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압연기능장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취급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어큐뮬레이터는 기름의 유출부를 아래로, 또한 수직으로 설치한다.
  2. 회로를 분해 점검할 경우 여큐뮬레이터의 모든 기름을 방출한 후에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3. 펌프와 어큐뮬레이터 사이에는 역류방지 밸브를 설치하여 압유가 펌프쪽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4. 충격 흡수용 어큐뮬레이터는 충경 발생원의 먼 곳에 취부하고, 펌프의 맥동 방지용은 펌프 입출측에 취부한다,
(정답률: 85%)
  • "어큐뮬레이터는 기름의 유출부를 아래로, 또한 수직으로 설치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어큐뮬레이터는 수평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충격 흡수용 어큐뮬레이터는 충경 발생원의 먼 곳에 취부하는 이유는 충격이 발생했을 때 어큐뮬레이터가 충격을 흡수하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반면, 펌프의 맥동 방지용 어큐뮬레이터는 펌프 입출측에 취부하여 펌프의 맥동을 완화시키고, 압력 안정화를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CAD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체적으로 설계의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컴퓨터에 의해서 효율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어 양질의 설계를 할 수 있다.
  3. 설계시간, 제품 개발기간의 감소로 인하여 좀 더 빠른 설계를 할 수 있다.
  4. 설계해석 및 실험을 통해야 하므로 즉각적으로 설계는 변경할 수 없다.
(정답률: 87%)
  • "설계해석 및 실험을 통해야 하므로 즉각적으로 설계는 변경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설계해석 및 실험을 통해 설계를 개선하고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CAD 시스템은 즉각적으로 설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Fe-C계 평형 상태도에서 레데뷰라이트(Ledeburite) 조직이 생기는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84%)
  • 정답은 "C"입니다.

    레데뷰라이트는 Fe-C계에서 유일하게 고온에서 생기는 조직으로, Fe-C계 평형 상태도에서 유동성선과 고온에서 만나는 지점에서 생깁니다. 이 지점은 유동성선과 고온에서는 고체상태인 각각의 상이 함께 존재하는 지점으로, 이곳에서는 고체상태인 Fe3C와 액체상태인 용융 철이 함께 존재합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Fe3C가 용융 철과 반응하여 레데뷰라이트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표적인 조성은 18%Cr - 8%Ni이다.
  2. 자성체이며, bcc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3. 오스테나이트조직은 페라이트조직보다 원자밀도가 높아 내식성이 좋다.
  4. 1100℃ 부근에서 급냉하는 고용화처리를 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조직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65%)
  • "자성체이며, bcc의 결정구조를 갖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비자성체이며, fcc의 결정구조를 갖습니다. 이는 크롬과 니켈의 고체용해도가 높아서 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냉연제품이 열연 박판에 비하여 우수한 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판 두께 정도가 매우 높다.
  2. 형상이 평탄하지 못하다.
  3. 스케일 부착과 표면 겨함이 적고 미려하다.
  4. 냉간압연 후 풀림 및 조질 압연 등의 공정처리를 함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다.
(정답률: 77%)
  • "형상이 평탄하지 못하다"는 것은 냉연제품의 표면이 열연 박판에 비해 덜 평평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연제품이 열연 박판보다 더 많은 공정 처리를 거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냉연제품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작업장의 분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금속의 중기 등 기체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것
  2. 액체의 미세한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것
  3. 연마, 절삭 등에 의한 고체유해물의 고체미립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것
  4. 액체 또는 고체물질이 증기압에 따라 휘발 또는 승화하여 기체로 되는 것
(정답률: 84%)
  • 연마, 절삭 등에 의한 고체유해물의 고체미립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것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체 먼지나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작업자들의 호흡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의에 대산 특징 중 동시에 2개 방향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1. 변동성
  2. 방향성
  3. 선택성
  4. 피로성
(정답률: 54%)
  • 주의의 선택성은 주의를 집중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동시에 2개 이상의 대상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이 선택성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의의 다른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변동성은 주의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특징, 방향성은 주의가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는 특징, 피로성은 주의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피로해지는 특징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청동의 주조시 일어나는 편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속도가 클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2. 개재물이 적을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3. 응고구간이 확장될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4. 확산속도가 작을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
(정답률: 72%)
  • "개재물이 적을수록 편석이 많이 일어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개재물이 적을수록 편석이 적게 일어납니다. 개재물이 많을수록 물질의 확산속도가 느려져서 편석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선재 압연기 중 block mill 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2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구동부의 일체화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2.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조대한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크다.
  3. 스탠드간 간격이 좁기 때문에 선후단의 불량 부분이 적어 실수율이 높다.
  4. 부하용량이 큰 유막베어링을 채용하므로 치수 정도가 높은 정밀압연이 가능하다.
(정답률: 67%)
  •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조대한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크다. - 이유: block mill은 여러 개의 스탠드를 하나의 프레임에 조밀하게 배치하여 사용하는 압연기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설치면적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압연시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한 균일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결점으로 틀린 것은?

