간색으로 표현한다.
  2.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전통적으로 녹색과 흰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3. 단맛의 배색을 위해 솜사탕의 이미지를 색채로 표현한다.
  4. 신학대학교의 구분과 표시를 위해 보라색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60%)
  • "붉은색 사과는 실제 측색되는 색보다 더 붉은 빨간색으로 표현한다." 이유는 사과의 표면에 반사되는 빛이 있기 때문이다. 사과의 표면은 빛을 반사하면서 빨간색을 강조하게 되어 더 붉은 빨간색으로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광고 캠페인 전개 초기에 소비자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단계별로 조금씩 노출시키는 광고는?

  1. 티저 광고
  2. 팁온 광고
  3. 패러디 광고
  4. 포지셔닝 광고
(정답률: 91%)
  • 티저 광고는 광고 캠페인 초기에 소비자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단계별로 조금씩 노출시키는 광고입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금씩 알려주면서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내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패션디자인의 원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균형은 디자인 요소의 시각적 무게감에 의하여 이뤄진다.
  2. 리듬은 디자인의 요소 하나가 크게 강조될 때 느껴진다.
  3. 강조는 보는 사람의 시선을 끄는 흥미로운 부분이 있을 때 느껴진다.
  4. 비례는 디자인 내에서 부분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 관계를 의미한다.
(정답률: 78%)
  • "리듬은 디자인의 요소 하나가 크게 강조될 때 느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리듬은 디자인 요소들이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크게 강조될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미용 디자인의 특성 중 거리가 먼 것은?

  1. 개인의 미적 욕구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개개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아름다움이 중요하므로 시간적 제약의 의미는 크지 않다.
  3. 보건위생상 안전해야 한다.
  4. 사회활동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70%)
  • 미용 디자인은 개인의 미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개개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아름다움이 중요하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의 의미는 크지 않습니다. 즉, 아름다움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시간적 제약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디자인의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구성, 리듬
  2. 형, 색
  3. 색, 빛
  4. 형, 재질감
(정답률: 35%)
  • 디자인의 요소는 형, 색, 재질감, 빛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성"과 "리듬"은 디자인의 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구성"은 디자인의 원소들을 조합하여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리듬"은 디자인의 원소들이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반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디자인의 구성과 조화를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디자인의 기본적인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패션 색채계획을 위한 색체 정보 분석의 주된 내용이 아닌것은?

  1. 시장정보
  2. 소비자정보
  3. 유행정보
  4. 가격정보
(정답률: 85%)
  • 가격정보는 패션 색채계획을 위한 색체 정보 분석의 주된 내용이 아니다. 패션 색채계획은 패션 제품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장정보, 소비자정보, 유행정보 등을 분석하여 적절한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정보는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패션 색채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자인의 목적에 '미', 와 '기능'에 대해 빅터 파파넥(VictorPapanek)은 '복합기능(function complex)'으로 규정하였다.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포괄적 의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법 (method)
  2. 필요성(need)
  3. 이미지(image)
  4. 연상(association)
(정답률: 52%)
  • 빅터 파파넥은 디자인이 미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디자인의 목적은 '복합기능'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방법', '필요성', '연상'은 모두 디자인의 목적에 부합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미지'는 미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빅터 파파넥의 주장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창조하는 경우로 디자인 개념, 디자이너의 자질과 능력, 시스템, 팀웍 등이 핵심이 되는 신제품 개발의 유형은?

  1. 모방디자인
  2. 수정디자인
  3. 적응디자인
  4. 혁신디자인
(정답률: 87%)
  • 혁신디자인은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창조하는 경우로, 디자인 개념, 디자이너의 자질과 능력, 시스템, 팀웍 등이 핵심이 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모방디자인", "수정디자인", "적응디자인"은 이미 존재하는 것을 따라하거나 개선하는 경우이므로 혁신디자인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상품 색채계획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소비자가 그 상품에 대하여 가지는 심리적 기대감의 반영
  2. 유행 정보 등 유행색이 해당 제품에 끼치는 영향
  3. 색채와 형태의 이미지 조화
  4. 재료 기술, 생산 기술 미반영
(정답률: 85%)
  • 재료 기술과 생산 기술은 상품의 색채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품의 디자인과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재료와 생산 기술에 대한 고민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디자인 과정 단계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조사 → 계획 → 분석 → 종합 → 평가
  2. 분석 → 계획 → 조사 → 종합 → 평가
  3. 계획 → 조사 → 분석 → 종합 → 평가
  4. 계획 → 분석 → 조사 → 종합 → 평가
(정답률: 77%)
  • 정답은 "계획 → 조사 → 분석 → 종합 → 평가" 입니다.

    디자인 과정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하는 것은 "계획"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를 정의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다음으로는 "조사"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합니다.

    그 다음은 "분석"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합니다.

    "종합"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도출한 해결 방안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인 해결 방안을 수립합니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수립한 해결 방안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필요한 수정이나 보완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디자인 과정에서는 "계획 → 조사 → 분석 → 종합 → 평가"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디자인 경영'의 개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경영 목표의 달성에 기여함이란 대중의 생활복리 증진시켜 주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있다.
  2. 디자인 경영이란 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식 체계라고도 할 수 있다.
  3.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 관리'라고도 부르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디자인 용어 중의 하나이다.
  4. '디자인 경영'은 본질적으로 '비지니스 경영'과 동일한 개념이다.
(정답률: 55%)
  • "'디자인 경영'은 본질적으로 '비지니스 경영'과 동일한 개념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디자인 경영은 비지니스 경영과 유사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디자인의 역할과 가치를 경영 전략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디자인을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디자인적 사고와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영 전반에 적용하는 것이 디자인 경영의 핵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계절의 색채표현법을 도입한 미용 디자인의 퍼스널 컬러 진단법에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초 메이크업을 한 상태에서 시작한다.
  2. 자연광이나 자연광과 비슷한 조명 아래에서 실시한다.
  3. 흰 천으로 머리와 의상의 색을 가리고 실시한다.
  4.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각 계절색상의 천을 대어 보아 얼굴색의 변화를 관찰한다.
(정답률: 81%)
  • 정답: "흰 천으로 머리와 의상의 색을 가리고 실시한다."

