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식물보호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보리 겉깜부기병 방제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 사용
  2. 종자를 냉수온탕침법으로 처리
  3. 종자를 침투성 종자소독제로 소독
  4. 보리 이삭이 필 무렵 석회 황합제 살포
(정답률: 72%)
  • "보리 이삭이 필 무렵 석회 황합제 살포"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방법들은 모두 종자를 처리하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이미 식물이 자라고 있는 상황에서 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은 종자를 예방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고, 이 방법은 이미 병이 발생한 경우에 대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저항성 품종 재배
  2. 애멸구 제거
  3. 살균제 살포
  4. 논두렁 잡초 제거
(정답률: 76%)
  • 살균제 살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원인균인 Xanthomonas oryzae가 살균제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항성 품종 재배, 애멸구 제거, 논두렁 잡초 제거 등 다른 방법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형광항체법을 이용하는 식물병 진단방법은?

  1. 핵산분석에 의한 진단
  2. 이화학적 진단
  3. 혈청학전 진단
  4. 생물학적 진단
(정답률: 86%)
  • 형광항체법은 식물병원균의 존재와 분포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항체와 형광염료를 이용하여 식물체 내에 존재하는 병원균을 특이적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 중 혈청학전 진단은 항체와 형광염료를 이용하여 병원균의 존재를 감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병원균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형광염료와 결합시켜 병원균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혈청학전 진단은 형광항체법을 이용한 식물병 진단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리나라에서 참나무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곤충은?

  1. 북방수염하늘소
  2. 솔수염하늘소
  3. 광릉긴나무좀
  4. 장수풍뎅이
(정답률: 86%)
  • 참나무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매개하는 곤충은 광릉긴나무좀입니다. 이 곤충은 참나무의 잎을 먹고, 그 과정에서 병원균을 전파합니다. 이로 인해 참나무는 시들음병에 걸리게 되고, 결국 죽어버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밀라리아(Armillaria) 뿌리썩음병균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1. 균핵
  2. 자실체(버섯)
  3. 근상균사속(뿌리모양의 균사다발)
  4. 부채꼴 모양의 흰색 균사매트
(정답률: 49%)
  • 균핵은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균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가 아닙니다. 균핵은 균사 내부에 있는 핵으로, 생물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균핵은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균에 의한 증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균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토마토에 발생하는 병해 중 비기생성 병해는?

  1. 겹둥근무늬병
  2. 궤양병
  3. 잿빛곰팡이병
  4. 배꼽썩음병
(정답률: 68%)
  • 배꼽썩음병은 토마토의 열매에 발생하는 질병으로, 열매의 하단 부분이 부패하고 검은색으로 변색되며 악취가 발생합니다. 이 병은 비기생성 병해로, 토양이나 식물체에 존재하는 병원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토양 소독이나 적정한 배수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배추 노균병균이 만드는 유성포자는?

  1. 자낭포자
  2. 담자포자
  3. 난포자
  4. 접합포자
(정답률: 63%)
  • 배추 노균병균은 난포자를 만듭니다. 이는 성체 내에서 생산되는 포자로, 배양매체나 감염된 식물의 조직 내에서 발생합니다. 이 포자는 바람이나 물 등을 통해 전파되며, 새로운 식물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식물바이러스의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식물바이러스는 감자한천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다.
  2. 핵산 단독으로도 감염 및 증식이 가능한 식물바이러스가 있다.
  3. 식물바이러스의 전염은 매개충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4. 식물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정답률: 72%)
  • 식물바이러스 중 일부는 핵산 단독으로도 감염 및 증식이 가능하다는 것은, 즉 바이러스가 식물 세포 내부에 침투하여 그곳에서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고 증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부 식물바이러스가 유전자 정보를 담은 RNA 또는 DNA 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물병의 표징에 해당하는 것은?

  1. 감자 바이러스의 모자이크 증상
  2. 벼 도열병의 전형적인 마름모 증상
  3. 감귤 궤양병의 과일에 나타난 궤양
  4. 사과나무 부란병의 분생자각
(정답률: 69%)
  • 식물병의 표징은 해당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징후나 증상을 말합니다. 사과나무 부란병의 분생자각은 사과나무의 잎이나 가지에 나타나는 작은 검은색 반점으로, 이는 병원균의 분생자가 생산하는 것입니다. 이 반점은 사과나무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사과의 생산량과 품질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이것은 사과나무 부란병의 표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하는 병은?

  1. 노균병
  2. 덩굴마름병
  3. 잿빛곰팡이병
  4. 흰가루병
(정답률: 74%)
  • 이 병은 노균병입니다. 그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잎이 검게 변색되고, 가지와 줄기에도 검은 반점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는 노균균사라는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며, 잎과 줄기를 부식시켜 식물이 죽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물병 중 표징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는?

  1. 사철나무 그을음병
  2. 포도나무 잿빛곰팡이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사과나무 탄저병
(정답률: 84%)
  • 대부분의 식물병은 특정한 표징이 나타나기 때문에 관찰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초기에는 표징이 나타나지 않아서 관찰이 어렵다. 이 병은 나무의 뿌리부터 시작하여 줄기와 가지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나무를 파괴시키는 질병으로, 나무가 죽기 전까지는 표징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병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예방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코흐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의 원인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칙이다.
  2. 4단계의 규칙으로 구성되었다.
  3. 모든 식물병원체에 적용할 수 있다.
  4. 식물병 뿐만 아니라, 동물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정답률: 82%)
  • "모든 식물병원체에 적용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코흐의 원칙은 식물병원체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동물병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코흐의 원칙으로 식물병원체임을 증명할 수 있는 병해는?

  1. 고추 탄저병
  2. 감자 바이러스병
  3. 딸기 흰가루병
  4. 오이 노균병
(정답률: 62%)
  • 코흐의 원칙은 병원체를 분리하여 순수한 배양액에서 병원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추 탄저병은 고추에서 분리하여 순수한 배양액에서도 병원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코흐의 원칙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감자 바이러스병, 딸기 흰가루병, 오이 노균병은 코흐의 원칙으로 증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벼 흰잎마름병의 발생과 전파에 가장 좋은 환경조건은?

