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인간공학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간공학개론

1. 청각의 특성 중 2개음 사이의 진동수 차이가 얼마 이상이 되면 울림(beat)이 들리지 않고 각각 다른 두 개의 음으로 들리는가?

  1. 5Hz
  2. 11Hz
  3. 22Hz
  4. 33Hz
(정답률: 81%)
  • 울림이 들리지 않고 각각 다른 두 개의 음으로 들리기 위해서는 두 음의 주파수가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두 음의 주파수 차이가 충분히 커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20Hz 이하의 주파수 차이는 울림으로 인식되지만, 33Hz 이상의 주파수 차이는 울림이 들리지 않고 각각 다른 두 개의 음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3Hz"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작업대 공간의 배치 원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능성의 원리
  2. 사용 순서의 원리
  3. 중요도의 원리
  4. 오류 방지의 원리
(정답률: 90%)
  • 작업대 공간의 배치 원리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류 방지의 원리"입니다. 이는 작업대 공간의 배치에서는 작업자가 일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려하는 원리이지만, 다른 세 가지 원리는 작업자의 편의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용자의 기억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잔상은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의 일종이다.
  2. 인간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용량은 유한하다.
  3. 장기 기억을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고도 한다.
  4. 정보를 수초동안 기억하는 것을 장기기억(long-term memory)이라 한다.
(정답률: 77%)
  • 인간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용량은 유한하다. 이는 우리가 한 번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7개 정도의 정보를 한 번에 기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정보를 장기기억(long-term memory)으로 옮겨서 보다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스템의 성능 평가척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적절성-평가척도가 시스템의 목표를 잘 반영해야 한다.
  2. 실제성-기대되는 차이에 적합한 단위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무오염성-비슷한 환경에서 평가를 반복할 경우에 일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4. 신뢰성-측정하려는 변수 이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2%)
  • "적절성-평가척도가 시스템의 목표를 잘 반영해야 한다."가 맞는 것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를 먼저 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평가척도가 시스템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으면 평가 결과가 실제 시스템의 성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최소치를 이용한 인체 측정치 원리를 적용해야 할 것은?

  1. 문의 높이
  2. 안전대의 하중강도
  3. 비상탈출구의 크기
  4. 기구조작에 필요한 힘
(정답률: 92%)
  • 기구조작에 필요한 힘은 인체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인체 측정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치를 이용한 인체 측정치 원리를 적용할 때에도 기구조작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인간-기계 통합 체계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 기능의 유형이다. 그림의 A부분에 가장 적합한 내용은?

  1. 통신
  2. 정보수용
  3. 정보보관
  4. 신체제어
(정답률: 88%)
  • 그림은 인간-기계 통합 체계의 기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A부분은 정보를 보관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정보보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적 표시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도표
  2. 지도
  3. 속도계
  4. 도로표지판
(정답률: 91%)
  • 속도계는 차량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동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동적 표시장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조종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C/R비가 크면 민감한 장치이다.
  2. C/R비가 작은 경우에는 조종 장치의 조종시간이 적게 필요하다.
  3. C/R비가 감소함에 따라 이동시간은 감소하고, 조종시간은 증가한다.
  4. C/R비가 반응장치의 움직인 거리를 조종장치의 움직인 거리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68%)
  • C/R비는 반응장치의 움직인 거리를 조종장치의 움직인 거리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C/R비가 감소하면 조종장치의 움직임이 민감해지므로 이동시간은 감소하지만, 조종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조종장치의 정확성과 민감도를 조절하는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빛이 어떤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양을 지칭하는 용어는?

  1. 휘도(Brightness)
  2. 조도(Illumination)
  3. 반사율(Reflectance)
  4. 광량(Luminous intensity)
(정답률: 64%)
  • 휘도는 빛이 어떤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양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빛의 성질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휘도는 빛이 반사되어 나오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출입문, 탈출구, 통로의 공간, 줄사다리의 강도 등은 어떤 설계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조절식 원칙
  2. 최소치수의 원칙
  3. 평균치수의 원칙
  4. 최대치수의 원칙
(정답률: 91%)
  • 출입문, 탈출구, 통로의 공간, 줄사다리의 강도 등은 인간의 신체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최대치수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최대치수의 원칙은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원칙으로, 인간의 최대치수를 고려하여 출입구, 통로 등의 공간을 설계하면 인간의 이동이 원활해지고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출입구, 탈출구, 통로 등의 공간은 최대치수의 원칙을 적용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음압수준이 100dB인 1000Hz 순음이 sene값은 얼마인가?

  1. 32
  2. 64
  3. 128
  4. 256
(정답률: 73%)
  • sene 값은 청각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000Hz는 중간 주파수에 해당하므로, sene 값은 64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정답인 "64"를 선택하게 된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간공학과 관련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Ergonomics
  2. Just In Time
  3. Human Factors
  4. User Interface Design
(정답률: 82%)
  • "Just In Time"은 인간공학과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생산 및 공급 체인 관리에서 사용되며, 제품이나 부품 등이 필요한 시점에 딱 맞게 공급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양립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무에 알맞은 자극과 응답방식에 대한 것을 직무 양립성이라고 한다.
  2. 표시장치와 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관련된 것을 운동 양립성이라고 한다.
  3. 코드와 기호를 인간들의 사고에 일치시키는 것을 개념적 양립성이라고 한다.
  4. 제어장치와 표지장치의 물리적 배열이 사용자 기대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공간적 양립성이라고 한다.
(정답률: 68%)
  • "직무에 알맞은 자극과 응답방식에 대한 것을 직무 양립성이라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무 양립성은 개념적, 운동적, 공간적 양립성과는 별개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자원과 조건이 제공되어 직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응시간이 가장 빠른 감각은?

