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9-28)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비트(bit)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종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65%)
  • 비트(bit)는 0 또는 1의 두 가지 값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종류는 2가지입니다. ["1","2","3","4"] 중에서는 2가지 값이 아닌 다른 값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성능의 데이터 처리나 웹서버용으로 사용되고 주로 RISC 계열의 프로세서(CPU)를 채택하는 컴퓨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팜탑 컴퓨터
  2. 랩탑 컴퓨터
  3. 파워스테이션
  4. 워크스테이션
(정답률: 78%)
  • 워크스테이션은 고성능의 데이터 처리나 웹서버용으로 사용되며, 주로 RISC 계열의 프로세서(CPU)를 채택하는 컴퓨터입니다. 따라서, "워크스테이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윈도우98의 창(윈도우) 구성에서 제어 아이콘에 관한 설명중 거리가 먼것은?

  1. : 창을 현재 크기보다 작게 만든다.
  2. : 창이 전체화면 크기로 커진다
  3. : '전체화면 표시' 단추를 클릭하기 전의 창 크기로 복귀한다.
  4. :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정답률: 87%)
  • " : 프로그램을 종료한다."는 제어 아이콘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기 때문입니다.

    " : 창을 현재 크기보다 작게 만든다."는 창을 최소화하는 기능이 아니라, 창의 크기를 현재 크기보다 작게 조절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은 워드패드의 창을 나타낸 것이다. 작업공간에서 작성한 1번 문장을 2번 문장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필요한 단추는 어느 것인가?

(정답률: 84%)
  • 단추 ""는 편집 메뉴에서 "바꾸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추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클릭하면 현재 문서에서 특정 단어나 구문을 찾아서 다른 단어나 구문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1번 문장을 2번 문장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는 이 단추를 클릭하여 "바꾸기" 창을 열고, "I am a student"를 "I am an AI language model"로 변경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불법적인 접근이나 해커의 공격으로부터 내부의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화벽(firewall)
  2. 라우터(router)
  3. 게이트웨이(gateway)
  4. 스위치(switch)
(정답률: 93%)
  •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접근이나 해커의 공격을 차단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방화벽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모니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화면의 대각선 길이로 나타내며, 단위는 inch이다.
  2. 화면의 둘레 길이로 나타내며, 단위는 inch이다.
  3. 화면의 가로 길이로 나타내며, 단위는 inch이다.
  4. 화면의 세로 길이로 나타내며, 단위는 inch이다.
(정답률: 78%)
  • 화면의 대각선 길이는 모니터의 크기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며, 단위는 inch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길이나 단위로 표시하면 모니터의 크기를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소프트웨어로 분류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컴파일러(compiler)
  2.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3. 어셈블러(assembler)
  4. 링커(linker)
(정답률: 66%)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응용 소프트웨어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스프레드시트는 응용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스템 소프트웨어와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1. IRC
  2. Gopher
  3. WAIS
  4. Archie
(정답률: 54%)
  • IRC는 Internet Relay Chat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프로토콜과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IRC는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 기가 바이트(Giga Byte)는 정확히 몇 바이트(Byte)인가?

  1. 1024 Bytes
  2. 1024 x 1024 Bytes
  3. 1024 x 1024 x 1024 Bytes
  4. 1024 x 1024 x 1024 x 1024 Bytes
(정답률: 68%)
  • 1 기가 바이트는 1024 x 1024 x 1024 Bytes 입니다. 이는 2진수 계산에서 1 기가 바이트가 2의 30승 바이트이기 때문입니다. 2의 10승이 1024이므로, 2의 30승은 1024 x 1024 x 1024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98에서 시스템 종료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작업 표시 줄의 왼쪽 끝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누르고 시작 메뉴에서 [시스템 종료]를 선택하여 정상적인 종료를 하도록 한다.
  2. 바탕 화면에서 <Alt>+<F4> 키를 누르면 나타나는 [Windows 종료] 창에서 [시스템 종료]를 선택하여 정상적인 종료를 하도록 한다.
  3. [Windows 종료] 창에서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 다음 전원을 꺼도 좋다는 메세지가 나타난 후에 시스템의 전원을 내려야 한다.
  4. 재 부팅을 하려면 <Ctrl>+<Alt>+<Delete> 키를 한번 누르면 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재 부팅을 하려면 ++ 키를 한번 누르면 된다." 이다. 이유는 Windows 98에서는 ++ 키를 누르면 시스템이 재부팅되는 것이 아니라, 보안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윈도우 보안 대화상자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을 재부팅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터넷에서 사람이 사용하는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컴퓨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NS 서버
  2. 프록시 서버
  3. 웹 서버
  4. 메일 서버
(정답률: 93%)
  • DNS 서버는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사람이 사용하는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NS 서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윈도우98의 시작단추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시작메뉴에 포함되지 않는 메뉴는?