  1. 규산 과용
  2. 이상 건조
  3. 태풍과 침수
  4. 이상 저온
(정답률: 89%)
  • 벼 흰잎마름병은 물에 잠긴 환경에서 발생하며, 태풍과 침수는 이러한 환경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전파에 가장 좋은 환경조건이 됩니다. 규산 과용은 오히려 병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이상 건조와 이상 저온은 병균의 활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전파에는 좋지 않은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이병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해로운 병은?

  1. 콩 자줏빛무늬병
  2. 보리 붉은곰팡이병
  3. 벼 도열병
  4. 배추 모자이크병
(정답률: 92%)
  • 보리 붉은곰팡이병은 이병된 보리에 생기는 병으로, 이 병을 가진 보리를 먹은 가축은 중독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 병은 붉은곰팡이가 생기면서 발생하며, 붉은곰팡이는 독성이 있어서 가축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병된 보리는 가축에게 먹이로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합효소연쇄반응(PCR)법은 무엇을 증폭시키는 것인가?

  1. 탄수화물
  2. 단백질
  3. DNA
  4. RNA
(정답률: 78%)
  • PCR은 DNA를 증폭시키는 기술입니다. PCR은 DNA의 특정 부분을 복제하여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기술로, DNA의 분석이나 조작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race)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판별품종이 아닌 것은?

  1. 인도계(T) 품종군
  2. 일본계(N) 품종군
  3. 필리핀계(R) 품종군
  4. 중국계(C) 품종군
(정답률: 80%)
  • 필리핀계(R) 품종군은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판별품종이 아닙니다. 이유는 필리핀계(R) 품종군은 벼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개발된 품종군으로,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를 구분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인도계(T), 일본계(N), 중국계(C) 품종군은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판별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무가온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병해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병은?

  1. 균핵병
  2. 노균병
  3. 흰가루병
  4. 역병
(정답률: 54%)
  • 균핵병은 최저 발생 온도가 낮아서 무가온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병해 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병입니다. 이 병은 주로 무, 배추, 양배추 등의 식물에서 발생하며, 균핵균이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킵니다. 이 병은 낮은 온도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무가온 시설재배에서 특히 주의해야 하는 병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진단과 관련있는 용어는?

  1. TEM
  2. RFLP
  3. LEM
  4. PCR
(정답률: 79%)
  • 정답은 "RFLP"입니다. RFLP는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DNA의 특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변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찾거나 범죄 수사 등에 이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TEM은 효소의 명칭, LEM은 산화효소의 명칭, PCR은 DNA 복제 기술의 명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동물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지만 식물체 내에서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는?

  1. Plantibody
  2. Microbody
  3. X-body
  4. Chromobody
(정답률: 77%)
  • "Plantibody"는 식물체 내에서 생성되는 항체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동물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지 않고, 식물체 내에서 직접 생성되기 때문에 "Plantibody"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체와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 목으로 주로 유익한 곤충(천적)들이 속해 있는 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풀잠자리목
  2. 딱정벌레목
  3. 매미목
  4. 벌목
(정답률: 73%)
  • 매미목은 유익한 곤충(천적)들이 속해 있는 목이 아니라, 주로 노래를 내는 곤충들이 속해 있는 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매미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종내 개체간 통신용 소리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교미
  2. 구애
  3. 경보
  4. 자기방어
(정답률: 77%)
  • 종내 개체간 통신용 소리의 목적은 주로 교미, 구애, 경보 등의 행동에 관련된 것이지만, 자기방어는 개체 자신의 안전을 위해 발생하는 소리이므로 종내 개체간 통신용 소리의 목적이 아니다. 자기방어 소리는 주로 위협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며, 다른 개체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곤충학은 다른 학문의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초파리는 어느 학문의 발전에 특히 크게 기여 하였는가?

  1. 화학
  2. 생태학
  3. 유전학
  4. 물리학
(정답률: 86%)
  • 초파리는 유전학 연구에서 모델 생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초파리의 유전체는 인간과 유사하며, 유전자 조작 연구 등 다양한 유전학적 연구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초파리는 유전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키틴(Chitin)을 구성하는 주 단위체는?

  1. Acetylgalactosamine
  2. N-Acetylglucosamine
  3. Galactosamine
  4. Procuticle
(정답률: 66%)
  • 키틴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이라는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키틴의 구성 단위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몸이 머리, 가슴, 배 3 부분으로 되어 있다.
  2.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3. 겹눈과 홑눈이 있다.
  4. 대개 변태를 한다.
(정답률: 89%)
  • 곤충 중 일부는 6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는 곤충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벼물바구미의 월동태는?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67%)
  • 월동태는 벼물바구미의 유충이 겨울을 넘기면서 성장하여 성충으로 성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성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일반적으로 곤충이 가장 강한 주광성을 나타내는 파장 범위는?

  1. 230~300nm
  2. 330~400nm
  3. 430~500nm
  4. 530~650nm
(정답률: 64%)
  • 곤충은 주로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감지하는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330~400nm의 파장 범위는 자외선 B 영역에 해당하며, 곤충이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는 파장 범위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꽃의 광학적인 반사율이 높아서, 꽃의 색깔이 곤충에게 더욱 눈에 띄게 보입니다. 또한, 이 파장 범위에서는 곤충이 먹이를 찾거나 파트너를 찾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근육 부착을 위한 머리내 골격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봉합선(suture)
  2. 합체절(tagma)
  3. 막상골(tentorium)
  4. 두개(cranium)
(정답률: 73%)
  • 근육이 머리에 부착되는 위치는 머리내 골격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이 중에서도 머리 상부에 위치한 근육들은 막상골(tentorium)에 부착된다. 막상골은 뇌와 뒤쪽 두개골(fossa cranii posterior) 사이에 위치한 막으로, 뇌의 무게를 지탱하고 머리내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막상골은 머리내 근육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이 갖는 살충제 저항성 기작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농약으로부터 기피하는 행동
  2. 해독효소 활성 감소
  3. 빠른 배설 생리기작
  4. 표피층 두께 증가
(정답률: 77%)
  • 해독효소 활성 감소는 곤충이 농약을 분해하거나 해독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는 원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곤충이 농약을 피하는 행동이나 빠른 배설 생리기작, 표피층 두께 증가 등 농약에 대한 물리적인 방어 기작과 관련된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오리나무잎벌레
  2. 미국흰불나방
  3. 솔잎혹파리
  4. 박쥐나방
(정답률: 81%)
  •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가 오리나무의 잎을 먹어서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모두 부합하므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의 체벽(외골격)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바깥쪽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것은?

