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용접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용접 후 제품의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저온 응력 완화법
  2. 노 내 풀림법
  3. 국부 풀림법
  4. 오스템퍼링
(정답률: 92%)
  • 오스템퍼링은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라,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철을 열처리하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장력강 용접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용접봉은 저수소계를 사용한다.
  2. 아크 길이는 가능한 짧게 유지한다.
  3. 위빙 폭은 용접봉 지름의 3배 이상으로 한다.
  4. 용접개시 전에 용접할 부분을 청소한다.
(정답률: 88%)
  • "위빙 폭은 용접봉 지름의 3배 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위빙 폭은 용접봉 지름의 1.5배에서 2배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유는 위빙 폭이 너무 넓으면 용접봉이 녹아내리거나 용접구조물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피복 아크 용접봉에 습기가 많을 때 나타나는 것은?

  1. 아크가 안정해 진다.
  2. 용접부에 기공이나 균열이 생기기 쉽다.
  3. 용접 비드 폭이 넓어지고 비드가 깨끗해진다.
  4. 용접 후 각 변형이 작아진다.
(정답률: 93%)
  • 습기가 많은 피복 아크 용접봉은 용접 시에 수분이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방출되면서 용접부 주변의 온도를 낮추게 됩니다. 이로 인해 용접부의 냉각속도가 빨라지고, 이는 용접부에 응력을 유발하여 기공이나 균열이 생기기 쉽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철 용접이 곤란한 이유 중 맞지 않는 것은?

  1. 수축이 많아 균열이 생기기 쉽다.
  2. 용융금속 일부가 연화된다.
  3. 용착 금속에 기공이 생기기 쉽다.
  4. 흑연의 조대화 등으로 모재와의 친화력이 나쁘다.
(정답률: 50%)
  • 주철은 높은 수축률을 가지고 있어 용접 후 냉각 시 수축이 많이 일어나 균열이 생기기 쉽습니다. 그러나 주철 용접이 곤란한 이유 중 "용융금속 일부가 연화된다."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시 발생하기 쉬운 고온 균열에 영향을 주는 합금원소 중에서 균열의 증가에 가장 관계가 깊은 원소는?

  1. C
  2. Mo
  3. Mn
  4. S
(정답률: 62%)
  • 정답은 "S"입니다. 이유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 균열은 주로 석출경화에 의한 것이며, 이는 용융금속에서 석출되는 크롬카바이드(Cr23C6)와 같은 석출물이 균열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석출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용융금속 내의 황(S) 함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고온 균열 발생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합금원소는 황(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순철의 자기 변태온도는 약 얼마인가?

  1. 210℃
  2. 738℃
  3. 768℃
  4. 910℃
(정답률: 76%)
  • 순철의 자기 변태온도는 마그네타이트의 자기화 온도와 같습니다. 마그네타이트의 자기화 온도는 768℃이기 때문에, 순철의 자기 변태온도도 76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아크용접에서 피복제의 역할에 대하여 틀린 것은?

  1. 용착금속을 보호
  2. 용착금속에 산소 및 수소공급
  3. 아크의 안정
  4. 용착금속의 급냉방지
(정답률: 78%)
  • 피복제의 역할 중 "용착금속에 산소 및 수소공급"은 틀린 것이다. 피복제는 용착금속을 보호하고 아크의 안정을 유지하며 용착금속의 급냉방지를 도와준다. 하지만 산소 및 수소공급은 전극물질인 용착봉이나 용착선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열영향부의 냉각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용접조건이 아닌 것은?

