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지도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13)

산업안전지도사
(2021-03-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지휘ㆍ감독한다.
  2.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에게 해당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안전관리자에게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서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가「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ㆍ시설ㆍ장비ㆍ예산, 그 밖에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한다.
  5.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했을 때에는 그 선임 사실 및「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업무의 수행내용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정답률: 61%)
  • "사업주는 안전관리자에게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서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이며, 안전관리자의 업무는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협조 요청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의 장에게 필요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2. 고용노동부를 제외한 행정기관의 장은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규제를 하려면 미리 고용노동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3.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사업주단체에게 필요한 사항을 권고하거나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공단 등 관련 기관ㆍ단체의 장에게「소득세법」에 따른 납세실적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5.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공단 등 관련 기관ㆍ단체의 장에게「고용보험법」에 따른 근로자의 피보험자격의 취득 및 상실 등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률: 67%)
  •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공단 등 관련 기관ㆍ단체의 장에게「소득세법」에 따른 납세실적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발생건수등의 공표대상 사업장에 해당하는 것은?

  1. 사망재해자가 연간 1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사망만인율(연간 상시근로자 1만명당 발생하는 사망재해자 수의 비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3.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4. 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은폐했거나, 은폐할 우려가 있는 사업장
  5.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재해의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1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정답률: 42%)
  • 정답인 "사망만인율(연간 상시근로자 1만명당 발생하는 사망재해자 수의 비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발생건수 등의 공표대상 사업장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해당 사업장은 사망재해 발생률이 높아 위험성이 높은 사업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즉, 사망재해 발생률이 높은 사업장은 적극적인 안전관리와 예방조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공개적인 정보공개가 필요하다는 것이 산업안전보건법의 취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52%)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는 사항은 "ㄴ. 산업재해 예방대책, ㄷ. 산업재해 발생시의 조치 및 구조체계, ㄹ. 산업재해 예방 및 교육계획" 이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 ㄹ"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이를변경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15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한다.
  2.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할 때에는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 분야 등의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통합하여 작성해서는 안 된다.
  3. 안전보건관리규정이 단체협약에 반하는 경우 안전보건관리규정으로 정한 기준에 따른다.
  4.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에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5. 안전보건관리규정에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률: 68%)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에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다. 이는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기 위해 근로자 대표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의 의무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산업 안전 및 보건 정책의 수립 및 집행
  2. 해당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
  3.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및 통계의 유지ㆍ관리
  4. 산업 안전 및 보건 관련 단체 등에 대한 지원 및 지도ㆍ감독
  5.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의식을 북돋우기 위한 홍보ㆍ교육 등 안전문화 확산 추진
(정답률: 58%)
  • 사업주는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해당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들이 위험을 인식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이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의 의무 사항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설공사발주자는 도급인에 해당한다.
  2.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근로자대표로 한다.
  3.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설비에 의하여 질병에 걸리는 것은 산업재해에 해당한다.
  4. 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ㆍ건설ㆍ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계약은 도급이다.
  5. 산업재해 중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는 중대재해에 해당한다.
(정답률: 55%)
  • "건설공사발주자는 도급인에 해당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건설공사 발주자가 공사를 수행하는 도급업체에게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일정한 기간 동안 일을 수행하도록 계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근로자대표로 한다.",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설비에 의하여 질병에 걸리는 것은 산업재해에 해당한다.", "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ㆍ건설ㆍ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계약은 도급이다.", "산업재해 중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는 중대재해에 해당한다."는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를 할 수 있는 검사원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4년인 사람
  2.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6년인 사람
  3.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고등학교ㆍ고등기술학교에서 기계ㆍ전기 또는 전자ㆍ화공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6년인 사람
  4.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중 수업연한이 4년인 학교에서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의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4년인 사람
  5.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기능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8년인 사람
(정답률: 57%)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를 할 수 있는 검사원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해당 분야의 학과를 졸업하고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6년 이상인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고등학교ㆍ고등기술학교에서 기계ㆍ전기 또는 전자ㆍ화공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6년인 사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대한 신규교육 및 보수교육의교육시간이 옳게 연결된 것은? (단, 다른 면제조건이나 감면조건을 고려하지 않음)

  1. 신규교육 : 6시간 이상, 보수교육 : 6시간 이상
  2. 신규교육 : 10시간 이상, 보수교육 : 6시간 이상
  3. 신규교육 : 10시간 이상, 보수교육 : 10시간 이상
  4. 신규교육 : 24시간 이상, 보수교육 : 10시간 이상
  5. 신규교육 : 34시간 이상, 보수교육 : 24시간 이상
(정답률: 55%)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신규교육과 보수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신규교육은 처음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임명되었을 때 받는 교육이며, 보수교육은 일정 기간마다 받는 교육입니다.

    이에 따라, 신규교육은 최소 6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하며, 보수교육도 최소 6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신규교육 : 6시간 이상, 보수교육 : 6시간 이상"이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교육시간이 더 많거나 적은 경우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규정된 최소 교육시간을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으로서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휴대형이 아닌 연삭기(硏削機)
  2. 파쇄기 또는 분쇄기
  3. 용접용 보안면
  4.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5. 식품가공용 제면기
(정답률: 65%)
  • 용접용 보안면은 안전인증대상기계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로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ㆍ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 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2.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
  3.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 따른 원료물질
  4.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
  5. 「방위사업법」에 따른 군수품
(정답률: 56%)
  •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ㆍ제출 제외 대상은 화학물질 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위사업법」에 따른 군수품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ㆍ제출 제외 대상입니다. 이는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등에 대한 안전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법령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중 근로자 정기교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4.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5.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정답률: 60%)
  • 관리감독자는 근로자보다 상위에 위치한 직책으로, 안전보건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 정기교육 대상이 아닌 관리감독자는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은 근로자 정기교육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로서 안전검사대상기계등에 해당하는 것은?