  1. 상큐티클-외큐티클-표피-기저막
  2. 외큐티클-표피-기저막-상큐티클
  3. 상큐티클-외큐티클-기저막-표피
  4. 상큐티클-기저막-표피-외큐티클
(정답률: 70%)
  • 곤충의 체벽 구조는 바깥쪽부터 상큐티클, 외큐티클, 표피, 기저막 순서로 나열됩니다. 이는 상큐티클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그 안에 외큐티클이 있으며, 그 안에 표피가 위치하고, 가장 안쪽에는 기저막이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상큐티클은 보호와 수분 교환을 위한 역할을 하며, 외큐티클은 상큐티클을 보호하고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표피는 실제로 곤충의 몸을 덮고 있으며, 기저막은 내부 조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 올바른 체벽 구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최근 우리나라 소나무류에 피해를 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으로 나열된것은?

  1.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2. 북방수염하늘소, 알락하늘소
  3. 알락하늘소, 털두꺼비하늘소
  4. 솔수염하늘소, 남색하늘소
(정답률: 89%)
  •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은 솔나무를 기생하는 솔나무재선충이며, 이 충충의 매개충으로는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는 이 두 종이 솔나무재선충병의 주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이 아닌 것은?

  1. 통계적 예찰법
  2. 야외조사 및 관찰 예찰법
  3. 시뮬레이션 예찰법
  4. 피해사정 예찰법
(정답률: 73%)
  • 피해사정 예찰법은 이미 발생한 해충 피해를 조사하여 예방 및 대처 방안을 수립하는 방법이므로,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이 아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해충의 발생과정을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성충과 약충이 가해하며 벼의 오갈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등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률: 78%)
  • 끝동매미충은 성충과 약충이 함께 가해하여 벼의 오갈병을 매개하는 해충입니다. 이는 끝동매미충의 암컷이 벼의 줄기에 알을 낳고, 그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줄기 내부를 먹어치우면서 벼의 생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끝동매미충은 벼의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등에는 어느 목에 속하는 곤충인가?

  1. 나비목
  2. 파리목
  3. 매미목
  4. 날도래목
(정답률: 63%)
  • 등에는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이 포함됩니다. 이는 파리목이 다양한 종류의 파리뿐만 아니라 모기, 진드기, 버섯벌레 등 다양한 곤충을 포함하는 대규모 곤충 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온난화로 인하여 일부 월동하는 사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비래 하지만 월동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류되는 해충으로 나열된 것은?

  1. ㉠, ㉡
  2. ㉠, ㉢
  3. ㉠, ㉣
  4. ㉠, ㉢, ㉣
(정답률: 68%)
  • 해당 보기에서 "㉠"는 무당벌레, "㉣"은 쥐며느리로, 이 둘은 일반적으로 월동하지 않는 해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정답은 "㉠, ㉣"입니다. "㉡"은 무당벌레의 한 종류인 노란무당벌레로, 일부 개체는 온난화로 인해 월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는 산딸기나무잎마름병의 원인균인 박테리아가 월동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되었지만, 이는 해충이 아닌 병원균이기 때문에 정답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 ㉣"이 정답이 됩니다. "㉠, ㉢, ㉣"은 "㉢"가 해충이 아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년에 1회 발생하는 해충은?

  1. 벼물바구미
  2. 조명나방
  3. 감자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71%)
  • 벼물바구미는 1년에 한 번 발생하는 해충으로, 한 해 동안 땅속에서 애벌레로 생활하다가 봄에 나와서 나무에 앉아 번식하고 죽는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조명나방, 감자나방, 미국흰불나방과는 달리 연중 내내 발생하지 않고 특정 시기에만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파리의 날개는 몸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가?

  1. 등판
  2. 앞가슴
  3. 가운데가슴
  4. 뒷가슴
(정답률: 75%)
  • 파리의 날개는 가운데가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파리는 세 개의 체 세그먼트로 나뉘며, 각각의 세그먼트에 한 쌍의 다리와 한 쌍의 날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운데가슴에 날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나무의 중요 해충의 하나인 소나무좀의 학명은?

  1. Baris depianata
  2. Agelastica coerulea
  3. Rhynocoris leucospilus
  4. Tomicus piniperda
(정답률: 62%)
  • 소나무좀은 소나무를 해충으로 공격하는 벌레 중 하나이며, 학명은 "Tomicus piniperda"이다. 이는 이 벌레의 분류학적 명칭으로, "Tomicus"는 소나무좀속을 나타내고, "piniperda"는 소나무를 공격하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해 양식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해충은?

  1. 조록나무혹진딧물
  2. 솔껍질깍지벌레
  3. 버즘나무방패벌레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65%)
  • 미국흰불나방은 나머지 셋과 달리 나무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나무 주변에 있는 미세한 입자들을 먹어서 생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작물의 내동성을 증대시키는 생리적 요인으로 틀린 것은?

  1.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크다
  2. 세포의 수분함량이 높아 자유수가 많다.
  3. 원형질의 친수성 콜로이드가 많다.
  4. 당분함량이 많다.
(정답률: 66%)
  • "세포의 수분함량이 높아 자유수가 많다"는 생리적 요인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세포 내부의 자유수는 세포 외부의 물과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세포의 수분함량이 높아도 자유수가 많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생리적 요인으로서 증대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단일성 식물에 해당하는 것은?

