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5-24)

통신선로기능사
(2020-05-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개론

1. 전류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1. Watt[W]
  2. Volt[V]
  3. Ohm[Ω]
  4. Ampere[A]
(정답률: 96%)
  • 전류의 세기는 전류가 흐르는 양을 나타내는데, 이 양을 측정하는 단위가 Ampere[A]입니다. Ampere는 전류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A는 1초 동안 1쿨롱의 전하가 흐르는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류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Ampere[A]를 사용합니다. Watt[W]는 전력, Volt[V]는 전압, Ohm[Ω]은 저항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키르히호프의 법칙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로내의 임의의 접합점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합은 0 이다.
  2. 2개 이상의 소자가 연결되는 임의의 한 접합점에서의 입력전류의 총합은 출력전류의 총합과 같다.
  3. 임의의 폐회로(Closed loop)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취한 전압의 대수합은 0 이다.
  4. 임의의 폐회로(Closed loop)에서 한쪽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취한 전압상승의 대수합과 전압강하의 대수합은 0 이다.
(정답률: 61%)
  • "임의의 폐회로(Closed loop)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취한 전압의 대수합은 0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임의의 폐회로에서 전압상승과 전압강하의 대수합이 0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기반한 법칙으로, 전압이 상승하는 부분에서는 전류가 감소하고, 전압이 감소하는 부분에서는 전류가 상승하기 때문에 전압상승과 전압강하의 대수합이 0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전용량이 C[F]인 회로에 v=Vmsinωt의 정현파 전압을 인가할 때 전압과 전류에 대한 위상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90[°] 늦다.
  2. 전압이 전류보다 위상이 90[°] 늦다.
  3.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180[°] 늦다.
  4.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같다.
(정답률: 85%)
  • 정전용량이 있는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가 90[°]이다. 이는 전압이 정전용량을 먼저 충전하고, 그 후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압이 전류보다 90[°] 늦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덕턴스 L이 0.5[H]인 코일과 정전용량 C가 0.5[μF]인 커패시터를 직렬 접속한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1. 127.4[Hz]
  2. 265.4[Hz]
  3. 318.5[Hz]
  4. 530.8[Hz]
(정답률: 70%)
  • 공식 f = 1 / (2π√(LC))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f = 1 / (2π√(0.5[H] × 0.5[μF] × 10^-6[F/μF]))
    = 318.5[Hz]

    따라서, 정답은 "318.5[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자석과 같이 한쪽은 N극, 반대쪽은 S극을 갖는 원자는?

  1. 자기 쌍극자
  2. 회전 쌍극자
  3. 원자 쌍극자
  4. 자극 쌍극자
(정답률: 73%)
  • 전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자석과 같이 한쪽은 N극, 반대쪽은 S극을 갖는 원자는 "자기 쌍극자"입니다. 이는 전자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전자의 자기적인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전자는 자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전자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자기적인 특성을 가지는 원자를 자기 쌍극자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MSI(Medium Scale Integration)의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SSI(Small Scale Integration)의 반대인 것이다.
  2. LSI(Large Scale Integration)와 같은 것이다.
  3. 한 IC(Integrated Circuit) 중 1,000 소자 이상인 것이다.
  4. 한 IC(Integrated Circuit) 중 100~1,000 소자를 포함한 것이다.
(정답률: 90%)
  • 한 IC(Integrated Circuit) 중 100~1,000 소자를 포함한 것이다. MSI는 SSI보다는 크고 LSI보다는 작은 규모의 집적회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100~1,000개의 소자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상 전파 정류 회로의 이론상 최대 정류 효율은 얼마인가?

