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8)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08-05-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펌웨어(Firmwa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도 볼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2. 하드웨어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에 해당한다.
  3.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휘발성이다.
  4. 기계어 처리, 데이터 전송, 부동 소수점 연산, 채널 제어 등의 처리 루틴을가지고 있다.
(정답률: 78%)
  •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휘발성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펌웨어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며, 하드웨어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펌웨어는 ROM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휘발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통신 제어 장치의 버퍼링 구성 차이에 따른 통신제어 방식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트 버퍼 방식
  2. 바이트 버퍼 방식
  3. 블록 버퍼 방식
  4. 메세지 버퍼 방식
(정답률: 32%)
  • 바이트 버퍼 방식은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버퍼링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바이트 버퍼 방식이 아닌 다른 세 가지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캐쉬메모리(Cache Memory)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1. 컴퓨터의 CPU 내에 있는 고속으로 액세스가 가능한 기억장치이다.
  2. 캐시메모리는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사용한다.
  3. 빠른 처리 속도를 갖는 CPU와 상대적으로 느린 주기억장치 사이의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버퍼 메모리 또는 로컬 메모리라고도 한다.
(정답률: 51%)
  • "캐시메모리는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사용한다."가 가장 잘못된 설명입니다. 캐시메모리는 CPU 내에 있는 기억장치이며,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드디스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Windows XP 운영체제의 모든 구성 데이터의 중앙 저장소라고 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잘못 변경하면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를 모두 백업한 후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것이 좋다.
  2. 레지스트리에는 각 사용자의 프로필과 시스템 하드웨어, 설치된 프로그램 및 속성 설정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3. 시스템이 손상되더라도 레지스트리를 복구하거나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성공적으로 시작했을 때 사용한 레지스트리 버전으로 복원할 수 없다.
  4.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면 컴퓨터 실행 방법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시스템 레지스트리의 설정을 검색하고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시스템이 손상되더라도 레지스트리를 복구하거나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성공적으로 시작했을 때 사용한 레지스트리 버전으로 복원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Windows XP 운영체제에서는 시스템 복구 기능을 통해 이전에 작동하던 레지스트리 버전으로 복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원격데스크 탑을 사용하다보면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원인을 찾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방화벽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
  2. 원격데스크 탑 설정 확인
  3. Ping과 같은 도구를 이용
  4. [탐색기]-[도구]-[폴더옵션]-[보기]-[기본값 복원]으로 원인 색출
(정답률: 63%)
  • "[탐색기]-[도구]-[폴더옵션]-[보기]-[기본값 복원]으로 원인 색출"은 원격데스크탑 연결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탐색기 설정에 대한 문제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 방법은 탐색기 설정을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원격데스크탑 연결 문제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옳지 않은 정답이다.

    반면, "[방화벽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 "[원격데스크탑 설정 확인]", "[Ping과 같은 도구를 이용]"은 원격데스크탑 연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들이다. 방화벽 설정, 원격데스크탑 설정, 네트워크 연결 등을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AIS 서비스 : WAIS클라이언트는 WAIS서버를 검색하여 각종 DB의 색인을 통한 자료를 찾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
  2. USENET 서비스 : 인터넷 사용자들 간에 새로운 뉴스의 분배, 조회 및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정보교환 시스템 서비스
  3. Mailing List 서비스 : 하나의 서버에 있는 자료를 여러 개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조회 및 검색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
  4. Archie 서비스 : 자신이 원하는 정보들이 인터넷상의 어느 디렉토리에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서비스
(정답률: 54%)
  • "Mailing List 서비스 : 하나의 서버에 있는 자료를 여러 개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조회 및 검색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Mailing List 서비스는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여 그룹 메일링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서버에 있는 자료를 조회 및 검색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WW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문자 기반의 방식을 지향하고 멀티미디어 정보를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2.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되어 있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3. 웹페이지는 서버에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정보를 검색하고 제공받는다.
  4. 멀티미디어 정보의 송수신 에러를 제어하기 위해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정답률: 79%)
  • 1번. WWW는 문자 기반의 방식을 지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멀티미디어 정보를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2번. 맞습니다.

    3번. 맞습니다.

    4번. SMTP 프로토콜은 이메일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WWW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한글 Windows에서 [제어판]-[시스템]-[하드웨어]-[장치관리자]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하드웨어 드라이버 업데이트
  2. 사용자 로그온 관련된 바탕화면 설정
  3. 시동디스크 작성
  4. 사용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 제거
(정답률: 61%)
  • 하드웨어 드라이버 업데이트는 장치관리자에서 할 수 있는 작업 중 가장 옳은 것입니다. 이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버전으로 유지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컴퓨터에 IP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기능을 하는 서버는?

  1. DNS 서버
  2. DHCP 서버
  3. FTP 서버
  4. Web 서버
(정답률: 46%)
  • DHCP 서버는 컴퓨터에 IP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어드레스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하고, FTP 서버는 파일 전송을 위한 서버이며, Web 서버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휘발성이면서 읽기/쓰기가 가능한 기억장치의 나열로 옳은 것은?

