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지도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3-19)

산업안전지도사
(2022-03-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관계수급인 근로자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도급인의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급인은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도급인과 관계수급인의 작업에 있어서 관계수급인의 작업시기ㆍ내용,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2. 건설업의 경우에는 도급사업의 정기 안전ㆍ보건 점검을 분기에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3. 관계수급인의 공사금액을 포함한 해당 공사의 총공사금액이 20억원 이상인 건설업의 경우 도급인은 그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안전보건총괄책임자로 지정하여야 한다.
  4. 도급인은 도급인과 수급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를 도급인 및 그의 수급인 전원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5. 도급인은 제조업 작업장의 순회점검을 2일에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업의 경우에는 도급사업의 정기 안전ㆍ보건 점검을 분기에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건설업의 경우 도급사업의 정기 안전ㆍ보건 점검을 분기에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은 아니며, 건설업 안전보건기준에 따라 도급인이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안전보건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건설업에서는 도급사업의 안전ㆍ보건 점검 대신에 도급인이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안전보건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 등을 해야 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에 규정되어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은 고려하지 않음)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ㄷ"이다.

    ㄱ.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 등을 해야 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에 규정되어 있는 것은 모두 고르라는 문제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해당되는 것들을 고르면 된다. 보기에서 '건축물'은 제외하고, '기계', '기구', '설비'가 해당된다.

    ㄷ. 문제에서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보기에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들은 제외하면 된다. 보기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것이 없으므로, 이 부분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 대여자등이 안전조치 해야 하는 것
    건축물
    이동식/타워 크레인
    불도저/모터그레이더/로더
    스크레이퍼 / 도저
    파워셔블/드래그라인/클램셸
    버킷굴착기/트렌치/향타기/항발기
    어스드릴/천공기/어스오거/페이퍼드레인머신
    리프트/지게차/롤러기
    콘크리트 펌프/고소작업대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에 대한 방호조치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기계ㆍ기구의 안전성 검사 및 유지관리를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은 "ㄱ"과 "ㄴ"이 모두 해당된다.
    - 그러나 "ㄴ"은 "기계ㆍ기구의 안전성 검사 및 유지관리"와 함께 "작업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오답이다.
    - "ㄷ"는 "위험물질의 취급 및 보관"에 대한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 "ㄹ"은 "화재예방 및 대응"에 대한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 따라서 정답은 "ㄱ"이다.
  • ② 누구든지 동력으로 작동하는 기계ㆍ기구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방호조치를 하지 아니하고는 양도, 대여, 설치 또는 사용에 제공하거나 양도ㆍ대여의 목적으로 진열해서는 아니 된다.

    1. 작동 부분에 돌기 부분이 있는 것

    2. 동력전달 부분 또는 속도조절 부분이 있는 것

    3. 회전기계에 물체 등이 말려 들어갈 부분이 있는 것

    정답은 4번 ㄷ.ㄹ 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의 작업내용을 변경할 때에 그 근로자에게 하여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의 내용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2.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3. 표준안전 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4.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5.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의 작업내용을 변경할 때에 그 근로자에게 하여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의 내용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표준안전 작업방법에 관한 사항"입니다. 이유는 근로자의 작업내용이 변경될 경우,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제공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 교육 내용으로는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 작업 개시 전 점검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표준안전 작업방법은 해당 작업에 대한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작업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 체결력(型締結力) 294킬로뉴턴(KN) 이상의 사출성형기는 안전검사대상기계 등에 해당한다.
  2. 사업주는 자율안전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그 결과를 기록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3. 안전검사기관이 안전검사 업무를 게을리하거나 업무에 차질을 일으킨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검사기관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4. 곤돌라를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업장에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안전검사를 하여야 한다.
  5.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사업주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사업주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을 소유한 자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소유자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는 제외함)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은 위험성이 높아 인명이나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물질을 사용하거나 제조하는 경우에는 국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한다.

    보기에서 "ㄱ, ㄷ, ㅁ"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로 지정된 물질들이다. 이 중에서 "ㄱ"은 석면, "ㄷ"는 벤젠, "ㅁ"은 수은 및 수산화수은으로, 이들 물질은 인체에 매우 위험하며, 환경오염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국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유해물질들 중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중대재해에 속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중대재해에 속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 화재, 폭발, 붕괴, 산사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경우
    ㄴ. 유해물질 누출, 방사선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나 환경오염이 발생한 경우
    ㄹ. 기계, 설비, 공구 등의 결함, 부적절한 조작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경우

    따라서, "ㄱ, ㄴ, ㄹ"이 모두 고르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인증 심사 중 유해ㆍ위험기계등이 서면심사 내용과 일치하는지와 유해ㆍ위험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는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에 해당한다.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안전인증을 받은 사유로 안전인증이 취소된 자는 안전인증이 취소된 날부터 3년 이내에는 취소된 유해ㆍ위험기계등에 대하여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3.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는 설치ㆍ이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4.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자가 최근 2년 동안 안전인증표시의 사용금지를 받은 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안전인증기준을 지키고 있는지를 3년에 1회이상 확인해야 한다.
  5.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제조하는 자는 그 유해ㆍ위험 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을 평가받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은 유해ㆍ위험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를 포함하며,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는 설치ㆍ이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상시근로자 1000명인 A회사(「상법」제170조에 따른 주식회사)의 대표이사 甲이 수립해야 하는 회사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경영방침
  2. 안전ㆍ보건관리 업무 위탁에 관한 사항
  3. 안전ㆍ보건관리 조직의 구성ㆍ인원 및 역할
  4. 안전ㆍ보건 관련 예산 및 시설 현황
  5.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전년도 활동실적 및 다음 연도 활동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ㆍ보건관리 업무 위탁에 관한 사항은 회사가 위탁한 업체나 기관에 대한 내용으로, 회사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에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전ㆍ보건관리 업무 위탁에 관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전문기관에 대해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는?

