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식물보호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병은?

  1. 고구마 무름병
  2. 토마토 시들음병
  3. 무 검은썩음병
  4. 감자 역병
(정답률: 39%)
  • 무 검은썩음병은 세균인 Erwinia carotovora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무류 작물에서 발생합니다. 이 세균은 무의 잎, 줄기, 뿌리 등을 부패시키며 검은색 부패증상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무의 생육이 저하되고 수확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병 삼각형(disease triangle)의 구성 요인이 아닌 것은?

  1. 시간
  2. 병원체
  3. 환경
  4. 기주식물
(정답률: 93%)
  • 시간은 병 삼각형의 구성 요인이 아닙니다. 병 삼각형은 병원체, 환경 및 기주식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의 전파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시간은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직접적인 요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식물병 중 제 2차 전염이 없는 병은?

  1. 복숭아 잎오갈병
  2. 벼 도열병
  3. 고추 도뎅이병
  4. 오이 모자이크병
(정답률: 53%)
  • 복숭아 잎오갈병은 바이러스가 복숭아에서만 번식하며, 벌이 전염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 2차 전염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세 병은 벌이 전염시키기 때문에 제 2차 전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감자의 병해 중에서 토양 ph가 높아질수록 발병이 심해지는 병은?

  1. 바이러스병
  2. 역병
  3. 겹둥근무늬병
  4. 더뎅이병
(정답률: 67%)
  • 정답: 더뎅이병

    더뎅이병은 감자의 잎이 검게 변하고 말라 죽는 병으로, 토양 pH가 높아질수록 발병이 심해집니다. 이는 토양 pH가 높아지면 감자의 뿌리가 흡수하는 물의 pH도 높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 pH를 조절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추 열매에 검은색의 작은 알갱이들이 동심윤문을 그리며 만들어지고, 습도가 높을 때 그 위에 분홍색 계통의 점액이 분비되는 병은?

  1. 역병
  2. 탄저병
  3. 더뎅이병
  4. 깨씨무늬병
(정답률: 79%)
  • 고추 열매에 검은색 알갱이가 동심윤문을 그리며 만들어지고, 습도가 높을 때 분홍색 계통의 점액이 분비되는 병은 탄저병입니다. 이는 고추 열매에 감염된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열매가 부패하고 썩어내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외류의 세균성(Erwinia tracheiphila) 풋마름병의 매개 곤충은?

  1. 파리류
  2. 나비류
  3. 딱종벌레류
  4. 진딧물류
(정답률: 43%)
  • 외류의 세균성 풋마름병의 매개 곤충은 딱종벌레류입니다. 이는 딱종벌레류가 외류의 잎을 먹고 그 속에서 세균을 섭취하여 다른 식물로 이동하면서 세균을 전파하기 때문입니다. 파리류나 나비류는 외류의 잎을 먹지 않고, 진딧물류는 세균을 전파하지 않기 때문에 매개 곤충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배추 무사마귀병의 주요 전염 경로는?

  1. 종자 전염
  2. 토양 전염
  3. 충매 전염
  4. 공기 전염
(정답률: 63%)
  • 배추 무사마귀병은 토양에서 생존하는 병원균에 의해 전염됩니다. 따라서 토양 전염이 주요 전염 경로입니다. 종자 전염은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드물며, 충매 전염과 공기 전염은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벼 오갈병의 매개충은?

  1. 벼멸구
  2. 흰등멸구
  3. 벼메뚜기
  4. 끝동매미충
(정답률: 89%)
  • 벼 오갈병의 매개충은 끝동매미충입니다. 이는 벼 오갈병의 주요 벡터인 끝날개매미충과 유사한 생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끝동매미충은 벼의 잎을 먹고 번식하며, 벼 오갈병의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끝동매미충은 벼 오갈병의 발생과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세균 중 기주 식물에 혹을 만드는 것은?

  1. Erwinia carotovora pv. carotovora
  2. Agrobacterium tumefaciens
  3. Pseudomonas solanacearum
  4.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정답률: 86%)
  • Agrobacterium tumefaciens은 기주 식물에 혹을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세균으로, 이는 세균이 기주 식물의 DNA에 특정 유전자를 삽입하여 혹을 유발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능력은 유전자 조작 기술에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성세대가 없는 불완전균에서 일어나며 영양 균사에서 유성생식과 같은 유전적인 재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접합
  2. 형질전환
  3. 형질도입
  4. 준유성교환
(정답률: 59%)
  • 준유성교환은 불완전균에서 일어나며, 영양 균사에서 유성생식과 같은 유전적인 재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유성세대가 없는 불완전균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정답은 "준유성교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병든 가지나 줄기가 처음에는 황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나중에 부풀어 터진 후 황색의 가루가 비산하는 병은?

  1. 향나무 녹병
  2. 느릅나무 마름병
  3. 밤나무 줄기마름병
  4. 잣나무 털녹병
(정답률: 64%)
  • 병든 가지나 줄기가 처음에는 황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나중에 부풀어 터진 후 황색의 가루가 비산다면, 이는 잣나무 털녹병이다. 이 병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잎과 줄기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가지와 줄기에 나타난다. 또한, 이 병은 잣나무를 비롯한 소나무과의 나무들에 영향을 미치며, 가지와 줄기가 부풀어 터지는 것은 곰팡이가 나무를 침범하여 나무의 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주가 자라는 곳에 이미 도입된 병원체를 없애는 방제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면역
  2. 직접 보호
  3. 배제
  4. 제거
(정답률: 87%)
  • 정답은 "제거"이다. 이는 이미 도입된 병원체를 없애는 방법을 나타내는데, 다른 보기들은 병원체를 예방하거나 방어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설명하는 병의 병원균이 속하는 곳은?

  1. 접합균류
  2. 난균류
  3. 자낭균류
  4. 담자균류
(정답률: 51%)
  • 이 병원균은 구형으로, 그람 음성이며, 분열시에는 난생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난균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식물 병원균의 병원성의 생리적 분화는 생화학적으로 다음 어느 것에 의한 것인가?

