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7-22)

항공전자정비기능사
(2001-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항공기 기내전화장치(interphone system)에 사용되는 전원(power source)의 전압은?

  1. 28볼트(volt)
  2. 12볼트(volt)
  3. 6 볼트(volt)
  4. 1.5볼트(volt)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 기내전화장치는 주로 28볼트의 직류 전원을 사용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 중 하나이며, 항공기 내부에서 다양한 장비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됩니다. 28볼트는 충분히 높은 전압이며, 장거리 통화나 높은 음량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기내전화장치에서는 28볼트의 전원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항공기에 사용되는 단파 통신장치(HF)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 29.999[㎒]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 전리층 반사에 의하여 원거리까지 교신할 수 있다.
  3. 초단파 통신에 비하여 안정된 통신 방법이며 주로 공항 주변에서 사용한다.
  4. 진폭 변조를 하며 대부분 단측파대(SSB)만의 전파만을 발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HF 통신장치는 고주파 대역이며, 전리층 반사에 의해 원거리까지 통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초단파 통신에 비하여 안정된 통신 방법이며 주로 공항 주변에서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록 집적장치(AIDS)에 기록된 data의 이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운항승무원의 운항감시
  2. 각종 항공장치의 조기고장 발견
  3. 항공기 성능분석
  4. 운항 및 정비면의 효율적 운용도모
(정답률: 알수없음)
  • 비행기록 집적장치(AIDS)는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로, 운항승무원의 운항감시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이 장치가 운항승무원의 업무를 대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항승무원의 운항감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V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종 비행시간 30분 동안의 내용이 녹음된다.
  2. 조종실 화재 감시 장치이다.
  3. Endless 테이프이다.
  4. 승무원과 관제소등 기타 기내통화가 모두 녹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VR은 조종실 화재 감시 장치가 아니라 조종실 음성 녹음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지탈 비행자료 기록장치의 자기테이프(DFDR)는 몇 시간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가?

  1. 25시간
  2. 15시간
  3. 5시간
  4. 1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탈 비행자료 기록장치의 자기테이프(DFDR)는 25시간 자료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비행 시간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5시간 이상의 비행을 할 경우에는 자주 교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 data 기록장치(FDR)는 어떤 장치인가?

  1. 운항 승무원의 통화내용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2. 사고시 비행상태를 규정하는데 필요한 data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3. 운항에 필요한 data를 미리 기록해 두는 장치이다.
  4. 이 장치에 기록된 data에 따라 자동 비행되는 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행 data 기록장치(FDR)는 사고시 비행상태를 규정하는데 필요한 data를 기록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비행기의 속도, 고도, 방향, 엔진 상태 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사고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운항 승무원의 통화내용을 기록하는 장치가 아니며, 운항에 필요한 data를 미리 기록해 두는 장치나 이 장치에 기록된 data에 따라 자동 비행되는 장치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관성항법장치(INS)로서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현재의 비행위치
  2. 도착공항 까지의 거리
  3. 비행코스에 대한 벗어난 정도
  4. 방위에 따라 위상이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에 따라 위상이 변화하는 정보는 INS가 측정하는 가속도와 각속도만으로는 계산할 수 없는 정보입니다. 이는 지구 자전과 관련이 있으며, INS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를 사용하지만, 이 보정값이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방위에 따라 위상이 변화하는 정보는 INS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교통관제(ATC) 중 계기 방식에 의해 비행하는 항공기 및 특별관제공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한 관제는?

