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26)

용접산업기사
(2009-07-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잔류 응력 제거 방법으로서 용접선의 양측을 가스 불꽃으로 너비 약 150㎜에 걸쳐서 150~200℃로 가열한 다음 곧 수냉하는 방법은?

  1. 기계적 응력 완화법
  2. 피닝법
  3. 저온 응력 완화법
  4. 확산 풀림법
(정답률: 89%)
  • 이 방법은 저온 응력 완화법에 해당한다. 가열 후 수냉하는 과정에서 용접선의 온도가 빠르게 낮아지면서 용접선 내부의 응력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복 아크 용접시 용융 금속 중에 침투한 산화물을 제거하는 탈산제로 쓰이지 않는 것은?

  1. 망간철
  2. 규소철
  3. 산화철
  4. 티탄철
(정답률: 62%)
  • 산화철은 피복 아크 용접시에 용융 금속 중에 침투한 산화물을 제거하는 탈산제로 쓰이지 않는다. 이는 산화철이 이미 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탈산제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화철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맞대기 용접 이음의 가접 또는 첫층에서 루트 근방의 열영향부에서 발생하여 점차 비드속으로 들어가는 균열은?

  1. 토 균열
  2. 루트 균열
  3. 세로 균열
  4. 크레이터 균열
(정답률: 69%)
  •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가접 또는 첫층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열 영향부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균열은 비드속으로 들어가면서 크기가 커지는데, 이러한 균열을 루트 균열이라고 합니다. 루트 균열은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용접부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포정반응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하나의 고용체에 다른 액체가 작용하여 다른 고용체를 형성하는 반응
  2. 2종 이상의 물질이 고체 상태로 완전히 융합되는 것
  3. 하나의 액체에서 고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를 동시에 형성하는 반응
  4. 하나의 액체를 어떤 온도로 냉각시키면서 동시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고체를 생기게 하는 반응
(정답률: 47%)
  • "하나의 고용체에 다른 액체가 작용하여 다른 고용체를 형성하는 반응"은 두 개 이상의 액체가 혼합되어 새로운 고용체를 형성하는 반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면심입방격자(FCC)에서 단위격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원자의 수는 몇 개 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74%)
  • 면심입방격자(FCC)의 단위격자에는 4개의 원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FCC 구조가 각 면의 중심에 1개의 원자와 각 모서리에 1/8의 원자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8 x 8 + 1 = 2 + 1 = 3이며, 3 x 4 = 12개의 원자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중 중복되는 원자가 있으므로, 실제로는 4개의 원자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철강의 용접시 열 영향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소의 함량이 많을수록 경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2. 오스테나이트까지 가열된 조직은 급냉으로 마텐자이트 조직이 된다.
  3. 조직이 마텐자이트가 되면 경도가 증가한다.
  4. 조직이 마텐자이트가 되면 연신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57%)
  • 조직이 마텐자이트가 되면 연신율이 증가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탄소의 함량이 많을수록 경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은 탄소가 경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스테나이트까지 가열된 조직은 급냉으로 마텐자이트 조직이 된다는 것은 열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조직이 마텐자이트가 되면 경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경도와 마텐자이트 조직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철의 용접성으로 틀린 것은?

