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자낭균류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2. 1840년대 경 유럽의 아일랜드 지역의 감자에 대 발생한 병은?
3. 노균병균이 형성하는 포자의 종류는?
4. 사과나무 역병의 전염경로, 방제법?
5. 다음 중 뽕나무 오갈병의 발생 원인은?
6. 수직 저항성의 뜻과 상반되는 것은?
7. 식물바이러스병의 생물학적 진단법이 아닌 것은?
8. 식물 바이러스병 진단법 중 지표식물을 이용하는 진단 방법?
9. 토마토 시들음병과 풋마름병을 간이진단법으로 구별하고자 한다. 이 때의 단서가 되는 점은 다음의 어느 것인가?
10. 수목에 발생하는 병해의 방제에 있어서 주요한 4가지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1. 병든 보리, 밀을 먹는 사람과 돼지 등에 심한 중독을 일으키는 병해는?
12. 병징은 나타나지 않지만 기주식물의 조직 속에 가진 식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3. 벼 도열병 방제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4. 병원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5. 균류의 무성포자가 아닌 것은?
16. 진균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7. 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18. 호밀의 맥각병에서 이삭에 생기는 자혹색 바나나 모양의 맥각 덩이는 병원균의 무엇인가?
19. 시든 줄기를 칼로 잘라 깨끗한 물에 담갔을 때 절편에서 흘러나오는 희뿌연 물질을 보고 진단할 수 있는 병은?
20. 벼 잎집무늬마름병과 관련성이 없는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다음 중 성충이 과일에 상처를 내서 해를 미치는 것은?
22. 곤충의 지방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윤작에 의한 해충방제의 성공과 관련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24. 곤충의 진화과정을 설명한 것중 틀린 것은?
25. 외배엽에서 생성된 기관은?
26. 곤충의 호르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닌 것은?
28. 진달래방패벌레는 어떤 충태로 월동하는가?
29.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0. 벼물바구미가 벼를 가해하는데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충태는?
31. 교미구와 산란구가 별개로 발달된 곤충류는?
32. 메뚜기목 곤충의 머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 양어장 부근에서 미국흰불나방 방제에 사용되는 어독성이 매우 낮은 농약은?
34. 곤충의 골격 근육 섬유를 수축시키는데 관여하는 직접적인 자극 요인은?
35. 생물의 분류학상 기본단위는 종(種)이다. 종의 이름을 명확히 밝히는 일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36. 애멸구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다음 중 해충의 발생 예찰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38. 다음 중 벼물바구미의 설명 중 옳은 것은?
39. 다음 중 해충과 천적의 연결이 맞지 않는 것은?
40. 다음 중 침입해충이 아닌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작물 품종 분류에 이용되는 분자 표지 마커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42. 다음 중 장일식물의 화성(化成)을 촉진하는 효과가 가장 큰 물질은?
43. 파종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4. 작물의 냉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5. 작물의 기지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6. 중남부 평지에서 초지를 조성할 때 하고(夏藁)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것은?
47. 잡종강세 육종법에 있어서 잡종강세 현상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교잡법은?
48. 종자퇴화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9. 다음 중 엽록소를 구성하는 원소로만 짝지어진 것은?
50. 알팔파의 초지를 만들 때 보리종자를 섞어서 뿌리는 경우에 작부 체계상 보리를 자칭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
51. 변온이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52. 광과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3. 벼의 생육 중 감수분열기에 갑작스러운 저온이 닥쳐 냉해가 우려되고 있다. 다음 중 가장 합리적인 응급 대책은?
54. 다음 작물 중 경실 종자인 것은?
55. 토양산성화 원인 중 unsaturated colloid 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56. 다음 작물 중 요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57. 우리나라에서 벼의 생육기간 중 소모도장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시기는?
58. 홍미(紅美)는 어느 작물의 품종인가?
59. 토양미생물이 작물생육에 미치는 유리한 활동이 아닌 것은?
60. 다음 중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로만 묶여진 것은?
4과목: 농약학
61. 농약의 자체검사 및 신청검사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2. 농약관리법에서 농약의 방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동물은?
63. 다음 농약 중 감귤의 응애방제 전용약제는?
64. 피레트린에 쓰이는 협력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65.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6. 새로운 농약 성분이 유효 성분으로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이를 실제로 영농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형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제형하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7. Pyrethrin 성분을 함유하는 천연살충용 식물은?
68. 해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현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9. 농약의 인축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등록시험방법은?
70. 농약 원료로 사용되는 가성소다의 경우 NaOH 20% 비중 : 1.222 이고, NaOH 30% 비중 : 1.333 이다. 사용상 22% NaOH 의 경우 비중은?
71. 다음 중 fumigant는?
72. 다음 중 이행형 제초제가 아닌 것은?
73. 다음 중 입제의 제조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제법은?
74. 유기인제 계통의 약제를 강알칼리성 약제와 혼용을 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75. 농약의 안전사용수칙 등을 잘 지키지 않아 농약중독 사태가 지상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농약사용자의 준수사항으로 틀린것은?
76. 다음 중 보조제(Supplemental agent)가 아닌 것은?
77. 삽목 시 발근촉진을 위해 사용하는 식물호르몬제는?
78. 우리나라의 농약의 독성구분 중 맞지 않는 것은?
79. 사과나 뽕나무의 잎말이나방의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유기인계 약제는?
80. 60Kg 쌀에 살충제 EPN 50% 유제를 8ppm 이 되도록 처리하려고 할 때의 소요 약량은 얼마인가?(단, 약제의 비중은 1.07 이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다음 벼 재배법 중 잡초의 피해가 가장 큰 것은?
82. 강피와 물피의 형태적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83. 다음 중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지 않는 잡초는?
84. 경종적 잡초방제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85. 물리적 잡초방제법 중 피복은 작물-잡초 간 경합시 어느 요소를 주 대상으로 하는가?
86. 벼와 피간에 propanil 제초제의 선택성을 맞게 설명한 것은?
87. 다음 중 논에서 벼와 경합하는 사초과 잡초들로만 나열된 것은?
88. 식물체네 흡수된 제초제 성분이 죽은 조직을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89. 산아미드계 제초제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90. 잡초의 여러 기관에서 작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함으로서 피해를 일으키는 작용은?
91. 잡초 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2. 잡초방제가 어려운 잡초를 문제잡초라 부르는데 문제잡초의 특징이 아닌 것은?
93. 휘발성에 의한 제초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제초제의 처리법은?
94. 제초제는 식물에 대한 작용 특성에 있어 체내로 흡수 또는 축적됨으로서 생육을 억제 또는 고사시키는 제초제를 무엇이라 하는가?
95. 1%의 2,4-D의 농도를 ppm으로 환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96. 작물에는 유리하고 잡초에는 불리하도록 인위적으로 환경을 조성해주는 환경 제어법은?
97. 물리적 잡초방제법에 있어 예취를 정기적으로 반복하므로 잡초군락의 형태가 변화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98. 토양에서 제초제의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persistence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은?
99. 전(全面)처리, 대상(帶狀)처리, 점(點)처리 방법이 속하는 잡초방제 방법은?
100. 식물체에 대한 제초제의 흡수, 이행, 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