  1. 40.6[%]
  2. 48.2[%]
  3. 60.3[%]
  4. 81.2[%]
(정답률: 78%)
  • 단상 전파 정류 회로의 이론상 최대 정류 효율은 81.2[%]입니다. 이는 전압이 정류되는 시간과 정류되지 않는 시간이 같을 때, 최대 정류 효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때, 전압이 정류되는 시간과 정류되지 않는 시간이 같아지면, 전압이 정류되는 시간이 늘어나더라도 정류 효율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론상 최대 정류 효율은 8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니어 방식에 비해 스위칭 정전압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력 효율이 높다.
  2. 스위칭으로 인한 전원 잡음이 문제가 된다.
  3. 입력 전압보다 출력이 높은 전압을 얻을 수 있다.
  4. 정류회로용 변압기가 필요 하므로 부피와 무게가 커진다.
(정답률: 58%)
  • 정류회로용 변압기가 필요한 이유는 스위칭 정전압회로에서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정류회로용 변압기가 필요하므로 부피와 무게가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렬전압 궤환 회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이 증가한다.
  2. 출력 임피던스가 감소한다.
  3.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4. 비직선 일그러짐이 증가한다.
(정답률: 64%)
  •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한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직렬전압 궤환 회로는 입력 임피던스가 낮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자기장이 전압을 유발하여 입력 신호와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회로에 들어가기 전에는 입력 임피던스가 높아지지만, 회로 내부에서는 낮아지게 됩니다. 비직선 일그러짐이 증가하는 이유는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입력 신호와 섞여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회로의 비선형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주파수 대역폭이 증가하면 더욱 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부궤환(Negative Feedback) 증폭기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위상을 갖는 회로
  2.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주파수을 갖는 회로
  3.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진폭을 갖는 회로
  4.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전압을 갖는 회로
(정답률: 69%)
  • "부궤환(Negative Feedback) 증폭기는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인 위상을 갖는 회로입니다." 이는 부궤환 증폭기에서 출력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 방향으로 피드백되어 입력신호를 감쇠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피드백은 회로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LC발진기가 아닌 것은?

  1. 이상 발진기
  2. 클랩 발진기
  3. 콜피츠 발진기
  4. 하틀리 발진기
(정답률: 62%)
  • LC발진기는 일렉트로닉스 회로를 이용하여 발진하는 반면, 이상 발진기는 기계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발진합니다. 따라서 이상 발진기가 LC발진기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서 발진 주파수는?

(정답률: 77%)
  • 발진회로에서 발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인덕터, C는 캐패시터를 나타냅니다.

    주어진 회로에서 L1과 C1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등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계산해야 합니다.

    L1과 C1의 등가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1eq = L1 + (L2 || L3)

    여기서 ||는 병렬 연결을 나타냅니다.

    L2와 L3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등가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23eq = L2 + L3

    따라서,

    L1eq = L1 + L23eq

    L1eq = 10mH + 5mH

    L1eq = 15mH

    L1과 C1의 등가 캐패시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1eq = C1

    따라서,

    f = 1 / (2π√(L1eqC1eq))

    f = 1 / (2π√(15mH × 0.1μF))

    f = 1 / (2π√(1.5 × 10^-6))

    f = 1 / (2π × 0.001224)

    f = 129.7kHz

    따라서, 발진 주파수는 129.7kHz입니다.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면?

  1. 표본화→양자화→부호화
  2. 부호화→양자화→표본화
  3. 양자화→표본화→부호화
  4. 표본화→부호화→양자화
(정답률: 88%)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본화(Sampling):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때, 샘플링 주파수는 낮을수록 정보 손실이 많아지고 높을수록 계산량이 많아집니다.

    2. 양자화(Quantization): 샘플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이때, 양자화 단계가 높을수록 디지털 값의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데이터 용량은 증가합니다.

    3. 부호화(Encoding): 양자화된 디지털 값에 부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때, 부호화 알고리즘은 데이터 압축 및 오류 검출 및 수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화→양자화→부호화" 입니다.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첫 번째 단계이며, 양자화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두 번째 단계입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펄스 변조방식 중 연속레벨 변조가 아닌 것은?

  1. PAM
  2. PCM
  3. PPM
  4. PWM
(정답률: 84%)
  • PCM은 펄스 코드 변조 방식으로, 연속 레벨 변조가 아닙니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해당하는 디지털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PCM은 연속 레벨 변조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아래 RC 직렬 회로의 펄스 응답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 회로의 시상수는 RC[초]이다.
  2. 시상수가 클수록 출력 파형의 기울기가 크다.
  3. 시상수가 클수록 커패시터는 서서히 충·방전한다.
  4. 시상수가 작을수록 출력 파형이 안정된 값에 빨리 도달한다.
(정답률: 54%)
  • 시상수가 클수록 커패시터는 서서히 충·방전하게 되므로, 입력 펄스가 들어왔을 때 출력 파형의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상수가 클수록 출력 파형의 기울기가 크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시분할 시스템(TSS: Time Sharing System)을 실현한 것은 몇 세대인가?

