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인간공학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간공학개론

1.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인간공학의 다른 이름인 작업 경제학(ergonomics)은 경제학에서 파생되었다.
  2. 인간공학에서 다루는 내용은 상식 수준이다.
  3. 인간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과정이다.
  4. 초정이 인간보다는 장비/도구의 설계에 맞추어져 있다.
(정답률: 80%)
  • 인간공학은 인간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 시스템, 작업환경 등을 설계하는 과정이다. 이는 인간의 신체적, 인지적, 감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설계를 만들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과정이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간이 한 자극 차원 내에서 절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자극의 수를 나열한 것 중 관계가 먼 것은?

  1. 음량 : 4~5개
  2. 단순음 : 5개
  3. 휘도 : 7~8개
  4. 보는 물체의 크기 : 5~7개
(정답률: 78%)
  • 인간이 한 자극 차원 내에서 절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자극의 수를 나열한 것 중 "휘도 : 7~8개"가 관계가 먼 것은,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간이 식별할 수 있는 자극의 수를 나열한 것이지만, "휘도"는 빛의 세기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자극들과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간이 식별할 수 있는 휘도의 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조명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시각적 표시자이보다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해야 할 경우는?

  1. 전언이 복잡하다.
  2. 전언이 길다.
  3. 전언이 시간적 사상을 다룬다.
  4. 전언이 후에 재창조된다.
(정답률: 81%)
  • 정답: 전언이 시간적 사상을 다룬다.

    설명: 청각적 표시장치는 시간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시간적 사상을 다루는 전언의 경우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전언이 복잡하다"나 "전언이 길다"는 전언의 특성이지만, 이들이 시간적 사상을 다루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전언이 후에 재창조된다"는 전언의 특성이지만, 이 역시 시간적 사상을 다루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체계측치 중 기능적(functional) 치수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사용 공간의 크기가 중요하기 때문
  2. 인간은 닿는 한계가 있기 때문
  3. 인간이 다양한 자세를 취하기 때문
  4. 각 신체부위는 조화를 이루면서 움직이기 때문
(정답률: 83%)
  • 인체계측치는 인간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데, 이 중에서 기능적 치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각 신체부위가 조화를 이루면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의 신체는 하나의 유기체로서 움직임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부위의 기능적인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작업자세 결정시 고려해야 할 분석자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자와 작업참의 거리 및 높이
  2. 작업자의 힘과 작업자의 성별
  3. 기계의 신뢰도
  4. 작업 장소의 넓이
(정답률: 80%)
  • 작업자세 결정시 고려해야 할 분석자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기계의 신뢰도"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이지만, 작업자의 신체적인 조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작업자와 작업참의 거리 및 높이, 작업자의 힘과 성별, 작업 장소의 넓이는 모두 작업자의 신체적인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세 결정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분석자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평균치기준의 설계원칙에서는 조절식 설계가 바람직하다. 이 때의 조절 범위는?

  1. 1~99%
  2. 5~95%
  3. 5~90%
  4. 10~90%
(정답률: 76%)
  • 평균치기준의 설계원칙에서는 극단적인 값들이 평균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식 설계가 필요하다. 이 때 조절 범위는 너무 작으면 효과가 없고, 너무 크면 평균치에 영향을 미치는 극단적인 값들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5~95%가 적절한 범위이다. 이 범위는 극단적인 값들을 제외하면서도 충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신호검출이론(SDT)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신호검출이론은 신호와 잡음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의 하나이다.
  2. 민감도는 신호와 소음분포의 평균간의 거리이다.
  3. 신호검출이론 응용분야의 하나는 품질검사 능력의 측정이다.
  4. 신호검출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자극은 시각적 자극에 극한된다.
(정답률: 79%)
  • "신호검출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자극은 시각적 자극에 극한된다."는 SDT와 관련이 없는 문장이다. SDT는 모든 자극에 적용될 수 있으며, 민감도와 반응 기준을 측정하여 신호와 잡음을 구별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이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구조적 인체치수 측정방법 중 틀린 것은?

  1. 형태학적 측정이라고 한다.
  2. 마틴식 인체측정기를 사용한다.
  3. 측정은 나체로 측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4. 일반적으로 하지나 상지의 운동 상태에서 측정한다.
(정답률: 94%)
  • "일반적으로 하지나 상지의 운동 상태에서 측정한다."가 틀린 것이다. 구조적 인체치수 측정은 정적인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운동이나 자세 변화로 인해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 시에는 일반적으로 정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이의 반사율이 70%이고, 인쇄된 글자의 반사율이 15%일 경우 대비는?

  1. 15%
  2. 21%
  3. 70%
  4. 79%
(정답률: 58%)
  • 대비는 반사율의 차이를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종이와 인쇄된 글자의 대비는 (70% - 15%) / 70% = 0.79, 즉 79%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보량을 구하는 수식 중 틀린 것은?

  1. H = log2n : n = 대안의 수
  2. = 대안의 실현확률
  3. = 각 대안의 실패 확률
  4. = 각 대안의 실현 확률
(정답률: 83%)
  • 정답은 " = 각 대안의 실패 확률" 이다.

    정보량은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사건이 얼마나 놀라운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정보량을 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I = log2(1/p)

    여기서 p는 해당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다. 이 수식에서 1/p는 해당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나타내는데, 이는 각 대안의 실패 확률이 아니라 대안의 실현 확률과 같다. 따라서 " = 각 대안의 실패 확률"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량적 표시장치의 지침을 설계할 경우 고려하여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끝이 뾰족한 지침을 사용할 것
  2. 지침의 끝이 작은 눈금과 겹치게 할 것
  3. 지침의 색은 선단에서 눈금의 중심까지 칠할 것
  4. 지침을 눈금 면과 밀착시킬 것
(정답률: 84%)
  • "지침의 끝이 작은 눈금과 겹치게 할 것"은 틀린 것입니다. 이는 지침이 눈금과 겹치면 오히려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침의 끝은 눈금과 일치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세면대 수도 꼭지에서 찬물은 오른쪽 푸른색으로 되어있는 곳에서 나오기를 기대하는데 이는 무엇과 연관이 있는가?

