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10-06)

금속재료시험기능사
(2002-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재결정온도가 가장 낮은 원소는?

  1. Aℓ
  2. Fe
  3. Zn
  4. Cu
(정답률: 52%)
  • 재결정온도란 결정 구조가 변화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온도는 원소의 결정 구조와 결정 구조의 안정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즉, 재결정온도가 낮을수록 결정 구조가 더 안정적이며, 이는 원소의 전자 구성과 결정 구조의 형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Zn은 d-전자 구조를 가지며, 이는 결정 구조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또한, Zn의 결정 구조는 규칙적이고 밀도가 높아서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Zn은 다른 원소들보다 재결정온도가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금속의 결정격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길이의 단위는?

  1. 밀리미터[㎜]
  2. 데시미터[dm]
  3. 미크론[μ ]
  4. 옹스트롬[Å]
(정답률: 44%)
  • 금속의 결정격자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미크론보다 더 작은 단위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옹스트롬(Å)이 사용됩니다. 1 옹스트롬은 0.1 나노미터, 즉 10^-10 미터로, 금속 결정격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성분수를 n, 상의수를 p, 자유도를 F 로 나타낼때 자유도는? (압력은 대기압으로 일정하며 응축계임)

  1. F = n + 2 - P
  2. F = n + 1 - P
  3. F = n + 3 - P
  4. F = n - P
(정답률: 72%)
  • 자유도는 "n - p + 1"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응축계에서는 압력이 일정하므로, 상의 수(p)가 정해지면 성분 수(n)도 결정됩니다.

    하지만, 실험에서는 항상 예상치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유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자유도는 자료의 수에서 추정한 파라미터의 수를 뺀 값입니다.

    여기서 추정한 파라미터는 상의 수(p)입니다.

    따라서, 자유도는 "n - p + 1"이 됩니다.

    정리하면,

    자유도 = 자료의 수 - 추정한 파라미터의 수 + 1

    = n - p + 1

    따라서, "F = n + 1 - P"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상온에서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격자는?

  1. 체심입방격자
  2. 면심입방격자
  3. 체심정방격자
  4. 조밀입방격자
(정답률: 73%)
  • 상온에서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격자는 "면심입방격자"입니다. 이는 이들 금속의 결정 구조가 각각의 원자들이 격자의 면 중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 금속의 격자는 면심입방격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상온에서 순철의 결정구조는?

  1. 면심입방격자
  2. 정방격자
  3. 조밀육방격자
  4. 체심입방격자
(정답률: 50%)
  • 상온에서 순철의 결정구조는 체심입방격자입니다. 이는 순철의 결정구조가 입방격자이며, 체심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체심입방격자는 입방격자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입방각이 90도이며, 모든 면이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금속의 비열이란?

  1. 1 g의 물질의 온도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2. 1 ㎏의 물질의 온도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3. 금속 1 g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4. 금속 1 ㎏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정답률: 75%)
  • 금속의 비열은 단위 질량당 열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 g의 물질의 온도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질의 용해와 관련된 열량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석점이상의 강은?

  1. 과공석강
  2. 아공석강
  3. 저공석강
  4. 중공석강
(정답률: 84%)
  • 공석점 이상의 강은 공간 내에 공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된 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과공석강은 공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은 고강도 강종으로,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사용되는 부품 등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아공석강, 저공석강, 중공석강보다 과공석강이 더욱 우수한 강종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Ni-Cr계 합금으로 유기물 및 염류용액의 부식에 견디며 열전대 보호관, 진공관 필라멘트에 사용하는 합금은?

  1. 듀랄루민
  2. 인코넬
  3. 라우탈
  4. 베랄로이
(정답률: 59%)
  • 인코넬은 Ni-Cr계 합금으로 유기물 및 염류용액의 부식에 견딜 수 있고, 높은 내열성과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 열전대 보호관, 진공관 필라멘트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인코넬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진정강(Killed steel)이란?

