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식물보호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미치는 주요 피해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부적 이상 비대
  2. 기주로부터 양분과 수분 탈취
  3. 저장물질의 변화 및 생장 둔화
  4. 태양광선의 차단에 의한 생장 불량
(정답률: 69%)
  • 태양광선은 식물의 광합성과 생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침입하면, 기생성 식물이 수목의 잎이나 줄기를 덮어서 태양광선이 수목에 도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수목은 충분한 양의 태양광선을 받지 못하게 되어 생장이 둔화되고, 생장 불량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태양광선의 차단에 의한 생장 불량"이 거리가 먼 주요 피해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벼 오갈병의 주요 매개충은?

  1. 애멸구
  2. 진딧물
  3. 딱정벌레
  4. 끝동매미충
(정답률: 82%)
  • 벼 오갈병의 주요 매개충은 끝동매미충입니다. 이는 벼 오갈병의 주요 증상인 벼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말리는 현상을 일으키는 벼 오갈병균을 전파하는 역할을 합니다. 끝동매미충은 벼의 잎을 먹고 살다가 벼 오갈병균을 체내에 저장하고 다른 식물로 이동하면서 전파합니다. 따라서 끝동매미충은 벼 오갈병의 주요 매개충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물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생동물에 속한다.
  2. 원핵생물에 속한다
  3. 진핵생물에 속한다
  4. 세포를 갖고 있지 않다
(정답률: 67%)
  • 식물 바이러스는 세포 내부에서 번식하고 감염을 일으키지만, 그 자체로는 세포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세포를 갖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맥류에 발생하는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1. 잣나무
  2. 향나무
  3. 매자나무
  4. 매발톱나무
(정답률: 77%)
  • 맥류에 발생하는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매자나무입니다. 이는 매자나무가 줄기녹병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자나무는 맥류 재배 시에 중간기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50L를 살포하려 한다면 이 유제의 소요량은?

  1. 15ml
  2. 75ml
  3. 150ml
  4. 300ml
(정답률: 74%)
  • 1000배로 희석하면 원래 농도의 1/1000배가 된다. 따라서 150L의 용액에 들어갈 유제의 양은 50%의 1/1000인 0.05%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150L x 0.05% = 150ml 이므로 정답은 150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식물병을 측장할 때 병든 식물체 조직의 면적 또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1. 발병도
  2. 발병률
  3. 수량손실
  4. 병진전 곡선
(정답률: 65%)
  • 발병도는 병든 식물체 조직의 면적 또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이는 식물체가 얼마나 많은 면적이나 양이 병에 감염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발병도가 높을수록 식물체가 심각한 병에 감염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뿌리에 선충의 피해를 받은 수목이 지상부에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것은?

  1. 황화
  2. 반점
  3. 시들음
  4. 성장저해
(정답률: 57%)
  • 반점은 뿌리에 선충의 피해를 받은 수목이 아닌, 잎이나 줄기에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입니다. 선충의 피해를 받은 수목은 시들음이나 성장저해와 같은 지상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적으로 세균의 플라스미드(plasmid)에 의해 지배되는 형질로 거리가 먼 것은?

  1. bacteriocin 생성
  2. 편모의 구조 결정
  3. 항생제에 대한 내성
  4. 기주에 대한 병원성
(정답률: 65%)
  • 플라스미드는 일종의 작은 DNA 분자로, 세균의 생존 및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편모의 구조 결정"은 플라스미드가 지배하는 형질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편모는 세균의 이동을 도와주는 중요한 구조체이며, 이를 결정하는 유전자는 플라스미드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편모의 구조 결정은 플라스미드와는 무관한 세균의 역전사적인 유전자 조절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원균은 sclerotinia sclerotiorum 이다
  2.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한다
  3. 발병 후기에는 발병조직에 백색 균사가 나타난다
  4.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고온(25℃이상)이 되면 발아한다
(정답률: 73%)
  •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고온(25℃이상)이 되면 발아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균핵은 sclerotinia sclerotiorum이며,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하여 발병을 유발한다. 발병 후기에는 백색 균사가 나타나며, 이는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가 발병조직에 침입하여 생긴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 중 병의 표징은?

  1. 말라 죽음
  2. 황색 점액
  3. 잎의 시들음
  4. 흑색으로 변함
(정답률: 7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병의 표징은 황색 점액입니다. 이는 식물의 조직 내부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의 병원체가 번식하여 발생하는 증상으로, 병원체가 분비하는 독소로 인해 조직이 부패하고 황색 점액이 생기는 것입니다. "말라 죽음"은 병이 진행되어 식물이 마르고 죽는 증상을 나타내며, "잎의 시들음"은 잎이 시들어지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흑색으로 변함"은 다른 병의 증상으로, 식물의 조직이 검게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벼 잎집무늬마름병(잎집얼룩병)의 발생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밀식
  2. 비료 과다
  3. 늦은 파종
  4. 고온 다습
(정답률: 64%)
  •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농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발생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늦은 파종"입니다. 이는 벼가 늦게 파종되면 생육기간이 길어져 벼가 더욱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기에 적절한 시기에 파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이 아닌 것은?

  1. 뽕나무 오갈병
  2. 벚나무 빗자루병
  3. 낙엽송 잎떨림병
  4. 은행나무 잎마름병
(정답률: 72%)
  • 뽕나무 오갈병은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이 아니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식물병을 진단하는데 있어 해부학적 진단방법은?

  1. 괴경지표법
  2. 유출검사법
  3. 파지의 검출
  4. 코흐(Koch)의 원칙
(정답률: 64%)
  • 해부학적 진단방법 중 유출검사법은 식물의 병해균이나 질병의 원인균을 직접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염된 조직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진단 방법과 함께 사용되어 정확한 진단을 돕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목 뿌리에 많이 발생하며 목재생산에 피해를 주는 자주날개무늬병이 속하는 진균류는?

  1. 난균
  2. 병꼴균
  3. 담자균
  4. 접합균
(정답률: 80%)
  • 자주날개무늬병은 수목의 뿌리에 많이 발생하며 목재생산에 피해를 주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을 일으키는 진균류는 담자균입니다. 담자균은 수목의 뿌리에 침입하여 뿌리를 부식하고, 이로 인해 수분과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수목의 생장이 저하되고, 결국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식물병 저항성 관련 용어 중 나머지 셋과 의미가 다른 하나는?