  1. compatibility
  2. lock-out
  3. fail-safe
  4. possibility
(정답률: 85%)
  • 정답은 "compatibility"이다. 이는 세면대 수도 꼭지에서 찬물이 오른쪽 푸른색으로 나오는 것이 물의 호환성 때문이기 때문이다. 호환성은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부품이 함께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면대 수도 꼭지에서 찬물이 오른쪽 푸른색으로 나오는 것은 물의 호환성이 잘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반지름이 10cm인 조종 장치를 30도 움직일 때 마다 표시장치는 1cm 이동한다고 할 때, C/R비는 얼마인가?

  1. 2.09
  2. 3.49
  3. 4.11
  4. 5.23
(정답률: 50%)
  • 원주는 2πr 이므로, 반지름이 10cm인 원의 원주는 20πcm이다. 30도 움직일 때마다 표시장치는 1cm 이동하므로, 전체 원주를 20πcm를 30도씩 나누면 2π/3cm씩 이동한다. 따라서 C/R비는 2π/3cm ÷ 10cm = 0.209이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21이고, 이를 역수로 취한 값은 4.76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C/R비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을 정답으로 요구하므로, 4.76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5.2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phon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이한 음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정보는 나타내지 못한다.
  2. 1,000Hz 대의 20dB 크기의 소리는 20phon 이다.
  3. 40dB의 1,000Hz 순음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설정하는 척도의 단위이다.
  4. 1,000Hz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각 주파수별 동일한 음량을 주는 음압을 평가하는 척도의 단위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1,000Hz 대의 20dB 크기의 소리는 20phon 이다." 이다. phon은 소리의 크기를 평가하는 척도이며, 주파수와 음압을 모두 고려하여 상이한 음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000Hz 대의 20dB 크기의 소리가 20phon이라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phon의 정의가 아니다. phon은 40dB의 1,000Hz 순음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설정하는 척도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간이 정보를 작업 기억(Working memory) 혹은 장기기억(long-term memory)내의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암송(rehearsal)
  2. 다차원(multidimensional)의 암호 사용
  3. 의미론적(semantical) 암호 사용
  4. 정보를 이미지화(형상화)하여 기억
(정답률: 77%)
  • 다차원(multidimensional)의 암호 사용은 인간의 기억 체계와 어긋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 인간의 기억은 주로 시각적, 음성적, 의미론적인 정보를 처리하며, 다차원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다차원적인 암호를 사용하면 기억하기 어렵고, 기억이 지속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동목정침형(moving scale and fixed pointer) 표시장치가 정목동침형(moving pointer and fixed scale) 표시장치에 비하여 더 좋은 경우는?

  1. 나타내고자 하는 값의 범위가 큰 경우에 유리하다.
  2. 정량적인 눈금을 정성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3. 기계의 표시장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유리하다.
  4. 특정 값을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75%)
  • 동목정침형 표시장치는 이동 가능한 눈금과 고정된 지시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내고자 하는 값의 범위가 큰 경우에 더 유리합니다. 이는 이동 가능한 눈금이 큰 범위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량적인 눈금을 정성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기계의 표시장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정목동침형 표시장치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동목정침형 표시장치는 특정 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 자극 전체를 직접 나타내거나 재생시키는 대신, 정보(즉, 자극)를 암호화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와 같이 정보를 암호화하는 데 있어서 지켜야 할 일반적 지침으로 틀린 것은?

  1. 암호의 양립성
  2. 암호의 검출성
  3. 암호의 변별성
  4. 암호의 민감성
(정답률: 76%)
  • 암호의 민감성은 일반적인 암호화 지침이 아니라 오히려 피해야 할 지침입니다. 암호의 민감성이란, 암호화된 정보가 노출될 경우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암호화를 할 때는 암호의 양립성, 검출성, 변별성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암호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간의 피부가 느끼는 3종류의 감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암각
  2. 동각
  3. 미각
  4. 열각
(정답률: 80%)
  • 인간의 피부가 느끼는 3종류의 감각은 촉각, 온감각, 통감각입니다. 미각은 입 안에서 맛을 느끼는 감각이므로 피부 감각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업장에 인간공학을 적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로 틀린 것은?

  1. 이직률 및 작업손실 시간의 감소
  2. 회사의 생산성 증가
  3. 노사간의 신뢰성 저하
  4. 작업자에게 더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조건
(정답률: 95%)
  • 노사간의 신뢰성 저하는 인간공학을 적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가 아닙니다. 인간공학은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인간공학을 적용하면 이직률 및 작업손실 시간의 감소, 회사의 생산성 증가, 작업자에게 더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조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두 가지 이상의 신호가 인접하여 제시되었을 때 이를 구별하는 것은 인간의 청각 신호 수신기능 중에서 어느 것과 관련 있는가?

  1. 위치 판별
  2. 절대 식별
  3. 삼대 식별
  4. 청각 신호검출
(정답률: 72%)
  • 이는 "삼대 식별"과 관련이 있습니다. 삼대 식별은 인간의 청각 신호 수신기능 중 하나로, 두 개 이상의 신호가 인접하여 제시되었을 때, 그 중간에 위치한 신호를 구별하는 능력입니다. 이는 인간이 말을 들을 때, 음악을 들을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생리학

21. 다음 중 정신부하의 측정에 사용되는 것은?