    기초 메이크업을 한 상태에서 시작하는 이유는 피부의 기초 색상을 파악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광이나 자연광과 비슷한 조명 아래에서 실시하는 이유는 인공광이나 다른 색상의 조명 아래에서는 얼굴색이 변형되어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각 계절색상의 천을 대어 보아 얼굴색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각 계절색상에 맞는 색상을 찾기 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흰 천으로 머리와 의상의 색을 가리는 것은 오히려 진단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색채계획 시 배색 방법에서 주조색 - 보조색 - 강조색의 일반적인 범위는?

  1. 90% - 7% - 3%
  2. 70% - 25% - 5%
  3. 50% - 40% - 10%
  4. 50% - 30% - 20%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색채계획 시에는 주조색이 전체 색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조색은 주조색과 대조되는 색상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강조색은 주조색과 보조색에 대비되는 색상으로서 강조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조색이 70%, 보조색이 25%, 강조색이 5%의 비율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전위예술 운동으로 기존의 낡은 예술을 모두 부정하고, 기계 세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다이나믹한 미를 창조할 것을 주장하며, 주로 하이테크 소재로 색채를 표현한 예술사조는?

  1. 아방가르드(Avant-garde)
  2. 미래주의(Futurism)
  3. 옵아트(Op Art)
  4. 플럭서스(Fluxus)
(정답률: 69%)
  • 미래주의는 기존의 예술을 모두 부정하고, 기계 세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다이나믹한 미를 창조할 것을 주장하는 전위예술 운동으로, 하이테크 소재로 색채를 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9세기 미술공예운동(Art and Craft movement)이 일어나게 된 근본 원인은?

  1. 미술과 공예작품의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되었기 때문
  2. 기계로 생산된 제품의 질이 현저하게 낮아졌기 때문
  3. 미술작품과 공예작품을 구별하기 위해
  4. 미술가와 공예가의 사회적 위상을 제고시키기 위해
(정답률: 60%)
  • 19세기 미술공예운동이 일어나게 된 근본 원인은 "기계로 생산된 제품의 질이 현저하게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미술과 공예작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이를 바로잡고자 미술가와 공예가들이 직접 손으로 만든 고품질의 작품을 만들어내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바우하우스(Bauhau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설립된 디자인 학교로 오늘날 디자인 교육원리를 확립하였다.
  2. 마이어는 예술은 집단 사회의 모든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데사우(Dessau) 시의 바우하우스는 수공생산에서 대량 생산용의 원형 제작이라는 일종의 생산 시험소로 전환되었다.
  4. 그로피우스는 디자인을 생활현상이라는 사회적 측면으로 인식하여 건축을 중심으로 재정비하였다.
(정답률: 34%)
  • "그로피우스는 디자인을 생활현상이라는 사회적 측면으로 인식하여 건축을 중심으로 재정비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실 그로피우스는 디자인을 생활현상으로 인식하고 건축을 중심으로 재정비하는 것이 바우하우스의 핵심 가치 중 하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의 마크를 부여받기 위해 부합되는 기준이 아닌 것은?

  1. 기능성
  2. 경제성
  3. 심미성
  4. 주목성
(정답률: 49%)
  • 주목성은 그림이나 디자인이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주목받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이 기준과 부합되지 않는 것은 마크가 주목성을 띄지 않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자인이란 용어의 의미와 거리가 먼 것은?

  1. 지시
  2. 계획
  3. 기술
  4. 설계
(정답률: 45%)
  • 디자인이란 용어는 주로 제품, 서비스, 시스템 등을 창조하거나 개선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기술"은 이러한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지식과 능력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기술"이 디자인과 가까운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모더니즘의 대두와 함게 주목을 받게 된 색은?

  1. 빨강과 자주색
  2. 노랑과 청색
  3. 흰색과 검정색
  4. 베이지색과 카키색
(정답률: 66%)
  • 모더니즘은 단순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운동이었기 때문에, 흰색과 검정색이 이에 부합하였습니다. 이 두 색은 모든 색상 중에서 가장 극단적인 색으로, 깔끔하고 강력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두 색은 다른 색상과의 조합이 매우 다양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색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디자인 과정에서 드로잉의 주요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아이디어의 전개
  2. 형태 연구 및 정리
  3. 사용성 검토
  4. 프레젠테이션
(정답률: 60%)
  • 드로잉은 디자인 과정에서 아이디어의 시각화와 형태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사용성 검토는 디자인의 기능성과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과정으로, 디자인의 완성도와 성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용성 검토는 드로잉과는 거리가 먼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색채계획 및 평가를 위한 설문지 작성 시 유의사항이 아닌것은?

  1. 짧고 간결한 문체로 써야 한다.
  2. 포괄적인 의견이 나올 수 있도록 유도질문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응답자의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는 용어를 선택해야 한다.
  4. 어려운 전문용어는 되도록 쓰지 말고, 써야 할 경우에는 이미지 사진이나 충분한 설명을 덧붙인다.
(정답률: 74%)
  • "포괄적인 의견이 나올 수 있도록 유도질문을 사용하기도 한다."는 유의사항이 아니라 올바른 작성 방법이다. 설문지 작성 시 응답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유도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섹채관리

41. 다음 중 진주광택 안료의 색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법은?

