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용접산업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맞대기 용접 이음의 가접 또는 첫 층에서 루트 근방의 열 영향부에서 발생하여 점차 비드속으로 들어가는 균열은?

  1. 토 균열
  2. 루트 균열
  3. 세로 균열
  4. 크레이터 균열
(정답률: 75%)
  •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가접 또는 첫 층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열 영향부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균열은 루트 근방에서 발생하며, 비드속으로 들어가면서 점차 확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루트 균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성분계의 평형상태도에서 액체, 고체 어떤 상태에서도 두 성분이 완전히 융합하는 경우는?

  1. 공정형
  2. 전율포정형
  3. 편정형
  4. 전율고용형
(정답률: 39%)
  • 두 성분이 완전히 융합하는 경우는 두 성분의 용해도가 서로 같을 때 발생합니다. 이는 평형상태에서 두 성분의 화학적 활동도가 같아지는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성분이 서로 균일하게 섞여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가지는 형태는 전율고용형입니다. 이는 두 성분이 서로 균일하게 섞여있는 상태로, 고체와 액체가 함께 존재하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용접 결함 중 비드 밑(under bead) 균열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1. 산소
  2. 수소
  3. 질소
  4. 탄산가수
(정답률: 90%)
  • 용접 과정에서 수소가 용융 금속에 흡수되어 결정 구조 내부에 존재하면, 금속 내부에서 수소가 농축되어 수소가스 포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금속이 냉각되면 수소가 금속 내부에서 확산하면서 금속 구조를 파괴하고, 이로 인해 비드 밑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결함 중 비드 밑 균열의 원인은 수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반적으로 고장력강은 인장강도가 몇 N/mm2 이상일 때를 말하는가?

  1. 290
  2. 390
  3. 490
  4. 690
(정답률: 59%)
  • 고장력강은 인장강도가 490 N/mm2 이상일 때를 말한다. 이는 고장력강이 일반적인 강보다 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90, 390, 690은 고장력강의 인장강도 기준에 미달하므로 정답은 49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예열을 한다.
  2. 짧은 아크 길이를 유지한다.
  3. 아크를 중단하기 전에 크레이터 처리를 한다.
  4. 용접 입열을 억제한다.
(정답률: 52%)
  • 정답: "예열을 한다."

    이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 함량이 높아서 용접 후 냉각하면 불균일한 마이크로구조가 형성되어 용접부의 내식성과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열을 하지 않고 용접을 진행하면 용접부의 내식성과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할 때는 예열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응력제거 열처리법 중에서 노내 풀림시 판 두께가 25mm인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또는 탄소강의 경우 일반적으로 노내 풀림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300 ± 25℃
  2. 400 ± 25℃
  3. 525 ± 25℃
  4. 625 ± 25℃
(정답률: 66%)
  •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또는 탄소강은 노래 풀림 온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해야 한다. 이 중에서 625 ± 25℃가 가장 적당한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 재료의 미세조직이 안정화되고, 내부응력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온도 범위에서는 재료의 경도와 인성이 적절하게 유지되며, 노래 풀림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또는 탄소강의 경우 625 ± 25℃가 가장 적당한 노래 풀림 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산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용접 결함은?

  1. 은점
  2. 헤어크랙
  3. 기공
  4. 슬랙
(정답률: 83%)
  • 산소는 용접 부위에서 금속과 반응하여 기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서 산소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거나 용접 부위가 충분히 보호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용접 결함은 기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제품이 너무 크거나 노내에 넣을 수 없는 대형 용접 구조물은 노내 풀림을 할 수 없으므로 용접부 주위를 가열하여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은?

