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2-15)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09-02-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설치를 지원하는 외부 버스이다.
  2. USB를 사용하면 컴퓨터를 종료하거나 다시 시작하지 않아도 장치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3. USB는 범용 병렬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이며 12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 주변 기기를 최대 127개까지 연결할 수 있다.
(정답률: 71%)
  • "USB는 범용 병렬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이며 12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USB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속도도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탐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탐색기] 창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찾을 수 있다.
  2. [Windows 탐색기]의 상태 표시줄에는 폴더 내의 총 개체 수, 디스크 여유 공간, 선택된 파일의 크기, 차지하는 디스크 공간이 표시된다.
  3. 바탕화면에서 [Alt]+[Enter] 키를 누르면 [Windows 탐색기] 창이 표시된다.
  4. [Windows 탐색기] 창에서 [내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공유된 다른 컴퓨터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다.
(정답률: 55%)
  • "[Windows 탐색기] 창에서 [내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공유된 다른 컴퓨터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Windows XP에서는 [내 네트워크 환경]이 아닌 [네트워크 위치]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폴더 옵션] 창에 있는 [일반] 탭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 프로그램의 변경
  2. 한 번 클릭해서 열기
  3. 폴더에 일반 작업 표시
  4.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
(정답률: 60%)
  • 정답: "연결 프로그램의 변경"

    설명: [일반] 탭에서 "한 번 클릭해서 열기"는 파일이나 폴더를 더블 클릭하지 않고 한 번 클릭으로 열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고, "폴더에 일반 작업 표시"는 폴더 내에서 가능한 작업들을 표시하는 것이며,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는 폴더를 열 때 새 창이 아닌 현재 창에서 열리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연결 프로그램의 변경"은 파일의 확장자에 따라 해당 파일을 열 때 사용할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으로, 폴더 옵션의 [파일 형식] 탭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에 관한 설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실제 시험당일 정답이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3,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컴퓨터를 공유하는 각 사용자별로 Windows를 설정하며, 고유한 계정이름, 그림 및 암호를 선택하고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다른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2. 개인 파일, 즐겨 찾는 웹 사이트 목록 및 최근 방문한 웹 페이지 목록을 사용자별로 관리할 수 있다.
  3. 관리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암호를 임의로 변경하면 해당 사용자는 웹 사이트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저장된 암호 및 개인 인증서를 모두 잃게 된다.
  4. 사용자별로 로그온 하여 작성된 문서는 사용자는 다르지만 같은 컴퓨터를 사용하므로 동일한 위치의 [내 문서]폴더에 저장된다.
(정답률: 83%)
  • 3번이 옳지 않은 것이다. 관리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하면 해당 사용자는 저장된 암호와 개인 인증서를 모두 잃게 된다는 것은 옳지 않다. 다른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해도 해당 사용자의 개인 인증서와 저장된 암호는 그대로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등록 정보]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등록 정보]에서 컴퓨터 이름을 변경하려면 컴퓨터 관리자 계정이 필요하다.
  2. [제어판]에 있는 [시스템]을 더블 클릭하면 표시된다.
  3. [시스템 등록 정보] 창에서 시작 메뉴의 등록 정보를 변경할수 있다.
  4. 바탕화면에 있는 [내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속성]을 선택하면 표시된다.
(정답률: 46%)
  • "[시스템 등록 정보] 창에서 시작 메뉴의 등록 정보를 변경할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시작] 메뉴의 항목들은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시스템 등록 정보] 창에서 해당 항목들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하여 텔넷(Telnet)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러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서 메뉴 방식을 이용하여 손쉽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2.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에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3. 원격지에 있는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거나 자신의 컴퓨터로 수신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4. 다양한 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기능으로 연결하여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정답률: 57%)
  •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에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즉,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인터넷의 기본적 통신 프로토콜인 TCP/IP의 응용 서비스 계층에 관련된 프로토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TELNET
  2. FTP
  3. SMTP
  4. ICMP
(정답률: 41%)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오류 메시지와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반면, TELNET은 원격 로그인 서비스, FTP는 파일 전송 서비스, SMTP는 이메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ICMP가 가장 거리가 먼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JAVA 언어가 플랫폼 독립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불리우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객체 지향 언어이기 때문이다.
  2. 멀티 쓰레드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3. 가상 바이트 머신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4. 가비지 콜렉션을 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41%)
  • JAVA 언어는 가상 바이트 머신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플랫폼 독립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불리우게 됩니다. 이는 JAVA 언어로 작성된 코드가 컴파일러에 의해 특정 플랫폼에 맞는 기계어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 바이트 머신 코드로 변환되어 JVM(Java Virtual Machine)에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JAVA 언어로 작성된 코드는 어떤 플랫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과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입니다. 감안하여 푸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조 하세요.)

