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컬러리스트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1. 색채심리를 이용한 색채요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ed는 우울증을 치료한다.
  2. Blue Green은 침착성을 갖게 한다.
  3. Blue는 신경 자극용 색채로 사용된다.
  4. Purple은 감수성을 조절하고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한다.
(정답률: 58%)
  • "Blue는 신경 자극용 색채로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사실 Blue는 진정 효과가 있어 침착하게 만들어주는 색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색채와 자연환경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역색은 국가나 지방, 도시의 특성과 이미지를 부각시킨다.
  2. 풍토색은 일조량과 기후, 습도, 흙, 돌처럼 한 지역의 자연 환경적 요소로 형성된 색을 말한다.
  3. 위도에 따라 동일한 색채도 다른 분위기로 지각될 수 있다.
  4. 지역색은 한 지역의 인공적 요소로 형성된 색을 말한다.
(정답률: 83%)
  • 정답은 "지역색은 한 지역의 인공적 요소로 형성된 색을 말한다." 이다. 지역색은 한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문화, 역사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형성된 색을 말한다. 따라서 인공적인 요소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뉴턴은 색채와 소리의 조화론에서 7가지의 색을 7음계에 연계시켰따. 다음 중 색채가 지닌 공감각적인 특성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노랑-음계미
  2. 빨강-음계도
  3. 파랑-음계솔
  4. 녹색-음계시
(정답률: 88%)
  • 녹색은 색채의 공감각적인 특성으로는 진동수가 높은 파장을 가지며, 시각적으로는 빛의 파장이 짧은 색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녹색은 음계시와 연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정지, 금지, 위험, 경고의 이미를 전달하는데 가장 적절한 색채는?

  1. 흰색
  2. 빨강
  3. 파랑
  4. 검정
(정답률: 92%)
  • 정답은 "빨강"입니다. 빨간색은 눈에 띄고 강렬한 색상으로, 위험하거나 금지된 상황을 강조하는 데 적합합니다. 또한, 빨간색은 인간의 뇌에서 경고와 위험을 나타내는 신호로 인식되기 때문에, 길거나 도로에서의 교통 신호등이나 비상 상황에서의 신호등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안전표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금지의 의미가 있는 안전표지는 대각선이 있는 원의 형태이다.
  2. 지시를 의미하는 안전표지의 안전색은 초록, 대비색은 하양이다.
  3. 경고를 의미하는 안전표지의 형태는 정삼각형이다.
  4. 소방기기를 의미하는 안전표지의 안전색은 빨강, 대비색은 하양이다.
(정답률: 61%)
  • "지시를 의미하는 안전표지의 안전색은 초록, 대비색은 하양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시를 의미하는 안전표지의 안전색은 파랑이며, 대비색은 하양입니다. 초록색은 피난구나 비상구를 가리키는 안전표지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예술, 디자인계 사조별 색채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야수파는 색채의 특성을 이용하여 강렬한 색채를 주제로 사용하였다.
  2. 바우하우스는 공간적 질서 속에서 색 면의 위치, 배분을 중시하였다.
  3. 인상파는 병치혼합 기법을 이용하여 색채를 도구화 하였다.
  4. 미니멀리즘은 비개성적, 극단적 간결성의 색채를 사용하였다.
(정답률: 48%)
  • "바우하우스는 공간적 질서 속에서 색 면의 위치, 배분을 중시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바우하우스는 기능성과 형태의 단순함, 그리고 색채의 단순함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색채의 위치와 배분보다는 색채의 단순함과 균일성을 중시했습니다. 바우하우스에서는 주로 원색과 중성색을 사용하며, 색채의 사용은 기능적인 요소로서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바우하우스는 공간적 질서 속에서 색 면의 위치, 배분을 중시하였다."라는 설명은 틀린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우하우스는 공간적 질서 속에서 색 면의 위치, 배분을 중시하였다."입니다.

    [참고] 야수파는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여 표현주의적인 작품을 만들었고, 인상파는 자연에서 느껴지는 색채의 빛과 그림자를 표현하기 위해 병치혼합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색채의 상징성을 이용한 색채사용이 아닌 것은?

  1. 음양오행에 따른 오방색
  2. 올림픽 오륜마크
  3. 각 국의 국기
  4. 교통안내 표지판의 색채
(정답률: 62%)
  • 교통안내 표지판의 색채는 상징성보다는 시인성과 가시성을 중요시한 것이기 때문에 색채의 상징성을 이용한 것이 아니다. 즉, 교통안내 표지판의 색채는 기능성을 중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채의 상징성을 이용한 색채사용이 아닌 것은?

  1. 노랑은 힌두교와 불교에서 신성시되는 색이다.
  2. 중국에서 노랑은 왕권을 대표하는 색이다.
  3. 북유럽에서 노랑은 영혼과 자연의 풍요로움을 표시한다.
  4. 일반적으로 국기에 사용되는 노랑은 황금, 태양, 사막을 상징한다.
(정답률: 56%)
  • "일반적으로 국기에 사용되는 노랑은 황금, 태양, 사막을 상징한다."는 색채의 상징성을 이용한 색채사용이 아닙니다.

    북유럽에서 노랑은 영혼과 자연의 풍요로움을 표시하는 이유는 북유럽 지역의 문화와 전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북유럽 지역은 자연환경이 풍부하고, 노란색은 햇빛과 같은 밝은 색상으로 자연의 풍요로움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북유럽의 신화와 전설에서도 노란색은 영혼과 관련된 색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21세기 디지털 시대를 대표하는 색으로 선정된 것은?

  1. 노랑
  2. 빨강
  3. 파랑
  4. 자주
(정답률: 84%)
  • 파랑은 인터넷, 소셜 미디어, 모바일 디바이스 등 디지털 기술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냉정하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신뢰성과 안정성을 상징하는 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란색은 빛의 파장 중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 디지털 기술에서 사용되는 빛의 파장과 일치하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에서 느껴지는 시간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장파장 계통의 색채는 시간의 경과가 짧게 느껴진다.
  2. 단파장 계열 색의 장소에서는 시간의 경과가 실제보다 짧게 느껴진다.
  3. 속도감을 주는 색채는 빨강, 주황, 노랑 등 시감도가 높은 색들이다.
  4. 대합실이나 병원 실내는 한색계통의 색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정답률: 67%)
  • "장파장 계통의 색채는 시간의 경과가 짧게 느껴진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장파장 계통의 색채는 시감도가 낮아서 시간의 경과가 느껴지는 것이 더 느리게 느껴진다. 따라서 "장파장 계통의 색채는 시간의 경과가 느리게 느껴진다." 라는 설명이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990년 프랭크 H. 만케가 정의한 색채체험에 영향을 주는 6개의 색경험의 피라미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적 관계
  2. 시대사조, 패션스타일의 영향
  3. 문화적 영향과 매너리즘
  4. 의식적 집단화
(정답률: 40%)
  • 정답: "의식적 집단화"

    설명: 프랭크 H. 만케가 정의한 색채체험의 피라미드는 다음과 같다.

