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02)

용접산업기사
(2008-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주철의 용접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전류는 필요 이상 높이지 말고 지나치게 용입을 깊게 하지 않는다.
  2. 비드의 배치는 짧게 해서 여러 번의 조작으로 완료 한다.
  3. 용접봉은 가급적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한다.
  4. 용접부를 필요이상 크게 하지 않는다.
(정답률: 79%)
  • "용접봉은 가급적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올바른 것은 "용접봉은 가급적 지름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이다. 이유는 작은 지름의 용접봉을 사용하면 더 높은 온도로 용접할 수 있고, 더 정확한 용접이 가능하며, 용접부의 외관도 더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작은 지름의 용접봉을 사용하면 용접부의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어서 더 경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금속의 일반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
  2. 열과 전기의 좋은 양도체이다.
  3. 전성 및 연성이 풍부하다.
  4. 금속적 광택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72%)
  • 정답: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가 틀린 것이다.

    설명: 수은과 같은 일부 금속은 상온에서 액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금속 재료의 냉간가공에 따른 일반적 성질변화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 증가
  2. 경도 증가
  3. 연신율 감소
  4. 피로강도 감소
(정답률: 44%)
  • 피로강도는 재료가 반복적인 응력을 받을 때 발생하는 파괴 강도를 의미합니다. 냉간가공은 재료의 결함을 줄이고 결정 구조를 세밀하게 만들어 인장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키지만, 동시에 결정 구조의 변화로 인해 재료의 연신율이 감소하고 피로강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피로강도 감소"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규소가 탄소강에 미치는 일반적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강의 인장강도를 크게 한다.
  2. 연신율을 감소시킨다.
  3. 가공성을 좋게 한다.
  4. 충격값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35%)
  • 규소는 탄소강의 경도와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고, 연신율을 감소시키며, 충격값을 감소시키지만, 가공성은 향상시킨다. 이는 규소가 탄소강 내부의 석출물을 세분화시켜 결정의 크기를 줄이고, 더욱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가공성이 향상되며, 더욱 세밀한 가공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강을 0℃ 이하에서 용접할 경우 예열하는 요령으로 올바른 것은?

  1. 용접 이음의 양쪽 폭 100㎜ 정도를 40~75℃로 예열한다.
  2. 용접 이음부를 약 500~600℃로 예열한다.
  3. 용접 이음부의 홈 안을 700℃ 전후로 예열한다.
  4. 연강은 예열이 필요 없다.
(정답률: 82%)
  • 연강은 저온에서 용접할 경우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용접부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접 이음의 양쪽 폭 100㎜ 정도를 40~75℃로 예열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용접 이음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응력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용접 이음의 양쪽 폭 100㎜ 정도를 40~75℃로 예열한다."가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장력강의 용접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용접봉은 저수소계를 사용한다.
  2. 용접 개시 전 이음부 내부를 청소한다.
  3. 위빙 폭을 크게 하지 말아야 한다.
  4. 아크 길이는 최대한 길게 유지한다.
(정답률: 91%)
  • 아크 길이가 짧으면 용접봉과 용접부위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용접봉과 용접부위 사이에 충분한 열이 전달되지 않아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크 길이는 최대한 길게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e-C 평형상태도에서 ɤ-철의 결정구조는?

  1. 면심입방격자
  2. 체심입방격자
  3. 조밀육방격자
  4. 혼합결정격자
(정답률: 65%)
  • Fe-C 평형상태도에서 ɤ-철은 체심입방격자와 면심입방격자 중에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ɤ-철은 고온에서 형성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는 원자들이 더 많은 열운동을 하게 되어 결정구조가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ɤ-철은 면심입방격자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원자들이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합금강에 첨가한 원소의 일반적인 효과가 잘못된 것은?