  1. 프로그램 저작권은 프로그램 저작자가 프로그램을 복제, 개작, 번역, 배포, 발행할 권리를 의미한다.
  2. 지적 재산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를 허가 없이 무단으로 판매하였을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에 저촉되어 처벌을 받을 수 있다.
  3. 프로그램 저작권은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언어, 규약 및 해법에도 적용된다.
  4. 프로그램 저작권은 프로그램이 창작된 시점부터 발생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유지된다.
(정답률: 55%)
  • "프로그램 저작권은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언어, 규약 및 해법에도 적용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프로그램 저작권은 프로그램 자체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된 언어, 규약, 해법 등에도 적용됩니다. 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자원들이 모두 창작물의 일부분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하여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서 재정한 동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 기술이다.
  2. 동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압축할 수 있다.
  3. 프레임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중복 데이터를 제거 하므로써 압축률을 높이는 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한다.
  4. MPEG2는 저장매체에 VHS 테이프 수준의 동영상과 음향을 압축/저장할 수 있는 규격이다.
(정답률: 45%)
  • "MPEG2는 저장매체에 VHS 테이프 수준의 동영상과 음향을 압축/저장할 수 있는 규격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MPEG2는 고화질의 동영상과 음향을 압축/저장할 수 있는 규격입니다. VHS 테이프 수준의 동영상과 음향을 압축/저장할 수 있는 규격은 MPEG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로 올바른 것은?

  1. RAM 디스크
  2. Speed 디스크
  3. RAM 더블러
  4. RAM 덤프
(정답률: 46%)
  • 위 그림은 시스템이 갑자기 다운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때 발생하는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를 RAM 덤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RAM 덤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으로 프로그램 개발 시간이 단축할 수 있다.
  2. 상속성, 은폐성, 다형성, 캡슐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3. 절차적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한 기법이다.
  4. Smalltalk, C++, Java 언어 등에서 객체 지향이 개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정답률: 55%)
  • 절차적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한 기법이 아닌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절차적 프로그래밍과는 다른 개념으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절차적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한 기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특정한 목적을 위한 작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하나로 조합되어 있고 2차 저장장치를 갖지 않는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산처리 시스템
  2. 다중처리 시스템
  3. 일괄처리 시스템
  4. 임베디드 시스템
(정답률: 63%)
  • 정답: 임베디드 시스템

    설명: 임베디드 시스템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작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하나로 조합되어 있으며 2차 저장장치를 갖지 않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임베디드 시스템은 주로 제한된 자원을 가진 환경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분산처리 시스템, 다중처리 시스템, 일괄처리 시스템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Windows XP에서 시스템 도구로 사용되는 [디스크 조각 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크 조각 모음] 작업을 수행하려면 컴퓨터 관리자 계정이 필요하다.
  2. 조각난 파일이나 폴더가 볼륨에서 각각 하나의 인접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컴퓨터 하드 디스크의 조각난 파일과 폴더를 통합한다.
  3. [디스크 조각 모음]의 실행 결과로 시스템은 파일과 폴더에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고 새 파일과 폴더를 더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4. [디스크 조각 모음]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의 조각난 파일이나 폴더를 통합할 때 볼륨의 여유 공간도 통합되기 때문에 새 파일이 조각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답률: 71%)
  • "[디스크 조각 모음]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의 조각난 파일이나 폴더를 통합할 때 볼륨의 여유 공간도 통합되기 때문에 새 파일이 조각날 가능성이 높아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디스크 조각 모음을 통해 조각난 파일이나 폴더를 통합할 때는 볼륨의 여유 공간이 통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새 파일이 조각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컴퓨터 통신 장비와 관련하여 더미 허브(Dummy HUB) 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데이터 전송의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2.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버스(Bus) 구조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3.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으로 나누어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4. 스위칭 허브라고도 한다.
(정답률: 40%)
  • 더미 허브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버스(Bus) 구조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의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스위칭 허브와는 다르게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으로 나누어 제공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전체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인터넷 전자우편과 관련하여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TML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2. 전자우편을 받을 때 사용하는 서버이다.
  3.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서버이다.
  4. 멀티미디어 전자우편을 주고받기 위한 인터넷 메일의 표준이다.
(정답률: 69%)
  • MIME은 멀티미디어 전자우편을 주고받기 위한 인터넷 메일의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컴퓨터 그래픽과 관련하여 벡터(Vector) 이미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도 화질에 손상이 없다.
  2.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구성한다.
  3. 대표적으로 WMF 파일 형식이 있다.
  4. 픽셀로 이미지를 표현하며 레스터(Raster) 이미지라고도 한다.
(정답률: 72%)
  • "픽셀로 이미지를 표현하며 레스터(Raster) 이미지라고도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벡터 이미지는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구성하며,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도 화질에 손상이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AI, EPS, SVG 파일 형식이 있습니다. 반면 레스터 이미지는 픽셀로 이미지를 표현하며, 이미지를 확대하면 픽셀이 커져서 화질이 저하됩니다. 대표적으로 JPEG, PNG, BMP 파일 형식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채널(Chann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변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CPU로 부터 넘겨받아 CPU 대신 입출력을 관리한다.
  2. 입출력 작업이 끝나면 CPU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보낸다.
  3.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채널에는 셀렉터(Selector), 멀티플랙서(Multiplexer), 블록 멀티플랙서(Block Multiplexer) 등이 있다.
(정답률: 52%)
  •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채널은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하드웨어적인 장치입니다.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캐시 메모리입니다. 캐시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속도 차이를 해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 [실행]에서 ‘msconfig' 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에서 볼 수 있는 메뉴가 아닌 것은?