  1. 프로그램
  2. 문서
  3. 실행
  4. 시스템 시작
(정답률: 78%)
  • "프로그램" 메뉴는 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고, "문서" 메뉴는 최근에 열었던 문서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실행" 메뉴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나는 곳입니다. "시스템 시작" 메뉴는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이 메뉴는 사용자가 직접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이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시작메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웹브라우저 기능 중에서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목록보기
  2. 검색
  3. 즐겨찾기
  4. 새로고침
(정답률: 95%)
  • 즐겨찾기는 자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해두고, 나중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매번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할 필요 없이 즐겨찾기에 저장된 주소를 클릭하여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탕화면에 여러 화면이 펼쳐있을 때 그 중에서 활성화된 창만 캡쳐(Capture)하려고 한다. 사용 단축키는 무엇인가?

  1. [Ctrl]+[C]
  2. [Alt]+[Print Screen]
  3. [Shift]+[Print Screen]
  4. [Ctrl]+[Print Screen]
(정답률: 85%)
  • 정답은 "[Alt]+[Print Screen]"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rint Screen] 단축키는 현재 화면 전체를 캡쳐합니다.
    - [Ctrl]+[Print Screen] 단축키는 현재 화면 전체를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Shift]+[Print Screen] 단축키는 현재 화면 전체 또는 선택한 영역을 캡쳐합니다.
    - [Alt]+[Print Screen] 단축키는 현재 활성화된 창만 캡쳐합니다.

    따라서, 바탕화면에 여러 화면이 펼쳐있을 때 활성화된 창만 캡쳐하려면 [Alt]+[Print Screen] 단축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윈도우 98 운영체제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클릭 하거나 더블 클릭 하여 명령을 수행시켜 보다 쉽게 컴퓨터를 동작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UI(character user interface)
  2. GUI(graphic user interface)
  3. CU(control unit)
  4. POST(power on self test)
(정답률: 74%)
  • GUI는 그래픽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더블 클릭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윈도우 98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더블 클릭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는 방식은 GU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프린터의 인쇄 작업은 컴퓨터의 처리 속도에 비하여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인쇄할 동안 기다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린트할 자료를 일정한 기억 장소에 모아 두었다가 출력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저장 기능
  2. 프린터 기능
  3. 플러그 기능
  4. 스풀링 기능
(정답률: 90%)
  • 스풀링 기능은 프린터의 인쇄 작업을 컴퓨터의 처리 속도와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프린트할 자료를 일정한 기억 장소에 모아 두었다가 출력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인쇄할 때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인쇄 작업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저장 기능", "프린터 기능", "플러그 기능"은 스풀링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기능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네트워크와 IP 노드 수의 빠른 증가로 인해 32비트 IP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128비트 IP주소 체계는?

