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4-29)

항공전자정비기능사
(2001-04-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와이어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HF 통신기기
  2. 자동방향 탐지기
  3. 마아카 비이콘의 수신기
  4. VHF 통신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어 안테나는 주파수가 낮은 장비에서 사용되며, VHF 통신기기는 주파수가 높아 와이어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VHF 통신기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구리와 콘스탄탄의 접합부에 구리에서 콘스탄탄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열을 발생하고,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주울의 법칙
  2. 쿨롱의 법칙
  3. 제에벡 효과
  4. 펠티어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펠티어 효과"입니다.

    펠티어 효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이나 반도체를 이어 전류를 흘리면, 두 재료 사이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두 재료의 전기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구리와 콘스탄탄의 경우 구리가 전기적으로 더 좋은 재료이기 때문에 전류를 흘릴 때 콘스탄탄 쪽에서 열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류를 흘릴 때는 구리 쪽에서 열이 흡수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어진 진리표는 무슨 회로인가?

  1. AND회로
  2. OR회로
  3. NOT회로
  4. NAND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진리표에서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OR(OR게이트) 회로의 동작 방식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OR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UHF 송신기에서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1. 전단 증폭기
  2. 완충 증폭기
  3. 전력 증폭기
  4. 체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체배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UHF 송신기에서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얻기 위해서는 체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단 증폭기, 완충 증폭기, 전력 증폭기는 모두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지만, 주파수 변환 기능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역폭이 가장 넓은 증폭기는?

  1. 쵸크결합증폭기
  2. 저항결합증폭기
  3. 재생증폭기
  4. 스태거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태거증폭기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같은 위상(phase)을 가지기 때문에,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서로 상쇄되지 않고 합쳐져서 출력되어 대역폭이 가장 넓습니다. 이에 비해 쵸크결합증폭기와 저항결합증폭기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일부 주파수에서는 출력이 상쇄되어 대역폭이 좁습니다. 또한, 재생증폭기는 입력신호를 복원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주요 부분이 아닌 것은?

  1. 전자총
  2. 편향판
  3. 형광막
  4. 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오실로스코프의 음극선관에서 발진기는 주요 부품이 아닙니다. 발진기는 진동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음극선관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발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계기 눈금의 부정확, 외부 자장 등에 의하여 생기는 오차는?

  1. 우연 오차
  2. 계통적 오차
  3. 개인적 오차
  4. 파형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계기 눈금의 부정확, 외부 자장 등에 의한 오차는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발생하므로, 이러한 오차는 계통적 오차로 분류됩니다. 계통적 오차는 시스템적인 오차로서,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오차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계기 눈금의 부정확, 외부 자장 등에 의한 오차는 계통적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병렬 공진시에 최대가 되는 사항은?

  1. 임피던스
  2. 저항
  3. 전압
  4. 전류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공진시에는 전류가 최대가 되고, 이는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임피던스는 저항과 리액턴스(인덕턴스, 캐패시턴스)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렬 회로에서는 리액턴스가 크기 때문에 임피던스가 큽니다. 따라서 병렬 공진시에는 리액턴스가 최소가 되는 공진 주파수에서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고, 이에 따라 전류가 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도형 적산 전력계의 구동 토크 TD는?

  1. 저항에 비례한다.
  2. 전류에 비례한다.
  3. 전류 자승에 비례한다.
  4. 전압 자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형 적산 전력계는 전류에 의해 회전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동 토크 TD는 전류에 비례하게 됩니다. 이는 전류가 증가하면 회전력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저항에 비례하는 것은 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저항에 의한 전압 손실이 증가하여 회전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전류 자승이나 전압 자승에 비례하는 것은 유도형 적산 전력계의 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동 철편형 계기의 구동 토크는 전류 I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 (단, I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임.)

