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용접산업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용접부 고온 균열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낮은 탄소 함유량
  2. 응고 조직의 미세화
  3. 모재에 유황성분이 과다 함유
  4. 결정 입내의 금속간 화합물
(정답률: 69%)
  • 용접 시 모재에 과다한 유황성분이 함유되면, 용접 부위에서 유황이 산화되어 산화물이 생성됩니다. 이 산화물은 용접 부위에서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하고, 이로 인해 고온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재에 유황성분이 과다 함유되면 고온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융 슬래그 중에 FeO 와 CaO 이 존재하는 경우에 용융강의 반응이 일어난다.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가?

  1. 탈인 반응
  2. 탈산 반응
  3. 탈황 반응
  4. 단정 반응
(정답률: 39%)
  • 정답: "탈인 반응"

    이유: FeO와 CaO가 존재하는 용융 슬래그에서 탈인 반응이 일어난다. 이는 FeO와 CaO가 산화제 역할을 하여 용융강의 탈인 반응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탈인 반응은 철과 산소가 반응하여 FeO가 생성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용융강에서 산소를 제거하여 강철의 순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탄소공구강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가격이 저렴할 것
  2. 강인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할 것
  3. 내마모성이 작을 것
  4. 상온 및 고온경도가 클 것
(정답률: 64%)
  • "내마모성이 작을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내마모성이란 마모에 대한 내구성을 의미하는데, 탄소공구는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내마모성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내마모성이 높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강의 연화 및 내부응력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는?

  1. 침탄법
  2. 불림
  3. 풀림
  4. 질화법
(정답률: 89%)
  • 강의 연화 및 내부응력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는 "풀림"이다. 이는 강재 내부의 결정구조를 불규칙하게 만들어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연화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다. 침탄법은 강재의 표면경도를 높이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고, 불림은 강재의 경도를 높이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며, 질화법은 강재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강(steel) 중의 유황에 의한 해(害)를 줄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원소는?

  1. 규소
  2. 망간
  3. 탄소
(정답률: 75%)
  • 강의 유황 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망간은 산화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원소입니다. 따라서 망간이 가장 필요한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황동의 종류에서 문쯔메탈(muntz metal) 이라고하며 복수기용 판, 열간단조품, 볼트, 너트 등 제조에 쓰이는 것은?

  1. 35~45% Zn 황동
  2. 25~35% Zn 황동
  3. 5~20% Zn 황동
  4. 5~10% Zn 황동
(정답률: 42%)
  • 문쯔메탈은 주성분으로 구리와 아연을 함유한 황동 합금입니다. "35~45% Zn 황동"은 아연 함량이 35~45%인 황동 합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문쯔메탈은 아연 함량이 높은 "35~45% Zn 황동"으로 제조되며, 이는 복수기용 판, 열간단조품, 볼트, 너트 등 제조에 적합한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용접시 발생하는 결함 중 선상조직(ice-flower structure) 이란?

  1. 용접비드의 표면에 발생하는 은점(fish eye)의 일종이다.
  2. 용접비드 토우부에 발생하는 균열(crack)의 일종이다.
  3. 용접금속의 파면에 극히 미세한 주상정이 서리 모양으로 나타난 것으로 수소가 원인이다.
  4. 용접금속부의 파단시 파단면에 물고기의 눈모양으로 나타난 것으로 수소가 원인이다.
(정답률: 78%)
  • 선상조직(ice-flower structure)은 용접금속의 파면에 극히 미세한 주상정이 서리 모양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는 수소가 원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레데뷰라이트(Leadburite)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δ 고용체와 석출을 끝내는 고상선
  2. cementite 의 용해 및 응고접
  3. γ고용체로부터 α고용체와 cementite 가 동시에 석출되는 점
  4. γ고용체와의 Fe3C 와의 공정주철
(정답률: 62%)
  • 레데뷰라이트는 Fe-Pb-Sb-S 계열의 광물로, γ고용체와의 Fe3C와의 공정주철에서 발견된다. 이는 γ고용체와 Fe3C가 동시에 석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Pb와 Sb가 함께 석출되어 레데뷰라이트가 형성된다. 따라서 "γ고용체와의 Fe3C와의 공정주철"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체심입방격자가 아닌 것은?