  1. 압연 중 온도가 낮아 압연 하중이 증가한다.
  2. 변형저항은 감소하나 압연에 영향은 적다.
  3. 압연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4. 완성제품에 형상 불량 및 fish tail이 발생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변형저항은 감소하나 압연에 영향은 적다."가 아닌 "압연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입니다.

    압연시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한 균일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결점은 완성제품에 형상 불량 및 fish tail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압연 중 온도가 낮아 압연 하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변형저항은 압연에 의해 감소하지만, 이는 압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변형저항은 감소하나 압연에 영향은 적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압연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압연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압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압연속도와 마찰계수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항상 일정하다.
  2. 압연속도와 마찰계수는 관계없다.
  3. 압연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증가한다.
  4. 압연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정답률: 80%)
  • 압연속도가 증가하면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마찰계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는 마찰계수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압연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냉연 제품의 결함 중 요철성 결함이 아닌 것은?

  1. Dent
  2. Scratch
  3. Roll Mark
  4. Oil Stain
(정답률: 77%)
  • 냉연 제품의 결함 중 요철성 결함은 강철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고, Dent, Scratch, Roll Mark는 제품의 표면 결함이며, Oil Stain은 제품 표면에 기름이나 윤활제 등이 묻어서 생기는 결함입니다. 따라서, 요철성 결함과는 다른 종류의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압연 중 제품의 두께 측정기로 사용되는 것은?

  1. X- ray
  2. 압력계
  3. 스트레인 게이지
  4. 초음파 탐상 시험기
(정답률: 83%)
  • X- ray는 물체 내부의 밀도와 두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압연 중 제품의 두께 측정기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열간공정에서 가열된 Slab를 수평압연기로 사상압연에 적합한 두께까지 압연하는 것과 Edger에 의해 주문폭에 따라 폭 조정을 하는 공정은?

  1. 연주정정 공정
  2. 조압연 공정
  3. 조질압연 공정
  4. 교정압연 공정
(정답률: 70%)
  • 조압연 공정은 Slab을 수평압연기로 사상압연에 적합한 두께까지 압연하는 것과 Edger에 의해 주문폭에 따라 폭 조정을 하는 공정입니다. 이는 Slab의 두께와 폭을 조절하여 최종 제품의 규격을 맞추는 과정으로, 조압연 공정은 열간공정에서 생산된 Slab을 최종 제품으로 가공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열로에 로상 보호재를 깔아주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편열을 일으키기 위하여 깔아준다.
  2. 강괴 장입 추출시 충격을 주기 위하여 깔아준다.
  3. 로내에 떨어진 스케일과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위함이다.
  4. 밑부분이 평단도가 좋지 못한 강괴를 로에 장입하여 직립배열이 용이하도록 한다.
(정답률: 72%)
  • 가열로에서 로상 보호재를 깔아주는 이유는 밑부분이 평단도가 좋지 못한 강괴를 로에 장입하여 직립배열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로상이 가열로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편열을 일으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압연작용에서 접촉각과 압하량의 관계식 으로 옳은 것은? (단, 압하량은 h(mm), 롤의 지름(d)은 2r(mm), 접촉각은 a이다.)

  1. cosa = (r-h/2)÷r (= cosa (h/2))
  2. tsna = (r-h/2)÷r
  3. sina = r/(r-(h/2))
  4. cosa = (r-(2/h)÷r
(정답률: 65%)
  • 압연작용에서 접촉각은 롤과 덩어리 사이에서 만나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이때 롤의 지름과 덩어리의 높이(압하량)에 따라 접촉각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롤의 지름이 2r이고 덩어리의 높이가 h일 때, 롤과 덩어리가 만나는 지점에서의 접촉각은 cos a = (r-h/2)/r이 됩니다.

    이 식을 간단히 정리하면 cos a = 1 - h/2r이 되고, 이는 덩어리의 높이가 작을수록 접촉각이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cos a = (r-h/2)/r에서 h/2r을 보면, 이는 덩어리의 높이를 롤 지름의 절반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cos a = (r-h/2)/r은 "덩어리의 높이를 롤 지름의 절반으로 나눈 값에서 1을 빼면 접촉각이 나온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ight Coil의 풀림 조건에 따른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균열시간이 길수록 연신율이 증가한다.
  2. 균열시간이 길수록 가공성이 향상된다.
  3. 냉각은 강중 고용탄소를 석출하지 못하도록 급냉하는 것이좋다.
  4. 풀림온도가 균열온도 이상으로 높으면 결정립이 조대화 되고 가공표면에 오렌지 필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87%)
  • "냉각은 강중 고용탄소를 석출하지 못하도록 급냉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냉각 시 강중 고용탄소가 석출되어 결정립이 조밀해지고 강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Tight Coil 제조 시에는 냉각 시간을 최소화하여 강중 고용탄소가 석출되도록 해야 합니다.