  1. I에 비례
  2. I2에 비례
  3. √I 에 비례
  4. 에 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가동 철편형 계기는 코일과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일에 전류 I가 흐르면, 자석과 코일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계기가 회전합니다. 이때 구동 토크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 I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는 자석과 코일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I2에 비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전용량 C1과 C2의 직렬회로에 E의 직류 전압을 가할 때, C1 양단의 전압은 얼마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C1과 C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각 용량의 비율에 따라 분배된다. 따라서 C1 양단의 전압은 E × (C1 / (C1 + C2)) 이다. 이를 계산하면 E × (2/3) 이므로,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항공전자장치 중 항공기 안전 운항과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

  1. VHF 무선 통신 장치
  2. 자동방향 탐지기(ADF)
  3. 항공 교통 관제(ATC)
  4. 비행 data 기록 장치(FDR)
(정답률: 알수없음)
  • 비행 data 기록 장치(FDR)는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로, 항공기 안전 운항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VHF 무선 통신 장치, 자동방향 탐지기(ADF), 항공 교통 관제(ATC)는 항공기 안전 운항과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참값이 1.01[V]인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1.1[V]였다고 한다. 이 때 오차율은?

  1. 0.89
  2. 0.089
  3. 0.0089
  4. 0.00089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율은 (측정값-참값)/참값 입니다. 따라서 (1.1-1.01)/1.01 = 0.089 이므로 정답은 "0.08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펄스회로에서 펄스가 0 에서 최대 크기로 상승될 때를 100%로 한다면 상승시간(Rise Time)은 몇 % 로 하는가?

  1. 10%에서 90%
  2. 1%에서 99%
  3. 20%에서 150%
  4. 30%에서 180%
(정답률: 알수없음)
  • 상승시간(Rise Time)은 펄스가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펄스가 전압이나 전류 등의 물리량에서 변화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펄스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에서 90%"이다. 다른 보기들은 상승시간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거나 범위가 너무 넓거나 좁아서 올바른 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정발진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발진주파수를 수 Hz에서 수 MHz까지 수정편을 바꾸지 않고 가변으로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2. 발진조건을 만족하는 범위가 매우 좁으므로 주파수 안정도가 매우 양호하다.
  3. 주파수 체배없이 마이크로파 이상의 발진용에 적합하다.
  4. 수정편의 두께가 얇을 수록 발진주파수가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발진기는 발진조건을 만족하는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주파수 안정도가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즉, 발진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 수정편을 바꾸지 않고도 매우 정확한 주파수를 발진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거리측정장비(D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파의 속도가 일정한 것을 이용하며 지상 무선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2. 지상에서 질문 펄스를 항공기에 보내어 시간을 측정함으로서 거리를 산출한다.
  3. 통상 초단파 전방향 무선표지기(V.O.R)국에 병설되어있는 주요한 항법 보조 시설이다.
  4. 송 ·수신용 안테나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타입(blade type)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측정장비(D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송 ·수신용 안테나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타입(blade type)이다."입니다. DME는 전파의 속도가 일정한 것을 이용하여 지상 무선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지상에서 질문 펄스를 항공기에 보내어 시간을 측정함으로서 거리를 산출합니다. DME는 VOR과 병설되어 있을 수 있지만, 별개의 장비입니다. DME 안테나는 항공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타입이 아닌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에 사용되는 단파통신장치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 ∼ 30㎒ 주파수 사용
  2. 전리층 반사파 이용
  3. 장거리 통신
  4. SSB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20 ∼ 30㎒ 주파수 사용"이 옳지 않은 것은, 항공기에 사용되는 단파통신장치는 일반적으로 118 ∼ 136MHz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20 ∼ 30㎒ 주파수는 중파 또는 단파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며, 항공기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추력제어 장치는 다음 중 언제 사용될 수 있는가?

  1. 이륙할 때부터 착륙할 때까지
  2. 이륙후 착륙할 때까지
  3. 순항 비행시
  4. 이륙할 때부터 순항 비행시 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추력제어 장치는 비행기가 이륙할 때부터 착륙할 때까지 사용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이륙할 때부터 착륙할 때까지 항상 일정한 추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자동추력제어 장치는 비행기의 속도와 고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추력을 계산하고 유지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드리프트 전류는 어느 경우에 생기는가?

  1. 반도체의 양단에 전압이 걸려 반도체 내부에 전계가 작용하고 이에 의하여 반송자가 가속을 받을 때
  2. 반송자의 농도에 기울기가 생겨 확산할 때
  3. 소수 반송자가 다수 반송자와 결합할 때
  4. 빛을 받아 전자가 방출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드리프트 전류는 반도체의 양단에 전압이 걸려 반도체 내부에 전계가 작용하고 이에 의하여 반송자가 가속을 받을 때 생긴다. 이는 전자나 양공이 전기장에 의해 힘을 받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이크로파대에서 광대역 증폭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은?