  1. 탄소(C)가 없는 강
  2. 탈산제를 첨가하지 않은강
  3. 캡을 끼워 만든 강
  4. 완전 탈산한 강
(정답률: 65%)
  • 진정강은 완전 탈산한 강입니다. 탈산은 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 중 하나로, 탈산제를 첨가하여 강에서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진정강은 이러한 탈산 과정을 거쳐 탄소와 다른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한 철과 약간의 합금 원소로 이루어진 강입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조된 강은 내구성과 강도가 높아지며, 고강도 강 등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판의 분류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6mm이상 두께의 강은 후판, 3∼6mm 까지는 중판, 3mm이하는 박판이라 한다.
  2. 10mm이상 두께의 강은 후판, 6∼10mm 까지는 중판, 6mm이하는 박판이라 한다.
  3. 15mm이상 두께의 강은 후판, 10∼15mm 까지는 중판, 10mm이하는 박판이라 한다.
  4. 18mm이상 두께의 강은 후판, 15∼18mm 까지는 중판, 15mm이하는 박판이라 한다.
(정답률: 67%)
  • 강판은 두께에 따라 후판, 중판, 박판으로 분류됩니다. 6mm 이상의 강은 후판, 3∼6mm 까지는 중판, 3mm 이하는 박판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강판의 두께에 따라 강도와 사용 용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두께가 더 얇은 박판은 가벼우면서도 가공이 용이하며, 두께가 더 두꺼운 후판은 강도가 높아서 구조물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 제조법 중 산성법과 염기성법의 구분은 무엇으로 하는가?

  1. 사용 용융선의 량에 따라 구분한다.
  2. 사용하는 로의 크기에 따라 구분한다.
  3. 사용하는 내화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4. 첨가 금속의 배합 비율에 따라 구분한다.
(정답률: 69%)
  • 강 제조법 중 산성법과 염기성법은 사용하는 내화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산성법은 산성 내화물을 사용하여 강을 제조하고, 염기성법은 염기성 내화물을 사용하여 강을 제조한다. 내화물은 고온에서 내화성이 있는 물질로, 강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광로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 내화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내화물의 종류에 따라 산성법과 염기성법으로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조한 그대로 사용되는 스텔라이트의 함유성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구리
  2. 코발트
  3. 크롬
  4. 텅스텐
(정답률: 45%)
  • 스텔라이트는 주로 코발트, 크롬, 텅스텐 등의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구리는 스텔라이트의 함유성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구리가 스텔라이트의 물성에 부적합하기 때문입니다. 구리는 스텔라이트의 내식성을 저하시키고, 강도와 내구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반도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공업에 이용되는 것으로 비중이 5.32 인 금속은?

  1. Ni
  2. Bi
  3. Be
  4. Ge
(정답률: 48%)
  • 금속의 반도체적 특성은 전기전도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반도체적 특성이 높아지며, 전자공업에서 이용되는 금속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이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은 금속은 "G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구조용 탄소강 중 탄소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1. 극연강
  2. 연강
  3. 반연강
  4. 최경강
(정답률: 54%)
  • 정답인 최경강은 탄소 함량이 0.6% 이상으로 가장 높은 탄소강입니다. 극연강은 탄소 함량이 0.8% 이상으로 너무 높아 가공이 어렵고, 연강과 반연강은 탄소 함량이 최경강보다 낮아 강도와 경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최경강이 구조용 탄소강 중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조품에 적합한 것으로 8∼12% Sn에 1∼2%Zn을 넣은 구리합금은?

  1. 토리렁
  2. 위디아
  3. 카보닐
  4. 포금
(정답률: 67%)
  • 주조품에 적합한 구리합금은 내식성, 기계적 강도, 가공성 등이 우수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8∼12% Sn과 1∼2% Zn을 넣은 구리합금은 내식성과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며, 가공성도 우수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주조품 제작에 적합하며, 이 합금의 이름은 포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KS 제도규격에서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의 기본적인 단위는?

  1. mm
  2. cm
  3. 인치
  4. 야드
(정답률: 84%)
  • KS 제도규격에서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의 기본적인 단위는 "mm"입니다. 이는 KS 제도규격에서 규정한 치수 측정 단위가 mm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mm는 cm보다 더 작은 단위이며, 인치와 야드는 국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단위이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면에서 치수선 또는 치수보조선은 어떤 선으로 긋는가?