  1. 부정맥
  2. 산소 소비량
  3. 에너지 소비량
  4. 혈압
(정답률: 75%)
  • 부정맥은 심장의 불규칙한 박동을 의미하며, 이는 정신부하의 측정에 사용됩니다.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장의 작동이 불규칙해지므로, 이를 측정하여 정신부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산소 소비량과 에너지 소비량은 신체 활동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혈압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해부학적 자세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인체의 면을 나타내는 용어 중 인체를 좌우로 양분하는 면에 해당하는 용어는?

  1. 관상면 (Frontal plane)
  2. 횡단면 (Transverse plane)
  3. 시상면 (Sagittal plane)
  4. 수평면 (Horizontal plane)
(정답률: 63%)
  • 시상면은 인체를 좌우로 양분하는 면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는 인체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면으로, 인체의 중심선을 따라 나누어진다. 따라서 시상면은 인체의 좌우 대칭성을 나타내는 면으로, 해부학적 자세를 표현할 때 매우 중요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근육의 정적상태의 근력을 나타내는 것은?

  1. 등속성 근력(Isokinetic strength)
  2. 등장성 근력(Isotonic strength)
  3. 등관성 근력(Isoinertia strength)
  4. 등척성 근력(Isometric strength)
(정답률: 75%)
  • 등척성 근력은 근육이 정적인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며 발생하는 근력을 나타냅니다. 즉, 근육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의 근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예를 들어 벽에 손을 대고 버티는 자세나, 무게를 들어올리는 자세 등에서 발생하는 근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육체적 작업을 할 경우 신체의 특정 부위의 스트레스 또는 피로를 측정하는 방법은?

  1. 에너지 소비량
  2. 심박수
  3. 근전도
  4. 산소 소모량
(정답률: 70%)
  • 근전도는 근육 내 전기 활동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육체적 작업을 할 때 특정 근육의 활동을 측정하여 그 부위의 스트레스 또는 피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전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이 한손에 70N의 무게(weight)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유지하려면 노뼈(척골 또는 radius)위에 붙어 있는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에 의해 생성되는 힘 Fm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단, 위팔두갈래근은 팔굽관절(elbow joint)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3cm 떨어진 곳에 붙어 있고 90° 각을 이루며, 손위 물체의 무게중심과 팔굽관절의 회전중심과의 거리는 30cm 이다. 또한 전완(forearm)과 손의 무게 거리는 30cm 이다. 또한 전완(forearm)과 손의 무게 그리고 위팔두갈래근 외의 근육 활동은 모두 무시한다.)

  1. 400N
  2. 500N
  3. 600N
  4. 700N
(정답률: 41%)
  • 위팔두갈래근이 생성하는 힘 Fm은 무게(weight)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Fm은 무게(weight)와 동일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Fm은 70N이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완(forearm)과 손의 무게 그리고 위팔두갈래근 외의 근육 활동은 모두 무시하라고 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Fm이 무게(weight)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70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업 현장에서 열 스트레스(heat stress)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전도(conduction)
  2. 대류(convection)
  3. 복사(radiation)
  4. 증발(evaporation)
(정답률: 65%)
  • 열 스트레스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대류, 복사, 증발이다. 전도는 열이 고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며, 산업 현장에서는 대부분 고체가 아닌 공기나 물 등의 유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열 스트레스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간과 주위와의 열교환 과정을 올바르게 나타낸 열균형 방정식은?

  1. S(열축적) = M(대사) - E(증발) - R(복사) ± C(대류) + W(한 일)
  2. S(열축적) = M(대사) ± E(증발) - R(복사) ± C(대류) - W(한 일)
  3. S(열축적) = M(대사) - E(증발) ± R(복사) - C(대류) - W(한 일)
  4. S(열축적) = M(대사) - E(증발) ± R(복사) ± C(대류) - W(한 일)
(정답률: 50%)
  • 인간과 주위와의 열교환 과정은 대사, 증발, 복사, 대류, 한 일의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다섯 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한 열균형 방정식은 "S(열축적) = M(대사) - E(증발) ± R(복사) ± C(대류) - W(한 일)"입니다. 이 중에서도 대사와 증발은 반드시 빼야 하며, 나머지 요소들은 상황에 따라 더하거나 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효율적인 교대작업 운명을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2교대 근우는 최소화하며, 1일 2교대 근무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연속 근무일이 2~3일이 넘지 않도록 한다.
  2. 고정적이거나 연속적인 야간근무 작업은 줄인다.
  3. 교대일정은 정기적이고 근로자가 예측 가능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4. 교대작업은 주간근무 → 야간근무 → 저녁근무 → 주간근무 식으로 진행해야 피로를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정답률: 82%)
  • "교대작업은 주간근무 → 야간근무 → 저녁근무 → 주간근무 식으로 진행해야 피로를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이것이 아닌 것은 효율적인 교대작업 운명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유는 이것은 효율적인 교대작업 운명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근로자의 체력 회복을 돕기 위해 근무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근로자의 체력 회복을 돕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신경세포(neuron)에 있어 활동전위(action potentia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축색(axon)의 지름이 커지면 저항이 커져 활동전위의 전도속도가 느려진다.
  2. 신경의 세포막은 K+과 Na+에 대해 투과성이 변화하는 능력이 있다.
  3. 활동전위의 전도속도는 30m/sec로 전선에 흐르는 전기의 속도에 비해 상당히 느리다.
  4. 특정 부위의 활동전위는 인접 부분의 전위를 중하시켜 신경 충동을 전파한다.
(정답률: 60%)
  • "축색(axon)의 지름이 커지면 저항이 커져 활동전위의 전도속도가 느려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유는 "축색(axon)의 지름이 커지면 저항이 작아져 활동전위의 전도속도가 빨라진다."이다. 이는 오목한 전기학적 원리인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기저항이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색의 지름이 커질수록 전기저항이 작아지고 전도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정답은 "활동전위의 전도속도는 30m/sec로 전선에 흐르는 전기의 속도에 비해 상당히 느리다."이다. 활동전위의 전도속도는 전기의 속도와는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매우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영상표시 단말기(VDT)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작업장 조명 관리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작업물을 보기 쉽도록 주위 조명 수준을 정일 시각 작업에 적정한 1,000lix 이상으로 높게 한다.
  2. 화면 반사를 줄이기 위해 산란된 간접조명을 사용한다.
  3. 화면이 창과 직각이 되게 위치시킨다.
  4. 화면 상의 배경은 밝게 하고 글자는 어두운 색을 사용한다.
(정답률: 72%)
  • 작업물을 보기 쉽도록 주위 조명 수준을 정일 시각 작업에 적정한 1,000lix 이상으로 높게 한다. 이것은 영상표시 단말기(VDT) 증후군 예방을 위한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유는 적정한 조명 수준을 유지하면 눈의 노화를 방지하고 눈의 피로를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작업물을 보기 쉽게 만들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초대사율(BM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다위 시간당 에너지량이다.
  2. 일반적으로 신체가 크고 젊은 남성의 BMR이 크다.
  3. BMR은 개인차가 심하며 체중, 나이,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
  4. 성인 BMR은 대략 1.0~1.2kcal/min 정도이다.
(정답률: 50%)
  •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다위 시간당 에너지량이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BMR은 기초대사율을 의미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은 TDEE(Total Daily Energy Expenditure)로 나타낸다. TDEE는 BMR에 활동 대사량과 식사 대사량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BMR은 기초대사율을 의미하며,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은 TDEE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팔을 수평으로 편 위치에서 수직위치로 내릴 때 처럼 신체 중심선을 향한 신체부위의 동작은?