  1. 영양 요구성의 차이
  2. 산화 능력의 차이
  3. 환원 능력의 차이
  4. 기질 ph의 차이
(정답률: 59%)
  • 식물 병원균의 병원성의 생리적 분화는 영양 요구성의 차이에 의한 것입니다. 각각의 병원균은 특정한 영양 요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호스트 식물의 특정한 조건에서만 병원성을 발휘합니다. 따라서, 호스트 식물의 영양 상태와 환경 조건에 따라 병원균의 병원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phytoalexin 이 아닌 것은?

  1. pisatin
  2. capsidiol
  3. phaseollin
  4. salicylic acid
(정답률: 64%)
  • salicylic acid은 식물의 자가면역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phytoalexin은 아닙니다. phytoalexin은 식물이 병원체나 해충 등의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할 때 생산되는 자연적인 방어물질로, pisatin, capsidiol, phaseollin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바이로이드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1. Diener
  2. Doi
  3. Iwanowski
  4. Vanderplank
(정답률: 75%)
  • 바이로이드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Diener입니다. Diener는 1959년에 바이로이드를 발견하였으며, 이후 바이로이드의 연구와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 흰잎마름병의 병원체는?

  1. Heterobasidion annosum
  2.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3. Phytophthra capsici Leon
  4. Blumeria graminis
(정답률: 77%)
  • 벼 흰잎마름병의 병원체는 Xanthomonas oryzae pv. oryzae입니다. 이는 벼의 잎과 줄기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아로, 잎의 염색소를 파괴하여 잎이 흰색으로 변하고 마름병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 병원체는 벼의 잎, 줄기, 귀, 뿌리 등에 감염되며, 벼의 생육과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병원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과나무 부란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낭포자와 병포자를 형성한다.
  2. 병환부에서 균사나, 포자형으로 월동한다.
  3. 빗물이나 공기전염을 한다.
  4. 병 발생은 상처와 관계가 없다.
(정답률: 83%)
  • 사과나무 부란병은 자낭포자와 병포자를 형성하며, 병환부에서 균사나 포자형으로 월동하며, 빗물이나 공기전염을 합니다. 하지만 병 발생은 상처와 관계가 없습니다. 사과나무 부란병은 잎, 꽃, 열매 등에 발생하며, 이는 과실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수확량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예방과 조기 대처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식물병 중 표징(sign)이 없는 병해는?

  1. 고추 괴저바이러스병
  2. 오이 흰가루병
  3. 보리 겉깜부기병
  4.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정답률: 77%)
  • 고추 괴저바이러스병은 표징이 없는 병해이다. 이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추는 생장이 저하되고 열매의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신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아닌 것은?

  1. 바이러스
  2. 파이토플라스마
  3. 선충
  4. 바이로이드
(정답률: 81%)
  • 선충은 전신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아닙니다. 선충은 일부 종류가 인간에게 감염을 일으키지만, 대부분은 식물이나 동물에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전신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로는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스마, 바이로이드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토양생태계에 있어서 토양 곤충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생산자 역할
  2. 소비자 역할
  3. 분해자 역할
  4. 오염자 역할
(정답률: 83%)
  • 토양 곤충은 죽은 식물이나 동물의 잔해를 분해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고, 이를 토양에 돌려줌으로써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는 분해자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역할은 토양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하며, 토양 곤충이 없으면 토양의 영양분이 고갈되어 생태계가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해에 한번 이상 발생하는 해충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오리나무잎벌레
  2. 숫검은밤나방
  3. 벼잎벌레
  4. 콩잎말이명나방
(정답률: 42%)
  • 해충은 한해에 한번 이상 발생하는데, 콩잎말이명나방은 콩의 잎을 먹는 해충으로, 콩이 자주 재배되는 작물 중 하나이기 때문에 한해에 한번 이상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콩잎말이명나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해충의 발생예찰에서 피해 허용밀도, 요방제밀도, 피해한계밀도는 어떤 항목에 속하는가?

  1. 발생시기의 예찰
  2. 발생량의 예찰
  3. 피해량의 예찰
  4. 방제여부의 예찰
(정답률: 56%)
  • 피해 허용밀도, 요방제밀도, 피해한계밀도는 모두 "방제여부의 예찰"에 속합니다. 이는 해당 해충의 발생 및 피해 정도를 파악하여 방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예찰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예찰을 통해 방제 여부를 결정하고 적절한 방제 방법을 선택하여 해충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소위 “비단길”이라는 문명을 생기게 한 곤충은?

  1. 꿀벌
  2. 담배나방
  3. 조명나방
  4. 누에나방
(정답률: 81%)
  • 누에나방은 미국 워싱턴 주의 한 지역에서 비단을 생산하기 위해 도입된 종으로, 그들의 애벌레가 비단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비단길"이라는 문명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곤충의 죤스톤 기관은 더듬이의 어느 부분에 위치 하는가?

  1. 자루마디
  2. 팔굽마디(흔들마디)
  3. 채찍마디
  4. 밑마디
(정답률: 80%)
  • 곤충의 죤스톤 기관은 팔굽마디(흔들마디)에 위치합니다. 이는 팔굽마디가 다리와 연결되어 있어서 신체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팔굽마디는 다른 마디들과 비교하여 뚜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죤스톤 기관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화기관의 변형체로서 흡즙성 곤충에서 나타나는 기관은?

  1. 숨은 배설관
  2. 여과실
  3. 직장아가미
  4. 알라타체
(정답률: 58%)
  • 흡즙성 곤충은 먹이를 소화하기 위해 소화액을 분비합니다. 이 소화액은 먹이를 녹이고, 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여과실은 소화액이 먹이를 흘려보내기 전에 먹이를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여과실은 소화기관의 변형체로서 흡즙성 곤충에서 나타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확직전 갑자기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살충제는?