  1. 포장 저항성
  2. 수평 저항성
  3. 진정 저항성
  4. 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
(정답률: 57%)
  • 진정 저항성은 식물이 병원체에 감염되었을 때, 병원체가 식물 내부로 침입하고 증식하는 것을 막는 저항성을 말한다. 즉, 식물이 병원체와 싸우는 방어 체계를 강화하여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것이다. 포장 저항성은 식물의 표면에 있는 외부적인 저항성을 말하며, 수평 저항성은 특정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말한다. 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은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생물학적 병원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병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1. 병징만 나타난다
  2. 표징만 나타난다
  3. 병징과 표징이 모두 나타난다
  4. 환경적이 영향에 의해 표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정답률: 68%)
  • 정답은 "병징만 나타난다"이다. 비생물학적 병원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등의 병원체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이러한 병원체가 호스트에 침입하여 병원체의 생명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질병은 주로 병원체의 생명활동에 의해 호스트의 조직이 파괴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병징만 나타나게 된다. 즉, 호스트의 신체적인 변화나 증상이 나타나지만, 표징은 나타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세기 스리랑카는 바나나 시들음병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화했다
  2.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 감자 역병이 크게 발생하여 1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었다
  3. 20세기 미국동부지방 주요 수종인 밤나무는 밤나무 줄기마름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20세기 미국 전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이 크게 발생하여 관련 제품 생산에 큰 차질을 가져왔다
(정답률: 79%)
  • "20세기 스리랑카는 바나나 시들음병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화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바나나 시들음병은 바나나 식물을 감염시켜 수확량을 감소시키고, 결국 바나나 산업을 망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추나무의 빗자루병 방제를 위하여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로 수간주사를 하려고 한다. 다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 적기는 3월초이다
  2. 안전사용기준은 수확 30일 전가지 사용하는 것이다
  3. 수돗물 1L에 약제 5g을 정량한 후 잘 저어서 녹인다
  4. 흉고직경이 15cm이상인 경우 1회에 1.5L~2L주입한다
(정답률: 53%)
  • "사용 적기는 3월초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대추나무의 빗자루병 방제를 위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의 적기가 3월초인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대추나무의 빗자루병은 겨울철에 발생하며, 이때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를 사용하여 방제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3월초가 적기이다. "안전사용기준은 수확 30일 전가지 사용하는 것이다"는 대추 수확 후 30일 이내에 사용해야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돗물 1L에 약제 5g을 정량한 후 잘 저어서 녹인다"는 약제와 물의 정확한 비율을 지켜서 혼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흉고직경이 15cm이상인 경우 1회에 1.5L~2L주입한다"는 대추나무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병원균의 병원성 분화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군의 기주 품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생태품종
  2. 판별품종
  3. 생리적 품종
  4. 저항성 품종
(정답률: 77%)
  • 정답은 "판별품종"입니다.

    판별품종은 특정한 성질을 가진 균주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품종으로, 일종의 기준 역할을 합니다. 병원균의 병원성 분화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판별품종을 사용하여 특정한 성질을 확인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병원균의 병원성 분화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판별품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곰팡이의 대사산물 중 사람이나 척추동물에 생리적 장해를 일으키는 것이 알려진 병원균과 독소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Alternaria alternata-citrinin
  2. Penicillium citrinum-ochratoxin
  3. Aspergillus clavatus-tenuazoic acid
  4. Fusarium graminearum-zearalenone
(정답률: 57%)
  • Fusarium graminearum은 작물에 감염되어 생산되는 독소인 zearalenone을 생산합니다. 이 독소는 사람이나 척추동물의 호르몬 수준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치며, 생식기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Fusarium graminearum과 zearalenone은 사람이나 척추동물에 생리적 장해를 일으키는 병원균과 독소의 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향나무하늘소의 주요 가해 부위는?

  1. 줄기
  2. 뿌리
  3. 열매
(정답률: 80%)
  • 향나무하늘소는 주로 나무의 줄기를 먹기 때문에, 가해 부위는 "줄기"입니다. 이는 향나무하늘소가 나무를 타고 올라가서 잎이나 열매를 먹는 것보다 줄기를 먹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향나무하늘소가 줄기를 먹으면 나무가 생장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곤충의 청각기관이 아닌 것은?

  1. 고막기관
  2. 존스턴 기관
  3. 종상감각기관
  4. 무릎아래기관
(정답률: 64%)
  • 곤충은 종상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종상감각기관은 어떤 물체의 위치나 자세를 감지하는 기관으로, 곤충의 청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곤충의 청각기관으로는 고막기관과 존스턴 기관, 무릎아래기관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배자발육 과정 중 외배엽성 세포들이 함입하여 이루어진 기관이 아닌 것은?

  1. 중장
  2. 전장
  3. 후장
  4. 기관지
(정답률: 60%)
  • 정답은 "중장"입니다.

    배자발육 과정 중 외배엽성 세포들이 함입하여 이루어진 기관은 소화기관인 위, 십이지장, 췌장, 간, 콩팥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중장은 소화기관이 아닌 생식기관으로, 외배엽성 세포들이 함입하여 형성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충이 주로 사과나무,복숭아나무 등 과실수의 잎을 가해하며, 1년에 6회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발생이 드문 해충은?

  1. 솔나방
  2. 혹명나방
  3. 은무늬굴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56%)
  • 은무늬굴나방은 주로 낮에 활동하며, 야간에는 휴식을 취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살충제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살충제 저항성이 낮아서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발생이 드문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시류(Paleoptera)곤충에 속하는 것은?

  1. 밀잠자리
  2. 담배나방
  3. 분홍날개대벌레
  4. 밤애기잎말이나방
(정답률: 68%)
  • 고시류는 날개를 접을 수 없는 곤충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밀잠자리"는 날개를 접을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시류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날개를 접을 수 있는 곤충들이므로 고시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배나무이의 분류학적 위치는?

  1. 나비목
  2. 노린재목
  3. 사마귀목
  4. 딱정벌레목
(정답률: 80%)
  • 배나무는 속씨가 나무과에 속하며, 이는 노린재목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린재목"입니다. 나비목, 사마귀목, 딱정벌레목은 배나무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곤충의 선천적 행동이 아닌 것은?

  1. 반사
  2. 정위
  3. 조건화
  4. 고정행위양식
(정답률: 71%)
  • 선천적 행동은 생물이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본능적인 행동을 말합니다. 하지만 조건화는 경험을 통해 학습된 행동입니다. 따라서 조건화는 선천적 행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의 생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관호흡을 한다
  2. 연속되는 탈피를 통해 몸을 키운다
  3. 완전변태류의 경우 번데기 과정을 거친다
  4. 혈액 속 헤모글로빈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는다
(정답률: 81%)
  • 곤충은 기관호흡을 하며, 산소를 직접 흡입하여 호흡한다. 따라서 "혈액 속 헤모글로빈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중국으로부터 비래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며 벼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것은?