  1. 정격 하중 1톤인 크레인
  2.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3. 밀폐형 구조의 롤러기
  4. 가정용 원심기
  5. 산업용 로봇
(정답률: 57%)
  • 산업용 로봇은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기계로 분류되며, 작업환경이나 작업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위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전검사대상기계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로봇의 움직임이 예측할 수 없거나, 로봇이 작업자에게 충돌하거나, 로봇이 작업자를 끌어당기는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로 분류되어 안전검사대상기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 및 그의 수급인 전원으로 구성된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에서 협의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의 시작 시간
  2. 작업의 종료 시간
  3. 작업 또는 작업장 간의 연락방법
  4. 재해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대피방법
  5. 사업주와 수급인 또는 수급인 상호 간의 연락 방법 및 작업공정의 조정
(정답률: 47%)
  • 작업의 종료 시간은 협의체에서 협의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작업자의 업무일정에 따라 결정되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의 종료 시간은 개별적으로 결정되며, 협의체에서 공통적으로 협의해야 하는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ㅁ
  2. ㄷ, ㄹ, ㅁ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35%)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은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는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대상이 아닙니다.
    - "ㄴ"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는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대상이 아닙니다.
    - "ㄷ"와 "ㄹ"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는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대상이 아닙니다.
    - "ㅁ"은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지만,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는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기계등 대여자의 유해ㆍ위험 방지 조치로서 타인에게 기계등을 대여하는 자가 해당 기계등을 대여받은 자에게 서면으로 발급해야 할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률: 62%)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기계등 대여자는 대여받은 자에게 해당 기계등의 운전ㆍ조작방법, 안전사용상의 주의사항, 유해ㆍ위험요인 등을 서면으로 발급해야 합니다. 따라서 "ㄱ, ㄹ"은 정답입니다. 그리고 "ㄴ, ㄷ"는 기계등의 운전ㆍ조작방법과 안전사용상의 주의사항을 발급해야 하는 내용이므로 함께 선택되어야 합니다. "ㄷ, ㄹ"은 유해ㆍ위험요인과 안전조치사항을 발급해야 하는 내용이므로 함께 선택되어야 합니다. "ㄱ, ㄴ, ㄷ"는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업주가 작업장에 비상구가 아닌 출입구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입구의 위치, 수 및 크기가 작업장의 용도와 특성에 맞도록 할 것
  2. 출입구에 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근로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것
  3. 주된 목적이 하역운반기계용인 출입구에는 인접하여 보행자용 출입구를 따로 설치할 것
  4. 하역운반기계의 통로와 인접하여 있는 출입구에서 접촉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비상등ㆍ비상벨 등 경보장치를 할 것
  5. 출입구에 문을 설치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계단이 출입구와 바로 연결된 경우,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그 사이에 1.5미터 이상 거리를 둘 것
(정답률: 63%)
  • "출입구에 문을 설치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계단이 출입구와 바로 연결된 경우,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그 사이에 1.5미터 이상 거리를 둘 것"은 옳은 사항입니다.

    이유는 출입구와 계단이 바로 연결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출입구를 통과할 때 계단 위에서 작업자가 넘어지거나 다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입구와 계단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두어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업주가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잠함(潛函) 및 건조ㆍ수리중인 선박의 경우는 아님)

  1.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2.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3.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5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4.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하고 그 높이가 5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
  5.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센티미터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정답률: 60%)
  •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하고 그 높이가 5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타로 인해 "고정식"이라는 단어가 빠져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문장은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하고 그 높이가 5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이다. 이 규정은 사다리식 통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오르내리기 어렵고 위험하며, 높이가 높아지면 등받이울을 설치하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보존해야 할 서류의 보존기간이 2년인 것은?

  1. 노사협의체의 회의록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선임에 관한 서류
  3. 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
  4.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등 기록
  5.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서류
(정답률: 52%)
  • 노사협의체의 회의록은 사업주와 노동자간의 의견조율과 협의를 통해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존기간이 2년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기관에 관한 지정 요건을 갖추면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는 자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54%)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 측정장비 및 시험장비 등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측정 및 시험에 필요한 기술력과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측정 및 시험에 대한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 적극적으로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ㄱ, ㄴ, ㄷ, ㄹ" 모두를 갖춘 자는 위의 요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자로서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인정되는 건강진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2. 「선원법」에 따른 건강진단
  3. 「진폐의 예방과 진폐근로자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기 건강진단
  4. 「병역법」에 따른 신체검사
  5. 「항공안전법」에 따른 신체검사
(정답률: 56%)
  •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일반건강진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선원법」에 따른 건강진단, 「진폐의 예방과 진폐근로자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기 건강진단, 「항공안전법」에 따른 신체검사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병역법」에 따른 신체검사는 국방력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일반건강진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작성하여야 할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정안전자료
  2.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
  3. 안전운전계획
  4. 비상조치계획
  5. 공정위험성 평가서
(정답률: 65%)
  •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은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다. 이는 사업주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수립한 계획으로,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목표와 방향, 책임과 역할, 예방활동의 범위와 방법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역학조사 및 자격 등에 의한 취업제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 상당한 지식이나 숙련도가 요구되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작업의 경우 그 작업에 필요한 자격ㆍ면허ㆍ경험 또는기능을 가진 근로자가 아닌 사람에게 그 작업을 하게 해서는 아니된다.
  2. 사업주 및 근로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경우 적극 협조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없이 역학조사를 거부ㆍ방해하거나 기피해서는 아니 된다.
  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업무상 질병 여부의 결정을 위하여 역학조사를 요청하는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역학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역학조사를 위하여 필요하면「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건강진단결과,「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기록 및 건강검진 결과,「고용보험법」에 따른 고용정보,「암관리법」에 따른 질병정보 및 사망원인정보 등을 관련 기관에 요청할 수 있다.
  5.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 상당한 지식이나 숙련도가 요구되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작업의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은 자격ㆍ면허의 취득 또는 근로자의 기능 습득을 위하여 교육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49%)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업무상 질병 여부의 결정을 위하여 역학조사를 요청하는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역학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역학조사를 요청하는 경우, 근로복지공단이 아닌 직접 역학조사를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업안전지도사는 산업보건에 관한 조사ㆍ연구의 직무를 수행한다.
  2. 산업안전지도사는 유해ㆍ위험의 방지대책에 관한 평가ㆍ지도의 직무를 수행한다.
  3. 산업안전지도사의 업무 영역은 기계안전ㆍ전기안전ㆍ화공안전ㆍ건설안전 분야로 구분한다.
  4. 산업안전지도사가 직무를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5.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하여 벌금형을 선고받고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은 산업안전지도사 직무수행을 위해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등록을 할 수 없다.
(정답률: 59%)
  • "산업안전지도사는 산업보건에 관한 조사ㆍ연구의 직무를 수행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산업안전지도사는 유해ㆍ위험의 방지대책에 관한 평가ㆍ지도의 직무를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해당하여 근로조건의 개선을 통하여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 작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67%)
  • 정답이 "ㄴ, ㄷ" 인 이유는, 해당 작업이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해당하므로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근로조건의 개선을 통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ㄴ"이 선택되었고, 또한 이러한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이나 안전장비 등의 제공도 필요하므로 "ㄷ"가 선택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안전일반