  1. 일점 쇄선
  2. 가는 실선
  3. 굵은 선
  4. 파선
(정답률: 85%)
  • 치수선 또는 치수보조선은 도면에서 길이나 크기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가는 실선으로 그립니다. 이는 가장 명확하게 보이며, 다른 선들과도 구분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치수선이나 치수보조선은 도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가는 실선으로 그려서 명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도에 사용되는 선의 용도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외형선 : 물체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을 나타내는 선
  2. 은선 : 물체의 가상 형상을 표시하는 선
  3. 중심선 :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
  4. 치수선 :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쓰이는 선
(정답률: 92%)
  • 은선은 물체의 실제 형상이 아닌 가상의 형상을 나타내는 선으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선입니다. 따라서, "은선 : 물체의 가상 형상을 표시하는 선"이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제도 용지 규격 중 가장 큰 용지는?

  1. A4
  2. A2
  3. A1
  4. A0
(정답률: 91%)
  • 다음 제도 용지 규격은 A0, A1, A2, A3, A4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A0이 가장 큰 용지이며, A4가 가장 작은 용지이기 때문입니다. A0은 1m x 0.707m의 크기를 가지며, 이를 반으로 접으면 A1, 또 반으로 접으면 A2, 이와 같이 반으로 계속해서 접으면서 크기가 줄어들어 A4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A0이 가장 큰 용지이며, 정답은 A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투상도에서 물체의 높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정면도
  2. 좌측면도
  3. 평면도
  4. 우측면도
(정답률: 88%)
  • 투상도는 3차원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한 그림이므로 높이를 나타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높이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정답입니다. 평면도는 물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 높이를 포함한 3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21. 치수숫자 기입 시 판의 두께를 나타내는 기호는?

  1. S
  2. R
  3. t
(정답률: 84%)
  • 판의 두께를 나타내는 기호는 "t"입니다. 이는 thickness(두께)의 약자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 3각법으로 투상할 때 A 방향에서 보고 그린 투상도의 명칭은?

  1. 배면도
  2. 평면도
  3. 우측면도
  4. 좌측면도
(정답률: 82%)
  • 제 3각법으로 투상할 때 A 방향에서 보고 그린 투상도는 우측면을 보고 그린 것이므로 "우측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치수 공차를 계산하는 옳은 식은?

  1. 최대허용치수 - 최소허용치수
  2. 기준치수 - 실제치수
  3. 실제치수 - 치수허용차
  4. 허용한계치수 - 실제치수
(정답률: 83%)
  • 치수 공차는 제품의 치수가 어느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때, 최대허용치수는 제품의 치수가 허용되는 최대값을, 최소허용치수는 제품의 치수가 허용되는 최소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치수 공차는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의 차이인 "최대허용치수 - 최소허용치수"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그림에서 "?"가 뜻하는 것은?

  1. 틈새
  2. 죔새
  3. 공차
  4. 축의 치수
(정답률: 66%)
  • "?"는 빈칸을 채우기 위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리고 "죔새"가 정답인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두 개의 새가 죽어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죔새"는 죽은 새를 뜻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황에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KS규격에서 규정한 표면거칠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최대높이 거칠기
  2. 중심선 평균 거칠기
  3. 10점 평균 거칠기
  4. 최대 평균 거칠기
(정답률: 42%)
  • "최대 평균 거칠기"는 KS규격에서 규정한 표면거칠기의 종류가 아닙니다. "최대 평균 거칠기"는 표면의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후, 그 거리를 측정 지점 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은 표면의 최대 높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면에 기입된 나사의 호칭 M 12 x 1.5-2 에서 2 가 뜻하는 것은?

  1. 나사의 등급
  2. 나사산의 줄 수
  3. 나사의 리드
  4. 피치
(정답률: 36%)
  • 2는 나사의 등급을 나타냅니다. 나사의 등급은 나사의 강도와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숫자가 높을수록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등급이 높은 나사일수록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면, 평면(또는 하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면 위에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도시한 투상도가 아닌 것은?