  1. 업무정지 기간 중에 업무를 수행한 경우
  2. 안전관리 업무 관련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한 경우
  3. 정당한 사유 없이 안전관리 업무의 수탁을 거부한 경우
  4. 안전관리 업무 수행과 관련한 대가 외에 금품을 받은 경우
  5. 법에 따른 관계 공무원의 지도ㆍ감독을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전문기관은 안전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으로서, 이 기관이 법령상 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법령상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합니다. 그 중에서 "업무정지 기간 중에 업무를 수행한 경우"는 안전관리전문기관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업무를 수행하려는 불법적인 행위로, 안전관리전문기관으로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행위이기 때문에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통합공표 대상 사업장 등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사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
  2. 철도운송업
  3. 도시철도운송업
  4. 도시가스업
  5. 전기업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가스업은 이미 별도의 법령인 도시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통합공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의 신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을 제조하는 자가「산업표준화법」제15조에 따른 인증을 받은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은 자율안전확인신고를 면제할 수 있다.
  2. 산업용 로봇, 혼합기, 파쇄기, 컨베이어는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에 해당한다.
  3.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을 수입하는 자로서 자율안전확인신고를 하여야 하는 자는 수입하기 전에 신고서에 제품의 설명서,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자율안전기준을 충족함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제출해야 한다.
  4. 자율안전확인의 표시를 하는 경우 인체에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는 재질이나 표면이 거친 재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5. 고용노동부장관은 신고된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된 경우 신고한 자에게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율안전기준에 맞게 시정하도록 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율안전확인의 표시를 하는 경우 인체에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는 재질이나 표면이 거친 재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표시에 대한 내용이며,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표시를 해야 하며, 이때 사용되는 재질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ㄹ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정안전보고서에는 다양한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ㄱ"인 "공정의 위험성 평가 결과 및 대응방안", "ㄴ"과 "ㄹ"인 "사고 및 건강사고 발생 현황 및 대응조치 결과"와 "사고 및 건강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ㄷ"인 "환경오염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및 대응조치 결과"도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가 50명인 경우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해야 할 사업은?

  1.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 정보서비스업
  5. 금융 및 보험업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상시근로자 수가 50명 이상인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시근로자 수가 50명인 경우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해야 하는 사업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입니다. 이유는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이 상시근로자 수가 50명 이상인 사업장이 많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관리감독자에게 수행하게 하여야 하는 산업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2. 사업장 내 관리감독자가 지휘ㆍ감독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계ㆍ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ㆍ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3.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ㆍ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ㆍ사용에 관한 교육ㆍ지도
  4.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5.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ㆍ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ㆍ감독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관리감독자에게 수행하게 하여야 하는 업무로 명시된 것은 "사업장 내 관리감독자가 지휘ㆍ감독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계ㆍ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ㆍ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ㆍ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ㆍ사용에 관한 교육ㆍ지도",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ㆍ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ㆍ감독"입니다. 따라서,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관리감독자에게 수행하게 하여야 하는 업무로 명시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승인 대상 작업에 관한 것으로 “급성 독성, 피부부식성 등이 있는 물질의 취급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ㄱ: 1, ㄴ: 고용노동부장관, ㄷ: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심의위원회
  2. ㄱ: 1, 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이사장, ㄷ: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심의위원회
  3. ㄱ: 2, ㄴ: 고용노동부장관, ㄷ: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심의위원회
  4. ㄱ: 2, ㄴ: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 ㄷ: 산업안전보건심의위원회
  5. ㄱ: 3, ㄴ: 고용노동부장관, ㄷ: 산업안전보건심의위원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1, ㄴ: 고용노동부장관, ㄷ: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심의위원회"이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승인 대상 작업 중 "급성 독성, 피부부식성 등이 있는 물질의 취급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은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심의위원회가 심의하여 결정하고,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도급승인을 결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1, ㄴ: 고용노동부장관, ㄷ: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심의위원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保護具)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은 보건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한다.
  3. 외딴곳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지역에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4.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은 지역별 보건관리전문기관과 업종별ㆍ유해인자별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구분한다.
  5.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간호사도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사업장에서 간호사가 보건관리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이하 “규정”이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은 규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니다.
  2. 규정 중 취업규칙에 반하는 부분에 관하여는 규정으로 정한 기준이 취업규칙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3.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사업주가 규정을 작성할 때에는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사업주가 규정을 작성할 때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나, 변경할 때에는 심의만 거치면 된다.
  5. 규정을 작성해야 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규정을 작성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작성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규정을 작성해야 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규정을 작성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작성해야 한다. 이는 규정 작성을 미루면 안전 및 보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업주는 가능한 빨리 규정을 작성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의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준용되는 기관이 아닌 것은?