  1. 클라이스트론(klystron)
  2. 에이컨관(Acorn tube)
  3. 판극관(Disk seal tube)
  4. 진행파관(Traveling wave tube)
(정답률: 알수없음)
  • 진행파관은 전자를 진행파 형태로 가속시켜 광대역 증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자가 진행파 형태로 이동하면서 전자와 전자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진행파관은 광대역 증폭이 가능하며, 마이크로파대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 하고자 할 때 입력 신호 파형은 어느 것이 이상적인가?

  1. 구형파
  2. 정현파
  3. 삼각파
  4. 음성파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가 단일 주파수 성분으로 이루어진 신호가 이상적입니다. 이러한 신호를 구형파라고 합니다. 구형파는 정현파와 달리 고조파 성분이 존재하지 않아서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형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회로에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도통되는 상태는?

  1. VS>VA, VS<VB
  2. VS>VA, VS>VB
  3. VS<VA, VS>VB
  4. VS<VA, VS<VB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도통되는 상태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때,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전압을 VS, 입력단자와 GND 사이의 전압을 VA, 출력단자와 GND 사이의 전압을 VB라고 할 때, VS>VA, VS<VB인 이유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려면 입력단자와 GND 사이의 전압이 출력단자와 GND 사이의 전압보다 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VS>VA, VS<V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조종실 음성 기록장치(CVR)의 채널수는?

  1. 2
  2. 4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조종실 음성 기록장치(CVR)는 4개의 마이크로폰 채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널수는 4입니다. 각 채널은 조종사, 공항교통관제(ATC), 기체 내부 및 외부 소리를 기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은 레이더의 송신 펄스이다. 평균출력은 어느 것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B. 2000W

    송신 펄스의 평균출력은 펄스의 최대 출력과 최소 출력의 평균값이다. 이 그림에서 펄스의 최대 출력은 4000W이고 최소 출력은 0W이므로, 평균출력은 (4000+0)/2 = 2000W 이다. 따라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향탐지기(ADF)에서 사용되지 않는 안테나는?

  1. 루프안테나
  2. 센서안테나
  3. 접시형안테나
  4. 고니오미터
(정답률: 알수없음)
  • 방향탐지기(ADF)는 주로 비행기에서 사용되며, 비행기의 방향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는 주로 루프안테나와 센서안테나입니다. 접시형안테나는 주로 위성통신이나 TV 수신에 사용되며, 방향탐지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고니오미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이며, 안테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시형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덕턴스를 측정할 수 없는 브리지는?

  1. 맥스웰 브리지
  2. 헤비사이드 브리지
  3. 캠벨 브리지
  4. 셰링 브리지
(정답률: 알수없음)
  • 셰링 브리지는 인덕턴스를 측정할 수 없는 브리지입니다. 이는 셰링 브리지가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전압이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저항을 측정하는데, 인덕턴스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셰링 브리지는 저항 측정에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민간항공기 HF SYSTEM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M 방식
  2. 2 ∼ 30㎒
  3. F층에서 반사되는 전리층파
  4. SSB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M 방식"입니다.

    민간항공기 HF SYSTEM은 SSB(Single Side Band) 방식을 사용합니다.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은 음성 통화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지만, HF(High Frequency) 대역에서는 전파의 대역폭을 넓게 사용하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2 ∼ 30㎒는 HF 대역의 주파수 범위이며, F층에서 반사되는 전리층파는 지구 상공의 F층에서 반사되어 지구 주변을 둘러싸는 전파를 말합니다. 이러한 전파를 이용하여 민간항공기와 지상국 간의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9[V]의 전지를 사용하여 100[㎃]의 전류를 10분 동안 흘렸다면 전지에서 나온 전기량은 몇 [C]인가?

  1. 60[C]
  2. 120[C]
  3. 1200[C]
  4. 6000[C]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지에서 나온 전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기량 = 전류 × 시간

    여기서 전류는 100[㎃], 시간은 10분(= 600초)이므로,

    전기량 = 100[㎃] × 600[초] = 60,000[C]

    따라서 정답은 "60[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어떤 도선의 길이를 5배, 단면적을 3배로 하면 전기저항은 몇 배로 되는가?