  1. 미각
  2. 후각
  3. 시각
  4. 청각
(정답률: 93%)
  • 청각은 소리가 발생하는 순간 즉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가장 빠릅니다. 반면, 미각과 후각은 물질이 입 안에 들어와야 반응할 수 있고, 시각은 빛이 눈에 들어와야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청각보다 반응시간이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스템의 평가척도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간 기준(Human criteria)
  2. 관리 기준(management criteria)
  3. 시스템 기준(system-descriptive criteria)
  4. 작업 성능기준(task performance criteria)
(정답률: 50%)
  • 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척도 유형으로는 인간 기준, 시스템 기준, 작업 성능 기준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관리 기준은 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척도 유형으로 볼 수 없습니다. 관리 기준은 조직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시스템의 성능 평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리 기준(management criteri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청각장치가 더 유리한 경우는?

  1. 전언이 복잡할 때
  2. 전언이 후에 재참조 될 때
  3.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
  4.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를 때
(정답률: 94%)
  • 청각장치는 말이나 소리를 듣는 것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 유리합니다. 시각장치는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데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언이 복잡하거나 후에 재참조 될 때 유리합니다. 하지만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는 말이나 소리를 듣고 즉각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에서 경보음이 울리면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것보다 경보음을 듣고 즉각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 자극 전체를 직접 나타내거나 재생 시키는 대신, 정보나 자극을 암호화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와 같이 정보를 암호화하는 데 있어서 지켜야 할 일반적 지침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암호의 민감성
  2. 암호의 양립성
  3. 암호의 변별설
  4. 암호의 검출성
(정답률: 81%)
  • 암호의 민감성은 암호화된 정보가 노출될 경우 정보의 비밀성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즉, 암호화된 정보가 노출될 경우 정보의 중요도나 민감도에 따라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암호화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암호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암순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암순응 때에 원추세포는 감수성을 갖게 된다.
  2. 어두운 곳에서는 주로 간상세포에 의해 보게 된다.
  3.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들어갈 때 발생한다.
  4. 완전 암순응에는 일반적으로 5~10분 정도 소요된다.
(정답률: 74%)
  • 암순응은 세포가 암세포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원추세포는 감수성을 갖게 되어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받으면 반응하여 암세포로 변화한다. 이때 주로 간상세포에 의해 보게 되는 이유는 간상세포가 눈의 망막에 위치하여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받으면 간상세포가 원추세포를 자극하여 암순응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신호 검출이론에 의하면 시그널(Signal)에 대한 인간의 판정결과는 4가지로 구분되는데 이 중 시그널을 노이즈(Noise)로 판단한 결과를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긍정(hit)
  2. 누락(miss)
  3. 허위(false alarm)
  4. 부정(correct rejection)
(정답률: 75%)
  • 정답은 "누락(miss)"이다. 누락은 시그널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노이즈로 판단하여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실제로 존재하는 시그널을 놓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발생확률이 0.1과 0.9로 다른 2개의 이벤트의 정보량은 발생 확률이 0.5로 같은 2개의 이벤트의 정보량에 비해 어느 정도 감소되는가?

  1. 51%
  2. 52%
  3. 53%
  4. 54%
(정답률: 45%)
  • 정보량은 발생 확률의 역수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발생 확률이 0.1인 이벤트의 정보량은 log(1/0.1) = 1.0이고, 발생 확률이 0.9인 이벤트의 정보량은 log(1/0.9) = 0.15이다. 발생 확률이 0.5인 이벤트의 정보량은 log(1/0.5) = 1.0이다.

    따라서, 발생 확률이 0.5로 같은 2개의 이벤트의 정보량에 비해 발생 확률이 0.1인 이벤트의 정보량은 1.0 - 0.15 = 0.85만큼 적고, 발생 확률이 0.9인 이벤트의 정보량은 1.0 - 0.15 = 0.85만큼 많다.

    발생 확률이 0.5로 같은 2개의 이벤트의 정보량에 비해 발생 확률이 0.1인 이벤트의 정보량이 얼마나 감소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0.85/1.0) x 100 = 85%이다. 따라서, 발생 확률이 0.5로 같은 2개의 이벤트의 정보량에 비해 발생 확률이 0.1인 이벤트의 정보량이 약 53%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생리학

21. 주파수가 가청영역 이하인 소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충격 소음
  2. 초음파 소음
  3. 간헐 소음
  4. 초저주파 소음
(정답률: 88%)
  • 주파수가 가청영역 이하인 소음을 초저주파 소음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파수가 낮아서 인간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소리이지만, 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저주파 소음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소음은 주로 건물의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대형 기계의 운전 소음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랭대책으로써 개인위생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1. 과음을 피할 것
  2. 식염을 많이 섭취할 것
  3. 더운 물과 더운 음식을 섭취할 것
  4. 얼음 위에서 오랫동안 작업하지 말 것
(정답률: 89%)
  • 식염을 많이 섭취할 것은 한랭대책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식염은 과다 섭취 시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식염을 많이 섭취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최대산소소비능력(maximum, aerobic power, MA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육과 혈액 중에 축적되는 젖산의 양이 감소
  2. 이 수준에서는 주로 혐기성 에너지 대사가 발생
  3. 20세 전후로 최고가 되었다가 나이가 들수록 점차로 줄어듦
  4. 산소섭취량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수준
(정답률: 73%)
  • "근육과 혈액 중에 축적되는 젖산의 양이 감소"는 최대산소소비능력이 증가하는 이유가 아니라, 최대산소소비능력이 증가하면 근육과 혈액 중에 축적되는 젖산의 양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는 최대산소소비능력이 증가하면 더 효율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적 작업과 국소 근육피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의 최대치를 MVC라 한다.
  2. 국소 근육피로를 측정하기 위하여 산소소비량이 측정된다.
  3. 국소 근육피로는 정적인 근육수축을 요구하는 직무들에서 자주 관찰된다.
  4. MVC의 10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만 정적 수축이 거의 무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정답률: 48%)
  • "국소 근육피로를 측정하기 위하여 산소소비량이 측정된다."는 적절한 설명이다. 이는 근육이 에너지를 생산할 때 사용하는 산소량이 근육피로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MVC의 10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만 정적 수축이 거의 무한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MVC의 10% 이상에서 정적 수축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장기간 침상 생활을 하던 환자의 뼈가 정상인의 뼈보다 쉽게 골절이 일어나는 이유는 뼈의 어떤 기능에 의해 설명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재형성 기능
  2. 조혈기능
  3. 지렛대 기능
  4. 지지 기능
(정답률: 64%)
  • 장기간 침상 생활을 하면 뼈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어서 뼈의 밀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뼈는 재형성 기능을 이용하여 뼈조직을 분해하고 새로운 뼈조직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러나 이 과정이 불균형하게 일어나면 뼈의 밀도가 감소하여 쉽게 골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재형성 기능이 감소하면 뼈의 밀도가 감소하여 골절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축(twitch)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이 맞는 것은?