  1. 수축이 많아 균열이 생기기 쉽다.
  2. 일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여 용착금속에 기공 발생이 적다.
  3. 500~600℃의 예열 및 후열이 필요하다.
  4. 주철 속에 기름, 흙, 모래 등이 있는 경우에 용착이 불량하거나 모재와의 친화력이 나쁘다.
(정답률: 62%)
  • 일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여 용착금속에 기공 발생이 적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주철은 용접 시 일산화탄소 가스 발생이 많아 기공 발생이 쉽기 때문에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적인 금속 원자의 단위 결정격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체심입방격자
  2. 정밀입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밀육방격자
(정답률: 65%)
  • 정밀입방격자는 일반적인 금속 원자의 단위 결정격자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인 입방격자와는 달리, 보다 정교하게 구성된 입방격자로서, 원자의 위치와 결합 방향 등이 더욱 정밀하게 결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금속의 결정격자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의 건조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70~100℃, 1시간
  2. 200~250℃, 30분
  3. 300~350℃, 1~2시간
  4. 400~450℃, 30분
(정답률: 85%)
  •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은 고온 및 고습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조건은 높은 온도와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300~350℃, 1~2시간이 가장 적절한 건조 조건입니다. 70~100℃, 1시간은 온도가 너무 낮고 시간도 짧아 건조 효과가 떨어집니다. 200~250℃, 30분은 온도는 적절하지만 시간이 짧아 건조 효과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400~450℃, 30분은 온도가 너무 높아 용접봉의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금속을 가열한 다음 급속히 냉각시켜 재질을 경화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풀림
  2. 뜨임
  3. 불림
  4. 담금질
(정답률: 66%)
  • 금속을 가열하면 분자들이 움직이며 구조가 늘어나게 되는데, 이를 급속히 냉각시키면 분자들이 다시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구조가 굳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열처리 방법을 담금질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용접기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플러그 용접
  2. 뒷면 용접
  3. 스폿 용접
  4. 심 용접
(정답률: 94%)
  • 이 용접기호는 두 개의 금속판을 겹쳐서 용접하는 "플러그 용접"을 나타냅니다. 이는 두 개의 금속판을 더 강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접 부위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뒷면 용접"은 금속판의 뒷면에서 용접하는 것을 나타내며, "스폿 용접"은 작은 지름의 용접을 여러 번 반복하여 용접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심 용접"은 금속판의 중앙 부분에서 용접하는 것을 나타내며, 보통 원형 또는 타원형의 용접부가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치수 기입 방법에서 치수선과 치수 보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수선과 치수 보조선은 가는 실선으로 긋는다.
  2. 치수선은 원칙적으로 치수 보조선을 사용하여 긋는다.
  3. 치수선은 원칙적으로 지시하는 길이 또는 각도를 측정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긋는다.
  4. 치수 보조선은 지시하는 치수의 끝에 해당하는 도형상의 점 또는 선의 중심을 지나 치수선에 평행으로 긋는다.
(정답률: 60%)
  • 정답은 "치수선은 원칙적으로 치수 보조선을 사용하여 긋는다." 이다.

    치수선은 지시하는 길이 또는 각도를 측정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긋는 것이 원칙이다. 치수 보조선은 지시하는 치수의 끝에 해당하는 도형상의 점 또는 선의 중심을 지나 치수선에 평행으로 긋는다. 이는 치수선과 치수 보조선이 서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치수선은 직접적으로 치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고,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과 함께 사용하여 치수를 명확하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면의 보관방법 및 출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도는 화재나 수해로부터 안전하도록 방재 처리를 한 도면 보관함에 격리하여 보관한다.
  2. 도면 보관함에는 도면번호, 도면크기 등을 표시하여 사용이 쉽게 한다.
  3. 복사도에는 출고용 도장을 찍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 하며, 도면이 심하게 파손되었을 때는 현장에서 즉시 태워 버린다.
  4. 원도는 도면을 변경하고자 하는 이외에는 출고하지 않으며, 곧바로 생산 현장에 출고할 때는 복사도를 출고한다.
(정답률: 90%)
  • "복사도에는 출고용 도장을 찍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 하며, 도면이 심하게 파손되었을 때는 현장에서 즉시 태워 버린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도면 보관 방법과 출고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출고에 대한 설명 중에서도 특이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출고용 도장을 찍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출고용 도장을 찍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 보기는 그 예외적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면이 파손되었을 때 즉시 태워 버린다는 것도 일반적인 보관 방법과는 다른 방식이기 때문에 특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면의 분류에서 내용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개도
  2. 부품도
  3. 기초도
  4. 조립도
(정답률: 42%)
  • 전개도는 제품의 구성 요소를 평면으로 전개하여 제작에 필요한 부품의 크기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내용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부품도, 기초도, 조립도와는 다른 분류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선의 종류는?

  1. 굵은 실선
  2. 가는 파선
  3. 가는 실선
  4. 가는 이점쇄선
(정답률: 67%)
  • 가는 파선은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선 중에서 가장 가볍고 미세한 선으로, 대상물의 윤곽을 부드럽게 나타내기 때문에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가는 파선은 대상물의 실제 크기와 비례하여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비율을 나타내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의 실형을 나타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리는 투상도는?

