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용접산업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할 때 고온균열(Hot crack)이 발생하기 쉬운 원인이 아닌 것은?

  1.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2. 크레이터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
  3. 모재가 오염되어 있을 때
  4. 자유로운 상태에서 용접할 때
(정답률: 78%)
  • 자유로운 상태에서 용접할 때는 용접 부위가 고정되지 않아 용접 중에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는 용접 부위가 과열되어 고온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크레이터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는 용접 부위의 응력이 커져 고온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재가 오염되어 있을 때는 용접 부위의 결함이 발생하여 고온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접분위기 중에서 발생하는 수소의 원(源)이 될 수 없는 것은?

  1. 플럭스 중의 무기물
  2. 고착제(물유리 등)가 포함한 수분
  3. 플럭스에 흡수된 수분
  4. 대기중의 수분
(정답률: 66%)
  • 플럭스 중의 무기물은 수소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수소의 원(源)이 될 수 없습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수소의 원(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금속의 결정격자는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정상적이지만 불완전한 것 또는 결함이 있을 때 외력이 작용하면 불완전한 곳 및 결함이 있는 곳에서부터 이동이 생기는 현상은?

  1. 쌍위
  2. 전위
  3. 슬립
  4. 가공
(정답률: 67%)
  • 결함이 있는 곳에서부터 이동이 생기는 현상은 전위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결함이 있는 곳에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위 차이가 발생하고, 이 전위 차이가 다른 전자들을 이끌어내어 결함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속에 고온으로 장시간동안 일정한 인장하중을 가하면 시간과 더불어 변형도가 증가되는 현상은?

  1. 석출
  2. 공석
  3. 공정
  4. 크리프
(정답률: 70%)
  • 고온에서 금속 결정구조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이 이동하면서 금속의 변형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크리프라고 합니다. 이는 시간과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장시간동안 일정한 인장하중을 가하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리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금속침투법 중 아연(Zn)을 침투시키는 것은?

  1. 칼로라이징(Caloriging)
  2. 실리코나이징(Siliconiging)
  3. 세라다이징(Sheradizing)
  4. 크로마이징(Chromizing)
(정답률: 44%)
  • 세라다이징은 아연을 침투시키는 금속침투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아연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부식성 용액에 녹인 후, 부식액에서 금속을 침투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아연 코팅이 두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부식에 강합니다. 또한, 세라다이징은 고온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열처리 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용접금속 조직의 특징에서 주상정(主狀晶)의 발달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용접 중에 초음파 진동을 적용하는 방법
  2. 용접 중에 공기 충격을 적용하는 방법
  3. 용접 직후에 롤러가공을 적용하는 방법
  4. 용접 금속 내의 온도 구배를 현저하게 하는 방법
(정답률: 50%)
  • 용접 중에 금속 조직이 주상정(主狀晶)으로 발달하는 것은 금속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발생하는데, 이는 금속 내부의 온도 구배가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금속 내의 온도 구배를 현저하게 하는 방법은 주상정 발달을 촉진시키는 방법이므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납 땜에 주로 사용되는 연납의 성분은?

  1. 아연 + 납
  2. 주석 + 납
  3. 구리 + 납
  4. 알루미늄 + 납
(정답률: 60%)
  • 연납은 주로 납과 주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주석이 납과 합쳐져서 높은 내식성과 인성을 가지는 합금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아연, 구리, 알루미늄 등도 연납에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주석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는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특수한 구면상의 선단을 갖는 해머(hammer)로서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해 줌으로서 용접 표면에 소성 변형을 생기게 하는 것은?

  1. 노내 풀림법
  2. 국부 풀림법
  3. 저온응력 완화법
  4. 피닝 법
(정답률: 86%)
  • 해머로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해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것은 피닝 법이다. 이는 용접 후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용접 부위에 응력을 가해 용접 부위의 결함을 예방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금속의 결정 구조에서 결정의 성장 중 수지상 결정(樹枝狀 結晶)에 해당하는 것은?

