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4-19)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09-04-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NTF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로피 디스크에 사용할 수 없다.
  2. 2TB보다 큰 볼륨도 가능하다.
  3. 보안과 압축 기능이 추가되어 속도 면에서는 느려진 파일 시스템이다.
  4. 파일 크기는 볼륨 크기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정답률: 57%)
  • "보안과 압축 기능이 추가되어 속도 면에서는 느려진 파일 시스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NTFS는 보안과 압축 기능이 추가되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파일 시스템이며, 속도 면에서는 FAT보다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전자 우편(E-mail)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IMAP(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
  2.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3. PPP(Point-to-Point Protocol)
  4. POP3(Post Office Protocol 3)
(정답률: 79%)
  • PPP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로, 전자 우편의 송/수신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실행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로컬 프린터의 네트워크 프린터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새로운 프린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려면 반드시 스풀링의 설정이 필요하다.
  3. 여러 개의 프린터를 한 대의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고, 한대의 프린터를 네트워크로 공유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4. 기본 프린터는 한대만 지정할 수 있으며,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 프린터도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정답: "새로운 프린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려면 반드시 스풀링의 설정이 필요하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 스풀링은 프린터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중 하나로, 프린터 드라이버가 출력 작업을 처리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풀링 설정은 프린터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기본 프린터 설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려면 스풀링 설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명령 프롬프트]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 프롬프트] 창의 화면에 표시하는 텍스트의 글꼴과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2.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표시된 텍스트를 다른 문서에 복사할 수 있다.
  3. [명령 프롬프트]의 기본 창 화면과 전체 화면 창을 서로 전환하려면 <Ctrl> + <Enter> 키를 사용한다.
  4. [명령 프롬프트] 창을 종료하려면 exit 명령어를 입력한다.
(정답률: 56%)
  • "[명령 프롬프트]의 기본 창 화면과 전체 화면 창을 서로 전환하려면 + 키를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 키를 누르면 현재 [명령 프롬프트] 창의 크기가 전체 화면으로 변경되거나, 전체 화면에서 기본 창 화면으로 변경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AN은 자원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높은 에러 발생율 때문에 저속 전송으로 안전성을 보장하는 통신망이다.
  2. VAN은 기간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기존의 정보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여 다수의 이용자에게 판매하는 통신망이다.
  3. B ISDN은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음성, 고해상도의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를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고속 통신망이다.
  4. WLL은 전화국 가입자 단말 사이의 회선을 유선 대신에 무선으로 구성하는 통신망이다.
(정답률: 57%)
  • LAN은 높은 에러 발생율 때문에 저속 전송으로 안전성을 보장하는 통신망이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LAN은 근거리 통신망으로서 속도와 안정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LAN은 자원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이라는 설명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의 예방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최신 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검사한 후에 사용한다.
  2. 중요한 프로그램이나 자료는 항상 주기적으로 백업을 한다.
  3. 백신 프로그램의 시스템 감시 및 인터넷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사전에 검색한다.
  4.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삭제한다.
(정답률: 73%)
  •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삭제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파일을 삭제하면서 중요한 파일이나 프로그램도 함께 삭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파일은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치료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VI는 동영상 압축 고화질 파일형식으로,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이며 Windows Media Player로만 재생이 가능하다.
  2. MPEG은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서 제정한 동영상 압축 기술에 관한 국제 표준 규격으로 동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압축할 수 있다.
  3. ASF는 MS사에서 개발한 통합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용량이 작고 음질이 뛰어나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방송국에서 사용된다.
  4. Quick Time MOV는 Apple사에서 개발한 JPEG 압축 방식의 동영상 압축 기술로 Windows에서 재생하려면 Quick Time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한다.
(정답률: 60%)
  • "AVI는 동영상 압축 고화질 파일형식으로,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이며 Windows Media Player로만 재생이 가능하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AVI는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이지만, Windows Media Player뿐만 아니라 다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도 재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정보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방식으로 스타(Star)형 구성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로 이웃하는 컴퓨터들끼리 원형을 이루도록 연결하는 방식이다.
  2.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 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이다.
  3.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접속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의 증설이나 삭제가 용이한 통신망 구성 방식이다.
  4.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를 중심으로 주위의 컴퓨터들과 1:1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를 중심으로 주위의 컴퓨터들과 1:1로 접속하는 방식이다."입니다. 스타형 구성 방식은 중앙에 위치한 컴퓨터나 교환기를 중심으로 주변에 있는 컴퓨터들이 1:1로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중앙 컴퓨터나 교환기가 고장나면 해당 네트워크의 전체가 마비될 수 있지만, 각 컴퓨터들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컴퓨터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컴퓨터를 추가하거나 기존 컴퓨터를 제거하기 쉬운 구성 방식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등록 정보]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탭에서 Windows의 버전과 사용자 정보, CPU의 종류, RAM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2. [컴퓨터 이름] 탭에서는 컴퓨터의 이름, 작업 그룹 등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3. [시스템 복원] 탭에서는 시스템 복원의 사용 유무 및 시스템 복원에 사용할 디스크 공간을 확인하거나 설정값을 지정할 수 있다.
  4. [하드웨어] 탭에서는 [장치 관리자] 항목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종류 및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일반] 탭에서 Windows의 버전과 사용자 정보, CPU의 종류, RAM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컴퓨터의 입/출력 방식에서 DMA방식 설명이다. 다음 중 설명이 맞는 것은 무엇인가?