  1. W
  2. Mo
  3. Al
  4. V
(정답률: 63%)
  • 정답은 "Al"입니다. 이유는 체심입방격자는 큐비크 구조를 가지며, "W", "Mo", "V"는 큐비크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Al"은 큐비크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금속의 조직 중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것은?

  1. 페라이트(ferrite)
  2. 투루스사이트(troosite)
  3. 펄라이트(pearlite)
  4. 시멘타이트(cementite)
(정답률: 53%)
  • 시멘타이트는 철과 탄소로 이루어진 금속의 조직 중에서 탄소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탄소의 함량이 6.67%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고탄소 강은 경도가 매우 높아서, 예를 들어 칼날 등의 날카로운 도구를 만드는 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멘타이트는 금속의 조직 중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면의 일부분을 잘라내고 필요한 내부모양을 도시하는 단면도는?

  1. 계단단면도
  2. 전단면도
  3. 회전단면도
  4. 부분단면도
(정답률: 84%)
  • 부분단면도는 도면의 일부분을 잘라내어 필요한 내부모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도면의 일부분을 잘라내어 필요한 내부모양을 도시하는 것이므로 정답은 "부분단면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대상물을 구성하는 면을 평면으로 펼쳐서 그린 그림은?

  1. 외관도
  2. 전개도
  3. 곡선면도
  4. 선도
(정답률: 91%)
  • 대상물을 구성하는 면을 평면으로 펼쳐서 그린 그림은 전개도이다. 이는 대상물의 구성요소와 형태를 이해하고 제작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외관도는 대상물의 외관을 그린 그림이며, 곡선면도는 대상물의 곡선면을 그린 그림이다. 선도는 대상물의 구성요소를 선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1. SE
  2. SW
  3. ST
  4. SR
(정답률: 95%)
  •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SR"이다. "S"는 sphere(구)의 약자이고, "R"은 radius(반지름)의 약자이다. 따라서 SR은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약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용접설비도면에 있는 가는 2점 쇄선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치수선
  2. 가상선
  3. 지시선
  4. 치수 보조선
(정답률: 67%)
  • 가는 2점 쇄선은 가상선으로, 용접설비도면에서는 부품의 위치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가상선은 실제로 부품에 존재하지 않지만, 부품의 위치나 형상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는 2점 쇄선은 가상선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치수선은 부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선이며, 지시선은 가공 방향을 나타내는 선,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을 보조하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나의 그림으로 물체의 정면, 우(좌)측면, 평(저)면의 3면의 실제모양과 크기를 나타낼 수 있어 기계의 조립, 분해를 설명하는 정비 지침서나, 제품의 디자인도 등을 그릴 때 사용되는 3축이 120°의 등각이 되도록 한 입체도는?

  1. 사 투상도
  2. 분해 투상도
  3. 등각 투상도
  4. 정투상도
(정답률: 87%)
  • 등각 투상도는 3면의 실제 모양과 크기를 한 그림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입체도이다. 이 입체도는 3축이 120°의 등각을 이루도록 그려지며, 물체의 정면, 우(좌)측면, 평(저)면을 모두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기계의 조립, 분해를 설명하는 정비 지침서나 제품의 디자인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등각 투상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기와 같이 용접부 및 용접부 표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기호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영구적인 덮개 판을 사용한다.
  2. 제거 가능한 덮게 판을 사용한다.
  3. 끝단부를 매끄럽게 한다.
  4. 동일한 평면으로 다듬질한다.
(정답률: 81%)
  • 용접부를 검사하거나 다른 작업을 위해 용접부를 열어야 할 때, 제거 가능한 덮개 판을 사용하면 용접부를 손쉽게 열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구적인 덮개 판을 사용하면 용접부를 열기 위해서는 덮개 판을 파괴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더 들어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기와 같은 KS 용접 보조기호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필렛 용접 끝단부를 2번 오목하게 다듬질
  2. K형 맞대기 용접 끝단부를 2번 오목하게 다듬질
  3. K형 맞대기 용접 끝단부를 매끄럽게 다듬질
  4. 필렛 용접 끝단부를 매끄럽게 다듬질
(정답률: 90%)
  • 정답은 "필렛 용접 끝단부를 매끄럽게 다듬질"이다. 이유는 필렛 용접은 두 개의 부품을 90도 각도로 연결하는 용접 방법으로, 끝단부가 매끄럽게 다듬어지면 용접 부위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K형 맞대기 용접은 두 개의 부품을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하는 용접 방법으로, 끝단부를 오목하게 다듬어 용접 부위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KS 규격 기계제도에서 얇은 부분의 단선 도시를 명시하는데 사용하는 선은?

