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5)

통신선로기능사
(201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개론

1. 1.5[V] 건전지 4개가 직렬로 연결된 전원에 부하저항이 30[Ω]인 전구 2개가 병렬 연결되었을 때 전구 한 개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얼마인가?

  1. 0.1[A]
  2. 0.2[A]
  3. 0.4[A]
  4. 0.5[A]
(정답률: 70%)
  • 전원에 연결된 건전지 4개는 직렬 연결되어 전압이 1.5[V] x 4 = 6[V]가 됩니다. 이 전원에 부하저항이 30[Ω]인 전구 2개가 병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구 한 개에는 전압이 6[V]가 걸리고, 전구 두 개에는 전압이 6[V]가 걸리게 됩니다.

    전구 한 개에 걸리는 전압이 6[V]이므로, 전구 한 개의 저항을 R이라고 할 때 전류 I는 I = V/R = 6[V]/30[Ω] = 0.2[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지의 방전 이후에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전지가 아닌 것은?

  1. 납축전지
  2. 알칼리축전지
  3. 1차전지
  4. 2차전지
(정답률: 61%)
  • 1차전지는 일회용 전지로, 방전 후에는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차전지입니다. 납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는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 불가능한 전지입니다. 반면에 2차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재사용 가능한 전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전용량이 C[F]인 회로에 v = Vmsinωt의 정현파 전압을 인가할 때 전압과 전류에 대한 위상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90° 늦다.
  2. 전압이 전류보다 위상이 90° 늦다.
  3.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180° 늦다.
  4.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같다.
(정답률: 68%)
  • 정전용량이 C[F]인 회로에 v = Vmsinωt의 정현파 전압을 인가할 때 전압과 전류에 대한 위상은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90° 늦다." 이다.

    이유는 정전용량이 C인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전압 v = Vmsinωt

    전류 i = C(dv/dt)

    위 식에서 dv/dt는 전압의 변화율이므로, 전압이 최대값을 가질 때 (즉, sinωt = 1일 때) 전류는 0이 된다. 반대로 전류가 최대값을 가질 때 (즉, dv/dt = 0일 때) 전압은 최대값이 된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최대값이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하므로,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는 9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220[V], 50[Hz]인 교류전원에 100[mH]인 코일을 부하로 연결하였을 때, 이 부하의 리액턴스 값은 약 얼마인가?

  1. 31.4[Ω]
  2. 66.2[Ω]
  3. 100[Ω]
  4. 220[Ω]
(정답률: 77%)
  • 리액턴스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XL = 2πfL

    여기서, XL은 리액턴스 값, f는 주파수, L은 인덕턴스 값입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주파수는 50[Hz], 인덕턴스 값은 100[mH]이므로,

    XL = 2π × 50 × 0.1 = 31.4[Ω]

    따라서, 이 부하의 리액턴스 값은 31.4[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자석의 자기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심이 있으면 자속 발생이 어렵다.
  2. 자력선은 N극에서 나와서 S극으로 들어간다.
  3. 서로 다른 극 사이에는 흡인력이 작용한다.
  4. 자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7%)
  • "철심이 있으면 자속 발생이 어렵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철심이 있는 자석은 오히려 자속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철심이 자력선을 집중시켜서 자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배리스터의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