26. TWI(Training Within Industry)의 교육훈련내용이 아닌 것은?

  1. 작업적응훈련(JAT)
  2. 작업방법훈련(JMT)
  3. 작업안전훈련(JST)
  4. 작업지도훈련(JIT)
  5. 인간관계훈련(JRT)
(정답률: 54%)
  • 작업적응훈련(JAT)은 TWI의 교육훈련내용이 아닙니다. TWI는 작업방법훈련(JMT), 작업안전훈련(JST), 작업지도훈련(JIT), 인간관계훈련(JRT)을 포함한 4가지 교육훈련내용으로 구성됩니다. 작업적응훈련(JAT)은 새로운 직원이나 새로운 작업에 대한 훈련으로, TWI와는 별개의 교육훈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안전관리 조직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라인스태프형은 명령 계통과 조언ㆍ권고적 참여가 혼돈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2. 라인형은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주로 활용된다.
  3. 라인형은 안전에 대한 지시 및 전달이 비교적 신속하다.
  4. 스태프형은 권한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라인형 보다 통제수속이 복잡하며 시간과 노력이 더 소모된다.
  5. 안전관리 조직 형태는 라인형(Line type), 스태프형(Staff type), 라인스태프형(Line-Staff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55%)
  • "라인형은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주로 활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라인형은 규모에 따라 적용 가능하며, 대규모 사업장 뿐만 아니라 소규모 사업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1. 버드(F. Bird)
  2. 아담스(E. Adams)
  3. 시몬즈(R. Simonds)
  4. 하인리히(H. Heinrich)
  5. 콤페스(P. Compes)
(정답률: 59%)
  • 이 보기는 안전관리 분야에서 유명한 인물들의 이름을 나열한 것이다. 이 중에서 "하인리히(H. Heinrich)"은 안전관리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인물 중 한 명으로, 1931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에서는 안전관리 분야에서의 기본 개념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그는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을 "하인리히의 법칙"으로 정리하여 안전관리 분야에서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하인리히(H. Heinric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서 정하고 있는 추락 및 감전 위험방지용 안전모의 성능기준에 관한 내용 중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

  1. 내관통성
  2. 충격흡수성
  3. 내약품성
  4. 턱끈풀림
  5. 내수성
(정답률: 60%)
  •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 항목 중에서 "내약품성"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안전모가 화학물질 등의 약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장에서 사용될 때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성능 기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안전모가 추락이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턱끈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며, 내수성을 보장하는 등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성능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 등을 해야 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62%)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ㄱ. 기계ㆍ기구ㆍ설비: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 등을 해야 하는 대상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

    ㄴ. 건축물: 건축물 안전에 대한 법적 규제가 있으며, 안전한 건축물을 건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

    ㄷ. 화학물질: 화학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많아 안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ㄹ. 전기설비: 전기설비는 인명사고와 재산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대상으로, 안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들 모두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대상으로 "ㄱ, ㄴ, ㄷ, ㄹ"이 모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미끄러운 기름이 흘러있는 복도 위를 걷다가 미끄러지면서 넘어져 기계에 머리를 부딪쳐서 다쳤다.” 이러한 재해상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가해물: 복도, 기인물: 기름, 사고유형: 추락
  2. 가해물: 기름, 기인물: 복도, 사고유형: 끼임
  3. 가해물: 기계, 기인물: 기름, 사고유형: 전도
  4. 가해물: 기름, 기인물: 기계, 사고유형: 화재
  5. 가해물: 기계, 기인물: 기름, 사고유형: 감전
(정답률: 63%)
  • 가해물은 기계, 기인물은 기름이며, 사고유형은 전도이다. 복도 위를 걷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기계에 머리를 부딪쳤기 때문에 기계가 가해물이 되고, 기름은 그 기계 위에 있었기 때문에 기인물이 된다. 또한, 전도는 높은 곳에서 낙하하거나 미끄러져 추락하는 사고를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가해물: 기계, 기인물: 기름, 사고유형: 전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비행기로부터 3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이 140dB이라면, 30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은 몇 dB 인가? (단, 조건은 동일하다.)

  1. 90
  2. 100
  3. 110
  4. 120
  5. 130
(정답률: 43%)
  • 음압은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거리가 10배 멀어지면 음압은 20dB씩 감소한다. 따라서 30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은 140dB에서 20dB씩 15번 감소한 값이 된다.