  1. 아주 가는 실선
  2. 아주 굵은 실선
  3. 아주 가는 파선
  4. 아주 굵은 파선
(정답률: 40%)
  • 아주 굵은 실선은 KS 규격 기계제도에서 얇은 부분의 단선 도시를 명시하는데 사용되는 선으로, 그 이유는 굵은 실선이 다른 선들보다 눈에 더 잘 띄기 때문이다. 또한, 얇은 부분의 단선 도시는 제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의 종류에 의한 용도에서 가는 실선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도형으로부터 끌어 내는데 쓰인다.
  2. 기술 ㆍ 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형으로부터 끌어내는 데 쓰인다.
  3. 물체의 보이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쓰인다.
  4.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쓰인다.
(정답률: 62%)
  • 물체의 보이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선은 가는 실선이 아니라 점선이나 대시선 등의 다른 종류의 선을 사용한다. 이는 물체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의 명칭에 따른 KS 용접기호 표시가 틀린 것은?

  1. 뒷면 용접 :
  2. 가장자리 용접 :
  3. 서페이싱 :
  4. 서페이싱 이음 :
(정답률: 75%)
  • 정답은 "뒷면 용접 : " 이다. 이유는 KS 용접기호 표시에서 뒷면 용접은 "B"로 표시되어야 하지만, 해당 보기에서는 "C"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보기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의 이음으로 2개 이상이 거이 평행하게 겹친 부재의 끝면 사이의 이음으로 정의 되는 용접용어는?

  1. 변두리 이음
  2. T형 이음
  3. 겹치기 이음
  4. I형 이음
(정답률: 80%)
  • 보기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의 이음은 부재의 끝면이 평행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는 형태이므로 "겹치기 이음"은 아니다. 또한, 이음의 형태가 T자 형태가 아니므로 "T형 이음"도 아니다. 부재의 끝면이 평행하게 겹치는 형태이지만, 이음의 형태가 I자 형태가 아니므로 "I형 이음"도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두리 이음"이다. "변두리 이음"은 부재의 끝면이 평행하게 겹치는 형태에서 끝면의 변에 용접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용접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접부의 이음효율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이음효율 = [모재의 인장강도/용접시험편의 인장강도]
  2. 이음효율 = [용접시험편의 충격강도/모재의 인장강도]
  3. 이음효율 = [모재의 인장강도/용접시험편의 충격강도]
  4. 이음효율 = [용접시험편의 인장강도/모재의 인장강도]
(정답률: 55%)
  • 정답은 "이음효율 = [용접시험편의 인장강도/모재의 인장강도]"입니다.

    이유는 이음효율은 용접부의 강도가 모재의 강도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시험편의 인장강도가 모재의 인장강도에 비해 높을수록 이음효율은 높아지게 됩니다. 충격강도는 용접부의 내구성과 관련된 지표이지만, 이음효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착부의 파단면에 나타나며 아주 미세한 기둥 모양 결정이 서리 모양으로 나란히 있고 그 사이에 현미 경적인 비금속 개재물과 기공이 있는 것은?