  1. 등각 투상도
  2. 사투상도
  3. 부등각 투상도
  4. 정투상도
(정답률: 38%)
  • 정투상도는 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면 위에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도시한 투상도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등각 투상도, 사투상도, 부등각 투상도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정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강구를 일정하중P(Kg)으로 철강시험편에 압입시킨 후 그 표면에 생기는 원형 홈의 표면적 A(mm2)를 측정하여 경도를 아는 방법은?

  1. 쇼어 경도시험기
  2. 브리넬 경도시험기
  3. 자기적 경도시험기
  4. 마르텐스 경도시험기
(정답률: 73%)
  • 브리넬 경도시험기는 일정하중으로 시험편을 압입시킨 후 그 표면에 생긴 원형 홈의 표면적을 측정하여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험편의 경도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며, 시험편의 표면에 생긴 홈의 크기와 형태를 측정하여 경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리넬 경도시험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죠미니시험(jominy test)방법의 올바른 설명은?

  1. 담금질 온도와 강의 화학성분으로 측정
  2. 로크웰 경도수치와 물로 냉각시킨 부분부터의 거리에 의해 측정
  3. 뜨임온도와 뜨임색으로 측정
  4. 냉각제의 량과 담금질온도로 측정
(정답률: 41%)
  • 죠미니시험은 강철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으로, 강을 뜨겁게 담금질한 후 물로 냉각시키면서 로크웰 경도수치와 물로 냉각시킨 부분부터의 거리에 따라 측정합니다. 이는 강의 경도와 경도가 변하는 깊이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고온조직인 [γ]고용체를 급랭에 의하여 상온에서도 균일한 [γ]고용체의 조직을 얻는 처리는?

  1. T6 처리
  2. T4 처리
  3. 용체화 처리
  4. 시효 처리
(정답률: 78%)
  • 고온에서 형성된 [γ]고용체는 높은 온도로 인해 결정성이 불안정하며, 상온에서는 불균일한 조직을 보인다. 이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급랭을 통해 빠르게 냉각하여 [γ]고용체를 용체화 처리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결정성이 안정화되어 균일한 조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용체화 처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염산:질산의 비율이 3:1 또는 5:1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Au, Pt 등 귀금속의 부식제로 사용되는 것은?

  1. 크롬산 용액
  2. 나이탈
  3. 왕수
  4. 피크린산
(정답률: 60%)
  • 왕수는 염산과 질산을 3:1 또는 5:1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귀금속의 부식제로 사용됩니다. 이는 염산과 질산이 각각 귀금속을 부식하는 능력이 있지만, 이를 혼합하면 더욱 강력한 부식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귀금속을 부식시키기 위해서는 염산과 질산을 혼합한 왕수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압축시험으로 구할 수 없는 것은?

  1. 압축강도
  2. 연신율
  3. 비례한도
  4. 탄성계수
(정답률: 49%)
  • 압축시험은 물체가 얼마나 압축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압축강도, 비례한도, 탄성계수와 같은 물체의 강성과 관련된 성질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신율은 물체가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성질로, 압축시험으로는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연신율은 압축시험으로 구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설퍼프린트 시험 분류 중 일반강재에서 보통 볼수 있는 편석으로 황이 강재 외주부로부터 중심부로 향해 증가하여 분포되는 편석은?

  1. 역편석
  2. 정편석
  3. 선상편석
  4. 구상편석
(정답률: 48%)
  • 황이 강재 외주부로부터 중심부로 향해 증가하는 편석은 정편석입니다. 이는 강재의 결정구조에서 결정의 방향이 일정하게 정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반강재에서 보통 볼 수 있는 편석 중에서 이러한 특징을 가진 것은 정편석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금속재료의 피로시험결과를 표시한 S-N곡선에서 피로한도를 표시하는 눈금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5%)
  • 정답은 "c"입니다.

    S-N곡선은 금속재료의 피로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에서 x축은 주기수, y축은 응력을 나타냅니다. 피로한도는 금속재료가 얼마나 많은 주기를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은 S-N곡선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눈금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위의 그래프에서 피로한도를 나타내는 눈금은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이아몬드 해머를 자유낙하시켜 반발되어 튀어오르는 높이로 경도를 측정하는 것은?