  1. Ni - 강인성 및 내식성 향상
  2. Ti - 내식성 향상
  3. Cr - 내식성 감소 및 연성 증가
  4. W - 고온강도 향상
(정답률: 63%)
  • Cr은 합금강에 첨가하면 내식성은 감소하지만 연성은 증가합니다. 이는 Cr이 합금강 내부에서 크롬산화물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지만, 동시에 결정 구조를 세공하여 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적열취성의 주원인이 되는 원소는?

  1. 질소
  2. 수소
  3. 망간
(정답률: 94%)
  • 적열취성은 원소가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열반응으로 인해 일어납니다. 황은 산화되면서 열을 방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적열취성의 주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은 체심입방 A·B형 격자를 나타낸 것이다. 격자 내의 B 원자 수는? (단, ○ : A 원자, ● : B 원자)

  1. 8
  2. 4
  3. 2
  4. 1
(정답률: 56%)
  • 체심입방 격자에서 각 꼭짓점은 A 원자가 위치하고, 각 면 중앙에는 B 원자가 위치한다. 따라서 격자 내의 B 원자 수는 면의 수와 같다. 체심입방 격자는 총 6개의 면을 가지므로, B 원자 수는 6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용접설비제도에 사용하는 문자의 크기에 있어서 일반치수 숫자 및 기술문자의 크기는?

  1. 2.24 ~ 4.5㎜
  2. 3.15 ~ 6.3㎜
  3. 6.3 ~ 12.5㎜
  4. 9 ~ 18㎜
(정답률: 47%)
  • 용접설비제도에서 사용하는 문자의 크기는 용접선명, 용접기호, 용접규격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숫자나 문자보다 크기가 커야 눈에 잘 띄고 분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크기는 "3.15 ~ 6.3㎜"입니다. 이 크기는 일반적인 용접설비제도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크기 범위를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계제도에서 단면도에 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상의 절단면을 정 투상법에 의하여 아타낸 투상도를 말한다.
  2. 주로 대칭인 물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 모양과 외부 모양을 동시에 표현하는 방법이 한쪽 단면도이다.
  3. 단면 부분은 단면이란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해칭 또는 스머징을 한다.
  4. 해칭은 주된 중심선에 대해서 60°로 굵은 실선으로 등간격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65%)
  • 해칭은 주된 중심선에 대해서 60°로 굵은 실선으로 등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단면도에서 단면 부분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핸들이나 바퀴 등의 암 및 림, 리브, 훅 등의 절단면을 90° 회전하여 그린 단면도는?

  1. 온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부분 단면도
  4. 회전 단면도
(정답률: 93%)
  • 회전 단면도는 핸들이나 바퀴 등의 암 및 림, 리브, 훅 등의 절단면을 90° 회전하여 그린 단면도이다. 이는 해당 부품의 전체적인 형태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하다. 다른 단면도들은 해당 부품의 일부분만을 보여주거나 한쪽에서만 본 단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전체적인 형태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0의 도면 치수는 얼마인가? (단, 단위는 ㎜ 이다.)

  1. 841×1189
  2. 594×841
  3. 841×1783
  4. 594×1682
(정답률: 84%)
  • A0 용지의 크기는 ISO 216 표준에 따라 841mm × 1189mm 이다. 이는 A1 용지를 절반으로 잘랐을 때 크기가 A0이 되도록 정해진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물체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투상면은?

  1. 평면도
  2. 정면도
  3. 우측면도
  4. 좌측면도
(정답률: 73%)
  • 투상면은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이므로, 물체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면은 물체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입니다. 정면도는 물체의 깊이와 너비를 동시에 보여주기 때문에 물체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접부 보조 기호 중 끝단부를 매끄럽게 처리하도록 하는 기호는?