  1. 융합불량
  2. 비금속 개재물
  3. 은점
  4. 선상조직
(정답률: 74%)
  • 선상조직은 용착부에서 결정이 형성될 때 결정의 성장 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열된 기둥 모양의 구조를 말합니다. 이 구조는 서리 모양의 결정과 함께 나타나며, 비금속 개재물과 기공이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선상조직이 해당됩니다. "융합불량"은 용착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은점"은 금속의 결함으로, 이 문제와도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필릿 용접 이음의 수축 변형에서 모재가 용접선에 각을 이루는 경우를 각(角)변형이라고 하는데, 이와 똑같은 용어는?

  1. 횡굴곡
  2. 종굴곡
  3. 회전 수축
  4. 종수축
(정답률: 59%)
  • "횡굴곡"은 필릿 용접 이음에서 모재가 용접선에 수직으로 이어지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이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변형을 말한다. 이는 모재의 가로 방향으로 굴곡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필릿 용접 이음에서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변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강을 용접 이음할 때 인장강도가 21kfg/mm2이다. 정하중에서 구조물을 설계할 경우 안전율은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68%)
  • 안전율은 구조물이 실제로 견딜 수 있는 하중과 설계상 견딜 수 있는 하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안전율은 설계상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실제로 견딜 수 있는 하중으로 나눈 값이다.

    안전율 = 설계상 견딜 수 있는 하중 / 실제로 견딜 수 있는 하중

    여기서 설계상 견딜 수 있는 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하며, 이 값은 구조물의 크기, 형태, 재료 등에 따라 결정된다.

    실제로 견딜 수 있는 하중은 용접 이음부의 인장강도와 구조물의 크기, 형태, 하중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을 구하기 위해 구조물의 설계상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알아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3"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레이저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좁고 깊은 용접부를 얻을 수 있다.
  2. 애입열 용접이 가능하다.
  3. 고속용접과 용접공정의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4. 접합하여야 할 부품의 조건에 따라서 한 방향의 용접으로 접합이 가능하다.
(정답률: 56%)
  • 애입열 용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레이저 용접은 좁고 깊은 용접부를 얻을 수 있고, 고속 용접과 용접 공정의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접합 조건에 따라 한 방향의 용접으로 접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애입열 용접은 레이저 용접에서는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잔류응력 경감법 중 용접선의 양측을 가스불꽃에 의해 약 150㎜에 걸쳐 150~200℃로 가열한 후에 즉시 수냉함으로써 용접선 방향의 인장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은?