  1. 다중각(multiangle) 측정법
  2. 필터감소(filter reduction)법
  3. 이중 모노크로메이터법(two-monochromator method)
  4. 이중 모드법(two-mode method)
(정답률: 63%)
  • 진주광택 안료는 반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 색상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반사율을 측정하는 다중각(multiangle) 측정법이 필요하다. 이 방법은 색상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진주광택 안료의 품질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 다른 보기들은 진주광택 안료의 색채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색 표시계 X0 Y10 Z10에서 숫자 10이 의미하는 것은?

  1. 10회 측정 평균치
  2. 10°시야 측정치
  3. 측정 횟수
  4. 표준 광원의 종류
(정답률: 60%)
  • 답은 "10°시야 측정치"입니다. X0 Y10 Z10는 CIE 1931 색공간에서 색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Y10는 밝기를 나타내며, X0과 Z10는 색조를 나타냅니다. 이 중에서도 Y10은 10° 시야각을 가진 관측자가 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10°시야 측정치"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페인트(도료)의 4대 기본 구성 성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료(Pigment)
  2. 수지(Resin)
  3. 용제(Solvent)
  4. 염료(Dye)
(정답률: 52%)
  • 페인트의 4대 기본 구성 성분은 안료, 수지, 용제, 염료입니다. 안료는 색소를 제공하고, 수지는 안료를 붙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용제는 페인트를 묽게 만들어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염료는 안료와는 달리 물에 녹아 색을 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염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IE 표준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색온도 약 2856K
    백열전구로 조명되는 물체색을 표시할 경우에 사용한다.
  2. B:색온도 4874K
    형광을 발하는 물체색의 표시에 사용한다.
  3. C:색온도 6774K
    형광을 발하는 물체색의 표시에 사용한다.
  4. D:색온도 6504K
    백열전구로 조명되는 물체색을 표시할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률: 47%)
  • CIE 표준광은 색을 표현하기 위한 광의 표준이다. A는 백열전구로 조명되는 물체색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데, 이는 백열전구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약 2856K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A가 옳은 설명이다. B, C, D는 형광을 발하는 물체색이나 백열전구로 조명되는 물체색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색온도가 아니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반투명 유리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광원 빛의 60~90%가 대상체에 직접 조사되고 나머지가 천장이나 벽에서 반사되어 조사되는 방식은?

  1. 반간접조명
  2. 간접조명
  3. 반직접조명
  4. 직접조명
(정답률: 72%)
  • 반직접조명은 광원의 빛이 대상체에 직접 조사되는 것과 함께 일부가 천장이나 벽에서 반사되어 조사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광원의 빛이 대상체에 직접 조사되므로 간접조명보다는 밝고 선명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직접조명은 간접조명보다는 덜 밝고 부드러운 조명 효과를 가지며, 대상체에 직접적으로 빛이 조사되므로 그림자가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구멍을 통하여 보이는 균일한 색으로 깊이감과 공간감을 특정 지을 수 없도록 지각되는 색은?

  1. 개구색
  2. 북창주광
  3. 광원색
  4. 원자극의 색
(정답률: 69%)
  • 개구색은 구멍을 통해 보이는 색으로, 균일한 색으로 인식되어 깊이감과 공간감을 특정 지을 수 없는 색입니다. 이는 구멍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모든 파장에서 동일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개구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모니터의 검은색 조정 방법에서 무전압 영역과 비교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RGB 수치가 올바르게 표기된 것은?

  1. R=0, G=0, B=0
  2. R=100, G=100, B=100
  3. R=255, G=255, B=255
  4. R=256, G=256, B=256
(정답률: 52%)
  • 검은색은 모든 색상이 없는 상태이므로 RGB 값이 모두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R=0, G=0, B=0" 입니다. "R=100, G=100, B=100"은 회색, "R=255, G=255, B=255"는 흰색을 나타내며, "R=256, G=256, B=256"은 RGB 값의 범위를 초과하므로 올바른 값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페인트, 잉크, 염료, 플라스틱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CCM의 도입 목적 및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색시간 단축
  2. 소품종 대량생산
  3. 색채품질관리
  4. 원가절감
(정답률: 66%)
  • 답: "소품종 대량생산"

    CCM은 색채품질관리, 조색시간 단축, 원가절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CCM은 소품종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CCM이 색상을 조절하는 데에 있어서 정확성과 섬세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품종 대량생산에는 다른 기술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료 중에서 가장 종류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내알칼리성으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마무리 도료로 쓰이는 것은?

  1. 천연수지 도료
  2. 플라스티졸 도료
  3. 수성 도료
  4. 합성수지 도료
(정답률: 80%)
  • 합성수지 도료는 다른 도료에 비해 더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내알칼리성으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마무리 도료로 쓰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측색 시 조명과 수광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0:45a)
  2. (di:8)
  3. (d:0)
  4. (45:45)
(정답률: 62%)
  • 정답은 "(d:0)"입니다.

    측색 시에는 색체의 색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조명과 수광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0:45a)"는 조명이 일반 조명이고 수광이 45도 각도에서 측정된 것을 의미합니다.

    "(di:8)"은 조명이 일반 조명이고 수광이 8mm 지름의 구멍을 통해 측정된 것을 의미합니다.

    "(d:0)"은 수광이 직접 색체에 닿아 측정된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조명 조건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측색 시에는 유효한 조건이 아닙니다.

    "(45:45)"는 조명과 수광이 모두 45도 각도에서 측정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은램프에 금속할로겐 화합물을 첨가하여 만든 고압수은등으로서 효율과 연색성이 높은 조명은?

  1. 나트륨등
  2. 메탈할라이드등
  3. 크세논램프
  4. 발광다이오드
(정답률: 55%)
  • 메탈할라이드등은 수은램프에 금속할로겐 화합물을 첨가하여 만든 고압수은등으로서, 나트륨등보다 효율과 연색성이 높으며, 크세논램프보다는 경제적이고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보다는 더 넓은 범위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CM과 관련된 용어가 아닌 것은?