  1. 저온 응력 완화법
  2. 기계적 응력 완화법
  3. 국부 응력 제거법
  4. 노내 응력 제거법
(정답률: 73%)
  • 대형 용접 구조물은 노내 풀림을 할 수 없으므로 용접부 주위를 가열하여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은 국부 응력 제거법이다. 이는 용접부 주위를 지역적으로 가열하여 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대형 구조물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철의 용접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전류는 필요 이상 높이지 말고 지나치게 용입을 깊게 하지 않는다.
  2. 비드의 배치는 짧게 해서 여러 번의 조작으로 완료 한다.
  3. 용접봉은 가급적 지름이 굵은 것을 사용한다.
  4. 용접부를 필요 이상 크게 하지 않는다.
(정답률: 75%)
  • "용접부를 필요 이상 크게 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용접봉의 지름이 굵을수록 용접부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급적 지름이 굵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용접부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동일 강도의 강에서 노치 인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탄소량을 적게 한다.
  2. 망간을 될수록 적게 한다.
  3. 탈산이 잘 되도록 한다.
  4. 조직이 치밀하도록 한다.
(정답률: 59%)
  • 망간은 강철 내부의 결정 구조를 개선하여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망간을 적게 함으로써 노치 인성을 높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망간을 될수록 적게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용접의 기본기호 중 가장자리 용접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은 ""이다. 이 기호는 가장자리 용접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 개의 부품이 만나는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호는 두 개의 대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각선이 부품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모양으로 그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설 또는 제조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작도가 사용되는데, 이 종류에 해당되는 것을만 조합된 것은?

  1. 계획도, 시공도, 견적도
  2. 설명도, 장치도, 공정도
  3. 상세도, 승인도, 주문도
  4. 상세도, 시공도, 공정도
(정답률: 61%)
  • 제작도는 건설 또는 제조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상세도와 시공 과정을 보여주는 시공도, 그리고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상세도, 시공도, 공정도"가 제작도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작도에 해당하지 않는 도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용접 도면에서 기호의 위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화살표는 기준선이 한쪽 끝에 각을 이루며 연결된다.
  2. 좌우 대칭인 용접부에서는 파선은 필요 없고 생략하는 편이 좋다.
  3. 파선은 연속서의 위 또는 아래에 그을 수 없다.
  4. 용접부(용접면)가 이음의 화살표 쪽에 있으면 기호는 파선 쪽의 기준선에 표시한다.
(정답률: 34%)
  • 정답은 "화살표는 기준선이 한쪽 끝에 각을 이루며 연결된다." 이다. 이유는 화살표는 기준선 양쪽 끝에 각을 이루며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도면용지 A0의 크기로 옳은 것은?

  1. 841 × 1189
  2. 594 × 841
  3. 420 × 594
  4. 297 × 420
(정답률: 89%)
  • 도면용지 A0의 크기는 1m²이며, 가로 세로 비율은 1:√2 입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x² = 1m² 이므로 x = √1m² = 1m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구하면, 가로: 1m × √2 ≈ 1.414m ≈ 1414mm, 세로: 1m ≈ 1000mm 이므로, 도면용지 A0의 크기는 841mm × 1189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용접부 및 용접부 표면의 형상 보조기호 중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를 사용할 때 기호는?

(정답률: 88%)
  •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를 사용할 때는 용접 후 이면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용접부 및 용접부 표면의 형상 보조기호 중 "" 기호를 사용한다. 이 기호는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를 사용할 때 용접 후 이면을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접부의 비파괴시험 기호로서 “RT”로 표시하는 비파괴시험 기호는?

  1. 초음파 시험
  2. 자분탐상 시험
  3. 침투탐상 시험
  4. 방사선 투과 시험
(정답률: 83%)
  • 정답은 "방사선 투과 시험"입니다.

    RT는 Radiographic Testing의 약자로, 방사선을 이용하여 부품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은 부품 내부의 결함을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그림자를 분석하여 결함을 파악합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의 결함 검출에 많이 사용되며,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전한 용접을 위해 필수적인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치수를 둘러싸고 있는 사각 틀(□)이 뜻하는 것은?