  1. 훈증제
  2. 침투성약제
  3. 준침투성약제
  4. 접촉제
(정답률: 56%)
  • 수확 직전에는 작물에 해충이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르고 효과적인 방제가 필요합니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살충제는 접촉제입니다. 접촉제는 작물 표면에 분사되면 작용하며, 작물 내부로 침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살충제를 뿌린 후 바로 수확해도 안전하며, 빠른 효과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의 다리는 5마디로 구성된다. 몸에서부터 바른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밑마디-넓적마디-발마디-종아리마디-도래마디
  2. 밑마디-발마디-종아리마디-도래마디-넓적마디
  3. 밑마디-도래마디-넓적마디-종아리마디-발마디
  4. 밑마디- 종아리마디-발마디-넓적마디-도래마디
(정답률: 85%)
  • 곤충의 다리는 보통 "밑마디-넓적마디-종아리마디-도래마디-발마디"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리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밑마디는 몸과 다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넓적마디는 다리를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종아리마디는 다리를 굽히고 펴는 역할을 하며, 도래마디는 다리를 더욱 굽히고 펴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발마디는 지면에 닿아서 몸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밑마디-도래마디-넓적마디-종아리마디-발마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생산자에 유리하고 수용자에 불리한 생리반응이나 행동을 일으키는 활성물질은?

  1. 시노몬(synomone)
  2. 알로몬(allomone)
  3. 카이로몬(kairomone)
  4. 집합페로몬(aggregation pheromone)
(정답률: 71%)
  • 알로몬은 생산자에게 유리하고 수용자에게 불리한 활성물질로, 생산자의 생존과 번식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벌레가 자신의 몸에서 방출하는 냄새가 알로몬입니다. 이 냄새는 벌레를 먹이로 이끌어주는 카이로몬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벌레를 쫓아내는 시노몬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알로몬은 생산자에게는 유리하지만 수용자에게는 불리한 효과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화명나방의 암수 구별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암컷의 날개 센털은 3개가 있다.
  2. 수컷의 전연각(前緣角)은 넓다.
  3. 암컷의 빛깔은 엷다.
  4. 수컷은 암컷에 비해 크기가 크다.
(정답률: 77%)
  • "암컷의 날개 센털은 3개가 있다.", "수컷의 전연각(前緣角)은 넓다.", "암컷의 빛깔은 엷다."는 모두 이화명나방의 암수 구별 방법 중 하나이지만, "수컷은 암컷에 비해 크기가 크다."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이는 개체마다 크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화명나방의 암수를 구별할 때는 크기보다는 다른 특징들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살충제와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이 곤충체내로 투입되었을 때 그 물질을 무독화시키기 위하여 곤충의 지방체 조직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아닌 것은?

  1. 알킬화
  2. 황산화
  3. 아세틸화
  4. 가수분해
(정답률: 39%)
  • 알킬화는 유기 화합물에 알킬기(-CH3, -C2H5 등)를 추가하여 물질을 무해화시키는 화학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곤충체 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나 동물 등이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알킬화가 정답인 이유는, 곤충체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학명 Lymantria dispar (Linnaeus) 은 어떤 해충인가?

  1. 매미나방
  2. 독나방
  3. 솔나방
  4. 솔잎벌
(정답률: 52%)
  • Lymantria dispar는 매미나방으로, 이는 그들의 어두운 갈색 또는 회색 날개와 몸체, 그리고 눈 주위의 흰색 반점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주로 소나무, 가지, 잎, 껍질 등을 먹이로 삼으며, 대규모로 발생할 경우 숲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콩나방은 콩꼬투리의 털이 적고 매끄러운 품종에 산란을 적게 한다. 이것은 작물 내충성의 어느 성질 때문인가?

  1. 내성
  2. 항생성
  3. 회피성
  4. 비선호성
(정답률: 75%)
  • 콩나방은 콩꼬투리의 털이 적고 매끄러운 품종에 산란을 적게 하는데, 이는 작물 내충성의 비선호성 때문입니다. 즉, 콩나방은 콩꼬투리의 털이 많은 품종에 비해 작물에서 선호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적게 번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물적 방제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해충에 적용이 된다.
  2. 생물상이 평형을 되찾고 생태계가 안정된다.
  3. 효과발현이 늦지만 영구적으로 효과가 있다.
  4. 비용은 처음에만 필요하고 그 이후는 불필요하다.
(정답률: 75%)
  • "모든 해충에 적용이 된다."는 거짓말이다. 생물적 방제는 특정한 해충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다른 해충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평균곤(halter)은 어느 곤충 목(目)에서 볼 수 있는가?

  1. 파리목
  2. 노린재목
  3. 딱정벌레목
  4. 나비목
(정답률: 73%)
  • 평균곤은 파리목에 속합니다. 이는 평균곤이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들과 비슷한 형태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파리목에는 파리, 모기, 진드기 등 다양한 곤충들이 속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농약의 부작용이 아닌 것은?

  1. 자연계의 평형 파괴
  2. 잠재적 곤충의 해충화
  3. 동물상의 복잡화
  4. 약제저항성 해충의 출현
(정답률: 83%)
  • 농약의 부작용 중 "동물상의 복잡화"는 다른 세 가지와는 달리 직접적으로 해충에 대한 영향이 아니라, 농약 사용으로 인해 생태계의 평형이 깨져서 다른 동물들의 생태적 상호작용이 복잡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농약으로 인해 해충이 감소하면서 그들의 먹이인 작은 곤충들도 감소하게 되고, 이 작은 곤충들을 먹이로 하는 새들이나 곤충을 먹이로 하는 포유류들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생태계의 평형이 깨지면서 다른 동물들의 생태적 상호작용이 복잡해지는 것이 "동물상의 복잡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종합적 해충관리(IPM)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1. 방제력
  2. 해충의 존재
  3. 경제적 피해 수준(밀도)
  4. 일반 평형 수준(밀도)
(정답률: 76%)
  • 종합적 해충관리(IPM)는 환경, 인간 건강,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해충 관리를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경제적 피해 수준(밀도)입니다. 이는 해충의 발생 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적절한 방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버즘나무방패벌레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버즘나무류의 잎뒷면에 모여 흡즙 가해한다.
  2. 1995년에 국내에 보고되었다.
  3. 성충으로 월동한다.
  4. 풀잠자리목에 속한다.
(정답률: 75%)
  • 다음 버즘나무방패벌레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버즘나무방패벌레는 버즘나무류의 잎뒷면에 모여 흡즙을 가해하며, 1995년에 국내에 보고되었으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또한, 풀잠자리목에 속하는 것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등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률: 81%)
  • 애멸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벼병해충 중 하나입니다. 애멸구는 벼의 잎을 먹고 그 속에서 병원균을 전파하여 벼의 생육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애멸구는 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자리파리의 월동충태는?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50%)
  • 고자리파리의 월동충태는 번데기입니다. 이는 고자리파리가 유충기에서 번데기로 발달하고, 번데기가 겨울철을 견디기 위해 지하나 나무 등에서 월동하며 봄이 되면 성충으로 발달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습해에 강한 작물은?