    1. 생리학적 경험
    2. 심리학적 경험
    3. 사회학적 경험
    4. 문화적 경험
    5. 의식적 집단화
    6. 개인적 경험

    이 중 "의식적 집단화"는 색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특정 집단이나 문화에서 공유하는 색채 관념이나 상징성 등이 개인의 색채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는 흰색이 순수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동양에서는 사막과 같은 곳에서의 불쾌한 경험과 연관되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인 차이가 색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톤에 따른 이미지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Dull Tone : 여성적인 이미지
  2. Deep Tone : 어른스러운 이미지
  3. Light Tone : 어린 이미지
  4. Dark Tone : 남성적인 이미지
(정답률: 82%)
  • Dull Tone은 어두운 색조로, 보통은 무광이나 적은 광택이 있어서 차분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보통 여성적인 이미지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Dull Tone : 여성적인 이미지"가 잘못된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색채정보 수집 방법 중의 하나로 약 6.10명으로 구성된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인터뷰를 통해 색선호도나 문제점 등을 파악하는 것은?

  1. 실험연구법
  2. 표본조사법
  3. 현장 관찰법
  4. 포커스 그룹조사
(정답률: 66%)
  • 포커스 그룹조사는 소수의 인원들을 모아 그들의 의견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색채정보 수집을 위해 소비자들과의 지속적인 인터뷰를 통해 색선호도나 문제점 등을 파악하는 것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커스 그룹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색채를 상징적 요소로 사용한 예로 옳은 것은?

  1. 사무실의 실내색채를 차분하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저채도의 파란색으로 계획한다.
  2.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기 위해 하나의 색채로 이미지를 계획한다.
  3. 방사능의 위험표식으로 노랑과 검정을 사용한다.
  4. 부드러운 색채 환경을 위해 낮은 채도의 색으로 공공 시설물을 계획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기 위해 하나의 색채로 이미지를 계획한다."이다. 이유는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이미지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브랜드 마케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소비자들이 기업을 쉽게 인식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동차의 선호색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일본의 경우 흰색 선호경향이 압도적이다.
  2. 한국의 경우 대형차는 어두운 색을 선호하고, 소형차는 경쾌한 색을 선호한다.
  3. 자동차 선호색은 지역 환경과 생활 패턴에 따라 다르다.
  4. 여성은 어두운 톤의 색을 선호하는 편이다.
(정답률: 87%)
  • 일본의 경우 흰색 선호경향이 압도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색채의 특성이 다른 감각으로 표현되는 것
  2. 채도가 높은 색채의 바탕위에 있는 색이 더 밝게 보이는 것
  3. 한 공간에서 다른 색을 같은 이미지로 느끼는 것
  4. 색채 잔상과 대비 효과를 말함
(정답률: 69%)
  • 색채의 공감각은 색채의 특성이 다른 감각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뇌가 받아들이는 시각적 자극이 색채뿐만 아니라 밝기, 대비, 채도 등의 다른 감각과 상호작용하여 색채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채도가 높은 색채의 바탕위에 있는 색이 더 밝게 보이는 것은 밝기와 채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또한, 한 공간에서 다른 색을 같은 이미지로 느끼는 것은 대비와 색채 잔상의 영향으로 설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채색 중 운동량이 활발하고 생명력이 뛰어나 역삼각형이 연상되는 색채는?

  1. 빨강
  2. 노랑
  3. 파랑
  4. 검정
(정답률: 74%)
  • 노랑은 밝고 활기차며, 태양과 같은 생명력을 상징하는 색상입니다. 또한 역삼각형 모양은 활동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합니다. 따라서 운동량이 활발하고 생명력이 뛰어난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노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패션 디자인의 유행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제유행색위원에서는 선정회의를 통해 3년 후의 유행색을 제시한다.
  2. 유행색채예측기관은 매년 색채팔레트의 30% 가량을 새롭게 제시한다.
  3. 계절적인 영향을 받아 봄-여름에는 밝고 연한 색, 가을겨울에는 어둡고 짙은 색이 주로 사용된다.
  4. 패션 디자인 분야는 타 디자인 분야에 비해 색영역이 다양하며, 유행이 빠르게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정답률: 72%)
  • "국제유행색위원에서는 선정회의를 통해 3년 후의 유행색을 제시한다."가 틀린 것이다. 국제유행색위원회는 매년 유행색을 선정하며, 선정된 유행색은 해당 연도부터 2년간 유행한다. 따라서 3년 후의 유행색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색채 관리(color management)의 구성 요소와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색채 계획화(planning) : 목표, 방향, 절차 설정
  2. 색채 조직화(organizing) : 직무 명확, 적재적소적량 배치 인간관계 배려
  3. 색채 조정화(coordination) : 이견과 대립 조정, 업무분담, 팀워크 유지
  4. 색채 통제화(controlling) : 의사소통, 경영참여, 인센티브 부여
(정답률: 72%)
  • 색채 관리의 구성 요소는 색채 계획화, 색채 조직화, 색채 조정화, 색채 통제화이다. 그 중에서 색채 통제화는 의사소통, 경영참여, 인센티브 부여와 관련된다. 이유는 색채 통제화는 이미 계획화, 조직화, 조정화가 이루어진 후에 이루어지는 단계로, 이전 단계에서 설정한 목표와 방향을 바탕으로 실제 업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경영진의 참여와 인센티브 부여를 통해 성과를 독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색채 통제화 : 의사소통, 경영참여, 인센티브 부여"가 잘못 연결된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색채마케팅에 있어서 제품의 위치(Position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비자 심리상 제품의 위치
  2. 제품의 가격에 대한 위치
  3. 제품의 성능에 대한 위치
  4. 제품의 디자인과 색채에 대한 위치
(정답률: 50%)
  • "소비자 심리상 제품의 위치"는 제품이 소비자들의 마음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소비자들의 인식과 인지, 경쟁 제품과의 차별화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마케팅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가격, 성능, 디자인과 색채와도 관련이 있지만, 소비자들이 제품을 인식하는 방식과 마음속에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법 중 시네틱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입출력 관계로 규명해 가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 구상법
  2. 문제에 관련된 항목들을 나열하고 그 항목별로 어떤 특정적 변수에 대해 검토해 봄으로써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방법
  3. 일정한 테마에 관하여 회의 형식을 채택하고, 구성원의 자유발언을 통한 아이디어의 제시를 요구하여 발상을 찾아내려는 방법
  4. 문제를 보는 관점을 완전히 다르게 하여 여기서 연상되는 점과 관련성을 찾아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방법
(정답률: 66%)
  •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법 중 시네틱스는 문제를 보는 관점을 완전히 다르게 하여 여기서 연상되는 점과 관련성을 찾아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방법입니다. 즉, 일반적인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그와 연관된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생태학적으로 건강하고 유기적으로 전체에 통합되는 인간환경의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는 디자인 요건은?

  1. 합리성
  2. 질서성
  3. 친환경성
  4. 문화성
(정답률: 79%)
  • 디자인 요건 중에서 "친환경성"이 정답인 이유는, 생태학적으로 건강하고 유기적으로 전체에 통합되는 인간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디자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친환경적인 디자인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재활용, 환경오염 최소화 등을 고려하여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친환경성은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건강하고 유기적인 인간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디자인 요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색채계획의 기대효과로서 틀린 것은?

