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8-26)

기상기사
(2017-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상관측법

1. 최고·최저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겸용 최고·최저온도계는 기온의 상승·하강 시 지표의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한 것이 주원리이다.
  2. 분리형 최저온도계는 알코올 속에 지표를 넣어 두어 지표가 표면장력에 의하여 끌려 내려오게 한 것이 원리이다.
  3. 분리형 최저온도계의 복도(reset)는 내려오지 않는 수은을 수은사 부분을 잡고 강제로 강하게 내려 뿌려서 현재 기온으로 한다.
  4. 분리형 최고온도계는 수은을 이용하여 유리봉으로 유점을 만들어 기온이 상승할 때 일방통행으로 상승하게만 만든 것이 주원리이다.
(정답률: 76%)
  • 정답은 "겸용 최고·최저온도계는 기온의 상승·하강 시 지표의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한 것이 주원리이다."이다.

    분리형 최저온도계의 복도(reset)는 내려오지 않는 수은을 수은사 부분을 잡고 강제로 강하게 내려 뿌려서 현재 기온으로 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이는 수은이 끓는 온도인 -38.83℃보다 낮은 온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다.

    겸용 최고·최저온도계는 기온의 상승·하강 시 지표의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한 것이 주원리이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겸용 최고·최저온도계는 두 개의 지표를 사용하여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다.

    분리형 최저온도계는 알코올 속에 지표를 넣어 두어 지표가 표면장력에 의하여 끌려 내려오게 한 것이 원리이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분리형 최고온도계는 수은을 이용하여 유리봉으로 유점을 만들어 기온이 상승할 때 일방통행으로 상승하게만 만든 것이 주원리이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오름(Water spou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기중의 물현상에 속한다.
  2. Cb의 운저로부터 발생된다.
  3. 지면가열로 인한 회오리 바람과 같은 성질로 갖는다.
  4. 기둥이나 깔때기모양으로 보이는 격렬한 회전풍으 가진다.
(정답률: 50%)
  • "지면가열로 인한 회오리 바람과 같은 성질로 갖는다."가 틀린 것이다. 용오름은 대기 중의 물 현상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Cb(Clouds with vertical growth)의 운저로부터 발생한다. 기둥이나 깔때기 모양으로 보이는 격렬한 회전풍을 가지며, 지면가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지 기상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른 천체에서 위성을 보았을 때 정지되어 있다.
  2. 정지 위성 한 개로 지구 전 지역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다.
  3. 위성이 지구의 관측자와 같은 선속도(접선속도)로 회전한다.
  4. 위성의 공전주기가 지구의 자전주기와 일치하고, 위성의 궤도는 지구의 적도면과 일치한다.
(정답률: 75%)
  • 정지 기상위성은 지구의 적도면과 일치하는 궤도를 가지며, 위성의 공전주기가 지구의 자전주기와 일치하기 때문에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한 개의 정지 기상위성으로 지구 전 지역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빗방울이라 함은 대기중을 통하여 떨어지는 직경 몇 mm 이상의 것을 말하는가?

  1. 20 μm 이상
  2. 50 μm 이상
  3. 0.2 mm 이상
  4. 0.5 mm 이상
(정답률: 67%)
  • 빗방울은 대기 중에서 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 이상이어야 중력에 의해 땅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경이 0.5 mm 이상인 것을 빗방울이라고 정의합니다. 20 μm 이상이나 50 μm 이상은 너무 작아서 대기 중에서 떨어지지 않을 수 있고, 0.2 mm 이상은 빗방울보다는 소나기나 비를 뜻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간 시정의 관측에서 목표물의 색깔과 배경에 대한 조건 중 옳은 것은?

  1. 흰색 - 안개
  2. 밝은색 - 안개
  3. 검은색 – 안개 또는 하늘
  4. 밝은색 – 안개 또는 하늘
(정답률: 80%)
  • 주간 시정의 관측에서 목표물의 색깔과 배경에 대한 조건 중 옳은 것은 "검은색 – 안개 또는 하늘"입니다. 이는 검은색이 안개나 하늘과 대조적이기 때문에 목표물을 더욱 뚜렷하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흰색이나 밝은색은 안개나 하늘과 유사한 색상이기 때문에 목표물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위도 지방에서 일반적으로 빙정(氷晶)이 가장 적게 포함된 구름은?

  1. 권운(Ci)
  2. 층운(St)
  3. 고층운(As)
  4. 적란운(Cb)
(정답률: 66%)
  • 중위도 지방에서는 대체로 낮은 고도에서 형성되는 층운(St)이 가장 적게 빙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층운이 대기 중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대기 온도가 높아서 빙점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권운(Ci)과 고층운(As)은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어 대기 온도가 낮아 빙점이 형성되기 쉽고, 적란운(Cb)은 대기 상승과 함께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어 빙점이 많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정관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정관측은 목측이나 자동시정계로 관측한다.
  2. 시정관측은 반드시 경위의를 사용해서 관측한다.
  3. 시정관측은 반드시 망원경을 사용해서 관측한다.
  4. 시정관측은 반드시 쌍안경을 사용해서 관측한다.
(정답률: 89%)
  • 시정관측은 대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하늘의 밝기와 구름의 양 등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목측이나 자동시정계로 관측하는 것이 적합하다. 망원경이나 쌍안경은 시정관측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관측 방법이다. 경위의는 시정관측에서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이지만,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기상 관측 시 운량의 표시방법으로 틀린 것은?

  1. 1/8 ~ 2/8 oktas : SKC(Sky clear)
  2. 3/8 ~ 4/8 oktas : SCT(Scattered)
  3. 5/8 ~ 7/8 oktas : BKN(Broken)
  4. 8/8 oktas : OVC(Overcast)
(정답률: 80%)
  • 운량이 1/8 ~ 2/8 oktas인 경우에는 하늘이 맑은 상태이므로 SKC(Sky clear)로 표시합니다. 이는 하늘이 맑고 구름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다른 운량 범위에는 구름이 일부 있거나 대부분 있거나 전체가 구름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각 SCT, BKN, OVC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바람 관측에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모발
  2. 풍압
  3. 초음파
  4. 가열체 냉각
(정답률: 84%)
  • 모발은 바람 관측에 이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모발이 바람과 관련이 없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바람 관측에 이용되는 것은 대기압(풍압), 초음파, 가열체 냉각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기의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가 틀린 것은?

  1. 뇌전 –
  2. 천둥 –
  3. 극광 –
  4. 세인트 엘모의 불 –
(정답률: 74%)
  • 정답은 "천둥 – "이다. 이 기호는 번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천둥은 "뇌전 – " 기호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알베도(alvedo)측정에 이용되는 일사계는?