  1. 용접전류
  2. 아크전압
  3. 용접속도
  4. 무부하 전압
(정답률: 75%)
  • 무부하 전압은 용접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압으로, 열영향부의 냉각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부하 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알루미늄의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비중이 가벼워 경금속에 속한다.
  2. 전기 및 열의 전도율이 좋다.
  3. 산화 피막의 보호작용으로 내식성이 좋다.
  4. 염산에 아주 강하다.
(정답률: 84%)
  • 알루미늄은 염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염화알루미늄과 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염산에 아주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질화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가스 질화법
  2. 연 질화법
  3. 액체 침질법
  4. 고체 질화법
(정답률: 29%)
  • 고체 질화법은 질소 기체를 고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질화법의 종류가 아니다. 대신, 고체 질화법은 암모니아와 같은 질소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질소 기체를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용접 기호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목두께가 a인 지그재그 단속필릿 용접이다.
  2. n은 용접부의 개수를 말한다.
  3. ℓ은 용접부의 길이로 크레이터부를 포함한다.
  4. (e)는 인접한 용접부간의 거리를 표시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e)는 인접한 용접부간의 거리를 표시한다." 이다.

    ℓ은 용접부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이때 용접부의 길이에는 크레이터부도 포함된다. 크레이터부란 용접 시 생기는 용접물이 녹아내려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ℓ은 용접부 전체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평면도법에서 인벌류트곡선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1. 원기둥에 감긴 실의 한 끝을 늦추지 않고 풀어나갈 때 이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이다.
  2. 1개의 원이 직선 또는 원주 위를 굴러갈 때 그 구르는 원의 원주 위의 1점이 움직이며 그려 나가는 자취를 말한다.
  3. 전동원이 기선 위를 굴러갈 때 생기는 곡선을 말한다.
  4. 원뿔을 여러 가지 각도로 절단하였을 때 생기는 곡선이다.
(정답률: 60%)
  • "원기둥에 감긴 실의 한 끝을 늦추지 않고 풀어나갈 때 이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이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원기둥에 감긴 실을 풀어나갈 때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을 의미한다. 이 곡선은 인벌류트곡선으로 불리며, 평면도법에서 자주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투상법에서 시점과 대상물의 각 점을 연결하고 대상물의 형태를 투상면에 찍어내기 위하는 선은?

  1. 투상면
  2. 시점
  3. 시선
  4. 투상선
(정답률: 72%)
  • 투상법에서 시점과 대상물의 각 점을 연결하고 대상물의 형태를 투상면에 찍어내기 위해서는 시점과 대상물의 각 점을 지나는 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선을 투상선이라고 합니다. 투상선은 시점과 대상물의 각 점을 연결하며, 이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형태를 투상면에 찍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투상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면의 크기에서 A4 제도 용지의 크기는? (단, 단위는 ㎜ 이다.)

  1. 594 × 841
  2. 420 × 594
  3. 297 × 420
  4. 210 × 297
(정답률: 83%)
  • A4 제도 용지의 크기는 210 × 297mm 이다. 이는 국제 표준인 ISO 216에 따라 A0 용지의 크기가 841 × 1189mm이고, 이를 반으로 나눈 A1 용지의 크기가 594 × 841mm이며, 다시 반으로 나눈 A2 용지의 크기가 420 × 594mm이고, 이를 반으로 나눈 A3 용지의 크기가 297 × 420mm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A4 용지는 A3 용지를 반으로 나눈 크기인 210 × 297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면의 작도시에 패킹, 얇은판 등을 표시하는 아주 굵은선의 굵기는 가는선의 몇 배 정도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8%)
  • 정답은 "4"이다. 패킹이나 얇은판과 같은 표면적을 나타내는 아주 굵은선은 일반적으로 가는선의 4배 정도의 굵기를 가진다. 이는 도면에서 해당 부분이 강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그림과 같은 리벳 이음의 명칭은?

  1. 1줄 맞대기이음
  2. 1줄 겹치기이음
  3. 1줄 지그재그 맞대기이음
  4. 1줄 지그재그 겹치기이음
(정답률: 71%)
  • 정답은 "1줄 겹치기이음"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듯이 한 쪽의 리벳이 다른 쪽의 리벳 위에 겹쳐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겹치기"라는 단어가 들어간 "1줄 겹치기이음"이 정답입니다.