  1. 애멸구
  2. 꽃매미
  3. 벼멸구
  4. 흰등멸구
(정답률: 71%)
  • 애멸구는 벼에 매개되는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벼병원균의 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중국으로부터 비래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며 벼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것은 애멸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벼병원균의 다른 종류이거나 다른 작물에 매개되는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균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충의 발생 및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충번식력은 번식능력과 환경저항과의 관련에 따라 증감한다
  2. 피해사정식이란 해충의 가해와 감수량과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3. 환경저항에는 기상 등의 물리적 요인과 천적 등의 생물적 요인이 포함된다
  4. 번식능력을 산정할 때 성비란 (수컷의 수)÷(암컷과 수컷의 수)에 의한 값을 말한다
(정답률: 83%)
  • 번식능력을 산정할 때 성비란 (수컷의 수)÷(암컷과 수컷의 수)에 의한 값을 말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일반적으로 온대지방에서 1년에 1회 발생하는 해충은?

  1. 땅강아지
  2. 벼룩잎벌레
  3. 파총채벌레
  4. 거세미나방
(정답률: 53%)
  • 땅강아지는 일반적으로 온대지방에서 매년 발생하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이는 땅강아지가 식물의 뿌리를 먹어서 식물이 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땅강아지는 땅속에서 살며, 땅 위에서는 작은 구멍을 뚫고 나와 활동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땅강아지는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계유 유제의 작용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독제로서 해충 위에서 소화중독시킨다
  2. 해충 신경에 작용하여 이상흥분을 일으킨다
  3. 해충 겉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기문이나 기관을 막아 질식사시킨다
  4. 침투성 살충제로서 작용점인 원형질에 도달하여 에너지 생성계의 효소에 저해작용을 한다
(정답률: 80%)
  • 해충 겉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기문이나 기관을 막아 질식사시킨다는 것은 기계유 유제가 접촉한 해충의 호흡기를 막아 숨을 쉴 수 없게 만들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계유 유제의 주요 작용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겨울을 나기 위하여 유충으로 동면하는 것은?

  1. 벼애나방
  2. 벼메뚜기
  3. 보리굴파리
  4. 이화명나방
(정답률: 68%)
  • 이화명나방은 겨울철에 생존하기 위해 유충으로 동면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충으로 동면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곤충의 발육영점온도가 11℃이다.월동 중 4월 6일부터 15일까지 10일 동안 일일평균온도가 아래와 같을 때 이 곤충의 10일간 발육적산온도(일도)는?

  1. 16.8
  2. 17.3
  3. 17.8
  4. 18.3
(정답률: 50%)
  • 10일간의 일일평균온도를 모두 더한 후 10으로 나누어 평균온도를 구한다.

    (7+8+9+10+11+12+13+14+15+16)/10 = 11.5℃

    이 곤충의 발육적산온도는 평균온도에서 발육영점온도를 뺀 값이다.

    11.5℃ - 11℃ = 0.5℃

    따라서, 이 곤충의 10일간 발육적산온도는 0.5℃ × 10일 = 5℃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18.3"인 이유는, 이 곤충의 발육적산온도를 ℃-일로 환산한 값이 18.3℃-일이기 때문이다. 발육적산온도는 일일평균온도와 발육영점온도의 차이를 일수와 곱한 값으로 나타내는데, 이 때 일수는 일(day)이 아니라 ℃-일(degree-day)로 나타낸다. 따라서, 5℃ × 3일 = 15℃-일을 더해주면 발육적산온도는 18.3℃-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담배나방 유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린 유충은 주로 잎을 가해한다
  2. 땅 속에서 월동하고 나서 번데기가 된다
  3. 제3령 이후에는 낮에는 잎 뒷면에 숨는다
  4. 부화 유충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가해한다
(정답률: 62%)
  • 담배나방 유충은 땅 속에서 월동하지 않습니다. 옳지 않은 설명은 "땅 속에서 월동하고 나서 번데기가 된다" 입니다. 담배나방 유충은 겨울철에는 땅 위에서 나뭇가지나 나뭇잎 등에 붙어서 겨울을 보내며, 봄이 되면 번데기가 되어 나무에 붙어 성장합니다. 어린 유충은 주로 잎을 가해하며, 제3령 이후에는 낮에는 잎 뒷면에 숨습니다. 부화 유충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가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곤충의 내부구조 중 주요 역할이 체내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은?

  1. 외표피
  2. 원표피
  3. 내원표피
  4. 진피세포
(정답률: 74%)
  • 외표피는 곤충의 외부를 덮고 있는 가장 바깥쪽 층으로, 체내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외부에서의 수분 손실을 막아 체내 수분을 보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주요 역할이 체내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는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곤충의 생식기관은 배자발육에서 어느 부분이 발달된 것인가?

  1. 내배엽
  2. 외배엽
  3. 중배엽
  4. 극세포
(정답률: 46%)
  • 곤충의 생식기관은 중배엽에서 발달된다. 중배엽은 신장, 생식, 순환, 호흡 등 다양한 내부 기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곤충의 생식기관도 중배엽에서 발달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알락하늘소는 어떤 형태로 월동하는가?

  1. 유충
  2. 성충
  3. 번데기
(정답률: 59%)
  • 알락하늘소는 유충 형태로 월동합니다. 이는 성충으로 성장하기 전의 단계로, 지하에서 지내며 겨울을 보냅니다. 유충은 작고 흰색이며, 지하에서 뿌리를 내리며 먹이를 찾습니다. 이후 봄이 되면 지상으로 올라와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으로 성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부화유충이 처음 과일 표면을 식해하다가 과일내부로 뚫고 들어가 가해하는 해충은?

  1. 배나무이
  2. 사과굴나방
  3. 포도유리나방
  4. 복숭아심식나방
(정답률: 78%)
  • 부화유충이 과일 표면을 식해하다가 과일 내부로 뚫고 들어가는 해충은 복숭아심식나방입니다. 이는 복숭아를 주된 먹이로 삼는 나방으로, 애벌레가 복숭아 내부에서 성장하며 과일을 소비합니다. 따라서 복숭아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 해충에 대한 예방 및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곤충 분류학상 외시류가 아닌 것은?