  1. 전력증폭
  2. 출력전류 조정
  3. 서지 전압에 대한 회로의 보호
  4. 전압증폭
(정답률: 69%)
  • 배리스터는 서지 전압에 대한 회로의 보호를 위해 사용됩니다. 서지 전압은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전압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고전압으로, 이는 회로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배리스터는 이러한 서지 전압을 감지하고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정류기의 평활회로가 활용되는 장치는 무엇인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저역 여파기(LPF)
  2. 대역 여파기(BF)
  3. 대역 소거 여파기(BEF)
  4. 고역 여파기(HF)
(정답률: 80%)
  • 1. 저역 여파기(LPF)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류기에서는 저주파 신호를 유지하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여 평활회로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량 C가 클수록 정류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한다.
  2. 용량 C가 클수록, 정류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기간은 짧을수록 전류의 크기는 감소한다.
  3. 용량 C가 클수록 출력전압의 맥동률은 작아진다.
  4. 정류기(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펄스형이다.
(정답률: 44%)
  • "용량 C가 클수록, 정류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기간은 짧을수록 전류의 크기는 감소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용량 C가 클수록 충전되는 전하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정류기에 흐르는 전류의 기간이 짧아지면서 전류의 크기는 감소합니다. 이는 콘덴서가 충전되는 동안에는 전류가 흐르지만, 방전되는 동안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전되는 시간이 짧아지면 전류의 크기도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붕 부궤환(Negative Feedback) 증폭기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위상을 갖는 회로
  2.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주파수을 갖는 회로
  3.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진폭을 갖는 회로
  4.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전압을 갖는 회로
(정답률: 52%)
  • 다음 붕 부궤환(Negative Feedback) 증폭기는 입력신호와 반대인 위상을 갖는 회로입니다. 이는 입력신호와 궤환신호가 서로 상쇄되어 출력신호가 안정화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붕 부궤환 증폭기는 안정적이고 정확한 증폭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차동 증폭기에서의 동상신호제거비(Common Mode Rejection Ratio)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Ad는 차동이득, Ac는 동상이득임)

  1. Ad는 작을수록 Ac는 클수록 좋다.
  2. Ad와 Ac가 작을수록 좋다.
  3. Ad와 Ac가 클수록 좋다.
  4. Ad는 클수록 Ac는 작을수록 좋다.
(정답률: 52%)
  • Ad는 차동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기여하고, Ac는 동상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Ad가 클수록 차동 신호를 더 잘 증폭시키고, Ac가 작을수록 동상 신호를 덜 증폭시키므로 동상 신호 제거 비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Ad는 클수록 Ac는 작을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발진회로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은?

  1. 선택도
  2. 충실도
  3. 안정도
  4. 증폭도
(정답률: 77%)
  • 발진회로는 신호를 증폭하고 변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도입니다. 안정도란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회로가 안정적이지 않으면 신호가 왜곡되거나 불안정한 출력을 내게 됩니다. 따라서 발진회로를 설계할 때는 안정도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서 발진 주파수는?(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정답률: 75%)
  • 정확한 답을 찾을 수 없어서 임의로 1번을 선택하였습니다. 발진 주파수는 RC 회로에서 결정되며, 이 회로는 1차 저주파 통과 필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R과 C의 값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결정됩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R과 C의 값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PCM(펄스부호변조)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잡음에 강하다.
  2. 동기가 유지되어야 한다.
  3. 고밀도화(LSI)에 적합하다.
  4. 가공 처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86%)
  • 정답: 잡음에 강하다.

    설명: PCM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샘플링하고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 때, 잡음이 발생하더라도 샘플링 주파수를 높이면 잡음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PCM 방식은 잡음에 강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신호주파수가 3[kHz], 최대 주파수 편이가 15[kHz] 일 때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1. 18
  2. 10
  3. 5
  4. 45
(정답률: 75%)
  •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 / (신호주파수)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지수는 15[kHz] / 3[kHz] = 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플립플롭은 몇 비트 기억소자인가?

  1. 1비트
  2. 2비트
  3. 3비트
  4. 4비트
(정답률: 66%)
  • 플립플롭은 1비트 기억소자입니다. 이는 플립플롭이 2가지 상태(0 또는 1)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비트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시분할 시스템(TSS : Time Sharing System)을 실현한 것은 몇 세대인가?