  1. 안전보건교육기관
  2. 안전보건진단기관
  3. 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4. 역학조사 실시 업무를 위탁받은 기관
  5. 석면조사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역학조사 실시 업무를 위탁받은 기관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 취소나 업무 정지를 명할 수 없는 기관입니다. 이는 역학조사가 사고 발생 시 원인 파악과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독립성과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작업환경측정을 할 때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작업환경측정은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측정결과는 사업장 내에 공개되어야 한다.
    - ㄹ. 작업환경측정은 정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측정결과에 따라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ㄴ, ㄷ, ㄷ, ㄱ, ㄴ, ㄷ, ㄹ, ㄱ, ㄴ, ㄷ, ㄹ 모두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 시 지켜야 할 사항이지만, ㄱ, ㄹ은 특히 작업환경측정의 신속성과 정기적인 수행, 그리고 측정결과에 따른 대책 마련 등 중요한 사항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같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에게 유사한 질병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업주에게 특정 근로자에 대해 건강진단을 실시할 것을 명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건강진단은?

  1. 일반건강진단
  2. 특수건강진단
  3. 배치전건강진단
  4. 임시건강진단
  5. 수시건강진단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해당 근로자들에게 발생한 질병이 유해인자에 노출됨으로 인한 것이므로, 이는 임시건강진단에 해당한다. 임시건강진단은 특정 직장에서 유해인자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 실시되는 건강진단으로, 해당 직장에서 일하는 모든 근로자 대상으로 실시되는 일반건강진단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공표하거나 고시하는 물질은 고려하지 않음)

  1. 「의료기기법」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
  2. 「약사법」제2조제4호 및 제7호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醫藥外品)
  3.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4.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제5호에 따른 첨단바이오의약품
  5. 천연으로 산출된 화학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제5호에 따른 첨단바이오의약품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대상인 화학물질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 또는 건강진단의 실시 결과만으로 직업성 질환에 걸렸는지를 판단하기 곤란한 근로자의 질병에 대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역학조사를 요청할 수 있는 자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자는?

  1. 사업주
  2. 근로자대표
  3. 보건관리자
  4. 건강진단기관의 의사
  5.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장은 근로자의 질병에 대한 역학조사를 요청할 수 있는 자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규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자는?

  1.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해당 작업장 근로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사업주
  2. 등록하지 아니하고 타워크레인을 설치ㆍ해체한 자
  3. 석면이 포함된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하거나 해체하면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석면해체ㆍ제거의 작업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자
  4. 역학조사 참석이 허용된 사람의 역학조사 참석을 방해한 자
  5.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양도하면서 이를 양도받는 자에게 물질안전보건 자료를 제공하지 아니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자는 해당 법령에서 규정한 안전보건에 관련된 규정을 위반한 자로, 석면이 포함된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하거나 해체하면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석면해체ㆍ제거의 작업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자는 이에 해당합니다. 이는 석면이 인체에 유해하며,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작업기준을 준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자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의 금지 및 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주가 잠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1일 6시간, 1주 36시간 근로하게 하는 것은 허용된다.
  2. 사업주는 알코올중독의 질병이 있는 근로자를 고기압 업무에 종사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
  3. 사업주가 조현병에 걸린 사람에 대해 근로를 금지하는 경우에는 미리 보건관리자(의사가 아닌 보건관리자 포함), 산업보건의 또는 건강검진을 실시한 의사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4. 사업주는 마비성 치매에 걸릴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해 근로를 금지해야 한다.
  5. 사업주는 전염될 우려가 있는 질병에 걸린 사람이 있는 경우 전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한 후에도 그 사람의 근로를 금지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주는 알코올중독의 질병이 있는 근로자를 고기압 업무에 종사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 이는 근로의 금지 및 제한에 관한 내용으로, 알코올중독으로 인해 근로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안전일반

26.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에서 “가능성과 결과에 대한 범위를 구분하여 리스크 등급을 표시하고, 리스크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도구”로 정의되는 용어는?

  1. 리스크 통합(Risk aggregation)
  2. 리스크 프로파일(Risk profile)
  3. 리스크 수준 판정(Risk evaluation)
  4. 리스크 기준(Risk criteria)
  5. 리스크 매트릭스(Risk matrix)
(정답률: 알수없음)
  • 리스크 매트릭스는 가능성과 결과에 대한 범위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이를 통해 리스크 등급을 결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도구입니다. 이는 리스크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직이 어떤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리스크 매트릭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안전교육의 단계별 과정 중 태도교육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작업동작 및 표준작업방법의 습관화
  2. 공구ㆍ보호구 등의 관리 및 취급태도의 확립
  3. 작업 전후 점검 및 검사요령의 정확화 및 습관화
  4. 작업지시ㆍ전달 등의 언어ㆍ태도의 정확화 및 습관화
  5. 작업에 필요한 안전규정 숙지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에 필요한 안전규정 숙지는 태도교육의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지식교육에 해당합니다. 작업에 필요한 안전규정을 숙지함으로써 작업자는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학습지도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발성의 원리
  2. 개별화의 원리
  3. 사회화의 원리
  4. 도미노 이론의 원리
  5. 직관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도미노 이론의 원리는 학습지도원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사회심리학에서 유래한 이론으로, 한 사건이 다음 사건을 유발하는 연쇄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학습지도원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에서 다음 작업의 특별교육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1. 프레스의 특성과 위험성에 관한 사항
  2. 방호장치 종류와 취급에 관한 사항
  3. 안전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4. 국소배기장치 및 안전설비에 관한 사항
  5. 프레스 안전기준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국소배기장치 및 안전설비는 프레스 작업 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나 유해 가스를 배출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설비이다. 따라서 이는 프레스 작업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며, 특별교육 교육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OJT(on the job training)에 비하여 Off JT(off the job training)의 장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Off JT의 장점으로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교육 시간, 교육 장소의 유연성, 전문 강사의 지도 등이 있다. 이에 비해 OJT는 실무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이론적인 부분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Off JT를 통해 이론적인 부분을 보충하고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Off JT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교육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비해 OJT는 개인적인 교육이기 때문에 이점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서 사업주는 위험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을 작성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이때 실시규정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평가의 목적 및 방법
  2. 인정심사위원회의 구성ㆍ운영
  3. 평가담당자 및 책임자의 역할
  4. 평가시기 및 절차
  5. 주지방법 및 유의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정심사위원회의 구성ㆍ운영은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에 포함되어서는 안 되는 사항입니다. 이는 인정심사위원회가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결과를 검토하고 인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이 아닌, 인정심사위원회의 운영규정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주에게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1.5배인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발생한 상시근로자 900명인 사업장
  4.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3명 발생한 상시근로자 1,500명인 사업장
  5.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1.5배인 사업장"은 옳은 것입니다. 이는 산업재해율이 높은 사업장으로, 산업재해율이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를 상시근로자 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작업장의 도구, 부품, 조종장치 배치에서 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적용하는 원리가 아닌 것은?