  1. 감자
  2. 고구마
  3. 보리
  4. 밭벼
(정답률: 50%)
  • 밭벼는 물이 많이 필요하지 않고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습해에 강한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계통이 거의 고정되는 F5~F6세대까지는 교배조합별로 보통재배를 하여 집단선발을 계속하고, 집단의 동형접합성이 높아진 후기세대에 가서 계통선발을 실시하는 육종법은?

  1. 파생계통육종법
  2. 집단육종법
  3. 계통육종법
  4. 조환육종법
(정답률: 39%)
  • 집단육종법은 교배조합별로 보통재배를 하여 집단선발을 계속하고, 집단의 동형접합성이 높아진 후기세대에 가서 계통선발을 실시하는 육종법이다. 따라서 F5~F6세대까지는 교배조합별로 보통재배를 하여 집단선발을 계속하고, 이후에 계통선발을 실시한다. 이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특성을 고정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집단육종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독립유전일 때 재조합형이 얼마 나올때를 말하는가?

  1. 0%
  2. 15%
  3. 30%
  4. 50%
(정답률: 55%)
  • 독립유전일 때 재조합율은 50%이다. 이는 각 부모로부터 받은 염색체가 서로 섞이기 때문이다. 즉, 부모로부터 받은 염색체 중 하나가 어느 한 자리에서 나머지 하나와 교차하여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일어날 때, 재조합이 발생할 확률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작물재배시 부족하면 수정ㆍ결실이 나빠지는 미량원소는?

  1. Mn
  2. B
  3. Mo
  4. Zn
(정답률: 73%)
  • 정답은 "B"인 붕소입니다. 붕소는 작물의 생장과 결실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족하면 작물의 생장이 둔화되고, 꽃과 열매의 발달이 불완전해지며, 결실량이 감소합니다. 또한, 붕소 부족은 작물의 내성을 약화시켜 질병에 취약해지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벼 재배시 추락현상이 나타날 때 함께 발생하기 쉬운 병은?

  1. 깨씨무늬병
  2. 도열병
  3. 잎집무늬마름병
  4. 겉깜부기병
(정답률: 54%)
  • 벼 재배시 추락현상이 나타날 때는 벼의 식물체가 손상을 입어 병균이 쉽게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균이 쉽게 발생하고 전파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깨씨무늬병"은 벼의 잎과 귀에 나타나는 병으로, 벼의 생육기간 중에 발생하며, 추락현상이 나타날 때 함께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 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벼의 잎과 귀에 무늬 모양의 증상을 보이며,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피해를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종(種)이하의 작은 분류단위를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종(種) - 변종(變種) - 품종(品種) - 아종(亞種)
  2. 종(種) - 아종(亞種) - 계통(系統) - 품종(品種)
  3. 종(種) - 아종(亞種) - 변종(變種) - 품종(品種)
  4. 종(種) - 계통(系統) - 변종(變種) - 품종(品種)
(정답률: 66%)
  • 정답은 "종(種) - 아종(亞種) - 변종(變種) - 품종(品種)"이다.

    - 종(種): 생물의 분류학적으로 가장 작은 단위
    - 아종(亞種): 종보다 작은 분류 단위로,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일한 종 내의 지리적 변이를 나타냄
    - 변종(變種): 아종보다 작은 분류 단위로, 동일한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일한 종 내의 형태적 변이를 나타냄
    - 품종(品種): 작물이나 가축 등 인위적으로 번식하여 생긴 변종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인위적으로 선택된 특성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종(種) - 아종(亞種) - 변종(變種) - 품종(品種)"은 생물의 분류학적으로 가장 작은 단위인 종에서 지리적, 형태적 변이를 나타내는 아종과 변종을 거쳐 인위적으로 선택된 변종인 품종까지의 분류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작물의 형태적ㆍ생태적ㆍ생리적 요소를 형질(形質)이라 하는데, 다음 중 형질을 나타내는 것은?

  1. 단간종
  2. 만생종
  3. 조생종
  4. 숙기(출수기)
(정답률: 48%)
  • 숙기(출수기)는 작물의 생리적 요소 중 하나로, 작물이 생장하면서 뿌리에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여 식물체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작물이 성장하고 생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숙기(출수기)는 작물의 형질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적산온도가 가장 낮은 여름작물은?

  1. 메밀
  2. 담배
(정답률: 70%)
  • 메밀은 적산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여름작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적산온도가 높은 지역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작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기중의 습도가 높으면 식물에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1. 광합성이 활발해진다.
  2. 증산작용이 활발해진다.
  3. 필요물질의 흡수 및 순환이 촉진된다.
  4. 표피가 연약해지고 작물체가 도장한다.
(정답률: 69%)
  • 습도가 높으면 식물의 증산작용이 활발해져서 물을 더 많이 증발시켜야 하기 때문에 물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필요한 영양분도 더 많이 흡수하게 되어 광합성이 활발해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식물의 표피는 물에 적극적으로 노출되어 연약해지고, 작물체가 도장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두류 중 일반적으로 단위면적당 파종량이 가장 적은 것은?