  1.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2.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
  3. 판 두께의 치수
  4. 참고치수
(정답률: 84%)
  • 이 사각 틀은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므로, 그림에서 나타난 치수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문제에서 묻는 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도에서 사용되는 선의 종류 중 가는 2점 쇄선의 용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물체의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쓰인다.
  2. 도형의 중심선을 간략하게 나타내는데 쓰인다.
  3.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하는데 쓰인다.
  4. 대상물의 실제 보이는 부분을 나타낸다.
(정답률: 49%)
  • 가는 2점 쇄선은 "물체의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쓰인다." 이유는, 가공 전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 설계도면에 사용되며, 가공 후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면을 그리기 위하여 도면에 설정하는 양식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윤곽선 : 도면으로 사용된 용지의 안쪽에 그려진 내용을 확실히 구분되도록 하기 위함
  2. 도면의 구역 : 도면을 축소 또는 확대했을 경우, 그 정도를 알기 위함
  3. 표제란 : 도면 관리에 필요한 사항과 도면 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기입하기 위함
  4. 중심 마크 : 완성된 도면을 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도면을 마이크로필름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거나 복사하거나 할 때 도면의 위치를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하기 위함
(정답률: 54%)
  • "중심 마크 : 완성된 도면을 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도면을 마이크로필름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거나 복사하거나 할 때 도면의 위치를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하기 위함"이 틀린 것이다. 중심 마크는 도면 내에서 중심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도면을 보관하거나 복사할 때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면의 구역은 도면을 축소 또는 확대했을 때 그 정도를 알기 위해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도면을 인쇄하거나 전자적으로 저장할 때 크기를 조절할 때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로 대칭 모양의 물체를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 모양과 외부 모양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면도는?

  1. 회전 단면도
  2. 부분 단면도
  3. 한쪽 단면도
  4. 전단면도
(정답률: 54%)
  • 한쪽 단면도는 대칭 모양의 물체를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에서만 자른 단면을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회전 단면도는 물체를 회전시켜 얻어지는 단면을 표시하고, 부분 단면도는 특정 부분만을 자른 단면을 표시합니다. 전단면도는 물체를 전체적으로 자른 단면을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이음 효율을 구하는 식은?

(정답률: 78%)
  • 맞대기 용접 이음에서 이음 효율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음 효율 = (실제 용접 길이 / 이음 길이) x 100

    이 식에서 실제 용접 길이는 용접이 실제로 이루어진 길이를 의미하고, 이음 길이는 용접이 필요한 길이를 의미한다. 이음 효율은 용접이 이루어진 실제 길이가 필요한 길이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므로,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표시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음 효율을 나타내는 식은 "" 이다. 이 식은 실제 용접 길이를 이음 길이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이음 효율을 계산하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접 이음을 설계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용접 길이는 되도록 길게 하고, 용착금속도 많게 한다.
  2. 용접 이음을 한 군데로 집중시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한다.
  3. 결함이 적게 발생하는 아래보기 자세로 선택한다.
  4. 강도가 강한 필릿 용접을 주로 선택한다.
(정답률: 87%)
  • 결함이 적게 발생하는 아래보기 자세로 선택하는 이유는 중력에 의해 용접재료가 아래로 흐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을 하면 용접재료가 결함 없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결함이 적게 발생한다. 반면 위보기 자세로 용접을 하면 용접재료가 위로 흐르면서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과 같은 용접이음 명칭은?

  1. 겹치기 용접
  2. T 용접
  3. 플레어 용접
  4. 플러그 용접
(정답률: 65%)
  • 이 그림은 플레어 용접이다. 플레어 용접은 두 개의 원통형 부품을 연결할 때 사용되며, 끝 부분을 넓게 벌려서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누출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플레어 용접이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응력제거 열처리법 중에서 가장 잘 이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써 제품 전체를 가열로 안에 넣고 적당한 온도에서 일정시간 유지한 다음 노내에서 서냉 시킴으로써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데 연강류 제품을 노내에서 출입시키는 온도는 몇 도를 넘지 않아야 하는가?