  1. 시금치, 보리
  2. 벼, 토마토
  3. 고추, 딸기
  4. 코스모스, 나팔꽃
(정답률: 67%)
  • 코스모스와 나팔꽃은 꽃이 하나씩만 생기는 단일성 식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여러 개의 꽃이 한 번에 생기는 다중성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작물의 내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건성이 큰 작물의 뿌리가 표층에 많이 분포한다.
  2. 내건성이 큰 작물은 왜소하고 잎이 작다.
  3. 내건성이 큰 작물은 세포액의 삼투압이 낮다.
  4. 내건성이 큰 작물은 세포가 크다.
(정답률: 72%)
  • 내건성이 큰 작물은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왜소하고 잎이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도에 따른 작물의 분류법에서 식용작물, 공예작물, 사료작물에 모두 속하는 화본과 작물은?

  1. 감자
  2. 옥수수
(정답률: 79%)
  • 화본은 식용작물, 공예작물, 사료작물에 모두 속하는 작물을 말합니다. 옥수수는 이 세 가지 분류에 모두 속하기 때문에 화본에 해당됩니다. 벼는 주로 식용작물로 사용되며, 콩은 식용작물과 사료작물로 사용됩니다. 감자는 주로 식용작물로 사용되지만, 공예작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질산암모늄(NH4NO3)의 질소유효성분은? (원자량 N=14, H=1, O=16)

  1. 18%
  2. 28%
  3. 35%
  4. 46%
(정답률: 57%)
  • 질산암모늄(NH4NO3)은 질소와 산소를 함유한 화합물입니다. 이 중에서 질소(N)의 원자량은 14이고, 질산암모늄 분자 내에서 질소(N) 원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질산암모늄 분자 내에서 질소(N) 원자의 비율 = (질소(N)의 원자량 × 질산암모늄 분자 내에서 질소(N) 원자의 수) ÷ 질산암모늄 분자의 분자량

    = (14 × 2) ÷ (14 + 4 + (16 × 3))

    = 28 ÷ 80

    = 0.35

    즉, 질산암모늄 분자 내에서 질소(N) 원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0.35 또는 3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중 습도가 높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겠는가?

  1. 광합성이 더욱 왕성히 이루어진다.
  2. 숨구멍이 폐쇄되어 광합성이 크게 감퇴된다.
  3. 뿌리의 수분, 양분의 흡수력이 왕성해진다.
  4. 증산작용이 왕성해진다.
(정답률: 77%)
  • 습도가 높으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많아져서 식물의 잎에 물방울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이 물방울들이 잎의 표면을 덮게 되면서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잎으로 흡수되는 과정이 어려워집니다. 이에 따라 숨구멍이 폐쇄되어 광합성이 크게 감퇴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적산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감자
  2. 수수
(정답률: 43%)
  • 감자는 다른 작물에 비해 적산온도가 낮습니다. 이는 감자가 겨울철에도 재배가 가능하며, 추운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은?

  1. 옥수수
  2. 수박
  3. 토마토
  4. 인삼
(정답률: 75%)
  • 옥수수는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옥수수가 일년에 한 번만 수확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수박, 토마토, 인삼은 일년에 여러 번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작의 해가 더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광량이 적고 산소분압이 높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C3식물의 생리작용은?

  1. 착색이 촉진된다.
  2. 광호흡이 증대한다.
  3. 엽록소 형성이 촉진된다.
  4. C/N율이 높아진다.
(정답률: 64%)
  • 광량이 적고 산소분압이 높은 상태에서는 광합성이 어렵기 때문에 C3식물은 광호흡을 증대시켜 에너지를 얻으려고 한다. 따라서 광량이 적고 산소분압이 높은 상황에서 C3식물은 광호흡이 증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 수분은?

  1. 흡습수
  2. 모관수
  3. 지하수
  4. 결합수
(정답률: 76%)
  •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 수분은 모관수입니다. 모관은 토양 속에서 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작물의 뿌리가 모관을 통해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모관수가 충분하지 않으면 작물의 성장과 생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성은 2mm 이상 크기의 입자 함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2. 사질식토보다는 경식토가 미사함량이 낮다.
  3. 양토는 사질식보다 물빠짐이 좋다.
  4. 식양토는 사질식토보다 점토 함량이 높다.
(정답률: 45%)
  • 정답은 "양토는 사질식보다 물빠짐이 좋다." 이다. 이유는 양토는 입자 크기가 작아서 표면적 대비 용적이 크기 때문에 물과의 상호작용이 더 많아져 물에 잘 녹아들어가기 때문이다. 사질식토는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물과의 상호작용이 적어 물에 잘 녹아들어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침관수해에 가장 크게 피해를 받기 쉬운 조건은?

  1. 청수와 정체수
  2. 탁수와 정체수
  3. 탁수와 유수
  4. 청수와 유수
(정답률: 84%)
  • 정답은 "탁수와 정체수"입니다.

    탁수는 물이 탁하게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비가 내리거나 눈이 내려서 물이 많이 흐를 때 발생합니다. 이와 달리 청수는 물이 맑게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하천이나 강이 평상시에는 대부분 청수 상태입니다.

    정체수는 물이 멈춰서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물이 쉽게 증발하거나 오염물질이 농축되어 침전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침수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탁수와 정체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물이 많이 흐르면서도 정체되어 침수 피해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크게 피해를 받기 쉬운 조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발아에 광선이 필요하지 않는 작물은?

  1. 상추
  2. 금어초
  3. 담배
  4. 호박
(정답률: 59%)
  • 호박은 발아에 광선이 필요하지 않은 작물입니다. 이는 호박의 종자가 광을 받지 않아도 발아할 수 있는 내부 에너지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박은 어둡고 습한 환경에서도 발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열해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산과다
  2. 철분의 침전
  3. 암모니아 축적
  4. 유기물의 과잉집적
(정답률: 59%)
  • 열해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유기물의 과잉집적"입니다. 이는 해양 생물들이 죽거나 분해되어 생긴 유기물이 바다 밑바닥에 쌓이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유기물이 쌓이면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분해되어 메탄가스와 같은 온실가스를 방출하고,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인 "증산과다", "철분의 침전", "암모니아 축적"은 모두 해양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생리적 염기성 비료는?