  1. 덴드라이트
  2. 공석강
  3. 면심 입방 격자
  4. 치환형 고용체
(정답률: 35%)
  • 덴드라이트는 금속 결정 구조에서 수지상 결정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수지상 결정은 결정의 성장 중에 수지에서 분리되어 성장하는 가지 모양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구조는 덴드라이트 모양과 유사하다고 해서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덴드라이트"가 정답이다. 공석강, 면심 입방 격자, 치환형 고용체는 금속의 결정 구조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수지상 결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내부 응력의 제거 또는 열처리 ㆍ 가공 등으로 인하여 경화된 재료의 연화 및 균열화를 위해 강재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일정 시간 유지 후, 노 안에서 서냉하는 열처리는?

  1. 어닐링
  2. 플러링
  3. 퀜칭
  4. 스웨이징
(정답률: 75%)
  • 어닐링은 강재를 가열하여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연화 및 균열화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노 안에서 서냉하는 열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제시된 조건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어닐링"이다. 플러링은 금속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가공 방법이며, 퀜칭은 금속을 빠르게 냉각하여 경도를 높이는 열처리 방법이다. 스웨이징은 금속을 늘리거나 줄이는 가공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계제도에서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성의 종류는?

  1. 가는 실선
  2. 일점 쇄선
  3. 이점 쇄선
  4. 가는 파선
(정답률: 66%)
  • 가는 파선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성으로, 물체의 내부 구조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물체의 실제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다른 종류의 선들은 물체의 외부 윤곽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면을 마이크로 필름에 촬영하거나 복사할 때에 편의를 위하여 윤곽선 중앙으로부터 용지의 가장자리에 이르는 굵기 0.5[㎜]의 수직선으로 그은 선은?

  1. 중심 마크
  2. 비교 눈금
  3. 도면의 구역
  4. 재단 마크
(정답률: 57%)
  • 중심 마크는 도면의 중심을 표시하기 위한 선으로, 도면을 마이크로 필름에 촬영하거나 복사할 때에 도면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비교 눈금은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선, 도면의 구역은 도면을 나누어 표시하기 위한 선, 재단 마크는 도면을 잘라내기 위한 선입니다. 따라서, 도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중심 마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계재료의 재질을 표시하는 기호 중 기계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는?

  1. AI
  2. SM
  3. Bs
  4. Br
(정답률: 87%)
  • SM은 "Structural Steel for Machinery"의 약자로, 기계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SM은 기계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입니다. AI는 알루미늄, Bs는 보일러용강, Br은 브론즈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상물의 구멍, 홈 등과 같이 한 부분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 그 부분만을 그리는 투상도는?

  1. 정투상도
  2. 회전 투상도
  3. 사투상도
  4. 국부 투상도
(정답률: 73%)
  • 국부 투상도는 대상물의 일부분만을 그리는 투상도이다. 따라서 대상물의 전체적인 형태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한 부분의 모양을 자세히 보여주기에 유용하다. 이에 비해 정투상도는 대상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회전 투상도는 대상물을 회전시켜서 보여주는 것이고, 사투상도는 대상물의 모든 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용접도시기호에 의하여 용접할 경우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살표쪽에 필릿용접한다.
  2. 목두께는 9[㎜]이다.
  3. 용접부의 개수는 2개 이다.
  4. 용접부 길이는 200[㎜]이다.
(정답률: 66%)
  • 용접부 길이는 200[㎜]이 아니다. 그림에서 보면 용접부의 길이는 100[㎜]씩 두 개가 있으므로, 총 길이는 2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적인 판금전개도를 그릴 때 전개 방법이 아닌 것은?

  1. 사각형 전개법
  2. 평행선 전개법
  3. 방사선 전개법
  4. 삼각형 전개법
(정답률: 64%)
  • 사각형 전개법은 일반적인 판금전개도를 그리는 방법이 아닙니다. 사각형 전개법은 사각형 모양의 판금을 전개하여 제작하는 방법으로, 다른 도형의 판금을 전개하는 일반적인 방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사각형 전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용접부의 비파괴검사(NDT) 기본기호중에서 잘못 표기된 것은?