  1. 중앙 처리 장치의 간섭 없이 DMA 장치를 사용하여 주기억 장치와 직접 입/출력한다.
  2.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서 DMA 장치를 사용하여 주기억장치와 직접 입/출력한다.
  3. 중앙 처리 장치의 간섭 없이 입/출력 채널이 주기억 장치와 직접 입/출력한다.
  4.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서 입/출력 채널이 주기억 장치와 직접 입/출력한다.
(정답률: 41%)
  • 정답은 "중앙 처리 장치의 간섭 없이 DMA 장치를 사용하여 주기억 장치와 직접 입/출력한다." 입니다.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은 입/출력 장치가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중앙 처리 장치(CPU)는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DMA 장치에게 입/출력 작업을 위임합니다. DMA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의 간섭 없이 주기억장치와 직접 입/출력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입/출력 작업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컴퓨터의 메인 보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칩셋(Chip Set)은 사우스 브리지와 노스 브리지 칩셋으로 구성되며 메인 보드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와 각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 있다.
  2. 메인 보드의 버스(Bus)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로로,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 버스, 외부 버스, 확장 버스가 있다.
  3. 포트(Port)는 메인 보드와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 직렬 포트, 병렬 포트, PS/2 포트, USB포트 등이 있다.
  4. 바이오스(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놓은 프로그램으로 RAM에 위치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바이오스(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놓은 프로그램으로 RAM에 위치한다."가 아닌 것입니다.

    이유는 BIOS는 ROM(Read-Only Memory)에 위치하며, 컴퓨터가 부팅될 때 메인 보드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BIOS는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 체제를 로드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RAM은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 중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버에서 FTP를 사용하는 기본 포트는 21번을 사용한다.
  2.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3. 그림 파일이나 실행 파일 등은 텍스트 모드로 전송된다.
  4. 계정이 없는 사용자도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버를 Anonymous FTP 서버라 한다.
(정답률: 74%)
  • "그림 파일이나 실행 파일 등은 텍스트 모드로 전송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FTP는 파일을 전송할 때 바이너리 모드와 텍스트 모드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하는데, 그림 파일이나 실행 파일 등과 같은 이진 파일은 바이너리 모드로 전송되어야 합니다. 텍스트 모드로 전송하면 파일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하여 그래픽 파일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1, 3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3번 보기가 본래는 JPEG라고 되어 있어야 하지만 오타로 인하여 JEPG라고 표기되어 실제 시험장에서 1,3번이 정답 처리 된것입니다. 참고하세요.)

  1. BMP 파일 형식은 Windows 표준 비트맵 파일 형식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표현하지만 무손실 압축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작다.
  2. GIF 파일 형식은 인터넷 표준 그래픽 형식으로 8비트컬러를 사용하여 256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3. JEPG 파일 형식은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국제 표준 압축 방식으로 주로 인터넷에서 사용한다.
  4. WMF 파일 형식은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벡터 파일 형식이다.
(정답률: 79%)
  • BMP 파일 형식은 무손실 압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작지 않다. 따라서 "BMP 파일 형식은 Windows 표준 비트맵 파일 형식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표현하지만 무손실 압축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작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정보통신과 관련하여 OSI 7계층 모델에서 Telnet, FTP, e-Mail 등의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계층으로 옳은 것은?

  1. 응용(Application) 계층
  2. 데이터 링크(Data Link) 계층
  3. 물리(Physical) 계층
  4. 트랜스포트(Transport) 계층
(정답률: 43%)
  • Telnet, FTP, e-Mail 등의 프로토콜은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OSI 7계층 모델에서는 "응용(Application) 계층"에 해당합니다. 이 계층은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데이터의 종류와 형식을 정의하고 응용 프로그램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Telnet, FTP, e-Mail 등의 프로토콜은 응용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운영 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에 위치하며 프로세스,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 등의 지원을 관리한다.
  2. 운영 체제의 목적은 처리 능력 향상, 응답 시간의 단축, 사용 가능도의 향상, 신뢰도 향상 등의 있다.
  3. 운영 체제의 구성 요소인 제어 프로그램에는 감시 프로그램, 작업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등이 있다.
  4. 운영 체제의 운영 방식에는 일괄 처리, 실시간 처리, 분산 처리 등이 있다.
(정답률: 44%)
  •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장치에 상주하며 프로세스, 입출력장치, 파일 등의 지원을 관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새로운 하드웨어의 추가/제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는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2.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는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3. 설치된 하드웨어는 [Windows 작업 관리자] 창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장치 관리자] 창에서 설치된 하드웨어를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34%)
  •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는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설치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는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를 이용하여 설치합니다. 이유는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는 자동으로 감지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설치된 하드웨어는 [Windows 작업 관리자] 창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작업 관리자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치 관리자] 창에서 설치된 하드웨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장치 관리자에서는 시스템에 연결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원 프로그램을 개작한 2차적 프로그램은 독자적인 프로그램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2. 이 법은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언어, 규약 및 해법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3. 이 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4. 프로그램 저작권은 그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존속한다.
(정답률: 71%)
  • "원 프로그램을 개작한 2차적 프로그램은 독자적인 프로그램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원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2차적 프로그램은 원 저작자의 허락 없이는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차적 프로그램은 원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으므로 보호받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 모니터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 화면의 크기를 확장하여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2. 최대 10대의 모니터를 연결하여 여러 프로그램과 창을 표시할 수 있어서 대규모 바탕 화면을 연출할 수 있다.
  3. 각 모니터마다 해상도와 색 품질 설정을 다르게 선택할 수 없지만 복수 모니터를 개별 그래픽 어댑터 또는 복수 출력을 지원하는 단일 어댑터에 연결할 수 있다.
  4. 복수 모니터 기능은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창에서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61%)
  • "각 모니터마다 해상도와 색 품질 설정을 다르게 선택할 수 없지만 복수 모니터를 개별 그래픽 어댑터 또는 복수 출력을 지원하는 단일 어댑터에 연결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한글 Windows XP에서는 각 모니터마다 해상도와 색 품질 설정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2. 하나의 파티션에는 한가지의 파일 시스템만을 사용할 수 있다.
  3. 파티션으로 나누더라도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는 하나의 운영체제만 사용할 수 있다.
  4. 하드디스크 한 개의 공간을 여러개로 나눠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파티션에는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이 있다.
(정답률: 50%)
  • "파티션으로 나누더라도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는 하나의 운영체제만 사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파티션으로 나눈 하드디스크는 각각의 파티션에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서 각각에 윈도우와 리눅스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컴퓨터의 구성하는 CPU와 관련하여 RISC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주소 지정 모드와 명령어의 종류가 적다.
  2. CISC 프로세서에 비해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반면 처리 속도가 빠르다.
  3.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생산 가격이 비싸고 소비 전력이 높다.
  4. 고성능의 워크스테이션이나 그래픽용 컴퓨터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49%)
  •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생산 가격이 비싸고 소비 전력이 높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RISC 프로세서는 명령어의 종류가 적고, 각 명령어의 실행 시간이 일정하며, 주소 지정 모드가 간단합니다. 이로 인해 프로그래밍이 상대적으로 쉽고,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RISC 프로세서는 명령어를 단순화하여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낮아지고, 소비 전력도 낮아집니다. 따라서,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생산 가격이 비싸고 소비 전력이 높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아래 표에서 [A1:B5]와 [E1:E5]를 원본으로 하여 차트를 그리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차트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1. 이중 축 혼합형
  2. 블럭 영영형
  3. 혼합형(꺽은선 - 세로 막대)
  4. 혼합형(세로 막대 - 영역)
(정답률: 30%)
  • 이중 축 혼합형 차트는 하나의 그래프에 두 개의 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차트이다. 이 경우 [A1:B5]의 데이터는 꺽은선 그래프로, [E1:E5]의 데이터는 세로 막대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이중 축 혼합형 차트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래 시트의 "판매수량"에서 "판매수량"의 평균값 이상인 데이터만을 찾기 위한 고급필터의 조건으로 올바른 것은?

