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2-15)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4-02-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처리 속도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ms = 10-3sec
  2. μs = 10-6sec
  3. fs = 10-9sec
  4. ps = 10-12sec
(정답률: 85%)
  • "fs = 10-9sec"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fs는 femtosecond(펨토초)의 약자로, 10의 -15승초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처리 속도가 빠를수록 fs 단위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초당 1조 개의 연산을 처리하는 컴퓨터는 1 fs의 처리 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한글 Windows 98에서의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화면의 등록정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에서는 화면 배색 및 배경 화면을 고칠 수 있다.
  3.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의 설정에서는 색상 및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4.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에서는 마우스 포인터나 커서 모양을 고칠 수 있다.
(정답률: 83%)
  •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에서는 마우스 포인터나 커서 모양을 고칠 수 없다. 이유는 마우스 포인터나 커서 모양은 마우스 드라이버에서 설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원이 끊어져도 저장 데이터는 그대로 보관되는 반도체 메모리로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단말기, 휴대 전화기 등에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는?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2.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3.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4. 다이나믹 메모리(Dynamic Memory)
(정답률: 90%)
  •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로,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단말기, 휴대 전화기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우는데 사용되는 특수한 기술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휴대성이 뛰어나고 전원이 불안정한 기기에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전자우편 : E-mail이라고 하며 다른 인터넷 사용자들과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2. FTP : 파일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파일을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서비스이다.
  3. Telnet :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4. Usenet : 뉴스그룹이라 하고 새로운 뉴스를 주로 취급하며 인터넷 신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뉴스 정보를 의미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Usenet : 뉴스그룹이라 하고 새로운 뉴스를 주로 취급하며 인터넷 신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뉴스 정보를 의미한다." 이다. Usenet은 인터넷 신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분산형 토론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한글 Windows 98의 미디어재생기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는 파일 형태가 아닌 것은?(실제 시험에서는 1,2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처리 합니다.)

  1. GIF
  2. PCX
  3. AVI
  4. WAV
(정답률: 76%)
  • 한글 Windows 98의 미디어재생기는 비디오 파일 형식인 AVI와 오디오 파일 형식인 WAV를 재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CX는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미디어재생기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PCX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컴퓨터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기능이 개인용 컴퓨터보다 한 단계 높으면서 주로 그래픽이나 공학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며 크기는 개인용 컴퓨터 정도인 컴퓨터를 메인 프레임이라 한다.
  2. 슈퍼컴퓨터는 초대형 컴퓨터라고도 하며 인공위성 제어, 기상예측, 시뮬레이션 처리 등 특수 분야에 사용된다.
  3.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컴퓨터이다.
  4. 사회 각 분야에서 광범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 컴퓨터를 범용 컴퓨터라 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기능이 개인용 컴퓨터보다 한 단계 높으면서 주로 그래픽이나 공학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며 크기는 개인용 컴퓨터 정도인 컴퓨터를 메인 프레임이라 한다."가 아닌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컴퓨터이다."입니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범용 컴퓨터와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글 Windows 98의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아이콘은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이다.
  2. 바로 가기 아이콘은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도록 연결(link)만 담당한다.
  3. 프로그램 아이콘을 지워도 프로그램 자체에는 아무 손상이 없다.
  4. 바로 가기 아이콘을 지워도 프로그램 자체에는 아무 손상이 없다.
(정답률: 65%)
  • "프로그램 아이콘은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프로그램 아이콘은 단순히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파일(.exe)을 가리키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아이콘을 지우면 실행 파일을 찾을 수 없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유사시에 대비하여 컴퓨터에서 중요한 자료들을 다른 기억장치에 저장해 놓은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복원
  2. 백업
  3. 저장
  4. 클립보드
(정답률: 86%)
  • 유사시에 대비하여 중요한 자료를 보호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다른 기억장치에 저장해 놓은 것을 백업이라고 합니다. 백업은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데이터 복구를 위한 대비책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컴퓨터 부팅 후, 한글 Windows 98이 시작(Start-up)될 때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게 하려면 실행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어디에 복사해 두면 되는가?

  1. 시작프로그램
  2. 보조프로그램
  3. 즐겨찾기
  4. 설정
(정답률: 82%)
  • 정답은 "시작프로그램"입니다.

