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용접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유황은 강철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1. 저온인성
  2. 적열취성
  3. 저온취성
  4. 적열인성
(정답률: 80%)
  • 유황은 강철의 적열취성을 높여준다. 이는 유황이 강철과 결합하여 강철의 결정구조를 안정화시켜서 발생한다. 따라서, 강철이 고온에서 녹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온도에서도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성분계의 평형 상태도에서 액체, 고체의 어느 상태에서도 일부분 밖에 녹지 않는 형은?

  1. 공정형
  2. 포정형
  3. 편정형
  4. 전율 고정형
(정답률: 36%)
  • 편정형은 2성분계의 평형 상태에서 고체와 액체 모두에서 일부만 녹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고체와 액체 간의 용해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데, 고체 상태에서는 용질이 액체 상태보다 더 밀집하므로 일부만 용해됩니다. 따라서 편정형은 고체와 액체 모두에서 일부만 녹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강의 표면 경화 열처리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화염경화법
  2. 고주파경화법
  3. 시안화법
  4. 오스템퍼링법
(정답률: 57%)
  • 강의 표면 경화 열처리 방법에는 "화염경화법", "고주파경화법", "시안화법"이 포함되어 있지만, "오스템퍼링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오스템퍼링법"이 강의 내부의 조직 구조를 변화시키는 열처리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를 나타내는 식은?

  1. 염기도 = {Σ염기성 성분 / Σ산성 성분}
  2. 염기도 = {Σ산성 성분 / Σ염기성 성분}
  3. 염기도 = {Σ용융금속 성분 / Σ용융슬래그 성분}
  4. 염기도 = {Σ용융슬래그 성분 / Σ용융금속 성분}
(정답률: 62%)
  •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는 용융 슬래그 내에 존재하는 염기성 성분과 산성 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염기도는 염기성 성분의 총합을 산성 성분의 총합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염기도 = {Σ염기성 성분 / Σ산성 성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용접부를 어떤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재질이 연화되어 연성이 증가하고 내부 응력을 제거하며 정상적인 재료의 성질로 회복되는 열처리법은?

  1. 화염경화법
  2. 노멀라이징
  3. 고주파경화법
  4. 어닐링
(정답률: 46%)
  • 용접부를 고온으로 가열하면 재질이 연화되어 연성이 증가하고 내부 응력이 제거됩니다. 이때, 재질의 성질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열처리법이 어닐링입니다. 어닐링은 고온에서 재질을 천천히 냉각시켜 재질의 성질을 안정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재질의 경도와 인성을 개선하고 내부 응력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서 용접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4.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정답률: 84%)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크롬과 니켈 함량이 높아 용접성이 우수하며, 내식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용도가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저용융점 합금이란 어떤 원소보다 용융점이 낮은 것을 말하는가?

  1. Zn
  2. Cu
  3. Sn
  4. Pb
(정답률: 36%)
  • 저용융점 합금은 용융점이 낮은 원소를 사용하여 만든 합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Sn"은 다른 보기보다 용융점이 가장 낮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Zn"과 "Cu"는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고, "Pb"는 "Sn"보다 용융점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의 자기 변태 온도는 다음 중 대략 얼느 정도인가?

  1. 262℃
  2. 358℃
  3. 768℃
  4. 1160℃
(정답률: 82%)
  • 철의 자기 변태 온도는 768℃이다. 이는 철이 자기적으로 성질이 바뀌는 온도로, 이 온도 이상에서는 철이 자기적으로 자기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철이 자성체에서 비자성체로 변하는 온도로서, 철이 자성체에서 비자성체로 변하면서 자기적인 특성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자기 변태 온도는 철의 물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융금속의 결정을 미세화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자기교반에 의한 방법
  2. 초음파 진동에 의한 방법
  3. 실드 가스로 알곤을 사용하는 방법
  4.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방법
(정답률: 49%)
  • 실드 가스로 알곤을 사용하는 방법은 용융금속의 결정을 미세화시키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 방법은 용접 과정에서 용융금속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용융금속의 결정을 미세화시키는 특별한 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실드 가스로 알곤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체심입방격자에 속하는 원자수는 모두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4개
  4. 6개
(정답률: 62%)
  • 체심입방격자는 s, p, d, f 서브오비탈을 포함하는 4개의 오비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오비탈은 최대 2개의 전자를 가질 수 있으므로, 체심입방격자에는 최대 2 x 4 = 8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자수는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서로 120도를 이루는 3개의 기본 축에 물체의 정면, 평면, 측면을 볼 수 있도록 두 개의 옆면 모서리가 수평선과 30도 되게 투상한 것은?