  1. 100℃
  2. 300℃
  3. 500℃
  4. 700℃
(정답률: 83%)
  • 연강류 제품은 고온에 노출될 경우 불순물이 분해되어 내부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연강류 제품을 노내에서 출입시키는 온도는 300℃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꼭지각이 136° 인 다이아몬드 사각추의 압입자를 시험하중으로 시험편에 압입한 후 측정하여 환산표에 의해 경도를 표시하는 시험법은?

  1. 로크웰 경도 시험
  2. 브리넬 경도 시험
  3. 비커스 경도 시험
  4. 쇼어 경도 시험
(정답률: 46%)
  • 비커스 경도 시험은 다이아몬드 원판을 이용하여 시료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경도 시험법에 비해 측정 오차가 적고, 시료의 크기나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꼭지각이 136° 인 다이아몬드 사각추와 같은 작은 크기의 시료나 복잡한 형태의 시료에 적합한 시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접부의 피로강도 향상법으로 맞는 것은?

  1. 덧붙이 크기를 가능한 최소화한다.
  2. 기계적 방법으로 잔류 응력을 강화한다.
  3. 응력 집중부에 용접 이음부를 설계한다.
  4. 야금적 변태에 따라 기계적인 강도를 낮춘다.
(정답률: 56%)
  • 덧붙이 크기를 최소화하면 용접부의 무게와 부피가 줄어들어 경제적이고 가벼운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덧붙이가 작아지면 용접부의 응력 집중도 감소하여 피로강도가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접 열영향부에서 생기는 균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비드 밑 균열(under bead crack)
  2. 세로 균열(longitudinal crack)
  3. 토 균열(toe crack)
  4. 라멜라테어 균열(lamella tear crack)
(정답률: 37%)
  • 세로 균열은 용접선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이며, 용접 열영향부에서 생기는 균열 중 하나입니다. 비드 밑 균열, 토 균열, 라멜라테어 균열은 모두 용접 열영향부에서 발생하는 균열이지만, 세로 균열과 달리 용접선의 길이 방향과는 관계없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세로 균열은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이음에서 취성파괴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온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2. 항복점 이하의 평균응력에서도 발생한다.
  3. 파괴의 기점은 응력과 변형이 집중하는 구조적 및 형상적인 불연속부에서 발생하기 쉽다.
  4. 거시적 파면상황은 판 표면에 거의 수직이다.
(정답률: 46%)
  • 정답: "온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해설: 취성파괴는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취성파괴의 기점은 응력과 변형이 집중하는 구조적 및 형상적인 불연속부에서 발생하기 쉽고, 항복점 이하의 평균응력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거시적 파면상황은 판 표면에 거의 수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과 같은 순서로 하는 용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진법
  2. 후퇴법
  3. 캐스캐이드법
  4. 스킵법
(정답률: 90%)
  • 위 그림은 스킵법을 나타낸다. 스킵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용착을 뛰어넘어 다음 용착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구조물의 수명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작업 태도
  2. 아크 타임율
  3. 피로강도
  4. 작업율
(정답률: 88%)
  • 용접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로하게 되어 파손될 수 있습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구조물의 피로강도입니다. 피로강도란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피로파괴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구조물의 수명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피로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와 용접 기술을 선택해야 합니다. 작업 태도나 아크 타임율, 작업율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구조물의 내구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저온 응력 완화법
  2. 기계적 응력 완화법
  3. 피낭법(peening)
  4. 담금질 열처리법
(정답률: 76%)
  • 담금질 열처리법은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라, 표면을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담금질 열처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필릿 용접에서 목 두께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6%)
  • 정답은 "②"입니다. 필릿 용접에서 목 두께를 나타내는 것은 "a"입니다. "a"는 필릿 용접에서 두께를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②"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부의 파괴 시험법 중에서 화학적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함유수소시험
  2. 비중시험
  3. 화학분석시험
  4. 부식시험
(정답률: 79%)
  • 비중시험은 용접부의 밀도를 측정하여 파괴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화학적인 성질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학적 시험방법이 아니다. 함유수소시험은 용접부의 수소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 화학분석시험은 용접부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 부식시험은 용접부의 내식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2매의 판이 100° 의 각도로 조립되는 필릿 용접 이음의 경우 이론 목두께는 다리 길이의 약 몇 % 인가?