  1. 녹두
  2. 완두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녹두는 다른 세 가지 작물에 비해 단위면적당 파종량이 적습니다. 이는 녹두가 다른 작물에 비해 생육기간이 짧고, 작은 크기의 씨앗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두는 적은 양의 파종량으로도 충분한 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작물의 생육형태 조정법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콩 - 적심
  2. 토마토 - 휘기(연곡)
  3. 가지 - 적엽
  4. 옥수수- 제얼
(정답률: 53%)
  • 정답은 "토마토 - 휘기(연곡)"입니다. 토마토는 휘기(연곡)보다는 적심이 적합합니다. 휘기(연곡)는 토마토의 생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마토는 적심이나 다른 생육형태 조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종자 중 장명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1. 토마토, 가지, 수박
  2. 콩, 옥수수, 밀
  3. 벼, 콩, 배추
  4. 고추, 당근, 수박
(정답률: 69%)
  • 장명종자란 한 번 심으면 여러 해 수확이 가능한 종자를 말한다. 따라서 "토마토, 가지, 수박"은 장명종자에 해당한다. 그 외의 보기들은 매년 새로 심어야 하는 일년생 종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식물체가 침관수(浸冠水)되었을 때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퇴수후 새로운 물을 갈아 댄다.
  2. 김을 매어 지중통기(地中通氣)를 좋게 한다.
  3. 침수 후에는 병충해의 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방제가 필요없다.
  4. 피해가 심할 때에는 추파, 보식 등을 한다.
(정답률: 84%)
  • 침수 후에는 병충해의 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방제가 필요없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식물체가 침수되면 뿌리 부분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손상을 입고, 이로 인해 병충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침수 후에도 병충해 방제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재배포장에 파종된 종자의 발아(출아)상태를 조사할 때 발아전(發芽揃) 이란 몇 % 이상 발아한 것인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58%)
  • 발아전이란 일정 기간 동안 파종된 종자 중 발아한 종자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발아전이 80% 이상이라는 것은 파종된 종자 중 80% 이상이 발아한 것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우리나라의 통일찰 벼품종은 어떤 육종방법에 의해 육성되었는가?

  1. 계통육종
  2. 집단육종
  3. 여교배육종
  4. 파생계통육종
(정답률: 60%)
  • 우리나라의 통일찰 벼품종은 여교배육종에 의해 육성되었습니다. 여교배육종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작물을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조합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는데 효과적이며, 우리나라의 통일찰 벼품종도 이 방법을 통해 육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작물 중 자연교잡률(단위:%)이 가장 높은 것은?

  1. 보리
  2. 수수
(정답률: 48%)
  • 정답은 "수수"입니다.

    자연교잡률이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교잡(잡종) 비율을 말합니다. 즉, 서로 다른 두 종이 교배하여 새로운 잡종이 생기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수수는 자라와 찰보리 등과 교잡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자연교잡률이 높습니다. 반면 보리와 밀은 교잡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자연교잡률이 낮습니다. 조는 이미 교배된 작물이기 때문에 자연교잡률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정되지 않은 난세포가 홀로 발육하여 배(胚)를 형성하는 생식법은?

  1. 동정생식
  2. 부정배생식
  3. 처녀생식
  4. 무배생식
(정답률: 56%)
  • 처녀생식은 수정되지 않은 난세포가 홀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생식법으로, 부모의 유전자가 전혀 섞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모의 유전적 결함이 없는 순수한 유전자를 가진 자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벼 품종을 같은 지역에서 재배할 때 출수가 가장 늦은 것은?

  1. 오대벼
  2. 설악벼
  3. 태백벼
  4. 낙동벼
(정답률: 63%)
  • 정답: 낙동벼

    설명: 출수는 벼가 수확 가능한 상태가 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출수가 가장 늦은 것은 낙동벼입니다. 이는 낙동강 유역에서 재배되는데, 이 지역의 기후가 다른 지역보다 더 추워서 벼의 성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낙동벼는 다른 벼 품종에 비해 출수가 늦고 수확 시기가 늦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작물 중에서 산성토양에 가장 강한 것은?

  1. 감자
  2. 고구마
  3. 양파
(정답률: 41%)
  • 감자는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데, 이는 감자가 산성토양에 적응하기 위해 뿌리를 더욱 깊게 내리며, 뿌리 주변의 토양을 약화시켜 산성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자는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작물 중 칼리를 충분히 공급해야 좋은 것은?

  1. 옥수수
  2. 고구마
(정답률: 52%)
  • 고구마는 다른 작물에 비해 칼리 함량이 높아서 칼리를 충분히 공급받아야 좋은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30% 메프(MEP)유제(비중 1.0) 100cc 로 0.05% 의 살포액을 만들려고 한다. 이 때 소요되는 물의 양은?

  1. 59900cc
  2. 69900cc
  3. 79900cc
  4. 89900cc
(정답률: 66%)
  • 0.05%의 살포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00cc의 메프(MEP)유제에 0.05cc의 살포액이 들어가야 합니다. 이때, 살포액의 비중은 1.0이므로 0.05g의 살포액은 0.05ml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용액의 부피는 100cc + 0.05cc = 100.05cc가 됩니다. 이때, 메프(MEP)유제의 비중은 1.0이므로 부피와 질량이 같습니다. 따라서, 총 물의 양은 100.05cc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59900c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9900c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농약 살포액의 조제방법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1. 배액 조제법
  2. 퍼센트액 조제법
  3. 비중 조제법
  4. ppm 조제법
(정답률: 77%)
  • 배액 조제법은 농약을 일정한 양의 용매(물 등)에 녹여서 일정한 농도의 용액을 만드는 방법으로, 농약의 용해도와 농약의 효과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농약의 농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농약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농약의 용액을 만들어 놓으면 쉽게 살포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약제의 처리법 중 수면시용법이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물에 잘 풀리고 널리 확산되어야 한다.
  2. 물이나 미생물 또는 토양성분 등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아야 한다.
  3. 수중에서 장시간에 걸쳐 녹아 약액의 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4. 가급적 약제의 일부는 수중에 현수되도록 친수 및 발수성을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64%)
  • "수중에서 장시간에 걸쳐 녹아 약액의 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특성입니다. 이유는 수면시용 약제는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어야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약제가 수중에서 녹아 농도가 변화하지 않도록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본답후기 경엽처리용 제초제로서 사용 시 논물을 빼고 난 후 압력이 약한 분무기로 벼 잎에 묻지 않도록 살포하여야 하는 제초제는?

  1. 그락목손
  2. 글라신
  3. 2,4-D
  4. 설포세이트
(정답률: 53%)
  • 2,4-D는 경엽 처리용 제초제로서 사용 시 논물을 빼고 난 후 압력이 약한 분무기로 살포해도 벼 잎에 묻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메프(Fenitrothion)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당 8말(160L)을 살포하려고 할 때 Fenitrothion 유제의 소요량은 약 몇 mL 인가?