  1. 레지스터, 캐시메모리, RAM
  2. 레지스터, 캐시메모리, ROM
  3. 캐시메모리, RAM, 디스크
  4. 캐시메모리, ROM, 디스크
(정답률: 59%)
  • 레지스터, 캐시메모리, RAM이 휘발성이면서 읽기/쓰기가 가능한 기억장치의 나열로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레지스터: CPU 내부에 위치하며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또한,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어서 읽기/쓰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입니다.

    2. 캐시메모리: CPU와 RAM 사이에 위치하며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는 기억장치입니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서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저장 용량이 작기 때문에 일부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입니다.

    3. RAM: 컴퓨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억장치입니다. CPU가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사용되며, 저장 용량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중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재생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다운로드 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리얼 네트워크사의 개발 기술은?

  1. 필터링(Filtering)
  2. 모핑(Morphing)
  3. 스트리밍(Streaming)
  4. 랜더링(Rendering)
(정답률: 87%)
  • 스트리밍은 별도의 다운로드 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재생하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없어지므로, 사용자는 빠르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핫 스왑(hot swa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을 위해 요구된 만큼 프로그램의 필요한 부분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것
  2. 전원을 끄지 않고도 컴퓨터에 장착된 장비를 제거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기능
  3.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요구할 때 사용하는 기능
  4. 필요한 만큼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것
(정답률: 63%)
  • 전원을 끄지 않고도 컴퓨터에 장착된 장비를 제거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v4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출현하였다.
  2. IPv6 주소 체계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의 3가지 종류의 주소로 분류된다.
  3. IPv6 주소는 8개의 16진수 4자리 숫자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4. IPv4의 IP주소는 64비트로 표시된다.
(정답률: 62%)
  • IPv4의 IP주소는 32비트로 표시된다. 이유는 IPv4 주소가 32비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XM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이퍼텍스트 문서 제작용 언어로 태그의 사용자 정의가 불가능하다.
  2. 서버 측에서 동적으로 처리되는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언어이다.
  3. 구조화된 문서 제작용 언어로 태그의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다.
  4. 웹상에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정답률: 50%)
  • XML은 구조화된 문서를 제작하기 위한 언어로, 태그의 사용자 정의가 가능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태그를 정의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둘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서로 사용하기를 원해서 시스템이 정지되는 상황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LOCK
  2. DEADLOCK
  3. UNLOCK
  4. BLOCK
(정답률: 56%)
  •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서 서로 상대방이 점유한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고 기다리는 상황을 데드락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DEADLO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공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자료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놓은 것이다.
  2. 프로그램, 문서, 비디오, 소리, 그림 등의 데이터에 대하여 공유가 가능하다.
  3. 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를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린터 공유가 가능하다.
  4. 공유된 폴더는 자동으로 보안이 적용되어 삭제할 수 없다.
(정답률: 79%)
  • "공유된 폴더는 자동으로 보안이 적용되어 삭제할 수 없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유된 폴더에 대한 삭제 권한이 해당 폴더를 공유한 사용자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용자는 공유된 폴더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권한만 가지고 있으며, 삭제 권한은 없습니다. 따라서 공유된 폴더를 삭제하려면 해당 폴더를 공유한 사용자가 삭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동영상 압축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주파수 영역처리 기법은 3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한 것이다.
  2. 동작 보상 기법은 움직이는 물체의 이동 위치만을 표시하여 벡터 정보로 기록해서 압축하는 방법이다.
  3. 델타 프레임 기법은 새로운 화면의 정보를 모두 기록하지 않고 앞 화면과 뒤 화면의 차이점을 기록해서 압축하는 방법이다.
  4. 서브 샘플링 기법은 주어진 정보의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정답률: 45%)
  • "주파수 영역처리 기법은 3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한 것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주파수 영역 처리 기법은 영상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고주파와 저주파를 분리하고, 고주파를 제거하거나 줄여서 압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3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비대칭형(Public Key) 암호화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암호키와 해독키가 분리되어 있다.
  2. RSA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3. 공개키만으로는 암호화된 내용을 복호화 할 수 없다.
  4.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
(정답률: 67%)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것은 비대칭형 암호화 방식의 특징이 아닙니다. 비대칭형 암호화 방식에서는 공개키와 개인키가 분리되어 있으며, 공개키로 암호화된 내용은 개인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안전한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아래의 그림과 같은 종류의 폰트 파일을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한다.
  2. 마우스 더블 클릭하여 나타나는 대화상자의 지시에 따른다.
  3.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C:\WINDOWS\FONTS 폴더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설치한다.
  4.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하여 설치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C:\WINDOWS\FONTS 폴더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설치한다."입니다. 이유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폰트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선택한 폰트 파일을 윈도우의 폰트 폴더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자동으로 설치되며, 이후에는 해당 폰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도 가능하지만, 이 방법이 가장 편리하고 빠르기 때문에 추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내게 필요한 옵션]에서 설정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키보드 탭에서 [필터키] 기능을 사용하면 너무 짧게 누르거나 반복한 키입력을 자동으로 무시할 수 있으며 반복 속도도 조정할 수 있다.
  2. 일반 탭에서 [직렬키] 기능을 사용하면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포인터를 사용할 수 있다.
  3. 디스플레이 탭에서 [고대비] 기능을 사용하여 읽기 쉽게 구성된 색상 및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
  4. 소리 탭에서 [소리 표시 사용] 기능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음성 또는 소리를 화면에 자막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44%)
  • 정답: 일반 탭에서 [직렬키] 기능을 사용하면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포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옳은 설명입니다.)