  1. 항로관제(Air route traffic control)
  2. 진입관제(Approach control)
  3. 착륙유도관제(Final approach control)
  4. 비행장관제(Aerodrome control)
(정답률: 알수없음)
  • 항로관제는 항공기가 고도 5,500피트 이상에서 비행할 때 적용되는 관제 방식으로, 항로상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들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공중교통망(ATM)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로를 관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계기 방식에 의해 비행하는 항공기 및 특별관제공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한 관제는 항로관제가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레이다의 목표물 탐지에 대한 기본 요건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다 안테나와 목표물 간에 차단물체가 없어야 한다.
  2. 목표물은 레이다의 최대 탐지거리 이내에 있어야 한다.
  3. 목표물은 레이다의 최소 탐지거리 밖에 있어야 한다.
  4. 특정의 사물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물체 보다 특정사물의 반사 에너지가 약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표물은 레이다의 최소 탐지거리 밖에 있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특정의 사물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물체 보다 특정사물의 반사 에너지가 약해야 합니다. 이는 레이다가 발사한 전파가 주변 물체와 상호작용하여 반사되는 에너지를 감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표물이 주변 물체와 유사한 반사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면, 레이다는 목표물을 탐지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목표물과 주변 물체와의 반사 에너지 차이가 커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목표물과 주변 물체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목표물은 레이다의 최대 탐지거리 이내에 있어야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거리측정장치(DME : Distance Measuring Equipment)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ME 지상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2. 수신된 전파의 도래시간을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낸다.
  3. 사용 주파수는 960㎒ ∼ 1,215㎒이다.
  4. 항공기에서 발사된 질문 펄스와 지상국 응답 펄스간의 도래시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거리측정장치(DME : Distance Measuring Equipment)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음의 보기에서 정답이 "수신된 전파의 도래시간을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낸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세요."입니다.

    수신된 전파의 도래시간을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은 레이다(Radar)의 기술입니다. DME는 항공기와 지상국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로, 항공기에서 발사된 질문 펄스와 지상국 응답 펄스간의 도래시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외측 마아카 비이콘(outer marker beacon)의 변조신호 주파수는 몇[Hz] 인가?

  1. 3,000
  2. 1,300
  3. 40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외측 마아카 비이콘의 변조신호 주파수는 400Hz입니다. 이는 ILS (Instrument Landing System) 접근 시 비행기가 정확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됩니다. 이 주파수는 다른 주파수와 구별하기 쉽고, 인간의 귀에도 잘 들리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민간항공기의 VHF 통신 SYSTEM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테나가 송.수신 겸용이다.
  2. 가시거리 통신 수단이다.
  3. HF 통신에 비해 명료도가 좋다.
  4. 주파수는 3 ∼ 30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는 3 ∼ 300㎒이 아니라 118 ∼ 136.9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ELCAL SYSTEM은 어느 무선국을 호출하는 SYSTEM인가?

  1. 항공기 상호간 호출
  2. 지상에서 항공기를 호출
  3. 항공기에서 지상을 호출
  4. HF와 VHF 통신 SYSTEM과 관계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SELCAL SYSTEM은 지상에서 항공기를 호출하는 SYSTEM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행 중에 HF와 VHF 통신 SYSTEM을 통해 지상과 통신할 때, 지상국에서 항공기를 호출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항공기 상호간 호출이 아닌 이유는 SELCAL SYSTEM은 항공기의 특정 식별자를 사용하여 호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동 방향 탐지 수신기의 변조 방식과 안테나 구성은?

  1. 진폭변조,ADCOCK & LOOP 안테나
  2. 진폭변조,SENSE & LOOP 안테나
  3. 상측파대,SENSE 안테나
  4. 상측파대,LOOP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 방향 탐지 수신기는 주파수 변조 방식이 아닌 진폭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안테나 구성은 SENSE 안테나와 LOOP 안테나를 사용합니다. ADCOCK 안테나는 방향성이 높지만 크기가 크고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상측파대는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안테나 구성도 SENSE 안테나나 LOOP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OMPASS SYSTEM 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ADI
  2. FLUX VALVE
  3. COMPASS CONTROLLER
  4. PLATFORM HEADING
(정답률: 알수없음)
  • ADI는 Attitude Direction Indicator(자세 및 방향 지시기)의 약자로, COMPASS SYSTEM의 구성품 중 하나가 아니라 비행기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D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마아카 비이콘 SYSTEM은 70㎒에 여러 변조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해당하지 않는 주파수는?

  1. 400㎐
  2. 1,000㎐
  3. 1,300㎐
  4. 3,000㎐
(정답률: 알수없음)
  • 마아카 비이콘 SYSTEM은 70㎒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1,000㎐은 해당하지 않는 주파수이다. 1,000㎐은 70㎒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마아카 비이콘 SYSTEM에서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75MHz에 1300Hz 신호를 변조 신호로 쓰며, 호박색 등이 계기판에 들어 오도록 한 마아카 비이콘장치는 진입방향의 활주로를 기준으로 어느 곳을 통과할 때인가?