  1. 보조투상도
  2. 부분투상도
  3. 국부투상도
  4. 회전투상도
(정답률: 58%)
  • 경사면이 있는 대상물에서는 보조투상도를 그린다. 이는 경사면의 실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부분투상도는 대상물의 일부분만을 나타내는 것이고, 국부투상도는 대상물의 특정 부분만을 나타내는 것이며, 회전투상도는 대상물의 회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면이 있는 대상물에서는 보조투상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국가 및 기구에 대한 규격기호를 틀리게 연결한 것은?

  1. 국제표준화기구 - ISO
  2. 미국 - USA
  3. 일본 - JIS
  4. 스위스 - SNV
(정답률: 75%)
  • 미국은 ISO 규격을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규격을 제정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표준화기구와는 별도의 규격기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 USA"가 올바른 규격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AD 인터페이스 종류 중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GKS(Graphical Kernel System)
  2. IGES(Initial Graphics Exchange Specifition)
  3. RS-232C
  4. DXF(Date Exchange File)
(정답률: 73%)
  • RS-232C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세 가지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RS-232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용접 기본기호 중 맞대기 이음 용접 기호가 아닌 것은?

  1. V
  2. Y
  3. L
(정답률: 84%)
  • 정답은 "L"입니다. 맞대기 이음 용접 기호는 "Ⅱ", "V", "Y"로 표현되며, "L"은 사용되지 않는 용접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 투상법에서 제3각법은 (①) → (②) → (③) 순서로 투상한다. ( )속의 번호에 들어갈 용어로 맞는 것은?

  1. ①눈, ②물체, ③투상면
  2. ①눈, ②투상면, ③물체
  3. ①물체, ②눈, ③투상면
  4. ①투상면, ②물체, ③눈
(정답률: 57%)
  • 정 투상법에서 제3각법은 눈에서 보이는 물체를 투상면에 투사한 후 그 투상면에서 다시 눈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①은 눈, ②는 투상면, ③은 물체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눈, ②투상면, ③물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용접 전 예열을 하는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부와 인접된 모재의 수축 응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열을 실시한다.
  2. 임계온도를 통과하여 냉각될 때 냉각속도를 느리게 하여 열영향부와 용착 금속의 경화를 방지하고 연성을 높여준다.
  3. 약 200℃의 범위를 통과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용착 금속내의 수소의 방출 시간을 줌으로서 비드 밑 균열을 방지한다.
  4. 온도 분포가 완만하게 되어 열응력의 감소로 변형과 잔류응력 발생을 적게 한다.
(정답률: 77%)
  • "용접부와 인접된 모재의 수축 응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열을 실시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용접 전 예열은 용접부와 인접한 모재의 수축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됩니다. 예열을 통해 모재를 미리 데워두면 용접 후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수축 응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변형과 잔류 응력을 최소화하여 용접 부작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특수한 구면상의 선단을 갖는 해머(hammer)로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해줌으로써 표면의 소성변형을 주어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은?

  1. 기계적 응력 완화법
  2. 저온 응력 완화 법
  3. 피닝법
  4. 응력제거 풀림법
(정답률: 96%)
  • 해머로 용접부를 타격하는 것은 피닝법으로, 이는 구면상의 선단을 갖는 해머를 사용하여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해줌으로써 표면의 소성변형을 주어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맞대기 용접 및 필릿 용접 이음시 각 변형을 교정할 때 이용하는 이면담금질 방법은?

  1. 점가열법
  2. 송엽가열법
  3. 선상가열법
  4. 격자가열법
(정답률: 57%)
  • 맞대기 용접 및 필릿 용접 이음시 각 변형을 교정할 때 이용하는 이면담금질 방법은 선상가열법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를 일정한 속도로 가열하여 교정하는 방법으로, 용접 부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교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교정이 용이하고, 용접 부위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강의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용착 금속의 기계적 성질 중 인장강도가 40 kgf/mm2, 안전율이 5라면 용접이음의 허용응력(kgf/mm2)은 얼마인가?