  1. 브리넬 경도계
  2. 로크웰 경도계
  3. 쇼어 경도계
  4. 마텐스 경도계
(정답률: 68%)
  • 다이아몬드 해머를 자유낙하시켜 반발되어 튀어오르는 높이로 경도를 측정하는 것은 쇼어 경도계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해머의 무게와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시료의 표면에 충격을 가해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료의 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와 시료의 경도에 따라 튀어오르는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쇼어 경도계는 경도 측정에 적합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얇은 금속판의 소성(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은?

  1. 마모시험
  2. 크리프시험
  3. 압축시험
  4. 에릭슨시험
(정답률: 65%)
  • 에릭슨시험은 금속판의 소성(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금속판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그에 따른 변형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얇은 금속판의 소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며, 마모시험은 표면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크리프시험은 금속의 변형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는 시험, 압축시험은 금속의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항복점이 나타나는 시험법은?

  1. 인장시험
  2. 충격시험
  3. 경도시험
  4. 자기탐상법
(정답률: 71%)
  • 인장시험은 시편을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변형을 측정하여 항복점을 파악하는 시험법입니다. 따라서 항복점이 나타나는 시험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커스 경도치를 나타내는 공식은?

  1. HV=100-500△t
(정답률: 38%)
  • 비커스 경도치를 나타내는 공식은 HV=100-500△t 입니다. 이는 비커스 경도치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HV는 비커스 경도치를 나타내며, △t는 온도 변화량을 나타냅니다. 이 공식에서 500은 비커스 경도치의 온도에 따른 변화율 상수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면 비커스 경도치는 증가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비커스 경도치는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방사선투과검사시 사용되는 관전압의 올바른 표시는?

  1. Hz
  2. KVP
  3. mA
  4. Km
(정답률: 58%)
  •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되는 관전압은 KVP(Kilovoltage peak)로 표시됩니다. 이는 X선 발생기에서 생성된 전압의 최대치를 나타내며, 이 값이 높을수록 X선의 에너지가 높아지므로 조사 대상물의 내부를 더욱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VP는 방사선투과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누설탐상 시험의 기호는?

  1. MT
  2. LT
  3. RT
  4. ET
(정답률: 58%)
  • 누설탐상 시험에서 LT는 "Left Turn"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험에서 좌회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조직 및 비파괴시험

41. 초음파는 파의 운동과 관련하여 주요한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 성질에 속하는 것은?

  1. 강도와 비중
  2. 반사와 굴절
  3. 비열과 온도
  4. 감도와 회전
(정답률: 59%)
  • 초음파는 공기나 물 등의 매질을 통과할 때 파동의 운동을 일으키며, 이 때 매질의 밀도나 탄성 등의 성질에 따라 파동이 반사되거나 굴절됩니다. 따라서 초음파의 주요한 성질은 반사와 굴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고주파 전자의 파동을 석영 결정과 병용하여 비파괴시험에 응용하는 것은?

  1. 형광검사법
  2. 초음파검사법
  3. 스트레인검사법
  4. 슬퍼민트검사법
(정답률: 79%)
  • 고주파 전자의 파동은 석영 결정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초음파검사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음파검사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비파괴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액체 침투 시험에서 필요한 재료가 아닌 것은?

  1. 현상제
  2. 유화제
  3. 환원제
  4. 세척제
(정답률: 58%)
  • 액체 침투 시험에서는 표면에 있는 결함이나 균열을 찾기 위해 액체 침투제, 현상제, 유화제, 세척제 등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환원제는 이러한 결함을 찾는 데 필요한 재료가 아닙니다. 환원제는 화학 반응을 통해 산화된 물질을 환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액체 침투 시험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분탐상 시험법에서 재료의 투자성(permeability)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자화될 수 있는 성질
  2. 부품의 무게
  3. 탈자의 종류
  4. 탐상기의 모양
(정답률: 70%)
  • 재료의 투자성(permeability)은 자화될 수 있는 성질입니다. 이는 재료가 자기장에 노출되면 자기장에 의해 자기화되어 자기장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질은 자분탐상 시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과공석강을 완전 풀림할 때 얻을 수 있는 조직은?