  1. 은반 일사계
  2. 수평면 일사계
  3. 스펙트럼 일사계
  4. 옹스트롬(Angstrom) 일사계
(정답률: 75%)
  • 알베도는 표면이 입사한 복사를 얼마나 반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입사한 복사량과 반사된 복사량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 때, 일사계는 표면에 입사한 복사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수평면 일사계는 지표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입사한 복사량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알베도 측정을 위해서는 지표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입사한 복사량을 측정하는 수평면 일사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구름의 분류에 따른 종류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상층운 – Ci, Cs
  2. 중층운 – As, Ac
  3. 하층운 – St, Sc
  4. 수직운 – Cu, Cc
(정답률: 90%)
  • 수직운은 구름의 형태에 따라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구름 내부에서의 상승 기류와 연관된 용어입니다. 따라서, 수직운 – Cu, Cc는 다른 구름의 분류와는 연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라이도존데에서 직접 관측하지 않는 기상요소는?

  1. 기온
  2. 기압
  3. 운량
  4. 습도
(정답률: 87%)
  • 운량은 라이도존데에서 직접 관측할 수 없는 기상요소입니다. 기온, 기압, 습도는 각각 온도계, 기압계, 습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운량은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라이도존데에서는 운량을 직접 관측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층대기 관측장비와 이들 장비가 발사하는 신호를 후방산란시키는 매개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Mie LIDAR - 에어로솔
  2. RASS – 대기분자의 불연속
  3. RADAR – 강수 및 구름입자
  4. SODAR – 대기난류에 의한 음파
(정답률: 72%)
  • RASS는 대기 중의 분자들이 가지고 있는 열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이 장비는 대기 분자들의 열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대기 분자들의 불연속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Mie LIDAR는 에어로솔 입자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RADAR는 강수 및 구름 입자를 감지하는데 사용됩니다. SODAR는 대기난류에 의한 음파를 이용하여 대기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백엽상 주위(노장)에 잔디를 심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먼지가 나지 않도록
  2. 빗물이 튀지 않도록
  3. 일사의 지면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하여
  4. 노장이라는 것을 표시하여 사람의 출입을 막기 위하여
(정답률: 86%)
  • 백엽상 주위에 잔디를 심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일사의 지면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하여입니다. 즉, 햇빛이 지면에 반사되어 눈이 부시고 더운 기온이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잔디를 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압값의 보정 시 관측소의 중력이 표준중력보다 클 때 (A)와 작을 때 (B) 중력 보정값의 가감은?

  1. A : 더한다, B : 더한다.
  2. A : 더한다, B : 감한다.
  3. A : 감한다, B : 감한다.
  4. A : 감한다, B : 더한다.
(정답률: 74%)
  • 기압값은 대기 중의 기체의 질량과 부피에 의해 결정되는데, 중력이 클수록 대기의 질량이 더 많아지므로 기압값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관측소의 중력이 표준중력보다 클 때는 기압값을 더해주어 보정해야 합니다. 반대로 관측소의 중력이 표준중력보다 작을 때는 대기의 질량이 더 적어져 기압값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기압값을 감해주어 보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더한다, B : 감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플러 기상레이더에서 생산되는 원시자료가 아닌 것은?

  1. 강수량
  2. 반사강도
  3. 스펨트럼폭
  4. 도플러 시선속도
(정답률: 64%)
  • 강수량은 도플러 기상레이더에서 직접 측정되는 값이 아니라, 반사강도와 도플러 시선속도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원시자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위성에서 탐지하는 화소의 반경이 4km에서 1km로 향상되었다면 공간 해상도는 몇 배가 향상된 것인가?

  1. 1배
  2. 4배
  3. 8배
  4. 16배
(정답률: 74%)
  • 공간 해상도는 화소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화소의 반경이 4km에서 1km로 줄어들면 해상도는 (4/1)^2 = 16배가 향상된다. 즉, 화소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더 많은 세부 정보를 포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량계(수수구 직경 20cm)로 강우량을 수집한 결과 약 1L의 물을 얻었다. 강우량은 대략 얼마나 되는가?

  1. 1.6mm
  2. 8mm
  3. 32mm
  4. 51mm
(정답률: 64%)
  • 우량계의 수집면적은 πr² 이므로, 반지름이 10cm인 경우 수집면적은 314.16cm²이다. 1L은 1000cm³이므로, 314.16cm²면적에 1000cm³의 물이 차면 높이는 1000/314.16 = 3.183cm가 된다. 이를 mm 단위로 환산하면 31.83mm이므로, 대략 32mm로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뷰포트 풍력계급에서 계급 2(light breez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풍속 1.3 m/s
  2. 풍속 1.8 m/s
  3. 풍속 2.3 m/s
  4. 풍속 2.8 m/s
(정답률: 67%)
  • 뷰포트 풍력계급에서 계급 2(light breeze)는 풍속이 1.6~3.3 m/s인 범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풍속 1.3 m/s"는 계급 2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뷰포트 풍력계급은 풍속에 따라 0~12까지 총 13개의 계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계급은 풍속 범위와 함께 해당되는 풍속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풍속 1.3 m/s"는 계급 2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열역학

21. 다음 선도 중 등온선이 곡선인 것은?

  1. Emagram
  2. Tephigram
  3. Stüve 선도
  4. Clapeyron 선도
(정답률: 58%)
  • 정답은 "Clapeyron 선도"입니다.

    Clapeyron 선도는 등온선이 곡선인 선도로, 대기의 수증기 포화압력과 온도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이 선도는 기압과 수증기 포화압력의 변화에 따른 대기의 수증기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건조공기의 기체상수를 Rd, 수증기의 기체상수를 Rv라고 하면, 는 약 얼마인가?

  1. 0.355
  2. 0.427
  3. 0.622
  4. 1.608
(정답률: 8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압의 고도에 따른 감소율( )을 나타낸 식은? (단, 공기의 평균 분자량, R은 보편 기체상수, g는 중력가속도, T는 기온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이유는 기압의 고도에 따른 감소율 식에서 분자량이 작을수록 감소율이 크기 때문이다. 즉, 대기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작은 수소와 헬륨이 가장 빠르게 감소하고, 분자량이 큰 이산화탄소와 질소는 느리게 감소한다. 따라서 수소와 헬륨이 가장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의 포화수증기압 및 포화수증기밀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화수증기압은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2. 포화수증기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3. 0℃에서 포화수증기압은 약 6.11 hPa 이다.
  4. 과냉각물에 대한 포화수증기압은 같은 온도의 얼음에 대한 포화수증기압보다 작다.
(정답률: 72%)
  • "과냉각물에 대한 포화수증기압은 같은 온도의 얼음에 대한 포화수증기압보다 작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과냉각물은 얼음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이 얼음보다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대기중에서 기압이 P1, P2 인 두 고도면의 층후 즉, 층의 두께는 가온도(또는 온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그 층의 평균 가온도(또는 온도)에 정비례한다.
  2. 그 층의 평균 가온도(또는 온도)에 반비례한다.
  3. 그 층의 평균 가온도(또는 온도)의 제곱에 정비례한다.
  4. 그 층의 평균 가온도(또는 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82%)
  • 기압이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대기는 압축되어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온도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기압감류이론이라고 한다. 따라서 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압축되는 대기의 양이 늘어나므로 평균 가온도(또는 온도)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그 층의 평균 가온도(또는 온도)에 정비례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1g의 공기괴에 대해 420K에서 10cal의 열을 가해 주었다. 엔트로피(entropy)의 변화량(Jg-1K-1)은?