  1. 3
  2. 5
  3. 5/3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저항은 도선의 길이와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길이를 5배로 하고 단면적을 3배로 하면 전기저항은 (1/5) × (1/3) = 1/15배가 된다. 따라서 원래의 전기저항에 (1/15)배가 되므로, 전기저항은 15배가 된다. 이를 간단하게 나타내면 15 = 5 × 3이므로, 전기저항은 길이와 단면적의 비율인 5/3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내부 잡음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자관의 플리커 잡음
  2. 코로나 방전 및 전력선의 유도 잡음
  3. 마이크로폰의 잡음
  4. 저항체에서 생기는 열교란 잡음
(정답률: 알수없음)
  • 코로나 방전 및 전력선의 유도 잡음은 내부 잡음의 종류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회로의 구성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가?

  1. 적분기
  2. 미분기
  3. 검파기
  4. 차동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적분기입니다. 적분기는 입력 신호의 시간적인 누적 효과를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C1과 R1을 통해 적분되어 출력 신호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적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상 레이다의 평판형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사 전력이 주로브(MAIN LOBE)로만 전달된다.
  2. 빔(BEAM)폭이 작아 분해능이 좋다.
  3. 주로 색상 레이다용으로 이용된다.
  4. 가,나,다항 모두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 레이다의 평판형 안테나는 발사 전력이 주로 브(MAIN LOBE)로만 전달되어 높은 감도와 분해능을 가지며, 빔(BEAM) 폭이 작아 분해능이 좋습니다. 또한, 주로 색상 레이다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가, 나, 다항 모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마아커비이콘(marker beacon)의 변조 주파수와 전등색깔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아우터마아커(outer marker) - 400[㎐], 백색
  2. 인너마아커(inner marker) - 3000[㎐], 적색
  3. 미들마아커(middle marker) - 1300[㎐], 호박색
  4. 아우터마아커(outer marker) - 3000[㎐], 청색
(정답률: 알수없음)
  • 마아커비이콘은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비행기의 위치를 알려주는 장치입니다. 마아커비이콘은 아우터마아커, 인너마아커, 미들마아커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주파수와 전등색깔이 다릅니다.

    미들마아커는 1300[㎐]의 주파수와 호박색의 전등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비행기가 착륙할 준비가 된 상태에서 미들마아커를 통과할 때 나타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미들마아커의 주파수와 전등색깔은 다른 마아커비이콘과 구분하기 쉽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변조도 40%의 AM파를 자승검파 했을 때 나타나는 신호파 출력의 왜율 K는?

  1. 10%
  2. 20%
  3. 30 %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자승검파를 하면 AM파의 변조도가 제곱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변조도가 40%인 AM파를 자승검파하면 출력의 왜율은 40%의 제곱인 16%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며, 이는 가장 가까운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동조종을 조작하는 키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평안정판
  2. 플랩
  3. 방향키
  4. 승강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랩은 자동조종을 조작하는 키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플랩은 비행기의 날개 뒷부분에 위치한 구조물로, 비행기의 상승 및 감속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자동조종을 조작하는 키면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항공기용 컴퓨터시스템에서 자체의 고장여부를 쉽게 파악하여 고장 내용을 결정하는 시설은?

  1. ATE
  2. MWS
  3. BITE
  4. ASTU
(정답률: 알수없음)
  • BITE는 Built-In Test Equipment의 약자로, 항공기용 컴퓨터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내부적인 테스트를 수행하여 고장 여부를 쉽게 파악하고, 고장 내용을 결정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BITE가 정답입니다. ATE는 Automatic Test Equipment의 약자로, 자동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장비를 의미합니다. MWS는 Missile Warning System의 약자로, 미사일 경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ASTU는 Advanced System Test Unit의 약자로, 고급 시스템 테스트 유닛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코더(decoder)회로란?

  1.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
  2.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
  3. 일시 기억회로
  4. 계수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디코더(decoder) 회로는 입력된 2진수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을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이 때 출력선은 10진수로 표현된 값과 일치하므로, 디코더 회로는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적산 전력계 내부에 있는 영구 자석은 어떤 작용을 얻기 위한 것인가?