  1. 페라이트+층상 펄라이트
  2. 오스테나이트
  3. 초석 시멘타이트+층상 펄라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53%)
  • 과공석강을 완전 풀림할 때 얻을 수 있는 조직은 초석 시멘타이트와 층상 펄라이트입니다. 이는 과공석강의 초기 조직인 페라이트가 열처리 과정에서 시멘트화되어 초석 시멘타이트가 형성되고, 동시에 층상 펄라이트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조직이 함께 형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국부의 혈액 순환 이상으로 몸이 퉁퉁 부어 오르는 상태는?

  1. 좌상
  2. 찰과상
  3. 절상
  4. 부종
(정답률: 66%)
  • 부종은 혈액 순환 이상으로 인해 체액이 과도하게 쌓여서 몸이 부어 오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혈액이 정상적으로 순환되지 않아 혈액액체가 조직 사이로 새어나가거나 혈관 내부에 쌓여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부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호구를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에 적절한 보호구를 설정한다.
  2. 작업장에는 필요한 수량보다 많이 보호구를 비치한다.
  3. 작업자에게 올바른 사용방법을 가르친다.
  4. 보호구는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작업장에는 필요한 수량보다 많이 보호구를 비치한다."입니다. 이유는 작업장에서는 언제나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수량보다 많은 보호구를 비치해두면 긴급한 상황에서도 즉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장에서는 보호구를 충분히 비치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불꽃시험시의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시험할 재료를 100m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한다.
  2. 시험편에 질화층, 스케일이 있으면 제거하지 않고 시험해야 한다.
  3. 불꽃의 유선이 약 500mm가 되도록 적당한 힘을 주어 압력을 가한다.
  4. 방진안경, 방진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67%)
  • 시험편에 질화층, 스케일이 있으면 제거하지 않고 시험해야 한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질화층이나 스케일 등을 제거한 후 시험해야 합니다. 이유는 이러한 불순물이 불꽃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불꽃의 형태를 왜곡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굽힘강도시험의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시험편의 너비가 롤러의 길이보다 좁아야 한다.
  2. 시험편의 길이는 규격에 맞도록 한다.
  3. 잘 구부러지도록 시험편에 기름칠을 하여야 한다.
  4. 하중을 가할 때 절대로 방심하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67%)
  • "잘 구부러지도록 시험편에 기름칠을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굽힘강도시험에서는 시험편과 롤러 사이에 기름을 칠하지 않는다. 이는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기 탐상 검사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접촉판은 자주 샌드페이퍼로 연마한다.
  2. 탐상 중에는 탐상기 내부에 함부로 손을 대어서는 안된다.
  3. 접촉판을 피검사물에 접촉하여 검사하여서는 안된다.
  4. 피검사물에 묻어있는 기름을 제거한 후 시험한다.
(정답률: 29%)
  • "접촉판을 피검사물에 접촉하여 검사하여서는 안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접촉판은 검사물과 접촉하여 검사하는 것이 주요한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오타로 인해 잘못 작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에 첨가하면 내마멸성을 증가시키고 전자기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합금원소는?

  1. Pb
  2. Si
  3. Mn
  4. Cu
(정답률: 54%)
  • 정답은 "Si"입니다.

    강에 첨가된 Si는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Si가 강의 구조 안정성을 높여서 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Si는 전자기적 성질을 개선시키는데, 이는 Si가 강의 전기전도성을 높여서 전기적인 성질을 개선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에 첨가하면 내마멸성을 증가시키고 전자기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합금원소는 "S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험편을 편광으로 검경 하면 부식을 하지 않아도 결정 입자나 상을 식별할 수 있는 광학적으로 이방성을 가진 금속은?