  1. 제 1 각법
  2. 등각 투상법
  3. 사 투상법
  4. 제 3 각법
(정답률: 78%)
  • 등각 투상법은 서로 120도를 이루는 3개의 기본 축에 물체의 정면, 평면, 측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상법 중 하나이다. 이 경우 두 개의 옆면 모서리가 수평선과 30도 되게 투상되므로, 이는 등각 삼각형의 한 각이 60도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등각 투상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상선을 이용한 도시에서 대상물의 가공 전의 모양이나 가공 후의 모양 또는 조립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선은?

  1. 실선
  2. 은선
  3. 가는 2점 쇄선
  4. 가는 1점 쇄선
(정답률: 52%)
  • 가상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가공 전이나 후의 모양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입니다. 이 중에서 가공 전의 모양이나 가공 후의 모양, 조립 후의 모양을 표시할 때는 가는 2점 쇄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가공 전과 후의 모양이나 조립 후의 모양이 동일한 경우에도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가는 2점 쇄선은 끝점에서 약간 벌어져 있는 형태로 표시되며, 가공 전과 후의 모양이나 조립 후의 모양이 다른 경우에는 가는 1점 쇄선이나 은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면에서 해칭 (hatching)을 하는 경우는?

  1. 움직이는 부분을 나타내고자 할 때
  2. 회전하는 물체를 나타내고자 할 때
  3. 절단 단면 부분을 나타내고자 할 때
  4. 이웃하는 부품과의 경계를 나타낼 때
(정답률: 81%)
  • 해칭은 도면에서 절단 단면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해칭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굵게 칠하여 단면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제품의 내부 구조와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단 단면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해칭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KS 규격에서 회주철을 의미하는 기호는?

  1. GC100
  2. SC360
  3. BMC27
  4. C1020BE
(정답률: 54%)
  • 정답은 "GC100"입니다. KS 규격에서 "G"는 구조용 강재를 나타내고, "C"는 일반 탄소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GC"는 구조용 일반 탄소강을 의미합니다. "100"은 강재의 최소 항복강도를 나타내며, 이 경우 100N/mm²입니다. 따라서 "GC100"은 구조용 일반 탄소강 회주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KS 규격에서 용접부 비파괴시험기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T - 방사선 투과 시험
  2. PT - 침투 탐상 시험
  3. LT - 누설 시험
  4. PRT - 변형도 측정 시험
(정답률: 63%)
  • KS 규격에서 용접부 비파괴시험기호 중 PRT는 변형도 측정 시험을 의미한다. 이 시험은 용접 후 용접부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여 용접의 품질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PRT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계재료 표시방법에서 SF340A에서 340의 표시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단조품
  2. 최저인장강도
  3. 최고인장강도
(정답률: 83%)
  • SF340A에서 340은 최저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기재재료의 인장강도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은 해당 재료의 인장강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치수보조 기호에 대한 용어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R - 반지름
  2. ø- 지름
  3. SR - 구의 반지름
  4. C - 치핑
(정답률: 83%)
  • 치핑은 치수보조 기호가 아니라 가공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과 달리 치수보조 기호와 연결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 - 치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 중에서 용접 기호(이음용접)를 나타내는 부분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53%)
  • 정답은 "C"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두 개의 부품이 이음용접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음용접을 나타내는 기호가 "C"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A"는 T자용접, "B"는 삼각용접, "D"는 사각용접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준규격(제도규격)을 제정하는 목적을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

