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금속재료시험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금속간 화합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간 화합물은 각성분의 특징이 없어진다.
  2. 어느성분의 금속보다도 단단하여진다.
  3. 일반적으로 각성분의 금속보다도 낮은 용융점을 갖는다.
  4. 일반화합물에 비하여 결합력이 약하다.
(정답률: 40%)
  • 금속간 화합물은 각성분의 특징이 없어지는 것이 맞지만, 옳지 않은 설명은 "어느성분의 금속보다도 단단하여진다." 입니다. 금속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각성분의 금속보다도 낮은 용융점을 갖는 이유는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금속원자들은 전자를 공유하지 않고 전자를 기부하여 금속결합을 형성하는 반면, 금속간 화합물은 금속원자끼리 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합니다. 이러한 공유결합은 금속결합보다는 결합력이 약하므로 용융점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융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코발트
  2. 카드뮴
  3. 텅스텐
(정답률: 68%)
  • 카드뮴은 6족 원소로서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의 수가 적어 원자 반지름이 크고, 원자 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용융점이 가장 낮습니다. 반면에 철, 코발트, 텅스텐은 8족 원소로서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의 수가 많아 원자 반지름이 작고, 원자 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용융점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원소번호가 8 이고, 질량수가 16 인 것은?

  1. 질소
  2. 수소
  3. 탄소
  4. 산소
(정답률: 78%)
  • 원소번호가 8인 것은 산소이고, 질량수가 16인 것은 산소 분자가 2개 결합한 이중산소 분자(O2)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자성체로만 되어 있는 것은?

  1. Ni , Cu , Au
  2. Fe , Sb , Mn
  3. Fe , Ni , Co
  4. Bi , Hg , Ag
(정답률: 45%)
  • 반자성체는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물질로, 자기장을 생성하지 않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반자성체로만 되어 있는 것은 자기장을 생성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Bi, Hg, Ag는 모두 반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텅스텐의 원소 기호는?

  1. W
  2. V
  3. P
  4. N
(정답률: 95%)
  • 텅스텐의 원래 이름은 "wolfram"이었습니다. 이 이름은 독일어로 "늑대의 거품"을 의미하는 "wolf rahm"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러나 이 이름이 너무 길어서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회(IUPAC)에서는 원소 기호를 "W"로 정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열전도율(heat conductivity)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cal/g
  2. kg/cm2
  3. cal/cm∙sec∙℃
  4. kg·m
(정답률: 59%)
  • 열전도율은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열의 전달량과 온도차이의 역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열전도율의 단위는 (열량/시간)/(면적×온도차)로 표현됩니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cal/cm∙se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면심입방격자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에서 슬립(slip)이 가장 용이하게 일어 나는 원자면은 ?

  1. [100]
  2. [011]
  3. [111]
  4. [112]
(정답률: 46%)
  • 면심입방격자결정 구조에서 슬립이 일어나는 가장 용이한 원자면은 결정 구조의 대칭성을 고려하여 [111]이다. 이는 [111] 방향으로 슬립이 일어날 때, 결정 구조의 대칭성을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에너지 손실로 슬립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111] 방향은 결정 구조의 가장 밀도가 높은 방향이기도 하다. 따라서, 슬립이 일어나기 쉬운 원자면은 [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금속의 가용성을 이용하여 2개의 금속을 반 영구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은?

  1. 용접
  2. 단조
  3. 전조
  4. 압연
(정답률: 89%)
  • 용접은 금속을 가열하여 녹인 후, 녹은 금속을 서로 접합시켜 반영구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녹은 금속이 서로 섞이면서 결합하므로 강한 접합력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금속의 가용성을 이용하여 2개의 금속을 반영구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성이 좋고 투자율이 높아 전자기용강으로 쓰이는 특수강은? (철 - 규소 - 알루미늄 합금임)