  1. 주변환경과 조화로운 도시경관 창출 및 지역주민의 심리적 쾌적성 증진
  2. 경관의 질적 향상 및 생활공간의 가치 상승
  3.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색상으로 이미지를 구성
  4. 지역 특성에 맞는 통합 계획으로 이미지 향상 추구
(정답률: 86%)
  •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색상으로 이미지를 구성"은 기대효과가 아니라 이미 색채계획의 일부로서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자인 사조별 색채경향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데 스틸 : 무채색과 빨강, 노랑, 파랑의 3원색
  2. 아방가르드 : 그 시대의 유행색보다 앞선 색채사용
  3. 큐비증 : 난색의 강렬한 색채
  4. 다다이즘 : 파스텔 계통의 연한 색조
(정답률: 57%)
  • 다다이즘은 파스텔 계통의 연한 색조를 사용하는 디자인 사조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각각 무채색과 3원색, 유행색보다 앞선 색채, 난색의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는 디자인 사조들이다. 따라서, 다다이즘은 다른 디자인 사조들과는 색채 경향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평면 디자인을 위한 시각적 요소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형상
  2. 색채
  3. 중력
  4. 재질감
(정답률: 75%)
  • 중력은 시각적 요소가 아니라 물리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평면 디자인을 위한 시각적 요소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시각적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피부색이 상아색이거나 우유빛을 띠며 볼에서 산호빛 붉은기를 느낄수 있고, 볼이쉽게 빨개지는얼굴 타입에 어울리는 머리색은?

  1. 밝은색의 이미지를 주는 금발, 샴페인색, 황금색 띤 갈색, 갈색 등이 잘 어울린다.
  2. 파랑 띤 검정(블루 블랙), 회색 띤 갈색, 청색 띤 자주의 한색계가 잘 어울린다.
  3. 황금블론디, 담갈색, 스트로베리, 붉은색 등 주로 따뜻한 색계열이 잘 어울린다.
  4. 회색 띤 블론드, 쥐색을 띠는 블론드와 갈색, 푸른색을 띠는 회색 등의 차가운 색계열이 잘 어울린다.
(정답률: 51%)
  • 상아색이나 우유빛을 띠며 볼에서 산호빛 붉은기를 느끼는 얼굴 타입은 밝은 이미지를 주는 머리색이 어울리기 때문에, 금발, 샴페인색, 황금색 띤 갈색, 갈색 등이 잘 어울린다. 이러한 색상들은 얼굴의 붉은기와 조화를 이루며, 밝은 이미지를 강조하여 상쾌하고 활기찬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색채계획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디자인의 목적에 부합하는 이미지에 따라 사용색을 설정한다.
  2. 배색의 70% 이상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색을 강조색이라 한다.
  3. 색채가 결정되는 과정에서 검토되어야 할 요소를 빠짐없이 검토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4. 적용된 색을 감지하는 거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83%)
  • "배색의 70% 이상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색을 강조색이라 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강조색은 배색 중에서도 눈에 띄게 사용되는 색으로, 주로 1~2가지 색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도 70% 이상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색을 강조색이라고 한다. 이는 색채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디자인의 효과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간별 색채계획에 대한 설명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식육점은 육류를 신선하게 보이려고 붉은 색광의 조명을 사용한다.
  2. 사무실의 주조색은 안정감 있는 색채를 사용하고, 벽면이나 가구의 색채가 휘도 대비가 크지 않도록 한다.
  3. 병원 수술실의 벽면은 수술 중 잔상을 피하기 위해 BG, G계열의 색상을 적용한다.
  4. 공장의 기계류에는 눈의 피로를 감소시켜 주기 위해 무채색을 사용한다.
(정답률: 59%)
  • 공장의 기계류에는 눈의 피로를 감소시켜 주기 위해 무채색을 사용한다. -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다.

    이유: 무채색은 색상이 없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류는 주로 기능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무채색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중 색채를적용할 대상을검토할 때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면적효과(scale) -대상이 차지하는 면적
  2. 거리감(distance) -대상과 보는 사람과의 거리
  3. 재질감(texture) -대상의 표면질
  4. 조명조건 -자연광, 인공조명의 구분 및 그 종류와 조도
(정답률: 45%)
  • 재질감(texture)은 대상의 표면질을 의미하며, 이는 색채를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상의 표면질이 부드러우면 색채가 부드럽게 표현되고, 거친 표면질이면 색채가 거칠게 표현됩니다. 따라서 색채를 적용할 대상을 검토할 때는 대상의 표면질을 고려해야 합니다. 면적효과(scale)는 대상이 차지하는 면적, 거리감(distance)는 대상과 보는 사람과의 거리, 조명조건은 자연광, 인공조명의 구분 및 그 종류와 조도도 고려해야 할 요소이지만, 이 중에서는 거리감(distance)가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건축물의 색채 계획 시 유의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사용 조건에의 적합성
  2. 광선, 온도, 기후 등의 조건 고려
  3. 환경색으로서 배경적인 역할 고려
  4. 재료의 바람직한 인위성 및 특수성 고려
(정답률: 72%)
  • 건축물의 색채 계획 시에는 사용 조건에의 적합성, 광선, 온도, 기후 등의 조건 고려, 환경색으로서 배경적인 역할 고려가 모두 중요한 요소이지만, 재료의 바람직한 인위성 및 특수성 고려는 색채 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유의할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960년대 미국에서 일어난 추상미술의 한 동향으로 색채의 시지각 원리에 근거를 두고 시각적 환영과 지각 등 심리적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미술사조는?

  1. 포스트모던 (Post-Modern)
  2. 팝 아트(Pop Art)
  3. 옵 아트(Op Art)
  4. 구성주의(Constructivism)
(정답률: 63%)
  • 옵 아트는 색채와 패턴을 이용하여 시각적 환영과 지각 등 심리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미술사조입니다. 이는 색채의 시지각 원리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일종의 광학적 효과를 이용하여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옵 아트는 시각적으로 매우 화려하고 독특한 미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일어났던 양식운동으로서 자연물의 유기적 형태를 빌려 건축의 외관이나 가구, 조명, 실내 장식, 회화, 포스터 등을 장식할 때 사용되었던 양식은?

  1. 아르누보
  2. 미술공예운동
  3. 데 스틸
  4. 모더니즘
(정답률: 68%)
  • 아르누보는 자연물의 유기적 형태를 빌려 건축의 외관이나 가구, 조명, 실내 장식, 회화, 포스터 등을 장식할 때 사용되었던 양식운동이다. 이 양식은 미술공예운동과 모더니즘의 선구자로서, 데 스틸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패션디자인 원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질(texture)
  2. 균형(balance)
  3. 리듬(rhythm)
  4. 강조(emphasis)
(정답률: 36%)
  • 재질은 패션디자인에서 가장 거리가 먼 원리이다. 이는 재질이 디자인의 전반적인 느낌과 미적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원리들과는 달리 디자인의 구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재질을 선택할 때 디자인의 전체적인 느낌과 조화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로고, 심볼, 캐릭터 뿐 아니라 명함 등의 서식류와 외부적으로 보이는 사인 시스템에서 기업의 이미지를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것은?

  1. P.O.P
  2. B.I
  3. Super Graphic
  4. C.I.P
(정답률: 62%)
  • C.I.P는 Corporate Identity Program의 약자로, 기업의 이미지를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로고, 심볼, 캐릭터 등의 디자인 요소뿐 아니라 명함 등의 서식류와 외부적으로 보이는 사인 시스템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C.I.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 )안의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조형
  2. 기능
  3. 형태
  4. 도구
(정답률: 68%)
  • 이 그림은 어떤 도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답은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좋은 디자인 제품으로 평가되기 위해서 충족되어야 하는 디자인의 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합목적성: 제품 제작에 있어서 실제의 목적에 맞는 디자인을 한다.
  2. 심미성: 아름다움을 느끼는 미적 의식으로 주관적, 감성적인 특성을 지닌다.
  3. 경제성 : 한정된 경비로 최상의 디자인을 한다.
  4. 질서성: 디자인은 여러 조건을 하나로 통일하여 합리적인 특징을 가진다.
(정답률: 64%)
  • "질서성: 디자인은 여러 조건을 하나로 통일하여 합리적인 특징을 가진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디자인의 조건으로 합목적성, 심미성, 경제성, 질서성이 모두 충족되어야 좋은 디자인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질서성"이란 조건은 여러 조건을 하나로 통일하여 합리적인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디자인의 구성 요소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서 제품의 기능성, 사용성, 생산성 등을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디자인은 단순히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성과 경제성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디자인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의 내용에 해당하는 미술사조는?