  1. 설계자의 의도를 오해 없이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2.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3. 품질향상에 기여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4. 국제 표준화기구와 다른 나라와의 차이를 두기위하여
(정답률: 81%)
  • "국제 표준화기구와 다른 나라와의 차이를 두기위하여"는 틀린 설명입니다. 표준규격을 제정하는 목적은 설계자의 의도를 오해 없이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품질향상에 기여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등이 있습니다. 국제 표준화기구는 다양한 나라들이 함께 협력하여 표준규격을 제정하는 국제기구이며, 다른 나라와의 차이를 두기 위한 목적으로 표준규격을 제정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재료 기호 SM 400A에서 재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2. 연강 선재
  3.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4. 열간 압연 연강판
(정답률: 63%)
  • SM 400A는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입니다. 이는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용접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강재로,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며 용접성이 우수합니다.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와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연강 선재와 열간 압연 연강판은 SM 400A와는 다른 종류의 강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가용접(tack welding)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부재 강도상 중요한 장소는 가용접을 피한다.
  2. 가용접용의 용접봉은 본용접보다 지름이 약간 굵은 것을 사용한다.
  3. 본 용접 전에 좌우의 홈부분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짧은 용접이다.
  4. 가용접은 본용접 못지 않게 중요하다.
(정답률: 86%)
  • 가용접용의 용접봉은 본용접보다 지름이 약간 굵은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가용접은 본용접 전에 부재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용접이기 때문에, 본용접보다는 강도가 약한 용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용접용의 용접봉은 본용접보다 지름이 약간 굵은 것을 사용하여 강도를 보완하고, 부재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맞대기 용접 이음 홈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양면 J형
  2. C형
  3. K형
  4. H형
(정답률: 77%)
  • "C형"은 맞대기 용접 이음 홈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C형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양면 J형, K형, H형은 모두 맞대기 용접 이음 홈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완전용입 T형 맞대기용접 이음에 굽힘 모멘트 Mb=9000 kgfㆍcm가 작용할 때 최대 굽힘 응력(kgf/cm2)은? (단, L=400mm, L=300mm, t=20mm, P(kgf)는 하중이다.)

  1. 30
  2. 300
  3. 45
  4. 450
(정답률: 36%)
  • 이 문제는 최대 굽힘 응력을 구하는 문제이다. 최대 굽힘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대 굽힘 응력 = (굽힘 모멘트 × 팔 길이) ÷ 단면계수 × 단면적

    여기서 굽힘 모멘트는 Mb=9000 kgfㆍcm, 팔 길이는 L=400mm, 단면계수는 T형 맞대기용접 이음의 경우 1.17이다. 단면적은 T형 맞대기용접 이음의 경우 (2t × L) + (t × t/2) 이므로, t=20mm, L1=400mm, L2=300mm 일 때,

    단면적 = (2 × 20 × 400) + (20 × 20/2) + (2 × 20 × 300) + (20 × 20/2) = 28000 mm2

    따라서 최대 굽힘 응력은 (9000 × 400) ÷ (1.17 × 28000) = 30 kgf/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재료의 내부에 남아 있는 응력은?

  1. 좌굴응력
  2. 변동응력
  3. 잔류응력
  4. 공칭응력
(정답률: 86%)
  • 잔류응력은 재료 내부에 남아 있는 응력으로, 외부의 응력이 제거되어도 내부에서는 계속 남아있는 응력을 말합니다. 이는 재료의 가공, 열처리, 냉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재료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접에 의한 잔류응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은?

  1. 정적강도
  2. 취성파괴
  3. 피로강도
  4. 횡 굴곡
(정답률: 42%)
  • 정적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잔류응력을 최소화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재료가 힘을 받았을 때 변형되지 않고 유지되는 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접 후에도 변형이 적은 정적강도가 가장 적은 잔류응력을 가지게 됩니다. 취성파괴, 피로강도, 횡 굴곡은 재료의 강도와는 관련이 있지만, 잔류응력을 최소화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필릿용접에서, 모재가 용접선에 각을 이루는 경우의 변형은?