  1. 70.7%
  2. 65%
  3. 50%
  4. 55%
(정답률: 35%)
  • 이론 목두께는 다리 길이의 약 65%이다. 이는 필릿 용접에서 사용되는 삼각함수인 탄젠트(tan) 값이 0.5774일 때의 결과이다. 따라서, 목두께는 다리 길이의 0.5774배가 되므로, 약 6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연강을 0℃ 이하에서 용접할 경우 예열하는 방법은?

  1. 이음의 양쪽 폭 100mm 정도를 40℃ ~ 75℃로 예열하는 것이 좋다.
  2. 이음의 양쪽 폭 150mm 정도를 150℃ ~ 200℃로 예열하는 것이 좋다.
  3. 비드 균열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50℃ ~ 350℃로 용접홈을 예열하는 것이 좋다.
  4. 200℃ ~ 400℃ 정도로 홈을 예열하고 냉각속도를 빠르게 용접한다.
(정답률: 78%)
  • 연강은 0℃ 이하에서 용접할 경우 비드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음의 양쪽 폭 100mm 정도를 40℃ ~ 75℃로 예열하여 용접할 경우 비드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예열로 인해 재료 내부의 응력을 완화시켜 비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용접부의 시점과 끝나는 부분에 용입 불량이나 각종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엔드 탭
  2. 포지셔너
  3. 회전 지그
  4. 고정 지그
(정답률: 90%)
  • 엔드 탭은 용접부의 끝 부분을 고정시켜 용입 불량이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용접 부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엔드 탭은 특히 용접 부위의 끝 부분을 고정시켜 용접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65%의 용착효율을 가지고 단일의 V형 홈을 가진 20mm 두께의 철판을 3m 맞대기 용접했을 때, 필요한 소요 용접봉의 중량은 약 몇 kgf 인가? (단, 20mm 철판의 용접부 단면적은 2.6 cm2 이고, 용착 금속의 비중은 7.85 이다.)

  1. 7.42
  2. 9.42
  3. 11.42
  4. 13.42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조립 및 가접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도상 중요한 곳에 용접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끝부분을 주로 가접한다.
  2. 조립 순서는 용접 순서 및 용접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3. 가접시에는 본 용접보다도 지름이 약간 가는 용접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불필요한 잔류응력이 남지 않돌고 미리 검토하여 조립순서를 정한다.
(정답률: 82%)
  • "강도상 중요한 곳에 용접의 시점과 종점이 되는 끝부분을 주로 가접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강도상 중요한 부분은 제품의 안전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용접이 더 강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가접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이 강판 두께(t) 19mm, 용접선의 유효길이(ℓ) 200mm, h1, h2가 각각 8mm, 하중(P) 7000 kgf 가 작용할 때 용접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약 몇 kgf/mm2 인가?

  1. 0.2
  2. 2.2
  3. 4.8
  4. 6.8
(정답률: 55%)
  • 용접부에 작용하는 하중은 P = 7000 kgf 이다. 이 때 인장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용접부의 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용접부의 단면적은 강판 두께(t)와 용접선의 유효길이(ℓ)로 구할 수 있다.

    용접부의 단면적 = t × ℓ = 19mm × 200mm = 3800mm2

    따라서 용접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P/A = 7000 kgf / 3800mm2 = 1.84 kgf/mm2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인장응력을 구하는 것이므로, 위에서 구한 인장력을 용접부의 단면적에서 가장 작은 값인 h1 × t 으로 나누어준다.