  1. 0.8
  2. 8
  3. 20
  4. 200
(정답률: 78%)
  • 허용응력은 인장강도에 안전율을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허용응력 = 인장강도 / 안전율 = 40 / 5 = 8 (kgf/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기 탐상 검사가 되지 않는 금속재료의 용접부 표면 검사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외관 검사
  2. 침투 탐상 검사
  3. 초음파 탐상 검사
  4. 방사선 투과 검사
(정답률: 44%)
  • 자기 탐상 검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금속재료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자기 탐상 검사가 되지 않는 금속재료의 용접부 표면 검사법으로는 자기 탐상 검사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신, 용접부 표면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결함 부위에 액체를 침투시켜서 결함을 드러내는 침투 탐상 검사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필릿 용접 이음의 수축 변형에서 모재가 용접선에 각을 이루는 경우를 각(角)변형이라고 하는데, 각(角)변형과 같이 쓰이는 용어는?

  1. 가로 굽힘
  2. 세로 굽힘
  3. 회전 굽힘
  4. 원형 굽힘
(정답률: 64%)
  • 정답은 "반경"이다.

    "가로 굽힘"은 필릿 용접 이음에서 모재가 용접선에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가로 방향으로 굽히는 변형을 의미한다. 이는 필릿 용접 이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변형 중 하나이다. 이는 용접 후에 필릿 용접 이음이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가로 굽힘은 필릿 용접 이음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장시험 결과 시험편의 파단 후의 단면적 20mm2 이고 원단면적 25mm2일 때 단면수축률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62%)
  • 단면수축률은 (원단면적-파단 후의 단면적)/원단면적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5-20)/25 x 100 = 20%가 됩니다. 파단 후의 단면적이 원단면적보다 작아졌기 때문에 수축률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경비를 작게 하고자 할 때 유의할 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용접봉의 적절한 선정과 그 경제적 사용방법
  2. 재료 절약을 위한 방법
  3. 용접 지그의 사용에 의한 위보기 자세의 이용
  4. 용접사의 작업 능률의 향상
(정답률: 93%)
  • 용접 지그의 사용에 의한 위보기 자세의 이용은 용접 작업 시에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작업자가 자세를 잡을 때 지그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용접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용접 경비를 줄이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용접 경비를 작게 하고자 할 때는 용접 지그의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겹치기 이음의 필릿 용접을 하려고 한다. 허용응력을 5kgf/mm2라 하고 인장하중을 5000 kgf, 판두께 12㎜ 이라고 할 때, 필요한 용접 유효 길이는 약 몇 ㎜인가?

  1. 83
  2. 73
  3. 69
  4. 59
(정답률: 29%)
  • 용접 부위의 인장응력은 P/A로 구할 수 있다. 이 때, A는 용접 부위의 단면적, P는 인장하중이다.

    단면적 A는 겹치기 이음의 경우, 두 판의 두께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A = 2 × 12 = 24 (mm2)

    인장응력을 5kgf/mm2로 제한하고자 할 때, 필요한 용접 유효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P/(A × σ) = 5000/(24 × 5) ≈ 59 (mm)

    따라서, 필요한 용접 유효 길이는 약 59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 이음을 설계할 때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가급적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한다.
  2. 용접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공간을 두어야 한다.
  3. 용접 이음을 한쪽으로 집중되게 접근하여 설계하지 않도록 한다.
  4. 맞대기 용접은 될 수 있는 대로 피하고 필릿 용접을 하도록 한다.
(정답률: 89%)
  • 맞대기 용접은 용접 부위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크기 때문에 가능하면 피해야 한다. 필릿 용접은 용접 부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맞대기 용접은 될 수 있는 대로 피하고 필릿 용접을 하도록 한다."가 주의사항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설계 단계에서의 일반적인 용접 변형 방지법 중 틀린 것은?

  1. 용접 길이가 감소 될 수 있는 설계를 한다.
  2. 용착 금속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설계를 한다.
  3. 보강재 등 구속이 작아지도록 설계를 한다.
  4. 변형이 적어질 수 있는 이음 부분을 배치한다.
(정답률: 62%)
  • "보강재 등 구속이 작아지도록 설계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용접 변형 방지법으로는 용접 길이 감소, 용착 금속 감소, 변형이 적어질 수 있는 이음 부분 배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보강재 등 구속이 작아지도록 설계하는 것은 오히려 용접 변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보강재 등 구속이 작아지면 용접 부위에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강재 등 구속이 큰 설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동일한 길이를 용접하는 경우라도 판 두께, 용접 자세, 작업장소 등이 변동되면 용접에 소요하는 작업량도 변하게 되는데 이 작업량에 영향을 주는 것을 각기 계수로 표시하고 이 계수를 실제의 용접길이에 곱한 것을 무슨 용접길이라고 하는가?