  1. 제 1세대
  2. 제 2세대
  3. 제 3세대
  4. 제 4세대
(정답률: 74%)
  • 시분할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실현한 것은 제 3세대 컴퓨터입니다. 제 1세대와 제 2세대 컴퓨터는 주로 과학 연구나 군사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단일 작업 처리 시스템이었습니다. 제 4세대 컴퓨터는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기술이 발전한 시대의 컴퓨터를 말하며, 시분할 시스템과는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주소지정방식이 아닌 것은?

  1. 임시(Temporary) 주소방식
  2. 직접(Direct) 주소방식
  3. 간접(Indirect) 주소방식
  4. 임플라이드(Implied) 주소방식
(정답률: 86%)
  • 임시(Temporary) 주소방식은 실제로 메모리 주소를 지정하지 않고,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필요한 주소를 계산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소지정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명령어의 연산자 코드가 4비트, 오퍼랜드(Opreand)가 5비트일 때, 이 명령어로 몇 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가?

  1. 4
  2. 16
  3. 20
  4. 32
(정답률: 64%)
  • 연산자 코드가 4비트이므로 2^4 = 16가지의 연산자 코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오퍼랜드가 5비트이므로 2^5 = 32가지의 오퍼랜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가지의 연산자 코드와 32가지의 오퍼랜드를 조합하여 16 x 32 = 512가지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8진수 65를 16진수로 변환하면 얼마인가?

  1. (35)16
  2. (53)16
  3. (56)16
  4. (C5)16
(정답률: 79%)
  • 8진수 65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0 101 이 됩니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6 5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5)8 = (41)16" 입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35)16 이 정답이 아니므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논리식 를 간략히 표현한 것은?

(정답률: 88%)
  • 논리식을 간략히 표현하면 "A와 B 중 적어도 하나는 참이다"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or" 연산자는 둘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참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4비트 2진수를 저장하려면 레지스터는 몇 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해야 하는가?

  1. 2개
  2. 4개
  3. 8개
  4. 16개
(정답률: 60%)
  • 4비트 2진수는 0000부터 1111까지 총 16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16개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4비트 2진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개의 비트만 필요하므로, 4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레지스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컴퓨터 프로그램'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
  2.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3. 컴퓨터 내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4.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
(정답률: 73%)
  • 정답은 "컴퓨터 내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수행해야 할 일련의 작업을 프로그래머가 일련의 명령문으로 작성하여 컴퓨터가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수행해야 할 일을 명령어로 구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048 바이트[byte]는 몇 킬로바이트[kbyte]인가?

  1. 1[kbyte]
  2. 2[kbyte]
  3. 3[kbyte]
  4. 4[kbyte]
(정답률: 87%)
  • 2,048 바이트는 2[kbyte]이다. 이는 1[kbyte]가 1,024 바이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048 바이트는 2[kbyt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각종 언어처리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2. 유틸리티 프로그램
  3. 검사 시스템
  4. 응용 프로그램
(정답률: 87%)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프로그램들을 제어하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각종 언어처리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파워포인트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계산을 여러 가지 형태로 함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2. 프레젠테이션으로 적당하다.
  3. 멀티미디어 Animation 기능이 편리하다.
  4. 화면 슬라이드 기능이 있다.
(정답률: 93%)
  • 정답인 "계산을 여러 가지 형태로 함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파워포인트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엑셀의 기능입니다. 파워포인트는 프레젠테이션을 만들기 위한 도구로, 프레젠테이션으로 적당하며 멀티미디어 Animation 기능과 화면 슬라이드 기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역폭이 1.75[kHz]이고 신호전력이 62[W], 잡음전력이 2[W]일 때 채널용량은?

  1. 4,500[bps]
  2. 8,750[bps]
  3. 9,600[bps]
  4. 12,000[bps]
(정답률: 89%)
  • 채널용량은 신호전력 대 잡음전력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에 대역폭을 곱한 것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채널용량 = 대역폭 x log2(신호전력/잡음전력)

    = 1.75 x log2(62/2)

    = 1.75 x log2(31)

    ≈ 1.75 x 4.9542

    ≈ 8,750 [bps]

    따라서, 정답은 "8,750[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통신선로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이유는?