  1. 황산칼륨
  2. 과인산석회
  3. 염화칼륨
  4. 용성인비
(정답률: 73%)
  • 생리적 염기성 비료는 식물의 생리적 요구에 맞게 pH를 조절하여 비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비료입니다. 이 중에서 용성인비는 pH를 높여줌으로써 염기성을 유지시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성인비가 생리적 염기성 비료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이앙 벼 재배용 상자육묘에서 상토의 최적 pH는?

  1. 3.5~4.5
  2. 4.5~5.5
  3. 5.5~6.5
  4. 7.5~8.5
(정답률: 67%)
  • 기계이앙 벼 재배용 상자육묘에서는 벼의 최적 생육을 위해 적절한 pH 조건을 유지해야 합니다. 벼는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상토의 pH는 약간 산성인 4.5~5.5가 최적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pH를 조절하여 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pH 범위에서는 벼의 생육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온상승에 효과가 있는 멀칭필름은?

  1. 투명필름
  2. 흑색필름
  3. 녹색필름
  4. 황색필름
(정답률: 70%)
  • 지온상승은 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필름이 효과적입니다. 이 중에서도 투명필름은 열을 차단하면서도 빛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지온상승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명필름이 지온상승에 효과가 있는 멀칭필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N율 : 식물체의 탄수화물과 질소의 비율이다.
  2. G-D균형 : 식물의 생육이나 성숙은 분화와 균형에 의하여 지배된다는 것이다.
  3. T/R율 : 신장생장에 대한 비대생장의 비율이다.
  4. S/R율 : 작물의 지하부생장량에 대한 지상부생장량의 비율이다.
(정답률: 66%)
  • G-D균형 : 이 용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T/R율 : 이 용어는 작물의 신장생장과 대생장(잎, 줄기, 꽃, 열매 등)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대생장이 많은 작물은 수확량이 많아지고, 신장생장이 많은 작물은 생육이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물의 생태적 분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맥류와 감자는 옥수수나 수수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을 좋아한다.
  2. 겨울작물은 겨울에 주로 파종하고 여름작물은 여름에 주로 파종한다.
  3. 포복형 작물은 직립형 작물보다 도복에 강한 특성을 보인다.
  4. 세계의 주곡으로 이용되는 3개 주요작물은 모두 일년생 작물이다.
(정답률: 79%)
  • 정답은 "겨울작물은 겨울에 주로 파종하고 여름작물은 여름에 주로 파종한다." 이다. 이유는 겨울작물은 봄에 수확되는 작물이며, 여름작물은 가을에 수확되는 작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 주요 작물의 식량자급률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된 것은? (단, 사료용을 포함)

  1. 서류>쌀>보리쌀>두류>밀
  2. 쌀>서류>보리쌀>밀>두류
  3. 쌀>두류>서류>보리쌀>밀
  4. 보리쌀>쌀>두류>서류>밀
(정답률: 58%)
  • 정답은 "서류>쌀>보리쌀>두류>밀"입니다.

    서류는 쌀과 비슷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성이 높아서 식량자급률이 높습니다. 쌀은 우리나라의 주요 식량작물 중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작물이지만, 생산성이 낮아서 식량자급률이 서류보다 낮습니다.

    보리쌀은 쌀과 비슷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성이 높아서 식량자급률이 높습니다. 두류는 단백질과 영양성분이 풍부하지만, 생산성이 낮아서 식량자급률이 낮습니다. 마지막으로 밀은 생산성이 높지만, 영양성분이 적어서 식량자급률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10% 엠아이피씨 분제 1.0kg을 2.0% 분제로 만들려고 할 때 필요한 증량제의 양은 몇 kg인가?

  1. 0.4kg
  2. 4kg
  3. 0.8kg
  4. 8kg
(정답률: 75%)
  • 10% 엠아이피씨 분제 1.0kg은 1000g의 엠아이피씨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2.0% 분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1000g의 엠아이피씨가 2%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전체 용액의 양은 1000g / 0.02 = 50,000g = 50kg 입니다. 이제 이 용액에 2%의 엠아이피씨를 넣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50kg x 0.02 = 1kg 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증량제의 양은 전체 용액의 양에서 엠아이피씨의 양을 뺀 것이므로 50kg - 1kg = 49kg 입니다. 이것을 kg으로 변환하면 49kg / 10 = 4kg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분제의 물리적인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분성
  2. 부착성
  3. 고착성
  4. 현수성
(정답률: 81%)
  • 현수성은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하여 끊어지기 어렵고, 물리적인 성질로는 끌어당기는 힘이 강하고 늘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분자와의 거리가 가장 멀다. 따라서 정답은 "현수성"이다.

    - 토분성: 입자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입자들이 서로 떨어져 있어 거리가 가깝다.
    - 부착성: 다른 물체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성질이므로 거리가 가깝다.
    - 고착성: 입자들이 서로 끌어당겨 붙어있어 거리가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제초제, 생장조정제, 살충제, 살균제 등으로 분류하는 농약의 기준은?

  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2. 주성분 조성에 의한 분류
  3. 농약의 형태에 의한 분류
  4. 작용기작에 의한 분류
(정답률: 87%)
  • 농약은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제초, 생장조정, 살충, 살균 등으로 분류됩니다. 즉,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생장조정제는 작물의 성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와 같이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농약 사용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이프로벤포스 유제 48% 100mL 를 0.5% 의 희석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몇 mL 인가? (단, 이프로벤포스 유제의 비중은 1.005 이다.)

  1. 9247.5
  2. 9347.5
  3. 9447.5
  4. 9547.5
(정답률: 60%)
  • 물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프로벤포스 유제의 질량 = 부피 x 비중
    100mL 이프로벤포스 유제의 질량 = 100mL x 1.005 = 100.5g

    0.5% 희석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00.5g의 이프로벤포스 유제에 0.5g의 용질이 녹아들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100.5g + 0.5g = 101g의 용액을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물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1g = 100mL + x mL
    x = 1g = 1mL

    따라서, 이프로벤포스 유제 48% 100mL를 0.5%의 희석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1mL이다.