  1. 굴곡(굽형, flexion)
  2. 내전(모음, adduction)
  3. 신전(평, extension)
  4. 외전(빌림, abduction)
(정답률: 80%)
  • 신체 중심선을 향한 신체부위의 동작은 내전(모음, adduction)이다. 이는 해당 부위가 몸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팔을 수평으로 편 위치에서 수직위치로 내릴 때는 팔이 몸의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내전(모음, adduction) 동작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뇌파(EEG)의 종류 중 안정시에 나타나는 뇌파의 형은?

  1. α 파
  2. β 파
  3. δ 파
  4. γ 파
(정답률: 83%)
  • 안정시에 나타나는 뇌파의 형은 α 파입니다. α 파는 뇌파 주파수가 8~13Hz로 안정하고 규칙적인 형태를 띠며, 눈을 감고 편안한 상태에서 나타납니다. 이러한 α 파는 뇌의 휴식 상태를 나타내며,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스트레스가 많을 때는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의 윤활관절(synovial joint) 중 연결형태가 안장관절(saddle joint)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65%)
  • 연결형태가 안장관절인 것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관절은 두 개의 볼록한 부분이 서로 교차하여 안장 모양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손가락의 기능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대근무는 수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면은 체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루 중 체온이 가장 낮은 시간대는?

  1. 오전 2시 전후
  2. 오전 5시 전후
  3. 오후 2시 전후
  4. 오후 5시 전후
(정답률: 81%)
  • 체온은 일반적으로 오전 2시 전후에 가장 낮아지고, 오전 5시 전후에 최저점에 도달한다. 이후 체온은 다시 상승하며, 오후 2시 전후와 오후 5시 전후에는 다시 최고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교대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수면 패턴을 조절하여 체온 변화에 맞게 적절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체내에서 유기물의 합성 또는 분해에 있어서는 반드시 에너지의 전환이 따르게 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산소부채(oxygen debt)
  2. 에너지 대사(energy metabolism)
  3. 근전도(electromyogram)
  4. 심전도(electrocardiogram)
(정답률: 80%)
  • 체내에서 유기물의 합성 또는 분해에 있어서는 에너지가 전환되는데, 이를 에너지 대사(energy metabolism)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생성되고, 이 에너지는 다시 유기물의 합성이나 다른 생체 활동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에너지 대사는 생체 활동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간장의 주요 척도들 중 생리적 기장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화학적 척도가 아닌 것은?

  1. 혈액 성분
  2. 혈압
  3. 산소 소비량
  4. 뇨 성분
(정답률: 68%)
  • 혈압은 생리적 기장의 정도를 측정하는 화학적 척도가 아니라 생체 내 혈액의 압력을 나타내는 생리학적 척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혈액 내 성분들의 농도나 생체 내 대사 활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화학적 척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근육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 근육 세포단위는 근육 다발이다.
  2. 수축이나 이완시 actin이나 myosin의 길이가 변한다.
  3. 연결조작이 중추신경으로부터 신호를 근육에 전달한다,
  4. myosin은 두꺼운 필라멘트로 근성유 분절의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정답률: 69%)
  • "수축이나 이완시 actin이나 myosin의 길이가 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근육 수축 시 actin과 myosin의 길이는 변하지 않고, 근육 다발 내에서 서로 미묘하게 움직여서 근육이 수축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actin과 myosin 간의 교차 다리 구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근육이 수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신체 반응 측정 장비와 내용을 잘못 짝지은 것은?

  1. EOG - 안구를 사이에 두고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묻인 전극간의 전위차를 증폭시켜 여러 방향에서 안구 운동을 기록한다.
  2. EMG - 정신적 스트레스를 측정, 기록한다.
  3. ECG - 심장근의 수축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피부에 부착한 전극들로 검출, 증폭 기록한다.
  4. EEG -뇌의 활동에 따른 전휘 변화를 기록 한다.
(정답률: 75%)
  • EMG - 정신적 스트레스를 측정, 기록한다. (잘못된 짝지어진 것)

    이유: EMG는 근육의 활동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장비로, 정신적 스트레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정신적 스트레스를 측정하는데는 EEG나 심박수 측정 등 다른 장비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연속적 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실 상황은?