  1. 회전력
  2. 제동력
  3. 와류 발생
  4. 회로 보호
(정답률: 알수없음)
  • 적산 전력계 내부에 있는 영구 자석은 제동력을 얻기 위한 것입니다. 제동력은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을 멈추거나 감속시키는 힘을 말합니다. 적산 전력계는 회전하는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부품들이 갑작스럽게 멈추면 시스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동력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전대 전류계를 높은 주파수에 사용시 일어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차폐 오차
  2. 공진 오차
  3. 배분 오차
  4. 표피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열전대 전류계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면 공진 오차나 배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폐 오차는 전류계의 측정 회로가 외부의 전자기장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오차로, 주파수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폐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임피던스 회로를 어드미턴스 회로로 대칭시킬 때, 저항에 대한 대칭 소자는?

  1. 콘덕턴스
  2. 서셉턴스
  3. 용량성 콘덕턴스
  4. 유도성 서셉턴스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 회로를 어드미턴스 회로로 대칭시키면, 저항에 대한 대칭 소자는 콘덕턴스입니다. 이는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가 서로 역수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임피던스의 역수는 어드미턴스이며, 어드미턴스의 역수는 임피던스입니다. 따라서 임피던스 회로에서 저항의 임피던스 값이 R이라면, 어드미턴스 회로에서는 저항의 어드미턴스 값이 1/R이 됩니다. 이때, 어드미턴스 회로에서의 저항에 대한 대칭 소자는 콘덕턴스이므로 정답은 "콘덕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활주로의 중심에서 좌우 편위를 나타내는 초단파 전파를 사용하는 설비는?

  1. 글라이드 슬로우프(glide slope)
  2. 로칼라이저(localizer)
  3. 마아카 비이컨(marker beacon)
  4. 초단파 전방향 표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로칼라이저는 활주로의 중심에서 좌우 편위를 나타내는 초단파 전파를 사용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로칼라이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기능을 가진 항법 설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택된 방식(MODE)으로 비행기가 조종되고 있을 때, 표시기에 나타나는 색깔은?

  1. 붉은색
  2. 녹색
  3. 흑색
  4. 호박색
(정답률: 알수없음)
  • 녹색은 안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선택된 방식으로 비행기가 안전하게 조종되고 있을 때 표시기에 나타납니다. 붉은색은 위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이며, 흑색과 호박색은 다른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00[Ω]의 저항에 1[A]의 전류가 1분간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은 몇 [㎉]가 되는가?

  1. 1.2[㎉]
  2. 1.44[㎉]
  3. 2.4[㎉]
  4. 2.88[㎉]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가 1[A]로 1분간 흐르면 전하량은 1[C]가 흐르게 됩니다. 이 때 발생하는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이므로, P = I^2R = 1^2 x 100 = 100[W]가 됩니다. 이 전력이 1분간 발생하면 발생하는 열량은 전력에 시간을 곱한 값이므로, Q = Pt = 100 x 1/60 = 1.67[㎉]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1.4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록장치와 경고장치 중 항공기 시스템에 대하여 조종사가 즉각 그 사태를 인식하지 않으면 안되는 이상이 발생이 되었을 경우는?

  1. 경고
  2. 주의
  3. 충고
  4. 조언
(정답률: 알수없음)
  • 기록장치와 경고장치는 항공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감지하고 조종사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이상이 발생했을 때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한 경우에는 경고장치가 작동하여 조종사에게 주의를 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N식 레인지 비이콘의 시간 교차키잉의 그림이다. 항공기가 1의 코스로 진입할때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1. N의 신호가 강하게 들린다.
  2. A의 신호가 강하게 들린다.
  3. 연속음이 들린다.
  4.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AN식 레인지 비이콘은 1.5초마다 N과 A의 신호를 번갈아 송출한다. 그림에서 항공기가 1의 코스로 진입하면, 먼저 N의 신호가 수신되고, 1.5초 후에 A의 신호가 수신된다. 이러한 신호 송출과 수신이 반복되면서, 연속적인 소리가 들리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연속음이 들린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PITCH, ROLL 및 플랫폼 기수방위(PLATFORM HEADING)에 관한 정보만을 얻고자 할 때, MSU(MODE SELECT UNIT) 스위치가 위치하는 곳은?