    인장응력 = P / (h1 × t) = 7000 kgf / (8mm × 19mm) = 45.39 kgf/mm2 ≈ 2.2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2.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접작업에서 지그 사용시 얻어지는 효과로 틀린 것은?

  1. 용접 변형을 억제하고 적당한 역변형을 주어 변형을 방지한다.
  2. 제품의 정밀도가 낮아진다.
  3. 대량생산의 경우 용접 조립 작업을 단순화 시킨다.
  4. 용접작업은 용이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정답률: 91%)
  • 지그는 용접 작업에서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켜 정확한 용접을 가능하게 하며, 용접 변형을 억제하고 적당한 역변형을 주어 변형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제품의 정밀도가 낮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교류 아크 용접기의 용접 전류 조정 방법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동 철심형
  2. 가동 코일형
  3. 탭 전환형
  4. 발전형
(정답률: 85%)
  • 발전형은 교류 전원을 직접 발생시켜 용접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이며, 나머지 세 가지 방식은 교류 전원을 변압기를 통해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발전형은 다른 방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어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정격 2차 전류 300A의 용접기에서 실제로 200A의 전류로서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허용 사용률은 얼마인가? (단, 정격 사용률은 40%라고 한다.)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64%)
  • 정격 사용률은 40%이므로, 이 용접기는 300A의 전류를 40%의 사용률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허용 사용률은 40% x 200A / 300A = 26.7%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90%가 정답이다. 이는 실제로는 용접기의 정격 전류보다 낮은 전류로 용접을 하더라도, 용접기의 최대 사용률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허용 사용률을 90%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탄산가스 아크용접 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용접 토치
  2. 보호 가스 설비
  3. 제어 장치
  4. 플러스 공급 장치
(정답률: 60%)
  • 탄산가스 아크용접 장치에서는 플러스 공급 장치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탄산가스 아크용접에서는 전극을 양극으로 나누어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신 용접 토치, 보호 가스 설비, 제어 장치는 모두 필수적인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피복 아크 용접법이 가스 용접법보다 우수한 점이 아닌 것은?

  1. 열의 집중성이 좋다.
  2. 용접 변형이 적다.
  3. 유해 광선의 발생이 적다.
  4. 용접부의 강도가 크다.
(정답률: 69%)
  • 피복 아크 용접법은 용접 시에 전기 아크가 발생하면서 용접 부위를 가열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광선 중에서 자외선과 적외선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 가스 용접법은 전기 아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광선 발생이 적습니다. 따라서 유해 광선의 발생이 적다는 것은 피복 아크 용접법이 가스 용접법보다 우수하지 않은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다전극 방식에 의한 분류 중 같은 종류의 전원에 두 개의 전극을 접속하여 용접하는 것으로 비드 폭이 넓고, 용입이 깊은 용접부를 얻기 위한 방식은?

  1. 탠덤식
  2. 횡병렬식
  3. 횡직렬식
  4. 종직렬식
(정답률: 54%)
  • 횡병렬식은 같은 종류의 전원에 두 개의 전극을 접속하여 용접하는 방식으로, 비드 폭이 넓고 용입이 깊은 용접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개의 전극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용접 전류가 두 전극을 횡방향으로 흐르면서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가스용접으로 주철을 용접할 때 가장 적당한 예열온도는 몇 ℃ 인가?

  1. 300 ~ 400℃
  2. 500 ~ 600℃
  3. 700 ~ 800℃
  4. 900 ~ 1000℃
(정답률: 47%)
  • 주철은 비교적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접 시 급격한 열팽창으로 인해 용접부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예열을 통해 주철을 조금 더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열팽창을 조절하고, 용접 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용접으로 주철을 용접할 때 가장 적당한 예열온도는 500 ~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용접기에서 떨어져 작업을 할 때 작업 위치에서 전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는?