  1. BOOT.INI
  2. 서비스
  3. 시작프로그램
  4. 종료프로그램
(정답률: 40%)
  • 정답은 "종료프로그램"입니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에서는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시작프로그램"과 시스템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그리고 부팅 시 사용되는 부트 설정 파일인 "BOOT.INI"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종료프로그램"은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에서 볼 수 있는 메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펌웨어(Firmwa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도 볼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2. 하드웨어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에 해당한다.
  3.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휘발성이다.
  4. 기계어 처리, 데이터 전송, 부동 소수점 연산, 채널 제어 등의 처리 루틴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70%)
  •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휘발성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펌웨어는 ROM(Read-Only Memory)에 저장되어 있으며, 휘발성이 아닌 비휘발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항목의 구성비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차트인 원형차트 및 도넛형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형 차트의 모든 조각을 차트 중심에서 끌어낼 수 있다.
  2. 도넛형 차트에서는 바깥쪽 고리의 조각만 끌어낼 수 있다.
  3. 원형 차트에서는 첫째 조각의 각을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값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4. 도넛형 차트의 구성 크기 변경 값은 10%에서 90% 사이의 값이다.
(정답률: 43%)
  • "원형 차트에서는 첫째 조각의 각을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값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원형 차트에서는 어떤 조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각도의 범위는 0도에서 360도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정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렬 기준을 여러 개 지정하여 정렬이 가능하다.
  2. 행을 정렬할 때 숨겨진 열에 있는 데이터도 정렬된다.
  3. 정렬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행들을 정렬시킨다.
  4. 사용자 지정에서‘TOP10’을 선택하면 상위 10위까지만 정렬된다.
(정답률: 27%)
  • "사용자 지정에서‘TOP10’을 선택하면 상위 10위까지만 정렬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용자 지정에서 'TOP10'을 선택하면 상위 10위까지만 표시되고, 그것을 기준으로 정렬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렬은 상위 10위까지만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데이터가 정렬되며, 상위 10위까지만 표시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2:C4]까지 범위를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A3:C3]셀이 조건부 서식 조건1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2. [B3]셀이 조건부 서식의 조건1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3. [A3:C3]셀이 조건부 서식의 조건2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4. [B3]셀이 조건부 서식의 조건2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정답률: 30%)
  • 조건부 서식 조건1은 "값이 70보다 큰 경우"이다. 따라서 [A3:C3] 범위 내에서 값이 70보다 큰 셀인 C3만 해당 조건에 부합하므로, C3만 조건부 서식 조건1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시트의 [F2]셀에 총점이 큰 값을 기준으로 순위를 구한 후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F5] 셀까지 드래그하려고 한다. 다음 중 [F2] 셀의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RANK(E2,$E$2:$E$5)
  2. =RANK($E$2,$E$2:$E$5)
  3. =RANK(E2,E2:E5)
  4. =RANK(E2,E2:$E$5)
(정답률: 59%)
  • 정답은 "=RANK(E2,$E$2:$E$5)"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RANK 함수는 첫 번째 인수로 지정한 값이 두 번째 인수로 지정한 범위에서 몇 번째로 큰 값인지를 반환합니다.
    - 따라서 "=RANK(E2,$E$2:$E$5)"는 E2 셀의 값이 $E$2:$E$5 범위에서 몇 번째로 큰 값인지를 반환합니다.
    - 이렇게 반환된 값은 총점이 큰 순서대로 순위를 매기기 위해 사용됩니다.
    - 만약 "=RANK($E$2,$E$2:$E$5)"와 같이 첫 번째 인수를 $E$2로 지정하면 항상 1이 반환되므로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 "=RANK(E2,E2:E5)"와 "=RANK(E2,E2:$E$5)"는 범위를 잘못 지정한 것이므로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이터의 범위가 [A1:K20]이고 한 페이지에 인쇄되는 범위가 [A1:J12]로 설정되어 있을 때 한 페이지에 모두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속성 설정으로 올바른 것은?