    시작프로그램 폴더는 컴퓨터 부팅 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둔 폴더입니다. 이 폴더에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복사해 두면,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따라서, 한글 Windows 98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길 원하는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시작프로그램 폴더에 복사해 두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한글 Windows 98에서 활성 창 닫기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창의 제목 막대 왼쪽에 있는 '제어 메뉴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창이 닫힌다.
  2. 닫기 버튼 (X 표시)을 클릭하면 해당 창이나 대화상자가 닫힌다.
  3. Alt+F4 키를 누르면 현재 작업중인 활성 창이 닫힌다.
  4. Ctrl+Alt+Del 키를 누르면 현재 작업중인 활성 창이 신속히 닫힌다.
(정답률: 66%)
  • "Ctrl+Alt+Del 키를 누르면 현재 작업중인 활성 창이 신속히 닫힌다."가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이유는 Ctrl+Alt+Del 키를 누르면 Windows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며, 여기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창도 신속히 닫힐 수 있다. 다른 방법들은 해당 창의 닫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제어 메뉴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창을 닫는 것이므로, Ctrl+Alt+Del 키를 누르는 것이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글 Windows 98에서 파일 관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폴더 내에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파일을 만들 수 있다.
  2. 폴더 내에 여러 개의 하위 폴더를 만들 수 있다.
  3. 특정 파일을 클릭하면 이에 연결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4.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의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90%)
  • "같은 폴더 내에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파일을 만들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파일 이름은 고유해야 하며, 같은 이름의 파일을 만들 경우 이전 파일이 덮어쓰여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로밍
  2. 푸시
  3. 쿠키
  4. 자바
(정답률: 88%)
  • 위 그림은 쿠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쿠키는 인터넷 사용자가 어떤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그 사이트가 사용하는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추적하거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글 Windows 98의 보조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스템 도구] 메뉴에서 시스템의 유지, 관리 및 최적화를 할 수 있다.
  2. 계산기, 그림판, 메모장, 워드패드 등을 제공한다.
  3. 메모장은 문서편집에서 다양한 단락 서식을 제공한다.
  4. [엔터테인먼트] 메뉴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녹화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메모장은 문서편집에서 다양한 단락 서식을 제공한다."입니다. 이는 틀린 설명입니다. 메모장은 간단한 텍스트 편집기로, 단락 서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Windows 98에서 [시작]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메뉴에서, [문서]는 무엇을 보여주는 메뉴인가?

  1. 최근에 읽었던 문서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2. 한글 Windows 98을 설치한 후 읽었던 파일 목록들을 모두 보여준다.
  3. 인터넷에서 읽었던 문서의 목록만을 보여준다.
  4. [내 문서]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만을 보여준다.
(정답률: 77%)
  • [문서] 메뉴는 최근에 읽었던 문서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이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문서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설명 중 컴퓨터와 외부 장치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인 포트(port)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병렬 포트와 직렬 포트가 있다.
  2. 프린터를 연결할 때 직렬 포트를 많이 사용한다.
  3. PS/2 포트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4. 직렬 포트는 한 번에 한 비트만 전송한다.
(정답률: 43%)
  • "직렬 포트는 한 번에 한 비트만 전송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프린터를 연결할 때 직렬 포트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병렬 포트보다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데이터 전송이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프린터와 같은 외부 장치는 데이터 전송이 중간에 끊어지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송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직렬 포트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스템 구분없이 주변기기를 최대 7개까지 연결할 수 있는 컨트롤러 자체에 프로세서가 장착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

  1. SCSI
  2. IDE
  3. EIDE
  4. VESA
(정답률: 79%)
  • SCSI는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의 약자로,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중 하나입니다. SCSI는 다른 인터페이스와 달리 컨트롤러 자체에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다수의 주변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대 7개까지 연결이 가능하므로 대규모 시스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CSI가 주어진 조건에 가장 적합한 인터페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바이러스로부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요한 데이터 파일은 주기적으로 백업을 받아둔다.
  2. 가능한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불법 복제품은 복사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있다.
  3. 정기적인 바이러스 검사가 필요하며, 인터넷에서 자료를 받으면 반드시 바이러스를 검사한다.
  4. 바이러스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파될 수 있음으로 가급적 공유 폴더를 사용한다.
(정답률: 73%)
  • 공유 폴더를 사용하면 다른 컴퓨터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바이러스로부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공유 폴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나열한 컴퓨터의 종류 중 이동용 컴퓨터라고 보기 어려운 컴퓨터는?