    정답은 "9547.5"가 아니라 "944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농약의 물리성을 타나내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윤성
  2. 현수성
  3. 유화성
  4. 맹독성
(정답률: 83%)
  • 맹독성은 농약의 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체나 동물에게 직접적인 독성을 미치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물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옳지 않습니다. 습윤성은 물에 잘 녹는 성질, 현수성은 물방울 모양으로 떨어지는 성질, 유화성은 기름에 잘 녹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발암성이 문제가 되어 국내에서 등록이 취소된 약제는?

  1. Difenoconazole 수화제
  2. Benomyl 수화제
  3. Captafol 수화제
  4. Lufenuron 유제
(정답률: 54%)
  • Captafol 수화제는 발암성 물질로 인식되어 국내에서 등록이 취소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성분에 의한 농약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기인계
  2. 훈증제
  3. 카바메이트계
  4. 유기염소계
(정답률: 86%)
  • 주성분에 의한 농약의 분류 중 "훈증제"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훈증제가 주성분이 아닌, 농작물의 병해균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인 열처리 방법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훈증제는 주성분에 의한 농약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농약 중 살비제가 아닌 것은?

  1. 디코폴(dicofol)
  2. 아미트라즈(amitraz)
  3. 싸이스린(cyfluthrin)
  4. 클로펜테진(clofentezine)
(정답률: 52%)
  • 싸이스린은 살충제이지만, 디코폴, 아미트라즈, 클로펜테진은 모두 살비제가 아닌 다른 종류의 농약이기 때문에 정답은 싸이스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농약 원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효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물질이다.
  2. 제품보다 부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3. 물질의 순도는 대부분 50~60% 정도이다.
  4. 원액에 유기 용매를 희석해 놓은 것이다.
(정답률: 83%)
  • 농약 원제는 유효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물질이다. 이는 농약 제조 과정에서 유효성분을 농축하여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품보다는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고, 물질의 순도는 대부분 50~60% 정도이다. 또한 원액에는 유기 용매를 희석해 놓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대무작용량(NOEL)
  2. 1일 섭취허용량(ADI)
  3. 안전계수
  4. 식이섭취위험도
(정답률: 72%)
  • 식이섭취위험도는 인간이 일정 기간 동안 노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건강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할 때는 인간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양을 고려하여 식이섭취위험도를 고려해야 한다. 최대무작용량(NOEL)은 동물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지표이며, 1일 섭취허용량(ADI)은 인간이 일일 섭취해도 안전한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안전계수는 위험성이 불확실한 경우에 적용되는 보수적인 지표로,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시에도 고려되지만, 식이섭취위험도와는 거리가 먼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농약의 독성으로부터 인축 및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급성독성의 수치는 반수 치사량(LD50)으로 나타내며 ppm으로 표시하기도 하는데, 다음 중 ppm과 같은 의미는?

  1. g/kg
  2. mg/g
  3. mg/kg
  4. ug/kg
(정답률: 83%)
  • ppm은 1kg 중에 1m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농약의 독성을 나타내는 LD50 값이 ppm으로 표시되면, 1kg의 체중을 가진 동물이 1mg의 농약을 먹었을 때의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동물의 체중에 따라 독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표현은 체중 당 mg/kg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mg/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제를 1500배로 희석하여 액량 15L로 살포하려 한다. 이 때 원액약량은 몇 mL가 필요한가?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72%)
  • 유제를 1500배로 희석한다는 것은 1배의 유제에 1499배의 용매를 혼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5L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1500배의 원액약량이 필요합니다. 이를 mL로 환산하면 15L × (1/1500) × 1000 = 10m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급성독성 중 그 강도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흡입독성 > 경피독성 > 경구독성
  2. 경구독성 > 흡입독성 > 경피독성
  3. 흡입독성 > 경구독성 > 경피독성
  4. 경피독성 > 경구독성 > 흡입독성
(정답률: 77%)
  • 정답은 "흡입독성 > 경구독성 > 경피독성"입니다.

    흡입독성은 물질이 호흡기로 들어가서 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독성이며, 경구독성은 물질이 소화관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서 소화기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독성입니다. 경피독성은 물질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입니다.

    따라서, 흡입독성이 가장 강한 이유는 호흡기로 직접 들어가서 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경구독성은 소화관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흡입독성보다는 약간 덜 강합니다. 마지막으로 경피독성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약효가 확실할 것
  2. 약해가 없을 것
  3. 저장성이 좋을 것
  4. 독성이 강할 것
(정답률: 86%)
  • 농약의 구비조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독성이 강할 것"입니다. 이는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이므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강할 경우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약의 구비조건으로는 약효가 확실하고, 약해가 없으며, 저장성이 좋을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카바메이트계 농약을 잘못 사용하여 중독되었을 때 사용해야하는 해독제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항히스타민제
  2. SH계 해독제(BAL, 구르타치온)
  3. 팜(PAM)
  4. 황산아트로핀
(정답률: 63%)
  • 카바메이트는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중독되면 중추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해독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황산아트로핀은 중추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가장 강하고 빠르기 때문에 카바메이트 중독에 가장 효과적인 해독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아트로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살선충제 농약은?

  1. 카두사포스(cadusafos)
  2. 클로르피리포스(chlorphrifos)
  3. 다이아지논(diazinon)
  4.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정답률: 55%)
  • 카두사포스는 살충제 농약으로, 지하에서 생활하는 해충에게 효과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살충제 농약이지만, 카두사포스는 지하에서 생활하는 해충에게 특히 효과적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조제 직후 보르도액의 구리의 용해도가 0에 가까울 때의 pH는?