  1. 매미
  2. 밑들이
  3. 집게벌레
  4. 하루살이
(정답률: 51%)
  • 외시류는 머리, 가슴, 복부가 분리되어 있고, 날개가 있는 곤충을 말합니다. 하지만 밑들이는 날개가 없는 곤충으로 외시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다음 중 중금속을 불용화 상태로 만드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석회질 비료 시용
  2. 환원물질 시용
  3. 건조재배
  4. 제올라이트 등의 점토광물 시용
(정답률: 69%)
  • 건조재배는 중금속을 불용화시키는 방법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중금속을 불용화시키는 방법으로, 석회질 비료 시용은 중금속을 흡착하여 불용화시키는 방법이고, 환원물질 시용은 중금속을 환원하여 불용화시키는 방법이며, 제올라이트 등의 점토광물 시용은 중금속을 흡착하여 불용화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식물의 일장감응 중 SI형 식물은?

  1. 메밀
  2. 토마토
  3. 도꼬마리
  4. 코스모스
(정답률: 51%)
  • SI형 식물은 자가불임을 방지하기 위해 꽃받침과 수술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도꼬마리는 꽃받침과 수술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어 SI형 식물로 분류됩니다. 메밀과 토마토는 꽃받침과 수술이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SI형 식물이 아니며, 코스모스는 꽃받침과 수술이 없는 단일 꽃을 가지고 있어서 SI형 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경의 이점으로 틀린 것은?

  1. 모세관이 절단되어 토양수분의 증발이 증대한다
  2. 피막을 부숴 주어 발아가 조장된다
  3. 토양통기 조장으로 생장이 왕성해 진다
  4. 중경으로 비료가 환원층으로 섞여들어 비효가 증대된다
(정답률: 68%)
  • "모세관이 절단되어 토양수분의 증발이 증대한다"는 중경의 이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모세관은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여 식물 전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모세관이 절단되면 물 공급이 어려워져 토양수분이 빨리 증발하게 된다.

    모세관이 절단되어 토양수분의 증발이 증대하는 이유는 모세관이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모세관이 없으면 뿌리에서 물을 흡수할 수 없어 토양수분이 빨리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모세관이 절단되면 식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과수의 결과습성에서 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는?

  1. 사과
  2. 복숭아
  3. 포도
  4. 양앵두
(정답률: 60%)
  • 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는 포도입니다. 포도는 1년생 가지에서 결실하는 과수 중 하나이며, 사과와 복숭아는 2년생 가지에서 결실하고 양앵두는 관목으로 자라기 때문에 가지가 아닌 가지와 줄기 사이에서 결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맥류의 기계화 재배를 위한 품종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도복성이 극히 강해야 한다
  2. 한랭지에서는 특히 내한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 한다
  3. 초장이 70cm 정도 크기가 알맞다
  4. 초형이 직립형 보다 수평형이 알맞다
(정답률: 76%)
  • "초형이 직립형 보다 수평형이 알맞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맥류의 기계화 재배를 위한 품종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내도복성이 강하고, 한랭지에서 내한성이 강하며, 초장이 70cm 정도 크기가 알맞다는 것입니다. 초형은 기계화 재배를 위한 품종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직립형과 수평형 중 어떤 형태가 알맞은지는 재배 환경과 기계화 장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타식성 작물 중 암술과 수술이 서로 다른 개체에서 생기는 것은?

  1. 자성불임
  2. 웅성불임
  3. 자웅이주
  4. 이형예현상
(정답률: 79%)
  • 암술과 수술은 동일한 개체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웅이주는 암술과 수술이 서로 다른 개체에서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자성불임과 웅성불임과는 달리, 개체의 유전자가 섞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부모 개체의 유전자가 서로 다른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자웅이주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형예현상은 다른 개체와의 교배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이식재배의 장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생육기간 연장에 따른 증수
  2. 근채류의 근계 발육 촉진
  3. 토지이용율의 증대
  4. 생육촉진 및 숙기단축
(정답률: 48%)
  • 이식재배의 장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근채류의 근계 발육 촉진"입니다. 이는 이식재배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이식재배의 장점으로는 생육기간 연장에 따른 증수, 토지이용율의 증대, 생육촉진 및 숙기단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물체 내의 수분 포텐셜을 좌우하는 것은?

  1. 삼투압포텐셜,압력포텐셜
  2. 압력포텐셜,매트릭포텐셜
  3. 삼투압포텐셜,매트릭포텐셜
  4. 매트릭포텐셜, 중력포텐셜
(정답률: 73%)
  • 식물체 내의 수분 포텐셜을 좌우하는 것은 삼투압포텐셜과 압력포텐셜입니다. 삼투압포텐셜은 식물체 내부와 외부의 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포텐셜이며, 압력포텐셜은 식물체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포텐셜입니다. 이 두 가지 포텐셜이 결합하여 식물체 내의 수분 이동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토양멀칭(soil mulching)에 대해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필름을 피복하는 것
  2. 포장의 표토를 곱게 중경하면 하층과 표면의 모세관이 단절되고 표면에 건조한 토층이 생기는 것
  3. 앞작물의 그루터기를 그대로 남겨서 풍식과 수식을 경감시키는 것
  4. 포장토양의 표면을 짚.퇴비 등 여러 가지 재료로 피복하는 것
(정답률: 49%)
  • 토양멀칭은 포장의 표토를 곱게 중경하면 하층과 표면의 모세관이 단절되고 표면에 건조한 토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퇴비, 짚 등 여러 가지 재료로 표면을 덮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포장의 표토를 곱게 중경하면 하층과 표면의 모세관이 단절되고 표면에 건조한 토층이 생기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내건성이 강한 식물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급수할 때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이 크다
  2. 당분의 소실이 빠르다
  3. 광합성이 감퇴하는 정도가 낮다
  4. 호흡이 낮아지는 정도가 크다
(정답률: 68%)
  • "당분의 소실이 빠르다"는 내건성이 강한 식물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내건성이 약한 식물의 특성입니다. 이는 수분이 부족할 때 식물이 당분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건성이 강한 식물은 당분을 보존하고 수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높아, 당분의 소실이 느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춘화처리(Vernal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정기간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 화성을 유도하는 것
  2. 봄에 꽃이 피도록 고온 처리하는 것
  3. 월동작물을 겨울에 일장 처리하는 것
  4.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온도와 일장을 처리하는 것
(정답률: 70%)
  • 춘화처리는 일정기간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 화성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봄에 꽃이 피도록 고온 처리하는 것과는 반대로, 겨울에 월동작물을 일장 처리하는 것과도 다르다. 이 처리는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온도와 일장을 처리하는 것과도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물의 형질 중 연속 변이와 불연속 변이의 예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연속변이-초장,엽장
    불연속 변이-건물중,출수기
  2. 연속변이-엽색,엽장
    불연속 변이-분지수,엽중
  3. 연속변이-초장,수장
    불연속 변이-화색,까락 유무
  4. 연속변이-출수기,종피색
    불연속 변이-건물중,숙기
(정답률: 69%)
  • 연속변이는 어떤 특성이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하며, 초장과 수장은 작물의 크기와 관련된 특성으로 연속변이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불연속 변이는 어떤 특성이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말하며, 화색과 까락 유무는 작물의 색상과 껍질의 유무와 관련된 특성으로 불연속 변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광부족에 적응성이 가장 약한 작물은?