  1. 평균수량
    =$C$2>=AVERAGE($C$2:$C$6)
  2. 평균판매수량
    =C$2>=AVERAGE($C$2:$C$6)
  3. 평균수량
    =C2>=AVERAGE($C$2:$C$6)
  4. 판매수량
    =C$2>=AVERAGE($C$2:$C$6)
(정답률: 39%)
  • 정답은 "평균수량
    =C2>=AVERAGE($C$2:$C$6)"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수량"은 "판매수량"의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 "$C$2:$C$6"은 "판매수량"이 있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 "C2>=AVERAGE($C$2:$C$6)"은 해당 셀의 값이 "판매수량"의 평균값 이상인지를 검사하는 조건입니다.
    - 따라서 "평균수량
    =C2>=AVERAGE($C$2:$C$6)"은 "판매수량"에서 "판매수량"의 평균값 이상인 데이터만을 찾기 위한 고급필터의 조건으로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엑셀의 [인쇄 미리 보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성한 워크시트를 프린터로 인쇄하기 전에 인쇄했을 때의 모양을 화면으로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2.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인쇄 여백 지정이 가능하다.
  3. [머리글/바닥글]을 입력하기 위한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로 들어갈 수 있다.
  4. 각 셀의 행 높이, 열 너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46%)
  • 각 셀의 행 높이, 열 너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인쇄 미리 보기 기능에서는 워크시트의 전체적인 모양과 인쇄 여백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지만, 각 셀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Excel 데이터를 웹페이지로 저장하거나 게시 될 때 유지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공유 통합 문서 정보
  2. 무늬 채우기
  3. 글자 크기
  4. 셀 메모
(정답률: 33%)
  • 글자 크기는 Excel 데이터를 웹페이지로 저장하거나 게시할 때 유지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웹페이지로 저장하거나 게시할 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매크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기록을 위해서 상대 참조를 선택할 수 있다.
  2. 바로 가기키를 이용하여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다.
  3. 매크로 저장위치를 "공유 매크로 통합 문서"로 지정할 수 있다.
  4. [도구]-[매크로]-[매크로]에서 매크로 이름을 선택한 후 편집을 실행하여 주석을 삽입할 수 있다.
(정답률: 32%)
  • "매크로 저장위치를 '공유 매크로 통합 문서'로 지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유 매크로 통합 문서는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크로를 저장하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공간에 매크로를 저장하면 다른 사용자도 해당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1]셀의 값 "TR-A-80"을 [B1]셀에 "TR-A80"으로 바꾸어 표시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결과가 나오는 식은 어느 것인가?

  1. =REPLACE(A1,5,1,"")
  2. =CONCATENATE(LEFT(A1,4),MID(A1,6,2))
  3. =SUBSTITUTE(A1,"-","",5)
  4. =LEFT(A1,4)&RIGHT(A1,2)
(정답률: 44%)
  • 정답은 "=LEFT(A1,4)&RIGHT(A1,2)"입니다.

    이유는 SUBSTITUTE 함수에서 5번째 인수는 바꿀 횟수를 의미하는데, "TR-A-80"에서 "-"를 5번째로 나오는 것만 바꾸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결과값은 "TR-A80"이 나옵니다.