  1. 니켈(Ni)
  2. 알루미늄(Al)
  3. 아연(Zn)
  4. 구리(Cu)
(정답률: 36%)
  • 아연은 편광을 통과할 때 이방성을 가지므로, 결정 입자나 상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식에 강하므로 시험편을 검경할 때 부식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연(Z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강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 시험 방법 중 침탄 입도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산화법
  2. 제강법
  3. 서랭법
  4. 퀜칭법
(정답률: 40%)
  • 제강법은 강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며,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 시험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제강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매크로(Macro)부식법에 사용되는 부식액은?

  1. 나트륨
  2. 염산
  3. 붕소
  4. 소다
(정답률: 59%)
  • 매크로 부식법은 금속을 부식시키기 위해 염산을 사용합니다. 염산은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어 금속 표면의 산화물을 용해시키고 부식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염산이 매크로 부식액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쇼어 경도 시험법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탄성률의 차이가 큰 재료에 적합하다.
  2. 재료에 자국을 남기지 않고도 경도 측정할 수 있다.
  3. 시험편의 무게와 면적은 적을수록 좋다.
  4. 유압 레버를 상하로 움직여 측정한다.
(정답률: 50%)
  • 쇼어 경도 시험법은 유압 레버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고, 이에 대한 심도를 측정하여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재료에 자국을 남기지 않고도 경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배율이 20 배인 대물 렌즈와 10 배인 접안 렌즈로 현미경 조직을 관찰할 때 관찰 배율은?

  1. 20
  2. 50
  3. 100
  4. 200
(정답률: 59%)
  •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의 배율을 곱하면 현미경의 총 배율이 나옵니다. 따라서 20배 x 10배 = 200배가 됩니다. 즉, 현미경으로 관찰한 대상은 실제 크기의 200배로 확대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연강을 인장시험하였을 때 일정한 한도에 달하면 하중을 그 이상 증가시키지 않아도 계속 늘어나는 응력은?

  1. 압입점
  2. 항복점
  3. 탄성계수
  4. 수축한계
(정답률: 37%)
  • 연강은 일정한 하중에 대해 일정한 응력을 유지하다가 어느 정도의 하중에 도달하면 일정한 응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때부터 하중을 증가시키면 연강은 변형되어 파괴됩니다. 이때의 하중을 항복하중이라고 하며, 항복하중 이전까지는 탄성 변형을 겪으며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였지만, 항복하중 이후에는 비례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항복하중 이후에는 응력이 계속 증가하면서 연강은 파괴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연강을 인장시험할 때 일정한 한도에 달하면 하중을 그 이상 증가시키지 않아도 계속 늘어나는 응력을 항복점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이력곡선에서 자속 밀도가 0에 상당하는 자속밀도는?

  1. 투자율
  2. 잔류자속밀도
  3. 이력 손실
  4. 충전율
(정답률: 40%)
  • 이력곡선에서 자속 밀도가 0에 상당하는 자속밀도는 "잔류자속밀도"입니다. 이는 이력곡선에서 자성체가 완전히 자화되지 않고 일부 자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는 자성체의 이력 손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력곡선에서 자속 밀도가 0에 가까워지더라도 잔류자속밀도는 여전히 존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샤르피 충격시험에서 충격 흡수 에너지의 단위는?

  1. kgf/m2
  2. kgf∙m/cm
  3. kgf∙m
  4. kgf/cm3
(정답률: 17%)
  • 샤르피 충격시험에서 충격 흡수 에너지는 단위가 kgf∙m이다. 이는 충격 시험에서 시료가 받는 충격력을 표현하는 kgf와, 이 충격력이 시료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나타내는 m의 곱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kgf∙m은 충격 시험에서 시료가 받은 충격력을 흡수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커스 경도계에 사용하는 압입체의 꼭지각은?

  1. 136°
  2. 120°
  3. 90°
  4. 60°
(정답률: 71%)
  • 비커스 경도계에 사용하는 압입체의 꼭지각은 136°입니다. 이는 비커스 경도계의 측정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비커스 경도계는 물체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때 압입체를 물체에 대고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깊이를 측정합니다. 이때 압입체의 꼭지각이 작을수록 민감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꼭지각이 너무 작으면 압력이 집중되어 물체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커스 경도계에서는 꼭지각이 136°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