  1. 송신기에 반사파를 최대로 공급하기 위하여
  2. 전압정재파비를 0으로 하기 위하여
  3. 반사계수를 1로 하기 위하여
  4.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답률: 58%)
  • 통신선로에서 전기 신호가 전달될 때, 신호는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서 반사될 수 있습니다. 이 반사파는 원래 신호와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어 원래 신호를 왜곡시키고, 또한 다른 장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신선로의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첨단 인프라인 BcN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초고소정보통신망
  2. 광대역통합망
  3. 종합정보통신망
  4. 광가입자통신망
(정답률: 76%)
  • BcN은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의 약자로, 광대역통합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여 고속, 안정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첨단 인프라입니다. 따라서 "광대역통합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송선로의 단락 임피던스가 400[Ω]이고 개방 임피던스가 900[Ω] 이라면, 이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1. 600[Ω]
  2. 700[Ω]
  3. 800[Ω]
  4. 900[Ω]
(정답률: 73%)
  •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개방 임피던스와 단락 임피던스의 기하평균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성임피던스 = √(단락 임피던스 × 개방 임피던스) = √(400[Ω] × 900[Ω]) = 600[Ω]

    따라서, 정답은 "600[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특정한 디지털 전송시스템에서 NRZ 방식의 전송 데이터율이 38.2[Mb/s]이다. 다른 조건이 같다면 RZ 방식의 전송 데이터율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68.4[Mb/s]
  2. 38.2[Mb/s]
  3. 19.1[Mb/s]
  4. 5.488[Mb/s]
(정답률: 68%)
  • NRZ 방식은 1비트당 한 신호를 사용하므로 데이터율이 38.2[Mb/s]이다. RZ 방식은 1비트당 두 개의 신호를 사용하므로 데이터율은 NRZ 방식의 절반인 19.1[Mb/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1[Mb/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선로일반

31. 다음 중 광섬유(Optical Fiber) 전송방식의 신호 변환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음성 – 전기펄스 – 광펄스 – 전기펄스 - 음성
  2. 음성 – PAM펄스 – PCM펄스 - 음성
  3. 음성 – PAM펄스 – PCM펄스 – PAM펄스 - 음성
  4. 음성 – 광펄스 – 전기펄스 – 광펄스 – 음성
(정답률: 78%)
  • 광섬유는 광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음성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전기펄스를 광펄스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후, 광섬유를 통해 전송된 광펄스는 다시 전기펄스로 변환되어 최종적으로 음성 신호로 복원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음성 – 전기펄스 – 광펄스 – 전기펄스 - 음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펄스부호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잡음에 강하다.
  2. 논리회로 집적화에 강하다.
  3. 시분할다중화를 적용하여 분기와 삽입이 쉽다.
  4. 양자화잡음이 없다.
(정답률: 68%)
  • 펄스부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양자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양자화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자화잡음이 없다"는 장점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샤논의 정리에 근거하여 전송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전송대역폭을 넓힌다.
  2. 신호의 크기를 높인다.
  3. 잡음의 크기를 줄인다.
  4. 신호대잡음비를 줄인다.
(정답률: 87%)
  • 정답은 "신호대잡음비를 줄인다."입니다.

    샤논의 정리에 따르면 전송용량은 전송대역폭과 신호의 크기, 그리고 신호대잡음비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전송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송대역폭을 넓히거나 신호의 크기를 높이거나 잡음의 크기를 줄이면 됩니다.

    하지만 신호대잡음비를 줄이는 것은 전송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신호대잡음비란 전송되는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잡음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이 비율이 작을수록 좋은 품질의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신호대잡음비를 줄이는 것은 오히려 전송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므로 전송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케이블 선로의 시설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가공 선로
  2. 지하 선로
  3. 수저 선로
  4. 시내 선로
(정답률: 74%)
  • 시내 선로는 케이블 선로의 시설 형식이 아니라 지역적인 구분으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가공 선로는 공장 등에서 제작된 케이블을 보관하고 가공하는 곳이며, 지하 선로는 지하에 설치된 케이블 선로를 말합니다. 수저 선로는 전기를 공급하는 수저를 설치한 케이블 선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UTP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케이블의 가격이 저렴하다.
  2. 절연된 구리선이 두가닥씩 서로 꼬아져 있다.
  3. 디지털과 아날로그 전송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4. 외부잡음이나 간섭에 강하도록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를 시킨 케이블이다.
(정답률: 77%)
  • UTP 케이블은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를 시키지 않는 케이블이므로, "외부잡음이나 간섭에 강하도록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를 시킨 케이블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50/125[μm] 광섬유에서 코어 굴절률이 1.49이고 비굴절률(△)이 1.5[%]일 때, 최대 수광각은?