    하지만 LEFT와 RIGHT 함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TR-A-80"에서 앞에서 4글자와 뒤에서 2글자를 가져와서 합치는 것이기 때문에 "-"가 사라지지 않고 "TR-A-8"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화면은 쿼리마법사를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마지막 단계이다. 각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1. Microsoft Excel로 데이터 되돌리기 :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엑셀 데이터로 변환시켜 준다.
  2. Microsoft Query에서 데이터 보기 또는 쿼리 편집 : 외부 데이터를 쿼리로 저장하면서 보기 및 편집 상태로 표시된다.
  3. 쿼리로부터 OLAP 큐브 만들기 : OLAP 큐브 마법사가 실행되며, 작성한 쿼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OLAP 큐브파일을 만든다.
  4. 쿼리 저장 :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쿼리 형식으로 바로 저장한다.
(정답률: 37%)
  • 정답은 "Microsoft Excel로 데이터 되돌리기 :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엑셀 데이터로 변환시켜 준다." 이다. 쿼리마법사에서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쿼리로 저장하면서 보기 및 편집 상태로 표시되는 것은 맞지만, 이를 Microsoft Excel로 되돌리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열려 있는 통합 문서의 모든 워크시트를 재계산하기 위한 기능 키로 옳은 것은?

  1. F1
  2. F2
  3. F4
  4. F9
(정답률: 51%)
  • 정답은 "F9"입니다. F9는 모든 워크시트를 재계산하는 기능 키입니다. 이는 열려 있는 통합 문서의 모든 수식을 다시 계산하여 최신 결과를 표시합니다. 다른 기능 키들은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F1은 도움말, F2는 셀 편집, F4는 셀 참조 복사/붙여넣기, F9는 재계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스타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에 적용할 서식의 종류를 미리 정의하여 놓은 것이다.
  2. 도형 개체의 스타일을 변경한 후 기본 도형으로 저장할 수 있다.
  3. 다른 통합 문서에 정의된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
  4. 스타일을 수정해도 이미 스타일이 적용된 셀들의 서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62%)
  • "스타일을 수정해도 이미 스타일이 적용된 셀들의 서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스타일은 셀에 적용될 서식의 종류를 미리 정의하여 놓은 것으로, 이미 셀에 적용된 서식은 스타일이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스타일이 적용된 셀들은 스타일이 아닌 직접적인 서식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의 시트에서 [A2:A4] 영역의 값에 대하여 [B2:B4] 영역과 같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지정 서식으로 옳은 것은?

  1. [DBNum1]#,###
  2. [DBNum1]G/표준
  3. [DBNum2]G/표준
  4. [DBNum2]#,###
(정답률: 49%)
  • 정답은 "[DBNum2]G/표준"입니다.

    이유는 [DBNum2]는 일본어 숫자를 표시하는 서식 코드이며, G/표준은 일본어 숫자를 일반적인 숫자로 표시하는 서식 코드입니다. 따라서 이 서식을 사용하면 일본어 숫자가 일반적인 숫자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一千 이라는 일본어 숫자를 [DBNum2]G/표준 서식으로 표시하면 1000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 그림과 같이 사용자 정의 폼에서 3개의 텍스트 상자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워크시트에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작성하였다. 다음 중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ntRow = Range("B1").CurrentRegion.Rows.Count는 [B1]셀을 기준으로 처음 Count의 값은 2 이다.
  2. .Offset(intRow,0) = txtDis 는 [B2] 셀에 txtDis 의 값을 입력한다.
  3. .Offset(intRow, 2) = Val(txtPri)는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0 값이 입력된다.
  4. txtDis = "" : txtBook="" : txtPri=""은 초기화 시키는 작업으로 폼 화면에서 txtDis와 txtBook, txtPri는 빈칸으로 표시된다.
(정답률: 26%)
  • ".Offset(intRow, 2) = Val(txtPri)는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0 값이 입력된다." 이 부분이 옳지 않다. Val 함수는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이므로, 만약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부분은 예외 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선택된 차트의 페이지 설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페이지 설정을 선택하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시트 맵 대신 차트 맵이 나타난다.
  2. 차트의 일부분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차트 탭에서 인쇄영역을 지정하여 준다.
  3. 머리글/바닥글을 이용하여 일반 시트 인쇄 방법과 동일하게 머리글 및 바닥글을 인쇄할 수 있다.
  4. 인쇄 품질을 '간단하게 인쇄' 또는 '흑백으로 인쇄'를 선택하여 출력을 할 수 있다.
(정답률: 29%)
  • "차트의 일부분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차트 탭에서 인쇄영역을 지정하여 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선택된 차트의 페이지 설정에서는 차트의 인쇄 방법, 방향,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의 일부분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인쇄영역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트를 선택한 후에 인쇄 미리보기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선택한 부분만 인쇄되며, 인쇄영역을 지정하는 것과는 다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피벗테이블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벗 차트 작성시 피벗 테이블도 함께 작성된다.
  2. 작성되어 있는 피벗 테이블의 레이아웃은 마우스로 드래그 하여 다시 수정할 수 있다.
  3. 작성된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도 삭제된다.
  4. 피벗 테이블을 작성할 때 데이터로 외부 데이터나 다중 통합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작성된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도 삭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피벗 차트와 피벗 테이블이 서로 독립적인 객체가 아니라, 피벗 차트가 피벗 테이블을 기반으로 작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해당 피벗 차트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지므로, 삭제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대출원금 3천만원을 연 이자율 6.5%로 3년 동안 매월 말 상환하려고 한다. 매월 불입 금액을 계산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단, 계산결과는 양수가 나오도록 함수식의 인수를 조정한다.