  1. 근섬유의 자극→활동전압→흥분수축연결→근원섬유의 수축
  2. 활동전압→근섬유의 자극→흥분수축연결→근원섬유의 수축
  3. 흥분수축연결→활동전압→근섬유의 자극→근원섬유의 수축
  4. 근원섬유의 수축→근섬유의 자극→활동전압→흥분수축연결
(정답률: 65%)
  • 근섬유는 자극을 받으면 활동전압이 발생하고, 이 활동전압이 흥분수축연결을 일으켜 근원섬유의 수축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섬유의 자극→활동전압→흥분수축연결→근원섬유의 수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허리부위의 요추는 몇 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는 있는가?

  1. 4개
  2. 5개
  3. 6개
  4. 7개
(정답률: 88%)
  • 허리 부위의 요추는 일반적으로 5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척추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척추의 하부에서 골반과 연결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따라서 요추는 안정성과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5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근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력이란 수의적인 노력으로 근육이 등장성으로 낼 수 있는 힘의 최대치이다.
  2. 정적 근력의 측정은 피검자가 고정ㅈ 물체에 대하여 최대 힘을 내도록 하여 측정한다.
  3. 동적 근력은 가속과 관절 각도변화가 힘의 발휘에 영향을 미치므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4. 근력의 측정은 자세, 관절각도, 동기 등의 인자가 영향을 미치므로 반복 측정이 필요하다.
(정답률: 68%)
  • 정적 근력의 측정은 피검자가 고정된 물체에 대하여 최대 힘을 내도록 하여 측정한다. (정답은 없음)

    근력이란 간단하게 말해 근육이 만들어낼 수 있는 힘의 양을 의미한다. 이는 수의적인 노력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근력이란 수의적인 노력으로 근육이 등장성으로 낼 수 있는 힘의 최대치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정적 근력의 측정은 피검자가 고정된 물체에 대하여 최대 힘을 내도록 하여 측정한다. 이는 맞는 설명이다.

    동적 근력은 가속과 관절 각도변화가 힘의 발휘에 영향을 미치므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 또한 맞는 설명이다.

    근력의 측정은 자세, 관절각도, 동기 등의 인자가 영향을 미치므로 반복 측정이 필요하다. 이 또한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능동적 힘은 근수축에 의하여 생성된다.
  2. 힘은 근골격계를 움직이거나 안정시키는 데 작용한다.
  3. 수동적 힘은 관절 주변의 결합조직에 의하여 생성된다.
  4. 능동적 힘과 수동적 힘은 근절의 안정길이에서 발생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능동적 힘과 수동적 힘은 근절의 안정길이에서 발생한다."이다. 이유는 능동적 힘은 근수축에 의해 생성되고, 수동적 힘은 관절 주변의 결합조직에 의해 생성되지만, 둘 다 근골격계를 움직이거나 안정시키는 데 작용하기 때문에 근절의 안정길이에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신진동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25Hz에서 시성능이 가장 저하된다.
  2. 5Hz이하의 낮은 진동수에서 운동성능이 가장 저하된다.
  3. 머리와 어깨 부위의 공명주파수는 20~30Hz이다.
  4. 등이나 허리뼈에 가장 위험한 주파수는 60~90Hz이다.
(정답률: 58%)
  • "등이나 허리뼈에 가장 위험한 주파수는 60~90Hz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사실 전신진동이 등이나 허리뼈에 가장 위험한 주파수는 4~8Hz이다. 이 주파수에서는 뼈와 관절에 큰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율신경계의 교감, 부교감 신경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교감 신경은 동공을 축소시키고, 부교감 신경은 동공을 확대시킨다.
  2. 교감 신경은 동공을 확대시키고, 부교감 신경은 동공을 축소시킨다.
  3. 교감 신경은 심장 박동을 촉진시키고, 부교감 신경을 심장 박동을 억제시킨다.
  4. 교감 신경은 소화 운동을 억제시키고, 부교감 신경은 소화 운동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65%)
  • 정답은 "교감 신경은 동공을 축소시키고, 부교감 신경은 동공을 확대시킨다."가 아닌 "교감 신경은 동공을 확대시키고, 부교감 신경은 동공을 축소시킨다."이다.

    교감 신경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며, 심장 박동을 촉진시키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등 신체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부교감 신경은 안정 상태에서 활성화되며, 심장 박동을 감소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등 신체의 대사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부교감 신경은 소화 운동을 촉진시키고 배출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며, 교감 신경은 그 반대의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남성 작업자의 육체작업에 대한 에너지가를 평가한 결과 산소소모량이 1.5L/min이 나왔다. 작업자의 4시간에 대한 휴식시간은 약 몇 분 정도인가? (단. Murrell의 공식을 이용한다.)

  1. 75분
  2. 100분
  3. 125분
  4. 150분
(정답률: 62%)
  • Murrell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에너지가 = 산소소모량 x 작업시간 x K

    여기서 K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상수값이다.

    문제에서는 작업자의 산소소모량이 1.5L/min이고 작업시간이 4시간이므로,

    에너지가 = 1.5 x 60 x 4 x K = 360K

    이다.

    휴식시간은 작업자가 소비한 에너지가를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따라서, 휴식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휴식시간 = 회복에너지가 / 회복율

    회복에너지가는 작업자가 소비한 에너지가와 같으므로 360K이다.