(정답률: 95%)
  • 정답은 ""이다. 이 기호는 끝단부를 매끄럽게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호의 모양이 둥글게 되어 있어서 끝단부를 부드럽게 처리할 수 있다. 다른 기호들은 이와 달리 끝단부를 처리하는 기능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용접기호를 설명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1. C = 슬롯부의 폭
  2. l = 용접부의 개수 (용접수)
  3. n = 용접부의 길이
  4. (e) = 크레이터 길이
(정답률: 68%)
  • 이 용접기호는 슬롯부 용접을 나타내며, C는 슬롯부의 폭을 나타냅니다. 슬롯부는 용접부를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용접부의 개수와 길이에 따라 슬롯부의 폭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C는 용접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 기호에서는 C값이 주어져 있으므로 슬롯부의 폭이 정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용접의 명칭과 기호가 맞지 않는 것은?

  1. 겹침 이음 :
  2. 가장자리 용접 :
  3. 서페이싱 :
  4. 서페이싱 이음 :
(정답률: 71%)
  • 정답은 "겹침 이음 : " 이다.

    겹침 이음은 두 개의 부품을 겹쳐서 용접하는 것을 말하며, 기호는 이다.

    가장자리 용접은 두 개의 부품을 가장자리를 맞추어 용접하는 것을 말하며, 기호는 이다.

    서페이싱은 두 개의 부품을 평행하게 놓고 용접하는 것을 말하며, 기호는 이다.

    서페이싱 이음은 두 개의 부품을 서페이싱하여 용접하는 것을 말하며, 기호는 이다.

    따라서, 겹침 이음의 기호가 맞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의 보조 기호의 용접기호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영구적인 덮개판을 사용
  2. 평면(동일평면)으로 다듬질
  3. 제거 가능한 덮개판을 사용
  4. 끝단부를 매끄럽게 다듬질
(정답률: 88%)
  • 보조 기호에서 사용된 용접기호는 "T자형 홈 용접"이다. 이는 T자형의 홈을 만들고 그 안에 다른 부재를 끼워 넣어 용접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이 "제거 가능한 덮개판을 사용"인 이유는 용접된 부재를 분해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제거 가능한 덮개판을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영구적인 덮개판을 사용하게 된다면 분해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제거 가능한 덮개판을 사용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원 또는 다각형에 감긴 실을 잡아당기면서 풀어갈때 실 위의 한점 이 그려가는 것을 이어서 얻은 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포물선
  2. 쌍곡선
  3. 인벌류트곡선
  4. 사이클로이드곡선
(정답률: 60%)
  • 이것은 인벌류트곡선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원 또는 다각형에 감긴 실을 잡아당기면서 풀어갈 때 실 위의 한 점이 그려가는 곡선입니다. 이 곡선은 미적분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리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용접부의 안전율(Safety factor)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8%)
  • 용접부의 안전율은 "" 이다. 이는 용접부의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허용되는 최대 응력과 균열이 발생하는 응력과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클수록 용접부의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맞대기나 필릿 용접부의 비드표면과 모재와의 경계부에 발생하는 용접균열은?

  1. 힐 균열 (heel crack)
  2. 토 균열 (toe crack)
  3. 비드 밑 균열 (under bead crack)
  4. 루트 균열 (root crack)
(정답률: 57%)
  • 맞대기나 필릿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용접균열은 주로 열적응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열적응력은 용접부의 경계부에 집중되어 발생하며, 특히 비드표면과 모재와의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균열 중에서 토 균열은 경계부의 끝부분인 용접부의 "토" 부분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열적응력이 가장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똑같은 두께의 재료를 다음 보기와 같이 용접할 때 냉각속도가 가장 빠른 이음은?

(정답률: 85%)
  • ""이 가장 빠른 이유는 용접선이 짧아서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용접선이 길어질수록 냉각시간이 길어지므로 냉각속도가 느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에서 필릿 용접의 실제 목 두께(actual throat)를 나타내는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50%)
  • 정답은 "(1)"이다.