  1. 엘린바아
  2. 프라티나이트
  3. 스텔라이트
  4. 센더스터
(정답률: 37%)
  • 센더스터는 철-규소-알루미늄 합금으로, 자성이 강하고 투자율이 높아 전자기용강으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센더스터입니다. 엘린바아, 프라티나이트, 스텔라이트는 모두 다른 종류의 합금이며, 전자기용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인 합금강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강도 및 경도가 커진다.
  2. 결정입도의 성장을 촉진한다.
  3. 담금질성을 향상시킨다.
  4. 내식, 내마멸성을 증대시킨다.
(정답률: 67%)
  • 결정입도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은 일반적인 합금강의 성질이 아닙니다. 이는 합금강의 성질과는 별개로, 결정입도의 성장을 촉진하여 미세조직을 세밀하게 만들어 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합금강의 성질 중 하나로서, 더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반적으로 가공한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할 때 발생되지 않는 현상은?

  1. 결정입자의 성장
  2. 내부응력 제거
  3. 재결정
  4. 경화
(정답률: 37%)
  • 일반적으로 가공한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할 때 발생되지 않는 현상은 "경화"입니다. 이는 가열로 인해 재료 내부의 분자가 서로 결합하여 결정입자가 성장하거나 내부응력이 제거되는 등의 현상은 발생할 수 있지만, 경화는 보통 가공 후 추가적인 화학 반응이나 열화학적 반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순철의 용융점(℃)은 약 어느 정도인가?

  1. 768
  2. 1013
  3. 1538
  4. 1780
(정답률: 62%)
  • 순철의 용융점은 1538℃이다. 이는 순철이 고온에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온도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물질의 용융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청동의 주성분은?

  1. 주석, 아연
  2. 구리, 크롬
  3. 구리, 주석
  4. 구리, 아연
(정답률: 80%)
  •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리는 청동의 주성분이며, 주석은 구리와 함께 청동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구리, 주석"이 청동의 주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학장치용, 원자로용 내식재료로 사용되며 내식성이 뛰어난 금속은?

  1. 마그네슘
  2. 지르코늄
  3. 주철
(정답률: 49%)
  • 지르코늄은 내식성이 뛰어나고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서 화학장치나 원자로에서 내식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지르코늄은 중성자 흡수 교재로도 사용되어 원자로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마그네슘은 산화되기 쉬우며, 납과 주철은 내식성이 낮아서 내식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철 - 탄소계의 공석반응에 해당되는 것은?

  1. γ(고용체) → α (고용체) + 시멘타이트
  2. L (액체) → γ(고용체) + 시멘타이트
  3. L (액체) → 레데뷰라이트
  4. α (고용체) → γ(고용체) + 시멘타이트
(정답률: 66%)
  • 철 - 탄소계의 공석반응은 γ(고용체) → α (고용체) + 시멘타이트 입니다. 이는 강철이 냉각되면서 고용체인 γ상태에서 α상태로 변화하면서 시멘타이트가 생성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강철의 열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모양에 따른 제도 선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선
  2. 사선
  3. 파선
  4. 쇄선
(정답률: 60%)
  • 실선, 파선, 쇄선은 모두 직선적인 형태를 띄고 있지만, 사선은 곡선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제도 선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선은?

  1. 실선
  2. 파선
  3. 일점쇄선
  4. 이점쇄선
(정답률: 70%)
  • 파선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선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진 선으로 표현됩니다. 이는 물체의 윤곽을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며,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상상해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파선은 물체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부품 중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 도시할 수 있는 것은?

  1. 볼트
  2. 중실축
  3. 파이프
(정답률: 61%)
  • 파이프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 도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이프가 원형이기 때문에 단면이 항상 동일하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볼트, 핀, 중실축은 모두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 도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치수선을 긋는 방법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외형선, 은선은 치수선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2. 치수선은 될 수 있는대로 다른 치수선과 만나지 않도록 그어야 한다.
  3. 중심선, 치수보조선은 치수선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4. 이웃하는 치수선은 될 수 있는대로 일직선으로 가지런하게 긋는다.
(정답률: 56%)
  • "중심선, 치수보조선은 치수선으로 사용하여도 좋다."가 틀리게 설명된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중심선과 치수보조선은 치수선과 함께 사용되어 크기와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보조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심선과 치수보조선을 치수선으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핸들이나 바퀴 등의 암 및 리브, 훅(hook), 축 등의 단면 도시는 어떤 단면도를 이용하는가?