  1. OFF
  2. STBY
  3. ALIGN
  4. ATT REF
(정답률: 알수없음)
  • MSU 스위치는 ATT REF 위치에 있습니다. 이는 Attitude Reference(자세 참조)를 선택하는 것으로, Pitch, Roll 및 Platform Heading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옵션인 OFF, STBY, ALIGN은 자세 참조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자세 참조를 위한 정렬 과정을 거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Pitch, Roll 및 Platform Heading 정보를 얻고자 할 때는 ATT REF 위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DC 부하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DC 출력전압이 변화하는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류변동률
  2. 전류강하율
  3. 전압변동률
  4. 전압강하율
(정답률: 알수없음)
  • DC 부하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DC 출력전압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전압변동률입니다. 즉, 전압변동률은 입력 전류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변동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내 확성장치를 거치는 신호로서 틀린 것은?

  1. 승무원의 안내
  2. 금연 및 좌석띠 착용안내
  3. 녹음된 음악
  4. 승객의 노래
(정답률: 알수없음)
  • 승객의 노래는 기내 확성장치를 거치는 신호가 아닙니다. 이는 일부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이벤트나 행사 등에서만 가능한 것이며, 일반적인 항공편에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승객의 노래는 올바른 보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계기 중 상용 주파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전류력계형
  2. 열전쌍형
  3. 정류형
  4. 가동철편형
(정답률: 알수없음)
  • 가동철편형은 상용 주파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기입니다. 이는 가동철편형이 전류와 전압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동철편형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동철편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에서 상호 인덕턴스가 0.5[H]일 때, 코일 P의 전류를 0.5[sec] 사이에 10[A] 변화시키면, 코일 S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얼마인가?

  1. 2.5 [V]
  2. 5 [V]
  3. 7.5 [V]
  4. 10 [V]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M = k√(L1L2)

    여기서 k는 상수이며, L1과 L2는 각각 코일 P와 코일 S의 인덕턴스입니다.

    따라서, M = 0.5[H]이고, 코일 P의 전류 변화량은 ΔI = 10[A]이며, 시간 변화량은 Δt = 0.5[sec]입니다.

    코일 P의 전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M(ΔI/Δt)

    여기서 "-"는 Lenz의 법칙에 따라서 생기는 부호입니다.

    따라서, V = -0.5[H] x (10[A]/0.5[sec]) = -10[V]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코일 S에 유도되는 기전력이므로, 부호를 바꿔서 답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코일 S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10[V]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 [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진공속의 백금(Pt) 표면에서 전자 1개가 방출하는 데는 몇 J의 에너지가 필요한가? (단, 백금의 일함수는 6.27eV 이다.)

  1. 6.27
  2. 8.127×10-18
  3. 1.602×10-19
  4. 10.04×10-19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서는 백금의 일함수보다 높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일함수와 전자의 운동에너지의 합과 같습니다.

    일함수는 6.27eV 이므로,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6.27eV 입니다. 이를 제공하는 에너지는 전자의 운동에너지입니다.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1/2mv^2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m은 전자의 질량이고, v는 전자의 속도입니다.

    진공속에서 전자가 방출되므로, 전자는 정지 상태에서 출발합니다. 따라서,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전자가 가지는 전기적인 포텐셜 에너지와 같습니다.

    전기적인 포텐셜 에너지는 qV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q는 전자의 전하량이고, V는 전자가 위치한 전위차입니다.

    전자의 전하량은 -1.6x10^-19 C 이고, 전위차는 일함수에 해당하는 6.27eV를 전하량으로 나눈 값인 3.92x10^15 V 입니다.

    따라서,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1.6x10^-19 C) x (3.92x10^15 V) = -6.27x10^-4 J 입니다.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6.27eV 이므로,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에너지는 6.27eV - (-6.27x10^-4 J) = 10.04x10^-19 J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4x10^-1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초단파전방향 표지기(VOR)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비행코스
  2. heading 방향
  3. 무선국방향
  4. 고도
(정답률: 알수없음)
  • VOR은 비행코스, heading 방향, 무선국방향을 제공하지만 고도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VOR은 수평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데 비해 고도는 수직적인 위치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고도 정보는 대기압계나 고도계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RL 직렬회로에서 L = 5[mH], R = 10[Ω]일 때, 이 회로의 시정수는 몇 [sec]인가?

  1. 2 × 10-4
  2. 3 × 10-4
  3. 4 × 10-4
  4. 5 × 10-4
(정답률: 알수없음)
  • 시정수는 RL 회로의 시간 상수인 τ = L/R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τ = 5[mH]/10[Ω] = 0.5[ms] = 5 × 10-4[sec]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 × 1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자동조종장치중 조종면의 2차적 제어에 해당되는 것은?