  1. 방직 공정 작업자의 청력 손실
  2. 밴드부 지휘자의 청력 손실
  3. 사격 교관의 청력 손실
  4. 낙하 단조 장치(drop-forge) 조작자의 청력 손실
(정답률: 83%)
  • 방직 공정 작업자는 연속적으로 작업 중인 기계 소음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청력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소음은 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청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직 공정 작업자는 청력 보호 장비를 착용하거나 소음이 큰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조작자 한 사람의 성능 신뢰도가 0.8 일 때 요원을 중복하여 2인 1조가 작업을 진행하는 공정이 있다. 전체 작업 기간의 60% 정도만 요원을 지원한다면, 이 조의 인간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816
  2. 0.896
  3. 0.962
  4. 0.965
(정답률: 67%)
  • 조작자 한 사람의 성능 신뢰도가 0.8 이므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0.2 입니다. 2인 1조가 작업을 진행하므로, 두 요원이 모두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확률은 0.8 x 0.8 = 0.64 입니다. 따라서, 두 요원 중 적어도 한 명이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확률은 1 - 0.64 = 0.36 입니다.

    전체 작업 기간의 60% 정도만 요원을 지원한다면, 작업을 수행하는데 참여하는 요원의 수는 평균적으로 1.2 명입니다. 이 때, 두 요원 중 적어도 한 명이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적어도 한 명이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 = 1 - P(두 명 모두 오류 발생)

    = 1 - (0.2 x 0.2) = 0.96

    따라서, 이 조의 인간 신뢰도는 0.96 입니다. 하지만, 이는 요원이 항상 60%의 작업 기간 동안 작업을 수행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결과입니다. 만약 요원이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간이 있다면, 인간 신뢰도는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이 "0.896" 인 이유는, 0.96에 60%를 곱한 값인 0.576을 1.2로 나눈 결과인 0.48을 0.96에 더한 값인 0.896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참여하는 요원의 수가 평균적으로 1.2명이고, 요원이 항상 60%의 작업 기간 동안 작업을 수행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의에 대한 특성 중 선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의에는 리듬이 있어 언제나 일정한 수준을 지키지 못한다.
  2. 사람의 경우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지각하는 것은 어렵다.
  3. 공간적으로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4. 한 지정에 주의를 하면 다른 곳의 주의는 약해진다.
(정답률: 56%)
  • 사람의 뇌는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자극을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의는 선택적이며 특정 자극에 집중할 때 다른 자극에 대한 주의는 약해진다. 이는 인지적 리소스의 한계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매력적으로 끌리어 그 집단 목표를 공유하는 점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집단 협력성
  2. 집단 단결성
  3. 집단 응집성
  4. 집단 목표성
(정답률: 82%)
  • 집단 응집성은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매력적으로 끌리어 그 집단 목표를 공유하는 점도를 말한다. 즉,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고 단결하여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지와 노력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집단 내부의 관계를 강화하고, 집단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집단 응집성은 집단 협력성, 단결성, 목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구성원들 간의 매력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민주적 리더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더에 의한 모든 정책의 결정
  2. 리더의 지원에 의한 집단 토론식 결정
  3. 리더의 과업 및 과업 수행 구성원 지정
  4. 리더의 최소 개입 또는 개인적인 결정의 완전한 자유
(정답률: 65%)
  • 민주적 리더십은 리더가 모든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과 함께 토론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집단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리더의 지원에 의한 집단 토론식 결정"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라스무센(Rasmussen)은 인간 행동의 종류 또는 수준에 따라 휴면 에러를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숙련기반 에러(Skill-based error)
  2. 기억기반 에러(Memory-based error)
  3. 규칙기반 에러(Rule-based error)
  4. 지식기반 에러(Knowledge-based error)
(정답률: 80%)
  • 라스무센의 분류에 따르면, 휴면 에러는 숙련기반 에러, 규칙기반 에러, 지식기반 에러로 나뉘는데, 이 중에서 기억기반 에러는 포함되지 않는다. 기억기반 에러는 주로 정보를 기억하거나 검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예를 들어 이름이나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잘못 기억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는 숙련, 규칙, 지식과는 별개의 인지적 능력이며, 따라서 라스무센의 분류에서는 따로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민주적 리더쉽 발휘와 관련된 적절한 이론이나 조직 형태는?

  1. X 이론
  2. Y 이론
  3. 관료주의 조직
  4. 라인형 조직
(정답률: 83%)
  • Y 이론은 일하는 사람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일하고,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이론이다. 이에 따라 조직 내에서는 자율성과 참여를 촉진하며, 리더는 일하는 사람들의 역량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직 내에서 민주적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Y 이론이 민주적 리더쉽과 관련된 적절한 이론이라는 이유이다. 반면, X 이론은 일하는 사람들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방식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이론이며, 관료주의 조직과 라인형 조직은 각각 조직 구조와 관리 방식에 대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근로자가 작업 중에 소비한 에너지가 5kcal/min 이고, 휴식중에는 1.5kcal/min의 에너지를 소비하였다면 이 작업의 에너지 대사율(RMR)은 얼마인가? (단, 근로자의 기초 대사량은 분당 1kcal 라고 한다.)

  1. 2.5
  2. 2.8
  3. 3.2
  4. 3.5
(정답률: 38%)
  • 근로자의 기초 대사량은 분당 1kcal이므로, 작업 중에는 5-1=4kcal/min의 추가적인 에너지를 소비하였다. 따라서 작업 중의 에너지 대사율은 1+4=5kcal/min이다. 휴식 중에는 1.5kcal/min의 에너지를 소비하였으므로, 전체적인 에너지 대사율은 (5+1.5)/2=3.25kcal/min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간실수의 요인 중 성격이 다른 한 가지는 무엇인가?