  1. [축소 확대/배율]을 100%로 한다.
  2.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1’로하고 [용지 높이]를 공백으로 한다.
  3.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공백으로 하고 [용지 높이]를 ‘1’로 한다.
  4.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1’로하고 [용지 높이]를 ‘1’로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1’로하고 [용지 높이]를 ‘1’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한 페이지에 인쇄되는 범위가 [A1:J1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용지 너비를 1로 설정하면 가로 방향으로 1열만 인쇄되고, 용지 높이를 1로 설정하면 세로 방향으로 1행만 인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페이지에 모두 출력하려면 가로 방향으로 10열, 세로 방향으로 12행이 모두 인쇄되어야 하므로, 용지 너비를 1로, 용지 높이를 1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보조 축을 이용하는 차트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이중 차트는 차트에 또 하나의 값 축을 추가하여 이중으로 값을 표시하는 차트이다.
  2. 이중 차트에서 오른쪽에 나타나는 눈금이 기본 축이고, 왼쪽에 나타나는 눈금이 보조 축이다.
  3. 이중 차트는 특정 데이터 계열 값의 범위가 다른 데이터 계열과 현저하게 차이가 날 때 사용하는 차트이다.
  4. 혼합형 차트는 두 종류 이상의 차트를 사용하여 차트에 다른 정보가 들어 있음을 강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차트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이중 차트에서 오른쪽에 나타나는 눈금이 기본 축이고, 왼쪽에 나타나는 눈금이 보조 축이다." 이다. 이중 차트에서는 보조 축이 오른쪽에 나타나고, 기본 축이 왼쪽에 나타난다. 이는 보조 축이 기본 축보다 범위가 작거나 큰 경우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매크로 이름 정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매크로 이름의 첫 번째 글자는 숫자가 아닌 문자여야만 한다.
  2. 매크로 이름의 두 번째부터는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매크로 이름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4. 매크로 이름에는 밑줄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47%)
  • 매크로 이름에는 밑줄을 사용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매크로 이름에는 밑줄을 포함하여 모든 문자와 숫자, 그리고 일부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매크로 이름의 첫 번째 글자는 숫자가 아닌 문자여야 하며, 공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F(AND(B2>=40, C2>=40, D2>=60),“합격“,”불합격“) [B2] 와 [C2] 셀의 값이 40 초과이고 [D2] 셀의 값이 60 초과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2. =IF(OR(C2>=40, D2>=60),“합격”,“불합격”) [C2]셀의 값이 40이상이거나 [D2] 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3. =IF(AND(B2,C2)>=40,D2>60),“합격”,“불합격”) [B2]와 [C2] 셀의 값이 40 초과이고, [D2] 셀의 값이 60초과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불합격”
  4. =AND(IF(B2>=40, C2>=40, D2>=60),“합격”,“불합격”) [B2] 와 [C2] 셀의 값이 40 이상이거나 [D2] 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정답률: 63%)
  • 정답은 "=IF(OR(C2>=40, D2>=60),“합격”,“불합격”) [C2]셀의 값이 40이상이거나 [D2] 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입니다. 이 수식은 OR 함수를 사용하여 C2의 값이 40 이상이거나 D2의 값이 60 이상이면 "합격"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반환합니다. 즉, C2와 D2 중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하면 "합격"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데이터 통합 작업을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데이터 통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참조 : 통합할 데이터 영역을 지정한다.
  2. 모든 참조 영역 : 지정한 모든 참조 영역이 표시된다.
  3. 함수 : 동일 참조 영역에 대하여 2개 이상의 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4. 왼쪽 열 : 참조된 데이터 범위의 왼쪽 열을 통합된 데이터의 첫 열로 사용한다.
(정답률: 45%)
  • 함수 : 동일 참조 영역에 대하여 2개 이상의 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데이터 통합 작업에서는 여러 개의 참조 영역을 지정하고, 이를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 영역으로 만들어주는 작업을 합니다. 이때, 각 참조 영역에 대해 다양한 함수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합계 함수, 평균 함수, 최대값 함수 등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습니다. 이때, 동일한 참조 영역에 대해서도 여러 개의 함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Visual Basic 편집창에 나타난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글꼴을 굴림으로 지정
  2. 폰트 크기를 11로 지정
  3. 밑줄을 실선으로 지정
  4. 텍스트 맞춤은 세로 아래쪽으로 지정
(정답률: 54%)
  • 밑줄을 실선으로 지정하는 이유는, 해당 텍스트를 강조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실선으로 지정하면 밑줄이 더욱 뚜렷하게 보이며,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페이지 나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상태에서 [기본] 보기로 전환하여도 각 페이지를 구분하는 페이지 나누기 선을 표시해 줄 수 있다.
  2.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상태에서 페이지 나누기 선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셀의 크기가 조절된다.
  3.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상태에서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페이지를 구분할 셀을 선택하고 바로 가기 메뉴의 [페이지 나누기 삽입]을 클릭하면 된다.
  4.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상태에서도 데이터의 입력이나 편집을 할 수 있다.
(정답률: 38%)
  •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상태에서 페이지 나누기 선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셀의 크기가 조절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페이지 나누기 선을 드래그하면 페이지를 나누는 선이 이동하며, 셀의 크기는 조절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엑셀은 종료하지 않고 현재 활성화된 통합 문서 창을 닫는 VBA 구문을 작성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Sub Test1()
    ActiveWorkbook.NewWindow
    End Sub
  2. Sub Test1()
    Application.Quit
    End Sub
  3. Sub Test1()
    Workbooks.Close
    End Sub
  4. Sub Test1()
    ActiveWindows.Close
    End Sub
(정답률: 52%)
  • 정답은 "Sub Test1()
    Workbooks.Close
    End Sub"입니다.

    이유는 Workbooks.Close 구문은 현재 열려있는 모든 통합 문서를 닫지 않고 현재 활성화된 통합 문서 창만 닫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엑셀은 종료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 영역에 그림자가 설정되어 있고 테두리의 모서리가 둥글게 설정되어 있다.
  2. 데이터 테이블과 범례가 표시되어 있다.
  3. 차트의 제목은 ‘도서 구입 내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4. 데이터 레이블로 ‘값’이 표시되어 있다.
(정답률: 56%)
  • 이 차트에서는 막대 그래프의 각 막대에 해당하는 값이 데이터 레이블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레이블로 ‘값’이 표시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의 시트에서 [A8] 셀에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했을 때의 계산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12
  2. 3
  3. 14
  4. 20
(정답률: 47%)
  • 정답은 "12"입니다.