    140 - (20 x 15) = 140 - 300 = -160

    하지만 음압은 보통 양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160dB를 양수로 바꾸어 준다.

    -160dB = 20log(P/Pr)에서 Pr은 20μPa이므로,

    P/20μPa = 10^(-160/20) = 10^(-8)

    P = 20μPa x 10^(-8) = 0.2 나노파스칼

    따라서 30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은 120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기 중 연소(폭발)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1. 수소
  2. 암모니아
  3. 프로판
  4. 에탄
  5. 메탄
(정답률: 64%)
  • 수소는 분자 내부에 산소 결합이 없기 때문에 연소할 때 산소와 결합하여 물로 변하면서 매우 많은 열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기 중 연소(폭발)범위가 가장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서 정하고 있는 위험성평가의 절차에서 “상시근로자수가 20명 미만 사업장(총 공사금액 20억원 미만의 건설공사)의 경우”에 생략할 수 있는 절차는?

  1.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준비
  2.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ㆍ위험요인의 파악
  3. 파악된 유해ㆍ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4. 위험성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
  5.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기록
(정답률: 52%)
  • 상시근로자수가 20명 미만 사업장(총 공사금액 20억원 미만의 건설공사)의 경우, "파악된 유해ㆍ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절차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사업장의 규모와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파악된 유해ㆍ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은 근로자의 작업과 관련된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위험성을 추정하는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위험성이 높은지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절차를 생략하면 위험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대책을 수립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간-기계체계의 신뢰도 유지방안 중 피드백 제어방식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57%)
  • 피드백 제어방식은 인간-기계체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고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ㄱ"은 개방적 피드백 제어방식으로, 인간이 기계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개입하여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ㄴ"은 폐쇄적 피드백 제어방식으로, 기계가 자체적으로 센서 등을 통해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ㄷ"는 개방적과 폐쇄적 피드백 제어방식을 혼합한 방식으로, 인간과 기계가 함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ㄱ, ㄴ, ㄷ"가 모두 피드백 제어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학습평가 기본기준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타당성
  2. 신뢰성
  3. 객관성
  4. 실용성
  5. 주관성
(정답률: 47%)
  • 주관성은 학습평가의 기본기준 중 하나가 아닙니다. 학습평가는 타당성, 신뢰성, 객관성, 실용성을 기본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주관성은 학습평가에서 피해야 할 요소 중 하나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선입견 등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학습평가에서는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위험성평가 기법인 MORT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옳은 것은?

  1. HAZOP
  2. FTA
  3. CA
  4. FMEA
  5. PHA
(정답률: 29%)
  • MORT는 사고의 원인과 결과를 파악하여 예방하는 위험성평가 기법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는 기법으로 FTA (Fault Tree Analysis)가 있다. FTA는 사고의 원인을 나무 구조로 나타내어 각 원인들이 결합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FT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A(Criticality Analysis)기법에서 “작업의 실패로 이어질 염려가 있는 고장”의 카테고리는?

  1. 카테고리-Ⅰ
  2. 카테고리-Ⅱ
  3. 카테고리-Ⅲ
  4. 카테고리-Ⅳ
  5. 카테고리-Ⅴ
(정답률: 45%)
  • CA(Criticality Analysis)기법에서 “작업의 실패로 이어질 염려가 있는 고장”은 카테고리-Ⅱ에 속합니다. 이는 작업의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작업을 중단하거나 대체할 수 있으며, 작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는 고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장은 관리 대상으로 분류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구온도 42℃, 습구온도 32℃ 일 경우 Oxford지수는?

  1. 33.5℃
  2. 35.5℃
  3. 37.5℃
  4. 38.5℃
  5. 40.5℃
(정답률: 23%)
  • Oxford지수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지수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평균값에서 0.55℃를 빼준 값이다. 따라서 (42℃ + 32℃) / 2 - 0.55℃ = 33.5℃ 이므로 정답은 "3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제시된 소음의 노출기준(충격소음 제외)에 관한 일부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90, ㄴ: 95
  2. ㄱ: 90, ㄴ: 100
  3. ㄱ: 95, ㄴ: 100
  4. ㄱ: 95, ㄴ: 105
  5. ㄱ: 10, ㄴ: 100
(정답률: 60%)
  •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제시된 소음의 노출기준은 8시간 동안의 평균 소음 노출량과 최대 소음 노출량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평균 소음 노출량이 90dB(A)이면 최대 소음 노출량은 95dB(A)로 제한되며, 평균 소음 노출량이 95dB(A)이면 최대 소음 노출량은 100dB(A)로 제한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90, ㄴ: 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브레인스토밍 기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47%)
  •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산하고, 그 중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ㄱ, ㄴ"은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적인 발상 방법으로,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ㄴ, ㄷ"는 "연관 기법"으로, 이미 나온 아이디어와 연관된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ㄱ, ㄴ, ㄹ"은 "분류 기법"으로, 아이디어를 분류하고 그 분류에 따라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ㄱ, ㄷ, ㄹ"은 "대조 기법"으로, 서로 대조되는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ㄱ, ㄴ, ㄷ, ㄹ"은 이러한 다양한 발상 방법을 모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600, ㄴ: 300
  2. ㄱ: 650, ㄴ: 250
  3. ㄱ: 700, ㄴ: 200
  4. ㄱ: 750, ㄴ: 300
  5. ㄱ: 800, ㄴ: 250
(정답률: 70%)
  • 이미지는 작업장 내에서의 소음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규칙상 작업장 내에서의 최대 소음은 85dB(A)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이 작업장에서는 85dB(A)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 측정 결과에서는 "ㄱ: 750, ㄴ: 300"이 가장 적합한 답이다. 이유는 "ㄱ: 750, ㄴ: 300"이 85dB(A)를 초과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보기들보다 더 높은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본의 의학자인 하시모토 쿠니에가 제시한 의식수준 5단계(Phase)의 의식상태와 신뢰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Phase 0의 의식상태는 무의식 상태이며 신뢰성은 0.3이다.
  2. Phase 1의 의식상태는 실신 상태이며 신뢰성은 0.6이상이다.
  3. Phase 2의 의식상태는 의식이 둔한 상태이며 신뢰성은 0.9이다.
  4. Phase 3의 의식상태는 명석한 상태이며 신뢰성은 0.999999이상이다.
  5. Phase 4의 의식상태는 편안한 상태이며 신뢰성은 1.0이다.
(정답률: 54%)
  • Phase 3의 의식상태는 명석한 상태이며 신뢰성은 0.999999 이상이다. 이는 환자가 완전히 깨어있고, 주변 상황을 인식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하며,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며, 신뢰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Phase에 비해 의식상태와 신뢰성이 가장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도기준 및 용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색도기준은 한국산업규격(KS)에 따른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KSA 0062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8-0759)에 따른다.)