  1. 온단면도
  2. 회전 도시 단면도
  3. 한쪽 단면도
  4. 부분 단면도
(정답률: 67%)
  • 핸들이나 바퀴 등의 암 및 리브, 훅, 축 등은 회전하는 형태의 부품이기 때문에 회전 도시 단면도를 이용합니다. 회전 도시 단면도는 회전하는 물체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회전하는 부품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핸들이나 바퀴 등의 부품을 설계할 때는 회전 도시 단면도를 이용하여 정확한 크기와 형태를 파악하고 제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21. 구멍 또는 축의 공차표시로 잘못된 것은?

  1. ø35 e 8
  2. ø35 H 7
  3. ø38 A g 5
(정답률: 61%)
  • 정답인 "ø38 A g 5"는 구멍의 직경이 ø38이고, 공차가 g 5인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공차 기호 체계에 따라 표기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축의 공차를 나타내는 표기인데, ø35 e 8은 축의 직경이 ø35이고, 공차가 e 8인 것을 나타냅니다. ø35 H 7은 축의 직경이 ø35이고, 공차가 H 7인 것을 나타냅니다. 마지막 보기는 이미지로 표현된 것인데, 이는 ø30의 구멍과 ø30의 축이 맞물리는 경우의 공차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50.025 mm, 최소허용치수 50.000 mm, 축의 최대허용치수 50.000 mm, 최소허용치수 49.950 mm일 때 최대 틈새는?

  1. 0.025 mm
  2. 0.050 mm
  3. 0.075 mm
  4. 0.015 mm
(정답률: 56%)
  • 최대 틈새는 구멍의 최대허용치수에서 축의 최소허용치수를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최대 틈새 = 50.025 mm - 49.950 mm = 0.075 mm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표면기호 기입에서 기호 G가 뜻하는 것은?

  1. 연삭가공(grinding)
  2. 선반가공(turning)
  3. 밀링가공(milling)
  4. 줄가공(filing)
(정답률: 77%)
  • 기호 G는 연삭가공(grinding)을 뜻합니다. 연삭가공은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작업물의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 방법으로, 고정밀 가공이 필요한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에 비해 선반가공은 회전하는 작업물을 가공하는 방법, 밀링가공은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가공하는 방법, 줄가공은 작업물의 표면을 선으로 깎아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3 제도 용지의 크기는? (단, 단위는 mm)

  1. 594 × 841
  2. 420 × 594
  3. 297 × 420
  4. 210 × 297
(정답률: 72%)
  • A3 제도 용지는 A4 용지를 절반으로 잘랐을 때의 크기와 같습니다.

    A4 용지의 크기는 210 × 297 mm 이므로, A3 용지의 크기는 297 × 420 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제도에서 간단한 도형이나 문자, 숫자, 기호 등을 기입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 용구는?

  1. 형판(템플릿)
  2. 운형자
  3. 스케일
  4. 자유곡선자
(정답률: 39%)
  • 형판(템플릿)은 이미 만들어진 도형이나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새로운 문서나 작업물에 반복해서 사용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 용구입니다. 따라서 간단한 도형이나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반복해서 사용해야 할 때 형판(템플릿)을 사용하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에서 미터나사를 나타내는 기호는?

  1. M
  2. S
  3. UNC
  4. UNF
(정답률: 82%)
  • "M"은 미터(meter)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미터나사는 미터 단위로 측정되는 나사이기 때문에 "M"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체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한 면은 정투상으로 실제 모양으로 나타내고, 윗면이나 측면은 투상면에 경사시켜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투상도는?

  1. 사투상도
  2. 등각투상도
  3. 부등각투상도
  4. 투시도
(정답률: 54%)
  • 사투상도는 물체의 모든 면을 실제 크기와 모양으로 나타내는 입체적인 도면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며,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모든 면이 실제 크기와 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강의 매크로조직 시험에서 수지상 결정이란?