    해설: [직렬키] 기능은 숫자 키패드를 사용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 키패드의 5를 누르면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 탭에서 [직렬키] 기능을 사용하면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포인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축 중 Z축이 설정되어 있다.
  2. X(항목)축 제목이 설정되어 있다.
  3. 차트 종류는 3차원 효과의 100% 기준 누적 가로막대형 이다
  4. [차트]-[3차원 보기]에서 상하/좌우 회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39%)
  • X(항목)축 제목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추세선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추세선의 종류로는 선형, 로그, 다항식, X의 누승, 지수, 이동 평균 등 6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2.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3.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의 차트로 바꾸어도 추세선은 그대로 표시된다.
  4. 방사형, 원형, 도넛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5%)
  •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의 차트로 바꾸어도 추세선은 그대로 표시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3차원의 차트에서는 데이터의 시각적인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추세선의 표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의 산점도 차트에서는 추세선 대신 평면 또는 곡면으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용자 정의 서식 중 시간 서식에서 입력 데이터→표시형식→적용 결과가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1. 15:05:20 → h:m:s AM/PM → 15:05:20 PM
  2. 20:30 → hh:mm AM/PM → 08:30 PM
  3. 0.5 → hh:mm → 12:00
  4. 35:30 → [h]:mm → 35:30
(정답률: 53%)
  • 정답은 "0.5 → hh:mm → 12:00"입니다.

    0.5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이 아니기 때문에 hh:mm 형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서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15:05:20 → h:m:s AM/PM → 15:05:20 PM의 경우, 입력된 시간이 15:05:20이고 h:m:s AM/PM 형식에 따라 표시하면 3:05:20 PM이 됩니다. 하지만 입력된 시간이 24시간 형식이기 때문에 AM/PM을 무시하고 그대로 표시하면 15:05:20 PM이 됩니다.

    20:30 → hh:mm AM/PM → 08:30 PM의 경우, 입력된 시간이 20:30이고 hh:mm AM/PM 형식에 따라 표시하면 08:30 PM이 됩니다.

    35:30 → [h]:mm → 35:30의 경우, 입력된 시간이 35시간 30분이고 [h]:mm 형식에 따라 표시하면 35:30이 됩니다. [h]는 시간을 나타내는 서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시트에서 “판매1부”의 평균수량을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D10]셀에 표시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AVERAGE(IF(B2:B8=B1:B2,A2:D8))}
  2. {=AVERAGE(IF(B2:B8=A10,D2:D8))}
  3. {=AVERAGE(IF(A2:D8=B1:B2,D2:D8))}
  4. {=AVERAGE(IF(B2:B8=“판매1부”,D2:D8))}
(정답률: 66%)
  • 정답은 "{=AVERAGE(IF(B2:B8=“판매1부”,D2:D8))}"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IF 함수를 사용하여 B2:B8 범위에서 "판매1부"와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 일치하는 값이 있는 경우, 해당 행의 D열 값을 가져옵니다.
    - 가져온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반환합니다.
    - 중괄호 {}를 사용하여 배열 수식으로 입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시트에서 주민번호를 이용하여 [C2:C3] 셀에 현재의 나이를 계산하였다. 다음 중 [C2] 셀의 수식으로 옳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YEAR((TODAY()-LEFT(B2,2))+1900)
  2. =YEAR(TODAY()-(LEFT(B2,2))+1900))
  3. =YEAR(TODAY())-((LEFT(B2,2)+1900)
  4. =YEAR(TODAY())-(LEFT(B2,2))+1900
(정답률: 67%)
  • 정답: "=YEAR((TODAY()-LEFT(B2,2))+1900)"