  1. IPv4
  2. IPv5
  3. IPv6
  4. IPv16
(정답률: 70%)
  • IPv6는 128비트 IP주소 체계로, 네트워크와 IP 노드 수의 빠른 증가로 인해 32비트 IP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IPv6입니다. IPv4는 32비트 IP주소 체계이며, IPv5와 IPv16은 존재하지 않는 IP주소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보조 기억 장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2. 한번 저장된 자료는 전원 공급이 끊기더라도 유지된다.
  3.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에 비해 대용량을 갖는다.
  4. 주기억장치에 비해 가격이 싸다.
(정답률: 66%)
  • "주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보조 기억 장치는 주로 하드 디스크, SSD, USB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느립니다. 이유는 보조 기억 장치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컴퓨터의 연산 속도의 단위를 가장 느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fs → ps → ns → μs → ms
  2. ps → fs → ns → μs → ms
  3. ms → μs → ns → ps → fs
  4. ms → μs → ns → fs → ps
(정답률: 71%)
  • 정답은 "ms → μs → ns → ps → fs"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ms (밀리초) : 1/1000초, 즉 1초를 1000등분한 단위입니다. 컴퓨터에서는 주로 큰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 μs (마이크로초) : 1/1000000초, 즉 1초를 1000000등분한 단위입니다. 컴퓨터에서는 작은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 ns (나노초) : 1/1000000000초, 즉 1초를 1000000000등분한 단위입니다. 컴퓨터에서는 매우 작은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 ps (피코초) : 1/1000000000000초, 즉 1초를 1000000000000등분한 단위입니다. 컴퓨터에서는 초당 수십억 번 이상의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 fs (펨토초) : 1/1000000000000000초, 즉 1초를 1000000000000000등분한 단위입니다. 컴퓨터에서는 초당 수조 번 이상의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위가 가장 느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ms → μs → ns → ps → f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래의 그림과 같이 탐색기에서 Temp 폴더 속에 있는 다른 폴더나 파일들의 전체용량을 알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편집메뉴에서 모두선택 항목을 선택한다.
  2.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도구메뉴에서 폴더옵션 항목을 선택한다.
  3.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팝업메뉴에서 등록정보 항목을 선택한다.
  4. 해당 폴더를 선택하면 탐색기의 상태표시줄에 전체용량이 나타난다.
(정답률: 56%)
  •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팝업메뉴에서 등록정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등록정보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 정보가 나타나며, 이 중에는 폴더의 전체 용량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통해 해당 폴더 속의 다른 폴더나 파일들의 전체 용량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셀에 입력한 문자열의 길이가 셀의 열 너비보다 긴 경우, 다음과 같이 셀에 표시하기 위한 셀 서식의 맞춤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셀 병합
  2. 셀에 맞춤
  3. 텍스트 줄 바꿈
  4. 방향
(정답률: 74%)
  • 셀 병합은 여러 셀을 하나로 합치는 기능이므로 글자가 넘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셀에 맞춤은 글자 크기를 줄이거나 줄 간격을 조절하여 글자를 셀에 맞추는 기능이므로 글자가 넘치는 경우에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방향은 글자의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이므로 이 경우에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글자가 넘치는 경우에는 텍스트 줄 바꿈 기능을 사용하여 셀 안에서 줄을 바꾸어 표시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인쇄할 때 매 페이지마다 같은 행이나 열을 인쇄하려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어느 탭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1. 페이지
  2. 여백
  3. 머리글/바닥글
  4. 시트
(정답률: 59%)
  • 정답은 "시트"입니다.

    "시트" 탭에서는 인쇄할 범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인쇄 범위" 옵션에서 "페이지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이 대화상자에서 "머리글/바닥글" 탭을 선택하면 매 페이지마다 같은 머리글이나 바닥글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쇄 탭"에서 "인쇄 옵션"을 선택하면 "인쇄 시 각 페이지의 내용 반복" 옵션을 선택하여 매 페이지마다 같은 행이나 열을 인쇄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워크시트에서 [A3] 셀에 입력된 =SUM($A$1:$A$2) 수식을 [B3] 셀에 복사하였을 때, [B3] 셀의 계산 결과로 올바른 것은?

  1. 2
  2. 3
  3. 4
  4. 5
(정답률: 58%)
  • 정답은 "3"입니다.

    이유는 수식이 복사되면서 범위가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원래 수식은 A1부터 A2까지의 합을 구하는 것이지만, 복사되면서 B1부터 B2까지의 합을 구하도록 변경됩니다. 따라서 B1과 B2에는 값이 없기 때문에 결과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의 성적 데이터에서 중간시험과 기말시험을 비교하여 기말시험 성적이 향상된 경우에만 향상된 점수의 20%를 가산점으로 주려고 할 때의 [D2] 셀에 입력할 수식으로 올바른 것은?