    필릿 용접의 실제 목 두께는 용접부의 두께가 아니라, 용접부의 두께와 용접길이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즉, 실제 목 두께는 용접부의 두께와 용접길이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그림에서 보여지는 "목 두께"는 단순히 예상치이며, 정확한 값은 계산을 통해 구해야 한다. 따라서, "(2)", "(3)", "(4)"은 모두 틀린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접 준비에서 조립 및 가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형 혹은 잔류응력을 될 수 있는 대로 크도록 해야 한다.
  2. 가용접은 본 용접을 실시하기 전에 좌우의 홈 부분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짧은 용접이다.
  3. 조립순서는 수축이 큰 이음을 나중에 용접한다.
  4. 용접물의 중립축에 대하여 용접으로 인한 수축력 모멘트의 합이 100 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가용접은 본 용접을 실시하기 전에 좌우의 홈 부분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짧은 용접이다." 이유는 "가용접"이라는 용어가 이미 정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가용접은 본 용접을 실시하기 전에 부품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용접으로, 이는 조립 전에 부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가용접은 본 용접을 실시하기 전에 좌우의 홈 부분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짧은 용접이다."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금속 중 냉각속도가 가장 큰 금속은?

  1. 연강
  2. 알루미늄
  3. 구리
  4.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75%)
  • 냉각속도란 금속이 가열된 후 냉각되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냉각속도가 가장 큰 금속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일수록 빠르게 냉각됩니다. 따라서 구리가 냉각속도가 가장 큰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착부의 인장응력이 5kgf/mm2, 용접선 유효길이가 80㎜이며, V형 맞대기로 완전 용입인 경우 하중8000kgf에 대한 판두께는 몇 ㎜ 인가? (단, 하중은 용접선과 직각 방향임)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75%)
  • 용접선의 인장응력과 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이 같아야 하므로, 용접선의 인장강도를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용접선의 인장강도는 50kgf/mm2 정도이다.

    용접선의 인장강도가 50kgf/mm2 이므로, 용접선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은 4000kgf이다. 따라서, 하중 8000kgf를 견딜 수 있도록 용접선을 두 겹으로 쌓아야 한다.

    V형 맞대기로 완전 용입인 경우, 용접선의 유효길이는 40㎜이 된다. 따라서, 용접선 두 겹의 유효길이는 80㎜이 된다.

    용착부의 인장응력이 5kgf/mm2 이므로, 용접선 두 겹의 인장강도는 100kgf/mm2 이 된다.

    판두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판두께 = (하중 / (용접선 두 겹의 유효길이 x 용접선 두 겹의 인장강도)) x 10

    = (8000 / (80 x 100)) x 10

    = 10 (mm)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용접 변형 교정 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
  2.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3. 가열 후 해머질 하는 법
  4. 변형 된 부위를 줄질 하는 법
(정답률: 76%)
  • 변형 된 부위를 줄질 하는 법은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서 발생한 변형을 강제로 줄이는 것으로, 용접 부위의 내부 응력을 더욱 증가시키고 용접 부위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용접 부위의 변형을 교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용접이음의 강도는 이음에 어떤 부하가 작용하는지를 생각해야 하는데 그 부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직력 (P)
  2. 굽힘모멘트 (H)
  3. 비틀림 모멘트 (T)
  4. 응력강도 (K)
(정답률: 41%)
  • 용접이음의 강도는 이음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결정되는데, 수직력은 이음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부하, 굽힘모멘트는 이음에 굽힘력이 작용하는 부하, 비틀림 모멘트는 이음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부하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응력강도는 이음 자체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음에 작용하는 부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응력강도는 이 문제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기검사에서 피검사물의 자화방법은 물체의 형상과 결함의 방향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사용된다. 그 중 옳지 않은 것은?

  1. 투과법
  2. 축통전법
  3. 직각 통전법
  4. 극간법
(정답률: 36%)
  • 정답: "투과법"

    투과법은 자기검사에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니다. 투과법은 X선 검사 등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자기검사에서는 축통전법, 직각 통전법, 극간법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피복아크 용접기에서 AW300, 무부하전압 70V, 아크전압 30V를 사용할 때 역률과 효율은 각각 얼마인가?(단, 내부손실 3Kw)

  1. 역률 75.8%, 효율 57.2%
  2. 역률 72.3%, 효율 64.7%
  3. 역률 67.4%, 효율 71%
  4. 역률 57.1%, 효율 75%
(정답률: 27%)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AW300의 경우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이 같으므로 역률은 1이 됩니다. 따라서 역률은 100%입니다.