  1. 종수축
  2. 좌굴변형
  3. 회전변형
  4. 횡굴곡
(정답률: 39%)
  • 필릿용접에서 모재가 용접선에 각을 이루는 경우, 용접선 주변의 모재는 열팽창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한다. 이때, 모재의 변형 방향에 따라 종수축, 좌굴변형, 회전변형, 횡굴곡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접선 주변의 모재가 수직 방향으로 횡단되는 경우에는 횡굴곡이 발생한다. 이는 용접선 주변의 모재가 열팽창으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변형으로, 용접선 주변의 모재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횡굴곡은 용접선 주변의 모재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용접시에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접에서 수축변형의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횡굴곡
  2. 역변형
  3. 종굴곡
  4. 좌굴변형
(정답률: 60%)
  • 용접에서 수축변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역변형"입니다. 역변형은 일반적으로 금속의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용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세 가지 수축변형인 횡굴곡, 종굴곡, 좌굴변형은 모두 용접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착 금속의 인장강도를 구하는 옳은 식은?

  1. 인장강도 = 인장하중/시험편의 단면적
  2. 인강강도 = 시험편의 단면적/인장하중
  3. 인장강도 = 표점거리/연신율
  4. 인장강도 = 연신율/표점거리
(정답률: 68%)
  • 인장강도는 단위 면적당 얼마나 많은 인장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인장하중을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누어주어야 합니다. 이는 시험편의 단면적이 클수록 인장하중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 = 인장하중/시험편의 단면적"이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용접 전 변형량을 대략 예측할 수 있을 때 사용할수 있는 변형 방지법은?

  1. 역 변형법
  2. 피닝법
  3. 냉각법
  4. 국부 긴장법
(정답률: 77%)
  • 역 변형법은 용접 전에 예측된 변형량을 반대 방향으로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용접 후에 발생할 실제 변형량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용접 전에 변형량을 대략 예측할 수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변형 방지법으로 적합합니다. 피닝법은 용접 전에 부위를 미리 절단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고, 냉각법은 용접 후 빠른 냉각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국부 긴장법은 용접 전에 부위를 미리 압축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 변형의 경감 및 교정방법에서 용접부에 구리로 된 덮개판을 두든지 뒷면에서 용접부를 수냉 또는 용접부 근처에 물끼 있느 석면, 천 등을 두고 모재에 용접입열을 막음으로써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은?

  1. 롤링법
  2. 피닝법
  3. 도열법
  4. 억제법
(정답률: 67%)
  • 도열법은 용접부 주변에 물끼나 석면, 천 등을 두어 용접입열을 막음으로써 용접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니라, 용접 후에 용접부를 뜨거운 상태에서 천 등으로 감싸거나 물에 담그는 등의 방법으로 용접부를 냉각시켜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열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접부의 인장시험에서 최초로 표점 사이의 거리 L0로 하고, 판단 후의 표점 사이의 거리 L1로 하면, 파단까지의 변형율 δ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8%)
  • δ = (L1 - L0) / L0 x 100%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인장시험에서는 시편을 늘리는 변형을 가하면서 표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변형 전의 거리 L0과 변형 후의 거리 L1을 측정하여 변형율을 계산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V형 맞대기 용접(완전한 용입)에서 판 두께가 10mm 용접선의 유효길이가 200mm일 때, 여기에 50Kgf/mm2의 인장(압축)응력이 발생한다면 용접선에 직각방향으로 몇 Kgf의 인장(압축)하중이 작용하겠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000Kgf
  2. 5000Kgf
  3. 10000Kgf
  4. 15000Kgf
(정답률: 66%)
  • 용접선에 작용하는 응력은 인장과 압축이 동시에 발생하므로, 인장과 압축 응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의 합이 50Kgf/mm2가 되어야 한다.

    용접선의 단면적은 π/4 × (용접선 지름)2 이므로, 용접선의 인장(압축)하중은 다음과 같다.

