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10-07)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1-10-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의 신속, 정확
  2. 대량의 기억 능력
  3. 논리 판단 및 비교
  4. 창의력 및 개발 능력
(정답률: 85%)
  • 컴퓨터는 기계적인 장치로서, 창의력이나 개발 능력과 같은 인간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창의력 및 개발 능력"이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CPU에서의 접근 속도(Access Time)가 가장 빠른 것은?

  1. RAM
  2. CACHE
  3. HDD
  4. FDD
(정답률: 66%)
  • 정답은 "CACHE"입니다.

    CPU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데이터를 불러오는 속도가 빠를수록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때 CPU가 데이터를 불러오는 경로는 RAM, CACHE, HDD, FDD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RAM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CPU와의 접근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CACHE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반면 CACHE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CACHE에 저장해두기 때문에, CPU가 데이터를 불러오는 속도가 매우 빨라집니다.

    따라서 CPU에서의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CACH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앙처리장치(CPU)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레지스터(register)
  2. 산술장치(arithmetic units)
  3. 논리장치(logic units)
  4. 모뎀(modem)
(정답률: 73%)
  • 모뎀은 중앙처리장치(CPU)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모뎀은 컴퓨터와 인터넷 또는 다른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장치로, CPU와는 별개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CPU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지만, 모뎀은 데이터를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통신에서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정보 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규정된 통신 규칙은?

  1. 인터페이스(Interface)
  2. 프로토콜(Protocol)
  3. 터미널(Terminal)
  4. 샘플링(Sampling)
(정답률: 78%)
  •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정보 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규정된 통신 규칙입니다. 이는 통신을 하는 두 개체 간에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공통된 언어와 규칙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통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컴퓨터 연산처리 속도인 10-9와 관련이 깊은 것은?

  1. ns(Nano Second)
  2. ps(Pico Second)
  3. fs(Femto Second)
  4. as(Atto Second)
(정답률: 64%)
  • 정답은 "ns(Nano Second)"입니다.

    10-9는 1초를 10억 등분한 것으로, 컴퓨터 연산처리 속도를 측정하는 단위인 초(second)보다 작은 시간 단위인 나노초(nanosecond)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연산처리 속도가 빠를수록 처리하는 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나노초 단위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 외의 보기인 "ps(Pico Second)", "fs(Femto Second)", "as(Atto Second)"는 모두 나노초보다 더 짧은 시간 단위이지만, 컴퓨터 연산처리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비교 설명한 것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시켜 놓는 기억장치이다.
  2. 보조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단 주기억장치에 읽어들인 후에 주기억장치에서부터 사용된다.
  3.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는 빠른 접근속도를 위하여 같은 기억 소자를 사용한다.
  4. 주기억장치의 용량은 보조기억장치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정답률: 66%)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는 빠른 접근속도를 위하여 같은 기억 소자를 사용한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가 서로 다른 속도와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간에 자주 이동시키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빠른 접근속도를 위해 같은 기억 소자를 사용하여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윈도우 98의 미디어재생기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없는 파일 형태는?

  1. PCX
  2. AVI
  3. WAV
  4. MIDI
(정답률: 69%)
  • 윈도우 98의 미디어재생기는 PCX 파일 형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CX는 그래픽 파일 형식으로, 이미지 파일이며, 미디어재생기는 오디오나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PCX 파일은 미디어재생기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글 Windows 98의 시스템 유틸리티 가운데 하드디스크를 압축하지 않고 임시파일, 캐시파일 등을 삭제하여 하드디스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은 다음 중 어는 것인가?

  1. 디스크 정리
  2. 디스크 공간 늘림
  3. 디스크 조각 모음
  4. 디스크 검사
(정답률: 80%)
  • 디스크 정리는 하드디스크에 쌓인 임시파일, 캐시파일 등을 삭제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디스크 정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한글 Windows 98 작업도중 [Ctrl]+[Esc]를 누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시작 메뉴가 나타난다.
  2. 실행 창이 종료된다.
  3. 작업중인 항목의 바로 가기 메뉴가 나타난다.
  4. 창 조절 메뉴가 나타난다.
(정답률: 80%)
  • 정답: "시작 메뉴가 나타난다."