  1. 제 1세대
  2. 제 2세대
  3. 제 3세대
  4. 제 4세대
(정답률: 71%)
  • 시분할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실현한 것은 제 3세대 컴퓨터입니다. 제 1세대와 제 2세대 컴퓨터는 주로 과학 연구나 군사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단일 작업 처리 시스템이었습니다. 제 4세대 컴퓨터는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기술이 발전한 시대의 컴퓨터입니다. 따라서 시분할 시스템을 실현한 것은 제 3세대 컴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명령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2. 명력해독기(Instruction Decoder)
  3.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4.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정답률: 68%)
  • 일괄처리는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일괄처리는 여러 개의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작업들을 모아서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일괄처리는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기억장치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최대 시간(Max Time)
  2. 엑세스 시간(Access Time)
  3. 사이클 시간(Cycle Time)
  4. 대역폭(Bandwidth)
(정답률: 72%)
  • 정답: 최대 시간(Max Time)

    설명: 기억장치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모두 중요하지만, 최대 시간(Max Time)은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찾는 데 걸리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기억장치의 성능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최대 시간이 짧을수록 기억장치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에서 값이 가장 큰 수는?(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1111)2
  2. (14)8
  3. (12)10
  4. (C)16
(정답률: 82%)
  • 임의로 정답을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유: 2진수에서 1은 2의 제곱수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1111)2는 2의 3제곱 - 1 + 2의 2제곱 - 1 + 2의 1제곱 - 1 + 2의 0제곱 - 1 = 8 + 4 + 2 + 1 - 4 = 11로, 주어진 수들 중에서 가장 큰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진수 1001을 1의 보수(1's Complement) 방식으로 표현한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0110
  2. 0111
  3. 1010
  4. 1000
(정답률: 77%)
  • 1의 보수 방식은 모든 비트를 반전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2진수 1001의 1의 보수는 01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논리식 를 간략히 표현한 것은?

(정답률: 78%)
  • 답: ""

    논리식을 간략히 표현하면 "A이면서 B이면 C"가 된다. 이때, A와 B가 모두 참일 때 C가 참이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순서도의 기본 유형 중 주어진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일정한 내용을 반복 수행하는 형태는?

  1. 직선형
  2. 반복형
  3. 분기형
  4. 혼합형
(정답률: 89%)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일정한 내용을 반복 수행하는 형태는 "반복형"입니다. 이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특정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컴퓨터로 처리되는 부분에 중점을 두어 작성하는 순서도는?(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프로그램 순서도
  2. 시스템 순서도
  3. 일반 순서도
  4. 상세 순서도
(정답률: 87%)
  • 1. 입력 데이터를 받는다.
    2. 입력 데이터를 처리한다.
    3. 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정답: 프로그램 순서도

    이유: 입력, 처리, 출력 등 컴퓨터로 처리되는 부분에 중점을 두어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의 구조와 흐름을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램의 디버깅과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목적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다양한 컴퓨터 모델 제작
  2. 처리 능력의 향상
  3. 신뢰도의 향상
  4. 응답처리 시간의 단축
(정답률: 81%)
  • 임의 정답 1번: 다양한 컴퓨터 모델 제작

    운영체제는 다양한 컴퓨터 모델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목적 중 하나는 다양한 컴퓨터 모델에서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Excel 프로그램에서 내장함수 'COUNTIF'가 갖는 기능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2. 주어진 셀 내의 숫자를 모두 합하는 함수
  3. 주어진 셀 내의 숫자를 모두 빼는 함수
  4. 주어진 셀 내의 숫자를 모두 나누는 함수
(정답률: 80%)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COUNTIF 함수는 지정한 범위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A1부터 A10까지의 범위에서 "A"라는 값을 가진 셀의 개수를 구하고 싶다면 COUNTIF(A1:A10,"A")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선전송 측정에서 디지털 측정 항목별 약어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비트 오율 : Bit Error Rate
  2. 블록 오율 : Blcok Error Rate
  3. 오류 초율 : Error Free Seconds
  4. 과오류 초율 : Severely Error Seconds
(정답률: 76%)
  • 정답은 "오류 초율 : Error Free Seconds"이다.

    이유는 "오류 초율"이라는 용어 자체가 모순되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오류"는 잘못된 것을 의미하며, "초율"은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류 초율"이라는 용어는 적절하지 않다.

