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3-18)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1-03-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컴퓨터 시스템은 구성상 IPOS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용어상 IPOS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입력장치
  2. 저장장치
  3. 통신장치
  4. 출력장치
(정답률: 64%)
  • IPOS는 Input, Processing, Output, Storage의 약자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중에서 통신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통신장치는 컴퓨터와 다른 기기나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장치로, 입력, 처리, 출력, 저장과는 별개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IPOS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컴퓨터를 분류하는 방법은 사용 목적, 취급하는 데이터의 형태, 처리능력 등에 따라서 분류를 할 수 있다. 다음 중 컴퓨터가 취급하는 데이터의 형태에 의하여 분류하였을 경우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마이크로컴퓨터
  2. 디지털컴퓨터
  3. 하이브리드컴퓨터
  4. 아날로그컴퓨터
(정답률: 62%)
  • 마이크로컴퓨터는 취급하는 데이터의 형태에 따른 분류 기준이 아니라 처리능력에 따른 분류 기준에 속합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소형 컴퓨터로서 개인용 컴퓨터(PC)나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작고 경제적인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장치 가운데 정전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해 주는 것은

  1. AVR
  2. CVCF
  3. UPS
  4. 항온항습장치
(정답률: 59%)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정전이 발생해도 일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보호해줍니다. AVR은 전압 조정기, CVCF는 상수 전압/주파수 제어기, 항온항습장치는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로, 정전 발생 시 데이터 보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한글 Windows 98에서 현재 실행중인 작업들간의 작업 전환을 위해 사용하는 단축키는?

  1. [Shift]+[Tab]
  2. [Alt]+[F1]
  3. [Ctrl]+[Tab]
  4. [Alt]+[Tab]
(정답률: 70%)
  • 정답: "[Alt]+[Tab]"

    설명: "[Alt]+[Tab]" 단축키는 현재 실행중인 작업들간의 작업 전환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단축키를 누르면 작업 표시줄에 있는 모든 창이 나열되며, [Tab] 키를 누르면 창이 전환됩니다. 이 단축키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다른 단축키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중 임시 기억 공간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산술장치(Arithmetic Unit)
  2. 내부버스(Interal Bus)
  3. 레지스터(Registor)
  4. 논리장치(Logic Unit)
(정답률: 77%)
  •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 내부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기억 공간입니다. 즉, 중앙처리장치가 처리하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중 임시 기억 공간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원이 끊어져도 저장 데이터는 그대로 보관되는 반도체 메모리로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단말기, 휴대 전화 등에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는?

  1. 캐시메모리(Cache Memory)
  2.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3.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4. 다이나믹 메모리(Dynamic Memory)
(정답률: 66%)
  • 플래시메모리는 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로,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단말기, 휴대 전화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C에서 리눅스와 Windows 98을 함께 설치한 후 처음 컴퓨터를 부팅할 때 자신이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는 것을 무슨 부팅이라 하나?

  1. 더블부팅
  2. 멀티부팅
  3. 핫부팅
  4. 병렬부팅
(정답률: 70%)
  •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하나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부팅할 때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멀티부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멀티부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팅 방식과는 관련이 있지만,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 LAN카드를 새로 사왔다. 이 LAN카드를 PC에 장착한 후 Windows에서 사용하기 위해 실행해야 하는 제어판의 명령은 무엇인가?

(정답률: 67%)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제어판 중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카테고리에 위치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실행하여 LAN카드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네트워크와 관련이 없는 제어판 명령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글 Windows 98에서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를 원하는 것으로 이동시켜 옮겨 놓는 마우스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2. 클릭(Click)
  3. 더블 클릭(Double Click)
  4. 이동(Move)
(정답률: 66%)
  • 드래그 앤 드롭은 마우스로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를 클릭하여 드래그한 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놓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Move)이라는 보기와 유사하지만, 드래그 앤 드롭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직접 이동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클릭(Click)과 더블 클릭(Double Click)은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는 작업이며, 이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글 Windows 98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시행하다가 어떤 키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은 동작을 일으키는가?

