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6-24)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1-06-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처리속도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s
  2. ps
  3. fs
  4. os
(정답률: 87%)
  • "fs"는 컴퓨터의 처리속도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지 않습니다. "ns"는 나노초, "ps"는 피코초, "os"는 존재하지 않는 단위입니다. 대신 "Hz"나 "GHz"와 같은 단위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연산장치
  2. 레지스터
  3. 입력장치
  4. 제어장치
(정답률: 57%)
  • 입력장치는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입력장치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장치로, 중앙처리장치와는 별도의 장치입니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는 연산장치, 레지스터, 제어장치입니다. 연산장치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이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 기억장치입니다.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세계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16비트 완성형 코드는?

  1. 비씨디(BCD)코드
  2. 아스키(ASCII)코드
  3. 해밍(Hamming)코드
  4. 유니(Uni)코드
(정답률: 88%)
  • 유니코드는 전 세계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비씨디코드는 10진수를 4비트로 나누어 표현하는 코드, 아스키코드는 영어 알파벳과 일부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해밍코드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컴퓨터의 출력 장치 중 프린터 인쇄 속도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DPI
  2. LPM
  3. PPM
  4. CPS
(정답률: 66%)
  • DPI는 인쇄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라 인쇄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LPM은 분당 인쇄 줄 수, PPM은 분당 페이지 수, CPS는 초당 문자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PC통신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게시판 또는 자료실에 전송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해킹(Hacking)
  2. 업로드(Upload)
  3. 유즈넷(Usenet)
  4. 다운로드(Download)
(정답률: 69%)
  • 업로드는 PC통신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게시판 또는 자료실에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업로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래의 보기 문장이 설명하고 있는 가장 적합한 기억장치는?

  1. SRAM(Static RAM)
  2. DRAM(Dynamic RAM)
  3. PROM(Programmable ROM)
  4. EPROM(Erasable ROM)
(정답률: 66%)
  • 위의 그림은 DRAM(Dynamic RAM)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DRAM은 전하를 저장하는 커패시터와 이를 유지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정보를 저장하는 동안에도 전하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정보를 갱신해줘야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DRAM은 비교적 저렴하고 높은 용량을 지원하지만, 정보를 저장하는 동안에도 전하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크고,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서도 전력이 소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글 Windows 98에서 Windows 구성 요소 중 바탕화면 테마를 삭제하려고 한다. 다음 [프로그램 추가/제거 등록정보] 대화상자에서 어느 탭을 눌러야 하는가?

  1. Windows 설치
  2. 시동 디스크
  3. 설치/제거
  4. 설치(I)
(정답률: 52%)
  • "Windows 설치" 탭을 눌러야 합니다. 이는 바탕화면 테마가 Windows의 기본 구성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Windows 설치 탭에서 해당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한글 Windows 98의 아이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 메뉴로 프로그램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2. 바로가기 아이콘은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도록 연결(link)만 담당하는 것이다.
  3. 프로그램을 삭제한 경우에도 바로 가기 아이콘이 있으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4. 바로 가기 아이콘을 지워도 프로그램 자체에는 아무 손상이 없다.
(정답률: 71%)
  • "프로그램을 삭제한 경우에도 바로 가기 아이콘이 있으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이 삭제되기 때문에 바로 가기 아이콘을 클릭해도 실행할 수 없다.

    해당 문장이 옳지 않은 이유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실행 파일이 삭제되기 때문이다. 바로 가기 아이콘은 실행 파일에 대한 연결(link)만을 담당하므로, 실행 파일이 삭제되면 바로 가기 아이콘을 클릭해도 실행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이 윈도우에서 [시작]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메뉴에서 [문서]는 무엇을 보여주는 메뉴인가?