    효율은 출력전력(유효전력)과 입력전력(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내부손실이 3kW인 경우 입력전력은 출력전력보다 3kW 더 크므로, 입력전력은 33kW가 됩니다. 따라서 효율은 (유효전력/입력전력) x 100% = (30kW/33kW) x 100% = 90.9%가 됩니다.

    하지만, 무부하전압이 70V인 경우, 입력전력은 무부하전압과 무부하전류를 곱한 값인 4.9kW가 됩니다. 따라서 효율은 (유효전력/입력전력) x 100% = (30kW/4.9kW) x 100% = 612.2%가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불가능한 값입니다. 따라서 실제 효율은 100% 이하의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률 57.1%, 효율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계산 또는 필릿용접의 치수 이상으로 표면위에 용착된 금속은?

  1. 이면비드
  2. 덧붙이
  3. 개선 홈
  4. 용접의 루트
(정답률: 69%)
  • 용접 시 계산 또는 필릿용접의 치수 이상으로 용착된 금속은 덧붙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필요한 금속을 추가로 용착하여 용접 부위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면비드는 용접 부위의 표면을 말하며, 개선 홈은 용접 부위에 생긴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파여진 홈을 말합니다. 용접의 루트는 용접 부위의 가장 안쪽 부분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이음을 설계할 때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한다.
  2. 용접보조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조건을 좋게 만든다.
  3. 용접진행은 부재의 자유단에서 고정단으로 향하여 용접하게 한다.
  4. 부재 전체에 가능한 열의 분포가 일정하게 되도록 한다.
(정답률: 85%)
  • 정답: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한다."

    용접이음을 설계할 때 주의할 사항 중 하나는 용접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용접진행은 부재의 자유단에서 고정단으로 향하여 용접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용접이음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그러나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한다."는 올바른 설계 방법이 아닙니다. 용접을 많이 하면 용접열이 쌓여서 부재의 변형이나 굽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용접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음파탐상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법은?

  1. 투과법
  2. 펄스반사법
  3. 공진법
  4. 자기검사법
(정답률: 68%)
  • 펄스반사법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체에 닿은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체의 거리와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는 초음파 검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펄스반사법은 초음파탐상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크 전류가 300A 아크 전압이 25V 용접 속도가 20cm/min 인 경우 용접길이 1cm 당 발생 되는 용접 입열은?

  1. 20000
  2. 22500
  3. 25500
  4. 30000
(정답률: 63%)
  • 용접 입열은 아크 전류, 아크 전압, 용접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용접 입열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접 입열 = 아크 전류 x 아크 전압 x 용접 속도 / 10

    여기서, 아크 전류는 300A, 아크 전압은 25V, 용접 속도는 20cm/min 이므로,

    용접 입열 = 300 x 25 x 20 / 10 = 22500

    따라서, 정답은 "225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이음 효율을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1. 용접이음의 허용응력 / 모재의 허용응력
  2. 모재의 인장강도 / 용착금속의 인장강도
  3. 용접재료의 항복강도 / 용접재료의 인장강도
  4. 모재의 인장강도 / 용접시편의 인장강도
(정답률: 44%)
  • 용접이음의 허용응력은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 중 허용 가능한 최대 응력을 의미하고, 모재의 허용응력은 모재 전체에서 발생하는 응력 중 허용 가능한 최대 응력을 의미합니다. 이음 효율은 용접이음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모재 전체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비해 얼마나 작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음 효율을 구하는 식은 "용접이음의 허용응력 / 모재의 허용응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층 용접 시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 이것을 다음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단계를 이루도록 용착시켜 나가는 방법은?