    인장(압축)하중 = (인장응력 + 압축응력) × 용접선 단면적 × 유효길이
    = (50Kgf/mm2 + (-50Kgf/mm2)) × (π/4 × (10mm)2) × 200mm
    = 10000Kgf

    따라서 정답은 "10000Kg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부의 시험법에서 시험편에 V형 또는 U형 등의 노치(notch)를 만들고, 하중을 주어 파단시키는 시험방법은?

  1. 경도 시험
  2. 인장 시험
  3. 굽힘 시험
  4. 충격 시험
(정답률: 45%)
  • 이 시험은 부식, 파손, 녹, 피로 등의 결함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시험편에 노치를 만들어 하중을 주어 파단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충격 시험"이라고 불립니다. 다른 시험 방법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시험편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두께가 6.4mm인 두 모재의 맞대기 이음에서 용접 이음부가 4536 kgf의 인장하중이 작용할 경우 필요한 용접부의 최소 허용길이(mm)는? (단, 용접부의 허용인장응력은 14.06Kg/mm2이다.)

  1. 50.4
  2. 40.3
  3. 30.1
  4. 20.7
(정답률: 54%)
  • 용접부의 최소 허용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용접부의 최소 허용길이 = 인장하중 / (용접부의 허용인장응력 x 용접부의 단면적)

    여기서 용접부의 단면적은 두 모재의 두께의 합과 같다.

    따라서, 용접부의 최소 허용길이 = 4536 kgf / (14.06 kg/mm^2 x 12.8 mm) = 28.125 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두 모재의 맞대기 이음에서 용접을 하므로, 용접부의 길이는 두 모재의 두께의 합보다는 조금 더 길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1.5배 정도를 더해준다.

    따라서, 용접부의 최소 허용길이 = 28.125 mm x 1.5 = 42.1875 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용접부의 길이가 정수로 주어져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42 mm보다는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50.4 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과 같은 필릿이음의 용접부 인장응력(kgf/mm2)은 얼마 정도 인가?

  1. 약 1.4
  2. 약 3.5
  3. 약 5.2
  4. 약 7.6
(정답률: 41%)
  • 용접부의 인장응력은 인장하중과 단면적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인장하중이 700kgf이고, 단면적은 200mm2이다. 따라서 인장응력은 700kgf / 200mm2 = 3.5kgf/mm2 이다. 이 값을 kgf/mm2에서 kgf/mm2로 변환하면 약 3.5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연강의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용착금속의 인장강도가 40 kgf/mm2, 안전율이 8이면, 이음의 허용응력은?

  1. 5 kgf/mm2
  2. 8 kgf/mm2
  3. 40 kgf/mm2
  4. 48 kgf/mm2
(정답률: 74%)
  • 허용응력 = 인장강도 / 안전율 = 40 kgf/mm2 / 8 = 5 kgf/mm2. 안전율은 용접 이음에서 예상되는 응력의 최대치를 고려하여 적용되는 계수이며, 이 경우에는 인장강도를 8로 나누어 허용응력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 kgf/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의 종류가 E4340 이라고 할 때, 이 용접봉의 피복제의 계통은?

  1. 철분 산화철계
  2. 철분 저수소계
  3. 특수계
  4. 저수소계
(정답률: 74%)
  • E4340 용접봉의 피복제 계통은 "특수계"이다. 이는 이 용접봉이 고합금강을 용접하기 위해 개발된 용접봉으로, 특수한 화학성분과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용접봉의 피복제는 특수한 계통에 속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스테인리스 강 (Stainless Steel) 이나 고장력 강의 용접에서 잔류응력에 의해 결정 입계에 따라 발생되는 균열은?