    설명: [Ctrl]+[Esc]는 Windows에서 시작 메뉴를 열기 위한 단축키이다. 따라서 이 단축키를 누르면 시작 메뉴가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윈도우즈에서 [시작]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메뉴에서 [즐겨찾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즐겨찾기] 메뉴의 목록과 같다.
  2. 인터넷에서 자주 찾는 사이트의 주소를 모아 놓은 것이다.
  3. Windows 탐색기의 “C:\Windows\Favorites” 폴더에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4. 즐겨찾기에 주소를 한번 등록시켜 두면 삭제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78%)
  • 정답은 "즐겨찾기에 주소를 한번 등록시켜 두면 삭제가 불가능하다."가 아닙니다. 이유는 즐겨찾기에 등록된 주소는 언제든지 삭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바탕화면에 여러 화면이 펼쳐져 있을 때 그 중에서 활성화된 창만 캡쳐(Capture) 하려고 한다. 사용하는 단축키는 무엇인가?

  1. [Ctrl+[C]
  2. [Alt]+[Print Screen]
  3. [Shift]+[Print Screen]
  4. [Ctrl]+[Print Screen]
(정답률: 78%)
  • 정답은 "[Alt]+[Print Screen]"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Ctrl]+[C]: 현재 선택된 항목을 복사하는 단축키입니다. 캡쳐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Shift]+[Print Screen]: 현재 화면 전체를 캡쳐하는 단축키입니다. 활성화된 창만 캡쳐하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Ctrl]+[Print Screen]: 현재 화면 전체를 캡쳐하는 단축키입니다. 활성화된 창만 캡쳐하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활성화된 창만 캡쳐하려면 [Alt]+[Print Screen] 단축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단축키는 현재 활성화된 창만 캡쳐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한글 윈도우즈 98에서 파일을 삭제하면 휴지통에 들어가게 된다. 휴지통에 넣지 않고 완전히 삭제할 때 [Del] 키와 함께 사용하는 키는 무엇인가?

  1. [Shift]
  2. [Alt]
  3. [Space]
  4. [Ctrl]
(정답률: 86%)
  • 정답은 "[Shift]"입니다.

    [Shift] 키를 누르고 파일을 삭제하면, 해당 파일은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완전히 삭제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쉬프트 삭제" 또는 "영구 삭제"라고 불립니다.

    [Alt] 키는 주로 메뉴 바에서 단축키를 사용할 때 사용되며, [Space] 키는 창의 시스템 메뉴를 열 때 사용됩니다. [Ctrl] 키는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되며, 파일 삭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글 윈도우즈 98에서 많은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열려진 창(작업 프로그램)을 전환하는 단축키는 무엇인가?

  1. [Alt]+[F4]
  2. [Alt]+[Tab]
  3. [Ctrl]+[F4]
  4. [Ctrl]+[Tab]
(정답률: 78%)
  • "[Alt]+[Tab]" 단축키는 열려진 창(작업 프로그램)을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이 단축키를 누르면 현재 활성화된 창과 다른 창들이 번갈아가며 화면에 나타나며, 원하는 창이 선택되면 [Alt] 키를 떼면 해당 창으로 전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글 Windows 98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왼손잡이를 위해 마우스의 단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2.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 키보드로 마우스를 대용할 수 있다.
  3. 마우스의 두 번 누르기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4. [내 컴퓨터]-[프린터]에서 글꼴 및 글꼴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67%)
  • "[내 컴퓨터]-[프린터]에서 글꼴 및 글꼴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Windows 98에서는 [내 컴퓨터]-[제어판]-[글꼴]에서 글꼴 및 글꼴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린터 설정에서는 인쇄할 문서의 용지 크기, 방향, 인쇄 품질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도메인 이름 중에서 정부기관과 관련된 사이트의 이름은?