    해설:
    - LEFT(B2,2)는 주민번호의 앞 두자리를 추출하는 함수이다. 이를 통해 출생년도를 알아낼 수 있다.
    - TODAY()는 현재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 TODAY()-LEFT(B2,2)는 현재 날짜에서 출생년도를 뺀 값이다.
    - 이 값을 1900을 더해주면 실제 출생년도가 된다.
    - YEAR() 함수를 이용하여 출생년도에서 현재년도를 뺀 값을 계산하면 현재 나이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정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본 문제는 윈도우 XP 기준 문제입니다. 정확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에서 공백(빈 셀)은 맨 나중에 위치한다.
  2.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영문자가 한글의 뒤에 위치한다.
  3. 공백으로 시작하는 문자열이 있는 셀은 내림차순 정렬일 때 숫자 앞에 위치한다.
  4. 기본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정렬 옵션] 대화상자에서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29%)
  •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영문자가 한글의 뒤에 위치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윈도우 XP에서 한글과 영문의 유니코드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유니코드 값이 높은 문자가 먼저 나오는 내림차순 정렬에서는 영문자가 한글 뒤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F(AND(B2>=40, C2>=40, D2>=60), “합격”, “불합격”)
    결과 : [B2]셀과 [C2]셀의 값이 40이상이고 [D2]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2. =IF(OR(C2>=40, D2>=60), “합격”, “불합격”)
    결과 : [C2]셀의 값이 40이상이고 [D2]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3. =IF(AND((B2,C2)>=40, D2>=60), “합격”, “불합격”)
    결과 : B2셀과 C2셀의 값이 40이상이고 D2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4. =AND(IF(B2>=40, C2>=40, D2>=60), “합격”, “불합격”)
    결과 : B2셀과 C2셀의 값이 40이상이거나 D2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IF(AND(B2>=40, C2>=40, D2>=60), “합격”, “불합격”)
    결과 : [B2]셀과 [C2]셀의 값이 40이상이고 [D2]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입니다. 이 수식은 B2, C2, D2 셀의 값이 각각 40 이상, 40 이상, 60 이상인 경우 "합격"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불합격"을 반환합니다. AND 함수는 모든 조건이 참일 때만 참을 반환하므로, 모든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격"을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프로시저를 실행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5:A10]영역의 셀 중에서 50 초과 값들이 들어있는 셀 값을 ‘취소선’으로 표시
  2. [A5:A10]영역의 셀 중에서 50 이상의 값들이 들어있는 셀 값을 ‘밑줄’로 표시
  3. [A5:A10]영역의 셀 중에서 50 미만의 값들이 들어있는 셀 값을 ‘진하게’로 표시
  4. [A5:A10]영역의 셀 중에서 50 이하의 값들이 들어있는 셀 값을 ‘이탤릭체’로 표시
(정답률: 73%)
  • 프로시저에서는 A5부터 A10까지의 셀 중에서 값이 50 이하인 셀에 대해 폰트 스타일을 이탤릭체로 변경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A5:A10]영역의 셀 중에서 50 이하의 값들이 들어있는 셀 값을 ‘이탤릭체’로 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파일]-[페이지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동으로 인쇄 배율을 지정할 수 있으며 배율은 보통 크기의 10%에서 500%까지 가능하다.
  2. 바닥글을 사용자가 편집하여 ‘- 1 -’ 와 같이 페이지 번호 양쪽에 ‘-’ 기호를 삽입한 형태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3. 셀 구분선뿐만 아니라 행/열 머리글도 인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인쇄할 내용을 페이지의 세로, 가로의 가운데를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인쇄할 내용을 페이지의 세로, 가로의 가운데를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페이지 설정에서는 인쇄 영역을 설정할 수 있지만, 이는 페이지의 상하좌우 여백을 조절하여 인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이며, 세로나 가로의 가운데를 선택하여 인쇄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수동으로 인쇄 배율을 지정할 수 있으며 배율은 보통 크기의 10%에서 500%까지 가능하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인쇄할 내용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배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0%에서 500%까지의 범위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바닥글을 사용자가 편집하여 ‘- 1 -’ 와 같이 페이지 번호 양쪽에 ‘-’ 기호를 삽입한 형태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와 "셀 구분선뿐만 아니라 행/열 머리글도 인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는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바닥글을 편집하여 페이지 번호를 출력하거나, 셀 구분선과 행/열 머리글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엑셀에서 [인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식] 메뉴에서 [시트]-[배경]을 사용하여 워크시트에 추가한 배경 무늬를 인쇄할 수 있다.
  2. 워크시트를 인쇄하기 전에 미리 보기를 눌러 시트를 인쇄했을 때의 모양을 미리 볼 수 있다.
  3. 텍스트 파일로 작성된 외부파일을 엑셀에서 불러오기 하여 인쇄할 수 있다.
  4. 셀 음영도 인쇄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서식] 메뉴에서 [시트]-[배경]을 사용하여 워크시트에 추가한 배경 무늬를 인쇄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목표값 찾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표값 찾기는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기능이다.
  2. 목표값 찾기에서 변하는 데이터를 여러 개 지정할 수 있다.
  3. 목표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해야 한다.
  4. 목표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셀주소를 입력할 수 없다.
(정답률: 39%)
  • "목표값 찾기에서 변하는 데이터를 여러 개 지정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목표값 찾기에서는 하나의 변화하는 데이터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1부터 A10까지의 범위에서 최대값을 찾는 경우, 변화하는 데이터는 A1부터 A10까지의 값들입니다. 이 경우 목표값은 없으며, 변화하는 데이터 범위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그룹 및 윤곽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그룹 및 윤곽설정 기능을 사용하려면 그룹으로 묶고자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먼저 정렬해 주어야 한다
  2. 그룹으로 묶기 위해 데이터를 정렬할 때 오름차순, 내림차순 어떤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3. 윤곽 수준에는 하위 수준이 여덟 개까지 있을 수 있으며, 안쪽 수준은 상위 바깥 수준의 하위 수준을 나타낸다.
  4. 그룹 및 윤곽설정 기능을 사용하려면 각 그룹별 계산항목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71%)
  • 1번. 그룹 및 윤곽설정 기능을 사용하려면 그룹으로 묶고자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먼저 정렬해 주어야 한다는 이유는, 그룹으로 묶인 데이터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룹으로 묶인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먼저 기준 데이터를 정렬해 주어야 그룹으로 묶인 데이터도 보기 쉽게 정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배열 상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배열 인수를 배열 상수라고 하는데 ‘=10%*100’ 를 입력 후 <Ctrl><Shift><Enter>를 입력하면 ‘#VALUE!'가 표시된다.
  2. 배열 상수에는 숫자, 텍스트, TRUE나 FALSE 등의 논리값, #N/A와 같은 오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3. 배열 상수로 정수, 실수, 3.70E+01 같은 지수형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4. 배열 상수 입력시 열 구분은 쉼표(,)로, 행 구분은 세미콜론(;)으로 한다.
(정답률: 35%)
  • 배열 상수로 정수, 실수, 3.70E+01 같은 지수형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배열 상수는 숫자, 텍스트, 논리값, 오류 값을 사용할 수 있지만, 지수형 숫자는 사용할 수 없다. 이유는 지수형 숫자는 일반적인 숫자와 달리 텍스트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열 상수에 지수형 숫자를 사용하면 계산이 되지 않고 #VALUE! 오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 그림에서 [A1:C14] 셀까지 [5행:3열]로 구성된 표를 [A21:C25] 셀에 화면에 표시된 집계내용만 복사하여 붙여 넣고자 한다. 다음 중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A1:C14] 셀 선택→[편집]→[복사]→[A21] 셀 선택→[편집]→[붙여 넣기]
  2. [A1:C14] 셀 선택→[편집]→[복사]→[A21] 셀 선택→[편집]→[선택하여 붙여넣기]→[연결하여 붙여넣기]
  3. [A1:C14] 셀 선택→[편집]→[이동]→[옵션]→[현재 셀이 있는 영역]→[확인]→[편집]→[복사]→[A21] 셀 선택→[편집]→[붙여 넣기]
  4. [A1:C14] 셀 선택→[편집]→[이동]→[옵션]→[화면에 보이는 셀]→[확인]→[편집]→[복사]→[A21] 셀 선택→[편집]→[붙여 넣기]
(정답률: 36%)
  • 정답은 "[A1:C14] 셀 선택→[편집]→[이동]→[옵션]→[화면에 보이는 셀]→[확인]→[편집]→[복사]→[A21] 셀 선택→[편집]→[붙여 넣기]" 입니다.