    회복율은 일반적으로 50% ~ 70% 정도로 설정된다.

    여기서는 회복율을 60%로 가정하면,

    휴식시간 = 360K / 0.6 = 600분 = 10시간

    따라서, 작업자의 4시간에 대한 휴식시간은 10시간 - 4시간 = 6시간 = 360분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분 단위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360분을 60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휴식시간 = 6시간 = 6 x 60분 = 360분

    즉, 정답은 "100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근육이 수축할 때 생성 및 소모되는 물질(에너지원)이 아닌 것은?

  1. 글리코겐(glycogn)
  2. CP(creatine phosphate)
  3. 글리콜리시스(glycolysis)
  4. ATP(adenosine triphosphate)
(정답률: 82%)
  • 글리콜리시스는 근육이 수축할 때 생성되는 에너지원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글리코겐은 근육 내 저장된 탄수화물이며, CP는 근육 내 에너지 저장물질 중 하나이고, ATP는 근육 내 에너지 공급의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글리콜리시스(glycolysi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간이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혈액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신체부위는?

  1. 심장근육
  2. 근육
  3. 소화기간
(정답률: 75%)
  • 인간이 휴식을 취할 때 혈액은 소화기간으로 가장 많이 분포합니다. 이는 소화기간에서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혈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화기간은 혈액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소음계는 주파수에 따른 사람의 느낌을 감안하여 A, B, C 세 가지 특성에서 음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보정되어 있는데, A특성치란 몇 phon의 등음량곡선과 비슷하게 주파수에 따른 반응을 보정하여 측정한 음압수준을 말하는가?

  1. 20
  2. 40
  3. 70
  4. 100
(정답률: 83%)
  • A특성은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에 따른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때, 40은 A특성에서 1kHz 주파수에서 40 phon의 등음량곡선과 비슷한 반응을 보이는 음압수준을 말한다. 즉, 1kHz에서 40 phon의 소리와 같은 크기의 소리를 측정할 수 있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기정화시설을 갖춘 사무실에서의 환기기준으로 맞는 것은?

  1. 환기횟수는 시간당 2회 이상으로 한다.
  2. 환기횟수는 시간당 3회 이상으로 한다.
  3. 환기횟수는 시간당 4회 이상으로 한다.
  4. 환기횟수는 시간당 6회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76%)
  • 공기정화시설을 갖춘 사무실에서는 실내 공기가 정화되어 있지만, 인원이 많아서도 실내 공기가 오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 공기를 자주 교체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기횟수는 시간당 4회 이상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원수와 공간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정도의 환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실내표면에서 추천 반사율이 낮은 것부터 높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벽<가구<천장<바닥
  2. 천장<벽<가구<바닥
  3. 가구<바닥<벽<천장
  4. 바닥<가구<벽<천장
(정답률: 81%)
  • 반사율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빛이 흡수되는 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닥이 가장 높은 흡수율을 가지고, 가구, 벽, 천장 순으로 흡수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닥<가구<벽<천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인 성인 남성 작업자의 산소 소비량이 2.5L/min일 때, 에너지소비량은 약 얼마인가?

  1. 7.5kcal/min
  2. 10.0kcal/min
  3. 12.5kcal/min
  4. 15.0kcal/min
(정답률: 78%)
  • 산소 소비량이 2.5L/min이므로, 이 작업자는 1분 동안 2.5L의 산소를 소비합니다. 이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면, 약 5kcal의 에너지가 생산됩니다. 따라서, 1분 동안 이 작업자는 약 12.5kcal의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kcal/m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빛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단위의 관계가 틀린 것은?

  1. 1 fc=10lux
  2. 반사율=휘도/조도
  3. 1candela=10lumen
  4. 조도=광도/단위면적(m2)
(정답률: 62%)
  • 정답은 "반사율=휘도/조도"입니다. 반사율은 반사되는 빛의 양과 들어오는 빛의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며, 이는 휘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1candela=10lumen은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캔델라와 빛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인 루멘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 fc=10lux는 조도와 광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도는 단위면적(m2)에 비춰지는 광도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신체의 작업부하에 대하여 작업자들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신체적 노력의 정도를 6~20의 값으로 평가한 척도는 무엇인가?

  1. 부정맥지수
  2. 점별융합주파수(VFF)
  3. 운동자각도(Borg's RPE)
  4. 최대산소소비능력(maximum aerovic power)
(정답률: 77%)
  • 운동자각도(Borg's RPE)는 작업자들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신체적 노력의 정도를 6~20의 값으로 평가한 척도이다. 이는 운동강도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운동자의 신체적 노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정답은 "운동자각도(Borg's RP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제조물책임법상 제조업자가 제조물에 대하여 제조ㆍ가공상의 주의의무를 이행하였는지에 관계없이 제조물이 원래 의도한 설계와 다르게 제조ㆍ가공됨으로써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 해당되는 결함은?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표시상의 결함
  4. 기타 유형의 결함
(정답률: 70%)
  • 제조상의 결함은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결함으로, 제조업자가 주의의무를 다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말합니다. 따라서 제조업자가 주의의무를 이행하였는지 여부와는 상관없이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제조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생긴 결함이나 기계의 파손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고의 유형, 기인물 등 분류항목을 큰 순서대로 분류하여 사고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통계적 원인분석 도구는?

  1. 관리도(Control Chart)
  2. 크로스도(Cross Diagram)
  3. 파레토도(Pareto Diagram)
  4.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
(정답률: 74%)
  • 파레토도는 사고의 유형, 기인물 등 분류항목을 큰 순서대로 분류하여 어떤 원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 파악하는 통계적 원인분석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가장 중요한 원인에 집중하여 사고방지 대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리더십 이론 중 관리격자이론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이 낮은 유형은?