  1. RT : 방사선 투과 시험
  2. UT : 초음파 탐상 시험
  3. MT : 침투탐상 시험
  4. ET : 와류탐상 시험
(정답률: 70%)
  • 정답은 "MT : 침투탐상 시험"입니다.

    MT는 자기입자검사(Magnetic Particle Testing)의 약어로, 침투탐상 시험이 아니라 자기입자검사를 의미합니다. 자기입자검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부식, 균열, 용접결함 등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RT는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ing)의 약어로, 물체 내부의 결함을 방사선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UT는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ing)의 약어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ET는 와류탐상검사(Eddy Current Testing)의 약어로, 전기적인 와류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상물의 일부를 파단한 경계 또는 일부를 떼어낸 경계를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선은?

  1. 해칭선
  2. 절단선
  3. 가상선
  4. 파단선
(정답률: 62%)
  • 파단선은 대상물의 일부를 파단한 경계 또는 일부를 떼어낸 경계를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선으로, 다른 보기인 해칭선은 그림의 음영을 입히기 위해 사용하는 선, 절단선은 대상물을 자르는 경계를 표시하는 선, 가상선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림을 그리는데 도움을 주는 선이므로, 이 중에서 파단선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명이면서 복잡한 윤곽을 갖는 부품일 경우 물체의 표면에 기름이나 광명단을 얇게 칠하고 그 위에 종이를 대고 눌러서 실제의 모양을 뜨는 방법은?

  1. 프린트법
  2. 모양뜨기법
  3. 프리핸드법
  4. 사진법
(정답률: 75%)
  • 기름이나 광명단을 얇게 칠한 부품의 모양을 뜨는 방법은 "프린트법"입니다. 이는 부품의 모양을 종이나 필름에 인쇄하여 물체의 모양을 복사하는 방법으로, 정확한 모양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3각법에서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도면에 표현한 투상도는?

  1. 정면도
  2. 평면도
  3. 우측면도
  4. 좌측면도
(정답률: 90%)
  • 3각법에서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도면에 표현한 것은 평면도이다. 이는 물체를 수평면에 투영하여 그린 것으로, 높이와 깊이를 나타내는 세로선과 가로선이 평면에 수평으로 그려진다. 이에 반해, 정면도는 물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양을 그린 것이며, 우측면도와 좌측면도는 물체를 각각 우측과 좌측에서 바라본 모양을 그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한 개의 용접봉으로 살을 붙일만한 길이로 구분해서, 홈을 한 부분씩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린 다음, 다른 부분으로 진행하는 용착법은?

  1. 개스케이드법
  2. 빌드업법
  3. 전진블록법
  4. 스킵법
(정답률: 35%)
  • 전진블록법은 한 개의 용접봉으로 살을 붙일만한 길이로 구분해서, 홈을 한 부분씩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린 다음, 다른 부분으로 진행하는 용착법이다. 이 방법은 용접할 부분을 높이 쌓아가면서 전진하면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전진블록법이라고 불린다. 이 방법은 용접할 부분이 큰 경우에 유용하며, 용접할 부분을 높이 쌓아가면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용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착금속의 충격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시험편의 파단에 필요한 흡수에너지가 크면 클수록 인성이 크다.
  2. 시험편의 파단에 필요한 흡수에너지가 작으면 작을수록 인성이 크다.
  3. 시험편의 파단에 필요한 흡수에너지가 크면 클수록 취성이 크다.
  4. 시험편의 파단에 필요한 흡수에너지는 취성과 상관 관계가 없다.
(정답률: 45%)
  • "시험편의 파단에 필요한 흡수에너지가 크면 클수록 인성이 크다." 이유는, 충격시험에서 시험편이 받는 충격에 대한 흡수능력이 높을수록 시험편이 파괴되기까지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험편의 인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흡수에너지가 작을수록 시험편의 인성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접 후 처리에서 외력만으로 소성변형을 일으켜 변형을 교정하는 것은?

  1.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
  2. 가열 후 해머로 두드리는 법
  3. 롤러에 거는 법
  4.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정답률: 52%)
  • 롤러에 거는 법은 용접 후 처리에서 외력을 이용하여 박판의 소성변형을 일으켜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박판을 롤러에 올려놓고 롤러를 이용하여 박판의 휘어짐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박판의 형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후 처리에서 박판의 정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속의 응고 과정에서 발출된 기체가 빠져 나가지 못하여 생긴 결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슬래그
  2. 설파 프린트
  3. 홀인
  4. 기공
(정답률: 86%)
  • 금속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기체가 발생하면서 금속 내부에 포집되어 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는 공간을 기공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기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용접입열을 미치는 중요인자가 아닌 것은?