  1. [내문서]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만을 보여준다.
  2. 윈도우 설치 후 읽었던 파일 목록들을 모두 보여준다.
  3. 인터넷에서 읽었던 문서의 목록만을 보여준다.
  4. 최근에 읽었던 문서나 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정답률: 76%)
  • [문서] 메뉴는 최근에 읽었던 문서나 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메뉴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파일이나 문서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글 Windows 98에서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선택하고자 한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택하고자 하는 여러 개의 파일을 둘러싸도록 마우스로 드래그한다.
  2. 선택하려는 첫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마지막 파일을 [Shift] 키를 누르고 마우스로 클릭한다.
  3. 선택하려는 첫 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각각의 파일을 [Ctrl] 키를 누르고 마우스로 클릭한다.
  4. 선택하려는 모든 파일을 [Alt] 키를 누르면서 마우스로 클릭한다.
(정답률: 77%)
  • 선택하려는 모든 파일을 [Alt] 키를 누르면서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Alt] 키를 누르면 파일을 드래그하지 않고도 여러 개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글 Windows 98에서 문서를 인쇄하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ulti-tasking
  2. Multi-windows
  3. Multi-processing
  4. Multiplexing
(정답률: 70%)
  •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Multi-task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제목 표시줄에서 를 마우스로 클릭한다.
  2. [Ctrl]+[Alt]+[Delete]키를 두 번 눌러 표시되는 창에서 종료하려는 파일을 선택하고 [작업종료] 버튼을 누른다.
  3. 작업표시줄에서 실행 프로그램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닫기]를 누른다.
  4. 종료하려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키보드의 [Alt] +[F4]를 누른다.
(정답률: 79%)
  • "[Ctrl]+[Alt]+[Delete]키를 두 번 눌러 표시되는 창에서 종료하려는 파일을 선택하고 [작업종료] 버튼을 누른다."가 정답입니다. 이 방법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종료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글 Windows 98의 휴지통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휴지통 내에 지워진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와 휴지통이 비어 있는 경우의 표시되는 아이콘 모양이 다르다.
  2. [Shift]+[Delete]를 눌러 파일을 삭제한 경우 그 파일은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는다.
  3.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 보관된다.
  4. 되살리려는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한 후 [복원]을 실행하면 원래의 위치에 복구된다.
(정답률: 77%)
  • "[Shift]+[Delete]를 눌러 파일을 삭제한 경우 그 파일은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 보관되는 이유는 해당 파일이 완전히 삭제되기 전에 복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휴지통에 보관하여 필요한 경우 되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1. 일반 모드
  2. 초기 모드
  3. 안전 모드
  4. 표준 모드
(정답률: 87%)
  • 안전 모드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때 사용하는 모드로, 시스템을 최소한의 구성으로 시작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모드입니다. 따라서 다른 모드들보다 안정성이 높고 문제 해결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소프트웨어로 분류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는?

  1. 컴파일러(Compiler)
  2.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3. 어셈블러(Assembler)
  4. 링커(Linker)
(정답률: 73%)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스프레드시트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속하므로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터넷에서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프로토콜
  2. 호스트 이름
  3. 디렉토리 경로
  4. 접속시간
(정답률: 66%)
  • URL은 인터넷에서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URL은 프로토콜, 호스트 이름, 디렉토리 경로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접속시간"은 URL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URL은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접속시간은 해당 자원에 접속한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지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래 보기의 문장이 설명하고 있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

  1. 미러(mirror) 사이트
  2. 페어(pair) 사이트
  3. 패밀리(family) 사이트
  4. 서브(sub) 사이트
(정답률: 75%)
  • 다른 사이트의 내용을 복제하여 제공하는 사이트를 미러(mirror) 사이트라고 합니다. 즉, 원본 사이트와 동일한 내용을 가진 사본 사이트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터넷의 IP 주소는 숫자로 되어 있다. 이를 쉽게 이해하도록 문자로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omain Name
  2. Host Name
  3. IP Name
  4. Internet Name
(정답률: 76%)
  • 인터넷의 IP 주소는 숫자로 되어 있어서 기억하기 어렵고, 입력하기도 번거롭다. 따라서 이를 쉽게 이해하고 기억하기 쉽도록 문자로 표시하는 것을 "Domain Name"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google.com" 이라는 도메인 이름은 실제로는 숫자로 된 IP 주소와 매칭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IP 주소로 연결된다. 이렇게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면 인터넷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는?