  1. 일관성 원리
  2. 중요도 원리
  3. 독창성 원리
  4. 사용 순서의 원리
  5. 사용 빈도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장의 도구, 부품, 조종장치 배치에서 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적용하는 원리 중에서 독창성 원리는 해당 작업에 적합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의적인 해결책을 도출하여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원리들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일관성, 중요도, 사용 순서, 사용 빈도 등의 원리에 해당하지만, 독창성 원리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다른 원리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간-기계 시스템에서 표시장치(display)와 조종장치(control)의 설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자의 즉각적 행동이 필요한 경우에 청각적 표시장치가 시각적 표시장치보다 유리하다.
  2. 330 m 이상 정도의 장거리에 신호를 전달하고자 할 때는 청각 신호의 주파수를 1,000 Hz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3. 광삼현상으로 인해 음각(검은 바탕의 흰 글씨)의 글자 획폭(stroke width)은 양각(흰 바탕의 검은 글씨)보다 작은 값이 권장된다.
  4. 조종-반응 비(C/R 비)가 작을수록 조종장치와 표시장치의 민감도가 낮아져 미세조종에 유리하다.
  5. 공간적 양립성은 표시장치와 조종장치의 배치와 관련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종-반응 비(C/R 비)가 작을수록 조종장치와 표시장치의 민감도가 낮아져 미세조종에 유리하다."는 옳은 내용이다. 조종-반응 비(C/R 비)란 조종장치를 움직였을 때 표시장치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 작을수록 민감도가 낮아져 미세한 움직임에 대한 조종이 쉬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서 닐슨(J. Nielsen)이 정의한 사용성의 세부 속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합성(conformity)
  2. 학습 용이성(learnability)
  3. 기억 용이성(memorability)
  4. 주관적 만족도(subjective satisfaction)
  5. 오류의 빈도와 정도(error frequency and severity)
(정답률: 알수없음)
  • 적합성(conformity)은 사용자의 기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성의 세부 속성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사용성의 세부 속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서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험성평가는 최초평가 및 수시평가, 정기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최초평가 및 정기평가는 전체작업을 대상으로 한다.
  3. 중대산업사고 또는 산업재해(휴업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경우에 한정한다) 발생시에는 재해발생 작업을 대상으로 작업을 재개하기 전에 수시평가를 실시하여야한다.
  4. 사업장 건설물의 설치ㆍ이전ㆍ변경 또는 해체 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계획의 실행을 착수하기 전에 수시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5. 정기평가는 최초평가 후 2년에 1회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정기평가는 최초평가 후 2년에 1회 실시하여야 한다." (옳지 않음)

    해설: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서는 위험성평가를 최초평가, 수시평가, 정기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최초평가 및 정기평가는 전체작업을 대상으로 하며, 중대산업사고 또는 산업재해 발생시에는 재해발생 작업을 대상으로 작업을 재개하기 전에 수시평가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또한, 사업장 건설물의 설치ㆍ이전ㆍ변경 또는 해체 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계획의 실행을 착수하기 전에 수시평가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기평가는 최초평가 후 2년에 1회 실시하여야 한다는 내용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재해 조사 과정에서 수행해야 할 절차 내용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ㄴ → ㄱ → ㄷ → ㄹ
  3. ㄷ → ㄴ → ㄹ → ㄱ
  4. ㄷ → ㄹ → ㄴ → ㄱ
  5. ㄹ → ㄷ → ㄱ → 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ㄷ → ㄹ → ㄴ → ㄱ" 입니다.

    먼저, 재해 조사 과정에서는 사고 현장을 조사하고 증거를 수집해야 합니다. 따라서 "ㄷ → ㄹ" 순서가 옳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수집한 증거를 분석하고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ㄴ" 단계가 필요합니다.

    원인을 파악한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ㄱ" 단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ㄷ → ㄹ → ㄴ → ㄱ"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산업재해 연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산업재해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 산업재해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는 모두 감소하고 있습니다.
    ㄴ. 산업재해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는 모두 산업 분야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력이 1.2인 사람이 6 m 떨어진 곳에서 구분할 수 있는 벌어진 틈의 최소 크기(mm)는? (단,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하시오.)