  1. 7.5R 4/14: 정지신호, 소화설비 및 그 장소, 유해행위의 금지
  2. N9.5: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ㆍ위험 경고
  3. 5Y 8.5/12: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ㆍ위험경고 이외의 위험경고, 주의표지 또는 기계방호물
  4. 2.5PB 4/10: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5. 2.5G 4/10: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
(정답률: 40%)
  • "N9.5: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ㆍ위험 경고"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색도기준과 용도에 해당하는 안전보건표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푸르키네 효과(Purkinje Efect)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색상, ㄴ: 명암, ㄷ: 명순응, ㄹ: 암순응
  2. ㄱ: 명암, ㄴ: 색상, ㄷ: 암순응, ㄹ: 명순응
  3. ㄱ: 명암, ㄴ: 채도, ㄷ: 암순응, ㄹ: 명순응
  4. ㄱ: 명암, ㄴ: 색상, ㄷ: 명순응, ㄹ: 암순응
  5. ㄱ: 채도, ㄴ: 명암, ㄷ: 암순응, ㄹ: 명순응
(정답률: 44%)
  • 푸르키네 효과는 어떤 조명 상태에서는 색상보다는 명암이, 다른 조명 상태에서는 명암보다는 색상이 더 강조되어 보이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ㄱ) 색상과 (ㄴ) 명암의 대비 차이에 따라 발생하며, (ㄷ) 명순응과 (ㄹ) 암순응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정답은 "ㄱ: 색상, ㄴ: 명암, ㄷ: 명순응, ㄹ: 암순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5m 떨어진 곳에서 1.5mm 벌어진 틈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의 최소가분시력은? (단,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하시오.)

  1. 0.5
  2. 1.0
  3. 2.0
  4. 2.5
  5. 3.0
(정답률: 50%)
  • 가분시력은 눈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눈으로 구분할 수 있는 두 점 사이의 최소 거리를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5m 떨어진 곳에서 1.5mm 벌어진 틈을 구분할 수 있는 가분시력을 구하는 것이다.

    가분시력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분시력 = 1 ÷ (2 × tanθ)

    여기서 θ는 눈의 시야각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야각은 약 120도이지만, 가분시력을 계산할 때는 시야각의 절반인 60도를 사용한다.

    따라서, θ = 60도로 설정하면 가분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가분시력 = 1 ÷ (2 × tan60도) = 1 ÷ (2 × √3) ≈ 0.29mm

    즉, 이 사람은 0.29mm 이하의 거리까지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1.5mm 벌어진 틈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가분시력은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관리격자이론에서 “생산에 관한 관심은 대단히 높으나 인간에 대한 관심이 극히 낮은 리더십”의 유형은?

  1. (1.1)형
  2. (1.9)형
  3. (9.1)형
  4. (9.9)형
  5. (5.5)형
(정답률: 68%)
  • "(9.1)형"은 생산성과 성과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인간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리더십 유형이다. 이 유형의 리더는 일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중시하며, 인간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보다는 결과물에 집중한다. 따라서 직원들의 감정이나 요구를 무시하거나 감독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는 사용자위원 중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100명 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는 제외할 수 있는 사람은?

  1. 해당 사업의 대표자(같은 사업으로서 다른 지역에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2. 안전관리자(제16조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으로 한정하되,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안전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를 말한다) 1명
  3. 보건관리자(제20조제1항에 따라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으로 한정하되,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보건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를 말한다) 1명
  4. 산업보건의(해당 사업장에 선임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한다)
  5.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하는 9명 이내의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
(정답률: 54%)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는 사용자위원 중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100명 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는 제외할 수 있는 사람은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하는 9명 이내의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입니다. 이는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이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5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연간 30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35명의 재해자로 인해 120일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한 경우, 이 사업장의 재해통계(도수율, 강도율)로 옳은 것은? (단, 1일 8시간, 연 300일 근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도수율: 0.25, 강도율: 0.1
  2. 도수율: 2.1, 강도율: 0.1
  3. 도수율: 25, 강도율: 1.0
  4. 도수율: 0.21, 강도율: 10
  5. 도수율: 25, 강도율: 0.1
(정답률: 30%)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 건수를 근로자 수로 나눈 것이므로, 30건의 재해를 500명의 근로자로 나누면 0.06이 된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6%가 된다. 따라서 "도수율: 25"는 옳지 않다.

    강도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근로손실일수를 근로자 수와 근로일수로 나눈 것이므로, 35명의 재해자로 인해 발생한 120일의 근로손실일수를 500명의 근로자와 연 300일의 근무일수로 나누면 0.008이 된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0.8%가 된다. 따라서 "강도율: 0.1"은 옳다.