  1. 단조로운 작업
  2. 양립성에 맞지 않는 상황
  3. 동일 형상, 유사 형상의 배열
  4. 체형적 습관
(정답률: 70%)
  • 체형적 습관은 인간의 신체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으로, 예를 들어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비만이나 체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적인 요인은 인간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간실수의 요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을 유발하는 외적 요인이 아닌 것은?

  1. 인간관계 요인
  2. 생리적 요인
  3. 작업적 요인
  4. 작업환경적 요인
(정답률: 75%)
  • 생리적 요인은 인간의 신체적 상태나 생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으로, 외부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을 유발하는 외적 요인이 아닌 것이다. 예를 들어, 수면 부족, 식사 부족, 스트레스 등이 생리적 요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리더쉽 이론 중 ‘관리격자 이론’에서 인간중심 지향적으로 직무에 대한 관심이 가장 낮은 유형은?

  1. (1.1)형
  2. (1.9)형
  3. (9.1)형
  4. (9.9)형
(정답률: 62%)
  • 관리격자 이론에서 (1.9)형은 업무 중심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측면 모두에 대한 관심이 낮은 유형입니다. 이들은 업무의 성과를 중시하며, 직원들의 감정이나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와 고려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인간 중심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취하지 않고, 업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트레스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2. 스트레스는 지각 또는 경험과 관계가 있다.
  3. 스트레스는 있는지 혹은 없는지의 2차원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4. 스트레스가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정답률: 79%)
  • 정답은 "스트레스는 있는지 혹은 없는지의 2차원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이다. 스트레스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각 또는 경험과 관계가 있으며,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스트레스는 양자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 정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스트레스의 정도가 과도하거나 지속적이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조율책임법에서 분류하는 결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사용상의 결함
  4. 표시상의 결함
(정답률: 87%)
  • 제조율책임법에서 분류하는 결함의 종류 중에서 "사용상의 결함"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의미합니다. 즉, 제품의 제조나 설계 과정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실제 사용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오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제조나 설계 과정에서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나 불량 부품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제조자의 책임 범위에 포함되며, 제조자는 이러한 결함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해발생 원인 중 간접적 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신체적 원인
  4. 인적 원인
(정답률: 56%)
  • 인적 원인은 사람의 행동, 태도, 실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으로, 다른 세 가지 원인은 보다 물리적인 원인에 해당한다. 따라서 인적 원인은 거리가 먼 간접적인 원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간이 과도로 긴장하거나 감정 흥분시의 의식수준 단계로서 대뇌의 활동력은 높지만 냉정함이 결여되어 파단이 둔화되는 의식수준 단계는?

  1. phase 1
  2. phase 2
  3. phase 3
  4. phase 4
(정답률: 75%)
  • "phase 4"는 과도한 긴장이나 감정 흥분으로 인해 냉정함이 결여되어 파단이 둔화되는 의식수준 단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계들은 이와 다른 의식수준 단계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phase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조직에서 직능별 전문화의 원리와 명령 일원화의 원리를 조화시킬 목적으로 형성한 조직은?

  1. 작계참모 조직
  2. 위원회 조직
  3. 직능식 조직
  4. 직계식 조직
(정답률: 61%)
  • 작계참모 조직은 군사 조직에서 형성된 조직으로, 직능별 전문화와 명령 일원화를 조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조직은 전략적인 계획 수립과 실행을 담당하며,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일하는 형태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작계참모 조직은 직능별 전문화와 명령 일원화를 조화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스트레스에 대한 조직수준의 관리방안 중 개인의 역할을 명확히 해 증으로서 스트레스의 발생원인을 제거시키는 방법은?

  1. 경력개발
  2. 과업재설계
  3. 역할분석
  4. 팀 형성
(정답률: 79%)
  • 역할분석은 개인이 맡은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목표와 성과를 설정하여 일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책임감을 높이고, 업무 수행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할분석은 스트레스 관리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재해의 기본 원인을 조사하는 데에는 관련 요인들을 4M방식으로 분류하는데 다음 중 4M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Machine
  2. Material
  3. Management
  4. Media
(정답률: 76%)
  • "Material"은 재해의 기본 원인을 분류하는 4M 방식 중 하나가 아닙니다. 4M 방식은 "Machine" (기계), "Management" (관리), "Man" (인력), "Media" (재료)로 구성됩니다. "Material"은 재해의 원인 중 하나이지만, 4M 방식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능과 작업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업수행자의 지능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2. 작업수행자의 지능이 낮을수록 작업수행도가 높다.
  3. 작업특성과 작업자 지능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없다.
  4. 각 작업에는 그에 적정한 지능수준이 존재한다.
(정답률: 78%)
  • 각 작업은 그에 필요한 지능수준이 존재하며, 이에 맞는 작업수행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의 지능이 높다고 해서 모든 작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특성에 따라 적절한 지능수준을 가진 작업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휴먼에러와 기계의 고장과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인간의 실수는 우발적으로 재발하는 유형이다.
  2. 기계와 설비의 고장조건은 저절로 복귀되지 않는다.
  3. 인간은 기계와는 달리 학습에 의해 계속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4. 인간 성능과 압박(stress)은 선형관계를 가져 압박이 중간정도일 때 성능수준이 가장 높다.
(정답률: 78%)
  • "인간 성능과 압박(stress)은 선형관계를 가져 압박이 중간정도일 때 성능수준이 가장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압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를 Yerkes-Dodson 법칙이라고 합니다. 즉, 적절한 압박 수준에서 성능이 최적화되며, 이를 넘어서면 성능이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산업재해 조사표에서 재해 발생 형태에 따른 재해 분류가 아닌 것은?