  1. 0.01
  2. 0.1
  3. 10
  4. 100
(정답률: 58%)
  • 열이 가해지면 공기괴 내 분자들의 운동이 더 활발해지고, 이는 엔트로피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양수여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열이 10cal 가해졌으므로, 엔트로피 변화량은 10cal/K이다. 이를 Jg-1K-1으로 변환하면 41.8Jg-1K-1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온이 15℃일 때 상대습도를 구하기 위해 노점온도를 보니 11℃였다. 상대 습도는? (단, 11℃와 15℃에서 포화수증기압을 각각 9.7mmHg와 12.8mmHg 이다.)

  1. 약 63%
  2. 약 66%
  3. 약 73%
  4. 약 76%
(정답률: 56%)
  • 노점온도는 공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생기는 온도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기온이 15℃일 때 노점온도가 11℃이므로, 공기가 포화 상태가 되려면 더 많은 수증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11℃와 15℃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이 각각 9.7mmHg와 12.8mmHg이다. 따라서 노점온도가 11℃일 때의 상대습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노점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 / 기온에서의 포화수증기압 = 상대습도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9.7mmHg / 12.8mmHg = 약 0.758

    따라서 상대습도는 약 7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e-folding 깊이가 5km인 임의의 등온대기의 기온은? (단, 이 행성대기의 기체상수와 중력가속도는 각각 150 JK-1kg-1와 8ms-2 이다.)

  1. -6.3℃
  2. 3.75℃
  3. 6.0℃
  4. 33.0℃
(정답률: 52%)
  • e-folding 깊이가 5km이므로, 대기의 압력이 1/e(약 0.37)로 감소하는 높이는 5km이다. 이를 이용하여 대기의 평균 온도감소율을 구할 수 있다.

    ΔT/Δz = -g/cp = -8/150 = -0.0533 K/m

    따라서, 5km의 높이에서의 온도감소는 다음과 같다.

    ΔT = (-0.0533 K/m) x (5000 m) = -266.5 K

    즉, 5km 높이에서의 온도는 지표면 온도보다 266.5K 낮다. 이를 섭씨로 변환하면 -266.5℃이다. 하지만 이는 대기의 평균 온도감소율을 가정한 값으로, 실제로는 대기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6.3℃"이 아닌 다른 값들은 모두 틀린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포화단열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가역과정
  2. 등온과정
  3. 등적과정
  4. 비가역과정
(정답률: 72%)
  • 가역과정은 역방향으로 진행할 때 시스템과 주변 환경의 상태가 변하지 않는 과정을 말합니다. 포화단열과정은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가스나 액체의 부피를 줄이는 과정으로, 가역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역과정"이 적절한 답입니다. 등온과정은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열이 전달되는 과정, 등적과정은 부피가 일정한 상태에서 압력이 변하는 과정, 비가역과정은 역방향으로 진행할 때 시스템과 주변 환경의 상태가 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건조단열감율은 어느 식으로부터 유도되는가?

  1. 상태 방정식과 정역학 방정식
  2. 정역학 방정식과 연속 방정식
  3. 연속 방정식과 열역학 제1법칙
  4. 정역학 방정식과 열역학 제1법칙
(정답률: 64%)
  • 건조단열감율은 정역학 방정식과 열역학 제1법칙으로부터 유도됩니다. 정역학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이며,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서, 에너지는 변하지 않고 전환만 가능하다는 원리를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원리를 이용하여 건조단열감율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기의 기온 감률에 관계없이 공기층이 상승하여 포화된 후 안정한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대류안정
  2. 잠재안정
  3. 절대안정
  4. 위잠재안정
(정답률: 84%)
  • 대류안정은 초기 기온 감률과는 관계없이 공기층이 상승하여 포화된 후 안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안정 상태이며, 대류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대류안정이라는 용어가 선택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위단열(pseudo adiabatic)팽창을 할 경우 온위는?

  1. 보존된다.
  2. 증가한다.
  3. 감소한다.
  4.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정답률: 58%)
  • 위단열 팽창을 할 경우, 기체가 외부와 열교환이 없으므로 엔트로피가 보존된다. 따라서, 기체의 온도는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기체가 팽창하면서 부피가 증가하므로 기체 내부의 압력과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게 되어 온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부피가 증가하면서 압력과 밀도가 감소하므로 온도는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온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0℃에서 수증기압이 9hPa일 때 수증기의 밀도(kg·m-3)는? (단, 보편기체상수 = 8.314 Jmol-1K-1)

  1. 6.67
  2. 6.67 × 10-1
  3. 6.67 × 10-2
  4. 6.67 × 10-3
(정답률: 63%)
  • 먼저, 수증기압이 9hPa는 9 × 102 Pa를 의미합니다. 이때,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증기의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보편기체상수,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수증기의 밀도는 몰수와 부피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ρ = n/V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수증기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식을 변형할 수 있습니다.

    ρ = (P/RT)

    여기서, 온도는 섭씨온도이므로 20℃를 켈빈온도로 변환해줍니다.

    T = 20 + 273.15 = 293.15 K

    따라서, 수증기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ρ = (9 × 102 Pa) / (8.314 Jmol-1K-1 × 293.15 K) = 0.00334 kg·m-3

    이를 유효숫자 두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6.67 × 10-3 kg·m-3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유효숫자 세 자리까지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를 유효숫자 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6.67 × 10-3 kg·m-3이 됩니다. 이를 지수표기법으로 나타내면 6.67 × 10-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67 × 1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압비열 Cp 일 때 정적비열 Cv의 값은?

  1. R
(정답률: 84%)
  • 정적비열 Cv는 정압비열 Cp와 기체의 몰 수용량 R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Cv = Cp - R 이 됩니다. 보기에서 R은 상수이므로, Cv는 Cp가 주어졌을 때 항상 일정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압비열 Cp 일 때 정적비열 Cv의 값은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kew T – log P 단열선도에 표시되어 있는 등치선만을 나열해 놓은 것은?

  1. 등고선, 등비적선, 등온선, 등온위성
  2. 등압선, 등온선, 건조단열선, 포화혼합비선
  3. 등풍향선, 등압선, 등강수량선, 건조단열선
  4. 건조단열선, 습윤단열선, 등풍속선, 등습도선
(정답률: 89%)
  • Skew T – log P 단열선도는 대기의 수직 구조와 열역학적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등치선은 같은 값을 가지는 선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등압선, 등온선, 건조단열선, 포화혼합비선이 포함된다.

    - 등압선: 같은 기압에서의 온도를 나타내는 선으로, 대기의 수평 구조를 보여준다.
    - 등온선: 같은 온도를 가지는 선으로, 대기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건조단열선: 건조한 공기가 상승할 때 일어나는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선으로, 대기의 수직 구조와 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포화혼합비선: 대기 중의 수증기와 건조한 공기의 혼합비를 나타내는 선으로, 상승하는 공기가 포화되면 이 선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등압선, 등온선, 건조단열선, 포화혼합비선은 Skew T – log P 단열선도에서 가장 중요한 등치선으로 나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압이 1000 hPa이고 기온이 10℃인 공기덩이의 비체적(specific volume)은? (단, 비기체 상수는 287 J kg-1K-1 이다.)