  1. =PMT(6.5%/12,3*12,-30000000)
  2. =PMT(6.5%,3*12,-30000000)
  3. =IPMT(6.5%/12,3*12,30000000)
  4. =IPMT(6.5%,3*12,30000000)
(정답률: 53%)
  • 정답은 "=PMT(6.5%/12,3*12,-3000000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MT 함수는 대출 상환금 계산에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 PMT 함수의 첫 번째 인수는 이자율을 월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연 이자율인 6.5%를 월 이자율로 변환하기 위해 12로 나누어 주었습니다.
    - PMT 함수의 두 번째 인수는 대출 기간을 월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3년을 월 단위로 변환하기 위해 3에 12를 곱해주었습니다.
    - PMT 함수의 세 번째 인수는 대출원금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음수로 입력해야 합니다. 따라서 -30000000으로 입력해주었습니다.
    - 따라서 "=PMT(6.5%/12,3*12,-30000000)"은 매월 3천만원을 연 이자율 6.5%로 3년 동안 상환할 때 매월 상환해야 할 금액을 계산하는 함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학식
을 엑셀수식으로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POWER(16)*(ABS(-2)+SQRT(2,3))
  2. =SQRT(16)*(ABS(-2)+POWER(3,2))
  3. =SQRT(16)*(ABS(-2)+POWER(2,3))
  4. =POWER(16)*(ABS(-2)+SQRT(3,2))
(정답률: 68%)
  • 정답은 "=SQRT(16)*(ABS(-2)+POWER(2,3))"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수식에서 제곱근 기호 √는 SQRT 함수로 대체됩니다.

    2. 그 다음, 절댓값 기호 | |는 ABS 함수로 대체됩니다.

    3. 그리고, 제곱 기호 ^는 POWER 함수로 대체됩니다.

    4. 따라서, 수식을 엑셀 수식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SQRT(16)*(ABS(-2)+POWER(2,3))

    5.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4*(2+8)

    =4*10

    =40

    따라서, 정답은 "=SQRT(16)*(ABS(-2)+POWER(2,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매크로 작업시마다 지정된 영역의 셀에 입력된 문자열 사이에 있는 공백을 제거하는 공백제거 매크로를 작성하고 실행하려고 한다. 다음 중 공백제거 매크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작업과정으로 옳은 것은?

  1. 매크로 작성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새 매크로 기록(매크로 이름 : 공백제거) → 바꾸기 대화상자에서 찾을 내용과 바꿀 내용 입력하고 '모두 바꾸기'를 선택하여 대상 셀의 공백제거 → 매크로 종료매크로 실행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공백제거 매크로 실행
  2. 매크로 작성 : 새 매크로 기록(매크로 이름 : 공백제거) → 공백이 있는 1개의 셀을 선정하여 공백제거 → 매크로 종료매크로 실행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공백제거 매크로 실행
  3. 매크로 작성 : 공백이 있는 첫 번째 셀 선택 → 새 매크로 기록(매크로 이름 : 공백제거) → 바꾸기 대화상자에서찾을 내용과 바꿀 내용 입력하고 '모두 바꾸기'를 선택하여 대상 셀의 공백제거 → 매크로 종료매크로 실행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공백제거 매크로 실행
  4. 매크로 작성 : 새 매크로 기록(매크로 이름 : 공백제거)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바꾸기 대화상자에서 찾을 내용과 바꿀 내용 입력하고 '모두 바꾸기'를 선택하여 대상 셀의 공백제거 → 매크로 종료매크로 실행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공백제거 매크로 실행
(정답률: 31%)
  • 정답은 "매크로 작성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새 매크로 기록(매크로 이름 : 공백제거) → 바꾸기 대화상자에서 찾을 내용과 바꿀 내용 입력하고 '모두 바꾸기'를 선택하여 대상 셀의 공백제거 → 매크로 종료매크로 실행 : 대상 셀의 영역지정 → 공백제거 매크로 실행"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매크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대상 셀의 영역을 지정해야 합니다.
    2. 그리고 새 매크로를 기록하고 매크로 이름을 "공백제거"로 지정합니다.
    3. 바꾸기 대화상자에서 찾을 내용과 바꿀 내용을 입력하고 "모두 바꾸기"를 선택하여 대상 셀의 공백을 제거합니다.
    4. 매크로를 종료합니다.
    5. 대상 셀의 영역을 지정하고 공백제거 매크로를 실행합니다.

    따라서, 이 과정을 따라가면 공백제거 매크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점수가 90이상이면 "우수", 그렇지 않으면 "양호"의 문자열을 반환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 "FUNC판정"을 작성하려고 한다. 다음의 구문에서 문법과 의미로 보았을 때 옳은 부분은?

(정답률: 29%)
  • 정답은 "가"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함수 이름은 "FUNC판정"으로 올바르게 작성되었습니다.
    2. 매개변수로 "score"가 선언되어 있으며, 이는 함수 내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조건문에서 "score >= 90"으로 90 이상인 경우 "우수"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양호"를 반환하도록 작성되었습니다.
    4. 반환값이 문자열로 작성되어 있으며, "우수"와 "양호"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부분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분합에서 그룹으로 사용할 데이터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2. 부분합에서는 합계, 평균, 개수 등의 함수 이외에도 다양한 함수를 선택할 수 있다.
  3. 부분합에서 데이터 아래에 요약을 표시할 수 있다.
  4. 부분합에서 그룹 사이에 페이지를 나눌 수 있다.
(정답률: 65%)
  • "부분합에서 그룹으로 사용할 데이터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부분합에서 그룹으로 사용할 데이터는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부분합은 그룹화된 데이터를 합계, 평균, 개수 등의 함수를 사용하여 요약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그룹화된 데이터가 어떤 순서로 정렬되어 있더라도 부분합을 계산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목표값 찾기 기능을 이용하려고 한다. 다음 중 "평균이 90점이 되기 위해서 생물 성적이 몇 점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목표값 찾기 대화 상자로 옳은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생물 성적이 평균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목표값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평균이 90점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과목의 평균이 90점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생물 성적이 몇 점이 되어야 하는지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국어성적 + 영어성적 + 수학성적 + 생물성적) / 4 = 90

    이를 정리하면,

    국어성적 + 영어성적 + 수학성적 + 생물성적 = 360

    따라서, 생물 성적이 몇 점이 되어야 하는지 계산하기 위해서는 360에서 국어성적, 영어성적, 수학성적의 합을 뺀 후 4로 나누면 됩니다.