  1. 뒷방향
  2. 내측
  3. 중앙
  4. 외측
(정답률: 알수없음)
  • 마아카 비이콘장치는 75MHz에 1300Hz 신호를 변조 신호로 사용하므로, 이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기는 이 신호의 주파수와 주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비이콘장치에서 방출되는 신호는 방사형으로 전파되며, 이 전파는 비이콘장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까지만 유효합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비이콘장치를 통과할 때, 비이콘장치와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신호의 세기와 주기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비행기는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비이콘장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까지만 유효하므로, 비행기가 비이콘장치를 통과할 때 가장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점은 비이콘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위치한 중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행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쉽게 컴퓨터들의 자체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회로를 가진 시험장비는?

  1. BUILT – IN
  2. AUTO
  3. MASTER
  4. CENTRAL
(정답률: 알수없음)
  • BUILT-IN은 "내장된"이라는 뜻으로, 비행기에 이미 내장되어 있는 회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시험장비는 비행기에 이미 내장된 회로를 사용하여 컴퓨터들의 자체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FLARE 명령은 전파고도 약 몇 피트에서 이루어지는가?

  1. 5
  2. 30
  3. 50
  4. 150
(정답률: 알수없음)
  • FLARE 명령은 전파고도 약 50 피트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FLARE 명령이 지상에서 발신되는 VHF 라디오 파장을 이용하여 비행기와 통신하기 때문이다. VHF 라디오 파장은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약 50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만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FLARE 명령도 이와 같은 고도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YAW DAMPER 계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UTCH ROLL 억제
  2. 회전 선회시 조력
  3. 엔진 고장 보상
  4. 비행기수 상승
(정답률: 알수없음)
  • YAW DAMPER는 비행기의 좌우로 흔들리는 움직임인 DUTCH ROLL을 억제하고, 회전 중에 발생하는 좌우로의 조력을 보상하여 비행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YAW DAMPER 계통의 기능으로는 비행기수 상승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PITCH CHANNEL과 자동 추력 제어 계통에는 각기 SPEED MODE가 있다. 우선권을 갖는 것은?

  1. 먼저 선택한 신호
  2. 나중 선택한 신호
  3. PITCH CHANNEL
  4. 자동 추력 제어 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나중 선택한 신호가 우선권을 갖는다. 이는 SPEED MODE가 자동 추력 제어 계통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이다. PITCH CHANNEL은 비행기의 방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며, 자동 추력 제어 신호는 비행기의 추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SPEED MODE는 자동 추력 제어 계통에 의해 제어되므로, 나중에 선택된 신호가 우선권을 갖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아커 비이콘 주파수 대역의 전, 후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은?

  1. VHF 항법 및 통신
  2. HF 통신
  3. TV
  4. FM
(정답률: 알수없음)
  • 마아커 비이콘은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장치로, 전파를 발신하여 비행기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합니다. 이 때, 마아커 비이콘은 VHF 대역을 사용합니다. TV는 VHF 대역을 이용하는 방송 수신 장치이므로, 마아커 비이콘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V를 이용하여 마아커 비이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동 조종 장치에서 도움날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속일 때는 바깥쪽만 사용한다.
  2. 고속일 때는 바깥쪽만 사용한다.
  3. 저속일 때는 바깥쪽, 안쪽 동시에 사용한다.
  4. 저속, 고속일 때 바깥쪽이나 안쪽 중 임의로 1개만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움날개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저속일 때는 바깥쪽과 안쪽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다. 이는 저속일 때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바깥쪽 도움날개가 상승력을 높여주고, 안쪽 도움날개가 비행기의 기울기를 제어하여 안정성을 유지해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동 조종 장치에서 요 댐퍼는 무슨 움직임을 포착하는가?