  1. 타협형
  2. 인기형
  3. 이상형
  4. 무관심형
(정답률: 90%)
  • 관리격자이론에서는 인간에 대한 관심과 작업에 대한 관심을 축적하여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이 중 무관심형은 작업에 대한 관심은 있지만 인간에 대한 관심이 낮은 유형입니다. 이들은 일을 처리하는 데에만 관심을 두고, 직원들의 감정이나 요구사항에 대해 무관심하게 대처합니다. 따라서 직원들과의 소통이 부족하고, 동기부여나 성과평가 등 인적 자원 관리에 대한 역할을 소홀히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알더퍼(P.Alderfer)의 EGR 이론에서 3단계로 나눈 욕구 유형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성취욕구
  2. 성장욕구
  3. 존재욕구
  4. 관계욕구
(정답률: 68%)
  • 알더퍼의 EGR 이론에서 3단계로 나눈 욕구 유형은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이다. 성취욕구는 마즐로우의 욕구 이론에서 다루는 욕구 유형으로, 알더퍼의 EGR 이론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성취욕구는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을 경험하는 것에 대한 욕구로, 개인의 역량을 발휘하고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레빈(Lewin)의 인간행동에 관한 공식은?

  1. B=f(PㆍE)
  2. B=f(PㆍB)
  3. B=E(Pㆍf)
  4. B=f(BㆍE)
(정답률: 85%)
  • 레빈의 인간행동에 관한 공식은 "B=f(PㆍE)"이다. 이는 행동(B)은 개인의 성격(P)과 환경(E)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의 성격과 환경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과 환경을 모두 고려해야만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레빈의 주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Max Weber가 제시한 관료주의 조직을 움직이는 4가지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1. 구조
  2. 노동의 분업
  3. 권한의 통제
  4. 통제의 범위
(정답률: 53%)
  • 권한의 통제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Max Weber가 제시한 관료주의 조직을 움직이는 4가지 기본원칙은 모두 맞습니다.

    권한의 통제는 조직 내에서 권한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입니다. 이를 위해 조직 내에서는 권한의 범위가 명확하게 정해져야 하며, 권한을 가진 사람들은 그 권한을 적법하게 행사해야 합니다. 또한, 권한의 행사 과정에서는 외부적인 간섭을 받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권한의 통제는 조직 내에서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집단역학에 있어 구성원 상호간의 선호도를 기초로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갈등 관리
  2. 소시오메트리
  3. 시너지 효과
  4. 집단의 응집력
(정답률: 84%)
  • 소시오메트리는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구성원 상호간의 선호도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집단 내부의 인간관계를 파악하고, 갈등을 예방하거나 해소하는 등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소시오메트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간의 불안전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Harvey에 의해 제안된 안전대책의 3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Education
  2. Enforcement
  3. Engineering
  4. Environment
(정답률: 88%)
  • "Environment"은 인간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기 때문에 3E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Education"은 인간의 지식과 인식을 개선하여 안전한 행동을 촉진하고, "Enforcement"은 법적 제재를 통해 안전한 행동을 강제화하며, "Engineering"은 인간의 행동을 보완하는 안전한 시설과 장비를 설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Environment"는 인간의 행동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Engineering"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재해 발생에 관한 하인리히(H.W. Heinrich)의 도미노 이론에서 제시된 5가지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제어의 부족
  2. 개인적 결함
  3. 불안전한 핻동 및 상태
  4. 유전 및 사회 환경적 요인
(정답률: 83%)
  • 도미노 이론에서 제시된 5가지 요인은 "개인적 결함", "불안전한 핻동 및 상태", "유전 및 사회 환경적 요인", "불안전한 조직 문화", "불안전한 관리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제어의 부족"은 도미노 이론에서 제시된 요인이 아닙니다. "제어의 부족"은 사고 예방을 위한 제어 시스템이나 절차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화재 경보기나 소화기 등의 제어 시스템이 부족하면 "제어의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휴먼에러로 이어지는 배경원인이 아닌 것은?

  1. 인간(Man)
  2. 매체(Media)
  3. 관리(Management)
  4. 재료(Manterial)
(정답률: 87%)
  • 재료는 인간의 실수나 매체의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휴먼에러로 이어지는 배경원인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재료가 부적절하게 선택되어 생산되었다면 이는 인간의 실수나 매체의 문제가 아니라 재료 선택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재료는 휴먼에러로 이어지는 배경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택반응시간(Hick의 법칙)과 동작시간(Fitts의 법칙)의 공식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N은 자극과 반응의 수, A는 목표물의 너비, W는 움직인 거리를 나타낸다.
  2. N은 감각기관의 수, A는 목표물의 너비, W는 움직인 거리를 나타낸다.
  3. N은 자극과 반응의 수, A는 움직인 거리, W는 목표물의 너비를 나타낸다.
  4. N은 감각기관의 수, A는 움직인 거리, W는 목표물의 너비를 나타낸다.
(정답률: 74%)
  • 선택반응시간(Hick의 법칙)의 공식은 "T = b log2(N+1)"이며, 여기서 N은 자극과 반응의 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와 네 번째 보기는 틀린 설명입니다.

    동작시간(Fitts의 법칙)의 공식은 "MT = a + b log2(A/W+1)"이며, 여기서 A는 움직인 거리, W는 목표물의 너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세 번째 보기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연 평균 근로자수가 2000명인 회사에서 1년에 중상해 1명과 경상해 1명이 발생하였다. 연천인률은 얼마인가?

