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기상관측법
1. 강수량으로 취급되지 않는 것은?
2. 강수량계 주위에 설치하는 바람막이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 풍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기상전보에서 일반적으로 풍향을 나타내는 방위는?
5. 직달 일사량을 관측할 수 있는 일사계는?
6. 습기흡수로 인한 물리적 차원(physical dimension)의 변화에 의존하여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계가 아닌 것은?
7. 항공기상 관측에서 일기상태가 양호하여 각 기상 요소를 모두 관측할 필요가 없을 때 운항실무자에게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 용어는?
8. 야간 수평시정 관측용으로 일정거리에 시정 목표로서 광원이 있다. 야간시정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9. 대기수상(hydro meteors)이 아닌 것은?
10. 로테이팅 빔 운고계(rotating beam celiometer)는 무엇을 측정하는 측기인가?
11. 고정된 고도각에서 전체 360° 방위각으로 레이더를 스캐닝하여 표출하는 반사도 지시방법은?
12. 기상관측요소와 관측단위의 관계가 틀린 것은?
13. 기상위성의 적외영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고층 관측 시 사용되는 라디오존데 부착용 기구(balloon)에 주로 사용되는 주입가스의 종류는?
15. 수은기압계에 대한 보정 순서로 옳은 것은?
16. 햇무리나 달무리는 어떤 운형의 구름이 있을 때 가장 잘 나타나는가?
17. 증발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8. 황사현상이 나타났을 때 가장 현저하게 변화하는 기상 요소는?
1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20. 기상위성 관측에 사용되는 파장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과목: 대기열역학
21. 대기압이 1000hPa인 지표면 부근에서 1hPa의 층후가 A m라고 한다면, 밀도가 그 1/2정도인 500hPa고도에서 1hPa의 층후는 대략 얼마정도인가?
22. 조건부 불안정에 해당하는 대기의 상태는? (단, γ는 대기의 기온감률이며, Γd, Γs는 각각 건조공기와 습윤공기에 대한 기온감률이다.)
23. 건조대기의 불안정을 표시한 것은? (단, Γ는 주위대기의 기온감률, N은 부력진동수, Γd는 건조단열감률, θ는 온위, z는 연직좌표)
24. 밀도가 1kg/m3인 균질대기에서 1000hPa-500hPa 간의 평균 두께는? (단, 여기서 중력은 10m/s2로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25. 1000hPa면의 공기가 500hPa면의 고도까지 단열적으로 상승하였다. 다음 중 옳은 것은?
26. 건조단열기온감률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g는 중력가속도, CP는 정압비열이다.)
27. 열역학선도(혹은 대기선도)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28. 불포화 상태의 두 공기를 등압 상태에서 혼합할 때, 다음 중 어떠한 결과가 가능한가?
29. Clausius-Clapeyron 방정식이 의미하는 것은?
30. 이상기체의 상태 방정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1. 기체의 정압비열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2. 액체의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될 때, 필요한 잠열(潛熱, latent heat)은?
33. 기온이 20℃일 때 포화수증기압은 23.373hPa 이다. 이 때 상대습도가 60%라면 현재 수증기압은 몇 hPa인가?
34. 상승한 공기덩이가 LCL에 도달한 후 원래의 기압면 고도까지 포화혼합비선을 따라 내려왔을 때의 온도는?
35. 다음 중 온도(기상학적 온도)의 단위를 가지지 않은 것은?
36. 대기 중에서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단, CV: 정적비열, CP: 정압비열, T : 온도, p: 압력, V: 체적, α: 비적)
37. 1 Joule은 약 몇 cal의 열량에 해당되는가?
38. 다음 중 비기체상수가 가장 큰 기체는?
39. 단열선도에 포함되지 않는 선은?
40. 아래 식은 기압과 고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어떤 상태를 가정하고 유도한 것인가? (단, P는 기압, z는 고도, P0는 지상기압, T는 절대온도, R은 공기의 기체상수, g는 중력가속도)
3과목: 대기운동학
41. 다음 그림은 200hPa 고도에서 제트류의 모습이다. 그림의 지점 중에서 음의 와도가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는 곳은?
42. 지표면 근처에서의 수평순환 면적을 A, 이 면적에 대한 적도면 투영 면적을 Ae, 지구자전각속도를 Ω라 할 때, 절대순환과 상대순환의 차는?
43. 북위 30도에 위치한 어떤 공기덩이가 5.0×10-5/s의 절대 소용돌이도를 가지고 있다. 공기덩이가 절대소용돌이도를 보존하면서 북위 90도로 이동하였을 때 갖게 되는 상대소용돌이도는? (단, 북극에서 지구자전에 의한 행성소용돌이도는 1.4×10-4/s)
44. 지균풍(geostrophic wind)의 발산(divergence)은? (단, Ug, Vg는 각각 동서 및 남북방향의 지균풍 성분, a는 지구반경, ø는 위도이다.)
45. 공기덩이를 수직방향으로 δz만큼 이동시켰을 때 이 공기덩이가 받는 가속도는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이 때 N이 나타내는 것은?