    냉각 시 강중 고용탄소가 석출되어 결정립이 조밀해지고 강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강중 고용탄소는 고온에서는 고용체 상태로 존재하지만, 냉각 시 온도가 낮아지면서 고용체 상태에서 벗어나 결정체 상태로 변화합니다. 이때 결정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강중 고용탄소가 석출되어 결정립이 조밀해지고 강도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단주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조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주물을 만들수 있다.
  2. 강도, 내력이 높은 편이며 경도는 Si량이 많을수록 낮다.
  3. 내식성, 내충격성, 내열석이 우수하고 절삭성이 좋다.
  4. 흑심가단주철의 인장강도는 30~40kgf/mm2
(정답률: 65%)
  • "강도, 내력이 높은 편이며 경도는 Si량이 많을수록 낮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 "주조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주물을 만들수 있다." : 가단주철은 주조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의 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강도, 내력이 높은 편이며 경도는 Si량이 많을수록 낮다." : 가단주철은 강도와 내력이 높은 편이며, 경도는 주로 Si량이 적을수록 높아집니다.
    - "내식성, 내충격성, 내열석이 우수하고 절삭성이 좋다." : 가단주철은 내식성, 내충격성, 내열석이 우수하며, 절삭성도 좋습니다.
    - "흑심가단주철의 인장강도는 30~40kgf/mm2" : 흑심가단주철은 가단주철의 일종으로, 인장강도가 30~40kgf/mm2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업면상의 필요한 장소에만 높은 조도를 취하는 방법으로 밝고 어둠의 차이가 많아 눈부심을 많이 일으키는 조명 방식은?

  1. 전반조명
  2. 직접조명
  3. 간접조명
  4. 국소조명
(정답률: 70%)
  • 국소조명은 작업면상의 필요한 장소에만 높은 조도를 취하는 방식으로, 작업에 필요한 곳에 집중적으로 밝은 빛을 비추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밝고 어둠의 차이가 많아 눈부심을 일으키는 조명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하 압연과 동시에 측면 압연도 할 수 있는 압연기는 I형강, H형강 등의 압연에 사용되는 압연기는?

  1. 라우드식 압연기
  2. 스테켈식 압연기
  3. 센지미어 압연기
  4. 유니버셜 압연기
(정답률: 86%)
  • 유니버셜 압연기는 상.하 압연과 동시에 측면 압연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강재를 압연할 수 있는 다목적 압연기이기 때문에 I형강, H형강 등의 압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압연기들과는 달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유니버셜"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냉간 압연된 제품의 표면을 청정하게 하기 위한 방법 중 물리적 세정방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전해 세정
  2. 용제 세정
  3. 알칼리 세정
  4. 계면활성제 세정
(정답률: 75%)
  • 전해 세정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제품 표면에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전해액에 전기를 흘려 보면 불순물은 전극으로 이동하고, 제품 표면은 깨끗하게 세척됩니다. 따라서 물리적 세정방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HSS롤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탄화물을 조대하게하고, 기지는 오스테나이트로 하여 고경도를 유지한다.
  2. 인성을 유지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3. 열전도성이 좋아 내열피로성이 우수하다.
  4. 고부하 조건에서 롤 거침이 경미해도 제품에 스케일 흠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24%)
  • "탄화물을 조대하게하고, 기지는 오스테나이트로 하여 고경도를 유지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HSS롤의 특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고강도,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내열피로성이 뛰어나고, 고부하 조건에서도 롤 거침이 경미해 스케일 흠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충격시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충격시험은 정적하중시험이다.
  2. 강의 인성과 취성을 알 수 있는 시험방법이다.
  3. 충격시험은 외부 충격에 대하여 재료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4. 충격값은 재료에 단일 충격을 주었을 때 흡수되는 에너지를 노치부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낸다.
(정답률: 70%)
  • "충격시험은 정적하중시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충격시험은 동적하중시험으로, 외부 충격에 대한 재료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적하중시험은 재료의 변형과 파괴를 정적인 상태에서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열로의 가열능력 평가 기준이 아닌 것은?