  1. 분광반사율
  2. 산란계수
  3. 흡수계수
  4. 연색지수
(정답률: 39%)
  • 연색지수는 CCM과 관련이 없는 색채학 용어이다. 연색지수는 빛의 스펙트럼에서 일부 색상이 누락되어 있는 조명에서 색상의 진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분광 반사율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완전한 물리적인 등색이 의미하는 것은?

  1. 아이소메리즘
  2. 상관색온도
  3. 메타메리즘
  4. 색변이지수
(정답률: 66%)
  • 분광 반사율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완전한 물리적인 등색은 아이소메리즘이다. 이는 빛의 파장이 다른 두 가지 색이 동일한 분광 반사율을 가지는 현상으로, 눈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두 색이 동일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관색온도는 빛의 색상과 온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메타메리즘은 빛의 조명 환경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색변이지수는 물체가 빛을 받았을 때 색상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물체의 분광 반사율, 분광 투과율 등을 파장의 함수로 측정하는 계측기는?

  1. 광전 색채계
  2. 분광 광도계
  3. 시감 색채계
  4. 조도계
(정답률: 88%)
  • 분광 광도계는 파장별로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분광 반사율, 분광 투과율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계측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광 광도계가 정답이다. 광전 색채계는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시감 색채계는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색상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조도계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측색기의 측정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어떤 색채의 시료였을 것으로 추정되는가?

  1. 빨강
  2. 청록
  3. 초록
  4. 노랑
(정답률: 71%)
  • 측색기는 색상을 RGB 값으로 측정하며, 위의 결과에서 R 값이 가장 높고 G 값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노란색의 특징으로, 따라서 이 시료는 "노랑"일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KS의 색채 품질관리 규정에 의한 백색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틴트 지수는 완전한 반사체의 경우 그 값이 100이다.
  2. 백색도 지수 및 틴트 지수에 의해 표시된다.
  3. 완전한 반사체의 백색도 지수는 100이고, 백색도 지수의 값이 클수록 흰 정도가 크다.
  4. 백색도 측정시 표준광원 D65를 사용한다.
(정답률: 29%)
  • "틴트 지수는 완전한 반사체의 경우 그 값이 100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KS의 색채 품질관리 규정에 따르면, 백색도는 색체의 백색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완전한 반사체의 백색도 지수는 100이고, 백색도 지수의 값이 클수록 흰 정도가 크다. 또한, 백색도 지수 및 틴트 지수에 의해 표시된다. 백색도 측정시에는 표준광원 D65를 사용한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지만, "틴트 지수는 완전한 반사체의 경우 그 값이 100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추가 설명: 틴트 지수는 색체의 백색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색체가 얼마나 노란색 또는 파란색을 띄는지를 나타낸다. 완전한 반사체의 경우, 색체가 노란색 또는 파란색을 띄지 않으므로 틴트 지수는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두 개의 시료색 자극의 색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Texture
  2. CIEDE2000
  3. Color appearance
  4. Gray scale
(정답률: 43%)
  • "CIEDE2000"은 색차를 나타내는 공식 중 하나로,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상 차이를 계산합니다. 이 공식은 색상, 밝기, 채도 등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색차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개의 시료색 자극의 색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모니터를 보고 작업할 시 정확한 모니터 컬러를 보기 위한 일반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

  1.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2. ICC 프로파일 인식 가능한 이미징 프로그램
  3. 시간대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조명 환경
  4. 높은 연색성(CRI)의 표준광원
(정답률: 35%)
  • 높은 연색성(CRI)의 표준광원은 모니터의 정확한 컬러를 보기 위한 일반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CRI는 광원이 색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보여주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모니터의 정확한 컬러를 보기 위해서는 모니터 캘리브레이션과 ICC 프로파일 인식 가능한 이미징 프로그램, 그리고 시간대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조명 환경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발광 스펙트럼이 가시 파장역 전체에 걸쳐서 있고, 주된 발광의 반치폭이 대략 50nm를 초과하는 형광램프는?

  1. 콤팩트형 형광램프
  2. 협대역 발광형 형광램프
  3. 광대역 발광형 형광램프
  4. 3 파장형 형광램프
(정답률: 64%)
  • 주된 발광의 반치폭이 대략 50nm를 초과하는 형광램프는 광대역 발광형 형광램프입니다. 이는 발광 스펙트럼이 가시 파장역 전체에 걸쳐 있기 때문입니다. 즉,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므로 색상 표현이 더욱 정확하고 밝기가 균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디스플레이의 일종으로 자기발광성이 없어 후광이 필요하지만 동작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어 손목시계, 컴퓨터 등에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1. LCD(Liquid Crystal Display)
  2. CRTD(Cathode-Ray Tube Display)
  3. CRT-Trinitron
  4. CCD(Charge Coupled Device)
(정답률: 76%)
  • LCD는 자기발광성이 없어 후광이 필요하지만, 동작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손목시계, 컴퓨터 등에 널리 쓰입니다. CRTD, CRT-Trinitron, CCD는 모두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의이해