    이유는 [A1:C14] 셀을 선택하고 [편집] 메뉴에서 [이동]을 선택합니다. 이동 창에서 [옵션]을 선택하고 [화면에 보이는 셀]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화면에 보이는 셀만 선택되어 복사됩니다. 그리고 [편집] 메뉴에서 [복사]를 선택한 후 [A21] 셀을 선택하고 [편집] 메뉴에서 [붙여 넣기]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화면에 보이는 셀만 복사되어 [A21:C25] 셀에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매크로 기록과 실행에 관련된 항목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주 사용되는 매크로는 PERSON.XLS로 저장하여 엑셀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2. 매크로 기록 기능을 통해 작성된 매크로는 ‘VBA 편집기’에서 실행할 수 있다.
  3. 매크로 기록 기능을 이용할 때 기본 저장 위치는 ‘현재 통합 문서’가 된다.
  4. 매크로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키는 <Ctrl> 키와 <영문자>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39%)
  • "자주 사용되는 매크로는 PERSON.XLS로 저장하여 엑셀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이 항목은 옳은 설명입니다.

    - 매크로 기록 기능을 통해 작성된 매크로는 ‘VBA 편집기’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옳은 설명)
    - 매크로 기록 기능을 이용할 때 기본 저장 위치는 ‘현재 통합 문서’가 된다. (옳은 설명)
    - 매크로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키는 <Ctrl> 키와 <영문자>로 지정할 수 있다. (옳은 설명)

    따라서, 옳지 않은 항목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를 저장할 때 백업 파일을 만들 수 있는데 이때 백업 파일의 확장자는 *.xlk 이다.
  2. 텍스트(공백으로 분리) 형식으로 저장하면 각 셀에 입력된 내용이 탭으로 분리된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3. 웹페이지로 저장하면 엑셀에서 작성한 문서가 웹페이지 형식으로 저장된다.
  4. 작업영역 저장 파일의 확장자는 ‘*.xlw'로 여러 통합 문서를 작업 상태파일로 저장하면 한번에 열 수 있다.
(정답률: 31%)
  • "텍스트(공백으로 분리) 형식으로 저장하면 각 셀에 입력된 내용이 탭으로 분리된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메시지박스(MsgBox)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vbCritical
  2. vbExclamation
  3. vbInformation
  4. vbSymbol
(정답률: 41%)
  • "vbSymbol"은 메시지박스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유형이 아닙니다. 이유는 "vbSymbol"은 Visual Basic 6.0에서 사용되었던 상수이지만, 이후 버전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vbSymbol"은 올바른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의 시트에서 2,000,000 이상이면 ‘빨강색’ 아니면 ‘파랑색’으로 셀의 색깔을 구분하여 [B2:B8] 영역이 표시되도록 “순이익 구분” 상자에 매크로를 지정하려고 한다. 지정할 프로시저는 profit_view()이다. 프로시저의 ( ⓐ )에 답으로 옳은 것은?