  1. FTP
  2. mail
  3. WWW
  4. HTML
(정답률: 81%)
  • HTTP 프로토콜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WWW(World Wide Web)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mail은 이메일 프로토콜, HTML은 웹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최근에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 피해에 대한 대비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신의 바이러스 예방 및 퇴치 프로그램 사용
  2. 입력장치에 바이러스 감시 카메라 설치
  3. 주기적으로 하드디스크 백업 실시
  4. 인가받지 않은 사람의 시스템 사용통제
(정답률: 70%)
  • 입력장치에 바이러스 감시 카메라 설치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입력장치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를 감지하고 차단하기 위한 대비책이다. 다른 보기들은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 및 퇴치, 데이터 백업, 시스템 사용통제 등으로 컴퓨터 바이러스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셀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왼쪽으로 정렬되지 않는 것은?

  1. Y2K
  2. 99%
  3. 140+20
  4. A-1
(정답률: 67%)
  • 정답은 "A-1"입니다.

    "A-1"은 셀에 입력된 데이터가 가운데 정렬되기 때문에 왼쪽으로 정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Y2K", "99%", "140+20"은 모두 숫자나 텍스트 데이터이며, 이들은 기본적으로 왼쪽 정렬됩니다. 따라서 이들은 왼쪽으로 정렬됩니다.

    "99%"이 정답인 이유는 문제에서 "왼쪽으로 정렬되지 않는 것은?"이라는 질문이 있기 때문입니다. "99%"은 왼쪽으로 정렬되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래 그림에서 [A1]과 [B1]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설정한 후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채우기 핸들을 [E1] 셀까지 마우스 끌기를 했을 때 [E1] 셀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1. 월요일
  2. 화요일
  3. 수요일
  4. 금요일
(정답률: 46%)
  • 정답은 "월요일"입니다.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채우기 핸들을 끌면, [A1]과 [B1] 셀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패턴화되어 [C1]부터 [E1]까지 입력됩니다.

    패턴은 "월, 화, 수, 금"으로 되어 있으므로, [E1] 셀에는 "월"이 입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숫자 데이터 입력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숫자를 괄호로 둘러싸면(예: (3) ) 음수로 인식한다.
  2. 숫자 앞에 - 기호를 입력하면 음수로 인식한다.
  3. 분수는 날짜 서식과 구분하기 위해 혼합형(예: 1 1/2)으로 입력한다.
  4. 숫자에 2,324와 같이 콤마를 입력하면 안 된다.
(정답률: 75%)
  • "숫자에 2,324와 같이 콤마를 입력하면 안 된다." 이유는 컴퓨터에서 숫자는 기본적으로 10진수로 인식되며, 콤마는 천 단위 구분 기호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콤마를 입력하면 숫자가 인식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셀의 메모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1. 메모상자의 크기 조절은 가능하다.
  2. 메모를 기록할 때의 단축키는 [Shift]+[F2]이다.
  3. 메모를 추가한 셀은 우측에 메뉴내용이 항상 표시되며 숨길 수 없다.
  4. 셀의 입력된 내용에 대해 보충설명을 기록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71%)
  • "메모를 추가한 셀은 우측에 메뉴내용이 항상 표시되며 숨길 수 없다."가 맞지 않은 것이다. 메모를 추가한 셀의 메뉴내용은 우측에 표시되지만, 숨길 수 있는 옵션이 있다. 메모 상자를 클릭하고 오른쪽 상단의 "X" 버튼을 누르면 메모 상자를 숨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데이터를 잘라 내고자 할 때 사용되는 단축키는?

  1. [Ctrl]+[C]
  2. [Ctrl]+[V]
  3. [Ctrl]+[X]
  4. [Ctrl]+[P]
(정답률: 90%)
  • 정답: [Ctrl]+[X]

    설명: [Ctrl]+[X] 단축키는 데이터를 잘라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선택한 데이터가 원래 위치에서 삭제되고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이후 [Ctrl]+[V] 단축키를 사용하여 다른 위치에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Ctrl]+[C] 단축키는 데이터를 복사하기 위해 사용되고, [Ctrl]+[V] 단축키는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넣기 위해 사용됩니다. [Ctrl]+[P] 단축키는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연속적으로 위치해 있는 여러 개의 워크시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첫 번째 시트를 마우스로 클릭한 후 선택하고자 하는 마지막 시트를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클릭한다.
  2. 첫 번째 시트를 마우스로 클릭하고 이후 선택하고자 하는 시트를 계속해서 마우스로 클릭한다.
  3. 첫 번째 시트를 마우스로 클릭한 후 선택하고자 하는 마지막 시트를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클릭한다.
  4. 첫 번째 시트를 마우스로 클릭한 후 선택하고자 하는 마지막 시트를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클릭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첫 번째 시트를 마우스로 클릭한 후 선택하고자 하는 마지막 시트를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클릭한다."입니다. 이 방법은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지막 시트를 클릭하면 첫 번째 시트와 마지막 시트 사이에 있는 모든 시트가 선택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셀에 입력할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 정의 형식으로 ###.#00을 지정하였다. 987.5의 데이터 값은 어떻게 표시되는가?