61. 색상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계적으로 균일하게 채색되어 있는 색의 경계부분에서 일어나는 대비현상이다.
  2. 색상이 다른 두 색을 인접해 놓으면 두 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인하여 색상차가 크게 나는 현상이다.
  3. 1차색끼리 잘 일어나며 2차색, 3차색이 될수록 대비효과는 적게 나타난다.
  4. 색상환에서 인접한 두 색을 대비시키면 두 색은 각각 더 멀어지려는 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40%)
  • 단계적으로 균일하게 채색되어 있는 색의 경계부분에서 일어나는 대비현상이 아닌 것은 "색상이 다른 두 색을 인접해 놓으면 두 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인하여 색상차가 크게 나는 현상이다." 이다. 색상대비는 인접한 두 색이 서로 대비되어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 현상이며, 1차색끼리 대비효과가 가장 크고 2차색, 3차색이 될수록 대비효과는 적게 나타난다. 또한, 색상환에서 인접한 두 색을 대비시키면 두 색은 각각 더 멀어지려는 현상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색채지각과 감정효과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무겁고 커다란 가방이 가벼워 보이도록 높은 명도로 색채계획하였다.
  2. 부드러워 보여야 하는 유아용품에 한색계의 높은 채도의 색을 사용하였다.
  3. 팽창되어 보일 수 있도록 저명도를 사용하여 계획하였다.
  4. 검정색과 흰색은 무채색으로 온도감이 없다.
(정답률: 54%)
  • 색채지각은 색상, 명도, 채도 등의 색의 속성에 따라 인식되는 것이며, 이는 감정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높은 명도의 색상은 가벼워 보이게 하고, 저명도의 색상은 팽창되어 보이게 한다. 따라서 "무겁고 커다란 가방이 가벼워 보이도록 높은 명도로 색채계획하였다."는 옳은 설명이다. 또한, 색상의 채도는 강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하므로, 부드러워 보여야 하는 유아용품에는 채도가 높은 색상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검정색과 흰색은 무채색으로 온도감이 없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색이 온도감은 색의 속성 중 어떤 것에 주로 영향을 받는가?

  1. 채도
  2. 명도
  3. 색상
  4. 순도
(정답률: 77%)
  • 색의 온도감은 주로 색상에 영향을 받습니다. 색상은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며, 파장이 짧을수록 냉색(파란색, 초록색 등)이 되고, 파장이 길수록 따뜻한 색(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이 됩니다. 따라서, 색상이 온도감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색채지각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연색성이란 색의 경연감이 관한 것으로 부드러운 느낌의 색을 의미한다.
  2. 밝은 곳에서 갑자기 어두운 곳으로 들어갔을 때 암순응 현상이 일어난다.
  3. 터널의 출입구 부분에서는 명순응, 암순응의 원리가 모두 적용된다.
  4. 조명광이나 물체색을 오랫동안 보면 그 색에 순응되어 색의 지각이 약해지는 현상을 색순응이라 한다.
(정답률: 71%)
  • 연색성이란 색의 경쟁감이 관한 것으로, 색의 선명도와 밝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주위색의 영향으로 인접색에 가깝게 느껴지는 현상은?

  1. 동화 현상
  2. 면적 효과
  3. 대비 효과
  4. 착시 효과
(정답률: 76%)
  • 동화 현상은 주위색의 영향으로 인접한 색이 비슷하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접한 색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색상의 경계가 모호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주황색이 인접해 있을 때, 주변의 녹색이나 파란색이 빠져 있으면 빨간색과 주황색이 서로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빛과 색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햇빛과 같이 모든 파장이 유사한 강도를 갖는 빛을 백색광이라 한다.
  2. 빛은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색감을 일으킨다.
  3. 물체의 색은 빛의 반사와 흡수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4. 여러 가지 파장이 고르게 반사되는 경우에는 유채색으로 지각된다.
(정답률: 63%)
  • 여러 가지 파장이 고르게 반사되는 경우에는 유채색으로 지각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여러 가지 파장이 고르게 반사되는 경우에는 중성색으로 지각된다. 유채색은 특정 파장의 빛이 강하게 반사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색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진출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2. 채도가 낮은 색이 채도가 높은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3. 밝은 색이 어두운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4. 따뜻한 색이 차가운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정답률: 87%)
  • "채도가 낮은 색이 채도가 높은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이 설명은 옳다. 채도가 높은 색은 더 선명하고 눈에 더 잘 띄기 때문에, 채도가 낮은 색보다 덜 진출하는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중간명도의 회색 배경에서 주목성이 가장 높은 색은?

  1. 노랑
  2. 빨강
  3. 주황
  4. 파랑
(정답률: 56%)
  • 중간명도의 회색 배경에서 주목성이 가장 높은 색은 노랑이다. 이는 노랑이 다른 색들에 비해 더 밝고 선명한 색상이기 때문이다. 회색 배경에서는 노랑이 가장 눈에 띄며, 빨강과 주황은 너무 진해서 눈에 잘 띄지 않고, 파랑은 너무 어두워서 노랑보다 주목성이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망막에서 뇌로 들어가는 시신경 다발 때문에 상이 맺히지 않는 부분은?

  1. 중심와
  2. 맹점
  3. 시신경
  4. 광수용기
(정답률: 68%)
  • 망막에서 뇌로 들어가는 시신경 다발이 맹점 부분을 지나치기 때문에 상이 맺히지 않는 것입니다. 맹점은 시신경이 눈배경에 진입하는 부분으로, 망막의 센서들이 없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맹점 부분에서는 시각 정보가 처리되지 않아 시야가 뚫려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빛의 전달경로로 옳은 것은?

  1. 각막 - 수정체 - 홍채 - 망막 - 시신경
  2. 홍채 - 수정체 - 각막 - 망막 - 시신경
  3. 각막 - 망막 - 홍채 - 수정체 - 시신경
  4. 각막 - 홍채 - 수정체 - 망막 - 시신경
(정답률: 68%)
  • 빛은 눈에 들어와서 먼저 각막을 통과하고, 그 다음으로 수정체를 지나 홍채를 통과합니다. 그리고 망막에 도달하여 시신경으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옳은 전달경로는 "각막 - 홍채 - 수정체 - 망막 - 시신경"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원판에 흰색과 검은색을 칠하여 팽이를 만들어 빠르게 회전시켰을 때 유채색이 느껴지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루킨예 현상
  2. 메카로 효과
  3. 잔상 현상
  4. 페히너 효과
(정답률: 69%)
  • 정답: 페히너 효과

    페히너 효과는 원판에 두 가지 색상을 번갈아가며 칠하고 회전시켰을 때, 빠르게 회전하는 동안 두 색상이 섞여서 새로운 색상이 느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빠르게 변하는 색상을 처리하는 능력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원판에서 빛이 반사되는 과정에서 두 색상이 섞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보색은 물리보색과 심리보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보색의 종류가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인간의 색채지각 요소인 망막 상의 추상체와 간상체의 특성에 기인한다.
  2. 헤링의 반대색설과 연관된다.
  3. 회전혼색의 결과 무채색이 된다.
  4. 잔상현상에 따라 보색이 보인다.
(정답률: 37%)
  • 정답은 "잔상현상에 따라 보색이 보인다." 이다.