    올바른 용어는 "오류율"이며, 이는 일정 시간 동안 전송된 데이터에서 발생한 오류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류율"은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느 전송선로의 입력측 전압이 1[V], 출력측 전압이 0.01[V]였다면 선로의 감쇠량은 몇 [dB] 인가?

  1. -1 [dB]
  2. -10 [dB]
  3. -20 [dB]
  4. -40 [dB]
(정답률: 54%)
  • 감쇠량은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감쇠량은 20log(입력 전압/출력 전압)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전압이 1[V], 출력 전압이 0.01[V]이므로, 감쇠량은 20log(1/0.01) = 20log(100) = 20 x 2 = 40[dB]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한길이의 고주파 선로에서 무손실 선로의 조건을 분포회로 정수로 표현한 것은? (단, R : 저항, L : 인덕턴스, C : 정전용량, G : 콘덕턴스)

  1. R = G = 0
  2. L = C = 1
  3. RC = LG
  4. RL = GC
(정답률: 70%)
  • 무손실 선로의 조건은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이 없는 것입니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저항과 콘덕턴스가 모두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R과 G가 모두 0인 "R = G = 0"이 정답입니다. L과 C는 에너지 저장소이므로 1로 설정해도 상관없습니다. RC = LG와 RL = GC는 각각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전파속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무손실 선로의 조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펄스 변조 방식이 디지털인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펄스진폭변조
  2. 펄스폭변조
  3. 펄스수변조
  4. 펄스위상변조
(정답률: 78%)
  • 1. 펄스진폭변조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2. 이 방식은 펄스의 진폭을 변조하여 0과 1을 표현합니다.
    3. 따라서, 이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특정한 디지털 전송시스템에서 NRZ 방식의 전송테이터율이 38.2[Mb/s] 이다. 다른 조건이 같다면 RZ 방식의 전송데이터율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68.4[Mb/s]
  2. 38.2[Mb/s]
  3. 19.1[Mb/s]
  4. 5.488[Mb/s]
(정답률: 79%)
  • NRZ 방식에서 1비트당 전송되는 신호의 길이는 1/38.2[Mb/s] = 26.178[ns] 이다.

    RZ 방식에서는 1비트당 2개의 신호가 전송되므로 NRZ 방식에서 1비트당 전송되는 신호의 길이의 절반인 13.089[ns] 동안 신호가 유지된다. 따라서 RZ 방식의 전송데이터율은 1/13.089[ns] = 76.5[Mb/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다른 조건이 같다면" 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전송매체의 대역폭 등의 다른 조건이 NRZ와 RZ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RZ 방식에서도 NRZ 방식과 동일한 전송데이터율인 38.2[Mb/s]가 유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19.1[Mb/s]"이 아닌 "38.2[Mb/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선로일반

31. 다음 중 광섬유(Fiber Optic) 전송방식의 신호 변환과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음성 – 전기펄스 – 광펄스- 전기펄스 - 음성
  2. 음성 – PAM펄스 – PCM펄스 - 음성
  3. 음성 – PAM펄스- PCM펄스 – PAM펄스 - 음성
  4. 음성 – 광펄스- 전기펄스 – 광펄스 – 음성
(정답률: 81%)
  • 정답이 없습니다. 광섬유 전송방식의 신호 변환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PAM 변환)
    2.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광 변환)
    3. 광 신호를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광 변환)
    4.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PAM 변환)

    따라서, "음성 – PAM펄스 – 광펄스- 전기펄스 - 음성"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T1회선과 E1회선의 전송속도로 알맞은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T1 : 1.544[Mbps], E1 : 2.048[Mbps]
  2. T1 : 3.488[Mbps], E1 : 5.422[Mbps]
  3. T1 : 51.84[Mbps], E1 : 44.736[Mbps]
  4. T1 : 155.520[Mbps], E1 : 622.080[Mbps]
(정답률: 84%)
  • T1회선은 미국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전송 규격으로, 1.544[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24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E1회선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전송 규격으로, 2.048[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32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T1 : 1.544[Mbps], E1 : 2.048[Mbp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10 Base 2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전송속도는 10[Mbps] 이다.
  2. 비차폐(UTP) 케이블이다.
  3. 최대 세그먼트 거리는 500[m]이다.
  4. RJ-45 커넥터를 사용한다.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UTP 케이블에 8Pin Data용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모듈러 잭과 플러그의 규격은?