  1. www.government.pe.kr
  2. www.company.co.kr
  3. www.Korea.go.kr
  4. www.Seoul.re.kr
(정답률: 83%)
  • 정답은 "www.Korea.go.kr"입니다. 이는 "Korea"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서 국가와 관련된 사이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go.kr"이라는 도메인 이름은 한국 정부기관의 공식 도메인 이름이기 때문에 정부기관과 관련된 사이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FTP
  2. Gopher
  3. NetBios
  4. WWW
(정답률: 65%)
  • NetBios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가장 적절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터넷에서 파일 전송, 정보 검색, 웹 페이지 열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HTML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웹(web)상에서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기 위한 언어이다.
  2. SGML이라는 국제 전자문서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다.
  3. 기존의 언어와는 달리 태그(tag)를 사용하지 않는다.
  4. 일반 텍스트 문서와 같은 ASCII 파일이며, 확장자로 htm이나 html을 갖는다.
(정답률: 68%)
  • 기존의 언어와는 달리 태그(tag)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오히려 잘못된 설명입니다. HTML은 태그를 사용하여 문서를 구성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존의 언어와는 달리 태그(tag)를 사용하지 않는다."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터넷이나 통신망의 자료실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용 소프트웨어는 돈을 받고 판매하는 소프트웨어이므로 허가 없이 사용하면 안된다.
  2. 프리웨어(freeware)는 개발자가 소스를 공개한 소프트웨어이므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3. 쉐어웨어(Shareware)는 일정 기능이나 일정 기간 동안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대부분 등록을 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베타 버전 소프트웨어는 정식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출시되기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제작한 소프트웨어로서, 문제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제작 회사에서 손해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68%)
  • "베타 버전 소프트웨어는 정식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출시되기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제작한 소프트웨어로서, 문제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제작 회사에서 손해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 설명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베타 버전 소프트웨어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제작 회사에서 손해 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베타 버전 소프트웨어는 일종의 시험판으로, 사용자들이 프로그램을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완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베타 버전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웹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로서 프로토콜, 서버주소, 디렉토리, 파일명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메일주소
  2. URL
  3. HTTP
  4. FTP
(정답률: 59%)
  • URL은 웹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로서, 프로토콜, 서버주소, 디렉토리, 파일명 등으로 구성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도 다양하다.
  2. 바이러스는 CD-ROM에 수록된 자료도 손상시킬 수 있다.
  3. 전자우편 등 인터넷을 통한 감염도 일어난다.
  4. 감염된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치료 방법이다.
(정답률: 68%)
  • "바이러스는 CD-ROM에 수록된 자료도 손상시킬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CD-ROM은 읽기 전용으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CD-ROM에 저장된 파일은 수정되거나 손상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CD-ROM에 저장된 파일을 손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은 기본설정(default) 상태에서의 문자 데이터 입력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표현된 것은?

  1. 숫자와 문자가 혼합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문자열로 입력된다.
  2. 문자열이 한 셀의 너비보다 긴 경우 오른쪽의 셀이 비어 있을 때는 연결되어 표시된다.
  3. 한 셀에 두 줄 이상의 문자열을 입력할 때는 [Shift]+[Enter]를 누르고 입력하면 된다.
  4. 문자 데이터는 입력 후 자동으로 왼쪽 정렬된다.
(정답률: 61%)
  • "한 셀에 두 줄 이상의 문자열을 입력할 때는 [Shift]+[Enter]를 누르고 입력하면 된다."가 잘못 표현된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Excel에서는 기본적으로 Enter 키를 누르면 다음 셀로 이동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한 셀에 두 줄 이상의 문자열을 입력하려면 [Shift]+[Enter]를 눌러 줄바꿈을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함수 ‘=ROUNDUP(42.563,2)’의 실행결과로 올은 것은?