  1. pH 12.4
  2. pH 11.3
  3. pH 10.4
  4. pH 9.3
(정답률: 61%)
  • 조제 직후 보르도액은 구리 이온과 수산화 나트륨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수산화 나트륨은 강한 염기이므로 pH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pH가 가장 높은 "pH 12.4"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농약의 종류별로 포장지의 색깔을 달리하여 농민이 농약을 쉽게 식별하도록 구분하고 있는데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살균제-분홍색
  2. 살충제-초록색
  3. 제초제-노란색
  4. 생장조정제-백색
(정답률: 79%)
  • 생장조정제-백색은 연결이 잘못된 것이 아니며, 이는 농약의 종류별로 포장지의 색깔을 달리하여 농민이 농약을 쉽게 식별하도록 구분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생장조정제는 작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농약으로, 백색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농약의 제형 중 유제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농약을 물에 넣었을 때 수화되면서 현수성이 좋아야 한다.
  2. 물에 희석하였을 때 유효성분이 석출되지 않고 유탁액을 만들어야 한다.
  3. 유효성분이 보존 중 또는 사용 중에 분해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
  4. 살포 후에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고르게 퍼지며 부착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68%)
  • 정답: "농약을 물에 넣었을 때 수화되면서 현수성이 좋아야 한다."

    해설: 농약을 물에 넣었을 때 수화되면서 현수성이 좋아야 하는 것은 농약이 물과 잘 섞이고 분산되어 작물이나 해충에 고르게 분포되어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약의 유효성분이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유효성분의 안정성과 효과적인 분산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약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어 약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순물의 혼합에 의한 약해
  2.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3. 농약의 고농도에 의한 약해
  4. 경시변화에 의한 유해성분의 생성
(정답률: 72%)
  • 농약의 품질불량으로 인한 약해는 불순물의 혼합이나 원제 부성분에 의한 것이지만, 농약의 고농도에 의한 약해는 농약의 양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이므로 품질불량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외국에서 유입되는 잡초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출입 과정에서 검역하듯이 검사하는 잡초 방제법은?

  1. 생태적 방제법
  2. 화학적 방제법
  3. 예방적 방제법
  4. 생물적 방제법
(정답률: 87%)
  • 예방적 방제법은 이미 발생한 해충이나 병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외국에서 유입되는 잡초를 방지하기 위해 검역과 같이 수출입 과정에서 검사하는 것이 예방적 방제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벼와 잡초의 경합에서 가장 불리한 재배법은?

  1. 무경운 직파재배
  2. 어린 모 기계이앙
  3. 중묘 기계이앙
  4. 무경운 기계이앙
(정답률: 80%)
  • 무경운 직파재배는 벼와 잡초의 경쟁에서 가장 불리한 재배법입니다. 이는 무경운이라는 작물을 직접 밭에 심어서 잡초와 경쟁하게 되는데, 이 경우 벼가 잡초보다 성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잡초에 밀려 높이가 낮아지고 수확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벼와 잡초의 경쟁에서는 무경운 직파재배보다는 기계이앙을 이용한 재배법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잡초경합한계기간이란 파종직후부터 성숙말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2. 잡초경합한계기간에는 잡초에 의한 피해가 거의 없다.
  3. 잡초허용한계밀도 이상의 잡초발생은 방제효과가 없다.
  4. 방제는 잡초경합한계기간에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정답률: 69%)
  • 작물과 잡초는 자원(물, 영양분, 태양 등)을 경쟁하며 자라기 때문에, 잡초가 많으면 작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을 줄이기 위해 방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방제를 할 때에는 잡초경합한계기간에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이유는 잡초경합한계기간에는 작물과 잡초가 자원을 경쟁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잡초를 제거하면 작물이 더 많은 자원을 확보할 수 있어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잡초허용한계밀도 이상의 잡초발생은 방제효과가 없기 때문에, 잡초경합한계기간에 방제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작물의 경합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아와 초기생육을 먼저 시작한 작물의 잡초와 경합시 유리하다.
  2. 이앙재배를 한 벼는 직파한 벼보다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약하다.
  3. 작물의 재식밀도가 높으면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이 높다.
  4. 작물 생육 중에 발생한 잡초는 작물에 의해 생육이 억제된다.
(정답률: 75%)
  • "이앙재배를 한 벼는 직파한 벼보다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약하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이앙재배는 벼가 자라는 동안 물을 많이 먹기 때문에, 물이 부족한 잡초는 쉽게 말라죽어 경쟁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이앙재배를 한 벼는 오히려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잡초군락의 천이에 미치는 요인으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제초방법
  2. 물 관리방법
  3. 작부체계
  4. 신품종 보급
(정답률: 66%)
  • 잡초군락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신품종 보급이 영향이 가장 적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신품종 보급은 작물의 생육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지만, 잡초군락의 천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반면에 제초방법, 물 관리방법, 작부체계 등은 잡초군락의 생육과 번식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향이 크다. 따라서 정답은 "신품종 보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토양수분 적응성에 따른 잡초분류로 옳은 것은?

  1. 수생잡초 - 올방개, 물달개비, 까마중
  2. 습생잡초 - 소리쟁이, 망초, 미나리아재비
  3. 건생잡초 - 쇠비름, 강아지풀, 바랭이
  4. 부유잡초 - 생이가래, 개구리밥, 올미
(정답률: 54%)
  • 토양수분 적응성에 따른 잡초분류에서 건생잡초는 건조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잡초를 말합니다. 따라서 쇠비름, 강아지풀, 바랭이는 건조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잡초이므로 건생잡초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20%의 유효성분을 가진 butachlor 입제를 1ha당 1,000(a.i.)g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량은?

  1. 2.5kg
  2. 3kg
  3. 4kg
  4. 5kg
(정답률: 70%)
  • 1ha = 10,000m² 이므로 1m²당 처리해야 할 a.i.의 양은 1,000 ÷ 10,000 = 0.1(g/m²) 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유효성분은 20%이므로, 0.1 ÷ 0.2 = 0.5(g/m²) 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ha당 필요한 양은 0.5(g/m²) × 10,000(m²/ha) = 5,000(g/ha) = 5(kg/ha)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잡초의 해가 아닌 것은?

  1. 토양 침식
  2. 물, 광선, 영양분 경합
  3. 농작물의 품질저하
  4. 병해충 서식처
(정답률: 84%)
  • 잡초의 해는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토양 침식"은 잡초의 해가 아닌 다른 문제입니다. 토양 침식은 지표면의 토양이 물, 광선, 영양분 등의 경합으로 인해 침식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농경지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환경 파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잡초 종자의 특징에 대한 연결로 틀린 것은?