  1. [Ctrl]키+[F4]키
  2. [Alt]키+[Tab]키
  3. [Alt]키+[V]+[S]
  4. [Ctrl]키+[Alt]키+[Delete]키
(정답률: 73%)
  • 이 동작은 Windows 98에서 작업 관리자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키입니다. [Ctrl]키+[Alt]키+[Delete]키를 누르면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어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강제 종료할 수 있습니다. [Ctrl]키+[F4]키는 현재 창을 닫는 단축키, [Alt]키+[Tab]키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사이를 전환하는 단축키, [Alt]키+[V]+[S]는 현재 문서를 저장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글 Windows 98에서 수행할 수 있는 파일관리 작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복수 개의 파일 동시 이용
  2. 같은 폴더 내에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파일 만들기
  3. 폴더 내에 여러 개의 하위 폴더 만들기
  4. 연결 프로그램을 이용한 파일 만들기
(정답률: 63%)
  • 같은 폴더 내에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파일 만들기는 파일명이 중복되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파일관리 작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한글 Windows 98에서 ‘복사’해서 ‘붙여넣기’하는 절차이다. (가)와 (나)에 해당하는 단축키는 어느 것인가?

  1. (가) [Ctrl]키+[C] (나) [Ctrl]키+[V]
  2. (가) [Ctrl]키+[X] (나) [Ctrl]키+[Y]
  3. (가) [Ctrl]키+[V] (나) [Ctrl]키+[C]
  4. (가) [Ctrl]키+[X] (나) [Ctrl]키+[V]
(정답률: 78%)
  • 복사하기는 [Ctrl]키와 [C]키를 눌러 선택한 내용을 복사하여 클립보드에 저장하고, 붙여넣기는 [Ctrl]키와 [V]키를 눌러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선택한 위치에 붙여넣기하기 때문에 정답은 "(가) [Ctrl]키+[C] (나) [Ctrl]키+[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파일을 휴지통으로 버리지 않고 바로 삭제하기 위해 [Delete]키와 같이 사용하는 키는 무엇인가?

  1. [Alt]키
  2. [Ctrl]키
  3. [Shift]키
  4. [Back Space]키
(정답률: 69%)
  • 정답: [Shift]키

    이유: [Shift]키를 누르면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변환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파일을 삭제할 때 [Shift]키와 함께 [Delete]키를 누르면 파일이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삭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삭제와는 다른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글 Windows 98에서 시스템을 종료하는 다음의 방법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표시줄의 시작단추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2. 바탕화면에서 [Alt]+[F4]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3. 키보드의 ‘윈도우로고’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4. 바탕화면에서 [Alt]키+[X]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바탕화면에서 [Alt]키+[X]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입니다. 이유는 Windows 98에서는 바탕화면에서 [Alt]키+[X]를 누르면 시스템 종료 대화상자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Windows 탐색기의 메뉴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시스템을 종료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소프트웨어로 분류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는?

  1. 컴파일러(Compiler)
  2.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3. 어셈블러(Assembler)
  4. 링커(Linker)
(정답률: 52%)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 컴파일러, 어셈블러, 링커 등과 같이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반면에 응용 소프트웨어는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소프트웨어, 게임 등과 같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스프레드시트는 이러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응용 소프트웨어에 해당하지 않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스프레드시트는 표 형태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계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일반적으로 엑셀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컴퓨터 통신망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TCP/IP
  2. MAN
  3. ISDN
  4. LAN
(정답률: 60%)
  • TCP/IP은 인터넷을 포함한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통신망이며, MAN은 도시나 지역 내의 네트워크, ISDN은 전화선을 통한 디지털 통신망, LAN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컴퓨터들끼리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TCP/IP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회선을 통해 높은 주파수대역으로 고속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로 다운로드(Download)와 업로드(Upload)가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같은 회선에 디지털 정보와 음성정보를 동시에 보내는 서비스 기술은?

  1. ISDN
  2. ADSL
  3. MODEM
  4. WBL
(정답률: 45%)
  • ADSL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가 다르게 제공되는 비대칭 구조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 기술입니다.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된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높은 주파수대역으로 정보를 전송하며, 디지털 정보와 음성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DSL은 주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인터넷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가 아닌 것은?

  1. 인터넷 익스플로러(MS Internet Explorer)
  2. 모자익(Mosaic)
  3. 넷스케이프(Netscape)
  4. SLIP
(정답률: 54%)
  • SLIP은 인터넷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가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SLIP은 웹 브라우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여 주는 거대한 분산 네이밍 시스템으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서버는?