  1. 12.85도
  2. 14.96도
  3. 17.45도
  4. 28.34도
(정답률: 69%)
  • 광섬유에서 최대 수광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코어 굴절률: n1 = 1.49
    비굴절률: △ = 1.5[%] = 0.015
    수광각: θmax = sin^-1(n1√(2△))

    따라서, θmax = sin^-1(1.49√(2×0.015)) = 14.96도

    즉, 광섬유에서 최대 수광각은 약 14.96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이 1.45이면, 광섬유에서 빛의 속도는 얼마인가?

  1. 2.069×108[m/s]
  2. 1.0345×108[m/s]
  3. 2.069×106[m/s]
  4. 3.0×108[m/s]
(정답률: 79%)
  • 빛의 속도는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 × 진공 속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이 1.45이고, 진공 속도가 약 3.0×108[m/s]이므로, 광섬유에서 빛의 속도는 1.45 × 3.0×108[m/s] = 2.069×108[m/s]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69×108[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광 수신기의 잡음을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열잡음 + 산탄(Shot) 잡음
  2. 열잡음 + 백색(White) 잡음
  3. 산탄잡음 + 백색잡음
  4. 증폭기 잡음 + 백색잡음
(정답률: 71%)
  • 광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주로 열잡음과 산탄(Shot) 잡음으로 구성됩니다. 열잡음은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전자기기 내부의 전자들이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열 운동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산탄(Shot) 잡음은 광전자가 광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광전자가 빛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확률적인 노이즈입니다. 따라서 "열잡음 + 산탄(Shot) 잡음"이 옳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통신에서 가장 구조가 간단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광변복조 방식은?

  1. 강도변조 - 직접검파
  2. ASK – 헤테로다인검파
  3. FSK – 호모다인검파
  4. AM – 포락선검파
(정답률: 78%)
  • 광통신에서 가장 구조가 간단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광변복조 방식은 강도변조 - 직접검파입니다. 이는 광신호의 강도를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광신호를 직접 검파하여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주파수나 위상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잡한 검파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더 복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국내 선로 시설 중 지역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고정 배선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단독 배선법과 인접 중복 배선법
  2. 단독 배선법과 중복 배선법
  3. 이중 배선법과 다중 배선법
  4. 이중 배선법과 혼합 배선법
(정답률: 82%)
  • 국내 선로 시설 중 지역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고정 배선법은 "단독 배선법과 인접 중복 배선법"입니다. 이는 전기선로를 설치할 때, 인접한 지역에서 중복 배선을 하지 않고 단독으로 배선하는 경우와 인접한 지역에서 중복 배선을 하면서도 각각의 배선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고정 배선법은 전기선로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내 전기안전규정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내면이 매끈해서 케이블의 인입 포설 작업이 가장 용이한 관은?

  1. 흄관
  2. 경질 PVC관
  3. 콘크리트관
  4. 철관 및 강관
(정답률: 88%)
  • 경질 PVC관은 내면이 매끈하여 케이블의 인입 포설 작업이 가장 용이하며, 또한 경량이어서 설치가 쉽고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중 정답은 경질 PVC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xDSL의 종류별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ADSL : 비대칭형이며 전화선을 사용한다.
  2. SDSL : 비대칭형이며 전화선을 사용한다.
  3. VDSL : 전송거리가 짧으며 백본랜 등에 활용한다.
  4. HDSL : 대칭형이며 4선식 회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80%)
  • SDSL은 대칭형이며 전화선을 사용한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SDSL은 대칭형이지만 전화선 대신에 전용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은 케이블의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인가?