  1. 키놀이
  2. 빗놀이
  3. 옆놀이
  4. 8자놀이
(정답률: 알수없음)
  • 요 댐퍼는 옆으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포착합니다. 이를 옆놀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안테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가 낮을수록 안테나는 작게된다.
  2. 전자 나팔의 단면적을 크게 할수록 지향성은 높다.
  3. 슬롯안테나에서 슬롯의 길이가 λ/2가 되지 않을 때 복사 능률이 좋다.
  4. 전자나팔은 반사기에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는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 전자 나팔 안테나는 방사패턴이 좁은 지향성 안테나입니다. 전자 나팔의 단면적을 크게 할수록, 즉 안테나의 크기가 커질수록 방사패턴이 좁아지므로 지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전자 나팔의 단면적을 크게 할수록 지향성은 높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상적인 정전류 전원의 단자전압 V와 출력전류 I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정전류 전원은 출력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원이므로, 출력전류 I는 단자전압 V와 무관하게 일정합니다. 따라서 그래프는 수평선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배율기의 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넓힐때 사용한다.
  2.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넓힐때 사용한다.
  3. 저항계의 측정범위를 넓힐때 사용한다.
  4. 용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힐때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율기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때 입력 신호의 크기가 너무 크면 출력 신호가 측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측정 범위를 넓히기 위해 배율기의 저항을 조절하여 입력 신호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계중의 한점에 1[㏝]의 정자극(N극)을 놓았을 때, 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그 점에 대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자계의 세기
  2. 자위
  3. 자속밀도
  4. 자위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작용하는 힘은 로렌츠 힘이며, 이는 자계와 자기장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자극과 자계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때, 힘의 크기는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며, 방향은 오른손 법칙을 이용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계의 세기"입니다. 자계의 세기가 강할수록 힘의 크기도 커지게 되며, 자계의 방향에 따라 힘의 방향도 달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름에 비하여 매우 긴 솔레노이드가 있다. 권회수는 1[m]마다 50회 감겨 있고 1[A]의 일정전류가 흐른다면 솔레노이드 내부자계의 세기는?

  1. 5000/2π[AT/m]
  2. 5000[AT/m]
  3. 50[AT/m]
  4. 50/2π[AT/m]
(정답률: 알수없음)
  • 솔레노이드 내부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 = μ₀nI

    여기서 B는 자기장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 n은 권의 개수 밀도, I는 전류입니다.

    문제에서 권회수가 1[m]마다 50회 감겨 있으므로, 권의 개수 밀도 n은 다음과 같습니다.

    n = 50회/m

    또한, 전류 I는 1[A]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대입하여 자기장의 세기 B를 구합니다.

    B = μ₀nI = 4π×10⁻⁷ × 50회/m × 1[A] = 2π×10⁻⁵ [T]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솔레노이드 내부자계의 세기이므로, 이를 AT/m 단위로 변환합니다.

    B = 2π×10⁻⁵ [T] = 2π×10⁻⁵ [Wb/m²] = 2π×10⁻⁵ [V·s/m²] = 2π×10⁻⁵ [A·s/m] = 50/2π [AT/m]

    따라서 정답은 "50/2π[AT/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7[C]의 전기량이 두점 사이를 이동하여 35[J]의 일을 하였다면, 이 두점 사이의 전위차는 얼마인가?

  1. 2[V]
  2. 3[V]
  3. 6[V]
  4. 5[V]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량과 일의 관계는 일 = 전기량 × 전위차 이므로, 전위차 = 일 ÷ 전기량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위차는 35[J] ÷ 7[C] = 5[V]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서 C1 = 4[㎌], C2 = 6[㎌], C3 = 3.6[㎌]이고 AB간의 합성 정전용량 C = 10[㎌]일때 Cx의 정전용량[㎌]은?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AB간의 합성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1/C = 1/C1 + 1/C2 + 1/C3

    1/C = 1/4 + 1/6 + 1/3.6

    1/C = 0.25 + 0.1667 + 0.2778

    1/C = 0.6945

    C = 1/0.6945

    C = 1.44 [㎌]

    따라서, C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x = C - C3

    Cx = 10 - 3.6

    Cx = 6.4 [㎌]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4"로 주어져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요구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x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면 6.4는 6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C]에서 나오는 전기력선 수는 몇개인가?