  1. IP 컨버터(Convertor)
  2.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3. 인터넷 네이밍 시스템(Internet Naming System)
  4. DNS(Domain Name System)
(정답률: 71%)
  • DNS(Domain Name System)은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여 주는 거대한 분산 네이밍 시스템으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서버입니다. DNS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임 서비스이며, 인터넷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터넷상에서의 보안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정보 보안과 가장 관련이 적은 기술은 무엇인가?

  1. CGI
  2. 방화벽
  3. 비밀번호
  4. 암호화
(정답률: 65%)
  • 정답은 "CGI"입니다. CGI는 웹 서버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기술로, 정보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막아주고, 비밀번호와 암호화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중요한 보안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엑셀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도중에 실수로 화면 상단에 아래 그림의 도구 모음이 사라졌다. 이때 다시 아래 그림의 도구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려면 [보기] 메뉴의 [도구모음] 중 다음 어느 항목을 선택하여야 하는가?

  1. 표준
  2. 서식
  3. 그리기 도구 모음
  4. 컨트롤 도구 상자
(정답률: 46%)
  • 정답은 "서식"입니다.

    이유는 "도구 모음"은 화면 상단에 위치한 메뉴바와 함께 기본적으로 표시되는데, 이것이 사라졌다면 "보기" 메뉴에서 다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표준" 항목은 주로 파일을 열고 저장하는 등의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 모음이고, "그리기 도구 모음"은 그림을 그리거나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모음입니다. "컨트롤 도구 상자"는 개체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 모음입니다. 따라서, "서식"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서식" 항목은 셀의 서식을 지정하거나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모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산술 연산자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2.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3.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4.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정답률: 50%)
  • 정답: A1셀에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문자열 3-3으로 표시된다.

    이유: 산술 연산자인 +, *, ^는 계산식으로 인식하여 계산 결과가 표시되지만, -는 뺄셈 연산자와 동시에 음수를 나타내는 부호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Excel은 이를 계산식으로 인식하지 않고 문자열로 처리한다. 따라서 3-3이라는 계산식을 입력하면 Excel은 이를 문자열로 인식하여 그대로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에서 A3셀이 ##########으로 표시된 이유는?

  1. 양수를 0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2. 표기형식이 맞지 않았다.
  3. 입력할 수치 데이터에 비해 셀의 폭이 좁다.
  4. 양수 데이터를 음수 데이터 양식에 입력하였다.
(정답률: 71%)
  • A3셀은 입력할 수치 데이터에 비해 셀의 폭이 좁아서 데이터가 다 보이지 않기 때문에 ##########으로 표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셀에 분수 1/2을 입력하면 01월 02일로 인식되어 출력된다. 만약 특정 셀 서식을 지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셀에 분수 1/2을 출력하려면 어떻게 입력해야 하는가?

  1. 0.5
  2. 0 1/2
  3. # 1/2
  4. $ 1/2
(정답률: 56%)
  • 셀에 분수 1/2을 입력하면 01월 02일로 인식되는 이유는, 엑셀에서 기본적으로 날짜와 시간을 숫자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수 1/2을 숫자로 인식하여 1월 2일로 계산하게 된다.

    만약 특정 셀 서식을 지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수 1/2을 출력하려면, "0 1/2"와 같이 공백을 넣어서 분수를 표현해야 한다. 이는 엑셀에서 텍스트로 인식되어 숫자나 날짜로 계산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과 같이 마우스로 셀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지정하고자 할 때 함께 이용되는 조합키는?

  1. [Ctrl]키
  2. [Shift]키
  3. [Alt]키
  4. [Tab]키
(정답률: 81%)
  • [Ctrl]키는 일반적으로 셀을 부분적으로 선택할 때 사용되는 조합키입니다. [Ctrl]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를 드래그하면 원하는 범위의 셀을 부분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Shift]키는 연속된 범위를 선택할 때 사용되고, [Alt]키는 메뉴나 명령어 단축키를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Tab]키는 다른 창으로 이동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과 같이 B2셀에 컴퓨터 활용 능력이라는 값을 입력한 뒤 몇가지 서식을 지정하였다. 다음 중 해당되지 않은 서식은?

  1. 셀 병합
  2. 괘선 그리기
  3. 문자열 가운데 맞춤
  4. 기울임 글꼴
(정답률: 67%)
  • 정답은 "괘선 그리기"입니다.