  1. 강이 응고할 때 수지상으로 발달한 일차결정이 단조 또는 압연 후에도 그 형태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
  2. 강의 응고 과정에서 결정 상태의 변화에 따라 윤곽상으로 부식의 농도차가 나타난 것
  3. 강의 응고 과정에서 성분편차에 따른 중심부에 부식의 농도차가 나타난 것
  4. 강의 응고 수축에 따른 파이프가 완전히 압착 되지 않고 그 흔적을 남긴 것
(정답률: 62%)
  • 수지상 결정은 강이 응고할 때 수지상에서 발달한 일차결정이 단조 또는 압연 후에도 그 형태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강이 응고할 때 형성된 결정이 압연 등의 공정을 거쳐도 그 모양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화력에 대한 자속밀도의 비 (B/H)를 나타내는 것은?

  1. 전도도 (conductivity)
  2. 저항 (resistivity)
  3. 리프트 오프(lift-off)
  4. 투자율 (permeability)
(정답률: 38%)
  • 자화력에 대한 자속밀도의 비 (B/H)를 나타내는 것은 투자율 (permeability)입니다. 이는 자기장 내에서 자성체가 자기장을 통과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자기장 내에서 자성체가 얼마나 쉽게 자기장을 통과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자화력에 대한 자속밀도의 비는 자기장 내에서 자성체가 얼마나 쉽게 자기장을 통과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투자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현미경 조직 시험편 제작시 황동을 연마하는데 가장 좋은 연마제는?

  1. 산화철
  2. 산화니켈
  3. 산화구리
  4. 산화알루미늄
(정답률: 34%)
  • 산화알루미늄은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황동과 같은 경도가 높은 금속을 연마하는데 가장 적합한 연마제입니다. 또한,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서 연마 후에도 황동 표면에 부식이나 변색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미경 조직 시험편 제작시 황동을 연마하는데 가장 좋은 연마제는 산화알루미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X선의 투과력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1. KV 또는 파장
  2. 시간
  3. 전류
  4. 선원대 필름간 거리
(정답률: 53%)
  • X선의 투과력은 KV 또는 파장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X선의 파장이나 전자의 에너지가 높을수록 물질을 통과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KV 또는 파장이 높을수록 X선은 물질을 더욱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펄스 반복 주파수가 높고 감쇄가 적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결함 에코우는 아니나 결함 에코우처럼 보이는 것은?

  1. 쐐기안 에코우
  2. 표면 에코우
  3. 고우스트 에코우
  4. 느짐 에코우
(정답률: 64%)
  • 고우스트 에코우는 펄스 반복 주파수가 높고 감쇄가 적어서 원래 신호와 구별하기 어려운 에코우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결함 에코우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결함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고우스트 에코우는 결함 진단에 있어서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분 탐상 검사의 자화법 중 표면 아래의 불연속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감도를 지니는 자화법은?

  1. 연속 자화
  2. 잔류 자화
  3. 원형 자화
  4. 선형 자화
(정답률: 64%)
  • 자분 탐상 검사에서는 표면 아래의 불연속을 감지하기 위해 자화법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우수한 감도를 지니는 자화법은 "연속 자화"입니다. 이는 연속적인 자기장을 인가하여 불연속 부분에서 자기장이 변화하는 지점을 감지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자화법들은 자기장의 방향이나 세기가 변화하는 지점을 감지하기 때문에 연속 자화보다 감도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합금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질량효과가 적다.
  2. 경화능이 적다.
  3. 열처리성이 좋다.
  4. 특수강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36%)
  • 합금강의 설명 중 "경화능이 적다."가 틀린 것입니다. 합금강은 일반적으로 경화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합금 요소들이 고체 용체화 반응을 유발하여 결정 구조를 세밀하게 만들어 경화능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온 금속현미경의 장치가 아닌 것은?