    즉, 목표값은 (360 - (85 + 95 + 100)) / 4 =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에 공백이 있도록 하기위하여 [간격 너비]에 0보다 큰 값을 입력하였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치도록 하기위하여 [겹치기]에 항목에 음수를 입력하였다.
  3. Y(값) 축의 [주 눈금선]이 선택되지 않았다.
  4. 데이터 레이블로 '값'이 선택되었다.
(정답률: 53%)
  •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치도록 하기위하여 [겹치기]에 항목에 음수를 입력하였다."입니다. 겹치기에 음수를 입력하면 표식이 겹치지 않도록 간격을 벌리는 것이 아니라, 겹치는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음수를 입력하면 표식이 더욱 겹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보고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이 보고서는 전체 4페이지이며, 현재 페이지는 2페이지이다.

  1. '거래처명'을 표시하는 컨트롤은 '중복내용 숨기기' 속성이 예로 설정되어 있다.
  2. '거래처명'에 대한 그룹 머리글 영역이 만들어져 있고, 반복실행구역 속성이 '예'로 설정되어 있다.
  3. '거래처명'에 대한 그룹 바닥글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요약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4. '거래처별 제품목록'이라는 제목은 '거래처명'에 대한 그룹 머리글 영역에 만들어져 있다.
(정답률: 42%)
  • "'거래처별 제품목록'이라는 제목은 '거래처명'에 대한 그룹 머리글 영역에 만들어져 있다."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탭 순서(Tab Ord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탭]키나 [엔터] 키 등을 누를 때 컨트롤에 포커스가 옮겨가는 순서를 지정하는 것이다.
  2. 탭 이동시에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한 컨트롤에만 포커스가 옮겨간다.
  3. 선이나 레이블, 명령 단추와 같은 컨트롤에는 탭 순서를 지정할 수 없다.
  4. 개별 컨트롤의 '탭 인덱스' 속성 값을 변경하여 탭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42%)
  • 선이나 레이블, 명령 단추와 같은 컨트롤에는 탭 순서를 지정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모든 컨트롤에는 탭 순서를 지정할 수 있으며, 개별 컨트롤의 '탭 인덱스' 속성 값을 변경하여 탭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디자인 보기에서 보고서를 보면 구역(section)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중 각 구역의 유형 및 용도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보고서 머리글에는 로고, 보고서 제목과 같이 매 페이지마다 표시될 항목을 설정한다.
  2. 보고서 바닥글에는 합계나 개수와 같은 보고서의 요약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3. 페이지 바닥글은 페이지 번호와 출력 날짜와 같은 항목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4. 그룹화된 보고서의 경우 레코드 그룹의 앞에 그룹 이름이나 그룹 합계 같은 정보를 삽입할 때 그룹 머리글에 설정한다.
(정답률: 55%)
  • "보고서 머리글에는 로고, 보고서 제목과 같이 매 페이지마다 표시될 항목을 설정한다."는 각 구역의 유형 및 용도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보고서 머리글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이다.

    이유: 보고서 머리글은 보고서의 맨 위쪽에 위치하며, 로고, 보고서 제목, 작성자, 작성일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매 페이지마다 반복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보고서 머리글에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외래 키(FK)에 대한 다음 중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외래 키 필드의 값은 유일해야 하므로 중복된 값이 입력될 수 없다.
  2. 외래 키 필드의 값은 널 값일 수 없으므로, 값이 반드시 입력되어야 한다.
  3. 한 테이블에서 특정 레코드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이다.
  4. 하나의 테이블에는 여러 개의 외래키가 존재할 수 있다.
(정답률: 57%)
  • 하나의 테이블에는 여러 개의 외래키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가 여러 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문 테이블에서는 고객 테이블과 상품 테이블과의 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각각의 테이블에 대한 외래 키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매크로를 이용하여 외부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매크로 함수는 무엇인가?

  1. Runcommand
  2. RunMacro
  3. RunSQL
  4. RunApp
(정답률: 47%)
  • 정답은 "RunApp"입니다. "RunApp" 함수는 매크로에서 외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함수들은 각각 명령어, 매크로, SQL 쿼리를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조회 속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테이블에 있는 내용을 목록으로 표시하려면 '행 원본 유형'을 '테이블/쿼리'로 설정한다.
  2. '서울', '부산', '대전', '광주'와 같은 목록을 직접 지정하려면 '행 원본 유형'을 '값 목록'으로 설정한다.
  3. 열의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에 두 번째 열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바운드 열'을 2로 지정한다.
  4. '목록값만 허용' 속성을 '예'로 지정하면, 목록 이외의 값은 입력할 수 없다.
(정답률: 37%)
  • 조회 속성에서 열의 개수가 여러 개인 경우에 두 번째 열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바운드 열'을 2로 지정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하위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폼과 하위 폼을 연결할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같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2. 하위 폼이란 특정한 폼 내에 들어 있는 또 하나의 폼을 말한다.
  3. 두 개 이상의 연결 필드를 지정할 때는 필드 이름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여야 한다.
  4. 기본 폼과 하위 폼에는 사용하는 테이블 간에는 관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30%)
  • "두 개 이상의 연결 필드를 지정할 때는 필드 이름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기본 폼과 하위 폼은 서로 다른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관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본 폼과 하위 폼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비디오 대여점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고객'별로 '대여일'과 '반납일'을 관리하려고 한다. 고객들은 여러 비디오를 대여하며, 한 비디오는 여러 고객들에게 대여된다. 다음의 테이블 설계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단, 밑줄은 기본키를 의미함)(문제 오류로 여기서는 1번을 정답처리 합니다.)