  1. 전자 개폐 장치
  2. 원격 제어 장치
  3. 전류 측정기
  4. 전격 방지 장치
(정답률: 89%)
  • 용접기에서 작업 위치에서 전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는 없습니다. 따라서 작업 위치에서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장치는 용접기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작업 위치에서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격 제어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업용 아세틸렌 가스 용기의 도색은?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갈색
(정답률: 87%)
  • 공업용 아세틸렌 가스 용기는 화재 위험이 있기 때문에 화재 경보를 위해 황색으로 도색합니다. 황색은 화재 경보색으로 널리 사용되며, 빛나는 효과도 있어 시야에 더 잘 띄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이음부의 루트 간격 치수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며, 아크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용접이 진행된다고 하여 잠호 용접이라고도 부르는 용접은?

  1. 피복 아크 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3. 탄산가스 아크 용접
  4.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 용접
(정답률: 90%)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접 부위를 아크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용접 부위를 물로 덮어서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에 따라 루트 간격 치수에 특히 유의할 필요가 없어지며, 보다 안정적인 용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음부의 루트 간격 치수에 특히 유의해야 하는 피복 아크 용접, 탄산가스 아크 용접,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 용접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산소 용기의 취급상의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사항은?

  1. 운반이나 취급에서 충격을 주지 않는다.
  2. 가연성 가스와 함께 저장하여 누설되어도 인화되지 않게 한다.
  3. 기름이 묻은 손이나 장갑을 끼고 취급하지 않는다.
  4. 운반시 가능한 한 운반 기구를 이용한다.
(정답률: 90%)
  • "가연성 가스와 함께 저장하여 누설되어도 인화되지 않게 한다."는 잘못된 사항입니다. 가연성 가스와 함께 저장하면 오히려 인화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산소 용기는 가연성 가스와는 분리하여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중량물의 안전운반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힘이 센 사람과 약한 사람이 조를 짜며 키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한 조가 되게 한다.
  2. 화물의 무게가 여러 사람에게 평균적으로 걸리게 한다.
  3. 긴 물건은 작업자의 같은 쪽 어깨에 메고 보조를 맞춘다.
  4. 정해진 자의 구령에 맞추어 동작 한다.
(정답률: 92%)
  • "힘이 센 사람과 약한 사람이 조를 짜며 키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한 조가 되게 한다."는 중량물의 안전운반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잘못된 것이다.

    이유: 중량물의 안전운반은 작업자들의 체력이나 키와는 관련이 없으며, 올바른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용접법의 분류에서 융접에 속하는 것은?

  1. 테르밋 용접
  2. 단접
  3. 초음파 용접
  4. 마찰 용접
(정답률: 65%)
  • 테르밋 용접은 융점 용접에 속합니다. 이는 두 개의 금속을 열에 의해 녹인 후, 화학 반응을 통해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융점 용접에 해당하며, 단접, 초음파 용접, 마찰 용접은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금속을 결합시키는 압력 용접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 중에 포함되어 있는 주성분이 아닌 것은?

  1. 아크 안정제
  2. 가스 억제제
  3. 슬래그 생성제
  4. 탈산제
(정답률: 71%)
  •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 중에 포함되어 있는 주성분은 아크 안정제, 슬래그 생성제, 탈산제입니다. 그러나 가스 억제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가스 억제제는 용접 시에 발생하는 기체를 억제하여 용접 부위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피복 아크 용접봉은 이미 슬래그 생성제와 탈산제가 포함되어 있어 오염 방지에 충분하기 때문에 가스 억제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냉간 압접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부가 가공 경화된다.
  2. 압접에 필요한 공구가 간단하다.
  3. 접합부의 열 영향으로 숙련이 필요하다.
  4. 접합부의 전기저항은 모재가 거의 동일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용접부가 가공 경화된다."이다.