  1. 도면상의 용접길이
  2. 환산 용접길이
  3. 돌림 용접길이
  4. 가공 후 용접길이
(정답률: 67%)
  • 환산 용접길이는 용접에 소요되는 작업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계수로 표시하고 이를 실제 용접길이에 곱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도면상의 용접길이나 가공 후 용접길이와는 달리 작업 조건에 따라 변동되는 용접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 실제 용접 작업에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과 같은 용접이음의 형상기호 종류는?

  1. 필릿용접 x형
  2. 플러그용접 K형
  3. 모서리용접 V형
  4. 플레어용접 X형
(정답률: 84%)
  • 이 그림은 두 개의 금속판을 X자로 겹쳐서 용접한 형태이므로 "플레어용접 X형"이다. "필릿용접 x형"은 두 개의 금속판을 T자로 겹쳐서 용접한 형태이고, "플러그용접 K형"은 한 쪽 금속판에 구멍을 뚫고 다른 쪽 금속판을 그 구멍에 끼워서 용접한 형태이다. "모서리용접 V형"은 두 개의 금속판을 모서리로 겹쳐서 용접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용접 시공에 의한 변형 경감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대칭법
  2. 후진법
  3. 스킵법
  4. 도열법
(정답률: 65%)
  • 용접 시공에 의한 변형 경감법은 용접 중에 발생하는 길이 변화나 각도 변화 등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도열법"은 용접 전에 미리 부품을 가열하여 변형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용접 시공에 의한 변형 경감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용접부에 발생하는 기공(blow hole)이나 피트(pit)와 같은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이음부에 녹이나 이물질 부착
  2. 용접봉 건조 불량
  3. 용접 홈 각도의 과대
  4. 용접속도의 과대
(정답률: 64%)
  • 용접 홈 각도의 과대는 용접 부위의 각도가 너무 크게 형성되어 용접재료가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공이나 피트와 같은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용접(tack welding)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본 용접자와 동등한 기량을 갖는 용접자가 가용접을 시행할 것
  2. 본 용접과 같은 온도에서 예열을 할 것
  3. 가용접 위치는 부품의 끝 모서리나 각 등과 같이 응력이 집중되는 곳을 피할 것
  4. 용접봉은 본 용접 작업시에 사용하는 것보다 약간 굵은 것을 사용할 것
(정답률: 86%)
  • "용접봉은 본 용접 작업시에 사용하는 것보다 약간 굵은 것을 사용할 것"은 가용접시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아니라서 정답이다.

    이유는 가용접은 일시적인 용접으로, 본 용접과 같은 강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봉을 약간 굵게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오히려 용접봉이 더 굵으면 가용접이 더 튼튼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접구조물의 수명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작업 태도
  2. 아크 타임율
  3. 피로 강도
  4. 작업율
(정답률: 85%)
  • 용접구조물의 수명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피로 강도입니다. 이는 구조물이 일정한 부하를 받을 때 발생하는 반복적인 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로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와 용접 방법을 선택하고, 정기적인 검사와 유지보수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작업 태도, 아크 타임율, 작업율도 중요하지만, 구조물의 수명과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피로 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이음 중에서 접합하는 2부재 사이에서 양쪽 면에 홈을 파고 용접하는 양쪽면 홈이음 형은?

  1. I형 홈
  2. J형 홈
  3. H형 홈
  4. V형 홈
(정답률: 69%)
  • H형 홈은 양쪽 면에 파인 홈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서, 용접 시에 두 부재가 서로 교차되어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에 비해 I형 홈과 J형 홈은 한쪽 면에만 홈이 파여 있어서, 용접 시에는 한쪽 면만 다른 부재와 결합하게 된다. V형 홈은 홈이 V자 모양으로 파여 있어서, 두 부재가 용접될 때 V자 모양으로 결합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양쪽 면에 홈을 파고 용접하는 양쪽면 홈이음 형은 H형 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레이저 용접장치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체 금속형
  2. 가스 방전형
  3. 반도체형
  4. 에너지형
(정답률: 44%)
  • 에너지형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레이저 용접장치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접변형 방지법에서 역변형법의 설명에 해당 되는 것은?