  1. 0.01 m3/kg
  2. 0.10 m3/kg
  3. 0.812 m3/kg
  4. 8.12 m3/kg
(정답률: 70%)
  • 비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pecific volume = (기체 상수 x 기온) / 기압

    = (287 J kg-1K-1 x 10℃) / 1000 hPa

    = (287 J kg-1K-1> x 283.15 K) / 100000 Pa

    = 0.0812 m3/kg

    따라서, 정답은 "0.812 m3/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습윤단열과정(most adiabatic process)과 위단열과정(pseudo-adiabatic proces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제 대기는 습윤단열과정과 위단열과정의 중간 과정에 있다.
  2. 위단열과정은 건조급, 성우급, 성설급의 3단계로 나뉜다.
  3. 습윤단열과정은 응결한 수분이 즉시 낙하해 버리는 가역과정이다.
  4. 위단열과정은 응결한 수분이 즉시 낙하해 버리는 비가역과정이다.
(정답률: 67%)
  • "습윤단열과정은 응결한 수분이 즉시 낙하해 버리는 가역과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습윤단열과정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면서 팽창하면서 냉각되는 과정입니다. 이 때, 상승한 공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응결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방출되어 공기가 더욱 냉각됩니다. 따라서, 응결한 수분이 즉시 낙하해 버리는 가역과정이 아니라, 열이 방출되어 냉각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열역학 제1법칙을 나타낸 식은? (단, P는 압력, α는 비체적, R은 비기체상수, T는 온도, △W는 단위질량당 한 일, △U는 단위질량당의 내부에너지, △Q는 단위질량당 가해진 열량, V는 부피, m은 분자량, Cv는 정적비열이다.)

  1. V = mα
  2. Pα = RT
  3. △U = Cv△T
  4. △Q = △U + △W
(정답률: 75%)
  •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닫힌 시스템에서 열과 일의 전달로 인해 시스템 내부의 에너지가 변화할 때, 그 변화량은 전달된 열과 일의 합과 같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Q = △U + △W 식은 열역학 제1법칙을 나타내는 식으로, 시스템 내부의 에너지 변화량(△U)과 시스템이 한 일(△W)의 합이 전달된 열(△Q)과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체상수가 189.0 JK-1kg-1인 기체의 분자량(kg kmol-1)은 대략 얼마인가? (단, universal gas constant는 8.3143 ×103 J kmol-1K-1 이다.)

  1. 11
  2. 22
  3. 44
  4. 88
(정답률: 61%)
  • 기체상수(R)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R = (universal gas constant) / (분자량)

    따라서, 분자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분자량 = (universal gas constant) / (기체상수)

    분자량 = 8.3143 ×103 J kmol-1K-1 / 189.0 JK-1kg-1

    분자량 = 44.0 kg kmol-1

    따라서, 정답은 "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습윤공기의 상태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변수는?

  1. 기압
  2. 가온도
  3. 포화수증기압
  4. 건조공기의 기체상수
(정답률: 49%)
  • 습윤공기의 상태방정식은 기압, 가온도, 상대습도, 포화수증기압 등 여러 변수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포화수증기압은 다른 변수들과 달리 공기의 상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포화수증기압은 단지 공기 중의 수증기 분자가 포화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압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공기의 상태에 따라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화수증기압은 습윤공기의 상태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운동학

41. 다음 중 남북 방향의 대기 대순환에서 가장 뚜렷한 부분은?

  1. 극세포
  2. 적도세포
  3. 페렐세포
  4. 해들리세포
(정답률: 88%)
  • 정답은 "해들리세포"입니다.

    해들리세포는 북극과 남극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 대순환의 일부분으로, 이 지역에서는 고기압이 형성되어 대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이에 따라 북극과 남극 지역에서는 고기압이 지속되며, 이로 인해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흐르고 따뜻한 공기가 북쪽으로 흐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북극과 남극 지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해들리세포가 남북 방향의 대기 대순환에서 가장 뚜렷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한랭이류가 나타날 수 있는 경우는?

  1. 850 hPa 남서풍, 700 hPa 서풍
  2. 850 hPa 북동풍, 700 hPa 동풍
  3. 850 hPa 남동풍, 700 hPa 남남동풍
  4. 850 hPa 북서풍, 700 hPa 서북서풍
(정답률: 71%)
  • 한랭이류는 대기 중에서 상승기류와 함께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기가 상승하면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850 hPa와 700 hPa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바람이 부는 경우, 대기가 상승하면서 기온이 낮아져 한랭이류가 발생할 수 있다. "850 hPa 북서풍, 700 hPa 서북서풍"은 서로 다른 방향의 바람이 부는 조건을 만족하므로, 한랭이류가 나타날 수 있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반경이 r인 원 주위를 Ω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유체의 순환(Circulation)은?

  1. Ωπr
  2. 2Ωπr2
  3. 4Ωπr2
(정답률: 89%)
  • 순환은 유체가 회전하는 동안 일어나는 현상으로, 유체의 속도와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반경이 r인 원 주위를 회전하는 유체의 순환을 구하는 것이므로, 유체의 속도는 반지름이 r인 원 주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은 유체의 속도와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에 비례한다. 유체의 속도는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더 빠르게 회전하므로, 순환은 반지름이 r인 원 주위에서 가장 크다.

    순환은 유체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부호가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이라고 가정하므로, 순환은 음수가 된다.

    따라서, 순환은 -2Ωπr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양수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2Ωπr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균풍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등압선이 직선인 곳에서 나타나는 바람이다.
  2. 같은 기압경도력인 경우, 저위도로 갈수록 지균풍은 보다 강해진다.
  3. 북반구에서의 지균풍은 저기압을 왼쪽에 두고 등압선에 평행하게 분다.
  4. 마찰이 있는 상태에서 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이 균형을 이룰 때 부는 바람이다.
(정답률: 64%)
  • 마찰이 있는 상태에서 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이 균형을 이룰 때 부는 바람이 맞는 설명입니다. 지균풍은 등압선이 직선인 곳에서 나타나는 바람이며, 같은 기압경도력인 경우 저위도로 갈수록 강해지는 것이 맞습니다. 북반구에서의 지균풍은 저기압을 왼쪽에 두고 등압선에 평행하게 분다는 것은 남반구에서의 지균풍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한 점에서 기온감률이 증가하는 경우는?

  1. 상층이 가열되고 하층이 냉각될 경우
  2. 상승속도가 고도에 따라 줄어드는 경우
  3. 하층에 온난이류, 상층에 한랭이류가 있는 경우
  4. 하층에 한랭이류, 상층에 온난이류가 있는 경우
(정답률: 72%)
  • 하층에 온난이류, 상층에 한랭이류가 있는 경우는 대기가 안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상층에서는 냉각되고 하층에서는 가열되는 기온감률이 증가합니다. 이는 대기가 수직적으로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의 상승과 하강이 일어나지 않아서 기온감률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700 hPa 이하의 고도에서 저기압 쪽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가는 가장 가까운 이유는?