    냉간 압접의 일반적인 특징은 압력을 가해 접합부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용접과 달리 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가공 경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압접에 필요한 공구가 간단하고, 접합부의 전기저항은 모재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접합부의 열 영향으로 숙련이 필요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냉간 압접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열 영향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압접의 기술적인 숙련도가 필요하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용가재인 전극 와이어를 와이어 송급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보내어 아크를 발생시키는 용극식 용접 방식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TIG 용접
  2. MIG 용접
  3. 탄산가스 아크 용접
  4. 마찰용접
(정답률: 63%)
  • 용가재인 전극 와이어를 와이어 송급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보내어 아크를 발생시키는 용극식 용접 방식은 MIG 용접입니다. MIG 용접은 용접 부위에 용접 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 전극 대신 와이어를 사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자동화가 용이하며, 용접 속도가 빠르고 용접 부위가 깨끗하게 유지됩니다. 또한, 용접 전극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 부위에 불순물이 적게 형성되어 용접 품질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금속과 금속의 원자간 거리를 충분히 접근시키면 금속원자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그 인력에 의하여 금속을 영구 결합시키는 것이 아닌 것은?

  1. 융접
  2. 압접
  3. 납땜
  4. 리벳이음
(정답률: 68%)
  • 금속과 금속의 원자간 거리를 충분히 접근시키면 금속원자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그 인력에 의하여 금속을 영구 결합시키는 것을 분자간력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분자간력을 이용하여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융접, 압접, 납땜, 리벳이음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리벳이음은 금속판이나 금속조각을 구멍을 뚫어서 그 구멍에 리벳(핀)을 박아서 두 개 이상의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분자간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결합 방법으로, 금속을 영구 결합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리벳이음은 분자간력을 이용하여 금속을 영구 결합시키는 방법이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중 내균열성이 가장 좋은 용접봉은?

  1. 고셀룰로오스계
  2. 일미나이트계
  3. 고산화티탄계
  4. 저수소계
(정답률: 88%)
  • 저수소계 용접봉은 내균열성이 가장 우수한 용접봉입니다. 이는 저수소계 용접봉이 용접 후에도 내구성이 뛰어나며,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수소계 용접봉은 용접 후에도 변형이 적고, 용접부의 경도가 높아서 내마모성도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연강의 가스 절단시 드래그(drag)길이는 주로 어느 인자에 의해 변화하는가?

  1. 예열과 절단 팁의 크기
  2. 토치 각도와 진행 방향
  3. 예열 불꽃 및 백심의 크기
  4. 절단 속도와 산소소비량
(정답률: 78%)
  • 가스 절단시 드래그(drag)길이는 주로 절단 속도와 산소소비량에 의해 변화합니다. 이는 절단 속도가 빠를수록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드래그 길이가 짧아지고, 반대로 절단 속도가 느릴수록 산소소비량이 적어져 드래그 길이가 길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절단 속도와 산소소비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드래그 길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피복 아크 용접봉의 단면적 1mm2에 대한 적당한 전류 밀도는?

  1. 6 ~ 9 A
  2. 10 ~ 13 A
  3. 14 ~ 17 A
  4. 18 ~ 21 A
(정답률: 75%)
  • 적당한 전류 밀도는 피복 아크 용접봉의 재질과 용접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 ~ 13 A 정도가 적당하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충분한 열이 발생하여 용접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용접봉이 과도하게 소모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너무 높은 전류 밀도를 사용하면 용접봉이 빠르게 소모되고 용접 부위가 과열되어 용접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10 ~ 13 A가 적당한 전류 밀도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음 형상에 따른 저항용접의 분류 중 맞대기 용접이 아닌 것은?

  1. 플래시 용접
  2. 버트심 용접
  3. 점 용접
  4. 퍼커션 용접
(정답률: 61%)
  • 이음 형상에 따른 저항용접의 분류 중 맞대기 용접이 아닌 것은 "점 용접"입니다. 이유는 맞대기 용접은 두 개의 금속판을 서로 맞대어 용접하는 것이지만, 점 용접은 작은 지름의 전극을 이용하여 금속 부위를 점으로 용접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