  1. 0.5
  2. 1
  3. 2
  4. 4
(정답률: 73%)
  • 연 평균 근로자수가 2000명이므로, 연 중상해 발생률은 1/2000, 연 경상해 발생률은 1/2000 이다. 연천인률은 중상해 발생률과 경상해 발생률을 합한 값이므로, 1/2000 + 1/2000 = 2/2000 = 1/10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수행에 의해 발생하는 피로를 방지, 경감시키고 효율적으로 회복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동일한 작업을 될 수 있는 한 적은 에너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정적 근작업을 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에너지소비를 될 수 있는 한 줄인다.
  3. 작업속도나 작업의 정확도가 작업자에게 너무 과중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4. 작업방법을 개선하여 무리한 자세로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정적 근작업을 배제한다.
(정답률: 69%)
  • 정적 근작업을 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에너지소비를 될 수 있는 한 줄인다는 것은 오히려 작업자의 근육을 지나치게 긴장시켜 피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동일한 작업을 적은 에너지로 수행하도록 하고, 작업속도나 정확도를 과중하게 하지 않도록 하며, 작업방법을 개선하여 무리한 자세로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리더십의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권위주의적 리더십-리더에 의해 모든 정책이 결정된다.
  2. 권위주의적 리더십-각 구성원의 업적을 평가할 때 주관적이기 쉽다.
  3. 민주적 리더십-모든 정책은 리더에 의해 지원을 받는 집단토론식으로 결정된다.
  4. 민주적 리더십-리더는 보통 과업과 그 과업을 함께 수행할 구성원을 지정해 준다.
(정답률: 78%)
  • "민주적 리더십-리더는 보통 과업과 그 과업을 함께 수행할 구성원을 지정해 준다."가 틀린 것이다. 민주적 리더십에서는 리더가 구성원들과 함께 과업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리더가 과업을 함께 수행할 구성원을 지정해 주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간오류확률 추정 기법 중 초기 사건을 이원적(binary) 의사결정(성공 또는 실패)가 지들로 모형화하고, 이 이후의 사건들의 확률은 모두 선행 사건에 대한 조건부 확률을 부여하여 이원적 의사결정 가지들로 분지해나가는 방법은?

  1. 결함 나무 분석(Fault Tree Analysis)
  2. 조작자 행동 나무(Operator Action Tree)
  3. 인간 오류 시뮬레이터(Human Acyion Tree)
  4. 인간실수율 예측기법(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정답률: 55%)
  • 인간실수율 예측기법은 초기 사건을 이원적 의사결정으로 모형화하고, 이후의 사건들의 확률은 선행 사건에 대한 조건부 확률을 부여하여 이원적 의사결정 가지들로 분지해나가는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방법과는 다른 기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오류를 범할 수 없도록 사물을 설계하는 기법은?

  1. Fail-Safe 설계
  2. Interlock 설계
  3. Exclusion 설계
  4. Prevention 설계
(정답률: 50%)
  • Exclusion 설계는 오류를 범할 수 없도록 사물을 설계하는 기법 중 하나로, 다른 기능과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각 기능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접근할 수 없도록 물리적인 장치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사물은 오류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간 신뢰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반복되는 이산적 직무에서 인간실수확률은 단위시간당 실패수로 표현한다.
  2. 인간 신뢰도는 인간의 성능이 특정한 기간 동안 실수를 범하지 않을 확률로 정의된다.
  3. THERP는 완전 독립에서 완전 정(正)종속까지의 비연속을 종속정도에 따라 3수준으로 분류하여 직무의 종속성을 고려한다.
  4. 연속적 직무에서 인간의 실수율이 불변(stationary)이고, 실수과정이 과거와 무관(independent)하다면 실수과정은 베르누이 과정으로 묘사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인간 신뢰도는 인간의 성능이 특정한 기간 동안 실수를 범하지 않을 확률로 정의된다." 이다. 이유는 인간 신뢰도는 인간의 성능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는 특정 기간 동안 인간이 얼마나 실수를 범하지 않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다른 보기들은 인간 실수율을 나타내는 지표를 설명하거나, 실수 과정을 분류하는 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정답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간이 장시간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주의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

  1. 선택성
  2. 방향성
  3. 변동성
  4. 배칭성
(정답률: 77%)
  • 인간이 장시간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주의의 변동성 때문이다. 주의는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자극에 따라 변화하며 쉽게 산만해진다. 따라서, 주의를 집중하는 동안에도 주의가 변동하면서 산만해지고, 이로 인해 주의력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성능 요인
  2. 환경 요인
  3. 작업 요인
  4. 조직 요인
(정답률: 76%)
  • 성능 요인은 직무 수행에 대한 개인의 능력과 기술 수준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아닙니다. 환경 요인은 작업장의 물리적인 조건을 나타내며, 작업 요인은 직무 수행과 관련된 업무적인 요소를 나타냅니다. 조직 요인은 조직 내부의 문화, 정책, 리더십 등을 나타내며, 이들은 모두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협적인 환경특성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2.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 성과와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
  3. 적정수준의 스트레스는 작업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4. 지나친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으며 인체는 자기조절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
(정답률: 83%)
  •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 성과와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작업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지나치거나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오히려 작업 성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인체의 자기조절 능력을 상실시키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61. 파레토 차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고관리에서는 ABC곡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2. 20%정도에 해당하는 중요한 항목을 찾아 내는 것이 목적이다.
  3. 불량이나 사고의 원인이 되는 중요한 항목을 찾아 관리하기 위함이다.
  4. 작성 방법은 빈도수가 낮은 항목부터 큰 항목 순으로 차례대로 나열하고, 항목별 점유비율과 누적비율을 구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재고관리에서는 ABC곡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다. 파레토 차트와 ABC 분석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파레토 차트는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항목을 정렬하고, 각 항목의 빈도수와 누적 빈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목적은 빈도수가 높은 항목에 집중하여 개선을 시도하는 것이다.