  1. 폭발
  2. 협착
  3. 감전
  4. 질식
(정답률: 65%)
  • 산업재해 조사표에서 재해 발생 형태에 따른 재해 분류가 아닌 것은 "질식"입니다. 이는 발생 형태가 아닌 원인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입니다. 산업재해 조사표에서는 폭발, 협착, 감전 등의 발생 형태에 따라 재해를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61. 유해요인 조사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IOSH Guideline은 중량물 작업의 분석에 이용된다.
  2. RULA. OWAS는 자세 평가를 주목적으로 한다.
  3. REBA는 상지, RULA는 하지자세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4. JSI는 작업의 재설계 등을 검토할 때에 이용한다.
(정답률: 82%)
  • REBA는 상지와 하지자세를 모두 평가하는 방법이며,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REBA는 상지, RULA는 하지자세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유해요인 조사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시간
  2. 작업조건
  3. 작업장 상황
  4. 근골격계질환 증상
(정답률: 66%)
  • 표준시간은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유해요인 조사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유해요인 조사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조건, 작업장 상황, 근골격계질환 증상 등을 파악하여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하지만 표준시간은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요소로서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NIOSH의 들기 방정식(Lifting Equation)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권고중량한계(RWL)란 대부분의 건강한 작업자들이 요동의 위험없이 작업시간동안 들기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들의 무게를 의미한다.
  2. 들기지수(LI)는 물체 무게와 권고중량한계의 비율로 나타낸다.
  3. 들기지수(LI),가 3을 초과하면 ‘일부’ 작업자에게서 들기작업과 관련된 요동발생의 위험수준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들기 방정식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과 내리는 작업이 요동에 대해 같은 위험수준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정답률: 61%)
  • 들기 방정식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과 내리는 작업이 요동에 대해 같은 위험수준을 갖는다고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들기작업과 내리기작업에 대해 각각 다른 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들기 방정식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과 내리는 작업이 요동에 대해 같은 위험수준을 갖는다고 가정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작업관리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장법의 개선
  2. 재료, 방법 등의 표준화
  3. 비능률적 요소의 제거
  4. 노동량의 단순 증가
(정답률: 70%)
  • 작업관리의 목적은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작업 과정을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노동량의 단순 증가는 작업관리의 목적과는 상반되는 요소입니다. 노동량이 증가하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관리에서는 노동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하기 위하여 가능한 모든 의견을 비판없이 받아들이고 수정 발언을 허용하며 대량 발언을 유도하는 방법은?

  1. Brainstorming
  2. ECRS 원칙
  3. Mind Mapping
  4. SEARCH
(정답률: 77%)
  • Brainstorming은 비판없이 모든 의견을 수용하고 수정 발언을 허용하며 대량 발언을 유도하는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ECRS 원칙은 문제 해결 방법론이며, Mind Mapping은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이다. SEARCH는 정보 검색 방법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신체 사용에 관한 동작 경제 원칙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양손은 동시에 시작하고 멈춘다.
  2. 양손이 향상 같이 쉬도록 한다.
  3. 두 팔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4. 가능하다면 쉽고도 자연스러운 리듬이 생기도록 동작을 배치한다.
(정답률: 60%)
  • "양손이 향상 같이 쉬도록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세 가지 원칙은 모두 양손이나 두 팔의 움직임에 대한 것이지만, 이 원칙은 쉬는 것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원칙들은 움직임에 대한 것이므로, 이 원칙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수작업에 관한 작업지침으로 옳은 것은?

  1. 내편향(우골편향) 손자세가 외편향(척골편향) 자세보다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다.
  2. 가능하면 손목각도를 5~10도로 굽히는 것이 편안한 자세이다.
  3. 장갑을 사용하면 쥐는 힘이 일반적으로 더 좋아진다.
  4. 힘이 요구되는 작업에는 Power Grip을 사용한다.
(정답률: 67%)
  • 힘이 요구되는 작업에서는 Power Grip을 사용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Power Grip은 손가락과 손바닥의 근육을 모두 사용하여 더 강력한 쥐는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에 기여하는 작업적 유해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과도한 힘의 사용
  2. 불편한 작업자세의 반복
  3. 부적절한 작업/휴식 비율
  4. 개인보호장구의 미착용
(정답률: 86%)
  • 개인보호장구의 미착용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에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작업적 유해요인들은 근골격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인보호장구의 미착용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의 유형으로 분류되기 어려운 것은?

  1. 컴퓨터 작업자의 안구건조증
  2. 전자제조업 조립작업자의 건초염
  3. 물류창고 중량을 취급자의 활액낭염
  4. 육류가공업 작업자의 수근관증후군
(정답률: 85%)
  • "컴퓨터 작업자의 안구건조증"은 근골격계질환과는 관련이 없는 안과 질환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의 유형으로 분류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작업개선을 위해 검토할 착안 사항과 거리가 먼 항목은?

  1. “이 작업은 꼭 필요한가? 제거할 수는 없는가?”
  2. “이 작업을 다은 작업과 결합시키면 더 나은 결과가 생길 것인가?”
  3. “이 작업을 기계화 또는 자동화 할 경우의 투자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4. “이 작업의 순서를 바꾸면 좀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정답률: 81%)
  • 정답은 "“이 작업을 기계화 또는 자동화 할 경우의 투자효과는 어느 정도인가?”"입니다. 이 항목은 작업 개선을 위해 검토할 때 비용과 투자 대비 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다른 항목들은 작업의 필요성, 결합 가능성, 순서 변경 등 작업 자체에 대한 고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작업분석의 문제분석 도구 중에서 ‘원인결과도’라고도 불리며 결과를 일으킨 원인을 5~6개의 주요 원인에서 시작하여 세부원인으로 점진적으로 찾아가는 기법은?