    회전혼색은 두 가지 보색을 빠르게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 것으로, 이로 인해 눈에 잔상이 남아 무채색이 보이게 된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망막 상의 추상체와 간상체의 특성에 기인하며, 헤링의 반대색설과도 연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순색의 빨강을 장시간 바라볼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순색의 빨강을 장시간 바라보면 양성잔상이 일어난다.
  2. 눈의 M추상체의 반응이 주로 나타난다.
  3. 원래의 자극과 반대인 보색이 지각된다.
  4. 눈의 L추상체의 손실이 적어 채도가 높아지게 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원래의 자극과 반대인 보색이 지각된다."이다. 이는 색 지각에서 보색이란 원래 색과 색상환에서 정확히 반대되는 색을 말하는데, 빨강의 보색은 청록이다. 따라서 장시간 빨강을 바라보면 눈의 민감도가 떨어져 청록색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색 후각이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반대색설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물감의 혼합인 감산혼합의 이론과 일치한다.
  2. 색채지각의 물리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다.
  3. 하양 - 검정, 빨강 - 초록, 노랑 - 파랑이 짝을 이룬다.
  4. 영과 헬름홀츠에 의해 발표되어진 색지각설이다.
(정답률: 62%)
  • 반대색설은 색채지각의 물리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이론으로,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면 하양색이 되고, 이와 반대로 하얀색을 혼합하면 검정색이 되며, 빨강과 초록, 노랑과 파랑이 짝을 이루어 반대색을 이룬다는 것이 이론적인 근거이다. 이는 물감의 혼합인 감산혼합의 이론과도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하양 - 검정, 빨강 - 초록, 노랑 - 파랑이 짝을 이룬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혼색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중간혼색 - 두 색 또 그 이상의 색이 섞였을 때 평균적인 밝기의 색
  2. 감법혼색 - 무대 조명의 색
  3. 가법혼색 - 모두 혼합하면 백색
  4. 병치혼색 - 직조된 천의 색
(정답률: 69%)
  • 감법혼색은 무대 조명의 색이 아니라, 빛이 물체에 닿을 때 일부 색이 흡수되어 나머지 색이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감법혼색 - 무대 조명의 색"이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색의 3속성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색상은 주파장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2.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낸다.
  3. 무채색이 많이 포함될수록 채도는 높아진다.
  4. 유채색은 색상, 명도, 채도의 3속성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83%)
  • "무채색이 많이 포함될수록 채도는 높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무채색이 많이 포함될수록 채도는 낮아집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하게 느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무채색이 많이 포함되면 색의 진하고 선명한 느낌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가산혼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3원색을 모두 합하면 흰색이 된다.
  2. 혼합할수록 명도와 채도가 높아진다.
  3. Red와 Green을 혼합하면 Yellow가 된다.
  4. Green과 Blue를 혼합하며 Cyan이 된다.
(정답률: 60%)
  • 정답은 "혼합할수록 명도와 채도가 높아진다."가 아니다.

    가산혼합은 빛의 삼원색인 Red, Green, Blue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때,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와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채도는 혼합 비율에 따라 변화한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혼합할수록 명도와 채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ed와 Green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면 Yellow가 되는데, 이때 명도와 채도는 원래의 Red와 Green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가산혼합에서 색의 명도와 채도는 혼합 비율에 따라 다르게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명도대비가 가장 뚜렷한 것은?

  1. 빨강 순색 배경의 검정
  2. 파랑 순색 배경의 검정
  3. 노랑 순색 배경의 검정
  4. 주황 순색 배경의 검정
(정답률: 87%)
  • 명도대비란 색상의 밝기 차이를 의미합니다. 노랑 순색 배경은 밝은 색상이고 검정은 어두운 색상이므로 두 색상의 명도대비가 가장 뚜렷합니다. 즉, 노랑 순색 배경의 검정이 가장 눈에 띄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인접한 두 색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대비 현상은?

  1. 보색대비
  2. 한난대비
  3. 계시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58%)
  • 인접한 두 색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대비 현상을 연변대비라고 합니다. 이는 서로 다른 두 색이 인접해 있을 때, 그 경계면에서 색상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 더욱 선명하고 강렬한 대비를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연변대비는 색채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디자인 및 예술 작품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빛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빛은 눈에 보이는 전자기파이다.
  2. 파장이 500nm인 빛은 자주색을 띤다.
  3. 가시광선의 파장범위는 380~780nm이다.
  4. 흰 빛은 파장이 다른 빛들의 혼합체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파장이 500nm인 빛은 자주색을 띤다." 이다. 파장이 500nm인 빛은 초록색을 띄며, 자주색은 파장이 더 짧은 400nm 이하의 빛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빛의 색상은 자주색, 파란색, 초록색 순으로 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의이해

81. 먼셀 색입체를 특정 명도단계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상에서 볼 수 없 나머지 하나는?

  1. 5R 6/6
  2. N6
  3. 10GY 7/4
  4. 7.5G 6/8
(정답률: 54%)
  • 먼셀 색입체를 특정 명도단계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상에서는 색상의 채도와 색조가 변하지 않고 명도만 변합니다. 따라서, 단면상에서 볼 수 없는 나머지 하나의 속성은 명도입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명도가 7/4인 것은 "10GY 7/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1931년도 국제조명학회에서 채택한 색체계는?

