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보리 겉깜부기병 방제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3. 형광항체법을 이용하는 식물병 진단방법은?
4. 우리나라에서 참나무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곤충은?
5. 아밀라리아(Armillaria) 뿌리썩음병균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6. 토마토에 발생하는 병해 중 비기생성 병해는?
7. 배추 노균병균이 만드는 유성포자는?
8. 식물바이러스의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9. 식물병의 표징에 해당하는 것은?
10. 다음 설명하는 병은?
11. 식물병 중 표징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는?
12. 코흐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3. 코흐의 원칙으로 식물병원체임을 증명할 수 있는 병해는?
14. 벼 흰잎마름병의 발생과 전파에 가장 좋은 환경조건은?
15. 이병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해로운 병은?
16. 중합효소연쇄반응(PCR)법은 무엇을 증폭시키는 것인가?
17.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race)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판별품종이 아닌 것은?
18. 무가온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병해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병은?
19.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진단과 관련있는 용어는?
20. 동물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지만 식물체 내에서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는?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 목으로 주로 유익한 곤충(천적)들이 속해 있는 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2. 종내 개체간 통신용 소리의 목적이 아닌 것은?
23. 곤충학은 다른 학문의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초파리는 어느 학문의 발전에 특히 크게 기여 하였는가?
24. 키틴(Chitin)을 구성하는 주 단위체는?
25.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26. 벼물바구미의 월동태는?
27. 일반적으로 곤충이 가장 강한 주광성을 나타내는 파장 범위는?
28. 근육 부착을 위한 머리내 골격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29. 곤충이 갖는 살충제 저항성 기작의 원인이 아닌 것은?
30.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31. 곤충의 체벽(외골격)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바깥쪽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것은?
32. 최근 우리나라 소나무류에 피해를 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으로 나열된것은?
33.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이 아닌 것은?
34. 성충과 약충이 가해하며 벼의 오갈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35. 등에는 어느 목에 속하는 곤충인가?
36. 온난화로 인하여 일부 월동하는 사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비래 하지만 월동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류되는 해충으로 나열된 것은?
37. 1년에 1회 발생하는 해충은?
38. 파리의 날개는 몸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가?
39. 소나무의 중요 해충의 하나인 소나무좀의 학명은?
40. 가해 양식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해충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작물의 내동성을 증대시키는 생리적 요인으로 틀린 것은?
42. 단일성 식물에 해당하는 것은?
43. 작물의 내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4. 용도에 따른 작물의 분류법에서 식용작물, 공예작물, 사료작물에 모두 속하는 화본과 작물은?
45. 질산암모늄(NH4NO3)의 질소유효성분은? (원자량 N=14, H=1, O=16)
46. 공기중 습도가 높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겠는가?
47. 다음 중 적산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48. 다음 중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은?
49. 광량이 적고 산소분압이 높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C3식물의 생리작용은?
50.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 수분은?
51.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2. 침관수해에 가장 크게 피해를 받기 쉬운 조건은?
53. 발아에 광선이 필요하지 않는 작물은?
54. 열해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5. 생리적 염기성 비료는?
56. 기계이앙 벼 재배용 상자육묘에서 상토의 최적 pH는?
57. 지온상승에 효과가 있는 멀칭필름은?
58.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작물의 생태적 분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60. 우리나라 주요 작물의 식량자급률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된 것은? (단, 사료용을 포함)
4과목: 농약학
61. 10% 엠아이피씨 분제 1.0kg을 2.0% 분제로 만들려고 할 때 필요한 증량제의 양은 몇 kg인가?
62. 분제의 물리적인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3. 제초제, 생장조정제, 살충제, 살균제 등으로 분류하는 농약의 기준은?
64. 이프로벤포스 유제 48% 100mL 를 0.5% 의 희석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몇 mL 인가? (단, 이프로벤포스 유제의 비중은 1.005 이다.)
65. 농약의 물리성을 타나내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발암성이 문제가 되어 국내에서 등록이 취소된 약제는?
67. 주성분에 의한 농약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8. 다음 농약 중 살비제가 아닌 것은?
69. 농약 원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0.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1. 농약의 독성으로부터 인축 및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급성독성의 수치는 반수 치사량(LD50)으로 나타내며 ppm으로 표시하기도 하는데, 다음 중 ppm과 같은 의미는?
72. 유제를 1500배로 희석하여 액량 15L로 살포하려 한다. 이 때 원액약량은 몇 mL가 필요한가?
73. 다음 급성독성 중 그 강도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74.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 카바메이트계 농약을 잘못 사용하여 중독되었을 때 사용해야하는 해독제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6. 다음 중 살선충제 농약은?
77. 조제 직후 보르도액의 구리의 용해도가 0에 가까울 때의 pH는?
78. 농약의 종류별로 포장지의 색깔을 달리하여 농민이 농약을 쉽게 식별하도록 구분하고 있는데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79. 농약의 제형 중 유제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80. 농약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어 약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외국에서 유입되는 잡초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출입 과정에서 검역하듯이 검사하는 잡초 방제법은?
82. 벼와 잡초의 경합에서 가장 불리한 재배법은?
83.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4. 작물의 경합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5. 잡초군락의 천이에 미치는 요인으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86. 토양수분 적응성에 따른 잡초분류로 옳은 것은?
87. 20%의 유효성분을 가진 butachlor 입제를 1ha당 1,000(a.i.)g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량은?
88. 잡초의 해가 아닌 것은?
89. 잡초 종자의 특징에 대한 연결로 틀린 것은?
90. 방동사니과(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91.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92. 식물의 종내 경합이란?
93.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에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나열된 것은?
94. 다음 잡초방제법의 발달 순서로 옳은 것은?
95. 전체 생육기간이 100일인 작물에서 이론적으로 작물이 잡초 경합예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시기는?
96. 겨울 작물포장에 발생하는 잡초종으로 나열된 것은?
97. 암조건에서 발아하는 잡초 초종으로 나열된 것은?
98. 1%의 2,4-D 농도는 몇 ppm이 되는가?
99. 생물적 잡초방제에 이용될 수 있는 천적이 갖추어야 할 전제조건으로 틀린 것은?
100. 광합성에 있어서 C4식물이 C3식물에 비하여 유리한 환경조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