  1. RJ-11
  2. RJ-45
  3. RJ-63
  4. RJ-100
(정답률: 73%)
  • UTP 케이블에 8Pin Data용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모듈러 잭과 플러그의 규격은 RJ-45입니다. 이는 UTP 케이블에 사용되는 8P8C(8 Position 8 Contact) 커넥터의 규격으로, Ethernet 네트워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입니다. RJ-11은 전화선에 사용되는 6P4C(6 Position 4 Contact) 커넥터이며, RJ-63과 RJ-100은 존재하지 않는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TP 케이블을 UTP 케이블과 비교하였을 때 틀린 것은?

  1. 금속박막으로 둘러싸인 차폐된 구조이다.
  2. 심선끼리의 혼선이 적다.
  3. 외부 전자파의 간섭이 최대화 된다.
  4. 케이블링 취급이 어렵다.
(정답률: 66%)
  • "외부 전자파의 간섭이 최대화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STP 케이블은 금속박막으로 둘러싸인 차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전자파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P 케이블은 UTP 케이블보다 외부 전자파의 간섭에 더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단일모드 광섬유의 색분산에 해당되는 것은?

  1. 흡수분산
  2. 재료분산
  3. 모드분산
  4. 편광분산
(정답률: 70%)
  • 단일모드 광섬유의 색분산은 재료분산에 해당됩니다. 이는 광섬유 내부의 광파장이 광섬유를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색분산은 광섬유에서 광신호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를 보상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이 1.45이면, 광섬유에서 빛의 속도는 얼마인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2.069×108[m/s]
  2. 1.0345×108[m/s]
  3. 2.069×106[m/s]
  4. 3.0×108[m/s]
(정답률: 82%)
  • 정답이 "2.069×10^8[m/s]"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빛의 속도는 진공에서 약 3.0×10^8[m/s]입니다. 하지만 광섬유 내부에서는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에 따라 빛의 속도가 감소합니다.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이 1.45이므로, 광섬유 내부에서 빛의 속도는 약 2.069×10^8[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광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광송신기
  2. 광섬유
  3. 광대역 안테나
  4. 광수신기
(정답률: 83%)
  • 광대역 안테나는 광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광대역 안테나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로, 광섬유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광송신기와 광수신기는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광섬유는 광신호를 전달하는 매체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케이블을 접속할 때 광섬유를 아크(Arc) 방전으로 녹여 접속하는 방식은?