    따라서 정답은 "도수율: 6, 강도율: 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논리식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28%)
  • 논리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A는 B이거나 C이다"가 된다. 이를 불리언 대수로 표현하면 "A = B + C"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업진단ㆍ지도

51. 조직구조 설계의 상황요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률: 33%)
  • 조직구조 설계의 상황요인은 조직의 크기, 업무의 복잡도, 기술의 발전, 경영환경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ㄱ, ㄷ, ㄹ, ㅁ"은 모두 조직의 크기와 업무의 복잡도에 관련된 요인입니다. 즉, 조직의 규모가 커지거나 업무의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조직구조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게 됩니다. "ㄴ"과 "ㅁ"은 다른 요인들과도 관련이 있지만, "ㄱ, ㄷ, ㄹ"과는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높지 않아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프렌치(J. French)와 레이븐(B. Raven)의 권력의 원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식적 권력은 특정역할과 지위에 따른 계층구조에서 나온다.
  2. 공식적 권력은 해당지위에서 떠나면 유지되기 어렵다.
  3. 공식적 권력은 합법적 권력, 보상적 권력, 강압적 권력이 있다.
  4. 개인적 권력은 전문적 권력과 정보적 권력이 있다.
  5. 개인적 권력은 자신의 능력과 인격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아 생긴다.
(정답률: 50%)
  • "개인적 권력은 자신의 능력과 인격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아 생긴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개인적 권력은 전문적 권력, 정보적 권력, 대인적 권력으로 구성됩니다. 전문적 권력은 개인이 가진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에 기반하여 생기는 권력이며, 정보적 권력은 개인이 가진 정보나 정보에 대한 접근성에 기반하여 생기는 권력입니다. 대인적 권력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생기는 권력으로, 예를 들어 카리스마나 사회적 지위에 기반하여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직무분석과 직무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무분석은 인력확보와 인력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2. 직무분석은 교육훈련 내용과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직무명세서는 직무수행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요건인 인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4. 직무평가 요소비교법은 평가대상 개별직무의 가치를 점수화하여 평가하는 기법이다.
  5. 직무평가는 조직의 목표달성에 더 많이 공헌하는 직무를 다른 직무에 비해 더 가치가 있다고 본다.
(정답률: 16%)
  • "직무평가 요소비교법은 평가대상 개별직무의 가치를 점수화하여 평가하는 기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직무평가 요소비교법은 개별직무의 가치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각 직무의 가치를 점수화하여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가치를 비교하여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협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협상은 둘 이상의 당사자가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2. 협상에 관한 접근방법으로 분배적 교섭과 통합적 교섭이 있다.
  3. 분배적 교섭은 내가 이익을 보면 상대방은 손해를 보는 구조이다.
  4. 통합적 교섭은 윈-윈 해결책을 창출하는 타결점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5. 분배적 교섭은 협상당사자가 전체자원(pie)이 유동적이라는 전제하에 협상을 진행한다.
(정답률: 42%)
  • "분배적 교섭은 내가 이익을 보면 상대방은 손해를 보는 구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분배적 교섭은 자원의 분배를 중심으로 협상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한 쪽이 이익을 얻으면 다른 쪽은 손해를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는 구조적으로 이익과 손해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자원의 분배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에 대한 협상이기 때문에, 상호적인 협상이 가능합니다.

    "분배적 교섭은 협상당사자가 전체자원(pie)이 유동적이라는 전제하에 협상을 진행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자원의 분배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협상을 통해 유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노동쟁의와 관련하여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파업
  2. 준법투쟁
  3. 불매운동
  4. 생산통제
  5. 대체고용
(정답률: 46%)
  • 다른 네 가지는 모두 직접적인 노동쟁의 방식이지만, 대체고용은 노동자들이 파업 등의 노동쟁의를 할 때, 기업이 대체로 고용하는 인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대체고용은 노동쟁의 방식이 아니라, 노동쟁의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량고객화(mass customiz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은 가격과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2. 대량고객화 달성 전략의 하나로 모듈화 설계와 생산이 사용된다.
  3. 대량고객화 관련 프로세스는 주로 주문조립생산과 관련이 있다.
  4. 정유, 가스 산업처럼 대량고객화를 적용하기 어렵고 효과 달성이 어려운 제품이나 산업이 존재한다.
  5. 주문접수 시 까지 제품 및 서비스를 연기(postpone)하는 활동은 대량고객화 기법중의 하나이다.
(정답률: 47%)
  • "높은 가격과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량고객화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추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지만, 이를 위해 높은 가격을 부과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대량생산과는 달리 개별적인 생산이 가능해져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가격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품질경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쥬란(J. Juran)은 품질삼각축(quality trilogy)으로 품질 계획, 관리, 개선을 주장했다.
  2. 데밍(W. Deming)은 최고경영진의 장기적 관점 품질관리와 종업원 교육훈련 등을 포함한 14가지 품질경영 철학을 주장했다.
  3. 종합적 품질경영(TQM)의 과제 해결 단계는 DICA(Define, Implement, Check, Act)이다.
  4. 종합적 품질경영(TQM)은 프로세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 개선을 지향한다.
  5. 종합적 품질경영(TQM)은 외부 고객만족 뿐만 아니라 내부 고객만족을 위해 노력한다.
(정답률: 47%)
  • 종합적 품질경영(TQM)의 과제 해결 단계는 DICA(Define, Implement, Check, Act)가 아닌 PDCA(Plan, Do, Check, Ac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6시그마와 린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6시그마는 낭비 제거나 감소에, 린은 결점 감소나 제거에 집중한다.
  2. 6시그마는 부가가치 활동 분석을 위해 모든 형태의 흐름도를, 린은 가치흐름도를 주로 사용한다.
  3. 6시그마는 임원급 챔피언의 역할이 없지만, 린은 임원급 챔피언의 역할이 중요하다.
  4. 6시그마는 개선활동에 파트타임(겸임) 리더가, 린은 풀타임(전담) 리더가 담당한다.
  5. 6시그마의 개선 과제는 전략적 관점에서 선정하지 않지만, 린은 전략적 관점에서 선정한다.
(정답률: 35%)
  • 정답은 "6시그마는 부가가치 활동 분석을 위해 모든 형태의 흐름도를, 린은 가치흐름도를 주로 사용한다." 이다. 6시그마는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프로세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론으로, 모든 형태의 흐름도를 분석하여 낭비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반면 린은 가치흐름도를 중심으로 생산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결점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산운영관리의 최신 경향 중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환경경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ㄹ, ㅁ
  4. ㄷ, ㄹ, ㅁ
  5. ㄱ, ㄷ, ㄹ, ㅁ
(정답률: 20%)
  • ㄷ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하여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옳은 선택이다. ㄹ은 기업의 환경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옳은 선택이다. ㄱ은 해당 문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ㄴ은 해당 문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ㅁ은 해당 문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직무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 중 정보입력, 정신적 과정, 작업의 결과, 타인과의 관계, 직무맥락, 기타 직무특성 등의 범주로 조직화되어 있는 것은?