    [A8] 셀에 입력한 수식은 =SUM(A1:A7)입니다. 이는 A1부터 A7까지의 셀 값을 모두 더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A1부터 A7까지의 값인 1, 2, 3, 4, 1, 2, 0을 모두 더한 결과는 13이 됩니다. 따라서 [A8] 셀에는 13이 출력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표시하라고 하였으므로, 13을 반올림하여 12가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나리오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고 자동으로 바꿀 수 있는 값의 집합이다.
  2.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워크시트 모델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3. 여러 시나리오를 비교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한 페이지의 피벗 테이블로 요약할 수 있다.
  4.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만들 때는 결과 셀이 없어도 되지만,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는 결과 셀을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정답률: 37%)
  •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만들 때는 결과 셀이 없어도 되지만,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는 결과 셀을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나리오는 특정 값을 변경하여 워크시트 모델의 결과를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며, 자동으로 바꿀 수 있는 값의 집합을 포함합니다. 또한, 여러 시나리오를 비교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한 페이지의 피벗 테이블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와 요약 보고서를 만들 때는 결과 셀이 없어도 되지만,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는 결과 셀을 지정해야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서도 결과 셀을 지정하여 해당 시나리오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입력 데이터가 ‘3275806’이고 [셀 서식]의 표시형식은 ‘###0,’으로 설정되었을 때 표시되는 값으로 옳은 것은?

  1. 3,275
  2. 3275
  3. 3276
  4. 3,276
(정답률: 47%)
  • [셀 서식]의 표시형식이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입력 데이터에서 첫 번째 자리인 ‘3’은 표시되지 않고, 두 번째 자리인 ‘2’부터 ‘7’까지는 각각 하나의 자릿수로 표시된다. 마지막 자리인 ‘6’은 ‘,’ 앞에 위치하므로 소수점 이하 자리수로 인식되지 않고 버려진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 ‘3275806’에서 표시되는 값은 ‘327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도형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trl]키를 누른 채 수직/수평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마우스를 드래그하면 15° 간격으로 선이 그려진다.
  2. 원을 그릴 때 [Shift]키를 누르고 그리면 반지름이 모두 같은 원이 그려진다.
  3. [Shift]키를 누른 채 도형을 그리면 셀의 크기에 도형이 맞추어져서 그려진다.
  4. [Alt]키를 누른 채 도형을 그리면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그려진다.
(정답률: 41%)
  • [Shift]키를 누른 채 원을 그리면 마우스 클릭 위치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모두 같은 원이 그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쿼리 마법사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본 데이터에서 쿼리에 포함시킬 데이터 열을 선택할 수 있다.
  2. 데이터를 필터할 때 포함할 행의 조건을 지정하여 필터 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정렬 방법도 기준을 정하여 정렬할 수 있다.
  4. 새 쿼리를 만들때 통합문서를 동시에 여러개 선택하여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9%)
  •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쿼리 마법사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새 쿼리를 만들때 통합문서를 동시에 여러개 선택하여 만들 수 있다." 입니다.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쿼리 마법사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가져올 때 필요한 쿼리를 생성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새 쿼리를 만들 때 통합문서를 여러 개 선택하여 만들 수 있는 기능은 쿼리 마법사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시트에서 “판매1부”의 평균수량을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D10] 셀에 표시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IF(AVERAGE(C2:D8="판매1부", D2:D8))}
  2. {=IF(AVERAGE(B2:B8=A10,D2:D8))}
  3. {=AVERAGE(IF(C2:D8="판매1부", D2:D8))}
  4. {=AVERAGE(IF(B2:B8=LEFT(A10,4),D2:D8))}
(정답률: 44%)
  • 정답은 "{=AVERAGE(IF(B2:B8=LEFT(A10,4),D2:D8))}"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A10 셀의 값은 "판매1부"입니다.
    - 평균을 구해야 하는 수량 값은 D2:D8 범위에 있습니다.
    - B2:B8 범위에는 각 품목의 분류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판매1부"에 해당하는 품목들만 선택해야 합니다.
    - 따라서, IF 함수를 사용하여 B2:B8 범위에서 "판매1부"에 해당하는 품목들만 선택하고, 그에 해당하는 수량 값인 D2:D8 범위를 평균내야 합니다.
    - 이를 위해, 배열 수식을 사용하여 평균값을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1]과 [표2]를 이용하여 [표3]의 최대실적품명을 계산하려고 한다. 다음 중 [B15] 셀의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DGET($A$2:$D$7,1,B10:B11)
  2. =LOOKUP($A$2:$D$7,1,B10:B11)
  3. =INDEX($A$2:$D$7,1,B10:B11)
  4. =MATCH($A$2:$D$7,1,B10:B11)
(정답률: 33%)
  • 정답은 "=DGET($A$2:$D$7,1,B10:B11)"이다.