  1. 다다이즘
  2. 추상표현 주의
  3. 팝아트
  4. 옵아트
(정답률: 5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대중문화 속의 이미지나 상품 등을 대상으로 한 예술을 추구하는 미술사조가 팝아트이다. 이는 대중문화의 상품화와 대중화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예술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으로서 성별, 연령, 국적, 문화적배경 등누구나 손쉽게사용할 수있는 제품 및 사용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 분야는?

  1. 컨버전스(Convergence) 디자인
  2. 유니버셜(Universal) 디자인
  3. 멀티미디어(Multimedia) 디자인
  4. 인터렉션(Intraction) 디자인
(정답률: 78%)
  • 유니버셜 디자인은 모든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 및 사용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이는 성별, 연령, 국적, 문화적 배경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디자인입니다. 따라서, 유니버셜 디자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타이포그라피(typograph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활자 또는 활판에 의한 인쇄술을 가리키는 말로 오늘날에는 주로 글자와 관련된 디자인을 말한다.
  2. 글자체, 글자크기, 글자간격, 인쇄면적, 여백등을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읽기에 편하도록 구성하는 표현기술을 말한다.
  3. 미디어의 일종으로 화면과 면적의 상호 작용을 구성하는 기술적 요소의 한 가지로 사용된다.
  4. 포스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편집 디자인, 홈페이지 디자인 등 시각디자인에 활용된다.
(정답률: 71%)
  • "활자 또는 활판에 의한 인쇄술을 가리키는 말로 오늘날에는 주로 글자와 관련된 디자인을 말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미디어의 일종으로 화면과 면적의 상호 작용을 구성하는 기술적 요소의 한 가지로 사용된다는 것은 타이포그라피가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디자인의 조형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하곡선은 분방함과 풍부한 감정을 나타낸다.
  2. 면은 길이와 너비, 깊이를 표현하게 된다.
  3. 소극적인 면(negative plane)은 점과 점으로 이어지는 선이다.
  4. 적극적인 면(positive plane)은 점의 확대, 선의 이동, 너비의 확대 등에 의해 성립된다.
(정답률: 48%)
  • 적극적인 면은 점, 선, 너비 등의 확대와 이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섹채관리

41. 각 색들의 분광학적인 특성들을 분석하여 입력하고 발색을 원하는 색채샘플의 분광 반사율을 입력하여, 그 색채에 대한 처방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은?

  1. 컴퓨터 자동배색(Computer Color Matching)
  2.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Color Appearance Model)
  3. 베졸드 브뤼케 현상(Bezold-Bruke Phenomenon)
  4. ICM파일(Image Color Matching File)
(정답률: 78%)
  • 컴퓨터 자동배색은 입력된 색채샘플의 분광 반사율과 각 색들의 분광학적인 특성들을 분석하여, 그 색채에 대한 처방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과 베졸드 브뤼케 현상입니다.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은 인간의 시각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색채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모델이며, 베졸드 브뤼케 현상은 색채의 밝기와 채도가 변할 때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론적인 기반을 바탕으로 ICM 파일을 이용하여 색채를 정확하게 매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중 색온도가가장 높은것은?

  1. 태양(정오)
  2. 태양(일출, 일몰)
  3. 맑고 깨끗한 하늘
  4. 약간 구름 낀 하늘
(정답률: 55%)
  • 색온도란 물체가 방출하는 빛의 색상에 따라 측정되는 온도를 말합니다. 빛의 색상이 더 푸른 색이면 높은 색온도를 가지고, 빛의 색상이 더 빨간 색이면 낮은 색온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맑고 깨끗한 하늘은 태양보다 더 푸른 색상을 띄기 때문에 색온도가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안료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물이나 기름 또는 대부분의 유기 용제에 녹지 않는다.
  2. 표면에 친화성을 갖는 화학적 성질을 가지며 직물 염색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3. 주로 용해된 액체상태로 사용되며 직물, 피혁 등에 착색된다.
  4. 염료에 비해 투명하며 은폐력이 적고 직물에는 잘 흡착된다.
(정답률: 69%)
  • 안료는 물이나 기름 또는 대부분의 유기 용제에 녹지 않는다. 이는 안료 분자가 친수성 또는 친유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안료는 표면에 친화성을 갖는 화학적 성질을 가지며 직물 염색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주로 용해된 액체상태로 사용되며 직물, 피혁 등에 착색된다. 안료는 염료에 비해 투명하며 은폐력이 적고 직물에는 잘 흡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쿠벨카 문크 이론(Kubelka Munk theory)이 성립되는 색채시료를 세 가지 타입으로 분류할 때 1부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열증착식의 연속 톤의 인쇄물
  2. 인쇄잉크
  3. 완전히 불투명하지 않은 페인트
  4. 투명한 플라스틱
(정답률: 29%)
  • 쿠벨카 문크 이론은 불투명한 색채시료에 대해서만 성립되기 때문에, "열증착식의 연속 톤의 인쇄물"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부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열증착식의 연속 톤의 인쇄물은 인쇄물의 표면에 열을 가해 톤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투명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육안조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틀린 것은?

  1. 형광색은 자외선이 많은 곳에서 형광 현상이 일어난다.
  2. 펄의 입자가 함유된 색상 조색에서는 난반사가 일어난다.
  3. 일반적으로 자연광이나 텅스텐 램프를 조명하여 측정한다.
  4. 메탈릭 색상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색상감이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률: 37%)
  • "일반적으로 자연광이나 텅스텐 램프를 조명하여 측정한다."가 틀린 것이다. 육안조색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D65 광원을 사용하여 조명하고 측정한다. D65 광원은 자연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중 광택이가장 강한재질은?

  1. 나무판
  2. 실크천
  3. 무명천
  4. 알루미늄판
(정답률: 81%)
  • 알루미늄판은 금속 재질로 광택이 매우 강합니다. 반면에 나무판, 실크천, 무명천은 광택이 없거나 매우 약하기 때문에 알루미늄판이 가장 광택이 강한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디지털 컬러프린터에 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MYK를 기준으로 코딩한다.
  2. 하프토닝 방식으로 인쇄한다.
  3. 병치혼색과 감법혼색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인쇄방식이다.
  4. 모니터의 색역과 일치한다.
(정답률: 74%)
  • "모니터의 색역과 일치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디지털 컬러프린터는 모니터와는 다른 색 공간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CMYK 색 모델을 사용합니다. 모니터는 RGB 색 모델을 사용하므로, 모니터에서 보이는 색과 인쇄물의 색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쇄잉크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래커 성분의 인쇄잉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잉크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히트세트잉크가 있다.
  3. 유성 그라비어 잉크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고안되었다.
  4. 안료에 전색제를 섞으면 액체상태의 잉크가 된다.
(정답률: 34%)
  • 안료는 색을 내는 물질이고, 전색제는 안료를 녹여주는 용제입니다. 따라서 안료에 전색제를 섞으면 안료가 녹아 액체상태의 잉크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린터 이미지의 해상도를 말하는 것으로 600dpi가 의미하는 것은?