  1. 아크전압
  2. 용접전류
  3. 용접속도
  4. 용접봉의 길이
(정답률: 83%)
  • 용접봉의 길이는 용접입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용접입열은 아크전압, 용접전류, 용접속도와 같은 인자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용접봉의 길이는 용접작업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요소이지만, 용접입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접을 기계적 이음과 비교할 때 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음효율이 대단히 높다.
  2. 수밀, 기밀을 얻기 쉽다.
  3. 응력집중이 생기지 않는다.
  4. 재료의 중량을 절약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응력집중이 생기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용접은 기계적 이음과 달리 부분적으로 열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재료의 구조가 변형되고 응력집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에서는 응력집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T 이음 등에서 강의 내부에 강판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으로 발생되는 균열로 주요 원인은 모재의 비금속 개재물인 것은?

  1. 재열균열
  2. 루트균열(root crack)
  3. 라멜라테어(lamellar rear)
  4. 래미네이션균열(lamination crack)
(정답률: 52%)
  • 라멜라테어(lamellar rear)는 모재 내부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로, 모재 내부의 비금속 개재물이 층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함은 모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강판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으로 발생되는 균열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부의 시험에서 확산성 수소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1. 기름 치환법
  2. 글리세린 치환법
  3. 수분 치환법
  4. 충격 치환법
(정답률: 49%)
  • 용접부의 시험에서 확산성 수소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글리세린 치환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에 존재하는 확산성 수소를 글리세린과 반응시켜 수소가 생성되는 양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정확하며,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글리세린은 비교적 안전하고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필릿 용접 이음부의 강도를 계산할 때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것은?

  1. 루트 간격
  2. 각장 길이
  3. 목의 두께
  4. 용입 깊이
(정답률: 63%)
  • 필릿 용접 이음부의 강도를 계산할 때는 이음부의 가장 약한 부분인 목의 두께를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이는 이음부에서 가장 많은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의 두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이음부의 강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각변형(角變形)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용접홈의 형태는?

  1. V 형
  2. X 형
  3. J
  4. I
(정답률: 53%)
  • 각변형은 용접할 때 발생하는 금속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이다. 따라서 각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용접홈의 형태가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접홈의 단면이 대칭적이고, 용접선이 중앙에 위치한 X 형태가 가장 적은 각변형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X 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무엇으로 나타내는가?

  1. 단위 시간당 용융되는 용접봉의 길이 또는 무게
  2. 단위 시간당 용착된 용착금속의 량
  3.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용접기의 전력량
  4. 단위 시간당 이동하는 용접선의 길이
(정답률: 53%)
  •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단위 시간당 용융되는 용접봉의 길이 또는 무게로 나타낸다. 이는 용접 작업에서 용접봉이 용융되어 용착금속으로 변하는 속도를 나타내며, 이 속도가 빠르면 용접 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접 작업에서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부의 잔류응력 제거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노내 풀림법
  2. 국부 풀림법
  3. 피닝
  4. 코킹
(정답률: 86%)
  • 코킹은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라, 용접 부위의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코킹은 잔류응력 제거 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동일한 탄소강판으로 두께가. 서로 다른 V형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얇은 쪽의 강판 두께 T1, 두꺼운 쪽의 강판 두께 T2, 인장응력 σt, 용접길이 L 이라면 용접부의 인장하중 P를 구하는 식은?