  1. 야생벼 - 탈립성
  2. 박주가리, 망초 - 깃털모양의 관모
  3. 미국가막사리, 도꼬마리 - 낚시 또는 바늘모양의 돌기
  4. 메귀리, 도깨비바늘 - 표면끈끈이
(정답률: 75%)
  • 메귀리와 도깨비바늘은 다른 잡초들과 달리 표면이 끈끈하게 묻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이들 잡초가 물방울을 머금고 있어서 표면이 점점 끈끈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메귀리, 도깨비바늘 - 표면끈끈이"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방동사니과(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1. 향부자
  2. 매자기
  3. 쇠털골
  4. 나도겨풀
(정답률: 63%)
  • 방동사니과(사초과)는 대개 잡초로 분류되지만, "나도겨풀"은 식용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로서, 잡초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종피 파상법
  2. 자외선 처리
  3. 저온, 습윤처리
  4. 후숙처리
(정답률: 61%)
  •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자외선 처리"입니다. 이는 자외선 처리가 잡초 종자의 생존력을 약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인 종피 파상법, 저온, 습윤처리, 후숙처리 등이 더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식물의 종내 경합이란?

  1. 같은 종내의 개체간의 경합
  2. 서로 다른 종간의 경합
  3. 식물 종류간 경합
  4.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
(정답률: 80%)
  • 식물의 종내 경합은 같은 종내의 개체간의 경쟁을 의미합니다. 즉, 같은 종의 식물들이 서로 자원을 경쟁하며 생존과 번식을 위해 경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며, 경쟁에서 이긴 개체는 더 많은 자원을 확보하여 생존과 번식에 유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에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나열된 것은?

  1. ABA, GA
  2. H2SO4, KNO3
  3. ABA, KNO3
  4. NaCl, CuSO4
(정답률: 64%)
  • H2SO4은 강력한 산으로, 잡초 종자의 경피를 부식시켜 휴면 상태를 깨어나게 합니다. KNO3은 산화제로, 잡초 종자를 불태워 소멸시킵니다. 따라서 이 두 화학물질이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잡초방제법의 발달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②→③→④
  2. ①→②→④→③
  3. ①→③→②→④
  4. ②→①→③→④
(정답률: 77%)
  • 정답은 "①→②→③→④"이다.

    ①은 인간의 손으로 수작업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왔으며,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다.

    ②는 화학적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20세기 초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③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다른 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화학적 방법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④는 기계적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기계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방법들의 발달 순서는 "①→②→③→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전체 생육기간이 100일인 작물에서 이론적으로 작물이 잡초 경합예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시기는?

  1. 파종 직후부터 5일 이내
  2. 파종 후 20~30일 사이
  3. 파종 후 50~60일 사이
  4. 파종 후 70일 이후
(정답률: 83%)
  • 파종 후 20~30일 사이는 작물이 아직 성장이 미미하고, 잡초들이 이미 발아하여 크기가 작지만 많이 자라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잡초 경합이 가장 심해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잡초를 제거하지 않으면 작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파종 직후부터 5일 이내는 작물이 아직 발아하지 않아 잡초 경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파종 후 50~60일 사이와 70일 이후는 작물이 이미 충분히 자라서 잡초 경합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겨울 작물포장에 발생하는 잡초종으로 나열된 것은?

  1. 별꽃, 냉이, 갈퀴덩굴
  2. 바랭이, 돌피, 개비름
  3. 명아주, 여뀌, 강아지풀
  4. 여뀌, 개비름, 바랭이
(정답률: 78%)
  • 겨울 작물 포장 시기에는 대부분의 잡초가 죽어서 생기는 빈 공간에 새로운 잡초가 자라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는 겨울 작물 포장 시기에 자주 발생하는 잡초종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별꽃, 냉이, 갈퀴덩굴"은 겨울에도 잘 자라는 잡초종으로, 특히 갈퀴덩굴은 다른 작물을 엮어서 성장하기 때문에 피해가 큽니다. 따라서 이들은 겨울 작물 포장 시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잡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암조건에서 발아하는 잡초 초종으로 나열된 것은?

  1. 소리쟁이, 피
  2. 별꽃, 광대나물
  3. 올챙이고랭이, 강아지풀
  4. 냉이, 개비름
(정답률: 72%)
  • 암조건에서 발아하는 잡초 초종은 일반적으로 생장이 빠르고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서 암종이 생장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쉽게 자라납니다. 이 중에서 "별꽃, 광대나물"은 특히 암종이 자라기 어려운 건조하고 불모지 같은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조건에서 발아하는 잡초 초종으로 자주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1%의 2,4-D 농도는 몇 ppm이 되는가?

  1. 10 ppm
  2. 100 ppm
  3. 1,000 ppm
  4. 10,000 ppm
(정답률: 68%)
  • 1%는 1g의 물질이 100ml의 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4-D의 1% 용액은 10g의 2,4-D가 1L의 용액에 녹아있는 것이다. 이를 ppm으로 환산하면 10,000 p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생물적 잡초방제에 이용될 수 있는 천적이 갖추어야 할 전제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이동성이 있어서는 안 된다.
  2. 문제잡초 이외의 유용 식물을 가해해서는 안 된다.
  3. 천적의 천적이 없어야만 한다.
  4. 문제잡초보다 신축성 있게 빠른 번식 능력을 지녀야 한다.
(정답률: 77%)
  • "이동성이 있어서는 안 된다."가 틀린 이유는, 생물적 잡초방제에 이용되는 천적은 문제잡초를 특정 지역에서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는데, 이동성이 없으면 특정 지역에서 문제잡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천적은 이동성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광합성에 있어서 C4식물이 C3식물에 비하여 유리한 환경조건은?

  1. 저온조건
  2. 고광도조건
  3. 다습조건
  4. 고영양조건
(정답률: 81%)
  • C4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CO2를 더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광도조건에서 더욱 높은 광합성 효율을 보입니다. 이는 C4식물이 CO2를 수거하는 방식이 C3식물에 비해 더욱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4식물은 고광도조건에서 더욱 높은 생산성을 보이며, 이는 농작물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