  1. 1.0
  2. 1.3
  3. 1.5
  4. 1.7
  5. 1.9
(정답률: 알수없음)
  • 시력이 1.0인 사람은 6m 떨어진 곳에서 1mm 크기의 틈도 구분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시력이 1.2인 사람은 1mm보다 작은 크기의 틈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분할 수 있는 최소 크기는 1.3mm보다 작고, 1.5mm보다 큽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성 평가를 위한 인간공학적 도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ULA는 하지 자세를 평가에 반영한다.
  2. REBA는 동작의 반복성을 평가에 반영한다.
  3. QEC는 작업자의 주관적 평가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4. OWAS는 중량물 취급 정도를 평가에 반영한다.
  5. NLE는 중량물의 수평 이동거리를 평가에 반영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NLE는 중량물의 수평 이동거리를 평가에 반영한다."가 옳은 것이다. NLE는 "Normalized Lifting Index"의 약자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부담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이 도구는 중량물의 무게, 수직 이동거리, 수평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작업의 부담 정도를 평가한다. 따라서 중량물의 수평 이동거리를 평가에 반영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신뢰도 이론의 욕조곡선(bathtub curve)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단, t: 시간, h(t): 고장률, f(t): 확률밀도함수, F(t): 불신뢰도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시간 t가 증가함에 따라 고장률 h(t)가 높아지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초기에는 제조 과정에서의 결함 등으로 인한 초기 고장률이 높아지다가 이후에는 정기적인 유지보수 등으로 인해 고장률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신뢰도 F(t)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제품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고장 확률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곡선을 욕조곡선이라고 부르며, 제품의 수명 주기를 파악하고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5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의 재해율(천인율)은 1.6, 도수율은 0.8, 강도율은 1.2이었다. 이 사업장의 연간 재해발생건수와 근로손실일수로 옳은 것은? (단, 1일 8시간, 연간 250일 근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재해발생건수: 4건, 근로손실일수: 4,000일
  2. 재해발생건수: 4건, 근로손실일수: 6,000일
  3. 재해발생건수: 6건, 근로손실일수: 6,000일
  4. 재해발생건수: 6건, 근로손실일수: 8,000일
  5. 재해발생건수: 8건, 근로손실일수: 8,00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해율은 1,000명당 발생하는 재해건수를 의미하므로, 이 사업장에서는 2.5명당 1건의 재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500명이 근무하는 사업장에서는 연간 10건의 재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수율은 재해로 인해 근로자가 일을 할 수 없는 일수를 의미하므로, 이 사업장에서는 근로자 1명당 연간 2.5일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500명이 근무하는 사업장에서는 연간 6,250일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도율은 재해로 인해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영구적인 장애를 입는 비율을 의미하므로, 이 사업장에서는 근로자 1명당 연간 0.0032명의 사망 또는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2,500명이 근무하는 사업장에서는 연간 8명의 사망 또는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연간 재해발생건수는 10건, 근로손실일수는 6,00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라스무센(Rasmussen)의 SRK 모델을 근거로 리전(J. Reason)이 제안한 인적오류 분류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은 지식기반 오류(Knowledge-based error)에 해당하는데, 이는 개인의 지식 부족이나 오해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의미한다.
    - "ㄷ"는 규칙기반 오류(Rule-based error)에 해당하는데, 이는 개인이 정해놓은 규칙에 따라 행동하다가 규칙 자체가 잘못되었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규칙을 적용하는 등의 오류를 의미한다.
    - 따라서, 라스무센의 SRK 모델을 근거로 리전이 제안한 인적오류 분류에서 "ㄱ, ㄷ"는 각각 다른 유형의 오류를 나타내므로 모두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신뢰성 수명분포 중 지수분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지수분포는 시간에 따른 감소율이 일정한 경우에 사용되는 분포이다. 그래프를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보기에서 "ㄱ"은 지수분포의 특징 중 하나인 "시간에 따른 감소율이 일정하다"는 내용과 일치하므로 옳은 것이다.

    또한, 그래프의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고, 그래프의 면적이 1이므로 확률밀도함수의 적분값이 1이 된다. 이는 지수분포의 특징 중 하나인 "확률밀도함수의 적분값이 1이다"는 내용과 일치하므로 "ㄴ"도 옳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예방보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회보전
  2. 고장보전
  3. 수명기반보전
  4. 시간기반보전
  5. 상태기반보전
(정답률: 알수없음)
  • 고장보전은 이미 고장이 발생한 시스템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것으로, 예방보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전 방법들은 시스템의 예방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떤 사고의 발생건수는 연평균 1회로 포아송(Poisson)분포를 따른다. 이 사고가 3년 동안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얼마인가? (단,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시오.)

  1. 0.05
  2. 0.15
  3. 0.25
  4. 0.33
  5. 0.5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포아송 분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λ = 1 (연평균 발생건수)

    t = 3 (시간)

    P(X=0) = e^(-λt) * (λt)^0 / 0! = e^(-3)

    ≈ 0.0498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따라서 정답은 "0.05"이다.

    이유는 3년 동안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이다. 포아송 분포는 대부분의 경우 0 또는 1에 가까운 값을 가지기 때문에, 3년 동안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을 확률이 0.05보다 큰 값이 나오는 것은 매우 드물다. 따라서 "0.05"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위험성평가 기법은?

  1. CA
  2. FMEA
  3. MORT
  4. THERP
  5. PHA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PHA(위험성평가) 기법에서 사용되는 이벤트 트리(Event Tree)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H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위험상태 존재의 최소화
  2. 중복설계(redundancy)의 배제
  3. 안전장치의 채용
  4. 경보장치의 채택
  5. 인간공학적 설계의 적용
(정답률: 알수없음)
  • 중복설계는 시스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를 배제하는 것은 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중복설계의 배제"가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서로 독립인 기본사상 a, b, c로 구성된 아래의 결함수(Fault Tree)에서 정상사상 T에 관한 최소절단집합(minimal cut set)을 모두 구하면?