  1. 1개
  2. 10개
  3. εo
(정답률: 알수없음)
  • " 개"입니다. 전기력선은 전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전기장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곳에 그려집니다. 그림에서는 전기장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8개의 영역이 있으므로 전기력선 수는 8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평형 3상 회로의 한 상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P라면 3상회로 전체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1. P
  2. 3√P
  3. 2P
  4. 3P
(정답률: 알수없음)
  • 평형 3상 회로에서 한 상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전체 전력의 1/3이므로, 전체 전력은 3P가 됩니다. 즉, 세 개의 상에서 각각 P의 전력이 소비되므로 전체 전력은 3P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R-L-C 직렬회로에서 전압전류가 진동상태로 되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R-L-C 직렬회로에서 전압전류가 진동상태로 되는 조건은 입니다. 이유는 R-L-C 직렬회로에서는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류와 전압이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게 됩니다. 이 때,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0이 되는 순간이 진동상태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캐패시턴스의 용량성분과 인덕턴스의 인덕턴스성분이 서로 상쇄되어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0이 되는 주파수가 존재해야 합니다. 이 주파수를 공진주파수라고 하며, 이 때 진동상태가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200[V]를 가하여 5[A]가 흐르는 직류전동기를 5시간 사용할 때, 전력량[KWh]은 얼마인가?

  1. 0.5
  2. 5
  3. 50
  4. 50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량은 전압(V) x 전류(A) x 사용시간(h)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00[V] x 5[A] x 5[h] = 5000[Wh] = 5[KWh]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UJT의 전극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이미터 전극 2, 베이스 전극 1
  2. 이미터 전극 1, 베이스 전극 1
  3. 이미터 전극 1, 베이스 전극 2
  4. 이미터 전극 2, 베이스 전극 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미터 전극 1, 베이스 전극 2"입니다.

    UJT(Unijunction Transistor)는 3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베이스 전극은 P형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두 전극은 N형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UJT의 동작 원리는 베이스 전극에 어떤 전압을 인가하면, 이전에 쌓인 전하가 방전되면서 나머지 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 때, 베이스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전류의 크기와 특성이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UJT의 전극 중에서 베이스 전극은 동작 원리상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두 전극 중에서는 이미터 전극이 베이스 전극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전에 쌓인 전하가 방전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옳은 전극의 표기는 "이미터 전극 1, 베이스 전극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애사끼 다이오드의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애사끼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로서 양방향 전류 흐름을 막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소자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부하 연결 때 100V 이고, 무부하 때 110V로 증가 하였다면,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

  1. 9
  2. 10
  3. 11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변동률은 ((무부하 전압-부하 전압)/무부하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10-100)/110) x 100 = 9.09%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9, 10, 11, 12 중에서 선택하라고 하였으며,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은 정전압회로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ZD는 기준전압을 얻기 위한 제너다이오드이다.
  2. 부하전류가 증가하여 Vo가 저하될 때에는 TR의 BE간 순방향 전압이 낮아진다.
  3. 직렬제어형 정전압회로이다.
  4. TR은 제어석이고, R은 ZD와 함께 제어석의 베이스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압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부하전류가 증가하여 출력전압이 저하될 때에는 TR의 BE간 순방향 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TR의 베이스 전압이 감소하면서 TR의 전류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출력전압도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하전류가 증가할 때에는 TR의 BE간 순방향 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파수변별기의 용도로 옳은 것은?

  1. 잡음 방지
  2. 주파수 변화를 진폭 변화로 변환
  3. 반송파 주파수의 제거
  4. 주파수 변조 방송채널 구분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변별기는 주파수 변화를 진폭 변화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주파수 변조 방송채널 구분에 사용됩니다. 주파수 변조 방송채널은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변화를 진폭 변화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변별기는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에 나타나는 파형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RC 회로로, 입력 신호가 사다리꼴 파형이므로 출력 신호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지수함수 형태의 파형이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가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단, Vi는 직사각형파이다.)

  1. 클리핑회로
  2. 클램핑회로
  3. 콘덴서 입력형 필터회로
  4. 반파정류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클램핑 회로이다. 클램핑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양쪽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양 극성과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최소값이 다이오드의 정방향 절단 전압보다 작아지면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 신호가 고정된 수준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클램핑 회로는 DC 전압을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에서 출력 X에 맞는 논리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X가 1이 되기 위해서는 A와 B가 모두 1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C가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A∙B∙(C')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회로에서 Ro=10kΩ, Ri=2kΩ, Vi=1.5V일 때 출력전압 Vo는 몇 V 인가?