  1. 공작물을 가접 또는 지그로 고정하여 변형의 발생을 방지하는 법
  2. 용접 금속 및 모재의 수축에 대하여 용접 전에 반대 방향으로 굽혀 놓고 용접 작업하는 법
  3. 비드를 좌우대칭으로 놓아 변형을 방지하는 법
  4. 용접 진행 방향으로 뜀 용접을 하여 변형을 방지 하는 법
(정답률: 87%)
  • 역변형법은 용접 금속 및 모재의 수축에 대하여 용접 전에 반대 방향으로 굽혀 놓고 용접 작업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용접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축 변형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접 작업 시에는 금속이 수축하면서 변형이 발생하는데, 이를 미리 예측하여 반대 방향으로 굽혀 놓음으로써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교류 아크 용접기 부속장치 중 아크 발생시 용접봉이 모재에 접촉하지 않아도 아크가 발생되는 것은?

  1. 핫 스타트장치
  2. 원격 제어장치
  3. 전격 방지장치
  4. 고주파 발생장치
(정답률: 63%)
  • 고주파 발생장치는 교류 아크 용접기에서 아크 발생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여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보내어 아크를 발생시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접봉과 모재가 접촉하지 않아도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세틸렌이 접촉하면 화합물을 만들어 맹렬한 폭발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Fe
  2. Cu
  3. Ag
  4. Hg
(정답률: 49%)
  • 아세틸렌과 접촉하여 화합물을 만들면서 맹렬한 폭발성을 가지는 것은 산화성이 강한 금속들인데, Fe(철)은 산화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아세틸렌과 접촉해도 폭발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F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피복 아크 용접시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스패터가 심해진다.
  2. 용입 불량이 나타난다.
  3. 아크가 불안정 된다.
  4. 용융 금속이 산화 및 질화되기 어렵다.
(정답률: 86%)
  • 정답: "용융 금속이 산화 및 질화되기 어렵다."

    설명: 피복 아크 용접시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발생하는 현상은 아크가 불안정해지고 스패터가 심해지며 용입 불량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아크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용융 금속이 제대로 융해되지 못하고 불균일하게 융해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용융 금속이 산화 및 질화되기 어렵다는 것은 용접시 발생하는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교류 용접기에서 무부하 전압 80V, 아크전압 25V, 아크전류 300A 이며, 내부손실 3㎾라 하면 이때 용접기의 효율은 약 몇 % 인가?

  1. 71.4
  2. 70.1
  3. 68.3
  4. 66.7
(정답률: 42%)
  • 용접기의 입력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입력전력 = (무부하 전압 + 아크전압) x 아크전류 + 내부손실
    = (80V + 25V) x 300A + 3kW
    = 27kW

    용접기의 출력전력은 아크전압과 아크전류를 곱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다.

    출력전력 = 아크전압 x 아크전류
    = 25V x 300A
    = 7.5kW

    따라서 용접기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효율 = 출력전력 / 입력전력 x 100%
    = 7.5kW / 27kW x 100%
    = 27.78%

    따라서 정답은 27.78%를 반올림한 7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교류 용접기에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사용하였을 때의 이점(利點)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 kVA가 많아지므로 전력 요금이 싸진다.
  2. 전원 용량이 적어도 된다.
  3. 배전선의 재료가 절감된다.
  4. 전압 변동율이 적어진다.
(정답률: 60%)
  • "입력 kVA가 많아지므로 전력 요금이 싸진다."는 교류 용접기에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사용했을 때의 이점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입력 kVA가 많아지면 전력 요금이 싸진다는 이유는, 전기 요금은 사용한 전력량(kWh)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력 요금은 사용한 전력량뿐만 아니라, 사용한 전력의 최대값인 전력 수요(kVA)에 따라도 결정됩니다. 따라서 입력 kVA가 많아지면 전력 요금이 싸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스터드 용접(Stud welding)법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1. 아크열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단시간에 용접부를 가열 용융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용접변형이 극히 적다.
  2. 대체적으로 모재가 급열, 급냉되기 때문에 저탄소강에 용접하기가 좋다.
  3. 용접 후 냉각속도가 비교적 느리므로 용착 금속부 또는 열영향부가 경화되는 경우가 적다.
  4. 철강 재료 외에 구리,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48%)
  • 용접 후 냉각속도가 비교적 느리므로 용착 금속부 또는 열영향부가 경화되는 경우가 적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스터드 용접 후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용접부와 열영향부가 경화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TIG, MIG, 탄산가스 아크 용접시 사용하는 차광렌즈 번호는?