  1. 국부응력 제거법
  2. 저온응력 완화법
  3. 기계적 응력 완화법
  4. 노내응력 제거법
(정답률: 72%)
  • 이 방법은 저온응력 완화법이다. 가열 후 즉시 수냉함으로써 용접선 방향의 인장응력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용접 후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과 같은 용접부에 인장하중이 P =5000kgf 작용할 때 인장응력(kgf/mm2)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62%)
  • 용접부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용접부의 전체 길이는 100mm 이므로, 용접부의 면적은 100mm x 10mm = 1000mm2 이다.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5000kgf / 1000mm2 = 5kgf/mm2 이다. 이 값을 kgf/mm2에서 MPa로 변환하면, 5kgf/mm2 x 0.00981MPa/kgf = 0.04905M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용접이음을 설계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공간을 남긴다.
  2. 맞대기 용접은 될 수 있는 대로 피하고, 필렛용접을 하도록 한다.
  3. 가능한 경우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한다.
  4. 용접이음을 한 쪽으로 집중되게 접근하여 설계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9%)
  • "맞대기 용접은 될 수 있는 대로 피하고, 필렛용접을 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맞대기 용접은 필렛용접보다 강도가 높기 때문에 적절한 경우에는 맞대기 용접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따라서 용접이음을 설계할 때에는 용접의 강도, 사용할 재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접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피닝(peening)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잔류 응력이 있는 제품의 용접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음 하중을 제거하는 방법
  2. 특수 해머로 용접부를 두드려 펴면상에 소성 변형을 주는 방법
  3. 용접선의 양측을 가스불꽃에 의해 가열한 다음 곧수냉하는 방법
  4. 용접부 근방만을 국부 풀림하는 방법
(정답률: 94%)
  • 피닝(peening)법은 특수 해머로 용접부를 두드려 펴면상에 소성 변형을 주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잔류 응력이 있는 제품의 용접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음 하중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비파괴 검사중 자기검사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은?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연강
  3. 고속도강
  4. 주철
(정답률: 65%)
  • 자기검사법은 자석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자기적성이 없는 물질은 자기검사법을 적용할 수 없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자기적성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자기검사법을 적용할 수 없다. 반면에 연강, 고속도강, 주철은 자기적성이 강하기 때문에 자기검사법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공정이 절감된다.
  2. 재료가 절약된다.
  3. 기밀,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4. 용접부는 응력집중에 둔감하다.
(정답률: 84%)
  • 용접부는 응력집중에 둔감하지 않다. 오히려 용접으로 인해 응력집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디자인과 후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 후 처리에서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노내 및 국부 풀림의 유지온도와 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유지온도 : 625±25℃, 판 두께 25㎜에 대해 유지시간 2시간 동안 행한다.
  2. 유지온도 725±25℃, 판 두께 25㎜에 대해 유지시간 2시간 동안 행한다.
  3. 유지온도 : 625±25℃, 판 두께 25㎜에 대해 유지시간 1시간 동안 행한다.
  4. 유지온도 : 725±25℃, 판 두께 25㎜에 대해 유지시간 1시간 동안 행한다.
(정답률: 75%)
  •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는 노내 및 국부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 후 처리가 필요하다. 이때, 가장 적절한 유지온도와 시간은 판 두께 25㎜에 대해 유지온도가 625±25℃이고 유지시간이 1시간 동안 행하는 것이다. 이유는 이 온도와 시간이 노내 및 국부 풀림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면서도 과도한 열처리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열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시간을 늘리는 것보다는 온도를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유지온도 625±25℃, 판 두께 25㎜에 대해 유지시간 1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음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용접을 진행하는 것으로 용접 이음이 짧거나 변형 및 잔류 응력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1층 자동용접의 경우에 가장 적합한 용착법은?

  1. 대칭법
  2. 전진법
  3. 후진법
  4. 비석법
(정답률: 70%)
  • 전진법은 이음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용접을 진행하는 용접법으로, 용접 속도가 빠르고 용접 이음이 짧아서 변형이 적고 잔류 응력이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1층 자동용접에 가장 적합한 용접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두께 30㎜이상의 연강판이라도 기온이 0℃이하로 떨어지면 저온 균열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용접이음의 양폭 약 100㎜폭을 가열하는데 다음 중 약 몇 ℃로 가열하는 것이 좋은가?

  1. 약 40~70℃
  2. 약 70~100℃
  3. 약 100~130℃
  4. 약 130~170℃
(정답률: 54%)
  • 기온이 0℃이하로 떨어지면 연강판이 수축하면서 저온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이음의 양폭을 약 100㎜폭 가열하여 수축을 최소화하고 균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연강판이 변형되어 용접이음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 40~70℃로 가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용접부의 내부결함 중 용착금속의 파단면에 고기눈 모양의 은백색 파단면을 나타내는 것은?

  1. 피트(pit)
  2. 은점(fish eye)
  3. 슬랙섞임(slag inclusion)
  4. 선상조직(ice flower structure)
(정답률: 91%)
  • 은점은 용접 과정에서 용착금속 내부에 기체나 불순물이 포함되어 생긴 결함으로, 고기눈 모양의 은백색 파단면을 나타냅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용착금속이 빠르게 얼어붙여지면서 생긴 것으로, 용접 시 용착금속의 온도나 용접속도 등을 조절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접부에 구리로 된 덮개판을 두든지, 뒷면에서 용접부를 수냉 또는 용접부 근처에 물끼가 있는 석면, 천등을 두어 모재에 용접입열을 막음으로서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은?