  1. 987.555
  2. 987.500
  3. 987.5
  4. 987
(정답률: 83%)
  • 사용자 정의 형식으로 ###.#00을 지정하면,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표시하고,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가 없을 경우 0으로 채워서 표시한다. 따라서 987.5는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가 없으므로 0으로 채워져서 "987.500"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워크시트의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과 관련된 설명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1. 해당 시트 탭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표시되는 바로가기 메뉴의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면 이름을 수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2. 해당 시트 탭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더블 클릭하면 이름을 수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3. 시트이름에는 : / ? * \ 등의 기호는 사용할 수 없다.
  4. 시트의 이름은 한글과 영문만 입력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시트의 이름은 한글과 영문만 입력된다." 이다. 이유는 Excel에서는 시트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트 이름에는 알파벳, 숫자, 공백, 언더스코어(_)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한글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기호(: / ? * \ 등)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성된 통합문서 파일의 보호를 위하여 암호 설정/해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파일 메뉴는?

  1. 작업 상태 저장
  2. 다른 이름으로 저장
  3. 쪽 설정
  4. 등록 정보
(정답률: 70%)
  • 정답: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해당 파일 메뉴는 암호 설정/해제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른 이름으로 저장"입니다. 이 메뉴는 현재 작성된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원본 파일을 보호하고, 새로운 파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IF(A1>=60, “합격”, “불합격”)의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1. [A1] 셀의 값이 60보다 커야만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2. [A1] 셀의 값이 60과 같으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3. [A1] 셀의 값이 60이상이면 불합격, 그렇지 않으면 합격
  4. [A1] 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정답률: 77%)
  • "[A1] 셀의 값이 60이상이면 합격,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이 정답입니다. IF 함수는 조건식을 만족하면 참(True)을, 만족하지 않으면 거짓(False)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A1 셀의 값이 60 이상이면 참(True)이 되어 "합격"이 출력되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False)이 되어 "불합격"이 출력됩니다. 60과 같은 경우에도 참(True)이므로 "합격"이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엑셀에서 ○, ☆, ※, △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삽입]-[특수문자]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2. [Ctrl]키+[F10]키를 누른 후 특수문자를 선택한다.
  3. ㄱ, ㄴ, ㄷ 등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눌러서 입력한다.
  4. [입력]-[문자표]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정답률: 82%)
  • 한글 자음과 모음은 유니코드(Unicode)라는 국제 표준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입력되며, 이를 위해 한자키를 사용한다. 따라서 ㄱ, ㄴ, ㄷ 등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눌러서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수식 중 결과가 잘못 표현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컴퓨터"&"활용"&"능력" : 컴퓨터활용능력
  2. =12%+2 : 212%
  3. =13&22 : 1322
  4. =13+"22" : #VALUE!
(정답률: 56%)
  • =13+"22"이 잘못 표현되었다. 이유는 숫자 13과 문자열 "22"를 더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숫자와 문자열은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이기 때문에 연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VALUE! 오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1사분기’ 시트의 [B5:D10] 셀 영역을 참조하고자 한다. 다음 중 참조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사분기]!B5:D10
  2. =(1사분기)B5:D10
  3. =1사분기!B5:D10
  4. =1사분기:B5:D10
(정답률: 56%)
  • 정답: =1사분기!B5:D10

    이유:
    - [B5:D10]은 참조하고자 하는 셀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 부분은 모두 동일하다.
    - [1사분기]는 참조하고자 하는 시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시트 이름은 따옴표나 괄호로 묶이지 않으며, 띄어쓰기가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따옴표로 묶어주어야 한다.
    -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1사분기!B5:D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엑셀에서 제공되는 함수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잘못된 것은?