    "1줄 맞대기이음"은 두 개의 리벳이 서로 맞닿아 있는 형태를 뜻하며, "1줄 지그재그 맞대기이음"과 "1줄 지그재그 겹치기이음"은 리벳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 하는데 사용하는 선은?

  1. 굵은 1점쇄선
  2. 지그재그선
  3. 굵은 실선
  4. 아주 굵은 실선
(정답률: 64%)
  • 굵은 1점쇄선은 가공이 필요한 부분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으로, 가공이 필요한 부분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굵은 선을 사용한다. 지그재그선은 절단선이나 절곡선을 표시할 때 사용하며, 굵은 실선과 아주 굵은 실선은 주로 외곽선이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접의 기본기호 중 가장자리 용접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6%)
  • 정답은 ""이다. 이 기호는 가장자리 용접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 개의 라인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종류의 용접을 나타내는데, ""은 T자 용접, ""은 코너 용접, ""은 오버헤드 용접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쪽면 K형 맞대기 이음 용접의 기본기호는?

(정답률: 64%)
  • 한쪽면 K형 맞대기 이음 용접은 두 개의 각도가 90도인 K자 모양으로 된 부품을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용접 기호는 K자 모양으로 된 부품의 끝 부분에 위치하며, 한쪽면 용접을 나타내는 선과 K자 모양의 부품이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K자 모양의 부품을 따라 용접을 나타내는 선이 그려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용접기호 중에서 플러그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89%)
  • 정답은 "" 이다. 이 기호는 플러그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로, 두 개의 긴 수직선과 그 사이에 짧은 수평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플러그를 꽂는 모양과 유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용접구조물을 설계할 때 주의 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구조상의 불연속부 및 노치부를 피한다.
  2. 용접금속은 가능한 다듬질 부분에 포함되지 않게 한다.
  3. 용접구조물은 가능한 균형을 고려한다.
  4. 가능한 용접이음을 집중, 접근 및 교차하도록 한다.
(정답률: 82%)
  • 가능한 용접이음을 집중, 접근 및 교차하도록 하는 것은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는 용접부의 면적을 최소화하고, 용접부의 힘을 분산시켜서 부식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이 아닌 올바른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크용접에서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을 향해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용접이음이 짧은 경우나 변형과 잔류응력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때 이용되는 용착 방법은?

  1. 전진법
  2. 전진블록법
  3. 캐스케이드법
  4. 스킵법
(정답률: 82%)
  • 전진법은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을 향해 연속적으로 용접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용접이음이 짧은 경우나 변형과 잔류응력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때 이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진법이 가장 적절한 용접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피닝(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특수해머로 용착부를 1번 정도 때려 용착부의 균열을 점검한다.
  2. 특수해머로 용착부를 1번 정도 때려 용착부의 굽힘 응력을 완화시킨다.
  3. 특수해머로 용착부를 연속으로 때려 용착부의 기공을 점검한다.
  4. 특수해머로 용착부를 연속으로 때려 용착부의 인장 응력을 완화시킨다.
(정답률: 89%)
  • 특수해머로 용착부를 연속으로 때려 용착부의 인장 응력을 완화시킨다. 이는 피닝이 용착부의 표면을 압축하여 인장 응력을 완화시키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저온 응력 완화법은 일정한 온도를 가열하고, 급냉시켜 용접선 방향의 인장 잔류 응력을 완화는 방법이다. 이때 가스염은 용접선을 중심으로 폭 몇 ㎜를 정속도 이동하며, 몇 ℃ 정도로 가열시키는가?

  1. 50㎜, 50℃
  2. 100㎜, 100℃
  3. 150㎜, 200℃
  4. 200㎜, 300℃
(정답률: 69%)
  • 저온 응력 완화법에서 가스염은 용접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폭을 정속도로 이동시키며 가열시킨다. 이때 가열 온도와 폭은 용접선의 직경과 잔류 응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용접선 직경이 크고 잔류 응력이 큰 경우에는 폭이 넓고 가열 온도가 높아지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폭이 좁고 가열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150㎜, 200℃"이 정답인 이유는 용접선의 직경과 잔류 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결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접 결함의 종류 중 구조상 결함이 아닌 것은?