  1. Cell(B1)
  2. Cell(“B1”)
  3. Range(B1)
  4. Range(“B1”)
(정답률: 45%)
  • Sub profit_view()
    For Each cell In Range("B2:B8")
    If cell.Value >= 2000000 Then
    cell.Interior.ColorIndex = 3 '빨강색
    Else
    cell.Interior.ColorIndex = 5 '파랑색
    End If
    Next cell
    End Sub

    정답: Range(“B1”)

    Range(“B1”)은 B1 셀을 나타내는 범위 객체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순이익 구분” 상자에 입력된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Cell(B1)이나 Cell(“B1”)은 B1 셀을 나타내는 셀 객체이기 때문에, 범위를 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Range(B1)은 B1이라는 변수를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도구 모음에 추가되어 있는 카메라 단추를 활용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올바른 순서로 연결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38%)
  • 카메라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전원을 켜야 하므로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다. 그 다음으로는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기 위해 앱 아이콘을 탭해야 하므로 앱 아이콘을 탭하는 것이 두 번째 단계이다. 마지막으로는 사진을 찍기 위해 셔터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셔터 버튼을 누르는 것이 세 번째 단계이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아래의 주어진 표와 같이 3가지 조건에 따라 셀 서식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셀 서식으로 옳은 것은?

  1. [파랑][>=500]“목표달성!!”;[빨강][<300]“주의요망!!”;“노력요망!!”
  2. [파랑][>=500]“목표달성!!”;[빨강][<300]“주의요망!!”;G/표준“노력요망!!”
  3. [파랑][>=500]“목표달성!!”G/표준;[빨강][<300]“주의요망!!” G/표준;[검정]“노력요망!!”G/표준
  4. [파랑][>=500]“목표달성!!”G/표준;[빨강][<300]“주의요망!!” G/표준;[검정][G/표준]“노력요망!!”
(정답률: 43%)
  • 조건에 따라 셀 서식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조건부 서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조건부 서식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주어진 표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조건이 있다.
    - 값이 500 이상인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목표달성!!"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 값이 300 미만인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주의요망!!"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 그 외의 경우: 검정색으로 표시하고 "노력요망!!"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따라서, 옳은 사용자 정의 셀 서식은 "[파랑][>=500]“목표달성!!”G/표준;[빨강][<300]“주의요망!!” G/표준;[검정]“노력요망!!”G/표준"이다. 이 서식은 각 조건에 따라 셀의 색상과 텍스트를 다르게 표시하며, "G/표준"은 폰트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중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운드 폼은 폼을 통해 테이블/쿼리에 데이터를 입력, 편집, 수정할 수 없는 폼을 뜻한다.
  2. 폼에 데이터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바운드 폼과 언바운드 폼이 구분된다.
  3. 폼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4. 폼 모양에는 컬럼 형식, 탭 형식, 데이터시트 등이 있다.
(정답률: 52%)
  • "바운드 폼은 폼을 통해 테이블/쿼리에 데이터를 입력, 편집, 수정할 수 없는 폼을 뜻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바운드 폼은 폼을 통해 테이블/쿼리에 데이터를 입력, 편집, 수정할 수 있는 폼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쿼리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크로스탭 쿼리는 테이블의 특정 필드의 요약 값(합계, 개수, 평균 등)을 표시할 수 없다.
  2. 선택 쿼리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쿼리로 레코드를 그룹으로 묶어 합계, 개수, 평균 등을 계산할 수 있다.
  3. SQL 쿼리는 SQL 문을 사용하여 만드는 쿼리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관리할 수 있다.
  4. 실행 쿼리는 여러 레코드의 값을 한꺼번에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42%)
  • 크로스탭 쿼리는 테이블의 특정 필드의 요약 값(합계, 개수, 평균 등)을 표시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크로스탭 쿼리는 행과 열을 바꾸어서 데이터를 요약하고 집계할 수 있는 쿼리 유형입니다. 따라서 필드의 요약 값도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ADO객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3,4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Connection객체는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위하여 open매서드를 이용한다.
  2. Connection객체에 대한 작업이 끝나면 close메서드를 용하여 객체를 닫고 동시에 객체를 메모리에서 제거한다.
  3. Connection객체에 대한 작업이 끝나면 close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닫고 동시에 객체를 메모리에서 제거한다.
  4. Connection객체에 대한 작업이 끝나면 close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닫고 동시에 객체를 메모리에서 제거한다.
(정답률: 70%)
  • 2번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onnection 객체를 close 메서드를 사용하여 닫으면 객체는 메모리에서 제거되지만, 제거되는 시점은 JVM의 가비지 컬렉터가 판단하여 수행하는 것이므로, 객체가 즉시 제거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회원수를 구했더니 ‘3’이라는 숫자만 표시되어 아래 그림과 같이 ‘서울 거주 회원수는 3명’과 같이 출력하려고 한다. 다음 중 작성 식으로 옳은 것은?

  1. =“[주소] 거주 회원수는 ” & Count([회원번호]) & “명”
  2. =“[주소] 거주 회원수는 ” & Count([이름]) & “명”
  3. =[주소] & “ 거주 회원수는 ” & Count([주소]) & “명”
  4. =[주소] & “ 거주 회원수는 ” Count([나이]) & “명”
(정답률: 52%)
  • 정답은 "[주소] & “ 거주 회원수는 ” & Count([주소]) & “명”"입니다.