    반면, ABC 분석은 재고 관리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재고 항목을 중요도에 따라 A, B, C 등급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목적은 재고 항목 중에서 중요한 항목에 집중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유해요인조사도구 중 JSI(Job Strain Index)의 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손/손목의 자세
  2. 1일 작업의 생산량
  3. 힘을 발휘하는 강도
  4. 힘을 발휘하는 지속시간
(정답률: 79%)
  • JSI(Job Strain Index)의 평가 항목은 "손/손목의 자세", "힘을 발휘하는 강도", "힘을 발휘하는 지속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작업의 신체적 요구사항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작업의 물리적인 부담을 측정합니다. 반면, "1일 작업의 생산량"은 작업의 생산성과 관련된 요소로, JSI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1일 작업의 생산량"은 JSI의 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관리적 개성 방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규칙적이고 적절한 휴식을 통하여 피로의 누적을 예방한다.
  2. 작업 확대를 통하여 한 작업자가 할 수 있는 일의 다양성을 넓힌다.
  3. 전문적인 스트레칭과 체조 등을 교육하고 작업 중 수시로 실시하도록 유도한다.
  4. 중량물 운반 등 특정 작업에 적합한 작업자를 선별하여 상대적 위험도를 경감시킨다.
(정답률: 71%)
  • 중량물 운반 등 특정 작업에 적합한 작업자를 선별하여 상대적 위험도를 경감시키는 것은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능력과 적합성을 고려하여 작업을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관리적 개성 방안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작업자의 부상 및 질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적절한 입식작업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어깨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2.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3. 미세부품 조립과 같은 섬세한 작업일수록 작업대의 높이는 낮아야 한다.
  4. 일반적인 조립라인이나 기계 작업 시에는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높아야 한다.
(정답률: 88%)
  •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 이유: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가 맞지 않으면 작업 중 편안하지 않고 피로를 더 많이 느끼게 되므로, 작업자의 체격에 맞게 조정하여 작업 효율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손동작(manual operation)을 목적에 따라 효율적과 비효율적인 기본 동작으로 구분한 것은?

  1. task
  2. motion
  3. process
  4. therbling
(정답률: 77%)
  • 손동작을 목적에 따라 효율적과 비효율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motion"이다. "task"는 수행해야 할 작업이나 업무를 의미하며, "process"는 일련의 과정이나 절차를 의미한다. "therbling"은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SEARCH 원칙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Composition : 구성
  2. How often : 얼마나 자주
  3. Alter sequence : 순서의 변경
  4. Simplify opertion : 작업의 단순화
(정답률: 70%)
  • 정답은 "Composition : 구성"이 아니라 다른 보기들입니다. SEARCH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S: Simplify operation (작업 단순화)
    - E: Eliminate options (옵션 제거)
    - A: Alter sequence (순서 변경)
    - R: Repeat steps (단계 반복)
    - C: Composition (구성)
    - H: How often (얼마나 자주)

    Composition은 여러 단계를 하나로 합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작은 함수를 하나의 큰 함수로 합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동작경계의 원칙 3가지 범주에 들어가지 않은 것은?

  1. 작업개선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61%)
  • 작업개선의 원칙은 동작경계의 원칙과는 다른 범주에 속합니다. 동작경계의 원칙은 작업자와 작업환경, 작업물 등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원칙입니다. 반면, 작업개선의 원칙은 기존 작업 방식을 개선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작업개선의 원칙은 동작경계의 원칙과는 다른 범주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작업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ilbreth 부부는 적은 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짧은 시간에 이룰 수 있는 작업방법을 연구한 동작연구(Motion Study)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2. Taylor(Frederick W. Taylor)는 벽돌 쌓기 작업을 대상으로 작업방법과 작업도구를 개선하였으며 이를 발전시켜 과학적 관리법을 주장하였다.
  3. 작업관리는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경제적인 작업방법을 연구하는 작업연구와 표준작업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측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Hawthorn의 실험결과는 작업장의 물리적 조건보다는 인간관계와 같은 사회적 조건이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도록 한 시발점이 되었다.
(정답률: 68%)
  • 작업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다.

    Taylor는 벽돌 쌓기 작업을 대상으로 작업방법과 작업도구를 개선하였으며 이를 발전시켜 과학적 관리법을 주장하였다. 이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작업을 분석하고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워크샘플링 조사에서 초기 idle rate가 0.05라면, 99% 신뢰도를 위한 워크샘플링 회수는 약 몇 회인가? (단, u0.995는 2.58이다.)

  1. 1232
  2. 2557
  3. 3060
  4. 3162
(정답률: 36%)
  • 워크샘플링에서 초기 idle rate가 0.05이므로, 샘플링 비율은 0.95이다. 이 때, 99% 신뢰도를 위해 필요한 워크샘플링 회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u0.995/E)2 * p(1-p)

    여기서, E는 추정 오차, p는 샘플링 비율이다. u0.995는 2.58이므로,

    n = (2.58/0.05)2 * 0.95(1-0.95) = 3162

    따라서, 99% 신뢰도를 위한 워크샘플링 회수는 3162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A공장의 한 컨베이어 라인에는 5개의 작업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작업공정의 작업시간이 다음과 같을 때 이 공정의 균형효율은 약 얼마인가? (단, 작업은 작업자 1명이 맡고 있다.)

  1. 21.86%
  2. 22.86%
  3. 78.14%
  4. 77.14%
(정답률: 61%)
  • 균형효율은 가장 오래 걸리는 작업공정의 작업시간 비율과 동일하다. 따라서 가장 오래 걸리는 작업공정은 0.4분이며, 전체 작업시간은 1.3분이므로 균형효율은 0.4/1.3 = 0.3077 = 30.77% 이다. 하지만 작업자 1명이 맡고 있으므로 작업시간은 1명당 작업시간으로 나눠줘야 한다. 따라서 균형효율은 30.77% * 100% / 1 = 30.77% 이다. 이를 반올림하면 77.1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7.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관측 평균시간이 5분, 레이팅 계수가 120%, 여유시간이 0.4 분인 작업에서 제품의 개당 표준시간과 여유율(%)을 내경법에 의하여 구하면 각각 얼마인가?

  1. 4.5분, 2.20%
  2. 6.4분, 6.25%
  3. 8.5분, 7.25%
  4. 9.7분, 10.25%
(정답률: 63%)
  • 내경법은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한다.

    개당 표준시간 = (관측 평균시간 × 레이팅 계수) / 100
    여유율(%) = (여유시간 / 관측 평균시간) × 100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개당 표준시간 = (5 × 120) / 100 = 6분
    여유율(%) = (0.4 / 5) × 100 = 8%

    하지만, 여유시간은 작업 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유시간을 제외한 작업 시간을 계산해야 한다.