  1. 금속 현미경
  2. 시료 가열장치
  3. 진공장치
  4. 냉각장치
(정답률: 54%)
  • 냉각장치는 고온을 유지하는 장치가 아니라 오히려 시료나 장치를 냉각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온 금속현미경의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매크로 조직 검사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육안 또는 10배 이내의 확대경으로 조직을 검사하는 것이다.
  2. 파단면 검사법, 설퍼프린트 등이 있다.
  3. 균열, 블로 홀, 편석 등의 금속 결함을 알 수 있다.
  4. 강의 페라이트 결정입도를 시험할 수 있다.
(정답률: 46%)
  • 강의 페라이트 결정입도는 매크로 조직 검사법으로는 알 수 없으며, 마이크로 조직 검사법을 사용해야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 페라이트 결정입도를 시험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결정입도는 강의 기계적 성질, 담금질성을 좌우한다.
  2. 상온에서 얻어지는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시험한다.
  3. 비교법, 평적법, 절단법 등이 있다.
  4. 850℃ 이상에서 시험한다.
(정답률: 43%)
  •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시험은 강의 열처리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는 시험이다. 오스테나이트는 고온에서 형성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시험을 시행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850℃ 이상에서 시험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금속현미경의 대물렌즈 배율을 X, 접안렌즈 배율을 Y라고 하면 현미경의 배율 Z는?

  1. Z=X· Y
(정답률: 37%)
  • 금속현미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조합하여 이미지를 확대하는데 사용됩니다. 대물렌즈의 배율이 X이고 접안렌즈의 배율이 Y이므로, 이미지는 대물렌즈를 통해 X배 확대되고, 그 다음 접안렌즈를 통해 Y배 확대됩니다. 따라서 전체 배율 Z는 X와 Y의 곱인 Z=X· Y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현미경 조직시험을 할 때 가장 적당한 시편 채취법은?

  1. 시험편의 크기는 지름이 5[㎝]이상으로 한다.
  2.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서 채취한다.
  3. 냉간압연 시편은 가공방향에 수직하게 채취한다.
  4. 일반적으로는 중앙부와 끝부분을 채취하나 결함 검사는 결함에 가까운 부분을 채취한다.
(정답률: 57%)
  • 현미경 조직시험에서는 시료의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결함에 가까운 부분을 채취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결함이 발생한 부분에서 시료를 채취하면 결함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중앙부와 끝부분을 채취하지만, 결함 검사를 위해서는 결함에 가까운 부분을 채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응력이 작은 범위에서 탄성은 일어나지 않는다.
  2. 영구변형이 생길 경우 최소값을 탄성한계라 한다.
  3. 탄성계수와 영율은 서로 다르며 정수로 표시하지 않는다.
  4. 연강에서 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도 증가한다.
(정답률: 44%)
  • 연강은 탄성계를 벗어나면 영구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연강에서 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도 증가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조직 및 비파괴시험

41. 피로시험기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인장압축
  2. 회전굽힘
  3. 비틀림
  4. 충격하중
(정답률: 36%)
  • 피로시험기는 재료의 피로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기기이며, 인장압축, 회전굽힘, 비틀림은 피로시험기에서 측정할 수 있는 피로특성 중 일부입니다. 하지만 충격하중은 피로시험기에서 측정할 수 없는 다른 실험기기에서 측정하는 특성입니다. 따라서 충격하중은 피로시험기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장층이나 도금층의 경도 측정에 가장 적당한 것은?

  1. 록크웰경도기
  2. 브리넬경도기
  3. 마르텐스 경도기
  4. 쇼어 경도기
(정답률: 32%)
  • 도장층이나 도금층은 매우 얇은 층으로, 경도 측정 시에는 층의 두께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마르텐스 경도기는 작은 부하로 시료를 압축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얇은 층에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도장층이나 도금층의 경도 측정에는 마르텐스 경도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비커스 경도시험에 관한 것 중 틀린 것은?