  1. =(C2-B2)*0.2
  2. =IF(C2-B2>0,20%,0)
  3. =IF(C2-B2>0,(C2-B2)*0.2,0)
  4. =IF(C2-B2>0,0,(C2-B2)*0.2)
(정답률: 66%)
  • 정답은 "=IF(C2-B2>0,(C2-B2)*0.2,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IF 함수를 사용하여 조건문을 만들어줍니다.
    - 조건문은 "기말시험 성적이 향상된 경우" 입니다. 이를 비교하기 위해 C2-B2를 계산합니다.
    - C2-B2가 0보다 크다면, 즉 기말시험 성적이 향상되었다면, (C2-B2)*0.2를 계산하여 20%의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 C2-B2가 0보다 작거나 같다면, 즉 기말시험 성적이 향상되지 않았다면, 가산점을 부여하지 않고 0을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과 같은 상태에서 [삽입]-[워크시트]를 선택하여 새로운 워크시트를 삽입했을 때, 새로 삽입되는 ‘Sheet4’의 삽입 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Sheet1’의 앞
  2. ‘Sheet1’과 ‘Sheet2’의 사이
  3. ‘Sheet2’와 ‘Sheet3’의 사이
  4. ‘Sheet3’의 뒤
(정답률: 62%)
  • [삽입]-[워크시트]를 선택하여 새로운 워크시트를 삽입하면 기존의 워크시트들 사이에 새로운 워크시트가 삽입됩니다. 따라서 ‘Sheet1’과 ‘Sheet2’ 사이에 ‘Sheet4’가 삽입되므로 정답은 "‘Sheet1’의 앞"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래에 주어진 차트에 설정되어 있는 차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그림 영역
  2. 범례
  3. 데이터 레이블
  4. 차트 제목
(정답률: 70%)
  • 정답은 "데이터 레이블"입니다. 데이터 레이블은 차트에서 각 데이터 포인트의 값을 직접 표시하는 것으로, 이 차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워크시트에 분수 1/2이 표시되도록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1/2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른다.
  2. 0.5로 환산하여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른다.
  3. 숫자 0을 입력하고 한 칸 띄운 다음 1/2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른다.
  4. 숫자 0을 입력한 후 붙여서 1/2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른다.
(정답률: 68%)
  • 워크시트에서 분수를 입력할 때는 분자와 분모를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숫자 0을 입력하고 한 칸 띄운 다음 1/2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르면 분자와 분모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분수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계산이나 차트 작성 등에서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수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수식은 항상 ‘=’ 기호로 시작한다.
  2. 기본적으로 수식에서 참조하는 셀의 값이 변경되면 관련 셀의 값은 자동으로 재계산된다.
  3. 기본적으로 수식이 입력된 셀에는 수식이 표시되고 수식의 결과 값은 수식 입력줄에 나타난다.
  4. 수식은 연산자, 함수, 상수, 셀 참조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74%)
  • 수식은 항상 ‘=’ 기호로 시작한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수식은 ‘=’ 기호로 시작하지만, 이것이 항상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5’나 ‘3+4’와 같은 수식은 ‘=’ 기호 없이도 수식으로 인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주어진 수식에 대한 수식의 결과 값이 옳지 않은 것은?

  1. =DAY("2003-11-25") -> 25
  2. =ROUNDUP(15.974,2) -> 15.97
  3. =ABS(15-20) -> 5
  4. =INT(17.125)-> 17
(정답률: 79%)
  • 정답: "=ROUNDUP(15.974,2) -> 15.97" 이 옳지 않음.

    이유: ROUNDUP 함수는 주어진 수를 지정된 자릿수에서 올림한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15.974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15.98이 되어야 하지만, 주어진 정답은 15.97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자동 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필터]-[자동 필터]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2. 첫 번째 행의 각 열에 필터 단추가 표시된다.
  3. 조건을 설정할 열의 필터 단추를 클릭 한 후 원하는 값을 선택하면 해당 값을 가진 데이터만 표시된다.
  4. 사용자 정의 자동 필터를 이용하면 세 개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 ?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6%)
  • 사용자 정의 자동 필터를 이용하면 세 개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 ?를 사용할 수 있다. - 옳은 설명입니다.

    설명: 자동 필터는 데이터의 열에 있는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기능입니다. 첫 번째 행의 각 열에 필터 단추가 표시되며, 조건을 설정할 열의 필터 단추를 클릭 한 후 원하는 값을 선택하면 해당 값을 가진 데이터만 표시됩니다. 사용자 정의 자동 필터를 이용하면 세 개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더욱 정교한 필터링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엑셀에서 지원하는 표준 차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방사형
  2. 가로 막대형
  3. 도표형
  4. 표면형
(정답률: 72%)
  • "도표형"은 엑셀에서 지원하는 표준 차트의 종류가 아닙니다. "도표형"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차트가 아니며, 엑셀에서도 이러한 차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 "도표형"은 데이터를 표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워크시트 화면상에 [Num Lock], [Caps Lock] 등의 키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에 대한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1. 상태 표시줄
  2. 수식 입력줄
  3. 이름 상자
  4. 윗주
(정답률: 70%)
  • 상태 표시줄은 워크시트 화면 하단에 위치하며, [Num Lock], [Caps Lock] 등의 키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명칭이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워크시트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은?