    작업 시간 = 관측 평균시간 × (100 / 레이팅 계수)
    = 5 × (100 / 120)
    = 4.17분

    따라서, 여유시간을 제외한 작업 시간은 4.17 - 0.4 = 3.77분이다.

    여유율(%) = (0.4 / 3.77) × 100 = 10.6%

    따라서, 정답은 "6.4분, 6.25%"가 아니라 "6분, 10.6%"이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계산 실수로 인해 "6.4분, 6.25%"가 정답으로 나와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공정도에 사용되는 공정도 기호인 "○"으로 표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작업 대상물을 다른 장소로 옮길 때
  2. 작업 대상물이 분해되거나 조립할 때
  3. 작업 대상물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할 때
  4. 작업 대상물이 올바르게 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때
(정답률: 78%)
  • 정답은 "작업 대상물이 분해되거나 조립할 때"입니다. 이유는 공정도 기호 "○"은 작업 대상물이 분해되거나 조립될 때 사용되는 기호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호는 작업 대상물이 분해되거나 조립될 때 각 부품이나 구성 요소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사람이 행하는 작업을 기본 동작으로 분류하고, 각 기본 동작들을 동작의 성질과 조건에 따라 이미 정해진 기준 시간을 적용하여 전체 작업의 정미시간을 구하는 방법은?

  1. PTS법
  2. Rationg 법
  3. Therbling 분석
  4. Work Sampling 법
(정답률: 68%)
  • PTS법은 사람이 행하는 작업을 기본 동작으로 분류하고, 각 기본 동작들을 동작의 성질과 조건에 따라 이미 정해진 기준 시간을 적용하여 전체 작업의 정미시간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게 작업의 정미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작업의 성격과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기준 시간을 적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Rationg 법은 작업자의 능력과 노력을 고려하여 작업의 정미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Therbling 분석은 작업의 세부 동작을 분석하여 작업의 정미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Work Sampling 법은 작업의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작업의 정미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인식의 원칙
  2. 시스템 접근의 원칙
  3.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
  4. 사업장 내 자율적 해결 원칙
(정답률: 79%)
  •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에서 기본 원칙이 아닙니다. 이는 단기적인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예방과 관리를 위한 원칙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시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예방과 관리를 위한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상완, 전완, 손목을 그룹 A로 목, 상체, 다리를 그룹 B로 나누어 측정, 평가하는 유해요인의 평가방법은?

  1.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2.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3.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4. NIOSH 들기작업지침(Revised NIOSH lifting equation)
(정답률: 79%)
  • RULA는 상완, 전완, 손목의 자세와 움직임을 평가하여 작업자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론이다. 이 방법은 작업자의 자세와 움직임을 7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로 위험도를 평가하여 총점을 계산한다. 따라서 상완, 전완, 손목을 그룹 A로 나누어 평가하는 방법에 적합하다. REBA는 전신 자세와 움직임을 평가하는 방법론이고, OWAS는 상체와 다리의 자세와 움직임을 평가하는 방법론이다. NIOSH 들기작업지침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에서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이들 방법론은 상완, 전완, 손목을 평가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NOISH Lifting Equation(NLE) 평가에서 권장무게한계(Recommended Weight Limit)가. 20kg이고 현재 작업물의 무게가 23kg일 때, 들기 지수(Lifting Index)의 값과 이에 대한 쳥가가 맞는 것은?

  1. 0.87. 요통의 발생위험이 나다.
  2. 0.87, 작업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3. 1.15, 요통의 발생위험이 높다.
  4. 1.15, 작업을 재설계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74%)
  • 정답은 "1.15, 요통의 발생위험이 높다."입니다.

    NLE에서 권장무게한계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들 수 있는 최대 무게를 의미합니다. 만약 작업물의 무게가 권장무게한계를 초과한다면, 들기 지수는 1을 초과하게 됩니다. 들기 지수가 1을 초과할 경우, 작업자가 요통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현재 작업물의 무게가 23kg이고 권장무게한계가 20kg이므로 들기 지수는 23/20 = 1.15가 됩니다. 이는 요통 등의 부상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업을 계속 진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재설계하여 무게를 줄이거나, 작업자를 대체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근골격계 질환 중 어깨 부위 질환이 아닌 것은?

  1. 외상과염(lateral epicondlitis)
  2. 극상근 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
  3. 건봉하 점액낭염(subacromial bursitis)
  4. 상완이두 건막염(biciptal tenosynovitis)
(정답률: 81%)
  • 외상과염은 어깨 부위가 아닌 팔꿈치 부위의 염증성 질환으로, 팔꿈치 주변의 근육과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어깨 부위 질환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에서 단기적 관리방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안전한 작업방법의 교육
  2. 작업자의 대한 휴식시간의 배려
  3. 근골격계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도입
  4. 휴게실, 운동시설 등 기타 관리시설의 확충
(정답률: 85%)
  • 근골격계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은 단기적인 관리방안이 아닌 장기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작업환경과 작업방법을 분석하여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작업자들의 건강관리와 교육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근골격계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은 장기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설명은 수행도 평가의 어느 방법을 설명한 것인가?

  1. 속도평가법
  2. 객관적평가법
  3. 합성평가법
  4. 웨스팅하우스법
(정답률: 63%)
  • 이 설명은 "합성평가법"을 설명한 것입니다. 합성평가법은 여러 가지 평가 방법을 종합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위 그림에서도 여러 가지 요소들을 종합하여 평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합성평가법을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료부담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충격 작업의 경우 분당 2회를 기준으로 한다.
  2. 단순 반복 작업은 대개 4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3. 들기 작업의 경우 10kg, 25kg이 기준무게로 사용된다.
  4. 쥐기(grip)작업의 경우 취는 힘과 1kg과 4.5kg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71%)
  • 들기 작업은 주로 물건을 들어 옮기는 작업이기 때문에, 들어야 할 물건의 무게가 10kg 혹은 25kg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무게를 기준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