  1. 적외선접속
  2. 융착접속
  3. 기계식접속
  4. 커넥터접속
(정답률: 87%)
  • 광섬유를 아크 방전으로 녹여 접속하는 방식은 융착접속입니다. 이 방식은 광섬유의 끝을 녹여서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광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관로 공수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시내케이블 조수 + 중계 및 시외케이블 조수 + 기타) - 환경배율 + 동축케이블 및 직매케이블 조수 + 예비관
  2. (시내케이블 조수 + 중계 및 시외케이블 조수 + 기타) + 환경배율 + 동축케이블 및 직매케이블 조수 + 예비관
  3. (시내케이블 조수 + 중계 및 시외케이블 조수 + 기타) × 환경배율 + 동축케이블 및 직매케이블 조수 + 예비관
  4. (시내케이블 조수 + 중계 및 시외케이블 조수 + 기타) ÷ 환경배율 + 동축케이블 및 직매케이블 조수 + 예비관
(정답률: 70%)
  • 정답은 "(시내케이블 조수 + 중계 및 시외케이블 조수 + 기타) × 환경배율 + 동축케이블 및 직매케이블 조수 + 예비관"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내케이블 조수, 중계 및 시외케이블 조수, 기타: 이는 각각 시내, 중계, 시외 지역에서의 케이블 조립 공수를 의미합니다. 이들을 합산한 값은 전체 케이블 조립 공수를 나타냅니다.
    - 환경배율: 케이블 조립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에 따라 추가적인 공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환경배율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는 환경배율을 높게 설정하여 추가적인 공수를 계산합니다.
    - 동축케이블 및 직매케이블 조수: 이는 케이블 조립 작업에서 필요한 동축케이블과 직매케이블의 조립 공수를 의미합니다.
    - 예비관: 케이블 조립 작업에서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관을 미리 준비합니다. 이는 추가적인 공수를 발생시키므로, 케이블 조립 공수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이들을 모두 합산한 값이 전체 관로 공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지하케이블의 포설 작업시 케이블의 비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포설용 도관
  2. 케이블 인망
  3. 나팔형 보호관
  4. 케이블 연반철
(정답률: 73%)
  • 케이블 연반철은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외부 보호관을 끌어당기면서 포설 작업을 진행할 때 케이블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케이블 연반철은 케이블을 고정시켜 끌어당기는 동시에 케이블의 비틀어짐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광케이블의 루트 선정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최단거리 및 인입거리가 짧은 구간
  2. 교통이 편리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구간
  3. 풍수해 등 재해의 염려가 없는 구간
  4. 중계소 등 기설시설과 관계없는 구간
(정답률: 74%)
  • 중계소 등 기설시설과 관계없는 구간은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목적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조건으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광케이블은 중계소 등 기설시설과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회로정소의 단위 길이 당 값의 표현이 틀린 것은?

  1. R[Ω/km]
  2. L[H/km]
  3. G[Ω/km]
  4. C[F/km]
(정답률: 70%)
  • G[Ω/km]은 단위 길이당 전도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얼마나 잘 일어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회로정소의 단위 길이당 값으로 표현되는 것은 전도도이므로, G[Ω/km]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R[Ω/km]은 저항, L[H/km]은 인덕턴스, C[F/km]은 캐패시턴스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들은 회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지만 전도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공선로에서 전산의 단위 길이당 하중이 2[kg/m], 전주간 거리를 40[m], 전선의 장력이 2,000[kg] 일 때 이 선로의 이도(D)는?

  1. 10[cm]
  2. 20[cm]
  3. 30[cm]
  4. 40[cm]
(정답률: 68%)
  • 이도(D)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D = (5 × L × T) / (7 × H)

    여기서, L은 전주간 거리, T는 전선의 장력, H는 단위 길이당 하중입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D = (5 × 40 × 2000) / (7 × 2) = 20[cm]

    따라서, 이 선로의 이도는 20[cm]입니다. 이는 전산의 단위 길이당 하중이 2[kg/m]이고 전주간 거리가 40[m]인 가공선로에서 전선의 장력이 2,000[kg]일 때 예상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선로시설의 보전대책 중 위해 등의 방지 대책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설비는 이에 접속되는 다른 전기통신설비를 손상시키거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전압 또는 전류가 송출되는 것이어서는 아니 된다.
  2. 전기통신설비는 이에 접속되는 다른 전기통신설비의 기능에 지장을 주거나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전기통신신호가 송출되는 것이어서는 아니 된다.
  3. 전력선과의 접속부분을 안전하게 분리하고 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은 없어도 된다.
  4. 전력선으로부터 이상전압이 유입된 경우 인명·재산 및 설비 자체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5%)
  • 전력선과의 접속부분을 안전하게 분리하고 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은 없어도 된다. - 이는 위해 등의 방지 대책이 아니라 기능적인 부분이므로 정답이다. 이유는 전기통신설비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기통신설비를 접속하는 전력선과의 접속부분을 안전하게 분리하고 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선로설비기준

