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8-03)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08-08-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A'에게서 받은 전자우편 메시지와 첨부자료들을 그대로 'C'에게 전송하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기능은?

  1. 전달(Forward)
  2. 전체회신(Reply All)
  3. 회신(Reply)
  4. 새 메일(New Mail)
(정답률: 87%)
  • 전달(Forward) 기능은 받은 이메일을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A'에게서 받은 이메일과 첨부자료를 그대로 'C'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달(Forward)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일반적으로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프로세서와 디스크 드라이브 사이의 속도 차이 개선
  2. 한 개의 대용량 디스크를 여러 개의 디스크처럼 나누어 관리
  3. 안정성 향상
  4. 데이터 복구의 용이성
(정답률: 56%)
  • 프로세서와 디스크 드라이브 사이의 속도 차이 개선은 RAID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니며,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복구의 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세서와 디스크 드라이브 사이의 속도 차이 개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어떠한 기술을 설명한 것인가?

  1. MPEG
  2. DIVX
  3. DVI
  4. AVI
(정답률: 48%)
  • 이 기술은 "DVI" 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케이블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MPEG, DIVX, AVI는 모두 비디오 파일 형식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DVI와는 다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한글 윈도우 XP에서 'ipconfig'명령의 기능은?

  1. 네트워크상에서 해당 IP를 가진 컴퓨터를 검색해준다.
  2.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를 표시한다.
  3. 네트워크상에 컴퓨터의 연결 유무를 점검한다.
  4. 윈도우 기동시에 설정된 환경변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67%)
  • 'ipconfig' 명령은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를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상에서 해당 IP를 가진 컴퓨터를 검색해주지는 않습니다. 또한 네트워크상에 컴퓨터의 연결 유무를 점검하거나 윈도우 기동시에 설정된 환경변수를 나타내는 기능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의 성능을 구분하려면 CPU에 내장된 명령어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다음 중 CISC와 RISC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CISC 방식은 명령어 해석 후 명령어를 실행한다.
  2. RISC 방식은 명령어가 적으므로 프로그래밍이 쉬운 반면 처리 속도가 느리다.
  3. CISC 방식의 단점은 명령어가 많으므로 명령어 설계가 어렵다.
  4. RISC 방식의 단점은 컴파일러 설계가 어렵다.
(정답률: 60%)
  • 정답은 "RISC 방식은 명령어가 적으므로 프로그래밍이 쉬운 반면 처리 속도가 느리다." 이다. 이유는 RISC 방식은 명령어가 적어서 간단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고 실행 시간이 짧아서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RISC 방식은 명령어가 적어서 프로그래밍이 상대적으로 쉽고,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새 하드디스크를 구입하여 컴퓨터에 연결한 후 부팅을 하였을 때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취할 적절한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퍼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하드디스크 포맷을 수행한 후 다시 부팅해 본다.
  3.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 CMOS 셋업에서 HDD Auto detect 기능을 이용한다.
(정답률: 59%)
  • 하드디스크 포맷을 수행한 후 다시 부팅해 본다는 것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 초기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드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어 있거나 파티션 정보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포맷을 수행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포맷을 수행하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미리 백업을 해두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포맷을 수행하기 전에는 데이터를 백업해 두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설명과 관련된 것은?

  1. 디더링(Dithering)
  2. 렌더링(Rendering)
  3. 안티엘리어싱(Anti-Aliasing)
  4. 필터링(Filtering)
(정답률: 79%)
  • 안티엘리어싱은 이미지나 그래픽에서 생기는 계단 현상을 완화시켜 부드러운 모서리를 만들어주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안티엘리어싱이 정답입니다. 디더링은 색상을 조합하여 더 많은 색상을 만들어내는 기술, 렌더링은 3D 모델을 2D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술, 필터링은 이미지나 그래픽에서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체제는 시스템소프트웨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2. 운영체제는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3.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들을 관리하는 주요 프로그램들을 슈퍼바이저(supervisor)라고 부른다.
  4. 운영체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에 위치하여 여러 종류의 자원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45%)
  • "운영체제는 BIOS를 포함한다."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BIOS는 운영체제와는 별개로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컴퓨터의 USB 방식 주변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모드에 따라 100Mbps, 200Mbps, 400Mbps 등이 있다.
  2. USB는 플러그&플레이(Plug&Play) 기능을 지원한다.
  3. 핫 플러깅(Hot Plugging) 기능으로 컴퓨터에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USB 주변기기들을 빼거나 연결할 수 있다.
  4. 1.5Mbps의 저속 모드 USB는 HID(Human Interface Device)에서 사용하는데 키보드나 마우스가 이에 속한다.
(정답률: 44%)
  • "1.5Mbps의 저속 모드 USB는 HID(Human Interface Device)에서 사용하는데 키보드나 마우스가 이에 속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USB는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모드에 따라 100Mbps, 200Mbps, 400Mbps 등이 있습니다. 이는 USB 2.0, USB 3.0, USB 3.1 등의 버전에 따라 다릅니다. USB는 플러그&플레이(Plug&Play) 기능을 지원하며, 핫 플러깅(Hot Plugging) 기능으로 컴퓨터에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USB 주변기기들을 빼거나 연결할 수 있습니다. HID(Human Interface Device)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주변기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HID 기기들은 USB의 저속 모드(1.5Mbps)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사용자의 정보나 패스워드를 찾아내기 위한 해킹기법이 아닌 것은?