  1. 과업질문지(Task Inventory: TI)
  2. 기능적 직무분석(Functional Job Analysis: FJA)
  3. 직위분석질문지(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PAQ)
  4. 직무요소질문지(Job Components Inventory: JCI)
  5. 직무분석 시스템(Job Analysis System: JAS)
(정답률: 27%)
  • 직위분석질문지는 직무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 중 정보입력, 정신적 과정, 작업의 결과, 타인과의 관계, 직무맥락, 기타 직무특성 등의 범주로 조직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범주들을 평가하는 질문지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직업 스트레스 모델 중 종단 설계를 사용하여 업무량과 이외의 다양한 직무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은?

  1.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
  2. 자원보존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3. 사람-환경 적합 모델(Person-Environment Fit model)
  4. 직무 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
  5.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Effort-Reward Imbalance model)
(정답률: 59%)
  • 직무 요구-자원 모델은 업무량과 이외의 다양한 직무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업무 요구와 자원(능력, 지식, 지원 등)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즉, 업무 요구가 많을수록 자원이 소모되고, 자원이 충분할수록 업무 요구에 대처할 수 있으며, 이는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 모델은 업무 요구와 자원을 조절하여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를 유지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서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기본욕구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ㅁ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률: 48%)
  • 자기결정이론에서는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기본욕구로 자율성, 연관성, 역량강화가 있다. 이 중 "ㄱ"은 자율성, "ㄴ"은 연관성, "ㄹ"은 역량강화를 나타내는데, 이 세 가지 기본욕구가 모두 충족되면 개인의 내적동기가 높아지고, 자발적으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이 이론적 배경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기본욕구를 모두 고른 것이 정답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터크맨(B. Tuckman)이 제안한 팀 발달의 단계 모형에서 '개별적 사람의 집합'이 '의미 있는 팀'이 되는 단계는?

  1. 형성기(forming)
  2. 격동기(storming)
  3. 규범기(norming)
  4. 수행기(performing)
  5. 휴회기(adjourning)
(정답률: 33%)
  • 규범기(norming) 단계는 팀원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역할과 책임을 분담하는 단계입니다. 이전의 격동기(storming) 단계에서 발생한 갈등과 충돌을 극복하고, 팀원들 간의 신뢰와 협력이 강화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개별적인 사람들이 모여 의미 있는 팀이 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며, 팀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반생산적 업무행동(CWB) 중 직ㆍ간접적으로 조직 내에서 행해지는 일을 방해하려는 의도적 시도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