  1. 인치당 600개의 점
  2. 인치당 600개의 픽셀
  3. 표현 가능한 색상의 수가 600개
  4. 이미지의 가로×세로 면적
(정답률: 51%)
  • 600dpi는 "인치당 600개의 점"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린터가 1인치(2.54cm)당 600개의 작은 점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작은 점들이 모여서 이미지를 구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더 많은 점을 출력할 수록 이미지의 해상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료에 확산광을 비추고 수직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정반사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는 측정방식의 기호는?

  1. (d:d)
  2. (d:0)
  3. 0:45a)
  4. (45a:0)
(정답률: 62%)
  • 정답은 "(d:0)"이다. 이는 디퓨즈 반사 측정법을 나타내는데, 이 방법은 시료에 확산광을 비추고 수직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정반사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는 측정방식이다. "(d:d)"는 디퓨즈 반사 측정법이지만, 정반사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측정방식을 나타내므로 오답이다. "(45a:0)"은 45도 각도 반사 측정법을 나타내는데, 이 방법은 시료에 45도 각도로 비추어진 빛이 반사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디퓨즈 반사 측정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d:0)"은 디퓨즈 반사 측정법을 나타내며, 정반사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는 측정방식을 나타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스캐너와 디지털 사진기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사용하는 감광성 마이크로칩을 나타내는 용어는?

  1. charge coupled device
  2. color control density
  3. calibration color dye
  4. color control depth
(정답률: 51%)
  • "Charge coupled device"는 스캐너와 디지털 사진기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광성 마이크로칩으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이미지의 해상도와 선명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실험실에서 색채를 육안에 의해 측정하고자 할 때, 주의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준광원의 연색성
  2. 작업면의 조도
  3. 관측자의 시각 적응상태
  4. 적분구의 오염도
(정답률: 59%)
  • 적분구의 오염도는 실험실에서 색채를 측정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적분구 내부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존재할 경우,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적분구의 오염도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분광 반사율의 측정에 있어서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표준 백색판
  2. 회색 기준물
  3. 먼셀색표집
  4. D65 광원
(정답률: 50%)
  • 표준 백색판은 100% 반사율을 가지는 표준물질로, 분광 반사율 측정 시 측정기의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색상이나 빛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반사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측정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회색 기준물이나 먼셀색표집, D65 광원도 측정에 사용되지만, 이들은 특정한 색상이나 광원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표준 백색판보다는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색, 색채'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용어는?

  1. 시지각
  2. 표면색
  3. 물체색
  4. 색자극
(정답률: 3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색은 모두 빛의 반사로 인해 우리 눈에 들어온 것이므로, 이는 "표면색"이다. 이러한 색은 우리 뇌에서 처리되어 "물체색"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과정을 "시지각"이라고 한다. "색자극"은 색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빛의 파장이나 강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CM 기기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컬러 스와치 제공
  2. 초기 레시피 예측 및 추천
  3. 레시피 수정 제안
  4. 예측 알고리즘의 보정 계수 계산
(정답률: 29%)
  • CCM 기기의 주요 기능은 초기 레시피 예측 및 추천, 레시피 수정 제안, 예측 알고리즘의 보정 계수 계산입니다. "컬러 스와치 제공"은 CCM 기기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ISO에서 규정한 색채오차의 시각적인 영향의 요소가 아닌 것은?

  1. 광원에 따른 차이
  2. 크기에 따른 차이
  3. 변색에 따른 차이
  4. 방향에 따른 차이
(정답률: 39%)
  • ISO에서 규정한 색채오차의 시각적인 영향의 요소 중 "변색에 따른 차이"는 제외되어 있습니다. 이는 색채오차가 주로 색상의 차이를 의미하며, 변색은 색상이 아닌 색의 질적인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색은 색채오차의 시각적인 영향의 요소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CC 프로파일을 이용해서 어떤 색공간의 색정보를 변환 할 때 사용되는 렌더링 인덴트(rendering intent)에 대한 설명중 틀린것은?

  1. 서로 다른 색공간 간의 컬러에 대한 번역 스타일이다.
  2. 렌저링 인텐트에는 4가지가 있다.
  3. 정확한 매칭이 필요한 단색(solid color) 변환에는 인지적 렌더링 인텐트가 사용된다.
  4. 절대색도계 렌더링 인텐트를 사용하면 화이트포인트 보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25%)
  • "정확한 매칭이 필요한 단색(solid color) 변환에는 인지적 렌더링 인텐트가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지적 렌더링 인텐트는 색상의 밝기와 채도를 유지하면서 색상을 변환하는 것으로, 이미지나 사진과 같은 복합적인 색상 변환에 적합합니다. 단색 변환에는 절대색도계 렌더링 인텐트가 사용됩니다. 이는 정확한 색상 매칭을 위해 화이트포인트 보상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매칭이 필요한 단색 변환에는 인지적 렌더링 인텐트가 아닌 절대색도계 렌더링 인텐트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컬러 인덱스가 제공하지 못하는 정보는?

  1. 제조 회사에 의한 색 차이
  2. 염료 및 안료의 화학 구조
  3. 활용방법
  4. 견뢰도
(정답률: 41%)
  • 제조 회사에 의한 색 차이는 컬러 인덱스가 제공하지 못하는 정보이다. 이는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 기술, 환경 등에 따라 색상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조 회사에 따라 색상이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컬러 인덱스로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반사색의 색역에 가장 큰 영항을 미치는 것은?

  1. 색료
  2. 관찰자
  3. 혼색기술
  4. 고착제
(정답률: 56%)
  • 반사색은 물체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나머지 파장을 반사하여 생기는 색이다. 이때 반사색의 색감은 물체에 포함된 색료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반사색의 색감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색료"이다. 관찰자나 혼색기술, 고착제 등은 반사색의 색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색료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답은 "색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간접조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사갓을 사용하여 광원의 빛을 모아 비추는 방식
  2. 반투명의 유리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광원의 빛의 60~90%가 대상체에 직접조사되고 나머지가 천장이나 벽에서 반사되어 조사되는 방식
  3. 반투명의유리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광원 빛의 10~40%가 대상체에 직접 조사되고 나머지가 천장이나 벽에서 반사되어 조사되는 방식
  4. 광원의 빛을 대부분 천장이나 벽에 부딪혀 확산된 반사광으로 비추는 방식
(정답률: 64%)
  • 간접조명은 광원의 빛을 대부분 천장이나 벽에 부딪혀 확산된 반사광으로 비추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의이해

61. 명도대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뚜렷하다.
  2. 유채색보다 무채색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3. 명도가 다른두 색을인접했을 때밝은 색은더욱 밝아 보인다.
  4. 3속성 대비 중에서 명도대비 효과가 가장 작다.
(정답률: 59%)
  • "3속성 대비 중에서 명도대비 효과가 가장 작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명도대비는 색상의 뚜렷함과 인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뚜렷하고 강한 인상을 줍니다. 따라서, 명도대비 효과는 다른 속성 대비 효과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순응이란 조명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수용기의 민감도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 중 순응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추상체에 의한 순응이 간상체에 의한 순응 보다 신속하게 발생한다.
  2.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에 바뀔 때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을 암순응이라 한다.
  3. 간상체 시각은 약 500nm, 추상체는 56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4. 암순응이 되면 빨간색 꽃보다 파란색 꽃이 더 잘 보이게 된다.
(정답률: 61%)
  • "암순응이 되면 빨간색 꽃보다 파란색 꽃이 더 잘 보이게 된다."는 틀린 설명이다. 암순응은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로 바뀔 때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모든 색상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빨간색 꽃과 파란색 꽃 모두 더 잘 보이게 된다.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에 바뀔 때 민감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어두운 상태에서는 많은 양의 로드프신(rodopsin)이 생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로드프신은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밝은 환경에서는 빛에 의해 분해되어 민감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로 바뀔 때는 로드프신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무거운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심리적으로 피로감을 적게 주려면 도구를 다음의 색 중 어는 것으로 채색하는 것이 좋은가?