  1. 42.56
  2. 42.50
  3. 42.60
  4. 42.57
(정답률: 53%)
  • 정답은 "42.57"입니다.

    ROUNDUP 함수는 인수로 받은 숫자를 지정한 자릿수에서 올림하여 반환합니다. 이 함수에서는 42.563이라는 숫자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올림하므로,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의 숫자 중 가장 작은 자리인 3이 1 올라가서 4가 됩니다. 따라서 결과는 42.5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행과 열을 숨기는 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숨기고자 하는 행 번호를 선택하고 [행 높이] 대화상자에서 0을 입력한다.
  2. 숨기고자 하는 열 문자를 선택하고 [열 너비] 대화상자에서 -100%를 입력한다.
  3. 숨기고자 하는 행 번호를 선택하고 [숨기기]를 클릭한다.
  4. 연속되지 않는 행을 숨기기 위해서는 [Ctrl] 키를 조합하여 선택하고 [숨기기]를 클릭한다.
(정답률: 68%)
  • "숨기고자 하는 열 문자를 선택하고 [열 너비] 대화상자에서 -100%를 입력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열을 숨기기 위해서는 [열 너비] 대화상자에서 0을 입력해야 합니다. -100%를 입력하면 열의 너비가 음수가 되어 열이 반대 방향으로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Shift]+[Tab]을 누르면 셀 포인터는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는가?

  1. 위쪽으로
  2. 아래쪽으로
  3. 왼쪽으로
  4. 오른쪽으로
(정답률: 68%)
  • [Shift]+[Tab]을 누르면 셀 포인터는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이는 탭 키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탭 키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Shift]+[Tab]은 탭 키의 반대 방향인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 시트 그림에서 열 머리글인 A와 B 사이의 열 구분선에서 마우스를 더블 클릭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아무런 변화가 없다.
  2. A2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3. A3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4. A4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정답률: 88%)
  • A와 B 사이의 열 구분선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열의 폭이 자동으로 조절되는데, 이때 A3 셀의 폭 사이즈에 맞게 자동 조절된다. 이는 A3 셀이 해당 열에서 가장 넓은 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과 같이 불연속적인(인접하지 않은) 다수의 셀을 선택하려고 할 때 마우스와 함께 이용되는 키보드의 키는?

  1. [Alt]
  2. [Ctrl]
  3. [Shift]
  4. [Spacebar]
(정답률: 85%)
  • 이 문제에서는 불연속적인 셀을 선택해야 하므로, 마우스로 셀을 클릭하고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셀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Ctrl] 키를 누르면 마우스 클릭으로 선택한 셀을 유지한 채로 다른 셀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tr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그림과 같이 데이터를 입력하여 [A2]와 [A3]을 선택한 후 채우기 핸들 포인터로 [A6]까지 드래그 하였다. [A6]의 값은?

  1. 100
  2. 50
  3. 33
  4. 45
(정답률: 77%)
  • 채우기 핸들 포인터로 [A2]와 [A3]을 선택한 후 드래그하면, [A4]와 [A5]에 각각 100과 50이 복사된다. 그리고 [A6]에는 [A5]와 [A4]의 합인 150이 들어가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33과 45가 있다. 따라서, [A6]의 값은 33과 45의 합인 7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8"이 아닌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작업지의 내용이 많아 셀 포인터를 아래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제목이 보이지 않아 불편을 겪게 된다. 제목은 고정시키고 작업지의 내용만 이동하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보기]-[확대/축소]에서 배율조정
  2. [창]-[틀 고정]을 활용
  3. [창]-[배열]에서 문서 배열
  4. [도구]-[옵션]에서 화면 표시 탭의 설정을 활용
(정답률: 85%)
  • 작업지의 내용을 이동시키면서 제목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창]-[틀 고정]을 활용"해야 한다. 이는 작업지의 특정 영역을 고정하여 스크롤을 내려도 해당 영역은 고정되어 보이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지의 내용을 이동시키면서도 제목을 계속해서 볼 수 있어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래 그림에서 어느 키를 누른 상태에서 [Sheet1] 시트를 드래그하여 놓으면 그 시트를 복사할 수 있는가?