  1. 기공, 슬래그 섞임
  2. 변형, 형상불량
  3. 용입불량, 융합불량
  4. 표면결함, 언더컷
(정답률: 75%)
  • 변형, 형상불량은 용접 과정에서 재료의 형상이나 크기가 원래의 모양에서 벗어나거나 변형되는 결함을 말합니다. 이는 구조상 결함이 아닌 기술적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기공, 슬래그 섞임은 용접 부위에 공기나 불순물이 함유되는 결함, 용입불량, 융합불량은 용접 부위에서 재료가 충분히 융합되지 않는 결함, 표면결함, 언더컷은 용접 부위의 표면이나 가장자리에 생기는 결함으로, 모두 구조상 결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맞대기 용접 이음 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양면 J 형
  2. C 형
  3. K 형
  4. H 형
(정답률: 81%)
  • "C 형"은 맞대기 용접 이음 흠의 종류가 아닙니다. "양면 J 형", "K 형", "H 형"은 모두 맞대기 용접 이음 흠의 종류 중 하나이지만, "C 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용접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σt)은 약 몇 kgf/mm2인가?

  1. 1.46
  2. 1.67
  3. 2.16
  4. 2.6
(정답률: 64%)
  • 인장응력(σt)은 힘(F)을 단면적(A)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인장응력(σt) = F/A 이다. 이 문제에서는 힘이 3000 kgf이고, 단면적은 1800 mm2이다. 따라서, 인장응력(σt) = 3000 kgf / 1800 mm2 = 1.67 kgf/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구조물 작업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변형 및 잔류응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변형이 발생될 때 변형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3. 가능한 구속용접을 한다.
  4. 구조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0%)
  • 가능한 구속용접을 한다는 것은 용접할 부위를 고정시켜 변형을 최소화하고, 잔류응력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은 아니며, 오히려 매우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용접봉의 소요량 계산에 사용하는 용착효율이란?

(정답률: 67%)
  • 용착효율은 용접봉을 용접할 때 실제로 사용되는 용접봉의 양과 이론상 필요한 용접봉의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되는 용접봉의 양이 이론상 필요한 용접봉의 양보다 적을수록 용착효율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각종 금속의 예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고장력강, 저합금강, 주철의 경우 용접 홈을 50~350℃로 예열한다.
  2. 연강을 0℃ 이하에서 용접할 경우 이음의 폭 100㎜정도를 40~75℃ 정도로 예열한다.
  3. 열전도가 좋은 구리합금, 알루미늄 합금은 예열이 필요없다.
  4. 고급 내열 합금에서도 용접균열 방지를 위해 예열을 한다.
(정답률: 77%)
  • "열전도가 좋은 구리합금, 알루미늄 합금은 예열이 필요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는 열전도와는 관련이 없으며, 용접 시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예열을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구리합금, 알루미늄 합금도 예열이 필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잔류 응력의 측정법을 정량법과 정성법으로 분류할 때 정량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부식법
  2. 분할법
  3. 자기적법
  4. 응력 와니스법
(정답률: 39%)
  • 잔류 응력의 측정법을 정량법과 정성법으로 분류할 때, 정량법에 해당하는 것은 분할법입니다. 분할법은 시편을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각 부분의 응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잔류 응력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시편의 전체적인 응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어서 잔류 응력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폭 50㎜, 두께 12.7㎜인 강판 두장을 38㎜만큼 겹쳐서 전주 필릿용접을 하였다. 여기에 외력 P=9000kgf의 하중을 작용시킬 때 필요한 필릿용접 이음의 치수(목길이)는 몇 ㎝인가? (단, 용접부의 허용응력은 σa=1020kgf/cm2 이다.)