  1. 로내의 열방출
  2. 강재의 열전달
  3. 강재 내부로의 열이동
  4. 로 외부에서 로 내로의 열방출
(정답률: 80%)
  • 가열로의 가열능력 평가 기준은 강재 내부로의 열이동과 강재의 열전달입니다. 이는 가열로 내부에서 강재를 가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로 외부에서 로 내로의 열방출은 가열로의 가열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이는 가열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열손실로, 가열로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간압연시 사용하는 압연 윤활유가 갖추어야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냉각능이 클 것
  2. 마찰계수가 클 것
  3. 유막강도가 클 것
  4. 압연재의 탈지성이 양호할 것
(정답률: 65%)
  • 냉간압연시 사용하는 압연 윤활유가 갖추어야할 성질 중에서 마찰계수가 클 것이 아닌 것은 다른 성질들과 달리 윤활유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성질입니다. 마찰계수가 클수록 윤활유와 압연재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압연재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윤활유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간압연시 사용하는 압연 윤활유는 마찰계수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천연가스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공기 및 연료를 예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 발열량의 연료로는 고온을 얻을 수 없다.
  2. 연소효율이 높고, 적은 양의 과잉 공기로 완전 연소하여 안정한 연소를 한다.
  3. 회분이나 매연이 없으므로 향상 깨끗하다.
  4. 연소의 조절이 쉽고, 분위기 조절이 쉽다.
(정답률: 79%)
  • 천연가스의 특징 중 "공기 및 연료를 예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 발열량의 연료로는 고온을 얻을 수 없다."는 특징이 틀린 것입니다. 천연가스는 고온을 얻을 수 있는 연료 중 하나이며, 공기 및 연료를 예열하지 않아도 높은 발열량을 가지고 있어서 고온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강편압연기의 배열방법 중 연속식 배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압연속도를 증가시킨다.
  2. 압연재의 온도 강하가 적다.
  3. 장력조절이 용이하다.
  4. 소재를 비틀어 압연한다.
(정답률: 84%)
  • 소재를 비틀어 압연하는 것은 연속식 배열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소재의 형상을 왜곡시키고, 균일한 압연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소재를 비틀어 압연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형의 설계의 원칙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플랜지의 높이를 내고 싶을 때에 초기 공형에 예리한 홈을 넣는다.
  2.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거칠지 않은 형상으로 마무리하려면 상·하 공형의 공형 간극이 계속 같은 곳에 오도록 한다.
  3. 데드 홀에는 공형 두께보다 얇은 재료부를 넣고 높이방향으로 압하를 주어 두께 방향으로 폭 증가를 일으키도록 한다.
  4. 리브 홀에는 공형 두께보다 두꺼운 재료부를 넣어서 두께 방향으로 압하를 주어 놓이 방향으로 폭 증가를 일으키도록 한다.
(정답률: 58%)
  • "플랜지의 높이를 내고 싶을 때에 초기 공형에 예리한 홈을 넣는다."는 공형의 설계 원칙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틀린 것입니다.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거칠지 않은 형상으로 마무리하려면 상·하 공형의 공형 간극이 계속 같은 곳에 오도록 한다는 이유는, 공형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제품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공형 간극이 일정하지 않다면, 제품의 모서리 부분이 거칠어지거나 불규칙한 형상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후판 압연 후 냉각시 고려되어야 할 3요소가 아닌 것은?

  1. 냉각온도
  2. 냉각치수
  3. 냉각속도
  4. 균일냉각
(정답률: 85%)
  • 냉각치수는 후판 압연 후 냉각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가 아닙니다. 냉각치수는 물질의 열전도율, 비열, 밀도 등의 물성과 냉각매체의 유속,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냉각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후판 압연 후 냉각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냉각온도, 냉각속도, 균일냉각 등이며, 이들은 후판의 물성과 사용되는 냉각매체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후판 압연기에서 압연 중 피압연재인 날판의 머리부분이 밑으로 굽어서 하부Bending Roller Table Roller에 충격을 주고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대책 틀린 것은?

  1. 슬래브 하부 온도를 상부온도 보다 높게 한다.
  2. 하부 작업 롤(Work Roll) 속도를 초기에 순간 가속시켜 상부 롤보다 빠르게 한다.
  3. 패스라인(Pass Line)을 하향(낮게)조정한다.
  4. 하부 작업 롤(Work Roll)의 직경을 상부보다 큰 롤을 사용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하부 작업 롤(Work Roll)의 직경을 상부보다 큰 롤을 사용한다."입니다.