    "셀 병합"은 여러 셀을 하나로 합치는 서식이며, "문자열 가운데 맞춤"은 셀 안의 텍스트를 가운데 정렬하는 서식입니다.

    "기울임 글꼴"은 텍스트를 기울여서 표시하는 서식입니다. 이는 텍스트를 강조하거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괘선 그리기"는 셀 안에 선을 그리는 서식으로, 표의 가독성을 떨어뜨리거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워크시트의 이름으로 잘못 지정된 것은?

  1. Work/1
  2. 워크시트1
  3. Work-1
  4. 워크시트#1
(정답률: 47%)
  • "Work/1"이 잘못 지정된 워크시트의 이름입니다. 이유는 슬래시 (/)는 파일 시스템에서 경로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 문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Work/1"은 파일 경로로 인식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에서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Delete]키를 누른다.
  2. 메뉴의 편집-지우기-내용
  3. [Back Space]키를 누른다.
  4.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에서 내용 지우기를 선택한다.
(정답률: 66%)
  • "[Delete]키를 누른다."는 선택된 영역의 뒷부분을 삭제하기 때문에, 선택된 영역 전체를 삭제하려면 "[Back Space]키를 누른다."가 맞다. "[Back Space]키를 누르면 선택된 영역의 앞부분이 삭제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인쇄와 관련된 기능 중 [쪽 설정] 대화상자에서 대한 물음이다. 시트내의 인쇄 영역, 매쪽 마다 반복 인쇄할 영역, 인쇄시 행이나 열의 머리글 등의 출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탭은?

  1. 쪽 탭
  2. 여백 탭
  3. 머리글/바닥글 탭
  4. 시트 탭
(정답률: 45%)
  • [쪽 탭]은 페이지 설정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고, [여백 탭]은 여백 설정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머리글/바닥글 탭]은 인쇄물의 머리글과 바닥글 설정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인쇄 영역, 반복 인쇄, 행/열 머리글 출력 등과 같은 시트 전반적인 설정을 제공하는 기능은 [시트 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 시트 그림에서 열 머리글인 A와 B 사이의 열 구분선에서 마우스를 더블 클릭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아무런 변화가 없다.
  2. A2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3. A3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4. A4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정답률: 68%)
  • A와 B 사이의 열 구분선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열의 폭이 자동으로 조절되는데, 이때 조절되는 폭은 해당 열에 있는 가장 긴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따라서 A3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이 B2 셀의 데이터는 셀 서식으로 정렬되어 있다. 정렬내용이 맞는 것은?

  1. 수평(가운데)-수직(가운데)-문자열 방향(45도)
  2. 수평(표준)-수직(가운데)-문자열 방향(0도)
  3. 수평(가운데)-수직(가운데)-문자열 방향(0 )
  4. 수평(표준)-수직(가운데)-문자열 방향(45도)
(정답률: 71%)
  • 정답은 "수평(가운데)-수직(가운데)-문자열 방향(45도)" 입니다.

    B2 셀의 데이터는 가운데 정렬이 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가운데 정렬이 되어 있기 때문에 텍스트가 셀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도 가운데 정렬이 되어 있기 때문에 셀의 높이를 조절해도 텍스트가 항상 셀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마지막으로, 문자열 방향은 45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텍스트가 대각선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엑셀에서 [편집] 메뉴의 [바꾸기] 기능을 서술한 내용이다. 잘못 표현한 것은?

  1. 대·소문자를 구별할 수 있다.
  2. 찾을 문자열란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3. 행, 열의 찾는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4. [바꾸기]의 단축키는 [Ctrl]키 + [H]이다.
(정답률: 40%)
  • "찾을 문자열란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가 잘못된 내용이다. 찾을 문자열란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큰따옴표(")를 사용하여 공백을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2 셀에 =ABS(A2-B2), C3 셀에 =ABS(A3-B3)라 입력했을 때, 각각 어떠한 답이 나오는가?

  1. -2, 2
  2. 2, -2
  3. 2, 2
  4. -1, -2
(정답률: 47%)
  • C2 셀에 =ABS(A2-B2)를 입력하면, A2와 B2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계산한 값이 나옵니다. A2는 5, B2는 3이므로 5-3=2가 되고, 이를 절대값으로 계산하면 2가 됩니다. 따라서 C2 셀에는 2가 나옵니다.