    DGET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함수이다. 첫 번째 인수는 데이터베이스 범위를 지정하고, 두 번째 인수는 검색할 필드를 지정한다. 세 번째 인수는 조건 범위를 지정한다.

    따라서 "=DGET($A$2:$D$7,1,B10:B11)"은 데이터베이스 범위인 $A$2:$D$7에서 첫 번째 필드를 검색하고, 조건 범위인 B10:B11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이다. 이 경우 조건은 "최대실적"이므로 B10:B11에서 "최대실적"을 가진 데이터를 검색한다.

    다른 보기들은 LOOKUP, INDEX, MATCH 함수를 사용하는데, 이들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능이 없다. LOOKUP 함수는 범위에서 값을 검색하는 함수이고, INDEX 함수는 범위에서 특정 셀의 값을 가져오는 함수이며, MATCH 함수는 범위에서 값을 찾아 해당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중 Recordset 개체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Update
  2. Seek
  3. State
  4. Addnew
(정답률: 35%)
  • "State"는 Recordset 개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property)이며, 메서드(method)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Recordset 개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현재 레코드셋이 열려있는지, 레코드셋의 끝에 도달했는지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성적]과 [학생]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디자인이다. 다음의 테이블을 이용한 1학년 1반 학생들의 학번, 과목, 점수를 조회하는 질의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select 학번, 과목, 점수 from 성적 where 학년=1 and 반=1
  2. select 학번, 과목, 점수 from 성적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where 학년=1 and 반=1)
  3. select 학번, 과목, 점수 from 학생 where 학년=1 and 반=1
  4. select 학번, 과목, 점수 from 학생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where 학년=1 and 반=1)
(정답률: 44%)
  • 정답인 "select 학번, 과목, 점수 from 성적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where 학년=1 and 반=1)"은 성적 테이블에서 학번, 과목, 점수를 조회하는 질의이다. 이때, 학생 테이블에서 학년이 1이고 반이 1인 학생들의 학번을 먼저 조회하고, 그 학번들에 해당하는 성적 정보만을 조회하는 방식으로 질의를 수행한다. 따라서, 1학년 1반 학생들의 학번, 과목, 점수를 조회하는데 가장 적합한 질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보기 프로그램이 수행되었을 때 Sum의 값으로 옳은 것은?

  1. 28
  2. 45
  3. 55
  4. 21
(정답률: 42%)
  • 이 프로그램은 1부터 10까지의 수를 반복하면서, i가 3의 배수이거나 5의 배수일 경우 Sum에 i를 더하는 것이다. 따라서 3의 배수인 수는 3, 6, 9이고, 5의 배수인 수는 5, 10이다. 이들을 모두 더하면 3 + 5 + 6 + 9 + 10 = 33이다. 따라서 Sum의 값은 33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3이 없고, 대신 28이 있다. 이는 3과 5의 공배수인 15가 중복으로 더해졌기 때문이다. 15는 3과 5의 배수이므로, 위의 조건에 따라 두 번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15를 빼주면 올바른 Sum의 값인 33 - 15 = 1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테이블 필드의 조회 기능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설정한 경우, 콤보상자는 옆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고, 필드에는 1, 2, 3, 4등이 저장된다.
  2. ‘바운드 열’을 2로 수정하면, 콤보상자는 옆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면 필드에는 ‘비씨’,‘현대’,‘삼성’,‘신한’등이 저장된다.
  3. ‘열 너비’를 0cm;1.503cm 와 같이 수정하면, 콤보상자는 옆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면 필드에는 ‘비씨’,‘현대’,‘삼성’,‘신한’ 등이 저장된다.
  4.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설정한 경우, 목록에 나타나지 않은 값(예를 들어 5)을 직접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41%)
  •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설정한 경우, 콤보상자는 옆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고, 필드에는 1, 2, 3, 4등이 저장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설정에 따라 콤보상자에는 '비씨', '현대', '삼성', '신한'이 표시되고, 필드에는 해당 값들이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본 키(Primary Key)로 사용되는 필드 또는 필드 집합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다음 중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키 필드는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중복된 값이 입력되어서는 안 된다.
  2. 기본 키 필드는 Null 값이 들어 있어서는 안 된다.
  3. 기본 키 필드의 값은 다른 테이블에서 참조될 수 있으므로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4. 데이터 형식이 OLE 개체인 것은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없다.
(정답률: 48%)
  • 데이터 형식이 OLE 개체인 것은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없다. - 이유는 OLE 개체는 크기가 크고 복잡한 데이터 형식이기 때문에 검색 및 정렬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기본 키 필드의 값은 다른 테이블에서 참조될 수 있으므로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 이유는 다른 테이블에서 해당 필드를 참조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값이 변경되면 참조하는 모든 테이블에서 일관성이 없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납품내역관리 폼의 거래처코드(txt거래처코드)에 대한 거래처명(txt거래처명)을 [거래처] 테이블을 이용하여 표시하려고 한다. 다음 중 거래처명(txt거래처명)을 구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DLookUp(“거래처명”, “거래처”, “거래처코드 = ” & [txt거래처코드])
  2. =DLookUp(거래처, 거래처명, 거래처코드 =& [txt거래처코드])
  3. =DLookUp(“거래처명”, “거래처”, “거래처코드 = ”&[txt거래처코드]& “ ”)
  4. =DLookUp(거래처명, 거래처, “거래처코드 = ” & [txt거래처코드])
(정답률: 36%)
  • 정답은 "=DLookUp(“거래처명”, “거래처”, “거래처코드 = ” & [txt거래처코드])" 입니다.