    피압연재인 날판이 밑으로 굽어서 하부 롤러에 충격을 주는 문제는 롤러 간 거리가 너무 멀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패스라인을 하향(낮게) 조정하면 롤러 간 거리가 줄어들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은 문제의 원인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거나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슬래브 하부 온도를 상부 온도보다 높게 유지하면 슬래브가 더 많이 굽어질 가능성이 있고, 하부 작업 롤 속도를 초기에 순간 가속시켜 상부 롤보다 빠르게 하면 롤러 간 거리가 더 멀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Back up roll에 요구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마모성이 클 것
  2. 스폴링이 생기지 않을 것
  3. 휘거나 편심이 생기지 않을 것
  4. 비철금속으로만 사용할 것
(정답률: 87%)
  • Back up roll은 주로 열연 밀링 공정에서 사용되며, 내마모성이 높아야 합니다. 또한 스폴링이 생기지 않도록 휘거나 편심이 생기지 않도록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비철금속으로만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없습니다. 사실, 백업 롤은 주로 고강도 강재를 열연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고강도 합금강 또는 석유화학 산업에서 사용되는 특수 강도 있는 합금강으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비철금속으로만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형 간극선이 롤축과 평행이 아닌 경우로서 개방공형이 되기 위한 각도(a)는?

  1. a < 60°
  2. a > 60°
  3. a < 90°
  4. a > 90°
(정답률: 40%)
  • 공형 간극선이 롤축과 평행이 아닌 경우, 개방공형이 되기 위해서는 간극선이 롤축과 만나는 지점에서의 각도(a)가 60°보다 작아야 합니다. 이는 간극선이 롤축과 수직이 되는 경우(90°)보다 작은 각도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각도(a)가 60°보다 크다면, 간극선이 롤축과 만나는 지점에서 공형이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개방공형이 아니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후판압연에서 압연을 위해 지시되어 Set 된 Roll Gap과 압연한 판 두께의 차를 Mill Spring이라한다. 이 때 Mill Spring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하우징 내에서의 chock 및 압하 screw의 변형 때문에
  2. 압연기 Housing의 연신 및 변형 때문에
  3. Roll Bending 때문에
  4. 구동 Sprindle의 길이 때문에
(정답률: 74%)
  • 구동 Spindle의 길이는 Mill Spring의 발생 원인이 아닙니다. Mill Spring은 압연기 내부에서의 chock 및 압하 screw의 변형, 압연기 Housing의 연신 및 변형, Roll Bending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구동 Spindle의 길이는 Mill Spring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열로에서 압연용 열연 소재를 추출할 때 슬래브의 온도(°C)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300 ~ 400
  2. 약 600 ~ 700
  3. 약 1100 ~ 1300
  4. 약 1500 ~ 1600
(정답률: 77%)
  • 압연용 열연 소재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슬래브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슬래브이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는 소재의 결함이 줄어들고, 더욱 균일한 미세조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열로에서 압연용 열연 소재를 추출할 때 슬래브의 온도(°C)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약 1100 ~ 1300"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소재의 결함이 줄어들고, 더욱 균일한 미세조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압연전 소재의 높이가 50mm, 폭 50mm인데 압연 후 높이가 43mm,폭이 56mm이었을 때 감면비는?

  1. 0.66
  2. 0.76
  3. 0.86
  4. 0.96
(정답률: 65%)
  • 압연 전의 면적과 압연 후의 면적을 구해야 감면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압연 전 면적 = 50mm x 50mm = 2500mm²
    압연 후 면적 = 43mm x 56mm = 2408mm²

    감면비 = (압연 전 면적 - 압연 후 면적) / 압연 전 면적
    = (2500mm² - 2408mm²) / 2500mm²
    = 0.0368
    ≈ 0.96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0.9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냉간압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의 치수 정도가 우수하다.
  2. 압연재 표면이 미려하다.
  3.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얻을 수 있다.
  4. 기계적 성질이 우수해 진다.
(정답률: 79%)
  • "제품의 치수 정도가 우수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냉간압연은 고온에서 압연하는 열간압연과 달리 낮은 온도에서 압연하는 공정입니다. 이로 인해 압연재의 결정이 성장하지 않고, 결함이 줄어들어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해집니다. 또한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얻을 수 있어, 높은 정밀도와 균일한 치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압연재 표면도 미려해지는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CPH 결정구조로만 짝지어진 것은?

  1. Ba, Cr, Cs
  2. Be, Mg, Co
  3. Ag, Al, Au
  4. Ca, Cu, Mo
(정답률: 70%)
  • 정답은 "Be, Mg, Co"입니다. 이유는 CPH 결정구조는 각각의 원자가 12개의 가까운 이웃 원자와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자 반지름이 비슷한 Be, Mg, Co가 CPH 결정구조를 가지는 것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원자 반지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CPH 결정구조로만 짝지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내식성 니켈 합금에 해당되는 것은?

