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과수 탄저병이나 사과 부란병 등은 병든 가지나 줄기에서 월동한 병원체가 다음해 전염원이 되는데, 이들 전염원을 제거하는 방제법은?
2. 유사균류(Fungal-like Organisms)에 해당하는 것은?
3.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4. 병든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주입하면 병징이 감소하며, 때때로 바이러스 입자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는 항바이러스성 물질로 알려진 것은?
5. 수목병의 전반에 관여하는 매개충인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반되지 않는 병명은?
6. 표징(sign)은 관찰되지만, 배양이 어려운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만 나열된 것은?
7. 식물바이러스의 분류 기준이 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8. 아일랜다에 큰 기근으로 인하여 100만명을 굶어 죽게 하였던 식물병은?
9. 보리에 발생하는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것은?
10. 벼 도열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체가 이층(abscission)을 형성함으로써 감염부위를 건전부위와 격리시키는 병은?
12.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병원(病原)은?
13. Ralstonia solanacerum 에 대한 대표적 병징은?
14. 채소류에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 mycotoxin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6. 사과나무에 발생하는 병 중 병든 부위로부터 알코올 냄새가 나는 특징으로 진단이 가능한 병은?
17. 소나무 혹병이나 잣나무 털녹병의 수포자 형성을 억제하여 생물방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기생균은?
18. 병원체가 기주에 접촉하여 실제 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을 설명하는 용어는?
19. 채소류의 무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 식물병원균인 Fusarium 이 생산하는 진균독소가 아닌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체색 중 흑색이나 갈색으로 표피 내, 진피세포 내 또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색소화합물은?
22. 가장 기본적인 발생예찰 방법은?
23. 벼의 해충 중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외에도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해충은?
24. 곤충의 외부 기관 중 가슴(흉부)의 부속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 1세대를 경과하는데 가장 긴 시간을 필요료 하는 곤충은?
26. 한여름 휴한기에 비닐하우스를 밀폐하면 토중 온도가 높아져서 땅속의 해충을 죽이는 방제법은?
27. 귀뚜라미의 청각기관이 위치하는 곳은?
28. 곤충의 성페로몬의 특징이 아닌 것은?
29. 곤충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30. 쥐똥밀깍지벌레의 암컷 성충의 형태는?
31. 해충 방제방법 중 생물적 방제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32. 참나무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33. 기주와 해충간의 연결로 틀린 것은?
34. 잠자리 유충의 호흡방식은?
35. 다음은 무엇을 설명하는 것인가?
36. 담배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고 매년 외국에서 날아와 피해를 추는 해충은?
38. 기생성 천적곤충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곤충목은?
39. 곤충의 휴면에 대해 설명으로 틀린 것은?
40. 약충과 성충이 벼포기의 하단부를 흡즙하여 벼에 피해를 주는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벼가 담수재배에 적응하고 침수 저항성이 큰 이유는?
42. 우리나라 논토양의 적정 유기물 함량(g/kg)은?
43. 탈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시비법은?
44. 완전히 자가수정을 하는 동형접합체의 1개체로부터 불어난 자손의 총칭은?
45. 동사온도(凍死溫度)가 가장 낮은 것은?
46. 비닐하우스에서는 흔히 고온장해가 유발되는데 내열성이 가장 큰 식물체 부위는?
47. 옥신 중에서 식물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것은?
48. 화곡류 작물에 흡수되어 표피조직을 강하게 하여 병충해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은?
49. 다음 중 광포화점이 가장 낮은 작물은?
50. 동상해 응급대책으로 물이 얼 때 잠열(숨은열)이 발생되는 점을 이용하여 작물체 표면에 물을 뿌려 주는 방법은?
51. 토양이나 수질 오염을 통하여 인체에 중금속 중독을 초래하기 쉬운 것은?
52. 답압(踏壓)의 효과가 아닌 것은?
53. 윤작(輪作)의 원리로 틀린 것은?
54. 식물의 거대형(giant form)은 어떤 경우에 생기는가?
55. 단명종자인 작물은?
56. 벼의 수해(水害)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밭에서의 가뭄 대책이 아닌 것은?
58. 작물이나 과수에서 순지르기의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9. 다음 논의 용수량(Q) 계산수식에서 A에 해당되는 것은?
60. 토양의 pH가 낮아질 때 가급도가 가장 감소되기 쉬운 영양분은?
4과목: 농약학
61. 다음 제제 중 농약의 살포 시 비산(飛散)이 가장 적은 것은?
62. 수화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3. 다음 중 친수기(親水基)가 아닌 것은?
64. 황산아트로핀은 어느 농약에 중독 치료에 사용하는가?
65. 기계유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살충제를 작용기구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다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7. 다음 중 잔류독성의 문제를 일으킬 위험요인이 가장 큰 계통의 농약은?
68. 농약은 종류별로 병뚜껑의 색깔을 달리하여 농민이 농약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살균제의 병뚜껑은 다음 중 어떤 색깔인가?
69. 살충제 파라티온(Parathion)의 성상 및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70. 농약사용법에 의한 약해가 아닌 것은?
71. 45% 유제를 600배로 희석하여 10a 당 120L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려고 할 때 유제의 소요량은?
72. 50%의 페노뷰카브 유제(비중:1) 100mL를 0.05% 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몇 L 인가?
73. 다음 중 과수의 탄저병에 적용하는 약제는?
74. 다음 중 농약의 증량제로 보기 어려운 것은?
75. MAFA제(Neoasozin)은 어느 계통의 농약에 속하는가?
76. 농약의 독성 표시로 사용되는 LD50의 단위는?
77.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78. 침투성 살충제의 작용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79. 파라티온은 인체의 조직과 혈액 중의 콜린에스테라제와 결합해서 어느 것이 축적되어 중독 증상을 일으키는가?
80. 다음 농약의 약해증상 중 만성적 약해에 해당하는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
82. 종자 자체의 조성이나 구조에 기인하여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의 휴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83. 잡초의 이용면을 잘못 연결한 것은?
84. 화학적 잡초 방제법의 장점은?
85. 주성분 함량이 2.5%인 입제를 주성분 1kg/ha 수준으로 1ha에 처리할 경우 필요한 제품량은?
86. 논에 발생하는 다년생 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87. 영양번식 기관에 의하여 주로 번식하는 잡초의 종류로 나열된 것은?
88. 다음 다년생 논잡초 중 영양번식 기관의 발생분포 심도가 표토로부터 가장 깊은 종은?
89. 열처리나 침수처리 등의 잡초방제방법은 무슨 방제법이라고 하는가?
90. 종자에 낙하산모양의 깃털이나 솜털이 부착되어 있어서 바람에 의하여 전파가 되는 잡초로 나열된 것은?
91. 잡초군락을 평가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92. 잡초 분류방법 중 식물분류학적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93. 광엽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4. 영양번식 기관과 이에 해당하느 잡초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95. 생물적 잡초방제법의 장점은?
96. 작물과 잡초 양분 경합에 있어서 경합이 가장 큰 것은?
97. 다음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98. 암(暗) 발아성 종자인 잡초는?
99. 동계1년생(월년생) 잡초의 주 발아시기는?
100. 잡초의 특성 연결이 틀린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