  1. 대각선의 길이는 시험기에 부착되어 있는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2. 하중의 대소가 있더라도 그 값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는다.
  3. 재료의 경도 정도에 따라 1-120㎏f의 하중으로 시험할 수 있다.
  4. 얇은 물건, 표면경화재료, 용접부분의 경도 측정에는 좋지 않다.
(정답률: 51%)
  • 얇은 물건, 표면경화재료, 용접부분은 경도 측정 시 시험기의 하중이 부족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좋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쇼어경도 시험의 특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조작이 간편해서 신속히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2. 압흔이 극히 적어 제품에 직접 검사 할 수 있다.
  3. 개인오차나 측정 오차가 나오기 쉽다.
  4. 시험하중을 바꾸어도 측정치에는 변화가 없다.
(정답률: 50%)
  • 시험하중을 바꾸어도 측정치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은 쇼어경도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험기의 작동 원리 때문입니다. 쇼어경도 시험기는 시료의 표면에 작은 인덴터를 눌러서 경도를 측정하는데, 이 인덴터의 크기와 하중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시험하중을 바꾸어도 측정치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브리넬(Brinell hardness) 시험에서 강구의 지름(D)을 흔적의 지름(d)으로 나눈 값의 범위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0.2 - 0.5 D
  2. 0.5 - 1.0 D
  3. 1.0 - 2.0 D
  4. 3.0 - 4.0 D
(정답률: 32%)
  • 브리넬 시험에서는 강구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흔적을 만들고, 이 흔적의 지름을 측정하여 강구의 경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흔적의 지름은 강구의 경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흔적의 지름이 너무 작으면 측정이 불확실해지고, 너무 크면 강구의 표면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흔적의 지름은 강구의 지름과 적절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흔적의 지름은 0.2 - 0.5 D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이 범위는 측정의 정확성과 강구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범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가장 알맞은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X-선 사진으로부터 내부결함을 판별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은?

  1. 침전지
  2. 접촉판
  3. 투과도계
  4. 진동자
(정답률: 75%)
  • X-선은 물체를 투과하여 내부 구조를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이때, X-선 사진으로부터 내부 결함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밀도나 두께 등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투과도계입니다. 투과도계는 X-선을 통과한 물체의 밀도나 두께를 측정하여 그 값을 수치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내부 결함을 판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투과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방사선투과 시험에 사용되는 것은?

  1. 침투액
  2. 필름
  3. 접촉매질
  4. 자화분
(정답률: 69%)
  • 방사선투과 시험에서는 X선이 물체를 통과하면서 그림자를 만들어내는데, 이 그림자를 촬영하기 위해 필름이 사용됩니다. 침투액은 물체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접촉매질은 물체와 필름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화분은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방사선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방사선투과 시험에서 필름은 그림자를 촬영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험재에 전류를 통하거나 자석을 이용하여 표면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시험법은?

  1. 방사선 투과시험
  2. 초음파 탐상시험
  3. 자분 탐상시험
  4. 액체침투 탐상시험
(정답률: 73%)
  • 자분 탐상시험은 전류나 자석을 이용하여 표면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시험법입니다. 이는 자석을 이용하여 표면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결함 부근에서 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결함을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하며, 표면 결함 뿐만 아니라 깊이에 따른 결함도 검출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험체와 와전류탐상 프로브코일의 거리가 멀어져 감에 따라 출력신호가 변화하는 효과는?

  1. 단말효과(end effect)
  2. 리프트오프효과(lift off effect)
  3. 표피효과(skin effect)
  4. 속도효과(speed effect)
(정답률: 68%)
  • 리프트오프효과는 시험체와 와전류탐상 프로브코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출력신호가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시험체와 프로브코일 사이의 공간에서 전자기장이 분산되어 시험체와 프로브코일 사이의 인덕턴스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출력신호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험 전의 원길이가 lo, 시험 후에 l로 될 때 연신율은?

(정답률: 63%)
  • 연신율은 (l-lo)/lo * 100% 이므로, 시험 전과 후의 길이 차이를 원길이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l-lo)/lo * 100% = (l/lo - 1) * 100% 이다. 이를 정리하면, ""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얇은 금속판의 전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은?