  1. 고객(고객번호, 이름, 연락처)
    비디오(비디오코드, 영화제목, 출시일)
    대여(고객번호, 비디오코드, 대여일, 반납일, 대여금액)
  2. 대여(고객번호, 이름, 연락처, 대여비디오코드, 대여일, 반납일, 대여금액)
    비디오(비디오코드, 영화제목, 출시일)
  3. 고객(고객번호, 이름, 연락처, 대여비디오코드)
    비디오(비디오코드, 영화제목, 출시일)
    대여(고객번호, 비디오코드, 대여일, 반납일, 대여금액)
  4. 대여(고객번호, 이름, 연락처, 대여일, 반납일, 대여금액)
    비디오(비디오코드, 고객번호, 영화제목, 출시일)
(정답률: 66%)
  • 가장 옳은 것은 "고객(고객번호, 이름, 연락처)
    비디오(비디오코드, 영화제목, 출시일)
    대여(고객번호, 비디오코드, 대여일, 반납일, 대여금액)"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고객과 비디오는 각각의 테이블로 분리하여 관리한다.
    - 고객과 비디오는 각각의 엔티티로 볼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를 따로 관리하는 것이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2. 대여 테이블은 고객과 비디오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테이블이다.
    - 대여 테이블은 고객과 비디오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간 역할을 하며, 각각의 엔티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외래키를 가지고 있다.

    3. 대여일과 반납일은 각각의 컬럼으로 따로 관리한다.
    - 대여일과 반납일은 각각의 정보를 따로 관리하는 것이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4. 대여금액은 대여 테이블에 포함된 컬럼으로 따로 관리한다.
    - 대여금액은 대여와 관련된 정보이므로 대여 테이블에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학생] 테이블에서 '점수'가 60 이상인 학생의 인원수를 구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단, '학번'필드는 [학생]테이블의 기본 키이다.)

  1. =Dcount("[학생]","[학번]","[점수]>=60")
  2. =Dcount("[학번]","[학생]","[점수]>=60")
  3. =Dlookup("[학생]","[학번]","[점수]>=60")
  4. =Dlookup("*","[학생]","[점수]>=60")
(정답률: 50%)
  • 정답은 "=Dcount("[학번]","[학생]","[점수]>=60")"입니다.

    이유는 Dcount 함수는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학생]" 테이블에서 "[점수]>=60"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학번]" 필드의 개수를 반환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텍스트 상자(text box)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값을 입력받거나 표시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컨트롤이다.
  2. 컨트롤 원본에 '='로 시작하는 수식을 지정하여 계산 컨트롤을 만들 수 있다
  3.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면 관련 필드의 값이 변경된다.
  4. 테이블의 필드에 바운드된 경우, 컨트롤의 값을 수정하면 필드의 값도 수정될 수 있다.
(정답률: 30%)
  •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면 관련 필드의 값이 변경된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계산 컨트롤은 입력된 값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 값이 필드의 값과 동기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더라도 관련 필드의 값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컨트롤 원본에 '='로 시작하는 수식을 지정하여 계산 컨트롤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맞습니다. 이를 통해 입력된 값에 대한 계산 결과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상자 컨트롤은 어떤 값을 입력받거나 표시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테이블의 필드에 바운드된 경우 컨트롤의 값을 수정하면 필드의 값도 수정될 수 있다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고서에서 '납품수량'이 100보다 크거나 같으면 나머지 필드에 대해서도 음영이 표시되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조건부 서식이 옳게 설정된 것은?

(정답률: 40%)
  • 조건식이 "납품수량>=100"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조건이 참일 경우에만 모든 필드에 대해 음영이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특정 필드에 입력할 데이터의 종류나 범위를 지정하여 입력 데이터를 제한할 때 사용하는 속성으로 옳은 것은?

  1. 유효성 검사 규칙
  2. 입력마스크
  3. 인덱스
  4. 유효성 검사 메시지
(정답률: 53%)
  • 특정 필드에 입력할 데이터의 종류나 범위를 지정하여 입력 데이터를 제한할 때 사용하는 속성은 "유효성 검사 규칙"입니다. 이는 입력된 데이터가 지정된 규칙에 부합하는지 검사하여 부적합한 데이터를 걸러내고, 올바른 데이터만을 입력받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를 입력받는 필드에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하면, 입력된 데이터가 이메일 주소의 형식에 맞지 않으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필드나 식을 이용하여 필드가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2. 숫자 데이터는 일정한 간격별로 그룹화 할 수 있다.
  3. 날짜 데이터는 년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일별 등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4. 문자열 데이터는 접두 문자(예, 처음 2글자)를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정답률: 24%)
  • "필드나 식을 이용하여 필드가 표시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는 보고서의 그룹화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값'테이블의 필드 A가 1, 2, 3, 4, 5의 값을 가지고 있고, '을' 테이블의 필드 A가 0, 2, 3, 4, 6의 값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때 다음 SQL 구문의 실행 결과는?