  1. Spoofing
  2. Sniffing
  3. Phishing
  4. Key Logger
(정답률: 41%)
  • 정답: Spoofing

    설명: Spoofing은 다른 사람의 아이디나 이메일 주소 등을 위조하여 보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정보나 패스워드를 찾아내는 것이 아닙니다. 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가로채는 것, Phishing은 가짜 웹사이트나 이메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빼내는 것, Key Logger는 키보드 입력을 기록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Window의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인쇄 작업에 오류가 표시되어 해당 문서가 인쇄 대기열에 대기하면 뒤의 인쇄 작업이 진행된다.
  2. 현재 인쇄 중인 문서를 다른 프린터로 전송할 수 있다.
  3. 인쇄 작업이 지정된 프린터가 오프라인 상태이거나 용지 걸림 상태이면 오류가 발생한 문서를 새 포트로 보낼 수 있다.
  4. 프린터의 인쇄 작업이 실패하고 문서가 인쇄 대기열에서 정지되어 있을 때 다른 프린터로 문서를 보낼 수 있다.
(정답률: 51%)
  • 정답은 "프린터의 인쇄 작업이 실패하고 문서가 인쇄 대기열에서 정지되어 있을 때 다른 프린터로 문서를 보낼 수 있다." 입니다. 이는 인쇄 대기열에서 문서가 정지되어 있을 때, 해당 프린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른 프린터로 문서를 보내서 인쇄를 완료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TCP/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2. TCP는 두 종단 간 연결을 설정 한 후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교환하게 된다.
  3. IP는 발신지 호스트로부터 목적지 호스트까지 데이터 전송이 될 수 있도록 라우팅, 오류보고, 상황보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 IPv6는 IPv4의 한계로 인해 출현하였다.
(정답률: 64%)
  • "IP는 발신지 호스트로부터 목적지 호스트까지 데이터 전송이 될 수 있도록 라우팅, 오류보고, 상황보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IP는 데이터그램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여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하지만 오류보고나 상황보고와 같은 기능은 IP가 아닌 상위 계층인 전송 계층(TCP, UDP)에서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설명과 관련된 것은?

  1. Web Server
  2. Proxy Server
  3. Client Server
  4. FTP Server
(정답률: 75%)
  • 위 그림은 Proxy Server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xy Server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받아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클라이언트가 Proxy Server에게 요청을 보내고, Proxy Server가 서버에게 요청을 전달하고, 서버가 Proxy Server에게 응답을 보내고, Proxy Server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전달하는 과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Proxy Server의 역할 때문에 정답은 "Proxy Serv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윈도우 XP에서 특정 웹사이트로부터의 접속 과정과 라우팅 경로를 추적하여 보여주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사용방법이 올바른 것은?

  1. trace 211.31.119.151
  2. trace yahoo.co.kr
  3. tracert ksy@hanmir.com
  4. tracert 211.31.119.151
(정답률: 67%)
  • 정답은 "tracert 211.31.119.151"입니다.

    tracert는 특정 호스트로의 라우팅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호스트로 가는 경로 상에 있는 모든 라우터의 IP 주소와 응답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1.31.119.151은 추적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IP 주소입니다. 따라서 "tracert 211.31.119.151"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호스트로 가는 라우팅 경로를 추적하여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설명과 관련된 인터넷 서비스는?

  1. Telnet
  2. Gopher
  3. FTP
  4. WAIS
(정답률: 61%)
  • 위 그림은 Telnet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Teln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한글 Windows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 계정 이름에 암호를 할당하면 사용자 지정 설정, 컴퓨터 프로그램, 시스템 리소스가 보다 안전하다.
  2.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부팅시 매번 수동으로만 암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3. 암호 힌트를 지정할 수 있지만, 그 힌트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다.
  4. [제어판]에서 [사용자계정]을 선택하여 새로운 암호를 지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53%)
  • 정답: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부팅시 매번 수동으로만 암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유: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설정하면 보안성이 높아지지만, 시스템 부팅시 매번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윈도우의 폴더 옵션에서 설정하는 ‘오프라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시험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바탕화면에 오프라인 파일 폴더에 대한 바로 가기를 만들 수 있다.
  2.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네트워크에 있는 파일 및 프로그램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3. 로그온 방식이 ‘빠른 사용자 전환’인 경우에 오프라인 파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4. 로그오프하기 전에 모든 오프라인 파일을 동기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82%)
  • 3. 로그온 방식이 ‘빠른 사용자 전환’인 경우에 오프라인 파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오답)

    이유: 로그온 방식이 ‘빠른 사용자 전환’인 경우에도 오프라인 파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빠른 사용자 전환 기능이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한 상태에서도 현재 사용자의 작업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현재 사용자의 작업에 필요한 파일이 오프라인 파일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파일에 대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전제품, PDA등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운영체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윈도우CE
  2. Java
  3.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4. MS-DOS
(정답률: 37%)
  • 가전제품이나 PDA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은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된 운영체제가 필요합니다. 윈도우CE는 경량화된 윈도우 운영체제로, 작은 메모리와 처리 능력으로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윈도우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이나 PDA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윈도우CE가 가전제품이나 PDA에 사용되는 임베디드 운영체제로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시스템 구성 편집기(Sysedit)로 편집할 수 없는 파일은 어느 것인가?