  1. 피로시험
  2. 크리프시험
  3. 압축시험
  4. 에릭션시험
(정답률: 53%)
  • 얇은 금속판의 전연성은 금속의 변형에 대한 성질로, 금속판이 얼마나 많은 변형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중 에릭션시험은 금속판을 일정한 속도로 늘려가며 변형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금속판의 전연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불꽃시험 중 그라인더 사용에 대한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그라인더 사용시 근로안전 관리규칙을 준수한다.
  2. 그라인더 사용시 불꽃의 색, 밝기에 관계없이 밝은 장소에서 행한다.
  3. 그라인더 사용시 보안경을 착용한다.
  4. 그라인더 사용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74%)
  • 그라인더 사용시 불꽃의 색, 밝기에 관계없이 밝은 장소에서 행한다는 것은 안전사항이 아닙니다. 그라인더 사용시 불꽃이 발생하므로 작업장은 어둡지 않은 밝은 장소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불꽃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로시험시 유의해야 할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시험편이 움직이지 않도록 콜릿 척에 확실히 고정한다.
  2. 시험편의 중심과 지지점의 중심을 정확히 맞춘다.
  3. 시험기의 회전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에 윤활유가 충분한지 확인한다.
  4. 시험편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하중을 건다.
(정답률: 70%)
  • "시험편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하중을 건다."가 틀린 것은 올바른 안전사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험편이 회전하지 않으면 시험 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며, 시험기에도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험편이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에 하중을 걸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강의 부식제로 사용되는 것은?

  1. 피크린산 알콜 용액
  2. 염산 용액, 진한 초산
  3. 염화 제2철, 초산
  4. 수산화나트륨, 왕수
(정답률: 40%)
  • 철강은 산화되어 부식되는데, 피크린산 알콜 용액은 철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산화철(III) 산화물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크린산 알콜 용액은 철강의 부식방지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경도(시험)기 종류 중 압입체를 눌렀을 때 생기는 압입자국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것은?

  1. 마이어 경도기
  2. 마텐스 경도기
  3. 쇼어 경도기
  4. 자기적 경도기
(정답률: 35%)
  • 마이어 경도기는 압입체를 물체에 눌렀을 때 생기는 압입자국의 크기를 측정하여 경도를 측정하는데, 다른 세 가지 경도기는 각각 다른 원리로 경도를 측정합니다. 마텐스 경도기는 물체의 질량과 물체가 압력을 받았을 때 생기는 변형량을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고, 쇼어 경도기는 물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합니다. 자기적 경도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의 경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압입자국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것은 마이어 경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초음파 탐상법 방식이 아닌 것은?

  1. 투과식
  2. 반사식
  3. 공진식
  4. 통전식
(정답률: 43%)
  • 초음파 탐상법은 물체 내부를 탐색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는데, 이때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수신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존재합니다. "투과식"은 물체를 통과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를 탐색하는 방식, "반사식"은 물체 표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를 탐색하는 방식, "공진식"은 물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진음을 이용하여 내부를 탐색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통전식"은 초음파를 물체에 통과시키고, 물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신하여 내부를 탐색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초음파 탐상법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업장에서 대화를 나눌수 있는 데시벨(dB)은?

  1. 40
  2. 80
  3. 100
  4. 140
(정답률: 49%)
  • 작업장에서 대화를 나누는 데시벨(dB)은 보통 40~60dB 범위 내에 있습니다. 이는 대화 소리가 약간의 소음과 함께 들리는 정도로, 작업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는 데에는 적당한 소리 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X선 탐상 시험시 방사선에 의한 해를 입지 않도록 시험실 주변의 방사선량을 수시로 측정할 때 쓰이는 것은?

  1. 계조계
  2. 서베이(survey) 미터
  3. 투과도계
  4. 가우스(Gauss) 미터
(정답률: 57%)
  • 서베이 미터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 중 하나입니다. 이 기기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험실 주변의 방사선량을 수시로 측정하여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서베이 미터는 이러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며, 측정이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열된 강의 냉각법 3형태가 아닌 것은?

  1. 계단냉각
  2. 저온냉각
  3. 항온냉각
  4. 연속냉각
(정답률: 35%)
  • 저온냉각은 다른 냉각법과 달리 매우 낮은 온도에서 물질을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액체 직접 냉각, 액체 직접 냉각 후 고체 냉각, 기체 냉각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열된 강의 냉각법 중에서는 "저온냉각"이 3형태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안전교육의 3단계가 아닌 것은?

  1. 지식교육
  2. 역사교육
  3. 기능교육
  4. 태도교육
(정답률: 88%)
  • 안전교육의 3단계는 지식교육, 기능교육, 태도교육입니다. 역사교육은 안전교육과는 관련이 없는 교육 분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