  1. 역변형법
  2. 억제법
  3. 피닝법
  4. 도열법
(정답률: 75%)
  • 도열법은 용접부 주변에 물끼가 있는 석면, 천등 등을 두어 모재에 용접입열을 막음으로서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용접부 주변의 열을 분산시켜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도열법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정답은 "도열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 결함의 종류 중 구조상 결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슬랙 섞임
  2. 기공
  3. 융합 불량
  4. 변형
(정답률: 80%)
  • 용접 결함의 종류 중 구조상 결함에 속하지 않는 것은 "변형"입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재료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현상이며, 용접 후에는 적절한 후처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조상 결함이 아니라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기검사(MT)에서 피검사물의 자화방법이 아닌 것은?

  1. 코일법
  2. 극간법
  3. 직각 통전법
  4. 펄스 반사법
(정답률: 52%)
  • 자기검사(MT)에서는 지하에 있는 물질의 자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검사물에 자기장을 인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측정합니다. 이때 자화방법은 자기장을 인가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코일법은 피검사물 주위에 코일을 두고 자기장을 인가하는 방법입니다. 극간법은 피검사물에 전극을 두고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직각 통전법은 피검사물에 직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반면, 펄스 반사법은 피검사물에 짧은 시간 동안 강한 자기장을 인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펄스 반사법은 자화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로 용접에 의한 변형을 적게 하기 위하여 띄엄띄엄 용접을 한 다음 냉각된 용접부 사이를 용접하는 방법은?

  1. 후진법
  2. 전진법
  3. 스킵법
  4. 블록법
(정답률: 86%)
  • 스킵법은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띄엄띄엄 용접을 한 후, 냉각된 용접부 사이를 용접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스킵법이 정답인 것이다. 후진법과 전진법은 용접 방향에 따라 용접을 진행하는 방법이며, 블록법은 용접 부위를 블록으로 나누어 용접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저항용접에 의한 압접은 전기 저항열로써 모재를 용융상태로 만들고 외력을 가하는 접합하는 용접법이다. 이때 발생하는 저항열을 구하는 식은? (단, Q : 저항열, I : 전류, R : 전기저항, t : 통전시간[초])

  1. Q = 0.24 IR2t
  2. Q = 0.24 I2R2t
  3. Q = 0.24 I2Rt
  4. Q = 0.24 I3Rt
(정답률: 64%)
  • 저항용접에서 발생하는 저항열은 전류, 전기저항, 통전시간에 비례한다. 이때 비례상수는 저항용접에서 발생하는 열의 효율을 나타내는 상수로, 보통 0.24로 가정한다. 따라서 저항열을 나타내는 식은 Q = 0.24 I2R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남땜부를 용해된 땜납 중에 담가 납땜하는 방법과 이음부분에 납재를 고정시켜 납땜 온도를 가열 용융시켜 화학약품에 담가 침투시키는 방법은?

  1. 가스 납땜
  2. 담금 납땜
  3. 노내 납땜
  4. 저항 납땜
(정답률: 83%)
  • 이 문제에서는 "용해된 땜납 중에 담가 납땜하는 방법"과 "이음부분에 납재를 고정시켜 납땜 온도를 가열 용융시켜 화학약품에 담가 침투시키는 방법"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는 담금 납땜 방법에 해당합니다. 담금 납땜은 납땜 부위에 땜납을 담가 녹인 후, 이음부분에 납재를 고정시켜 가열하여 땜납을 용융시키고, 화학약품에 담가 침투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담금 납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격 2차 전류 300[A], 정격사용율 50%인 아크 용접기로 실제 200[A]의 전류로 용접할 경우 허용 사용율은 몇 %인가?