  1. 12 ~ 13
  2. 8 ~ 10
  3. 6 ~ 7
  4. 4 ~ 5
(정답률: 84%)
  • TIG, MIG, 탄산가스 아크 용접은 모두 광선의 강도가 매우 강하므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차광렌즈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번호가 높을수록 더 어둡고 강한 차광 효과를 가지며, 번호가 낮을수록 더 밝고 약한 차광 효과를 가집니다. 따라서 TIG, MIG, 탄산가스 아크 용접시 사용하는 차광렌즈 번호는 "12 ~ 13" 입니다. 이 번호는 광선의 강도가 매우 강하므로 안전하게 용접을 할 수 있도록 눈을 보호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크 용접용 로봇에 사용되는 것으로 동작기구가 인간의 팔꿈치나 손목 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의 움직임을 갖는 것으로 회전 → 선회 → 선회운동을 하는 로봇은?

  1. 극 좌표 로봇
  2. 관절 좌표 로봇
  3. 원통 좌표 로봇
  4. 직각 좌표 로봇
(정답률: 81%)
  • 아크 용접용 로봇은 인간의 팔꿈치나 손목 관절과 같은 부분의 움직임을 모방하여 회전, 선회, 선회운동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로봇은 관절 좌표 로봇입니다. 관절 좌표 로봇은 다양한 관절을 가지고 있어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용접 작업과 같은 정밀한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절 좌표 로봇"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두 개의 모재에 압력을 가해 접촉시킨 후 회전시켜 발생하는 열과 가압력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용접법은?

  1. 스터드 용접
  2. 마찰용접
  3. 단조용접
  4. 확산용접
(정답률: 85%)
  • 마찰용접은 두 개의 모재를 마찰력과 압력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용접법입니다. 모재의 접촉면에서 마찰열과 압력이 발생하여 모재의 표면이 녹아서 접합됩니다. 따라서 마찰용접은 열과 가압력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용접법이므로 정답은 "마찰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탄산가스 아크 용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MIG 용접과 같이 비철금속, 스테인리스강을 쉽게 용접 할 수 있다.
  2. MIG 용접에서 불활성 가스 대신 탄산가스를 사용한다.
  3. 전자동 용접과 반자동 용접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4. MIG 용접에 비하여 비드 표면이 깨끗하지 못하다.
(정답률: 48%)
  • 탄산가스 아크 용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MIG 용접에 비하여 비드 표면이 깨끗하지 못하다." 이다. 탄산가스 아크 용접은 MIG 용접과 마찬가지로 깨끗한 비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비철금속과 스테인리스강을 쉽게 용접할 수 있다. 다만, 불활성 가스 대신 탄산가스를 사용한다는 점과 전자동 용접과 반자동 용접이 주로 이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세틸렌가스의 설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수한 아세틸렌가스는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2. 각종 액체에 잘 용해되며 알코올에는 25배가 용해된다.
  3. 비중이 0.906 으로 공기보다 약간 가볍다.
  4. 산소와 적당히 혼합하여 연소시키면 약 3000~3500℃의 높은 열을 낸다.
(정답률: 50%)
  • 틀린 것은 없다.

    아세틸렌가스는 각종 액체에 잘 용해되며 알코올에는 25배가 용해되는 것은 그대로 맞다. 이는 아세틸렌가스가 분자 내에 탄소와 수소 원자가 삼중결합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기체와는 다른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업용 용접 로봇의 일반적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능 로봇
  2. 시퀸스 로봇
  3. 평행좌표 로봇
  4. 플레이백 로봇
(정답률: 34%)
  • 일반적으로 산업용 용접 로봇은 "지능 로봇"과 "시퀸스 로봇"으로 분류됩니다. "지능 로봇"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로봇을 의미하며, "시퀸스 로봇"은 미리 정해진 작업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평행좌표 로봇"은 로봇의 이동 경로를 평행한 좌표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으로, 일반적인 산업용 용접 로봇의 분류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플레이백 로봇"은 사람이 수행한 동작을 기록하고, 이를 재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용접구조물의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접이음의 종류에 해당 되는 것으로만 구성된 것은?