  1. 워크시트#1
  2. 워크시트1
  3. Work-1
  4. Work/1
(정답률: 60%)
  • 워크시트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은 "Work/1"입니다. 이는 슬래시 (/)가 파일 시스템에서 경로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슬래시를 워크시트 이름에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에서 경로를 찾는 데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인쇄시 매 페이지 상단의 가운데에 “매출 실적 분석”이라는 문자열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으로 올바른 것은?

  1. 인쇄영역
  2. 머리글/바닥글
  3. 행/열 머리글
  4. 자동 맞춤
(정답률: 74%)
  • 정답은 "머리글/바닥글"입니다.

    머리글/바닥글 기능은 페이지 상단이나 하단에 고정된 텍스트나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매 페이지 상단의 가운데에 "매출 실적 분석"이라는 문자열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으로 머리글/바닥글 기능을 선택하면 됩니다.

    인쇄영역은 인쇄할 범위를 설정하는 기능이며, 행/열 머리글은 표의 행이나 열에 대한 제목을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자동 맞춤은 인쇄물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셀에 특수 문자 “☏”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한글 “ㅁ”을 입력한 후 [F3] 키를 눌러서 특수문자 목록상자에서 “☏”를 찾아 클릭 한다.
  2. [삽입]-[특수문자입력]을 선택하여 특수문자 목록상자에서 기호 “☏”를 찾아 클릭 한다.
  3. 한글 “ㅁ”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눌러서 특수문자 목록상자에서 “☏”를 찾아 클릭 한다.
  4. 한글 “ㅏ”를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눌러서 특수문자 목록상자에서 “☏”를 찾아 클릭 한다.
(정답률: 87%)
  • 한글 “ㅁ”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눌러서 특수문자 목록상자에서 “☏”를 찾아 클릭 한다. : 한글 입력기에서 한자 모드로 전환하여 특수문자 목록상자에서 원하는 특수문자를 찾아 클릭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차트의 종류로 올바른 것은?

  1. 방사형
  2. 원형
  3. 도넛형
  4. 영역형
(정답률: 79%)
  • 이 차트는 중심에서부터 방사형으로 나가는 막대 그래프로, 각 항목의 크기를 비교하기 용이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차트는 "방사형" 종류의 차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워크시트에서 특정 영역만 인쇄하려고 할 때 제일 먼저 실행해야 하는 기능으로 올바른 것은?

  1. [파일]-[인쇄] 를 선택한다.
  2. 인쇄할 범위를 설정한다.
  3. [파일]-[인쇄 미리보기] 를 선택한다.
  4. [파일]-[페이지 설정] 을 선택한다.
(정답률: 65%)
  • 인쇄할 범위를 설정해야지 원하는 영역만 인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능들은 인쇄 설정을 위한 보조 기능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셀의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키로 올바른 것은?

  1. [F1]
  2. [F2]
  3. [F3]
  4. [F4]
(정답률: 75%)
  • 정답: [F2]

    [F2]는 현재 선택된 셀의 내용을 수정하기 위한 키입니다. 이 키를 누르면 해당 셀의 내용이 편집 모드로 변경되어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셀의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서 [F2]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래의 차트 도구 아이콘을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설명하였을 때에 해당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차트의 개체를 지정한다.
  2. ⓑ 선택된 차트 구성 요소 항목에 대한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3. ⓒ 차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4. ⓓ 제목 표시여부를 설정한다.
(정답률: 69%)
  • 해당 아이콘은 차트 제목의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아이콘입니다. 따라서 "ⓓ 제목 표시여부를 설정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아래 그림과 같이 범위를 설정한 후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D1] 셀까지 드래그 하였을 때 [D1] 셀의 값으로 올바른 것은?

  1. 월요일
  2. 화요일
  3. 수요일
  4. 목요일
(정답률: 49%)
  • 주어진 범위에서 "화요일"이 선택된 셀이 가장 왼쪽 상단에 위치하고,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D1] 셀까지 드래그하면 "화요일"이 모든 셀에 채워지기 때문에 정답은 "화요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