  1. 응력 부식 균열
  2. 재열 균열
  3. 횡 균열
  4. 종 균열
(정답률: 65%)
  • 스테인리스 강이나 고장력 강은 용접 후 잔류응력이 발생하며, 이는 결정 입계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균열을 응력 부식 균열이라고 합니다. 이는 용접 후 잔류응력과 함께 부식 환경에서 발생하는 응력 부식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로, 재료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시에는 이러한 균열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접 선의 양측을 정속으로 이동하는 가스 불꽃에 의하여 나비 약 150mm 에 걸쳐서 150 ~ 200℃로 가열한 다음 곧 수냉하여 주로 용접선 방향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피닝법
  2. 기계적 응력 완화법
  3. 저온 응력 완화법
  4. 국부 풀림법
(정답률: 71%)
  • 이 방법은 용접 후 발생하는 용접선 방향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용접선 양측을 가열한 후 빠르게 수냉하여 저온으로 가열된 부분을 냉각시켜 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온 응력 완화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 중 필릿(용접) 겹치기 이음은?

(정답률: 77%)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필릿(용접) 겹치기 이음은 두 개의 금속을 겹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두 개의 금속을 겹쳐 용접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용접 방법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가스절단 되기 위한 조건 중에서 틀린 것은?

  1. 모재가 산화연소 하는 온도는 그 금속의 용융점보다 높을 것
  2. 생성된 금속산화물의 용융온도는 모재의 용융온도보다 낮을 것
  3. 생성된 산화물은 유동성이 좋을 것
  4. 금속의 화합물 중에 연소되지 않는 물질이 적을 것
(정답률: 41%)
  • "모재가 산화연소 하는 온도는 그 금속의 용융점보다 높을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가스절단 작업에서 모재는 가열되어 산화되고, 그 산화물은 고온에서 용융되어 제거됩니다. 따라서 모재가 산화연소하는 온도는 용융점보다 높아야 합니다.

    다른 조건들도 모두 맞습니다. 생성된 금속산화물의 용융온도는 모재의 용융온도보다 낮아야 제거가 가능하며, 생성된 산화물은 유동성이 좋아야 제거가 용이합니다. 또한, 연소되지 않는 물질이 적을수록 효율적인 가스절단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렉트로 슬래그(Electro slag) 용접은 다음 중 어떤 종류의 열원을 사용하는 것인가?

  1. 전류의 전기저항열
  2.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열
  3. 원자의 분리 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4. 점화제의 화학반응에 의한 열
(정답률: 62%)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전류의 전기저항열을 사용하는 용접 방법입니다.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전기저항열이 발생하고, 이 열로 인해 용접봉이 녹아 모재와 결합됩니다. 따라서 전류의 전기저항열이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서 사용되는 열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로 상하부재의 접합을 위하여 한편의 부재에 구멍을 뚫어, 이 구멍 부분을 채우는 형태의 용접방법은?

  1. 필릿 용접
  2. 맞대기 용접
  3. 플러그 용접
  4. 플래시 용접
(정답률: 83%)
  • 플러그 용접은 상하부재의 접합을 위해 한편의 부재에 구멍을 뚫고, 이 구멍 부분을 채우는 형태의 용접방법입니다. 따라서 상하부재의 접합을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필릿 용접은 작은 구멍을 채우는 용접방법이며, 맞대기 용접은 부재의 끝을 맞추어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플래시 용접은 높은 전류와 짧은 시간으로 용접을 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가장 높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용접 방법은?

  1. 테르밋 용접
  2. 엘렉트로 슬랙 용접
  3. 플라즈마 용접
  4. 원자수소 용접
(정답률: 50%)
  • 플라즈마 용접은 고열과 고압의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이는 다른 용접 방법보다 더 높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용접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아크 용접시, 감전 방지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비가 내리는 날이나 습도가 높은 날에는 특히 감전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2. 전격방지 장치는 매일 점검하지 않으면 안된다.
  3. 홀더의 절연상태가 충분하면 전격방지 장치는 필요 없다.
  4. 용접기의 내부에 함부로 손을 대지 않는다.
(정답률: 84%)
  • "홀더의 절연상태가 충분하면 전격방지 장치는 필요 없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홀더의 절연상태가 충분하더라도 감전 방지를 위해 전격방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이유는 전격방지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내용이 부적절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보기와 같은 아크 용접봉이 있다. 용접봉의 지름은 얼마인가?