  1. 후퇴법 (Backstep method)
  2. 캐스케이드법 (Cascade method)
  3. 블록법 (Block method)
  4. 덧살올림법 (Build-up method)
(정답률: 70%)
  • 캐스케이드법은 다층 용접 시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 이것을 다음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단계를 이루도록 용착시켜 나가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용접 부위의 열팽창을 최소화하고 용접 부위의 왜곡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강판 두께 9㎜, 용접선 유효길이 150㎜, 홈의 깊이 h1, h2가 각각 3㎜인 V형 맞대기 용접을 불완전 용입으로 용접하고, 9000kgf 의 하중이 용접선과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압축 응력은 몇 kgf/mm2인가?

  1. 20
  2. 15
  3. 10
  4. 5
(정답률: 29%)
  • V형 맞대기 용접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은 용접선과 직각이므로, 용접선의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이 때, 압축응력은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용접선의 단면적은 강판 두께와 용접선 유효길이를 곱한 값인 9mm x 150mm = 1350mm2 이다.

    하중은 9000kgf 이므로, 압축응력은 9000kgf / 1350mm2 = 6.67kgf/mm2 이다.

    하지만, 이는 불완전 용입으로 용접한 경우이므로, 실제 압축응력은 이보다 더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5"보다는 큰 값이어야 한다.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0"인 경우가 있으므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끝이 구면인 특수한 해머로써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때려 용접표면상에 소성변형을 주어 인장응력을 완화하는 방법은?

  1. 전진법
  2. 스킵법
  3. 후퇴법
  4. 피닝법
(정답률: 79%)
  • 피닝법은 용접부를 구면 해머로 연속적으로 때려 소성변형을 주는 방법입니다. 이는 용접표면상에 인장응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용접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피닝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본 용접에서 용착법의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대칭법
  2. 풀림법
  3. 후퇴법
  4. 스킵법
(정답률: 88%)
  • 본 용접에서 대칭법, 후퇴법, 스킵법은 모두 용착법의 종류에 해당되지만, 풀림법은 용접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술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풀림법은 주로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용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가스 용접에서 역화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아세틸렌의 압력이 높을 때
  2. 팁 끝이 모재에 부딪혔을 때
  3. 스패터가 팁의 끝 부분에 덮혔을 때
  4. 토치에 먼지나 물방울이 들어 갔을 때
(정답률: 72%)
  • 가스 용접에서 역화는 가스 흐름이 역방향으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보통 아세틸렌 가스와 산소 가스가 혼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데, 이 중 아세틸렌 가스의 압력이 높을 때 역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아세틸렌 가스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가스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해 역방향으로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세틸렌의 압력이 높을 때"는 역화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격 방지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 틀린 것은?

  1. 피용접물과 용접 케이스를 접지 시킨다.
  2. 면장갑을 끼고 그 위에 용접용 장갑을 낀다.
  3. 우천시에는 용접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에 젖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전격방지 장치가 설치된 용접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91%)
  • "우천시에는 용접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에 젖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비에 젖은 용접기는 전기적인 위험이 더욱 높아지므로, 용접기를 우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용접기를 특별한 장소에 보관하거나 방수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스용접에서 산소 압력조정기의 압력조정나사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밸브는 어떻게 되는가?

  1. 잠겨진다.
  2. 중립상태로 된다.
  3. 고정된다.
  4. 열리게 된다.
(정답률: 74%)
  • 가스용접에서 산소 압력조정기의 압력조정나사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밸브가 열리게 된다. 이는 압력조정기 내부의 스프링이 압축되어 밸브가 열리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른쪽으로 돌리면 산소가 흐르게 되어 용접 작업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금속과 금속을 충분히 접근시키면 금속원자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그 인력에 의하여 금속을 영구 결합시키는 것이 아닌 것은?