  1. win.ini
  2. config.sys
  3. admin.dll
  4. autoexec.bat
(정답률: 49%)
  • 시스템 구성 편집기(Sysedit)는 시스템 구성 파일인 win.ini, config.sys, autoexec.bat 파일을 편집할 수 있지만, admin.dll 파일은 시스템 구성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편집할 수 없습니다. admin.dll 파일은 시스템 파일 중 하나로,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Windows XP의 시작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 메뉴의 단축키는 [Alt]+[Esc]
  2. 시작 메뉴의 프로그램 목록은 고정된 항목 목록과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목록 두 부분으로 나뉜다.
  3. 시작 메뉴의 경계선 위에 있는 영역에 고정된 항목 목록으로 프로그램을 표시되기 위해서는 표시할 프로그램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하고, ‘시작 메뉴에 고정’을 클릭한다.
  4.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목록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기본 개수는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시작 메뉴의 단축키는 [Alt]+[Esc]" 인 이유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Windows XP에서 시작 메뉴의 단축키는 [Ctrl]+[Esc] 또는 Windows 로고 키입니다. [Alt]+[Esc]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순서대로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WorkSheets 개체의 주요 속성과 메서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rotect: 워크시트를 수정하지 못하도록 한다.
  2. Range: 워크시트에서 셀이나 셀 범위를 나타낸다.
  3. Activate: 워크시트의 표시 여부를 나타낸다.
  4. EntireRow: 지정한 범위에 들어 있는 행 전체를 나타낸다.
(정답률: 56%)
  • Activate 속성은 워크시트의 표시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워크시트를 활성화하는 메서드이다. 따라서 "Activate: 워크시트의 표시 여부를 나타낸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1]셀에 =SUMPRODUCT({1,2,3},{5,6,7})을 입력하고 <Enter>키를 눌렀을 때 수식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24
  2. #VALUE!
  3. 32
  4. 38
(정답률: 50%)
  • 정답은 "38"입니다.

    SUMPRODUCT 함수는 두 개 이상의 배열을 곱한 후 그 곱셈 결과를 모두 더하는 함수입니다. 이 때 각 배열의 같은 위치에 있는 값들끼리 곱셈을 합니다.

    따라서, {1,2,3}과 {5,6,7}을 곱한 후 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5) + (2*6) + (3*7) = 5 + 12 + 21 = 38

    따라서, 수식의 결과 값은 "3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부분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분합은 실행하기 전에 계산하고자 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특정한 영역에 대하여만 부분합을 실행할 때는 해당 영역을 셀 범위로 설정하면 된다.
  3. 부분합 작성 후 윤곽 기호를 눌러 특정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차트를 작성하면 모든 데이터가 차트에 표시된다.
  4. 부분합의 그룹은 합계, 평균, 최대값, 최소값 등의 함수 계산을 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부분합 작성 후 윤곽 기호를 눌러 특정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차트를 작성하면 모든 데이터가 차트에 표시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부분합을 작성하면 해당 데이터의 합계, 평균, 최대값, 최소값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차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윤곽 기호를 눌러 특정한 데이터를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를 포함한 부분합이 계산되어 모든 데이터가 차트에 표시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그림에서 상환금액(월)[B5]은 대출금[B2], 연이율[B3], 상환기간(개월)[B4]에 대한 계산 결과이다. 월 상환금액을 80,000원으로 하면, 상환기간(개월)을 얼마나 감소/증가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목표값 찾기 대화상자의 수식 셀, 찾는 값, 값을 바꿀 셀에 들어갈 내용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B$5, 80000, $B$4
  2. B4, 80000, B5
  3. $B$5, 80000, $B$3
  4. B3, 80000, B5
(정답률: 57%)
  • 정답은 "$B$5, 80000, $B$4"이다.

    목표값 찾기 대화상자에서 수식 셀은 상환금액(월)[B5]이므로 "$B$5"이 되고, 찾는 값은 80,000원이므로 "80000"이 되고, 값을 바꿀 셀은 상환기간(개월)[B4]이므로 "$B$4"가 된다.

    따라서, 상환금액(월)을 80,000원으로 유지하면서 상환기간(개월)을 얼마나 감소/증가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의 [B2:F2]셀의 제목을 매 페이지마다 인쇄하고자 한다. 설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파일]-[페이지설정]-‘시트’탭에서 ‘인쇄 영역’에 범위를 지정한다.
  2. [파일]-[페이지설정]-‘머리글/바닥글’탭에서 ‘머리글’에서 범위를 지정한다.
  3. [파일]-[페이지설정]-‘시트’탭에서 인쇄 제목의 ‘반복할 행’에서 범위를 지정한다.
  4. [파일]-[페이지설정]-‘머리글/바닥글’탭에서 ‘인쇄 영역’에 범위를 지정한다.
(정답률: 55%)
  • 인쇄 제목은 페이지 상단에 출력되는 내용으로, 매 페이지마다 반복해서 출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쇄 제목의 ‘반복할 행’에서 범위를 지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파일]-[페이지설정]-‘시트’탭에서 인쇄 제목의 ‘반복할 행’에서 범위를 지정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오류값 ‘#VALUE!'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잘못된 인수나 피연산자를 사용했을 경우
  2. 수식에서 값을 0으로 나누려고 할 경우
  3. 함수나 수식에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했을 경우
  4. 셀 참조가 유효하지 않을 때
(정답률: 47%)
  • '#VALUE!' 오류는 잘못된 인수나 피연산자를 사용했을 경우 발생합니다. 이는 함수나 수식에서 예상하지 못한 데이터 유형이나 형식을 사용하거나, 문자열을 수치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숫자가 아닌 문자열을 수식에서 계산하려고 할 때 '#VALUE!' 오류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매 페이지에 ‘컴퓨터활용’과 오늘 날짜를 삽입하여 머리글을 인쇄하려고 한다. 다음 중 [머리글 편집(C)]의 입력 설정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활용”&[날짜]
  2. 컴퓨터활용&[날짜]
  3. 컴퓨터활용*[DATE]
  4. 컴퓨터활용&[DATE]
(정답률: 29%)
  • 정답은 "컴퓨터활용&[날짜]"입니다.