  1. 휴대용(handheld) 컴퓨터
  2. 데스크톱(desktop) 컴퓨터
  3. 노트북(notebook) 컴퓨터
  4. 펜(pen) 컴퓨터
(정답률: 84%)
  • 정답은 "데스크톱(desktop) 컴퓨터"입니다. 데스크톱 컴퓨터는 대부분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휴대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펜 컴퓨터는 모두 이동이 용이한 이동용 컴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터넷상에서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간의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FTP
  2. TCP/IP
  3. SMTP
  4. HTTP
(정답률: 55%)
  •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간의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서버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HTTP는 인터넷상에서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데 필수적인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은 사람에게는 편리하게 사용되지만 컴퓨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로 목적지를 찾아간다.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웹 서버
  2. DNS 서버
  3. FTP 서버
  4. 변환 서버
(정답률: 83%)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는 서로 다른 형식이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이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서버를 DNS 서버라고 합니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과 해당하는 IP 주소를 매핑하여 인터넷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이메일을 보낼 때 DNS 서버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서식]-[스타일]에서 [스타일에 포함할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표시 형식
  2. 테두리
  3. 글꼴
  4. 행 높이 / 열 넓이
(정답률: 69%)
  • "행 높이 / 열 넓이"는 [서식]-[셀 크기]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기 때문에 [서식]-[스타일]에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스타일]은 글꼴, 표시 형식, 테두리 등의 서식을 미리 정해놓은 것이며, 셀 크기와 관련된 항목은 [셀 크기]에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엑셀에서 저장 가능한 파일 형식의 확장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txt : 텍스트 문서
  2. xls : 엑셀 통합 문서
  3. htm : 웹페이지 문서
  4. xlk : 암호화된 통합 문서
(정답률: 65%)
  • xlk는 암호화된 통합 문서가 아니라, 엑셀의 백업 파일 형식입니다. 따라서, "xlk : 암호화된 통합 문서"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셀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왼쪽으로 정렬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Y2K
  2. 99%
  3. 140+20
  4. 15,000원
(정답률: 56%)
  • "15,000원"은 왼쪽으로 정렬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숫자와 특수문자인 "원"이 섞여 있기 때문에 엑셀에서는 일반적으로 숫자로 인식하지 않고 텍스트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왼쪽으로 정렬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Y2K", "99%", "140+20"은 모두 숫자 또는 숫자와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왼쪽으로 정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차트를 둘러싸고 있는 차트 영역과 축으로 둘러진 그림 영역으로 크게 구분할 때, 다음 중 그림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범례
  2. 데이터 이름표
  3. 데이터 계열
  4. 눈금선
(정답률: 54%)
  • 범례는 차트에 사용된 데이터의 의미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림 영역이 아닌 차트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범례"이다. 데이터 이름표, 데이터 계열, 눈금선은 모두 차트 영역 또는 축으로 둘러진 그림 영역에 속하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의 시트 그림에서 열 머리글인 A와 B 사이의 셀 구분선에서 마우스를 더블 클릭 했을 때의 실행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B2] 셀의 너비에 맞게 열너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2. [A2] 셀의 너비에 맞게 열너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3. [A3] 셀의 너비에 맞게 열너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4. [B1] 셀의 너비에 맞게 열너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정답률: 81%)
  • [A3] 셀의 너비에 맞게 열너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더블 클릭을 하면 해당 열의 가장 긴 셀의 너비에 맞게 열의 너비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셀 구분선에서 더블 클릭을 하면 A열과 B열 사이의 열의 너비가 가장 긴 셀의 너비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문서의 왼쪽 머리글로 현재 날짜를 삽입하여 인쇄하기 위해서 명령을 실행한 결과로 [왼쪽 구역(L)]에 입력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날짜]
  2. &[날짜]
  3. *[DATE]
  4. &[DATE]
(정답률: 61%)
  • 정답은 "&[날짜]"입니다.

    "&[날짜]"는 워드에서 제공하는 필드 코드 중 하나로, 현재 날짜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를 문서의 왼쪽 머리글에 삽입하면, 인쇄할 때마다 해당 날짜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출력됩니다. 다른 보기에서 제시된 코드들도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워드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날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B3] 셀의 기본급여를 이용하여, 아래의 조건에 따라서 세금을 계산하고자 하는 수식으로 올바른 것은?