  1. 검정
  2. 어두운 회색
  3. 하늘색
  4. 남색
(정답률: 76%)
  • 하늘색은 시원하고 경쾌한 느낌을 주어 피로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두운 색보다는 밝은 색이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밝게 만들어주어 작업 효율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계시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점을 한 곳에 집중시키려는 색채 지각 과정에서 일어난다.
  2. 일정한 색의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색의 자극을 느끼는 현상이다.
  3.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연속적으로 보았을 때 나타난다.
  4. 음성 잔상과 동일한 맥락으로 풀이될 수 있다.
(정답률: 42%)
  • "시점을 한 곳에 집중시키려는 색채 지각 과정에서 일어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계시대비는 시점을 한 곳에 집중시키려는 색채 지각 과정에서 일어나며, 일정한 색의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색의 자극을 느끼는 현상입니다.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연속적으로 보았을 때 나타나며, 음성 잔상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혼색에관한 설명중 잘못된것은?

  1. 병치혼색은 서로 다른 색자극을 공간적으로 접근시켜 혼색의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2.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의사인 토마스 영(Thomas Young)은 스펙트럼의 주된 방사로 빨강, 파랑, 노랑을 제시하였다.
  3. 컬러 스라이드, 컬러영화필름, 색채사진 등은 감법혼색을 이용하여 색을 재현한다.
  4. 회전혼색을 보여주는 회전원판의 경우, 처음 실험자의 이름을 따서 맥스웰(James C. Macwell)의 회전판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42%)
  • 정답은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의사인 토마스 영(Thomas Young)은 스펙트럼의 주된 방사로 빨강, 파랑, 노랑을 제시하였다." 이다. 토마스 영은 스펙트럼의 주된 방사로 빨강, 초록, 파랑을 제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색의 동화현상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주위 색의 영향으로 비슷하게 보이는 현상
  2. 주위의 보색이 중심의 색에 겹쳐져 보이는 현상
  3. 보색관계에서 원래의 채도보다 채도가 강해져 보이는 현상
  4. 인접한 색상보다 명도가 더 높아 보이는 현상
(정답률: 74%)
  • 색의 동화현상은 주위 색의 영향으로 비슷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는 인접한 색상보다 명도가 더 높아 보이는 현상이나 보색관계에서 원래의 채도보다 채도가 강해져 보이는 현상과는 다릅니다. 또한 주위의 보색이 중심의 색에 겹쳐져 보이는 현상과도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두 색이 가법혼색으로 혼합되어 만드어내는 ( )의 색은?

  1. 시안(cyan)
  2. 마젠타(magenta)
  3. 녹색(green)
  4. 보라(violet)
(정답률: 66%)
  • 시안과 마젠타는 가법혼색에서 기본적인 색상 중 하나로, 시안은 청록색이고 마젠타는 붉은색이다. 이 두 색을 혼합하면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을 모두 포함한 색인 보라색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보라(violet)"가 아닌 "마젠타(magent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실제보다 날씬해 보이려면 어떤 색의 옷을 입는 것이 좋은가?

  1. 따뜻한 색
  2. 밝은 색
  3. 어두운 무채색
  4. 채도가 높은 색
(정답률: 73%)
  • 어두운 무채색은 그림자 효과를 주어 실제보다 날씬해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따뜻한 색과 밝은 색은 오히려 몸의 부피감을 더해주고, 채도가 높은 색은 시선을 끌어 몸의 크기를 강조해주기 때문에 날씬해 보이려면 어두운 무채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색 중 가장 따뜻하게 느껴지는 색은?

  1. 5R 4/12
  2. 2.5YR 5/2
  3. 7.5Y 8/6
  4. 2.5G 5/10
(정답률: 58%)
  • "5R 4/12"가 가장 따뜻하게 느껴지는 색이다. 이유는 "5R"이 빨간색 계열이며, "4/12"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색의 현상학적 분류 기법에 대한 연결이 틀린 것은?

  1. 표면색 -물체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타나는 물체표면의 색이다.
  2. 경영색 -고온으로 가열되어 발광하고 있는 물체의 색이다.
  3. 공간색 -유리컵 속의 물처럼 용적 지각을 수반하는 색이다.
  4. 면색 -물체라는 느낌이 들지 않은 채색만 보이는 상태의 색이다.
(정답률: 76%)
  • 정답은 "경영색 -고온으로 가열되어 발광하고 있는 물체의 색이다." 이유는, "경영색"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는 "광원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이 올바르다. 광원색은 물체가 아닌 광원에서 발산되는 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발광하고 있는 물체의 색"이라는 설명은 광원색이 아닌 경영색으로 잘못 기재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거친 표면에 빛이 입사했을 때 여러 방향으로 빛이 분산되어 퍼져 나가는 현상은?

  1. 산란
  2. 투과
  3. 굴절
  4. 반사
(정답률: 67%)
  • 거친 표면은 매우 울퉁불퉁하고 불규칙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빛이 표면에 닿으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산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빛의 파장 범위가 620.780nm인 경우 어느 색에 해당되는가?

  1. 빨간색
  2. 노란색
  3. 녹색
  4. 보라색
(정답률: 51%)
  • 빛의 파장이 길어질수록 색은 빨강에서 보라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620.780nm의 파장은 빨간색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직물제조에서 시작되어 인상파 화가들이 회화기법으로 사용하면서 일반화된 혼합은?

  1. 가법혼합
  2. 감법혼합
  3. 회전혼합
  4. 병치혼합
(정답률: 73%)
  • 직물제조에서 시작된 혼합 기술이 회화기법으로 사용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두 가지 색을 섞어서 새로운 색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일반화되었습니다. 이때, 두 색을 섞을 때 색상이 서로 섞이는 방식에 따라 "가법혼합"과 "감법혼합"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병치혼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병치혼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의 ( )안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색순응, 추상체
  2. 분광순응, 간상체
  3. 명순응, 추상체
  4. 암순응, 간상체
(정답률: 71%)
  • 이미지에서는 인물의 이름이 적혀있기 때문에 명순응이 옳다. 또한, 이미지는 실제 존재하는 인물을 그린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추상체도 옳다. 따라서 정답은 "명순응, 추상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눈에서 조리개 구실을 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부분은?