  1. {a}
  2. {a, b}
  3. {a, c}
  4. {a}, {b}
  5. {a}, {c}
(정답률: 알수없음)
  • 정상사상 T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a, b, c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시에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절단집합은 a와 c입니다. a가 발생하면 T가 발생하지 않으며, c가 발생하면 b가 발생하지 않아 T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a}, {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안전성평가 종류 중 기술개발의 종합평가(technology assessment)에서 단계별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 단계: 생산성 및 보전성
  2. 2 단계: 실현가능성
  3. 3 단계: 안전성 및 위험성
  4. 4 단계: 경제성
  5. 5 단계: 종합 평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 단계: 생산성 및 보전성"

    기술개발의 종합평가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1. 생산성 및 보전성
    2. 실현가능성
    3. 안전성 및 위험성
    4. 경제성
    5. 종합 평가

    1단계에서는 기술의 생산성과 보전성을 평가합니다. 이는 기술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원을 보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1 단계: 생산성 및 보전성"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는 안전성과 위험성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이는 3단계에서 평가합니다. 따라서 "1 단계: 생산성 및 보전성"이 옳지 않은 이유는 이 단계에서는 안전성과 위험성을 평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업진단ㆍ지도

51.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 Card)에서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관점이 아닌 것은?

  1. 재무 관점
  2. 고객 관점
  3. 내부 프로세스 관점
  4. 학습과 성장 관점
  5. 공정성 관점
(정답률: 알수없음)
  • BSC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관점으로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관점을 고려하지만, 공정성 관점은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관점이 아닙니다. 공정성 관점은 조직 내부의 공정성과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관점으로, 조직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SC에서는 공정성 관점을 추가적인 평가 지표로 활용할 수 있지만,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관점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노사관계에서 숍제도(shop system)를 기본적인 형태와 변형적인 형태로 구분할 때, 기본적인 형태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ㄷ, ㅂ
  4. ㄴ, ㄹ, ㅁ
  5. ㄴ, ㅁ, ㅂ
(정답률: 알수없음)
  • 숍제도의 기본적인 형태는 "고정급여 + 인센티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급여"와 "인센티브"가 모두 포함된 "ㄱ, ㄷ, ㄹ"이 기본적인 형태에 해당합니다. "ㄱ"은 고정급여만을 지급하는 형태인데, 이는 숍제도의 기본적인 형태에서 인센티브가 빠진 형태입니다. "ㄷ"는 인센티브만을 지급하는 형태인데, 이는 숍제도의 기본적인 형태에서 고정급여가 빠진 형태입니다. "ㄹ"은 고정급여와 인센티브를 모두 지급하지만, 인센티브의 비중이 높은 형태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ㄱ, ㄷ, ㄹ"이 숍제도의 기본적인 형태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홉스테드(G. Hofstede)가 국가 간 문화차이를 비교하는데 이용한 차원이 아닌 것은?

  1. 성과지향성(performance orientation)
  2.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3. 권력격차(power distance)
  4. 불확실성 회피성향(uncertainty avoidance)
  5. 남성적 성향 대 여성적 성향(masculinity vs feminity)
(정답률: 알수없음)
  • 성과지향성은 홉스테드가 국가 간 문화차이를 비교하는데 이용한 차원 중 하나가 아니다. 홉스테드는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권력격차, 불확실성 회피성향, 남성적 성향 대 여성적 성향 등 4가지 차원을 이용하여 국가 간 문화차이를 비교하였다. 성과지향성은 조직 문화나 경영 전략 등과 관련된 개념으로, 홉스테드의 문화차원 중 하나가 아니다. 성과지향성은 조직 내에서 성과를 중시하고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춘 문화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레윈(K. Lewin)의 조직변화의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점검(checking) - 비전(vision) 제시 - 교육(education) - 안정(stability)
  2. 구조적 변화 - 기술적 변화 - 생각의 변화
  3. 진단(diagnosis) - 전환(transformation) - 적응(adaptation) - 유지(maintenance)
  4. 해빙(unfreezing) - 변화(changing) - 재동결(refreezing)
  5. 필요성 인식 - 전략수립 - 실행 - 해결 - 정착
(정답률: 알수없음)
  • 레윈의 조직변화 과정은 "해빙(unfreezing) - 변화(changing) - 재동결(refreezing)"이다. 이는 먼저 조직 내부의 구조, 문화, 관행 등을 해체하고 변화를 준비하는 단계인 해빙(unfreezing) 단계를 거친 후,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을 도입하고 적용하는 변화(changing) 단계를 거친 후, 새로운 구조, 문화, 관행 등을 안정화하고 고정시키는 재동결(refreezing) 단계를 거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조직은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이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하우스(R. House)의 경로-목표 이론(path-goal theory)에서 제시되는 리더십 유형이 아닌 것은?