    "&"는 머리글에서 텍스트와 변수를 구분하는 기호입니다. "[날짜]"는 현재 날짜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컴퓨터활용&[날짜]"는 "컴퓨터활용" 텍스트와 현재 날짜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아래의 워크시트를 이용한 수식에 대해서 그 결과가 옳지 않은 것은?

  1. 수식 : =CONCATENATE(A8,B8) 결과 : 홍길동
  2. 수식 : =DCOUNTA($A$1:$C$6,1,A1:A2) 결과 : 2
  3. 수식 : =INDEX(A2:C6,2,3) 결과 : 40
  4. 수식 : =OFFSET(A2,2,2) 결과 : 20
(정답률: 45%)
  • 수식 : =OFFSET(A2,2,2) 결과 : 20

    이 수식은 A2 셀에서 오른쪽으로 2칸, 아래쪽으로 2칸 이동한 셀의 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결과는 20이 아니라 6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결과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성한 차트를 다음과 같이 단독의 창(윈도우)으로 띄우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제외된 문제, 문제 출제당시 오피스 2003 기준으로 출제되어 현재는 제외된 문제 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1. 차트를 선택한 후 [삽입]-[차트 창]을 선택한다.
  2. 차트를 선택한 후 [보기]-[차트 창]을 선택한다.
  3. 차트를 선택한 후 [삽입]-[윈도우 창]을 선택한다.
  4. 차트를 선택한 후 [보기]-[윈도우 창]을 선택한다.
(정답률: 31%)
  • 차트 창은 차트를 단독으로 보여주는 창으로, 차트를 선택한 후 [보기]-[차트 창]을 선택하면 차트를 단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삽입]-[차트 창]은 차트를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차트 창을 열어주는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삽입]-[윈도우 창]과 [보기]-[윈도우 창]은 차트와는 관련이 없는 윈도우 창을 열어주는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3차원 보기’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동 크기 조정’을 해제하면 항목 축 길이에 대한 비율을 적용한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2. [기본값] 단추를 누르면 ‘상하 회전’과 ‘좌우 회전’값이 각각 0으로 자동 입력된다.
  3. ‘상하 회전’, ‘좌우 회전’란에 값을 입력할 수 없으며, 상하좌우 회전 단추를 통해서만 회전이 가능하다.
  4. 3차원 차트를 선택한 후 단축메뉴의 [차트 옵션]을 클릭하고 [3차원 보기]탭을 선택하면 나타난다.
(정답률: 34%)
  • 3차원 보기에서 ‘자동 크기 조정’을 해제하면 항목 축 길이에 대한 비율을 적용한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항목 축 길이가 길어지면 높이도 자동으로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비율에 따라 높이가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아래의 피벗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필드는 ‘부서명’이다.
  2. 행 필드는 ‘직위’이다.
  3. 김기윤은 ‘사원’이며 기본급이 7000이고 직급수당이 200이다.
  4. 데이터 필드는 ‘성명’이다.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피벗테이블의 값들은 모두 "성명"에 대한 값들이다. 따라서 데이터 필드는 "성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재 작업하고 있는 통합 문서의 ‘Sheet1’시트에서 ‘Sheet3’시트까지 [A1] 셀의 합을 구하고자 할 때 옳은 주소 참조 방법은?

  1. =SUM(Sheet1!A1:Sheet3!A1)
  2. =SUM(Sheet1:Sheet3!A1)
  3. =SUM(Sheet1A1;Sheet2!A1;Sheet3!A1)
  4. =SUM(Sheet1!A1,Sheet3!A1)
(정답률: 42%)
  • 정답은 "=SUM(Sheet1:Sheet3!A1)"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은 범위를 나타내는 연산자입니다.
    - "Sheet1:Sheet3"은 Sheet1부터 Sheet3까지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 "!A1"은 각 시트의 A1셀을 나타냅니다.
    - 따라서 "=SUM(Sheet1:Sheet3!A1)"은 Sheet1부터 Sheet3까지의 A1셀을 모두 더한 값을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For문을 이용하여 1에서 100까지의 합을 구한 후 결과를 메시지 상자에 표시하기 위한 TEST프로시저를 작성한 것으로,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Sub - To - Step - End Sub
  2. Property - Start - Stop - End Property
  3. Property - Start - Step - End Property
  4. Sub - Start - Stop - End Sub
(정답률: 55%)
  • For문에서는 시작값, 종료값, 증가값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ub(시작), To(종료), Step(증가)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Sub - To - Step - End Sub"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입력한 데이터에 지정된 표시형식에 따른 결과가 옳은 것은?