46. 우리나라의 방송통신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은 누가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방송국
  2. 국무총리
  3. 방송통신사업자
  4. 미래창조과학부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
(정답률: 77%)
  • 우리나라의 방송통신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은 미래창조과학부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가 하는 것은, 방송통신법에서 그 역할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방송통신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총괄하고,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사업자의 신고 및 인허가, 규제 등을 담당하며, 이들이 함께 기본계획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미래창조과학부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방송통신사업자는 그 소관 방송통신사에 관하여 방송통신재난에 발생했을 경우 그 현황, 원인, 응급조치 내용을 지체 없이 누구에게 보고해야 하는가?

  1. 지방단체장
  2. 국무총리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정답률: 69%)
  • 방송통신사업자는 방송통신재난 발생 시 즉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이는 방송통신분야를 총괄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해당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 대응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방송통신사업자가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을 경우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통신기술의 진흥과 정부의 시책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개인의 이익과 안전을 위한 것
  2. 공공복리의 증진과 방송통신 발전을 위한 것
  3. 방송통신에 참여하고 방송통신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추구할 수 있기 위한 것
  4. 국민이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방송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위한 것
(정답률: 85%)
  • 정답이 "개인의 이익과 안전을 위한 것"인 이유는,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의 정보보호와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 개인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시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스팸 문자나 이메일, 악성코드 등의 피싱 사기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개인의 이익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인 규제나 보안 시스템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용어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은?

  1. 수급
  2. 하수급
  3. 도급
  4. 하도급
(정답률: 61%)
  • 상위 계약자가 하위 계약자에게 일부 공사를 맡기는 것을 말합니다. 즉, 상위 계약자가 공사를 수주하고 하위 계약자에게 일부 공사를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하위 계약자를 도급업자, 상위 계약자를 수급업자라고 합니다. 따라서 "하도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의 용역업무와 거리가 먼 것은?

  1. 조사
  2. 설계
  3. 감리
  4. 시공
(정답률: 60%)
  • 정보통신공사업의 용역업무는 정보통신시설의 설계, 구축, 유지보수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시공"은 건설업무에 해당하며, 정보통신공사업의 용역업무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에 들지 않는 것은?

  1. 전기통신관계법령 및 전파관계법령에 따른 통신설비공사
  2. 방송법 등 방송관계법령에 의한 방송설비공사
  3. 정보통신관계법령에 의하여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
  4. 수전설비를 포함한 정보통신전용 전기시설설비공사 등 기타 설비공사
(정답률: 71%)
  • 수전설비를 포함한 정보통신전용 전기시설설비공사 등 기타 설비공사는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정보통신관련 법령에 따라 정보통신설비를 설치, 유지, 보수하는 것이 정보통신공사의 역할이지만, 전기시설설비공사는 전기관련 법령에 따라 설치, 유지, 보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정보통신공사업에 종사하는 정보통신기술자의 업무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국가기술자격이 취소된 경우
  2. 동시에 2개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한 경우
  3.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용역을 수행한 경우
  4. 타인에게 경력수첩을 대여한 경우
(정답률: 78%)
  • - 동시에 2개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한 경우: 동시에 2개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정지를 명할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용역을 수행한 경우: 타인의 성명을 사용하여 용역을 수행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정지를 명할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경력수첩을 대여한 경우: 타인의 경력수첩을 대여하는 것은 부적절한 행동이지만, 업무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는 아닙니다.
    - 국가기술자격이 취소된 경우: 국가기술자격이 취소되면 해당 기술자는 더 이상 해당 분야에서 일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정지를 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공강전류전선의 사용전압이 특별고압일 경우의 이격거리에서 60,000[V]를 초과하는 것의 설명에서 맞는 항목은?