  1. P = σt・T2・L
  2. P = 2σt・T2・L
  3. P = σt・T1・L
  4. P = 2σt・T1・L
(정답률: 41%)
  • 용접부의 인장하중은 인장응력과 단면적, 그리고 길이에 비례합니다. 이 경우에는 두 강판의 두께가 다르므로, 인장응력은 얇은 쪽 강판의 두께 T1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 = σt・T1・L"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T2를 사용하거나, 2를 곱하는 등 잘못된 계산이 들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탄소당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소당량에 미치는 영향은 탄소가 가장 크다.
  2. 단소당량이 커질수록 열영향부는 쉽게 경화된다.
  3. 탄소당량이 커질수록 용접성이 좋아진다.
  4. 탄소당량이 커지면 예열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정답률: 71%)
  • "탄소당량이 커질수록 용접성이 좋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탄소당량이 높아질수록 강도는 증가하지만, 용접성은 저하될 수 있다. 이는 탄소가 많아지면 경화되는 속도가 빨라져서 열영향부가 쉽게 경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당량이 높아질수록 용접성이 나빠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용접이음에서 굽힘 응력을 σb 라하고, 굽힘 단면계수를 Wb라 할 때, 굽힘 모멘트 Mb를 구하는식은?

  1. M b = σb ・W b
  2. M b = σb / W b
  3. M b = (σb ・W b) /l
  4. M b = (σb ・W b ) / t
(정답률: 45%)
  • 굽힘 응력은 σb = M / W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Mb에 대해 정리하면 M = σb ・Wb가 됩니다. 따라서 굽힘 모멘트 Mb는 σb ・W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용접 설계에서 허용응력을 올바르게 나타낸 공식은?

  1. 허용응력 = 안전율/이완력
  2. 허용응력 = 인장강도/안전율
  3. 허용응력 = 이완력/안전율
  4. 허용응력 = 안전율/인장강도
(정답률: 70%)
  • 허용응력은 용접 부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의미합니다. 이 값은 인장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안전율은 용접 부재가 실제로 견딜 수 있는 응력보다 더 큰 응력을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여유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허용응력을 계산할 때는 인장강도를 안전율로 나누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용접할 때, 용접하여 가열한 후 급냉시키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고온크랙(crack)을 예방하기 위하여
  2. 기공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3. 용접 표면에 부착한 피복제를 쉽게 털어내기 위하여
  4. 입계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48%)
  • 입계부식은 스테인레스강 용접 시 발생하는 부식 현상으로, 용접 부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을 감소시키고 용접 부위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용접 후 가열한 후 급냉시켜 입계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부에 대한 변형의 경감 및 교정에서, 도열법(導熱法)의 설명은?

  1. 용접 금속 및 모재의 수축에 대하여 용접전에 반대 방향으로 굽혀 놓는 것이다.
  2. 용접부에 구리로 된 덮개판을 두든지, 뒷면에서 용접부 근처에 물이 묻은 석면을 두고, 모재에 용접 입열을 막는 것이다.
  3. 공작물을 가접 또는 지그 호울더 등으로 장착하고 변형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4. 용접직후 해머로 비드를 두드려서 용접금속의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81%)
  • 도열법은 용접부에 구리로 된 덮개판을 두든지, 뒷면에서 용접부 근처에 물이 묻은 석면을 두고, 모재에 용접 입열을 막는 것으로, 용접 부위의 빠른 냉각을 막아 용접 금속 및 모재의 수축을 경감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V형 맞대기 용접(완전용입)에서 용접선의 유효길이가 300㎜이고, 용접선에 수직하게 인장하중 13500 ㎏f이 작용 하면 연강판의 두께는 몇 ㎜인가? (단, 인장응력은 5 ㎏f/mm2 임)

  1. 25
  2. 16
  3. 12
  4. 9
(정답률: 53%)
  •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인장하중과 인장응력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인장하중 = 인장응력 × 단면적

    여기에서 단면적은 연강판의 두께와 용접선의 유효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V형 맞대기 용접에서는 용접선의 유효길이가 용접선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용접선의 직경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두께 × 유효길이

    이를 위의 관계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하중 = 인장응력 × 두께 × 유효길이

    이 문제에서는 인장하중과 인장응력이 주어져 있으므로, 두께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두께 = 인장하중 ÷ (인장응력 × 유효길이)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두께 = 13500 ÷ (5 × 300) = 9

    따라서, 연강판의 두께는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본 용접을 시행하기 전에 좌우의 이음 부분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짧은 용접은?