  1. ROUNDUP - 숫자를 지정한 자리수로 내림한다.
  2. ABS - 절대값을 구한다.
  3. VAR - 표본집단의 분산을 구한다.
  4. TODAY - 시스템의 오늘 날짜를 입력해 준다.
(정답률: 79%)
  • 정답은 "ROUNDUP - 숫자를 지정한 자리수로 내림한다." 이다.

    ROUNDUP 함수는 숫자를 지정한 자리수로 올림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ROUNDUP(3.14159, 2)는 3.15를 반환한다. 따라서 "내림"이 아닌 "올림"을 수행하는 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차트의 축 서식 설정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축 눈금의 최대, 최소값을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다.
  2. 축 표시형식(숫자, 통화 등)을 변경할 수 없다.
  3. 축 맞춤에서 문자열 인쇄방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4. 축 글꼴이 차트 크기에 따라 자동조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축 표시형식은 해당 축의 데이터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숫자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표시되지만, 사용자가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 표시하도록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축 표시형식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변경한 것입니다. 따라서 "축 표시형식(숫자, 통화 등)을 변경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차트에서 설정되지 않은 옵션은?

  1. 범례
  2. 차트제목
  3. 데이터 테이블
  4. 데이터 이름표
(정답률: 71%)
  • 이 차트에서 설정되지 않은 옵션은 "데이터 테이블" 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차트 아래에 데이터 테이블이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범례는 차트에 사용된 색상과 데이터의 의미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차트 제목은 차트의 주제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이름표는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라벨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2000년 3월 1일에서 오늘까지 경과된 날짜수를 구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TODAY()-DATE(2000,3,1)
  2. =YEAR()-DATE(2000,3,1)
  3. =DAY()-DATE(2000,3,1)
  4. =DATE(2000,3,1)-DAY()
(정답률: 72%)
  • 정답은 "=TODAY()-DATE(2000,3,1)"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DAY() 함수는 현재 날짜를 반환합니다.
    - DATE(2000,3,1)은 2000년 3월 1일을 나타내는 날짜 값을 반환합니다.
    - 두 날짜 값의 차이를 구하면 경과된 날짜 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TODAY()-DATE(2000,3,1)"은 현재 날짜에서 2000년 3월 1일을 뺀 값을 반환하여 경과된 날짜 수를 구하는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 시트에서 [D2] 셀의 수식이 =$A2+C$2로 적혀 있었다. 이를 [D4]에 복사했을 때 그 결과로 옳은 것은?

  1. 110
  2. 130
  3. 150
  4. 170
(정답률: 38%)
  • 정답은 "150"입니다.

    [D2]셀의 수식이 =$A2+C$2이므로, [D2]셀의 값은 A2셀의 값과 C2셀의 값의 합입니다. 따라서 [D2]셀의 값은 100+50=150입니다.

    [D4]셀에 [D2]셀의 수식을 복사했으므로, [D4]셀의 값은 A4셀의 값과 C4셀의 값의 합인 80+70=15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의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Sort)할 때 앞(위)에서 두 번째로 정렬되는 값은 어느 것인가? (가.의 ‘1’은 숫자임)

  1. 1
  2. @
  3. a
(정답률: 52%)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문자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때는 각 문자의 유니코드(Unicode) 값에 따라 정렬됩니다.

    "1"의 유니코드 값은 49, "@"의 유니코드 값은 64, "가"의 유니코드 값은 44032, "a"의 유니코드 값은 97입니다.

    따라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이 정렬됩니다.

    ["1", "a", "@", "가"]

    그리고 앞에서 두 번째로 정렬되는 값은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엑셀의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알맞은 것은?

  1. 시트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다.
  2. 머리글에 그리기로 도형을 삽입할 수 있다.
  3. 셀에 삽입된 메모는 화면에서만 나타나고 인쇄시에는 출력할 수 없다.
  4. 화면을 확대, 축소하면 인쇄배율도 확대, 축소된다.
(정답률: 54%)
  • 시트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이유는 인쇄 영역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쇄 영역을 설정하면 해당 영역만 인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