    C3 셀에도 마찬가지로 =ABS(A3-B3)를 입력하면, A3와 B3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계산한 값이 나옵니다. A3는 -1, B3는 -3이므로 -1-(-3)=2가 되고, 이를 절대값으로 계산하면 2가 됩니다. 따라서 C3 셀에도 2가 나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2, 2"입니다. 이유는 각각의 셀에서 A와 B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계산한 값이 모두 2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표에서 B2, C2, D2를 모두 더하여 E2에 나타내고자 할 때 맞지 않는 수식은 어느 것인가?

  1. =SUM(B2:D2)
  2. =SUM(B2,C2,D2)
  3. =SUM(B2+C2:D2)
  4. =SUM(김남수)
(정답률: 43%)
  • 정답은 "=SUM(김남수)"이다.

    B2, C2, D2를 모두 더해야 하므로 SUM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SUM(B2:D2)"는 범위를 지정하여 모든 셀을 더하는 방식이고, "=SUM(B2,C2,D2)"는 셀을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더하는 방식이다. "=SUM(B2+C2:D2)"는 범위 내에서 C2와 D2를 더하고, 그 결과에 B2를 더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모든 셀을 더하는 "=SUM(B2:D2)"이 정답이다.

    "=SUM(김남수)"는 임의로 지정한 이름이므로 올바른 수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차트 도구모음 중에서 무늬, 글꼴, 속성에 대한 차트 영역 서식을 지정하여 차트에 더욱 세련된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아이콘은?

(정답률: 42%)
  • 정답은 "" 입니다. 이 아이콘은 차트 영역의 서식을 지정하는 "서식 브러시" 도구를 나타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무늬, 글꼴, 속성 등을 쉽게 지정하여 차트에 더욱 세련된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각 막대 그래프 위에 표시된 86, 87, ... 등의 수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범례
  2. 데이터 이름표
  3. 오차
  4. 제목
(정답률: 59%)
  • 각 막대 그래프 위에 표시된 86, 87, ... 등의 수치는 해당 막대 그래프가 나타내는 데이터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데이터 이름표"라고 부릅니다. 이는 그래프를 보는 사람이 각 막대의 데이터 값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월에서 12월까지 PC생산량에 대한 변화추세를 분석하고자한다. 가장 적합한 차트유형은?

  1. 방사형
  2. 원형
  3. 거품형
  4. 꺾은선형
(정답률: 73%)
  • 꺾은선형 차트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데 가장 적합한 차트 유형입니다. 1월부터 12월까지의 PC 생산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여주기 때문에 꺾은선형 차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차트 유형들은 데이터의 비교나 상대적인 크기를 보여주는 데 적합하지만,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데는 꺾은선형 차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메뉴의 [데이터]-[레코드 관리]에서 레코드 찾기 기능을 실행할 경우 설명이 틀린 것은?

  1. [이전 레코드], [다음 레코드] 단추를 이용하여 해당 레코드를 찾을 수 있다.
  2. ‘찾을 조건’을 누른 후 입력상자에 조건을 입력한다.
  3. 이동줄(Scrollbar)을 이용할 수 있다.
  4. 찾을 조건을 단 하나의 항목에만 기입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설명이 틀린 것은 "찾을 조건을 단 하나의 항목에만 기입할 수 있다." 입니다. 레코드 찾기 기능에서는 여러 항목에 대한 조건을 동시에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찾을 조건을 단 하나의 항목에만 기입할 수 없다."가 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엑셀에서 정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본적으로 행 단위로 정렬한다.
  2. 데이터의 정렬 기준은 최대 3개까지 지정할 수 있다.
  3. 오름차순 정렬을 적용했을 때 숫자 '123' 이 문자 'HOME'보다 앞에 온다.
  4. 첫 번째 정렬 기준과 더불어 반드시 두 번째 정렬기준도 설정해야 한다.
(정답률: 46%)
  • 첫 번째 정렬 기준으로 설정한 열의 값이 중복되는 경우, 두 번째 정렬 기준으로 설정한 열의 값에 따라 정렬 순서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번째 정렬 기준을 설정하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특정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물건을 몇 개 판매해야 되는지 등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기능은?

  1. 목표값 찾기
  2. 피벗 테이블
  3. 시나리오
  4. 레코드관리
(정답률: 62%)
  • "목표값 찾기"는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을 찾는 기능으로, 수익을 얻기 위해 필요한 판매량 등을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목표값 찾기"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