  1. 철회(withdrawal)
  2. 사보타주(sabotage)
  3. 직장무례(workplace incivility)
  4. 생산일탈(production deviance)
  5. 타인학대(abuse toward others)
(정답률: 55%)
  • 이 사례는 의도적으로 조직 내에서 일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보타주(sabotage)"에 해당한다. 사보타주는 조직 내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방해하거나 파괴하는 행동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고객의 요청을 무시하거나 처리하지 않으려는 의도적인 시도가 있었기 때문에 사보타주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웨인(A. Swain)과 커트맨(H. Cuttmann)이 구분한 인간오류(human error)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략오류(omission error): 부분으로는 옳으나 전체로는 틀린 것을 옳다고 주장하는 오류
  2. 시간오류(timing error): 업무를 정해진 시간보다 너무 빠르게 혹은 늦게 수행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
  3. 순서오류(sequence error): 업무의 순서를 잘못 이해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
  4. 실행오류(commission error): 수행해야 할 업무를 부정확하게 수행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오류
  5. 부가오류(extraneous error): 불필요한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생기는 오류
(정답률: 42%)
  • 생략오류는 부분적으로는 옳지만 전체적으로는 틀린 것을 옳다고 주장하는 오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략오류: 부분으로는 옳으나 전체로는 틀린 것을 옳다고 주장하는 오류"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래 그림에서 (a)와 (c)가 일직선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a)와 (b)가 일직선이다.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1. 뮬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현상
  2. 티체너(Titchener) 착시현상
  3. 폰조(Ponzo) 착시현상
  4.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현상
  5. 죌너(Zöllner) 착시현상
(정답률: 38%)
  • 정답은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현상"이다. 이는 두 개의 대각선이 하나의 직선으로 보이지 않고 끊어져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착시현상은 뇌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뇌가 직선을 따라 그림을 해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산업재해이론 중 하인리히(H. Heinrich)가 제시한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매트릭스 모델(Matrix model)을 제안하였으며, 작업자의 긴장수준이 사고를 유발한다고 보았다.
  2. 사고의 원인이 어떻게 연쇄반응을 일으키는지 도미노(domino)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3. 재해는 관리부족, 기본원인, 직접원인, 사고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4. 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불안전행동과 불안전상태를 유발하거나 방치한 전술적 오류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5. 스위스 치즈 모델(Swiss cheese model)을 제시하였으며, 모든 요소의 불안전이 겹쳐져서 사고가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정답률: 52%)
  • 하인리히(H. Heinrich)가 제시한 이론은 "사고의 원인이 어떻게 연쇄반응을 일으키는지 도미노(domino)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이다. 이론에서는 사고가 발생하기까지 여러 요인이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조직 스트레스원 자체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55%)
  • - ㄱ. 조직 내 의사소통 개선: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업무 수행에 대한 불필요한 혼란과 오해를 줄일 수 있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 ㄴ. 업무량 분산: 업무가 한 사람에게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면 해당 직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 ㄷ. 자율성 증대: 직원들에게 업무 수행에 대한 자율성을 부여하면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만족도가 증가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 ㄹ. 근무환경 개선: 근무환경이 좋아지면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온도와 습도, 적절한 조명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산업위생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40%)
  • 산업위생의 목적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에서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것이 목적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ㄱ, ㄴ, ㄷ, ㄹ" 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 :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위해 유해물질을 제거하거나 대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ㄴ" :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ㄷ" :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ㄹ" :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노출기준 설정방법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동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노출량(dose)과 반응(response)의 관계를 정립한 사람은 Pearson Norman(1972)이다.
  2. 노출에 따른 활동능력의 상실과 조절능력의 상실 관계는 지수형 곡선으로 나타난다.
  3. 항상성(homeostasis)이란 노출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단계로 정상조절이 가능한 단계이다.
  4. 정상기능 유지단계는 노출에 대해 방어기능을 동원하여 기능장해를 방어할 수 있는 대상성(compensation) 조절기능 단계이다.
  5. 대상성(compensation) 조절기능 단계를 벗어나면 회복이 불가능하여 질병이 야기된다.
(정답률: 39%)
  • "노동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노출량(dose)과 반응(response)의 관계를 정립한 사람은 Pearson Norman(1972)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 "노출에 따른 활동능력의 상실과 조절능력의 상실 관계는 지수형 곡선으로 나타난다." : 노출에 따른 반응은 일반적으로 선형적이거나 비선형적인 곡선 형태를 띠며, 지수형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항상성(homeostasis)이란 노출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단계로 정상조절이 가능한 단계이다." : 항상성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절 기작을 말하며, 노출에 대한 적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 "정상기능 유지단계는 노출에 대해 방어기능을 동원하여 기능장해를 방어할 수 있는 대상성(compensation) 조절기능 단계이다." : 정상기능 유지단계는 노출에 대한 적응과 관련된 개념이 아니며, 대상성 조절기능 단계도 노출에 대한 적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 "대상성(compensation) 조절기능 단계를 벗어나면 회복이 불가능하여 질병이 야기된다." : 대상성 조절기능 단계를 벗어나면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지만, 반드시 회복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우리나라 작업환경측정에서 화학적 인자와 시료채취 매체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2-브로모프로판 – 실리카겔관
  2. 디메틸포름아미드 – 활성탄관
  3. 시클로헥산 – 실리카겔관
  4. 트리클로로에틸렌 – 활성탄관
  5. 니켈 – 활성탄관
(정답률: 24%)
  • 화학적 인자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은 활성탄관과 연결되어야 올바른 시료채취가 가능합니다. 이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이 활성탄에 흡착되어 분석에 필요한 적절한 시료가 확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리클로로에틸렌 – 활성탄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공기정화장치 중 집진(먼지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방법 또는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세정
  2. 여과(여포)
  3. 흡착
  4. 원심력
  5. 전기 전하
(정답률: 40%)
  • 정답은 "원심력"입니다.

    흡착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유해물질을 흡착제로부터 붙잡아 묶어내는 방법입니다. 이때 흡착제는 화학적으로 물질을 붙잡아 묶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정은 공기정화장치 내부의 필터 등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을 말하며, 여과(여포)는 공기를 통과시켜 먼지 등을 걸러내는 방법입니다. 전기 전하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등을 전기적으로 충전시켜 붙잡아 묶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지 제85호 서식(특수ㆍ배치전ㆍ수시ㆍ임시 건강진단 결과표)의 작성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공정별 유해요인 분포 실태
  2. 유해인자별 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 현황
  3. 질병코드별 질병유소견자 현황
  4. 질병별 조치 현황
  5. 건강진단 결과표 작성일, 송부일, 검진기관명
(정답률: 42%)
  • "작업공정별 유해요인 분포 실태"는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요인들이 어떤 작업공정에서 어느 정도 분포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건강진단 결과표 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작성 사항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나 방독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하여야 하는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국소배기장치의 설비 특례에 따라 밀폐설비나 국소배기장치가 설치되지 아니한 장소에서의 유기화합물 취급업무
  2. 임시작업인 경우의 설비 특례에 따라 밀폐설비나 국소배기장치가 설치되지 아니한 장소에서의 유기화합물 취급업무
  3. 단시간작업인 경우의 설비 특례에 따라 밀폐설비나 국소배기장치가 설치되지 아니한 장소에서의 유기화합물 취급업무
  4.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 설치된 환기장치 내의 기류가 확산될 우려가 있는 물체를 다루는 유기화합물 취급업무
  5.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서 청소 등으로 유기화합물이 제거된 설비를 개방하는 업무
(정답률: 48%)
  • 규칙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나 방독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하여야 하는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서 청소 등으로 유기화합물이 제거된 설비를 개방하는 업무"입니다. 이유는 이 업무는 유기화합물이 이미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유해물질별 그 표시 내용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인듐 및 그 화합물 – 흡입성
  2. 크롬산 아연 - 발암성 1A
  3. 일산화탄소 – 호흡성
  4. 불화수소 - 생식세포 변이원성 2
  5. 트리클로로에틸렌 - 생식독성 1A
(정답률: 47%)
  • 크롬산 아연은 발암성 1A로 분류되는 이유는, 이 물질이 동물 실험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체에 노출될 경우 발암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