  1. 지구자전
  2. 지표면의 마찰
  3. 공기밀도의 차
  4. 코리올리스 인자
(정답률: 71%)
  • 700 hPa 이하의 고도에서는 대기의 밀도가 높아서 공기 분자들이 서로 더 많이 부딪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표면과의 마찰이 증가하게 되어 바람이 저기압 쪽으로 불어들어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표면의 마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운동방정식을 이루는 다음 항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항은?

  1. 중력
  2. 마찰력
  3. 전향력
  4. 수평기압경도력
(정답률: 67%)
  • 운동방정식에서 규모가 가장 큰 항은 "중력"입니다. 이는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여 작용하며, 모든 물체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힘입니다. 따라서 중력은 운동방정식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북반구의 상층일기도에서 기압골과 능의 축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순 각운동량의 운송 방향은?

  1. 남쪽
  2. 북쪽
  3. 남서쪽
  4. 북동쪽
(정답률: 77%)
  • 기압골과 능의 축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이는 북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따라서, 순 각운동량의 운송 방향은 북쪽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상대와도( )와 순환(C)의 관계를 적절하게 표현한 식은? (단, A는 순환이 일어나는 임의 폐곡선의 면적이다.)

(정답률: 76%)
  • 상대와 순환은 스토크스 정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 F · dr = ∬A (∂F2/∂x - ∂F1/∂y) dA

    여기서 F는 벡터장, C는 폐곡선, A는 C를 둘러싸는 영역이다. 이 식에서 ∮C F · dr는 C를 따라 F의 선적분이고, ∬A (∂F2/∂x - ∂F1/∂y) dA는 A에서 F의 발산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상대와 순환은 스토크스 정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면좌표계(spherical coordinate)에서의 운동방정식을 대규모 공기의 운동에 적용하면 수직가속도 성분과 코리올리항을 무시할 수 있는데 이 때 얻을 수 있는 기본 방정식은?

  1. 연속 방정식
  2. 상태 방정식
  3. 에너지 방정식
  4. 정역학 방정식
(정답률: 80%)
  • 구면좌표계에서의 운동방정식은 운동량 보존법칙과 모멘트 보존법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모멘트 보존법칙은 수직가속도 성분과 코리올리항을 고려해야 하지만, 대규모 공기의 운동에서는 이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량 보존법칙만을 고려한 기본 방정식인 정역학 방정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은 질량, 속도, 압력, 중력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유체의 운동을 기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라니냐와 관련된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무역풍의 약화와 관련되어 있다.
  2. 서태평양에서의 기압이 높아진다.
  3. 동태평양에서의 대류활동이 강화된다.
  4. 서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증가한다.
(정답률: 80%)
  • 서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증가하는 이유는 "동태평양에서의 대류활동이 강화된다"입니다. 이는 엘니뇨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동태평양에서의 대류활동이 강화되면 열이 서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수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또한 무역풍의 약화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북반구에서 연직방향의 운동을 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의 전향가속도(Coriolis acceleration)는?

  1. 남북 방향의 가속도가 생긴다.
  2. 동서 방향의 가속도가 생긴다.
  3. 연직 방향의 가속도가 생긴다.
  4. 전향가속도는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61%)
  • 정답은 "동서 방향의 가속도가 생긴다."입니다.

    북반구에서 연직방향으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의 전향가속도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북극과 남극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습니다. 이 때, 연직방향으로 운동하는 물체는 지구의 회전운동에 의해 동서 방향으로 편향되는 힘을 받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전향가속도입니다. 따라서, 북반구에서 연직방향으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의 전향가속도는 동서 방향의 가속도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요소는?

  1. 온도 이류
  2. 중력가속도
  3. 지오포텐셜
  4. 코리올리인자
(정답률: 71%)
  •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은 대기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으로, 대기의 운동과 관련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온도 이류"는 대기의 열적인 특성과 관련된 요소로, 대기의 열역학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요소는 "온도 이류"입니다. 반면에, "중력가속도", "지오포텐셜", "코리올리인자"는 대기의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경압대기의 성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발산이 존재한다.
  2. 등압면과 등온면이 교차한다.
  3. 등압면과 등온면이 평행한다.
  4. 지균풍이 높이에 따라 변화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등압면과 등온면이 평행한다."입니다.

    경압대기는 대기가 수직적인 압력차에 의해 움직이는 상태가 아니라, 수평적인 압력차에 의해 움직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등압면과 등온면이 평행하게 움직입니다.

    따라서, 등압면과 등온면이 교차하거나 지균풍이 높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경압대기의 성질에 속하는 것입니다. 발산이 존재하는 것도 경압대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기중 로스비파(Rossby Wave) 유지에 중요한 기구는?

  1. 중력
  2. β - 효과
  3. 대기 안정도
  4. 지구 회전력
(정답률: 68%)
  • 대기 중 로스비파 유지에 중요한 기구는 β - 효과입니다. 이는 지구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코리올리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β - 효과는 지구의 회전에 의해 대기 중의 공기가 북쪽과 남쪽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으로, 이는 로스비파의 생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β - 효과는 대기 안정도와는 관련이 없으며, 중력과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코리올리 힘이 작용하지 않는 바람은?

  1. 온도풍(Thermal wind)
  2. 경도풍(Gradient wind)
  3. 지균풍(Geostropic wind)
  4. 선형풍(Cyclostrophic wind)
(정답률: 62%)
  • 코리올리 힘은 지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며, 이 힘이 작용하려면 바람의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바람의 속도가 적은 경우에는 코리올리 힘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가 지배적인 기압경도력과 중심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를 선형풍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풍속장(Wind field)을 아래 그림과 같이 유선으로 나타내었을 때 다음 중 어느 것과 가장 관계가 깊은가?

  1. 와도(vorticity)
  2. 발산(divergence)
  3. 변형(deformation)
  4. 병진 운동(translation)
(정답률: 67%)
  • 풍속장은 대기의 운동을 나타내는데, 변형은 풍속장 내에서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대기의 수평적인 압축 또는 팽창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풍속장 내에서 변형이 크게 일어나면 대기의 수평적인 압축 또는 팽창이 크게 일어나는 것이므로, 변형과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정상적인 사이클론성 흐름에서 지균풍과 경도풍의 크기를 서로 비교해 보면?

  1. 경우에 따라서 달라진다.
  2. 지균풍이 경도풍보다 강하다.
  3. 지균풍이 경도풍보다 약하다.
  4. 지균풍과 경도풍은 서로 같다.
(정답률: 63%)
  • 지균풍은 적도에서 발생하고, 경도풍은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강해진다. 따라서 정상적인 사이클론성 흐름에서는 지균풍이 경도풍보다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기가 순압대기라고 할 때 공기덩어리가 적도에서 극 쪽으로 이동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

  1. 상대와도는 감소한다.
  2. 상대와도는 증가한다.
  3. 절대와도는 감소한다.
  4. 절대와도는 증가한다.
(정답률: 54%)
  • 대기가 순압대기일 때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덩어리가 적도에서 극 쪽으로 이동하면 고도가 높아지면서 기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상대와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중위도 저기압 시스템의 주된 발달기구(mechanism)는?