  1. 80
  2. 120
  3. 160
  4. 320
(정답률: 68%)
  • 1000배로 희석하였으므로, 1L당 50/1000 = 0.05g의 Fenitrothion 유제가 들어있다. 10a당 8말(160L)을 살포하려고 하므로, Fenitrothion 유제의 총 소요량은 0.05g/L x 160L = 8g이다. 유제의 농도는 50%이므로, 8g의 Fenitrothion 유제를 얻기 위해서는 16g의 Fenitrothion 유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Fenitrothion 유제의 소요량은 16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곤충을 질식시켜 치사시키는 물리적 작용을 갖는 살충제는?

  1. 기계유 유제
  2. 피레스 유제
  3. 에이카롤 유제
  4. 밀베멕틴 유제
(정답률: 71%)
  • 기계유 유제는 곤충의 기관에 직접 침투하여 기계적인 작용을 가해 숨을 쉴 수 없게 만들어 죽이는 살충제이다. 따라서 곤충을 질식시켜 치사시키는 물리적 작용을 갖는 살충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농약제조용 보조제인 증량제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비중
  2. 수분함량 및 흡습성
  3. 입자의 크기 및 입도분포
  4. 표면장력
(정답률: 61%)
  • 증량제는 농약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조제로, 농약의 용해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표면장력은 다른 성질들과는 달리 물과 같은 액체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농약의 용해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표면장력은 증량제의 특성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식물호르몬 작용 저해제와 비슷한 작용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식물이 고사하는 것보다 기형인 경우가 많은 제초제의 작용기작은?

  1. 단백질 합성저해
  2. 광합성 저해
  3. 호흡 저해
  4. 아미노산 합성저해
(정답률: 67%)
  • 제초제는 식물의 세포내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세포분열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식물의 성장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식물호르몬 작용 저해제와 유사하며, 따라서 식물이 고사하는 것보다는 기형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제초제의 작용기작은 "단백질 합성저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농약원제를 용제에 녹이고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서 첨가하여 제제한 것으로 다른 제형에 비해 제제가 간단한 특징이 있는 것은?

  1. 액제
  2. 수용제
  3. 유제
  4. 분산성액제
(정답률: 62%)
  • 농약원제는 대부분 유지성이 높은 유체이기 때문에, 이를 용제에 녹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서 첨가하면 농약원제가 용제 내에서 더 잘 분산되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제가 다른 제형에 비해 제제가 간단한 특징이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농약사용 후에 나타나는 약해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표류비산에 의한 약해
  2. 휘산에 의한 약해
  3. 잔류농약에 의한 약해
  4.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정답률: 59%)
  • 원제 부성분은 농약의 주성분과는 다른 화합물로, 농약의 효능과는 관련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농약의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농약 사용 후에 나타나는 약해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훈증제에 대하여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유효성분과 발열제를 종이에 흡착시키거나 깡통에 넣은 것이다.
  2. 비등점이 낮은 농약을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 내에 충전한 것이다.
  3. 유효성분을 용제 분사제 등과 bombe 에 충전시킨 것으로 압력을 가하여 공기 중에 분출시켜서 사용한다.
  4. 가연성 재질에 유효성분을 혼합성형하고,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유효성분을 공기 중에 휘산시킨다.
(정답률: 64%)
  • 훈증제는 비등점이 낮은 농약을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 내에 충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 설정 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대무작용량
  2. 반수치사량
  3. 안전계수
  4. 1일 섭취허용량
(정답률: 61%)
  •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 설정 시에는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준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때, 최대무작용량은 농약이 인체에 미치는 최대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안전계수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최대무작용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여유를 두어 설정하는 지표입니다. 1일 섭취허용량은 인체가 하루에 섭취할 수 있는 농약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반수치사량은 농약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농약의 독성이 높을수록 반수치사량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 설정 시에는 반수치사량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간접접촉제로서 곤충의 기문이나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 근육마비를 일으킨다.
  2. 온혈동물, 인축에는 매우 저독성이며 곤충에 따라 살충력이 강하다.
  3.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에 대하여 매우 낮은 농도에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 신경독성화합물이다.
  4. 고온보다 저온상태에서 약효발현이 잘 된다.
(정답률: 52%)
  • "간접접촉제로서 곤충의 기문이나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 근육마비를 일으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피레스로이드 계 살충제는 직접적인 접촉으로 곤충의 신경세포를 마비시켜 살충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농약의 급성독성은 반수치사량(중위치사량, LD50 )으로 표시한다. 이 때 단위는?

  1. mg/mL
  2. mg/g
  3. mg/kg
  4. mg/mg
(정답률: 75%)
  • 반수치사량은 독성 실험에서 실험동물의 몸무게 1kg당 몇 mg의 농약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단위는 mg/kg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농약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반수치사량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약해가 일어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장마철 보르도액의 살포
  2. 고온, 고광도시 석회황합제 사용
  3. 낙엽 후 기계유 유제의 살포
  4. 살포약제의 고농도 살포
(정답률: 70%)
  • 낙엽 후 기계유 유제의 살포가 약해가 일어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낙엽이나 기름 등이 묻어있는 잎에 살포약이 흡수되지 않아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살포약이 잎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낙엽 후 기계유 유제의 살포는 약해가 일어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페놀(phenol)계 살균제로서 과수의 월동 방제용이나 목제 방부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약제는?

  1. 비타박스
  2. 캡탄
  3. 네오아소진
  4. PCP제
(정답률: 43%)
  • PCP제는 페놀계 살균제로서, 과수의 월동 방제용이나 목제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PCP제가 광범위한 균에 대해 효과적인 살균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CP제는 비교적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오랫동안 보관해도 효과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PCP제는 과수농업에서 월동 방제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생장조정제로 사용되지 않은 농약은?

  1. 지베렐린산 수용제
  2. 나드 분제
  3. 메피쾃클로라이드 액제
  4. 모노크로포스 액제
(정답률: 35%)
  • 모노크로포스 액제는 생장조정제로 사용되지 않는 농약입니다. 이는 모노크로포스 액제가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성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지베렐린산 수용제, 나드 분제, 메피쾃클로라이드 액제는 모두 생장조정제로 사용되는 농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계면활성제 중 가용화 작용이 큰 HLB(hydrophil - elipophile balance) 값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1~3
  2. 4~7
  3. 9~12
  4. 15~18
(정답률: 50%)
  • HLB 값이 높을수록 계면활성제는 수분을 많이 끌어들이는 수지성 성질을 가지며, HLB 값이 낮을수록 계면활성제는 기름과 같은 유지성 성질을 가집니다. 따라서, 가용화 작용이 큰 계면활성제를 선택할 때는 HLB 값이 높은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15~18의 범위는 HLB 값이 높아서 수분을 많이 끌어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용화 작용이 큰 계면활성제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카바메이트(Cabamate)계 살충제는?