  1. 각막
  2. 수정체
  3. 망막
  4. 홍채
(정답률: 66%)
  • 눈에서 조리개 구실을 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부분은 홍채입니다. 홍채는 눈의 중심에 위치하며, 눈의 동공 크기를 조절하여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이는 눈이 너무 밝거나 어두울 때 적절한 빛의 양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동일한 크기의 보색끼리 대비를 이루어 발생한 눈부심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두 색 사이에 무채색을 넣는다.
  2. 두 색의 경계를 애매하게 만든다.
  3. 두 색 사이에 테두리를 두른다.
  4. 두색 중한 색의크기를 줄인다.
(정답률: 38%)
  • 눈부심 효과는 대비가 강한 두 색이 함께 사용될 때 발생하는데, 이는 두 색의 크기가 크거나 강도가 강할 때 더욱 심해진다. 따라서 두색 중 한 색의 크기를 줄이면 대비가 줄어들어 눈부심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무채색을 넣거나 경계를 애매하게 만들거나 테두리를 두르는 등 대비를 줄이는 방법이지만, 크기를 줄이는 것보다 효과가 덜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순도(채도)가 높아짐에 따라 색상도 함께 변화하는 현상은?

  1. 베졸트 브뤼케 현상
  2. 애브니 효과
  3. 동화 현상
  4. 매카로 효과
(정답률: 60%)
  • 애브니 효과는 순도(채도)가 높아짐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색상의 밝기와 채도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밝기와 채도가 동시에 증가하면 더욱 높은 색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도(채도)가 높아짐에 따라 색상이 더욱 진하고 선명해지는 것처럼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조명의 강조의 바뀌어도 물체의 색을 동일하게 지각하는 현상은?

  1. 색순응
  2. 색지각
  3. 색의 항상성
  4. 색각이상
(정답률: 57%)
  • 색의 항상성은 물체의 색상이 조명의 강도나 색상이 바뀌어도 동일하게 인식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뇌가 물체의 색상을 인식할 때, 조명의 영향을 배제하고 물체 자체의 색상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색상은 조명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색의 온도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간의 경험과 심리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
  2. 색의 3속성 중에서 채도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3. 색채가 지닌 파장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4. 따뜻한 색은 차가운 색에 비하여 후퇴되어 보인다.
(정답률: 56%)
  • 따뜻한 색은 차가운 색에 비하여 후퇴되어 보인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인간의 경험과 심리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은 이유는 색의 온도감은 개인적인 경험과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색의 3속성 중에서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며, 온도감과는 관계가 없다. 색채가 지닌 파장은 색의 온도감과 관련이 있으며, 따뜻한 색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이며, 차가운 색은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빨간색을 한참응시한 후흰 벽을보았을 때청록색이 보이는 것처럼 느끼는 현상은?

  1. 명도 대비
  2. 채도 대비
  3. 양성 잔상
  4. 음성 잔상
(정답률: 71%)
  • 이 현상은 "음성 잔상"이다. 이는 빨간색을 오랫동안 보면 빛을 받은 망막 세포들이 지칠 때, 그 세포들이 빨간색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멈추고, 그 대신에 초록색에 대한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명도 대비나 채도 대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의이해

81. 색의 일정한 단계 변화를 그라데이션(gradation)이라고 한다. 그라데이션을 활용한 조화로운 배색구성이 아닌것은?

  1. N1 -N3-N5
  2. RP7/10 -P5/8 -G5/10
  3. Y7/10 -GY6/10 -G5/10
  4. YR5/5 -B5/5 -R5/5
(정답률: 42%)
  • 정답은 "YR5/5 -B5/5 -R5/5"이다. 이유는 이 색상 조합은 일정한 색상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YR5/5, B5/5, R5/5은 각각 노란색, 파란색, 빨간색의 중간 색상이며, 이들 사이에는 색상 변화가 없다. 따라서 그라데이션을 활용한 조화로운 배색 구성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오방정색과 색채상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흑색 -서쪽-수(水) -현무
  2. 청색 -동쪽-목(木) -청룡
  3. 적색-북쪽 -화(火)-주작
  4. 백색-남쪽 -금(金)-백호
(정답률: 62%)
  • 오방정색은 동서남북과 각각의 색깔을 연결하여 방위와 색채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 중 청색은 동쪽과 연결되며, 목(木)과 연결됩니다. 목(木)은 나무를 상징하는데, 나무는 자라나는 것으로 생명력과 성장을 상징합니다. 또한 청색은 청룡과 연결되는데, 청룡은 동쪽의 신수(神獸)로서, 비가 내리고 식물이 자라는 것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청색은 성장과 생명력을 상징하며, 동쪽과 목(木), 청룡과 연결되어 오방정색과 색채상징이 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색채연구학자와 그 이론이 틀린 것은?

  1. 헤링 -심리 4원색설 발표
  2. 문,스펜서 -색채조화론 발표
  3. 뉴턴 -스펙트럼 4원색설 발표
  4. 헬름흘츠 -3원색설 발표
(정답률: 45%)
  • 뉴턴이 발표한 스펙트럼 4원색설은 빨강, 노랑, 파랑, 초록의 4가지 색이 모든 색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는 이론이었지만, 이는 실제로는 부분적으로만 옳은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다른 이론들은 색채의 조화와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더 정확한 색채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NCS 색체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헤링의 반대색설을 근거한다.
  2. 독일 색채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
  3. 모든 색상은 각각 두 개의 속성 비율로 표현된다.
  4. 지각되는 색 특성화가 중요한 분야인 인테리어나 외부 환경디자인에 유용하다.
(정답률: 50%)
  • 정답은 "독일 색채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가 아닌 "헤링의 반대색설을 근거한다."입니다.

    NCS 색체계는 스웨덴의 NCS색채연구소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이 색체계는 색상을 각각 두 개의 속성 비율로 표현하며, 지각되는 색 특성화가 중요한 분야인 인테리어나 외부 환경디자인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ISCC-NIST 색명법의 다음 그림에서 보여지는 A, B, C가 의미하는 것은?

  1. A : 명도, B : 색상, C : 채도
  2. A : 명도, B : 채도, C : 색상
  3. A : 색상, B : 톤, C : 채도
  4. A : 색상, B : 명도, C : 톤
(정답률: 67%)
  • A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 B는 색의 강도를 나타내는 채도, C는 색의 종류를 나타내는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명도, B : 채도, C :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최초의 먼셀 색체계와 1943년 수정 먼셀 색체계의 가장 큰 차이점은?

  1. 명도에 관한 문제
  2. 색입체의 기준 축
  3. 기본 색상 이름의 수
  4. 빛에 관한 문제
(정답률: 35%)
  • 최초의 먼셀 색체계는 색입체의 기준 축을 색상, 채도, 명도로 설정했지만, 1943년 수정 먼셀 색체계에서는 색입체의 기준 축을 빛의 파장, 색상, 명도로 변경했습니다. 따라서 가장 큰 차이점은 "색입체의 기준 축"입니다. 이에 따라 명도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색체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NCS : 모든 색은 색 지각량이 일정한 것으로 생각해서 총량을 100으로 한다.
  2. XYZ : Y는 초록의 자극치로 명도를 나타내고, X는 빨강의 자극값에, Z는 파랑의 자극값에 대체로 일치한다.
  3. L*u*v* : 컬러텔레비전과 컬러사진에서의 색과 색채현의 특성화를 위해 L*a*b*색공간보다 더 자주 사용되었다.
  4. DIN : 포화도의 단계는 0부터 10까지의 수로 표현되는데 0은 무채색을 말한다.
(정답률: 29%)
  • "XYZ : Y는 초록의 자극치로 명도를 나타내고, X는 빨강의 자극값에, Z는 파랑의 자극값에 대체로 일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XYZ 색체계에서 Y는 밝기를 나타내며, X와 Z는 색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먼셀 색표기인 5Y 8.5/14와 관계있는 관용색 이름은?