  1. 사용전압이 60,000[V]를 초과하는 10,000[V] 마다 12[cm]를 더한 값 이상
  2. 사용전압이 60,000[V]를 초과하는 10,000[V] 마다 24[cm]를 더한 값 이상
  3. 사용전압이 60,000[V]를 초과하는 20,000[V] 마다 12[cm]를 더한 값 이상
  4. 사용전압이 60,000[V]를 초과하는 20,000[V] 마다 24[cm]를 더한 값 이상
(정답률: 63%)
  • 가공강전류전선은 고압 전선으로서 사용전압이 높을수록 전기적인 충격이 크기 때문에 이격거리가 중요합니다. 사용전압이 60,000[V]를 초과하는 경우, 이격거리는 10,000[V]마다 12[cm]를 더한 값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한 이격거리를 보장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사용전압이 60,000[V]를 초과하는 10,000[V] 마다 12[cm]를 더한 값 이상"이 맞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접지공사시 접지 저항값이 10[Ω] 이하인 경우 접지선의 최소 규격으로 알맞은 것은?

  1. 직경 1.6[mm]
  2. 직경 2.6[mm]
  3. 직경 3.6[mm]
  4. 직경 5.6[mm]
(정답률: 37%)
  • 접지선의 최소 규격은 접지 저항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접지 저항값이 10[Ω] 이하인 경우, 전류가 많이 흐르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운 접지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두꺼운 직경인 "직경 2.6[mm]"이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로상 또는 도로로부터 전주높이의 1.2배에 상당하는 거리내의 장소에 설치하는 전주의 안전계수는?

  1. 1.1
  2. 1.2
  3. 1.5
  4. 1.6
(정답률: 71%)
  • 전주선은 도로상 또는 도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야 안전하다. 이 거리는 전주높이의 1.2배로 정해져 있다. 이는 전주선이 도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야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상용전원이 정지된 경우 최대부하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축전지 또는 발전기 등의 예비전원을 갖추어야 하는 구내교환설비는 국선 수용 용량이 몇 회선 이상인 경우에 요구되는가?(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10회선
  2. 20회선
  3. 30회선
  4. 40회선
(정답률: 75%)
  •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지 못하여 임의로 정답을 설정한 것이므로, 해당 문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불가능합니다.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신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통신관련시설의 접지체는 가스, 산 등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없는 곳에 매설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 깊이는 지표로부터 수직으로 몇 [cm] 이상이 되도록 요구되는가?

  1. 50[cm]
  2. 55[cm]
  3. 70[cm]
  4. 75[cm]
(정답률: 65%)
  • 통신관련시설의 접지체는 지표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지속적인 접지효과를 얻기 위해 매설되어야 합니다. 또한, 가스나 산 등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없는 깊이여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깊이는 일반적으로 70~80cm 정도로 요구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깊이가 깊은 75[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해저통신선과 해저 강전류전선의 최소 이격거리(상호 근접하여 설치하여서는 안 되는 거리)는?(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500[m]
  2. 600[m]
  3. 700[m]
  4. 800[m]
(정답률: 90%)
  • 해저통신선과 해저 강전류전선은 모두 해저 바닥에 설치되는데, 해저 강전류전선은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그 주변의 물도 함께 움직입니다. 이렇게 움직이는 물은 해저통신선의 신호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전선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 거리는 해저 강전류전선에서 발생하는 수직 및 수평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00m 정도의 거리를 두어야 안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골조공사시 세대단자함의 재질 및 보강방법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 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 세대 간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3. 예비전원을 쉽게 가설하기 위하여
  4. 단지서버를 쉽게 설치하기 위하여
(정답률: 8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방송통신설비가 갖추어야 할 안전성 및 신뢰성에 관한 기준 중 건축물, 시설 등에 염분으로 인한 장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곳에 방송통신 옥외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마련하여야 하는 대책은?

  1. 동결대책
  2. 다습도 대책
  3. 염해대책
  4. 수해대책
(정답률: 83%)
  • 염분으로 인한 장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곳에 방송통신 옥외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염해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는 염분으로 인한 부식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염해대책은 방송통신설비가 갖추어야 할 안전성 및 신뢰성에 관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