    이유는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회원수를 구했으므로, Count 함수의 인자로 사용된 [주소] 필드를 기준으로 회원수를 구한 것입니다. 따라서 출력할 때도 [주소] 필드를 기준으로 출력해야 하며, "거주 회원수는"과 "명" 사이에는 & 기호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연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부서] 테이블과 [사원] 테이블에는 아래 표와 같이 데이터가 들어 있다. 부서코드는 기본키로 설정되어 있고 [사원] 테이블의 소속부서 필드는 [부서]테이블의 부서코드를 참조하고 있는 외래키(foreign key)이다. 다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재 참조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가 유지되고 있다.
  2. 사원 테이블에서 4번 사원의 소속부서를 4로 바꾸면 참조무결성은 유지되지 않는다.
  3. 사원 테이블에서 2번 사원을 삭제해도 참조무결성은 유지된다.
  4. 부서 테이블에서 2번 부서를 삭제하면 참조무결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정답률: 43%)
  • "부서 테이블에서 2번 부서를 삭제하면 참조무결성이 유지되지 않는다."가 옳은 이유는, [사원] 테이블에서 소속부서 필드가 [부서] 테이블의 부서코드를 참조하고 있는 외래키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부서] 테이블에서 2번 부서를 삭제하면, 이 부서에 소속된 사원들의 소속부서 필드는 더 이상 유효한 값을 참조할 수 없게 됩니다. 이는 참조무결성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다른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 및 데이터 개체 내보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기존 Microsoft Access 데이터베이스나 Microsoft Access 프로젝트로 데이터베이스 개체 내보내기 할 수 있다.
  2. 정적 HTML 형식으로 테이블, 폼, 보고서, 데이터시트를 내보내기 할 수 있다.
  3. Microsoft Word 편지 병합 데이터 원본 파일로 테이블이나 쿼리를 내보내기 할 수 있다.
  4. 데이터시트를 서식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 형태로 Microsoft Excel 이나 기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으로 내보낼 수 없다.
(정답률: 42%)
  • "데이터시트를 서식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 형태로 Microsoft Excel 이나 기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으로 내보낼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데이터시트를 서식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 형태로 내보내는 것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컨트롤 중 ‘컨트롤 원본’ 속성을 이용하여 바운드할 수 없는 컨트롤은?

  1. 콤보 상자(combo box)
  2. 텍스트 상자(text box)
  3. 명령 단추(command button)
  4. 옵션 단추(option button)
(정답률: 31%)
  • 명령 단추(command button)는 사용자가 클릭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컨트롤이므로, 바운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필드와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컨트롤 원본 속성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명령 단추(command button)는 바운드할 수 없는 컨트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테이블 작성시 필드 속성 중 입력 마스크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기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0 : 0부터 9까지의 숫자만 입력가능하며, 덧셈 기호와 뺄셈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2. 9 : 숫자나 공백의 입력이 가능하지만, 덧셈 기호와 뺄셈 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
  3. ? : A~Z까지의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하다.
  4. L : A부터 Z까지의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하다.
(정답률: 36%)
  • "0 : 0부터 9까지의 숫자만 입력가능하며, 덧셈 기호와 뺄셈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입력 마스크에서 "0"은 0부터 9까지의 숫자만 입력 가능하며, 덧셈 기호와 뺄셈 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테이블에서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는 필드의 데이터 형식으로만 구성된 것은?

  1. 통화, 숫자, 하이퍼링크
  2. 메모, 하이퍼링크, 텍스트
  3. 숫자, 텍스트, OLE개체
  4. 예/아니오, 통화, 일련번호
(정답률: 46%)
  •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는 필드는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중복이 적은 필드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예/아니오"는 중복이 적은 데이터 형식이며, "통화"와 "일련번호"는 유일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 형식이므로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숫자"와 "텍스트"는 중복이 많을 수 있어 인덱스 설정이 적합하지 않고, "하이퍼링크"와 "OLE개체"는 데이터 형식이 아니므로 인덱스 설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예/아니오, 통화, 일련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회원(회원번호, 이름, 나이, 주소) 테이블에서 주소가 ‘인천’인 회원의 이름, 나이 필드만 검색하되, 나이가 많은 순으로 검색하는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

  1.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Ascending;
  2.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ending;
  3.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Asc;
  4.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
(정답률: 58%)
  • 정답은 "SELECT 이름, 나이 From 회원 Where 주소=‘인천’ Order By 나이 DESC;"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ELECT 이름, 나이 : 이름과 나이 필드만 검색하라는 의미입니다.

    2. From 회원 : 회원 테이블에서 검색하라는 의미입니다.

    3. Where 주소=‘인천’ : 주소가 '인천'인 회원을 검색하라는 의미입니다.

    4. Order By 나이 DESC : 검색 결과를 나이가 많은 순으로 정렬하라는 의미입니다. DESC는 내림차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폼개체의 Load 이벤트에 다음과 같이 작성한 후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Load 이벤트가 발생하면 폼이 로드되고 화면에 보여지기 전에 실행되기 때문에, 폼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는 코드가 실행되어도 사용자에게는 보여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폼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는 코드가 실행되어도 화면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폼의 크기와 위치는 초기값 그대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유실시 파일 회복이 쉽다.
  2.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나 응용프로그램이 공유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58%)
  •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나 응용프로그램이 공유할 수 있다."는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 장점과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데이터 유실시 파일 회복이 쉽다."는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백업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하므로 데이터 유실 시 이전 상태로 복구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포커스가 임의의 레코드로 이동되어 그 레코드가 현재 레코드가 되거나 폼이 새로 고쳐지거나 다시 질의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로 옳은 것은?