  1. 2,3,4
  2. 0,1,2,3,4,5,6
  3. 1, 5, 6
  4. 0, 1, 5, 6
(정답률: 60%)
  • 이 SQL 구문은 '값' 테이블과 '을' 테이블의 필드 A를 조인하여 A 값이 같은 레코드를 선택하고, 그 결과를 A 값으로 오름차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값' 테이블의 A 필드 값인 1, 2, 3, 4, 5와 '을' 테이블의 A 필드 값인 0, 2, 3, 4, 6이 조인되어 결과는 0, 1, 2, 3, 4, 5, 6이 됩니다.

    즉, '값' 테이블과 '을' 테이블의 A 필드 값 중에서 공통된 값들만 선택되어 출력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문자열 함수의 결과 값으로 적절한 것은?

  1. 0
  2. 1
  3. 4
  4. 8
(정답률: 57%)
  • 문자열 함수인 split() 함수는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배열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위의 문자열에서는 "-"를 기준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split("-") 함수를 사용하면 ["010", "1234", "5678"] 이라는 배열이 반환됩니다. 이 배열에서 인덱스 1의 값인 "1234"에서 4번째 문자인 "4"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테이블에는 동일한 필드명이 두 개 이상 존재할 수 없다.
  2. 속성들 간의 순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도메인을 벗어나는 값을 가진 튜플(레코드)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
  4. 레코드들 간의 순서는 의미가 없다.
(정답률: 43%)
  • "속성들 간의 순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속성들 간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즉, 테이블의 구조는 속성들의 이름과 데이터 타입에 의해 결정되며, 속성들의 순서는 테이블의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속성들의 순서를 바꿔도 테이블의 구조나 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성적] 테이블에서 국어, 영어, 수학 필드의 평균값이 95이상인 학생수를 반별로 검색하려고 한다. 다음 중 적당한 질의문은?

  1. Select 반, count(학번) From 성적 Where (국어+영어+수학)/3>=95;
  2. Select 반, count(학번) From 성적 Where (국어+영어+수학)/3>=95 group by 반;
  3. Select 반, count(학번) From 성적 group by 반 having (국어+영어+수학)/3>=95;
  4. Select 반, count(학번) From 성적 Where (국어+영어+수학)/3>=95 having 반;
(정답률: 39%)
  • 정답: "Select 반, count(학번) From 성적 Where (국어+영어+수학)/3>=95 group by 반;"

    이유:
    - "Select 반, count(학번)" : 반별로 학생 수를 구하기 위해 반 필드와 학번 필드를 선택한다.
    - "From 성적" : 성적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 "Where (국어+영어+수학)/3>=95" : 국어, 영어, 수학 필드의 평균값이 95 이상인 데이터만 선택한다.
    - "group by 반" : 반별로 그룹화하여 학생 수를 구한다. 이때, group by 절을 사용해야 한다.
    - 따라서, "Select 반, count(학번) From 성적 Where (국어+영어+수학)/3>=95 group by 반;"이 적당한 질의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having 절을 사용하지 않거나, having 절에서 반 필드를 사용하거나, group by 절을 사용하지 않는 등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Visual Basic에서 Microsoft Access 매크로 함수를 실행할 수 있는 액세스 개체는 무엇인가?

  1. Application 개체
  2. Form 개체
  3. Docmd 개체
  4. CurrenData 개체
(정답률: 50%)
  • Microsoft Access 매크로 함수는 데이터베이스 개체를 조작하는 함수이므로,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개체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Docmd 개체는 데이터베이스 조작을 위한 메서드와 속성을 제공하는 개체로, 매크로 함수를 실행하는 데 가장 적합한 개체입니다. Application 개체는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나타내는 개체이며, Form 개체는 폼을 나타내는 개체입니다. CurrenData 개체는 현재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개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덱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찾기와 정렬 속도가 빨라진다.
  2. 데이터의 업데이트 속도가 빨라진다.
  3.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진 테이블에 더 유용하다
  4. 단일 필드 인덱스와 다중 필드 인덱스가 있다.
(정답률: 59%)
  •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구조로, 데이터의 업데이트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업데이트 속도가 빨라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찾기와 정렬 속도가 빨라지는 이유는 인덱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가 전체 데이터를 스캔하지 않고 인덱스를 참조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진 테이블에서는 인덱스를 사용하면 검색 속도가 빨라지므로 더 유용하다. 또한, 단일 필드 인덱스와 다중 필드 인덱스가 있다. 단일 필드 인덱스는 하나의 필드만 인덱싱하고, 다중 필드 인덱스는 여러 개의 필드를 조합하여 인덱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원(사번, 성명, 거주지, 기본급, 부서명) 테이블에서 거주지가 '서울'이나 '인천'이 아닌 사원 중에 기본급의 최대값을 구하는 SQL 명령으로 맞는 것은?

  1. SELECT MAX(기본급) AS [최대값] FROM 사원 WHERE 거주지 NOT IN ('서울', '인천');
  2. SELECT [최대값] AS MAX(기본급) FROM 사원 WHERE(거주지 <> '서울') OR (거주지 <> '인천');
  3. SELECT MAX(기본급) AS [최대값] FROM WHERE(거주지 <> '서울') OR (거주지 <> '인천');
  4. SELECT [최대값] AS MAX(기본급) FROM 사원 WHERE 거주지 NOT IN('서울','인천');
(정답률: 37%)
  • 정답인 "SELECT MAX(기본급) AS [최대값] FROM 사원 WHERE 거주지 NOT IN ('서울', '인천');"은 거주지가 '서울'이나 '인천'이 아닌 사원을 찾아서 그 중에서 기본급의 최대값을 구하는 SQL 명령입니다. WHERE 절에서 NOT IN을 사용하여 '서울'이나 '인천'이 아닌 거주지를 찾고, MAX 함수를 사용하여 기본급의 최대값을 구합니다. AS를 사용하여 결과값의 컬럼명을 '최대값'으로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