  1. 후용접
  2. 가용접
  3. 점용접
  4. 선용접
(정답률: 92%)
  • 가용접은 용접을 시행하기 전에 부품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짧은 용접을 하는 것입니다. 이는 후에 본 용접을 수행할 때 부품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가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핸드 실드나 헬밋의 차광 유리 앞에 보통유리를 끼우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차광유리를 강하게 하기 위해
  2. 차광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3. 자외선을 방지하기 위해
  4. 작업상황을 쉽게 보이기 위해
(정답률: 83%)
  • 정답은 "차광유리를 보호하기 위해"입니다. 일반 유리는 충격에 취약하고 깨지기 쉬우므로, 핸드 실드나 헬멧의 차광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 유리를 끼우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차광유리가 더 오래 사용될 수 있고, 안전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기 저항용접에서 발생하는 열량 Q[㎈]와 전류 I[A] 및 전류가 흐르는 시간 t[sec] 일때 다음 중 올바른 식은?

  1. Q = 0.24IRt
  2. Q = 0.24I2Rt
  3. Q = 0.24IR2it
  4. Q = 0.24I2R2t
(정답률: 64%)
  • 정답: Q = 0.24I2Rt

    전기 저항용접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전류, 저항, 시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류 I[A]가 저항 R[Ω]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열량 Q[㎈]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Q = I2Rt

    여기서 0.24는 전기 저항용접에서 발생하는 열량의 효율을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Q = 0.24I2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업셋(up set)용접과 비슷한 것으로 용접할 2개의 금속 단면을 가볍게 접촉시켜 대전류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접촉점을 가열하여 용접면에 강한 압력을 주어 압접하는 것은?

  1. 가스용접
  2. 플래시용접
  3. 레이져용접
  4. 스텃용접
(정답률: 58%)
  • 플래시용접은 업셋용접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대신에 대전류 대신에 매우 높은 전류를 짧은 시간 동안 흘려보내어 금속 단면을 가열하고 압접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접면에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서, 플래시용접은 높은 강도와 내구성이 필요한 금속 구조물의 용접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플래시용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피복 아크 용접 작업에서 용접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크 길이가 길면 아크가 불안정하게 되어 용융금속의 산화나 질화가 일어나기 쉽다.
  2. 좋은 용접을 얻기 위해서 원칙적으로 긴 아크로 작업한다.
  3. 아크 길이가 너무 짧으면 피복제나 불순물이 용융지에 섞여 들어가기 쉽다.
  4. 용접속도를 운봉속도 또는 아크속도 라고도 한다.
(정답률: 78%)
  • "좋은 용접을 얻기 위해서 원칙적으로 긴 아크로 작업한다."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용접 조건에 따라 적절한 아크 길이를 설정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짧은 아크 길이가 더 안정적인 용접을 얻을 수 있다. 아크 길이가 길면 용융금속의 산화나 질화가 일어나기 쉽고, 용접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용접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아크 길이를 설정하여 안정적이고 품질 좋은 용접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산소용기의 용량이 30리터이다. 최초의 압력 150 kgf∙cm2 이고, 사용 후 100 kgf∙cm2 으로 되면 몇 리터의 산소가 소비 되는가?

  1. 1020
  2. 1500
  3. 3000
  4. 4500
(정답률: 52%)
  • 산소용기의 용량은 30리터이므로, 최초에는 150 kgf∙cm2의 압력으로 30리터의 산소가 들어있었다. 사용 후에는 100 kgf∙cm2의 압력으로 산소가 소비되었으므로, 사용된 산소의 양은 (150-100) kgf∙cm2에 비례한다. 따라서 사용된 산소의 양은 3/5이 되며, 이는 30리터의 산소 중 18리터가 소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8 x 1000 = 18000 mL = 18리터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L이 아닌 리터로 주어졌으므로, 정답은 18리터 x 1000 = 18000 mL = 18 x 103 mL = 180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접 작업 중 정전이 되었을 때, 취해야 할 가장 적절한 조치는?