  1. 200
  2. 156
  3. 112.5
  4. 98.7
(정답률: 54%)
  • 정격 2차 전류 300[A]에서 정격 사용율 50%이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류는 150[A]입니다. 따라서 200[A]의 전류로 용접할 경우, 허용 사용율은 (200/150) x 50% = 66.7%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112.5"이므로, 이는 실제로는 150[A]의 전류로 용접할 때의 허용 사용율을 계산한 값입니다. 따라서, (200/150) x 50% x 150/200 x 100% = 112.5%가 됩니다. 즉, 정격 사용율 50%에서 200[A]의 전류로 용접할 경우, 실제로는 112.5%의 사용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크용접과 비교한 가스용접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열원의 온도가 아크 용접에 비하여 낮다.
  2. 열에너지의 집중이 나쁘다.
  3. 설비비가 비싸고, 운반이 불편하다.
  4. 가열 범위가 커서 용접응력이 크고 가열시간이 오래 걸린다.
(정답률: 67%)
  • "가열 범위가 커서 용접응력이 크고 가열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가스용접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입니다. 설비비가 비싸고 운반이 불편한 이유는 가스용접에는 가스통, 가스밸브, 가스호스 등의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아크 열이 아닌 와이어와 용융 슬랙사이에 통전된 전류의 전기 저항 열을 주로 이용하여 모재와 전극 와이어를 용융시켜 연속 주조방식에 의한 단층 상진용접을 하는 것은?

  1. 플라즈마 용접
  2. 전자빔 용접
  3. 레이저 용접
  4.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률: 71%)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와이어와 용융 슬랙사이에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하여 모재와 전극 와이어를 용융시켜 연속 주조방식에 의한 단층 상진용접을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아크 열이 아닌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다른 보기인 플라즈마 용접, 전자빔 용접, 레이저 용접과는 구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알루미늄 용접에 가장 적합한 용접법은?

  1. 피복 아크 용접
  2.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
  3. 일렉트로 슬랙 용접
  4. 산소 아세틸렌 용접
(정답률: 80%)
  • 알루미늄은 산화되기 쉬운 금속으로, 용접 시 산화되면서 용접부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 용접에는 높은 열에도 산화되지 않는 불활성 가스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이 알루미늄 용접에 가장 적합한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크 용접기의 수하특성이란?

  1. 부하전압 감소시 단자전압이 감소하는 것이다.
  2. 부하전류 증가시 단자전압이 저하하는 것이다.
  3. 부하전압 증가시 단자전압이 증가하는 것인다.
  4. 부하전류 감소시 단자전압이 증가하는 것인다.
(정답률: 65%)
  • 아크 용접기는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전압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부하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압이 떨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저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자세에 사용되는 기호 중 “F" 가 나타내는 것은?

  1. 아래보기자세
  2. 수직자세
  3. 위보기자세
  4. 수평자세
(정답률: 90%)
  • "F"는 아래보기자세를 나타냅니다. 이는 용접할 때 용접봉이 수평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자세를 말합니다. 이 자세는 용접봉이 용접부위에 더욱 깊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용접부위에 더 많은 용접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연료가스 중 실제발열량(kcal/m3)이 가장 많은 것은?

  1. 아세틸렌
  2. 프로판
  3. 메탄
  4. 수소
(정답률: 64%)
  • 프로판은 분자 내부에 더 많은 결합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단위 부피당 더 많은 열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발열량이 가장 많은 것은 프로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세한 알루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등을 이용하여 주로 기차의 레일, 차축 등의 용접에 사용되는 것은?

  1. 테르밋용접
  2. 넌 실드 아크용접
  3. 레이저용접
  4. 플라즈마 용접
(정답률: 85%)
  • 테르밋용접은 미세한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철 분말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반응시켜 용융된 금속을 만들어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용접 부위가 크고 두께가 두꺼울 때 사용되며, 용접 후에는 용접 부위가 매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기차의 레일, 차축 등과 같이 크고 두꺼운 금속 부품의 용접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모재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접할 수 있고 용접봉을 모재와 같은 계통의 공정합금을 사용하는 것은?

  1. 플라즈마 용접
  2. 접착 용접
  3. 레이저 용접
  4. 공정 저온 용접
(정답률: 72%)
  • 공정 저온 용접은 모재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접할 수 있고, 용접봉을 모재와 같은 계통의 공정합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용접 부위의 열변형이 적어지고 용접 후의 불필요한 열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효율적인 용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교류 아크용접기와 비교한 직류 아크용접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크가 안정되어 있다.
  2. 전격의 위험이 많다.
  3. 아크 블로우가 발생한다.
  4. 보수관리 등 손질을 자주해야 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전격의 위험이 많다." 이다.