  1. 에디 운동 에너지
  2. 수증기 응결에 의한 잠열 방출
  3. 비균질 가열에 의한 에디 위치 에너지
  4. 비균질 가열에 의한 동서 평균 위치 에너지
(정답률: 54%)
  • 중위도 저기압 시스템은 대기의 수직적인 움직임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대기의 상승 기류와 함께 발생하며, 이 기류는 대기의 상승과 함께 비균질한 가열을 유발합니다. 이 비균질한 가열은 대기의 위치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에디 운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중위도 저기압 시스템의 주된 발달기구는 "비균질 가열에 의한 에디 위치 에너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후학

61.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몬순현상의 원인은?

  1. 편서풍의 강도변화
  2.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
  3.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4. 여름과 겨울의 태양복사에너지의 차
(정답률: 70%)
  •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몬순현상은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해안 지역의 해수면이 대륙보다 더 많이 가열되어 공기가 상승하고, 대륙은 더 높은 압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바다에서 대륙으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 겨울에는 대륙이 냉각되어 공기가 무거워지고, 해안 지역의 해수면은 여전히 따뜻합니다. 이로 인해 대륙에서 바다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러한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로 인해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탄소 저장소 상호 간에 탄소의 교환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은?

  1. 대기 - 식생
  2. 대기 - 해양
  3. 토양 - 대기
  4. 해양 – 퇴적물(암)
(정답률: 68%)
  • 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탄소를 유기물에 저장합니다. 이렇게 저장된 탄소는 식물이 죽거나 분해되면 대기로 방출됩니다. 따라서 대기와 식생 간에는 탄소의 교환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엘리뇨 현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중위도에 로스비파 발생
  2. 적도 동·중앙 태평양에서 편동풍의 강화
  3. 적도 동·중앙 태평양에서 적운의 활동 증가
  4. 적도 동·중앙 태평양에 양의 해수온 아노말리 증가
(정답률: 71%)
  • 엘리뇨 현상은 태평양의 열대 지역에서 해수면 온도가 정상보다 높아지는 현상으로, 적도 동·중앙 태평양에서 편동풍의 강화는 엘리뇨 현상과 관련이 없는 현상입니다. 엘리뇨 현상은 적도 동·중앙 태평양에서 적운의 활동 증가와 양의 해수온 아노말리 증가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우리나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단은?

  1. mE
  2. mP
  3. cT
  4. cA
(정답률: 67%)
  • 정답인 "cA"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단이기 때문입니다. "mE"는 환경 문제와 관련된 기단이고, "mP"는 정치 문제와 관련된 기단입니다. "cT"는 경제 문제와 관련된 기단이며, "cA"는 예술과 문화와 관련된 기단입니다. 따라서 "cA"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동서지수(Zonal Index)가 클 때 알맞은 기후특성은?

  1. 편서풍이 약하다.
  2. 남북 온도차가 작다.
  3. 기단의 남북교루가 적다.
  4. 저지(Blocking)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정답률: 49%)
  • 동서지수가 클 때는 기단의 남북교루가 적다는 것이 알맞은 기후특성이다. 이는 동서풍이 강하게 불어서 기단이 북쪽과 남쪽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고 서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북 온도차가 작아지고, 편서풍이 약해지며, 저지(Blocking)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한랭다습하고 지표보다 차며 불안정한 기단은?

  1. mTws
  2. mTwu
  3. mPks
  4. mPku
(정답률: 72%)
  • "mPku"는 저기압(mP)이고, 한랭다습하고 지표보다 차며 불안정한 기단을 나타내는 "ku"는 상층의 차가운 공기와 저층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Pku"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쾨펜(Köppen)의 기후 기호와 그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A : 열대기후
  2. B : 지중해성 기후
  3. C : 온대기후
  4. E : 한 대기후
(정답률: 68%)
  • 쾨펜 기후 분류에서 B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며, 주로 겨울에 강수량이 많고 여름에는 거의 비가 오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B 기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연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의 비(比)는?

  1. 건조한계
  2. 온량지수
  3. 추위지수
  4. 우량계수
(정답률: 68%)
  • 연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은 지역의 기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두 지표는 서로 연관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연 강수량이 많을수록 연평균 기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관성을 수치화한 것이 바로 우량계수입니다. 우량계수는 연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의 비율로 계산되며, 이 값이 높을수록 지역의 기후가 건조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연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의 기후를 파악하고자 할 때 우량계수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온실기체 중 같은 양이 같은 기간에 존재할 경우 온실효과가 가장 큰 것은?

  1. 메탄
  2. 육불화황
  3. 이산화탄소
  4. 아산화질소
(정답률: 60%)
  • 같은 양이 같은 기간에 존재할 경우 온실효과가 가장 큰 기체는 온실효과 기여도가 가장 큰 기체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 육불화황이 가장 큰 온실효과 기여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실효과가 가장 큰 것입니다. 육불화황은 이산화탄소보다 23배, 메탄보다 296배, 아산화질소보다 5350배 더 강한 온실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육불화황 분자가 매우 크고 복잡하며, 자외선을 흡수하는 파장대가 다른 기체들보다 더 넓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클라이모그래프(climograph)는 어느 요소들의 월평균 값을 이용한 그래프인가?

  1. 기온과 기압
  2. 기온과 바람
  3. 기온과 습도
  4. 기온과 일사량
(정답률: 79%)
  • 클라이모그래프는 기온과 습도의 월평균 값을 이용한 그래프이다. 이는 지역의 기후를 파악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이다. 기온은 지구상의 대기와 해수면의 열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 양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요소를 이용하여 지역의 기후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극기후(EF)는 최난월(最暖月)의 평균 기온이 몇 도인 등온선이 한계가 되는가?

  1. +5℃
  2. +2℃
  3. 0℃
  4. -5℃
(정답률: 63%)
  • 극기후(EF)는 최난월(最暖月)의 평균 기온이 0℃ 이하인 등온선이 한계가 되기 때문에 정답은 "0℃"이다. 즉, 이 이상으로 기온이 상승하면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내리고 해빙이 발생하여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후빙기에 있었던 기후의 최적기(climate optimu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약 6000년 전의 기후이다.
  2. 초기 구석기 시대에 해당한다.
  3. 현재의 연평균 기온보다 1~3℃ 높았다.
  4. 후빙기 고온기(postglacial hypsithemal age)라고 부른다.
(정답률: 67%)
  • 정답은 "초기 구석기 시대에 해당한다."이다. 후빙기의 최적기는 약 6000년 전에 있었으며, 이는 초기 농업과 도시 문명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초기 구석기 시대는 이전에 해당하는 시기로, 후빙기의 최적기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적도 무풍대의 평균적인 위치는?