  1. 0.99
  2. 1.4
  3. 0.49
  4. 0.7
(정답률: 18%)
  • 이 문제에서 필릿용접 이음의 치수(목길이)는 허용응력과 하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필릿용접 이음의 치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허용응력과 하중을 이용하여 응력을 구해야 한다.

    두 장의 강판을 겹쳐서 필릿용접을 하였으므로, 이음의 단면적은 50 × 38 = 1900 ㎟이다. 하중 P=9000kgf는 두 장의 강판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이음에 작용하는 하중은 9000/2 = 4500kgf이다.

    이제 이음에 작용하는 응력을 구할 수 있다. 응력은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응력은 다음과 같다.

    σ = P/A = 4500/(50 × 38) = 2.37kgf/㎟

    이 응력은 허용응력인 σa=1020kgf/cm2보다 훨씬 작으므로, 이음의 치수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이음의 치수를 구할 수 있다. 이음의 치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목길이 = 2 × (두께/2) × (1 - √(1 - σ/σa))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목길이 = 2 × (12.7/2) × (1 - √(1 - 2.37/1020)) ≈ 0.7㎝

    따라서, 정답은 "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에서 플레어 용접은?

(정답률: 79%)
  • 플레어 용접은 불꽃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은 불꽃이 나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플레어 용접을 나타내는 이미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용접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의 영향과 관계 없는 것은?

  1. 경도 감소
  2. 좌굴 변형
  3. 부식
  4. 취성 파괴
(정답률: 38%)
  • 용접시 발생되는 잔류응력과 관계 없는 것은 "부식"이다. 부식은 재료의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이며, 잔류응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반면, 용접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은 용접부위의 열팽창과 냉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으로, 이는 용접부위의 미세구조 변화와 함께 재료의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잔류응력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경도 감소, 좌굴 변형, 취성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용접부 검사에서 초음파 탐상 시험법에 속하는 것은?

  1. 펄스 반사법
  2. 코머렐 시험법
  3. 킨젤 시험법
  4. 슈나트 시험법
(정답률: 76%)
  • 초음파 탐상 시험법은 소리의 파동을 이용하여 부품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 "펄스 반사법"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부품 내부를 탐색하고,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펄스 반사법"은 초음파 탐상 시험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탱크나 용기의 용접부에 기밀 · 수밀을 검사하는데, 가장 적합한 검사 방법은?

  1. 외관검사
  2. 누설검사
  3. 침투검사
  4. 초음파검사
(정답률: 68%)
  • 탱크나 용기의 용접부는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누설검사가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누설검사는 용접부 주변에 압력을 가하고,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 누설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연강의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인장강도가 28kgf/mm2 이고, 안전율이 5일 때 이음의 허용응력은 약 몇 kgf/mm2 인가?

  1. 0.18
  2. 1.80
  3. 0.56
  4. 5.60
(정답률: 57%)
  • 허용응력은 인장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값이므로, 허용응력 = 28kgf/mm2 ÷ 5 = 5.6kgf/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5.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 지그를 적절히 사용할 때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용접작업을 쉽게 한다.
  2. 용접균열을 방지한다.
  3. 제품의 정밀도를 높인다.
  4. 대량 생산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54%)
  • 용접 지그는 제품의 정밀도를 높이고, 대량 생산할 때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지만, 용접균열을 방지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용접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접 조건과 후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맞대기 용접부의 접합면에 홈(groove)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1. 용접 결함 발생을 적게 하기 위하여
  2. 제품의 치수를 맞추기 위하여
  3. 용접부의 완전한 용입을 위하여
  4. 용접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87%)
  • 맞대기 용접부의 접합면에 홈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용접부의 완전한 용입을 위하여입니다. 홈을 만들어 용접재료가 충분히 채워지고 밀착되도록 하여 용접 결함을 최소화하고,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접시 잔류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시공법이 아닌 것은?