46. 대기 순환에서 각운동량은 적도에서 중위도와 극으로 수송된다. 이 때 적도에서 고위도로 수송되는 각운동량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47. 연직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운동학적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무슨 방정식을 사용하는가?
48. 그림과 같이 유체의 흐름방향으로의 단위벡터를 , 이 벡터의 왼쪽으로 직교하는 단위벡터를 , 연직방향의 단위벡터를 , 그리고 곡률반경을 R이라 한다면, 다음 중 수평가속도를 옳게 표시한 것은? (단, V는 유체의 속력을 나타낸다.)
49. 북반구의 상이한 두 등압면 고도를 나타낸 다음 그림 중, 온도풍의 방향은?
50. 아열대성 고기압대에 사막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51. 기압경도력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52. 북반구 중위도 상공에서 그림처럼 기류가 흐르고 있다. A와 C에서의 상대소용돌이도는?
53. 연직운동방정식의 다음 항 중에서 종관규모 운동의 경우에 가장 적은 것은?
54. 그림으로부터 지균풍속을 구하는 공식은? (단, ρ는 대기밀도, Ω는 지구의 각속도, ø는 위도)
55. 가장 지속적인 방향을 가진 바람은?
56. 편서풍대의 제트기류는 보통 어느 정도의 높이에 있는가?
57. 열대성 저기압 시스템의 주된 발달 기구(mechanism)는?
58. 관성류(inertial flow)의 설명 중 틀린 것은?
59. 일반적으로 마찰층의 상부는 어느 고도에 위치하는가?
60. 지구규모운동에서 에디 위치에너지는 어떠한 메카니즘에 의하여 증가되는가?
4과목: 기후학
61.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의 복사에너지의 파장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62. 북반구에서 잠열 생성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63. 일반적으로 태풍이 나타나지 않는 곳은?
64. 고위도에서 태양으로부터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의 양은 지구표면에서 방출하고 있는 지구 복사보다 그 양이 어떠한가?
65.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의 분포 및 변화에 대한설명 중 틀린 것은?
66. 월별 체감기후를 나타내는 클라이모 그래프의 세로축과 가로축에 주어지는 기후 요소는?
67. 기후학(climatology) 및 기후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68. 오호츠크해 기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69. 해양성 기후(oceanic climate)가 나타나는 지역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0. 다음 중 소빙하기(little ice age)로 분류되는 기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1. 몬순(monso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2. 수륙분포가 기후인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3. 다음의 대기 순환 중 수명이 가장 짧은 것은?
74. Köppen의 기후 분류 기호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75. 무상기간(無霜期間, 서리가 없는 기간)에 가장 관계가 깊은 기상 요소는?
76. Köppen의 기후구를 기준으로 할 때 다음 중 그림 Ⓐ역에 해당하는 기후구는?
77. 산맥이 국지기후에 주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8. 세계적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곳은?
79. 열대 습윤 기후의 특징으로서 틀린 것은?
80. Köppen의 기후대 구분 중 무수목기후(無樹木氣候)가 속하는 것은?
5과목: 일기분석 및 예보론
81. 북반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대기 수직 구조에서 O로 표시된 지점에서의 풍향은 어느 방향인가? (단, P, P-1, P-2는 등압면을 의미한다.)
82. 저기압 발생, 발달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보조자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83. 평지에서 기온이 15℃일 때 주위에 높이 1000m인 산이 있다면 정상에서의 기온은 대략 얼마로 예상되는가? (단, 기온감률은 높이 100m당 0.65℃이다.)
84. 여름철 장마전선과 관련성이 큰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특징이 아닌 것은?
85. 상당온도와 기온과의 차는 무엇으로 주어지는가? (단, f: 전향력, CP: 건조공기의 정압비열, γ: 혼합비, R: 로스비 변형반경, L: 증발의 잠열)
86. 다음 수치예보모형 중 측면 경계조건이 불필요한 것은?
87. 한대 제트(polar jet)와 관련된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88. 두 등압면 사이의 두께 즉 층후(thickness)는 그 기층의 어느 요소의 크기와 정비례하는가?
89. 다음 중 날씨변화에 앞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0. 뇌우 예보 시 사용하는 지수가 아닌 것은?
91. 직각 좌표계에서 수평발산(lateral divergence)은 다음 중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가? (단, u와 υ는 각각 x와 y방향의 풍속이다.)
92. 제트류 분석은 주로 어떤 일기도에서 하는가?
93. 일기의 해석 내용이 틀린 것은?
94. 북태평양 고기압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95. 전선의 형성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운동은?
96. 다음 중 풍속이 일정할 때 전향력이 가장 큰 곳은?
97. 국제기상전보식에서 Nddff군의 ff는?
98. 전선 위치 결정의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9. 한 일기도 상에서 두 가지 이상의 등치선을 그려야 할 경우의 순서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00. 다음 중 대기의 내부 요인이 가장 큰 역할을 하는 현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