  1. 0° ~ 5°N
  2. 0° ~ 5°S
  3. 5°N ~ 5°S
  4. 10°N ~ 5°S
(정답률: 60%)
  • 적도 무풍대는 태양 복사량이 가장 많은 적도 지역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고기압이 형성되는 지역입니다. 이 고기압은 북쪽과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평균적으로 5°N과 5°S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N ~ 5°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후의 변화는 대기만의 현상이 아니며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하며 일어난다. 다음 현상 중 대기와 해양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현상은?

  1. 오로라(aurora)
  2. 엘니뇨(El Niño)
  3. 제트류(jet stream)
  4. 용오름(land spout)
(정답률: 69%)
  • 엘니뇨는 태평양 해양과 대기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태평양 중앙부의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상승하면서 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이는 대기와 해양 간의 열 교환과 바람의 방향 등이 변화하면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온대 지방 대륙의 동안기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서안기후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2. 여름에는 강수량이 적고 겨울에는 많다.
  3. 겨울에는 같은 위도상의 서안보다 따뜻하다.
  4. 편서풍에 의하여 해양의 영향을 받는 기후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겨울에는 같은 위도상의 서안보다 따뜻하다." 이다.

    온대 지방 대륙의 동안기후는 대체로 대륙성 기후로, 서안기후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대륙성 기후의 특징으로,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여름에는 강수량이 적고 겨울에는 많은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겨울에는 같은 위도상의 서안보다 따뜻하다."는 특징은 대륙성 기후의 특징 중 하나로, 대륙에서는 해안보다 기온이 더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대륙에서는 해양과 같이 기온을 조절해주는 요소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중해성 기후지역이 아닌 곳은?

  1. 호주 남서부
  2. 미국 캘리포니아
  3. 아르헨티나 북부
  4. 리비아 동부 해안
(정답률: 64%)
  • 지중해성 기후지역은 겨울에 비가 많이 오고 여름에는 건조한 기후를 가지는 지역으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은 아르헨티나 북부입니다. 아르헨티나 북부는 습도가 낮고 건조한 사막성 기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산풍(mountain breeze)이 가장 잘 발달할 수 있는 곳은?

  1. 밤에 바람이 약하고 맑은 곳
  2. 밤에 바람이 강하고 맑은 곳
  3. 밤에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4. 밤에 바람이 강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정답률: 75%)
  • 산풍은 산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공기가 밤에 지면에서 더욱 차가워져서 발생하는 바람이다. 따라서 밤에 바람이 약하고 맑은 곳이 가장 산풍이 잘 발달할 수 있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200 ~ 300 mm
  2. 1200 ~ 1300 mm
  3. 2200 ~ 2300 mm
  4. 3200 ~ 3300 mm
(정답률: 74%)
  • 우리나라는 대체로 중간 위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륙성과 해양성 기후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평균 강수량도 지역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1200 ~ 1300 mm 정도의 범위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대체로 적정 강수량이며, 농업 및 산업 등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제공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너무 낮거나 높은 범위로,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기후 조건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정도가 가장 낮은 대기 성분은?

  1. CO2
  2. NO2
  3. CH4
  4. CFC-11
(정답률: 61%)
  • NO2는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정도가 가장 낮은 대기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NO2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가지며, 대기 중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CO2, CH4, CFC-11 등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존재하며,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태양에너지가 지구에 도달되는 과정에 있어 에너지 전달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대류
  2. 전도
  3. 복사
(정답률: 79%)
  • 태양에서 방출된 빛은 우주를 통해 지구에 도달하며, 이 과정에서 빛은 복사 방식으로 전달됩니다. 이는 빛이 직접적으로 공기나 물 등을 통과하지 않고, 직선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복사"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일기분석 및 예보론

81. “푄”(Foehn)에 동반되는 현상과 무관한 것은?

  1. 건조
  2. 고온
  3. 뇌전
  4. 하강기류
(정답률: 80%)
  • “푄”(Foehn)은 산악 지대에서 공기가 오르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비가 내리고, 산을 넘어 내려가면서 공기가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하고 건조해지는 기상 현상입니다. 이와는 관련이 없는 것은 "뇌전"입니다. 뇌전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전하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전기 현상으로, 기상 현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10종 운형 기호 중에서 적운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이다. 이는 적운을 나타내는 기호인데, 적운은 구름이 빨간 빛을 반사하여 붉은 색을 띄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적운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먼지나 습기가 많을 때 발생하며,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 더욱 두드러진다. 따라서 이러한 적운을 나타내는 기호가 바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지구상 유체의 강체회전 운동에서 와도를 , 지구의 회전각속도를 ω라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정답률: 74%)
  • 정답: ""

    이유: 강체회전 운동에서 와도는 지구의 회전각속도에 비례하며, 반지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와도는 ω에 비례하고 r^2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북반구 중위도에서 한랭전선 통과 시의 풍향변화는?

  1. 남동풍에서 남서풍으로
  2.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3. 북동풍에서 남동풍으로
  4. 북서풍에서 북동풍으로
(정답률: 76%)
  • 한랭전선은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는 지점으로, 북반구 중위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한랭전선이 북반구 중위도를 통과할 때, 서쪽에서 북서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풍향은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뀌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열대성 저기압이 발달하여 태풍(TY급)이 되려면 최대풍속이 얼마에 도달되어야 하는가?

  1. 34 ~ 50 KTS
  2. 51 ~ 63 KTS
  3. 64 KTS 이상
  4. 128 KTS 이상
(정답률: 67%)
  • 태풍(TY급)은 최소한 64 KTS 이상의 최대풍속을 가지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열대성 저기압이 태풍으로 발전하려면 최대풍속이 64 KTS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4 KTS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상당 순압모델(Equivalent barotropic model)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밀도는 기압만의 함수이다.
  2. 풍속은 고도에 따라 증가한다.
  3. 풍향은 고도에 따라 일정하다.
  4. 기압면과 온도면은 일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기압면과 온도면은 일치하지 않는다."는 상당 순압모델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기압면과 온도면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기압면은 대기의 압력을 나타내는 반면, 온도면은 대기의 온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두 면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상층 일기도의 이용에 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300 hPa 면에서는 온도가 지형, 복사의 영향을 받으므로 전선분석이 용이하다.
  2. 300 hPa 제트기류 출구의 좌측에 하강기류, 우측에 상승기류가 있으며, 입구에서는 좌측에 상승기류, 우측에 하강기류가 있다.
  3. 500 hPa 기류가 지상 한랭전선에 수직으로 불면 이 전선은 활성으로서 악천이 나타난다.
  4. 500 hPa 일기도의 한랭기압골에서 등온선의 진폭이 등고선의 진폭보다 클 경우에는 그 기압골의 후방에 약한 상승기류가 있고, 전방에 약한 하강기류가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500 hPa 일기도의 한랭기압골에서 등온선의 진폭이 등고선의 진폭보다 클 경우에는 그 기압골의 후방에 약한 상승기류가 있고, 전방에 약한 하강기류가 있다." 이다.