  1. 용접부의 수축을 억제한다.
  2. 용착금속을 적게 한다.
  3. 예열을 한다.
  4. 비석법에 의한 비드 배치를 한다.
(정답률: 43%)
  • 용접부의 수축을 억제하는 것은 잔류응력을 경감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용접부의 수축을 억제한다."가 아닌 것은 잔류응력을 경감시키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잠호용접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대전류를 사용하므로 용입이 깊다.
  2. 비드 외관이 아름답다.
  3. 작업능률이 피복금속아크용접에 비하여 판두께 12㎜에서 2~3배 높다.
  4. 용접시 아크가 잘 보여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74%)
  • 잠호용접의 장점은 대전류를 사용하여 용입이 깊고, 비드 외관이 아름답으며, 작업능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용접시 아크가 잘 보여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용접의 기본적인 요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용접시 아크가 잘 보여 확인할 수 있다."는 잠호용접의 장점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피복금속 아크 용접에서 운봉 속도가 너무 느리면 나타나는 결함은?

  1. 언더컷
  2. 용입불량
  3. 고운 비드
  4. 오버랩
(정답률: 69%)
  • 피복금속 아크 용접에서 운봉 속도가 너무 느리면 용접 부위에 충분한 열이 전달되지 않아 용접재가 제대로 융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용접재가 부족하게 적용되어 용접 부위에 불안정한 결함인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버랩은 용접재가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용접 부위가 불안정하게 겹쳐져 생기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피복아크 용접봉 홀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게가 무겁고 전기 절연이 잘 되어 있지 않는 것이 좋다.
  2. 용접봉 잡는 기구이다.
  3. 케이블을 용접봉 홀더에 접속할 때에는 완전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4. 케이블의 접촉불량에 의한 저항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90%)
  • "무게가 무겁고 전기 절연이 잘 되어 있지 않는 것이 좋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무게가 가벼우면 용이하고 전기 절연이 잘 되어 있으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접봉 홀더 200호로 접속할 수 있는 최대 홀더용 케이블의 도체공칭 단면적은 몇 mm2인가?

  1. 22
  2. 30
  3. 38
  4. 50
(정답률: 44%)
  • 용접봉 홀더 200호는 최대 200A의 전류를 허용하므로, 케이블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류(A) = 전기장(V) ÷ 저항(Ω) = 전기장(V) ÷ (전도도(S/m) × 길이(m) ÷ 단면적(m2))

    따라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면적(m2) = 전기장(V) ÷ (전류(A) × 전도도(S/m) × 길이(m))

    용접봉 홀더 200호의 전압은 대개 50V 정도이며, 전도도는 구리의 경우 약 5.8×107 S/m이다. 길이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여기에서는 1m로 가정한다.

    따라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면적(m2) = 50V ÷ (200A × 5.8×107 S/m × 1m) ≈ 4.31×10-6 m2

    이 값을 mm2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단면적(mm2) = 4.31×10-6 m2 × (1000 mm/m)2 ≈ 4.31 mm2

    따라서, 최대 홀더용 케이블의 도체공칭 단면적은 약 4.31 mm2이다.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38"이 아니므로, 정답은 "38"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KS 안전색에서 “황적” 색이 표시하는 사항은?

  1. 위생
  2. 방사능
  3. 위험
  4. 구호
(정답률: 61%)
  • KS 안전색에서 "황적" 색은 "위험"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변 환경이나 물질이 인체에 위험을 가할 수 있는 상황임을 알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화학물질이 유출되어 있거나 전기적 위험이 있는 구역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가스용접에서 산소용기에 각인되어 있는 것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V - 내용적
  2. W - 순수가스의 중량
  3. TP - 내압시험 압력
  4. FP - 최고충전 압력
(정답률: 60%)
  • 정답은 "W - 순수가스의 중량"이다. 이유는 가스용접에서 산소용기에 각인되어 있는 것은 산소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산소의 중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산소가 압축되어 들어있는 용기의 총 중량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수가스의 중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독일식 가스용접 토치의 팁 번호가 7번일 때 용접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강판의 두께는 몇 ㎜ 인가?