    DLookUp 함수는 Access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 검색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세 개의 인수를 가지며, 첫 번째 인수는 검색하려는 필드명, 두 번째 인수는 검색하려는 테이블명, 세 번째 인수는 검색 조건입니다.

    따라서 "=DLookUp(“거래처명”, “거래처”, “거래처코드 = ” & [txt거래처코드])"는 "거래처" 테이블에서 "거래처코드" 필드가 [txt거래처코드]와 일치하는 레코드의 "거래처명" 필드 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개체관계(EntityRelationship)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체와 이들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모델이다.
  2. 개체 관계도에서 타원은 개체 타입을 나타내며, 사각형은 속성을 의미한다.
  3. E-R 모델에서 정의한 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개체를 테이블로 변환시켜야 한다.
  4. E-R 모델에서 속성은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필드로 변환된다.
(정답률: 53%)
  • 개체 관계도에서 타원은 개체 타입을 나타내며, 사각형은 속성을 의미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회원(회원번호, 이름, 나이, 주소) 테이블에서 회원수가 몇 명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 단, 회원번호는 [회원] 테이블의 기본키이다.

  1. select count(*) as 회원수 from 회원
  2. select sum(회원번호) as 회원수 from 회원
  3. insert count(회원번호) as 회원수 from 회원
  4. insert sum(*) as 회원수 from 회원
(정답률: 52%)
  • 정답은 "select count(*) as 회원수 from 회원"이다.

    이유는 count 함수는 특정 컬럼의 값이 null이 아닌 행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며, count(*)은 모든 행의 개수를 반환한다. 따라서 "select count(*) as 회원수 from 회원"은 회원 테이블의 모든 행의 개수를 반환하며, 이를 "회원수"라는 별칭으로 지정하여 반환한다.

    반면에 sum 함수는 특정 컬럼의 값을 모두 더한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며, sum(회원번호)는 회원번호 컬럼의 값을 모두 더한 값을 반환한다. 따라서 "select sum(회원번호) as 회원수 from 회원"은 회원번호 컬럼의 값의 총합을 반환하며, 이를 "회원수"라는 별칭으로 지정하여 반환한다.

    또한, insert 문은 데이터를 삽입하는 문이므로 회원수를 알아보기 위한 질의문으로 사용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구매(구매일자, 사번, 제품번호, 구매수량) 테이블을 레코드 원본으로 하는 폼의 바닥글에 ‘구매수량’의 평균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텍스트 상자의 컨트롤 원본 속성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단, ‘구매수량’ 필드에는 모두 값이 입력되어 있다.>

  1. =Avg([구매수량])
  2. =Avg([구매수량])/Count([구매수량])
  3. =Sum([구매수량])/Count([구매수량])
  4. =Sum([구매수량])/Count(*)
(정답률: 52%)
  • "=Sum([구매수량])/Count(*)"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Count(*)는 모든 레코드를 세는 것이므로, 구매수량이 0인 레코드도 포함되어 평균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vg([구매수량])/Count([구매수량])"이 옳은 이유는 구매수량 필드에 값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구매수량 필드의 평균값을 구하고, 그 값을 구매수량 필드의 레코드 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 옳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직원(사원번호, 부서명, 이름, 나이, 근무년수, 급여) 테이블에서 ‘근무년수’가 3이상인 직원들을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조회하되,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차순으로 모든 필드을 나타내는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

  1.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3 order by 나이, 급여
  2.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급여 where 근무년수 >=3
  3.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where 근무년수 >=3
  4.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정답률: 54%)
  • 정답인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는 근무년수가 3 이상인 직원들을 조회하고,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한 후,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질의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필드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where와 order by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거나, 조건이 빠져있어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보고서 작성시 텍스트 상자(textbox)의 속성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관련 있는 속성으로 옳은 것은?

  1. 텍스트 맞춤
  2. 형식
  3. 테두리 스타일
  4. 확장 가능
(정답률: 31%)
  • 텍스트 상자는 내용의 길이에 따라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확장 가능한 속성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보고서의 영역(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 머리글은 보고서의 첫 페이지에 한번만 인쇄된다.
  2. 그룹 머리글은 그룹별 요약 정보 등을 표시한다.
  3. 그룹 머리글이나 바닥글은 보고서의 ‘속성’창에서 설정한다.
  4. 페이지 바닥글은 매 페이지의 아랫부분에 표시된다.
(정답률: 45%)
  • "그룹 머리글이나 바닥글은 보고서의 ‘속성’창에서 설정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그룹 머리글이나 바닥글은 그룹 헤더나 푸터 영역에서 설정합니다.