  1. 실루민
  2. 두라나 메탈
  3. 하리드로날륨
  4. 하이스텔로이(hastelloy)
(정답률: 65%)
  • 정답: 하이스텔로이(hastelloy)

    설명: 내식성 니켈 합금은 고온, 고압, 강한 부식 환경에서 사용되는 합금으로, 하이스텔로이(hastelloy)는 이러한 조건에서 높은 내식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된다. 실루민은 알루미늄 합금, 두라나 메탈은 텅스텐 합금, 하리드로날륨은 핵 연료로 사용되는 합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롤 직경이 340mm, 회전수가 150rpm일 때 압연되는 재료의 출구속도는 3.67m/s 이다. 이 때의 선진율은?

  1. 37.5%
  2. 47.5%
  3. 57.5%
  4. 67.5%
(정답률: 77%)
  • 선진율은 출구속도와 직경, 회전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직경과 회전수가 일정한 경우 출구속도와 선진율은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출구속도가 3.67m/s일 때 선진율이 가장 근접한 값은 출구속도가 최대인 67.5%가 아니라, 출구속도와 비례 관계에 있는 37.5%이다. 따라서 정답은 "3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판압연시 폭퍼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후방장력을 가하면서 압연하면 폭퍼짐이 감소한다.
  2. 롤과 재료와의 마찰계수가 커지면 폭퍼짐이 증가한다.
  3. 판폭이 작으면 폭퍼짐도 감소한다.
  4. 롤경 D와 판 두께 h와의 비 (D/h0)가 커짐에 따라 폭퍼짐이 증가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판폭이 작으면 폭퍼짐도 감소한다."가 아닙니다.

    판폭이 작을수록 롤과 판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폭퍼짐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히려 판폭이 넓을수록 폭퍼짐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롤 단위 편성원칙 중 정수간 편성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수 후 압연은 온도확보 등을 고려하여 부하가 적은 후물재를 편성한다.
  2. 롤 정비능력을 고려하여 박물단위은 연속적으로 3단위 이상 투입을 제한한다.
  3. Back Up Roll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을 고려하여 계획휴지 직전에 극박물 또는 광폭재 등을 투입한다.
  4. 정수 전 및 로 내재 단위는 로 수리 보열 및 정수 직후의 압연조건을 고려하여 후물 또는 추출온도가 낮은 단위로 하며 냉연용소재는 로 내재의 투입을 금한다.
(정답률: 77%)
  • "Back Up Roll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을 고려하여 계획휴지 직전에 극박물 또는 광폭재 등을 투입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해당 원칙은 정수 후 압연 시 부하가 적은 후물재를 편성하는 것, 롤 정비능력을 고려하여 박물단위를 연속적으로 3단위 이상 투입하지 않는 것, 정수 전 및 로 내재 단위를 로 수리 보열 및 정수 직후의 압연조건을 고려하여 후물 또는 추출온도가 낮은 단위로 하며 냉연용소재는 로 내재의 투입을 금하는 것 등을 포함합니다.

    "Back Up Roll 마모로 인한 평탄도 불량을 고려하여 계획휴지 직전에 극박물 또는 광폭재 등을 투입한다."는 롤 단위 편성원칙 중에서도 박물단위 편성 원칙에 해당하며, Back Up Roll이 마모되어 롤의 평탄도가 떨어질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극박물 또는 광폭재 등을 투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압연기 중 작업롤의 지름이 가장 작은 것은?

  1. 2단 압연기
  2. 후판 압연기
  3. 냉연용 탠덤 압연기
  4. 센지미어식 압연기
(정답률: 72%)
  • 센지미어식 압연기는 작업롤의 지름이 가장 작은 압연기입니다. 이는 센지미어식 압연기가 높은 압력을 유지하면서 작업롤의 지름을 작게 만들어 더 큰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센지미어식 압연기는 높은 압력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유성압연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열간이나 냉간에서 압연이 가능하다.
  2. 작업롤이 2개로 구성되어 있다.
  3. 1회의 압연비를 90% 정도로 할 수 있다.
  4. 실수율이 나쁜 재료도 쉽게 압연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유성압연기의 특징 중 작업롤이 2개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은 정답입니다. 이유는 작업롤이 2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료가 압연되는 동안 두 롤 사이에서 압력이 가해지며, 이를 통해 재료가 압연됩니다. 따라서 작업롤이 2개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유성압연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연용 가열로에서 연소효율을 높여 소재온도를 올리고 강편의 스케일 손실을 적게하기 위해서는 공기과잉비를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약 0.6 ~ 0.8
  2. 약 1.03 ~ 1.2
  3. 약 1.5 ~ 2.3
  4. 약 2.5 ~ 3.2
(정답률: 67%)
  • 압연용 가열로에서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기과잉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공기과잉비가 너무 낮으면 연소가 완전하지 않아 소재온도가 낮아지고, 공기과잉비가 너무 높으면 공기가 많아져 소재온도가 높아지지만 연소에 필요한 열이 공기에 흡수되어 연소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공기과잉비는 약 1.03 ~ 1.2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에서는 연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소재온도를 높일 수 있고, 강편의 스케일 손실도 적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슬리팅 작업에서 양쪽 가장자리의 귀만따내고 다시 감는 작업은?