  1. 4 ~ 5
  2. 6 ~ 8
  3. 9 ~ 12
  4. 13 ~ 15
(정답률: 62%)
  • 독일식 가스용접 토치의 팁 번호가 7번인 경우, 해당 토치는 약 200A의 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는 약 6mm ~ 8mm의 강판을 용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류의 세기와 강판의 두께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6 ~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종의 종류 중 철분산화철계는 어느 것인가?

  1. E4311
  2. E4327
  3. E4340
  4. E4303
(정답률: 73%)
  • 철분산화철계는 E4327입니다. 이는 AWS(American Welding Society)에서 정한 용접재료 규격 중 하나로, 저합금강 용접에 사용됩니다. E4311, E4340, E4303은 다른 규격의 용접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통 절단시 판두께가 12.7㎜일 때 표준 드래그(drag)의 길이는 몇 ㎜인가?

  1. 2.4
  2. 5.2
  3. 5.6
  4. 6.4
(정답률: 64%)
  • 판두께가 12.7㎜일 때 표준 드래그의 길이는 2.4㎜이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규격으로, 판두께가 12.7㎜일 때 드래그 길이를 2.4㎜로 설정하여 일관성 있는 측정을 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규격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용접에 전진법과 후진법을 비교할 때 각각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후진법에서 용접변형이 작다.
  2. 후진법에서 용착금속이 급랭한다.
  3. 전진법에서 열 이용률이 좋다.
  4. 전진법에서 용접속도는 빠르다.
(정답률: 54%)
  • - 전진법: 용접 속도가 빠르고, 열이 이용률이 좋아서 용접부위의 열변형이 크다.
    - 후진법: 용접 속도가 느리고, 용착금속이 급랭하여 용접부위의 열변형이 작다.

    후진법에서 용접변형이 작은 이유는 용착금속이 급랭하여 열이 빨리 방출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전진법에서는 용접속도가 빠르고 열이 이용률이 좋아서 용접부위의 열변형이 크게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TIG용접을 직류 정극성으로 하면 비드는 어떻게 되는가?

  1. 비드 폭이 역극성보다 넓어진다.
  2. 비드 폭이 역극성보다 좁아진다.
  3. 비드 폭이 역극성과 같아진다.
  4. 비드와는 관계없다.
(정답률: 78%)
  • TIG용접에서 직류 정극성을 사용하면 양극성과 음극성에서 전류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비드 폭이 역극성보다 좁아진다. 이는 양극성에서는 열이 집중되어 비드가 좁아지고, 음극성에서는 열이 분산되어 비드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소병 취급방법에서 틀린 것은?

  1. 밸브는 기름을 칠하여 항상 유연해야 한다.
  2. 산소병을 뉘어 두지 않는다.
  3. 사용 전에는 비눗물로 가스 누설검사를 한다.
  4. 산소병은 화기로부터 멀리한다.
(정답률: 90%)
  • "밸브는 기름을 칠하여 항상 유연해야 한다."가 틀린 이유는, 밸브에 기름을 칠하면 기름이 산소와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밸브는 기름 대신 산소용 그리스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크 빛으로 인해 혈안이 되고 눈이 부었을 때 우선 조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온수로 씻은 후 작업한다.
  2. 소금물로 씻은 후 작업한다.
  3. 심각한 사안이 아니므로 계속 작업한다.
  4. 냉습포를 눈 위에 얹고 안정을 취한다.
(정답률: 91%)
  • 아크 빛으로 인해 혈안이 되고 눈이 부었을 때는 눈을 보호하고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온수나 소금물로 씻는 것은 눈을 더 자극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안 좋습니다. 심각한 사안이 아니더라도 눈을 보호하고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냉습포를 눈 위에 얹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옳은 조치입니다. 냉습포는 눈을 차갑게 유지하여 열을 식히고, 눈을 보호하여 자극을 줄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미세한 알루미늄과 산화철 분말을 혼합한 테르밋제에 과산화 바륨과 마그네슘 분말을 혼합한 점화제를 넣고, 이것을 점화하면 점화제의 화학 반응에 의해 그 발열로 용접하는 것은?