  1. 지시적 리더십(directive leadership)
  2. 지원적 리더십(supportive leadership)
  3.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ve leadership)
  4. 성취지향적 리더십(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5.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
(정답률: 알수없음)
  • 거래적 리더십은 보상과 벌칙을 통해 부하직원들의 동기부여를 유도하는 리더십 유형으로, 경로-목표 이론에서는 제시되지 않는 유형입니다. 경로-목표 이론에서는 리더가 부하직원들의 성과 달성을 지원하고,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며, 부하직원들의 역량을 고려하여 리더십을 행하는 지시적, 지원적, 참여적, 성취지향적 리더십이 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재고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고비용은 재고유지비용과 재고부족비용의 합이다.
  2. 일반적으로 재고는 많이 비축할수록 좋다.
  3. 경제적주문량(EOQ) 모형에서 재고유지비용은 주문량에 비례한다.
  4. 1회 주문량을 Q라고 할 때, 평균재고는 Q/3이다.
  5. 경제적주문량(EOQ) 모형에서 발주량에 따른 총 재고비용선은 역U자 모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제적주문량(EOQ) 모형에서 재고유지비용은 주문량에 비례한다는 이유는, 재고유지비용은 재고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재고량이 많을수록 재고유지비용이 높아지고, 재고량이 적을수록 재고유지비용이 낮아진다. 따라서 경제적인 주문량을 찾기 위해서는 재고유지비용과 발주비용의 합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재고유지비용이 주문량에 비례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품질경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품질비용은 실패비용과 예방비용의 합이다.
  2. R-관리도는 검사한 물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누어서 불량의 비율을 관리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3. ABC품질관리는 품질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만들어 내기 위해 통계적 방법에 의해 공정을 관리하는 기법이다.
  4. TQM은 고객의 입장에서 품질을 정의하고 조직 내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5. 6시그마운동은 최초로 미국의 애플이 혁신적인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개발한 기업경영전략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TQM은 고객의 입장에서 품질을 정의하고 조직 내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조직 전체가 품질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는 경영 철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JIT(Just In Time) 생산시스템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
  2. 공급자와의 원활한 협력
  3. 채찍효과 발생
  4. 다기능 작업자 필요
  5. 칸반시스템 활용
(정답률: 알수없음)
  • 채찍효과 발생은 JIT 생산시스템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채찍효과란 생산 계획의 불안정성, 재고 부족 등으로 인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과 불량이 누적되어 생산 일정이 지연되고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JIT 생산시스템에서는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 계획의 안정성을 높이고, 재고를 최소화하여 생산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노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년 중 여름에 아이스크림의 매출이 증가하고 겨울에는 스키 장비의 매출이 증가한다고 할 때, 이를 설명하는 변동은?

  1. 추세변동
  2. 공간변동
  3. 순환변동
  4. 계절변동
  5. 우연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이러한 변동은 계절에 따라서 패턴이 반복되는 것으로, 계절변동이라고 합니다. 여름에는 더운 날씨로 인해 아이스크림을 더 많이 구매하고, 겨울에는 눈이 내려 스키를 즐기기 위해 스키 장비를 더 많이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업무를 수행 중인 종업원들로부터 현재의 생산성 자료를 수집한 후 즉시 그들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검사 점수들과 생산성 자료들과의 상관을 구하는 타당도는?

  1. 내적 타당도(internal validity)
  2. 동시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3. 예측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4.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5. 안면 타당도(face validity)
(정답률: 알수없음)
  • 동시 타당도는 현재 시점에서 두 개의 변수(생산성 자료와 검사 점수) 간의 관계를 측정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업무를 수행 중인 종업원들로부터 현재의 생산성 자료를 수집한 후 즉시 그들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검사 점수들과 생산성 자료들과의 상관을 구하는 것이므로 동시 타당도가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직무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무분석가는 여러 직무 간의 관계에 관하여 정확한 정보를 주는 정보 제공자이다.
  2.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은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인적 속성들을 조사함으로써 직무를 파악하는 접근 방법이다.
  3.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에서 인적 속성은 지식, 기술, 능력, 기타 특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과업 중심 직무분석 방법의 대표적인 예는 직위분석질문지(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이다.
  5. 직무분석의 정보 수집 방법 중 설문조사는 효율적이며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업 중심 직무분석 방법의 대표적인 예는 직위분석질문지(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직위분석질문지는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 방법의 대표적인 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리전(J. Reason)의 불안전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반(violation)은 고의성 있는 위험한 행동이다.
  2. 실책(mistake)은 부적절한 의도(계획)에서 발생한다.
  3. 실수(slip)는 의도하지 않았고 어떤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이다.
  4. 착오(lapse)는 의도를 가지고 실행한 행동이다.
  5. 불안전행동 중에는 실제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고 당사자만 인식하는 것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착오(lapse)는 의도를 가지고 실행한 행동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착오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행동이다. 즉, 의도를 가지고 실행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실책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작업동기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동기 이론에서는 세 가지 요인인 자기결정성, 업무능력, 업무환경이 작업동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ㄱ. 자기결정성, 업무능력, 업무환경 모두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자기결정성만을 강조한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ㄴ. 자기결정성, 업무능력, 업무환경 모두 고려하여 작업동기를 설명한 것이므로 정답입니다.

