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2. 병든 보리, 밀을 먹는 사람과 돼지 등에 심한 중독을 일으키는 병해는?
3.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수목병인 뽕나무 오갈병의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것은?
4. 묘포장에서 어린 묘목에 피해를 입히는 원인이 아닌 것은?
5. 매개충에 의해 경란 전염하는 바이러스 병해는?
6. 과수의 자주날개무늬병균은 분류학적으로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7. 벼 흰잎마름병균은 주로 어디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되는가?
8. 식물바이러스병의 생물학적 진단법은?
9. 순활물기생균(절대기생균)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11. 식물병의 면역학적 진단 방법을 의미하는 용어는?
12. 배추 모자이크병의 주요 매개 곤충은?
13. 병원균이 포도 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과 같은 것은?
14. Aspergillus flavus가 생산하는 균독소는?
15. 오이 세균성점무늬병균이 증식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체내 부위는?
16. 식물병 발생에 필요한 3대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7. 식물병원체인 균류의 영양기관은?
18.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하는 배추무 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9. 오이 모자이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향나무 녹병의 방제법으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않고 매년 중국 남부로부터 비래 해오는 해충은?
22. 사과면충은 분류상 어느 목에 속하는가?
23. 작물의 재배시기를 조절하여 해충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24.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 먹이를 빠는 형의 입틀을 가진 것은?
26. 방사선 불임법을 이용하는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27. 복관(collophore)을 갖고 있는 곤충은?
28. 다음 중 가장 늦게 우리나라에 들어온 해충은?
29. 사과굴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 다음 중 호흡계의 기문 수가 가장 적은 곤충은?
31. 마늘 수확 후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은?
32. 벼 오갈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33. 작용기작에 따른 살충제 분류에서 신경정보전달 교란에 의한 저해제에 속하는 것은?
3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살충제는?
35. 배추흰나비가 십자화과 채소에만 알을 낳는 이유는?
36. 곤충의 발육과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학명을 기재할 때 사용하는 것은?
38.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39.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0. 솔잎혹파리의 생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벼에서 냉해에 의하여 발생이 많아지는 병해는?
42. 다음 시료의 순활종자(Pure Live Seed)는?
43. 벼 종자의 파종 깊이에 따른 발아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44. 다음 중 작물재배 시 부족하면 수정 및 결실이 나빠지는 미량원소는?
45. 잡초의 특징이 아닌 것은?
46. 2년생 작물은 어느 것인가?
47. 맥류의 도복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 작물의 수해(水害)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49. 시설재배의 환경특이성을 옳게 설명한 것은?
50. 형태적 특성에 의한 검사 중 종자의 특성 조사항목이 아닌 것은?
51. 육묘하여 이식하는 필요성과 거리가 먼 것은?
52. 다음 중 목초의 하고대책이 아닌 것은?
53. 토양을 보호하여 침식을 막는 효과를 가진 작물은?
54. 엽록소의 구성원소로서 결핍시 잎에서 황백화 현상이 나타나는 무기성분은 무엇인가?
55. 온도와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56. 작물의 내동성에 관한 설명이 바른 것은?
57. 작물분류 시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명칭은?
58. 딸기나 들깨 잎에 장일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LED 등은 무슨 색 광인가?
59. 경운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0. 대표적인 구황작물로서 과거 가뭄이 심한 해에 흔히 이용되었던 것은?
4과목: 농약학
61. 입제의 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62. 사용목적에 따른 살충제 농약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3. 다음 중 농약의 분류상 맞지 않는 조합은?
64. 다음 중 제초제를 처리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은?
65. 다음 중 약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66. 농약잔류허용기준(MRL)을 설정하는데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67. 농약 중독 시 응급처치 요령이 아닌 것은?
68. 농약 살포액의 약액 입자가 가장 작은 살포방법은?
69. 다음 중 살선충제로 사용되는 약제는?
70. 다음 농약 중 유기인계 살균제인 것은?
71. 유제(乳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 입상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73. 잡초방제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Glyphosate 액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4. 살포액 조제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6. 리바이지드 50% 유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 당 180L를 살포하려 할 때, 리바이지드 50% 유제의 소요량은?
77. 농약의 제형 중,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 해당되니 않는 것은?
78. 다음 중 과실의 착색, 숙기촉진을 위해서 사용하는 약제는?
79. 농약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80. 농용항생제로서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이 아닌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잡초는?
82. 잡초의 밀도가 증가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고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이 수준까지의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83. 식물의 타감작용(상호대립억제작용, allelopathy)을 나타내는 물질은?
84. 흑색달팽이 방류시 강피 억제율을 조사하고자 한다. 흑색달팽이 방류시 무처리 강피 발생 172본/m2 에 대한 강피 23본/m2 이 발생되었을 때, 강피 억제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
85. 친환경 잡초 방제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6. 다음 중 다년생 잡초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87. 다음 중 이행형 제초제가 아닌 것은?
88. 일반적으로 작물과 잡초간 경합으로 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시기는?
89. 일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90. 잡초 방제법을 물리적, 화학적, 예방적 방제법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예방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91. 겨울잡초로만 나열 된 것은?
92. 제초제가 작물에는 피해(약해)를 주지 않고 잡초만을 죽일 수 있는 특성은?
93. 잡초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4.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 원인은?
95. 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96. 비선택적으로 식물을 전멸시키는 제초제는?
97.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 간의 차이처럼 식물의 생장형이 달라서 나타나는 선택성은?
98. 작물이 잡초로부터 받는 피해경로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 피해 경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간접적인 피해 경로에 해당하는 것은?
99. 농경지에서 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100. 방동사니류 잡초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