  1. 5mm
  2. 43mm
  3. 400mm
  4. 16mm
(정답률: 76%)
  • 아크 용접봉의 지름은 그림에서 보이는 두 개의 선분의 길이가 같으므로, 선분의 길이가 5mm인 선택지 "5m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용접기를 설치해서는 안되는 장소는?

  1. 진동이나 충격이 없는 장소
  2. 휘발성 가스가 있는 장소
  3. 기름이나 증기가 없는 장소
  4. 주위온도가 -5℃인 장소
(정답률: 81%)
  • 용접기는 불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데, 이 과정에서 불꽃이 발생하고 열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휘발성 가스가 있는 장소에서는 용접기를 설치해서는 안됩니다. 휘발성 가스와 불꽃이 만나면 폭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기의 보수 및 점검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2차측 단자의 한쪽과 용접기 케이스는 접지해서는 안된다.
  2. 가종부분 냉각팬을 점검하고 주유해야 한다.
  3. 탭 전환의 전기적 접속부는 자주 샌드페이퍼 등으로 잘 닦아준다.
  4. 용접 케이블 등의 파손된 부분은 절연 테이프로 감아야 한다.
(정답률: 64%)
  • "2차측 단자의 한쪽과 용접기 케이스는 접지해서는 안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반드시 접지해야 하는 부분이다. 용접기의 2차측 단자는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접지를 통해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용접 피복제의 성분 중 아크안정제의 역할을 하는 것은?

  1. 알루미늄
  2. 마그네슘
  3. 니켈
  4. 석회석
(정답률: 64%)
  • 용접 피복제의 성분 중 아크안정제는 전극과 용접 부위 사이의 아크를 안정시켜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아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석회석은 아크안정제로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석회석은 전기를 통과시키면 열을 방출하여 아크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아크안정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석회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용접 작업에 필요한 보호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호안경은 적외선, 자외선, 강렬한 가시광선과 비산되는 불꽃에서 눈을 보호한다.
  2. 보호장갑은 화상방지를 위하여 꼭 착용한다.
  3. 앞치마와 팔덮개 등은 착용하면 작업하기에 힘이 들기 때문에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4. 유해가스가 발생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방독면을 착용 한다.
(정답률: 86%)
  • "앞치마와 팔덮개 등은 착용하면 작업하기에 힘이 들기 때문에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앞치마와 팔덮개 등은 작업 중에 불꽃이나 녹는 금속 등이 몸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옷이 불에 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착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으면 작업 중에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크용접에서 피복제의 주요작용으로 가장 알맞은 설명은?

  1. 용착금속의 함금 원소 제거
  2. 용융점이 높은 적당한 점성의 무거운 슬랙생성
  3. 용착금속의 탈산 정련작용
  4. 용착금속의 응고와 냉각속도 증가
(정답률: 63%)
  • 피복제는 용착금속의 표면을 보호하고 용착부위를 정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주요한 작용은 용착금속의 탈산 정련작용입니다. 이는 피복제가 용착부위에서 생성되는 산화물과 함께 용착금속에서 함유된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제거함으로써 용착금속의 순도를 높이는 작용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용접부위의 강도와 내식성 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직류아크 용접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아크쏠림의 방지가 가능하다.
  2. 감전의 위험이 적다.
  3. 아크가 안정하다.
  4. 극성의 변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49%)
  • 직류아크 용접기는 아크쏠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발생할 경우에도 적은 양의 아크쏠림이 발생하므로 "아크쏠림의 방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복 아크 용접에서 직류정극성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재를 +극에, 용접봉을 -극에 연결한다.
  2. 모재의 용입이 얕아진다.
  3. 두꺼운 판의 용접에 적합하다.
  4. 용접봉의 용융이 늦다.
(정답률: 63%)
  • "모재의 용입이 얕아진다."가 틀린 것이다. 피복 아크 용접에서는 모재를 +극에, 용접봉을 -극에 연결하여 직류전류를 흘려 용접을 수행한다. 이 때, 용접봉의 용융이 늦어지는 특성 때문에 두꺼운 판의 용접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재의 용입이 얕아지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경납땜에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좋아야 한다.
  2. 접합이 튼튼하고 모재와 친화력이 없어야 한다.
  3. 모재와 야금적 반응이 만족스러워야 한다.
  4. 모재와의 전위차가 가능한 한 적어야 한다.
(정답률: 73%)
  • "접합이 튼튼하고 모재와 친화력이 없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경납땜에서는 접합이 튼튼하고 모재와 친화력이 높아야 한다. 이는 땜납이 모재와 잘 결합하고 강한 결합력을 가지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O2 가스로 충전된 CO2 가스 용량은 무엇으로 나타내는가?