  1. 먼셀 색체계
  2. 오스트발트 색체계
  3. NS 색체계
  4. CIE 색체계
(정답률: 66%)
  • 1931년도 국제조명학회에서 채택한 색체계는 CIE 색체계이다. 이는 광원의 스펙트럼을 표준화하여 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이 색체계는 현재까지도 광학 및 색채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한국산업표준의 색이름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용색 이름에는 선홍, 새먼핑크, 군청 등이 있다.
  2. 계통색 이름은 유채색의 계통색 이름과 무채색의 계통색 이름으로 나뉜다.
  3. 무채색의 기본색 이름은 하양, 회색, 검정이다.
  4. 부사 '아주'를 무채색의 수식형용사 앞에 붙여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44%)
  • "부사 '아주'를 무채색의 수식형용사 앞에 붙여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무채색은 색상의 진하기나 밝기가 다르지만 색상 자체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아주 하얀색"이나 "아주 검은색"과 같은 표현은 어색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현색계와 혼색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현색계는 실제 눈에 보이는 물체색과 투과색 등이다.
  2. 현색계는 눈으로 비교, 검색할 수 없다.
  3. 혼색계는 수치로 구성되어 색의 감각적 느낌이 강하다.
  4. 혼색계에는 NCS 색체계가 대표적이다.
(정답률: 57%)
  • 현색계는 실제로 눈으로 볼 수 있는 물체의 색상과 투과성 등을 나타내는 색상 체계입니다. 이에 반해 혼색계는 색상을 수치로 표현하며, 색의 감각적 느낌이 강합니다. 따라서 현색계는 눈으로 비교하고 검색할 수 있지만, 혼색계는 수치로 구성되어 있어서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색채의 표준화를 연구하여 흑색량(B), 백색량(W), 순색량(C)을 근거로, 모든 색을 B+W+C=100 이라는 혼합비를 통해 체계화한 색체계는?

  1. 먼셀 색체계
  2. 비렌 색체계
  3. 오스트발트 색체계
  4. P.C.C.S. 색체계
(정답률: 66%)
  •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흑색량, 백색량, 순색량을 근거로 모든 색을 B+W+C=100의 혼합비로 체계화한 색체계이다. 이는 색채의 표준화를 연구하여 색의 조합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먼셀 색체계는 색의 밝기와 채도를 나타내는 L, a, b 값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색체계이고, 비렌 색체계는 색의 밝기와 채도를 나타내는 Munsell Value, Chroma, Hue 값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색체계이다. P.C.C.S. 색체계는 색의 밝기, 채도, 색상을 나타내는 값으로 구성된 색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혼새계(Color Mixing System) 색체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확한 색의 측정이 가능하다.
  2. 빛의 가산혼합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3. 수치로 표시되어 수학적 변환이 쉽다.
  4. 숫자의 조합으로 감각적인 색의 연상이 가능하다.
(정답률: 46%)
  • "숫자의 조합으로 감각적인 색의 연상이 가능하다."는 혼새계의 특징이 아닙니다. 혼새계는 빛의 가산혼합의 원리에 기초하여 정확한 색의 측정이 가능하며, 수치로 표시되어 수학적 변환이 쉽습니다. 하지만 감각적인 색의 연상은 숫자의 조합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이는 인간의 감각과 관련된 것으로, 혼새계는 이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배색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색 시에는 대상에 동반되는 일정 면적과 용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주조색은 배색에 사용된 색 가운데 가장 출현 빈도가 높거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색이다.
  3. 강조색은 차지하고 있는 면적으로 보면 가장 작은 면적에 사용되지만, 가장 눈에 띄는 포인트 색이다.
  4. 강조색 선택 시 주조색과 유사한 색상과 톤을 선택하면 개성 있는 배색을 할 수 있다.
(정답률: 87%)
  • 정답은 "강조색 선택 시 주조색과 유사한 색상과 톤을 선택하면 개성 있는 배색을 할 수 있다."가 아니다. 이유는 강조색은 주조색과 유사한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주조색과 대비되는 색상을 선택하여 더욱 눈에 띄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론의 기본 개념은?

  1. 조화란 유사한 것을 말한다.
  2. 조화란 질서가 있을 때 나타난다.
  3. 조화는 대비와 같다.
  4. 조화란 중심을 향하는 운동이다.
(정답률: 82%)
  •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론의 기본 개념은 "조화란 질서가 있을 때 나타난다"입니다. 이는 색채를 조화롭게 조합할 때, 색채들 간에 일정한 규칙과 질서가 있어야 조화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색채를 선택하고 조합할 때에는 이러한 질서와 규칙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비렌의 색채 조화론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비렌의 색삼각형
  2. 바른 연속의 미
  3. Tint, Tone, Shade
  4. Scalar Moment
(정답률: 55%)
  • 정답은 "Scalar Moment"입니다. 이 용어는 비렌의 색채 조화론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Scalar Moment"는 일반적으로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모두 고려하지 않고 크기만을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는 달리, 비렌의 색채 조화론에서는 색의 밝기, 채도, 색상 등을 모두 고려하여 색채를 조화롭게 조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DIN 색체계는 어느 나라에서 도입한 것인가?