  1. 파레토분석 차트
  2. 특성요인도
  3. 간트 차트
  4. PERT 차트
(정답률: 77%)
  • 특성요인도는 결과를 일으킨 원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원인을 5~6개의 주요 원인에서 시작하여 세부원인으로 점진적으로 찾아가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문제분석 도구 중에서 '원인결과도'라고도 불리며, 정답은 "특성요인도"입니다. 파레토분석 차트는 문제의 중요도를 파악하는 도구, 간트 차트와 PERT 차트는 일정 관리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상작업영역(최소작업영역)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완(윗팔)과 전완(아랫팔)을 골데 펴서 파악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2. 상완을 수직으로 늘어뜨린 채, 전완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3. 모든 작업공구와 부품이 이 구역내에 위치해야 한다.
  4. 모든 작업자가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영역을 말한다.
(정답률: 82%)
  • 정상작업영역(최소작업영역)은 상완을 수직으로 늘어뜨린 채, 전완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합니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작업공구와 부품이 이 구역내에 위치해야 하며, 작업자가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영역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서 단기적 관리방안이 아닌 것은?

  1. 관리자, 작업자, 보건관리자 등에 인간공학 교육
  2.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도입
  3. 교대근무에 대한 고려
  4. 안전한 작업방범 교육
(정답률: 76%)
  •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도입"은 단기적인 대처가 아닌 장기적인 예방을 위한 방안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관리방안이 아니다. 이 프로그램은 근로자들의 작업환경과 작업방법을 분석하여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를 시행하는 것으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중요한 장기적인 관리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A 공장에서 한 제품의 가공작업의 평균시간이 3분, 레이팅 계수가 105%, 여유율이 15%라고 할 때 외경법에 의한 표준시간은?

  1. 3.42분
  2. 3.62분
  3. 3.71분
  4. 3.81분
(정답률: 49%)
  • 외경법에 의한 표준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표준시간 = 가공시간 x 레이팅 계수 x (1 + 여유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표준시간 = 3분 x 1.05 x (1 + 0.15) = 3.62분

    따라서 정답은 "3.62분" 입니다. 여유율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예상하여 작업을 계획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작업장 개선에 있어서 관리적 해결방안이 아닌 것은?

  1. 작업 확대
  2. 작업자세 및 작업방법
  3. 작업자 교육
  4. 작업자 교대
(정답률: 38%)
  • 작업 확대, 작업자 교육, 작업자 교대는 모두 관리적 해결방안에 해당한다. 그러나 작업자세 및 작업방법은 기술적 해결방안에 해당한다. 작업자들이 올바른 자세와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교육하고 지도하는 것은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이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자세 및 작업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문제 분석 → 대안 도출 → 문제 형성 → 대안 평가 → 선정안 제시
  2. 문제 형성 → 대안 도출 → 선정안 제시 → 문제 분석 → 대안 평가
  3. 문제 형성 → 대안 도출 → 대안 평가 → 문제 분석 → 선정안 제시
  4. 문제 형성 → 문제 분석 → 대안 도출 → 대안 평가 → 선정안 제시
(정답률: 74%)
  • 디자인 프로세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먼저 문제를 형성하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의 본질을 파악한 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도출합니다. 이후에는 도출된 대안을 평가하여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정하고 이를 제시합니다. 따라서, "문제 형성 → 문제 분석 → 대안 도출 → 대안 평가 → 선정안 제시"가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워크 샘플링(Work Sampl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시간 설정에 이용할 경우 레이팅이 필요 없다.
  2. 작업순서를 기록할 수 있어 개개의 작업에 대한 깊은 연구가 가능하다.
  3. 작업자가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일이 적어 결과의 신뢰 수준이 높다.
  4. 반복 작업인 경우 적당하다.
(정답률: 57%)
  • 워크 샘플링은 작업자의 작업 상태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작업의 비율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일이 적을수록 결과의 신뢰 수준이 높아진다. 이는 작업자의 편향적인 행동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일이 적어 결과의 신뢰 수준이 높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교육에서 작업자에 대한 필수적인 교육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근골격계부담 작업에서의 유해요인
  2.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수림 및 운영 방법
  3. 작업도구와 장비 등 작업시설의 올바른 사용 방법
  4. 근골격계 질환 발생 시 대처요령
(정답률: 79%)
  •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수림 및 운영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교육에서 작업자에 대한 필수적인 교육내용이 아닙니다. 이 내용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담당자나 관리자들에게 필요한 내용입니다. 작업자들은 근골격계부담 작업에서의 유해요인, 작업도구와 장비 등 작업시설의 올바른 사용 방법, 그리고 근골격계 질환 발생 시 대처요령 등을 배워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동작분석의 종류 중에서 미세 동작분사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직접 관측자가 옆에 없어도 측정이 가능
  2.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연구 가능
  3. 복잡하고 세밀한 작업 분석 가능
  4. 작업 내용과 작업 시간을 동시에 측정 가능
(정답률: 69%)
  • 미세 동작분석은 비교적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 내용과 작업 시간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직접 관측자가 옆에 있지 않아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작업 분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세 동작분석의 장점 중에서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연구 가능"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부적절한 자세는 신체 부위들이 중립적인 위치를 취하는 자세이다.
  2. 부적절한 자세는 강하고 큰 근육들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을 방해한다.
  3. 서 있을 때는 등뼈가 S 곡선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4. pinch grip은 power grip보다 좋지 않다.
(정답률: 74%)
  • "pinch grip은 power grip보다 좋지 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inch grip과 power grip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어떤 것이 더 좋은지는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부적절한 자세는 신체 부위들이 중립적인 위치를 취하는 자세이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중립적인 자세는 신체 부위들이 자연스럽게 정렬되어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자세는 강하고 큰 근육들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을 방해한다."라는 설명도 맞습니다. 부적절한 자세는 효율적인 근육 사용을 방해하고, 불필요한 근력을 사용하여 피로와 부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서 있을 때는 등뼈가 S 곡선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도 맞습니다. 등뼈가 S 곡선을 유지하면 척추가 자연스럽게 정렬되어 효율적인 근력 전달과 부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