  1. CO2 가스 조정기의 압력
  2. 용기 내의 가스 중량
  3. 충전 전의 용기 중량
  4. 충전 후의 용기 중량
(정답률: 52%)
  • CO2 가스는 압축된 상태로 용기에 충전되기 때문에, 용기 내의 가스 중량으로 나타내는 것이 적절하다. 충전 전의 용기 중량과 충전 후의 용기 중량은 CO2 가스 외에도 용기 자체의 무게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용량을 나타내기에는 부적절하다. CO2 가스 조정기의 압력은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값으로, 용량을 나타내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이음부의 겹침을 판 두께 정도로 하고 겹쳐진 폭 전체를 가압하여 심 용접을 하는 방법은?

  1. 매시 심용접 (mash seam welding)
  2. 포일 심용접 (foil seam welding)
  3. 맞대기 심용접 (butt seam welding)
  4. 인터랙 심용접 (interact seam welding)
(정답률: 45%)
  • 매시 심용접은 이음부를 겹쳐진 폭 전체를 가압하여 심 용접하는 방법으로, 이음부의 겹침을 판 두께 정도로 하기 때문에 용접부의 두께가 일정하고 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매시 심용접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용접부에 외부에서 주어지는 열량을 용접입열이라고 한다. 피복아크 용접에서 아크가 용접의 단위 길이 1cm 당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 H는 아크전압 E(Volt), 아크 전류 I(ampere), 용접속도 V(cm/min)라 할 때, 어떤 관계식으로 주어지는가?

(정답률: 64%)
  • 답은 "" 이다. 이유는 주어진 식에서 H는 아크전압 E, 아크전류 I, 용접속도 V의 곱으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이 식은 용접입열을 계산하는 가장 기본적인 식으로, 아크전압과 아크전류가 높을수록, 용접속도가 느릴수록 용접입열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크용접 중 방독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는 용접 재료는?

  1. 주강
  2. 황동
  3. 아연도금판
  4. 카드뮴합금
(정답률: 60%)
  • 주강은 용접 시에 발생하는 유해 가스나 먼지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방독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황동, 아연도금판, 카드뮴합금은 용접 시에 유해 가스나 먼지를 발생시키므로 방독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스용접 및 가스절단에 사용되는 가연성 가스의 요구되는 성질 중 틀린 것은?

  1. 불꽃의 온도가 높을 것
  2. 발열량이 클 것
  3. 연소속도가 느릴 것
  4. 용융금속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률: 76%)
  • 가스용접 및 가스절단에 사용되는 가연성 가스는 불꽃의 온도가 높고 발열량이 크며 용융금속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지만, 연소속도가 느릴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빠른 연소속도가 필요합니다. 이는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니온멜트 용접 또는 케네디 용접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용제(flux)를 사용하는 용접법은?

  1. 서브머지드 용접
  2. 불활성가스 용접
  3. 원자수소 용접
  4. CO2가스 용접
(정답률: 65%)
  • 유니온멜트 용접은 용제를 사용하는 용접법이지만, 서브머지드 용접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용접법이다. 서브머지드 용접은 용접 부위를 물속에 잠금으로써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불활성가스를 이용하여 산화를 방지하며 용접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브머지드 용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