  1. 절연저항의 측정
  2. 루프저항의 측정
  3. 접지저항의 측정
  4. 차폐율 측정
(정답률: 68%)
  • 위 그림은 루프저항의 측정을 위한 구성이다. 루프저항은 전기회로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부분의 저항을 의미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흘려보내고 그에 따른 전압을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전류 발생기와 전압 측정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루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광선로 상태 감시를 하는 OTD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광섬유 단선지점 표시
  2. 광커넥터 및 광 융착접속 지점 표시
  3. 광섬유 총 거리측정
  4. 광섬유 편광특성 측정
(정답률: 67%)
  • 광섬유 편광특성 측정은 광선로 상태 감시를 하는 OTDR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광섬유의 광파동이 진행하는 방향과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광선로의 손실과 반사를 측정하는 것과는 다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섬유 케이블에서 입력측의 전력이 0.1[mW], 출력측의 전력이 0.001[mW]일 경우 케이블의 전송손실[dB]은?

  1. 10[dB]
  2. 20[dB]
  3. 30[dB]
  4. 100[dB]
(정답률: 55%)
  • 전송손실은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의 음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전송손실(dB) = -10log(출력전력/입력전력)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측 전력 = 0.1[mW], 출력측 전력 = 0.001[mW] 이므로, 전송손실(dB) = -10log(0.001/0.1) = -10log(0.01) = -10(-2) = 20[dB]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선로설비기준

46. 다음 용어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은?

  1. 방송통신
  2. 방송통신설비
  3. 방송통신콘텐츠
  4. 방송통신서비스
(정답률: 77%)
  • "방송통신콘텐츠"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방송통신설비는 방송통신을 위한 장비를, 방송통신은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콘텐츠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에 들지 않는 것은?

  1. 전기통신관계법령 및 전파관계법령에 따른 통신설비공사
  2. 방송법 등 방송관계법령에 의한 방송설비공사
  3. 정보통신관계법령에 따라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
  4. 수전설비를 포함한 정보통신전용 전기시설설비공사 등 기타 설비공사
(정답률: 80%)
  •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에 들지 않는 것은 "수전설비를 포함한 정보통신전용 전기시설설비공사 등 기타 설비공사"입니다. 이는 전기시설 설비공사로 분류되며, 정보통신설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감리원의 배치기준 중 100억 이상의 공사에 배치할 수 있는 자는?

  1. 기술사
  2. 특급감리원
  3. 고급감리원
  4. 중급감리원
(정답률: 79%)
  • 감리원의 배치기준 중 100억 이상의 공사에는 기술적인 전문성과 경험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사가 배치됩니다. 특급감리원과 고급감리원도 기술적인 전문성과 경험이 요구되지만, 기술사보다 높은 자격요건을 가지고 있어서 100억 이상의 공사에는 기술사보다는 더 높은 감리원이 배치됩니다. 중급감리원은 경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하여 100억 이상의 공사에는 배치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정보통신공사업자는 상호, 명칭 또는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항을 변경한 경우네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음 중 공사업의 폐업을 신고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사업자가 파산한 경우에는 그 파산관계인
  2. 법인이 합병 또는 파산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에는 그 청산인
  3. 공사업자가 사망하였으나 상속인이 그 공사업을 상속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상속인
  4. 영업정지처분에 위반하거나 최근 5년간 3회 이상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때
(정답률: 73%)
  • 공사업자가 파산한 경우에는 폐업을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파산은 공사업자의 경영능력이 결여되어 영업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산한 공사업자는 폐업을 신고하여야 합니다. 반면, 영업정지처분에 위반하거나 최근 5년간 3회 이상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는 폐업을 신고하는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 경우에도 공사업자는 경영능력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이유를 해결하고 정상적인 영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보통신공사협회는 누구의 인가를 받아 설립할 수 있는가?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특별자치도지사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정답률: 97%)
  • 정보통신공사협회는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정보통신분야의 정책과 규제 등을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선로·기계·기구 또는 그 밖에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자통신설비
  2. 정보통신설비
  3. 전기통신설비
  4. 전파통신설비
(정답률: 89%)
  • 전기통신설비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설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자통신설비나 정보통신설비, 전파통신설비와는 구분됩니다. 전기통신설비는 전화나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구축하거나 유지보수하는 데 필요한 설비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서비스 요금 감면 대상이 아닌 것은?