  1. 융접
  2. 압접
  3. 납땜
  4. 리벳이음
(정답률: 66%)
  • 리벳이음은 금속을 충분히 접근시키지 않고도 인력에 의해 영구 결합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리벳이음은 두 개 이상의 금속판을 구멍을 뚫어 리벳(핀)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인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고정력에 의해 결합됩니다. 융접, 압접, 납땜은 모두 금속을 충분히 접근시켜 인력에 의해 영구 결합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1차 입력이 22kVA 인 피복 아크용접기에서 전원 전압이 220V라면 퓨즈는 다음 중 몇 A 가 가장 적합한가?

  1. 50
  2. 100
  3. 200
  4. 400
(정답률: 60%)
  • 전력 = 전압 x 전류
    전류 = 전력 / 전압

    22kVA = 220V x 전류
    전류 = 22,000 / 220
    전류 = 100A

    따라서, 가장 적합한 퓨즈는 100A이다. 퓨즈는 전기적으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 경우 최대 전류가 100A이므로 100A 퓨즈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산소 아세틸렌 가스로 절단이 가장 잘 되는 금속은?

  1. 연강
  2. 알루미늄
  3. 스테인리스강
  4. 구리
(정답률: 74%)
  • 산소 아세틸렌 가스로 절단이 가장 잘 되는 금속은 연강입니다. 이는 연강이 고온에서도 높은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용접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강은 절삭성이 높아 절단이 용이하며, 가격도 저렴하여 산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내용적 40리터의 산소용기에 조정기의 고압측 압력계가 50 를 지시하고 있다면, 이 용기에는 잔류 산소가 몇 리터(L) 있는가?

  1. 100
  2. 200
  3. 1000
  4. 2000
(정답률: 55%)
  • 고압측 압력계가 50을 지시하므로, 이 용기에는 50리터의 산소가 들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잔류 산소의 양은 40리터 - 50리터 = -10리터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한 값이므로, 실제로는 잔류 산소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이 됩니다. "2000"은 올바른 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피복아크 용접봉의 피복제 중 아크 안정제는?

  1. 규산칼륨
  2. 탄가루
  3. 마그네슘
  4. 페로크롬
(정답률: 60%)
  • 피복아크 용접봉은 아크 용접 시에 발생하는 산화물을 제거하고 용접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복제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아크 안정제는 아크를 안정화시켜 용접시 발생하는 불안정한 아크를 예방하고 용접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규산칼륨은 아크 안정제로 사용되는 피복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용제에 대한 설명이다. 용융형 용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비드 외관이 아름답다.
  2. 흡습성이 높아 재건조가 필요하다.
  3. 용제의 화학적 균일성이 양호하다.
  4. 용융 시 분해되거나 산화되는 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용융형 용제는 용융 상태에서 사용되는 용제로, 용접 시 용융되어 용접부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흡습성이 높아 재건조가 필요하다."는 용융형 용제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단점이다. 이는 용제가 습기를 흡수하여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건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직류 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의 특징에 해당 되는 것은?

  1. 용접봉의 용융이 빠르다.
  2. 비드 폭이 넓다.
  3. 모재의 용입이 깊다.
  4. 박판 용접에 용이하다.
(정답률: 71%)
  • 직류 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의 특징은 모재의 용입이 깊다는 것입니다. 이는 직류 아크 용접에서 전극 중 양극(+)이 모재 쪽으로 향하면, 양이온들이 모재로 이동하여 모재와 전극 사이에 깊은 용입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용입은 용접봉과 모재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크용접시 발생 되는 유해한 광선은?

  1. X - 선
  2. 감마선 (ɤ)
  3. 알파선 (⍺)
  4. 적외선
(정답률: 77%)
  • 아크용접에서 발생하는 광선은 주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외선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크용접 시에는 안전을 위해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X-선과 감마선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아크용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알파선은 입자선으로, 아크용접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조에 비교하여 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두께에 제한이 없다.
  2. 시설비가 적게 든다.
  3. 수축변형 및 잔류응력이 발생한다.
  4.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용접은 재료의 두께에 제한이 없고, 시설비가 적게 들며,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용접 과정에서는 열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재료에 수축변형 및 잔류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용접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호가스와 용극방식에 의한 분류 중 용제가 들어 있는 와이어 법이 아닌 것은?