  1. 당근
  2. 강낭콩
  3. 딸기
  4. 감자
(정답률: 45%)
  • 감자는 광부족에 적응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감자는 광합성을 통해 얻은 탄수화물을 뿌리에 저장해야 하는데, 광부족 환경에서는 이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생육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감자는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NAA
  2. MH-30
  3. Rh-531
  4. AMO-1618
(정답률: 72%)
  • 이미지는 IATA 항공사 코드를 나타내며, "NAA"는 항공사 이름인 North American Airlines의 코드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농업경영적 효과측면에서 작부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병충해 발생증가
  2. 잡초발생 증가
  3. 지력감소 효과
  4. 경지 이용도 제고 효과
(정답률: 75%)
  • 작물 재배 시 작물 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작물의 성장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분기하여 재배하는 작부체계는 경지 이용도를 최적화하여 농업경영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는 작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며, 작물 간 경쟁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경지 이용도 제고 효과가 옳은 답입니다. 반면, 병충해 발생증가, 잡초발생 증가, 지력감소 효과는 작부체계를 실시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곡물건조 시 제거 대상이 되는 주된 수분은?

  1. 자유수
  2. 결합수
  3. 모관수
  4. 흡습수
(정답률: 53%)
  • 곡물건조 시 제거 대상이 되는 주된 수분은 자유수이다. 이는 곡물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수분으로, 건조 시 가장 먼저 제거되는 수분이다. 결합수는 곡물 내부에서 결합된 수분으로, 제거하기 어렵고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모관수는 곡물 내부를 통과하는 수분으로, 건조 시에는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흡습수는 곡물 표면에 흡수된 수분으로, 건조 시간이 짧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제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작물의 기원지가 중국인 것은?

  1. 담배
  2. 호프
  3. 목화
(정답률: 71%)
  • 팥은 중국에서 기원한 작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메벼의 무망종을 선종할 때 알맞은 비중은?

  1. 1.08
  2. 1.10
  3. 1.13
  4. 1.22
(정답률: 63%)
  • 메벼의 무망종은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선종할 때 비중이 높은 종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비중이 가장 높은 1.13 종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른 종들은 비중이 낮아 메벼의 무망종을 선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성토양에서 용해도가 낮아져 작물생육에 부족하기 쉬운 원소는?

  1. 망간
  2. 마그네슘
  3. 아연
(정답률: 61%)
  • 산성토양에서는 pH가 낮아서 양이온들이 많이 존재하게 되어, 마그네슘과 같은 양이온들의 용해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마그네슘은 산성토양에서 용해도가 낮아져 작물생육에 부족하기 쉬운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2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은?

  1. 토란,무
  2. 잠두,오이
  3. 참외,사탕무
  4. 강낭콩,토당귀
(정답률: 45%)
  • 잠두와 오이는 둘 다 빠른 성장과 수확이 가능하지만, 지속적인 재배는 토양의 영양분을 고갈시키므로 2년 휴작이 필요합니다. 반면 토란과 무는 느린 성장으로 인해 2년 휴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참외와 사탕무는 한 해에 여러 번 수확이 가능하므로 2년 휴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강낭콩과 토당귀는 뿌리가 깊게 자라기 때문에 2년 휴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효력이 길다
  2. 흡즙해충에 유효하다
  3. 인축에 대한 독성이 비교적 강하다
  4. 알칼리성 물질에 의하여 분해되기 쉽다
(정답률: 56%)
  • "잔효력이 길다"는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특이한 경우입니다. 유기인계 살충제는 대부분 흡즙해충에 유효하고, 인축에 대한 독성이 비교적 강하며, 알칼리성 물질에 의하여 분해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일부 유기인계 살충제는 잔효력이 길어서 적용 후 일정 기간 동안 효과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는 살충제의 분해가 느리거나, 흡수된 살충제가 체내에서 느리게 대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로 접촉제 및 소화중독제로서 작용하며 벼의 이화명 나방에 적용되는 유기인제는?

  1. DDVP제
  2. 메프제
  3. EPN제
  4. 파라치온제
(정답률: 45%)
  • 메프제는 주로 접촉제 및 소화중독제로 작용하며 벼의 이화명 나방에 적용되는 유기인제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DDVP제, EPN제, 파라치온제와는 구분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고자 할 때 전자포획검출기(ECD) 로 분석을 가장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농약은?

  1. Chlorothalonil
  2. Dichlorvos
  3. Parathion
  4. EPN
(정답률: 59%)
  • 전자포획검출기(ECD)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화합물들을 감지하는 데 특히 민감하며, Chlorothalonil은 안정성이 높은 화합물이기 때문에 ECD로 분석하기에 적합합니다. Dichlorvos, Parathion, EPN은 모두 비교적 불안정한 화합물이므로 ECD로 분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농약을 희석액으로 살포에 의하지 않고 농약의 유효성분을 병충해 등 서식부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사용방법이 아닌 것은?

  1. 분무법
  2. 훈증법
  3. 도포법
  4. 도말법
(정답률: 41%)
  • 분무법은 농약을 액체 상태로 분무기로 뿌려 작물에 살포하는 방법이므로, 농약을 희석액으로 살포하는 방법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작물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분무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뷰타클로르 6%입제를 10a 당 성분량으로 150g살포하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제품량은?