  1. 시중은행
  2. 재난구조
  3. 사회복지
  4. 국가안전보장
(정답률: 90%)
  • 기간통신사업자는 전기통신서비스 요금 감면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지만, 전기통신서비스 요금 감면 대상은 사회복지, 재난구조, 국가안전보장과 같은 공공적인 목적을 가진 기관이나 단체에 한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중은행은 전기통신서비스 요금 감면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맨홀 또는 핸드홀 간의 설치기준에 맞는 것은? (단, 교량·터널 등 특수구간의 경우와 광케이블 등 특수한 통신케이블만 수용하는 경우는 제외)

  1. 236[m] 이내
  2. 246[m] 이내
  3. 256[m] 이내
  4. 264[m] 이내
(정답률: 80%)
  • 맨홀 또는 핸드홀은 도로나 보도 등 공공장소에서 지하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나 차량 등이 지나다니는 도로나 보도의 안전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됩니다. 이 간격은 보통 20~30m 정도이며, 이를 넘어가면 보행자나 차량 등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맨홀 또는 핸드홀은 이러한 기준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246[m]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무엇에 대한 용어의 정의인가?

  1. 국선단자함
  2. 동단자함
  3. 층단자함
  4. 세대단자함
(정답률: 70%)
  • 이미 설치된 전기선에 새로운 전기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로, 동일한 건물 내에서 다른 가구와 전기선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것이 동단자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특별히 위해방지설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저통신선은 해저 강전류전선으로부터 몇 미터 이내의 거리에 접근하여 설치할 수 없는가?

  1. 500[m]
  2. 550[m]
  3. 600[m]
  4. 650[m]
(정답률: 91%)
  • 해저 강전류는 일반적으로 500m 이내에서 발생하며, 이는 해저통신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저통신선은 해저 강전류전선으로부터 500m 이상의 거리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골조공사시 세대단자함의 재질 및 보강방법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1.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 세대 간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3. 예비전원을 쉽게 가설하기 위하여
  4. 단지서버를 쉽게 설치하기 위하여
(정답률: 80%)
  • 골조공사시 세대단자함은 전기설비의 연결점을 보호하고 안전한 전기공급을 위해 설치됩니다. 이때, 세대단자함은 고온, 고습, 충격 등의 환경적 요인에 노출되기 때문에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세대단자함을 설치할 때는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강한 재질로 제작하고 보강방법을 고려하여 설치합니다. 이를 통해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장기적인 사용을 가능케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방송사 – 방송기계실 - 중요방송사
  2. 방송실 – 통신실 - 핵심방송실
  3. 통신국사 – 통신기계실 - 중요통신국사
  4. 통신실 – 방송실 – 핵심통신실
(정답률: 95%)
  • 통신국사는 통신기계실을 관리하고 중요한 통신 업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통신국사 – 통신기계실 - 중요통신국사"가 올바른 짝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송과 관련된 용어들이 혼합되어 있거나, 역할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에 대한 용어의 정의가 잘못된 것은?

  1. 옥외설비 : 중계케이블이나 안테나 설비 등 옥외에 설치되는 통신설비
  2. 통신기계실 : 교환설비나 전송설비, 전산설비 등이 설치되는 장소
  3. 중요데이터 : 시스템 데이터나 국 데이터 등 해당 데이터의 파괴, 소실 등으로 통신망 기능에 중대한 지장을 주는 데이터
  4. 응답스펙트럼 : 방송통신설비가 가지고 있는 고유 진동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
(정답률: 64%)
  • 정답은 "중요데이터 : 시스템 데이터나 국 데이터 등 해당 데이터의 파괴, 소실 등으로 통신망 기능에 중대한 지장을 주는 데이터"입니다. 중요데이터는 방송통신설비에 대한 용어가 아니라 데이터 통신에 대한 용어입니다.

    응답스펙트럼은 방송통신설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진동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즉, 해당 설비가 어떤 주파수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 등에 관한 기술기준'에서 정의하는 사업용 방송통신설비가 아닌 것은?

  1. 독립통신설비
  2. 기간통신설비
  3. 전송망설비
  4. 부가통신설비
(정답률: 65%)
  • 독립통신설비는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기업체 등이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하는 통신설비를 말하며, 사업용 방송통신설비와는 구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독립통신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방송통신 옥외설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대책이 아닌 것은?

  1. 풍해대책
  2. 동결대책
  3. 낙뢰대책
  4. 자외선대책
(정답률: 88%)
  • 자외선은 방송통신 옥외설비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대책은 방송통신 옥외설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외선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