  1. 트리클로르폰
  2. 카보퓨란
  3. 수미치온
  4. 파단
(정답률: 74%)
  • 카바메이트 계 살충제는 카보퓨란입니다. 이는 카바메이트와 퓨란계 화합물의 결합체로, 곤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현수성(Suspensibility)의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농약을 물에 가했을 경우에 유입자가 균일하게 분산하여 유탁액을 만드는 성질이다.
  2. 농약을 물에 다했을 때 균일하게 분산, 부유하는 성질과 그 안전성을 나타낸다.
  3. 농약을 물에 가했을 때 물과 약제와의 친화도를 나타낸다.
  4. 농약을 물에 가하여 작물에 뿌렸을 때 잘 부착되는 성질을 말한다.
(정답률: 61%)
  • 농약의 현수성은 농약을 물에 다했을 때 균일하게 분산, 부유하는 성질과 그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농약이 물과 잘 혼합되어 유탁액을 만들 수 있으며, 농약이 물에 떠다니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약의 현수성은 농약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제초제의 작용기구에 따른 분류에서 광합성 저해계통은?

  1. 요소계
  2. 유기인계
  3. 페녹시계
  4. 페놀계
(정답률: 48%)
  • 광합성 저해제는 광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소피리트, 디클로로피리딘 등의 화합물로, 이들은 광에 의해 분해되어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이 활성산소가 광합성에 필요한 염기, 단백질, 염화물 등을 파괴하여 광합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기구는 광합성의 요소인 염기, 단백질 등을 파괴하는 것이므로 "요소계"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키는 방제방법은?

  1. 생태적 방제법
  2. 물리적 방제법
  3. 생물적 방제법
  4. 화학적 방제법
(정답률: 83%)
  • 생물적 방제법은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화학적 방제법과 달리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인체 건강에도 안전합니다. 또한, 생물적 방제법은 잡초에 대한 저항성을 줄이는 효과도 있어 장기적인 방제 효과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저항성 잡초의 출현에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1. 동일계 제초제의 연용
  2. 무경운 재배법
  3. 연작
  4. 합제 형태의 제초제 사용
(정답률: 84%)
  • 동일계 제초제의 연용은 항상 같은 화학성분으로만 잡초를 제거하기 때문에, 잡초가 이 화학성분에 저항성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이는 잡초가 계속해서 동일계 제초제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며, 이러한 저항성 잡초는 더 이상 동일계 제초제로 제거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저항성 잡초의 출현은 농작물 생산에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논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 원인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춘ㆍ추경을 많이 하기 때문
  2. 동일한 제초제의 연속적인 사용 때문
  3. 담수조건하에서 재배하기 때문
  4. 기계이앙이 증가되었기 때문
(정답률: 84%)
  • 동일한 제초제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진 논잡초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논잡초가 번식하여 군락을 이루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종내경합(Intra-specific competiton)이란?

  1. 서로 다른 잡초 초종간 경합
  2. 작물과 잡초간 경합
  3. 동일 종내의 잡초간 경합
  4. 여러 작물과 한 잡초간 경합
(정답률: 83%)
  • 종내경합은 같은 종의 개체들이 서로 경쟁하여 자원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동일 종내의 잡초간 경합"이 정답입니다. 이는 같은 종의 잡초들이 서로 경쟁하여 더 많은 영양분, 물, 태양 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우리나라 논에 발생하는 올방개의 출아가 늦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지하경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2. 지하경 형성 부위가 깊고 출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3. 지하경의 종자가 휴면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4. 지하경의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정답률: 72%)
  • 논에 발생하는 올방개의 출아가 늦은 이유는 지하경 형성 부위가 깊고 출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잡초방제 방법 중 생태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1. 작부체계
  2. 답전윤환재배
  3. 논 오리방사
  4. 경합능력이 큰 품종 선택
(정답률: 72%)
  • 생태적 방제법은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생태계를 보호하면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따라서 "논 오리방사"는 생태적 방제법이 아닙니다. 논 오리방사는 오리를 이용하여 논에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생태계를 보호하거나 유지하는 것보다는 논의 경작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논 오리방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잡초들 중에서 논에서 발생하는 방사니과(사초과) 잡초들만으로 나열된 것은?

  1. 알방동사니, 올방개, 물고랭이, 등애풀, 가래
  2. 물옥잠, 물고랭이, 벗풀, 여뀌, 쇠털골
  3. 쇠털골, 올방개, 물참새피, 마디꽃
  4. 매자기, 바람하늘지기, 너도방동사니, 쇠털골, 올챙이고랭이
(정답률: 57%)
  • 방사니과(사초과)는 논에서 발생하는 잡초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방사니과(사초과)에 속하는 잡초들인 "매자기, 바람하늘지기, 너도방동사니, 쇠털골, 올챙이고랭이"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에는 방사니과(사초과)에 속하지 않는 잡초들도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잡초 학명을 잘못 연결한 것은?

  1. 알방동사니 - Cyperus difformis L.
  2. 너도방동사니 - Cyperus serotinus Rottb.
  3. 올방개 - Eleocharis kuroguwai Ohwi
  4. 강피 - Monochoria vaginalis P.
(정답률: 46%)
  • 정답은 "올방개 - Eleocharis kuroguwai Ohwi"이다.

    올방개는 학명이 Eleocharis kuroguwai Ohwi가 아니라 Eleocharis acicularis (L.) Roem. & Schult.이다.

    강피는 Monochoria vaginalis P.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쌍자엽 잡초의 특징은?