  1. 유유색
  2. 개나리색
  3. 크림색
  4. 금발색
(정답률: 63%)
  • 정답은 "개나리색"입니다.

    먼셀 색표기에서 5Y는 색상의 계열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노란색 계열을 의미합니다. 8.5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며, 14는 색상의 채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5Y 8.5/14는 밝고 채도가 높은 노란색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색상은 개나리의 꽃잎 색상과 유사하므로 "개나리색"이라는 관용색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NCS 색삼각형에서 W-C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이 의미하는 것은?

  1. 동일 하양색도
  2. 동일검정색도
  3. 동일 순색도
  4. 동일 뉘앙스
(정답률: 45%)
  • NCS 색삼각형에서 W-C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은 모두 동일한 색상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동일검정색도라고 합니다. 이는 색상의 진하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상의 밝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색들은 서로 다른 색상이지만, 동일한 진하기를 가지고 있어 비슷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현색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표에 의해 물체색의 표준을 정한다.
  2. 물체들의 색들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3. 수치로 표기되어 변색,탈색 등의 물리적 영향이 없다.
  4. 표준색표에 번호나 기호를 붙여 표시한다.
(정답률: 64%)
  • "수치로 표기되어 변색,탈색 등의 물리적 영향이 없다."는 현색계의 설명이 아닙니다. 현색계는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므로 물리적 영향에 따라 변색하거나 탈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한국산업표준(KS)에 유채색의 수식 형용사와 대응 영어가 옳은 것은?

  1. 초록빛(greenish)
  2. 빛나는(brilliant)
  3. 부드러운(soft)
  4. 탁한(dull)
(정답률: 41%)
  • 정답은 "탁한(dull)"이다. 이는 색이나 빛의 밝기가 부족하고 어두워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탁한 노란색(dull yellow)"은 밝기가 낮고 노란색이 흐릿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먼셀이 고안한 색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1. 시각적 등보성에 따른 감각적인 색체계를 구성하였다.
  2. 가장 객관적인 체계로 모든 사람의 감성과 일치한다.
  3. 색의 순도에 대한 연구로 완전색을 규명하였다.
  4. 스펙트럼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원형배열을 하였다.
(정답률: 53%)
  • 먼셀이 고안한 색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각적 등보성에 따른 감각적인 색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다. 이는 먼셀이 색을 인식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감각적인 색체계를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색체계는 객관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 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유사색상 배색의 특징은?

  1. 자극적인 효과를 준다.
  2. 대비가 강하다.
  3. 명쾌하고 동적이다.
  4. 무난하고 부드럽다.
(정답률: 79%)
  • 유사색상 배색은 비슷한 색상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는 대비가 강하지 않고 조화롭기 때문에 무난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자극적인 효과나 명쾌하고 동적인 느낌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론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등간격의 무채색 조화
  2. 등백계열의 조화
  3. 등가색환의 조화
  4. 음영계열의 조화
(정답률: 56%)
  •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론은 색채를 조화롭게 배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등간격의 무채색 조화", "등백계열의 조화", "등가색환의 조화"는 모두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론과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음영계열의 조화"는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론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음영계열의 조화는 색채가 아닌 밝기나 어두움의 정도를 조화롭게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미국 색채학자인 저드(D.B. Judd)의 색채 조화론 원칙이 아닌 것은?

  1. 질서의 원칙
  2. 친근성의 원칙
  3. 이질성의 원칙
  4. 명료성의 원칙
(정답률: 72%)
  • 저드의 색채 조화론 원칙 중 "이질성의 원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저드의 색채 조화론 원칙 중 하나입니다. "이질성의 원칙"은 다른 색채 조화론에서 제시되는 원칙 중 하나이며, 서로 다른 색상이나 색조를 사용할 때 조화롭게 보이지 않는다는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Yxy 색체계의 색을 표시하는 색도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ed 부분의 색공간의 가장 크고 동일 색채 영역이 넓다.
  2. 백색광은 색도도의 중앙에 위치한다.
  3. 색도도 안의 한 점은 혼합색을 나타낸다.
  4. 말발굽형의 바깥 둘레에 나타난 모든 색은 고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39%)
  • "Red 부분의 색공간의 가장 크고 동일 색채 영역이 넓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Yxy 색체계에서 Red 부분은 가장 큰 색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동일 색채 영역이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시인성이 가장 높은 조합은?

  1. 바탕색 : N5, 그림색 : 5R 5/10
  2. 바탕색 : N2, 그림색 : 5Y 8/10
  3. 바탕색 : N2, 그림색 : 5R 5/10
  4. 바탕색 : N5, 그림색 : 5Y 8/10
(정답률: 53%)
  • 정답은 "바탕색 : N2, 그림색 : 5Y 8/10" 입니다.

    시인성이란 시적 감성을 자극하는 조합을 말하는데, 이 조합은 바탕색과 그림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바탕색은 시의 분위기나 느낌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림색은 시적 이미지를 상상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탕색이 어두운 N5보다는 밝은 N2가 시적 감성을 자극하는데 더 적합하며, 그림색으로는 밝고 따뜻한 5Y 8/10이 시적 이미지를 상상하게 하는데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바탕색 : N2, 그림색 : 5Y 8/10" 조합이 시인성이 가장 높은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PCCS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빨강, 노랑, 녹색, 파랑의 4색상을 색영역의 중심으로 한다.
  2. 톤(tone)의 색공간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선명한 톤은 v로 칙칙한 톤은 sf로 표기한다.
  4. 모든 색상의 최고 채도를 모드 9s로 표시한다.
(정답률: 52%)
  • 선명한 톤은 v로 칙칙한 톤은 sf로 표기하는 것은 PCCS 색체계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이며, 이는 색의 진하기와 밝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스트발트는 스웨덴의 화학자로서 색채학 강의를 하였으며, 표색체계의 개발로 1909년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2. 물체 투과색의 표본을 체계화한 현색계의 컬러 시스템으로 1917년에 창안하여 발표한 20세기 전반에 대표적 시스템이다.
  3. 이 색체계는 회전 혼색기의 색채 분할면적의 비율을 변화시켜 색을 만들고 색표로 나타낸 것이다.
  4. 이상적인 백색(W)과 이상적인 흑색(B), 특정 파장의 빛만을 완전히 반사하는 이상적인 중간색을 회색(C) 이라 가정하고 투과색을 체계화하였다.
(정답률: 29%)
  •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회전 혼색기의 색채 분할면적의 비율을 변화시켜 색을 만들고 색표로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색표기방법인 12pg에 대한 의미가 옳게나열된 것은? (단,12 -p -g의 순으로나열)

  1. 색상, 흑색량, 백색량
  2. 순색량, 흑색량, 백색량
  3. 색상, 백색량, 흑색량
  4. 순색량, 명도, 채도
(정답률: 38%)
  • 정답은 "색상, 백색량, 흑색량" 입니다.

    - 색상: 색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백색량: 색이 얼마나 밝은지를 나타냅니다. 백색에 가까울수록 값이 높아집니다.
    - 흑색량: 색이 얼마나 어두운지를 나타냅니다.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값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는 색상뿐만 아니라 색의 밝기와 어둡기를 함께 표기하여 더욱 정확한 색상 표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