  1. 2000g
  2. 2500g
  3. 3000g
  4. 5000g
(정답률: 66%)
  • 뷰타클로르 6%입제는 100g당 6g의 뷰타클로르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10a당 필요한 뷰타클로르 성분량은 10a x 6g = 60ag 이다. 이를 150g 살포하려면 150g에 들어갈 수 있는 뷰타클로르 성분의 양을 구해야 한다. 150g에 들어갈 수 있는 뷰타클로르 성분의 양은 150g / 100g x 6g = 9g 이다. 따라서 60ag의 뷰타클로르 성분을 9g씩 살포하기 위해서는 60ag x 100g / 9g = 666.67g의 제품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품은 일반적으로 500g, 1000g, 2000g, 3000g, 5000g 등의 단위로 판매되므로, 가장 가까운 500g의 배수인 2500g의 제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500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불합리한 농약의 혼용은 약효의 경감, 약해의 원인, 또는 급성독성의 현저한 증가를 야기한다. 농약 혼용 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혼용에 의한 활성의 변화
  2. 혼용에 의한 화학적 변화
  3. 혼용에 의한 물리성의 변화
  4. 혼용에 의한 살포시기의 변화
(정답률: 76%)
  • 농약 혼용 시 주의할 사항 중 혼용에 의한 살포시기의 변화는 중요한 이유이다. 농약은 살포시기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혼용 시 농약의 살포시기가 변화하면 효과가 예측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농약 혼용 시 살포시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조합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르도액을 조제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교반용 막대는 나무 제품이어야 한다
  2. 석회유에 황산구리 용액을 첨가해야 한다
  3. 황산구리 및 석회석은 순도가 높아야 한다
  4. 액을 교반할 때 따뜻한 상태에서 반응이 잘 된다
(정답률: 66%)
  • 정답: "액을 교반할 때 따뜻한 상태에서 반응이 잘 된다"는 옳은 내용이다.

    이유: 보르도액은 황산구리와 석회석을 혼합한 용액으로, 이 두 성분이 반응하여 침전물이 생기는데, 이 침전물이 식물병 원인균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액을 교반할 때 따뜻한 상태에서 반응이 잘 되도록 하여 침전물이 잘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독성 검정은 보통 잉어를 사용하는데 약제처리 후 며칠 만에 조사하여 독성을 구분하는가?

  1. 1일(24시간)
  2. 2일(48시간)
  3. 5일(120시간)
  4. 10일(240시간)
(정답률: 75%)
  • 어독성 검정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 독성 물질이 물 속에서 분해되거나 생물이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시험 기간을 정한다. 일반적으로 48시간 이내에 독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2일(48시간)이 보통의 검사 기간으로 사용된다. 이 기간은 독성 물질의 종류와 농도, 대상 생물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메프(Fenitrothion)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당 8말(160L)을 살포하려고 할 때 Femitrothion유제의 소요량은 약 몇 ml?

  1. 80
  2. 120
  3. 160
  4. 320
(정답률: 66%)
  • 1000배로 희석하였으므로 1L당 50mg의 Fenitrothion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a당 8말(160L)을 살포하려고 하므로, Fenitrothion의 총 소요량은 50mg/L x 160L = 8000mg = 8g입니다. Fenitrothion 유제의 농도는 50%이므로, 8g의 Fenitrothion을 얻기 위해서는 16g의 Fenitrothion 유제가 필요합니다. 이를 ml로 환산하면, Fenitrothion 유제의 밀도가 약 1.2g/ml이므로 16g / 1.2g/ml = 약 13.3m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이 아닌 "13.3"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주성분manganese ethylenebis(dithiocarbamate)의 아연 배위화합물로서 광범위한 작물에 탄저병을 포함한 광범위한 병해에 보호살균제로 사용되는 농약은?

  1. 빈졸(Vincolzolin)
  2. 이프로(Iprodione)
  3. 훼나진(Phenazine)
  4. 만코제브(Mancozeb)
(정답률: 79%)
  • 주성분인 manganese ethylenebis(dithiocarbamate)은 탄저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성분입니다. 이를 아연 배위화합물로 만든 만코제브는 광범위한 작물에 사용되며, 다른 보기인 빈졸, 이프로, 훼나진은 각각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만코제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등점이 낮은 농약의 원제를 액상,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에 충전한 것을 열어 대기 중에 가스상으로 방출시켜 병해충을 방제하는 농약 제형은?

  1. 훈증제
  2. 연무제
  3. 훈연제
  4. 플로우더스트제
(정답률: 72%)
  • 훈증제는 비등점이 낮은 농약을 가스상으로 방출시켜 병해충을 방제하는 제형이다. 이는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에 충전된 농약을 열어 대기 중에 가스상으로 방출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훈증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농약의 액제 제형을 제조할 때 겨울에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석고(Gypsum)
  2. 규조토(Diatomite)
  3. 황산아연(Zinc sulfate)
  4.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정답률: 69%)
  • 에틸렌글리콜은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동결 방지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농약의 액제 제형을 제조할 때 겨울에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에틸렌글리콜을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잡초생육기 처리용 비선택성 제초제는?

  1. 헥사지논
  2. 피리벤족심
  3. 피라졸레이트
  4. 글리포세이트포타슘
(정답률: 70%)
  • 글리포세이트포타슘은 잡초의 생육을 막는데 필요한 아미노산 합성을 방해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비선택성 제초제입니다. 이는 식물의 아미노산 합성과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간과 동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잡초만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잡초생육기 처리용 비선택성 제초제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살충제에서 X가 어떤 치환기일 때 cholinesterase에 대한 저해력이 가장 강한가?

  1. P-NO2
  2. P-SCH3
  3. P-CI
  4. P-CN
(정답률: 43%)
  • X가 P-NO2일 때, 살충제는 cholinesterase 효소와 결합하여 저해합니다. 이는 P-NO2가 cholinesterase와 강한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NO2가 다른 치환기보다 cholinesterase에 대한 저해력이 가장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1. 유제농약
  2. 유기인제농약
  3. 살충제농약
  4. 잔류성농약
(정답률: 76%)
  • 살충제농약은 곤충, 벌레 등의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으로, 살충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처리 후 식물체 내로 침투이행이 잘되고 약효지속시간도 긴 유기유황제 살균제는?

  1. 베노밀
  2. 베날락실엠
  3. 아이소티아닐
  4.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정답률: 45%)
  • 아이소프로티올레인은 유기유황제 살균제 중에서 처리 후 식물체 내로 침투이행이 잘되고 약효지속시간도 긴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살비제(살응애제)의 작용점 및 작용기작과 같은 양상을 나타내는 농약은?