    ㄷ. 업무능력과 업무환경은 고려하지 않고, 자기결정성과 업무능력만을 강조한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ㄹ. 자기결정성과 업무환경은 고려하지 않고, 업무능력과 업무환경만을 강조한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ㅁ. 업무능력과 업무환경은 고려하지 않고, 자기결정성과 업무환경만을 강조한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직업 스트레스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Effort-Reward Imbalance Model)은 직장에서 제공하는 보상이 종업원의 노력에 비례하지 않을 때 종업원이 많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주장한다.
  2.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에 따르면 작업장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상황은 종업원에 대한 업무 요구가 높고 동시에 종업원 자신이 가지는 업무통제력이 많을 때이다.
  3. 직무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은 업무량 이외에도 다양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4. 자원보존 모델(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은 자원의 실제적 손실 또는 손실의 위협이 종업원에게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5. 사람-환경 적합 모델(Person-Environment Fit Model)에 의하면 종업원은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도가 낮은 업무 환경을 스트레스원(stressor)으로 지각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에 따르면 작업장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상황은 종업원에 대한 업무 요구가 높은데, 종업원 자신이 가지는 업무통제력은 낮을 때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산업재해의 인적 요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작업 환경
  2. 불안전행동
  3. 인간 오류
  4. 사고 경향성
  5. 직무 스트레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 환경은 산업재해의 인적 요인이 아니라 기계, 장비, 화학물질 등의 물리적인 요인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인적 요인은 인간의 행동, 심리, 인지 등과 관련된 요인으로 작업 환경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간의 일반적인 정보처리 순서에서 행동실행 바로 전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자극
  2. 지각
  3. 주의
  4. 감각
  5.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은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고 행동을 실행하기 전에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전에 받은 자극과 지각을 기반으로 주의를 집중하고 감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한 후, 결정을 내리게 된다. 결정은 행동을 실행하기 전에 선택하는 과정으로,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명의 측정단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ㄱ. 조도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ㄴ. 광도는 물체가 방출하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물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ㄷ. 발광체의 밝기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발광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ㄱ,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아래의 그림에서 a에서 b까지의 선분 길이와 c에서 d까지의 선분 길이가 다르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같다.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현상
  2. 뮬러-라이어(Muller-Lyer) 착시현상
  3. 폰조(Ponzo) 착시현상
  4. 죌너(Zollner) 착시현상
  5. 티체너(Titchener) 착시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뮬러-라이어(Muller-Lyer) 착시현상은 두 개의 직선이 양 끝에서 화살표 모양으로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모양을 하면서 같은 길이의 선분이라도 더 길어 보이거나 더 짧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직선의 길이가 아닌, 직선의 방향과 각도에 따라 인식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해인자와 주요 건강 장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감압환경: 관절 통증
  2. 일산화탄소: 재생불량성 빈혈
  3. 망간: 파킨슨병 유사 증상
  4. 납: 조혈기능 장해
  5. 사염화탄소: 간독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일산화탄소는 호흡기로 흡입되어 혈액 내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질인 카복시헤모글로빈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 내의 산소 운반 능력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재생불량성 빈혈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와 재생불량성 빈혈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직업병 집단 발생 사례들이다. 가장 먼저 발생한 것부터 연도순으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ㅁ → ㄹ → ㄷ → ㄴ
  3. ㄹ → ㄷ → ㄴ → ㄱ → ㅁ
  4. ㅁ → ㄴ → ㄹ → ㄷ → ㄱ
  5. ㅁ → ㄹ → ㄷ → ㄴ → 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 ㄴ → ㄷ → ㄹ → ㅁ" 입니다.

    - "ㄱ → ㄴ" :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전기 및 전자산업에서 근무한 노동자들이 대상인 '납작종양'이 발생하였습니다. 이후 1980년대부터는 화학산업에서 근무한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백혈병'이 발생하였습니다.
    - "ㄴ → ㄷ" :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석유화학, 석유정제, 석유화학섬유 등에서 근무한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관저해성 폐질환'이 발생하였습니다.
    - "ㄷ → ㄹ" :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LCD,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에서 근무한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진폐증'이 발생하였습니다.
    - "ㄹ → ㅁ" : 200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IT 산업에서 근무한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카피노이즈'가 발생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국소배기장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장치로, 산화물질과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합니다. 이 중에서 "ㄱ, ㄷ"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 산화물질 제거: 국소배기장치는 산화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이는 산화물질이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ㄷ. 유해물질 제거: 국소배기장치는 유해물질인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이는 이러한 물질들이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ㄱ, ㄷ"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동식 시료채취기(passive sampl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섭의 원리로 채취한다.
  2. 장점은 간편성과 편리성이다.
  3. 작업장 내 최소한의 기류가 있어야 한다.
  4. 시료채취시간, 기류, 온도, 습도 등의 영향을 받는다.
  5. 매우 낮은 농도를 측정하려면 능동식에 비하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섭의 원리로 채취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시료채취기 내부에 있는 흡착제가 대기 중의 대상 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채취하는데, 이는 대기 중의 다른 물질과의 간섭을 통해 채취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간섭의 원리로 채취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STEL에 관한 설명이다. ( )안의 ㄱ, ㄴ, ㄷ을 모두 합한 값은?

  1. 15
  2. 30
  3. 65
  4. 90
  5. 105
(정답률: 알수없음)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단시간노출기준이란 15분간의 시간가중평균노출값으로서 노출 농도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을 초과하고 단시간노출기준 (STEL) 이하인 경우에는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어야 하고, 이러한 상태가 1일 4회 이하로 발생하여야 하며, 각 노출의 간격은 60분 이상이어야 한다.” 즉, 15+15+60 = 9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라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색, 냄새, 맛이 없는 방사성 기체이다.
  2. 밀도는 9.73 g/L로 공기보다 무겁다.
  3. 국제암연구기구(IARC)에서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폐암에 대하여 제한적 증거가 있는 group 2A로 분류하고 있다.
  4. 고용노동부에서는 작업장에서의 노출기준으로 600 Bq/m3를 제시하고 있다.
  5.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는 4 pCi/L를 규제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제암연구기구(IARC)에서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폐암에 대하여 제한적 증거가 있는 group 2A로 분류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국제암연구기구(IARC)에서는 라돈을 인체에게 발암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폐암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암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세균성 질환이 아닌 것은?

  1. 파상풍(tetanus)
  2. 탄저병(anthrax)
  3. 레지오넬라증(legionnaires’ disease)
  4. 결핵(tuberculosis)
  5. 광견병(rabies)
(정답률: 알수없음)
  • 광견병은 세균이 아닌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