  1. 전기가 오기만을 기다린다.
  2. 홀더를 놓고 송전을 기다린다.
  3. 홀더에서 용접봉을 빼고 송전을 기다린다.
  4. 전원을 끊고 송전을 기다린다.
(정답률: 79%)
  • 용접 작업 중 정전이 발생하면 전원을 끊어야 합니다. 이는 용접 작업 중 전기가 갑자기 돌아올 경우 용접봉이 갑자기 움직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을 끊고 송전을 기다리는 것이 가장 적절한 조치입니다. 송전이 복구되면 용접 작업을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전, 습지대에서 분출되며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나, 그 조성은 산지 또는 분출시기에 따라 다른 용접용 가스는?

  1. 수소가스
  2. 천연가스
  3. 도시가스
  4. LP가스
(정답률: 63%)
  • 천연가스는 지하 수층에 존재하는 천연 자원으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전, 습지대 등에서 분출되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는 천연가스로 분류됩니다. 다른 보기인 수소가스, 도시가스, LP가스는 천연 자원이 아닌 인공적으로 생산되거나 가공된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스 절단시 절단면에 나타나는 일정간격의 평행 곡선을 의미하는 것은?

  1. 절단면의 아크 방향
  2. 가스 궤적
  3. 드래그 라인
  4. 절단속도의 불일치에 따른 궤적
(정답률: 82%)
  • 드래그 라인은 가스 절단 시에 절단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나타나는 평행 곡선을 의미합니다. 이는 가스 절단기의 절단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궤적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절단속도의 불일치에 따른 궤적"은 드래그 라인과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정의는 드래그 라인입니다. "절단면의 아크 방향"과 "가스 궤적"은 드래그 라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잠호용접법에서 다전극 용접 중 두개의 와이어(직류와 직류, 교류와 교류)를 똑같은 전원에 접속하여 비드 폭이 넓고, 용입이 깊은 용접부를 얻기 위한 방식은?

  1. 탠덤식
  2. 횡병렬식
  3. 횡직렬식
  4. 종직렬식
(정답률: 43%)
  • 횡병렬식은 두 개의 와이어를 같은 전원에 접속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와이어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용접부의 비드 폭이 넓고 용입이 깊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잠호용접법에서 다전극 용접 중 비드 폭과 용입이 중요한 경우에 횡병렬식이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40[kVA]의 교류아크 용접기의 전원 전압은 200[V]일때 전원스위치에 넣을 퓨즈의 용량은 몇 [A]인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55%)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40[kVA]의 교류아크 용접기가 200[V]의 전압으로 작동할 때 필요한 전류는 40,000[W] ÷ 200[V] = 200[A] 입니다. 따라서 전원스위치에 넣을 퓨즈의 용량은 200[A]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저수소계 용접봉으로 용접작업하기 직전에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구매할 때 들어온 포장박스(BOX) 그대로 뜯지 않고 보관한 후 바로 용접한다.
  2. 용접봉 관리 창고에서 포장박스를 뜯어서 불출하기 쉽게 한곳에 모아둔 후 바로 용접한다.
  3.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로 속에 넣어 일정시간 일정온도를 유지 시킨 후 바로 용접한다.
  4. 포장 박스를 뜯어서 용접봉을 끄집어 낸 후 비닐로 용접봉을 덮어 둔 후 바로 용접한다.
(정답률: 90%)
  • 저수소계 용접봉은 습기에 민감하므로, 용접하기 전에 습기를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건조로 속에 넣어 일정시간 일정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이렇게 하면 용접봉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용접작업의 안전성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에어코우매틱(air comatic) 용접법, 시그마(sigma)용접법, 필러아크 용접법 등의 상품명으로 불리는 것은?

  1. TIG 용접법
  2. 테르밋 용접법
  3. MIG 용접법
  4. 심(seam) 용접법
(정답률: 44%)
  • 에어코우매틱, 시그마, 필러아크 용접법은 모두 MIG 용접법의 하위 분류로, 각각의 상품명은 MIG 용접법에서 사용되는 용접봉의 종류나 용접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MIG 용접법이 정답이다. TIG 용접법, 테르밋 용접법, 심(seam) 용접법은 각각 다른 용접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탄산가스 아크 용접의 용접전류가 400[A] 이상일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차광도 번호는?