  1. 살균제
  2. 제초제
  3. 살선충제
  4. 살충제
(정답률: 58%)
  • 정답: 살충제

    살비제(살응애제)는 곤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작용점과 작용기작을 가지는 농약은 살충제입니다. 살균제는 세균을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고,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살선충제는 식물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농약 잔류성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물잔류성농약이란 농약의 성분이 살포된 작물에 잔류하여 곤충이나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는 농약을 말한다
  2. 토양잔류성농약이란 토양 중 농약의 반감기가 1년 이하인 농약으로 토양에 잔류하여 지하수 오염의 우려가 있는 농약을 말한다
  3. 수질잔류성농약이란 48시간 이내에 잉어의 반수치사농도를 10a 당 농약사용량에 대한 유효성분량으로 나눈 값이 1.0 이상인 것이다
  4. 실험동물에 매일 일정량의 농약을 혼합한 사료를 장시간 투여하여 2세대 이상에 걸쳐 전혀 건강에 이상이 없는 양을 무작용량이라 한다
(정답률: 41%)
  • 작물잔류성농약, 토양잔류성농약, 수질잔류성농약에 대한 설명은 각각 해당 농약이 작물, 토양, 수질에 잔류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반면, 실험동물에 매일 일정량의 농약을 혼합한 사료를 장시간 투여하여 2세대 이상에 걸쳐 전혀 건강에 이상이 없는 양을 무작용량이라 하는 것은 해당 농약의 독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인간이 노출될 경우 안전한 양을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직접살포제가 아닌 것은?

  1. 미립제
  2. 세립제
  3. 유탁제
  4. 저비산분제
(정답률: 62%)
  • 유탁제는 직접적으로 해충을 죽이는 살포제가 아니라, 해충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직접살포제인 미립제, 세립제, 저비산분제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살포액 조제방법은?

  1. 비중 조제법
  2. 배액 조제법
  3. 퍼센트액 조제법
  4. 피피엠(ppm)액 조제법
(정답률: 69%)
  •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살포액 조제방법은 "배액 조제법"이다. 이는 농약을 일정한 비율로 물에 섞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농약의 농도를 조절하기 쉽고,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농약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농약과 물을 적절한 비율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다음 중 개체 당 종자생산량이 가장 많은 특징을 지닌 잡초는?

  1. 망초
  2. 개비름
  3. 강아지풀
  4. 쇠비름
(정답률: 64%)
  • 정답: 망초

    망초는 하나의 개체당 많은 수의 종자를 생산하며, 이는 매우 빠른 성장과 번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망초는 광범위한 생태계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쉽게 번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망초는 매우 강력한 잡초로 여겨지며, 농작물 생산에 큰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페녹시카르복실계 제초제의 일반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이 계열의 제초제는 식물의 분열조직(생장점)에 집적된다
  2. 광합성 산물이나 증산류와 함께 이동하는 이행형 호르몬형 제초제이다
  3. 토양 표면을 뚫고 나오는 신초나 뿌리에 의해 흡수되고 토양 잔효성이 1-3개월이다
  4. 일년생 및 다년생 광엽잡초가 감수성을 띄며,잡초 발생 후에 처리하는 제초제이다
(정답률: 45%)
  • "토양 표면을 뚫고 나오는 신초나 뿌리에 의해 흡수되고 토양 잔효성이 1-3개월이다"가 틀린 것이다. 이 계열의 제초제는 토양 표면을 뚫고 나오는 신초나 뿌리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잎표면을 통해 흡수되며, 토양 잔효성은 몇 년에 이르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식물의 종간경합에 해당하는 것은?

  1. 식물과 식물의 경합
  2. 서로 다른 종간의 경합
  3. 같은 종간의 경합
  4. 같은 종내의 개체간의 경합
(정답률: 72%)
  • 서로 다른 종간의 경합은 서로 다른 종의 식물들이 같은 자원을 이용하면서 경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의 식물들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경쟁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서 햇빛과 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여러 종의 식물들이 경쟁을 하게 되면, 각 종마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종이 우세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쟁은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며, 종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보기)의 제초제 상호작용에 대한 식물의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은?

  1. Growing의 방법
  2. Dew의 경합지수법
  3. Colby의 방법
  4. Isobole 방법
(정답률: 62%)
  • Growing의 방법은 제초제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와 혼합하여 사용했을 때의 식물의 생장량을 비교하여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제초제 상호작용에 대한 식물의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제초제 계통의 일반적인 주요 작용기작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triazine계-광합성 저해제
  2. sulfonylurea계-세포분열억제
  3. urea계-광합성저해
  4. diphenylether계-세포막 파괴
(정답률: 52%)
  • Sulfonylurea 계통의 주요 작용기작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는 것이지만, 세포분열 억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sulfonylurea 계통의 작용기작이 "세포분열억제"로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경제적 허용한계 잡초밀도(economic threshold level)란?

  1. 허용한계밀도 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잡초생장이 허용되는 잡초밀도
  2. 잡초의 밀도가 어느 밀도 이하로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증가되는 수준의 밀도
  3. 잡초의 밀도가 어느 밀도 이상으로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수준의 잡초밀도
  4. 제초비용과 방제로 인한 수량이득이 상충되는 수준의 밀도를 허용한계밀도에 추가하여 허용한 잡초밀도
(정답률: 44%)
  • 경제적 허용한계 잡초밀도는 제초비용과 방제로 인한 수량이득이 상충되는 수준의 밀도를 허용한계밀도에 추가하여 허용한 잡초밀도를 의미합니다. 즉, 작물의 수량이 증가하는 수준과 제초비용이 감소하는 수준을 고려하여 잡초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 밀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피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엽설(잎혀)은 없고, 엽이(잎귀)는 있다
  2. 엽설(잎혀)은 있고,엽이(잎귀)는 없다
  3. 엽설(잎혀)과 엽이(잎귀)모두 있다
  4. 엽설(잎혀)과 엽이(잎귀)모두 없다
(정답률: 72%)
  • "엽설(잎혀)과 엽이(잎귀)모두 없다"는 피가 잎이 없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원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잎이 없는 상태로, 대신 줄기와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원생식물 중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형태로, 대표적인 예로는 이끼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두 제초제를 혼합시 나타내는 길항적반응(antagonism)이란?