  1. 플랩
  2. 도움날개
  3. 방향키
  4. 승강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랩은 비행기의 날개 뒷부분에 위치한 구조물로, 날개의 각도를 변경하여 비행 중 상승력과 추진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플랩은 조종면의 2차적 제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관성 항법 장비에 따른 경고(ALERT) 표시기는 선택한 WAY POINT에 도달하기 2분전에 들어 왔다가 30초전에 나간다. 이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는?

  1. CDU(CONTROL DISPLAY UNIT)
  2. FMA(FLIGHT MODE ANNUN)
  3. HSI(HORIZONTAL SITUATION IND)
  4. ADI(ATTITUDE DIRECTOR IND)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고(ALERT) 표시기는 관성 항법 장비의 FMS(Flight Management System)에서 제어되며, HSI(Horizontal Situation Indicator)에 표시됩니다. 이는 HSI가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HSI는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데, 이를 기반으로 FMS가 WAY POINT에 도달하기 2분전에 경고(ALERT) 표시기를 작동시키고, 30초전에는 표시기를 해제합니다. 따라서 HSI가 경고(ALERT)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름 25[㎝] 권수 10회의 원형코일에 10[A]의 전류를 흘릴 때, 코일 중심의 자장 세기[AT/m]는 얼마인가?

  1. 400[AT/m]
  2. 200[AT/m]
  3. 637[AT/m]
  4. 31.9[AT/m]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B = μ0 * n * I

    여기서 B는 자기장의 크기, μ0는 자유공간의 자기유도율(4π × 10^-7), n은 권수, I는 전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 = 4π × 10^-7 * 10 * 10 / (π * 0.125)
    = 400 [AT/m]

    따라서 정답은 "400[AT/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성 항법장치(INS)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자이로와 가속도계에서 얻어진 자료를 계산하여 각종 정보를 얻는다.
  2. 지상국에서 발사된 전파를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알려준다.
  3. 비행 계획을 INS 장치에 넣어서 지상항행 원조시설 없이 지정된 항로를 비행한다.
  4. INS 장치에서 얻는 정보는 지구의 대권코스(Greatcircle)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INS 장치에서 얻는 정보는 지구의 대권코스(Greatcircle)를 기준으로 계산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INS는 자이로와 가속도계에서 얻어진 자료를 계산하여 각종 정보를 얻거나, 비행 계획을 INS 장치에 넣어서 지상항행 원조시설 없이 지정된 항로를 비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NS는 지상국에서 발사된 전파를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알려주지는 않습니다. INS는 자체적으로 비행 정보를 계산하고 유지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저주파 특성이 가장 좋은 방식은?

  1. 임피던스 결합
  2. RC 결합
  3. 변압기 결합
  4. 직접 결합
(정답률: 알수없음)
  • 저주파 특성이 가장 좋은 방식은 "직접 결합"입니다. 이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가 일치하기 때문에 신호의 반사가 최소화되고, 전력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변압기나 RC 결합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정류회로에 관한 평활회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량성 평활회로에는 용량이 큰 콘덴서를 사용할수록 맥동률이 커진다.
  2. π형 여파기의 맥동전압은 인덕턴스가 크고, 콘덴서의 용량이 적을수록 적어진다.
  3. 다단 LC여파기에서 LC여파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맥동전압은 더욱 높아진다.
  4. 유도성 평활회로의 맥동률은 인덕턴스에 반비례하고 부하저항이 적을수록 적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성 평활회로에서 맥동률은 인덕턴스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인덕턴스가 커질수록 전류의 변화율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부하저항이 적을수록 맥동률이 적어지는 이유는 부하저항이 작을수록 전류의 변화율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하저항이 적을수록 맥동이 적어지고, 부하저항이 크면 맥동이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계수형 주파수계에서 게이트의 시간이 0.02초인데 그동안의 펄스 카운터가 900 이라면 피측정 주파수는?

  1. 450[㎐]
  2. 4500[㎐]
  3. 45[㎑]
  4. 450[㎑]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 펄스 카운터 / 게이트 시간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주파수 = 900 / 0.02 = 45000[㎐]
    하지만, 답안 보기에서는 주파수가 "45[㎑]"로 주어져 있으므로, 단위를 변환해야 한다.
    1[㎑] = 1000[㎐] 이므로,
    45[㎑] = 45,0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