  1. Focus
  2. Event
  3. Current
  4. Click
(정답률: 49%)
  • 정답은 "Current"입니다.

    포커스는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컨트롤을 나타내며, 이벤트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작업을 나타냅니다. 클릭은 사용자가 마우스로 컨트롤을 클릭할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하지만 현재 레코드가 변경되거나 폼이 새로 고쳐지거나 다시 질의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는 "Current"입니다. 이 이벤트는 현재 레코드가 변경되었을 때 폼의 다른 컨트롤에 대한 값을 업데이트하거나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Current"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고서를 인쇄하기 위해 「페이지 설정」대화 상자의 속성들을 조절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백」탭 : 용지의 여백을 설정하고 데이터만 인쇄할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2. 「행」탭 : 여러 행으로 구성된 보고서의 행 레이아웃 속성을 이용해서 ‘행 우선’ 또는 ‘열 우선’을 선택하여 인쇄를 지정한다.
  3. 「용지」탭 : 용지의 방향 및 크기를 지정한다.
  4. 「열」탭 : 여러 열로 구성된 보고서의 열 레이아웃 속성을 이용해서 ‘행우선’ 또는 ‘열 우선’을 선택하여 인쇄를 지정한다.
(정답률: 28%)
  • 정답은 「행」탭 : 여러 행으로 구성된 보고서의 행 레이아웃 속성을 이용해서 ‘행 우선’ 또는 ‘열 우선’을 선택하여 인쇄를 지정한다.이다. 이유는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의 「행」탭은 행과 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행으로 구성된 보고서의 행 레이아웃 속성을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행과 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열」탭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기본키(Primary Key)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널 값을 입력할 수 없다.
  2. 입력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3. 중복된 값을 입력할 수 있다.
  4. 두 개 이상의 필드를 묶어서 기본키로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중복된 값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은 기본키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중복된 값을 입력할 수 없다는 것이 기본키의 핵심적인 특징입니다. 기본키는 각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되며, 중복된 값이 입력되면 레코드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중복된 값을 입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SQL문에서 INSERT를 이용해서 [학생] 테이블에 학번 : “200878”, 이름 : “정몽주”, 학년 : “1”인 자료를 삽입하려고 한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VALUES
  2. INTO
  3. WHERE
  4. FROM
(정답률: 54%)
  • "VALUES"는 INSERT문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삽입하려는 데이터를 괄호 안에 나열하여 VALUES 키워드 뒤에 적어주면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컬럼3) VALUES (200878, '정몽주', 1)와 같이 작성해야 합니다. "INTO"는 INSERT문에서 삽입할 테이블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며, "WHERE"는 데이터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FROM"은 SELECT문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사용자 정의 폼 도구 상자의 컨트롤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에 해당하는 컨트롤의 이름으로 옳은 것은?

  1. 레이블
  2. 입력란
  3. 확인란
  4. 콤보 상자
(정답률: 30%)
  • 해당 컨트롤은 사용자가 값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입력란"이라고 불립니다. 다른 컨트롤들은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값을 확인하거나 선택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에서 필드나 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그룹화할 수 있다.
  2. 날짜 데이터는 년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등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3. 숫자 데이터는 첫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없다.
  4. 문자열 데이터는 접두 문자를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정답률: 41%)
  • 숫자 데이터는 첫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의미가 없는 그룹화 방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예를 들어, 123, 456, 789을 첫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그룹화하면 1로 시작하는 것, 4로 시작하는 것, 7로 시작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지만, 이러한 그룹화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의미가 없다. 따라서, 숫자 데이터를 그룹화할 때는 해당 데이터의 의미에 맞는 그룹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표와 같이 서식을 지정하고 싶을 경우 사용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조건 : 평균이 90 이상이면 밑줄, 80~89 이면 굵게, 80 미만이면 굵게와 밑줄 표시)

  1. 테이블 서식
  2. 조건부 서식
  3. 보고서 서식
  4. 디자인 보기 서식
(정답률: 67%)
  • 조건부 서식은 조건에 따라 셀의 서식을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이 경우 평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밑줄, 80~89 이면 굵게, 80 미만이면 굵게와 밑줄 표시를 하기 위해 조건부 서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쿼리데이터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대일 관계의 테이블을 사용하는 쿼리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2. SQL 창구 쿼리는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다.
  3. 크로스탭 쿼리는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다.
  4. 일대다 관계를 갖는 세 개 이상의 테이블을 사용하는 쿼리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정답률: 34%)
  • "일대다 관계를 갖는 세 개 이상의 테이블을 사용하는 쿼리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일대다 관계를 갖는 테이블에서 업데이트를 수행하면 다른 테이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인 등을 사용하여 업데이트 대상을 명확히 지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