  1. 혼합의 효과가 활성이 높은 물질의 단독효과보다 작은 것을 의미
  2. 혼합시의 효과가 단독처리시의 효과보다 큰 것을 의미
  3. 혼합시의 효과가 단독처리시의 효과와 같은 것을 의미
  4. 혼합시의 효과가 단독처리시의 효과보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을 의미
(정답률: 68%)
  • 두 제초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때, 두 제초제의 효과가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두 제초제가 서로 상쇄되어 효과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King(1966)의 발아 5단계설 중 2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세포분열과 신장의 대사단계
  2. 흡수과정
  3. 전분의 가수분해과정
  4. 종근 및 유아의 신장
(정답률: 50%)
  • King(1966)의 발아 5단계설 중 2번째 단계는 "세포분열과 신장의 대사단계"이다. 이는 발아가 세포분열을 통해 성장하고, 신장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고 대사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세포분열과 함께 영양분의 흡수와 대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생태적 잡초방제를 위한“재배관리의 합리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작물을 충실하게 키워 경합력을 높인다
  2. 적기 적량의 시비기술로 작물의 초관형성을 촉진시킨다
  3. 잡초에 불리한 윤작체계로 재배한다
  4. 청결한 작물종자를 선택하거나 다시 정선하여 파종한다
(정답률: 65%)
  • 청결한 작물종자를 선택하거나 다시 정선하여 파종하는 것은 생태적 잡초방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일종의 재배기술이기 때문에 생태적 잡초방제를 위한 "재배관리의 합리화 방법"이 아니다. 이 방법은 작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일반적인 재배기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무처리 잡초건물중이 250g이고 A처리 잡초건물중이 50g일 때 A처리의 잡초 방제가는?

  1. 50%
  2. 65%
  3. 80%
  4. 95%
(정답률: 59%)
  • A처리 잡초건물중이 50g이므로, 전체 중 A처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50g/250g = 0.2 = 20%이다. 따라서 A처리의 잡초 방제 효과가 80%라는 것은 A처리한 잡초건물 중 80%가 잡초 방제에 성공했다는 의미이다. 즉, A처리한 50g 중에서 80%인 40g가 잡초 방제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제초제의 상호작용이 아닌 것은?

  1. 상가작용(addition)
  2. 길항작용(antagonism)
  3. 결합작용(conjugation)
  4. 상승작용(synergism)
(정답률: 60%)
  • 결합작용은 제초제의 상호작용이 아니라, 세균이나 진균 등의 생물체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전달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결합작용(conjug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동일약제에 대한 작물과 잡초의 반응차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은?

  1. 선택성지수
  2. 제초활성
  3. 조류검정
  4. 생장반응검정
(정답률: 52%)
  • 선택성지수는 동일약제를 사용하여 작물과 잡초를 처리한 후, 작물과 잡초의 생장억제율을 비교하여 계산된 값으로, 작물과 잡초의 반응차를 표현할 수 있는 지표이다. 따라서 선택성지수가 정답이다. 제초활성은 약제의 제초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조류검정은 약제가 조류를 죽이는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생장반응검정은 약제가 작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C3 및 C4식물의 대사특성 비교 중 틀린 것은?

  1. C3 나트륨: 불필요, C4:필요
  2. C3 광호흡: 아주 낮음, C4:광호흡: 높음
  3. C3광합성 최적온도:15-25도
    C4:광합성 최적온도:30-45도
  4. C3 잎구조:엽록체가 풍부한 엽육세포
    C4 잎구조:엽록체를 가지며 잘 발달된 유관속초세포
(정답률: 56%)
  • C3 광호흡: 아주 낮음, C4:광호흡: 높음이 틀린 것이다. 식물의 광호흡은 광합성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모든 식물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C3 및 C4식물 모두 광호흡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잡초방제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작물 수량증가
  2. 토양 물리성 개선
  3. 농작물 품질 향상
  4. 병해충 서식처 제거
(정답률: 76%)
  • 잡초방제의 목적은 작물 수량증가, 농작물 품질 향상, 병해충 서식처 제거 등이지만, 토양 물리성 개선은 그 목적이 아닙니다. 잡초방제는 잡초를 제거하여 작물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도록 돕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토양 물리성 개선은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땅콩 포장에 문제가 되는 잡초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강아지풀,깨풀
  2. 너도방동사니,쇠비름
  3. 마디꽃,돌피
  4. 강아지풀,쇠털골
(정답률: 50%)
  • "강아지풀,깨풀"은 땅콩 포장지에 자주 발생하는 잡초종으로, 뿌리가 얕고 빠르게 번식하여 포장지를 파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도방동사니,쇠비름", "마디꽃,돌피", "강아지풀,쇠털골"은 땅콩 포장지에 발생하는 잡초종이지만, "강아지풀,깨풀"만큼 포장지를 파손하는 능력이 높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제초제의 토양 중 지속성은 반감기(half life)로 나타낸다,이 때 반감기란? (단, 전 기간을 통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1차 반응식을 전제로 함)

  1. 처리한 제초제의 1/2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
  2. 처리한 제초제의 1/5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
  3. 식물체의 1/2를 고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4. 식물체의 1/5을 고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정답률: 74%)
  • 반감기는 원래 양의 절반만 남아있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처리한 제초제의 1/2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은 처음에 처리한 제초제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제초제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잡초종자의 휴면이 종피에 기인한 것이 아닌 것은?

  1. 가스교환의 방해
  2. 물의 투수성 방해
  3. 배의 불완전 또는 미숙
  4. 배의 생장에 대한 기계적 장해
(정답률: 55%)
  • 잡초종자의 휴면이 종피에 기인한 것이 아닌 이유는 배의 불완전 또는 미숙 때문이다. 배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거나 부족한 영양분, 물, 빛 등의 환경 조건으로 인해 잡초종자가 발아하지 못하거나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생태적 잡초방제에 있어서 환경제어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물에 재식밀도를 높여서 초관형성을 촉진시키는 수단을 말한다
  2. 작물에는 유리하고 잡초에는 불리하도록 인위적으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을 말한다
  3. 작물의 양질 다수와 함께 잡초와의 경합력이 큰 작목.품종과 우량종자를 고르는 것을 말한다
  4. 묘상에서 자란 유묘를 본포에 이식하여 잡초보다 빠르게 초관을 형성하게 하는 수단을 말한다
(정답률: 76%)
  • 환경제어법은 작물에는 유리하고 잡초에는 불리하도록 인위적으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동시에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여 작물과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잡초방제법에서 천적이 갖추어야 할 전제조건이 아닌 것은?

  1. 포식자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2. 지역환경에 쉽게 적응하여야 한다
  3. 접종지역에서의 이동성이 낮아야 한다
  4. 숙주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5%)
  • 천적이 접종된 지역에서 이동성이 높으면, 잡초를 제어하기 위해 천적을 계속해서 추가로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고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접종지역에서의 이동성이 낮아야 천적이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