  1. 8
  2. 10
  3. 5
  4. 14
(정답률: 85%)
  • 탄산가스 아크 용접은 광선량이 매우 강하므로 차광도가 높은 번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400[A] 이상의 용접전류에서는 차광도 14 이상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으로 용접시 용착금속에 좋은 강인성, 기계적 성질, 내균열성을 주며 피복제 중에 석회석이나 형석이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일미나이트계 용접봉
  2. 고산화티탄계 용접봉
  3. 저수소계 용접봉
  4. 고셀룰로스계 용접봉
(정답률: 79%)
  • 석회석이나 형석은 저수소계 피복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으로 용접시 용착금속에 좋은 강인성, 기계적 성질, 내균열성을 주는 것은 저수소계 용접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저수소계 용접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연납땜의 설명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땜납의 융점이 450 ℃ 이하
  2. 땜납의 융점이 300 ℃ 이하
  3. 땜납의 융점이 150 ℃ 이하
  4. 땜납의 융점이 100 ℃ 이하
(정답률: 74%)
  • 연납땜은 땜납의 융점이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땜납 방법입니다. 따라서 땜납의 융점이 450 ℃ 이하인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땜납의 융점이 높을수록 땜납에 필요한 열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땜납 과정에서 부품이나 재료가 손상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류 역극성(reverse polarity) 용접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용접봉을 음극(-), 모재를 양극(+)에 설치한다.
  2. 용접봉의 용융 속도가 느려진다.
  3. 모재의 용입 (penetration)이 깊다.
  4. 얇은 판의 용접에서 용락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59%)
  • 직류 역극성 용접은 용접봉을 음극(-), 모재를 양극(+)에 설치하여 모재에 집중적으로 열이 발생하도록 하는 용접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얇은 판의 용접에서 용락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용락은 용접 시에 발생하는 금속의 수축으로 인해 용접 부위가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직류 역극성 용접은 모재에 집중적으로 열이 발생하므로 용접 부위가 빠르게 냉각되어 용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피복아크 용접에서 부하(負荷)전류가 증가하면 단자(端子)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은?

  1. 정전압 특성
  2. 수하특성
  3. 상승특성
  4. 동전류 특성
(정답률: 69%)
  • 피복아크 용접에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은 수하특성이다. 이는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용접전극과 작업물 사이의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전압이 감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하전류가 증가할수록 단자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인 교류 아크 용접기의 2차측 무부하 전압은?

  1. 50 ~ 60 V
  2. 70 ~ 80 V
  3. 90 ~ 100 V
  4. 100 ~ 110 V
(정답률: 64%)
  • 교류 아크 용접기의 2차측 무부하 전압은 일반적으로 70 ~ 80V이다. 이는 용접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 범위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범위는 안전한 용접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2개의 물체를 충분히 접근시키면 그들 사이에 원자사이의 인력이 작용하여 결합하는 데 이 때 원자 사이의 거리는 어느 정도 접근해야 하는가?

  1. 0.001 (㎛)
  2. 10-6(㎝)
  3. 10-8(㎝)
  4. 0.0001 (㎜)
(정답률: 74%)
  • 원자의 크기는 대략 10-10 (㎝) 정도이다. 따라서 두 원자가 충분히 접근하여 결합하기 위해서는 원자 사이의 거리가 이보다 작아야 한다. 그러나 원자가 서로 겹치면 전자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상호작용하여 강한 전자간 상호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원자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8 (㎝) 정도가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격 2차 전류가 600[A]인 용접기의 정격 사용률이 40%, 허용사용률이 57.6%였다면, 실제 용접 작업시의 용접 전류는 몇 [A]인가?

  1. 500
  2. 600
  3. 700
  4. 800
(정답률: 47%)
  • 정격 사용률은 용접기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하며, 이 경우 40%로 주어졌다. 따라서 실제 용접 작업시에는 600[A] x 0.4 = 240[A] 이하의 전류만 사용할 수 있다.

    허용 사용률은 용접기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는 최대 비율을 의미하며, 이 경우 57.6%로 주어졌다. 따라서 실제 용접 작업시에는 600[A] x 0.576 = 345.6[A] 이하의 전류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용접 작업시에는 240[A] 이상 345.6[A] 이하의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500[A]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