  1. 영국
  2. 독일
  3. 프랑스
  4. 미국
(정답률: 76%)
  • DIN 색체계는 독일에서 도입되었습니다. DIN은 "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의 약자로, 독일의 표준화 기관입니다. 따라서 DIN 색체계는 독일에서 개발되고 표준화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ISCC-NIST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1955년 ISCC-NBS 색채표준 표기법과 색이름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2. ISCC와 NIST는 색채의 전달과 사용상 편의를 목적으로 색이름사전과 색채의 계통적 분류법을 개발하였다.
  3. Light Violet의 먼셀 기호 색상은 1RP이다.
  4. 약자 v-Pk는 vivid pink의 약자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Light Violet의 먼셀 기호 색상은 1RP이다." 이다. 이유는 ISCC-NIST에서는 Light Violet의 먼셀 기호 색상이 5P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슈브롤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물의 직조를 중심으로 색을 연구하여 동시대비의 다양한 원리를 발견하였다.
  2. 색상환은 빨강, 노랑, 파랑의 3원색에서 파생된 72색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각각의 색상이 스케일을 구성한다.
  3. 색채조화를 유사조화와 대비조화 2종류로 나누었다.
  4. 색채의 기하학적 대비와 규칙적인 색상의 배열을 색상의 대비를 통하여 표현하려 했다.
(정답률: 23%)
  • "색채의 기하학적 대비와 규칙적인 색상의 배열을 색상의 대비를 통하여 표현하려 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슈브롤은 색채의 기하학적 대비와 규칙적인 색상의 배열을 색상의 대비를 통해 표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이를 색채조화론의 핵심 원리로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먼셀 색입체의 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입체의 수직단면은 종단면이라고도 하며, 같은 색상이 나타나므로 등색상면이라고도 한다.
  2. 색입체를 수평으로 자른 횡단면에는 같은 명도의 색이 나타나므로 등명도면이라고도 한다.
  3. 수직단면은 유사 색상의 명도, 채도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가장 안쪽의 색이 순색이다.
  4. 수평단면은 같은 명도에서 채도의 차이와 색상의 차이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정답률: 50%)
  • 정답은 "수직단면은 유사 색상의 명도, 채도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가장 안쪽의 색이 순색이다."가 아닌 "색입체를 수평으로 자른 횡단면에는 같은 명도의 색이 나타나므로 등명도면이라고도 한다."입니다.

    수직단면은 색상의 변화를 보여주는 등색상면이며, 가장 안쪽의 색이 순색입니다. 수평단면은 명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등명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색채배색의 분리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유리와 색유리가 접하는 부분에 납 등의 금속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체에 명쾌한 느낌을 준다.
  2. 색상과 톤이 비슷하여 희미하고 애매한 인상을 주는 배색에 세퍼레이션 컬러를 삽입하여 명쾌감을 준다.
  3. 무지개의 색, 스펙트럼의 배열, 색상환의 배열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4. 대비가 강한 보색배색에 밝은 회색이나 검은색 등 무채색을 삽입하여 배색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색유리와 색유리가 접하는 부분에 납 등의 금속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체에 명쾌한 느낌을 준다."입니다.

    무지개의 색, 스펙트럼의 배열, 색상환의 배열에서 예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은 색채배색의 분리효과를 이용하여 색상을 조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색상의 대비를 강조하여 더욱 선명하고 생동감 있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색유리와 색유리가 접하는 부분에 납 등의 금속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체에 명쾌한 느낌을 준다."는 내용은 색유리의 경계를 뚜렷하게 만들어서 분리효과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색채배색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NCS 색체계에서 W, S,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W:흰색도, S:검은색도, C:순색도
  2. W:검은색도, S:순색도, C:흰색도
  3. W:흰색도, S:순색도, C:검은색도
  4. W:검은색도, S:흰색도, C:순색도
(정답률: 66%)
  • NCS 색체계에서 W는 흰색도를 나타내며, S는 검은색도를 나타냅니다. C는 순색도를 나타내며, 색의 선명도나 진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W:흰색도, S:검은색도, C:순색도"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 등가색환 계열이란?

  1. 백색량이 모두 같은 색의 계열이다
  2. 등색상 삼각형 W, B와 평행선상에 있는 색의 계열이다.
  3. 순색이 모두 같게 보이는 색의 계열이다.
  4. 백색량, 흑색량, 순색량이 같은 색의 계열이다.
(정답률: 41%)
  •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 등가색환 계열은 백색량, 흑색량, 순색량이 모두 같은 색의 계열입니다. 이는 백색, 회색, 검정색 등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색들은 등색상 삼각형 W, B와는 평행선상에 위치하며, 순색이 모두 같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먼셀(Munsell)기호의 색 표기법의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색상 - 채도 - 명도
  2. 색상 - 명도 - 채도
  3. 채도 - 명도 - 색상
  4. 채도 - 색상 - 명도
(정답률: 81%)
  • 정답은 "색상 - 명도 - 채도"이다. 이는 색의 성질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인 색상을 먼저 표기하고, 그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를 그 다음에 표기하며, 마지막으로 색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를 표기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순서이기 때문이다. 이 순서는 색의 인지적 특성과 색의 조합에 대한 이해를 돕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NCS 색입체를 구성하는 기본 6가지 색상은?

  1. 노랑, 빨강, 파랑, 초록, 흰색, 검정
  2. 빨강, 파랑, 초록, 보라, 흰색, 검정
  3. 노랑, 빨강, 파랑, 보라, 흰색, 검정
  4. 빨강, 파랑, 초록, 자주, 흰색, 검정
(정답률: 75%)
  • NCS 색입체는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기본색상으로 하며, 이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노랑, 보라 등의 보조색상도 포함합니다. 또한, 흰색과 검정은 밝기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랑, 빨강, 파랑, 초록, 흰색, 검정"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L a*b*색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L*a*b* 색공간에서 L*는 채도, a*와 b*는 색도좌표를 나타낸다.
  2. a*는 빨간색 방향, +b*는 파란색 방향이다.
  3. 중앙은 무색이다.
  4. +a*는 빨간색 방향, -a*는 노란색 방향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중앙은 무색이다." 이다. 이유는 L*a*b* 색공간에서 중앙은 L*=50, a*=0, b*=0인 중성회색(무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관용색명이 아닌 것은?

  1. 적, 청, 황
  2. 살구색, 쥐색, 상아색, 팥색
  3. 코발트블루, 프러시안블루
  4. 밝은 회색, 어두운 초록
(정답률: 63%)
  • 밝은 회색과 어두운 초록은 관용색명이 아니라 구체적인 색상을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관용색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