  1. 아코스 아크법
  2. 스카핑 아크법
  3. 퓨즈 아크법
  4. 유니언 아크법
(정답률: 52%)
  • 스카핑 아크법은 보호가스나 용극방식이 아닌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용제가 들어 있는 와이어 법이 아니다. 스카핑 아크법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하지 않으며, 공기 중의 이온화된 기체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한다. 이 방식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용접 시 발생하는 열이 매우 높아서 고강도 금속 용접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스용접에서 판두께를 t(mm)라면 용접봉의 지름D(mm)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모재의 두께는 1mm 이상인 경우이다.)

  1. D=t+1
  2. D=t/2+1
  3. D=t/3+2
  4. D=t/4+2
(정답률: 71%)
  • 가스용접에서 용접봉의 지름은 판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용접봉의 지름은 판두께의 절반에 1을 더한 값이다. 이는 용접봉이 판의 중앙에서부터 녹아들어가면서 판의 두께의 절반만큼 녹아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D=t/2+1이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용접에서 충전가스 용기의 도색을 표시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산소 - 녹색
  2. 수소 - 주황색
  3. 프로판 - 회색
  4. 아세틸렌 - 청색
(정답률: 84%)
  • 정답은 "프로판 - 회색"이다. 가스용접에서 충전가스 용기의 도색은 각 가스의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아세틸렌은 청색으로 도색되어 있으며, 이는 아세틸렌이 높은 압력에서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있기 때문이다. 산소는 녹색, 수소는 주황색으로 도색되어 있으며, 프로판은 보통 회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스 절단법에 사용되는 프로판가스의 성질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공기보다 가볍다.
  2. 액화성이 있다.
  3. 증발잠열이 크다.
  4. 석유정제과정의 부산물이다.
(정답률: 65%)
  • "공기보다 가볍다."가 틀린 것이다. 프로판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우며, 공기 중에서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향이 있다. 이는 프로판가스의 밀도가 공기보다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연납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석 - 납
  2. 인 - 구리
  3. 납 - 카드뮴
  4. 카드뮴 - 아연
(정답률: 57%)
  • 인과 구리는 연납의 종류가 아니라 다른 금속입니다. 주석-납, 납-카드뮴, 카드뮴-아연은 모두 연납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플라스마 아크용접법의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중간형 아크법
  2. 이행형 아크법
  3. 용적형 아크법
  4. 비이행형 아크법
(정답률: 34%)
  • 용적형 아크법은 플라스마 아크용접법의 종류가 아니라, 전기저항용접법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적형 아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소 아세틸렌 불꽃에서 아세틸렌이 이론적으로 완전 연소하는데 필요한 산소 : 아세틸렌의 연소비는?

  1. 1.5 : 1
  2. 1 : 1.5
  3. 2.5 : 1
  4. 1 : 2.5
(정답률: 69%)
  • 아세틸렌(C2H2)의 분자식을 보면 탄소(C)와 수소(H)의 비율이 2:2로 1:1의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산소(O2)는 2개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1:2의 비율을 가집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1분자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산소 2분자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아세틸렌의 연소비는 2.5 :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TIG용접 중 직류정극성을 사용하여 용접했을 때 용접효율을 가장 많이 올릴 수 있는 재료는?

  1. 스테인리스강
  2. 알루미늄합금
  3. 마그네슘합금
  4. 알루미늄주물
(정답률: 80%)
  •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시에 산화물이 생성되어 용접부의 내식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직류정극성을 사용하여 용접할 때 스테인리스강은 용접부의 열파열이 적어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TIG용접 중 직류정극성을 사용하여 용접했을 때 용접효율을 가장 많이 올릴 수 있는 재료는 스테인리스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