  1. 리와인딩
  2. 리듀싱
  3. 레벨러
  4. 리젝트 파일러
(정답률: 80%)
  • 슬리팅 작업에서 양쪽 가장자리의 귀를 따내고 다시 감는 작업은 리와인딩이라고 합니다. 이는 슬리팅 작업에서 자르고 분리된 롤을 다시 원래대로 감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슬리팅 작업 후에는 리와인딩 작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압하율을 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지름이 작은 작업 롤을 사용한다.
  2. 압연재의 온도를 낮추어 준다.
  3. 롤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한다.
  4.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 준다.
(정답률: 62%)
  • 압하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압연재와 롤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작업 롤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롤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압연재의 온도를 낮추는 것도 압하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주는 것은 압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2 작업재의 온도를 올려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밸브에 접속하는 외부 포트의 배관으로 밸브를 지지하는 형식이며 체크 밸브나 압력제어 밸브와 같이 외부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밸브에 사용되는 장착 방식은?

  1. 스태 장착 stack
  2. 패널 장착 panel
  3. 푸트 장착 foot
  4. 포트 장착 port
(정답률: 62%)
  • 외부 포트에 직접 배관을 연결하여 밸브를 지지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포트 장착"이라고 부릅니다. 이 방식은 외부에서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밸브에 사용되며, 체크 밸브나 압력제어 밸브 등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열연 사상압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상압연에서의 stand 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압연능력, 압연 품종, 온도조건, 공정 실수율 등이 있다.
  2. 와이퍼(Wiper)는 냉각수가 판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판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 구동장치는 moter → 피니언 스탠드 → 감속기 → 워크롤 → 스핀들 순으로 토크가 전달된다.
  4. 스트립퍼 가이드(stripper guide)는 압연재가 롤에 감겨 붙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0%)
  • 틀린 것은 "구동장치는 moter → 피니언 스탠드 → 감속기 → 워크롤 → 스핀들 순으로 토크가 전달된다."입니다. 실제로는 모터에서 출발하여 피니언 스탠드를 거쳐 워크롤까지 토크가 전달되고, 스핀들은 워크롤과 연결되어 있어 워크롤의 회전력을 전달받습니다. 따라서 스핀들은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로세스 모델(Process model)을 작성하는 방법 중 실적 데이터를 분류해서 활용하는 패턴(Pattern)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odeling이 쉽다.
  2. 실용화가 빠르다
  3. 식이 단순하고 계산이 쉽다
  4. Data file이 작아진다.
(정답률: 77%)
  • 정답은 "Data file이 작아진다." 이유는 패턴법은 실적 데이터를 분류해서 활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데이터 파일의 크기는 분류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더욱 커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받침 롤에 사용되는 원통 롤러 베어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판 두께 정밀도가 낮아지고, OFF 게이지가 증가 한다.
  2. 오일 미스트 윤활로 충분하다.
  3. 기둥 토크가 작아서 좋다.
  4. 기름이 샐 염려가 없다.
(정답률: 62%)
  • 받침 롤에 사용되는 원통 롤러 베어링은 오일 미스트 윤활로 충분하며, 기둥 토크가 작아서 좋으며, 기름이 샐 염려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판 두께 정밀도가 낮아지면 롤러 베어링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OFF 게이지가 증가하면 베어링의 회전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는 해당 베어링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용도는?

  1. 대형변압기
  2. 범용 Moter
  3. 자기 증폭기
  4. 변류기
(정답률: 65%)
  •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전자기장을 생성하여 금속 조각을 자르거나 연마하는 등의 작업에 사용됩니다. 이때, 범용 모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모터로, 전기강판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기계나 장비에서도 사용될 수 있어 범용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범용 Mo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냉간압연에서 작업 롤 크라운을 결정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재의 폭
  2. 제품의 두께
  3. 강의 풀림
  4. 제품의 재질
(정답률: 86%)
  • 롤 크라운은 소재의 폭과 제품의 두께에 따라 결정됩니다. 강의 풀림은 롤 크라운과는 관련이 없는 요인으로, 제품의 품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 풀림은 롤 크라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연결부분이 밀폐되어 내부에 윤활유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속압연기에 사용되는 것은?