  1. 8
  2. 9
  3. 10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에 연산증폭기의 전압증폭비를 곱한 값이다. 이 연산증폭기의 전압증폭비는 Ro/Ri = 10kΩ/2kΩ = 5이므로, 출력전압 Vo는 입력전압 Vi에 5를 곱한 값인 7.5V가 된다. 그러나 이 연산증폭기는 양수 전원전압만을 공급받으므로, 출력전압은 양수 전원전압과 가까운 값인 9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스태거 증폭회로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각 증폭단의 동조주파수를 약간씩 다르게 종속접속하여 전체 특성을 갖는다.
  2. 각 증폭단의 동조주파수 및 회로의 손실을 조금씩 달리하여 종속접속한다.
  3. 제작 및 조정이 어렵다.
  4. 이 회로는 중간주파 증폭회로에 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작 및 조정이 어렵다."는 스태거 증폭회로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각 증폭단의 동조주파수를 약간씩 다르게 종속접속하여 전체 특성을 갖는다는 특징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종속접속은 회로의 제작과 조정을 어렵게 만들어서, 정확한 동조주파수와 손실 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태거 증폭회로는 제작과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적분기
  2. 감산기
  3. 미분기
  4. 부호변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부호변환기입니다.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적분기와 미분기를 거쳐 감산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호변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이상형 CR발진기의 설명이 옳은 것은?

  1. 발진주파수는 이다.
  2. 고주파 발진용에 주로 사용된다.
  3. 베이스측과 컬렉터측의 위상차는 90도에서 발진한다.
  4. 안정도가 높으므로 증폭도는 29미만에서도 충분히 발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고주파 발진용에 주로 사용된다."입니다. 이유는 이상형 CR발진기는 고주파 발진용으로 사용되며, 이 때 발진주파수는 RC회로의 시간상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는 이 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이상형 CR발진기의 특징이지만, 발진주파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가산기(Half Adder)의 논리회로의 구성은?

  1. Exclusive OR회로 1개, AND회로 1개
  2. Exclusive OR회로 1개, OR회로 1개
  3. OR회로 1개, AND회로 2개
  4. OR회로 2개, AND회로 2개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입니다. 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입력에 대한 합과 자리올림을 구해야 합니다.

    먼저, 합을 구하기 위해서는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이 되는 Exclusive OR(배타적 논리합) 회로가 필요합니다. 이는 두 입력이 다를 때만 1이 되는 XOR 게이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자리올림을 구하기 위해서는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이 되는 AND(논리곱) 회로가 필요합니다. 이는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이 되는 AND 게이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가산기의 논리회로 구성은 "Exclusive OR회로 1개, AND회로 1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오실로스코프에 의한 교류 측정시 피측정 전압의 소인폭 조절과 관계있는 회로 부분은?

  1. 수직 증폭회로
  2. 트리거 발생회로
  3. 수평측 증폭회로
  4. 초퍼 스위칭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오실로스코프에서 수평축은 시간을, 수직축은 전압을 나타내는데, 이 때 수평축의 크기를 조절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기를 적절하게 맞추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평측 증폭회로에서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수평축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피측정 전압의 소인폭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므로 정답은 "수평측 증폭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음극선관(C.R.T)에서 휘도 조정은 전기적으로 무엇을 변화 시키는가?

  1. 컨트롤 그리드 전압
  2. 애노드 전압
  3. 수직 편향판의 전압
  4. 수평 편향판의 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음극선관에서 휘도 조정은 전자빔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전자빔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컨트롤 그리드입니다. 컨트롤 그리드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자빔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컨트롤 그리드 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동 코일형 전류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가 대체로 50[㎃] 이하로 작을 때는 가동 코일에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전류를 측정 하고자 할 때에는 계기에 무엇을 접속하여 측정하는 것이 옳은가?

  1. 분류기
  2. 배율기
  3. 검류기
  4. 정류기
(정답률: 알수없음)
  • 가동 코일형 전류계는 작은 전류를 측정할 때는 가동 코일에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50[㎃] 이상의 큰 전류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계기에 접속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분류기"입니다. 분류기는 큰 전류를 작은 전류로 분류하여 가동 코일형 전류계에서 측정 가능한 작은 전류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분류기는 가동 코일형 전류계에서 큰 전류를 측정할 때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그림에서 전류계 A2의 내부저항 값은? (단, A1= 30[㎃], A2= 20[㎃], R = 4[Ω]임)

  1. 2[Ω]
  2. 4[Ω]
  3. 6[Ω]
  4. 8[Ω]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계 A1과 A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의 합은 각 전류의 합과 같다. 따라서, A1과 A2의 전류의 합은 30[㎃] + 20[㎃] = 50[㎃]이다. 전류계 A2의 내부저항을 R2라고 하면, 전압의 합은 각 전압의 합과 같다는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A1 × R + A2 × R2 = 전압

    30[㎃] × 4[Ω] + 20[㎃] × R2 = 전압

    전류계 A2의 전류는 20[㎃]이므로, 전압은 다음과 같다.