  1. 가스 용접
  2. 전자 빔 용접
  3. 플라즈마 용접
  4. 테르밋
(정답률: 82%)
  • 테르밋은 알루미늄과 산화철 분말을 혼합하여 만든 용접재로, 과산화 바륨과 마그네슘 분말을 혼합한 점화제를 사용하여 발열로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테르밋"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불화성 가스 용접법 중 TIG 용접의 상품명으로 불려 지는 것은?

  1. 에어 코우메틱 용접법(air comatic welding)
  2. 헬륨 아크 용접법(helium arc welding)
  3. 필러 아크 용접법(filler arc welding)
  4. 아르곤 노트 용접법(argon naut welding)
(정답률: 32%)
  • TIG 용접은 불화성 가스 용접법 중 하나로, 헬륨 가스를 사용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TIG 용접은 헬륨 아크 용접법으로 불리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용접법 중 가장 두꺼운 판을 용접할 때 능률적인 것은?

  1. 불화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3. 점 용접
  4. 산소-아세틸렌 가스 용접
(정답률: 73%)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이 가장 두꺼운 판을 용접할 때 능률적인 이유는, 이 용접법은 용접 전에 용접 부위를 미리 가열하여 용접 시에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용접 전에 용접 부위를 청소하고, 용접 시에는 용접봉과 용접 부위 사이에 자동으로 보충재를 공급하여 용접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특징으로 인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두꺼운 판 용접에 적합하며, 높은 용접 속도와 높은 용접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심선의 철(Fe) 이외의 화학 성분에 대하여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은?

  1. C, Si, Mo, P, S, Cu
  2. C, Si, Cr, P, S, Cu
  3. C, Si, Mn, P, S, Cu
  4. C, Si, Mn, Mo, P, S
(정답률: 59%)
  • KS에서는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심선의 화학 성분으로 C(carbon), Si(silicon), Mn(manganese), P(phosphorus), S(sulfur), Cu(copper)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 성분들이 용접봉의 강도, 경도, 내식성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Mo(molybdenum)와 Cr(chromium)은 용접봉의 성능 향상을 위해 첨가할 수 있지만, KS에서는 규정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브레이징(Brazing)은 저온 용가재를 사용하여 모재를 녹이지 않고 용가재만 녹여 용접을 이행하는 방식인데, 섭씨 몇 ℃ 이상에서 이행하는 방식인가?

  1. 350℃
  2. 400℃
  3. 450℃
  4. 600℃
(정답률: 61%)
  • 브레이징은 저온 용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재를 녹이지 않고 용접을 이행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가재의 용융점은 450℃ 이상입니다. 따라서 브레이징은 섭씨 450℃ 이상에서 이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융접에 속하지 않는 용접은?

  1. 아크용접
  2. 가스용접
  3. 초음파용접
  4. 스터드용접
(정답률: 67%)
  • 초음파용접은 물질의 분자를 직접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열에 의한 변형이나 왜곡이 없어서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기계적인 용접 방법으로, 아크나 가스, 스터드 등과는 달리 열에 의한 용융이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융접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IG 용접에 비해 용융속도가 느리고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
  2. 각종 금속 용접에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어 응용 범위가 넓다.
  3. 보호 가스의 가격이 비싸 연강 용접의 경우에는 부적당하다.
  4. 비교적 깨끗한 비드를 얻을 수 있고 CO2용접에 비해 스패터 발생이 적다.
(정답률: 51%)
  • "TIG 용접에 비해 용융속도가 느리고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은 TIG 용접보다 용융속도가 빠르며, 박판 용접 뿐만 아니라 다양한 두께의 금속을 용접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