  1. =IF(B3 >= 1000000, B3*0.1, IF(B3 >= 700000, B3*0.08, B3*0.05))
  2. =IF(B3 < 700000, B3*0.5, IF(B3 >= 1000000, B3*1.0, B3*0.8))
  3. =IF(B3 >= 1000000, B3*1.0, IF(B3 >= 700000, B3*0.8, B3*0.5))
  4. =IF(B3 >= 1000000, B3*0.1, B3 >= 700000, B3*0.08, B3*0.05)
(정답률: 56%)
  • 정답은 "=IF(B3 >= 1000000, B3*0.1, IF(B3 >= 700000, B3*0.08, B3*0.05))"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IF 함수를 사용하여 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반환합니다.
    - 첫 번째 조건은 B3가 100만원 이상인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3의 10%를 반환합니다.
    - 두 번째 조건은 B3가 70만원 이상인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3의 8%를 반환합니다.
    - 세 번째 조건은 B3가 70만원 미만인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3의 5%를 반환합니다.
    - 따라서, B3의 값에 따라서 세금을 계산하여 반환하는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연속된 영역의 셀들을 선택할 때와 불연속적인 셀들을 선택할 때, 마우스와 함께 사용되는 키보드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연속 : [Alt], 불연속 : [Ctrl]
  2. 연속 : [Shift], 불연속 : [Ctrl]
  3. 연속 : [Alt], 불연속 : [Shift]
  4. 연속 : [Ctrl] , 불연속 : [Shift]
(정답률: 83%)
  • 정답은 "연속 : [Shift], 불연속 : [Ctrl]" 입니다.

    연속된 영역의 셀들을 선택할 때는 Shift 키를 누른 채로 첫 번째 셀을 클릭한 후, 마지막 셀까지 드래그하면 됩니다. Shift 키를 누르면 첫 번째 클릭한 셀부터 마지막으로 드래그한 셀까지 모든 셀이 선택됩니다.

    반면, 불연속적인 셀들을 선택할 때는 Ctrl 키를 누른 채로 각각의 셀을 클릭하면 됩니다. Ctrl 키를 누르면 선택한 셀들이 모두 선택된 채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연속된 영역의 셀들을 선택할 때는 Shift 키를, 불연속적인 셀들을 선택할 때는 Ctrl 키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셀에만 설정된 서식을 적용한다.
  2. 세 개까지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3. 조건을 적용하는 기준은 셀 값과 수식 중 하나를 선택한다.
  4.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각 조건은 “그리고”, “또는”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정답률: 58%)
  • "세 개까지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각 조건은 “그리고”, “또는”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조건부 서식에서는 여러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조건은 "그리고" 또는 "또는"으로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가 10보다 크고 B가 20보다 작으면 서식을 적용한다"와 같이 두 개의 조건을 "그리고"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파일]-[페이지설정]를 실행하여 설정할 수 있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워크시트 보호 설정
  2. 머리글/바닥글 편집
  3. 용지 여백 조정
  4. 용지 방향 (가로, 세로)
(정답률: 70%)
  • 워크시트 보호 설정은 [파일]-[페이지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 설정은 [검토]-[시트 보호]-[보호 시트]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은 차트를 작성한 후에, 차트 제목을 추가로 입력할 때 실행하는 [차트] 명령으로 올바른 것은?

  1. 차트 종류
  2. 위치
  3. 차트 옵션
  4. 원본 데이터
(정답률: 85%)
  • 정답은 "차트 옵션"입니다.

    차트 옵션은 차트의 세부적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차트의 축 눈금, 레이블, 범례, 데이터 라벨 등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트 제목을 추가하는 것도 차트 옵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셀에 입력된 메모가 항상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삽입]-[메모]를 실행한다.
  2. 메모가 입력된 셀의 [셀 서식]에서 ‘메모 표시’를 선택한다.
  3. 메모가 입력된 셀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단축 메뉴에서 ‘메모 표시’를 선택한다.
  4. [도구]-[옵션]을 선택하여 [화면표시] 탭의 [메모]에서 ‘표시’을 설정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메모가 입력된 셀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단축 메뉴에서 ‘메모 표시’를 선택한다."입니다. 이유는 메모가 입력된 셀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단축 메뉴에 "메모 표시" 옵션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해당 셀에 입력된 메모가 항상 화면에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차트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차트는 2차원과 3차원 차트를 제공한다.
  2. 차트 작성시 다양한 형태의 유형을 혼합하여 작성할 수 있다.
  3. 완성된 차트를 수정할 때 원본데이터만 수정하면 차트내용은 자동으로 수정된다.
  4. 차트 마법사를 실행하기 전에 반드시 데이터 영역을 지정해야 차트가 작성된다.
(정답률: 49%)
  • "차트 마법사를 실행하기 전에 반드시 데이터 영역을 지정해야 차트가 작성된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이는 차트 마법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차트를 작성할 때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차트 마법사를 사용하면 데이터 영역을 지정하지 않고도 차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문자 데이터 입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와 문자가 혼합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문자열로 입력된다.
  2. 문자열이 한 셀의 너비보다 긴 경우 오른쪽의 셀이 비어 있을 때는 연결되어 표시된다.
  3. 한 셀에 두 줄 이상의 문자열을 입력할 때는 [Shift]+ [Enter] 키를 누르고 입력하면 된다.
  4. 문자 데이터는 입력 후 자동으로 왼쪽 정렬된다.
(정답률: 70%)
  • "문자 데이터는 입력 후 자동으로 왼쪽 정렬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문자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왼쪽 정렬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오른쪽 정렬, 가운데 정렬 등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한 셀에 두 줄 이상의 문자열을 입력할 때 [Shift]+[Enter] 키를 누르고 입력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엔터키를 누르면 새로운 셀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Shift]+[Enter] 키를 누르면 같은 셀에서 다음 줄로 이동하면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주어진 수식에 대한 결과가 옳지 않은 것은?