  1. 입력자료 : 24678
    표시형식 : #.##
    결 과 : 24678
  2. 입력자료 : 2005-04-05
    표시형식 : mm-dd
    결 과 : Apr-04
  3. 입력자료 : 14500
    표시형식 : [DBNum2]G/표준
    결 과 : 壹萬四阡伍百
  4. 입력자료 : 0.457
    표시형식 : 0%
    결 과 : 45.7%
(정답률: 46%)
  • 입력자료가 14500이고 표시형식이 [DBNum2]G/표준인 경우, 결과는 "壹萬四阡伍百"가 옳다. [DBNum2]는 중국어 숫자를 한자로 변환하는 서식이며, G는 일반 숫자 서식이다. 따라서 입력한 14500이 중국어 한자로 변환된 "壹萬四阡伍百"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서식 파일(템플릿)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서식 파일의 확장자는 .xlt이다.
  2. 통합문서의 기본 서식 파일을 만들려면 XLStart 폴더에 파일명을 Book으로 저장한다.
  3. 모든 새 시트에 나타낼 서식, 스타일, 텍스트, 기타 정보 등을 서식 파일로 작성하는 파일에 넣는다.
  4. 새 통합 문서에서 보호되거나 숨긴 영역을 서식 파일에 넣을 수 없다.
(정답률: 47%)
  • "새 통합 문서에서 보호되거나 숨긴 영역을 서식 파일에 넣을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서식 파일은 통합 문서의 기본 서식을 제공하는 파일이기 때문에, 보호되거나 숨겨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매크로 프로그램 코드 중 통합문서 'Book1.xls'의 'Sheet1' 워크시트에서 'A1'셀을 지정할 경우 표현이 올바른 것은?

  1. Workbooks("Book1").Worksheets("Sheet1").Range("A1")
  2. Workbooks("Book1").Worksheets("Sheet1").Cells(A,1)
  3. Workbooks("Book1"),Worksheets("Sheet1"),Range("A1")
  4. Workbooks("Book1").Worksheets("Sheet1").columns(1)
(정답률: 44%)
  • 정답: Workbooks("Book1").Worksheets("Sheet1").Range("A1")

    이유:
    - Workbooks("Book1"): "Book1"이라는 이름을 가진 통합문서를 의미합니다.
    - Worksheets("Sheet1"): "Sheet1"이라는 이름을 가진 워크시트를 의미합니다.
    - Range("A1"): "Sheet1" 워크시트에서 "A1"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Workbooks("Book1").Worksheets("Sheet1").Range("A1")은 "Book1" 통합문서의 "Sheet1" 워크시트에서 "A1"셀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과 같은 [매크로] 대화 상자를 불러오는 단축키로 올바른 것은?

  1. <Ctrl> + <F8>
  2. <Ctrl> + <F9>
  3. <Alt> + <F8>
  4. <Alt> + <F9>
(정답률: 41%)
  • 매크로는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매크로 대화 상자는 매크로를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창입니다.

    정답은 "<Alt> + <F8>"입니다. 이는 대화 상자를 불러오는 단축키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Ctrl> + <F8>"과 "<Ctrl> + <F9>"은 다른 기능에 할당되어 있으며, "<Alt> + <F9>"은 매크로를 실행하는 단축키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2:C9]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점별 총불입액을 [G4:G7] 영역에 계산하려고 한다. [G4]셀에 수식을 작성한 뒤 [G5:G7]영역에 복사하고 셀 포인터를 [G4]에 위치시켰을 때 수식입력줄에 나타나는 배열수식으로 옳은 것은?

  1. {=SUM(IF($C$2:$C$9=$F4,$D$2:$D$9,0))}
  2. =SUMIF($C$2:$C$9=$F4,$D$2:$D$9,1))
  3. =SUM(IF($C$2:$C$9=$F4,$D$2:$D$9,0))
  4. {=SUM(IF($C$2:$C$9=$F4,$D$2:$D$9,1))}
(정답률: 44%)
  • 정답은 "{=SUM(IF($C$2:$C$9=$F4,$D$2:$D$9,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SUM 함수를 사용하여 총불입액을 계산하고자 합니다.
    - IF 함수를 사용하여 지점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지점의 불입액을 더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을 더합니다.
    - $ 기호를 사용하여 범위를 고정시켜서 복사해도 지점과 불입액의 범위가 변하지 않도록 합니다.
    - 중괄호 {}를 사용하여 배열 수식으로 입력합니다. 이는 Ctrl + Shift + Enter 키를 눌러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엑셀 2003 기준 문제 입니다. 엑셀 2007에서의 답과는 다릅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조건을 셀 값 또는 수식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수식으로 입력할 경우 수식 앞에는 등호(=)를 입력한다.
  2. 지정한 조건이 어느 것도 참이 아닐 경우 셀은 마지막 참 조건의 서식이 적용된다.
  3. 지정한 여러 조건 중에서 참인 조건이 여러 개이면 첫째 참 조건의 서식만 적용된다.
  4. 다른 조건을 추가하려면 [추가]를 누르고 지정하며, 3개까지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38%)
  • "지정한 여러 조건 중에서 참인 조건이 여러 개이면 첫째 참 조건의 서식만 적용된다."는 조건부 서식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지정한 여러 조건 중에서 참인 조건이 여러 개이면 모든 참 조건의 서식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워크시트에서 지급액[B2:B5]을 현재의 값에 추가지급분 [D2]셀의 값을 더한 값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필요한 기능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편집]-[복사], [편집]-[선택하여 붙여넣기]
  2. [편집]-[복사], [편집]-[붙여넣기]
  3. [편집]-[잘라내기], [편집]-[붙여넣기]
  4. [편집]-[채우기], [편집]-[선택하여 붙여넣기]
(정답률: 57%)
  • 1. [D2]셀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2. [편집]-[복사]를 선택하여 값을 복사한다.
    3. [B2:B5] 범위를 선택한다.
    4. [편집]-[선택하여 붙여넣기]를 선택하여 값을 붙여넣는다.
    5. 붙여넣은 값에 [D2]셀의 값을 더하여 변경한다.