    이유는 등온선의 진폭이 등고선의 진폭보다 클 경우, 대기의 안정성이 깨어지고 상승기류와 하강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등온선의 진폭이 크다는 것은 기온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대기의 수직 변화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승기류와 하강기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그림은 공기의 포화수증기압 곡선을 그린 것이다. 현재 기온이 T℃인 공기의 이슬점온도 Td가 t℃일 때 이 공기의 상대습도는? (단, 그래프의 세로축은 수증기압(hPa)이다.)

(정답률: 75%)
  • 정답: ""

    이슬점온도는 공기가 포화수증기압과 같아지는 온도이다. 따라서 현재 기온이 T℃일 때, 포화수증기압이 현재 수증기압과 같아지는 이슬점온도는 그래프에서 Td℃를 찾으면 된다. 이 때,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압(T)를 이슬점온도(Td)의 포화수증기압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상대습도는 (포화수증기압(Td) / 현재 수증기압(T))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Td℃에 해당하는 포화수증기압을 찾아 계산하면, 상대습도는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고층 관측자료에서 숫자 5.0 이 의미하는 것은?

  1. 고도
  2. 기온
  3. 습수
  4. 노점온도
(정답률: 66%)
  • 숫자 5.0은 대기 중의 상대습도를 나타냅니다.
    "습수"는 대기 중의 수증기 함량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상대습도와는 다르게 실제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므로, "습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우리나라의 장마전선 양쪽에 있는 각 기단은?

  1. cP와 mP
  2. cT와 cP
  3. mT와 cT
  4. mP와 mT
(정답률: 80%)
  • 장마전선은 온난한 기운인 mT와 차가운 기운인 mP가 충돌하여 형성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장마전선 양쪽에 있는 각 기단은 mP와 m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리나라에서 여름철에 자주 통과하는 저기압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부터 이동하여 오는가?

  1. 일본열도
  2. 중국 북부지역
  3. 시베리아와 몽골
  4. 중국의 양자강 유역과 동중국해
(정답률: 67%)
  • 여름철에 우리나라를 강타하는 저기압은 중국의 양자강 유역과 동중국해 지역에서 발생한 태풍이나 저기압이 북상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 지역은 여름철에 기온이 높아지면서 대기가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저기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저기압은 일본열도나 중국 북부지역, 시베리아와 몽골을 거쳐 우리나라로 이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Richardson's number가 풍속의 고도 경도에 대해 가지는 관계로 옳은 것은?

  1. 풍속의 고도경도에 정비례한다.
  2. 풍속의 고도경도에 반비례한다.
  3. 풍속의 고도경도의 제곱에 정비례한다.
  4. 풍속의 고도경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7%)
  • Richardson's number는 풍속과 열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지표는 풍속과 고도경도의 제곱근을 비교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풍속의 고도경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Richardson's number가 증가할수록 풍속이 감소하고 안정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고도경도가 증가할수록 대류운동이 강해지고, 이로 인해 풍속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상 기상 전문에서 노점온도가 영하일 때 노점온도를 표시하는 방법은?

  1. 노점온도 값에 “( )” 를 붙인다.
  2. 노점온도 값 앞에 “1” 을 붙인다.
  3. 노점온도 값 앞에 “0” 을 붙인다.
  4. 노점온도 값 앞에 “-” 부호를 붙인다.
(정답률: 76%)
  • 노점온도는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 상태일 때의 온도를 말하며, 이 온도가 영하인 경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서 이슬이나 서리가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노점온도가 영하인 경우에는 이슬점 또는 서리점이라고도 부르며, 이를 구분하기 위해 노점온도 값 앞에 "1"을 붙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상 관측 규격 중 하나인 WMO (세계 기상 기구) 규격에서 정해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온위를 정의하는 식은? (단, P는 기압, R은 기체상수, CP는 정압비열, T는 기온)

(정답률: 70%)
  • 온도는 기체의 분자운동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분자운동은 기체의 열에너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온도는 기체의 열에너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온위식이 된다. 온위식은 P, R, CP가 일정한 상수이므로, T와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T와 P의 관계는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해 결정되므로, 온위식은 T와 P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 된다. 따라서 온위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그림에서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79%)
  • 한랭전선은 냉방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방기 쪽으로 향해야 하고, 온난전선은 난방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난방기 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표시는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안개가 끼기 쉬운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먼지가 적을수록 잘 생긴다.
  2.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잘 생긴다.
  3. 기온의 일교차가 클수록 잘 생긴다.
  4. 온도차가 큰 공기가 접촉할수록 잘 생긴다.
(정답률: 80%)
  • "먼지가 적을수록 잘 생긴다."는 잘못된 것입니다. 안개는 대기 중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가 많아서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대기 중 먼지나 기타 입자가 적을수록 안개가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오히려 "먼지가 많을수록 잘 생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600 hPa에서 와도장의 이류속도는 그 고도에서 풍속의 몇 % 정도의 속도로 이동하는가?

  1. 8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71%)
  • 600 hPa는 대기에서 약 4.5 km의 고도에 해당한다. 이 고도에서는 대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풍속과 이류속도가 다르게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이류속도는 풍속의 약 80% 정도로 측정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600 hPa에서"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이류속도는 해당 고도에서 측정된 것이다. 따라서 이류속도는 풍속과 동일하게 100%로 측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난전선의 한기역에서 최대기압 하강구역이 나타난다.
  2. 한랭전선은 연직방향으로 바람방향이 반전(Backing)한다.
  3. 전선면이 지나는 지역의 단열선도에서는 불안정층이 나타난다.
  4. 전선의 이동속도는 전선후면의 풍속의 직각성분에 비례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전선면이 지나는 지역의 단열선도에서는 불안정층이 나타난다."이다. 이유는 전선면이 지나는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충돌하면서 대류운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불안정층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온대성 저기압이 발생하기 가장 쉬운 곳은?

  1. 고기압 내
  2. 태풍 부근
  3. 정체전선상
  4. 활바한 한랭전선상
(정답률: 60%)
  • 정체전선상은 서로 다른 기온과 습도를 가진 공기가 충돌하여 상승하면서 저기압이 형성되기 쉬운 지역입니다. 따라서 온도 차이가 큰 봄과 가을에는 정체전선상에서 온대성 저기압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표 부근의 공기가 이 고도에 이르면 그 후에는 공기가 자동적으로 계속 상승하게 된다. 지표 부군의 공기괴가 지표의 가열로 에너지를 받은 후 단열적으로 상승하여 포화에 이르게 되는 이 고도는?

  1. 평형고도
  2. 대류응결고도
  3. 상승응결고도
  4. 자유대류고도
(정답률: 63%)
  • 이 고도는 대류응결고도이다. 이는 지표 부근의 공기가 지표의 가열로 인해 상승하면서 단열적으로 냉각되어 포화 상태에 이르는 고도를 말한다. 이 고도 이상에서는 공기가 자동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는 대류운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 고도를 대류응결고도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