  1. =ROUNDUP(3.2,0) : 3
  2. =LEFT(“Sale Price”,4) : Sale
  3. =ABS(-2) : 2
  4. =MID(“Fluid Flow”,7,20) : Flow
(정답률: 57%)
  • "=MID(“Fluid Flow”,7,20) : Flow"가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MID 함수는 텍스트에서 지정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지정된 문자 수만큼의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하지만 "Fluid Flow"는 총 9글자이므로 7번째 글자부터 20글자를 반환하라는 수식은 "Fluid Flow"의 끝까지 모두 반환하게 됩니다. 따라서 "=MID(“Fluid Flow”,7,20)"의 결과는 "Flow"가 아니라 "Flow" 뒤에 공백이 추가된 "Flow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데이터]-[정렬]을 실행한 후, [옵션] 단추를 눌러 설정할 수 없는 정렬 기준은 어느 것인가?

  1. 사용자 정의 정렬 순서
  2. 날짜/시간 정렬
  3. 문자열 방향
  4. 대/소문자 구분
(정답률: 38%)
  • "날짜/시간 정렬"은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많아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정할 수 없는 정렬 기준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과 같이 학점별 점유율을 [C3:C6] 영역에 계산하기 위해서, [C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려고 할 때, [C2] 셀의 수식으로 올바른 것은?

  1. =B2/B6
  2. =$B$2/$B$6
  3. =$B$2/B6
  4. =B2/$B$6
(정답률: 54%)
  • 정답은 "=B2/$B$6"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B2: 해당 학점의 학생 수
    - B6: 전체 학생 수

    따라서, 해당 학점의 점유율은 해당 학점의 학생 수를 전체 학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해당 학점의 학생 수 / 전체 학생 수"가 됩니다.

    하지만, 이 수식을 채우기 핸들을 이용해 [C3:C6] 영역에 적용하면, 수식에서 참조하는 셀이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C3] 셀에 "=B3/B7" 수식을 입력하면, 채우기 핸들을 이용해 [C4:C6] 영역에 적용하면 "=B4/B8", "=B5/B9", "=B6/B10" 수식으로 자동 변경됩니다.

    따라서, 수식에서 참조하는 셀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대참조 기호($)를 사용하여 수식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적용하면, "=B2/$B$6" 수식이 됩니다. 이 수식을 채우기 핸들을 이용해 [C3:C6] 영역에 적용하면, "=B3/$B$6", "=B4/$B$6", "=B5/$B$6", "=B6/$B$6" 수식으로 자동 변경되지 않고, 올바른 결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셀 주소를 절대주소로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자로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5%)
  • "$"는 셀 주소를 절대주소로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자입니다. 이는 해당 셀 주소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셀 주소 앞에 "$"를 붙이면 해당 셀 주소가 복사되거나 이동되더라도 고정된 주소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1"은 A1 셀의 주소를 절대주소로 표시한 것이며, 이 셀 주소를 복사하여 다른 셀에 붙여넣기를 하더라도 항상 A1 셀을 참조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엑셀에서 작성할 수 없는 차트 종류는 어느 것인가?

  1. 도식형
  2. 도넛형
  3. 원뿔형
  4. 방사형
(정답률: 76%)
  • 도식형은 차트의 종류가 아니라 그래프나 도표를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엑셀에서도 도식형으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셀에 입력된 데이터는 제외하고 서식만 복사하려할 때 사용하는 도구 모음 아이콘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2%)
  • 정답은 ""입니다.

    해당 아이콘은 "서식 복사"를 나타내며, 셀에 입력된 데이터는 제외하고 서식만 복사할 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등과 관련된 아이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