  1. [Ctrl]
  2. [Shift]
  3. [Alt]
  4. [Insert]
(정답률: 79%)
  • 정답은 "[Ctrl]"입니다.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Sheet1] 시트를 드래그하여 놓으면 해당 시트가 복사되어 새로운 시트가 생성됩니다. 이는 [Ctrl] 키를 누르면서 드래그한 대상을 복사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셀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Insert] 키는 삽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이므로, 시트를 복사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쇄할 워크시트의 데이터량이 많아 여백도 조정하고, 용지방향도 바꾸어 보았으나 원하는 쪽 수에 다 인쇄할 수 없었다. 이 경우 원하는 쪽 수에 인쇄할 수 있도록 쪽 설정 대화상자에서 무엇을 조정하면 되는가?

  1. 머리글 편집
  2. 인쇄 품질
  3. 시작 쪽
  4. 자동 맞춤
(정답률: 73%)
  • 자동 맞춤은 페이지의 여백과 줄 간격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원하는 쪽 수에 맞춰 인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인쇄할 워크시트의 데이터량이 많아 여백도 조정하고 용지방향도 바꾸어 보았지만 원하는 쪽 수에 다 인쇄할 수 없을 때, 자동 맞춤을 선택하여 페이지의 여백과 줄 간격을 자동으로 조정하면 원하는 쪽 수에 맞춰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자동 맞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45.445를 입력한 다음에 자릿수 줄임버튼(그림참조)을 두번 눌렀을 때 결과값은?

  1. 45.3
  2. 45.5
  3. 45.4
  4. 45.0
(정답률: 71%)
  • 45.445를 입력한 후 자릿수 줄임버튼을 한 번 누르면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45.4가 되고, 두 번 누르면 더 이상 줄일 자릿수가 없으므로 결과값은 45.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5.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왼쪽 그림은 원래 데이터를, 오른쪽 그림은 정렬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정렬 기준 순서로 옳은 것은?(단 모든 정렬은 오름차순 정렬이다.)

  1. 첫째 기준(부서), 둘째 기준(직위), 셋째 기준(이름)
  2. 첫째 기준(이름), 둘째 기준(직위), 셋째 기준(부서)
  3. 첫째 기준(직위), 둘째 기준(부서), 셋째 기준(이름)
  4. 첫째 기준(부서), 둘째 기준(이름), 셋째 기준(직위)
(정답률: 65%)
  • 정답은 "첫째 기준(부서), 둘째 기준(직위), 셋째 기준(이름)"이다. 이유는 먼저 부서별로 정렬하고, 같은 부서 내에서는 직위별로 정렬하며, 같은 부서, 같은 직위 내에서는 이름별로 정렬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렬하면 부서별로 묶여 있으면서도 직위와 이름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보기 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수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식은 항상 ‘=’ 기호로 시작한다.
  2. 수식에서 참조하는 셀의 값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결과값이 재계산된다.(단, 옵션에서 계산이 자동으로 체크된 경우)
  3. 수식의 결과 값은 수식 입력줄에만 나타난다.
  4. 수식은 연산자, 워크시트 함수, 상수, 셀 참조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84%)
  • 수식의 결과 값은 수식 입력줄에만 나타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수식의 결과 값은 수식이 입력된 셀에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A1 셀에 "=1+2"라는 수식을 입력하면, A1 셀에는 3이라는 결과 값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셀 [A1]에 ‘1’이, 셀 [A2]에 ‘-1’의 값이 있다. 이 값에 따라 [B1]과 [B2] 셀에 각각 ‘양수’, ‘음수’의 값을 넣고자 한다. 다음 함수 사용 중 옳은 방법은?