    정답: "[편집]-[복사], [편집]-[선택하여 붙여넣기]"

    이유: [편집]-[복사]를 선택하여 값을 복사한 후, [편집]-[선택하여 붙여넣기]를 선택하여 범위에 값을 붙여넣으면, 복사한 값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추가지급분을 더한 값으로 변경됩니다. [편집]-[붙여넣기]를 선택하면, 복사한 값이 그대로 붙여넣어지기 때문에 추가지급분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편집]-[잘라내기]를 선택하면, 복사한 값이 잘라내어지기 때문에 추가지급분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편집]-[채우기]는 범위에 값을 일정한 규칙으로 채우는 기능이므로, 이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중 하위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폼과 하위 폼을 연결할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같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2. 하위 폼이란 특정한 폼 내에 들어 있는 또 하나의 폼을 말하는 것이다.
  3. 두 개 이상의 연결 필드를 지정할 때는 필드 이름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여야 한다.
  4. 기본 폼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하위 폼의 개수는 최대 7개까지만 포함시킬 수 있다.
(정답률: 53%)
  • "기본 폼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하위 폼의 개수는 최대 7개까지만 포함시킬 수 있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ccess에서는 기본 폼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하위 폼의 개수에 제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하위 폼은 주로 ‘일 대 다’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때 하위 폼은 어느 쪽 테이블을 원본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일’쪽 테이블
  2. ‘다’쪽 테이블
  3. ‘일’쪽 테이블과 ‘다’쪽 테이블을 모두 보여주는 쿼리
  4. ‘일’쪽 테이블로부터 만든 쿼리
(정답률: 56%)
  • 하위 폼은 일 대 다 관계에서 다 쪽 테이블을 원본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다 쪽 테이블이 일 쪽 테이블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하위 폼에서는 일 쪽 테이블의 각 레코드에 대해 다 쪽 테이블의 여러 레코드를 표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 쪽 테이블을 원본으로 하는 하위 폼을 사용하면 일 쪽 테이블의 각 레코드에 대해 해당 레코드와 관련된 모든 다 쪽 레코드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고서에 들어있는 정보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보고서의 구역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 머리글 : 보고서 시작 부분에 제목, 날짜 또는 보고서 소개 등의 정보를 표시
  2. 본문 : 주로 표시할 데이터를 지정하며, 인쇄나 미리보기를 할 때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3. 그룹 바닥글 : 페이지 번호, 날짜 및 합계 등 매 페이지의 아래쪽에 표시할 정보
  4. 페이지 머리글 : 보고서에서 모든 페이지의 위쪽에 제목, 열 머리글, 날짜 또는 페이지 번호를 표시하는데 사용
(정답률: 56%)
  • 그룹 바닥글은 매 페이지의 아래쪽에 표시할 정보가 아니라, 그룹(또는 섹션)의 마지막 페이지에만 표시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그룹 바닥글 : 페이지 번호, 날짜 및 합계 등 매 페이지의 아래쪽에 표시할 정보"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Recordset 개체의 메소드로 가장 옳은 것은?

  1. Find
  2. Trace
  3. Search
  4. Seek
(정답률: 47%)
  • "Seek" 메소드는 Recordset 내에서 특정한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입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Recordset을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메소드"를 나타내는 것은 "Seek" 메소드입니다. "Find" 메소드는 Recordset 내에서 특정한 값을 찾을 때 사용하며, "Trace" 메소드는 Recordset 내에서 이전 레코드나 다음 레코드로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Search" 메소드는 Recordset 내에서 특정한 값을 검색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보기의 매크로 함수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정답률: 43%)
  • 보기에서 "㉰"은 문자열을 비교하는 함수인 strcmp()이고, 나머지 함수들은 문자열을 조작하는 함수들이기 때문에 성격이 다릅니다. strcmp()는 두 문자열을 비교하여 같으면 0을 반환하고, 다르면 0이 아닌 값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다른 함수들과는 목적이 다르며, 사용 방법도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영어반 테이블과 논술반 테이블의 학번, 이름, 전화번호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레코드셋으로 나타나도록 검색하려 한다. 다음 중 알맞은 질의문은?