    그룹 머리글은 그룹의 첫 페이지에 한번만 인쇄되며, 그룹별 요약 정보 등을 표시합니다. 페이지 바닥글은 매 페이지의 아랫부분에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보고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보고서는 전체 7페이지이며, 현재 페이지는 4페이지이다.

  1. ‘제품별 납품 현황’을 표시하는 제목은 보고서 머리글에 작성하였다.
  2. ‘제품코드’ 및 ‘납품일자’를 기준으로 정렬하였다.
  3. ‘제품코드’에 대한 그룹 머리글과 그룹 바닥글을 모두 만들었다.
  4. ‘제품코드’와 ‘제품명’을 표시하는 컨트롤의 ‘중복 내용 숨기기’ 속성을 ‘아니오’로 설정하였다.
(정답률: 32%)
  • 보고서는 ‘제품코드’에 대한 그룹 머리글과 그룹 바닥글을 모두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그룹화된 데이터를 보다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탭 순서에서 제외되는 컨트롤은 무엇인가?

  1. 텍스트 상자
  2. 콤보 상자
  3. 레이블
  4. 명령 단추
(정답률: 45%)
  • 레이블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없는 단순한 텍스트로, 탭 순서에서 제외됩니다. 사용자는 레이블을 선택하거나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레이블은 탭 순서에서 제외되어 다른 컨트롤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거래처]와 [매출] 테이블을 조인하여 질의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조회 결과의 필드수는 5개이다.
  2. 조회 결과의 레코드수는 4개이다.
  3. 거래처 번호 3에 대한 매출 정보는 나타나지 않는다.
  4. 매출번호 4에 대한 매출 정보는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34%)
  • 조인 조건으로 거래처 테이블의 거래처번호와 매출 테이블의 거래처번호가 일치하는 레코드만을 조회하였기 때문에, 거래처 번호가 3인 매출 정보는 없으며, 매출번호가 4인 매출 정보도 없다. 따라서 조회 결과의 레코드 수는 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보고서의 ‘페이지 설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마다 인쇄될 용지의 여백을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2. ‘데이터만 인쇄’ 항목을 선택하면 선이나 레이블과 같은 항목들은 인쇄하지 않고 데이터만을 인쇄하므로 미리 만들어진 양식 종이를 이용할 수 있다.
  3. 보고서마다 인쇄될 용지의 방향과 크기를 다르게 지정할수 있다.
  4. 보고서를 파일로 인쇄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32%)
  • "보고서를 파일로 인쇄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보고서를 파일로 저장하는 것과 인쇄하는 것은 서로 다른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파일로 저장하면 인쇄하지 않고도 보고서를 볼 수 있지만, 인쇄하려면 파일을 열고 인쇄 설정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계 편집] 대화상자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과목] 테이블에 존재하는 ‘과목코드’ 값을 갖는 [성적]테이블을 삭제해도 참조무결성을 해치지 않는다.
  2. [과목] 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것은 참조 무결성을 해치지 않는다.
  3. [과목]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 수 있다.
  4.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을 변경하면 이를 참조하는 [성적]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도 모두 변경된다.
(정답률: 35%)
  • "[과목]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 수 있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에 따라 [과목]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 값을 갖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가 존재하면,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목] 테이블에서 해당 '과목코드' 값을 갖는 레코드를 삭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과 같은 이벤트 프로시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추는 텍스트는 ‘cmd정지’로 표시)

  1. 이름이 ‘cmd실행’인 컨트롤을 클릭했을 때 이 프로시저가 수행된다.
  2. ‘cmd실행’ 컨트롤의 캡션에 “동작”이 표시된다.
  3. “회원보고서”라는 보고서가 인쇄된다.
  4. “회원보고서 결과 완료!!”라는 내용이 적힌 메시지 창이 나타난다.
(정답률: 38%)
  • 이벤트 프로시저는 이름이 ‘cmd실행’인 컨트롤을 클릭했을 때 수행되며, ‘cmd정지’라는 텍스트가 적힌 단추를 클릭하면 “회원보고서”라는 보고서가 인쇄되고, “회원보고서 결과 완료!!”라는 내용이 적힌 메시지 창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보기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회원] 테이블에서 ‘등록일자’ 필드에 2009년 1월1일부터 2009년 12월 31까지의 날짜만 입력되도록 하는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

  1. in (#2009/01/01#m #2009/12/31#)
  2. between #2009/01/01# and #2009/12/31#
  3. in (#2009/01/01#-#2009/12/31#)
  4. between #2009/01/01# or #2009/12/31#
(정답률: 64%)
  • 정답은 "between #2009/01/01# and #2009/12/31#"입니다.

    이유는 between 연산자는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되며, 시작일과 종료일을 모두 포함합니다. 따라서 "between #2009/01/01# and #2009/12/31#"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의 모든 날짜를 포함하므로, 이 유효성 검사 규칙이 등록일자 필드에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의 날짜만 입력되도록 제한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폼의 ‘기본 보기’ 속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단, 이 폼에는 하위 폼이 들어 있지 않다.)

  1. 단일 폼
  2. 데이터 시트
  3. 연속 폼
  4. 피벗 테이블
(정답률: 42%)
  • 이 폼은 하나의 레코드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레코드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형태이므로 "연속 폼"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