  1. =IF(A1>0,“양”,“음”)
  2. =IF(A1>0, THEN“양”ELSE“음”)
  3. =IF(A1 IS POSITIVE THEN“양”ELSE“음”)
  4. =IF(A1>0 THEN“양”,“음”)
(정답률: 66%)
  • 정답은 "=IF(A1>0,“양”,“음”)"입니다. 이유는 IF 함수의 구조가 "IF(조건, 참일 때 값, 거짓일 때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1이 0보다 크면 "양"을, 그렇지 않으면 "음"을 출력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상품 가격이 2,500원짜리 물건에 대하여 총 판매액이 1,500,000원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판매수량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유용한 기능은?

  1. 피벗 테이블
  2. 목표값 찾기
  3. 시나리오
  4. 레코드관리
(정답률: 82%)
  • 목표값 찾기는 원하는 결과값을 얻기 위해 필요한 입력값을 찾아내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상품 가격과 총 판매액을 알고 있을 때, 목표값 찾기 기능을 사용하여 판매수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목표한 판매액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판매수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차트에서 설정되지 않은 옵션은?

  1. 범례
  2. 차트 제목
  3. 축 제목
  4. 데이터 이름표
(정답률: 60%)
  • 이 차트에서는 이미 축 제목이 설정되어 있고, 범례와 차트 제목도 표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설정되지 않은 옵션은 "데이터 이름표" 입니다. 데이터 이름표는 각 데이터 포인트의 값을 나타내는 라벨이며, 이 차트에서는 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의 Y축 주 단위는 얼마인가?

  1. 200
  2. 1
  3. 100
  4. 50
(정답률: 80%)
  • Y축의 주 단위는 200이다. 그 이유는 Y축의 눈금이 200, 400, 600, 800, 1000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 단위는 200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Y축의 눈금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차트 작성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의 종류도 수정이 가능하다.
  2. 차트의 제목을 삽입할 수 있다.
  3. 범례는 아래와 오른쪽에만 위치한다.
  4. 데이터의 이름표를 삽입할 수 있다.
(정답률: 79%)
  • "범례는 아래와 오른쪽에만 위치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범례는 차트의 종류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 그래프의 경우에는 그래프 위에 범례를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막대 그래프의 경우에는 그래프 옆에 범례를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범례의 위치는 차트의 종류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부분합 기능에서 사용할 수 없는 함수는?

  1. 표본 분산
  2. 수치 개수
  3. 최대값
  4. 순위
(정답률: 58%)
  • 부분합 기능은 주어진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하는 기능이므로, "순위" 함수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순위 함수는 데이터를 정렬한 후 각 데이터의 순위를 반환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일부분을 더하는 부분합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부분합 기능에서 사용할 수 없는 함수는 "순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사용할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레코드 대화상자에서 ‘3/12’ 표시는 전체 레코드 수에 대한 현재의 레코드 번호를 나타낸다.
  2. 워크시트의 행을 ‘필드’라 하고 열의 내용을 ‘레코드’라 한다.
  3. 선택영역의 첫 행이나 목록을 이름표로 사용한다.
  4. 필드로 사용할 열머리글과 1개 이상의 레코드를 가져야 한다.
(정답률: 50%)
  • "워크시트의 행을 ‘필드’라 하고 열의 내용을 ‘레코드’라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열을 필드(Field)라 하고 행을 레코드(Record)라고 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 "레코드 대화상자에서 ‘3/12’ 표시는 전체 레코드 수에 대한 현재의 레코드 번호를 나타낸다." : 레코드 대화상자에서는 현재 보고 있는 레코드의 번호와 전체 레코드 수를 나타내는 것이 맞다.
    - "선택영역의 첫 행이나 목록을 이름표로 사용한다." : 선택영역의 첫 행이나 목록을 이름표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 "필드로 사용할 열머리글과 1개 이상의 레코드를 가져야 한다." : 필드로 사용할 열머리글과 1개 이상의 레코드를 가져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