  1. 뿌리는 섬유근계의 관근이다.
  2. 잎은 대개 평행맥이다.
  3. 생장점이 줄기 하단의 절간 부위에 있다.
  4. 배유대신에 2개의 자엽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60%)
  • 쌍자엽 잡초는 하나의 잎이 아닌 두 개의 자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유대신에 2개의 자엽으로 되어 있다." 라는 답이 나옵니다. 다른 보기들은 쌍자엽 잡초의 특징이지만, 이 문제에서 묻는 것은 쌍자엽 잡초의 특징 중에서 "배유대신에 2개의 자엽으로 되어 있다." 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작물 파종 후 잡초경합한계기간이 가장 긴 작물은?

  1. 양파
  2. 옥수수
  3. 녹두
(정답률: 55%)
  • 양파는 파종 후 잡초경합한계기간이 가장 긴 작물입니다. 이는 양파가 뿌리를 깊게 내리기 때문에 잡초와 경쟁하는 뿌리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파는 잡초와 경쟁하면서도 빠른 성장을 하기 때문에 잡초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잡초발생에 대한 옳은 설명은?

  1. 간척답이 보통답보다 잡초발생이 많다.
  2. 일모작답이 이모작답보다 잡초발생이 많다.
  3. 월동 맥류포장에서 피와 바랭이가 우점잡초이다.
  4. 여름 밭작물에서 둑새풀과 별꽃이 우점잡초이다.
(정답률: 52%)
  • 일모작답이 이모작답보다 잡초발생이 많은 이유는, 일모작답은 작물을 일차적으로 재배하는 방식으로, 작물이 자라는 동안 토양이 노출되어 있어서 잡초가 자라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이모작답은 작물과 잡초를 함께 재배하는 방식으로, 작물이 자라는 동안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작물이 잡초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잡초발생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영양번식을 주로 하는 잡초로 나열된 것은?

  1. 메꽃, 올방개, 알방동사니, 가래
  2. 바랭이, 쇠비름, 참방동사니, 깨풀, 돌피
  3. 올미, 가래, 메꽃, 올방개
  4. 바랭이, 쇠비름, 참방동사니, 깨풀, 명아주
(정답률: 62%)
  • 영양번식을 주로 하는 잡초는 토양의 영양분을 흡수하여 빠르게 번식하는 잡초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올미, 가래, 메꽃, 올방개"는 특히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며, 빠르게 번식하는 잡초들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경작지를 침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잡초가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요인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토양심도
  2. 토양수분
  3. 토양온도
  4. 토양구조
(정답률: 57%)
  • 잡초가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은 토양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토양구조는 토양 내부의 입체적인 구조를 의미하며, 이 구조가 잡초의 발아와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토양구조가 잘 형성되어 있으면 뿌리가 깊게 침투하여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공기와 수분의 이동이 원활해져서 잡초의 성장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토양구조는 잡초의 발아와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우리나라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물달개비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어떤 계통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는가?

  1. 페녹시계
  2. 설포닐우레아계
  3. 트리아진계
  4. 벤조산계
(정답률: 58%)
  • 물달개비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이는 농작물에 대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사용이 많아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이들 잡초는 이전에 사용되던 다른 제초제 계통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했지만,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따라서, 물달개비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대표적인 잡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잡초경합한계기간 이란?

  1.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에 가장 유리한 시기
  2.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3.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에 영향이 적은 시기
  4.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에서 피해가 적은 시기
(정답률: 74%)
  • 잡초경합한계기간은 작물이 자라는 초기 단계에서 가장 민감한 시기이기 때문에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잡초와의 경쟁에서 밀려 작물이 성장하지 못하면 생산량이 감소하거나 작물이 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적극적인 잡초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벼와 피의 형태적 차이점은?

  1. 피에는 잎귀만 있고 벼에는 잎혀만 있다.
  2. 벼에는 잎귀와 잎혀가 있으나 피에는 없다.
  3. 피에는 잎귀와 잎혀가 있으나 벼에는 없다.
  4. 벼에는 잎귀는 있으나 잎혀가 없다.
(정답률: 79%)
  • 벼는 잎귀와 잎혀가 모두 있지만, 피는 잎귀는 있지만 잎혀가 없습니다. 따라서 "벼에는 잎귀와 잎혀가 있으나 피에는 없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잡초 중 가을에 발생하여 월동 후에 결실하는 대표적인 동계잡초는?

  1. 별꽃, 둑새풀, 벼룩나물
  2. 쑥, 명아주, 비름
  3. 깻풀, 강아지풀, 민들레
  4. 애기메꽃, 바랭이, 별꽃
(정답률: 66%)
  • 정답은 "둑새풀"입니다.

    별꽃은 봄에 피는 꽃이고, 벼룩나물은 여름에 자라는 잡초입니다.

    쑥, 명아주, 비름은 모두 봄에 자라는 잡초입니다.

    깻풀, 강아지풀, 민들레는 여름에 자라는 잡초입니다.

    애기메꽃은 봄에 피는 꽃이고, 바랭이는 여름에 자라는 잡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농민이 제초제를 2m의 분무폭을 가진 분무기로 50m 거리를 살포하였을 때 15ℓ의 물을 분무하였다면, 10a의 밭에 필요한 분무량은?

  1. 100ℓ
  2. 150ℓ
  3. 200ℓ
  4. 250ℓ
(정답률: 64%)
  • 50m 거리를 살포하면서 15ℓ의 물을 분무했으므로, 1m 거리당 15/50 = 0.3ℓ의 물을 분무한 것이다. 따라서 1a의 밭에 필요한 분무량은 2m x 100m = 200m² 이므로, 200m² x 0.3ℓ/m² = 60ℓ이다. 따라서 10a의 밭에 필요한 분무량은 60ℓ x 10a = 600ℓ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ℓ"이 아니라 "600ℓ"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같은 분류기준에 의한 제초제의 분류로 옳은 것은?

  1. 발아전 처리제 - 유기처리제
  2. 토양처리제 - 접촉형 처리제
  3. 무기제초제 - 이행형 제초제
  4. 토양 처리제 - 경엽 처리제
(정답률: 57%)
  • 같은 분류기준에 의한 제초제의 분류는 화학적 성질에 따른 분류입니다. 따라서 "토양 처리제 - 경엽 처리제"가 옳은 것입니다. 토양 처리제는 토양에 적용되어 잔류성이 강하고, 경엽 처리제는 잔류성이 약하며, 잎에 직접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