  1.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영어반, 논술반, Where 영어반.학번=논술반.학번;
  2.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영어반 JOIN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논술반;
  3.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영어반 OR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논술반;
  4.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영어반 UNION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논술반;
(정답률: 54%)
  • 정답은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영어반 UNION Select 학번, 이름, 전화번호 From 논술반;" 입니다.

    이유는 UNION 연산자를 사용하여 영어반과 논술반의 학번, 이름, 전화번호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레코드셋으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UNION 연산자는 중복을 제거하고 두 개의 SELECT 문의 결과를 합칩니다. 따라서 영어반과 논술반의 학생들의 학번, 이름, 전화번호를 중복 없이 하나의 테이블로 합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컨트롤의 주요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oundColumn :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에서 한 번에 여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와 선택 방법을 지정한다.
  2. RowSource :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에서 목록으로 제공할 데이터를 지정한다.
  3. DefaultValue : 새 레코드가 만들어질 때 기본으로 입력될 값을 지정한다.
  4. Caption : 레이블이나 명령 단추 컨트롤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지정한다.
(정답률: 33%)
  • "BoundColumn :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에서 한 번에 여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와 선택 방법을 지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BoundColumn은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에서 선택한 항목의 값을 저장하는 열의 인덱스를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즉, 여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와 선택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액세스에서 작성할 수 있는 보고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컬럼 형식 보고서
  2. 차트
  3. 탭 형식 보고서
  4. 플로우차트
(정답률: 48%)
  • 액세스에서는 플로우차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액세스에서 작성할 수 있는 보고서의 종류는 컬럼 형식 보고서, 차트, 탭 형식 보고서입니다. 플로우차트는 프로세스나 작업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액세스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도구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교과목 테이블에서 다음과 같은 SQL문을 실행했을 때, 결과에 나타나는 레코드는 몇 개인가?

  1. 6개
  2. 3개
  3. 2개
  4. 1개
(정답률: 56%)
  • WHERE 절에서 조건식 "과목명 LIKE '%데이터%'"을 만족하는 레코드만 선택하므로, 과목명에 "데이터"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레코드만 선택된다. 따라서 결과에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마이닝" 두 개의 레코드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액세스에서 테이블을 디자인 할 때 사용되는 조회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조회 속성은 데이터 형식이 텍스트, 숫자, 예/아니오인 경우에만 사용한다.
  2.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 등의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다.
  3. 조회 속성을 이용하면 목록 중에서 선택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4.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의 목록 값을 직접 입력하여 지정하려면 행 원본형식을 필드목록으로 선택해야 한다.
(정답률: 32%)
  • "조회 속성은 데이터 형식이 텍스트, 숫자, 예/아니오인 경우에만 사용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조회 속성은 텍스트, 숫자, 예/아니오 이외에도 다른 데이터 형식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의 목록 값을 직접 입력하여 지정하려면 행 원본형식을 필드목록으로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필드목록 형식을 선택하면 해당 필드의 데이터를 다른 테이블에서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테이블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콤보 상자나 목록 상자의 목록 값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액세스에서 테이블로 가져오거나 연결할 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HTML 문서
  2. Paradox 문서
  3. 텍스트 파일 문서
  4. 파워포인트 문서
(정답률: 57%)
  • 액세스에서 테이블로 가져오거나 연결할 수 있는 파일 형식은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형식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파워포인트 문서"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련이 없는 문서 형식이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테이블의 필드와 레코드 삭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필드를 삭제한 후 즉시 'Ctrl+Z'를 실행하면 되살릴 수 있다.
  2. 데이터시트 보기 상태에서는 필드를 삭제할 수 없다.
  3. 데이터시트 보기 상태에서는 레코드를 삭제할 수 없다.
  4. 필드를 삭제하면 필드에 입력된 모든 데이터도 함께 지워진다.
(정답률: 43%)
  • 필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므로 필드를 삭제하면 해당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도 함께 삭제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두 테이블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을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품> 테이블의 상품번호 필드 값이 바뀔 때마다 <매출내역> 테이블의 <상품번호> 필드 값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2. <매출내역> 테이블의 상품번호 필드에는 <상품>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상품번호를 입력할 수 없다.
  3. <상품> 테이블의 특정 레코드가 삭제되면 <매출내역> 테이블에서 해당 상품번호를 갖고 있는 레코드가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4. <매출내역> 테이블의 상품번호 필드에는 중복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없다.
(정답률: 46%)
  • 정답은 "<매출내역> 테이블의 상품번호 필드에는 <상품>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상품번호를 입력할 수 없다." 이다. 이는 외래키 제약조건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외래키 제약조건은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 값과 일치하는 값만 입력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제약조건이다. 따라서 <매출내역> 테이블의 상품번호 필드에는 <상품> 테이블에 존재하는 상품번호만 입력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는 상품번호는 입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폼은 데이터의 입력, 편집 작업등을 위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로 테이블, 쿼리, SQL문 등을 원본으로 하여 작성한다.
  2. ‘캡션’속성을 이용하여 폼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그림’속성을 이용하여 그림을 폼의 배경으로 넣을 수 있다.
  4. ‘기본보기’속성에는 단일폼, 연속폼, 데이터시트 등이 있다.
(정답률: 39%)
  • 정답은 "‘캡션’속성을 이용하여 폼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가 맞습니다.