    전압 = 20[㎃] × R2

    따라서, 위의 두 식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30[㎃] × 4[Ω] + 20[㎃] × R2 = 20[㎃] × R2
    120[Ω㎃] + 20[Ω㎃] × R2 = 80[Ω㎃] × R2

    100[Ω㎃] = 60[Ω㎃] × R2

    R2 = 100[Ω㎃] ÷ 60[Ω㎃] = 5/3[Ω] ≈ 1.67[Ω]

    따라서, 전류계 A2의 내부저항 값은 약 1.67[Ω]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제시된 값은 2[Ω]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Ω]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VTVM의 프로우브 속에 들어 있는 것은?

  1. 퓨즈
  2. 발진 기능
  3. 정류 기능
  4. 전압강하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VTVM의 프로우브 속에는 정류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이는 프로우브가 측정하고자 하는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전압을 안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측정값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미스 선도(Smith chart)는 다음 무엇을 구하는가?

  1. 정규화 임피던스
  2. 반사 계수
  3.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4. 파수(波數)
(정답률: 알수없음)
  • 스미스 선도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구하는데 사용됩니다. 스미스 선도는 전기적으로 긴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반사와 손실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스미스 선도를 사용하면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송선로의 매칭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계기 정수가 2400[회/kWh]의 적산 전력계가 30초에 20회전 하였을 때, 전력은?

  1. 500[W]
  2. 750[W]
  3. 1000[W]
  4. 1250[W]
(정답률: 알수없음)
  • 적산 전력계의 회전수는 전력과 비례하므로, 30초에 20회전한 경우 1초당 회전수는 20/30 = 2/3 회전이다. 이는 1초당 2/3 × 2400 = 1600[W]의 전력이 사용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력은 1000[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해액이나 접지 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전원은?

  1. 직류 및 교류
  2. 맥류
  3. 직류
  4. 교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전해액이나 접지 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전원은 "교류"입니다. 이는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교류 전원은 주기적으로 방향이 바뀌는 전류를 생성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류 전원은 직류 전원보다 더 안정적이며, 높은 전압과 전류를 생성할 수 있어서 더 넓은 범위의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상호 인덕턴스 측정법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은?

  1. 윈 브리지법
  2. 공진 브리지법
  3. 맥스웰 브리지법
  4. 셸링 브리지법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 인덕턴스 측정법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은 "맥스웰 브리지법"입니다. 이는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대상의 인덕턴스와 정확히 일치하는 인덕턴스를 가진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여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고 측정 범위가 넓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D 컨버터는 무슨 회로인가?

  1. 저항 측정회로
  2.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3. 전류의 양을 전압의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4. 전력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입니다. 이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회로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출력 임피던스가 50[Ω]인 표준신호 발생기의 출력레벨을 40[㏈]에 세트 시키고 50[Ω]의 임피던스를 가진 부하를 연결하였다. 부하 양단의 단자 전압은?

  1. 50 [㎶]
  2. 100 [㎶]
  3. 200 [㎶]
  4. 500 [㎶]
(정답률: 알수없음)
  • 출력레벨이 40[㏈]이므로 출력전력은 10^(40/10) = 10[mW]입니다. 이 출력전력을 50[Ω]의 임피던스에 맞게 계산하면, V^2/R = 10[mW] 이므로 V = sqrt(10[mW] * 50[Ω]) = 50[㎶] 입니다. 따라서 부하 양단의 단자 전압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오차의 종류 중 계통 오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론적 오차
  2. 기계적 오차
  3. 개인적 오차
  4. 우연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우연 오차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오차로, 측정값이 실제 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계통 오차와는 달리 시스템적인 문제가 아니라 일시적인 문제입니다. 따라서 계통 오차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