  1. 맞대기 이음, 필릿 이음
  2. 수직 이음, 원형 이음
  3. I 형 이음, J형 이음
  4. 플러그 이음, 슬롯 이음
(정답률: 90%)
  • 맞대기 이음과 필릿 이음은 용접구조물의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접이음으로, 두 이음 모두 용접할 부재의 끝을 절단하여 접합하는 방식입니다. 맞대기 이음은 부재의 끝을 직각으로 절단하여 접합하고, 필릿 이음은 부재의 끝을 경사를 주어 절단하여 접합합니다. 이 두 이음은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용접 후 마무리 작업이 적어 제작 비용이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의 직류 역극성 용접에서 사용 전류의 크기에 상관없이 정극성 때보다 어떤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1. 가는 전극 사용
  2. 굵은 전극 사용
  3. 같은 전극 사용
  4. 전극에 상관없음
(정답률: 64%)
  • 직류 역극성 용접에서는 굵은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굵은 전극이 전류를 더 잘 흡수하고, 더 많은 열을 발생시켜 용접 부위를 더 빠르게 녹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굵은 전극을 사용하면 용접 속도가 빨라지고, 용접 부위의 열이 더욱 집중되어 더 강한 용접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 용접 토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치는 손잡이, 혼합실 ,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가스 용접 토치는 사용되는 산소 가스의 압력에 따라 저압식, 중압식, 고압식으로 분류된다.
  3. 토치의 구조에 따라 불변압식과 가변압식으로 분류한다.
  4. 불변압식 토치는 분출 구멍의 크기가 일정하고 팁의 능력도 일정하기 때문에 불꽃의 능력을 변경할 수 없다.
(정답률: 36%)
  • 가스 용접 토치는 사용되는 산소 가스의 압력에 따라 저압식, 중압식, 고압식으로 분류된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가스 용접 토치는 사용되는 연료 가스와 산소 가스의 비율과 압력에 따라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극 물질이 일정할 때 모재와 용접봉 사이의 아크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전류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한다.
  2. 아크의 길이와 더불어 증가한다.
  3. 아크의 길이에 관계없다.
  4. 전류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한다.
(정답률: 41%)
  • 아크전압은 아크가 발생하는데 필요한 전압을 의미하며, 일정한 전극 물질에서는 아크전압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모재와 용접봉 사이의 아크전압은 아크의 길이와 함께 증가합니다. 이는 아크가 발생할 때 전자들이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이 아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크전압이 증가하면 열이 더 많이 발생하고, 이는 아크의 길이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용접 설비의 점검 및 유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전부와 가동부분에 윤활유가 없도록 한다.
  2. 용접기가 전원에 잘 접속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3. 전환 탭은 사포를 사용해서 깨끗이 청소한다.
  4. 용접기는 습기나 먼지 많은 곳에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2%)
  • "회전부와 가동부분에 윤활유가 없도록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회전부와 가동부분에는 적절한 윤활유가 필요합니다. 윤활유가 없으면 부품 간 마찰이 심해져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가스용접에서 판 두께를 t(㎜)라면 용접봉의 지름 D(㎜)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모재의 두께는 1㎜ 이상인 경우이다.)

  1. D=t+1
(정답률: 86%)
  • 가스용접에서는 용접봉의 지름이 판 두께보다 1㎜ 더 커야 한다. 이는 용접봉이 판과 용접될 때, 용접봉의 중심부가 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옳은 식은 D=t+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피복 아크용접에서 용융 금속의 이행 형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락형
  2. 스프레이형
  3. 글로뷸러형
  4. 라액터형
(정답률: 75%)
  • 라액터형은 피복 아크용접에서 용융 금속의 이행 형식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라액터형이 용융 금속을 높은 에너지로 불어내어 이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용융 금속을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여 이행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액터형은 용융 금속의 이행 방식이 다른 단락형, 스프레이형, 글로뷸러형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피복아크 용접에 비해 가스 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열할 때 열량 조절이 비교적 자유롭다.
  2. 가열범위가 커서 용접응력이 크다.
  3. 전원설비가 없는 곳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4. 유해 광선의 발생이 적다.
(정답률: 63%)
  • 가스 용접은 가열할 때 열량 조절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로 인해 가열범위가 커져 용접응력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복아크 용접과 비교했을 때 용접 부위의 변형이 크고, 용접 후에는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