    이유는 캡션 속성은 폼의 제목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폼의 이름과는 별개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폼의 이름을 변경하려면 캡션 속성을 이용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총 페이지 수가 5장인 보고서에서 페이지 번호를 표시하는 컨트롤의 ‘컨트롤 원본’항목에 다음과 같은 식이 입력되어 있다. 2번째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번호 출력 결과로 옳은 것은?

  1. 2 / 2 쪽
  2. 5 / 2 쪽
  3. 2 / 5 쪽
  4. 5 / 5 쪽
(정답률: 74%)
  • 식에서 [Page]는 현재 페이지 번호를 나타내고, [TotalPages]는 총 페이지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2 / 5 쪽"이 옳다. 2번째 페이지이므로 [Page]는 2가 되고, 총 페이지 수는 5이므로 [TotalPages]는 5가 된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2 / 5 쪽"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같은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가 어렵다.
  2. 읽기 전용 트랜잭션에 대한 데이터의 가용도가 감소된다.
  3. 갱신 비용이 많이 든다.
  4.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가 어렵다.
(정답률: 46%)
  • 읽기 전용 트랜잭션은 데이터를 읽기만 하고 수정하지 않는 트랜잭션입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되어 있어도 읽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읽기 전용 트랜잭션에 대한 데이터의 가용도가 감소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사원(사번, 성명, 근무점수, 부서명) 테이블에서 부서명이 ‘영업부’인 사원들의 근무점수를 15%씩 올리는 SQL문은?

  1. UPDATE 근무점수 = 근무점수 + 근무점수 * 0.15 FROM 사원 HAVING 부서명 = ‘영업부’;
  2. UPDATE 사원 SET 근무점수 = 근무점수 * 1.15 WHERE 부서명 = ‘영업부’;
  3. UPDATE 근무점수 = 근무점수 + 근무점수 * 0.15 FROM 사원 WHERE 부서명 = ‘영업부’;
  4. UPDATE 사원 SET 근무점수 = 근무점수 * 0.15 HAVING 부서명 = ‘영업부’;
(정답률: 49%)
  • 정답은 "UPDATE 사원 SET 근무점수 = 근무점수 * 1.15 WHERE 부서명 = ‘영업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보기인 "UPDATE 근무점수 = 근무점수 + 근무점수 * 0.15 FROM 사원 HAVING 부서명 = ‘영업부’;"는 HAVING 절을 사용하여 조건을 걸었지만, HAVING 절은 그룹 함수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경우에는 WHERE 절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근무점수를 15%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 두 번째 보기인 "UPDATE 사원 SET 근무점수 = 근무점수 * 1.15 WHERE 부서명 = ‘영업부’;"는 WHERE 절을 사용하여 부서명이 '영업부'인 사원들을 선택하고, 근무점수를 15% 증가시키는 * 연산자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한 SQL문입니다.

    - 세 번째 보기인 "UPDATE 근무점수 = 근무점수 + 근무점수 * 0.15 FROM 사원 WHERE 부서명 = ‘영업부’;"는 UPDATE 문의 구문이 잘못되어 있습니다. UPDATE 테이블명 SET 열1=값1, 열2=값2, ... 형태로 구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근무점수를 15%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 네 번째 보기인 "UPDATE 사원 SET 근무점수 = 근무점수 * 0.15 HAVING 부서명 = ‘영업부’;"는 HAVING 절을 사용하여 조건을 걸었지만, HAVING 절은 그룹 함수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경우에는 WHERE 절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근무점수를 15%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15% 감소시키는 것이므로 * 연산자 대신 /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어진 성적 테이블에 다음과 같은 SQL문을 실행시킨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6%)
  • SELECT COUNT(*) FROM score WHERE score >= 80;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WHERE 절에서 score가 80 이상인 데이터만을 선택하고,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그 개수를 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0점 이상인 학생의 수가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는 데이터베이스내의 하위 단계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제기된 질의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매니저의 작업이 아닌 것은?

  1. 무결성 제약 조건의 지정
  2. 병행 수행(concurrency) 제어
  3. 예비조치(backup) 및 회복(recovery)
  4. 비밀 보호 유지
(정답률: 29%)
  • 무결성 제약 조건의 지정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며, 데이터베이스 매니저의 작업이 아니다. 무결성 제약 조건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가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주문 테이블에서 주문 일자는 현재 날짜보다 이전 날짜일 수 없다는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 매니저는 이를 적용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액세스에서 색인(index)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는 것은?

  1. 인덱스 이름을 공통적으로 부여하면 여러 개의 필드를 하나의 인덱스로 구성할 수 있다.
  2. 메모, 하이퍼링크, OLE개체 데이터 형식 필드는 인덱스를 설정할 수 없다.
  3. 색인을 설정하면 테이블이 변경될 때 인덱스도 함께 변경되므로 자료의 갱신 속도가 빨라진다.
  4. 중복불가능(unique) 색인을 설정하면 중복된 자료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색인을 설정하면 테이블이 변경될 때 인덱스도 함께 변경되므로 자료의 갱신 속도가 빨라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색인을 설정하면 자료의 검색 속도가 빨라지지만, 자료의 갱신 속도는 오히려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는 색인을 변경할 때마다 인덱스를 다시 생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