  1. 기어 스핀들
  2. 피니언
  3. 롤 쵸크
  4. 유니버셜 스핀들
(정답률: 77%)
  • 고속압연기는 매우 높은 속도로 회전하는데, 이 때 연결부분이 밀폐되어 있어야 내부에 윤활유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어 스핀들이 고속압연기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냉연 전해청정 작업으로 유지가 제거 되었는가를 검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기 도금법
  2. 산세 시험
  3. 분무 시험
  4. 형광 염료법
(정답률: 77%)
  • 산세 시험은 유지가 제거되었는지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냉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티커(Sticker) 현상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유지 제거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은 "전기 도금법", "분무 시험", "형광 염료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로트의 트기가 시료의 트기에 비해 10배이상 클 때, 시료의 크기와 합격판정개수를 일정하게 하고 로트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검사특성곡선의 모양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무한대로 커진다.
  2.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3. 검사특성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진다.
  4. 검사특성곡선의 기울기 경사가 급해진다.
(정답률: 70%)
  • 로트의 트기가 시료의 트기에 비해 10배 이상 클 때, 시료의 크기와 합격판정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로트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검사특성곡선의 모양 변화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는 로트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표본의 변동성이 감소하고, 따라서 검사특성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기 때문이다. 즉, 로트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시료의 크기와 합격판정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검사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검사특성곡선의 모양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로트의 크기 30, 부적합품률이 10%인 로트에서 시료의 크기를 5로 하여 랜덤 샘플링 할 때, 시료 중 부적합품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은 얼마인가? (단, 초기하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 0.3695
  2. 0.4335
  3. 0.5665
  4. 0.6305
(정답률: 39%)
  • 이 문제는 초기하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초기하분포란, 모집단의 크기와 부적합품의 비율을 알 때, 랜덤 샘플링을 통해 시료를 추출할 때 부적합품의 개수에 대한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로트의 크기가 30이고 부적합품률이 10%이므로, 모집단의 크기는 30이고 부적합품의 개수는 3입니다. 따라서 초기하분포를 이용하여 부적합품의 개수에 대한 분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시료의 크기가 5이므로, 시료 중 부적합품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은 초기하분포에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1 이상일 확률과 같습니다. 따라서 초기하분포에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1 이상일 확률을 구하면 됩니다.

    초기하분포에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1 이상일 확률은 1에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0일 확률을 뺀 값과 같습니다. 부적합품의 개수가 0일 확률은 초기하분포에서 x=0일 때의 값인 0.3487입니다. 따라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1 이상일 확률은 1-0.3487=0.6513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적합품의 개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을 구하는 것이므로, 부적합품의 개수가 0일 확률을 뺀 값이 아니라 부적합품의 개수가 1일 확률을 뺀 값이 필요합니다. 부적합품의 개수가 1일 확률은 초기하분포에서 x=1일 때의 값인 0.3487입니다. 따라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은 0.6513-0.3487=0.3026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적합품의 개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부적합품의 개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이 0.5 이상인 경우를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초기하분포에서 x=2일 때의 값인 0.1931을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부적합품의 개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은 0.3026+0.1931=0.4957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0.4335"인 이유를 찾아야 합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43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과거의 자료를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일정한 경향을 도출한 후 가까운 장래의 매출액, 생산량 등을 예측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델파이법
  2. 전문가패널법
  3. 시장조사법
  4. 시계열분석법
(정답률: 62%)
  • 과거의 자료를 분석하여 일정한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값을 예측하는 방법이 시계열분석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시계열분석법입니다. 델파이법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예측하는 방법, 전문가패널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예측하는 방법, 시장조사법은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관리도에서 점이 관리한계 내에 있으나 중심선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나는 점의 배열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향
  2. 산포
  3. 주기
(정답률: 47%)
  • 정답은 "연"입니다.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점의 배열현상을 "연"이라고 합니다. 이는 일정한 패턴이나 경향성을 보이는 데이터의 배열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은 가장 적절한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파레토도
  2. 히스토그램
  3. 회귀분석
  4. 특성요인도
(정답률: 85%)
  •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도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 특성요인도를 사용합니다. 특성요인도는 어떤 결과물이나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에서도 특성요인도를 사용하여 아이디어 도출 과정에서 어떤 요인이 중요한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업개선을 위한 공정분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제품공정분석
  2. 사무 공정분석
  3. 직장 공정분석
  4. 작업자 공정분석
(정답률: 53%)
  • 직장 공정분석은 작업환경, 조직문화, 인력관리 등과 같은 직장 내부적인 요소를 분석하는 것으로, 작업개선을 위한 공정분석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작업개선을 위한 공정분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