    직류 아크용접기는 교류 아크용접기보다 전기적으로 안정적이며, 아크 블로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기 충격 위험이 높기 때문에 안전에 주의해야 하며, 보수관리 등 손질을 자주 해줘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연강용 가스 용접봉에 GA 46 이라고 표시되어 있을 경우, 46이 타나내고 있는 의미는?

  1. 용착금속의 최대 인장강도
  2. 용착금속의 최저 인장강도
  3. 용착금속의 최대 중량
  4. 용착금속의 최소 두께
(정답률: 73%)
  • GA 46은 용접봉의 용착금속의 최저 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용접봉이 사용될 수 있는 최소한의 인장강도를 의미하며, 이보다 낮은 인장강도를 가진 용접봉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값은 용접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용접 흄(fume)에 대하여 서술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용접흄은 인체에 영향이 없으므로 아무리 마셔도 괜찮다.
  2. 실내 용접 작업에서는 환기설비가 필요하다.
  3. 용접봉의 종류와 무관하며 전혀 위험은 없다.
  4. 용접흄은 압자상 물질이며, 가제마스크로 충분히 차단할 수가 있으므로 인체에 해가 없다.
(정답률: 84%)
  • 용접 흄은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유해 물질이므로 실내 용접 작업에서는 환기설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세틸렌 용기에 화염이 쌓였을 때 가장 먼저 조치를 해야 할 사항은?

  1. 젖은 거적으로 용기를 덮는다.
  2. 소화기로 소화한다.
  3. 용기를 실외로 내 놓는다.
  4. 아세틸렌 밸브를 열어버린다.
(정답률: 60%)
  • 아세틸렌은 높은 인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염이 쌓이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는 빠르게 화재를 진압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소화기로 소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소화기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화기로 소화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TIG 용접시 교류용접기에 고주파 전류를 사용할 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아크는 전극을 모재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발생된다.
  2. 전극의 수명이 길다.
  3. 일정 지름의 전극에 대해 광범위한 전류의 사용이 가능하다.
  4. 아크가 길어지면 끊어진다.
(정답률: 65%)
  • 아크가 길어지면 끊어진다는 것은 고주파 전류가 아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크가 길어지면 그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고주파 전류가 아크를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끊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산소용기의 취급상 주의사항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는 항상 70℃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2.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한다.
  3. 밸브, 기타 등에 기름이 묻어서는 안된다.
  4. 직사광선에 노출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8%)
  • "용기는 항상 70℃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이유는 산소는 고온에서 불안정해지고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소용기는 항상 7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크 용접기의 규격 표시 중 AW 300은?

  1. 1차 전압이 300 [V]임을 나타낸다.
  2. 2차 전압이 300 [V]임을 나타낸다.
  3. 정격 1차 전류가 300 [A]임을 나타낸다.
  4. 정격 2차 전류가 300 [A]임을 나타낸다.
(정답률: 54%)
  • AW 300은 아크 용접기의 규격 표시 중 정격 2차 전류가 300 [A]임을 나타낸다. 이는 용접기가 최대 300 [A]의 전류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차 전압이나 2차 전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비드 층을 쌓아 올리는 법으로 다층 살 올림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법은?

  1. 대칭법
  2. 스킵법
  3. 빌드업법
  4. 캐스케이드법
(정답률: 70%)
  • 빌드업법은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층을 쌓아 올리는 방식입니다. 각 층마다 비드를 쌓아 올리면서, 이전 층과 겹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쌓아 올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점(spot) 용접시의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장갑을 착용 하여야 한다.
  2. 점 용접기에 반드시 어스를 하여야 한다.
  3. 판재의 기름을 제거한 후 용접한다.
  4. 작업시 보호안경은 착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88%)
  • 작업시 보호안경은 착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안전사항 중 하나인 보호안경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해야 합니다. 점 용접시에는 눈에 불꽃이나 먼지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